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의 차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차 문화는 '차예' 또는 '차 문화'로 불리며, 4천 년 이상 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차는 단순한 음료를 넘어선 사교 활동으로 발전하여 중국 전역에 퍼졌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다도'로 발전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차 문화가 번성하여 예술, 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잎차 문화가 발전하며 이싱 자사 다관과 같은 다구 제작이 활발해졌다. 청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가 국제적으로 판매되었고, 20세기에는 중국 공산당의 통치와 문화 대혁명으로 시련을 겪었지만,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이후 다시 부활했다. 현대 중국에서는 찻집과 차 문화 여행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중국의 차는 다양한 의례와 풍습, 그리고 예술과 종교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 문화 - 버블티
    버블티는 1980년대 후반 대만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타피오카 펄이 들어간 차 음료로, 다양한 차 종류를 기반으로 우유, 과일 등 여러 토핑과 함께 제공되지만 높은 설탕 함량과 타피오카 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차 문화 - 다경
    당나라 육우가 저술한 《다경》은 차의 기원, 재배, 제조, 음용법, 역사, 산지 등 차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을 다룬 가장 오래되고 영향력 있는 저서로, 중국 차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의 차 문화
차 문화 개요
중국 다기 세트와 세 개의 개완
중국 다기 세트
중국어 (번체)中國茶文化
로마자 표기Zhōngguó chá wénhuà
중국어 (번체)茶藝
로마자 표기Chá yì
중국어 (번체)茶道
로마자 표기Chá dào
중국어 (번체)茶禮
로마자 표기Chá lǐ
역사 및 문화적 중요성
기원중국
주요 내용차 준비 및 음용, 다도, 차 문화
문화적 중요성중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 예절, 존경, 즐거움의 표현
차의 종류 및 준비
차 종류녹차
우롱차
홍차
백차
보이차
황차
다구개완
자사호
차해
찻잔
다도구
차의 음용 및 다도
음용 방법다양한 방법으로 즐기며, 격식 있는 다도 의례를 포함할 수 있음
다도 (차예/차도)차를 준비하고 제공하는 예술; 예절과 감상을 강조
기타
관련 용어차예 (茶藝): 차를 우리는 기술
차도 (茶道): 차를 통해 도를 깨닫는 정신 수양
차례 (茶禮): 차를 마시는 예절
중국어 (간체)中国茶文化
일본어中国の茶の文化

2. 어원

중국에서 "차 문화"라는 개념은 '차예'(茶艺, 차를 마시는 기술) 또는 '차 문화'(茶文化)로 불린다. '차'(茶)는 차나무, 즉 'Camellia sinensis'에서 추출한 음료를 의미한다. 기원전 8세기 이전에는 차가 다른 많은 쓴 식물과 함께 '荼'(pinyin: tú)라는 용어로 통칭되었다. 이 용어는 ''시경''에 등장한다. 이 두 한자는 荼의 중국 글자에서 가로 획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며, 이것이 차로 번역된다. 더 오래된 글자는 부수 艹 (pinyin: cǎo)의 축약된 형태와 음성 단서가 되는 余 (pinyin: yú) 자로 구성되어 있다.

한나라 시대에 'tu'라는 단어는 원래 발음인 'tu' 외에 'cha'라는 새로운 발음을 갖게 되었다. 'tu'(荼) 음절은 나중에 푸젠 방언에서 'te'로, 그리고 나중에 'tea', 'te'로 진화했다.[1]

3. 역사

전설에 따르면, 차는 4천 년 이상 전에 중국 남서부에서 발견되었다.[2] 다경과 신농본초경과 같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는 의학과 농업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신농이 차의 효능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

신농은 음식이나 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많은 잎을 맛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전설에 따르면, 신농이 차의 유익한 속성을 발견한 데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2] 첫 번째는 신농의 위가 투명하여 음식에 대한 반응을 볼 수 있었는데, 물을 끓일 때 떨어진 찻잎의 달콤한 맛과 활력을 주는 효과를 경험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신농이 72가지 독성 잎을 먹고 중독되었을 때, 우연히 찻잎을 씹어 해독 효과를 보았다는 이야기이다.[2] 차의 의학적 효과에 대해 쓰인 최초의 책은 ''신농본초''였다.[2]

한나라 시대에 'tu'(荼)라는 단어는 원래 발음 외에 'cha'라는 새로운 발음을 갖게 되었다. 'tu'(荼) 음절은 푸젠 방언에서 'te'로, 나중에 'tea', 'te'로 진화했다. 차는 초기 한나라 시대의 ''이아''에서 'jia'(檟)로 불렸으며, "Jia는 쓴 tu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진나라 학자 곽박은 'tu'를 "작은 식물이며, 잎을 달여 음료로 만들 수 있다"고 주석했다. ''방언''에서는 차를 'She'(蔎)라고 불렀다. 'jia'(檟) 음절은 나중에 'cha'와 'chai'(러시아, 인도)가 되었고, 'she'(蔎) 음절은 장쑤성에서 'soh'가 되었으며, 술레이만의 'Sakh'도 'she'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차 문화는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당나라송나라를 거치면서 차 문화는 크게 발전하였으며, 특히 송나라 시대에는 차를 마시는 것이 예술과 시를 감상하는 사교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20세기 대약진 운동 기간에는 차 생산이 제한되기도 했으나, 덩샤오핑의 중국 경제 개혁 이후 차 산업과 문화가 다시 부활했다.[2][9][13][16][18][19][20]

21세기 중국과 대만에서는 박물관, 찻집, 차 상점 등을 통해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3]

3. 1. 초기 왕조

중국 차의 지리적 고향은 윈난과 쓰촨을 포함한 남부 지역으로, 하니, 이족, 백족, 태족, 불랑, , 덕앙 등 여러 민족들의 고향이다.[4][5] 이 민족들은 고대 선사 시대부터 차 잎을 섭취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차를 마시고 있다.[4][5]

기원전 11세기~7세기 중국 문헌에는 ''tu''(荼, "쓴 풀")라는 음료가 언급되어 있다. 춘추 시대 말기부터 서한 왕조 초기까지는 "쓴 풀"을 양파, 생강 등과 함께 끓여 수프로 만들어 먹었다.[10] 2016년 시안의 한경제 (기원전 141년 사망) 묘에서 차나무 속 차가 발견되면서, 한나라 황제들이 기원전 2세기부터 차를 마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0]

진나라 (266–420) 시대에는 차를 다른 식물과 함께 끓여 약, 음식, 음료를 겸하는 차 수프를 만들었다.[4] 광아 사전에는 "징(Jing)과 바(Ba) 지역 [현재의 쓰촨성 동부와 후난성 및 후베이성의 서부 지역] 사람들은 잎을 따서 케이크를 만든다. 잎이 오래되면 쌀 풀을 사용하여 케이크를 만든다. [차를] 끓이려는 사람들은 먼저 [케이크]를 붉은색으로 구운 다음 가루로 빻아 도자기 용기에 넣고 끓는 물을 붓는다. 그들은 파, 생강, 귤 껍질을 함께 끓인다."라는 기록이 있다.[12]

진(266–420)과 위(220–265) 시대에 차 문화는 사대부, 불교 승려, 왕족 등 상류층을 중심으로 발전했다.[12][11] 차는 '신선함과 순수함'을 지닌 음료로 여겨졌으며, 학식 있는 남성과 도교 및 불교 승려들 사이에서 철학적 논쟁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2]

3. 2. 당나라 (618–906)

당나라 시대에는 차 문화, 즉 즐거운 사교 활동으로서의 '다도'가 중국 전역으로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3] 이때 상류층은 주로 차 자체를 마셨으며, 소금 한 꼬집이나 특정 종류의 꽃과 같은 첨가물을 때때로 사용하기도 했다. 차를 더 쉽게 생산하고(이때는 모두 녹차) 맛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재배 및 가공 방법이 개발되었다.[2][16] 잎을 굽고 굽는 새로운 차 제조 기술도 이 기간에 발명되었다.[14] 차 생산은 특히 몽산 지역(쓰촨)과 부량(장시)에서 증가했다.[16]

당나라 황제와 그의 가문은 차를 널리 소비했으며, 차 생산 지역에서 "공물 차"로 최고 품질의 차를 받았다. 이 시대의 유명한 공물 차는 태호 서쪽에 있는 고주산의 자죽차였다.[16] 당나라 시대에는 차에 세금이 부과되고 직접 관리되기 시작했다. 이는 백성들에게 부담을 주었고, 때로는 황제를 위해 차를 수확하기 위해 요역에 징발되었으며, 종종 밀수에 의존한 상인들에게도 부담이 되었다(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대규모 차 밀수는 종종 강 배로 이루어졌으며, 당나라 시대의 강도와 밀수업자에게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었다.[16]

남부 차마고도 무역 네트워크는 당나라 시대에 중국과 티베트 간의 성숙한 무역로로 이어졌으며, 중국 차는 중국 군대에 필요한 티베트 말과 거래되었다.[13] 또한 경항대운하의 완공으로 중국 북부와 남부 간의 물품 운송 비용이 절감되어, 차의 가격을 제국 전역에서 낮추었다.[13] 무역로 개방과 새로운 가공 기술은 차를 중국 전역의 국민 음료로 만드는 데 필수적이었다.[13] 따라서 당나라 시대부터 차는 "개문칠사"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시대의 주요 고급 다구는 청자 월주요와 백자 형요였다. 둘 다 당나라 황실의 후원을 받았다.[15] 또한 이 기간 동안 장인들은 시, 그림, 노래, 문학 등 수백 가지의 차 예술 작품을 제작했다. 찻집과 다점도 이 시기에 설립되었다.[2]

당나라 시대에 차는 승려들의 삶에서 중심적인 부분이 되었다. 승려들은 불교 승가 규율에 따라 정오 이후에는 술을 마시거나 고형 음식을 먹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16] 빅터 H. 메이어에 따르면 "승려들은 차를 재배하고, 명상하고, 공부하고, 의식을 치르는 동안 차를 마셨으며, 부처에게 차를 공양하고, 방문객에게 선물로 주고, 팔고, 제국 궁정에 공물로 보냈으며, 궁정은 답례했다."라고 한다.[16] 불교 차 문화(주로 중국 남부에 중심을 둠)는 불교 사찰이 세워진 곳이면 어디든 차를 대중화시켰다. 800년경 펑 씨의 《견문록》에는 선불교의 한 고승이 태산에서 차를 장려했고, 그의 제자들이 차를 어디든 가지고 다녔다고 적혀 있다.

> 이 습관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모방되었고 관습이 되었다. 산둥성에 있는 태산이 위치하고, 인접한 허베이성의 조, 치, 창, 디에서 점차 수도로 퍼져나갔다. 시장에는 차를 만들고 판매하는 가게가 많이 문을 열었고, 종교인이든 속인이든 돈을 내고 차를 마셨다. 강과 회(남쪽)에서 차가 끊임없이 배와 수레로 들어와 산처럼 쌓였고, 종류도 다양했다.[16]

이런 식으로 남쪽을 중심으로 한 차 문화는 불교를 통해 북쪽으로 널리 전파되었다.[16] 법문사(시안)는 차 문화와 관련된 중요한 불교 사찰 중 하나였다. 이 사찰에서 황실 등급의 다구와 차 도구들이 발견되었다.[16]

또한 당나라 시대에 일본의 승려들이 중국을 방문하여 차를 가지고 돌아왔다. 중국 차를 일본에 처음 소개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최징 (태산의 불룡사에 머물렀다)과 공해 (장안서명사에 머물렀다)이다.[16] 일본에서 차를 처음 재배한 기록은 최징이 비에이산에 차나무를 심은 것이다.[16] 마찬가지로, 불교 승려들은 이 시대에 차를 한국으로 가져왔고, 한국 차의 역사는 한국 불교의 역사와 중국 불교 차 문화와의 연관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와 같은 한국 역사 기록에도 7세기까지 한국 왕족들이 차를 마셨으며, 차는 대부분 중국에서 조달되었다는 내용이 있다.[17]

대만의 육우 조각상


''다경(茶經)''(760–762년경)은 당나라 시대의 차 문화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차 애호가 육우가 쓴 중요한 문학 작품인 이 책은 당나라의 차 문화와 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를 담고 있다.[9] ''다경''은 차에 대한 최초의 모노그래프로, 차의 역사, 재배, 준비, 제공 및 음용 방법에 이르기까지 열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9] 이 책은 찻잎을 어떻게 재배하고 가공하는지, 차 벽돌을 가루로 갈아 그릇에 넣고 휘저어 음료로 차를 준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이 책은 차를 어떻게 평가하고 최고의 찻잎이 어디에서 생산되는지 설명한다. 육우는 또한 차 도구를 살 여유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어떤 차 도구를 생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여 서민들에게 차를 마시도록 장려했다. 육우는 차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차의 성인'이자 '차의 신'으로 알려져 있다.[3]

''다경''에는 육우 시대에 줄기와 가지를 포함한 모든 잎을 포함한 전체 식물을 따는 방법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이것은 현대 시대에 차를 따는 방법(한 번에 몇 개의 잎만 딴다)과 다르다.[6] 수확 후 차는 찌고, 절구에 빻아 틀에 넣고 차 케이크 또는 벽돌로 건조했다.[6] ''다경''의 차 준비 방법은 차 케이크를 불에 굽고, 종이 봉투에 넣어 식히고, 절구에 갈아 소금을 약간 넣고 솥에 끓이는 것이었다. 차는 모든 잎, 줄기 및 가루가 들어 있는 여과되지 않은 걸쭉한 수프로 제공되었다.[6] 육우에 따르면, 그의 시대에 최고의 차 그릇은 저장성의 월요에서 만든 청자 월주 도자기였다. 그는 차를 조금씩 마셔야 한다고 썼다.[16]

''다경''은 또한 차를 마시는 것을 정신적인 문제, 예술 및 철학과 연결시켰다. 육우의 다경이 강조한 중요한 가치는 소박한 단순함의 일종인 "검소함"(儉 jiǎn)이었다.[6] ''다경''은 곧 중국 엘리트들에게 매력적인 텍스트가 되었고, 그들은 곧 차 문화를 중국 문화의 중요하고 문명화된 요소로 받아들였다.[4] 따라서 육우의 고전은 즐거운 음료를 중국 문화의 중심이 된 예술로 바꾸는 데 기여했다.[4]

육우의 고전은 차 문화에 대한 다른 작품에 영감을 주었고, 그 뒤를 이었다. 장유신의 ''다를 끓이는 물의 기록''과 같은 일부 텍스트는 차 제조용 물과 같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췄다. 장은 차에 가장 좋은 물 공급원 20곳을 열거하고, 또한 다음과 같이 썼다. "재배되는 곳의 물로 차를 만들면 물과 땅이 서로 맞기 때문에 변함없이 훌륭할 것이다. 다른 곳으로 가면 물이 반을 기여하고, 준비 기술과 깨끗한 용기가 그 효과를 완성할 것이다."[16]

3. 3. 송나라 (960–1279)

송나라 시대에는 차 문화가 번성하여, 엘리트 계층은 중국의 예술과 시를 감상하고 토론하는 사교 모임에서 차를 즐겨 마셨다.[2][18] 차의 색, 향, 맛을 판단하는 상세한 기준도 생겨났다.[19] 차 예술, 다회(茶會), 다관(茶館)의 인기가 계속 높아졌다. 올바른 차 제조법에 대한 지식은 서예, 회화, 시 등과 함께 교양 있는 사람의 덕목으로 여겨졌다.[9]

중국은 차를 독점하여 강력한 경제적,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13] 송나라는 티베트와의 차마고도에서 말과 차를 교환하는 것을 감독하기 위해 "차마사"(茶马司)를 설립했다.[20] 이들은 침략하는 북방 유목민인 요, 금, 서하와의 전투를 위해 많은 수의 군마가 필요했다.[20] 분쟁이 발생했을 때 왕조 정부는 차 무역을 중단하고 '차마사'를 폐쇄하겠다고 위협했다.[13] 엘리트와 학자들 사이의 전통적인 차 문화는 더욱 복잡해졌고 차 문화는 대중에게 계속 확산되었다. 중국 전역에서 차 문화의 지역적 변형이 형성되었다. 음악, 사교 및 대화, 매춘(화차방, 꽃 차관이라고 불림)을 위한 다관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다관도 등장했다.[16]

차 재배는 야생 차나무에서 여러 지역의 확립된 농업으로 옮겨가면서 차가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었다.[2] '공차'(貢茶)는 황제에게 존경을 표하기 위해 고품질의 차를 선물하는 것이었다. 송나라의 차 경제는 차세를 징수하고, 차 가격을 고정하고, 상인이 차를 판매할 수 있는 바우처를 판매하고, 농촌 농장에서 차 재배를 관리하고, 황실에 공물을 운송하는 거대한 독점 정부 관료 체제로 발전했다.[9]''[16]''

송나라에서 가장 비싸고 훌륭한 차는 라차(蠟茶, '납차')였는데, 이는 최고 등급의 잎을 세척하고, 찌고, 압착하고, 갈아서 몰드에 구워 차 케이크나 벽돌로 만든 것이었다. 케이크는 종종 다양한 종류의 귀중한 오일과 향신료로 덮여 있었고, 용뇌와 같은 방향성 연고로 밀봉되어 "용뇌향차"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모든 종류의 매우 향긋한 차를 만들었다.[21][16] 송나라 시대에는 다기도 다양했는데, 5대 명요에서 만들어진 다기가 포함되었다. 요주요와 남쪽의 용천요는 가장 인기 있는 종류의 청자였다. 자기주는 여전히 중요했으며, 정요와 청백자와 같은 다른 새로운 유형의 백색 자기도 다기로 인기를 얻었다.

송나라 휘종 (1100–1126 재위)은 훌륭한 차 애호가였다. 그는 아마도 다경 이후 중국에서 차에 관한 두 번째로 훌륭한 작품인 ''대관차론''(大觀茶論)을 저술했다.[2]''[16]'' 휘종은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백차를 좋아했다. 그의 취향은 엘리트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이때부터 향료를 첨가한 차는 인기가 줄어들었다.[22] 이 시대에는 차 문학이 풍부했다. 또 다른 중요한 작품은 채상의 ''다록''(茶錄)이었다.[2]''[16]'' 차 경제를 감독한 관리들은 종종 차에 관한 시를 썼다.[9] 남송의 차 전문가 슝판(熊蕃)의 시는 "무리들이 새끼 이끼를 짓밟고 다툰다. 나는 용의 밭에서 처음 붉게 물든 곳을 향해 고개를 돌린다. 징을 쳐서 재촉하는 관리, 그들은 산 아래로 차 바구니를 운반한다. 차를 딸 때는 해가 뜨는 것을 볼 수 없다"고 읊었다.[9]

차는 불교 의식 동안 부처에게 공양하는 데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심지어 ''백장청규''(Bǎizhàng qīngguī)에 묘사된 것과 같은 차에 초점을 맞춘 특정한 의식도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 일부 일본 린자이 선 사찰에서 계속 행해지고 있다.[18] 12세기, 일본 선승 에이사이 (c. 1141–1215, 중국명: 엽제)는 중국에서 차를 일본으로 가져와 심었고, 차의 효능과 장수에 관한 육우의 다경을 인용한 최초의 일본 차 서적(끽다양생기, ''양생을 위한 차 음용에 관한 논문'')을 저술하여 차가 장수와 정신적 조화를 증진한다고 주장했다.[18] 에이사이(Eisai)는 또한 부처와 신도에게 차를 공양하는 의식을 도입했다.[18] 이것이 일본 차 재배와 차 문화의 시작이었다.

차는 또한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주요 수출품이었다. 이 시기에 페르시아인과 아랍인이 처음으로 차를 접했다. 중국의 차 문화는 알 비루니 (c. 11세기)의 ''약학 및 물질 의학에 관한 책''에 묘사되어 있다.[16]

3. 4. 20세기

19세기 말, 대영 제국동인도 회사인도다르질링과 아삼 지역에서 차를 재배하고 가공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 공산당 주석 마오쩌둥의 통치(1949–1976) 하에서 중국은 세계 시장과 대부분 고립되었다. 1960년대,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차 생산은 상당히 제한되었고, 찻집과 상점은 대부분 문을 닫았다.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과 그의 중국 경제 개혁의 지도하에, 중국은 차 산업과 차 문화의 전통적인 측면의 부활을 촉진했다.[2][9][13][16][18][19][20]

3. 5. 21세기

현대 중국과 대만은 박물관, 차 산책로, 가이드 투어, 찻집, 차 상점, 차 시장, 차 시음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3] 중국 본토 저장성 항저우에는 국립 차 박물관이 있으며, 대만에도 차 박물관이 있다.[39] 이들 박물관은 다양한 중국 차 문화 전시물을 소장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전역에서 젊은 도시 인구를 겨냥한 새로운 디자이너 찻집이 등장하면서 전통 찻집 문화가 활기를 띠고 있다.[3] 중국 차 문화는 서방 국가로도 수출되어 고급 중국 차와 쿵푸 다구를 판매하는 인기 브랜드가 생겨나고 있다.

4. 차의 제조 및 소비

중국에서 차를 우리는 방법은 격식, 개인의 취향, 차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찻잎을 뜨거운 물이 담긴 그릇이나 컵에 직접 넣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가정이나 광둥식 주루에서 딤섬과 함께 차를 마시는 음차 문화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개완이라 불리는 작은 뚜껑이 달린 컵이나 작은 도자기 찻주전자(100~150ml)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는 현대의 궁푸차(공푸차, "기술로 차를 만들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다구 중 하나이다. 현대 중국에서는 티백과 병차가 더 널리 퍼졌다.

송나라 시대에는 차 경연이 크게 유행했다.[23][45] 차 경연은 차를 준비하고, 물을 끓이고, 차를 갈고, 시음하는 등 차를 만드는 전 과정을 포함했다.[23][45] 휘젓기를 통해 가장 두껍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차 거품(탕화)을 만들거나, 차의 맛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경연이 진행되었다.[23][45] 이러한 경연은 '차 싸움'(doucha) 또는 '차 전쟁'(mingzhan)으로 불렸으며,[9] 황궁과 엘리트, 학자들 사이에서 와인 시음과 같은 세련된 오락 형태로 자리 잡았다.[23] 송나라 휘종 황제는 차 전쟁 애호가였으며, 차의 품질, 사용된 도구, 물의 상태가 경연의 승패를 좌우했다.[45] 차 예술의 숙련도는 송나라 남성에게 남성다움과 세련됨의 징표로 여겨졌다.[9]

송나라 시대의 그림으로, 차 경연에 참여하는 평민들을 묘사함


18세기 중국 수출 도자기 다구, 기메 미술관(Guimet Museum), 파리


20세기에는 궁푸차 스타일의 차 문화가 중국어권을 넘어 널리 퍼졌다. 작은 뚜껑 덮인 컵이나 주전자에 여러 번 우려 마시는 방식, 작은 찻잔을 사용하는 것은 19세기 푸젠성(Wuyi 산맥 지역)과 광둥성(Guandong) (차오저우 지역)과 같은 중국 남부 지방에서 발전한 지역 관습이었다.[37][38]

1970년대 타이완에서는 일본의 선차도의 영향을 받은 현대적인 궁푸차/차다오 문화가 발전했다. 이는 일본의 차 문화와 경쟁하기 위한 것이었다.[38] 이 새로운 "중국 차 예술 문화"(중화 차예 문화)는 ''차예''("차 예술")라고 불렸으며, ''차예관''("차 예술의 집")에서 실천되었다. 차예관은 전통적이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차를 마시는 데 특화된 공간으로, 이전의 "다실"과는 대조적이었다.[38]

타이완의 찻집 주인들은 "차를 마시는 행위의 순수성을 강조함으로써 잃어버린 전통을 되찾고 있다"고 주장하며,[38] 일본 다도의 미학을 차용하여 예술 형식으로 만들고자 했다.[38] 1980년대 이후, 이 "중국 차 예술"(중화 차예) 전통은 중국 본토 전역에서 새로운 국가적 관습으로 채택되었다.[38]

4. 1. 중국 다도

중국의 다도(차다오 茶道, "차의 길")는 차를 공식적으로 준비하고 제공하는 전형적인 중국 활동이다.[43] 이는 중국에서 천 년 이상 동안 큰 문화적 중요성을 지녀왔다.[43] 중국 다도는 당나라 시대에 인기를 얻어 송나라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43]

궁푸 차는 "숙련된 기술로 차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다도 방식이다. 100ml~150ml (4fl.oz.~5fl.oz.) 정도의 작은 찻주전자나 용기를 사용하며, 이 크기가 미학을 향상시키고 우려내는 차의 맛을 "둥글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인 차 우림 용기 유형으로는 이싱 자사 찻주전자, 경덕진 도자기 및 개완이 있다. 작은 찻잔은 이싱 찻주전자와 함께 사용된다. 궁푸 차는 소화를 돕기 위해 식후에 마시는 것이 가장 좋다. 이싱 찻주전자에서 차를 우려내는 것은 개인적인 즐거움을 위해서도,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서도 할 수 있다. 중국 지역에 따라 우림 단계와 사용되는 도구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만식 궁푸 차는 족집게, 향기 컵, 차 거름망을 포함한 여러 가지 추가 도구를 사용한다.[44]

다도의 기본 단계는 차 준비, 차 제공(서빙), 차 감상, 차 냄새 맡기, 음미하고 마시기, 차 맛보기 등이다.[43] 정식 다례와 차 경연 모두에서 고급 차가 필요하다.[45] 중국 다도는 "산과 강의 정수, 천지의 본질, 인간의 사랑스러운 배려"를 구현하는 고품질 차에 기반을 두고 있다.[45] 두 번째 필수 요소는 고품질 물이다. 최고 품질의 물은 대나무 통이나 항아리에 모은 빗물이나 눈물인 '티아슈이'이며, 자연 샘물이 그 다음이다.[45] 육우는 물의 품질을 20가지 다른 수준으로 설정했다.[2]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은 차의 향기를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다구이다.[45] ''다경''은 24가지 다른 차 도구와 차 준비 방법을 설명했다.[2]

차를 마시는 장소 또한 좋은 차 경험의 일부이다. 차는 안개나 시원한 바람이 있는 언덕이나 달빛 아래에서 제공될 때 특별하게 여겨진다. 류통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차를 마실 때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한다.”[2] 명나라 시대에는 언제, 어디서, 어떤 환경에서 차를 마시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이 있었다. 차를 마실 때는 편안하고 너무 바쁘지 않아야 한다. 안뜰, 다리, 숲, 연꽃이 있는 정자 등 평화로운 환경에 있어야 한다. 날씨도 좋거나, 비가 오거나, 적당한 햇볕이 있는 것이 좋다. 차는 긴장되고 시끄러운 환경이 아닌 평화롭고 조용한 환경에서 마셔야 한다. 한 번에 소수의 사람들과 함께 차를 경험해야 한다.[2] 채양이 그의 저서 ''다록''(1051)에서 언급한 것처럼, "차를 마실 때는 손님이 적을수록 좋다. 손님이 많으면 시끄러워지고 시끄러움은 행사의 우아함을 해친다. 혼자 차를 마시는 것은 평온함이고, 두 명의 손님과 함께 하면 훌륭하고, 세 명 또는 네 명과 함께 하면 흥미롭고, 다섯 명 또는 여섯 명과 함께 하면 광범위하며, 일곱 명 또는 여덟 명과 함께 하는 것은 부담이다."[3]

다도는 중국 문화를 잘 보여주는 전통이며, 일본, 한국, 영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43]

이싱 흙으로 만든 다관


궁푸차는 중국에서 인기 있는 차를 우리는 방식이다. 시각적인 즐거움을 더하고 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100ml~150ml(4fl.oz.~5fl.oz.)밖에 들어가지 않는 이싱 흙으로 만든 작은 다관을 사용한다. 이 다관을 사용하는 차 우리는 방식은 개인적으로 즐기는 것 외에도 손님을 접대할 때도 사용된다. 중국의 지역에 따라 차를 우리는 방식과 도구가 다르다. 예를 들어 타이완식 궁푸차에서는 핀셋과 같은 도구나 차 거름망을 사용하는 등 더욱 많은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우롱차를 우리는 데 적합하지만, 보이차나 발효차를 우리는 데에도 사용된다.

5. 차 문화와 예술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문인들은 정신 수양과 자기 표현을 위해 시, 서예, 그림을 창작했다.[46] 이들은 예술 작품을 만들면서 열정적인 차 애호가가 되었다. "재능 있는 차 애호가들은 차를 예술, 음악, 문학 등 다른 세련된 활동과 연관시킴으로써 차 문화의 전반적인 수준을 높였다."[9] 다경의 저자 육우 또한 뛰어난 시인이자 서예가였다. 다음은 차 예술과 문학이 막 등장하던 서기 8세기에 쓰여진 유명한 차 시의 발췌문이다.[47]

:첫 번째 잔은 목과 입술을 부드럽게 적셔주고;

:두 번째 잔은 나의 모든 고독을 몰아내네;

:세 번째 잔은 정신의 둔함을 몰아내고,

:내가 읽었던 모든 책에서 얻은 영감을 날카롭게 해주네.

:네 번째 잔은 가벼운 땀을 흘리게 하여,

:평생의 고뇌를 내 모공을 통해 흩어지게 하네.

:다섯 번째 잔은 나의 존재의 모든 원자를 정화시키네.

:여섯 번째 잔은 나를 불멸의 존재와 가깝게 해주네.

:일곱 번째 잔은 내가 마실 수 있는 최대한의 잔이네.[47]

이 시는 육우가 차를 선물로 받은 후 차의 효능을 찬양하는 감사 편지였다.[47] 이 시대에는 차를 선물하는 것이 흔한 관행이었고, 보통 답장과 고품질의 차를 주고받았다.[9] 종종 예술가들은 차 선물과 함께 시를 보냈고, 받는 사람은 답례로 차 선물과 함께 또 다른 시를 보냈다. 선물에서 '자비로운 차'(huicha|회차중국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9]

시를 쓰는 것은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고, 이 학자 집단에 속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여겨졌다. Hinsch에 따르면, "...오늘날 독자들은 당나라 시대의 시인 2,000명이 쓴 48,000편 이상의 시를 여전히 즐길 수 있다... 송나라 작가들은 차를 시적인 주제로 계속 사용했으며, 소식과 같은 이 시대의 가장 위대한 문학가들은 차에 대해 열정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글을 썼다."[9]

서예는 당나라와 송나라의 예술가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그들은 차 문화를 통합했다.[9] 이 시대의 걸작으로 여겨지는 서예 작품 중 일부는 차를 중심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식이 친구에게 차를 마시자고 초대한 편지는 베이징의 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아름다움으로 인해 예술적 보물로 여겨진다.[9]

6. 차 마시는 풍습

중국은 사람들과의 교제를 중시하는 예절의 나라이다. 차 문화는 다양한 집단, 지역, 생활 방식, 종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중국의 소수 민족들은 고유한 차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차를 통해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경의를 표하며,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또한 차 문화는 사람들의 도덕과 행동 규범에 영향을 미쳐 교육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차를 마시는 예절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 베이징에서는 주인이 손님에게 차를 가져다주면, 손님은 즉시 일어나 두 손으로 찻잔을 받으며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 남부 광동/광서 지역에서는 주인이 차를 들고 오른손 손가락을 조금 굽혀 가볍게 식탁을 세 번 두드리는 것으로 친절을 표현한다.
  • 중국 동부 지역에서는 큰 주전자에 차를 우려내어 손님에게 대접한다.
  • 일부 지역에서는 손님이 차를 더 마시고 싶을 때 찻잔에 차를 조금 남겨두면, 주인은 이를 보고 계속 차를 따라준다. 손님이 찻잔을 비우면 더 이상 차를 마시고 싶지 않다는 의사 표현으로 인식한다.


명나라 시대에는 다구와 찻잔이 상류층과 신흥 계층에게 중요한 사치품으로 여겨졌으며, 차와 관련된 예절에 관한 책이 출판되는 산업도 번성했다. 가오리안의 ''준 셩 바 지안''과 원정형의 ''장 우 지''는 명나라 시대 차 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작이다.[18] 쉬츠수 許次紓 (1597)의 ''차에 관한 논문'' (茶疏 ''차수'')은 명나라 시대에 잎차를 우리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31] 명나라 상류층은 송나라 사람들보다 차분한 방식으로 차를 즐겼으며, 시골에서 평화롭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차를 마시는 것을 선호했다.[29]

차 문화는 유교, 도교, 불교, 그리고 일반 대중의 차 문화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종교의 도덕과 행동 기준에 부합한다.[43] 도교 신자들은 차를 통해 자기 수양을, 불교 신자들은 선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으며, 유교 신자들은 차를 환대 행위로 여긴다.[43]

중국의 소수 민족들은 고유한 차 문화를 가지고 있다. 티베트인들은 음식보다 차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벽돌차를 귀한 선물로 여긴다. 손님에게는 버터차, 소금차, 일반 차를 대접한다.[45] 몽골 유목민들은 밀크티를 마시며,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것은 중요한 관습이다.

6. 1. 정의의 잔(Justice Cup)

차해(茶海)는 공도배(公道杯, Gong Dao Bei) 또는 '정의의 잔'이라고도 불리며, 차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핵심적인 도구이다. 차해는 각 잔이 어떤 재료(유리, 자기 또는 점토)로 만들어졌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48]

6. 2. 환대의 표시

중국 문화에서 손님을 환대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며,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것은 관습적인 행위로 여겨진다.[45] 손님은 차를 받아 감사의 표시로 최소 한 모금은 마셔야 한다.[45]

중국은 사람들과 교제하는 예의범절을 중시하는 나라이다. 차 문화는 사람들의 도덕과 행동 규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교육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차 마시기 전
  • 차를 따를 때는 나이, 지위, 성별, 상황에 따라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른이나 상급자에게 먼저 차를 따른다. 컵에 가득 채우지 않고 약간 부족한 듯 절반만 따르는 것이 좋다.
  • 차를 받을 때는 한 손이 아닌 두 손으로 받는 것이 기본적인 예절이다. 잔을 들 때는 완전히 들어 올리지 않고, 차를 따르는 사람과 눈을 마주치며 예의를 표한다.
  • 중국에서는 감사의 의미로 두 손가락으로 탁자를 가볍게 두 번 두드린다. 이는 상대방에게 정중한 마음을 나타내며, 예전 황제에게 차를 받을 때 감사 인사를 조용히 표현하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 손윗사람과 차를 마실 때 손윗사람이 차를 따라준다면 아랫사람은 다섯 손가락을 모아서 주먹을 쥐고 주먹을 아래로 향하게 해서 탁자를 세 번 두드리면서 감사를 표한다.
  • 차를 마실 때
  • 대화 중에는 대화의 흐름을 살펴 끊기지 않게 차를 마신다. 차는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두고 향과 맛을 음미하며 마신다. 급하게 마시거나 큰 소리를 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차를 마신 후
  • 차를 다 마셨다고 바로 잔을 두지 않고 잔을 잠시 들고 있거나 잔에 차를 조금씩 남겨놓는다.


어린이가 어른에게, 사과하는 사람이 사과받는 사람에게 차를 따른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손님에게 먼저 차를 권한다. 손님의 찻잔에 차를 따라 줄 때에는 가득 담지 않고 1/2 정도 담는다. 차를 마실 때에는 소리 내서 마시지 않는다.

중국에서 차를 마시는 예절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 베이징에서 주인이 손님 앞에 차를 가져가면 손님은 즉시 일어나 두 손으로 찻잔을 받으며 '감사합니다'라고 한다.
  • 남방의 광동/광서에서는 주인은 차를 들고 오른손의 손가락을 조금 굽힌 뒤 가볍게 식탁을 세 번 두드리는 것으로 친절을 표한다.
  • 중국의 동부일대에서는 큰 주전자에 담근 차를 즐기는데 손님이 오면 찻잎을 주전자에 넣고 거기에 더운 물을 부으며 찻잎이 우러나면 다시 찻잔에 부어 손님에게 대접한다.
  • 일부 지역에서는 손님들이 차를 더 마시고 싶을 때는 찻잔에 차를 조금 남긴다. 주인은 이것을 보고 계속 차를 부어주는 데 손님이 차를 전부 마셔버리면 차를 더 이상 마시고 싶지 않다는 의사표현으로 인식하여 더 이상 차를 주지 않는다.


중국 문화에서, 차를 내는 방법과 마시는 방법에는 몇 가지 특별한 상황이 있다.

  • 존경: 중국 사회의 전통에서, 젊은이는 차를 대접함으로써 연장자를 존경한다. 연장자를 찻집에 초대하는 것은 전통적인 계절 행사로 자리 잡았다.
  • 가족 모임: 취업이나 결혼으로 자녀가 독립하면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찻집에서 차를 마시는 것이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행사가 된다.
  • 사과: 중국 문화에서, 차는 공식적인 사과의 한 형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다른 아이에게 잘못을 했을 때, 그 부모에게 차를 대접함으로써 유감의 뜻을 표한다.
  • 결혼식에서의 감사: 중국의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 신부는 부모 앞에서 무릎을 꿇고, 차를 대접하여 부모에게 그동안 길러준 것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6. 3. 존경의 표시

중국의 전통에 따르면, 젊은 세대는 윗세대의 어른들에게 차를 대접함으로써 존경을 표해야 한다.[49] 어른들을 식사에 초대하여 차를 대접하는 것은 전통적인 명절 활동이다. 신혼부부는 연장자 가족에게 차를 올린다. 과거에는 사회 계급이 낮은 사람이 상류층에게 차를 대접했다. 오늘날, 중국 사회의 자유화가 증가하면서 이 규칙과 그 함의는 모호해졌다.

중국 문화에서, 차를 내는 방법과 마시는 방법에는 몇 가지 특별한 상황이 있다.

  • 존경: 중국 사회의 전통에서, 젊은이는 차를 대접함으로써 연장자를 존경한다. 연장자를 찻집에 초대하는 것은 전통적인 계절 행사로 자리 잡았다. 과거에는 하층 계급 사람들이 상류 계급 사람들에게 차를 대접했다. 현재는 중국 사회의 자유화로 인해 이 방법과 의미는 명확하지 않게 되었다.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상사가 부하와의 신뢰 관계를 높이기 위해 차를 대접하기도 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실상 기본적인 규칙을 따른다.

6. 4. 사과의 표시

중국 문화에서 차는 공식적인 사과의 한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잘못을 저지른 아이들은 후회와 복종의 표시로 부모에게 차를 대접할 수 있다.[29]

6. 5. 감사의 표시와 결혼 축하

중국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는 부모님과 조부모님 같은 연장자 친척들 앞에 무릎을 꿇고 차를 올린 후 감사를 표하며, 이는 감사와 존경의 표현을 나타낸다.[29] 전통에 따르면 신랑과 신부는 양가 가족에게 차를 올리는데, 이 과정은 두 가족의 결합을 상징한다.

6. 6. 차를 우리는 방법

중국 차 문화에서는 차를 우리는 기술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차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 우리는 시간이 달라지며 차 잎과 물을 넣는 순서에 따라 차의 맛과 풍미를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차는 덜 뜨거운 물로 짧게 우려내야 제 맛을 낼 수 있고, 홍차는 더 뜨거운 물로 오래 우려야 한다.[64]

홍차


다양한 중국 차를 우려내는 방법은 격식의 정도, 차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수단, 지역 문화, 개인적인 취향, 그리고 우려내는 차의 종류와 같은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녹차우롱차홍차보다 더 섬세하기 때문에 쓴맛을 피하기 위해 더 낮은 온도의 물로 우려야 한다.

차를 우려 마시는 가장 간단하고 격식을 차리지 않는 방법은 찻잎을 뜨거운 물이 담긴 그릇이나 컵에 넣는 것이다. 차를 우려내는 바로 그 컵에서 걸러내거나 찻잎을 제거하지 않고 바로 마신다. 대부분의 찻잎은 종종 그릇 바닥으로 가라앉고, 나머지는 피하거나, 먹거나, 마시거나, 밀어낼 수 있다.[40]

차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개완이라고 불리는 작은 뚜껑이 있는 컵이나 작은 도자기 찻주전자(100~150ml)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의 쿵푸차(gongfu cha) 스타일("기술로 차를 만들기")에서 사용되는 가장 흔한 종류의 차 도구 중 하나이며, 여기서는 많은 양의 찻잎을 물에 넣어 우려낸 차(예: 물 100ml당 5g)를 작은 컵에 따른다. 개완은 찻잔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중국인들은 또한 뚜껑을 사용하여 찻잎을 밀어내면서 개wan에서 직접 차를 마시기도 한다. 명나라 시대에 개완은 원래 이런 방식으로 찻잔으로 사용되었다.[41]

또 다른 방법은 서양식 차 우림과 유사하게 훨씬 더 큰 찻주전자에 찻잎을 훨씬 적게 넣어 우려내는 것이다. 서양식 차 우림은 일반적으로 더 큰 찻주전자와 더 적은 양의 찻잎을 사용한다. 대형 찻주전자 차 우림은 홍콩에서 흔하며, CTC 차, 설탕, 농축 우유로 만든 팬티 호스 밀크티(simat naaicha)라는 종류의 밀크티가 인기가 있다.[42]

차는 주전자에서 직접 끓였다. 이는 중국 당나라에서 가장 흔했던 차를 마시는 방법이다. 차를 끓이기 전에 찻잎을 부수고, 물을 끓인 후, 조미료를 넣은 다음, 차 가루를 냄비에 뿌렸다.[50] 마실 때는 뜨거운 상태에서 차 찌꺼기와 차 수프를 함께 마셨는데, 이를 "차를 먹는다"라고 불렀다. 당나라 사람들은 차 수프에 소금, 파, 생강, 귤 껍질 등과 같은 조미료를 넣는 것을 좋아했다.

송나라 시대에 사용된 이 차 마시는 방법은 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따랐다.[51] 송나라의 차 문화는 미학의 정점에 이르렀으며 궁극의 경지에 도달했다. 그들은 차 케이크를 많은 용과 봉황 무늬로 장식하여 매우 정교하게 만들었으며, 이를 "용봉 단차"라고 불렀다. 차를 마실 때는 먼저 떡차를 고운 가루로 부수고, 끓는 물을 부어 차를 우려냈다. 차 가루와 물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 찻솔로 빠르게 쳐서 차와 물을 완전히 섞어 흰색 차 거품을 많이 만들었다. 이것이 일본 말차 다도의 기원이다.

명나라에 이르러 차를 만드는 방법과 음용법이 계속해서 간소화되었다. 주원장은 잎차를 강력하게 장려했는데, 이는 차의 다양화를 이끌었고, 이전에는 녹차만 있었지만 이후 다른 종류의 차들이 서서히 나타났다.[52]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차를 우리는 방식은 어떠한 조미료 없이 차를 우려내어 차 고유의 맛, 즉 본래의 풍미를 즐기는 것으로, 차를 우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와 기술 또한 크게 간소화되어 차 문화의 보급에 더욱 기여했다.

6. 7. 손가락 두드리기

찻물을 제공한 다인(茶人)이나 차를 따르는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는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이 있다.[53] 차를 받은 사람은 찻잔이 채워지는 동안이나 채워진 후에, 차를 제공한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검지와 중지(하나 또는 두 개를 함께)로 손가락을 테이블을 가볍게 두드릴 수 있다.[53] 이 관습은 식사 중에 종종 많은 양의 차를 곁들이는 중국 남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 관습은 청나라 건륭제가 신분을 숨기고 제국 전역을 여행할 때, 수행하는 시종들에게 주인의 신분을 드러내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데서 유래했다.[54] 어느 날, 중국 남부의 한 식당에서 황제가 시종에게 직접 차를 따랐다. 시종에게 황제가 차를 따라주는 것은 엄청난 영광이었다. 습관적으로 그는 무릎을 꿇고 절을 하여 황제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면 황제의 신분이 드러나기 때문에 할 수 없었다. 대신 그는 구부린 손가락으로 테이블을 두드려 황제에게 무릎을 꿇는 것을 표현하고, 감사를 표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부러진 손가락은 절하는 시종을 상징한다.

격식을 갖춘 다례에서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중국에서는 감사의 의미로 두 손가락으로 탁자를 가볍게 두 번 두드린다. 이는 상대방에게 정중한 마음을 나타내며, 예전 황제에게 차를 받을 때 감사 인사를 조용히 표현하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손윗사람과 차를 마실 때 손윗사람이 차를 따라준다면 아랫사람은 다섯 손가락을 모아서 주먹을 쥐고 주먹을 아래로 향하게 해서 탁자를 세 번 두드리면서 감사를 표한다.

7. 차 재배 및 가공

중국 차 문화에서 차 재배 및 가공 방법은 중요한 요소이다. 명나라 시대에는 차 가공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 안후이성 송뤄산의 불교 승려들은 찻잎을 숯불을 지핀 마른 에 볶아 산화 과정을 중단시키는 방법(고정)을 발견했다. 이전에는 찻잎을 찌는 방식으로 고정했으나, 승려들은 볶은 차의 향과 맛을 선호했고 이 방법은 곧 널리 퍼졌다. 이 "송뤄 방식"은 원롱의 ''차론''(1630년경)에 묘사되어 있다.[29] "송뤄차"는 오늘날에도 전통 방식으로 만든 숯불에 구운 차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된다.

16세기에 송뤄의 승려들은 푸젠성 우이산으로 건너가 우이 차 제조자들에게 새로운 방법을 전수했다. 이후 우이의 승려들은 찻잎을 햇볕에 말리고 눌러서 살짝 찌는 과정을 통해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맛과 향이 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새로운 유형의 우이차는 우롱차(흑룡)라고 불렸으며, 그중 사대명총이 가장 유명하다.[29] 광둥성 북부에서는 이 새로운 차를 작은 냄비에 많이 넣고 작은 컵에 담아 제공했는데, 이는 차오저우에서 시작된 혁신이었다. 이 차 우리는 방식은 현대 궁푸차 방식의 조상이다.[29]

유럽인들이 광저우(캔턴)에서 중국과 교역했을 때 처음 접한 것은 바로 이 남부 지역의 산화된 우롱차였다. 유럽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면서 중국 차 제조자들은 더 많이 산화된 차를 생산하게 되었고, 이는 홍차(중국에서는 붉은 차)의 개발로 이어졌다.[29] 이 시기에는 백차황차와 같은 다른 종류의 차도 인기를 얻었다.[29]

명나라 시대에는 발효차(흑차)도 발견되었다. 차 발효는 차마고도를 통해 티베트로 차를 운반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되었다. 티베트인들은 숙성된 차에 익숙해졌고, 버터와 우유와 잘 어울리는 강한 맛 때문에 선호하게 되었다.[32] 16세기 초, 후난성 안화현의 차 제조자들은 뜨겁고 습한 방에 찻잎을 쌓아 미생물이 번식하도록 하여 발효를 재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차는 처음에는 티베트인과 북방 유목민에게 판매하기 위해 가공되었다.[32]

7. 1. 볶기 및 우리기

수세기 동안 차를 준비하는 데 사용된 주요 과정은 찻잎 찌기였다. 압착차에서 전환된 후, 무역 및 유통을 위한 차 생산은 다시 한 번 변화했다. 중국인들은 13세기 중반에 차를 다른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을 배웠다.[55] 당나라 시대에는 물을 끓여서 끓는 물을 컵에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를 흔히 준비했다. 그 후 물을 휘저어 차 가루를 소용돌이치는 물에 부었다. 마지막으로, 아까 덜어놓았던 물을 다시 부어 차가 너무 끓는 것을 방지했다.[55]
차 볶기

7. 2. 발효

차를 자른 후, 이른바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은 실제로는 발효가 아닌데, 발효는 혐기성 소화 과정이며, 대신 찻잎 속의 폴리페놀의 효소적 산화 환원 반응으로, 테아플라빈과 테아루비긴이 생성된다.[56] 찻잎이 건조되면 발효가 중단되어 건조 속도를 조절하거나 건조 후 물을 첨가하여 공정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다.

8. 중국 문화에 미친 영향

차는 중국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전통 문화는 중국 차와 깊은 관련이 있다. 차는 문학, 예술, 철학과 관련되며, 도교, 불교, 유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당나라 시대부터 차를 마시는 것은 자기 수양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중국 선 철학은 일본 선과 유사하게 차를 마시는 것과 관련이 있다.[43][60][61]

8. 1. 다구

다양한 다구는 차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를 바꿀 수 있다.[58] 우선, 다양한 다구는 사람들이 차를 마실 때 느끼는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장식적인 찻잔 세트로 차를 마시면 사람들의 기분이 좋아지지만, 다구가 그다지 장식적이지 않으면 차를 마시는 즐거움이 줄어든다. 둘째, 다구의 시각적 효과는 차의 쓴맛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58] 다구가 좋을수록 사람들은 차가 더 쓰다고 생각하고, 차가 더 쓸수록 차가 더 좋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다구는 가격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때 차의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친다. 차를 마시는 행위는 개인의 도덕성, 교육, 사회적 원칙, 지위를 표현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다구의 가격은 재료와 품질에 따라 다르다. 옥으로 된 다구 세트는 수십만 달러에 이를 수 있는 반면, 품질이 낮은 다구 세트는 100USD 미만일 수 있다. 차를 마시는 것에 대한 열정이 높아지면서 다구의 생산이 증가했다.

8. 2. 찻집

고대 중국 학자들은 찻집을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장소로 사용했다.[59] 찻집은 정치적 충성과 사회적 지위가 정직하고 합리적인 담론을 위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곳이라고 여겨졌다. 찻집은 차 애호가들의 낙원이자 사람들이 휴식, 여가, 사교를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했다. 찻집은 사회의 축소판 또는 창이며, 중국 찻집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당나라 현종 시대에 이미 존재했지만, 당시에는 "다점(茶店)"이라고 불렸다. 차를 여유롭게 마시는 것은 참석자들 사이의 친목과 교양을 증진시켰다. 찻집은 중국 차 문화의 부수적인 산물일 뿐만 아니라, 중국 차 역사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제공한다. 오늘날에도 사람들은 베이징시라오서 찻집과 항저우시, 쑤저우시, 양저우시, 난징시, 우시시, 샤오싱시, 상하이시화둥 지역 도시에서 인문학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찻집의 분위기는 여전히 역동적이고 활기차다.

8. 3. 정신성과 종교

중국의 차 문화는 사회, 문화뿐 아니라 정신성과 종교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차 문화와 중국 종교의 상호작용은 여러 중국 종교 관습과 세계관에 영향을 줄 정도로 심오하다. 현대 중국 기사에서는 "차를 마시는 과정은 정신적 즐거움, 예술, 도덕적 인격을 함양하고 마음을 함양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한다.[43] 현대 중국 차 의식은 일부 현대 실천가들에게 그들의 세계관에 따라 정신적 요소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차 문화는 조화, 예의, 평화, 행복, 단순함, 신체적 수양과 같은 가치와 연관될 수 있다.

차는 불교 수도원 생활, 특히 선불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차를 준비하고 마시는 것은 불교 승려들이 오랜 시간 명상하는 동안 깨어 있고 집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60] 차를 마시는 단순함과 자연스러움은 단순함과 마음 챙김이라는 불교적 가치와 공명했으며, 차를 마시는 것은 종종 종교적, 철학적 토론의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불교 수도원은 차 재배와 생산의 중심지가 되었다. 수도원과 신도들 간의 차 교환은 공동체 의식과 상호 지원을 촉진하고 수도원이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했다. 차는 또한 부처에게 의례적인 공물로 사용되며, 종종 불교 제단에 놓인다.[61]

유교 사상에서 차를 마시는 것은 사회적 의례와 사회적 조화의 함양과 연관되었다. 차 의식은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예의(리)와 존경이라는 유교적 이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가족을 위해 차를 준비하고 제공하는 행위는 존경, 및 겸손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함양하는 자기 수양의 수단으로 여겨진다. 또한 유교 학자들은 차 모임을 유교 철학을 논의하는 방식으로 자주 사용했다.

도교는 차가 기(호흡 에너지, 생명 에너지)의 배양과 균형에 도움이 된다고 믿기 때문에 차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음료로 여긴다. 차의 에너지 또는 정신(차기)는 몸과 마음을 조화시키고 건강과 장수를 증진하며 정신적 깨달음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60] 도교 수행에서 차를 준비하고 섭취하는 것은 중국 연금술의 일부로 간주될 수도 있다.

8. 4. 현대 문화

현대 중국에서는 흙으로 만든 간소한 가옥에 살더라도, 사실상 거의 모든 가정에 따뜻한 차를 내기 위한 다구 세트가 있다. 이것들은 손님이나 이웃을 환영하는 상징이 된다. 전통적으로 중국 가정을 방문하면 자리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며 차를 마신다. 방문 중에 서 있는 것은 실례가 된다.[1] 전통에서는 다례에서 행주를 접는 것은 나쁜 기(氣)를 쫓아내는 것을 의미한다.[1]

차는 장작, , 기름, 소금, 간장, 식초와 함께 일상생활의 일곱 가지 필수품 중 하나로 여겨졌다.[1] 차의 종류는 녹차, 우롱차, 홍차(루이보스차), 백차, 황차, 보이차, 꽃차 등 다양하다.[1] 전통적으로 신선한 차잎은 깊은 사발 안에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차잎은 건조되어 향기가 오래 지속되고, 바로 차를 우려낼 수 있게 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A Cultural History Of Tea In China https://theculturetr[...] 2022-12-03
[2] 서적 Chinese Tea Cambridge
[3] 간행물 Tea for Tourists: Cultural, Representation, and Borrowing in the Tea Culture of The Mainland China and Taiwan https://www.research[...] 2018-12
[4] 간행물 Between Classical and Popular: The Book of Tea and the Popularization of Tea-Drinking Culture in the Tang China 2011
[5]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6] Youtube The History of Tea in China 2016 – Lu Yu and His Tea Classic – Associazione Italiana Cultura del Tè https://www.youtube.[...] 2024-06-03
[7] 서적 The Little Tea Book The Baker & Taylor Company, New York
[8] 서적 Tea in China: A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y Hong Kong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Rise of TEA Culture in China: The Invention of the Individual Cambridge
[10] 간행물 Earliest tea as evidence for one branch of the Silk Road across the Tibetan Plateau 2016-01-07
[11] 웹사이트 Teahouses and the Tea Art: A Study on the Current Trend of Tea Culture in China and the Changes in Tea Drinking Tradition https://www.duo.uio.[...] 2015
[12]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13] 간행물 Tea and China's rise: tea, nationalism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2015-12-01
[14] 간행물 Chinese tea culture https://www.proquest[...] 1993-Fall
[15] 서적 Shipwrecked: Tang Treasures from the Java Sea https://asia.si.edu/[...] 2020-08-31
[16]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17] 웹사이트 Tea in Korea http://anthony.sogan[...] 2024-06-07
[18] 서적 Tea of the Sages: The Art of Sench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 서적 The Rise of Tea Culture in China:The Invention of the Individua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11-12
[20] 웹사이트 The "Ancient Tea and Horse Caravan Road," the "Silk Road" of Southwest China http://www.silkroadf[...] 2022-05-27
[21] 웹사이트 Song Dynasty Tea Culture {{!}} Encyclopedia of Tea History https://www.chunshui[...] 2024-06-11
[22] 웹사이트 Ceremonial tea http://anthony.sogan[...] 2024-06-07
[23]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24]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ea Drinking in the Ming Dynasty {{!}} Encyclopedia of Tea History https://www.chunshui[...] 2024-06-11
[25]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Chinese Tea Ceremony -Ming Dynasty https://www.umitease[...] 2024-06-11
[26] 서적 Tea of the Sages: The Art of Sench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7]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8] 웹사이트 tea from the pot http://anthony.sogan[...] 2024-06-07
[29]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30] 서적 Ming: 50 years that changed China British Museum Press
[31] Youtube "Boiled, Whisked, Steeped: Tea in Ming Dynasty", The History of Tea in China 2016 (4), Associazione Italiana Cultura del Tè https://www.youtube.[...] 2024-06-03
[32]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33]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 Homepage https://www.national[...] 2022-12-01
[34] 웹사이트 Opium War {{!}} National Army Museum https://www.nam.ac.u[...] 2022-12-01
[35] 간행물 Chai as a Colonial Creation: The British Empire's Cultivation of Tea as a Popular Taste and Habit Among South Asians https://scholarsbank[...] 2023-03-13
[36] 웹사이트 Taiwan in Time: Taiwan's Darjeeling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2-06-12
[37] 서적 南強,烏龍茶 中國輕工業出版社
[38] 간행물 A Foreign Infusion: The Forgotten Legacy of Japanese Chadō on Modern Chinese Tea Arts https://www.sommerie[...] 2016
[39] 웹사이트 China Tea Museum http://www.teamuseum[...] 2022-05-03
[40] 웹사이트 Brewing Better Tea https://imbibemagazi[...] 2024-06-10
[41] 서적 The Story of Tea: A Cultural History and Drinking Guide Clarkson Potter/Ten Speed 2011-03-23
[42]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2009
[43] 학술지 Tea and tea drinking: China's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mankind 2022-02-22
[44] 웹사이트 Gongfu cha http://en.capiaccti.[...] 2021-08-11
[45] 학술지 Chinese Tea Culture https://onlinelibrar[...] 1993
[46] 웹사이트 literati {{!}} Chinese and Japanese scholar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07
[47] 웹사이트 Tea in Ancient China & Japan https://www.worldhis[...] 2022-04-28
[48] 웹사이트 Chahai Tea Pitcher: The "Justice Cup" of Chinese Tea Culture https://teajewel.com[...] 2023-11-08
[49] 웹사이트 The Cultural Heritage of China :: Food & Drink :: Tea :: Tea Cultures https://www.ibiblio.[...] 2021-08-09
[50] 웹사이트 Chinese Tea Ceremony: Boiling Tea https://pathofcha.co[...] 2020-01-13
[51] 웹사이트 Decoding Tea Culture in the Song Dynasty {{!}} Hello Tea Cup https://helloteacup.[...] 2020-01-07
[52]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Chinese Tea Ceremony -Ming Dynasty https://www.umitease[...] 2021-07-30
[53] 웹사이트 The Origin of Finger Tapping – Chinese Tea History http://chinesefood.a[...] About.com 2013-05-01
[54] 웹사이트 The yum cha rules you need to know https://www.bbc.com/[...] 2021-08-09
[55] 서적 The classic of tea Little, Brown 1974
[56] 학술지 Changes in theaflavin composition and astringency during black tea fermentation
[57] 서적 Tea: A Global History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58] 학술지 Influence of teaware on subjective ratings of, and taste expectations concerning, tea https://www.scienced[...] 2020-03-01
[59] 학술지 Modern Chinese History as Reflected in a Teahouse Mirror https://online.ucpre[...] 2017-02-01
[60] 서적 Tea of the Sages: The Art of Sench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61] 서적 Tea of the Sages: The Art of Sench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62] 웹사이트 The Origin of Finger Tapping - Chinese Tea History http://chinesefood.a[...] About.com 2013-05-01
[63] 논문 중국 차문화의 발전과 사회적 영향 연구 2022-08-26
[64] 뉴스 "[조헌심의 중국차] 중국차를 마시는 세 가지 방법" https://www.worldkor[...] 월드코리안뉴스 2018-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