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스 게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스 게티아는 16세기 텍스트인 《솔로몬의 작은 열쇠》에 포함된, 솔로몬 왕이 사용했다는 72 악마의 목록, 성격, 모습, 특기, 인장 등을 기록한 문헌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그리스-로마 시대의 마법적 전통을 계승하며,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자들에 의해 마술의 종류가 구분되었다. 19세기 이후 엘리파스 레비, 앨리스터 크로울리 등 오컬트 사상가들에 의해 재해석되었고, 현대에도 의례 마법, 서구 신비주의 등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도밀교 - 흑마법
흑마법은 중세 시대 악마적 마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금지된 점술 행위와 관련되며, 현대에는 백마법과 구분되고 대중문화와 사회적 갈등 속 선전 도구로도 활용된다. - 좌도밀교 - 좌도와 우도
좌도와 우도는 인도에서 유래하여 서양 밀교에서 선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정신과 육체의 분리를 중시하며 도덕률을 따르는 우도와 사회적 관습을 거부하고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좌도로 구분된다. - 악마학 - 교실 이데아 소동
교실 이데아 소동은 1994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 "교실 이데아"를 역재생했을 때 악마의 메시지가 들린다는 소문으로 인해 발생한 논란으로, 언론 보도와 함께 백워드 마스킹 논란, 음모론 등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 악마학 - 백마스킹
백마스킹은 음원을 거꾸로 재생하여 숨겨진 메시지를 삽입하는 음악 녹음 기법이며, 예술적 효과, 풍자, 검열 회피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사탄의 메시지 논란으로 사회적 파장을 낳기도 했다.
아르스 게티아 | |
---|---|
개요 | |
분야 | 마법 |
하위 분류 | 악마학, 의례 마법 |
관련 개념 | 테우르기아 |
어원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γοητεία (goēteía, "요술, 마법") |
로마자 표기 | goeitia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악령, 특히 솔로몬의 열쇠에 언급된 악령을 소환하는 마법의 한 종류 |
특징 | 소환된 악령을 통해 마법사의 의지를 실현 솔로몬의 열쇠와 같은 마법서에 기반 다양한 의식과 주문 사용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의 요술에서 유래 |
발전 |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그리모어를 통해 발전 |
현대 | 현대 오컬티즘에서 중요한 위치 차지 |
주요 문서 | |
주요 문서 | 솔로몬의 열쇠 |
아르스 고에티아 | 솔로몬의 열쇠의 첫 번째 책으로, 72 악마의 목록과 소환 방법 설명 |
논란 | |
윤리적 문제 | 악령 소환의 위험성과 윤리적 문제 제기 |
과학적 검증 |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미신으로 간주됨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솔로몬의 열쇠 악마학 의례 마법 오컬티즘 그리모어 테우르기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Drury, Nevill; Hume, Ramsey (2013). *The Varieties of Magical Experience: Indigenous, Shamanic, Mystical, and Occult*. ABC-CLIO. コーン, ヘンリー; 山本, 史郎 (1983). *悪魔の事典*. 柏書房. キング, フランシス; 江口, 之隆 (1994). *儀式魔術*. 国書刊行会. ゲティングズ, フレッド; 大瀧, 啓裕 (1992). *悪魔の辞典*. 青土社. キング, フランシス; 山岸, 賢司 (1987). *魔術と儀式*. 平凡社. |
2. 역사적 배경
'''''그리모어'''''(일명 "주문서", "마법서", "주문집")는 마법 물건을 만들거나, 주문을 수행하고, 초자연적 존재를 소환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담은 교재이다.[1] 역사학자 오웬 데이비스에 따르면, 세계 최초의 그리모어는 유럽과 고대 근동에서 만들어졌다.[1]
고에티아의 기원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마법 주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초기에 알려진 마법 주문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현대 이라크)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점토판에 새겨져 있으며,[1] 고대 이집트에서도 부적 등에 마법 주문이 새겨져 발견되었다.[1]
이후 헬레니즘 이집트 시대에 콥트 문자가 발전하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개관되면서 마법서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시기 전설적인 인물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이집트 신 토트와 그리스 신 헤르메스가 결합된 존재로, 글쓰기와 마법의 신으로 여겨졌다.[1]
고대 그리스인과 고대 로마인들은 마법이 페르시아에서 유래했다고 믿었다. 1세기 작가 대 플리니우스는 마법이 기원전 647년경 조로아스터에 의해 발견되었지만 기원전 5세기에 오스타네스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주장했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1]
고대 히브리인들은 이집트에서 마법을 배운 모세를 통해 마법에 정통한 것으로 여겨졌다. 일부 고대 작가들은 모세를 유대인이 아닌 이집트인으로 보기도 했다. 4세기에 제작된 필사본에는 모세의 여덟 번째 책이 언급되며, 모세를 신을 소환하고 악마를 제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다신교적 인물로 묘사한다.[1]
영지주의 초기 기독교 분파에서도 그리모어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있다. 사해 문서에서 발견된 ''에녹서''에는 점성술과 유대교의 천사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1]
이스라엘 왕 솔로몬은 고대 세계에서 마법과 주술과 관련된 성경 속 인물이었다. 1세기 로마-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솔로몬의 이름으로 유통되는 책에 악마를 소환하는 주문이 있다고 언급했다.[3] 위경인 ''솔로몬의 유언''은 가장 오래된 마법 텍스트 중 하나로, 솔로몬에게 귀속된 그리스어 필사본이다. 이 작품은 예루살렘 성전 건축과 관련된 악마들과 대천사 미카엘 (대천사)이 준 마법 반지, 솔로몬의 인장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1]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지배적인 종교가 되면서, 초기 교회는 마법에 관한 책들을 이교주의와 연관시켜 불태웠다.[1]
2. 1. 고대 근동의 마법
가장 초기에 알려진 마법 주문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현대 이라크)의 우루크 도시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점토판에 새겨져 있으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의 것으로 추정된다.[1] 고대 이집트인들 또한 부적과 같은 물건에 마법 주문을 새겨 사용했다.[1] 헤카로 알려진 이집트의 마법 체계는 기원전 332년 알렉산더 대왕이 이끄는 마케도니아인들의 침략 이후 크게 변화하고 확장되었다.[1]2. 2. 그리스-로마 세계의 마법

"magic"(마법)이라는 영어 단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었다.[1]
기원전 6세기 말과 5세기 초, 페르시아의 'maguš'는 그리스화되어 고대 그리스어로 μάγος|마고스grc와 μαγεία|마게이아grc로 도입되었다.[2] 그 과정에서 의미가 바뀌어 부정적인 의미를 얻게 되었고, 'magos'는 사기성이 있고, 이상하며, 관습에 어긋나고, 위험한 의례를 행하는 사기꾼으로 여겨졌다.[2] 고대 그리스인들과 그 후의 고대 로마인들에게 "마법은 종교와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달갑지 않은 부적절한 표현, 즉 타인의 종교였다."[3]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마법을 행한다는 비난은 "일종의 모욕"이었다.[4]
마법 행위는 크게 신학(θεουργία|테우르기아grc)과 ''고에티아''(γοητεία|고에테이아grc)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신학은 고급 마법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존경받는 사제와 같은 인물이 의례와 관련된다.[5] 반면 고에티아는 하급 마법 또는 마녀술로, 저급하고 속임수를 쓰는 ''mageia''를 암시하는 경멸적인 용어였다.[6]
저주 서판은 밀랍이나 납 서판에 저주를 새겨 땅에 묻는 것으로, 그리스 사회의 모든 계층에서 자주 실행되었으며, 때로는 도시 전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7] 그리스 고전 시대 이후 공공 장소에서 행해지는 공동 저주는 줄어들었지만, 개인적인 저주는 고대 시대 내내 흔하게 남아 있었다.[8] 이러한 저주는 개별적이고 도구적이며 불길한 특성으로 인해 마법으로 구별되었다.[9] 정상성의 본질적으로 변하기 쉬운 문화적 구성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특성은 고대 마법을 종교 의례와 가장 명확하게 구분한다.[10]
그리스 마법 파피루스는 그리스어, 콥트어, 데모틱 이집트어로 작성된 다수의 마법 파피루스를 지칭하며,[11] 다음과 같은 초기 마법 사례를 포함한다.
- 영을 명령하는 힘이 있다고 하는 마법의 단어 사용[12]
- 영을 소환하거나 불러낼 때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신비한 기호 또는 인장 사용[13]
기원전 1세기에 그리스의 'magos' 개념은 라틴어로 채택되어 여러 고대 로마 작가들이 '마구스'(magus)와 '마기아'(magia)로 사용했다.[2] 이 용어가 라틴어로 사용된 가장 초기의 사례는 기원전 40년경 베르길리우스의 ''목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는 'magicis... sacris'(마법 의례)가 언급되어 있다.[14] 로마인들은 이미 'veneficus'와 'saga'와 같은 초자연적 힘의 부정적인 사용을 나타내는 다른 용어를 가지고 있었다.[14] 로마인들의 이 용어 사용은 그리스인들과 유사했지만, 사법적 적용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2]
고대 로마 사회에서 마법은 제국 동쪽의 사회와 연관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1세기 대 플리니우스는 마법이 이란 철학자 조로아스터에 의해 창조되었고, 이후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군사 원정에 동행한 마법사 오스타네스에 의해 서쪽 그리스로 전해졌다고 주장했다.[15]
로마 제국 내에서는 마법으로 여겨지는 행위를 범죄화하는 법이 도입되었다.[16] 마법 행위는 후기 로마 시대에 금지되었으며, ''테오도시우스 법전''(438년)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 만약 어떤 마법사나 마법에 물든 자, 즉 사람들의 관습에 따라 마법사로 불리는 자가 [...] 내 수행원이나 카이사르의 수행원에게 붙잡히면, 그의 신분 보호를 받더라도 처벌과 고문을 면치 못할 것이다.[17]
2. 3. 중세 유럽의 마법
중세 유럽에서 마법은 이단 및 배교와 연관되어 악마 숭배와 연결,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3]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서는 흑마술이 비난받는 마법 행위 중 하나였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튼 열왕사"에는 마법사 멀린의 아버지가 인큐버스였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라틴어 법률 용어 "maleficium"이 해를 끼칠 의도로 수행된 마법 또는 마녀사냥에 적용되었다. 솔로몬 왕은 마법과 관련된 성경 속 인물로 여겨졌으며,[3] 다양한 마법서들이 솔로몬이 썼다고 주장하며 쓰여졌다.3. 고에티아의 내용
「고에티아」는 솔로몬의 작은 열쇠라고도 불리는 『레메게톤』의 첫 번째 부분이다. 솔로몬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는 5개의 마법서를 모은 5부 구성(사본에 따라 4부)으로 되어 있다. 프레드 게팅즈는 『레메게톤』 중에서 「고에티아」만이 본래 내용이고, 나머지는 각각 별도로 성립된 것이 나중에 합본된 것이 아닐까 추정한다.
「고에티아」는 솔로몬 왕이 사용했다는 72명의 악마를 불러내 다양한 소원을 이루는 절차, 필요한 마법진, 인장의 디자인과 제작법, 주문 등을 담고 있다. 72 악마의 성격, 모습, 특기, 인장이 수록되어 있어 악마 명감으로도 참조된다.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의 사전』에는 요한 바이어의 「악마의 위왕국」을 참고하여 「고에티아」와 공통되는 악마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지옥의 사전』 제6판(1863년)에 추가된 루이 르 브르통의 삽화는 창작 요소가 많지만, 악마학 자료에 근거하여 그려져 많은 사람들의 악마 이미지에 영향을 주고 있다.[14]
''고에티아''와 일부(전부는 아님) 중세 그리모어는 악마 숭배와 연관되었다. 이 그리모어에는 이전 이교 전통에서 파생된 마법의 힘의 단어와 악령 소환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시리아,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켈트, 앵글로색슨 이교, 성경에 언급된 아스모데우스, 아스타로트, 바알제붑 등이 그 출처이다.[6]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에티아''의 많은 마법적 관행과 의식이 사악하거나 비종교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흑마술로 여겨졌다. 종교 재판은 마녀사냥과 주류가 아닌 비밀 연구를 금지하고 표적으로 삼았다.[9]
3. 1. 레메게톤

- -|]]|thumb|left|alt=13세기 프랑스 필사본의 삽화로, 마법사 멀린이 오른쪽에 있는 필사 수도사와 대화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멀린은 인큐버스와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13세기 프랑스 필사본의 삽화).]]
- -|]]|thumb|''Bald's Leechbook''의 복제 페이지]]
「고에티아」는 『레메게톤』의 제1부이다. 『레메게톤』은 『솔로몬의 작은 열쇠』라고도 불리며, 솔로몬에 유래한다고 여겨지는 5개의 마법서를 모은 책이다(사본에 따라 4부까지). 프레드 게팅즈는 『레메게톤』 중에서 「고에티아」만이 본래 내용이고, 나머지는 각각 별도로 성립된 것이 나중에 합본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에티아」는 솔로몬 왕이 사용했다는 72명의 악마를 불러내 다양한 소원을 이루는 절차, 필요한 마법진, 인장의 디자인과 제작법, 주문 등을 담고 있다. 이 책에는 72명의 악마의 성격, 모습, 특기, 인장이 수록되어 있어 악마 명감으로도 참조된다.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의 사전』에는 요한 바이어의 「악마의 위왕국」을 참고하여 「고에티아」와 공통되는 악마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지옥의 사전』 제6판(1863년)에 추가된 루이 르 브르통의 삽화는 창작 요소가 많지만, 악마학 자료에 근거하여 그려져 많은 사람들의 악마 이미지에 영향을 주고 있다.[14]
3. 2. 72 악마
「고에티아」에는 솔로몬 왕이 사용했다는 72 악마의 목록, 성격, 모습, 특기, 인장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각 악마는 지옥에서의 작위(악마의 계급)를 가지고, 대규모 군단을 이끌고 있다고 묘사된다.[9] 악마들의 이름은 문헌에 따라 철자 등 차이가 있으며, 총수는 72명을 넘기도 한다.[9] 72 악마는 셈 하-메포라쉬의 72개 신명과 72명의 천사에 대응한다는 주장이 있다.솔로몬 왕은 이 72명의 강력한 왕과 군주들을 베리얼, 빌레트, 아스모데우스, 가아프가 이끄는 군세와 함께 놋쇠 그릇에 가두었다. 솔로몬은 그들을 묶어 용기에 밀봉하고, 신성한 힘으로 바빌론의 깊은 호수나 구멍에 쫓아냈다. 그러나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큰 보물이 들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용기를 열자, 영들의 우두머리들은 자신들에게 복종하는 군단과 함께 뛰쳐나왔다. 베리알을 제외한 모두가 원래 위치로 돌아갔고, 베리알은 우상에 들어가 사람들의 숭배를 받게 되었다고 한다.
다음 표는 '아르스 게티아'에 기록된 72 악마의 목록이다. 왼쪽 열의 숫자는 '아르스 게티아'에 기록된 순서를 나타내며, 인장은 맥그리거 메이더스가 추적한 것이다.
이름 | 인장 | 지위 | 군단 수 | Peterson판[15] | Crowley판 | 웨이트판 | 오오타키 번역 | 레지널드 스코트[16] | |
---|---|---|---|---|---|---|---|---|---|
1 | 바엘 | -- | 왕 | 32 이상 | Bael | Bael | Baal | 바알 | 1. 바엘 |
2 | 아가레스 | -- | 공작 | 31 | Agares | Agares | Agares | 아가레스 | 2. 아가레스 |
3 | 바사고 | -- | 군주 | 26 | ? | ? | ? | ? | ? |
4 | 가미긴 | -- | 후작 | 30 | Gamigin | Samigina | Gamygyn | 가뮤기운 | 46. 가미긴 |
5 | 말파스 | -- | 총재 | 36 | ? | ? | ? | ? | ? |
6 | 발레포르 | -- | 공작 | 10 | Valefar | Valefor | Valefor | 발레포르 | 13. 발레파르 |
7 | 아몬 | -- | 후작 | 40 | Amon | Amon | Amon | 아몬 | 4. 아몬 |
8 | 바르바토스 | -- | 공작 | 30 (300[17]) | Barbatos | Barbatos | Barbatos | 바르바토스 | 5. 바르바토스 |
9 | 파이몬 | -- -- | 왕 | 200 | Paimon | Paimon | Paimon | 파이몬 | 21. 파이몬 |
10 | 부엘 | -- | 총재 | 50 | Buer | Buer | Buer | 부엘 | 6. 부엘 |
11 | 구시온 | -- | 공작 | 40 | Gusoin | Gusion | Gusion | 구시온 | 7. 구소인 |
12 | 시트리 | -- | 군주 | 60 | Sitri | Sitri | Sytry | 슈트리 | 20. 스티리 |
13 | 벨레트 | -- -- | 왕 | 85 | Beleth | Beleth | Beleth | 벨레트 | 19. 비레트 |
14 | 레라예 | -- | 후작 | 30 | Leraye | Leraje | Lerajie | 레라이에 | 12. 레라이에 |
15 | 엘리고스 | -- | 공작 | 60 | Eligos | Eligos | Eligor | 엘리골 | 11. 엘리골 |
16 | 제파르 | -- | 공작 | 26 | Zepar | Zepar | Separ (Zepar) | 세파르 (제파르) | 18. 제파르 |
17 | 보티스 | -- | 총재이자 백작 | 60 | Botis | Botis | Botis | 보티스 | 8. 보티스 |
18 | 바틴 | -- -- | 공작 | 30 | Bathin | Bathin | Bathin | 바틴 | 9. 바틴 |
19 | 살로스 | -- | 공작 | 30 | Saleos | Sallos | Saleos | 살레오스 | 64. 살레오스 |
20 | 푸르손 | -- | 왕 | 22 | Purson | Purson | Purson | 푸르손 | 10. 푸르손 |
21 | 모락스 | -- | 백작이자 총재 | 3 (30) | Morax | Marax | Morax | 모락스 | 14. 모락스 |
22 | 이포스 | -- | 백작이자 군주 | 36 | Ipos | Ipos | Ipos | 이포스 | 15. 이포스 |
23 | 아임 | -- | 공작 | 26 | Aim | Aim | Aini | 아이니 | 56. 아임 |
24 | 나베리우스 | -- | 후작 | 19 | Naberius | Naberius | Naberius | 나베리우스 | 16. 나베리우스 |
25 | 글라샤-라볼라스 | -- | 총재이자 백작 | 36 | Glasya Labolas | Glasya-Labolas | Glasyalabolas | 글라샤라볼라스 | 17. 글라시아・라볼라스 |
26 | 분네 | -- -- | 공작 | 30 | Bune | Buné | Bune | 부네 | 23. 부네 |
27 | 로노베 | -- | 후작 | 19 | Ronove | Ronové | Ronobe | 로노베 | 25. 로노웨 |
28 | 베리트 | -- | 공작 | 26 | Berith | Berith | Berith | 베리트 | 26. 베리트 |
29 | 아스타로트 | 공작 | 40 | Astaroth | Astaroth | Astaroth | 아스타로트 | 27. 아스타로트 | |
30 | 포르네우스 | -- | 후작 | 29 | Forneus | Forneus | Forneus | 포르네우스 | 24. 포르네우스 |
31 | 포라스 | -- | 총재 | 29 | Foras | Foras | Foras | 포라스 | 28. 포라스 |
32 | 아스모데우스 | -- | 왕 | 72 | Asmoday | Asmoday | Asmoday | 아스모데우스 | 34. 시드나이 |
33 | 가아프 | -- | 총재이자 군주 | 66 | Gaap | Gaap | Gaap | 가아프 | 35. 가아프 |
34 | 푸르푸르 | -- | 백작 | 26 | Furfur | Furfur | Furfur | 푸르푸르 | 29. 푸르푸르 |
35 | 마르코시아스 | -- | 후작 | 30 | Marchosias | Marchosias | Marchosias | 마르코시아스 | 30. 마르코시아스 |
36 | 스톨라스 | -- | 군주 | 26 | Stolas | Stolas | Solas/Stolas | 스톨라스 | 68. 스톨라스 |
37 | 페넥스 | -- | 후작 | 20 | Phœnix | Phenex | Phœnix | 페닉스 | 67. 포에닉스 |
38 | 할파스 | -- | 백작 | 26 | Halphas | Halphas | Halpas | 할파스 | 42. 할파스 |
39 | 말파스 | ![]() | 총재 | 40 | Malphas | Malphas | Malpas | 말파스 | 31. 말파스 |
40 | 라움 | -- | 백작 | 30 | Raum | Raum | Raum | 라움 | 41. 라움 |
41 | 포칼로르 | -- | 공작 | 3 (30?) | Focalor | Focalor | Focalor | 포칼로르 | 43. 포칼로르 |
42 | 웨파르 | -- -- | 공작 | 29 | Vepar | Vepar | Vepar | 웨파르 | 32. 웨파르 |
43 | 사브노크 | -- | 후작 | 50 | Sabnach | Sabnock | Sabnack | 사브노크 | 33. 사브나케 |
44 | 삭스 | -- | 후작 | 30 | Shax | Shax | Shax | 삭스 | 36. 삭스 |
45 | 비네 | -- | 왕이자 백작 | 36 (35[15]) | Vine | Viné | Vine | 위네 | 44. 위네 |
46 | 비프로스 | -- | 백작 | 6 | Bifrons | Bifrons | Bifrons | 비프로스 | 45. 비프로스 |
47 | 부알 | -- -- | 공작 | 37 | Vual | Uvall | Vual | 우알 | 65. 우알 |
48 | 하겐티 | -- | 총재 | 33 | Haagenti | Haagenti | Hagenti | 하겐티 | 66. 하겐티 |
49 | 크로켈 | -- | 공작 | 48 | Procel | Crocell | Procel | 프로켈 | 37. 프로켈 |
50 | 푸르카스 | -- | 기사 | 20 | Furcas | Furcas | Furcas | 푸르카스 | 38. 푸르카스 |
51 | 바람 | -- | 왕 | 40 | Balam | Balam | Balam | 바람 | 62. 바람 |
52 | 알로케스 | -- | 공작 | 36 | Alloces | Alloces | Allocen | 알로켄 | 63. 알로켈 |
53 | 카임 | -- | 총재 | 30 | Caim | Camio | Caim | 카임 | 40. 카임 |
54 | 무르무르 | -- | 공작이자 백작 | 30 | Murmur | Murmur | Murmur | 무르무르 | 39. 무르무르 |
55 | 오로바스 | -- | 군주 | 22 (26[17]) | Orobas | Orobas | Orobas | 오로바스 | 57. 오로바스 |
56 | 그레모리 | -- | 공작 | 26 | Gemory | Gremory | Gomory | 고모리 | 50. 고모리 |
57 | 오세 | -- | 총재 | 3 (30?) | Ose | Osé | Ose | 오세 | 55. 오세 |
58 | 아미 | -- | 총재 | 36 | Amy | Amy | Amy | 아미 | 60. 아미 |
59 | 오리아스 | -- | 후작 | 30 | Orias | Oriax | Orias | 오리아스 | 48. 오리아스 |
60 | 바풀라 | -- | 공작 (총재[17]) | 36 | Vapula | Vapula | Vapula | 바풀라 | 58. 바풀라 |
61 | 자간 | -- | 왕이자 총재 | 33 (36[17]) | Zagan | Zagan | Zagan | 자간 | 47. 자간 |
62 | 발락 | -- | 총재 | 38 (30) | Valac | Valac | Valac | 발락 | 49. 발락 |
63 | 안드라스 | -- | 후작 | 30 | Andras | Andras | Andras | 안드라스 | 53. 안드라스 |
64 | 플라우로스 | -- | 공작 | 36 (3[17]) | Flauros | Haures | Flauros | 플라우로스 | 61. 플라우로스 |
65 | 안드레알푸스 | -- | 후작 | 30 | Andrealphus | Andrealphus | Andrealphus | 안드레알푸스 | 54. 안드레알푸스 |
66 | 키메리스 | -- | 후작 | 20 | Cimeies | Cimejes | Cimeries | 키메리에스 | 59. 키메리에스 |
67 | 암두시아스 | -- | 공작 | 29 | Amduscias | Amdusias | Amduscias | 암두스키아스 | 52. 암두스키아스 |
68 | 베리알 | -- | 왕 | 80 | Belial | Belial | Belial | 베리알 | 22. 베리알 |
69 | 데카라비아 | -- | 후작 | 30 | Decarabia | Decarabia | Decarabia | 데카라비아 | 51. 데카라비아 |
70 | 세에레 | -- -- | 군주 | 26 | Seere | Seere | Seere | 세에레 | - |
71 | 단탈리온 | -- | 공작 | 36 | Dantalion | Dantalion | Dantalian | 단탈리온 | - |
72 | 안드로말리우스 | -- | 백작 | 36 | Andromalius | Andromalius | Andromalius | 안드로말리우스 | - |
3. 3. 솔로몬과 악령
헬레니즘 시대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솔로몬 왕이 지혜로 악령을 지배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었다. 1세기에서 3세기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그리스어 구약 외경 ''솔로몬의 유언''에는 예루살렘 성전을 건설하던 시기의 솔로몬이 대천사 미카엘에게서 악령을 지배하는 반지(솔로몬의 반지)를 받아 악령들을 성전 건설에 동원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벨제부브, 아스모데우스 등 다양한 악령이 등장하며, 36명의 악령과 그 퇴치법을 열거한 구절도 있다.이후 솔로몬의 이름을 딴 위조 문서들이 히브리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으로 쓰였으며, 중세 시대 후반부터는 마법사가 악령을 불러내는 술법(강령술)에 대해 기록한, 이전과는 다른 성격의 위조 솔로몬 문서가 유럽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다.[1] ''레메게톤''은 이러한 흐름을 잇고 있다.[1]
3. 4. 악마의 기원과 해석
피닉스, 바알, 아스타로트처럼 다른 종교·신화의 신이나 영적 존재에서 유래한 악마도 《고에티아》에 포함되어 있다. 몰로크 신이나 바알 제부브와 같이 이스라엘 민족 주변 여러 국가의 신들이 혐오스러운 이교 신으로 여겨져 악한 데몬으로 격하된 예가 있다.[9] 우상 숭배를 금지하는 고대 유대인이나 후세의 기독교도에 의해 이교의 신들이 악마의 지위로 격하되었다고 여겨진다."72"라는 숫자는 십이궁의 각 궁을 6구획으로 분할하여 얻는 숫자로, 상징적인 전 방위의 지배자를 정하기 위한 도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와사고처럼 이름 외의 정확한 모습이나 성격, 특징이 전해지지 않은 악마도 있다. 미국의 오컬티스트 론 마일로 듀켓(Lon Milo DuQuette)은 고에티아의 72 악령이 셈 하-메포라쉬(Shem-ha-mephorash)의 72 신명과 72 천사에 대응한다고 주장한다.
4. 고에티아의 출판과 현대적 해석
19세기 엘리파스 레비와 같은 인물들은 고에티아를 포함한 마법적 전통을 재해석하고 대중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레비는 카발라, 헤르메스주의, 의례 마법의 요소를 종합하여 고에티아를 개인적 변혁을 위한 영적 도구로 보았다. 그는 마법 수행의 도덕적, 윤리적 함의를 강조했다.[18]
20세기 오컬트의 중심 인물인 앨리스터 크로울리는 황금 새벽회의 가르침과 의식에 영향을 받아 고에티아를 연구했다. 그는 ''솔로몬 왕의 고에티아의 서''에서 영과의 협력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제시했다. 크로울리는 의례 마법에 대한 해석, 동방 신비주의, 개인적인 실험을 혼합하여 영을 지휘하는 마법사의 의지력과 권위를 강조했다. 이는 그의 개인주의적이고 변혁적인 마법 철학을 반영한다.[18]
고에티아의 마법적 부흥은 현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현대의 의례 마법, 오컬트 전통, 서구 신비주의 수행자들은 고에티아의 요소를 자신의 수행에 통합한다. 이들은 ''솔로몬의 작은 열쇠''를 포함한 역사적인 마법서에서 자료를 얻고, 개인적인 신념과 영적인 목표에 맞춰 의식을 해석하고 적용한다. 어떤 사람들은 고에티아를 자기 통달과 영적 권능 부여의 길로 여기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역사적 호기심 또는 상징적인 힘과의 연결 수단으로 활용한다.[19]
4. 1. 출판 역사
영국의 오컬티스트 매그리거 매서스(1854년-1918년)는 대영 박물관의 도서실 등에서 마법서 수집에 몰두했다.[18] 그는 대영 박물관에서 『레메게톤』의 고사본을 발견해 필사하고, 1898년경 최종 원고를 완성했다.[18] A.E. 웨이트는 『흑마술과 계약의 서』(1898년)에 『레메게톤』의 제1부 「고에티아」 초록을 다른 그리모어와 함께 수록했다. 매서스의 『레메게톤』 사본은 황금 새벽단 단원 앨런 베넷을 거쳐 앨리스터 크로울리에게 전해졌고,[18] 1904년 크로울리는 『솔로몬 왕의 고에티아의 서』를 출판했다. (단, 『레메게톤』 제2부 이후는 미수록) 이후 미국에서 해적판이 출판되었다.[18]1995년, 윌리엄 브리즈는 크로울리판 『고에티아』의 삽화가 있는 신판[19]을 편집해 미국에서 출판했다. 이 판본은 크로울리의 악마 스케치와 『지옥사전』의 루이 르 브르통 삽화를 사용했다. 2001년, 마법서 연구가 조지프 피터슨은 『레메게톤』 제5부까지 수록하고 「악마의 위왕국」을 함께 실은 『솔로몬의 작은 열쇠』를 출판했다.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에는 여러 편집판이 영미권에서 출판되고 있다.
4. 2. 현대적 해석
고에티아(라틴어: Goetia)는 그리스어 γοητείαgrc (고에테이아)가 라틴어화된 것으로, 주술·요술 등을 의미한다.그리스어에는 마술에 준하는 말이 몇 종류 존재하지만, 고에티아는 고대 그리스에서 γόηςel (고에스)라고 불린 주술사의 업(技)을 가리키며, 주술·요술·기술·속임수를 의미한다[20]。그 호칭은 고대 그리스의 샤먼적 주술사가 영을 부르기 위해 내는 외침에서 유래했으며[21], "슬퍼하다, 울부짖다, 신음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γοάωgrc (고아오)와 관련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마술에는 악령의 업인 신령마술과 자연 철학의 완성형인 자연 마술의 2종류가 있다고 보았으며, 전자는 그리스인이 말하는 "고에테이아", 후자는 "마게이아"에 해당한다고 했다[22]。네테스하임의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는 『학문의 헛됨과 불확실성에 관하여』에서 고에티아를 "부정한 영에 의한 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4. 3. 현대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현대 일본의 통속적인 서적에서는 고에티아에 등장하는 악마들이 "솔로몬 왕에 의해 봉인된 72기둥의 마신"[23], "72체의 솔로몬의 악마"[24]라는 문구로 소개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Pronunciation of Goetia
https://www.pronounc[...]
[2]
간행물
Curse Tablets from Roman Britain
http://curses.csad.o[...]
Oxford
2006-12-25
[3]
서적
Historia Regum Britanniae
[4]
논문
[5]
웹사이트
maleficium
https://web.archive.[...]
2018-05-12
[6]
뉴스
Witchcraft
https://www.britanni[...]
2018-05-12
[7]
웹사이트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oed.com/star[...]
2021-07-18
[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the Compact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문서
Using Modern Magick
Llewellyn Publications
[14]
서적
The Goetia
[15]
논문
[16]
논문
魔女術の発見
[17]
서적
The Goetia of Dr Rudd
[18]
서적
マサース版奥義書
[19]
서적
The Goetia
[20]
서적
An I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ヘルメス叢書 魔術と錬金術
白水社
[22]
서적
人間の尊厳について
国文社
[23]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II
新紀元社
[24]
서적
魔法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