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을 포함한다. 로마 시대의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리울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도시에서, 베네치아 줄리아는 율리우스 알프스 산맥에서 이름을 따왔다. 역사는 로마 시대부터 시작하여, 롬바르드족,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제국, 이탈리아 왕국 등을 거치며 복잡하게 얽혀 있다. 지리적으로는 산악, 구릉, 평원, 해안 지역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어, 슬로베니아어, 독일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경제는 중소기업, 농업,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음식 문화는 중앙 유럽과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으며, 프로슈토, 몬타지오 치즈, 와인 등이 유명하다. 주요 관광지로는 아퀼레이아의 고고 유적,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 두이노 성 등이 있으며, 우디네세 칼초와 같은 프로 축구 클럽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의 기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의 문장
문장
모토없음
국가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찬가
유형특별 자치주
국가이탈리아
명칭 유래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수도트리에스테
행정
정부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 의회
지도 정당레가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레가
주지사마시밀리아노 페드리
통계
면적7,924 km²
인구1,216,524 명 (2017년 8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인 (남성)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인 (여성)
줄리아인 (남성)
줄리아인 (여성)
GDP (2021년)391억 1500만 유로
HDI (2022년)0.910 (매우 높음, 이탈리아 21개 주 중 7위)
NUTS 지역ITD
시간대
시간대CET (+1)
서머 타임CEST (+2)
식별 코드
ISO 3166 코드IT-36
기타
웹사이트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프리울리'''는 라틴어 용어 Forum Juliila ('율리우스의 포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로마 시대의 상업 중심지였으며 오늘날에는 치비달레시에 해당한다.[10] ''베네치아 줄리아''('율리아 베네치아', 베네치아시는 언급하지 않고 로마 속주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를 지칭)라는 명칭은 이 지역의 이탈리아 문화적 정신을 나타내기 위해 이탈리아 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이사야 아스콜리가 제안했다.[10]

표준 이탈리아어 외에, 이 지역에서 화자가 많은 여러 언어로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 Friaul-Julisch Venetiende
  • Friaul-Julisch Venezienbar
  • Furlanija–Julijska krajinasl
  • Friûl–Vignesie Juliefur
  • 베네토어: Friul–Venèxia Jułiavec


주 이름은 이 주에 포함된 두 지방 이름,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를 결합한 것이다. 명칭에 "베네치아"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로마 제국 시대의 지방 구분 "웨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Regio X Venetia et Histriait)에서 유래한 것으로, 베네치아시는 이 주가 아닌 서쪽 인접한 베네토주에 위치한다.

또한,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는 모두 고대 로마 시대에 이 지방을 지배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과 관련이 있는 지명이다. "프리울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건설한 도시 Forum Iuliila("율리우스의 포룸 (광장)"을 의미, 현재의 치비달레)에서 유래한다. 또한 "줄리아"는 줄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유래하지만, 그 산맥의 이름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서 유래한다.

종종 "Friuli V.G." 혹은 "FVG"로 약칭된다.

3. 역사

아퀼레이아의 로마 유적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대공(후에 멕시코 황제)가 트리에스테에 세운 미라마레 성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지역은 고대부터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았다. 로마 시대에는 레지오 X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에 속했으며, 아퀼레이아는 이 지역의 중심 도시였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50년에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를 건설했고,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27년에 이 지역을 이탈리아 본토에 편입시켰다.

6세기에는 롬바르드족이 프리울리 공작령을 세웠고, 알프스 슬라브족이 동부 지역에 정착하면서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의 역사는 분리되기 시작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거치며 복잡한 역사를 이어갔다.

1420년 프리울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트리에스테와 고리치아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에 편입되었다.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가 끝나고 프리울리는 오스트리아로 넘어갔으나, 나폴레옹 시대에 잠시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815년 빈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의 지배가 확립되었고, 트리에스테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주요 항구로 발전했다. 1866년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프리울리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지만, 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 하에 남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 지역은 격전지였으며, 전쟁 후 1920년 라팔로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병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문제가 발생했으나, 1954년 런던 각서를 통해 트리에스테가 이탈리아에 귀속되면서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1976년 프리울리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2001년 이탈리아 헌법 개정으로 지역 명칭에서 하이픈이 삭제되었다.

3. 1. 고대 ~ 중세



로마 시대에 오늘날의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로마 이탈리아의 레지오 X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지역 곳곳에서 로마 기원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기원전 181년에 세워진 아퀼레이아는 이 지역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두각을 나타냈다.[11]

기원전 50년, 갈리아 전쟁을 마치고 로마 내전 중이던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키살피나에 Forum Iulii|포룸 율리la (현재의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를 건설하였다.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는 행정 구역을 재편하여 이 지역을 이탈리아 본토에 편입시키고, 제10행정구역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의 일부로 했다. 제정 시대아퀼레이아에는 한때 제국의 수도 기능이 놓였다.

6세기에 롬바르드족이 정착한 후,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의 역사적 경로는 갈라지기 시작했다. 568년,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로마의 ''포룸 율리이''(Friuli라는 이름의 어원))는 이탈리아에서 최초의 롬바르드 공작령의 수도가 되었다. 같은 6세기에, 현재의 슬로베니아인의 조상인 알프스 슬라브족이 이 지역의 동부 지역에 정착했다. 그들은 프리울리 슬라비아로 알려진 프리울리의 가장 동쪽의 산악 지역뿐만 아니라 카르스트 고원과 고리치아 북쪽과 남쪽 지역에 정착했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트리에스테로 더 가까이 이동하기도 했다.

774년 샤를마뉴는 롬바르드 이탈리아를 정복하여 프랑크 왕국(800년부터 프랑크 제국)에 흡수했고, 롬바르드 프리울리 공작은 프랑크족으로 대체되었다. 787년 샤를마뉴는 아퀼레이아에 새로운 총대주교를 설립했다. 공작령은 828년에 해산되어 작은 자치주로 분할되었다. 843년 제국은 베르됭 조약에 따라 분할되어 프리울리는 중 프랑크 왕국(후에 이탈리아 왕국)과 동 프랑크 왕국(후에 독일 왕국)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었고, 846년에는 이전 공작령이 프리울리 변경백령으로 재건되었다. 961년 독일의 오토 1세는 이탈리아 왕국을 장악하고 신성 로마 제국을 세웠다. 1077년, 신성 로마 황제는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의 영토 권한을 인정했으며, 일시적으로 동쪽 지역으로 그 통치 범위를 확장했다. 그러나 12세기에는 고리치아 백국이 독립하게 되었다. 트리에스테는 제국 자유 도시 트리에스테로 발전했다.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 사이의 해안 지역은 카르니올라 변경백령(1364년부터 카르니올라 공작령)에 의해 통치되었다.

3. 2. 근대 ~ 현대

6세기에 롬바르드족이 정착한 후,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의 역사적 경로는 갈라지기 시작했다. 568년,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로마의 ''포룸 율리이''(Friuli라는 이름의 어원))는 이탈리아에서 최초의 롬바르드 공작령의 수도가 되었다. 같은 시기, 현재의 슬로베니아인의 조상인 알프스 슬라브족이 이 지역의 동부 지역에 정착했다. 그들은 프리울리 슬라비아로 알려진 프리울리의 가장 동쪽의 산악 지역뿐만 아니라 카르스트 고원과 고리치아 북쪽과 남쪽 지역에 정착했으며, 12세기와 13세기에는 트리에스테로 더 가까이 이동하기도 했다.[11]

774년 샤를마뉴는 롬바르드 이탈리아를 정복하여 프랑크 왕국(800년부터 프랑크 제국)에 흡수했고, 롬바르드 프리울리 공작은 프랑크족으로 대체되었다. 787년 샤를마뉴는 아퀼레이아에 새로운 총대주교를 설립했다. 공작령은 828년에 해산되어 작은 자치주로 분할되었다. 843년 제국은 베르됭 조약에 따라 분할되어 프리울리는 중 프랑크 왕국(후에 이탈리아 왕국)과 동 프랑크 왕국(후에 독일 왕국)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었고, 846년에는 이전 공작령이 프리울리 변경백령으로 재건되었다. 961년 독일의 오토 1세는 이탈리아 왕국을 장악하고 신성 로마 제국을 세웠다. 1077년, 신성 로마 황제는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의 영토 권한을 인정했으며, 일시적으로 동쪽 지역으로 그 통치 범위를 확장했다. 그러나 12세기에는 고리치아 백국이 독립하게 되었다. 트리에스테는 제국 자유 도시 트리에스테로 발전했다.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 사이의 해안 지역은 카르니올라 변경백령(1364년부터 카르니올라 공작령)에 의해 통치되었다.[11]

프리울리는 1420년에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가 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에 남아 있던 트리에스테와 고리치아는 각각 1382년과 1500년에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 지배하에 놓였다. 베네치아의 요새 그라디스카 디손초는 1511년에 제국에 의해 탈환되어 고리치아에 편입되었지만 남쪽의 몬팔코네는 효과적인 베네치아의 월경지로 남았다. 포르데노네는 1515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베네치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라디스카는 1647년에 고리치아에서 분리되었지만 1754년에 재결합하여 고리치아 및 그라디스카 공작령을 형성했다.[11]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의 지배는 종식되었고, 프리울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으로 양도되었다(1804년부터 공식적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 그러나 오스트리아는 1805년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에 따라 나폴레옹 이탈리아 왕국에 이를 양도해야 했다. 이 조약과 함께 이손초 서쪽에 있는 고리치아 및 그라디스카 백국의 일부도 함께 양도되었다(경계는 1807년 퐁텐블로 조약에서 공식화되었다). 트리에스테와 고리치아는 1809년 쇤브룬 조약에 따라 나폴레옹의 일리리아 속주에도 양도되었다.[11]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빈 회의에서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로 반환되었다. 프리울리는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 포함되었고,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는 일리리아 왕국(모두 오스트리아 제국의 왕실 영지)에 할당되었으며, 경계는 대략 이전의 제국-베네치아 국경을 따랐다. 1849년 일리리아는 폐지되었고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는 모두 오스트리아 연안 왕실 영지가 되었고, 이스트라와 크바르너 만의 여러 섬도 포함되었다.[11]

18세기와 19세기에 오스트리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수립한 계몽된 정부와 정책에 따라 트리에스테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주요 항구로서 놀라운 경제 발전을 이루며 번성했다.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프리울리를 포함한 롬바르디아-베네치아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지만, 연안 지역은 오스트리아의 손에 남게 되었다.[11]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이 건국되었고, 1866년에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연동하여 벌어진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결과로 베네토 일대가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민족 통일주의(이탈리아 통합주의) 입장에서 이탈리아 귀속이 주장된 "베네치아 줄리아"(이손초 강 유역, 트리에스테, 이스트라 반도 일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 하에 남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는 베네치아 줄리아의 "회수"를 위해 이손초 강 유역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소모전을 벌였고(이손초 전투), 트리에스테를 점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네치아 줄리아는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지역은 군사 작전의 주요 무대가 되었고 심각한 피해와 인명 손실을 입었다. 전쟁 후, 이전 연안 지역은 1920년 라팔로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병합되었지만, 베네치아 줄리아의 국경은 국제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트리에스테의 앵글로-아메리카 행정부가 설립되었고, 1954년 런던 각서에서 국경이 확정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트리에스테가 이탈리아로 재할당된 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자치주가 마침내 설립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슬로베니아계 주민들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베네치아 줄리아"(유리이스카 크라이나)에서 활동하며 많은 지역을 점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요 항구인 트리에스테와 다민족이 거주하는 "베네치아 줄리아"의 영유권 문제는 국제적인 현안이 되었다. 1947년 파리 조약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해당 점령 지역의 대부분을 영토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트리에스테 주변은 국제 연합 관할 하의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로 영토 문제가 보류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1975년 오지모 조약으로 해결되었다.[11]

1976년5월 6일, 주내를 진원으로 하는 프리울리 지진이 발생했다. 다수의 사망자와 건물 붕괴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32]

이 지역의 이름은 2001년까지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하이픈 사용)였지만, 이탈리아 헌법 제116조의 수정에 따라 공식 철자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하이픈 없음)가 채택되었다.[12][13][14] "베네치아 줄리아"라는 용어는 그라치아디오 이사야 아스콜리가 만들었다.

4. 지리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는 이탈리아 북동쪽 끝에 있는 레지오네이다. 면적은 7,858km2로 이탈리아에서 다섯 번째로 작다. 북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동쪽으로는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아드리아해, 서쪽으로는 베네토 레지오네와 접한다.

이 레지오네는 남쪽의 온화한 해양성 기후에서 북쪽의 고산 대륙성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와 풍경을 보인다. 전체 면적의 42.5%는 산악 지형이고, 19.3%는 구릉지이며, 나머지 38.2%는 평원과 해안 평원으로 구성된다.

형태학적으로 이 레지오네는 4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 산악 지역: 카르니아와 알프스의 끝 부분(카르니체 알프스와 줄리안 알프스)을 포함하며, 최고봉은 해발 2,700m를 넘는다(조프 디 몬타시오 2,754m). 광대한 소나무 숲과 목초지, 산악 호수(사우리, 푸시네, 바르치스)와 산에서 내려오는 수많은 개울과 작은 강이 특징이다. 겨울철 관광지로도 유명하다(몬테 존콜란, 타르비시오, 셀라 네베아, 포르니 디 소프라, 피안카발로).
  • 구릉 지역: 산의 남쪽에 위치하며 이탈리아-슬로베니아 국경의 중앙 부분을 따라 위치한다. 와인 생산이 주요 산업이며, 특히 화이트 와인의 품질은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구릉 지역의 가장 동쪽 부분은 프리울리아 슬라비아라고도 불린다.
  • 중앙 평원: 척박하고 건조하며 투과성이 높은 토양으로 특징지어진다. 광범위한 관개 시스템과 현대적인 집약 농업 기술을 통해 비옥하게 만들어졌다.
  • 해안 지역: 소차 강의 하구를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으로 나뉜다.
  • 서쪽 해안: 얕고 모래사장으로, 수많은 관광 리조트와 그라도와 마라노 라구나레의 석호가 있다.
  • 동쪽 해안: 절벽으로 솟아 있으며, 카르스트 고원이 아드리아해와 만나는 곳으로, 슬로베니아 국경의 트리에스테와 무지아까지 이어진다. 카르소는 함몰지, 동굴 네트워크, 지하 강과 같은 지질학적 특징을 가진다.


카르니아 고원의 모습


그라도 석호


이 지역의 강들은 북쪽과 슬로베니아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든다. 주요 강은 타글리아멘토 강과 이손초 강(슬로베니아어: Soča)이다. 티마보 강은 슬로베니아에서 38km를 흘러 두이노 북서쪽에서 다시 나타나는 지하 강이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레지오네는 온대 기후를 보이지만, 지형의 다양성으로 인해 지역에 따라 기후가 상당히 다르다. 알프스가 있어 동쪽과 서쪽에서 오는 기단에 노출되어 있으며, 아드리아해에서 남쪽의 시로코 바람을 받아 많은 강우량을 보인다. 해안을 따라 기후는 온화하고 쾌적하다.

트리에스테는 겨울과 여름 사이, 낮과 밤 사이의 온도 차이가 가장 적다. 산악 지역에서는 고산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추운 겨울 기온을 기록하기도 한다. 크라스 고원은 자체적인 날씨와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북동쪽에서 오는 찬 공기 덩어리의 영향을 받는 보라 바람이 특징이다.

5. 행정 구역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의 현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는 이전에 4개의 로 나뉘어 있었다. 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가 그것이다. 이 도들은 2017년 9월 30일에 폐지되었으며, 처음 3개는 즉시 활동을 중단했고,[22] 우디네 도는 2018년 4월 22일까지 활동을 유지했다.[23] 2019년에 이들은 2020년 7월 1일부터 "지역 분권형 기구"(Enti di decentramento regionale|지역 분권형 기구it)로 모두 재활성화되었다.[24]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에서 2017년과 2018년에 도가 폐지될 것을 예상하여, 지방 의회는 18개의 지방 자치 단체 연합(Unioni territoriali intercomunali|지방 자치 단체 연합it) 시스템을 만들었다.[25] UTI는 이전에 지방 자치 단체가 관리하던 지역 서비스를 점차적으로 맡았으며, 각 UTI가 관리하는 더 넓은 지역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이전에 도에서 관리하던 일부 책임을 떠맡았다. UTI가 "광역 지역 개발 정책"을 처리하는 방식은 지방 의회가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 18개의 UTI로 나뉜 215개의 comune|코무네it에 대해 더 집중적인 계획 및 예산을 수립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26] 그러나 UTI의 활동은 이전 도의 재활성화 이후 중단되었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와 각 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의 Unione Territoriale Intercomunale (UTI)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는 다음 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의 행정 제도 개편에 따라 2017년에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현은 폐지되었지만, 선거구, 통계 단위 등의 지리적 명칭으로는 남아 있다.

||표기현도면적인구
030UD우디네현Provincia di Udine|우디네it우디네4905km2534,944
031GO고리치아현Provincia di Gorizia|고리치아it고리치아466km2139,914
032TS트리에스테현Provincia di Trieste|트리에스테it트리에스테212km2232,311
093PN포르데노네현Provincia di Pordenone|포르데노네it포르데노네2178km2310,611



주의 관할 아래에는 주 법률에 의해 규정된 Unione Territoriale Intercomunale (UTI)가 18개 있다. UTI는 코무네 연합 (unioni dei comuni)에 해당하며, "지방 자치 단체"로 지정되지 않았다.

UTI사무소 소재지면적인구
aUTI Giuliana트리에스테TS212.5km2232,601
bUTI Carso Isonzo Adriatico몬팔코네GO264.8km272,499
cUTI Collio - Alto Isonzo고리치아GO202.3km267,644
dUTI del Canal del Ferro - Val Canale타르비시오UD885km211,164
eUTI del Gemonese제모나 델 프리울리UD235.3km219,893
fUTI della Carnia토르메초UD1286km239,882
gUTI del Friuli Centrale우디네UD274.1km2170,123
hUTI del Torre타르첸토UD326.4km236,651
iUTI Medio Friuli코드로이포UD419.6km251,812
jUTI Collinare산 다니엘레 델 프리울리UD349.8km251,241
kUTI del Natisone치비달레 델 프리울리UD456.5km252,112
lUTI Riviera - Bassa Friulana라티차나UD438.4km256,332
mUTI Agro Aquileiese체르비냐노 델 프리울리UD298.7km255,148
nUTI del Tagliamento산 비토 알 탈리아멘토PN334.3km257,278
oUTI delle Valli e delle Dolomiti Friulane마니아고PN1148.1km237,086
pUTI Livenza - Cansiglio - Cavallo사칠레PN304km250,408
qUTI Sile e Meduna아차노 데치모PN205.3km251,993
rUTI del Noncello포르데노네PN283.6km2114,046


6. 인구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의 인구 밀도는 전국 평균보다 낮다. 1978년에는 총 1,224,611명의 인구가 있었고,[21] 2008년에는 1km2당 157.5명의 인구가 있었다(이탈리아 전체 198.8명). 그러나 밀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데, 우디네도에서는 1km2당 106명, 트리에스테도에서는 1km2당 1,144명이다.

이 지역의 인구 자연 감소는 긍정적인 순 이동으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어느 정도 이주 흑자는 1975년 이후 인구 감소 추세를 상쇄했다. 2008년, 이 지역에 등록된 외국 국적 거주 인구는 83,306명(총 인구의 6.7%)이었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 인구 변화
연도인구
1871508,000
1881530,000
1901615,000
1911728,000
19211,178,000
19311,176,000
19361,108,000
19511,227,674
19611,205,821
19711,214,946
19811,235,363
19911,199,039
20011,185,123
20111,220,291
20211,194,647



이탈리아의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도 참조

7. 경제

이 지역의 국내총생산(GDP)은 2018년 380억유로로, 이탈리아 경제 생산량의 2.2%를 차지했다. 구매력 평가를 기준으로 한 1인당 GDP는 31200EUR로, 같은 해 EU27 평균의 103%였다. 종업원당 GDP는 EU 평균의 106%였다.[15]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의 경제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경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 핵심은 중소기업(소위 "북동부 모델"), 전문화된 농업, 높은 품질의 관광에 있으며, 수출 지향적이다.[16]

농업과 농업은 이 지역 경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2001년경 95,000명이 고용되었다. 그 제품은 국내 및 유럽뿐만 아니라, 과일 및 채소, 치즈와 같이 그 품질이 널리 알려져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다 (건조 햄 및 와인, 특히 화이트 와인). 또한 카르니아 지역의 콩 생산 (2000년 37000ha 이상 재배, 이탈리아 3위 생산량)과 목재 생산도 주목할 만하다.[16]

이 지역의 경제는 광범위한 중소기업의 모자이크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다수의 고도로 전문화된 기업이 집중되어 있는 4개의 산업 지구이다. 이 지구들은 만차노, 산 다니엘레 델 프리울리(건조 햄), 마니아고(칼), 브루네라(가구) 마을을 중심으로 한다. 또한 산업 및 서비스 부문 모두에서 여러 대기업이 지역에 존재한다. 이 회사 중 일부는 해당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이다. 세계 최대 크루즈 선박 건조를 위한 핀칸티에리(트리에스테에 본사를 두고, 몬팔코네에 조선소를 둠), 전기 제품 생산의 자누시-일렉트로룩스(포르데노네), 다니엘리, 유로테크, 일리, 리차니 데 에케르, 솔라리 디 우디네, TBS 그룹, 방카 제네랄리, 제네르텔리페, 이탈리아 마리티마, 텔리트, 바르질라, 알리안츠 이탈리아 및 세계적인 보험 회사인 아시쿠라치오니 제네랄리(트리에스테) 등이 있다.[16]

트리에스테 항구


서비스 부문에서 트리에스테시는 선도적인 역할을 한다 (다른 지방 수도에 연쇄 효과를 미침). 지역 정부, 대형 은행 및 보험 회사의 활동이 여기에 집중되어 있다. 2020년 실업률은 5.7%였다.[17] 트리에스테는 상업 자유항을 통해 무역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별 관세 규정은 사업자에게 독점적인 금융 조건을 보장한다. 트리에스테 항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커피 무역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이며, 북부 및 동유럽과의 무역에서 전략적인 핵심 역할을 한다.[16]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규모는 작지만, 항상 '유럽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이탈리아(및 지중해)와 중부 및 동유럽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유럽 연합의 확대로 인해, 물류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은 더욱 전략적으로 중요해질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품질과 다양성 면에서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이 지역의 인프라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고속도로 네트워크는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으로 200km 이상 뻗어 있으며,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를 연결한다.[16]

철도 네트워크는 약 500km의 선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네치아-트리에스테와 트리에스테-우디네-타르비시오-오스트리아를 잇는 두 개의 쌍선 '간선'이 있다. 고속도로와 철도 네트워크는 지중해 최북단의 세 항구인 트리에스테, 몬팔코네, 포르토 노가로 항구와 연결된다. 특히 트리에스테는 1719년부터 화물을 위한 자유항을 운영해 왔다. 2000000m2가 넘는 면적과 70km의 철로를 갖춘,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덮개형 창고를 보유하고 있다. 1988년부터 운영되어 온 체르비냐노 델 프릴리 터미널은 이탈리아와 동유럽 국가 간의 증가하는 상업 교통량을 처리하며, 상호 운송성을 보장한다.[16]

론키 데이 레지오나리 지역 공항은 트리에스테에서 30km, 우디네에서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고속도로 및 철도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공항은 동유럽을 포함한 국내 및 국제선 정기 항공편을 제공한다. 이 지역은 현재 리옹, 토리노, 베네치아, 트리에스테, 류블랴나, 부다페스트, 키예프를 연결하여 새로운 EU 파트너와의 상품 및 서비스 교통을 개선하기 위한 고속 유럽 교통 회랑 n° V 건설에 미래 경제 개발의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16]

8. 문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는 다양한 문화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 지역의 공식 언어는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어, 슬로베니아어, 독일어이다.[9]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의 공식 국어이다. 프리울리어는 지역 대부분에서 사용되지만, 트리에스테몬팔코네, 그라도 주변 지역에서는 베네토어와 트리에스테 방언의 변종이 사용된다.

베네토어는 포르데노네 현 서부 지역과 포르데노네에서도 사용되는데, 이는 베네토주와의 근접성 때문이다. 프리울리어베네토어는 시골에서 더 흔하며, 표준 이탈리아어는 우디네, 포르데노네, 고리치아 등의 대도시에서 주된 언어이다. 이 지역에는 이탈리아의 슬로베니아어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표준 이탈리아어 외에, 이 지역에서 화자가 많은 여러 언어로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 Friaul-Julisch Venetien|프리아울 율리슈 베네티엔de
  • Friaul-Julisch Venezien|프리아울 율리슈 베네치엔bar
  • Furlanija–Julijska krajina|푸를라니야 율리스카 크라이나sl
  • Friûl–Vignesie Julie|프리울 비녜시에 율리에fur
  • 베네토어: Friul–Venèxia Jułia|프리울 베네시아 율리아vec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의 언어 소수자 분포 지도; 흰색 지역은 역사적으로 베네치아어를 사용한다.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어, 독일어, 슬로베니아어로 된 교통 표지판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에서의 언어 상황은 다음과 같다.[33]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전국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45.5%35.8%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16.0%10.7%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32.5%20.9%
기타 언어5.1%30.9%


8. 1. 언어

이탈리아어가 공식어이다. 프리울리어는 이 지역 대부분에서 쓰이며, 트리에스테, 몬팔코네, 그라도를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제외된 지역에서는 베네토어의 일종인 트리에스테 방언을 사용한다.

베네토어베네치아 지역과 근접한 포르데노네현 서부 지역과 포르데노네에서도 쓰인다. 프리울리어베네토어는 교외 지역에서 조금 더 일반적인 반면, 이탈리아어우디네, 포르데노네, 고리치아 등의 대도시에서 우세하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는 슬로베니아어로 소통하는 소수민족들도 거주한다.[9]

이 지역의 공식 언어는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어, 슬로베니아어, 독일어이다.[9]

표준 이탈리아어 외에, 이 지역에서 화자가 많은 여러 언어에서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 Friaul-Julisch Venetiende
  • Friaul-Julisch Venezienbar
  • Furlanija–Julijska krajinasl
  • Friûl–Vignesie Juliefur
  • 베네토어: Friul–Venèxia Jułiavec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에서의 언어 상황은 다음과 같다.[33]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전국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45.5%35.8%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16.0%10.7%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32.5%20.9%
기타 언어5.1%30.9%



; 프리울리어

: 프리울리어는 레토로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프리울리 지방을 중심으로 주 외(베네치아현 등)를 포함하여 약 60만 명의 화자가 있다.[34] 유네스코의 "위험에 처한 언어 적색 목록"에서는 위험에 처한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34] 프리울리어의 보호·공용에 관한 주법(Norme per la tutela, valorizzazione e promozione della lingua friulanait)이 2007년 12월 18일에 시행되어, 프리울리어 지명의 규범화와 공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베네토어

: 중세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향 아래에 있던 지역(트리에스테를 포함한 프리울리 동부 및 고리치아현 남부의 비시아카리아 지방[35])에서는 베네토어가 널리 사용된다. 주에서 사용되는 베네토어 방언으로는 포르데노네 방언, 우디네 방언, 비시아카리아 방언, 그라도 방언, 트리에스테 방언 등이 있다.

; 슬로베니아어

: 민족적인 슬로베니아인은 슬로베니아 국경에 인접한 트리에스테현 및 고리치아현에 10만 명이 있다고 하며,[35] 슬로베니아어가 사용된다. 주법(legge statale 482/99) 및 법령(legge 38/01)에 근거하여, 코무네 중에는 슬로베니아어가 사용되는 곳도 있다. 주에서 사용되는 슬로베니아어는, 그 중에서도 프리모르스카 방언군에 속하는 방언으로, 이스트리아 방언 및 나치조네 계곡 방언 등으로 분류된다.

: 유네스코의 "위험에 처한 언어 적색 목록"에서는, 우디네현 북동부(레지아)에서 사용되는 슬로베니아어의 언어 변종 레지아어에 한 항목을 두고 있다. 레지아어 화자는 1000명이며, 유네스코는 위험에 처한 언어(definitely endangered)로 분류하고 있다.[36]

; 독일어

: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역이었던 탓에, 오늘날에도 북부 주민 중에는 독일어 (바이에른-오스트리아어에 속하는 남부 바이에른-오스트리아어)를 모국어 또는 제2 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8. 2. 음식 문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의 요리는 프리울리 지방 전통의 프리울리 요리와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다양한 민족이 살았던 베네치아 줄리아 지방의 트리에스테 요리, 고리치아 요리 등이 혼합되어 있다. 중앙 유럽의 식문화와 가깝고, 식문화의 중심 도시는 우디네와 트리에스테이며, 베네치아의 영향도 받고 있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는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며, 햄과 치즈 생산도 활발하다.

  • 파스타・수프류
  • 옥수수 가루 반죽인 폴렌타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동유럽에 걸쳐 널리 먹는 음식이다.
  • 감자와 밀가루로 만든 뇨키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콩이나 사우어크라우트 등을 삶은 요타는 이스트라 반도 주변에서 먹던 요리로 트리에스테・고리치아・프리울리에서도 즐겨 먹으며,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요리와도 공통점을 가진다.
  • 찰손스는 설탕이나 계피 등을 뿌린 달콤한 파스타 요리(라비올리와 같은 속을 채운 파스타)이다.
  • 축육 가공품・고기 요리
  • 산 다니엘레 델 프리울리는 생햄(프로슈토) 산지로 유명하다. 원산지 명칭 보호(DOP)와 지리적 표시 보호(IGP)로 지정된 것은 다음과 같다.
  • 프로슈토 디 산 다니엘레 (DOP) - 우디네현 산 다니엘레 델 프리울리
  • 프로슈토 디 사우리스 (IGP) Prosciutto di Saurisit - 우디네현 사우리스
  • 살라미니 이탈리아니 알라 카차토라 (DOP) Salamini italiani alla cacciatorait
  • 소시지나 베이컨 등 돼지고기를 식재료로 사용한 요리가 있다.
  • 헝가리에서 유래한 스튜 요리 굴라시 등도 즐겨 먹는다.
  • 수산 가공품・생선 요리
  • 정어리를 즐겨 먹으며, 양파와 함께 절인 사르도니 인 사보르(Sardoni in Savor) 등으로 만들어진다.
  • 해산물 요리에는 새우를 토마토 소스로 졸인 스캄피 알라 부사라(Scampi alla busara), 문어를 졸인 세피에 인 우미도(Seppie in umido), 새우 수프인 주파 데 카노키에(Zuppa di canochie) 등이 있다.
  • 송어 훈제, 대구Baccalàit 등도 먹는다.
  • 치즈
  • DOP와 IGP로 지정된 치즈는 다음과 같다.
  • 몬타지오 (DOP)
  • 치즈와 감자를 사용한 프리코는 프리울리 지방의 명물이다.
  • 과자(돌체)와 커피
  • 오스트리아의 영향으로 카페 문화가 정착되어 커피에스프레소)를 즐겨 마신다. 일리 커피(illy)는 1933년 트리에스테에서 창업하여 본사를 두고 있다.
  • 속을 겹겹이 말아 소용돌이 모양으로 만든 과자슈트루델은 과거 오스트리아 제국 영역에 널리 퍼진 과자이다.
  • 견과류가 들어간 소용돌이형 파이・프레스니츠Presnitzit는 트리에스테의 명물이다.
  • 말린 과일 등을 반죽에 채워 소용돌이 모양으로 구운 구파나Gubanait는 프리울리의 명물이다.
  • 와인과 기타 알코올 음료
  • 이탈리아의 보증부 통제 원산지 호칭 (DOCG)으로 지정된 산지 명칭은 다음과 같다.
  • 콜리 오리엔탈리 델 프리울리 피콜리트Colli Orientali del Friuliit
  • 라만돌로Ramandolo (vino)it
  • 오랫동안 오스트리아의 영향을 받은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에서는 우디네 현을 중심으로 맥주를 생산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맥주 참조). 주 내에 본사를 둔 맥주 양조 업체로는 1859년 창업한 모레티사Birra Morettiit(본사: 우디네), 카스텔로사Birra Castelloit(본사: 우디네현 산 조르조 디 노가로), Birra Zahre (본사: 우디네현 사우리스) 등이 있다.
  • 주에서는 그라파 (증류주의 일종)와 서양 배 브랜디, 자두 브랜디 「슬리보비츠」Slivovitzit 등의 과일 브랜디(포도 이외의 과일을 원료로 한 브랜디)가 생산되고 있다.
  • 기타 농산품
  • DOP와 IGP로 지정된 것은 다음과 같다.
  • 테르게스테(올리브 오일)(DOP)Tergeste (olio)it - 트리에스테현
  • 독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배추 절임・사우어크라우트(이탈리아어로는 crauti)도 자주 사용된다.
  • 프리울리에서는 순무를 포도 과즙에 절인 브로바다Brovadait를 생산하여 고기와 함께 제공된다.


감자를 사용하는 타입의 프리코


프레스니츠

8. 3. 관광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는 작고 그림 같은 마을이 많이 있으며, 그중 13개 마을이 이탈리아 지방자치단체 전국협회 관광위원회의 주도로 설립된 강력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이탈리아 소도시의 비영리 사립 협회인 이탈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it(The most beautiful Villages of Italy영어)로 선정되었다.[18][19][20]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유산이 있다.

  • 아퀼레이아의 고고 유적과 총대주교좌 성당 바실리카 (우디네현 아퀼레이아)
  • 이탈리아의 롬바르드족: 권세의 발자취 (568-774년)의 일부
  • 가스타르다가 지구와 주교 관련 건조물군 (우디네현 치비달레델프리울리)
  • 알프스 산맥 주변의 선사 시대 호상 가옥군의 일부
  • 팔 디 리벤차 (포르데노네현 포르체니고)


주요 관광지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 거대 동굴(이탈리아어: Grotta Gigante, Grotta Gigante영어) (트리에스테현 스고니코)
  • 두이노 성 (트리에스테현 두이노-아우리시나)

8. 4. 스포츠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는 우디네세 칼초(우디네현우디네)가 있으며, 세리에 A (1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5부 리그(아마추어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D에서는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베네토주의 클럽과 함께 지로네 C에 속해 있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의 지방 리그(6부 리그)로는 에첼렌차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sex and NUTS 2 region https://ec.europa.eu[...]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3-03-05
[3] 웹사이트 Il mistero del trattino scomparso https://www.ilfriuli[...] 2023-08-18
[4] 웹사이트 Friuli-Venezia Giulia https://www.italia.i[...] 2023-12-27
[5] 사전 Friuli-Venezia Giulia 2019-05-06
[6] 웹사이트 Friuli-Venezia Giulia https://en.oxforddic[...]
[7] 사전 Friuli-Venezia Giuli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23
[8] 사전 Friuli-Venezia Giulia 2019-05-06
[9] 웹사이트 Regione Autonoma Friuli-Venezia Giulia – Comunità linguistiche regionali https://www.regione.[...]
[10] 웹사이트 Friuli-Venezia Giulia: l'origine del nome https://www.udinetod[...] 2023-08-03
[11] 웹사이트 Sito Ufficale della Regione Autonoma Friuli–Venezia Giulia – Versione Inglese http://www.regione.f[...] Regione.fvg.it 2009-05-05
[12] 웹사이트 Modifiche al titolo V della parte seconda della Costituzione http://www.parlament[...] parlamento.it 2001-10-18
[13] 웹사이트 Costituzione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governo.i[...] 2014-09-10
[14] 신문 La Lega lancia la regione "Friuli e Trieste" 2014-09-09
[15]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16]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09-05-05
[17] 웹사이트 Unemployment NUTS 2 regions Eurostat https://appsso.euros[...]
[18] 웹사이트 Friuli Venezia Giulia https://borghipiubel[...] 2023-07-31
[19] 웹사이트 Borghi più belli d'Italia. Le 14 novità 2023, dal Trentino alla Calabria https://www.repubbli[...] 2023-07-28
[20] 웹사이트 I Borghi più belli d'Italia, la guida online ai piccoli centri dell'Italia nascosta http://borghipiubell[...] 2018-05-03
[21] 서적 Le Frioul.Région d#affrontements 1973
[22] 웹사이트 Soppressione delle Province del Friuli-Venezia Giulia http://www.consiglio[...] 2021-12-24
[23] 웹사이트 Nomina del commissario liquidatore http://www.provincia[...] 2019-04-20
[24] 웹사이트 Focus sugli Enti di decentramento regionale https://www.ilfriuli[...] 2023-08-18
[25] 웹사이트 Enti locali: Approvata la proposta del piano di riordino territoriale del FV http://www.regione.f[...] 2019-04-20
[26] 웹사이트 Local development challenges and the role of "wide areas" in strategic planning. The case of inter-municipal territorial unions of Friuli-Venezia Giulia (Italy). https://iris.unibocc[...] 2021-02-18
[27] 웹사이트 Unioni Territoriali intercomunali (UTI) http://autonomieloca[...] 2017-04-23
[28] 웹사이트 pending http://www.consiglio[...] 2020-10-31
[29] 웹사이트 pending https://www.regione.[...] 2020-10-31
[30]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Friuli-Venezia Giulia (dettaglio provinciale). http://dawinci.istat[...] 2013-03-03
[31]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2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3-03-22
[32] 뉴스 死者六百人超す 悪条件の中、懸命の捜索 朝日新聞 1976-05-08
[33]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i http://www.istat.it/[...] 2012-11-03
[34] 웹사이트 Friulian http://www.unesco.or[...] UNESCO 2012-12-10
[35] 웹사이트 Languages of Italy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12-10
[36] 웹사이트 Resian http://www.unesco.or[...] UNESCO 2012-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