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은 2020년 6월 16일 북한이 개성공단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 상설 연락사무소 설치 합의에 따라 개소되었으나,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남측 인력 철수 이후 북한의 대북 전단 살포 비난과 통신선 차단, 김여정의 폭파 암시 발언 이후 발생했다. 사건 발생 직후 대한민국 정부는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시 강력 대응을 경고했으며,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사임했다. 사건 이후 남북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2021년 7월 통신 채널이 복원되기까지 교착 상태가 지속되었다. 이 사건은 대북 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 논란과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을 야기했으며, 국제 사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남북 관계 -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은 2020년 9월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사건으로, 남북 관계 냉각, 9.19 군사합의 위반 여부, 월북 논란 등을 야기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진상 규명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2020년 남북 관계 - 2020년 GP 총격 사건
    2020년 5월 3일, 북한군이 비무장 지대 내 대한민국 육군 GP에 총격을 가해 남북 관계 긴장을 고조시켰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고 대한민국 군은 경고 방송과 사격으로 대응했다.
  • 2020년 테러 사건 - 2020년 니스 흉기 테러
    2020년 니스 흉기 테러는 2020년 10월 29일 프랑스 니스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튀니지 출신 용의자가 칼로 3명을 살해한 사건이다.
  • 2020년 테러 사건 - 2020년 아덴 국제공항 테러
    2020년 아덴 국제공항 테러는 2020년 12월 30일 예멘 아덴 국제공항에 도착한 예멘 신임 내각 각료들을 대상으로 발생하여 최소 28명이 사망하고 107명이 부상했으며, 후티 반군이 배후로 지목된 공격이다.
  • 개성시의 역사 - 장단군
    장단군은 삼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파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고, 현재는 파주시 장단면과 연천군 장남면으로 나뉘어 있다.
  • 개성시의 역사 - 개성부
    개성부는 조선시대 강화도를 관할하며 수도의 외곽을 방어하고 왕실의 피난처 역할을 한 지방 행정 기관이자 군사적 요충지로서, 1627년 정묘호란 이후 강화유수부가 파견되어 갑오개혁으로 폐지될 때까지 강화도의 행정과 국방을 담당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사건 개요
명칭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영어 명칭Inter-Korean Liaison Office bombing
위치북한 개성시 개성공업지구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좌표37° 55′ 58.7″ N, 126° 37′ 18.7″ E
발생일2020년 6월 16일
관련 분쟁한국 분단 후 휴전선 분쟁
공격 정보
유형시설물 폭파
사용 무기폭탄
사망자없음
부상자없음
가해자김여정
동기북한은 대한민국이 판문점 선언 2조 1항을 위반했다고 주장함
피해 규모
재산 피해102억 원
결과
결과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남북 관계 악화, 한반도 긴장 고조

2. 역사적 배경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체결된 후, 남북 양측은 "상설 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2]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으로 인해 개소는 2018년 8월에서 9월 14일로 연기되었다.[3] 2019년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사무소 운영은 장기간 중단되었으나, 남북 연락관들은 하루 두 차례 통신을 유지했다.[4]

2020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코로나19 범유행 확산에 대응하여 1월 30일 사무소 폐쇄를 결정했고,[5] 대한민국 측 인원은 같은 날 철수했다.[6] 폐쇄 기간 동안에도 대한민국 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과 하루 두 차례 통화를 유지했으며,[7] 대한민국 통일부는 사무소 관련 인력이 서울로 이동하여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고 밝혔다.[8]

2. 1.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체결된 후, 양측은 "상설 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2]

2. 2. 사무소 설치 지연과 개소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체결된 후, 남북 양측은 '상설 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2] 그러나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으로 인해, 당초 2018년 8월 개소 예정이었던 사무소는 같은 해 9월 14일로 연기되어 공식 개소했다.[3]

2. 3. 2019년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2019년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장기간 운영이 중단되었지만, 남북 양측 연락관들은 하루 두 차례 통신을 계속 유지하였다.[4]

3. 전개 과정

2020년 1월 30일, 코로나19 범유행으로 개성에 있던 남측 인력 전원이 철수했고, 이후 남북은 매일 오전 9시, 오후 5시에 정기적으로 통화했다.[139][140][141]

6월 9일, 북한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남북 당국 간 통신연락선, 남북 군부 사이 동서해통신연락선, 남북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 직통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완전히 끊었다.[142]

6월 13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아 "멀지 않아 쓸모없는 북남(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38]

6월 16일, 북한은 개성공단에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탄으로 폭파했다.[143][144][145] 연합뉴스는 6월 13일, 한국 정부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폭발물을 운반하는 것으로 보이는 차량을 봤다고 보도했고,[26] 다음 날 한국군은 사무소 1층과 2층에서 불길을 확인했다.[27]

같은 날 오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공보문을 통해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28] 대한민국 국방부는 한미 협력을 통해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29][30] 이후 개성공단에서 큰 소리와 연기가 났고, 군은 즉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 있는지 확인했다.[31] 북한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고, 전선 지휘관에게 국경 경비 부대 지휘 위치를 점령하도록 했다.[32] 대한민국 육군은 육안으로 폭파를 확인했고, 북한 당국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평양 시간 2시 49분에 폭파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33] 이는 북한 주민 여론에 대한 대응이라고 조선중앙방송은 전했다.[34]

사무소 폭파 후, 북한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다시 배치하고, 초소를 다시 설치하며 군사 훈련을 다시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35]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하고, 군사 도발 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했다.[36][37]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 회의를 소집했고,[38][39] 회의 후 북한 행동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40][41] 청와대는 북한의 사무소 폭파 관련 계획이나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42]

사무소 근처 한국 외교관 숙소도 외벽이 무너지는 피해를 보았다.[43] 한국방송공사 촬영 사진에 따르면,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역시 심하게 부서졌다.[44] 6월 19일, 한국 정부는 북한이 설치한 TNT 폭발물 양이 수백 킬로그램에 달한다고 밝혔다.[46]

3. 1.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남측 인력 철수

2020년 1월 30일,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성에 체류하던 남측 인력 전원이 철수했다.[139][140] 이후 남북 간에는 매일 오전 9시, 오후 5시에 정기적으로 통화했다.[141] 대한민국 통일부는 사무소 관련 인력이 서울로 이동하여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고 밝혔다.[8]

3. 2. 북한의 대남 비난과 통신선 차단

2020년 6월 4일, 김여정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이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은 탈북자 단체가 5월 31일 한반도 비무장 지대를 통해 북한으로 50만 장의 삐라, 50권의 수칙, 2000USD 상당의 $1 지폐, 1,000개의 메모리 카드를 살포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즉각적인 상황 개선을 요구했다.[9] 이어서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대변인은 다음날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폐쇄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10]

김영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중앙 정부 회의에서 삐라 살포를 남북 평화 합의를 위반하는 적대 행위라고 지적하며, 6월 9일 한국 당국과의 모든 통신 채널을 단절했다.[11] 같은 날 12시부터 북한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남북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남북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남북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완전 차단·폐기했다.[142]

6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 권정근은 북미 대화 및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대한 한국 측의 발언을 비난했다.[12]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장 김영철 또한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불신을 느낀다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했다.[13] 이어서 6월 13일 담화에서 김여정은 남북 관계를 무시하고 탈북자들을 비호하는 한국을 다시 한번 비판하며, 한국 정부와의 "작별할 때"라고 언급하며, 조선인민군에 적대 행위 지속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했다.[14] 김여정은 같은 날 담화에서 "머지않아 쓸모없는 북남 공동 연락 사무소가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15]

3. 3.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2020년 1월 30일,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성에 체류하던 남측 인력 전원이 철수했다.[139][140] 이후부터는 매일 오전 9시, 오후 5시에 두 차례 정기적으로 통화했다.[141]

6월 9일, 12시부터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남북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남북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남북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북한이 일방적으로 완전 차단·폐기했다.[142]

6월 13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멀지 않아 쓸모없는 북남(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며 건물 폭파를 암시했다.[138]

6월 16일, 북한이 개성공단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탄으로 폭파하여 파괴했다.[143][144][145] 연합뉴스는 김정은과 정세균의 통화 이후인 6월 13일, 한국 정부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폭발물을 운반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차량을 관찰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하여 보도했다.[26] 다음 날 한국군은 사무소 1층과 2층에서 화염을 관찰했다.[27]

같은 날 오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남북 관계의 지속적인 악화에 대비하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으며, 당과 정부가 취하는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 관점에서 확고히 보장한다는 내용의 공보문을 발표했다.[28]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방부 최현수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군이 언제 어떤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며,[29]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추적할 것이라고 말했다.[30] 이후 정부는 오후에 개성공단에서 큰 소리와 연기를 관찰하고, 군은 즉시 그것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된 것인지 확인했다.[31] 그리고 북한 측에 대한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는 한편, 전선 지휘관에게 국경 경비 부대를 지휘할 위치를 점령하도록 요청했다.[32] 대한민국 육군은 육안으로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이 폭파된 것을 확인했으며, 이후 북한 당국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2시 49분 평양 시간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라는 명령을 작전 부대에 내렸다고 확인했다.[33] 이는 북한 주민의 여론에 대한 대응이라고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발표했다.[34]

사무소 파괴 이후 북한 당국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재배치하고, 초소를 재설치하며 군사 훈련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35] 북한 정부의 발표에 대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의 전동진[36] 작전본부장은 북한 정부의 움직임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고, 군사적 도발 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37]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사무소 파괴 소식을 접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 회의를 소집했다.[38] 이는 취임 이후 아홉 번째였다.[39] 회의 후 김유근 국가안보실 사무차장은 북한의 행동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기대하는 모든 사람들의 기대에 완전히 미치지 못했다며,[40]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해 북한이 책임을 져야 함을 분명히 했다.[41]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북한의 사무소 폭파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어떠한 계획이나 통보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42]

사무소 인근의 한국 외교관 숙소도 폭발의 영향으로 외벽이 붕괴되었다.[43] 한국방송공사가 군사 분계선 인근 비행 금지 구역에서 약 2000m 상공에서 촬영한 6월 17일 사진에 따르면, 사무소 인근의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역시 피해를 입고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44] 6월 19일, 한국 정부 소식통은 "코리아중앙데일리"에 한국군과 북한 관영 매체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 측이 설치한 TNT 폭발물의 양이 수백 킬로그램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46]

4. 원인 분석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하위 섹션에서 대북 전단 살포 문제와 북한의 불만 고조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한다.

2020년 6월 4일, 김여정 조선로동당 제1부부장은 탈북자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상황 개선을 요구했다.[9] 이후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는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폐쇄를 발표했고,[10] 김영철 부위원장은 삐라 살포를 적대 행위로 규정하며 통신 채널을 단절했다.[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권정근 국장은 북미 대화에 대한 한국 측 발언을 비난했고,[12] 김영철 부장은 한국 정부의 태도에 불신을 표명했다.[13] 김여정은 한국을 비판하며 "작별할 때"라고 언급하고, 조선인민군에 적대 행위 결정 권한을 부여했다.[14] 또한 "쓸모없는 북남 공동 연락 사무소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15]

4. 1. 대북 전단 살포 문제

2020년 6월 4일, 김여정 조선로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이자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은 탈북자 단체가 50만 장의 삐라, 50권의 수칙, 2000USD 상당의 $1 지폐, 1,000개의 메모리 카드를 5월 31일 한반도 비무장 지대를 통해 북한으로 살포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즉각적인 상황 개선을 요구했다.[9] 이어서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대변인은 다음날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폐쇄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10] 김영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중앙 정부 회의에서 삐라 살포를 남북 평화 합의를 위반하는 적대 행위라고 지적하며, 6월 9일 한국 당국과의 모든 통신 채널을 단절했다.[11]

6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 권정근은 북미 대화 및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대한 한국 측의 발언을 비난했다.[12]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장 김영철 또한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불신을 느낀다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했다.[13] 이어서 6월 13일 담화에서 김여정은 남북 관계를 무시하고 탈북자들을 비호하는 한국을 다시 한번 비판하며, 한국 정부와의 "작별할 때"라고 언급하며, 조선인민군에 적대 행위 지속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했다.[14] 김여정은 같은 날 담화에서 "머지않아 쓸모없는 북남 공동 연락 사무소가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15]

4. 2. 북한의 불만 고조

2020년 6월 4일, 김여정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이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은 탈북자 단체가 5월 31일 한반도 비무장 지대를 통해 북한으로 50만 장의 삐라, 50권의 수칙, 2000USD 상당의 $1 지폐, 1,000개의 메모리 카드를 살포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즉각적인 상황 개선을 요구했다.[9]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대변인은 다음날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폐쇄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10] 6월 9일, 김영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중앙 정부 회의에서 삐라 살포를 남북 평화 합의를 위반하는 적대 행위라고 지적하며 한국 당국과의 모든 통신 채널을 단절했다.[11]

6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 권정근은 북미 대화 및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대한 한국 측의 발언을 비난했다.[12] 김영철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장 또한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불신을 느낀다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했다.[13] 6월 13일, 김여정은 담화를 통해 남북 관계를 무시하고 탈북자들을 비호하는 한국을 다시 한번 비판하며 한국 정부와 "작별할 때"라고 언급하고, 조선인민군에 적대 행위 지속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했다.[14] 같은 날 김여정은 "머지않아 쓸모없는 북남 공동 연락 사무소가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15]

5. 대한민국 정부의 대응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위협에 대해 초기에는 대북 전단 살포 행위가 문제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판문점 선언과 평양공동선언 이행 의지를 강조했다.

통일부는 2020년 6월 4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전단 살포가 접경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언급하며, 국민들에게 자제를 요청했다.[16] 대한민국 국방부도 같은 날 북한의 합의 파기 위협에 대응하여 평양공동선언 이행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17]

6월 8일,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오전 정기 통화를 받지 않자, 통일부는 유감을 표명하고 소통 채널 유지를 촉구했다.[18] 북한은 6월 9일 모든 통신 채널을 단절했고, 대한민국 외교부는 미국과 함께 상황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20] 청와대는 남북 간 소통 채널 유지를 강조했고,[21] 국민의힘은 정부의 대북 저자세 외교를 비판했다.[22]

6월 10일, 외교부는 대북 전단 살포 단체들을 고발하고 등록 면허 취소를 결정했다.[23] 6월 14일, 정부는 김정은의 발언에 우려를 표명했고,[24] 국방부는 청와대에서 긴급 회의를 열어 군사 대비 태세를 점검했다.[25]

5. 1. 폭파 사건 직후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판문점 선언에 의해 개설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북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폭파된 것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정부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북측에 있음을 분명히 하고, 북측이 상황을 악화시키는 조치를 계속 취할 경우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46]

문재인 대통령은 사건 소식을 접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했다.[38] 이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아홉 번째였다.[39] 회의 후, 김유근 청와대 국가안보실 사무차장은 북한의 행동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기대하는 모든 사람들의 기대에 완전히 미치지 못했다며,[40]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해 북한이 책임을 져야 함을 분명히 했다.[41]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의 전동진[36] 작전본부장은 북한의 움직임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고, 군사적 도발 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37]

5. 2. 대북 특별사절 파견 제안과 거부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불만을 전달받은 후, 2020년 6월 4일 통일부 노상기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전단 살포 행위가 접경 지역 주민과 재산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정부가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민들에게 대북 전단 살포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16] 같은 날, 대한민국 국방부 최현수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일방적인 합의 파기 위협에 대응하여, 2018년 9월 19일 남북이 서명한 평양공동선언 이행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17]

2020년 6월 8일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대한민국 통일부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정례 업무 관례에 따라 남북은 하루에 두 번, 오전과 오후에 통화를 시도하지만, 이날 오전 북측이 전화를 받지 않았으며, 이는 2018년 사무소 개소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18] 다음 날인 6월 9일, 통일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8일 오후에는 전화를 받았지만, 오전 통화를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남북이 소통 채널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19] 이후 북한 정부는 6월 9일 대한민국 당국과의 모든 통신 채널을 단절했으며,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미국과 함께 남북 관계 변화를 면밀히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20] 이러한 북한의 일방적인 통신 단절에 대해 청와대는 남북 간의 소통 채널은 "상호 합의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21] 이에 야당인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가 북한에 저자세로 일관하며 북한이 이를 악용하도록 내버려두고 있다고 비판했다.[22]

2020년 6월 10일, 대한민국 외교부는 대북 전단 살포 규정을 위반한 탈북자 단체 두 곳을 대북 전단 살포 관련 혐의로 고발하고, 이들의 등록 면허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23] 6월 14일, 대한민국 정부는 김정은의 발언에 우려를 표명했으며,[24] 국방부는 같은 날 오전 청와대에서 긴급 회의를 열어 군사 대비 태세를 점검하고 북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25]

5. 3. 김연철 통일부 장관 사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2020년 6월 17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바라는 많은 국민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 남북관계의 악화와 관련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라며 사의를 표명했다.[147] 이후 2020년 6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사표를 수리했다.[148]

5. 4. 대북 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 논란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불만을 전달받은 후, 통일부는 2020년 6월 4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전단 살포 행위가 접경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한다며, 대북 전단 살포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16]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대북 전단 살포 규정을 위반한 탈북자 단체 두 곳을 고발하고, 이들의 등록 면허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23] 2020년 7월 17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과 "대북전단보내기 시민연합"에 대한 법인 설립 허가를 공식적으로 취소했다.[118] 정부는 이 단체들이 설립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119] 한반도 접경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한반도의 긴장을 악화시켜 국익에 해를 끼친다고 밝혔다.[120]

2020년 12월 3일,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대북 전단 및 확성기 방송 등 북한 측에 대한 선전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초안을 국회에 제출했다.[122] 12월 14일 법안이 통과된 후,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이 법안에 대해 위헌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126] 2021년 3월 말, 개정된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군사 분계선 인근에서 대북 전단 살포 및 확성기 방송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0]

이 법안은 공화당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야당의 의견을 억압하여, 한국 야당의 불만을 야기했다.[123] 미국의 공화당 의원 크리스 스미스는 한국 국회의 법안 시행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24] 표현의 자유 침해에 대한 우려에 대해, 강경화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표현의 자유는 인권에 매우 중요하지만,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제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125]

휴먼 라이츠 재단은 2020년 12월 9일 법안 심의에 앞서 국회, 외교부, 통일부, 집권 더불어민주당, 최대 야당인 국민의힘에 서한을 보내 이 법안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위헌이라고 주장했다.[127] 휴먼 라이츠 워치는 이 법안을 김정은의 호감을 사려는 잘못된 전략이라고 비판했다.[128] 법안 통과 후, 대한민국 통일부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접경 지역 국민의 생명 안전이 더 중요하며, 새로운 법은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뿐이라고 밝혔다.[129]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는 한국 정부에 서한을 보내 이 법이 표현의 자유와 한국의 일부 시민 사회 단체 및 인권 옹호자들의 정당한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134]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는 개정안이 국제 인권법을 준수하는지, 그리고 개정안에 따른 불법 행위의 범위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135]

6. 국제 사회의 반응

미국 국무부는 북한 당국에 추가적인 비생산적인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1년 연장했는데,[96][97] 이는 북한의 행동과 정책이 미국의 국가 안보, 외교 정책 및 경제에 "특이하고 비정상적인 위협"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98] 미국 국방부는 한국과 연합 군사 훈련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99]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대한민국미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정보를 분석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94]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모든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95]

러시아 크렘린 궁 대변인 드미트리 세르게예비치 페스코프는 한반도 정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남북 양측에 자제를 촉구했다.[104] 유럽 연합은 북한의 행동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평양 당국이 추가적인 도발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106] 유럽 연합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달성하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을 지지하며, 당사자 간의 대화를 재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107]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하고 있으며,[109]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110] 중화민국 차이잉원 총통은 한반도 긴장 상황에 대해 중화민국 정부가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111][112]

6. 1. 미국

미국 국무부는 북한 당국에 추가적인 비생산적인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네 번째로 북한에 대한 제재를 1년 연장했는데,[96][97] 이는 북한의 행동과 정책이 미국의 국가 안보, 외교 정책 및 경제에 "특이하고 비정상적인 위협"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98] 미국 국방부는 한국과 연합 군사 훈련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99]

미국 해군 EP-3E 전자 정찰기 및 주한 미 육군 RC-12X 정찰기가 6월 17일 북한에 대한 감시 및 정찰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 수도권 상공을 비행했다.[100] 6월 18일 오전에는 미국 공군 RC-135W 정찰기가 한국 수도권 상공을 비행했다.[101] 6월 22일, 군용기 추적 웹사이트는 두 대의 B-52 전략 폭격기가 알래스카의 아이신 기지에서 일본을 경유하여 필리핀 해로 비행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북한 측에 대한 경고 조치로 해석되었다.[102] 6월 23일, 미국 공군은 아오모리현 미사와 공군 기지에서 일본 항공자위대와 함께 진행한 엘리펀트 워크 훈련 사진을 공개했다.[103]

6. 2. 일본

총리대신 아베 신조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에 대해 보고를 받은 후 "대한민국미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정보를 분석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94]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는 다음 날인 17일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는 북한의 행동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으며 "모든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95]

6. 3. 기타 국가 및 국제기구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러시아 크렘린 궁 대변인 드미트리 세르게예비치 페스코프는 한반도 정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남북 양측에 자제를 촉구했다.[104] 하지만 현 단계에서 러시아 정부는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지원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105] 유럽 연합은 북한의 행동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평양 당국이 추가적인 도발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106] 유럽 연합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달성하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을 지지하며, 당사자 간의 대화를 재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107] 이는 6월 30일 유럽 연합 정상회의 의장 샤를 미셸과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그리고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 간의 화상 회담 이후 발표된 공동 언론 발표를 통해 알려졌다.[108]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하고 있으며,[109]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110] 중화민국 총통 차이잉원은 중국과 인도 간의 국경 분쟁과 한반도 긴장 상황에 대해 중화민국 정부가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111][112] 또한 중화민국 정부는 국가 안보팀이 최근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관련 국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발표했다.[113]

7. 사건의 영향 및 평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은 남북 관계, 한반도 정세, 그리고 국제 관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남북 관계 악화:

2020년 6월 16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남북 관계 악화에 대비해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으로 보장한다는 공보문을 발표했다.[28] 대한민국 국방부는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한미 간 공조를 통해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겠다고 밝혔다.[29][30] 같은 날 오후, 개성공단에서 큰 소리와 연기가 관찰되었고, 대한민국 육군은 육안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이 폭파된 것을 확인했다.[31][33]

사무소 파괴 후, 북한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재배치하고 초소 재설치 및 군사 훈련 재개를 밝혔다.[35]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하고 군사 도발 시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36][37]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 회의를 소집했고,[38] 회의 후 북한의 행동에 대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40][41]

6월 17일,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남북 관계 악화 책임을 지고 사임했고,[49]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사임을 수락했다.[50]

김영철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은 남북 간 교류, 협력, 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1] 북한은 3,000개 이상의 풍선과 1,200만 장의 삐라를 준비했으며,[52] 삐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조롱하는 내용이 담겼다.[53][54]

2021년 7월 27일, 남북 간 통신 채널이 일시적으로 복원되었으나,[76] 8월 10일, 북한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에 반발하며 다시 통신 채널을 끊었다.[83]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은 한국이 남북 관계 개선 기회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85]
한반도 정세 불안정: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남북 관계 악화에 대비해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으로 보장한다는 공보문을 발표했다.[28] 대한민국 국방부는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한미 간 공조를 통해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겠다고 밝혔다.[29][30]

사무소 파괴 이후, 북한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재배치하고 초소 재설치 및 군사 훈련을 재개했다.[35]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하고 군사 도발 시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36][37]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의 어려움:

2020년 6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 원장을 특사로 파견하려 했으나, 북한은 이를 거부했다.[47]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남북 관계 악화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49]

김영철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은 남북 간 교류, 협력, 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1] 북한은 대남 압박을 강화하며 삐라 살포와 심리전용 확성기 재설치를 감행했다.[52][57]

김정은 위원장은 군사행동계획 실행을 일시 보류하기도 했지만,[59] 한국 전쟁 70주년인 6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67]

2021년에도 남북 간 통신 채널이 복원과 단절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다.[76][83][91]

7. 1. 남북 관계 악화

연합뉴스는 2020년 6월 13일, 한국 정부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폭발물 운반 의심 차량을 관찰했다고 보도했다.[26] 다음 날 한국군은 사무소 1, 2층에서 화염을 관찰했다.[27]

6월 16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남북 관계 악화에 대비해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으로 보장한다는 공보문을 발표했다.[28] 대한민국 국방부는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한미 간 공조를 통해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겠다고 밝혔다.[29][30] 같은 날 오후, 개성공단에서 큰 소리와 연기가 관찰되었고, 대한민국 육군은 육안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이 폭파된 것을 확인했다.[31][33] 조선중앙방송은 북한 주민 여론에 대한 대응이라고 발표했다.[34]

사무소 파괴 후, 북한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재배치하고 초소 재설치 및 군사 훈련 재개를 밝혔다.[35]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하고 군사 도발 시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36][37]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 회의를 소집했고,[38] 회의 후 북한의 행동에 대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40][41]

폭발로 사무소 인근 한국 외교관 숙소 외벽이 붕괴되었고,[43] KBS가 촬영한 사진에는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도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44] 코리아중앙데일리는 북한이 설치한 TNT 폭발물 양이 수백 킬로그램에 달한다고 보도했다.[46]

6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 원장을 특사로 파견하려 했으나, 북한은 6월 17일 이를 거부했다.[47]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남북 관계 악화 책임을 지고 17일 사임했고,[49]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사임을 수락했다.[50]

김영철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은 남북 간 교류, 협력, 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1] 북한은 3,000개 이상의 풍선과 1,200만 장의 삐라를 준비했다고 밝혔으며,[52] 삐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조롱하는 내용이 담겼다.[53][54] 한국군은 북한의 심리전용 확성기 재설치를 발견했다.[57]

김정은 위원장은 6월 23일 군사행동계획 실행을 보류했다.[59][60] 북한은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확성기를 철거 및 재설치했고,[62] 서호 통일부 차관은 접경 지역 확성기가 완전히 철거되었다고 확인했다.[63]

한국 전쟁 70주년인 6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67] 한국 외교안보연구원은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 철회가 한반도 평화 유지 전제 조건이라고 밝혔다.[69]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은 공동 성명을 발표해 북한에 자제를 촉구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을 통해 동북아 평화 유지를 결정했다.[71]

2021년 7월 27일, 남북 간 통신 채널이 복원되었고,[76] 8월 1일, 김웅중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임명되었다.[80]

8월 10일, 김웅중 부위원장은 한미 합동 군사 훈련에 대해 "대한민국 당국의 배신 행위에 강력한 실망감"을 느꼈다고 말했다.[81][82] 같은 날 오후, 북측은 연락사무소 채널과 동해 해상 군 통신선을 통한 정기적인 전화에 응답하지 않아 통신 채널이 다시 끊어졌다.[83]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은 한국이 남북 관계 개선 기회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85] 한국 통일부는 북측에 조속한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86]

9월 29일, 김정은 위원장은 10월 초 양측 간 통신선 복원을 예상했다.[88] 10월 4일, 조선중앙통신은 모든 통신선 재개통을 발표했고,[91] 한국 통일부도 이를 확인했다.[92]

7. 2. 한반도 정세 불안정

연합뉴스김정은정세균의 통화 이후인 2016년 6월 13일, 한국 정부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폭발물을 운반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차량을 관찰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하여 보도했다.[26] 다음 날 한국군은 사무소 1층과 2층에서 화염을 관찰했다.[27]

2016년 6월 16일 오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남북 관계의 지속적인 악화에 대비하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으며, 당과 정부가 취하는 모든 대외 조치를 군사적 관점에서 확고히 보장한다는 내용의 공보문을 발표했다.[28]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방부 최현수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군이 언제 어떤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며,[29]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추적할 것이라고 말했다.[30] 이후 정부는 오후에 개성공단에서 큰 소리와 연기를 관찰하고, 군은 즉시 그것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된 것인지 확인했다.[31] 그리고 북한 측에 대한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는 한편, 전선 지휘관에게 국경 경비 부대를 지휘할 위치를 점령하도록 요청했다.[32]

사무소 파괴 이후 북한 당국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에 군사력을 재배치하고, 초소를 재설치하며 군사 훈련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35] 북한 정부의 발표에 대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의 전동진[36] 작전본부장은 북한 정부의 움직임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고, 군사적 도발 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37]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사무소 파괴 소식을 접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 회의를 소집했다.[38] 이는 취임 이후 아홉 번째였다.[39] 회의 후 김유근 국가안보실 사무차장은 북한의 행동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기대하는 모든 사람들의 기대에 완전히 미치지 못했다며,[40]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해 북한이 책임을 져야 함을 분명히 했다.[41]

7. 3.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의 어려움

2020년 6월 15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 원장을 특별사절로 파견하여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과 만날 것을 제안했지만, 북한은 이를 거부했다.[47] 남북 관계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49]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이후, 김영철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은 남북 간 교류, 협력, 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1] 북한은 3,000개 이상의 풍선과 1,200만 장의 삐라를 준비하며 대남 압박을 강화했다.[52] 대한민국 군은 북한의 행동을 주시하며 모든 군사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55][56] 또한, 북한이 비무장지대에 심리전용 확성기를 재설치하면서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이 원점으로 돌아갔음을 보여주었다.[57][58]

김정은 위원장은 군사행동계획 실행을 보류하고, 일부 매체는 한국에 대한 비판적인 보도를 삭제했다.[59][61] 한국 언론은 북한이 확성기를 철거 및 재설치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보도했다.[62]

한국 전쟁 70주년인 6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67] 한국 외교안보연구원은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해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 철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69]

2021년 7월 27일, 남북 간 통신 채널이 복원되었으나,[76] 8월 10일 북한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에 반발하며 다시 통신 채널을 끊었다.[83]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은 한국이 남북 관계 개선 기회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85]

9월 29일, 김정은 위원장은 10월 초 양측 간 통신선 복원을 예상한다고 밝혔다.[88] 10월 4일, 모든 통신선이 재개통되었다.[91]

8. 관련 논란

이 사건과 관련하여, 김정은의 부인 리설주를 포르노 영화의 주인공으로 묘사한 악의적인 사진 조작 전단이 문제가 되었다.[114] 한국 네티즌들은 이 전단에 대해 부적절하고 비정상적이며 질이 나쁘다고 비판했다.[115]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자신들이 제작한 전단이 아니며, 2013년에 이미 등장했던 것이라고 밝혔다.[116] 월드저널 확인 결과, 이 전단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10월경 평양시민회, 블루유니온 등 극우 단체에서 살포한 것으로 밝혀졌다.[117]

8. 1. 대북 전단 내용 논란

해당 전단은 김정은의 부인 리설주를 포르노 영화의 주인공으로 묘사한 악의적인 사진 조작과 관련된 내용이었다.[114] 한국 네티즌들은 해당 전단의 내용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비판하며, 비정상적이고 질이 나쁘다고 여겼다.[115]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자신들이 제작한 전단이 아니라고 밝히며, 해당 전단은 2013년에 등장했다고 지적했다.[116] 한국 언론사 월드저널의 확인 결과, 해당 악의적인 전단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10월 경 평양시민회, 블루유니온 등 극우 단체에서 살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17]

8. 2.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

7월 17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과 대북전단보내기 시민연합에 대한 법인 설립 허가를 공식적으로 취소했다.[118] 정부는 이 단체들이 설립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119] 한반도 접경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한반도의 긴장을 악화시켜 국익에 해를 끼친다고 밝혔다.[120]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이 북한의 요구에 굴복하고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로서의 위엄을 포기하고 있다는 의견을 표명했다.[121]

참조

[1]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中央委员会第一副部长金与正发表谈话 http://www.uriminzok[...] 《由我们民族自己》 2020-06-19
[2] 웹사이트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드디어 문 열리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https://www.bbc.com/[...] 2018-09-13
[3] 웹사이트 「兩韓聯辦」揭幕、24小時聯絡無阻 https://www.upmedia.[...] 2020-08-01
[4] 웹사이트 韩朝联办主任会议仍停摆 https://cn.yna.co.kr[...] 2020-01-31
[5] 웹사이트 韓朝開城聯絡辦因肺炎疫情暫時關閉 http://www.hkcna.hk/[...] 2020-07-29
[6] 웹사이트 韩统一部:开城韩朝联办韩方人员今将返韩 https://cn.yna.co.kr[...] 2020-07-29
[7] 웹사이트 韩官员预测韩朝有望讨论重启联办 https://cn.yna.co.kr[...] 2020-07-30
[8] 웹사이트 统一部:疫情过后将与朝方讨论重启联办事宜 https://www.yazhouri[...] 2020-07-30
[9] 웹사이트 金與正怒了!嗆韓將面臨3最壞局面 https://www.chinatim[...] 2020-06-22
[10] 웹사이트 朝鲜宣布将坚决关闭韩朝联办 https://cn.yna.co.kr[...] 2020-06-22
[11] 웹사이트 今午起全面切斷與南韓通訊管道 https://udn.com/news[...] 2020-06-22
[12] 웹사이트 朝鮮外務省:韓國無資格談無核化 統戰部:不信任韓國 http://www.rfi.fr/cn[...] 2020-06-22
[13] 웹사이트 朝統戰部部長:説話不算數!朝鮮無法信任韓國 http://news.cctv.com[...] CCTV 2020-06-22
[14] 웹사이트 金與正威脅與韓訣別 交軍方行動 https://news.mingpao[...] 2020-06-22
[15] 웹사이트 朝鲜劳动党副部长金与正:已到与韩诀别之际 https://cn.yna.co.kr[...] 2020-07-30
[16] 웹사이트 南韓統一部 籲民眾勿在邊境散佈反北韓傳單 https://udn.com/news[...] 2020-06-22
[17] 웹사이트 韩国防部:坚持履行韩朝军事协议立场不变 https://cn.yna.co.kr[...] 2020-06-22
[18] 웹사이트 韓統一部:韓朝聯辦朝方人員未接韓方電話 https://cn.yna.co.kr[...] 2020-06-22
[19] 웹사이트 南韓統一部:南北韓應維持聯繫渠道 https://www.singtao.[...] 2020-06-22
[20] 웹사이트 韩外交部:与美方密切沟通朝鲜断联 https://cn.yna.co.kr[...] 2020-06-22
[21] 웹사이트 北韓翻臉 韓媒:首爾對朝政策被逼入死角 https://www.chinatim[...] 2020-08-03
[22] 웹사이트 北韓斷訊 文在寅的試煉 https://udn.com/news[...] 2020-08-03
[23] 웹사이트 韓統一部舉報兩家脫北者團體 https://www.exmoo.co[...] 2020-06-22
[24] 웹사이트 韓青瓦臺稱將嚴打對朝散佈傳單行為 https://cn.yna.co.kr[...] 2020-06-22
[25] 웹사이트 韓政府對朝鮮暗示將採取軍事行動表擔憂 https://cn.yna.co.kr[...] 2020-06-22
[26] 웹사이트 消息:金与正一发话朝鲜随即动手爆破联办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7-30
[27] 웹사이트 北韓官媒釋高畫質爆破片 「和平象徵」灰飛煙滅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07-30
[28] 웹사이트 朝鲜人民军总参谋部:朝鲜军队做好万全准备,军事保证党和政府的任何对外措施 http://www.rodong.re[...] 勞動新聞 2020-08-03
[29] 웹사이트 南韓防部:將與美方緊密合作監視朝軍動向 http://cn.yna.co.kr/[...] 韓聯社 2020-08-03
[30] 웹사이트 開城工業園傳巨響煙霧 韓朝聯辦疑被爆破 http://cn.yna.co.kr/[...] 韓聯社 2020-06-25
[31] 웹사이트 韓統一部證實朝鮮爆破韓朝聯辦 http://cn.yna.co.kr/[...] 韓聯社 2020-06-25
[32] 웹사이트 통일부 "北, 16일 오후2시49분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청사 폭파"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16
[33] 웹사이트 揭爆破真相:朝鮮此時不是喜悅,而是決絕與傷透了心 https://www.setn.com[...] 三立新聞 2020-06-22
[34] 웹사이트 朝媒證實開城韓朝聯辦被爆破 http://cn.yna.co.kr/[...] 韓聯社 2020-06-25
[35] 웹사이트 炸毀兩韓辦公室後 北韓宣布在邊境重新部署軍力 https://news.cnyes.c[...] 鉅亨網 2020-06-22
[36] 웹사이트 北韓還要炸?金剛山觀光區可能是下一目標 https://www.merit-ti[...] 人間福報 2020-06-22
[37] 웹사이트 兩韓聯辦遭轟爛!青瓦台仍想「見第四次面」 若持續挑釁將強烈回應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6-22
[38] 웹사이트 文在寅緊急召開國安會議 討論兩韓聯絡辦公室被炸 https://money.udn.co[...] 聯合報 2020-08-03
[39] 웹사이트 青瓦台緊急開會討論北韓爆破韓朝聯辦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 2020-08-03
[40] 웹사이트 韓青瓦臺對朝鮮爆破韓朝聯辦深表遺憾 http://cn.yna.co.kr/[...] 韓聯社 2020-08-03
[41] 웹사이트 南韓:若北韓持續升高緊張 揚言堅決回應 https://www.rti.org.[...] 中央廣播電台 2020-08-03
[42] 웹사이트 朝鮮炸毀兩韓聯絡樓 首爾說平壤事先無通知 http://rfi.my/6558 法國國際廣播電台 2020-06-23
[43] 웹사이트 朝鮮炸聯絡辦公室 毁對韓友好象徵 金與正3天前放狠話 研重新部署非軍事區兵力 https://news.mingpao[...] 明報 2020-06-23
[44] 웹사이트 開城工業園綜合支援中心受損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1
[45] 웹사이트 炸毀韓朝聯絡辦仍不夠 朝鮮恐拆開城工業區 https://www.exmoo.co[...] 澳門力報 2020-08-01
[46] 웹사이트 金與正命令讓北韓軍方怕了! 兩韓聯辦4層樓「竟裝數百kg炸藥」應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7-30
[47] 웹사이트 文在寅向北韓提議派遣特使遭拒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06-22
[48] 웹사이트 評金與正粉碎韓聯辦「太超過」:我很努力耶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6-22
[49] 웹사이트 金與正嗆文在寅 拒南韓特使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6-22
[50] 웹사이트 南韓統一部長辭職 文在寅批准 https://money.udn.co[...] 經濟日報 2020-06-22
[51]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中央统一战线部长:再也没有与南朝鲜可商谈的事 http://www.uriminzok[...] 由我們民族自己 2020-06-17
[52] 웹사이트 北韓「報復性懲罰」 對南韓撒1200萬張反韓傳單 https://inews.hket.c[...] 香港經濟日報 2020-06-22
[53] 웹사이트 北韓最新報復行動曝! 在文在寅臉上丟菸蒂 打包空飄回敬南韓 https://fnc.ebc.net.[...] 東森新聞 2020-06-22
[54] 웹사이트 传单宣传战:朝鲜准备向韩国发大量"惩罚传单" https://www.dw.com/z[...] 德國之聲 2020-07-30
[55] 웹사이트 朝3000氣球派韓1200萬張傳單 http://paper.wenweip[...] 文匯報 2020-06-24
[56] 웹사이트 北韓將散發傳單報復 南韓緊繃:不排除軍事行動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6-24
[57] 웹사이트 國軍心戰喊話教範 共軍弟兄更改為敵軍弟兄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8-03
[58] 웹사이트 重啟「心戰喊話」 南韓軍方:北韓正重新安裝擴音器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6-22
[59] 웹사이트 金正恩終於現身!放話「暫緩」軍事行動 https://www.ctwant.c[...] CTWANT 2020-06-23
[60] 웹사이트 金正恩當和事佬擱置對南韓軍事行動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6-23
[61] 웹사이트 朝鮮突然改變態度,金正恩下令"暫緩對韓軍事行動"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25
[62] 웹사이트 金正恩這回唱白臉!坐鎮中央軍委宣布「暫緩對韓行動」 https://www.storm.mg[...] 風傳媒 2020-06-23
[63] 웹사이트 朝鮮暫緩對韓軍事行動意圖受關注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6-23
[64] 웹사이트 北韓媒體連12天沒發文批評南韓政府 引發關注 https://money.udn.co[...] 經濟日報 2020-07-06
[65] 웹사이트 朝鮮外宣媒體時隔兩天恢復對韓抨擊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30
[66] 웹사이트 北韓官媒連12天未批評文在寅政府 韓媒分析直指這原因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07-06
[67] 웹사이트 北韓不按牌理出招! 文在寅硬起來首次向平壤示警 https://www.ctwant.c[...] CTWANT 2020-06-27
[68] 웹사이트 文在寅首次向平壤發出警告 http://globalnewstv.[...] 寰宇新聞 2020-06-27
[69] 웹사이트 平壤批美國敵視與日俱增 稱北韓絕不退縮 https://www.rti.org.[...] 中央廣播電台 2020-06-27
[70] 웹사이트 韓戰70週年的北韓感言:我們會發展核武,全都是被陰狠的美帝逼出來的 https://www.storm.mg[...] 風傳媒 2020-06-27
[71] 웹사이트 韓戰70週年 韓美聯合聲明堅守朝鮮半島和平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6-25
[72] 웹사이트 南韓調查金與正炸毀兩韓聯絡辦 料再度激怒北韓 https://www.singtao.[...] 加拿大星島日報 2020-07-23
[73] 웹사이트 金與正炸兩韓聯絡辦公室挨告 南韓檢方展開調查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7-23
[74] 웹사이트 金與正炸兩韓聯絡辦公室挨告 南韓檢方展開調查 https://www.rti.org.[...] 中央廣播電台 2020-07-23
[75] 웹사이트 南韓檢方立案,就金與正下令炸毁兩韓聯絡辦作刑事調查 https://theinitium.c[...] 端傳媒 2020-07-23
[76] 웹사이트 南北韩通信联络线27日上午重新开通 http://world.kbs.co.[...] 韓國國際廣播電台 2021-07-27
[77] 웹사이트 朝中社公报:采取措施重启北南通讯联络线 http://www.uriminzok[...] 由我們民族自己 2021-08-01
[78] 웹사이트 南北韩东海地区军事通信线恢复正常 http://world.kbs.co.[...] 韓國國際廣播電台 2021-08-03
[79] 웹사이트 北韩首次回应韩方国际商船通信网呼叫 http://world.kbs.co.[...] 韓國國際廣播電台 2021-08-03
[80]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中央委员会副部长金与正发表谈话 http://www.uriminzok[...] 由我們民族自己 2021-08-01
[81]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中央副部长金与正发表谈话 http://www.rodong.re[...] 勞動新聞 2021-08-10
[82] 웹사이트 金與正抨擊韓美聯合軍演是"南朝-{}-鮮的背信棄義" https://www.donga.co[...] 2021-08-10
[83] 웹사이트 朝鲜拒接韩方联络电话或对韩美联演表不满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08-10
[84]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中央部长金英哲发表谈话 http://www.uriminzok[...] 由我們民族自己 2021-08-11
[85] 웹사이트 朝鮮批韓美聯演稱將讓韓方面臨安全危機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08-10
[86] 웹사이트 韓回應朝談話:加劇緊張無好處 需重啟對話 https://cn.yna.co.kr[...] 2021-08-10
[87] 웹사이트 金正恩同志发表历史性施政演说《关于争取社会主义建设新发展的当前斗争方向》 http://www.rodong.re[...] 勞動新聞 2021-09-30
[88] 웹사이트 金正恩稱10月將重啟韓朝聯絡渠道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09-30
[89] 웹사이트 韓統一部:期待韓朝通信聯絡渠道運營穩定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09-30
[90] 웹사이트 韓青瓦臺對金正恩表示恢復通信聯絡持謹慎態度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09-30
[91] 웹사이트 朝中社发表公报 – 主体110(2021)年 10月 4日 http://www.rodong.re[...] 勞動新聞 2021-10-04
[92] 웹사이트 韓朝通信渠道今恢復正常通話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10-04
[93] 웹사이트 韓青瓦臺就韓朝恢復通信渠道持謹慎態度 https://cn.yna.co.kr[...] 韓國聯合通訊社 2021-10-04
[94] 웹사이트 安倍表示不希望韓朝關係緊張加劇 https://tchina.kyodo[...] 共同社 2020-06-22
[95] 웹사이트 北韓邊境派兵 菅義偉:日本高度關注 正維持必要警戒 https://money.udn.co[...] 經濟日報 2020-06-22
[96] 웹사이트 美國國務院:"朝鮮應避免產生反效果的進壹步行動"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25
[97] 웹사이트 美國指北韓對美構成威脅 宣布將對北韓制裁延長一年 https://news.now.com[...] now新聞 2020-06-22
[98] 웹사이트 特朗普延長對朝制裁行政命令,凍結與朝鮮進行交易的個人和企業在美國的資產等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25
[99] 웹사이트 美國:"就展開戰略資產與重啟韓美軍演,持續與韓國討論"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25
[100] 웹사이트 美軍偵察機飛臨韓半島加強對朝監視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3
[101] 웹사이트 美軍偵察機連日飛臨韓半島加強對朝監視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3
[102] 웹사이트 朝鮮安裝高音喇叭的當天,美B-52轟炸機再次在韓半島附近展開 https://www.donga.co[...] 東亞日報 2020-06-25
[103] 웹사이트 「大象走路」 美日同盟秀戰力 https://www.ydn.com.[...] 青年日報 2020-06-25
[104] 웹사이트 北韓炸毀兩韓聯絡辦公室 俄羅斯呼籲雙方克制 https://money.udn.co[...] 經濟日報 2020-06-22
[105] 웹사이트 金與正狠炸兩韓聯辦 克里姆林宮:為朝鮮半島局勢感到擔憂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6-22
[106] 웹사이트 北韓炸毀兩韓聯絡辦公室 美國歐盟籲勿再躁動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8-02
[107] 웹사이트 文在寅將同歐盟領導人舉行視頻會談 https://cn.yna.co.kr[...] 2020-06-18
[108] 웹사이트 文在寅與歐盟領導人視頻會晤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3
[109] 웹사이트 北韓炸毀兩韓聯絡辦公室 中國:盼保持和平穩定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6-22
[110] 웹사이트 中國駐韓大使:韓朝血濃於水應努力保持對話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3
[111] 웹사이트 蔡總統:關注中印衝突朝鮮半島局勢 維區域和平 https://www.cna.com.[...] 中央社 2020-06-23
[112] 웹사이트 中印、朝鮮局勢緊張 蔡總統:國軍是捍衛主權最重要力量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6-23
[113] 웹사이트 北韓發狠「炸爛」兩韓聯絡辦公室 總統府說話了 https://www.setn.com[...] 三立新聞 2020-06-27
[114] 웹사이트 李雪主遭合成AV女優 北韓氣炸大動作報復 https://news.tvbs.co[...] TVBS 2020-07-16
[115] 웹사이트 脫北者團體發反朝宣傳單 驚見李雪主被P圖成AV女優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07-16
[116] 웹사이트 北韓金與正暴怒暗示開戰 竟是為了李雪主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 2020-07-16
[117] 웹사이트 難怪會生氣!空飄傳單驚見「李雪主赤裸拍AV」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7-16
[118] 웹사이트 青瓦台要嚴懲散發反北韓傳單 人權組織批:向平壤「叩頭」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8-03
[119] 웹사이트 脫北者團體散布傳單惹怒平壤 南韓政府撤設立許可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08-03
[120] 웹사이트 韓統一部取消兩家空飄反朝傳單脫北者團體設立許可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08-03
[121] 웹사이트 文在寅壓迫脫北者人權?挨批「跪舔北韓」 美朝野:南韓真的是民主國家? https://www.ettoday.[...] ETToday 2020-08-03
[122] 웹사이트 南韓擬修法禁對北韓灑傳單、廣播 在野黨轟:金與正下的法令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12-25
[123] 웹사이트 韓経:韓国与党「金与正下命」議論の「対北朝鮮ビラ禁止法」強行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12-25
[124] 웹사이트 南韓立法禁向北韓散布傳單 脫北者不服將訴願 https://udn.com/news[...] 聯合報 2020-12-25
[125] 웹사이트 FM says freedom of expression can be limited over leafleting ban https://en.yna.co.kr[...] 韓聯社 2020-12-25
[126] 웹사이트 南韓立法禁向北韓發傳單 https://www.bastille[...] 巴士的報 2020-12-25
[127] 웹사이트 South Korean Government Criminalizes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ivism https://hrf.org/pres[...] 美國人權基金會 2020-12-25
[128] 웹사이트 南韓禁反北韓傳單 脫北者誓言挑戰不惜入獄 https://www.rti.org.[...] 中央廣播電台 2020-12-25
[129] 웹사이트 韩统一部:边民生命安全重于言论自由 https://cn.yna.co.kr[...] 韓聯社 2020-12-29
[130] 웹사이트 韓政府:努力向美方說明禁發反朝傳單法宗旨 https://cn.yna.co.kr[...] 韓聯社vv 2021-06-26
[131] 웹사이트 美国会15日举行"禁止对北韩散发传单法"视频听证会 http://rki.kbs.co.kr[...] 韩国国际广播电台 2021-06-26
[132] 웹사이트 美国国会开听证会讨论韩国禁发对朝传单 https://cn.yna.co.kr[...] 韓聯社 2021-06-26
[133] 웹사이트 韓統一部:美反朝傳單法聽證會不影響同盟關係 https://cn.yna.co.kr[...] 韓聯社 2021-06-26
[134] 웹사이트 联合国特别报告员:"对北韩传单禁止法"或侵害言论自由 http://rki.kbs.co.kr[...] 韩国国际广播电台 2021-06-26
[135] 웹사이트 联合国北韩人权报告员:了解限制对北韩散发传单的必要性 http://rki.kbs.co.kr[...] 2021-06-26
[136] 웹사이트 涉空飄50萬張反朝傳單 脫北者組織違韓朝關係法 https://www.singtao.[...] Sing Tao Daily 星島日報加拿大 2021-05-06
[137] 웹인용 "[단독]北폭파 개성사무소 인근에 南SOC 8곳 더 있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10-22
[138] 웹인용 정부, 김여정 담화 '엄중인식'…합의준수 촉구·군사대비 강조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0-10-20
[139] 웹인용 남북 ‘상설 대화창구’ 21개월 만에 콘크리트 잔해만 남아 http://m.hani.co.kr/[...] 한겨레 2020-10-20
[140] 웹인용 100억 들이고도 제기능 못하는 연락사무소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0-10-20
[141] 웹인용 '판문점선언' 결실 개성연락사무소, 21개월 만에 당혹스런 최후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0-06-16
[142] 웹인용 "[속보] 통일부 \"北, 오전 연락사무소 전화 받지 않아\""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0-06-09
[143] 웹인용 "[영상] 2시 49분 쾅, 김여정의 사흘전 협박이 현실로"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0-06-16
[144] 웹인용 북한, 연락사무소 완파 공식 확인…"비참하게 파괴"(종합)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0-06-16
[145] 웹인용 3초 만에 '폭삭'…남북연락사무소 폭파 순간 https://imnews-imbc-[...] MBC 뉴스 2020-06-17
[146] 웹인용 "[전문]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관련 NSC 상임위 결과 브리핑"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6-16
[147] 웹인용 북, 연락사무소 폭파 영상 공개하는 그 순간 김연철 "책임지겠다" https://mnews.joins.[...] 중앙일보 2020-06-17
[148] 웹인용 문재인 대통령, 김연철 통일부장관 면직안 재가 https://imnews-imbc-[...] MBC 2020-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