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의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의종교는 '비밀 의식' 또는 '교의'를 뜻하는 용어로, 고대 그리스어 '미스테리아'에서 유래되었다. 비전가에게만 비밀리에 전수되는 컬트 종교를 의미하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시민 종교와는 별개로 존재하며 종교 의식의 보존 역할을 했다. 주요 밀의종교로는 엘레우시스 밀의종교, 디오니소스 밀의종교, 오르페우스 밀의종교 등이 있으며, 이시스, 미트라교 등 로마 문화에 수용된 종교도 존재한다. 기독교는 초기 단계에서 밀의종교와 경쟁했으며, 밀의종교의 교의와 의식을 포용하여 성장하기도 했지만, 로마 제국 시대에 이르러 박해를 받았다. 19세기 이후 기독교의 기원을 밀의종교의 영향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으나, 현재는 부정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종교 -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는 기원전 15세기부터 구전되어 온 고대 그리스의 신, 영웅, 괴물에 대한 이야기로,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다양한 문학 작품,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서구 예술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종교 - 단일신교
단일신교는 여러 신 중 한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형태로, 헬레니즘 종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고대 이스라엘 종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난다. - 밀교 - 연금술
연금술은 아랍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이집트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금속 변환 및 불로장생 추구와 정신적 성장을 목표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서 발전해 온 학문으로, 현대 화학 발전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 밀교 - 흑태양
흑태양은 12개의 시그 룬으로 이루어진 검은 원반 형태의 상징으로, 나치 친위대의 중심지였던 베벨스부르크 성의 모자이크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신나치, 극우,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 밀의종교 | |
|---|---|
| 개요 | |
| 명칭 | 밀의 종교 |
| 다른 이름 | 비의(秘儀) 종교, 신비 종교, 비밀 종교 |
| 어원 | 그리스어 μυστήρια (mystēria, "비밀 의식") |
| 특징 | 입문 의례를 통해 선택된 자에게만 비밀을 전수하는 종교 형태 |
| 역사적 맥락 | |
| 기원 | 고대 그리스 |
| 발전 |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 |
| 쇠퇴 |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점차 쇠퇴 |
| 주요 밀의 종교 | |
| 엘레우시스 밀의 |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숭배, 농경과 풍요 기원 |
| 디오니소스 밀의 | 디오니소스 숭배, 엑스터시와 해방 추구 |
| 오르페우스 밀의 | 오르페우스 숭배, 영혼의 정화와 윤회 강조 |
| 미트라 밀의 | 미트라 숭배, 군인들 사이에서 인기, 태양과 빛 상징 |
| 이시스 밀의 | 이시스 숭배, 이집트 기원, 여성과 가정의 수호 |
| 키벨레 밀의 | 키벨레 숭배, 아나톨리아 기원, 대지와 풍요 상징 |
| 특징 | |
| 비밀 유지 | 입문자 외에는 의례 내용 엄격히 비밀 유지 |
| 입문 의례 | 정화, 희생, 고행 등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삶으로의 전환 상징 |
| 개인적인 경험 | 신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해 구원과 영생을 얻는다고 믿음 |
| 내세에 대한 믿음 |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 강조 |
| 영향 | |
| 헬레니즘 문화 | 개인주의적 경향 심화, 종교적 다양성 확대 |
| 로마 제국 | 다양한 종교의 공존, 종교적 관용 정책 |
| 기독교 | 의례, 상징, 교리 등에 일부 영향 (논쟁적인 시각 존재) |
| 연구 과제 | |
| 자료 부족 | 비밀주의로 인해 정확한 정보 파악 어려움 |
| 다양한 해석 | 의례와 상징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
| 종교사적 중요성 | 고대 종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 제공 |
2. 용어
"밀의" 또는 "신비"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미스테리온(μυστήριον)에서 유래되어 라틴어 미스테리움(mysterium)을 거쳐온 낱말이다. 대개 단수형 대신 복수형이 사용되는데 그리스어 복수형 미스테리아(μυστήρια)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러한 유래에 따르면, 밀의종교(Mysteries) 또는 신비(Mysteries)는 "비밀한 의식들 또는 교의들"을 뜻한다. 때문에 영어 Mysteries는 문맥에 따라 신비 가르침, 신비, 비의, 비전 전수 의식, 신비 제전, 제전, 신비 종교, 신비주의 종교, 밀의 종교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밀의종교 또는 신비종교는 헬레니즘 종교의 세 유형 중 하나였다. 다른 둘은 특정 국가나 민족의 황제 숭배 또는 민족 종교와, 신플라톤주의 같은 철학적 종교였다. 이는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가 신학을 시민 신학(정치 신학), 자연 신학, 신화 신학으로 나눈 것과 상응하는데, 밀의종교는 이 중 신화 신학에 해당한다.
밀의종교는 헬레니즘 종교의 세 가지 유형 중 하나로, 황제 숭배, 민족 종교, 신플라톤주의와 같은 철학적 종교와 구별된다. 이는 바로가 신학을 시민 신학(정치 신학), 자연 신학, 신화 신학으로 나눈 것과 상응한다. 밀의종교는 이 중 신화 신학에 해당한다.
이러한 "밀의종교(Mystery)"를 따르는 사람을 "미스테스(mystes)", 즉 밀의가(mystic)라고 한다. 이 문맥에서 미스테스(신비가)는 "비전 전수를 받은 사람", 즉 비전가(initiate)를 뜻한다. 미스테스(신비가)라는 낱말은 한편으로는 "닫다" 또는 "차단하다"를 뜻하는 myein|미에인grc으로부터도 유래했는데, 이 유래는 비밀엄수, 즉 눈과 입을 닫는 것을 가리키며, 또는 오직 비전가들만이 의식에 참여하거나 참관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위의 어원적 유래에 따를 때 "밀의종교(Mysteries)"는 그 모든 종교적 활동이 비비전가들 또는 비입문자들에게는 닫혀 있으며 그 교의와 수행법이 일반 대중에게는 비밀로 되어 있는 컬트 종교를 뜻한다. 영어 단어 'mystery'는 원래 고대 그리스어 복수형 Mustḗria|무스테리아|신비, 비밀 의식grc로 나타났으며, 라틴어 mysterium|미스테리움la으로 발전했고, 여기서 영어 단어가 유래되었다. 그리스어 ''mustḗrion'' '드러난 비밀'의 어원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지만, 학자들은 전통적으로 그리스어 múō|무오|닫다, 봉하다; 닫히다(특히 눈에 대해)grc (주로 눈을 감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눈을 감고 신비에 입문하는 사람을 지칭)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한다. 히타이트 학자 얀 푸흐벨(Jaan Puhvel)은 그리스어 용어가 히타이트어 동사 ''munnae'' '감추다, 숨기다, 시야에서 차단하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3. 성격
그리스-로마 시대의 밀의종교는 시민 종교를 보충하는 역할을 했다. 당시 개인은 국가 컬트 종교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밀의종교에서 비전을 받고, 특정 철학 학파를 지지할 수 있었다. 시민 종교의 희생 의식, 식사 의식, 정화 의식 등은 밀의종교에서도 반복되었지만, 비밀리에 비전가들에게만 전수되는 종교적 실천들이 부가되었다.
밀의종교는 고대 종교 의식을 보존하는 역할을 했다. 엘레우시스 밀의종교는 거의 2천 년 동안 이어졌는데, 이 기간 동안 공공 종교 의식은 크게 변화했지만 밀의종교 의식은 거의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고대 그리스 밀의종교는 원(原)인도유럽 종교의 고대 요소, 특히 인도이란 종교와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스-로마 고대 시대의 신비 학교에는 엘레우시스 밀의종교, 디오니소스 밀의종교, 오르페우스 밀의종교가 있었다. 로마인들이 다른 문화에서 채택한 신들, 예를 들어 이집트의 이시스, 페르시아의 미트라스(미트라교 신비에서), 트라키아/프리지아의 사바지우스, 프리지아의 키벨레도 신비에서 숭배받게 되었다.
4. 주요 밀의종교
그리스-로마 시대의 밀의종교는 시민 종교를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 당시 개인은 국가 컬트 종교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밀의종교에 입문하고, 특정 철학 학파를 지지할 수 있었다. 밀의종교는 공공 종교의 의식들을 반복하면서도 비밀스러운 종교적 실천들을 추가했다.
밀의종교는 고대 종교 의식을 보존하는 역할을 했다. 엘레우시스 밀의종교는 거의 2천 년 동안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공공 종교 의식은 크게 변화했지만 밀의종교 의식은 거의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고대 그리스 밀의종교는 원인도유럽 종교의 고대 요소들을 반영하며, 인도이란 종교와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기독교가 박해를 받은 주된 이유는 종교적 교의나 실천 때문이 아니라, 황제 숭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로마 제국의 지배층은 초기 기독교인들의 황제 숭배 거부를 체제 전복적인 행위로 보았다.
4. 1. 그리스 기원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는 다음과 같은 밀의종교들이 있었다.
로마인들이 다른 문화로부터 수용한 몇몇 신들은 밀의종교 형태로 숭배되었다.
신비 종교는 세 가지 유형의 헬레니즘 종교 중 하나였는데, 다른 두 가지는 황제 숭배 또는 특정 국가나 국가의 민족 종교, 그리고 신플라톤주의와 같은 철학 종교였다.
이는 바르가 신학을 세 가지, 즉 시민 신학(국가 종교와 사회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 자연 신학(신성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추측), 신화 신학(신화와 의례)으로 나눈 것에도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신비는 시민 종교와 경쟁하기보다는 이를 보완했다. 개인은 국가 종교의 의례를 준수하고, 하나 이상의 신비에 입문하며, 동시에 특정 철학 학파를 따를 수 있었다.[2] 신비 학교는 고대 종교 의례를 보존할 수 있는 틈새를 제공했는데, 특히 숭배 행위가 기존의 사회 및 정치 질서를 지원했기 때문에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수요가 많았다. 예를 들어, 유대교와 기독교의 많은 초기 흐름은 그러한 조건에 반대하여 나타났지만, 신비 숭배는 그 본질상 현상 유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2]
이러한 이유로, 더 오래된 그리스 신비에 대한 증거는 인도유럽 공통 종교의 특정 고대적 측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인도-이란 종교와 유사점을 보인다. 그리스-로마 고대 시대의 신비 학교에는 엘레우시스 신비, 디오니소스 신비, 오르페우스 신비가 있다. 로마인들이 다른 문화에서 명목상으로 채택한 많은 신들 중 일부도 신비에서 숭배받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이집트의 이시스, 페르시아의 미트라스(미트라교)에서), 트라키아/프리지아의 사바지우스, 그리고 프리지아의 키벨레가 있다.
4. 2. 로마 제국 시대에 수용된 밀의종교
로마인들이 다른 문화로부터 수용한 몇몇 신들은 밀의종교 또는 신비종교의 형태로 숭배되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신비 종교는 세 가지 유형의 헬레니즘 종교 중 하나였는데, 다른 두 가지는 황제 숭배 또는 특정 국가나 국가의 민족 종교, 그리고 신플라톤주의와 같은 철학 종교였다.
이는 바르가 신학을 세 가지, 즉 시민 신학(국가 종교와 사회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 자연 신학(신성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추측), 신화 신학(신화와 의례)으로 나눈 것에도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신비는 시민 종교와 경쟁하기보다는 이를 보완했다. 개인은 국가 종교의 의례를 쉽게 준수하고, 하나 이상의 신비에 입문하며, 동시에 특정 철학 학파를 따를 수 있었다. 제물, 의례 식사, 의례 정화와 같은 공공 종교의 많은 측면이 신비 내에서 반복되었지만, 비밀리에 진행되고 폐쇄된 입문자 집단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추가 요구 사항이 있었다. 신비 학교는 고대 종교 의례를 보존할 수 있는 틈새시장을 제공했는데, 특히 숭배 행위가 기존의 사회 및 정치 질서를 지원했기 때문에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수요가 많았다. 예를 들어, 유대교와 기독교의 많은 초기 흐름은 그러한 조건에 반대하여 나타났지만, 신비 숭배는 그 본질상 현상 유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2]
4. 3. 그 외의 밀의종교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는 다음과 같은 밀의종교들이 있었다.
로마인들이 다른 문화로부터 수용한 몇몇 신들은 다음의 밀의종교 형태로 숭배되었다.
5. 엘레우시스 밀의종교
엘레우시스 밀의종교는 천 년 이상 지속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비의 종교였다.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5세기 말 오르페우스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후기 고대 시대에는 우화화되었다.[3]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화를 바탕으로 하며, 입문 의식은 농업 및 다산과 관련이 있었다. 엘레우시스 밀의는 엘레우시스 비의[16], 오르페우스교[17], 미트라교[18], 기독교에 영향을 주었다.
5. 1. 신화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를 저승의 신 하데스가 납치한 신화에서 엘레우시스 비의의 근본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호메로스 찬가에 기록되어 있다.[3] 데메테르는 이 사건으로 고통받아 딸을 돌려보내 달라고 제우스에게 간청하기 위해 기근과 가뭄을 일으켜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신들에게 적절한 제물과 숭배를 받지 못하게 했다. 결국 제우스는 페르세포네가 어머니에게 돌아가는 것을 허락했고, 데메테르는 세상의 번영을 빼앗는 역병을 종식시켰다.[3]그러나 운명의 여신들이 저승에서 먹거나 마신 자는 영원히 그곳에 머물도록 정했기 때문에,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에게 속아 그에 상응하는 양의 석류 씨앗을 먹었으므로 1년 중 4개월 또는 6개월(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라 다름) 동안 저승에 머물러야 했다.[3] 이 때문에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가 없는 동안 슬픔에 잠겨 땅을 돌보지 않다가, 그녀가 돌아올 때만 땅을 보살피는 과정을 반복했다. 이러한 일련의 기간은 겨울과 봄이 되었으며, 페르세포네의 "죽음"과 "부활"은 생명의 순환과 모든 존재의 경험에 대한 비유였다.[3]
5. 2. 입문 의식
아테네 달력에 따르면 보에드로미온(9월/10월) 달의 15일, 최대 3,000명의 예비 입문자들이 아테네의 아고라에 모였다. 이 집회는 그리스어를 구사하고 살인을 저지르지 않은 사람들로 제한되었으며, 순수성에 대한 강조가 커지면서 이 금지 조항은 "부정한" 영혼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게 되었다.[4]디아시아와 테스모포리아 같은 다른 대규모 축제와 마찬가지로, 예비 입문자들은 자신의 희생 동물을 가져오고 축제가 시작될 때 선포를 들었다. 다음 날, 그들은 바다로 가서 자신과 동물들을 정화했다. 19일까지 3일간의 휴식이 지난 후, 아고라는 다시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의 신전으로 행진하는 입문자들로 가득 찼다. 두 명의 엘레우시스 여사제가 행렬의 앞에 섰고, 그 뒤를 이어 다른 많은 그리스인들이 의식의 나머지 부분을 위해 특별한 물건들을 들고 따랐다. 행렬은 축하, 춤 등으로 끊임없이 중단되면서 몇 시간 동안 15마일 떨어진 엘레우시스 도시로 향했다. 입문자들은 도시로 가는 길에 횃불을 들고 갔다.[4]
도시 도착 후 순례자들은 신전으로 들어가 춤을 추었다. 다음 날 희생 제물로 시작되었고, 해질녘에는 입문자들이 '텔레스테리온'이라고 불리는 건물로 가서 실제 입문이 시작되었다. 입문자들은 정화를 위해 몸을 씻었고, 모두가 꺼진 횃불 냄새에 둘러싸여 침묵 속에 함께 앉아 있었다. 입문은 이틀 밤에 걸쳐 진행되었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첫째 날 밤은 하데스에 의한 페르세포네의 납치와 여신의 귀환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고, 둘째 날 밤은 노래, 춤, 잠재적으로 남근의 전시, 숙련된 엘레우시스 성직자들에 의한 청중에게의 끔찍한 경험, 그리고 데메테르의 조각상 전시와 밀 이삭, 농업적 부의 "탄생"을 포함했을 틀림없는 행사의 절정인 '에포프테이아'(비밀의 상위 등급)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밀 의식은 다산과 농업과 관련이 있었다.[4]
2천 년 이상 많은 사람들이 엘레우시스 비밀 의식의 절정 의식 동안 일관적으로 계시적인 상태를 경험할 수 있었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수많은 학자들은 엘레우시스 비밀 의식의 힘이 퀴케온이 환각제로 기능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제안했다.[4]
5. 3. 의의
입문식이 완료된 날은 플레모코아이(희생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된 용기의 종류를 따서 명명됨)라고 불렸으며, 새로운 회원들은 이제 사제들처럼 도금양 화환을 쓸 수 있었다. 결국, 입문자들은 떠나면서 행사의 종료를 선언하는 의미로 "팍스" 또는 "콩크스"라는 구절을 외쳤다. 새로운 회원들이 여정 중에 입었던 의상은 아이들을 위한 행운의 담요로 사용되거나 성소에 기증되었을 수 있다.[1]6. 사모트라케 밀의종교
사모트라케에서 행해진 밀의종교는 엘레우시스 밀의종교 다음으로 유명했으며, 항해자들을 바다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준다고 여겨졌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인근 지역에서 입문하기 위해 왔다.[5] 필리포스 2세와 그의 후처 올림피아스는 사모트라케에서 입문 의식 중에 만났다고 하며, 헤라클레스, 이아손, 카드모스, 오르페우스, 디오스쿠로이도 이곳에서 입문했다고 전해진다.[5]
사모트라케 밀의종교는 엘레우시스 밀의종교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했다. 고고학적, 언어학적 자료는 사모트라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밝혀내고 있으며, 이 의식들은 카베이리 신들의 신비와 같이 인근 섬의 다른 의식들과도 관련이 있었다.[5]
입문 첫날은 연회로 마무리되었으며, 고고학자들은 사모트라케의 종교와 관련된 많은 식당을 발굴했다. 희생에 사용된 그릇들은 버려졌는데, 종교 유적지에서 수천 개의 희생 그릇이 발견되었다. 참가자들은 때때로 램프와 같은 다른 물건들도 남겨두었다. 자주색 띠 외에도 '사모트라케 반지'(금으로 코팅된 자기 철 반지)를 가지고 떠났으며, 일부 입문자들은 성소의 스토아에 입문의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둘째 날의 입문 또한 연회로 마무리되었다.
6. 1. 신화
사모트라케에서 숭배된 존재들에 대한 핵심적인 기원 신화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심지어 그들의 정체조차도 불분명한데, 숭배자들이 익명으로 그들을 '사모트라케 신들' 또는 '위대한 신들'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이 누구였는지를 재구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6] 그러나 '사모트라케 신들'과, 불확실한 수(때로는 쌍둥이 또는 여러 개의 별개의 존재)의 지하 신들인 카비리 신들 사이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카비리 신들은 트라키아나 프리기아와 같은 그리스 이전 또는 비(非)그리스 문화에서 유래되었다.[6] 각 신 또는 신들의 집단이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 즉 바다에서의 보호와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의 유사성은 명확한 연관성을 보여주지만, 그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사모트라케 신들이 카비리 신들 자체가 아니라면, 이 비교 종교의 요소들이 그리스인들이 정착하기 전 섬에 존재했던 트라키아 숭배 요소들과 함께 신비 종교의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관행에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7]6. 2. 입문 의식
사모트라케에서의 입문은 엘레우시스와 달리 1년 중 며칠로 제한되지 않았고, 4월부터 11월(항해 시즌)까지 진행되었으며, 6월에 대규모 행사가 열렸을 가능성이 높지만, 2일에 걸쳐 진행되었을 수도 있다. 사모트라케와 마찬가지로, 미래의 입문자들은 동쪽에서 사모트라케의 성소로 들어가 지름 9미터의 원형 공간으로 들어갔을 것이며, 여기에는 판석과 5계단의 스탠드가 있었으며, 현재는 극장 원형 경기장이라고 불린다. 리비우스는 이곳에서 입문자들이 범죄와 유혈사태의 부재에 관한 선언을 들었다고 기록했다.[1] 의례 초반에는 엘레우시스와 마찬가지로 희생 제물과 헌주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희생 제물로 쓰일 동물은 수양이었을 것이다. 입문자들은 횃불을 든 채 밤에 실제 입문식이 열리는 건물로 이동했을 것이지만, 고고학자들은 합창 무용가의 홀, 히에론, 아낙토론, 아르시노에 2세의 로툰다 등 가능성이 많아 어떤 건물인지 확신하지 못한다.[1] 3세기에 로마의 히폴리토스는 그의 저서 ''모든 이단의 반박''에서 이곳의 몇몇 이미지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는 영지주의 작가를 인용했다.[1]> 사모트라케인들의 아낙토론에는 두 명의 알몸 남성 조각상이 서 있는데, 두 손을 하늘로 뻗고 성기를 위로 향하고 있으며, 킬레네의 헤르메스 조각상과 같다. 앞서 언급한 조각상은 원초적 인간과, 모든 면에서 그 인간과 동일한, 재생된 영적 인간의 이미지이다.[1]
정보가 부족하여 입문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파악하기 어렵지만, 하르모니아를 찾는 신화와 관련된 엘레우시스와 같은 춤이 있었을 수 있다. 입문이 끝나면 입문자들에게 보라색 필레가 주어졌다.[1] 또한 ''에포프테이아''라는 두 번째 밤의 입문이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일반적인 예비 정화 의식과 희생"이 행해졌지만, 엘레우시스의 ''에포프테이아''와 유사했을 수 있으며, 거대한 빛을 보여주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을 것이라는 점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
7. 미트라 밀의종교
미트라 신 숭배는 서기 1세기부터 4세기까지 로마 군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페르시아에서 수입되었지만, 로마의 목적에 맞게 조정된 미트라스는 조로아스터교의 전신인 미트라와 거의 관련이 없었다. 다만, 그의 동방 기원을 시각적으로 상기시키는 프리기아 모자와 의복은 유지되었다.
미트라스교는 병사들만을 위한 지하 입문 의식과 복잡하고 상징적인 의식을 포함한 독특한 종교적 행위를 가졌다. 축제는 신과 솔 인빅투스와 미트라스가 함께 나누는 식사, 또는 떠오르는 해와 지는 해의 쌍둥이인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횃불을 드는 것과 같은 핵심 미트라교 이미지를 재연하는 것이 주요 종교적 경험이었다.
밀의종교는 고도로 은밀한 특성과 기록된 자료 부족으로 인해, 정기적인 모임에서 정확히 무엇이 일어났는지, 회비 지불 외에는 입문 이후 숭배 관행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7. 1. 신화

전통적으로 미트라스교의 신화적 기원에 대한 학문은, 추종자들이 칼을 한 손에, 횃불을 다른 손에 든 채 바위에서 솟아나는 젊은 남자의 이미지를 그의 탄생을 나타내는 것으로 믿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 장면이 신의 출현과 그의 신성, 그리고 "세속적인 속됨"에 대한 권력을 묘사하는 상승이라는, 로마의 인기 있는 종교-철학적 주제를 보여준다는 새로운 관점이 나타났다.[10] 타우록토니로 알려진, 미트라스가 황소를 죽이는 핵심적인 숭배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은유적 요소 또한 크게 논의되어 왔다. 이 장면이 로마인들에게 시민 종교와 의무적인 국가 축제를 통해 잘 알려진 희생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는 제안은 오랫동안 받아들여졌지만, 최근에는 이 장면이 희생 행위 외에도 주요 별자리의 별 지도를 보여준다는 믿음이 나타났다.[11] 다른 대부분의 신비 종교와 마찬가지로, 미트라스교는 신봉자들의 믿음은 물론이고 실천에 관한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고고학적 발견과 현대적 해석에 거의 전적으로 기반한 추측과 추정은 다소 모호한 이해만을 제공한다.
7. 2. 입문 의식
밀교의 계급 체계는 밀교 종교의 계층 구조에 존재했으며, 그중 첫 번째는 ''코락스''(까마귀) 계급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님푸스'' 또는 ''그리푸스''(신랑), ''밀레스''(병사), ''레오''(사자), ''페르세스''(페르시아인), ''헬리오드로무스''(태양의 주자), 마지막으로 최고 계급인 ''파테르''(아버지)가 있었다.[12]정확한 세부 사항은 파악하기 어렵고 지역에 따라 달랐지만, 카푸아에서 행해진 입문 의식의 일반적인 묘사에 따르면, 남성들은 눈을 가린 채 미트라에움이라고 알려진 지하 챔버로 들어가 숭배 의식과 관행을 수행했다. 입문자들은 옷을 벗고 팔을 뒤로 묶인 채 사제 앞에 무릎을 꿇었으며, 거기에서 그들은 속박에서 풀려나 관을 썼지만, 특정 순간까지 일어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12] 입문은 악수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회원들은 ''신덱시오이'', 즉 "악수로 연합된 자들"이라고 불렸다.[13]
8. 기독교와의 관계
기독교는 초기 단계에서 밀의종교의 교의와 의식을 포용함으로써 비기독교 문화에 전파되고 수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밀의종교들은 초기 기독교의 전파와 수용 과정에 기여하였다. 클록과 맥닐에 따르면,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기독교 성사(聖事) 또는 성례전(聖禮典)의 교의와 의식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없었다면 생겨날 수 없었을 것이며, 그리스도론의 교의를 보면 당시의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하면 신화적 유산을 '취하여' 그것을 정화시키고 고양시킬 수 있는 지를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기원후 2세기 순교자 유스티노(100~165)는 자신의 저서 《제1 호교론》에서 밀의종교들을 참된 신앙의 "악마적 모사품"이라고 하였으며, "악마들은 모세가 말한 것을 모방하여 프로세르피나(그리스 신화의 페르세포네)가 유피테르의 딸이라고 주장하며 또한 사람들을 선동하여 코레라는 이름으로 이 여신의 상을 세우도록 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순교자 유스티노의 예에서 보이는 바처럼, 기원후 1~4세기 동안 기독교는 "이들 밀교들이 기독교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비유대교적 지평의 한 요소로서 자리하고 있는 한" 밀의종교들과 직접 경쟁하여야 했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는 시점 전후로 밀의종교를 비롯한 비기독교는 기독교와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았다. 밀의종교에 대한 당시의 기독교 박해로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2세의 밀의종교 신전들의 약탈, 폐쇄 및 파괴와 테오도시우스 1세가 기원후 392년에 칙령을 통해 엘레우시스 밀의종교의 신전들과 성역들을 폐쇄한 것을 들 수 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독일 학계에서는 기독교의 기원을 밀의 종교에서 비롯된 강력한 영향과 연관시키거나, 기독교 자체를 밀의 종교로 간주하는 것이 더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다비드 슈트라우스의 예수의 생애de (1835–36)에서 예시된 기독교 역사의 비판적 역사 분석이 증가한 결과이며, 또한 기독교를 이교도적 환경에서 유래시키려는 학자들 사이의 세속화 경향의 결과였다. 예를 들어, 학자들은 타르수스에서 바울의 신학이 미트라교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려 했지만, 그곳에는 미트라교가 존재하지 않았고, 1세기 말 이전에는 미트라교도 존재하지 않았다.[14] 아서 녹이 1952년에 발표한 획기적인 논문에서 신약성경에 밀의 종교 용어가 거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학자들의 태도가 바뀌기 시작했다.[15]
일부는 세례와 성찬례와 같은 기독교 의식의 기원을 밀의 종교와 연결하려 했지만, 세례의 기원은 유대교 정결 의례에 있으며, 종교적 식사는 고대 세계에 매우 널리 퍼져 있었기에, 어떤 한 출처에서 그 기원을 증명하려는 시도는 임의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밀의 종교에서 기독교의 내용이 유래했다는 연구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많은 밀의 종교(예: 엘레우시스 비의, 사모트라케)는 내용이 거의 없었고, 입문 시 물건을 보여주는 것에 한정되었다.
후대에 기독교와 밀의 종교 간의 상호 작용이 실제로 일어났다. 기독교는 자체적인 입문 의식인 세례를 가지고 있으며, 4세기부터 기독교인들은 세례와 같은 성사들을 밀의 의식에 사용된 그리스어 용어인 ''mysterion''이라는 단어로 지칭하기 시작했다. 이 경우, 이 단어는 기독교인들이 자신들의 가장 중요한 의식에 대해 오해하거나 존중하지 않을 수 있는 비기독교인들과 논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그들의 의식은 밀의 종교를 둘러싼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일부 갖게 되었다.
고대 시대에도 이러한 유사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루키아누스와 켈수스와 같은 로마 제국의 비기독교인들은 기독교와 밀의 종교가 서로 닮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외부인들의 주장에 반발하여, 초기 기독교 기독교 변증가인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이러한 종교들이 자신의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부인했다. 17세기 개신교 학자인 아이작 카사본은 가톨릭 교회가 가톨릭교회의 성사를 밀의 종교의 의식에서 유래했다고 비난하며 이 문제를 다시 제기했다. 샤를-프랑수아 뒤퓌는 18세기 말에 기독교 자체가 밀의 종교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며 더 나아갔다. 개신교, 가톨릭교, 비기독교인 간의 종교적 논쟁으로 격화되면서, 이 논란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조
[1]
인용
[2]
문서
Rives 2010, p. 265.
[3]
문서
Keller 1988, pp. 38-40.
[4]
학술지
The Road to Eleusis: Unveiling the Secret of the Mysteries. Twentieth Anniversary Edition, by R. Gordon Wasson, Albert Hofmann, Carl A.P. Ruck, Hermes Press, 1998. (Originally published by Harcourt Brace Jovanovich in 1978). ISBN 0-915148-20-X
1999-04
[5]
문서
W. Greenwalt, ‘Philip II and Olympias on Samothrace: A Clue to Macedonian Politics during the 360s’, in T. Howe and J. Reames (eds), Macedonian Legacies (Claremont, 2008) 79–106
[6]
문서
Bremmer 2014, pp. 21-36.
[7]
문서
Leonard 2021, pp. 26-27.
[8]
문서
Beck 2006, p. 6.
[9]
문서
Blakely 2018, p. 430.
[10]
문서
Martin 2021, p. 371.
[11]
문서
Martin 2021, p. 365.
[12]
문서
Clauss 2000, pp. 102-103.
[13]
문서
Clauss 2000, p. 152.
[14]
문서
Lease, Gary. "Mithraism and Christianity: borrowings and transformations."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2 (1980): 1306–1322
[15]
문서
A.D. Nock, ''Essays on Religion and the Ancient World'', 2 vols (Oxford, 1972) 2.791–820
[16]
서적
四つのギリシャ神話 『ホメーロス讃歌』より
岩波文庫
[17]
학술지
"<졸업논문> 엘레우시스의 비의"
https://hdl.handle.n[...]
학습원대학철학회
[18]
서적
미트라의 밀의
https://www.chikumas[...]
헤이본샤
[19]
서적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P
2012-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