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CDC)는 1990년대 중반 통근 여객 수요 증가에 따라 1996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이다. 커민스 디젤 엔진과 액체식 자동변속기를 사용하여 동해남부선, 경원선 등 다양한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초기에는 고정식 좌석이었으나 전환식 좌석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KTX 개통 이후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고, 전철화 정책으로 인해 신규 도입이 중단되었다. CDC는 관광열차인 바다열차, 평화열차, 무궁화호로 개조되어 운행되기도 했으며, 2023년 12월 광주선 운행을 마지막으로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도입 - 닌텐도 64
    닌텐도에서 1996년에 발매한 닌텐도 64는 64비트 가정용 게임기로, 뛰어난 3D 그래픽 성능과 아날로그 스틱을 채용한 혁신적인 컨트롤러 디자인으로 3D 게임 조작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3D 게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96년 도입 - 에쎄
    에쎄는 KT&G가 1996년 출시한 슈퍼슬림 담배 브랜드로, 2003년 러시아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여 아시아와 유럽 일부 국가에서 판매되며 슈퍼슬림 담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KT&G가 세계 5위 담배 회사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 동차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행되었던 디젤 동차로, 커민스 엔진, 액압식 구동 방식, 보조 동력 장치 등을 갖추고 1984년부터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나 2010년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현재 한국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동차 - 동력분산식 열차
    동력분산식 열차는 각 차량이 자체 동력을 갖춰 가감속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며 도시 철도와 고속철도 등에서 활용되는, 동력 장치가 여러 차량에 분산된 형태의 열차를 말한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기본 정보
코레일 통근형 디젤 동차
코레일 통근형 디젤 동차
명칭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로마자 표기Tonggeunhyeong dijel dongcha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T'ongkŭnhyŏng tichel tongch'a
영어 명칭Commuter Diesel Car (CDC)
한국어 명칭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일본어 명칭つうきんがたでぃーぜるどうしゃ (통근형 디젤 동차)
한자 명칭都市通勤型 디젤 動車
운행 정보
운영 회사한국철도공사
운행 시작1996년 4월 1일
운행 종료2023년 12월 18일
노선미상
제작 정보
제작사대우중공업
제작 연도1996년 ~ 1999년
제작 수량131량
기술 정보
차량 유형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차체 재질미상
궤간1,435 mm
최대 속도120 km/h
설계 최고 속도120 km/h
차량 길이21,500 mm
차량 폭3,200 mm
차량 높이4,260 mm
차륜 직경860 mm
고정 축간 거리2,100 mm
대차 간 거리14,800 mm
차량 중량50톤 (선두차, 중간차)
동력 방식디젤 액압식
엔진Cummins NTA855R1 (2,100 rpm)
엔진 출력234.9 kw (315 HP) (선두차), 469.8 kw (630 HP) (중간차)
변속기VOITH T211RZ
제동 장치전자기 자동 공기 제동
견인력630HP (315HP X 2)
승객 정원착석 66명 (선두차), 착석 80명 (중간차)
객실 냉난방 장치TRU–0454H
전력 공급 장치AC 440V
기타
보안 장치ATS (수동 운전)

2. 도입 배경

1990년대 중반, 대한민국 철도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도시화로 인해 증가하는 통근 여객 수요에 대응해야 했다. 기존의 통일호 객차는 노후화되었고, 새로운 통근형 열차의 도입이 시급했다. 이에 따라, 1996년 대우중공업(현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제작한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CDC)가 도입되었다. CDC는 당시 동서통근열차로 운행을 시작하여, 군산선, 진해선, 경의선, 경원선 등 다양한 노선에 투입되었다.[1] 초기 도입 가격은 MC차량 1량당 8.09억에서 9.340399999999999억, M차량은 1량당 8.39억에서 1.6891999999999998억이었다.[1] 초기형은 고정식 좌석이었으나, 이후 전환식 좌석으로 변경되었다.

3. 기술적 특징

커민스 NTA855R1 디젤 엔진[1]을 동력차에 2기, 동력제어차에는 1기를 장착하고 있으며, 포이트의 액체식 자동변속기를 사용하고 있다. 동력제어차에는 추가로 객실 전원(APU)용 NTA855R5 엔진(251hp)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부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NDC와 니가타 디젤 동차에서 비롯되는 프레스형 대차와 구형 자동공기제동을 그대로 적용하여 전체적인 차량 중량 증가와 낮은 제동응답성 문제가 있었다. 급구배 구간 상구배 진행 시 (엔진 모두 작동하는 경우) 큰 무리없이 운용은 가능하나, 전체 동력의 절반 이상이 꺼진 경우 상당한 공전이 발생한다. 하구배 진행 시 엔진 브레이크나 기타 보조 브레이크 없이 순수 공기제동만 사용하기엔 큰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중앙, 태백선 같은 급구배가 연속적으로 많은 구간에는 운용이 어렵다. 1996년에 도입된 1차 분량에서는 고정식 크로스시트 및 롱시트를 채용하였으나, 이후 등받이를 앞뒤로 넘겨 전환이 가능한 전환식 크로스시트로 변경되었다. 처음 적용된 장애인 승하차 시설이 설치되었다가 이후 철거되었으나, 무궁화호로 개조되는 열차에 한정하여 다시 장애인 승하차 시설을 설치하였다. 화장실 및 간이 세면대 설비는 전두부 동력제어차(Mcl)에만 1개소가 있으며, 중간 동력차(M)에는 없다.

4. 운행 노선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CDC)는 1996년 4월 1일 동해남부선 부산역-해운대 구간에 통일호로 처음 투입된 이후, 대구선, 동해남부선, 군산선, 전라선, 서울교외선, 진해선, 경전선 등 전국 각지 노선에서 통근열차로 운행되었다.[16][11][18] 1997년에는 경원선에 투입되어 '피들기호'를 대체했고, 경의선에도 투입되어 서울 근교 여객차 통근열차를 대체했다.

CDC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2004년 KTX 개통 이후 통일호 객차가 퇴역하면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고, 통근/완행급 열차로 운행되면서 NDC에 비해 낮은 운임을 받아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2023년 12월 18일, 광주선 통근열차 운행을 마지막으로 운용을 종료했다.

5. 개조

CDC는 통근열차뿐만 아니라, 관광열차 및 무궁화호로도 개조되어 활용되었다. 통근열차 운영 축소로 인해 여유 차량이 증가하면서, 일부는 바다열차, DMZ Train, 경북나드리열차 등의 관광열차나 무궁화호로 개조되었다.[2][3]

5. 1. 관광열차

2007년 7월 25일부터 3량 1편성을 바다열차로 개조해 삼척해변역-강릉역 구간에 투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객실 창문을 대형화하고, 진동과 소음을 보강하였다. 좌석은 모두 바다 방향으로 배치되었다.[2] 코레일관광개발에서 승차권 발매를 담당하며, 새마을호 등급으로 운행되었다. 2014년 1월 4일부터는 4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2009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무궁화호를 개조한 디젤 동차 1편성을 경북나드리열차로 활용하여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였다. 오전에는 경부선, 경북선, 중앙선, 대구선을 순서대로 운행하고, 오후에는 역순으로 운행하였다. 매주 수요일은 동해선 포항역으로 운행되었다.

2014년 5월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3량 1편성 2세트를 DMZ Train으로 개조해 용산역-도라산역 구간에 운행하였다.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 적용되었으며,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을 지나기 때문에 신분증을 지참해야 했다.

열차명고정 편성 (운행 종료 여부)
바다열차 (백마고지~연천)9564(특실 및 프로포즈룸)(Mc)-9666(특실 및 프로포즈룸)(M)-9663(가족실 및 이벤트실)(M)-9565(일반실 및 포토존)(Mc)
경북나드리열차 (무궁화호)9033(Mc1)-9133(와인카페)(M1)-9134(이벤트룸, 특산품 전시코너)(M2)-9034(세미나실)(Mc2) (운행 종료)
평화열차9558(Mc)-9661(M)-9559(Mc), 9560(Mc)-9664(M)-9561(Mc) (운행 종료)
동해선 랩핑열차 (무궁화호)9055(Mc)-9137(M1)-9060(Mc) (운행 종료), 9027(Mc)-9145(M1)-9032(Mc) (운행 종료)



5. 2. 무궁화호 개조

2004년 KTX 개통 이후 통일호 객차 퇴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면서, 한국철도공사는 통근형 디젤 동차(CDC) 일부를 무궁화호로 개조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NDC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지녔음에도 통근열차로 운행되어 낮은 운임을 받았던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3]

2008년 4월 15일, 대구-마산 구간에 첫 개조 차량(9562-9665-9563 편성)이 투입되었다. 이 열차는 '개량형 무궁화호 디젤동차' 또는 '무궁화 RDC'로 불렸으며, 초기 시제차량은 세근실업에서 개조하였다. 한쪽 출입문 하나를 폐쇄하고 창문을 대형화했으며, 엔진 진동 및 방음 보강 작업을 진행했다.

시제 차량의 성공적인 운행 실적을 바탕으로, 2008년 말부터 우진산전에서 양산형 차량 제작을 시작했다. 2009년 2월까지 1차 개조를 통해 총 40량(MC차량 20량, M차량 20량)이 출고되었고, 기존 시제차 3량도 재개조되어 양산형과 동일한 구성(9029-9129-9130-9030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차 개조사업이 진행되었다.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화재 사건 이후 내부 마감재를 불연재로 교체하는 사업과 맞물려, 무궁화호 개조 차량도 내부 마감재를 모두 불연재로 교체하였다.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2003년 이전)에서 사용하던 좌석을 재활용하였고, 객차 양 끝 좌석에는 노트북 테이블과 콘센트를 설치했다. 양산형 2차분 차량에는 LED 전광판도 설치되었다.

1호차에는 휠체어 보관 공간을 갖춘 장애인석 4석이 설치되었고, 양산형 차량부터는 일부 열차에 3호차 자유석(롱시트 구조)이 추가되었다. 3호차에는 4인 동반석(1세트당 일반석 2.5배 운임)도 설치되었다.[4]

개조 당시 무궁화호에 카페 객차를 설치하는 중이었기 때문에, 이 열차에도 2호차에 '미니카페'를 운영했다. 미니카페에는 간단한 오락시설과 식음료 자판기가 설치되었다.

최종적으로 96량이 개조되었으며, Mc1 - M1 - Mc2 또는 Mc1 - M1 - M2 - Mc2 순으로 편성되어 운행되었다. 2016년 5월 1일부로 1996년 제작분 일부 차량의 내구 연한이 만료되었다. 2023년 12월 17일 전 차량이 퇴역하였다.

6. 퇴역

2023년 12월 18일, 광주선 운행을 마지막으로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CDC)는 모든 노선에서 퇴역했다.[1] CDC의 퇴역은 법으로 정해진 내구연한(25년) 도래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따른 것이다.[1] 이 과정에서 대체 차량 확보 문제로 바다열차, 광주선 통근열차 등 일부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1]

7. 도색

CDC는 도입 당시 다양한 차체 도색을 선보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도입 당시에는 총 4종류의 도색이 존재하였으며, 한국철도공사 출범 이후 모두 CI 도색으로 변경 및 통일되었다.[1] 2007년에는 바다관광열차, 2008년에는 무궁화호 개조 동차, 2009년에는 경북나드리열차, 2014년에는 평화열차가 각각 다른 도색으로 변경되었다.[1]


  • 아래 열거된 도색은 차량의 검수 등 문제로 인하여 편성에 맞지 않게 혼합 연결되는 경우가 있었다.[1]


CDC 주요 도색
도색 종류내용적용 차량비고
철도청 구 CI 도색철도청 말기의 도색으로, 노란색과 청록색으로 이루어진 표준 구 CI도색이다.[1]1996년부터 1997년 3월까지 도입된 차량[1]
경의선/경원선 통근열차 도색경의선경원선지역의 근교 통근차량을 베이스로 하여 탄생한 도색이다.[1]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입된 차량[1]전체 통근형 디젤동차(CDC)가운데 이 도색의 열차 수가 가장 많았다.[1]
동서통근열차 도색부산광역시내의 동서통근열차에 투입하기 위해 총 5량에만 도색하였다.[1]9550-9655-9656-9657-9551[1]전체 통근형 디젤동차(CDC) 가운데 이 도색의 열차 수가 가장 적었다.[1]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도색군산이나 익산, 광주 등지의 호남지역으로 투입을 위함과, 1999년 한국철도 개통 100주년을 맞이하여 도입되었다.[1]1998년 12월~1999년 7월까지 도입된 차량[1]
경북나드리열차 도색경상북도에서 지역 관광객을 위해 개발한 특별열차 전용 도색이었다.[1] 한국철도공사 CI 무궁화호 도색 차량에 전용 도안 스티커를 붙인 형태였다.[1] 4량 1편성(9033-9133-9134-9034)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1] 2호차 일부는 와인카페, 3호차는 노래방 시설, 이벤트용 좌석, 경북 지역 특산품 전시장, 4호차는 세미나실 등으로 개조되었다.[1]9033-9133-9134-9034[1]
평화열차 도색경원선 서울-백마고지경의선 용산-도라산 구간에 관광열차를 투입시키면서 등장한 도색이었다.[1] 흰색 바탕에 도라산역, 백마고지역 방향 선두차량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를 상징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 나머지 차량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을 입은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으로 디자인되었다.[1]9558-9661-9559, 9560-9664-9561[1]
무궁화호 개조 도색기존의 통근형 디젤 동차 차량중 일부를 무궁화호로 개조하면서, 동시에 무궁화호로 도색되었다.[1] 도색 자체는 기존의 무궁화호 디젤 동차의 특별동차(비지니스 열차)와 동일하다.[1]
한국철도공사 CI 도색대한민국 철도청한국철도공사로 출범한 2005년부터 대대적인 열차 도색작업이 시작되어, 기존의 4개 도색 차량을 모두 이 도색으로 재도색하여 통일하였다.[1] 흰색 바탕에 출입문과 전두부에만 도색하는 이 도색 기법은 한국철도공사의 전형적인 통근형(광역·도시철도 포함) 열차에 적용되었다. 통근형 디젤 동차는 출입문을 기준으로 윗부분은 진연두색, 아랫부분은 한국철도공사 로고의 고유 색상인 군청색으로 도색되었다. 전두부는 그와 반대로 도색되었다.[1]
바다열차 도색영동선, 삼척선강릉-삼척구간에 동해 관광열차를 투입시키면서 등장한 도색이었다.[1]9564-9666-9663-9565[1]


8. 미디어

한국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꼬마기차 티티포»에는 이 차량을 모델로 한 '붕붕'이라는 등장인물이 나오지만, 실제 차량과는 달리 뒤쪽 승강문이 없거나 전면 연결기가 수납식으로 되어 있는 등 몇몇 다른 부분이 있다.[1]

참조

[1] 일반
[2] 일반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웹인용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2020-02-27
[8]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www.onbid.co[...]
[9] 웹인용 서경주역에서 무궁화호 탈선 https://www.ytn.co.k[...] 2020-02-07
[10] 웹인용 [사건사고] 화물차-열차 건널목서 충돌 https://news.naver.c[...] 2020-02-27
[11] 일반
[12] 일반
[13] 일반
[14] 일반
[15] 일반
[16] 일반
[17] 일반
[18]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