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승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승계는 한 국가의 영토나 주권이 다른 국가로 이전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전면적 승계와 부분적 승계로 구분된다. 전면적 승계는 국가가 완전히 소멸하고 다른 국가가 그 주권을 대체하는 경우이며, 부분적 승계는 영토 일부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해도 존속하는 경우이다. 국가승계는 조약, 재산, 공문서, 채무, 국제기구 회원 자격 등의 문제와 관련되며, 19세기에는 포괄적 승계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승계 부정설이 대두되었다. 국제법 위원회(ILC)는 국가승계 문제를 연구하여 조약과 조약 외 사항에 대한 초안을 마련했으나, 각국의 지지를 충분히 얻지 못했다. 국가승계와 관련하여 아프가니스탄, 이스라엘, 캄보디아, 유고슬라비아 등 다양한 국가의 사례가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와 같이 현재 논란이 진행 중인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국가승계
개요
유형국제법 상의 개념
정의한 국가의 권리와 의무가 다른 국가로 이전되는 과정
내용
관련 법률재산법
계약법
행정법
국제법
주요 내용국가의 영토, 조약, 재산, 부채, 국적, 소송 등의 승계
유형
국가 승계 유형합병
분할
독립
할양
승계 대상조약
채무
재산
국적
국가 책임
국가 기록 보관소
관련 조약
비엔나 협약국가 승계와 관련된 조약에 관한 비엔나 협약
국가 승계와 관련된 국가 재산, 기록 보관소 및 채무에 관한 비엔나 협약
참고
관련 개념정부 승인
국가 지속성

2. 국가승계의 개념 및 유형

국가승계는 전면적 국가승계부분적 국가승계로 나눌 수 있다. 전면적 국가승계는 한 국가가 완전히 소멸하고 그 주권이 하나 이상의 승계 국가로 대체되는 경우이다. 부분적 국가승계는 국가가 영토 일부에 대한 통제권을 잃은 후에도 계속 존속하는 경우이다.

부분적 국가승계의 예로 방글라데시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경우가 있다. 파키스탄은 계속 존속하며 유엔 회원국 지위를 유지했고, 방글라데시는 새로운 국가로 인정받아 유엔 가입을 신청해야 했다.

전면적 국가승계의 예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된 경우가 있다. 체코슬로바키아 모두 새로운 승계 국가가 되었다.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병합되거나 정복되어 완전히 소멸하거나 폐지되는 경우도 있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독일 재통일 이후 완전히 폐지된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다. 현대 독일은 독일 연방 공화국의 연속이지 승계 국가가 아니다.

2. 1. 국가승계의 정의

국가승계는 왕조, 영토, 재산 등의 승계(포괄 승계, 분할, 병합 등) 문제로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국제 관습법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변경되어도 국가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타국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지속된다는 것이 학설과 국가 실행에서 인정되었으며, 이는 포괄적 승계설로 여겨진다.[29] 19세기 말부터는 포괄적 승계에 부정적인 승계 부정설이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승계 부정설이 국가 승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이는 구 종주국으로부터 독립한 신생 국가에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 산하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 국가 승계를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1962년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1967년 국제법 위원회(ILC)는 국가 승계 문제를 ①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와 ② 조약 이외의 사항에 관한 국가 승계로 구분하고, 조약 관련 부분은 1972년 초안 작성 후 1978년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으로 정리되었다.

조약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1973년 공적 재산 승계에 관한 초안이 제출되었고, 1981년 국가 재산, 국가 문서 및 국가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 조약 초안으로 변경되어 ILC에서 채택, 유엔 총회에 심의가 위임되었다. 1983년 유엔 총회는 전권 국제 회의 개최를 결의했으나,[30] 일본 정부는 조약 초안에 의문을 제기하며 채택 회의를 기권했다. 2002년 기준으로 조약 체결국은 5개국(서명국은 6개국)에 불과하여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31]

ILC는 승계 국가 성립 사례를 ① 국가 결합과 ② 국가 일부 분리로 구분하고, 국가 일부 분리의 예로 신생 국가 독립과 국가 소멸을 제시했다(1972년 초안 및 1974년 개정 초안). 이러한 초안 및 조약은 전후 신생 국가 독립 추세를 반영한 것이며,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은 각국의 법적 역사관으로 인해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해 서명 후 비준 국가는 22개국에 그쳤다.

2. 2. 국가승계의 역사적 배경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바뀌어도 국가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다른 나라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계속된다는 것이 학설과 국가 실행에서 인정되었다. 이는 포괄적 승계설로 여겨진다.[29]

19세기 말부터는 포괄적 승계에 부정적인 견해가 등장했다(승계 부정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논의에서는 오히려 승계 부정설이 국가 승계 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는 구 종주국으로부터의 독립이 잇따르고, 이러한 신생 국가에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의 국제법 법전화 사업 준비 기관인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에 연구 과제로 국가 승계를 제시하고, 1962년에 구체화를 위한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1967년 국제법 위원회(ILC)는 국가 승계 문제를 ①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와 ② 조약 이외의 사항에 관한 국가 승계로 구분하고, 조약에 관한 부분은 1972년에 초안을 작성(1972년 초안), 1978년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으로 정리되었다.

조약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공적 재산의 승계에 관한 초안이 1973년에 제출되었고, 1981년에는 초안의 명칭이 「국가 재산, 국가 문서 및 국가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 조약(국가 재산 등 승계 조약) 초안」으로 변경되어 ILC에서 채택되었으며, 유엔 총회의 심의에 위임되었다. 유엔 총회에서는 1983년에 전권 국제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의했다.[30] 일본 정부는 이 조약 초안에 대해 의문이 있다며 채택 회의를 기권했다. 또한, 조약 체결국은 5개국(서명국은 6개국)이며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2002년 기준).[31]

ILC에서는 승계 국가가 성립하는 사례를 크게 ① 국가의 결합과 ② 국가의 일부 분리로 구분하고, 국가의 일부 분리의 구체적인 예로 신생 국가의 독립과 국가의 소멸을 들고 있다(1972년 초안 및 개정 1974년 초안). 이러한 초안 및 조약은 전후 신생 국가 독립 러시를 뒤따르는 것이며,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에 대해서도 각국의 법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하여, 서명 후 비준한 국가는 22개국에 머물렀다.

2. 3. 국가승계의 유형

국가승계는 "전면적" 국가승계와 "부분적" 국가승계로 나눌 수 있다. 전면적 국가승계는 한 국가가 완전히 소멸하고 그 주권이 하나 이상의 승계 국가로 대체되는 경우이다. 부분적 국가승계는 국가가 영토 일부에 대한 통제권을 잃은 후에도 계속 존속하는 경우이다.

부분적 국가승계의 예로는 방글라데시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경우가 있다. 파키스탄은 계속 존속하며 유엔 회원국 지위를 유지했고, 방글라데시는 새로운 국가로 인정받아 유엔 가입을 신청해야 했다.

전면적 국가승계의 예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된 경우가 있다. 체코슬로바키아 모두 새로운 승계 국가가 되었다.

국가가 완전히 소멸하거나 폐지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병합되거나 정복되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될 때 발생한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독일 재통일 이후 완전히 폐지된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다. 현대 독일은 독일 연방 공화국의 연속이지 승계 국가가 아니다.

3. 국가승계의 법적 쟁점

국제법인격을 획득하면 조약상 권리와 의무 승계 문제가 발생한다.[4] 승계는 전임 국가로부터 후임 국가로 권리, 의무 또는 재산이 이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외교 공관, 외환 보유고, 박물관 유물과 같은 해외 자산, 승계일 현재 유효한 조약, 국제 기구 참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국가 승계 규칙을 성문화하려는 시도로 1978년 비엔나 협약이 1996년 11월 6일에 발효되었다.[5]

국가 승계 문제는 왕조, 영토, 재산 등의 승계(포괄 승계, 분할, 병합 등) 문제로 오랫동안 존재해 왔지만, 국제 관습법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변경되어도 국가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타국에 대한 권리 의무는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된다는 포괄적 승계설이 학설과 국가 실행에서 인정되었다.[29] 19세기 말부터 포괄적 승계에 부정적인 견해(승계 부정설)가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승계 부정설이 국가 승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이는 구 종주국으로부터 독립한 신생 국가에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 국제법 법전화 사업 준비 기관인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에 국가 승계를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1962년에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1967년 ILC는 국가 승계 문제를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와 조약 이외의 사항에 관한 국가 승계로 구분했다.

일본에서는 두 개의 중국에 관한 승인 시에 이 문제가 거론되었다. 또한 구 종주국과의 전쟁 상태가 종료된 경우, 구 종주국의 영토를 계승한 신생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등)와의 조약, 강화, 전후 처리에 관한 권리 관계 정리 시에 이 법리가 종종 문제 되었다.[33]

1986년 10월 30일 제107회 참의원 내각 위원회에서 타마키 카즈로 당시 총무청 장관은 "공산주의 국가는 승계 국가론을 취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일본국은 칙어에 의해 승계 국가론을 취하고 있으며, 전전(戰前)이라고 해서 정부에 책임이 없다거나 하는 것은 말할 수 없다. 전전이든 전후든 정부의 책임은 정부의 책임이고, 국민에게도 책임이 있다."라는 답변을 했다.

다음은 국가 승계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구 정부신 정부내용
에도 막부일본 정부(메이지 정부)구미 열강은 막부가 맺은 일련의 불평등 조약을 메이지 정부가 승계할 것을 요구했다.
청나라중화민국일본을 포함한 열강은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청나라가 일본에 인정한 권익 등, 청나라가 열강과 맺은 일련의 조약을 중화민국이 승계할 것을 요구했다.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UN 대표권에 관한 알바니아 결의, 광화료 소송 등.
독일국(나치 독일)독일 민주 공화국(동독)동독은 독일국과의 연속성을 부정하고 배상 부채 등의 승계를 거부했다. 서독의 자세와 대조적이었다.
독일국(독일 제국)독일 연방 공화국(통일 독일)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배상금 지불.
러시아 제국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제국의 대외 채무 파기를 선언했다(1918.1.21).[37] 20세기를 통틀어 유일한 소버린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례이다. 한편 소비에트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가진 대중 권익의 일방적인 포기를 선언했다(카라한 선언). 이는 나중에 일부 철회되었다. 러시아 제국의 대외 조약은 실효되었고, 일소 기본 조약이나 라팔로 조약 등으로 외교 관계가 재구축되었다. 유럽 국가들과는 1920년대에 국교를 수립했지만, 미국과의 관계는 늦어져 루즈벨트의 소비에트 국가 승인 선언(1933.11)으로 국교를 수립했다. 영국과는 1924년에 소비에트와 국교를 수립했다가 1927년에 단교하고 1929년에 재수교했으며, 1934년 소비에트의 국제 연맹 가입으로 최초의 조약을 체결했다. 프랑스는 1924년 10월에 소비에트 국가를 승인하고, 1935년 5월 불소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구축했다.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연방구 소련군 소속 함대와 핵무기 귀속을 둘러싼 배치처인 소련 이탈 국가와의 소송.
러시아 제국러시아 연방제1차 세계 대전 때 발행한 러시아 제국 국채 상환.
식민지를 보유한 구 종주국식민지 독립으로 성립한 신 국가신 국가 독립에 있어서 백지 원칙
오스만 제국터키 공화국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은 승계국이라고 주장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국제 연합 등에는 신규 가입 형태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도 승계국이 아닌 신규 독립 국가로 취급받고 있다.
몬테네그로 공국몬테네그로 공화국러일 전쟁에서의 일본에 대한 선전 포고.


3. 1. 조약의 승계

국제법인격을 획득하면 조약상 권리와 의무의 승계라는 문제가 발생한다.[4] 승계는 전임 국가로부터 후임 국가로 권리, 의무 등이 이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외교 공관, 외환 보유고 등 해외 자산, 승계일 현재 유효한 조약, 국제 기구 참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국가 승계 규칙을 성문화하려는 시도로, 1978년 비엔나 협약이 1996년 11월 6일에 발효되었다.[5]

독립 획득 시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구분해야 하지만, 그 경계가 항상 명확하지는 않다:[6]

  • 양자 조약과 다자 조약은 다른 고려 사항을 발생시킨다.
  • '실질적' 조약과 '개인적' 조약이 있다. 실질적 조약은 국경 협정이나 통행권 부여와 같이 영토 자체에 영향을 미치며, 국가의 개성과 관계없이 지속될 수 있다. 새로운 국가는 모국가가 소유한 것 이상을 줄 수 없으므로, 기존의 상태로 국가를 인수해야 한다. 이러한 조약은 "순전히 지역적인 의무를 창출하는 조약"으로 설명될 수 있다.[6]


국가 승계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국제 관습법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이다.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변경되어도 국가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타국에 대한 권리 의무는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된다는 것이 학설과 국가 실행에서 인정되었으며, 이는 포괄적 승계설로 여겨진다.[29] 19세기 말부터 포괄적 승계에 부정적인 설(승계 부정설)이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논의에서는 승계 부정설이 국가 승계 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는 구 종주국으로부터의 독립이 잇따르고, 이러한 신생 국가에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 국제법 법전화 사업 준비 기관인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에 국가 승계를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1962년에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1967년 ILC는 국가 승계 문제를 ①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와 ② 조약 이외의 사항에 관한 국가 승계로 구분하고, 조약에 관한 부분은 1972년에 초안을 작성(1972년 초안), 1978년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으로 정리되었다. 조약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1981년에 「국가 재산, 국가 문서 및 국가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 조약」(국가 재산 등 승계 조약) 초안이 ILC에서 채택되었으나, 2002년 기준 조약 체결국은 5개국에 불과하여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31]

ILC는 승계 국가가 성립하는 사례를 ① 국가의 결합과 ② 국가의 일부 분리로 구분하고, 국가의 일부 분리의 예로 신생 국가의 독립과 국가의 소멸을 들고 있다(1972년 초안 및 개정 1974년 초안).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은 각국의 법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하여, 서명 후 비준한 국가는 22개국에 머물렀다. 일본은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3. 2. 재산, 공문서, 채무의 승계

국가 승계는 이전 국가로부터 새로운 국가로 권리, 의무, 재산 등이 이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외교 공관, 외환 보유고, 박물관 유물과 같은 해외 자산이 포함될 수 있다.[4] 국가 승계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국제 관습법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바뀌어도 국가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다른 나라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그대로 지속된다는 포괄적 승계설이 인정받았다.[29]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포괄적 승계에 부정적인 견해가 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이러한 승계 부정설이 국가 승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이는 구 종주국으로부터 독립한 신생 국가들에게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에 국가 승계를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1962년에 소위원회를 설치했다. 1967년 ILC는 국가 승계 문제를 ①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와 ② 조약 이외의 사항에 관한 국가 승계로 나누었다. 조약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1981년에 국가 재산, 국가 문서 및 국가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 조약 초안이 ILC에서 채택되었고, 유엔 총회에 회부되었다.

유엔 총회는 1983년에 이 조약 초안 채택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했지만[30], 일본 정부는 이 조약 초안에 의문을 제기하며 회의를 기권했다. 2002년 기준으로 조약 체결국은 5개국(서명국은 6개국)에 불과하여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31]

3. 3. 국제기구 회원 자격 승계

국제법인격을 획득하면 조약상 권리와 의무 승계라는 문제가 발생한다.[4] 승계는 이전 국가로부터 새로운 국가로 권리, 의무, 재산 등이 이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외교 공관, 외환 보유고, 박물관 유물, 조약, 국제 기구 회원 자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국가 승계 규칙을 성문화하려는 시도로 1978년 비엔나 협약이 1996년 11월 6일에 발효되었다.[5]

1970년 이카와 카츠이치 외무성 조약국장의 국회 답변에 따르면, 1960년부터 1961년미국에서 UN에서의 중국 대표권 문제에 대해 논의하면서,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이 '하나의 중국'의 승계자로서 UN 가입 절차 없이 UN에 들어갈 수 있다는 설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국제법적인 '승계 국가론'은 아니며, 인도파키스탄, UAR시리아의 사례와 유사한 선례로 언급되었다. 1947년 파키스탄이 인도에서 분리 독립했을 때, 파키스탄은 신규 가입 절차를 거쳤다. 시리아는 1958년 이집트와 아랍 연합을 결성했다가 1961년 탈퇴하면서 UN 가입 절차 없이 복귀가 인정되었다.[32]

4. 국가승계의 예외 및 논란 사례

국가승계는 1945년 국제 연합 창설 이후 여러 예외 사례들이 나타나면서, 완전히 준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에는 정부 형태가 바뀌어도 국가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29]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이러한 포괄적 승계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이러한 견해가 국가승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이는 식민지에서 독립한 신생 국가들에게 유리하도록 국제법이 해석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UN의 국제법 위원회(ILC)는 1949년 국가승계를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1962년에 소위원회를 설치하여 구체화 작업을 시작했다. 1967년, ILC는 국가승계 문제를 조약과 조약 이외의 사항으로 구분하고, 조약 부분은 1978년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빈 조약으로 정리했다. 조약 이외의 사항은 1983년 국가 재산, 국가 문서 및 국가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 조약으로 정리되었으나, 일본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의문 제기로 채택이 보류되었고, 조약 체결국 부족으로 발효되지 않았다.[30][31]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잔존국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국가승계를 요청했으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로 실패했다. 이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세르비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활동을 이어받았다.

4. 1. 질서 있는 승계의 예외

캄보디아에서는 폴 포트가 이끄는 민주 캄푸치아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에 의해 군사적으로 축출되었으나, 유엔은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의 국가승계를 인정하지 않았다.[7] 이후 수년 동안 민주 캄푸치아가 국제 연합의 자리를 유지했으며, 현재는 캄보디아 왕국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탈레반이 1990년대 중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라는 이름으로 사실상 정부 역할을 했지만,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이 여전히 많은 국가로부터 인정받으며 국제 연합(UN) 의석을 유지했다.[7] 2021년 탈레반이 다시 정권을 잡았지만, 현재 아프가니스탄 UN 의석은 민족 저항 전선이 보유하고 있다.[7]

아일랜드는 1922년 앵글로-아일랜드 조약에 따라 아일랜드 자유국이라는 이름으로 영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했다. 아일랜드 자유국은 이전 국가(영국)가 맺었던 조약 관계 승인 여부를 명시적인 선언이나 개별 조약별 행위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보았다.[6] 그러나 실제로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이 아일랜드 자유국 영토에 적용했던 상업 및 행정 조약들이 유효하다고 간주했다.[6]

이스라엘은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선언을 통해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백지 상태에서 시작하여 이스라엘이 수용할 수 있는 이전의 영토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 의무에만 구속된다고 보았다.[6]

4. 2. 논란 중인 국가승계

중화인민공화국(PRC)은 1949년 중국 대륙에서 수립되어 중화민국(ROC)으로부터의 승계를 주장했다. 그러나 중화민국의 영토는 타이완 섬을 중심으로 축소되었고, 냉전 초기에는 중화민국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했다. 1971년, 유엔 총회 결의안 2758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을 대체했지만, 중화민국은 여전히 타이완 지역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정치적 분열과 왕조 교체는 빈번했으며, "중국"을 주장하는 여러 세력이 동시에 존재했던 시기가 많았다.[8]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 중국 전체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주장하고 있다.[9][10][11]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19년에 수립되었을 때, 1910년 이전의 한국의 지위를 직접 계승한다고 주장했다. 1948년 현대 대한민국이 수립되었을 때,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동일하며, 임시 정부가 대한제국을 계승했다고 주장했다.[15] 대한민국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대한제국의 일본 제국 병합을 국제적으로 불법 점령으로 인정한다.

5. 주요 국가별 국가승계 사례

주요 국가별 국가승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구 정부신 정부내용
에도 막부일본 정부 (메이지 정부)구미 열강은 막부가 그들과 맺은 일련의 불평등 조약을 메이지 정부가 승계할 것을 요구했다.
독일국 (나치 독일)독일 민주 공화국(동독)동독은 독일국과의 연속성을 부정하고 배상 부채 등의 승계를 거부했다. 서독의 자세와 대조적이었다.
독일국 (독일 제국)독일 연방 공화국 (통일 독일)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배상금 지불.
오스만 제국터키 공화국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
러시아 제국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제국의 대외 채무 파기를 선언(1918.1.21)[37]。20세기를 통해 완전한 소버린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유일하다. 한편 소비에트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가진 대중 권익의 일방적인 포기를 선언(카라한 선언)。이는 나중에 일부가 철회되었다. 또한 러시아 제국의 대외 조약은 실효되었고, 일소 기본 조약이나 라팔로 조약 등에 의해 외교 관계가 재구축되었다. 유럽 제국과는 1920년대에 국교를 수립했지만 대미 관계는 늦어져, 루즈벨트의 소비에트 국가 승인 선언(1933.11)에 의해 국교를 수립했다. 영국과는 1924년에 소비에트와의 국교를 수립(27년에 단교, 29년에 재교), 1934년의 소비에트의 국제 연맹 가입에 의해 최초의 조약 체결. 프랑스는 1924년 10월에 소비에트 국가 승인, 불소 상호 원조 조약(1935.5)에서 외교 관계를 구축했다.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연방구 소련군 소속의 함대와 핵무기의 귀속을 둘러싼 배치처인 소련 이탈 국가와의 소송.
러시아 제국러시아 연방제1차 세계 대전 때 발행한 러시아 제국 국채의 상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은 승계국이라고 주장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국제 연합 등에는 신규 가입 형태로 가입해야 했다.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도 승계국이 아닌 신규 독립 국가로 취급받았다.



일본에서는 두 개의 중국에 관한 승인 시에 문제가 되었다. 또한 구 종주국과의 전쟁 상태가 종료된 경우, 구 종주국의 영토를 계승한 신 국가 ( 동남아시아 제국 등)와의 조약이나 강화, 전후 처리에 관한 권리 관계 정리 시에 이 법리가 종종 문제가 되었다[33].

1988년 10월 30일 제107회 참의원 내각 위원회에서 타마키 카즈로 총무청 장관은 "공산주의 국가는 승계 국가론을 취하지 않는다는 이상한 점이 있다. 일본국은 칙어에 의해 승계 국가론을 취하고 있으며, 전전이든 전후이든 정부의 책임은 정부의 책임이고 국민도 책임이 있다"는 답변을 했다.

5. 1. 한국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는 국가승계의 한 예시이다. 이후 대한제국조선을 계승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제국을 계승한다고 주장했다.[15]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하며, 대한제국의 일본 제국 병합은 국제적으로 불법 점령으로 인정된다는 중요한 원칙을 가지고 있다.[15]

대한민국은 만국 우편 연합과 같은 국제기구의 회원 자격을 회복하고 1910년 이전의 조약이 여전히 유효함을 재확인했다.[16] 이는 대한민국이 일제강점기 이전의 국제적 지위를 회복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 계승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5. 2. 중국

중화인민공화국(PRC)은 1949년 중국 대륙에서 수립되었으며 중화민국(ROC)으로부터의 승계를 주장했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중국 대륙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하고 있다. 냉전 초기에는 중화민국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지위를 유지했으나, 1971년 총회 결의안 2758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을 대체했다.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심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 단교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을 중화민국의 승계국으로 분류하지는 않고 있다. 중화민국은 타이완 지역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주장하지 않는 외몽골을 포함하여 중국 본토 외에도 국경 지역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정치적 분열과 왕조 교체는 빈번하게 일어났다. 삼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 남북조 시대, 오대 십국 시대, 군벌 시대,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등 여러 시기에 걸쳐 "중국"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세력이 동시에 존재했다.[8] 명청 교체기에도 명나라청나라가 공존했으며, 남명과 동녕 왕국 등 여러 세력이 존재했다.[12][13][14]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모두 공식적으로 중국 전체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주장하고 있다.[9][10][11] 이러한 상황은 과거 중국 역사에서 나타난 정치적 분열과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1970년 이카와 카츠이치 외무성 조약국장의 국회 답변에서 "1960년부터 1961년경, 미국에서 UN에서의 중국의 의석에 대해 생각했을 것"이라는 설이 제기되었다.[32] 이는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모두 UN에 들어갈 경우 가입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승계 국가론"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구 정부신 정부내용
청나라중화민국일본을 포함한 열강은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청나라가 일본에 인정한 권익 등, 청나라가 열강과 맺은 일련의 조약을 중화민국이 승계할 것을 요구했다.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UN 대표권에 관한 알바니아 결의, 광화료 소송 등.


5. 3.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제국이 붕괴하고 세워진 국가이다. 이후 나치 독일이 등장하여 바이마르 공화국을 계승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망한 후, 독일은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으로 분단되었다.

동독은 나치 독일과의 연속성을 부정하고 배상 책임 등의 승계를 거부했다. 이는 서독의 자세와 대조적이었다.[37]

이후 통일된 독일 연방 공화국(통일 독일)독일 제국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배상금 지불 의무를 승계하였다.[37] 현대 독일은 독일 연방 공화국의 연속이지 승계 국가가 아니다.

5. 4. 러시아

소련이 1991년에 해체되면서, 러시아 연방은 소련의 국제 연합 회원국 지위를 승계하였다. 여기에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 지위도 포함되었다. 러시아는 소련 경제의 75% 이상, 인구의 대다수, 영토의 75%를 차지했고, 소련의 역사가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일어난 10월 혁명과 함께 러시아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은 러시아가 소련의 지위를 승계하는 것이 논리적인 선택으로 보이게 했다.[19][20] 1991년 12월 24일,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사무총장에게 독립 국가 연합 9개 회원국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연방이 소련의 안전 보장 이사회 및 기타 모든 국제 연합 기구에서의 회원 자격을 지속할 것임을 알렸다.[21] 모든 소련 대사관은 러시아 대사관이 되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승계 국가로서 소련의 창립 회원국 중 하나였으며, 소련의 유일한 러시아 승계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1991년에 발효된 우크라이나 승계법 제7조와 제8조는 우크라이나에도 이러한 지위를 주장했다.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는 해외 법원에서 러시아 연방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과거 소련이 소유했던 해외 자산의 자국 몫을 회수하려 했다.[23][24][25]

발트 3국의 경우,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는 1940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에 병합된 것이 불법 점령이었다고 주장하며, 1991년 독립을 되찾았을 때 1940년 이전의 지위로부터의 연속성을 주장했다. 다른 많은 국가들도 이러한 견해를 공유하여, 이들 국가는 소련의 전임 국가나 승계 국가로 간주되지 않았다.

구 정부신 정부내용
러시아 제국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제국의 대외 채무 파기를 선언(1918.1.21)[37]。20세기를 통해 완전한 소버린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유일하다. 한편 소비에트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가진 대중 권익의 일방적인 포기를 선언(카라한 선언)。이는 나중에 일부가 철회되었다. 또한 러시아 제국의 대외 조약은 실효되었고, 일소 기본 조약이나 라팔로 조약 등에 의해 외교 관계가 재구축되었다. 유럽 제국과는 1920년대에 국교를 수립했지만 대미 관계는 늦어져, 루즈벨트의 소비에트 국가 승인 선언(1933.11)에 의해 국교를 수립했다. 영국과는 1924년에 소비에트와의 국교를 수립(27년에 단교, 29년에 재교), 1934년의 소비에트의 국제 연맹 가입에 의해 최초의 조약 체결. 프랑스는 1924년 10월에 소비에트 국가 승인, 불소 상호 원조 조약(1935.5)에서 외교 관계를 구축했다.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연방구 소련군 소속의 함대와 핵무기의 귀속을 둘러싼 배치처인 소련 이탈 국가와의 소송.
러시아 제국러시아 연방제1차 세계 대전 때 발행한 러시아 제국 국채의 상환.


5. 5.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6개 구성 공화국 중 4개 공화국이 1991년과 1992년에 분리 독립한 후, 잔여 국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신생 독립 공화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계승을 주장했다.[27] 베오그라드 대표들은 원래 유고슬라비아 UN 의석을 계속 유지했지만, 미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연방의 남은 영토는 이전 연방의 인구와 영토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1992년 9월 19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777)을 채택했고, 9월 22일 총회는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었다는 이론에 따라 새로운 연방이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총회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구 유고슬라비아의 승계 문제에 대한 첫 번째 협상은 1992년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의 중재 위원회의 ''승계 문제 실무 그룹''의 틀 내에서 시작되었다.[27]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의 배타적인 법적, 정치적 계승자이며, 이전 사회주의 연방 정부가 소유한 모든 국가 재산의 소유자라고 주장하고, 호의로 그 일부를 포기할 의향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합의는 처음에는 방해를 받았다.[27]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를 일련의 분리 독립 과정으로 해석했고, 다른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들이 거부한 이전 국가의 완전한 해체로 해석하지 않았다.[27] 바댕테 중재 위원회는 1983년 ''국가 재산, 기록 보관소 및 부채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빈 협약''(당시 유고슬라비아를 포함하여 6개 국가만 서명한 발효되지 않은 협약)을 언급하며 형평성 원칙에 따라 자산과 부채의 분할을 권고했다.[27] 이 제안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에, 국제 통화 기금은 공화국의 경제력과 연방 예산 기여도를 고려한 대체 주요 모델을 개발하도록 동기를 부여했고, 이는 모든 국가가 수용했다.[27] 이 주요 모델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36.52%, 크로아티아 28.49%, 슬로베니아 16.3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3.20%, 마케도니아 5.20%의 참여를 결정했다.[27] 국제 결제 은행의 금 및 기타 준비금에 대한 합의도 이루어졌지만, 최종 결론은 코소보 전쟁의 시작으로 연기되었다.[27]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나토 폭격이 종료된 후 이듬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축출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2000년 11월 1일에 유엔의 새로운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이후 승계 국가들은 합의를 체결했다. 2001년,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옛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현재 북마케도니아) 및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현재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5개국이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승계 문제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여,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후 5개의 주권 동등한 승계 국가가 형성되었음을 결정적으로 확인했다.[28] 이 협정은 마지막 승계 국가가 비준한 2004년 6월 2일에 발효되었다.[28] 이 협정은 외교 및 영사 재산, 금융 자산 및 부채, 기록 보관소, 연금, 기타 권리, 이익 및 부채, 사유 재산 및 취득 권리에 대한 부속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협정으로 서명되었다.[27]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2003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이름을 변경했고, 2006년 5월에 몬테네그로가 독립을 선언했다. 세르비아는 연방의 의석을 계속 유지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가 연합(5개의 승계 국가 중 하나)이 해체된 후, 두 국가는 연방의 권리와 의무의 세르비아 단독 승계를 합의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의 구성 자치주 중 하나인 코소보는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을 통해 2008년 2월에 독립을 선언했다.

구 정부신 정부내용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은 승계국이라고 주장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국제 연합 등에는 신규 가입 형태로 가입해야 했다.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도 승계국이 아닌 신규 독립 국가로 취급받았다.


5. 6. 오스만 제국과 터키

현대 터키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의 연속적인 국가인지 아니면 후계 국가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17] 터키 독립 전쟁(1919–23)에서 두 국가는 서로 다른 편에서 싸웠으며, 심지어 잠시 동안 별도의 행정 단위로 공존하기도 했다.(앙카라(Angora, 현재 앙카라)를 수도로 하는 터키와 콘스탄티노플(현재 이스탄불)을 수도로 하는 오스만 제국). 그러나 이러한 시나리오는 내전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오스만 육군에서 탈영한 무스타파 케말이 이끄는 터키 국민 운동은 터키 독립 전쟁에서 반대 세력을 물리치고 현대 공화국을 국민 국가(또는 새로운 정부 체제)로 수립했다. 이 분쟁이 독립 전쟁이었는지, 아니면 정권 교체를 가져온 내전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남아 있다.

국가 승계 문제는 아르메니아인 학살 배상 문제와 관련이 있다.[18]

5. 7. 기타 국가

참조

[1] 웹사이트 The Term State Succession Under International Law Signifies The Transmission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One State to Another in Consequence of Territorial Sovereignty http://www.lawyersnj[...] 2013-09-09
[2] 서적 The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Clarendon Press
[3] 웹사이트 Kinds of State Succession http://www.sheir.org[...]
[4] 서적 Commonwealth and Colonial Law Stevens & Sons 1966
[5] 간행물 Vienna Convention of succession of States in respect of treaties https://treaties.un.[...] 1996-11
[6] 서적 Commonwealth and Colonial Law Stevens 1966
[7]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Stumbles on Taliban Travel Waiver https://www.voanews.[...] 2022-08-25
[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9] 서적 Eastwards / Westwards: Which Direction for Gender Studies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10] 서적 The China Hand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Politics in Taiwan: Voting for Refor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3]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웹사이트 Riss 통합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http://www.riss.kr/l[...]
[16] 웹사이트 대한제국 국제조악 효력확인 https://news.joins.c[...] 1986-08-04
[17] 간행물 Turkey: Successor or Continuing State of the Ottoman Empi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Is Turkey the 'Continuing' State of the Ottoman Empire Under International Law? 2012
[19] 문서 Letter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from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20]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1] 웹사이트 Member States of the United Nations - Russia* https://www.un.org/e[...] the United Nations 2013-12-28
[22] 웹사이트 Ukraine is the legal successor of the Ukrainian People's Republic https://www.istpravd[...] 2023-08-22
[23] 문서 On Legal Succession of Ukraine
[24] 웹사이트 Про правонаступництво України https://zakon.rada.g[...]
[25] 웹사이트 Раздел СССР. РФ обсудит нулевой вариант долгов СССР, если Украина компенсирует $20 млрд долга‏ https://korresponden[...]
[26]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7] 간행물 The Agreement on Succession Issues of the Former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s://www.jstor.or[...] 2002
[28] 웹사이트 SFRY Succession https://www.gov.si/e[...] Government of Slovenia
[29] 문서 ベルギーの独立を承認した1831年2月19日のロンドン議定書においては「より高い秩序のこの原則(包括的継承の原則)によれば、人民の内部組織に生じた変更がどのようなものであろうとも、条約はその義務的性格を喪失するものではない」とされた。
[30] 문서 外交青書1982年(昭和57年度)版第6節 https://www.mofa.go.[...]
[31] 문서 2002年の時点で、この条約の締約国数は5か国(クロアチア、エストニア、グルジア、マケドニア旧ユーゴスラビア共和国、ウクライナ)に留まっており、発効していない。なお署名国はアルジェリア、アルゼンチン、エジプト、ナイジェリア、ペルー、ユーゴスラビアの6ヵ国である。 東信堂 2022-11
[32] 문서 第64回衆議院外務委員会2号昭和45年12月17日(発言者番号25)引用は要約。原文は国会議事録検索システムから閲覧可能 https://kokkai.ndl.g[...]
[33] 문서 第28回衆議院予算委員会14号昭和33年2月28日など
[34] 문서 日本国憲法公布の勅語(1946年11月3日)
[35] 문서 第107回参議院内閣委員会2号昭和61年10月30日飯田忠雄(発言番号80)
[36] 간행물 政令201号の効力について(法務総裁説明) https://ndlsearch.nd[...] 昭和23年9月3日閣議決定
[37] 논문 ソブリンリスクの歴史と教訓 https://www.ier.hit-[...] 20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