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16호선 (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6호선 (일본)은 요코하마시를 기점으로 도쿄를 둘러싼 환상 노선으로, 1963년 키사라즈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 도로는 1887년 국도 45호로 시작하여 국도 31호, 16호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일반국도로 재편되었다. 요코하마-요코스카 구간은 군항 요코스카의 중요성 때문에 일급국도로 지정되었고, 1963년 이후 지바현 구간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현재는 도쿄만 해상 구간으로 인해 완전한 환상 도로는 아니며, 요코하마시와 훗쓰시에서 끊어진다. 주요 경유지로는 가나가와현, 도쿄도, 사이타마현, 지바현이 있으며, 국도 1호선, 도쿄만 아쿠아라인 등 여러 도로와 교차한다. 국도 16호선은 수도권 교외 지역의 상업 중심지로, 마케팅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작품의 배경이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16호선 (일본) - 게이요 도로
게이요 도로는 도쿄와 지바를 연결하는 일본의 유료 도로이며, 국도 14호선과 16호선을 포함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 도로 구간으로 나뉘며 동일본 고속도로가 관리한다. - 사이타마현의 도로 - 국도 제17호선 (일본)
국도 제17호선 (일본)은 도쿄도 주오구에서 니가타현 니가타시 주오구까지 총 351.1km를 잇는 일본의 주요 간선 국도로, 관동 지방과 에치고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사이타마현의 도로 - 국도 제298호선 (일본)
국도 제298호선은 사이타마현 와코시에서 지바현 이치카와시를 잇는 총 연장 43.8km의 국도로,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도쿄 외곽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하고, 1970년 지정 이후 확장 및 개통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 지바현의 도로 - 국도 제298호선 (일본)
국도 제298호선은 사이타마현 와코시에서 지바현 이치카와시를 잇는 총 연장 43.8km의 국도로,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도쿄 외곽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하고, 1970년 지정 이후 확장 및 개통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 지바현의 도로 - 국도 제125호선 (일본)
국도 제125호선(일본)은 지바현 가토리시에서 시작하여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에서 끝나는 총 연장 163.8km의 일반 국도로, 이바라키현과 사이타마현을 경유하며 국도 제51호선, 국도 제17호선 등과 교차한다.
국도 제16호선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16 |
이름 | 국도 제16호선 |
별칭 | 도쿄 환상선 |
총 연장 | 348.4km |
실제 연장 | 326.2km |
현재 도로 연장 | 307.5km |
육상 구간 | 343.4km |
해상 구간 | 5.0km |
제정일 | 1952년 (쇼와 27년) |
순환선 통과 도시 | 가나가와현 야마토시, 사가미하라시, 도쿄도 마치다시, 하치오지시, 아키시마시,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사이타마시, 가스카베시, 지바현 가시와시, 지바시, 야치요시, 기사라즈시,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
기점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니시구 다카시마초 교차로 |
종점 | 기점과 동일 |
로마자 표기 | Kokudō Jūroku-gō |
주요 연결 도로 | |
연결 도로 | 국도 1호선 국도 20호선 국도 17호선 국도 4호선 국도 6호선 국도 51호선 |
노선 정보 | |
방향 | 반시계 방향 (CCW) |
이전 노선 | 국도 15호선 |
다음 노선 | 국도 17호선 |
추가 정보 | |
지도 | http://www.mlit.go.jp/road/ir/ir-data/tokei-nen/2016/pdf/d_genkyou26.pdf |
관리 | 국토교통성 |
환상 도시 | 도쿄 |
2. 역사
1953년 5월 18일 신도로법에 근거한 2급 국도 노선 지정에서, 요코하마에서 지바 구간은 "2급 국도 129호 도쿄 환상선(東京環状線)"으로, 지바에서 기사라즈 구간은 "2급 국도 127호 다테야마 지바선(館山千葉線)"의 일부로 국도로 지정되었다.[19]
1963년 이전에는 현재와 같은 순환 노선이 아니었고, 후쓰에서 요코스카를 거쳐 요코하마까지 이어졌다. 1963년 4월 1일, 16호 국도가 기사라즈까지 연장되면서, 이 구간의 국도 127호 일부와 국도 129호 전 구간이 1급 국도로 승격됨에 따라 도쿄를 둘러싼 현재의 노선이 형성되었다.[20]
1965년 4월 1일 도로법 개정에 따라 국도의 일급·이급 구분이 없어지고 모두 일반국도로 재편되었기 때문에, "일급국도 16호"에서 "일반국도 16호"가 되었다.
이후 연도별 개통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966년(쇼와 41년) 4월: 요즈카 - 사쿠라다이 개통[22]
- 1966년(쇼와 41년) 8월 10일: 와카시바 - 요즈카 개통[23][24]
- 1968년(쇼와 43년) 3월: 가시와 시 와카시바 - 가시와 시 오시마다 개통[25]
- 1968년(쇼와 43년) 3월: 야치요 시 시마다 - 야치요 시 요네모토 개통[25][26]
- 1969년(쇼와 44년): 후나바시 시 코무로초 - 후나바시 시 오노다초 2.2km 개통
- 1969년(쇼와 44년): 지바 시 나가누마하라초 - 지바 시 텐다이초 4.2km 개통
- 1970년(쇼와 45년): 야치요 시 요네모토 - 야치요 시 헨다마에 개통[26]
- 1970년(쇼와 45년): 지바 시 요코토초 - 지바 시 다이니치초 개통
- 1970년(쇼와 45년): 노다 시 - 지바 시 전 구간 개통[27]
2. 1. 요코하마-요코스카 구간
1887년(메이지(明治) 20년) 7월 2일 칙령(勅令) 제28호에 따라 각지의 진수부에 이르는 도로가 국도로 정해졌다.[16] 같은 해 7월 8일 "국도 45호"(도쿄(東京)에서 요코스카 진수부(横須賀鎮守府)에 이르는 노선)로 지정되었다.[17] 이 노선은 현재의 국도 15호와 거의 같은 당시의 "국도 1호"(도쿄(東京)에서 요코하마(横浜)에 이르는 노선)와 중복되는 노선을 연장한 것이었다.[17] 1920년(다이쇼(大正) 9년) 시행된 구 도로법에 따른 노선 인정에서는 구 국도 45호가 그대로 "국도 31호"(도쿄시(東京市)에서 요코스카 진수부(横須賀鎮守府) 소재지에 이르는 노선)가 되었다. 1952년(쇼와(昭和) 27년) 12월 4일 신 도로법에 따른 일급국도(一級国道) 노선 지정에서 "일급국도 16호"(요코하마시(横浜市) - 요코스카시(横須賀市))로 지정되었다.[18] 일급국도 16호의 당초 종점은 하시미즈(走水)가 아니라, 조금 이전의 요코스카 시가지 중심부에 있었다. 요코하마(横浜) - 요코스카(横須賀) 구간이 일급국도로 지정된 이유는, 메이지(明治) 시대 이래로 군항(軍港)이었던 요코스카(横須賀)가 국가 전략상 중요시되었기 때문이다.2. 2. 요코하마-후쓰 구간
조선 시대 요코하마에서 하치오지 구간은 가나가와 슈쿠(神奈川宿)에서 하치오지를 거쳐 고슈 가도(甲州街道)로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였다. (가나가와 오우칸(神奈川往還), 마치다 가도(町田街道) 참조) 이 도로는 조세 수송이나 마을의 산물을 운반하고 교환하는 등 생활에 필요한 길이었다. 겐로쿠(元禄)・교호(享保) 시대부터 간선도로로 이용되었다.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는 쓰쿠이의 생사, 비단 직물을 매입하기 위해 왕래하는 외국 상인들의 모습도 많았다고 한다.[19]하치오지에서 이루마 구간은 닛코 와키오우칸(日光脇往還)이라 불리며, 현재는 이루마에서 분기하는 국도 407호선 등을 통해 하치오지에서 도쇼구(東照宮)가 있는 닛코로 향하는 간선도로로 번성했기 때문에, 도로변은 숙박 마을로 발전했다.[19]
1953년 5월 18일 신도로법에 근거한 2급 국도 노선 지정에서, 요코하마에서 지바 구간은 "2급 국도 129호 도쿄 환상선(東京環状線)"으로, 지바에서 기사라즈 구간은 "2급 국도 127호 다테야마 지바선(館山千葉線)"의 일부로 국도로 지정되었다.[19]
2. 3. 순환선화
1963년 이전에는 현재와 같은 순환 노선이 아니었고, 후쓰에서 요코스카를 거쳐 요코하마까지 이어졌다. 요코스카-요코하마 구간은 1887년 7월 8일 국도 45호로 지정되었고, 1920년에는 국도 31호, 1952년에는 16호가 되었다. 1963년 4월 1일, 16호 국도가 키사라즈까지 연장되면서, 이 구간의 국도 127호 일부와 국도 129호 전 구간이 1급 국도로 승격됨에 따라 도쿄를 둘러싼 현재의 노선이 형성되었다.[20]1963년(쇼와 38년) 4월 1일에 일급국도와 이급국도의 재편이 이루어졌을 때, 그때까지의 이급국도 127호 가나야마-지바 선의 일부(키사라즈 - 지바 간)와 이급국도 129호 도쿄 환상선이 일급국도 16호에 통합되었다. 동시에 요코스카 시가지 - 하시미즈 간과 키사라즈 시 - 후쓰 시 간의 도로가 국도로 지정되면서 일급국도 16호는 요코하마 시를 기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되었다.[20] 이급국도 127호의 나머지 구간은 그대로 이급국도 127호 가나야마-키사라즈 선으로 재지정되었고, 이급국도 129호는 히라츠카 시 - 사가미하라 시 간의 주요 지방도가 승격하여 "이급국도 129호 히라츠카-사가미하라 선"으로 재지정되었다.[21] 두 개의 이급국도가 일급국도 16호에 통합된 이유는, 1962년(쇼와 37년) 당시 건설성이 후쓰 - 하시미즈 간에 거대한 교량을 건설하는 계획인 도쿄만구 도로 구상을 발표하고, 이를 위한 기반으로 일급국도 16호를 도쿄 만과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 노선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1965년(쇼와 40년) 4월 1일 도로법 개정에 따라 국도의 일급·이급 구분이 없어지고 모두 일반국도로 재편되었기 때문에, "일급국도 16호"에서 "일반국도 16호"가 되었다.
3. 노선 상황
국도 16호선은 도쿄만을 사이에 두고 해상 구간이 있어 완전한 순환 도로가 아니다.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와 지바현 훗쓰시의 끝부분은 도쿄만의 항만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4] 법률상 기점과 종점은 요코하마시이지만, 사실상 도로의 끝은 동쪽은 훗쓰시 후쓰 교차로이고, 서쪽은 요코스카시 소우즈이이다.[4]
후쓰미사키 부근 지바현 훗쓰시 후쓰
향후 도쿄만구 도로라는 광역 고속도로 후보 노선으로 연결될 계획이며, 가나가와현 측 연결 도로는 국도 16호선에도 지정되어 있는 요코하마 요코스카 도로이다.[4] 도쿄만 단절 구간의 대체 교통 수단으로 근교 항로인 도쿄만 페리(카네야항 - 쿠리하마항)를 이용하여 우회할 수 있다.[4] 도쿄만 아쿠아라인(국도 409호)이 1997년에 개통되었으나, 1조 4000억엔 이상의 건설비가 투입되었음에도 막대한 누적 적자를 기록하여, 2008년에 도쿄만구 도로 사업의 채산성이 의문시되어 보류되었다. 따라서 사업화되지 않고 계획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4]
3. 1. 가나가와현·도쿄도 구간
요코하마시 니시구를 기점으로 요코스카시, 사가미하라시, 하치오지시 등을 경유한다. 이 구간에는 보토가야 바이패스, 야마토 바이패스, 하치오지 바이패스, 미즈호 바이패스 등 여러 바이패스가 있다.이 구간은 크게 요코하마 국도사무소 구간, 소부 국도사무소 구간으로 나뉜다.


이 부근 구간은 마치다시 쪽을 병행하는 마치다 가도와 함께 '''가나가와 오우칸'''이나 '''하마 가도''', '''비단의 길''' 등으로도 불리며,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하치오지에서 요코하마 항으로의 비단 생산에 많이 이용된 역사가 있다.
사가미하라시 추오구 부근은 도로 폭이 넓고, 편도 2차선으로 측도와 가로수, 넓은 보도가 정비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차용 고속 차선, 마차나 화차 등 저속 차선과 보도를 분리한 흔적이다.[30] 이 사가미하라 시가지의 가로수길은 1994년(헤이세이 6년)에 요미우리 신문사 선정의 「신·일본 가로수 100경」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31] 전시 중에 군도 계획이 제기되었을 당시 긴급시 활주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이 있다.[32][33] 일부 구간에서는 측도를 활용하여 자전거 전용 통행대가 2017년까지 순차적으로 정비되었다.[34]



3. 1. 1. 요코하마 국도사무소 구간
기점과 종점은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하는 요코하마시 니시구 다카시마정의 다카시마정 교차로이다. 여기서 요코스카시 소우스이까지는 도쿄만 해안선과 JR 네기시선·게이큐 본선을 따라 요코스카 가도를 달려 요코스카 시내 중심가를 지나, 요코스카시 미하루마치의 미하루마치 2초메 교차로에서 마보리 해안을 따라 요코스카 해안도로로 들어선다. 마보리 해안을 지나면 기존의 2차선 도로로 바뀌고, 소우스이 2초메의 방위대학교 소우스이 집회장[28] 앞 작은 삼거리까지가 국도이며, 그 앞 도로는 가나가와현도 209호 관음사키 환상선으로 바뀐다.요코스카에서 요코하마로 향하는 국도 16호선은 기종점인 다카시마정 교차로에서 모든 차선이 우회전 차선으로 되어 있어 통행 차량은 국도 1호선 도쿄 방면으로만 갈 수 있으므로 기종점을 넘나드는 주행은 불가능하다. 하치오지 방면으로 가려면 국도 16호선과 평행하는 사쿠라가와 신도(가나가와현도 13호 요코하마 이쿠타선)를 경유하여 다카시마정 교차로에서 좌회전한다. 국도 1호선과 중복 구간을 서쪽으로 진행하여 하마마츠초 교차로에서 갈라져 북서쪽으로 진행하면 요코하마 환상 2호선 교차점(가와시마)을 거쳐 보토케야마 바이패스 본선과 가미카와이 IC 부근에서 합류한다.
3. 1. 2. 소부 국도사무소 구간
도메이 입구 교차로부터는 소부 국도사무소가 관할하는 구간이다. 도쿄도 마치다시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도현 경계가 아니라, 마치다시 내의 교차로 위에 경계가 있다. 요코하마 구간의 가미카와이 IC 부근의 보토가야 바이패스 본선에서 요코하마마치다 IC까지는 입체화되었지만, 계속해서 낮 시간대에 2km 이상의 만성적인 정체가 발생했기 때문에, 소부 구간에서도 마치다시 도메이 입구 교차로의 입체화 공사(보토가야 바이패스 2기[29], 마치다 입체 사업)가 시행되었다. 보토가야 바이패스의 연장에 의해, 요코하마 방면 - 남마치다 그랑베리파크역 북측의 지평부(다이와 바이패스) 연결 지점까지 완전한 입체 교차로로 연결되었다. 참고로, 마치다 입체화는 가와사키 국도사무소에 의한 사업이다.사카이가와를 건너면 다시 가나가와현에 들어간다. 과거 국도 16호선이었던 구도(가나가와현도·도쿄도도 56호 메구로마치 마치다선)와 다이와 바이패스의 연결 지점부터, 사가미오오노역 인근의 야나구치 육교까지는 편도 3차선의 넓은 도로이다. 이 부근부터 하시모토 부근까지는 커브가 거의 없는 긴 직선 구간이 될 뿐만 아니라, 마치다시와의 도현 경계를 따라가는 경로이기 때문에 마치다시 방면으로의 출입도 많다. 이 부근 구간은 마치다시 쪽을 병행하는 마치다 가도와 함께 '''가나가와 오우칸'''이나 '''하마 가도''', '''비단의 길''' 등으로도 불리며,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하치오지에서 요코하마 항으로의 비단 생산에 많이 이용된 역사가 있다. 우노모리를 지나면, 로드사이드의 대형 점포와 패밀리 레스토랑이 늘어선 거리가 된다. 그 후에도 사가미하라시의 직선 도로를 잠시 진행하여, 하시모토 고가교를 직진하여 국도 413호선 및 JR 요코하마선을 입체 교차로로 넘으면, 일반 도로의 현도와 하치오지 바이패스의 분기점인 모토하시모토 교차로에 이른다.
사가미하라시 추오구 부근은 도로 폭이 넓고, 편도 2차선으로 측도와 가로수, 넓은 보도가 정비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차용 고속 차선, 마차나 화차 등 저속 차선과 보도를 분리한 흔적이다.[30] 이 사가미하라 시가지의 가로수길은 1994년(헤이세이 6년)에 요미우리 신문사 선정의 「신·일본 가로수 100경」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31] 전시 중에 군도 계획이 제기되었을 당시 긴급시 활주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이 있다.[32][33] 일부 구간에서는 측도를 활용하여 자전거 전용 통행대가 2017년까지 순차적으로 정비되었다.[34]
하시모토 방면에서 본선을 그대로 직진하면 2015년 10월에 상환이 종료되어 무료 구간이 된 하치오지 바이패스가 된다. 다시 도쿄도 마치다시에 들어서자마자 마치다 가도와의 입체 교차(사하라 IC)가 있으며, 키타노 가도를 오버패스, 우치코시 출구까지는 신호가 없는 완전 입체 교차로이며, 자전거, 보행자의 통행은 불가능하다(자전거, 보행자는 별도로 정비된 보도를 주행하게 된다). 그 후 국도 20호선을 오버패스하고 히다리이리바시 교차로에서 다시 현도와 연결되지만, 키타노 가도 이북은 로드사이드 점포가 집적되어 일부 구간에서는 흐름이 나쁘다.

한편, 현도는 모토하시모토 교차로에서 벗어나, 바이패스와 마찬가지로 마치다 시내에 들어가면 마치다 가도와 평면 교차하고, 능선을 지나 야리미즈 부근부터 하치오지 시내에 들어가, 하치오지 바이패스 야리미즈 IC를 지나 '''고덴토게'''를 넘는다. 참고로, 모토하시모토 교차로부터 만쵸 교차로까지는 편도 1차선이 된다. 마치다 가도, 키타노 가도, 고슈 가도 등의 주요 도로와 JR 주오선의 건널목과 교차하기 때문에, 아침 저녁을 중심으로 흐름이 나쁘다. 고슈 가도(편도 2차선)와 일부 구간을 공유한 후 북쪽으로 진로를 바꾸어, 아사가와바시를 건너 「이이내자카」라고 불리는 구릉을 넘는다. 이 구간은 하치오지 확폭으로 2018년 1월 14일에 4차선화 확폭이 완료되었다.[35] 타니노 가도 입구 남쪽 교차로를 통과하면, 중앙 자동차도 하치오지 IC와 연결된다. 히다리이리바시 교차로에서 바이패스와 연결되지만, 현도·바이패스 각각 2차선분(합계 4차선분)의 교통량이 2차선으로 집약되기 때문에 부근은 자주 정체하고 있다.
히다리이리바시 교차로를 빠져 나와 언덕을 오르면 다마가와가 눈앞에 펼쳐지고, 하이지마바시가 가로지르고 있다. 그 앞, 도가타카미 교차로를 왼쪽으로 돌지만, 코니다 교차로까지 1.5km는 신오쿠타마 가도(도쿄도도 29호 타치카와 오메선)와의 중복 구간이 된다. 이 구간은 외곽 순환(신오쿠타마 가도, 하행) 2차선, 내곽 순환(신오쿠타마 가도, 상행) 3차선의 변칙 구간이지만, 도로 폭은 모두 같다. 내곽 순환은 원래 2차선인 곳을 우회전 차량 대책으로 3차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차선 폭이 좁고, 대형차는 차선에 여유가 없다.
코니다 교차로부터 무사시노바시를 지나[36], 3000m급 활주로를 가진 미군 요코타 기지를 오른쪽에 보면서 잠시 진행하면 구도(현·도쿄도도 166호 미즈호 아키루노 하치오지선)와 하코네가사키역 주변을 우회하는 미즈호 바이패스의 분기점에 이른다. 분기점의 터널을 빠져나가면 아오메 가도와의 입체 교차가 있다. 미즈호 바이패스를 빠져나가면 다시 구도와 합류하고, 곧 사이타마현 이루마시가 된다.
3. 1. 3. 오미야 국도사무소 구간 (사이타마현 내)
이루마시, 사야마시, 가와고에시, 사이타마시, 가스카베시 등을 경유하며, 무사시 바이패스, 가와고에 바이패스, 니시오미야 바이패스, 신오미야 바이패스, 히가시오미야 바이패스, 이와츠키카스카베 바이패스, 가스카베노다 바이패스 등 여러 바이패스가 존재한다.[1]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간에츠도) 이루마IC를 지나 무사시 바이패스 너머, 이루마・사야마시 경계 부근에는 편도 1차선 구간이 남아 있었으나, 2017년 3월 28일에 편도 2차선으로 확장되었다. 이로써 사이타마현 내 국도 16호선은 전 구간 편도 2차선이 되었다.[1] 2020년 말에는 도현 경계~와키다신마치 교차로까지의 구간 제한속도가 60km/h로 상향 조정되었다.[1]
가와고에시 구간은 1974년에 정비되어 오래되었기 때문에 우회전 차선이 없는 교차로가 많아 직진 방향의 유효 차선 수가 1차선이 되어 정체가 자주 발생한다. 간에츠 자동차도 가와고에IC를 지나 와키다신마치 교차로를 우회전하여 가와고에 시가지를 우회하지만, 급커브 등으로 선형이 좋지 않아 와키다신마치~신주쿠마치(북) 교차로에서는 제한속도가 40km/h로 제한되어 있다.[1]
국도 254호선과의 교차로인 신주쿠마치(북) 교차로에서는 국도 254호선으로 우회전하는 차량 때문에 좌측 차선으로 무리한 차선 변경이 빈번하게 일어난다.[1]
국도 254호선 가와고에 바이패스와의 교차점인 코센파 교차로를 지나, 가미에바시에서 아라카와 강을 건너 니시오미야 바이패스에 들어선다. 미야마에IC부터 요시노마치IC까지 3.7 km는 국도 17호선 신오미야 바이패스와 중복되며, 편도 3차선 도로이다.[1]
요시노마치IC에서 도다이오미야 바이패스를 동쪽으로 진행하여, 하라이치 지하도를 통과하고, JR 도호쿠 본선(우쓰노미야 선)을 다리로 건넌다. 도호쿠 자동차도 이와츠키IC가 있는 사이타마시 이와츠키구 카쿠라미나미 교차로 부근은 종일 혼잡하다. 이와츠키카스카베 바이패스로 카스카베시에 들어가, 코부치 교차로에서 국도 4호선(닛코 가도)과 교차한다. 이 교차로부터 카스카베노다 바이패스가 되어, 쇼와 인터 교차로에서 국도 4호선 바이패스(신4호 국도)와 교차한 후, 카나노이오하시 직전에서 지바 국도사무소 구간에 들어간다.[1]
3. 2. 지바현 구간
江戸川일본어을 건너는 가나노이오오하시에서 사이타마현과 지바현의 경계가 시작된다. 지바현 구간은 노다시에서 지바시를 거쳐 기사라즈시까지 이어지는 4차선(편도 2차선) 간선도로와 같은 도로가 계속되며, 대형 로드사이드 상점과 공장이 도로변에 많이 있다.[27] 노다시를 지나 가시와시에 들어서면, 수도권신도시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고가를 지나 조반 자동차도 가시와 IC가 나타나는데, 이 부근은 대형차와 트럭이 매우 많다. 평일에는 승용차보다 대형차가 더 많을 정도로, 일종의 트럭 전용 도로처럼 보인다. 가시와시 요바쓰카에서는 국도 6호선(미토 가도)과 교차한다. 가시와 IC에서 요바쓰카 교차로 구간은 교통 흐름이 매우 나빠 자주 정체된다. 요바쓰카 교차로를 지나면 조반선을 넘는다. 가시와 터널을 지나면 전원 지역이 나타나고, 오쓰가와를 건너면 구 누마나마치 중심지인 오쓰가오카에 들어선다. 오쓰가오카 교차로에서는 앞으로 국도 6호선의 우회도로가 될 예정인 가시와시도시계획도로 3·3·2호 미누와 아오바다이선과 교차할 예정이며, 입체 교차가 될 예정이다. 그 후, 시로이시, 후나바시시, 야치요시로 직선으로 이어지지만, 혼잡한 편도 2차선 도로가 계속된다. 이 주변은 1970년대 이후에 정비된 신도 구간이기 때문에 직선적인 도로가 만들어져 있다. 후나바시시 고무로에서는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과 나리타 공항선을 가로지르고, 야치요시 시모이치바에서는 국도 296호선과 교차하여 게이세이 본선을 넘는다.지바시에 들어서면 이나게구에 도우칸토 자동차도 지바키타 IC가 있고, 이 IC를 지나면 게이요 도로 아나가와 IC까지 혼잡하지만, 현립 스포츠 센터 주변은 특히 혼잡이 심하다. 2019년에는 이 구간의 교통 정체로 인한 손실 시간이 전국 최악이었다. 아나가와 이후는 국도 357호선 교차점(주오구 하마노)까지 게이요 도로의 측도가 된다. 측도 구간에서는 소부 본선, 지하라선, 게이요선과 입체 교차한다.
(2015년 7월)



하마노를 지나 우치보선을 넘으면 게이요 공업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통행 차량의 대부분은 대형 트럭이지만, 통행량은 그다지 많지 않고 직선 도로가 이어진다. 기미쓰시 오와다부터는 도쿄 만안 도로의 뒷길에 해당하는 구 가도에 들어가 2차선(편도 1차선) 도로가 되며, 수 킬로미터 앞에 지바현 측의 사실상 종점이 되는 훗쓰 교차로에서 국도가 끝나고, 그 앞에 이어지는 지바현도 255호 후쓰 공원선이 후쓰미사키를 향해 뻗어 있다.[27] 지정 구간은 여기서 우라가 수도 건너편, 요코스카시 소스이로 이어진다. 과거에는 아나가와 인터체인지 교차로에서 히로코지 교차로, 그리고 국도 14호선과 중복되어 노보토 교차로에서 무라타마치 교차로 사이가 지정되어 있었지만, 게이요 도로 및 도우칸토 자동차도의 측도를 달리는 바이패스 개통에 따라 현재의 바이패스 도로가 지정되었다.
지바현 내 개통 구간은 다음과 같다.
년도 | 구간 |
---|---|
1966년 4월 | 요즈카 - 사쿠라다이[22] |
1966년 8월 10일 | 와카시바 - 요즈카[23][24] |
1968년 3월 | 가시와시 와카시바 - 가시와시 오시마다[25] |
1968년 3월 | 야치요시 시마다 - 야치요시 요네모토[25][26] |
1969년 | 후나바시시 고무로초 - 후나바시시 오노다초 (2.2km) |
1969년 | 지바시 나가누마하라초 - 지바시 덴다이초 (4.2km) |
1970년 | 야치요시 요네모토 - 야치요시 헨다마에[26] |
1970년 | 지바시 요코토초 - 지바시 다이니치초 |
1970년 | 노다시 - 지바시 전 구간[27] |
4. 주요 경유지
- 가나가와현
- * 요코하마시 (니시구 - 호도가야구 - 아사히구 - 세야구 - 미도리구) - 야마토시 - 사가미하라시 (미나미구 - 주오구 - 미도리구)
- 도쿄도
- * 마치다시 - 하치오지시 - 아키시마시 - 훗사시 - 하무라시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사이타마현
- * 이루마시 - 사야마시 - 가와고에시 - 사이타마시 (니시구 - 기타구) - 아게오시 -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 이와쓰키구) - 가스카베시
- 지바현
- * 노다시 - 가시와시 - 시로이시 - 후나바시시 - 야치요시 - 지바시 (하나미가와구 - 이나게구 - 와카바구 - 주오구 - 와카바구 - 주오구) - 이치하라시 - 소데가우라시 - 기사라즈시 - 기미쓰시 - 훗쓰시
- 가나가와현
- * 요코스카시 -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 - 이소고구 - 미나미구 - 나카구 - 니시구)
5. 교차하는 도로
일본 국도 16호선은 요코하마시 니시구(1호선과의 교차)를 기점과 종점으로 하는 일반 국도이다. 주요 경유지로는 요코스카, 사가미하라, 하치오지, 가와고에, 사이타마, 가스카베, 카시와, 지바 및 키사라즈가 있다.
총 길이는 이다.
다음은 국도 16호선과 교차하는 도로 목록이다.
현/도 | 도로 |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호선, 동명 고속도로 요코하마마치다IC |
도쿄도 | 국도 제246호선, 국도 제20호선, 중앙 자동차도 하치오지IC, 국도 제411호선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29호선, 국도 제413호선 |
사이타마현 |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이루마IC, 국도 제299호선, 국도 제463호선, 간에쓰 자동차도 가와고에IC, 국도 제254호선, 국도 제17호선, 도호쿠 자동차도 이와츠키IC, 국도 제122호선, 국도 제4호선, 신4호 국도 |
지바현 | 조반 자동차도 카시와IC,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64호선, 국도 제296호선, 히가시칸토 자동차도 지바키타IC, 국도 제126호선, 국도 제51호선, 지바토우킨 도로 지바히가시IC, 국도 제357호선, 국도 제297호선, 국도 제409호선, 도쿄만 아쿠아라인 연락도 소데가우라IC, 국도 제410호선, 국도 제127호선, 다테야마 자동차도 키사라즈미나미IC, 국도 제465호선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34호선, 국도 제133호선, 국도 제1호선 |
5. 1. 국도·고속도로
현/도 | 도로 |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호선, 동명 고속도로 요코하마마치다IC |
도쿄도 | 국도 제246호선, 국도 제20호선, 중앙 자동차도 하치오지IC, 국도 제411호선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29호선, 국도 제413호선 |
사이타마현 |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이루마IC, 국도 제299호선, 국도 제463호선, 간에쓰 자동차도 가와고에IC, 국도 제254호선, 국도 제17호선, 도호쿠 자동차도 이와츠키IC, 국도 제122호선, 국도 제4호선, 신4호 국도 |
지바현 | 조반 자동차도 카시와IC,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64호선, 국도 제296호선, 히가시칸토 자동차도 지바키타IC, 국도 제126호선, 국도 제51호선, 지바토우킨 도로 지바히가시IC, 국도 제357호선, 국도 제297호선, 국도 제409호선, 도쿄만 아쿠아라인 연락도 소데가우라IC, 국도 제410호선, 국도 제127호선, 다테야마 자동차도 키사라즈미나미IC, 국도 제465호선 |
가나가와현 | 국도 제134호선, 국도 제133호선, 국도 제1호선 |
5. 2. 도도부현도
현도명 | 구간 |
---|---|
가나가와현도 제13호 요코하마 이쿠타 선 | 신요코하마도리, 요코하마시 니시구 (기점) - 다카시마초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0호 요코하마역 네기시 선 | 요코하마시 니시구 - 니시히라누마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1호 후지다나 이세자키 선 (후지다나 우라후네도리) | 요코하마시 니시구 - 하마마쓰초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3호 아오키 아사마 선 (요코하마시도 환상 1호) | 요코하마시 니시구 - 코우후쿠지 교차로 |
환상 2호선 |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 하자와이리구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109호 아오토에가미호시가와 선 (야마자키도리) |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 우메노키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40호 요코하마 아쓰기 선 (아쓰키가이도) | 요코하마시 아사히구 - 츠루가미네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45호 마루코 나카야마 카야가사키 선 (나카하라가이도) | 요코하마시 아사히구 - 도오카초 교차로 |
환상 4호선 (요코하마시도 환상 4호) | 요코하마시 세야구, 미도리구 |
가나가와현도 제56호 메구로마치 마치다 선 | 야마토시 - 츠키미노이리구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1호 마치다 아쓰기 선 (코우코우도로) | 사가미하라시 - 야나구치리큐바시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2호 사가미하라 마치다 선 (키타사토도리) | 사가미하라시 - 우노모리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7호 사가미하라 오오쿠라 마치 선 (시바미조가이도) | 사가미하라시 - 후치노베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03호 사가미하라 다치카와 선, 가나가와현도 제504호 사가미하라 정차장 선 | 사가미하라시 - 사가미하라역이리구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03호 사가미하라 다치카와 선 | 사가미하라시 - 신세이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63호 사가미하라 오이소 선 | 사가미하라시 - 하시모토고사지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505호 하시모토 정차장 선 | 사가미하라시 - 코우후쿠지마에 교차로 |
도쿄도도 제47호 하치오지 마치다 선 (마치다가이도) | 마치다시 - 아이하라 교차로 |
도쿄도도 제47호 하치오지 마치다 선 | 마치다시 - 아이하라사카시타 교차로 |
도쿄도도 제20호 후추 사가미하라 선 | 하치오지시 - 야리스이 교차로 |
도쿄도도 제173호 가미다테 히노 선 | 하치오지시 - 카타쿠라초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0호 시모유즈키 하치오지 선 | 하치오지시 - 시립 제3소마에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6호 미즈호 아키루노 하치오지 선 | 하치오지시 - 이나리자카 교차로, 타니노가이도이리구치 교차로 |
도쿄도도 제506호 하치오지 시로야마 선 | 하치오지시 - 하치만초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9호 후치가미 히노 선 | 하치오지시 - 사이이리바시 교차로, 사이이리초 교차로 |
도쿄도도 제29호 다치카와 오메 선 (오쿠타마가이도) | 아키시마시 - 하이지마초 교차로 |
도쿄도도 제29호 다치카와 오메 선 (신오쿠타마가이도) | 아키시마시 - 도우가타카미 교차로 |
도쿄도도 제29호 다치카와 오메 선 (신오쿠타마가이도, 오쿠타마가이도) | 아키시마시 - 코니타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4호 하이지마 정차장 선 | 아키시마시, 후사시 - 무사시노바시미나미 교차로 |
도쿄도도 제7호 스기나미 아키루노 선 (무쓰바시도리) | 후사시 - 무사시노바시미나미 교차로 |
도쿄도도 제7호 스기나미 아키루노 선 (이츠카이치가이도) | 후사시 - 무사시노바시키타 교차로, 다이고게이트마에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5호 이나 후사 선 | 후사시 - 다이니게이트마에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6호 미즈호 아키루노 하치오지 선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무사시노키타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3호 하무라 미즈호 선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신하무라가이도 교차로 |
도쿄도도 제5호 신주쿠 오메 선 (오메가이도)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하코네가사키니시 교차로 |
도쿄도도 제44호 미즈호 도미오카 선 (이와쿠라가이도)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이와쿠라가이도 교차로 |
도쿄도도 제219호 사야마 시모미야데라 선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후지산 교차로 |
도쿄도도 제166호 미즈호 아키루노 하치오지 선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사야마다이라 교차로 |
도쿄도도 제179호 도코자와 오메 선 |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 니혼기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19호 사야마 시모미야데라 선 | 이루마시 - 미야데라미나미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8호 가와고에 이루마 선 | 이루마시 - 미야데라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63호 오메 이루마 선 | 이루마시 - 오우기마치야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50호 도코자와 사야마 선, 사이타마현도 제262호 히다카 사야마 선 | 사야마시 - 이루마가와 산초메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61호 가사하타 사야마 선 | 사야마시 - 시민회관이리구치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97호 호리카네 네기시 선 (사야마 환상 유료 도로) | 사야마시 |
사이타마현도 제126호 도코자와 호리카네 사야마 선 | 사야마시 |
사이타마현도 제114호 가와고에 코에세 선 | 가와고에시 - 오부쿠로신덴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160호 가와고에 기타칸죠 선 | 가와고에시 - 와키다신마치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9호 가와고에 사카도 모로야마 선 | 가와고에시 - 신주쿠마치키타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113호 가와고에 신자 선 | 가와고에시 - 코센바미나미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6호 가와고에 도코자와 선 | 가와고에시 - 신주쿠마치 산초메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15호 가와고에 히다카 선 | 가와고에시 - 코센바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호 사이타마 가스카베 선 | 사이타마시 니시구 - 호라이IC |
사이타마현도 제216호 우에노 사이타마 선 | 사이타마시 니시구 - 미야마에IC |
사이타마현도 제35호 가와구치 아게오 선 (산업도로) | 사이타마시 기타구 - 요시노히가시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5호 사이타마 쇼부 선 (다이니산업도로) | 아게오시 - 하라시나카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호 사이타마 구리하시 선 | 아게오시 |
사이타마현도 제322호 히가시몬마에 렌다 선 |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 마루가사키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호 사이타마 가스카베 선, 사이타마현도 제65호 사이타마 고노스 선 |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 미야가야토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48호 고시가야 이와쓰키 선, 사이타마현도 제324호 가모 이와쓰키 선 | 사이타마시 이와쓰키구 - 히가시마치 니초메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80호 노다 이와쓰키 선 | 사이타마시 이와쓰키구 - 나카마치 교차로, 미나미히라노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호 사이타마 가스카베 선 | 가스카베시 - 미나미나카소네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78호 가스카베 쇼부 선 | 가스카베시 - 우메다니시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85호 가스카베 구키 선 | 가스카베시 - 우메다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19호 소신덴 가스카베 선 | 가스카베시 - 코부치히가시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2호 사이타마 가스카베 선 | 가스카베시 - 토부시죠마에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20호 니시호쥬카 가스카베 선 | 가스카베시 - 하치쵸메히가시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321호 니시카나노이 가스카베 선 | 가스카베시 - 시모야나기니시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42호 마쓰부시 가스카베 세키야도 선 | 가스카베시 - 야나기바시아시타 교차로 |
사이타마현도 제156호 미사토 고노스 자전거도로 선 | 가스카베시 - 입체교차 |
지바현도 제401호 마쓰도 노다 세키야도 자전거도로 선 | 노다시 - 입체교차 |
지바현도 제17호 유키 노다 선 | 노다시 - 나카자토 교차로 |
지바현도 제142호 이와이 노다 선 | 노다시 - 후나가타미나미 교차로 |
지바현도 제3호 쓰쿠바 노다 선 | 노다시 - 야나자와 교차로 |
지바현도 제46호 노다 우시쿠 선 | 노다시 - 노다시역이리구치 교차로 |
지바현도 제47호 모리야 나가레야마 선 | 가시와시 - 와카시바 교차로 |
지바현도 제282호 가시와 인자이 선 | 가시와시 - 오이 교차로 |
지바현도 제8호 후나바시 아비코 선 (후나토리현도) | 가시와시 - 오시마다 교차로 |
지바현도 제280호 시로이 나가레야마 선 | 시로이시 - 토미즈카 교차로 |
지바현도 제191호 니시시로이 정차장 선 | 시로이시 |
지바현도 제59호 이치카와 인자이 선 (키노시타가이도) | 시로이시 - 시로이 교차로 |
지바현도 제189호 지바 뉴타운 기타칸죠 선 | 시로이시 |
지바현도 제288호 나쓰미 코무로 선 | 후나바시시 고무로마치 - 코무로 교차로 |
지바현도 제61호 후나바시 인자이 선 | 야치요시 - 시마다다이 교차로 |
지바현도 제4호 지바 류가사키 선 | 야치요시 - 요네모토 교차로 |
지바현도 제66호 하마노 요쓰카이도 나가누마 선, 지바현도 제69호 나가누마 후나바시 선 | 지바시 이나게구 - 나가누마입체교차로 |
지바현도 제64호 지바 우스이 인자이 선 | 지바시 와카바구 타카히나마치, 카이즈카마치 (가이즈카IC) |
지바현도 제22호 지바 야치마타 요코시바 선 | 지바시 주오구, 와카바구 - 카이즈카 교차로 |
지바현도 제20호 지바 오아미 선 (오아미가이도) | 지바시 주오구 - 마쓰가오카 인터 교차로 |
지바현도 제66호 하마노 요쓰카이도 나가누마 선 | 지바시 주오구 |
지바현도 제14호 지바 모바라 선 (모바라가이도) | 지바시 주오구 |
지바현도 제24호 지바 가모가와 선 (쿠루리가이도) | 지바시 주오구 |
지바현도 제243호 이치하라 후토 선 | 이치하라시 - 이치하라 부토이리구치 교차로 |
지바현도 제13호 이치하라 모바라 선 | 이치하라시 - 아네자키카이간 교차로 |
지바현도 제300호 가미타카네 기타소데 선 | 소데가우라시 - 키타소데IC |
지바현도 제87호 소데가우라 나카지마 기사라즈 선, 지바현도 제143호 난소쇼와 선, 지바현도 제287호 소데가우라 아네가사키 정차장 선 | 소데가우라시 - 나라와 교차로 |
지바현도 제90호 기사라즈 후쓰 선 | 기사라즈시 - 16호 나가스가 교차로 |
지바현도 제23호 기사라즈 스에요시 선 | 기사라즈시 |
지바현도 제270호 기사라즈 소데가우라 선 | 기사라즈시 |
지바현도 제90호 기사라즈 후쓰 선 | 기사라즈시 - 우시오미 교차로 |
지바현도 제159호 기미쓰 오누키 선 | 기미쓰시 |
지바현도 제90호 기사라즈 후쓰 선 | 기미쓰시 - 오오와다 교차로 |
지바현도 제157호 오누키 아오보리 선 | 후쓰시 - 오오보리사카시타 교차로 |
지바현도 제158호 기미쓰 아오보리 선 | 후쓰시 |
지바현도 제90호 기사라즈 후쓰 선 | 후쓰시 - 아라이 교차로 |
지바현도 제255호 후쓰 공원 선 | 후쓰시 - 후츠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09호 간논자키 환상선 | 요코스카시 - 소우즈이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6호 요코스카 미사키 선 | 요코스카시 - 혼마치 이치쵸메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5호 요코스카 정차장 선 | 요코스카시 |
가나가와현도 제206호 다우라 정차장 선 | 요코스카시 - 타우라역이리구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4호 요코스카 즈시 선 | 요코스카시 - 후나고시마치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3호 하라주쿠 무쓰우라 선 |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 - 뭇쓰우라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2호 요코하마 이세하라 선 | 요코하마시 이소고구 - 세이텐바시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17호 환상 2호선 | 요코하마시 이소고구 - 푄가우라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2호 야마시타 혼모쿠 이소고 선 | 요코하마시 이소고구 - 하치만바시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1호 요코하마 가마쿠라 선 | 요코하마시 미나미구 - 요시노마치 산쵸메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1호 후지다나 이세자키 선 (후지다나 우라후네도리) | 요코하마시 나카구 - 반도바시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0호 요코하마역 네기시 선 | 요코하마시 나카구 - 초자마치 고쵸메 교차로 |
가나가와현도 제218호 야요이다이 사쿠라기초 선 | 요코하마시 나카구 - 사쿠라기초 니쵸메 교차로 |
요코하마시 주요 지방도 81호 후지다나 이세자키 선 (후지다나 우라후네도리) | 요코하마시 나카구 - 야요이초 고쵸메 교차로 |
6. 마케팅
국도 제16호선은 수도권 도심부와 교외의 경계선으로서, 체인점 출점 전략 등 마케팅 측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42] 고도경제성장 이후 베드타운 확대로 스프롤 현상이 발생하여 도쿄권은 1도 3현(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으로 확산되었고, 도심에서 반경 30~40km의 환상 도로인 국도 16호선 일대는 에지시티(주변 도시)로서 발전을 거듭했다. 국도 16호선 연선에는 로드사이드 상점과 아웃렛몰이 늘어서며, 교외형 라이프스타일이 발달한 지역으로서 "일본의 축도", "패스트 풍토" 등으로 불리며, 도시론이나 마케팅론 등의 주제로도 다루어져 왔다.[43]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간사이 지역의 대기업이 수도권에 진출할 때 국도 16호선 연선에 출점하는 사례가 있었다.
- 다이에(ダイエー) - 일본을 대표하는 슈퍼마켓 체인이다. 수도권에 진출할 때 "레인보우의 법칙"에 따라 국도 16호선 연선에 출점했다.
- 소고(そごう) - 일본을 대표하는 백화점이다. 원래는 신사이바시(心斎橋)의 오사카 본점, 산노미야(三宮)의 고베점, 유라쿠초(有楽町)의 요미우리 회관(読売会館) 내 도쿄점(東京店) 3개 점포뿐이었지만, 미즈시마 히로오(水島廣雄) 사장 시대에 미국 소매업계에서 성공한 "레인보우의 법칙"에 따라 국도 16호선 연선에 출점하는 경영 전략을 채택했다. 지바에 지바 소고, 가시와에 가시와 소고, 하치오지에 세레오 하치오지(하치오지 소고), 요코하마에 요코하마 소고, 사이타마에 오미야 소고 등 국도 16호선 연선 도시에 출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점 장소의 대부분은 철도의 터미널 역 근처였다.
7. 작품
; 음악 작품 제목
- TOM★CAT - 싱글 「후라레 기분데 Rock'n' Roll」 레코드 B면 (1984년)
- 오다 카즈마사 - 앨범 「Far East Café」수록 (1990년)
- Something ELse - 2002년[44]
- 마쓰토야 유미 - 앨범 「A GIRL IN SUMMER」수록 (2006년)
- 마이 요우스케 - (2014년)
- 마카로니 엔피츠 - (2020년)
- FUNKY MONKEY BΛBY'S - (2022년)
; 라디오 프로그램
- MUSIC ROUTE 16
; 텔레비전 프로그램
- 다큐멘터리 72시간 - 「온 더 로드 국도 16호의 “행복론”」 (2014년 6월 13일 방송)
- 킨시오 특별편 신작 녹음 123의 여행 16호를 간다 〜기분 내키는 산책 여행〜
- * TV 가나가와(tvk) 제작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킨시오』의 기획 「1, 2, 3의 여행」 중 「십육의 권」을 프로그램 미방영 DVD로 제작.[44] 가나가와현요코스카시 소우스이에서 국도 16호선을 따라 5일 동안 지바현후쓰시까지 일주하는 기획 수록.
; 만화 작품
- 질풍전설 특공의 拓
참조
[1]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www.mlit.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2-19
[2]
웹사이트
http://www.ktr.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2010-11-29
[3]
웹사이트
Networks of Small Producer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Some Models
http://205.186.138.1[...]
IIM Ahmedabad
2012-03-10
[4]
기타
[5]
웹사이트
東京湾フェリー
https://www.tokyowan[...]
2021-11-09
[6]
서적
日本が読める国道16号―経済記者の新マーケティング論, ルート16の法則―21世紀の日本が読める, 国道16号スタディーズ, 国道16号線 「日本」を創った道
双葉社, 青弓社, 新潮社
[7]
웹사이트
相次ぎ閉店したターミナルデパート…競合多く、生き残る術は
https://www.yomiuri.[...]
2022-12-07
[8]
뉴스
ルート16が生むニューライフ
日本経済新聞
2021-10-31
[9]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40年3月29日政令第58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0-30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웹사이트
表26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道路局
2024-04-02
[15]
기타
[16]
간행물
勅令第二十八号
NDLDC|2944436
官報
1887-07-02
[17]
간행물
内務省告示第三号
NDLDC|2944441
官報
1887-07-08
[18]
법령
一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27年12月4日政令第477号)
[19]
법령
二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28年5月18日政令第96号、昭和28年5月18日施行)
[20]
법령
改正一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37年5月1日政令第184号)および、改正二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37年5月1日政令第184号・第109号、昭和38年4月1日施行)
[21]
법령
改正二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37年5月1日政令第184号・第109号、昭和38年4月1日施行)
[22]
간행물
広報かしわ
柏市
2004-06-15
[23]
간행물
広報かしわ
柏市
2004-06-15
[24]
서적
柏市明原自治会史
[25]
서적
千葉国道二十年史
建設省関東地方建設局 千葉国道工事事務所
1983
[26]
서적
八千代市史
[27]
서적
柏市史
[28]
기타
[29]
웹사이트
(再評価) 国道16号 保土ヶ谷バイパス(Ⅱ期) 平成22年10月21日 国土交通省 関東地方整備局
https://www.ktr.mlit[...]
[30]
기타
[31]
서적
道と路がわかる辞典
日本実業出版社
2001-11-10
[32]
웹사이트
sns国道16号線沿い-シニアネット相模原-
http://www.snsagami.[...]
2020-06-17
[33]
웹사이트
相模原ワンポイント
https://www.city.sag[...]
2020-06-17
[34]
웹사이트
~既存の道路空間再配分により幅の広い自転車道が完成~
https://www.ktr.mlit[...]
2021-02-06
[35]
웹사이트
国道16号八王子拡幅が開通します 平成30年1月14日(日)16時30分開通 〜開通日時をお知らせします〜
http://www.ktr.mlit.[...]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 相武国道事務所
2017-12-19
[36]
text
[37]
text
[38]
웹사이트
東京都通称道路名地図(東京都全体番)
https://www.kensetsu[...]
2023-09-29
[39]
웹사이트
国道16号の概要
https://www.ktr.mlit[...]
2023-10-10
[40]
text
[41]
웹사이트
千葉柏道路
http://www.ktr.mlit.[...]
[42]
뉴스
「国道16号」を越えられるか 首都圏スーパーの“双璧”ヤオコーとオーケー、本丸を巡る戦いの行方
https://www.itmedia.[...]
ITmedia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21-01-28
[43]
뉴스
ニューノーマルと国道16号 脚光あびる郊外消費
https://www.wwdjapan[...]
WWD JAPAN
2020-10-06
[44]
웹사이트
tvk ニュースリリース DVD発売に関してのお知らせ。
http://www.tvk-yoko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