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채성은 중국과 홍콩의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곳으로, 원래는 해상 방어 기지였다. 1898년 홍콩 신계 지역이 영국에 조차되면서 청나라 관할 지역으로 남았으나, 이후 주권 공백 상태에서 인구가 급증하며 고밀도 슬럼을 형성했다. 1980년대 홍콩 반환을 앞두고 철거가 결정되었으며, 1993년 철거 후 구룡채성 공원이 조성되었다. 구룡채성은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문화적 상징성을 갖게 되었으며, 영화,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없어진 건축물 - 머리 포대
머리 포대는 빅토리아 항 방어를 위해 건설된 홍콩의 해안 방어 요새였으나, 간척 사업과 새로운 요새 건설로 역할이 축소되어 철거되었고, 현재는 그 자리에 대포 모형이 설치되어 흔적을 기리고 있다. - 영국의 영토 분쟁 -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전쟁은 1982년 아르헨티나가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내세워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면서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에 발발한 전쟁으로, 영국이 군사력을 동원하여 제도를 탈환하고 아르헨티나의 점령을 종식시켰으며, 양국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쳐 현재까지도 포클랜드 제도의 영유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 영국의 영토 분쟁 - 포클랜드 제도 분쟁
포클랜드 제도 분쟁은 1493년 스페인의 소유권 주장으로 시작되어 영국과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제도의 주권을 두고 벌이는 갈등이며, 1982년 포클랜드 전쟁으로 이어졌고, 현재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불법 점령을 주장하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영국은 섬 주민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구룡채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중국어 (번체) | 九龍寨城 |
중국어 (간체) | 九龙城寨 |
병음 | Jiǔlóng Chéng Zhài |
웨이드-자일스 | Chiu3-lung2 Ch'eng2 Chai4 |
주음부호 | ㄐㄧㄡˇ ㄌㄨㄥˊ ㄔㄥˊ ㄓㄞˋ |
예일 음역 | Gáulùhng Sìhng Jaaih |
광동어 예일 음역 | gau2 lung4 sing4 zaai6 |
영어 | Kowloon Walled City |
일본어 | きゅうりゅうさいじょう |
일반 정보 | |
유형 | 과거 빈민가 |
위치 | 구룡성구 |
정착 시기 | 1898년 |
철거 시기 | 1993년–1994년 |
면적 | 2.6 헥타르 |
인구 (1990년) | 35,000명 |
행정 | 무정부 상태 |
역사 | |
시기 | 1898년–1912년 (사실상): 중국 1898년–1993년 (법률상): 중국 1912년–1941년 (사실상): 영국령 홍콩 1945년–1993년 (사실상): 영국령 홍콩 1941년–1945년 (사실상): 일본 |
2. 역사
1898년, 영국이 청나라로부터 홍콩 섬, 구룡 및 신계, 란타우 섬 등 홍콩 주변 200여 개 섬을 99년 동안 조차했다. 구룡채성은 신계 지역에 속했지만, 예외적으로 조차지에서 제외되어 청나라의 월경지가 되었다. 이후 영국의 압력으로 청군과 관리가 배제되었고, 중국 대륙이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이 된 후에도 사실상 어느 나라의 법도 미치지 않는 무법 지대가 되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군의 홍콩 점령 기간 동안, 인근 카이탁 공항(구 홍콩 국제공항, 1998년 폐쇄) 확장 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위해 성벽이 헐렸다. 1940년대 국공 내전과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으로, 홍콩 정청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이곳에 중국 대륙으로부터 온 유민들이 몰려들어 판자촌을 건설, 이후 슬럼으로 비대해졌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고층 RC 구조 건물로 개축되었지만, 무계획적인 증축과 방치된 환경으로 "동양의 카스바", "동양의 마굴" 등으로 불리며 "아시안 카오스"의 상징이 되었다. 1984년 중영 공동 선언으로 1997년 홍콩 반환이 확정되자, 1987년 홍콩 정청은 구룡채성 철거 및 주민 강제 이주 방침을 발표했다.
1993년부터 1994년에 걸쳐 철거 공사가 진행되었고, 재개발 후 '''구룡채성 공원'''이 조성되었다.
2. 1. 송 ~ 청 말기

구룡채성은 원래 송나라(960-1279) 시대에 해상 방어 거점으로 건설되어, 소금 생산을 보호하는 군사 기지 역할을 했다.[33] 1810년에는 구룡성 포대가 설치되었다.[34] 1842년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난징 조약으로 홍콩 섬이 영국에 할양되자, 청나라는 영국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해 구룡성채를 주요 전략 거점으로 삼았다.
1847년에는 방어벽을 포함한 개선 공사가 완료되었고, 1854년 태평천국의 난 당시 반란군에게 점령되었다가 몇 주 후에 청나라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33][3]
1898년 홍콩 영토 확장 조약으로 신계 지역이 영국에 99년간 조차되었으나, 당시 약 700명이 거주하던 구룡성채는 조차지에서 제외되어 청나라 관할 지역으로 남았다.[33] 청나라는 구룡채성에 군대와 행정관을 계속 주둔시켰으나, 1899년 헨리 아서 블레이크 경이 이끄는 영국군이 구룡채성을 점령하면서 청나라 관리는 철수했다.[33] 청나라는 1912년까지 구룡채성을 통치하다가 영국에 넘겨주었다.[4]
2. 2. 구룡채성에 대한 관할권 주장
1933년 홍콩 당국이 구룡채성의 성벽과 그 안의 건물 대부분을 철거하고, 불법 거주자 436명에게 새 집을 보상할 계획을 발표하자, 국민당 정부는 이에 항의하며 구룡채성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양측 모두 구룡채성에 대한 확실한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은 계속되었으며, 국민당 정부의 관할권 주장은 중일전쟁 발발 전까지 이어졌다.[42]2. 3. 제2차 세계 대전 ~ 국공 내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홍콩을 점령한 일본군은 구룡채성의 성벽을 철거하고 인근 카이탁 공항 확장에 사용했다.[8] 1945년 일본 항복 후 중화민국은 구룡채성 회수 의사를 발표했다.[8] 1946년 11월, 중화민국 국민당 관료들은 사무실, 학교, 경찰 및 기타 기능을 포함하는 이 지역의 "행정 복귀를 위한 초안 계획"을 수립했다.[8]제2차 국공 내전으로 인해 많은 중국인 난민이 홍콩으로 유입되었고, 1947년까지 2,000명의 불법 거주자가 구룡채성을 점령했다.[33] 1948년 영국 정부의 난민 추방 시도는 실패했고, 이후 영국은 구룡채성 문제에 대해 '불간섭' 정책을 채택했다.[33]
1948년 1월 8일, 국민당 정부는 영국 대사에게 "외무부는 이제 영국 대사관에 해당 협약의 조항에 따라 중국 정부가 구룡채성에 대한 관할권을 향유하며 이 관할권을 포기할 의사가 없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7] 영국 외무부는 구룡채성의 주권이 중국에 있는 것을 인정하고 영국 정부가 행정을 담당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중국공산당의 승리로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
2. 4. 내전 종전 ~ 철거 직전
제2차 국공 내전을 피해 많은 중국인 난민들이 홍콩으로 몰려왔고, 1947년까지 2,000명의 불법 거주자들이 구룡채성을 점령했다. 1948년 영국 정부의 퇴거 시도는 실패했고, 이후 영국은 '손을 떼는' 정책을 취했다.[33] 사실상 주권 공백 상태에서 구룡채성은 인구가 급증했고, 무허가 콘크리트 건물이 난립하여 고밀도 슬럼을 형성했다.1950년 1월, 대규모 화재로 3,500가구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1] 이는 불법 거주 지역에서 화재 예방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37]
1959년 구룡채성 내 살인 사건 재판을 통해 홍콩 정부가 구룡채성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 것으로 판결되었다.[1] 그러나 삼합회 등 범죄 조직의 영향력이 강해 범죄와 마약의 소굴이 되었다.[1]
1973년-1974년, 홍콩 경찰의 대대적인 단속(3,500회 이상 급습, 2,500명 이상 체포, 1800kg 이상 마약 압수)으로 삼합회의 세력이 약화되었다.[33] 1983년, 경찰 사령관은 구룡채성의 범죄율이 통제되고 있다고 선언했다.[33]
1980년대 홍콩 반환이 임박해지면서 중화인민공화국과 영국의 협의를 통해 구룡채성 철거가 결정되었다. 1984년 중영 공동 선언으로 철거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87년 1월 14일, 철거 결정이 발표되었고, 주민 보상 문제를 둘러싼 갈등 끝에 1991년-1992년 강제 퇴거가 진행되었다. 홍콩 정부는 약 33,000명의 주민과 기업에 약 27억홍콩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했다.[1]
2. 5. 철거 이후
1993년 3월 23일부터 1994년 4월까지 구룡채성은 완전히 철거되었고,[56][41] 그 자리에는 '''구룡채성 공원''' (Kowloon Walled City Park)이 조성되었다. 1995년에는 같은 구역에 있던 저층 슬럼가가 정비되어 소규모 축구장, 농구 코트, 산악 자전거 주행 코스 등이 설치된 '''가병달도 공원''' (Carpenter Road Park)과, 같은 시기에 건설된 쇼핑 센터인 '''구룡성 광장''' (Kowloon City Plaza)에 인접한 형태로 구룡채성 공원이 개장했다.


재개발된 구룡채성 공원에는 중국풍 정원과 당시 구룡채성의 상황을 전시하는 자료관이 만들어졌다. 자료관은 구룡채성 중심에 마지막까지 남아 노인 홈으로 사용되던 요새 시대의 단층 병사를 개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구룡채성 철거 시 발견된 현판이나 대포 등은 당초 홍콩 정부 계획으로는 침사추이 (Tsim Sha Tsui)의 홍콩 역사 박물관에 보존, 전시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항의로 구룡채성 공원 자료관에서 보관하게 되었다.
1998년 카이탁 공항(구 홍콩 국제공항) 이전으로 구룡성 상공의 소음은 사라졌고, 상점가를 중심으로 주변은 한적한 주택가가 되었다. 구룡채성 공원에는 관광객들이 가끔 방문하지만, 평소에는 주민들이 휴식하는 공원이 되어 태극권이나 스포츠 행사 등 각종 문화 활동이 주민과 지방 관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정원에는 정자, 십이지, 용 등의 석조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3. 구조
본래 구룡채성은 2~3층 규모의 작은 단독주택들이 모여있는 곳이었으나, 주권 공백지대인 탓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무허가 증축이 반복되어 15층까지 높아졌다.[48] 이 때문에 옥상과 가장 외곽에 있는 주택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택은 고시원처럼 햇빛이 차단된 단칸 주거 형태였다.[48] 15층 건물은 본래 2층이었던 건물에 증축을 거듭한 결과였기 때문에, 구룡채성은 건축학상 안전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48] 위생 상태도 매우 열악했다.[48]
1960년대와 1970년대 건설 급증으로, 10층 이상의 건물이 많아졌다.[49][42] 그러나 카이탁 공항이 800m 남쪽에 위치해 건물 높이는 14층을 넘지 않았다.[50]
구룡채성의 수십 개 골목길은 폭이 1m에서 2m에 불과했고, 조명과 배수 시설이 열악했다.[56] 비공식적인 계단과 통로 네트워크가 상층에 형성되어, 지면에 닿지 않고 도시 전체를 남북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49] 약 350개의 건물 대부분은 부실한 기초로 지어졌고, 유틸리티 시설이 거의 없었다.[52] 아파트의 크기는 매우 작았으며(전형적인 유닛은 23m2),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우리 모양의 발코니 및 옥상 증축을 활용했다.[58][42][53] 구룡채성의 지붕은 텔레비전 안테나, 빨랫줄, 물탱크 및 쓰레기로 가득했고, 사다리를 통해 건널 수 있었다.[43][54]
구룡채성 중앙에는 대형상점, 구세군 유치원, 양로원 등의 시설이 존재했다.[48]
4. 운영
형식적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였지만, 구룡채성과 홍콩 사이의 통행 및 이주는 자유로웠다. 홍콩 경찰 개입 이전에는 주민 자치에 의한 자경단이 운영되었다.[1] 주민들은 중국이나 영국 어느 쪽에도 참정권은 없었으나, 홍콩 정부에 세금을 납부하고 사회복지 서비스 혜택을 받았다.[1]
구룡채성은 행정 서비스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형식적으로는 청나라와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 걸쳐 광둥성 바오안 현(현: 선전시 바오안 구) 관할이었지만, 실제로는 홍콩 정부가 담당했다.[2]
상수도, 경비, 가로등 설치, 복지 서비스, 쓰레기 처리 등은 성 밖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이루어졌다.[3] 1963년부터 상수도 공급이 시작되었지만,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주민들은 업자에게 의존했다.[4] 하수도는 1970년대에 홍콩 정부가 도입했다.[4] 전기 공급은 1977년부터 시작되었으나, 많은 주민들이 불법으로 인입선을 설치했다.[4]
주민들은 뭉쳐 단결했고, 커뮤니티는 매우 발달하여 구세군 유치원과 홍콩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 해당하는 시설인 "룽진의학", 양로원에 해당하는 시설도 갖추어져 있었다.[9] 유치원은 신분증 없이도 들어갈 수 있었고, 월 수업료는 무료였지만 100HKD의 기부를 받았다.[9]
구룡채성은 면적이 매우 제한되었지만 230개에 달하는 통로 이름이 있었다.[11]
5. 구룡채성 공원
1993년 3월 23일부터 1994년 4월까지 구룡채성은 완전히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구룡채성공원이 건설되었다.[17] 카펜터 로드 공원과 인접한 31000m2 크기의 이 공원은 1995년 8월에 완공되어 도시 위원회에 인도되었으며, 몇 달 뒤 12월 22일 크리스 패튼 총독이 공식적으로 개장했다. 공원 건설에는 총 이 소요되었다.[65]
공원의 디자인은 초기 청나라 시대의 강남 중국 정원 양식을 모델로 했다. 공원은 8개의 경관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65] 완전히 복원된 아문이 중심을 이룬다. 공원의 길과 정자는 구룡채성의 거리와 건물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다섯 개의 비석과 세 개의 오래된 우물과 같은 구룡채성의 유물도 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이 공원은 건축 서비스 부서가 설계했으며, 재개발로 독일 중앙원예협회로부터 "권위 있는 상"을 받았다.[18]
공원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구성 요소 | 설명 |
---|---|
팔화보도 | 각각 다른 식물이나 꽃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69] |
체스 정원 | 4개의 3by 장기 중국 체스판이 특징[72] |
중국 십이간지 정원 | 12개의 중국 십이간지 동물의 석상이 포함됨[71] |
사계 정원 (광인 광장) | 사계절을 상징하는 식물이 있는 300m2 정원[70] |
육예 테라스 | 정원과 대나무 정자를 포함하는 600m2 규모의 결혼식장 |
규성 정자 | 두 개의 석비로 틀을 잡은 문 게이트와 홍콩의 중국 반환을 나타내는 우뚝 솟은 구이비 암석을 포함함[74] |
마운틴 뷰 정자 | 전체 공원을 잘 볼 수 있는 정박한 배를 닮은 2층 구조물[73] |
룽춘, 육통, 룽남 정자 | [75] |
아문과 남문 잔해 | (아래 참조)[35] |
고고물 및 기념물 사무소는 구룡채성이 철거되는 동안 고고학적 조사를 실시했으며, 여러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76] 그중에는 구룡채성의 야멘과 남문 잔해가 있었으며, 1996년 10월 4일 홍콩의 지정 기념물로 공식 지정되었다.[77]
남문은 원래 구룡채성의 주 출입구였다. 기초와 함께 "남문"과 "구룡채성"이라고 새겨진 두 개의 석재 현판, 그리고 남문으로 이어지는 판석 길이 발견되었다. 채성의 벽과 동문의 기초도 발견되었다.[65] 홍콩 정부는 야멘 앞 광장 옆에 남문 잔해를 보존했다.[67]
야멘 건물은 세 개의 홀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중앙 홀은 구룡 보좌관의 행정 사무실로 사용되었고, 후면 블록은 그의 거주지였다. 1899년 정부 관리가 이 지역을 떠난 후, 양로원, 과부와 고아의 피난처, 학교, 진료소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복원되었으며 현재 공원 중앙 근처에 있다.[78] 구룡채성의 사진 갤러리가 있으며, 18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개의 대포가 입구 양쪽에 놓여 있다.[68]
재개발 후 구룡 성채 공원에는 중국풍의 정원과, 당시 구룡 성채의 상황을 전시하는 자료관이 만들어졌다. 이 자료관은 구룡 성채의 중심에 마지막까지 남겨져 노인 홈으로 사용되던 요새 시대의 단층 병사를 개수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룡 성채 해체 시 폐기물 중에서 발견된 현판이나 대포 등의 많은 문화재는, 당초 홍콩 정부의 계획으로는 구룡의 침사추이 (Tsim Sha Tsui) 에 있는 홍콩 역사 박물관에서 보존, 전시할 예정이었으나 성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항의로 구룡 성채 공원의 자료관에서 보관하게 되었다.
1998년 카이탁 공항(구: 홍콩 국제공항)의 이전 등으로 구룡성 상공의 소음은 사라졌고, 활기 넘치는 상점가를 중심으로 주변은 한적한 주택가가 되었다. 구룡채성 공원에는 관광객들이 가끔 방문하지만, 평소에는 주변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원이 되어 있으며, 태극권이나 스포츠 행사 등 각종 문화 활동도 주민과 지방 관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정원에는 정자와 십이지, 용과 같은 석조 조형물도 설치되어 있다.
5. 1. 문화적 유산
1994년 당시 영국·홍콩 정청이 구조물 해체 시 폐기물에서 발견된 돌로 된 큰 편액에 의해 구룡채성의 정식 명칭이 '''구룡채성'''(구룡채성)으로 명확해졌다. 이때, 채성 시대의 대포의 포신 등도 발견되었으며, 귀중한 문화재로서 구룡채성 공원 내 자료관에 보관되어 있다.[99][100][101][102][103]구룡채성은 초창기에는 기피 대상이었지만, 이후 많은 홍콩 주민들에게 자부심의 원천이 되었다.[55] 홍콩 반환 이후 홍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룡채성과 그 소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대중의 기억은 구룡채성을 미화하는 경향이 있어, 범죄와 부패는 잊혀지고 있다.[22] 구룡채성은 낭만적인 디스토피아적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많은 현대 미디어는 구룡채성의 문화를 작품에 차용하고 있다.[55]
구룡채성에서 시간을 보낸 몇몇 사람들은 그들의 경험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복음 전도사 재키 풀린저(Jackie Pullinger)는 1989년 회고록 ''Crack in the Wall''에서 구룡채성 내부에서 약물 중독자들을 치료하는 데 참여한 내용을 썼다. 마틴 부스(Martin Booth)는 2004년 자서전 ''Gweilo''에서 1950년대 어린 시절에 구룡채성을 탐험한 경험을 묘사한다.[81] 당시 구룡 시 지구의 구역 관리관이었던 고든 존스(Gordon Jones) 또한 재임 기간 동안의 도시에서의 기억을 출판했다.[23]
로버트 러들럼(Robert Ludlum)의 소설 ''본 슈프리머시''는 구룡채성을 배경 중 하나로 사용한다.[79] 이 도시는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의 브리지 3부작에서 가상 현실 환경으로 등장하며 (스티븐 풀(Steven Poole)은 이를 "정치적, 창의적 자유의 오아시스"라고 묘사), 그의 ''와이어드'' 기사 "사형 선고가 내려진 디즈니랜드"에서는 싱가포르와 긍정적인 대조를 이룬다.[82][83] 클로이 콩(Chloe Gong)의 2023년 성인 판타지 소설 ''Immortal Longings''는 그 배경으로 구룡채성에서 영감을 얻었다.[24]
특히 일본에서는 1980년대에 컬트적으로 반쯤 전설화되었다. 그중에는 관광버스로 찾아와 내부를 탐색하는 투어까지 등장했다. 홍콩 반환을 앞두고, 대영 제국의 마지막 식민지였던 홍콩이 공산권에 흡수되는 것에 대한 우려와 함께, 식민지 지배의 상징이기도 했던 구룡채성을 외국 미디어가 많이 다루었다. 철거 전후에는 일본 언론도 취재를 왔으며, 구룡채성 해체 보도도 나왔다. 철거 당시 이주 과정에서 마지막까지 내부에 있던 것은 일본의 텔레비전 제작진이었다고 한다.[104]
일본에서는 홍콩을 배경으로 한 공각기동대(1995년),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구룡스 게이트(1997년), 드림캐스트 게임 쉔무 II(2001년) 등에도 구룡채성의 영향과 요소가 반영되었다.
블레이드 러너나 윌리엄 깁슨의 사이버펑크 소설처럼, 홍콩을 암울한 디스토피아적 미래 세계의 모델로 삼아, 오리엔탈리즘적 표현, 특히 화양절충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가진 아시아 도시의 모습을 구룡채성에서 찾는 경향도 있었다.
6. 대중문화 속의 이미지
구룡성채는 특유의 분위기와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거나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 ''본 슈프리머시''는 구룡채성을 배경 중 하나로 사용한다.[79] 이 도시는 윌리엄 깁슨의 브리지 3부작에서 가상 현실 환경으로 등장하며, 스티븐 풀은 이를 "정치적, 창의적 자유의 오아시스"라고 묘사했다. 깁슨은 ''와이어드'' 기사 "사형 선고가 내려진 디즈니랜드"에서 싱가포르와 긍정적인 대조를 이루는 구룡채성을 언급했다.[82][83]
클로이 콩의 2023년 성인 판타지 소설 ''Immortal Longings''는 구룡채성에서 영감을 얻은 배경을 사용했다.[24]
애니메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II V''의 3화 후반부와 4화는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하며, 류, 켄, 춘리가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하는 어둡고 무법한 지역으로 묘사된다. 그들이 구룡채성의 경계에 도달하면 경찰에 의해 구조된다.
구룡성채의 부분적인 재현이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교외에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운영되었던 아케이드 게임인 Warehouse Kawasaki에 존재했다. 이 아케이드의 좁은 복도, 전선, 파이프, 우편함, 표지판, 네온사인, 낡은 포스터 및 기타 다양한 작은 요소들을 통해 구룡성채의 분위기를 반영했다.[32]
- 구룡 레트로 (토마P, 2012년)
- 구룡 이드라 (토마P, 2012년)
- 앨런 워커 Sing me to sleep
- 카멜리아 Labyrinth in Kowloon: Walled World
- 디지몬 유니버스 어플리 몬스터즈
6. 1. 영화
구룡성채는 여러 영화와 게임에 영감이나 배경으로 등장했다.영화 제목 | 연도 | 비고 |
---|---|---|
블레이드 러너 | 1982 | 도시 모습에 영향[107][108] |
쇼 브라더스 스튜디오의 구룡성 이야기 | 1982 | 구룡채성 배경[25] |
법의 심판 | 1984 | 갱 멤버들의 피난처[81] |
블러드 스포츠 | 1988 | 무술 토너먼트 배경[86] |
바라카 | 1992 | 철거 직전 모습 상세 촬영 |
크라임 스토리 | 1993 | 성룡 주연, 일부 촬영 및 건물 폭파 장면 실제 촬영[87] |
공각기동대 | 1995 | 도시 모습에 영향[105][106] |
배트맨 비긴즈 | 2005 | 고담시 외형 모티브, 좁은 골목 영감[88] |
공각기동대 S.A.C. 2nd GIG | 2002 | 아시아계 난민구역 |
공각기동대 : 이노센스 | 2004 | 도시 모습 등장 |
쿵푸 허슬 | 2004 | 돼지촌 배경 |
리-사이클 | 2006 | 공포 영화, 낡고 악몽 같은 버전[89] |
레이드 | 2011 | 건물 외형에 영향 |
일권정구룡 | 2016 | TVB 무술 드라마, 1960년대 초 삼합회 지배 배경[26] |
추룡 | 2017 | 구룡채성 배경 |
구룡성채: 무법지대 | 2024 | 사토 안디 만화 각색, 1980년대 배경[27] |
고르고 13 구룡의 목 | 1977 | |
성채출래자 | 1982 | |
성항기병: 구룡의 사자 | 1984 | |
화폭도시: 구룡의 보물 | 1992 | |
신 폴리스 스토리 | 1993 | |
구룡성채지위성 | 2024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야마자키 류지가 한때 구룡채성에 살았다는 설정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허드슨 시점으로 구룡채성 미션 진행
- ''코라의 전설'': 로우어 링 표현의 미적 기초[28][29]
6. 2. 게임
구룡채성은 여러 게임에 등장하는데, 대표적으로 ''구룡즈 게이트''(1997년)[81], ''쉔무 II''(2001년),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2010년)[30] 등이 있다. 영화 ''첩혈쌍웅''의 후속작인 게임 ''스트랭글홀드''는 수백 명의 삼합회 조직원들로 가득 찬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한다.게임 ''피어 이펙트''와 ''피어 이펙트 2''에서는 구룡채성의 사진이 분위기, 카메라 앵글, 조명 등에 영감을 주었다.[91] MMORPG ''길드 워즈 팩션''의 컨셉 아트에는 구룡채성에서 영감을 얻은 거대하고 밀집된 구조물이 묘사되어 있다. 펜 앤 페이퍼 RPG ''섀도우런''과 CRPG ''섀도우런: 홍콩''은 2056년을 배경으로 범죄가 만연한 재건된 구룡채성을 포함하고 있다. 2022년 비디오 게임 ''스트레이''의 환경 역시 구룡채성의 영향을 받았다.[31]
이 외에도 구룡도(1986년), 섀도우 하츠(2001년), 파라노말 HK(2020년), Welcome to Kowloon(2023년) 등의 게임들이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하거나 영향을 받았다.
6. 3. 만화
만화 ''크라잉 프리맨''에서 주인공의 아내는 저주받은 검술을 익히고 검을 제어하기 위해 구룡채성으로 여행을 떠난다.[84] 만화 ''블러드플러스: 구룡 나이츠''는 일련의 살인 사건의 배경으로 구룡채성을 사용한다.[85] 만화 ''구룡 제네릭 로맨스'' 또한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한다. 소년탐정 김전일 20주년 기념 시리즈 "홍콩 구룡 재보 살인 사건"(2012년)과 소년탐정 김전일 홍콩 구룡 재보 살인사건(2013년)도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한다. 성채영웅(2016년)또한 구룡채성을 배경으로 한다.7. 관련 장소
- 삼원리(San Yuan Li):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광저우시 북부에 있는 구 시가지이다. 아편 전쟁 당시 영국에 저항하는 민중이 일어난 곳으로, 중국에서는 과거 반영 운동의 땅으로 알려져 있다(삼원리 사건). 시가지의 과밀한 주거군, 불안정한 치안, 인접한 구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의 존재 등은 구룡성채와 매우 흡사했다.
- 파벨라: 브라질의 불법 건축물이 늘어선 빈민가이다.
- 센트로 피난시에로 콩피난사스(데이비드 타워):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 있는 45층짜리 초고층 빌딩이다. 건설 중인 상태에서 2,500명이나 되는 불법 거주자에게 점거당해, 자체적으로 수도 설비를 갖추고 주거, 상점, 이발소, 피트니스 클럽까지 마음대로 개업하는 등, 건물 하나가 마치 하나의 도시와 같아졌다.
- 군함도: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하시마의 속칭이다. 슬럼은 아니지만 증개축을 반복한 RC 건축의 초과밀 도시로서 공통점을 갖는다. 1974년 탄광 폐광으로 무인화되었으나, 2009년부터 일부 지역에 관광객 상륙이 가능해졌다. 2015년 세계 문화 유산에 등록되었다.
- 충킹맨션(충칭 대하): 1960년대에 완성된 홍콩의 구룡, 침사추이 지구에 있는 고층 빌딩이다. 게스트하우스나 호텔 등의 숙박 시설이 많고, 쇼핑센터, 인도계 레스토랑, 환전소 등이 있는 잡거 빌딩이다. 구룡성채의 후계 역할로 비유되기도 한다.
- 나카노 브로드웨이: 일본 도쿄도 나카노구에 있는 복합 빌딩이다. '일본의 구룡성'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 사와다 맨션: 고치현 고치시에 있는 집합 주택이다. '군함도 맨션'이라고도 불리며, 증축을 거듭한 외관으로 '일본의 구룡성'이라고도 불린다.
8. 교통
- MTR 관탕선 러푸(Lok Fu)역에서 도보 10~15분 또는 버스 이용
- MTR 관탕선 웡타이신(Wong Tai Sin)역에서 도보 15~20분 또는 버스 이용
- 리갈 오리엔탈 호텔(Regal Oriental Hotel)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3분 거리
- 카펜터 로드(Carpenter Rd.)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3분 거리
참조
[1]
웹사이트
Infographic: Life Inside the Kowloon Walled City
https://www.archdail[...]
2022-02-11
[2]
웹사이트
How Kowloon Walled City survived attempts to knock it down for almost a century
https://www.scmp.com[...]
2023-07-06
[3]
웹사이트
Excavation Report of Kowloon Walled City, Hong Kong
http://www.nssd.org/[...]
[4]
웹사이트
Walled City, Hong Kong: The incredible story of the lawless enclave inside Hong Kong
https://www.smh.com.[...]
2024-08-14
[5]
저널
A Tale of Two Walled Cities: Kowloon and Weihaiwei
https://heinonline.o[...]
1982
[6]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 Historic Hong Kong documents {{!}} Gwulo: Old Hong Kong
https://gwulo.com/no[...]
2021-10-11
[7]
서적
Britain and China 1945–1950: Documents on British Policy Overseas
Routledge
[8]
저널
The History of Planning for Kowloon City
https://hub.hku.hk/b[...]
2018
[9]
뉴스
Kowloon Walled City: Life in the City of Darkness
http://www.scmp.com/[...]
2014-01-29
[10]
저널
Hong Kong's Dirty Little Secret
2000-11
[11]
Youtube
City of Imagination: Kowloon Walled City 20 Years Later
https://www.youtube.[...]
Wall Street Journal
2019-03-08
[12]
뉴스
Memorandum for Members of the Recreation Select Committee, Capital Works Select Committee, Finance Select Committee, and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Whole Council: Proposed Park at the site of Kowloon Walled City 10 April 1987
Urban Council
[13]
뉴스
Memorandum for Members of the Recreation Select Committee: Proposed Park Development at The Kowloon Walled City Site 7 September 1990
Urban Council
[14]
웹사이트
Antiquities and Monuments Office - Declared Monuments in Hong Kong - Kowloon (172)
https://www.amo.gov.[...]
2024-05-15
[15]
웹사이트
Life Inside The Most Densely Populated Place on Earth [Infographic]
http://www.popsci.co[...]
2018-04-13
[16]
웹사이트
Kowloon Walled City: In Hong Kong, it was the densest place on Earth
https://www.cnn.com/[...]
2021-05-13
[17]
뉴스
Walled City's transformation sparks hopes for other sites
http://www.scmp.com/[...]
2014-01-28
[18]
뉴스
Walled City park project wins top award
1994-01-12
[19]
저널
Kowloon Walled City Revisited: Photography and Postcoloniality in the City of Darkness
https://quod.lib.umi[...]
2016
[20]
저널
Un-Forgetting walls by lines on maps: A case study on property rights, cadastral mapping, and the landscape of the Kowloon Walled City.
https://www.scienced[...]
2012
[21]
저널
The second life of Kowloon Walled City: Crime, Media and cultural memory
2017
[22]
서적
Hong Kong: Culture and the Politics of Disappeara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3]
저널
The Kowloon City District and the Clearance of the Kowloon Walled City: Personal Recollections
https://hkjo.lib.hku[...]
[24]
저널
An Interview With Chloe Gong
https://frictionlit.[...]
[25]
웹사이트
Review of ''Brothers from the Walled City''
http://www.sogoodrev[...]
Sogoodreviews.com
2014-03-11
[26]
저널
TVB 周刊 #950 新劇解構
TVB
2015-09-07
[27]
웹사이트
Twilight of the Warriors: Walled In
https://www.festival[...]
2024-05-13
[28]
문서
The Legend of Korra—The Art of the Animated Series, Book Three: Change
[29]
문서
"The Ultimatum" commentary
[30]
웹사이트
The Lost Kowloon Walled City in Hong Kong as Represented in Video Games
https://untappedciti[...]
2019-08-18
[31]
웹사이트
'Stray' is a futuristic cat simulator for PS4 and PS5
https://www.engadget[...]
2021-07-30
[32]
뉴스
Arcade brings Kowloon Walled City back from the dead... in Japan
http://www.scmp.com/[...]
2014-04-27
[33]
서적
City of Darkness: Life in Kowloon Walled City
Watermark
[34]
저널
Kowloon Walled City: Its Origin and Early History
http://sunzi.lib.hku[...]
2009-11-25
[35]
문서
Graudin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Golden Boy: Memories of a Hong Kong Childhood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6
[39]
서적
City of Darkness: Life in Kowloon Walled City
2007-09
[40]
웹사이트
$2.7 billion package for residents of Walled City
http://sunzi1.lib.hk[...]
1987-12-10
[41]
서적
Redevelopment of Kowloon Walled City: A Feasibility Study
http://ebook.lib.hku[...]
University of Hong Kong
2014-03-11
[42]
서적
City of Darkness: Life in Kowloon Walled City
[43]
서적
City of Darkness: Life in Kowloon Walled City
[44]
뉴스
Families evicted from slum city
http://www.lexisnexi[...]
The [[Toronto Star]]
1991-11-28
[45]
뉴스
Last squatters evicted in Kowloon
http://www.lexisnexi[...]
The Times
1992-07-03
[46]
뉴스
Demolition begins on HK's Walled City
http://www.lexisnexi[...]
The [[Business Times (Singapore)|Business Times]]
1993-03-24
[47]
뉴스
Work to start on slum area
http://www.lexisnexi[...]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1993-03-19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City of Darkness: Life in Kowloon Walled City
[56]
서적
Unequal treaty, 1898–1997: China, Great Britain, and Hong Kong's new terri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57]
뉴스
A nervy tour of Kowloon's Walled City
http://www.lexisnexi[...]
The Globe and Mail
1982-09-18
[58]
뉴스
The Walled City, Home to Huddled Masses, Falls
https://www.nytimes.[...]
1992-06-16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웹사이트
Kowloon Walled City Park – History/Background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66]
웹사이트
Location Database
http://www.fso-creat[...]
Film Services Office
2009-06-01
[67]
웹사이트
The Old South Gate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68]
웹사이트
The Yamen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69]
웹사이트
Eight Floral Walks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0]
웹사이트
The Garden of Four Seasons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1]
웹사이트
The Garden of Chinese Zodiac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2]
웹사이트
The Chess Garden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3]
웹사이트
The Mountain View Pavilion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4]
웹사이트
Kuixing Pavilion and Guibi Rock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5]
웹사이트
Layout Plan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4-10-21
[76]
웹사이트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n Hong Kong Heritage
http://www5.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77]
웹사이트
Annex I Listing of Declared Monuments
http://www.epd.gov.h[...]
Environmental Protection Department
2006-04-28
[78]
웹사이트
Former Yamen Building of Kowloon Walled City, Kowloon Walled City Park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9-02-05
[79]
서적
The Bourne Supremacy
Bantam Books
1987
[80]
서적
Crack in the Wall
Hodder & Stoughton Religious
1989
[81]
서적
Global Hong Kong
Routledge
2005
[82]
뉴스
Tomorrow's man
https://www.theguard[...]
2009-05-03
[83]
간행물
Disneyland with the Death Penalty
https://www.wired.co[...]
Condé Nast
1993-09
[84]
웹사이트
Crying Freeman Volume 3 TPB
http://anime.advance[...]
Advanced Media Network
2006-10-04
[85]
웹사이트
Blood+: Kowloon Nights
http://www.darkhorse[...]
Dark Horse Comics
[86]
웹사이트
New Age Timeout
http://www.newagebd.[...]
New Age
2005-05-19
[87]
웹사이트
Kowloon Walled City Park Information
http://www.homeandab[...]
Home & Abroad
[88]
뉴스
Interview: Christopher Nolan
http://movies.ign.co[...]
IGN
2005-06-06
[89]
웹사이트
Re-Cycle
http://www.dvdtimes.[...]
2006-09-12
[90]
웹사이트
Stranglehold
http://www.thunderbo[...]
Thunderbolt
2009-09-07
[9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Stan Liu – Part 1
http://www.gamecriti[...]
Game Critics
2001-04-04
[92]
웹사이트
ArenaNet Art Director Daniel Dociu wins Spectrum 14 gold medal!
http://gw1101.gtm.gu[...]
Guild Wars
2007-03-09
[93]
서적
Shadowrun: Runner Havens
https://www.scribd.c[...]
Fanpro
2006
[94]
문서
「砦」と「寨」はお互いに[[異体字]]であり、[[訓読み]]では「とりで」と読む。現地では「寨」の方のみ使う。
[95]
웹사이트
九龍城には、一度入ると出てこられない。
http://travering.shi[...]
TRAVERING
2024-05-27
[96]
웹사이트
“20代”のドニー・イェンが黒社会の拠点へ…「追龍」九龍城砦シーン公開
https://web.archive.[...]
ぴあ
2024-05-27
[97]
웹사이트
世界最狂のスラム街だった九龍寨城へ
https://marisol.hppl[...]
Marisol
2024-05-27
[98]
뉴스
Kowloon Walled City: Life in the City of Darkness
South China Morning Post
2013-03-16
[99]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1781–1997
Random House
2007
[100]
뉴스
Charles' diary lays thoughts bare
BBC News
2006-02-22
[101]
서적
The Twentieth Century,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V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02]
뉴스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BBC News
[103]
웹사이트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http://www.bbc.co.uk[...]
BBC News
2008-12-13
[104]
문서
ソースがありません。不確定な情報な可能性があります。
[105]
서적
Liquid Metal: The Science Fiction Film Reader
Wallflower Press
2004
[106]
DVD
Production Report
Production I.G
1996
[107]
웹사이트
Blade Runner in 2019 – what did it get right about Hong Kong life today and how great was its influence on science fiction?
https://www.scmp.com[...]
サウスチャイナ・モーニング・ポスト
2019-12-01
[108]
서적
The Postmodern Arts: An Introductory Reader
Routledge
1995
[109]
서적
BFI Modern Classics: Blade Runner
British Film Institute
1997
[110]
서적
Future Noir: the Making of Blade Runner
Orion Media
1996
[111]
웹사이트
宮本隆司×巽孝之 対談載録 今、甦る魔窟 九龍城砦
https://dokushojin.c[...]
週刊読書人
2017-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