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내도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내도(고려)는 고려 초기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995년 10도 체제 도입에 따라 설치되었다. 1018년 5도 양계 체제가 확립되면서 관내도는 5도 중 하나로 편제되었으며, 개성부, 남경유수관 양주, 수주, 수주, 강화현, 광주, 안서도호부 해주, 풍주, 옹진현, 황주목, 평주, 곡주 등이 관할 구역으로 편성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역은 중앙 집권 강화와 지방 통치 효율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편되었으며, 현대 대한민국과 북한의 행정 구역에도 역사적 영향을 미쳤다.

2. 고려 초기 행정 구역 (983년 ~ 1018년)

고려 건국 초기에는 신라의 9주 5소경 체제를 이어받아 지방 제도를 운영하였다. 983년(성종 2년), 최승로의 건의로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목사를 파견하여 지방 통치를 강화하였다. 995년(성종 14년), 10도 체제를 도입하여 전국을 10개의 도로 나누고, 각 도에 절도사를 파견하여 군사적 기능을 강화하였다. 10도는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영남도, 영동도, 산남도, 해양도, 삭방도, 패서도로 구성되었다.

3. 고려 중기 행정 구역 (1018년 ~ )

1018년(현종 9년) 5도 양계 체제를 확립하여 전국을 5개의 일반 행정 구역과 2개의 군사 행정 구역으로 나누었다. 4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28진, 20현을 설치하여 지방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개경(개성)과 주변 지역을 특별 관리하기 위해 경기 지역을 설치하였다.

3. 1. 8목 (八牧)

八牧중국어은 983년(성종 2년) 최승로의 건의로 처음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년)에 12목이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018년(현종 9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고려 8목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황주黃州황해도 황주군황해북도 황주군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목이 파견되었고 995년 천덕군(天德軍)절도사가 파견되었다. 1012년 절도사가 폐지된 뒤 안무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 목이 설치되었다.
광주廣州경기도 광주시
충주忠州충청북도 충주시
청주淸州충청북도 청주시
진주晉州경상남도 진주시
상주尙州경상북도 상주시
나주羅州전라남도 나주시
전주全州전라북도 전주시


4. 행정 구역 상세

관내도 행정 구역 상세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개성부開城府개성시 고려 도성개성특별시 고려 도성고려의 수도. 995년 설치, 1018년 폐지 후 3현만 관할. 장단현 분리 후 상서도성 관할. 1062년 현들이 다시 개성부 속현이 됨.
개성현開城縣개풍군 서면 개성리개풍군 개풍동 일대
우봉군牛峯郡금천군 우봉면금천군 현내리 일대1018년 평주 속현, 1062년 개성부 속현.
정주貞州개풍군 대성면 산귀리?개풍군왕건 첫 장인 유천궁 거점. 1018년 개성 속현, 부 폐지 후 덕수현, 강음현과 함께 개성현 속주.
덕수현德水縣개풍군 봉동면 덕수리개풍군 덕수리1018년 정주, 강음현과 함께 개성현 속현.
강음현江陰縣금천군 서북면 강음리평천군 연홍리1018년 정주, 덕수현과 함께 개성현 속현.
장단현長湍縣연천군 장남면 자작리1001년 단주 승격, 1018년 현 격하, 송림현 등 7개 속현 및 개성현과 상서도성 관할.
임강현臨江縣장단군 강상면 임강리장풍군 림강리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토산현兎山縣금천군 토산면토산군 일대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임진현臨津縣파주시 군내면 정자리 → 읍내리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송림현松林縣파주시 진서면 선적리?장풍군 선적리 일대?고려 광종 불일사 창건, 치소 이전. 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마전현麻田縣연천군 미산면 마전리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적성현積城縣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칠중성)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1106년 감무 파견.
파평현波平縣파주시 파평면1018년 장단현 속현,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 1106년 감무 파견.
남경유수관 양주楊州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종로구 (남경)983년 최승로 건의 주목 파견. 995년 좌신책군 파견, 좌보. 1018년 지주사 강등, 1067년 남경유수관.
교하군交河郡파주시 탄현면 갈현리1018년 남경 내속.
견주見州양주시 고읍동? 유양동?1018년 남경 내속.
포주抱州포천시 군내면 (반월성)995년 단련사, 1005년 폐지. 1018년 남경 내속.
행주幸州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행주산성)1018년 남경 내속.
봉성현峯城縣파주시 파주읍 봉서리? (봉서산성)1018년 남경 내속.
고봉현高峯縣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1018년 남경 내속.
심악현深嶽縣파주시 서패동·동패동?1018년 보신향에서 현 승격, 남경 내속.
풍양현豊陽縣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1018년 남경 내속, 후 포주 속현.
사천현沙川縣동두천시 상패동1018년 남경 내속.
수주樹州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계양산성)995년 단련사, 1005년 폐지, 1018년 지주사.
금주衿州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호암산성)995년 단련사, 1005년 폐지, 1018년 수주 내속.
동성현童城縣김포시 하성면 원산리? (동성산성)신라 장제군 속현, 고려 계승.
통진현通津縣김포시 월곶면 고막리?
공암현孔巖縣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양천고성)1018년 수주 내속.
김포현金浦縣김포시 풍무동 (북성산성)신라 장제군 속현, 1018년 수주 속현.
수안현守安縣김포시 대곶면 율생리? (수안산성)신라 장제군 속현, 고려 계승.
소성현邵城縣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성1018년 수주 속현, 고려 숙종 시기 인예태후 내향, 경원군 승격.
수주水州오산시 독산성 → 화성시 수원고읍성김질, 최승규 등 호족 200명 왕건 귀순, 후삼국 통일 후 수주 승격. 995-1005년 단련사, 1018년 지주사.
안산군安山郡안산시 상록구 수암동1018년 수주 내속.
영신현永新縣평택시 동삭동1018년 수주 내속.
쌍부현雙阜縣화성시 우정읍 조암리?1018년 수주 내속.
정송현貞松縣화성시 정남면 백리?1018년 송산부곡에서 현 승격, 수주 내속.
진위현振威縣평택시 진위면 봉남리신라 수성군 영현 계승.
광덕현光德縣평택시 현덕면 덕목리?통일신라 광덕, 1018년 수주 내속.
용성현龍城縣평택시 안중읍 용성리백제 상홀현, 신라 차성, 1018년 수주 내속.
양성현陽城縣안성시 양성면 동항리1014년 수주 내속.
당성군唐城郡화성시 남양읍1018년 수주 속군.
재양현載陽縣화성시 비봉면 자안리?1018년 안양현 개칭, 수주 내속.
강화현江華縣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삼성리? → 강화읍 관청리1018년 현령 파견.
진강현鎭江縣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
하음현河陰縣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하음산성)
교동현喬桐縣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화개산성)
광주廣州하남시 춘궁동 이성산성940년 한주에서 개명. 983년 최승로 건의 목 설치. 995년 봉국군 절도사, 1012년 폐지, 안무사. 1018년 목 승격.
천녕군川寧郡여주시 대신면 천서리? → 흥천면 이포리?1018년 광주 속현.
이천군利川郡이천시 설봉산성서목 왕건 도강 지원, 황무현에서 개칭.
죽주竹州죽산군995-1005년 단련사, 1018년 광주 속주.
과주果州과천군1018년 광주 속주.
지평현砥平縣지평군1018년 광주 속현.
용구현龍駒縣용인시 기흥구 구성동 일대1018년 광주 속현.
양근현楊根縣양평군 옥천면1018년 광주 속현.
안서도호부 해주海州해주시황해남도 해주시983년 최승로 건의 주목 설치. 995년 우신책군, 우보. 1012년 절도사 폐지, 1018년 안서도호부 승격.
염주鹽州연백군 연안읍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995년 방어사, 현종 초 폐지, 해주 속주.
안주安州재령군황해남도 재령군, 신원군995년 방어사, 현종 초 폐지, 해주 속주.
풍주豊州황해도 송화군 풍해면황해남도 과일군 과일읍995년 도호부, 1018년 방어사.
안악군安岳郡황해도 안악군황해남도 안악군1018년 풍주 속군.
유주儒州황해도 신천군 문무면 일대황해남도 삼천군 일대1018년 풍주 속주.
은율군殷栗縣황해도 은율군황해남도 은률군 은률읍1018년 풍주 속주.
청송현靑松縣황해도 송화군 장양면황해남도 삼천군 괴정리 동부1018년 풍주 속현.
가화현嘉禾縣황해도 송화군 도원면황해남도 삼천군 탑평리1018년 풍주 속현.
영녕현永寧縣황해도 송화군 봉래면황해남도 삼천군 수교리1018년 풍주 속현, 후 신천 이관.
옹진현甕津縣황해도 옹진군황해남도 옹진군1018년 현령 파견.
장연현長淵縣황해도 장연군황해남도 장연군, 용연군 일대1018년 옹진현 속현.
영강현永康縣황해도 옹진군 부민면황해남도 강령군1018년 옹진현 속현.
백령진白翎鎭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1018년 진장 파견.
황주黃州황해도 황주군황해북도 황주군983년 최승로 건의 목 설치, 995년 천덕군 절도사. 1012년 폐지, 안무사, 1018년 목 설치.
봉주鳳州황해도 봉산군 휴암성황해북도 봉산군 구읍리 휴암성995년 방어사, 현종 초 폐지, 황주 속주.
신주信州황해도 신천군황해북도 신천군 신천읍995년 방어사, 현종 초 폐지, 황주 속주.
토산현土山縣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황해북도 상원군1018년 황주목 속현.
평주平州황해도 평산군 평산면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995년 방어사, 1018년 지주사.
동주洞州황해도 서흥군황해북도 서흥군995년 방어사, 현종 초 폐지, 평주 속주.
배주白州연백군 은천면황해남도 배천군 배천읍1018년 평주 속주.
곡주谷州황해도 곡산군황해북도 곡산군, 신평군995년 방어사, 1018년 지군사.
신은현新恩縣황해도 신계군황해북도 신계군 북1018년 곡주 속현.
협계현俠溪縣황해도 신계군 수곡성1018년 곡주 속현.
수안현遂安縣황해도 수안군황해북도 수안군고려 초 서암군 장새현에서 개칭, 곡주 속, 후 현령 파견.


4. 1. 왕경 개성부 (王京 開城府)

왕경한국어 개성부고려의 수도였던 개성 지역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개성특별시와 개풍군 일대에 해당한다. 995년(고려 성종 14년)에 설치되어 적급현 6개와 기현 7개를 관할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폐지되고 3현만을 관할하게 되었으며, 장단현이 주현으로 분리되어 나머지 7개 속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후 상서도성의 관할로 변경되었다가, 1062년(고려 문종 16년)에 이 현들은 모두 다시 개성부의 속현이 되었다.

개성부는 고려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왕족과 귀족들이 주로 거주하였다.

4. 1. 1. 개성부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개성부開城府개성시 고려 도성개성특별시 고려 도성고려의 수도였으며, 995년 개성부가 되어 적급현 6개와 기현 7개를 관할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부가 폐지되고 3현만 관할, 장단현이 주현으로 분리되어 남은 7개 속현을 관할한 뒤 상서도성 관할이 되었다. 이 현들은 1062년(고려 문종 16년) 모두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개성현開城縣개풍군 서면 개성리개풍군 개풍동 일대
우봉군牛峯郡금천군 우봉면금천군 현내리 일대1018년 평주 속현이었다가 1062년(고려 문종 16년) 개성부에 속했다.
정주貞州개풍군 대성면 산귀리?개풍군왕건의 첫 장인 유천궁이 자리잡았던 곳이다. 1018년 개성 속현이 되었다. 같은 해 부 폐지, 개성 현령 설치 때 덕수현, 강음현과 함께 개성현 속주가 되었다.
덕수현德水縣개풍군 봉동면 덕수리개풍군 덕수리1018년 정주, 강음현과 함께 개성현 속현이 되었다.
강음현江陰縣금천군 서북면 강음리평천군 연홍리1018년 정주, 덕수현과 함께 개성현 속현이 되었다.
장단현長湍縣연천군 장남면 자작리1001년(고려 목종 4년) 시중 한언공의 내향으로 단주로 승격, 1018년 현으로 격하되어 주현이 되면서 송림현, 임진현, 토산현, 임강현, 적성현, 파평현, 마전현을 관할했고 개성현과 함께 상서도성 관할이 되었다.
임강현臨江縣장단군 강상면 임강리장풍군 림강리1018년 장단현 속현이 되었다.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토산현兎山縣금천군 토산면토산군 일대1018년 장단현 속현이었다가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임진현臨津縣파주시 군내면 정자리 → 읍내리1018년 장단현 속현이었다가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송림현松林縣파주시 진서면 선적리?장풍군 선적리 일대?고려 광종이 본현에 불일사(佛日寺)를 창건하고 선적리에 있던 치소를 동북쪽으로 옮겼다. 1018년 장단현 속현이었다가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마전현麻田縣연천군 미산면 마전리1018년 장단현 속현이었다가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적성현積城縣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칠중성)1018년 장단현 속현이었다가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1106년(고려 예종 원년) 감무가 파견되었다.
파평현波平縣파주시 파평면1018년 장단현 속현이 되었고 1062년 왕경 개성부 속현이 되었다. 1106년 감무가 파견되었다.


4. 2. 남경유수관 양주 (南京留守官 楊州)

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양주에 주목이 파견되었다. 995년 12주 절도사를 파견할 때 개성 왼쪽에 있다하여 좌신책군(左神策軍)이 파견되었고 좌보(左輔)로 삼았다. 1018년 지주사로 강등되었으나 1067년(문종 21년) 남경유수관이 되었다. 양주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에서 종로구 일대로 옮겨갔다.

4. 2. 1. 양주 관할 구역

양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주楊州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종로구 (남경)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주목이 파견되었다. 995년 12주 절도사를 파견할 때 개성 왼쪽에 있다하여 좌신책군(左神策軍)이 파견되었고 좌보(左輔)로 삼았다. 1018년 지주사로 강등되었으나 1067년(고려 문종 21년) 남경유수관이 되었다.
교하군交河郡파주시 탄현면 갈현리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견주見州양주시 고읍동? 유양동?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포주抱州포천시 군내면 (반월성)995년 단련사가 파견되었으나 1005년 단련사가 폐지되었다. 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행주幸州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행주산성)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봉성현峯城縣파주시 파주읍 봉서리? (봉서산성)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고봉현高峯縣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심악현深嶽縣파주시 서패동·동패동?1018년 보신향(寶新鄕)에서 현으로 승격되어 남경에 내속되었다.
풍양현豊陽縣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가 후에 포주의 속현이 되었다.
사천현沙川縣동두천시 상패동1018년 남경에 내속되었다.


4. 3. 수주 (樹州)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계양산성)에 위치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년)에 단련사가 파견되었으나 1005년(고려 목종 8년)에 폐지되었고,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지주사가 파견되었다.

4. 3. 1. 수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주樹州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계양산성)995년 단련사가 파견되었으나 1005년 단련사가 폐지되었고 1018년 지주사가 파견되었다.
금주衿州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호암산성)995년 단련사가 파견되었으나 1005년 단련사가 폐지되었고 1018년 수주에 내속되었다.
동성현童城縣김포시 하성면 원산리? (동성산성)신라 시대에 수주의 전신인 장제군의 속현이었는데,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통진현通津縣김포시 월곶면 고막리?
공암현孔巖縣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양천고성)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김포현金浦縣김포시 풍무동 (북성산성)신라 시대에 수주의 전신인 장제군의 속현이었는데,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라 1018년 수주의 속현이 되었다.
수안현守安縣김포시 대곶면 율생리? (수안산성)신라 시대에 수주의 전신인 장제군의 속현이었는데,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소성현邵城縣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성1018년 수주의 속현이 되었고 고려 숙종 시기 인예태후 이씨의 내향이라 하여 경원군으로 승격되었다.


4. 4. 수주 (水州)

수주는 현재의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안성시 일대에 해당하며, 비옥한 평야 지대를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왕건에게 김질, 최승규 등 호족 200명이 귀순하자 후삼국 통일 이후 수주로 승격되었다. 995년부터 1005년까지 단련사가, 1018년에는 지주사가 파견되었다.

4. 4. 1. 수주 관할 구역

수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주水州오산시 독산성 → 화성시 수원고읍성호족 김질, 최승규 등 200명이 왕건에게 귀순하자 후삼국 통일 이후 수주로 승격되었다. 995년부터 1005년까지 단련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 지주사가 파견되었다.
안산군安山郡안산시 상록구 수암동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영신현永新縣평택시 동삭동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쌍부현雙阜縣화성시 우정읍 조암리?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정송현貞松縣화성시 정남면 백리?1018년 송산부곡(松山部曲)에서 정송현으로 승격되어 수주로 내속되었다.
진위현振威縣평택시 진위면 봉남리신라 시대에 수성군의 영현이었던 것을 그대로 따랐다.
광덕현光德縣평택시 현덕면 덕목리?통일신라때 광덕이라 하고 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용성현龍城縣평택시 안중읍 용성리본래 백제의 상홀현(上忽縣)인데 차홀(車忽) 또는 거홀이라고도 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757년(경덕왕 16) 차성(車城)으로 고쳐서 수성군(水城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1018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양성현陽城縣안성시 양성면 동항리1014년 수주로 내속되었다.
당성군唐城郡화성시 남양읍1018년 수주의 속군이 되었다.
재양현載陽縣화성시 비봉면 자안리?1018년 안양현(安陽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어 수주로 내속되었다.


4. 5. 강화현 (江華縣)

현종 9년(1018년)에 현령이 파견되었다. 고종 때 몽골 침입으로 임시 수도 역할을 하였다. 현재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 해당한다.

4. 5. 1. 강화현 관할 구역

강화현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강화현江華縣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삼성리? → 강화읍 관청리1018년 현령이 파견되었다.
진강현鎭江縣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
하음현河陰縣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하음산성)
교동현喬桐縣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화개산성)


4. 6. 광주 (廣州)

고려 廣州중국어940년(고려 태조 23년) 한주(漢州)에서 이름이 바뀌었다. 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목이 파견되었고, 995년 봉국군(奉國軍) 절도사가 파견되면서 관내도에 소속되었다. 1012년 절도사가 폐지된 이후 안무사가 파견되었으며, 1018년 목으로 승격되어 목관을 두었다. 현재의 하남시, 이천시, 여주시, 양평군, 용인시 일부, 과천시 일대에 해당하며, 한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를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4. 6. 1. 광주 관할 구역

1018년(고려 현종 9년) 고려의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廣州중국어, 川寧郡중국어, 利川郡중국어, 竹州중국어, 果州중국어, 砥平縣중국어, 龍駒縣중국어, 楊根縣중국어은 광주의 속현이 되었다.

광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주廣州하남시 춘궁동 이성산성940년(고려 태조 23년) 한주(漢州)에서 광주로 개명되었다. 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목이 파견되었다. 995년 봉국군(奉國軍) 절도사가 파견되면서 관내도에 소속되었고, 1012년 절도사가 폐지된 이후 안무사가 파견되었다. 1018년 목으로 승격되어 목관을 두었다.
천녕군川寧郡여주시 대신면 천서리? → 흥천면 이포리?1018년 광주의 속현이 되었다.
이천군利川郡이천시 설봉산성서목이 왕건의 도강을 도와 황무현(黃武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죽주竹州죽산군995년부터 1005년까지 단련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 광주의 속주가 되었다.
과주果州과천군1018년 광주의 속주가 되었다.
지평현砥平縣지평군1018년 광주의 속현이 되었다.
용구현龍駒縣용인시 기흥구 구성동 일대1018년 광주의 속현이 되었다.
양근현楊根縣양평군 옥천면1018년 광주의 속현이 되었다.


4. 7. 안서도호부 해주 (安西都護府 海州)

983년(성종 2년) 최승로의 건의로 해주에 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년) 개성 오른쪽에 있다하여 12주 절도사를 설치할 때 우신책군(右神策軍)이 파견되었고 우보(右輔)로 삼았다. 1012년(현종 3년) 절도사가 폐지되었고, 1018년(현종 9년) 안서도호부로 승격되었다.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주시, 연안군, 재령군, 신원군 일대에 해당한다.

4. 7. 1. 해주 관할 구역

해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해주海州해주시황해남도 해주시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 개성 오른쪽에 있다하여 12주 절도사를 설치할 때 우신책군(右神策軍)이 파견되었고 우보(右輔)로 삼았다. 1012년 절도사를 폐지했고 1018년 안서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염주鹽州연백군 연안읍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으나 현종 초에 폐지되었고 해주의 속주가 되었다.
안주安州재령군황해남도 재령군, 신원군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으나 현종 초 방어사가 폐지된 이후 해주의 속주가 되었다.


4. 8. 풍주 (豊州)

풍주는 현재의 황해남도 과일군, 안악군, 삼천군, 은률군 일대에 해당한다. 995년(성종 14)에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018년(현종 9)에 방어사가 파견되었다.

4. 8. 1. 풍주 관할 구역

풍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풍주豊州황해도 송화군 풍해면황해남도 과일군 과일읍995년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018년 방어사가 파견되었다.
안악군安岳郡황해도 안악군황해남도 안악군1018년 풍주의 속군이 되었다.
유주儒州황해도 신천군 문무면 일대황해남도 삼천군 일대1018년 풍주의 속주가 되었다.
은율군殷栗縣황해도 은율군황해남도 은률군 은률읍1018년 풍주의 속주가 되었다.
청송현靑松縣황해도 송화군 장양면황해남도 삼천군 괴정리 동부1018년 풍주의 속현이 되었다.
가화현嘉禾縣황해도 송화군 도원면황해남도 삼천군 탑평리1018년 풍주의 속현이 되었다.
영녕현永寧縣황해도 송화군 봉래면황해남도 삼천군 수교리1018년 풍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이후 신천으로 이관되었다.


4. 9. 옹진현 (甕津縣)

옹진현(甕津縣)은 현재의 황해남도 옹진군, 강령군,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일대에 해당한다. 1018년(현종 9)에 현령이 파견되었다.

4. 9. 1. 옹진현 관할 구역

옹진현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옹진현甕津縣황해도 옹진군황해남도 옹진군1018년 현령이 파견되었다.
장연현長淵縣황해도 장연군황해남도 장연군, 용연군 일대1018년 옹진현의 속현이 되었다.
영강현永康縣황해도 옹진군 부민면황해남도 강령군1018년 옹진현의 속현이 되었다.
백령진白翎鎭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1018년 진장이 파견되었다.


4. 10. 황주목 (黃州牧)

황주목(黃州牧)은 현재의 황해북도 황주군, 봉산군, 신천군, 상원군 일대에 해당한다. 983년(고려 성종 2년) 최승로의 건의로 설치되었고, 995년에 천덕군(天德軍)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1012년 절도사가 폐지되고 안무사가 파견되었다가,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다시 목이 설치되었다.

4. 10. 1. 황주목 관할 구역

황주목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황주黃州황해도 황주군황해북도 황주군983년 최승로의 건의로 목이 파견되었고, 995년 천덕군(天德軍)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1012년 절도사가 폐지된 뒤 안무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 목이 설치되었다.
봉주鳳州황해도 봉산군 휴암성황해북도 봉산군 구읍리 휴암성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으나 현종 초 방어사가 폐지되고 황주의 속주가 되었다.
신주信州황해도 신천군황해북도 신천군 신천읍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으나 현종 초 방어사가 폐지되고 황주의 속주가 되었다.
토산현土山縣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황해북도 상원군1018년 황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4. 11. 평주 (平州)

'''평주'''(平州)는 지금의 황해북도 평산군, 서흥군, 배천군 일대를 가리킨다. 995년(성종 14년)에 방어사가 설치되었고, 1018년(현종 9년)에는 지주사가 설치되었다. 동주와 배주는 평주의 속주였다.

4. 11. 1. 평주 관할 구역

평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평주平州황해도 평산군 평산면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 지주사가 파견되었다.
동주洞州황해도 서흥군황해북도 서흥군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으나 현종 초 방어사가 폐지되었고 평주의 속주가 되었다.
배주白州연백군 은천면황해남도 배천군 배천읍1018년 평주의 속주가 되었다.


4. 12. 곡주 (谷州)

谷州중국어는 현재의 황해북도 곡산군, 신계군, 수안군 일대에 해당한다. 995년(성종 14년)에 방어사가 파견되었다가 1018년(현종 9년) 지군사가 파견되었다.

4. 12. 1. 곡주 관할 구역

주/군/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대한민국 기준)대략적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비고
곡주谷州황해도 곡산군황해북도 곡산군, 신평군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다가 1018년 지군사가 파견되었다.
신은현新恩縣황해도 신계군황해북도 신계군 북1018년 곡주의 속현이 되었다.
협계현俠溪縣황해도 신계군 수곡성1018년 곡주의 속현이 되었다.
수안현遂安縣황해도 수안군황해북도 수안군고려 초에 서암군 장새현(獐塞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어 곡주 임내에 속했다가 뒤에 현령이 파견되었다.


5. 고려 행정 구역의 특징과 의의

고려의 행정 구역은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지방 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편되었다. 5도 양계 체제는 고려의 대표적인 지방 행정 제도로, 국방과 행정을 분리하여 운영한 특징을 지닌다. 각 지역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여 행정 구역을 설정하였다.

6. 현대 행정 구역과의 비교

관내도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7. 결론

고려의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며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지방 통치 효율화를 추구하였다. 5도 양계 체제는 고려의 대표적인 지방 행정 제도로, 국방과 행정을 분리하여 운영한 특징을 지닌다. 고려 시대 행정 구역은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며,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