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요리는 광둥 요리를 기반으로, 서양 요리와 다른 아시아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독특한 음식 문화이다. 19세기 영국 식민지 시대에 광저우 출신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광둥 요리가 홍콩 요리의 기반을 다졌고,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승리 이후 상하이 요리 등 다양한 중국 요리가 유입되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번영을 통해 다양한 식재료와 조리법이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중국 본토, 대만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 요리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홍콩 반환 이후 경제 침체와 아시아 금융 위기를 겪었지만, 일본 요리, 태국 요리 등 다양한 아시아 요리가 유입되면서 국제적인 입맛을 반영한 요리가 발전했다. 홍콩 요리는 다지우러우, 차관, 저우미엔띠엔, 샤오라판띠엔 등 다양한 식당에서 즐길 수 있으며, 딤섬, 홍콩식 밀크티, 에그타르트 등 독특한 메뉴가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홍콩 요리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광둥 요리 (일부) |
주요 재료 | 돼지고기 해산물 쌀 채소 과일 |
역사 및 특징 | |
기원 | 홍콩 |
특징 | 광둥 요리의 영향 서양 요리의 영향 다양한 문화의 융합 |
음식 종류 | |
주요 요리 | 딤섬 차슈바오 완탕면 에그 타르트 밀크티 광둥식 바비큐 해산물 요리 차찬텡 음식 |
관련 음식 | 차 죽 국수 빵 디저트 |
영향 | |
영향 받은 문화 | 광둥 요리 영국 요리 동남아시아 요리 일본 요리 |
세계적인 영향 | 전 세계 차이나타운 및 홍콩 이민자 커뮤니티 |
2. 역사
2. 1. 19세기: 식민지 시대
영국령 홍콩이 1841년에 설립된 직후, 서양 상인들과 광저우 출신 중국인 이민자들이 사업을 위해 홍콩으로 몰려들었다.[6] 초기 홍콩 사회는 외국인 상류층, 노동자 계급 중국인 쿨리, 농부와 어부, 그리고 중산층 중국인 상인들로 구성되었다.[6] 19세기 당시 광저우 요리에 비해 기본적인 농민 요리가 주를 이루었다.[6]식민지가 발전하면서 사업가들을 위한 식사가 필요해졌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광저우 유명 식당의 지점들이 홍콩에 설립되어, 은 2 테일 가격으로 전통 중국식 "8가지 메인 요리와 8가지 애피타이저"(八大八小중국어) 연회를 제공했다.[7] 1935년까지 매춘이 합법이었던 홍콩에서는 여성 콜걸들이 사업상 접대 식사에 동행하기도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아편도 제공되었다. 상인 계급이 아닌 대다수 중국인들은 외식 대신 단순한 광둥 시골 요리를 먹었고, 고기는 축제나 생일과 같은 행사에만 먹을 수 있었다. 홍콩의 유럽인들을 위한 식당은 홍콩 호텔이나 글로스터 호텔과 같이 분리되어 운영되었다.
2. 2. 1920년대: 광둥 요리의 영향
오랫동안 중국 요리의 중심지였던 광저우의 영향을 받아, 홍콩 요리는 광둥 요리를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광저우는 음식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음식은 광저우에 있다(스짜이광저우/食在廣州중국어)"라는 전통적인 말이 있을 정도였다.[8] 1920년대 광저우의 광둥 요리는 절정에 달했으며, 차슈나 보트 죽과 같은 서민 음식의 조리 과정에도 정성을 쏟는 것으로 유명했다. 노동 계층 가정의 6개월치 임금에 해당하는 가격의 샥스핀 찜 요리로 명성을 얻은 다싼위안 주자/大三元酒家중국어와 같은 식당들이 있었다.[9] 이러한 광둥 요리 스타일은 결국 홍콩의 요리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10]
홍콩에서 가장 지배적인 문화 집단으로서, 광둥 요리는 가정 요리와 외식 문화의 근간을 이룬다. 대삼원, 륙우다실을 포함한 많은 초창기 유명 광둥 요리 식당들은 원래 광저우에 기반을 둔 유명 식당의 홍콩 지점이었으며, 1970년대까지 홍콩의 대부분의 요리사들은 광저우의 요식업계에서 수년간의 경력을 쌓았다.[18]
2. 3. 1949년: 상하이 요리와 서양 요리의 유입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수많은 난민이 홍콩으로 유입되었다.[11] 이들 중 상당수는 양쯔강 삼각주 등 비광둥어 사용 지역 출신으로, 상하이 요리를 홍콩에 소개하였다.[11] 한편, 광저우의 유명 요리사들도 중국 본토의 공산당 통치를 피해 홍콩으로 이주하였다.[11]당시 매춘과 아편은 식당가에서 사라졌고, 많은 식당들은 생존을 위해 딤섬과 결혼 연회를 제공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6] 이는 홍콩인들의 서양 요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맞물려, 에그타르트와 홍콩식 밀크티가 홍콩 음식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6] 1949년은 현재 홍콩 사회의 씨앗이 뿌려진 시기로, 홍콩 요리는 이 시기에 직접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6]
2. 4. 1960년대~1980년대: 경제 번영과 요리 발전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홍콩은 경제 불황의 최악의 시기를 벗어나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 공산주의 통치와 대만의 계엄령 고립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온하고 개방적인 시기를 오랫동안 지속했다.[12] 홍콩의 광둥 요리는 당시 공산당이 집권한 이후 오랫동안 쇠퇴기를 겪었던 광저우의 요리를 능가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번영은 양질의 식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12] 공산당 집권 이전의 광저우와 상하이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많은 요리사들이 1949년 이전의 광저우와 상하이에서 최고의 고급 요리 전문점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가족들은 외식 서비스를 대거 중단하고 축하 행사를 위해 식당에 의존했다. 해산물은 1960년대에 전문적인 진미가 되기 시작했고, 1970년대에는 사냥감이 그 뒤를 이었다.이러한 번영의 물결은 또한 홍콩 중국인들의 외국 음식 트렌드에 대한 인식을 높였고, 많은 사람들이 아스파라거스와 가재와 같은 호주산 외국 식재료를 기꺼이 시도했다.[13] 일본 요리와 동남아시아 요리와 같은 외국 음식 스타일이 현지 음식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다. 이는 사시미와 같은 외국 요리를 광둥 연회에 포함한 누벨 광둥 요리(Sānpaai Yuhtchoi/新派粵菜중국어)를 탄생시켰다.[13] 많은 홍콩 중국인들은 처음으로 주로 부유한 외국인 서양인들이 운영하는 페닌슐라 호텔의 가디스와 같은 서양 레스토랑을 방문할 경제적 수단을 갖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식 시장 투자를 통해 막대한 부가 증가했고, 1970년대 홍콩에서 나타난 신흥 부자의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눈에 띄는 예는 "상어 지느러미 수프와 밥을 섞어 먹는다"(Yùhchi Lōufaahn/魚翅撈飯중국어)와 같은 표현이었다.
2. 5. 1980년대~1990년대: 중국 및 대만과의 교류
1970년대까지 단절되었던 홍콩 요리사들은 중국 본토 요리사들과의 관계를 재구축하고 다양한 중국 요리에 대한 인식을 높일 기회를 얻었다.[14] 1987년 대만 계엄령의 해제는 대만과 중국 본토 간의 관계를 촉진시켰고, 대만 관광객과 사업가들이 중국 본토 방문을 위한 중간 기착지로 홍콩을 사용함에 따라 홍콩에 대만 요리 전문 식당이 급증했다. 1978년부터 1997년까지 홍콩은 광둥 요리뿐만 아니라 중국 요리 전반의 세계적인 중심지였으며, 중국 본토와 대만, 그리고 해외 화교 사회의 중국 식당들은 홍콩에서 훈련받거나 일한 요리사를 고용하고 홍콩에서 개선되거나 발명된 요리를 모방하기 위해 경쟁했다. 홍콩식 광둥 요리 (광둥식 광둥차이/港式粵菜중국어)는 이 시기에 혁신적인 중국 요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어가 되었다.[15] 심지어 중국 정부가 1980년대 초, 문화 대혁명 동안 이 요리를 만드는 기술이 대부분 사라졌기 때문에, 베이징의 유명한 취안쥐더 레스토랑에서 훌륭한 베이징 오리 (취안쥐더의 대표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맥심스 레스토랑 및 케이터링 계열사인 홍콩의 베이징원 레스토랑/北京樓중국어 수석 셰프에게 비밀리에 자문을 구했다는 소문이 있었다.2. 6. 1997년 이후: 변화와 도전
1997년 홍콩 주권 반환 이후, 아시아 금융 위기와 SARS 유행으로 인해 홍콩 요리계는 10년 동안 경기 침체를 겪었다.[16] Sun Tung Lok과 같은 유명 식당들을 포함하여 많은 식당들이 문을 닫았다. 특히 중국 연안 지역의 신흥 부유층과 부패한 관리들의 부는 전복과 바리와 같은 고급 식재료의 수요를 증가시켰고, 이는 많은 요리 가격을 상승시켜 중상류층 홍콩 가족들도 감당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동시에, 홍콩 사람들의 취향은 국제화되어 일본 요리와 태국 요리 등 다양한 아시아 요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이로 인해 전문적인 외국 요리 식당이 증가하고 고급 광둥 요리 식당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21세기 초, 홍콩 경제는 부동산 개발과 금융 서비스에 크게 의존하게 되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홍콩이 활발한 식사 문화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요리 잡지 ''Eat and Travel Weekly''는 2000년 이후 홍콩에서 1980년대 전성기보다 새로운 요리가 적게 발명되었고, 많은 식당들이 1980년대에 발명된 인기 요리에 의존한다고 보도했다.
현대 홍콩의 노동 시장 변화는 전통적인 중국 요리사 양성 방식을 붕괴시켰다.[16] 전통 요리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재료의 경제적 가치보다 기술을 강조하는 요리사를 찾기 어려워졌다. 그러나 소수의 전문가들은 홍콩이 다른 선진 경제와 유사한 미식 문화를 발전시키고 전통 요리의 최고를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식당의 종류
3. 1. 다지우러우·지우러우·지우지아 (酒樓·酒家)
다지우러우(또는 지우러우, 지우지아)란 고급 음식점에서 대중적인 식당까지 규모도 천차만별이지만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연회 요리가 나오는 요리점을 가리킨다. 과거의 지우지아는 지우러우보다 소규모로서 고급점이라는 구별이 있었지만 요즘은 그다지 엄밀하게 구별되어 있지 않다.[18] 해선요리를 주요리로 하는 가게는 '××해선주가'라는 이름이 많다. ××지방 요리란 간판이 없으면 거의 다 광둥 요리점을 뜻한다. 그리고 유명한 요리점이나 고급 주점은 중완, 퉁루어완, 침사추이의 큰길이나 쇼핑몰, 호텔 안에 집중해 있다.홍콩에서 가장 지배적인 문화 집단으로서, 광둥 요리는 가정 요리와 외식 문화의 근간을 이룬다. 대삼원, 륙우다실을 포함한 많은 초창기 유명 광둥 요리 식당들은 원래 광저우에 기반을 둔 유명 식당의 홍콩 지점이었으며, 1970년대까지 홍콩의 대부분의 요리사들은 광저우의 요식업계에서 수년간의 경력을 쌓았다.[18] 홍콩에서 유명한 대부분의 요리들은 광저우를 통해 홍콩에 소개되었으며, 종종 국제적인 입맛에 맞춰 개선되었다. 광둥 요리의 가격은 소규모 사업체의 라우메이에서부터 가장 비싼 전복 요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다. 광둥 요리에서 잘 발달된 요리 중 하나는 딤섬이다.
3. 2. 차관·판띠엔 (茶館·飯店)
상하이나 북경 등 광둥 요리 외 지역의 일상적인 요리를 파는 대중 음식점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시민들이 새장 안에 애완용 새를 가두어 차관에 가곤 했다. 점심 차는 하루 중 중요한 휴식 시간이었다. 오늘날에는 차가 모든 식사와 함께 제공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국화차
- 보이차
- 24가지 맛
3. 3. 저우미엔좐쟈·저우미엔띠엔·저우핀띠엔·미엔가 (粥麵專家·粥麵店·粥品店·麵家)
저우미엔좐쟈(粥麵專家)·저우미엔띠엔(粥麵店)·저우핀띠엔(粥品店)·미엔가(麵家)는 죽과 국수 전문점으로, 아침 6시부터 새벽 2시까지 영업한다. 입구 옆에 죽과 면이 보이도록 한 오픈 키친 형태의 가게가 많다.가게 안은 매우 검소하며, 접는 테이블, 둥근 의자, 벽 메뉴판, 테이블 위 작은 접시, 젓가락, 연꽃 등이 공통적으로 있다. 메뉴로는 죽, 국수, 마른 국수, 튀긴 국수, 쌀가루, 허펀(쌀가루로 만든 국수), 창펀(쌀가루로 만든 얇은 피에 새우나 고기를 싼 것), 반찬류 등이 있다. 국수, 쌀가루, 허펀 등 종류는 달라도 재료가 같으면 가격이 같다. 주문할 때는 죽으로 할 것인지 면으로 할 것인지 확실하게 말해야 한다.
조개는 조개 관자나 생선을 얇게 저민 것에서 육류, 내장류까지 다양하고, 가장 비싼 전복을 저민 것도 20 홍콩 달러 밖에 되지 않는다. 죽도 10종류가 있다. 아침에는 죽만 파는 가게도 있으므로, 오픈 키친에 면이나 쌀가루가 쌓여 있는지 확인한 뒤 가게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3. 4. 샤오라판띠엔·샤오라띠엔·샤오라푸 (燒臘飯店·燒臘店·燒臘舖)
알맞게 구워진 통돼지, 닭, 비둘기, 집오리, 거위 등이 가게 앞쪽에 가득 매달려 있는데, 포장용으로 무게나 가격만큼 잘라 팔기도 한다. 가게 안에는 대개 테이블이 4~5개 있고, 그 자리에서 밥에 통돼지구이 조각을 곁들인 메뉴를 먹을 수 있다. 불과 몇 초면 테이블에 오른다.3. 5. 훠궈띠엔 (火鍋店)
90년대 말 몇 년 사이에 유행한 냄비요리 전문점이다. 신선한 해산물과 야채, 육류, 생선 저민 살, 훈탕 등을 재빨리 특제 수프 국물에 담갔다 먹는 홍콩 요리로 수프나 국물 맛도 변화가 있다. 균일요금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이 핫팟 요리는 daa bin lou/打邊爐중국어라고 불리며, 모든 사람이 요리사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테이블 중앙에 끓는 물 냄비(수프 기반이며, 고객은 선호하는 수프 맛을 선택할 수 있음)가 놓여 있으며, 본질적으로 모든 사람이 그 냄비에 자신의 재료를 끓인다. 이것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가운 맥주나 탄산 음료 한 병과 함께 제공된다. 이 스타일은 추운 겨울철에 흔하며, 사람들이 불 주위에 모여 있기 때문이다. 이 형식은 또한 즐거움을 주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끓는 국물
-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 게, 새우 및 조개
- 배추, 당근 및 상추
- 어묵 및 비프볼
- 두부
3. 6. 렌탕·탕관 (靚湯·湯館)
약선(藥膳) 스프 전문점이다. 집에서 만드는 수고와 시간이 절약되고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 인기이다.3. 7. 소식관 (素食館)
채식 요리점으로, 야채·두부·두부껍질·글루텐 등의 재료로 만든다. 가게 앞 진열장에서 포장을 해주기도 한다.3. 8. 다파이땅 (大牌檔)
다파이땅(大牌檔)은 정부에 허가료를 지불하고 영업하는 합법적인 고정식 포장마차이다.[17] 죽, 국수에서부터 생선까지 다양한 메뉴를 갖추고 있어 요리집에 버금가는 수준이다.[17] 위생 문제는 다소 미흡하지만, 홍콩의 진정한 맛을 다파이땅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람들도 있다.[17]
다파이땅에서는 어묵, 팟차이코(砵仔糕), 계란빵, 구운 밤 등을 판매한다.
3. 9. 라우똥탄땅 혹은 시우판 (流动攤檔/小販)
라우똥탄땅(流动攤檔) 혹은 시우판(小販)은 다파이땅과 비슷한 노상 판매점이지만 무허가이기 때문에 경찰이 오면 도망간다.[17] 어묵처럼 삶은 음식이나 내장꼬치, 튀김, 과자도 풍부하며 모두 대나무 꼬챙이에 꽂아서 준다.[17] 그 중엔 알 수 없는 것들이 많기도 하다.이들은 기본적으로 한두 사람이 수레를 끌고 다니며 운영하는 길거리 음식 노점이다.[17] 수레는 일반적으로 매우 이동성이 뛰어나 특정 시점에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자유롭게 간식을 판매할 수 있다.[17]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인기가 있었지만, 엄격한 위생 규정과 기타 형태의 임대 대 허가된 노점상 규제로 인해 이러한 이동식 음식 문화에 부담이 가해졌다.[17] Jau Gwei라는 용어는 규제를 피하려는 노점상과 연관되었다.[17]
- 어묵
- 팟차이코 (팟차이코/砵仔糕중국어)
- 계란빵
- 구운 밤
3. 10. 티엔핀우·빙스·쉐까오잔 (甜品屋·冰室·雪糕棧)
티엔핀우는 간웨이추(단팥집)에 해당하는 가게로 즈마루(깨즙가루), 싱런후(아몬드즙 가루) 등의 광둥식 디저트를 파는 가게이다. 빙스는 쉐가오신띠(아이스크림 선디)와 쉐까오(크림소다) 등의 서양식 단맛을 내는 곳이다. 현대풍의 티엔핀우는 빙스를 겸하고 있다.3. 11. 찬팅·차찬팅 (餐廳·茶餐廳)
찬팅(餐廳)은 서민 주택가에 주로 위치하며, 가게 앞 진열대에서 빵이나 버터크림 케이크 등을 판매한다. 내부는 이전의 다방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러우쟝이펀(미트소스 스파게티), 가리판(카레라이스), 꽁스싼원즈(클럽 샌드위치) 등의 서양식 메뉴와 차오판(볶음밥), 미펀(쌀가루) 등의 중국 요리를 함께 제공한다. 호텔 안의 프랑스 요리점은 프랑스 찬팅이라고 불리며, 맛, 실내 장식, 서비스가 세련되었으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무알코올 음료는 홍콩의 독특한 레스토랑 종류인 차찬텡과 관련이 깊다. 음료 제조법은 프랜차이즈 기반이 아니므로, 식당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빙설당과 시럽은 단맛을 내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대만의 차 문화에서 유래된 버블티, 꿀 녹차 등은 홍콩으로 전해져 홍콩 음료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홍콩식 밀크티, 커피, 위앤양, 팥빙수, 두유, 사탕수수 주스, 레몬차, 오보틴, 마일로, 호리크스, 아몬드 밀크 등이 대표적인 음료이다.
3. 12. 콰이찬띠엔 (快餐店)
콰이찬띠엔(快餐店)은 패스트푸드점을 말한다. 마이땅라오(맥도날드)나 KFC는 맛과 시스템이 대한민국과 비슷하다. 땨쟈러(大家樂)는 홍콩 자본의 체인점이다.4. 홍콩 요리의 특징
4. 1. 다양한 식재료 사용
광둥 요리와 마찬가지로, 홍콩 요리에는 매우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흔히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4. 2. 다양한 조리법
4. 3. 서양 요리의 영향
홍콩 요리는 서양 요리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스타일로 발전했다.[19] 홍콩에서는 이러한 스타일의 요리를 ''사이 찬''(西餐, '서양 요리')이라고 부르며, 홍콩 밖에서는 '홍콩식 서양 요리' 또는 '광동식 서양 요리'로 알려져 있다.[19] 이러한 요리는 차찬탱(茶餐廳, 홍콩식 식당)이나 ''사이 찬'' ''텡''(西餐廳, '서양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대부분의 요리는 중국인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되었으며, 간장에 절인 스테이크, 간장이 주를 이루는 그레이비 소스에 곁들여져 볶음밥이나 파스타가 곁들여지는 등 중국, 특히 광둥의 영향을 받았다.[20]
대표적인 예로는 에그 타르트,[21] 홍콩식 밀크티(시와나이차/絲襪奶茶중국어, 실론 차, 홍차, 우유로 만든 음료),[23] 레몬 차 (신선한 레몬 조각을 넣은 홍차), 프렌치 토스트(중국어로 "''사이 도 시''"(西多士, '서양 토스트'), 파란시다오시/法蘭西多士중국어, 프렌치 토스트의 음역)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소시지 또는 얇게 썬 햄, 계란 프라이를 곁들인 국물 속 마카로니, 때로는 감자튀김과 샐러드를 곁들인 닭 날개 튀김, 스위스 소스 치킨 윙, 소시지, 계란 프라이 또는 얇게 썬 햄을 곁들인 인스턴트 라면, 구운 돼지 갈비 덮밥(튀긴 돼지 갈비와 볶음밥을 구워 토마토 소스와 치즈를 곁들여 제공),[22] 홍콩식 보르시 수프(토마토로 조리하지만 일반적으로 비트 또는 사워크림은 없음) 등이 있다.
5. 현대 홍콩의 식습관
대부분의 홍콩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국제적인 기준, 특히 미국과 캐나다와 같은 서방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적다.[1] 메인 요리에는 보통 넉넉한 양의 탄수화물, 예를 들어 밥이나 면이 함께 제공된다.[1] 홍콩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5번 식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5. 1. 식사 횟수
대부분의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국제적인 기준, 특히 미국과 캐나다와 같은 서방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적다.[1] 메인 요리에는 보통 넉넉한 양의 탄수화물, 예를 들어 밥이나 면이 함께 제공된다.[1] 일반적으로 하루에 5번 식사한다.[1]5. 2. 음식의 양
대부분의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국제적인 기준, 특히 미국과 캐나다와 같은 서방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적다.[1] 메인 요리에는 보통 넉넉한 양의 탄수화물, 예를 들어 밥이나 면이 함께 제공된다.[1] 일반적으로 하루에 5번 식사한다.[1]참조
[1]
서적
World Food Hong Kong
Lonely Planet Publishing
2001
[2]
웹사이트
Census labour data pdf
http://www.censtatd.[...]
Hong Kong census
2007-03-14
[3]
웹사이트
HK Census
https://www.censtatd[...]
HK Census
2007-03-16
[4]
웹사이트
HK Census
https://www.censtatd[...]
HK Census
[5]
웹사이트
HK Census
https://www.censtatd[...]
HK Census
2007-03-08
[6]
서적
Made in Korea: Chung Ju Yung and the Rise of Hyundai
Routledge
1999
[7]
서적
Famous Cuisine in Hong Kong
Wan Li Publishings
1988-10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uddhistd[...]
2008-09-24
[9]
서적
History of Cantonese Dishes
Food and Drink World Publishing Limited
1988-05
[10]
서적
Ibid
[11]
서적
Ibid
[12]
서적
Famous Cuisine in Hong Kong
[13]
서적
New-Style Chinese Cooking From Hong Kong
Wan Li Publishings
1987-10
[14]
서적
New-Style Chinese Cooking From Hong Kong
[15]
서적
Famous Cuisine in Hong Kong
[16]
서적
Famous Cuisine in Hong Kong
[17]
서적
Hong Kong Legal Principles: Important Topics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6
[18]
서적
Preface to Famous Cuisine in Hong Kong
[19]
서적
World Food Hong Kong
Lonely Planet
2002
[20]
웹사이트
Explore the world of Canto-Western cuisine
https://www.nbcnews.[...]
NBC Universal
2007-01-08
[21]
웹사이트
Hong Kong's Egg Tarts: A Sweet Spin-Off On English Custard Tart
https://www.slurrp.c[...]
2023-02-22
[22]
웹사이트
Baked pork chop rice: the history of a defining Hong Kong comfort food
https://www.scmp.com[...]
2023-02-22
[23]
웹사이트
Steeped in history: how Hong Kong-style milk tea became a staple
https://www.scmp.com[...]
2023-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