올림픽 수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수영은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다양한 경기 종목과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에는 야외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나, 1908년 런던 올림픽에 실내 수영장이 설치된 이후 시설이 발전했다. 현재 남녀 개인 및 계영, 혼계영, 오픈 워터 수영 등 35개의 세부 종목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박태환 선수의 금메달 1개, 황선우 선수의 아시아 신기록 등 수영 역사에 기여했다.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IOC는 올림픽 수영 종목의 최고 기록을 올림픽 기록으로 인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영 대회 -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93년부터 2년마다 열리는 국제 수영 대회로, 50m 쇼트 코스에서 다양한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여 총 46개 세부 종목에서 경쟁하며, 미국이 역대 메달 집계 1위, 대한민국은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 수영 대회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수영 연맹 주관으로 2년마다 열리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수구, 오픈 워터 수영,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올림픽 테니스
올림픽 테니스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시작되어 한때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프로 선수 참가가 허용되면서 부활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되며, 커리어 골든 슬램 달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국가별 출전 제한 등의 규정이 적용된다. -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는 하계 올림픽의 축구 종목으로, 남자 축구는 연령 제한, 여자 축구는 A대표팀 간의 경쟁으로 진행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도 개최될 예정이다. - 올림픽 수영 - 1900년 하계 올림픽 수영
1900년 하계 올림픽 수영은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7개의 세부 종목에서 12개국 76명의 선수가 참가했고,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이 금메달 2개씩을, 프랑스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수영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여자 200m 개인혼영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여자 200m 개인혼영은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스테파니 라이스가 세계 기록을 경신하며 금메달, 커스티 코번트리가 은메달, 나탈리 코글린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수영 | |
---|---|
올림픽 수영 | |
일반 정보 | |
코드 | SWM |
코드 (마라톤 수영) | OWS (마라톤 수영) |
스포츠 | 수영 |
남자 종목 | 18 |
여자 종목 | 18 |
혼성 종목 | 1 |
하계 올림픽 | |
연도 |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
관련 정보 | |
경기 단체 | 국제 수영 연맹 |
단체 약자 | FINA |
세부 종목 | 34 |
기록 목록 | 표시 |
2. 역사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수영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경기는 수영장이 아닌 바다에서 진행되었다.[1]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센 강에서,[1]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에서는 인공 호수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1] 1904년 올림픽에서는 특이하게도 미터가 아닌 야드 단위를 사용했다.[1]
올림픽 수영의 경기 종목은 아래 표와 같다.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주 경기장 육상 트랙 안에 100m 길이의 실내 수영장이 최초로 설치되었다.[1]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는 전자 계측 시스템이 도입되어 기록 측정이 더 정확해졌다.[1]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레인이 표시된 50m 표준 수영장이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이 규격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다이빙 블록이 처음 도입되었다.[1]
1956년 멜버른 올림픽 전까지는 평영 경기에서 접영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나, 이 대회부터 접영이 독립된 영법으로 분리되었다.[1]
1964년 도쿄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수영 종목에 출전한 대회이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는 여자 200m, 800m 자유형이 추가되었다.[1]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수영 고글 착용이 처음으로 허용되었다.[1]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는 여자 4 × 200m 자유형 계영이 추가되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남녀 10km 마라톤 수영이 추가되었고,[1] 박태환이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 2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수영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박태환은 자유형 200m와 400m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남자 800m, 여자 1500m 자유형, 혼성 4 × 100m 혼계영이 추가되었고,[1] 황선우가 자유형 100m에서 아시아 신기록을 세웠다.
수영은 전통적으로 미국이 남녀 모두에게 강세를 보이는 "수영 강국"으로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기점으로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그 외에도 독일, 네덜란드, 영국, 러시아, 헝가리, 일본, 중국 등이 수영 강국으로 꼽힌다.
3. 경기 종목
3. 1. 현행 종목
현재 올림픽 수영 종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남자 | 여자 | 혼성 |
---|---|---|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여자 800m 자유형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남자 1500m 자유형만큼 긴 거리는 아니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여자 1500m 자유형과 남자 800m 자유형이 추가되면서 해소되었다.
1996년 하계 올림픽에는 여자 4 x 200m 자유형 계영이 추가되었다. 남자 4 x 200m 자유형 계영은 1912년 하계 올림픽부터 실시되었는데, 1996년에 여자 종목이 추가되면서 남녀 모두 두 번의 계영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남녀 모두 10km 오픈 워터 마라톤 수영 경기에 참가하고 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는 혼성 4 x 100m 혼계영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3. 1. 1. 남자
종목 / 연도 | 1896 | 1900 | 04 | 08 | 12 | 20 | 24 | 28 | 32 | 36 | 48 | 52 | 56 | 60 | 64 | 68 | 72 | 76 | 80 | 84 | 88 | 92 | 96 | 2000 | 04 | 08 | 12 | 16 | 20 | 24 | 합계 |
---|---|---|---|---|---|---|---|---|---|---|---|---|---|---|---|---|---|---|---|---|---|---|---|---|---|---|---|---|---|---|---|
현재 종목 | |||||||||||||||||||||||||||||||
5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10 | ||||||||||||||||||||
1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2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
4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800m 자유형 | • | • | 2 | ||||||||||||||||||||||||||||
15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100m 배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 |||||
200m 배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
100m 평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200m 평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100m 접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200m 접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 |||||||||||||
200m 개인혼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
400m 개인혼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
4 x 100m 자유형 계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
4 x 200m 자유형 계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4 x 100m 혼계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
10km 마라톤 수영 | • | • | • | • | • | 5 | |||||||||||||||||||||||||
과거에 실시되었던 종목 | |||||||||||||||||||||||||||||||
50yd 자유형 | • | 1 | |||||||||||||||||||||||||||||
100m 수영 (해군) | • | 1 | |||||||||||||||||||||||||||||
100yd 자유형 | • | 1 | |||||||||||||||||||||||||||||
220yd 자유형 | • | 1 | |||||||||||||||||||||||||||||
440yd 자유형 | • | 1 | |||||||||||||||||||||||||||||
500m 자유형 | • | 1 | |||||||||||||||||||||||||||||
880yd 자유형 | • | 1 | |||||||||||||||||||||||||||||
1000m 자유형 | • | 1 | |||||||||||||||||||||||||||||
1200m 자유형 | • | 1 | |||||||||||||||||||||||||||||
1mi 자유형 | • | 1 | |||||||||||||||||||||||||||||
4000m 자유형 | • | 1 | |||||||||||||||||||||||||||||
100yd 배영 | • | 1 | |||||||||||||||||||||||||||||
400m 평영 | • | • | 2 | ||||||||||||||||||||||||||||
440yd 평영 | • | 1 | |||||||||||||||||||||||||||||
200m 단체 수영 | • | 1 | |||||||||||||||||||||||||||||
4 x 50yd 자유형 계영 | • | 1 | |||||||||||||||||||||||||||||
200m 장애물 | • | 1 | |||||||||||||||||||||||||||||
잠영 | • | 1 | |||||||||||||||||||||||||||||
colspan="32" | | |||||||||||||||||||||||||||||||
종목 수 | 4 | 7 | 9 | 6 | 7 | 7 | 6 | 6 | 6 | 6 | 6 | 6 | 7 | 8 | 10 | 15 | 15 | 13 | 13 | 15 | 16 | 16 | 16 | 16 | 16 | 17 | 17 | 17 | 18 | 18 |
올림픽 수영 남자 종목은 다음과 같다.
- 자유형: 50m 자유형, 100m 자유형, 200m 자유형, 400m 자유형, 800m 자유형, 1500m 자유형
- 배영: 100m 배영, 200m 배영
- 평영: 100m 평영, 200m 평영
- 접영: 100m 접영, 200m 접영
- 개인혼영: 200m 개인혼영, 400m 개인혼영
- 계영: 4 x 100m 자유형 계영, 4 x 200m 자유형 계영, 4 x 100m 혼계영
- 마라톤: 10km 마라톤 수영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있었다.
- 자유형: 50yd 자유형(1904), 100m 수영 (해군)(1896), 100yd 자유형(1904), 220yd 자유형(1904), 440yd 자유형(1904), 500m 자유형(1896), 880yd 자유형(1904), 1000m 자유형(1900), 1200m 자유형(1896), 1mi 자유형(1904), 4000m 자유형(1900)
- 배영: 100yd 배영(1904)
- 평영: 400m 평영(1912, 1920), 440yd 평영(1904)
- 단체: 200m 단체 수영(1900), 4 x 50yd 자유형 계영(1904)
- 기타: 200m 장애물(1900), 잠영(1900)
표에서 숫자는 각 올림픽에서 해당 종목이 개최된 횟수를 나타낸다.
3. 1. 2. 여자
종목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합계 |
---|---|---|---|---|---|---|---|---|---|---|---|---|---|---|---|---|---|---|---|---|---|---|---|---|---|---|---|
5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10 | ||||||||||||||||
1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
2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400m 자유형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 |
800m 자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1500m 자유형 | • | • | 2 | ||||||||||||||||||||||||
100m 배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 ||
200m 배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100m 평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200m 평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 ||
100m 접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 ||||||||
200m 접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200m 개인 혼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
400m 개인 혼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
4 x 100m 자유형 계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
4 x 200m 자유형 계영 | • | • | • | • | • | • | • | • | 8 | ||||||||||||||||||
4 x 100m 혼계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
마라톤 수영 10km | • | • | • | • | • | 5 | |||||||||||||||||||||
300m 자유형 | • | 1 | |||||||||||||||||||||||||
종목 수 | 2 | 3 | 5 | 5 | 5 | 5 | 5 | 5 | 6 | 7 | 8 | 14 | 14 | 13 | 13 | 14 | 15 | 15 | 16 | 16 | 16 | 17 | 17 | 17 | 18 | 18 |
3. 1. 3. 혼성
종목 / 년도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합계 | ||||||||||||||||
---|---|---|---|---|---|---|---|---|---|---|---|---|---|---|---|---|---|---|---|---|---|---|---|---|---|---|---|---|---|---|---|---|---|---|---|---|---|---|---|---|---|---|---|
4 x 100m 혼계영 | 17 |
3. 2. 과거 종목
종목 | 1896 | 1900 | 1904 | 1908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계 | |
---|---|---|---|---|---|---|---|---|---|---|---|---|---|---|---|---|---|---|---|---|---|---|---|---|---|---|---|---|---|---|
남자 50yd 자유형 | • | 1 | ||||||||||||||||||||||||||||
남자 100yd 배영 | • | 1 | ||||||||||||||||||||||||||||
남자 100yd 자유형 | • | 1 | ||||||||||||||||||||||||||||
남자 200yd 계영 | • | 1 | ||||||||||||||||||||||||||||
남자 200m 단체전 | • | 1 | ||||||||||||||||||||||||||||
남자 200m 장애물 | • | 1 | ||||||||||||||||||||||||||||
남자 220yd 자유형 | • | 1 | ||||||||||||||||||||||||||||
남자 400m 평영 | • | • | 2 | |||||||||||||||||||||||||||
남자 440yd 자유형 | • | 1 | ||||||||||||||||||||||||||||
남자 440yd 평영 | • | 1 | ||||||||||||||||||||||||||||
남자 500m 자유형 | • | 1 | ||||||||||||||||||||||||||||
남자 880yd 자유형 | • | 1 | ||||||||||||||||||||||||||||
남자 1000m 자유형 | • | 1 | ||||||||||||||||||||||||||||
남자 1200m 자유형 | • | 1 | ||||||||||||||||||||||||||||
남자 1mi 자유형 | • | 1 | ||||||||||||||||||||||||||||
남자 4000m 자유형 | • | 1 | ||||||||||||||||||||||||||||
남자 잠영 | • | 1 | ||||||||||||||||||||||||||||
남자 해군 100m 자유형 | • | 1 | ||||||||||||||||||||||||||||
여자 300m 자유형 | • | 1 |
4. 참가국
국가 | 1896 | 1900 | 1904 | 1908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총 참가 횟수 |
---|---|---|---|---|---|---|---|---|---|---|---|---|---|---|---|---|---|---|---|---|---|---|---|---|---|---|---|---|---|---|---|
아프가니스탄 | 1 | 1 | 2 | ||||||||||||||||||||||||||||
알바니아 | 1 | 2 | 2 | 2 | 2 | 2 | 7 | ||||||||||||||||||||||||
알제리 | 5 | 1 | 1 | 1 | 3 | 6 | 5 | 1 | 1 | 3 | 2 | 10 | |||||||||||||||||||
아메리칸사모아 | 2 | 2 | 2 | 1 | 4 | ||||||||||||||||||||||||||
안도라 | 1 | 2 | 2 | 1 | 2 | 2 | 6 | ||||||||||||||||||||||||
앙골라 | 5 | 8 | 3 | 1 | 2 | 1 | 2 | 2 | 2 | 2 | 2 | 11 | |||||||||||||||||||
앤티가 바부다 | 2 | 1 | 2 | 2 | 2 | 2 | 6 | ||||||||||||||||||||||||
아르헨티나 | 4 | 4 | 5 | 1 | 17 | 7 | 3 | 7 | 8 | 4 | 5 | 6 | 2 | 3 | 7 | 13 | 10 | 11 | 4 | 5 | 5 | 3 | 22 | ||||||||
아르메니아 | 1 | 2 | 1 | 1 | 2 | 2 | 2 | 2 | 8 | ||||||||||||||||||||||
아루바 | 2 | 1 | 2 | 2 | 2 | 2 | 6 | ||||||||||||||||||||||||
오스트랄라시아[1] | 5 | 9 | 2 | ||||||||||||||||||||||||||||
오스트레일리아 | 1 | 6 | 5 | 5 | 5 | 5 | 10 | 10 | 26 | 26 | 32 | 24 | 24 | 28 | 17 | 31 | 25 | 33 | 33 | 44 | 41 | 43 | 47 | 39 | 37 | 44 | 26 | ||||
오스트리아 | 2 | 3 | 1 | 1 | 8 | 3 | 8 | 2 | 3 | 10 | 7 | 3 | 2 | 1 | 5 | 6 | 6 | 2 | 4 | 8 | 6 | 12 | 11 | 6 | 7 | 5 | 26 | ||||
아제르바이잔 | 1 | 2 | 4 | 12 | 2 | 2 | 2 | 2 | 8 | ||||||||||||||||||||||
바하마 | 2 | 2 | 2 | 1 | 1 | 4 | 4 | 4 | 1 | 3 | 2 | 2 | 12 | ||||||||||||||||||
바레인 | 2 | 2 | 2 | 2 | 2 | 1 | 2 | 2 | 8 | ||||||||||||||||||||||
방글라데시 | 2 | 1 | 1 | 2 | 2 | 2 | 1 | 2 | 2 | 2 | 10 | ||||||||||||||||||||
바베이도스 | 1 | 1 | 1 | 2 | 3 | 4 | 4 | 1 | 2 | 2 | 1 | 11 | |||||||||||||||||||
벨라루스 | 10 | 9 | 9 | 8 | 8 | 8 | 6 | 7 | |||||||||||||||||||||||
벨기에 | 1 | 7 | 5 | 12 | 6 | 5 | 6 | 10 | 6 | 3 | 2 | 6 | 4 | 10 | 7 | 4 | 7 | 7 | 4 | 9 | 7 | 13 | 10 | 2 | 4 | 25 | |||||
베냉 | 2 | 2 | 2 | 2 | 2 | 2 | 6 | ||||||||||||||||||||||||
버뮤다 | 5 | 5 | 2 | 1 | 1 | 6 | 1 | 1 | 2 | 1 | 2 | 2 | 12 | ||||||||||||||||||
부탄 | 1 | 1 | 2 | ||||||||||||||||||||||||||||
볼리비아 | 1 | 1 | 2 | 2 | 2 | 2 | 2 | 2 | 2 | 2 | 2 | 11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 | 2 | 2 | 1 | 1 | 2 | 2 | 2 | 2 | 9 | |||||||||||||||||||||
보츠와나 | 2 | 2 | 1 | 2 | 4 | ||||||||||||||||||||||||||
브라질 | 2 | 8 | 16 | 13 | 12 | 4 | 5 | 4 | 4 | 12 | 9 | 9 | 7 | 15 | 9 | 10 | 13 | 23 | 25 | 19 | 36 | 27 | 20 | 23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1 | 2 | ||||||||||||||||||||||||||||
브루나이 | 1 | 1 | 2 | 3 | |||||||||||||||||||||||||||
불가리아 | 3 | 3 | 5 | 13 | 8 | 5 | 1 | 6 | 6 | 4 | 4 | 3 | 5 | 4 | 14 | ||||||||||||||||
부르키나파소 | 1 | 2 | 2 | 2 | 2 | 2 | 6 | ||||||||||||||||||||||||
부룬디 | 2 | 1 | 2 | 2 | 2 | 2 | 6 | ||||||||||||||||||||||||
캄보디아 | 4 | 2 | 2 | 2 | 2 | 2 | 2 | 2 | 9 | ||||||||||||||||||||||
카메룬 | 1 | 2 | 2 | 2 | 2 | 5 | |||||||||||||||||||||||||
캐나다 | 1 | 1 | 3 | 2 | 6 | 14 | 14 | 9 | 9 | 8 | 8 | 12 | 15 | 38 | 38 | 37 | 31 | 29 | 27 | 39 | 20 | 27 | 33 | 30 | 26 | 29 | 26 | ||||
카보베르데 | 2 | 2 | 2 | ||||||||||||||||||||||||||||
케이맨 제도 | 3 | 2 | 2 | 2 | 2 | 2 | 6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 | 2 | 1 | 2 | 4 | ||||||||||||||||||||||||||
칠레 | 4 | 4 | 1 | 1 | 2 | 3 | 2 | 1 | 2 | 2 | 2 | 11 | |||||||||||||||||||
중화인민공화국 | 2 | 1 | 1 | 14 | 24 | 16 | 21 | 21 | 28 | 42 | 51 | 45 | 30 | 32 | 14 | ||||||||||||||||
중화 타이베이[2] | 1 | 4 | 3 | 5 | 8 | 8 | 13 | 13 | 5 | 3 | 2 | 3 | 2 | 13 | |||||||||||||||||
콜롬비아 | 2 | 3 | 1 | 9 | 4 | 5 | 2 | 1 | 1 | 1 | 5 | 5 | 3 | 5 | 3 | 4 | 2 | 2 | 18 | ||||||||||||
코모로 | 1 | 1 | 2 | 2 | 4 | ||||||||||||||||||||||||||
콩고 공화국 | 1 | 2 | 2 | 2 | 1 | 2 | 2 | 1 | 2 | 9 | |||||||||||||||||||||
쿡 제도 | 1 | 2 | 2 | 1 | 2 | 5 | |||||||||||||||||||||||||
코스타리카 | 1 | 1 | 8 | 1 | 3 | 2 | 1 | 2 | 2 | 1 | 2 | 2 | 14 | ||||||||||||||||||
크로아티아 | 11 | 17 | 13 | 13 | 4 | 2 | 2 | 3 | 8 | ||||||||||||||||||||||
쿠바 | 2 | 2 | 2 | 1 | 3 | 2 | 3 | 7 | 2 | 2 | 1 | 2 | 2 | 2 | 14 | ||||||||||||||||
키프로스 | 4 | 2 | 2 | 7 | 5 | 2 | 1 | 2 | 2 | 2 | 10 | ||||||||||||||||||||
체코슬로바키아[3] | 4 | 9 | 1 | 3 | 3 | 4 | 2 | 3 | 3 | 1 | 3 | 1 | 5 | 6 | 8 | 17 | |||||||||||||||
체코 | 10 | 6 | 12 | 10 | 6 | 8 | 9 | 5 | 8 | ||||||||||||||||||||||
콩고 민주 공화국 | 1 | 2 | 2 | ||||||||||||||||||||||||||||
덴마크 | 1 | 5 | 1 | 4 | 5 | 2 | 18 | 6 | 9 | 2 | 4 | 3 | 3 | 6 | 2 | 1 | 3 | 15 | 8 | 10 | 7 | 6 | 9 | 10 | 15 | 11 | 7 | 27 | |||
지부티 | 1 | 1 | 2 | 2 | 4 | ||||||||||||||||||||||||||
도미니카 연방 | 1 | 2 | 2 | 3 | |||||||||||||||||||||||||||
도미니카 공화국 | 1 | 1 | 2 | 2 | 2 | 2 | 6 | ||||||||||||||||||||||||
동독[4] | 24 | 37 | 23 | 30 | 26 | 5 | |||||||||||||||||||||||||
동티모르 | 2 | 2 | 2 | ||||||||||||||||||||||||||||
에콰도르 | 3 | 1 | 1 | 2 | 1 | 5 | 3 | 1 | 2 | 3 | 3 | 4 | 3 | 13 | |||||||||||||||||
이집트 | 1 | 6 | 3 | 2 | 8 | 5 | 2 | 2 | 6 | 2 | 3 | 3 | 7 | 4 | 3 | 15 | |||||||||||||||
엘살바도르 | 14 | 7 | 2 | 1 | 1 | 1 | 2 | 2 | 2 | 2 | 12 | ||||||||||||||||||||
적도 기니 | 2 | 1 | 1 | 3 | |||||||||||||||||||||||||||
에리트레아 | 1 | 2 | 2 | ||||||||||||||||||||||||||||
에스토니아 | 2 | 4 | 1 | 4 | 6 | 9 | 2 | 2 | 3 | 2 | 8 | ||||||||||||||||||||
에티오피아 | 2 | 2 | 1 | 1 | 4 | ||||||||||||||||||||||||||
피지 | 3 | 5 | 3 | 2 | 2 | 1 | 1 | 2 | 2 | 2 | 2 | 11 | |||||||||||||||||||
핀란드 | 3 | 6 | 1 | 2 | 1 | 1 | 2 | 1 | 13 | 1 | 5 | 6 | 3 | 1 | 1 | 1 | 2 | 1 | 12 | 12 | 7 | 7 | 5 | 7 | 8 | 5 | 2 | 27 | |||
프랑스 | 47 | 4 | 3 | 13 | 20 | 13 | 5 | 8 | 17 | 16 | 16 | 19 | 9 | 16 | 18 | 16 | 13 | 16 | 25 | 25 | 19 | 21 | 35 | 31 | 30 | 27 | 33 | 28 | |||
가봉 | 1 | 2 | 2 | 3 | |||||||||||||||||||||||||||
감비아 | 1 | 1 | 2 | 3 | |||||||||||||||||||||||||||
조지아 | 1 | 1 | 2 | 1 | 2 | 2 | 2 | 7 | |||||||||||||||||||||||
독일[5] | 6 | 4 | 5 | 17 | 19 | 2 | 24 | 9 | 18 | 26 | 38 | 24 | 28 | 35 | 35 | 25 | 30 | 29 | 31 | 25 | 20 | ||||||||||
가나 | 2 | 2 | 2 | 3 | |||||||||||||||||||||||||||
영국 | 7 | 25 | 18 | 18 | 26 | 21 | 15 | 22 | 32 | 26 | 22 | 32 | 33 | 27 | 36 | 40 | 32 | 33 | 31 | 28 | 39 | 32 | 37 | 24 | 44 | 28 | 32 | 33 | 28 | ||
그리스 | 15 | 1 | 1 | 5 | 2 | 2 | 5 | 2 | 2 | 3 | 4 | 2 | 8 | 14 | 28 | 18 | 14 | 15 | 12 | 17 | 20 | ||||||||||
그레나다 | 1 | 2 | 1 | 2 | 2 | 2 | 6 | ||||||||||||||||||||||||
괌 | 4 | 7 | 2 | 1 | 1 | 1 | 3 | 2 | 2 | 9 | |||||||||||||||||||||
과테말라 | 1 | 3 | 6 | 1 | 5 | 2 | 1 | 4 | 1 | 1 | 2 | 2 | 2 | 13 | |||||||||||||||||
기니 | 2 | 1 | 2 | 1 | 2 | 2 | 2 | 7 | |||||||||||||||||||||||
기니비사우 | 1 | 1 | |||||||||||||||||||||||||||||
가이아나 | 1 | 1 | 2 | 2 | 2 | 2 | 6 | ||||||||||||||||||||||||
아이티 | 1 | 2 | 2 | 2 | 4 | ||||||||||||||||||||||||||
온두라스 |
5.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미국 | 265 | 192 | 151 | 608 |
2 | 오스트레일리아 | 76 | 79 | 77 | 232 |
3 | 동독 | 38 | 32 | 22 | 92 |
4 | 헝가리 | 32 | 28 | 21 | 81 |
5 | 일본 | 24 | 28 | 32 | 84 |
6 | 네덜란드 | 23 | 21 | 21 | 65 |
7 | 영국 | 21 | 35 | 31 | 87 |
8 | 중국 | 18 | 24 | 19 | 61 |
9 | 독일 | 15 | 20 | 32 | 67 |
10 | 소련 | 12 | 21 | 26 | 59 |
11 | 캐나다 | 12 | 20 | 31 | 63 |
12 | 스웨덴 | 11 | 16 | 14 | 41 |
13 | 프랑스 | 12 | 17 | 22 | 51 |
1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8 | 8 | 6 | 22 |
15 | 연합 선수단 | 6 | 3 | 1 | 10 |
16 | 러시아 | 5 | 9 | 9 | 23 |
17 | 이탈리아 | 7 | 8 | 20 | 35 |
18 | 우크라이나 | 4 | 3 | 2 | 9 |
19 | 서독 | 3 | 5 | 14 | 22 |
20 | 덴마크 | 3 | 5 | 7 | 15 |
21 | 루마니아 | 4 | 2 | 5 | 11 |
22 | 아일랜드 | 4 | 0 | 3 | 7 |
23 | 튀니지 | 3 | 0 | 1 | 4 |
24 | 브라질 | 2 | 4 | 11 | 17 |
25 | 짐바브웨 | 2 | 4 | 1 | 7 |
26 | 오스트랄라시아 | 2 | 3 | 3 | 8 |
27 | 스페인 | 2 | 2 | 4 | 8 |
28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2 | 2 | 1 | 5 |
29 | 뉴질랜드 | 2 | 1 | 3 | 6 |
30 | 오스트리아 | 1 | 6 | 5 | 12 |
31 | 독일 연합 선수단 | 1 | 5 | 6 | 12 |
32 | 그리스 | 1 | 5 | 2 | 8 |
33 | 폴란드 | 1 | 3 | 2 | 6 |
34 | 대한민국 | 1 | 3 | 1 | 5 |
35 | 벨기에 | 1 | 2 | 2 | 5 |
36 | 코스타리카 | 1 | 1 | 2 | 4 |
37 | 아르헨티나 | 1 | 1 | 1 | 3 |
38 | 불가리아 | 1 | 1 | 1 | 3 |
39 | 멕시코 | 1 | 0 | 1 | 2 |
40 | 수리남 | 1 | 0 | 1 | 2 |
41 | 유고슬라비아 | 1 | 1 | 0 | 2 |
42 | 카자흐스탄 | 1 | 0 | 0 | 1 |
43 | 리투아니아 | 1 | 0 | 0 | 1 |
44 | 싱가포르 | 1 | 0 | 0 | 1 |
45 | 벨라루스 | 0 | 2 | 1 | 3 |
46 | 홍콩 | 0 | 2 | 2 | 4 |
47 | 슬로바키아 | 0 | 2 | 0 | 2 |
48 | 핀란드 | 0 | 1 | 4 | 5 |
49 | 쿠바 | 0 | 1 | 1 | 2 |
50 | 노르웨이 | 0 | 1 | 1 | 2 |
51 | 크로아티아 | 0 | 1 | 0 | 1 |
52 | 세르비아 | 0 | 1 | 0 | 1 |
53 | 슬로베니아 | 0 | 1 | 0 | 1 |
54 | 스위스 | 0 | 0 | 4 | 4 |
55 | 필리핀 | 0 | 0 | 2 | 2 |
56 | 트리니다드 토바고 | 0 | 0 | 1 | 1 |
57 | 베네수엘라 | 0 | 0 | 1 | 1 |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의 메달 집계 결과 미국이 금메달 265개, 은메달 192개, 동메달 151개로 총 608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3][4] 2위는 오스트레일리아(금 76, 은 79, 동 77, 총 232), 3위는 동독(금 38, 은 32, 동 22, 총 92), 4위는 헝가리(금 32, 은 28, 동 21, 총 81), 5위는 일본(금 24, 은 28, 동 32, 총 84)이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총 5개를 획득하여 34위를 기록했다.
6. 올림픽 기록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현재 진행 중인 35개 수영 종목의 최고 기록을 올림픽 기록으로 인정한다.[1] 수영 기록은 더 나은 훈련 기술과 스포츠 내 새로운 발전으로 인해 수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감소했다.[2]
처음 네 번의 올림픽에서는 수영 경기가 수영장이 아닌 야외에서 열렸다 (1896년, 지중해; 1900년, 센 강; 1904년, 인공 호수; 1906년, 지중해).[3] 1904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는 통상적인 미터 대신 야드로 측정된 유일한 경기였다.[3] 190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100미터 수영장이 건설되었으며, 주 경기장의 육상 트랙 및 필드 타원형 경기장 중앙에 위치했다.[3] 1912년 하계 올림픽은 스톡홀름 항구에서 열렸으며, 전기 타이밍이 시작된 해로 기록된다.[3]
남성 수영 선수들은 1940년대까지 전신 수영복을 착용했는데, 이는 현대 수영복보다 물에서 더 많은 저항을 유발했다.[2] 또한, 수년에 걸쳐 수영장 설계는 저항을 줄였다.[2] 몇 가지 설계 고려 사항은 수영 저항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수영장을 더 빠르게 만들었다.[2] 즉, 적절한 수영장 깊이, 파도 제거, 흐름 제거, 레인 폭 증가, 에너지 흡수 경주 레인 라인 및 거터, 그리고 기타 혁신적인 수력, 음향, 조명, 수영복 디자인의 사용 등이 있다.[2]
1924년 하계 올림픽은 레인이 표시된 표준 50미터 수영장을 처음 사용한 경기였다(현재까지 이 표준이 유지됨).[4] 자유형에서 수영 선수들은 원래 수영장 벽에서 다이빙했지만, 다이빙 블록은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4] 플립 턴은 1950년대에 개발되었다.[4] 수영 고글은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허용되었다.[4]
접영 경기는 1956년 하계 올림픽까지 열리지 않았다.[5] 이전 규칙은 평영 경기에서 접영을 허용했다.[5] 1956년 이후, 이 규칙이 변경되면서 접영은 완전히 독립적인 영법이 되었다.[5]
800m 경기는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여자 프로그램에 추가되었다.[6] 더 긴 거리였지만, 남자 1,500m 경기만큼 길지는 않았다.[6] 이 불일치는 2020년에 맞춰졌다.[6] 그해 1,500미터가 여자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포함되었고, 800미터 자유형이 남자 프로그램에 추가되었다.[6]
남자 및 여자 모두 1968년 하계 올림픽에 200미터 자유형 경기를 치를 수 있게 되면서, 수영 선수들에게 100미터와 400미터 사이의 중간 거리 경기가 주어졌다.
여자 4 × 200미터 자유형 계영 경기는 1996년에 추가되었다. 남자 계영 경기는 그 거리에서 1912년부터 열렸다. 1996년 여자 4 × 200미터 자유형 계영의 우승 기록은 1912년 남자 4 × 200미터 자유형 계영보다 2분 이상 빨랐다. 1996년 이전까지 6번의 올림픽에서 남자들은 두 번의 자유형 계영 경기를 치렀고, 여자들은 한 번 치렀다.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남녀 모두 두 번의 계영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혼영 계영 경기(4 × 100미터)는 1960년까지 남자 또는 여자에게 열리지 않았지만, 그 이후 모든 올림픽에서 계속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남자와 여자 모두 10km 오픈 워터 마라톤 수영 경기에 참가한다.
혼성 4 × 100미터 혼영 계영(여자 2명과 남자 2명)은 2020년 하계 올림픽 프로그램에 추가되었다.
참조
[1]
문서
Distances at the 1904 Olympics were measured in yards rather than metres. The 50 yard freestyle was 45.7 metres and the 100 yard freestyle and backstroke races were 91.4 metres. The 220, 440, and 880 yard freestyle races were 201, 402, and 805 metres, respectively. Instead of a 1500 metre race, there was a 1 mile race which made for 1609 metres. The 440 yard breaststroke, like the freestyle, was 402 metres. The relay, 4 × 50 yards, was 4 × 45.7 metres.
[2]
문서
In 1920, the women's event was 300 metres.
[3]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4]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5]
뉴스
種目別エントリー 将来は1国2人に 国際水連決定 読売新聞 1980年8月1日 夕刊2ページ
読売新聞
1980-08-01
[6]
웹인용
수영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