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지네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지네목은 지네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부화 시 모든 분절을 갖춘 채로 부화하는 후성발달을 보인다. 몸길이는 9mm에서 30cm까지 다양하며, 21~23쌍의 다리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턱다리, 제1 다리의 체절, 21~23쌍의 다리 등으로 다른 지네 목과 구별되며, 전 세계 따뜻한 지역에 분포한다. 왕지네목은 5개의 과로 구성되며, 왕지네속의 종들이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종은 인간에게 물림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민간요법이나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왕지네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문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다족아문 |
| 강 | 순각강 (ムカデ綱) |
| 아강 | 측기문아강 |
| 아강 계급 없음 | 정형류 |
| 목 | 오오무카데목 (Scolopendromorpha) |
| 학명 | Scolopendromorpha Pocock, 1895 |
| 영어 이름 | Scolopendromorph Tropical centipede Bark Centipede |
| 하위 분류 | |
| 과 | 메나시무카데과 (Cryptopidae) Mimopidae Plutoniumidae 오오무카데과 (Scolopendridae) 아카무카데과 (Scolopocryptopidae) |
2. 형태
왕지네목에 속하는 지네들은 부화 시 모든 몸통마디를 갖춘 채로 태어나는 후성발달을 한다.[9] 일반적으로 21개 또는 23개의 몸통 분절과 같은 수의 다리 쌍을 가지며, 몸이 납작하고 길이는 9mm에서 30cm까지 다양하다.[10][4] 턱다리와 첫 번째 다리의 몸통마디가 하나의 등판으로 덮여 있고, 몸통 등판의 크기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는 점 등은 다른 지네 목과 구별되는 주요 특징이다.[16][24][38][31]
2. 1. 특징
왕지네목에 속하는 지네는 부화할 때 모든 몸통마디를 갖춘 상태로 태어나는 후성발달을 한다.[9] 일반적으로 21개 또는 23개의 몸통마디와 같은 수의 다리 쌍을 가진다. 대부분의 종은 다리 쌍의 수가 21개로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는 23개로 고정되어 있지만, 종 안에서 다리 수가 다른 두 종, 즉 21쌍 또는 23쌍의 다리를 가진 ''Scolopendropsis bahiensis''와 39쌍 또는 43쌍의 다리를 가진 ''S. duplicata''는 예외이다.[10] 이 목의 종들은 몸이 납작하며 길이는 9mm에서 30cm에 이른다. 몸 색깔은 다양하며 때로는 선명한 색을 띠기도 한다. 더듬이는 보통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14개에서 34개(일반적으로 17개에서 21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4]겉모습은 돌지네나 긴발지네와 비슷하며, 노래기만큼 통통하지 않고 줄지네만큼 가늘고 길지도 않다. 하지만 최대 4쌍의 홑눈, 하나의 등판으로 덮인 턱다리와 첫 번째 다리의 몸통마디, 원칙적으로 21~23쌍의 다리, 짧고 긴 마디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는 다리 몸통마디의 등판, 눈에 잘 띄지 않는 생식기 등으로 다른 지네 목과 뚜렷하게 구별된다.[16][24][38] 몸 색깔은 지네 중에서도 특히 다양하여, 일반적인 노란색, 붉은색, 갈색에서 검은색이나 화려한 줄무늬까지 다양하다.[38]
머리 등면(머리판)은 평평한 원반 모양이다. 더듬이는 염주 모양이며 기본적으로 17마디, 최대 34마디로 나뉜다.[38] 눈 (홑눈)은 기본적으로 4쌍으로, 양쪽 앞쪽에 4개씩 모여 있으며, 1쌍만 있거나 눈이 없는 종류도 있다.[27] 3쌍의 턱(큰턱, 제1 작은턱, 제2 작은턱)은 다른 지네와 마찬가지로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제2 작은턱은 돌지네나 긴발지네와 비슷한 4마디의 다리 모양이다.[28][38]
독아 역할을 하는 턱다리는 턱다리마디(제1 몸통마디)에서 머리 배면까지 튀어나와 있으며, 다른 측기문류처럼 튼튼하고 좌우에서 먹이를 물 수 있는 구조이다. 턱다리 밑판(기흉판)은 좌우가 합쳐져 있고 앞쪽 가장자리에 작은 이빨들이 줄지어 있다.[30][29] 줄지네와 마찬가지로 턱다리를 이루는 4마디 중, 짧아진 중간 두 마디(넓적다리마디와 종아리마디)는 기본적으로 안쪽 절반만 있는 고리 모양이어서, 첫째 마디(밑마디앞마디)와 넷째 마디(발목마디)가 바깥쪽에서 서로 닿으며, 4마디 모두 하나의 관절구에 통합된다.[30] 또한, 이 무리에서 ''Cryptops'' 속의 일부 종류는 예외적으로 턱다리가 돌지네나 긴발지네와 비슷한 고리 모양의 넓적다리마디와 종아리마디를 갖는다.[30]
몸통은 세로로 길고, 다리가 달린 몸통마디에만 등판과 복판이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겉으로 보이는 등판, 복판, 다리의 수는 서로 같다. 턱다리마디와 첫 번째 다리마디는 서로 합쳐지는 경향이 있어 하나의 등판으로 덮여 있다(다른 지네는 원래 몸통마디에 따라 두 개의 등판으로 나뉜다).[24][28] 다리가 달린 몸통마디의 등판은 크기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는데(heterotergy), 7번째 이전의 짝수(2, 4, 6) 번째와 8번째 이후의 홀수(9, 11, 13…) 번째 등판이 다른 등판보다 짧지만, 돌지네만큼 그 차이가 극단적이지는 않다.[31][38]
다리는 기본적으로 기둥 모양의 7마디(밑마디, 돌기마디, 앞넓적다리마디, 넓적다리마디, 종아리마디, 제1 발목마디, 제2 발목마디)와 끝부분의 갈고리(앞발목마디)로 나뉜다. 총 다리 수는 보통 21쌍이며, 예외적으로 애지네과는 23쌍[24], ''Scolopendropsis duplicata''는 39쌍 또는 43쌍을 가진다.[32][33] 마지막 다리인 견인지는 다른 다리보다 발달해 있으며, 종류에 따라 가시가 줄지어 있거나(왕지네속 등), 굵은 집게처럼 맞물리거나(''Asanada'' 속, ''Plutonium'' 속 등), 가늘고 길게 뻗어 있거나(''Rhysida'' 속 등), 주걱 모양의 발목마디를 가지거나(''Alipes'' 속), 채찍 모양으로 마디가 나뉜 제2 발목마디를 가지는(''Newportia'' 속) 등 다양한 특화된 모습을 보인다.[34][35][54]
호흡기인 기관계는 몸집이 큰 종일수록 발달하며, 굵은 기관은 온몸에 걸쳐 서로 많이 연결(연합)되고 미세한 기관지로 갈라진다.[38] 그 구멍인 기문은 다른 측기문류와 마찬가지로, 다리가 달린 몸통 부분의 좌우 마디 사이에 열려 있다. 기문의 모양은 종류에 따라 귀 모양(아오지네아과), 삼각형(왕지네아과), 타원형(다른 종류) 등 다양하며, 물 침투나 수분 손실을 막는 강모로 덮여 있고, 힘줄 역할을 하는 근육과도 연결되어 있다.[24][38][36] 긴발지네와 비슷하게, 기본적으로 첫째 다리, 일곱째 다리, 견인지를 제외하고 긴 등판을 가진 다리마디(셋째, 다섯째 다리마디와 여덟째 다리마디 이후의 짝수 번째 다리마디)에만 기문을 가진다.[38] 예외적으로 일부 종류[37]는 일곱째 다리의 몸통마디에 기문을 가지며, ''Plutonium zwierleini''는 견인지를 제외한 모든(1~20번째) 다리마디에 기문을 가진다.[38]
외성기(생식지와 음경 또는 산란관)가 있는 두 개의 생식마디는 퇴화되어 있으며, 평소에는 바로 앞의 견인지 마디 안에 들어가 있어 배 쪽에서는 보이지 않는다.[38] 생식선은 좌우 비대칭이며, 왼쪽의 난관과 정관은 흔적만 남아 있다.[24]
암수 간의 성적 이형은 다른 많은 지네처럼 뚜렷하지 않으며, 아오지네속 종류처럼 수컷이 등 뒤쪽 등판에 특수한 돌기를 가지는 경우가 비교적 뚜렷한 예이다.[38]
3. 생태
지네 중에서도 왕지네류는 특히 맹렬한 포식자이다[24]. 다른 측기문류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체형과 좌우로 맞물리는 악지를 이용하여 낙엽층 등의 좁은 틈새에서도 포식을 할 수 있다[39]. 악지에는 먹이를 즉시 제압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씹는 힘과 신경독이 있으며[40], 일부 종류는 미절까지 포식에 사용하기도 한다[34][35]. 대부분 지표면이나 수목 위를 배회하며, 우연히 마주치는 작은 동물을 포식한다[24][39]. 대형종의 경우 메뚜기나 바퀴벌레 같은 곤충[41]뿐만 아니라 개구리, 도마뱀, 조류, 뱀, 쥐, 심지어 비행 중인 박쥐 등의 소형 척추동물까지 사냥할 수 있다[42][43]. 대부분의 종은 특정 먹이를 가리지 않는 제너럴리스트이지만, 지네만을 전문적으로 포식하는 스페셜리스트인 ''Edentistoma octosulcatum'' 같은 종도 존재한다[44]. 또한 스콜로펜드라 카타락타나 류진 왕지네처럼 육지와 물 속을 오가며 활동하는 반수생 종류도 일부 알려져 있다[43][45][46].
번식은 다른 지네들과 마찬가지로 정포(spermatophore)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암수가 원을 그리듯 서로의 끝부분을 마주 보고 촉각으로 상대방의 미절에 접촉하는 배우 행동이 관찰되기도 한다[35]. 수컷은 여러 겹의 외피로 싸인 주머니 모양의 정포를 낳고, 긴발지네나 돌지네처럼 암컷은 알과 부화한 유체를 보호한다[24]. 돌지네와 마찬가지로 증절변태(Anamorphic development, 성장하면서 체절 수가 늘어나는 변태)를 하지 않으며, 유체는 처음부터 성체와 동일한 수의 체절과 다리를 가지고 태어난다[24].
4. 분류
지네강 내에서 왕지네목은 돌지네류, 긴발돌지네류, 줄지네류와 함께 측기문류로 분류된다. 측기문류는 몸 마디 좌우에 기관이 있다는 특징이 있지만, 이는 등기문류에서 잃어버린 조상형질일 가능성도 있다.[47] 겹눈이 없고 머리가 납작하며, 악지의 기흉판이 융합된 점 등이 공유파생형질로 간주된다.[30][29]
측기문류 내에서 왕지네류는 줄지네류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이며, 둘을 합쳐 정형류로 묶는다.[30][48][49] 정형류는 증절변태를 하지 않고, 반환형 악지를 가지며, 다리에 종아리마디와 경골마디가 있고, 21쌍 이상의 다리를 갖는 점 등이 공유파생형질로 여겨진다.[24][33][30]
과거에는 왕지네류와 줄지네류를 제외한 나머지 지네들을 묶는 Heteroterga 설[50]이나, 긴발돌지네류를 왕지네류에 포함시키는 설[31]도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형태학적 분석과 분자계통분석 결과에 따라 부정되었다. 긴발돌지네류는 왕지네류에 포함되지 않으며, 위에서 설명한 측기문류와 정형류 분류 체계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51][52][48][49][53]
4. 1. 하위 분류
왕지네목은 Cryptopidae, Scolopendridae, Mimopidae, Scolopocryptopidae, Plutoniumidae의 5개 과로 구성된다. Scolopendridae과에 속하는 거의 모든 종은 머리 양쪽에 4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으며, ''Mimops''속(Mimopidae과)은 머리 양쪽에 홑눈으로 여겨지는 옅은 부위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다른 세 과는 눈이 없다.[13][12] Scolopocryptopidae과에 속하는 종은 다리를 지탱하는 23개의 마디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목의 다른 모든 과에 속하는 종은 (Scolopendridae과의 ''Scolopendropsis''속을 제외하고) 다리를 지탱하는 21개의 마디만 가지고 있다.[11][12][13][14]왕지네류는 전 세계 따뜻한 지역에 분포한다.[18] 5과 27속 [54] 800종 이상이 기재되어 있으며, 지네의 목 중에서는 돌지네류(약 1,300종) 다음으로 종수가 많다.[24] 일본에서는 약 30종의 지네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5]
왕지네류의 아속까지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chileyko et al. 2020에 근거).[54]
- '''왕지네목 ''Scolopendromorpha'''''
- * '''검은지네과 ''Cryptopidae'''''
- ** 검은지네속 ''Cryptops''
(아속) ''Cryptops'' (''Cryptops'')
(아속) ''Cryptops'' (''Chromatanops'')
(아속) ''Cryptops'' (''Haplocryptops'')
(아속) ''Cryptops'' (''Paracryptops'')
(아속) ''Cryptops'' (''Trigonocryptops'')
- * (과) '''Mimopidae'''
- ** (속) ''Mimops''
- * (과) '''Plutoniumidae'''
- ** (속) ''Plutonium''
- ** (속) ''Theatops''
- * '''왕지네과 ''Scolopendridae'''''
- ** '''꼬마지네아과 ''Otostigminae'''''
(족) '''Otostigmini'''
* (속) ''Alipes''
* (속) ''Alluropus''
* (속) ''Digitipes''
* (속) ''Edentistoma'' [56]
* (속) ''Ethmostigmus''
* 꼬마지네속 ''Otostigmus''
** (아속) ''Otostigmus'' (''Otostigmus'')
** (아속) ''Otostigmus'' (''Parotostigmus'')
** (아속) ''Otostigmus'' (''Dactylotergitius'')
* (속) ''Rhysida''
(족) '''Sterropristini'''
* (속) ''Sterropristes'' (=''Malaccolabis'')
- ** '''왕지네아과 ''Scolopendrinae'''''
(족) '''Scolopendrini'''
* (속) ''Asanada'' [57]
* (속) ''Asanadopsis'' [57]
* (속) ''Akymnopellis''
* (속) ''Arthrorhabdus''
* (속) ''Cormocephalus''
** (아속) ''Cormocephalus'' (''Campylostigmus'')
** (아속) ''Cormocephalus'' (''Cormocephalus'')
* (속) ''Hemiscolopendra''
* (속) ''Notiasemus''
* (속) ''Psiloscolopendra''
* 왕지네속 ''Scolopendra'' (=''Kanparka'')
* (속) ''Scolopendropsis'' (=''Rhoda'')
* (속) ''Tonkinodentus''
- * '''Scolopocryptopidae'''
- ** (아과) '''Kethopinae'''
(속) ''Kethops''
(속) ''Thalkethops''
- ** (아과) '''Newportiinae''' (=''Ectonocryptopinae'')
(속) ''Newportia''
* (아속) ''Newportia'' (''Ectonocryptoides'')
* (아속) ''Newportia'' (''Ectonocryptops'')
* (아속) ''Newportia'' (''Newportia'')
* (아속) ''Newportia'' (''Tidops'') (=''Kartops'')
- ** (아과) '''Scolopocryptopinae'''
붉은지네속 ''Scolopocryptops'' (=''Otocryptops'', =''Anethops'', =''Dinocryptops'')
왕지네속(''Scolopendra'')의 종류가 주로 잘 알려져 있다.
- 독지네 ''Scolopendra mutilans''[58]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43]
- * 몸길이 8cm~15cm로 일본 혼슈 최대의 지네. 머리·제1 등판·미각은 붉은색, 나머지 등판은 짙은 녹색, 나머지 다리는 노란색 또는 붉은색[59]이다. 일본, 중국, 타이완, 대한민국에 서식한다[59].
- 푸른왕지네 ''Scolopendra japonica'' (=''Scolopendra subspinipes japonica'')[43]
- * 몸길이는 약 13cm까지 이른다[43]. 등판은 짙은 녹색, 촉각과 다리는 노란색 또는 붉은색[43]이다.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일본 (요코하마, 에노시마, 무라야마, 도쿄, 마쓰모토, 가나자와, 센다이, 기이, 하치조 섬, 이즈 반도), 타이완, 홍콩, 쿤밍, 닝보에 서식한다[43].
- 붉은왕지네 ''Scolopendra multidens'' (=''Scolopendra subspinipes multidens'')[43]
- * 몸길이 7cm~12cm. 머리와 다리는 붉은색, 몸통은 검은색[60]이다.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 타이완 북부에 서식한다[43].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애완동물로 각국에서 사육되고 있다[57].
- 타이완왕지네 ''Scolopendra morsitans''
- * 몸길이 약 13cm까지 이른다[43]. 촉각은 오렌지색 또는 짙은 청색, 머리, 제1 등판, 마지막 등판은 오렌지색 또는 짙은 갈색, 그 외의 등판은 적갈색 또는 황토색이며, 각 등판의 후연은 검고 가로 줄무늬로 보인다 (유체는 세로 줄무늬)[43].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난사 군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샤먼, 홍콩, 타이완, 일본 (류큐 열도)에 서식한다[43]. 원산지는 불분명하다[43]. 지네 중에서는 처음으로 기재된 종이다[61][43].
- ''Scolopendra subspinipes'' (=''Scolopendra subspinipes subspinipes'')[43]
- * 단순히 "왕지네"라고도 부른다[20]. 몸길이는 16cm까지 이른다. 전체적으로 적갈색이며, 각 등판의 후연은 검고 가로 줄무늬로 보인다[43]. 미얀마, 동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저우산 섬, 닝보, 창사), 타이완, 일본 (이즈 제도, 고토 열도, 요코하마, 고베), 인도, 자메이카, 마다가스카르, 로드리게스 섬, 모리셔스, 세이셸, 코모로, 태평양 섬, 영국, 카리브해 (바베이도스, 몬트세랫, 서인도 제도, 버뮤다, 안티구아 섬), 중앙 아메리카부터 남아메리카 (콜롬비아, 아마존, 카옌, 에콰도르, 파나마)에 서식한다[43].
- 페루자이언트왕지네 ''Scolopendra gigantea''
- * 세계 최대의 지네로, 30cm가 넘는 몸길이를 가진다[23]. 다리는 노란색 또는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로, 이는 독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색으로 여겨진다[62]. 남아메리카 북부 (아루바, 퀴라소, 마르가리타 섬, 트리니다드 섬, 베네수엘라 북부, 콜롬비아)에 서식한다[63][23]. 동굴에서 박쥐를 사냥하는 습성이 확인되었다[42].
- 베트남왕지네 ''Scolopendra dehaani''
- * 몸길이는 25cm 이상으로 아시아 최대의 지네[43]이다. 체색은 상당히 다양하여 성장에 따라 변화하며, 전체적으로 적갈색에서 오렌지색이며, 각 등판의 후연은 검은 무늬가 있거나 없을 수 있다[43].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하이난, 홍콩, 오키나와, 타이완, 인도, 멕시코에 서식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생각된다[43].
- ''Scolopendra cingulata''
- * 일본에서는 "이집션 쥬얼 센티피드" 또는 "이집션 쥬얼리 센티피드" 등의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는 10cm~12cm. 체색은 다양하며, 다리는 노란색 또는 붉은색, 몸통은 노란색/암녹색/검은색[64]이며, 노란색인 경우 각 등판의 후연은 검고 가로 줄무늬로 보인다[57]. 유럽 (지중해 연안의 포르투갈부터 이란까지, 헝가리, 루마니아)와 오세아니아 (라이타 산)에 서식한다[64].
5. 계통
지네 (강 Chilopodala) 중에서 왕지네류 (목 Scolopendromorphala)는 돌지네류 (돌지네목 Lithobiomorphala), 긴발돌지네류 (긴발돌지네목 Craterostigmomorphala), 줄지네류 (줄지네목 Geophilomorphala)와 함께 측기문류 (Pleurostigmophorala)로 분류된다. 측기문류는 이름처럼 몸마디 좌우에 기관을 가지는 특징이 있지만, 이는 단순히 등기문류 (Notostigmophorala, 그물지네류)에서 잃어버린 지네의 조상형질일 가능성도 있다.[47] 측기문류의 공유파생형질로는 겹눈의 부재, 납작한 머리, 융합된 악지 기흉판 등이 꼽힌다.[30][29]
측기문류 내에서 왕지네류는 줄지네류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이며, 이 둘을 묶어 정형류 (Epimorphala)라고 한다.[30][48][49] 정형류는 알에서 부화한 후 몸마디 수가 늘어나지 않는 증절변태의 부재, 구부러진 형태의 악지, 다리의 종아리마디(tibia)와 발목마디(tarsus) 구분, 21쌍 이상의 다리 등을 공유파생형질로 가진다.[24][33][30]
과거에는 왕지네류와 줄지네류를 제외한 나머지 지네류(그물지네류, 돌지네류, 긴발돌지네류)를 묶는 Heterotergala라는 분류군을 제안하거나,[50] 긴발돌지네류를 왕지네류에 포함시키는 학설도 있었다.[31] 하지만 현재는 많은 형태학적 증거와 분자계통분석 결과에 따라 이러한 학설들은 부정되었으며, 긴발돌지네류는 왕지네류에 포함되지 않고 측기문류와 정형류 분류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51][52][48][49][53]



6. 인간과의 관계
왕지네목에 속하는 지네는 인간에게 여러 영향을 미친다. 강력한 독을 가진 턱다리에 물려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으며[40], 물린 부위는 심한 통증과 부기를 유발하고 드물게 마비나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57][18]. 특히 어린이에게는 더욱 위험할 수 있다[65].
한편, 왕지네는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나 전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거대한 지네 요괴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며[66][67], 그 특유의 모습과 습성 때문에 전국 시대 무사들의 상징물이나 상점의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68][69].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왕지네를 식용으로 이용하거나, 기름에 절이거나 건조시켜 화상이나 상처 치료를 위한 민간 약으로 사용하기도 한다[23]. 관상어 등의 먹이로 유통되거나, 대형종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23].
6. 1. 물림 피해
지네가 인간에게 주는 물림 피해는 대부분 왕지네목에 속하는 종류에 의해 발생한다[40]. 독을 가진 강력한 턱다리에 물리면 즉시 강한 통증이 느껴지고, 물린 부위가 붉게 부어오른다[57]. 심한 경우 마비나 피부 조직의 괴사로 이어질 수도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18].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어린이에게는 특히 위험할 수 있으며, 아나필락시스 쇼크 병력이 있는 사람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65]. 만약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구급차를 불러야 한다[57]. 지네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장마철에는 장화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장화를 신기 전에 내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57].6. 2. 민간 요법 및 식용
지역에 따라 지네를 식용으로 하기도 하지만, 산업과의 관계는 적다. 기름에 절인 것과 건조물은 화상이나 베인 상처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 약으로 일부 시판되고 있다[23].6. 3. 애완동물
지역에 따라 지네를 식용으로 하기도 하지만, 산업과의 관계는 적다. 기름에 절인 것과 건조물은 화상이나 베인 상처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 약으로 일부 시판되고 있다. 관상어 등의 먹이로 냉동된 것이 유통되고 있으며, 대형종은 애완동물로서 사육 대상이 되기도 한다[23] .6. 4. 문화 속의 왕지네
일부 지역에서는 지네를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산업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지네를 기름에 절이거나 건조시킨 것은 화상이나 베인 상처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 약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시판되기도 한다. 관상어 등의 먹이로 냉동 지네가 유통되기도 하며, 몸집이 큰 종류는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23].6. 4. 1. 일본의 전설
시가현의 미카미 산과 군마현의 아카기 산에는 산을 일곱 바퀴 반이나 감을 정도로 거대한 지네 요괴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다. 이 요괴는 용신 일족을 괴롭혔으나, 다와라노 도다라는 무사가 침을 바른 활과 화살로 퇴치했다고 전해진다[66][67].또한 지네는 "매우 흉폭하고 공격성이 강하며 절대 뒤로 물러서지 않는다"는 속신과 함께, 많은 알을 낳아 보호하는 습성 때문에 전국 시대 무사들 사이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 지네 모양을 본뜬 갑옷이나 칼 장식이 만들어졌고, 기수물(깃발)에도 지네 그림이 그려졌다. 상점 등에서는 지네의 많은 다리가 "손님의 발길이 끊이지 않음"을 의미하고, 강한 공격성이 "다른 가게에 지지 않음"을 뜻한다고 여겨 행운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68][69].
6. 4. 2. 상징성
지네는 인간에게 물림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40], 여러 신화와 전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일본의 경우, 시가현 미카미 산과 군마현 아카기 산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거대한 지네 요괴 전설이 유명하다. 이 요괴는 산을 일곱 바퀴 반이나 감을 정도로 거대했으며, 용신 일족을 괴롭혔다고 한다. 후에 다와라노 도다라는 무사가 침을 바른 활과 화살로 이 지네 요괴를 퇴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6][67].
또한 지네는 "매우 흉폭하고 공격성이 강하다", "절대 뒤로 물러서지 않는다"는 속신과 연결되기도 했다. 이러한 특징과 함께 많은 알을 낳아 보호하는 모습 때문에, 일본 전국 시대에는 지네를 본떠 갑옷이나 칼 장식이 만들어졌고, 기수물에 지네 그림을 그려 넣기도 했다. 상점 등에서는 지네의 많은 다리가 "고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음"을 의미하고, 강한 공격성이 "다른 가게에 지지 않음"을 상징한다고 여겨 행운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68][69].
참조
[1]
웹사이트
Scolopendra gigantea (Giant Centipede)
https://sta.uwi.edu/[...]
2017
[2]
웹사이트
Bark Centipedes - Encyclopedia of Life
https://eol.org/page[...]
2022-12-30
[3]
웹사이트
Order Scolopendromorpha - Bark Centipedes
https://bugguide.net[...]
2024-07-23
[4]
서적
The Myriapoda. Volume 1
https://www.worldcat[...]
Brill
2011
[5]
웹사이트
'Horrific' First Amphibious Centipede Discovere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6-07-01
[6]
논문
A taxonomic review of the centipede genus Scolopendra Linnaeus, 1758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in mainland Southeast Asi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Laos
[7]
뉴스
Giant swimming, venomous centipede discovered by accident in world-first
https://www.theguard[...]
2016-07-01
[8]
웹사이트
A new amphibious species of the genus Scolopendra Linnaeus, 1758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from the Ryukyu Archipelago and Taiwan
https://www.biotaxa.[...]
2022-01-10
[9]
논문
Trunk segment numbers and sequential segmentation in myriapods
https://onlinelibrar[...]
2005
[10]
논문
Arthropod segments and segmentation – lessons from myriapods, and open questions
http://opuscula.elte[...]
2020
[11]
논문
Evolutionary Biology of Centipedes (Myriapoda: Chilopoda)
https://www.annualre[...]
2007
[12]
논문
Evolution of blindness in scolopendromorph centipedes (Chilopoda: Scolopendromorpha): insight from an expanded sampling of molecular data
2012
[13]
논문
Rediscover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colopendromorph centipede Mimops orientalis Kraepelin, 1903 (Chilopoda): a monotypic species of Mimopidae endemic to China, for more than one century
https://zookeys.pens[...]
2020-12-05
[14]
논문
Mimopidae is the sister group to all other scolopendromorph centipedes (Chilopoda, Scolopendromorpha): a phylotranscriptomic approach
https://doi.org/10.1[...]
2021-09-01
[15]
문서
左上:Scolopendra cataracta(オオムカデ科)右上:Edentistoma octosulcatum(オオムカデ科)左下:Cryptops anomalans(メナシムカデ科)右下: Scolopocryptops sexspinosus(アカムカデ科)
[16]
간행물
"Chilopoda. Part CXXVI"
https://www.biodiver[...]
1895-12-01
[17]
웹사이트
オオムカデ目 (目 Scolopendromorpha)
https://www.inatural[...]
2022-08-12
[18]
웹사이트
Order Scolopendromorpha - Bark Centipedes
https://bugguide.net[...]
2022-08-12
[19]
문서
「オオムカデ」は本群の1種 Scolopendra subspinipes(=Scolopendra subspinipes subspinipes)を指す和名でもある。
[20]
웹사이트
3.11 多足類(改訂第3版)
https://www.pref.oki[...]
2022-08-16
[21]
웹사이트
オオムカデとは
https://kotobank.jp/[...]
2022-08-12
[22]
웹사이트
オオムカデ類とは
https://kotobank.jp/[...]
2022-08-12
[23]
논문
Neotype designation and a diagnostic account for the centipede, ''Scolopendra gigantea'' L. 1758, with an account of S. galapagoensis Bollman 1889 (Chilopoda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https://doi.org/10.1[...]
2000-05-01
[24]
논문
Evolutionary Biology of Centipedes (Myriapoda: Chilopoda)
https://www.annualre[...]
2006-12-12
[25]
문서
左上から順に Mimops orientalis、Theatops chuanensis、Scolopendra mutilans、Scolopocryptops nigrimaculatus と Cryptops sp.。
[26]
문서
An: 肛門、Cx, Cxpd: 基節、Dct: 精管、Gp: 生殖肢、gS: 生殖体節の腹板、gSeg: 生殖節、gT: 生殖節の背板、Pen: 陰茎、Scx, 側板/亜基節、Stn: 有脚胴節の腹板、T: 有脚胴節の背板、Tel: 尾節、Tr: 転節、Vul: 産卵口
[27]
논문
Evolution of blindness in scolopendromorph centipedes (Chilopoda: Scolopendromorpha): insight from an expanded sampling of molecular data
https://onlinelibrar[...]
2012-02
[28]
논문
A common terminology for the external anatomy of centipedes (Chilopoda)
https://zookeys.pens[...]
2010-11-18
[29]
간행물
Evolution, Morphology and Development of the Centipede Venom System
https://www.research[...]
Springer Netherlands
2022-08-18
[30]
논문
The evolution of centipede venom claws – Open questions and possible answers
https://www.scienced[...]
2014-01-01
[31]
논문
The evolution of arthropodan locomotory mechanisms. Part 8. Functional requirements and body design in Chilopoda, together with a comparative account of their skeleto-muscular systems and an Appendix on a comparison between burrowing forces of annelids an
https://doi.org/10.1[...]
1965-10
[32]
논문
Variability in trunk segmentation in the centipede order Scolopendromorpha: a remarkable new species of Scolopendropsis Brandt (Chilopoda: Scolopendridae) from Brazil
https://zenodo.org/r[...]
2008-12-31
[33]
논문
Saltational evolution of trunk segment number in centipedes
https://onlinelibrar[...]
2009-05
[34]
논문
On the function of the ultimate legs of some Scolopendridae (Chilopoda, Scolopendromorpha)
https://zookeys.pens[...]
2015-06-30
[35]
논문
The ultimate legs of Chilopoda (Myriapoda): a review on their morphological disparity and functional variability
https://peerj.com/ar[...]
2017-11-14
[36]
논문
Spiracle structure in scolopendromorph centipedes (Chilopoda: Scolopendromorpha) and its contribution to phylogenetics
https://doi.org/10.1[...]
2012-09-01
[37]
문서
Snamei||Alluropus属、Snamei||Dinocryptops亜属、Snamei||Ethmostigmus属、Snamei||Newportia属、Snamei||Rhysida属
[38]
서적
Treatise on Zoology - Anatomy, Taxonomy, Biology. The Myriapoda
https://books.google[...]
BRILL
2011-03-21
[39]
논문
Variation and specialisation of the forcipular apparatus of centipedes (Arthropoda: Chilopoda): A comparative morphometric and microscopic investigation of an evolutionary novelty
https://www.scienced[...]
2012-05-01
[40]
논문
Centipede Venom: Recent Discoveries and Current State of Knowledge
https://www.mdpi.com[...]
2015-03
[41]
서적
昆虫 新訂版
https://www.worldcat[...]
講談社
2018-06-28
[42]
논문
Predation by Giant Centipedes, ''Scolopendra Gigantea'', on Three Species of Bats In a Venezuelan Cave
https://www.academia[...]
2005-01-01
[43]
논문
A taxonomic review of the centipede genus ''Scolopendra'' Linnaeus, 1758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in mainland Southeast Asi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Laos
https://zookeys.pens[...]
2016-05-17
[44]
논문
First Molecular Data and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Millipede-Like Centipede ''Edentistoma octosulcatum'' Tömösváry, 1882 (Chilopoda: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https://journals.plo[...]
2014-11-12
[45]
논문
A new amphibious species of the genus ''Scolopendra'' Linnaeus, 1758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from the Ryukyu Archipelago and Taiwan
https://www.biotaxa.[...]
2021-04-12
[46]
웹사이트
国内で143年ぶりのオオムカデの新種発見!渓流に潜む、翡翠色に輝く国内最大のオオムカデ〜日本初、世界で3例目の半水棲ムカデ、沖縄の4地域と台湾から発見され、沖縄の故事にちなみリュウジンオオムカデ(琉神大百足)と命名〜 {{!}} 琉球大学
https://www.u-ryukyu[...]
2021-04-13
[47]
논문
The tracheal system of scutigeromorph centipedes and the evolution of respiratory systems of myriapods
https://www.scienced[...]
2021-01-01
[48]
논문
Evaluating Topological Conflict in Centipede Phylogeny Using Transcriptomic Data Sets
https://doi.org/10.1[...]
2014-03-26
[49]
논문
Exploring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Myriapoda and the Effects of Matrix Composition and Occupancy on Phylogenomic Reconstruction
https://academic.oup[...]
2016-09
[50]
논문
Filogenia de chilipoda: combinando secuencias de los genes ribosómicos 18S y 28S y morfología
https://www.semantic[...]
1999
[51]
논문
Further use of nearly complete 28S and 18S rRNA genes to classify Ecdysozoa: 37 more arthropods and a kinorhynch
https://www.scienced[...]
2006-09-01
[52]
논문
Including secondary structure, fossils and molecular dating in the centipede tree of life
https://www.scienced[...]
2010-10-01
[53]
논문
Four myriapod relatives – but who are sisters? No end to debates on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major myriapod subgroups
https://doi.org/10.1[...]
2020-11-04
[54]
논문
An overview of the extant genera and subgenera of the order Scolopendromorpha (Chilopoda): a new identification key and updated diagnoses
https://www.biotaxa.[...]
2020-08-10
[55]
웹사이트
オオムカデ目 Scolopendromorpha - 日本産生物種数調査 - 日本分類学会連合
http://ujssb.org/bio[...]
2022-08-13
[56]
문서
かつては Sname||Arrhabdotini族の構成属として区別されたが、この場合では Sname||Otostigmini族が Arrhabdotini族に対して[[側系統群]]となる。
[57]
문서
かつては Sname||Asanadini族の構成属として区別されたが、この場合では Sname||Scolopendrini族が Asanadini族に対して[[側系統群]]となる。
[58]
논문
Taxonomy and Identification of the Genus ''Scolopendra'' in China Using Integrated Methods of External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etics
https://www.nature.c[...]
2017-11-22
[59]
논문
Genetic variation of COI gene of the Korean medicinal centipede ''Scolopendra mutilans'' Koch, 1878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https://onlinelibrar[...]
2018-11
[60]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危険生物
https://www.shogakuk[...]
株式会社小学館
2017-06-28
[61]
서적
Caroli Linnaei...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Impensis Direct. Laurentii Salvii
1758
[62]
서적
昆虫最強王図鑑
https://www.worldcat[...]
学研プラス
2018-07-26
[63]
문서
チリとブラジルの記録は懐疑的で誤同定とされる。
[64]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Rediscovered Austrian Population of the Giant Centipede ''Scolopendra cingulata'' Latreille 1829 (Chilopoda, Scolopendromorpha)
https://journals.plo[...]
2014-09-24
[65]
논문
Centipede envenomation
https://www.wemjourn[...]
2001-06-01
[66]
서적
妖怪最強王図鑑
https://www.worldcat[...]
学研プラス
2017-12-28
[67]
문서
毘沙門天の使い、また、製鉄の神様でもあるという。
[68]
웹사이트
宮城・角田のムカデ絵馬: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2-08-12
[69]
웹사이트
川越の文化財建造物「百足屋」を再生 日本文化を体験する場にも
https://kawagoe.keiz[...]
2022-08-12
[70]
간행물
The centipedes (Arthropoda, Myriapoda, Chilopoda) from Colombia: Part I. Scutigeromorpha and Scolopendromorpha
https://biotaxa.org/[...]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