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개발 연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 연표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어, 김일성의 핵물리학연구소 설치와 소련의 지원을 받으며 시작되었다. 1960년대 영변 핵과학연구소 개설과 원자로 가동을 통해 핵 개발을 본격화했으며, 1970년대 우라늄 채굴, 1980년대 핵연료 생산시설 건설 및 스커드 미사일 개발을 진행했다. 1980년대 후반 위성 사진을 통해 핵 시설이 공개되기도 했다. 1990년대에는 IAEA 사찰 거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위협, 제네바 합의를 통한 핵 동결 시도 등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2000년대 들어 1, 2차 핵실험을 감행했으며, 2010년대에는 3, 4, 5, 6차 핵실험을 연이어 실시하며 핵 능력을 강화했다. 핵무기 종류로는 핵분열 장치, 열핵무기, 부스티드 설계 등이 있으며, 국제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와 6자 회담을 통해 북한의 핵 개발을 억제하려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최고인민회의
    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주권 기관으로,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심의, 주요 기관 선출, 법안 심의 확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5년에 한 번 대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개발 연표
개요
명칭북한 핵 프로그램 연대기
주요 내용북한의 핵 개발 역사 및 관련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기록
북한 핵 개발
북한 핵 개발
1950년대 ~ 1980년대
1950년대소련의 지원으로 핵 연구 시작
1962년영변 핵 과학 연구 센터 설립
1980년대 초소련의 IRT-2000 연구용 원자로 도입
핵 연료 자급자족을 위한 우라늄 광산 개발 및 정련 시작
1990년대
1993년 3월 12일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최초의 북핵 위기)
1994년미국과의 제네바 합의 (경수로 지원 약속)
1994년 북핵 위기
1998년광명성 1호 발사 (미사일 기술 개발 의혹)
2000년대
2002년미국,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HEU) 프로그램 의혹 제기 (2차 북핵 위기)
북한,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시인
2003년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2005년 2월 10일핵무기 보유 공식 선언
2006년 7월 5일미사일 시험 발사
2006년 10월 9일1차 핵 실험 실시
2007년 2월 13일6자 회담에서 핵 프로그램 동결 합의
2009년 5월 25일2차 핵 실험 실시
2010년대
2010년 11월영변 핵 과학 연구 센터 내에 경수로 건설 공개
2012년 12월 12일광명성 3호 2호기 발사 성공
2013년 2월 12일3차 핵 실험 실시
2016년 1월 6일4차 핵 실험 실시 (수소탄 실험 주장)
2016년 9월 9일5차 핵 실험 실시
2017년ICBM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4, 화성-15 시험 발사
6차 핵 실험 실시 (가장 강력한 핵 실험)
2018년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개최 (비핵화 논의)
2020년대
2021년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시험 발사 재개
핵 능력 고도화 시사
2022년ICBM 시험 발사 (화성-17)
핵 선제 사용 가능성 언급
같이 보기
관련 항목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북한 핵 문제
1994년 북핵 위기
2017년-2018년 북한 위기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 전략군
영변 핵 과학 연구 센터
풍계리 핵 실험장
량강 폭발 사고
선군정치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의 핵 개발은 1950년대 냉전 시기 소련의 지원을 받으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핵 기술 연구와 기반 시설 구축에 집중했으며, 영변 핵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용 원자로를 도입하고 핵물질 생산 능력을 점차 갖추어 나갔다. 1980년대 들어서는 핵무기 개발 의도를 보다 명확히 드러냈으며,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 가입하는 등 국제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핵 개발을 추진했으나 의혹은 지속되었다.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북한 핵 문제는 국제적인 주요 현안으로 부상했다. 북한은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사찰 문제, NPT 탈퇴 위협과 유예 등을 반복하며 미국 등 관련국들과 북미 제네바 합의와 같은 외교적 타결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합의 이행 과정에서의 갈등과 북한의 비밀 핵 활동 의혹이 불거지면서 상황은 다시 악화되었고, 결국 2000년대 들어 NPT를 공식 탈퇴하고 여러 차례의 핵 실험을 강행하며 핵 보유를 공식화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2010년대 이후 북한은 핵 능력 고도화에 주력하며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과 함께 핵탄두 소형화 등을 추구하고 있다. 거듭된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는 국제 사회의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불러왔으나, 북한은 핵 보유를 체제 생존과 주권 수호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간주하며 비핵화 협상에 대해 복합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북한 핵 개발의 역사는 크게 초기 연구 단계, 본격적인 개발 및 국제 사회와의 갈등 심화 단계, 핵 능력 고도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초기 (1950년대 ~ 1980년대)

1955년 4월, 김일성은 원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를 설치하고 남조선혁명론을 내세우며 주한 미군 철수를 목표로 핵 개발을 시작하였다.[101] 1956년 소련은 북한의 핵무기 과학자와 기술자들에게 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며 훈련을 시작했고,[11] 같은 해 북한과 소련은 핵 연구 협정 및 원자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1958년에는 미국이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정직한 존 미사일과 280mm 원자포를 대한민국에 배치하였다.[12] 1959년 북한과 소련은 핵 협력 협정을 추가로 맺었다.[11]

1962년 11월 2일, 북한은 평안북도 영변군에 공식적으로는 '영변 가구 공장'으로 위장한 영변 핵과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11] 1963년 6월에는 소련으로부터 열출력 2MW급 연구용 원자로인 IRT-2000을 도입하였고, 1965년부터 이 원자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열출력 2 MWt).[11] 같은 해 김일성은 핵무기 개발 의사를 공식적으로 언급하며 우라늄 235를 대량으로 채굴하고 있다고 선전하였다.[101] 1973년에는 여러 대학에 핵 연구 관련 학과를 신설하였다. 1974년 김일성은 연설을 통해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으며, 영변 IRT-2000 연구용 원자로의 열출력은 4MWt로 증강되었다.[11]

1976년 북한은 이집트로부터 스커드 미사일을 도입했는데, 이는 북한이 자체적인 핵무장을 추진하려는 명백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1978년에는 북한 전역에서 우라늄 탐사가 실시되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 사이에는 순천과 평산 인근 지역에서 우라늄 채굴 작업이 시작되었다.[11]

1980년 1월 8일, 평안북도 구성군 방현비행장 인근에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 측정 기준 진도 5.3의 지진이 발생했다. 같은 해 북한은 영변 원자력 연구소에 원자력 발전소용 핵연료봉 생산 시설을 건설하고, 5MWe급 원자로(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 건설에 착수했다.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영변에는 옐로케이크(우라늄 정광) 정제 및 원자로용 연료 생산 공장이 건설되었다.[11] 1983년에는 핵무기 개발에 필수적인 고폭 실험을 시작했으며,[101] 같은 해 10월 9일 미얀마에서 대한민국 전두환 대통령 등 정부 요인을 겨냥한 랑군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1984년 북한은 역설계 방식으로 자체 개발한 스커드 B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또한 영변 핵 단지 내에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기 위한 재처리 시설인 '방사화학 실험실' 건설을 완료했다.[11] 1984년부터 1986년 사이에는 플루토늄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5 MWe 가스 냉각 흑연 감속 원자로 건설을 완료하고, 두 번째 원자로인 50 MWe급 원자로 건설을 시작했다.[11]

1985년에는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가 준공되었으며(열출력 30 MWt, 전기출력 5 MWe), 50MW급 원자로 건설에도 착수했다. 동시에 440MW급 소련형 VVER 경수로 원전 도입을 추진했으나, 소련의 요구에 따라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 가입했다. 1986년에는 사거리가 500km에 달하는 스커드 C 미사일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 같은 해 9월 14일에는 서울 아시안 게임 개막을 일주일 앞두고 김포 국제공항에서 북한의 사주를 받은 테러 조직에 의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당했다.[104][103]

1987년 영변의 IRT-2000 연구용 원자로 열출력은 8MWt로 증강되었다.[11] 같은 해 11월 29일, 김정일의 지시를 받은 북한 공작원이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레이건 행정부는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지정하고,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던 시걸 구상을 철회했다.[106] 12월 미-소 정상회담에서는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레이건 대통령에게 북한의 요구 사항(남북 연방 공화국 창설, 군비 감축, 주한미군 철수, 불가침 선언, 평화 협정 체결 등)을 전달하기도 했다.[107]

1989년 북한은 연간 약 80톤의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할 수 있는 시설 가동을 시작했다.[108] 9월 15일, 프랑스의 상업 위성인 SPOT 2호가 영변의 비밀 핵시설을 촬영하여 공개하면서 북한의 핵 개발 문제가 국제 사회의 주요 현안으로 부상했다.[13] 이 시기는 동유럽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들이 무너지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소련의 영향력이 약화되던 때였다. 이로 인해 북한은 오랫동안 의존해왔던 안보 보장과 경제적 지원을 상당 부분 상실하게 되었다. 미국 정보 당국은 위성 사진을 통해 영변 핵 단지의 새로운 건설 활동을 포착하고, 1985년 NPT에 가입했음에도 핵 사찰을 허용하지 않던 북한이 핵무기 개발 초기 단계에 들어섰다고 판단했다.[13] 이에 미국은 북한이 NPT 의무를 완전히 이행할 경우 관계 정상화 등 외교적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전략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2. 2. 중기 (1990년대 ~ 2000년대)


  • '''1991년 12월''': 사회주의권 붕괴로 수세에 몰린 김일성대한민국 노태우 대통령과 한반도의 '''비핵화, 남북 체제 인정 및 상호 불가침'''을 담은 남북 기본 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에 합의했다. 이 합의에서 남북은 핵무기 및 그 제조 시설을 갖지 않기로 약속했으며, 김일성 주석은 "자국은 핵 개발을 할 능력도 의도도 없다"고 밝혔다. 북한은 국제 원자력 기구(IAEA)와 핵 사찰 협정을 체결하는 대신, 한미 군사 훈련 중단과 한국 내 핵무기 철수를 얻어냈다. 그러나 합의 이후에도 북한은 주한미군 철수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고 핵 개발을 지속했다.[109][110][101][111]
  •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베이징에서 수교하며 중한 수교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양국은 유엔 헌장의 원칙, 주권 및 영토 보전 상호 존중, 상호 불가침, 내정 불간섭, 평등 호혜 원칙을 확인하고, 대만은 중국의 일부이며 한반도의 평화 통일을 지지한다는 데 합의했다.[114]
  • '''1993년''': 대한민국에서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했다. 김영삼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어떤 동맹국도 민족보다 더 나을 수는 없다"고 선언하며 북한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고, 미전향 장기수를 북한에 송환하기도 했다.[112][113] 그러나 3월 13일, 북한이 핵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선언하고 대한민국을 향해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위협하자, 김영삼 정부는 대북 노선을 전환했다.[109][111][112]
  • '''1994년'''
  • * 6월: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탈퇴를 선언했다.
  • * 10월 21일: 미국과 북한은 북미 제네바 합의를 체결했다. 북한은 핵 개발 동결과 NPT 복귀를 약속했고, 미국은 그 대가로 경수로 제공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미국은 북한에 매년 중유 500000ton과 식량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북한은 합의 이후에도 비밀리에 플루토늄 추출 및 우라늄 농축 등 핵 개발을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109][110][162][150]
  • '''1996년 3월 18일''': 한스 블릭스(Hans Blix)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이사회에서 북한이 제네바 합의에 따른 플루토늄 보유량 신고를 아직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신고가 없을 경우 IAEA가 북한의 플루토늄 전용 여부를 검증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1997년 10월''': 북한의 사용후 핵연료봉이 IAEA 사찰 하에 강철 용기에 보관되었다.[18]
  • '''1998년 8월 31일''': 북한은 백두산-1 우주 발사체를 이용해 인공위성 광명성 1호 발사를 시도했다. 미국 군사 분석가들은 이를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위장한 것으로 의심했다.[19] 이 발사체는 일본 상공을 통과했으며, 이에 일본 정부는 북한에 지원하기로 했던 경수로 건설 비용 10억달러 지원 약속을 철회했다.[20][21]
  • '''2000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 '''2002년'''
  • * 6월 29일: 북한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여 대한민국 해군 고속정을 기습 공격하는 제2연평해전이 발생했다.[101]
  • *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김정일은 일본인 납치 문제를 일부 시인하고 납치된 일본인 일부를 귀환시켰다. NHK가 입수한 회담록에 따르면, 김정일은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핵 보유에 동의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1990년대부터 러시아와 중국은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강력한 제재 결의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왔다.
  • * 10월: 제임스 켈리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특사로 북한을 방문했다. 이 방문 과정에서 북한이 북미 제네바 합의에서 동결하기로 한 플루토늄 방식 외에 고농축 우라늄(HEU)을 이용한 핵 개발 프로그램을 비밀리에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30]
  • '''2003년 1월 1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공식 선언했다.
  • '''2006년'''
  • * 10월 9일: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제1차 핵 실험을 강행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 실험으로 인해 발생한 인공 지진의 규모를 4.2로 측정했다.
  • * 10월 10일: 세르게이 이바노프 당시 러시아 국방장관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세계 9번째 핵보유국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후 러시아 정부는 이 발언이 장관의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기존의 핵보유국은 미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비공식) 8개국이었다.
  • '''2007년'''
  • * 1월 13일: 북한 관리 송일호가 일본 측 대표 야마자키 타쿠에게 북한의 2차 핵실험 실시 여부는 "미국의 향후 행동"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왔다.[49]
  • * 1월 16일: 북한과 미국 간의 중간 회담이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다. 양측은 특정 분야에서 합의가 있었다고 확인했으나, 북한은 이를 양자 협상으로, 미국은 6자 회담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49]
  • * 2월 10일: 워싱턴에서 북한이 우라늄 농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는 2002년 CIA 보고서가 정보를 과장했거나 잘못 해석했을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관리들은 더 이상 이를 6자 회담의 주요 쟁점으로 삼지 않고 있다고 전해졌다.[51][52][53]
  • * 2월 13일: 6자 회담 제5차 2단계 회의에서 합의가 도출되었다(2.13 합의). 북한은 영변 핵시설의 가동 중단 및 폐쇄를 약속하고, 그 대가로 중유 50000ton에 해당하는 에너지 지원을 받기로 했다. 시설의 영구적 폐쇄가 확인되면 추가 지원이 이루어지기로 했다. 또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복귀와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 절차 개시 등이 합의되었다.[54]
  • * 3월 19일: 6자 회담 제6차 1단계 회의가 베이징에서 시작되었다.
  • * 6월 25일: 북한은 마카오의 방코 델타 아시아(BDA)에 동결되어 있던 북한 자산 2500만달러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발표했다.[55]
  • * 7월 14일: 북한은 대한민국으로부터 중유 6200ton을 지원받은 후 영변 원자로를 폐쇄한다고 발표했다.[56]
  • * 7월 17일: 10명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이 북한의 영변 원자로 폐쇄를 확인했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은 이를 "올바른 방향으로의 좋은 단계"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2.13 합의에 따른 지원의 일환으로 두 번째 중유 7500ton이 북한 남포시로 보내졌다.[57]
  • * 9월 11–13일''': 미국, 중국, 러시아의 사찰단이 영변 원자로 현장을 방문하여 원자로 불능화 방법을 논의했다. 미국 대표단 단장 성 김은 "보고 싶었던 모든 것을 보았다"고 말했으며,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를 확인했다.[58]
  • '''2009년 5월 25일''': 북한은 제2차 핵 실험을 실시했다. USGS는 이로 인한 지진 규모를 4.7로 측정했다.

2. 3. 후기 (2010년대 ~ 현재)


  • 2011년 12월 17일 - 김정일 사망
  • 2013년 2월 12일 - 3차 핵 실험 실시. USGS 측정 진도는 5.1.
  • 2013년 - 영변 30메가와트 원자로 준공. 이 원자로는 열출력 100MWt, 전기출력 30MWe 규모의 경수로이며, 저농축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 2016년 1월 6일 - 4차 핵 실험 실시. USGS 측정 진도는 5.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수소폭탄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2016년 6월 17일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국제경제포럼에서 미국의 유럽 미사일 방어(MD) 시스템 배치에 대응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러시아의 안보와 국제 전략 균형 유지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MD가 방어 시스템이 아닌 전략적 핵전력의 일부라고 비판했다.[290]
  • 2016년 9월 9일 - 5차 핵 실험 실시. USGS 측정 진도는 5.3.
  • 2016년 10월 25일 -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장(DNI)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이란의 비핵화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핵무기 개발 계획의 동결조차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291]
  • 2017년 6월 2일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서 작은 나라들이 독립과 주권을 지키기 위해 핵무기 보유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292]
  • 2017년 7월 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4호를 방현비행장 인근에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 2017년 7월 27일 - 스콧 스위프트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할 때, 세계가 핵보유국으로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공존해야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293]
  • 2017년 9월 3일 - 6차 핵 실험 실시. USGS 측정 진도는 6.3으로 관측되었으며, 한국 기상청 분석에 따르면 폭발력은 TNT 약 290 kt에 달해 100 kt을 넘는 전략 핵무기급으로 평가되었다.[294]
  • 2017년 9월 6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문제를 논의했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했으나 중국은 이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 2017년 9월 8일 - 미국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조치(원유 공급 중단 등)를 취하지 않을 경우, 한국과 일본이 자체 핵무장을 추진할 수 있으며 미국이 이를 막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3. 핵무기 종류 및 기술

핵무기 탄두 설계는 크게 핵분열 에너지를 이용하는 원자 폭탄(A-폭탄), 핵분열을 이용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열핵무기(수소폭탄, H-폭탄), 그리고 이 둘 사이의 다양한 혼합형 설계(예: 부스티드 설계)로 나뉜다.[5] 열핵무기는 원자폭탄보다 훨씬 강력하며,[5][6][7] 설계 및 제조가 매우 복잡하여 소수의 핵보유국만이 개발에 성공했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여러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 기술 발전을 과시해왔다. 2016년 1월 4차 핵 실험 당시 북한은 최초의 수소 폭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으나,[80] 외부 전문가들은 폭발 위력 등을 근거로 다단계 열핵무기 실험 가능성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9][10] 당시 미국 국가정보국장 제임스 클래퍼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생존 티켓"으로 여기기 때문에 비핵화 설득이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83][291]

2017년 9월 6차 핵 실험은 이전보다 훨씬 강력한 위력을 보여주었으며(진도 6.3, 추정 위력 250-290 kt),[84][85][294] 북한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탑재 가능한 수소탄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이 실험이 완전한 열핵무기인지, 아니면 증폭 핵분열탄 등 다른 형태인지에 대해서는 분석이 엇갈린다.[5]

2023년에는 핵탄두 '화산-31'과 이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8종의 무기 체계(KN-24, KN-25, KN-23 변형, 핵 어뢰 '해일', 순항미사일 '화살-1', '화살-2' 등) 도면을 공개하며[98] 핵무기의 소형화 및 다양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3. 1. 핵분열 장치

핵분열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자 폭탄" 또는 "A-폭탄"이라고 불린다. 이 장치는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매우 무거운 원소핵분열시키는 원리에 기반한다. 제2차 세계 대전일본에 투하된 원자 폭탄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

3. 2. 열핵무기

핵무기 탄두 설계는 다양한 범주로 나뉜다. 기본적으로 원자 폭탄이라 불리는 핵분열 장치는 무거운 원소의 핵분열 에너지를 이용한다. 반면, 열핵무기(일반적으로 수소 폭탄 또는 H-폭탄)는 하나 이상의 핵분열 장치를 이용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훨씬 큰 에너지를 방출하는 다단계 무기이다. 열핵무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원자폭탄보다 수천 배 더 강력할 수 있으며, 오늘날 메가톤급 현대 핵무기는 대부분 이 유형이다.[5][6][7] 이 외에도 핵분열탄의 위력을 핵융합 물질로 증폭시키는 "부스티드(boosted)" 설계나 "핵분열-융합-핵분열" 방식과 같은 다양한 하이브리드 설계가 존재한다.

열핵무기 설계, 특히 다단계 방식은 매우 복잡하여 5개 핵보유국(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만이 70년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개발에 성공했다. 열핵무기의 연료를 만드는 것 또한 매우 어렵다.[5] 인도파키스탄과 같이 오랜 핵 개발 역사를 가진 국가들도 상대적으로 용이한 하이브리드 또는 부스티드 설계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융합 무기와 하이브리드 설계 모두 "수소 폭탄"으로 불릴 수 있어,[8] 북한이 어떤 유형의 무기 실험을 주장하는지 명확히 단정하기는 어렵다.

2015년 12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북한이 수소 폭탄을 폭발시킬 준비가 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외부에서는 이 주장에 대해 상당한 의문을 제기했다.[78][79]

2016년 1월 6일, 북한은 4차 핵 실험을 실시하고, 이를 첫 수소폭탄 실험이라고 발표했다.[80] USGS는 이 실험으로 진도 5.1의 인공지진이 감지되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제 전문가들은 폭발 위력 등을 근거로 실제 다단계 열핵무기 실험이었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9][10] 같은 해 10월 26일, 미국의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장(DNI)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핵 프로그램은 북한 정권의 "생존 티켓"과 같다고 평가했다.[83][291]

2017년 9월 3일,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서 6차 핵 실험을 강행했다. USGS는 진도 6.3의 강력한 인공지진을 감지했으며,[84] 한국 기상청은 폭발 위력을 TNT 환산 약 290 kt 정도로 추정했다.[294] 이는 100 kt을 넘는 전략 핵무기 수준에 해당한다. 노르웨이 지진관측소(NORSAR)는 초기 추정치 120 kt에서 이후 TNT 환산 250 kt으로 상향 조정했다.[85] 북한은 이 실험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탑재할 수 있는 수소탄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6차 핵실험이 4차 때보다 훨씬 강력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도,[5] 이것이 완전한 의미의 다단계 열핵무기인지, 아니면 증폭 핵분열탄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분석이 엇갈린다.

2023년, 북한은 핵탄두 '화산-31'과 이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8종의 무기 체계 도면을 공개했다.[98] 공개된 무기에는 KN-24, KN-25 단거리 탄도미사일, 다양한 변형의 KN-23 미사일, 핵 어뢰 '해일', 순항미사일 '화살-1', '화살-2' 등이 포함되었다.

3. 3. 부스티드 설계

핵무기 설계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 폭탄 (A-폭탄)이고, 둘째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는 열핵무기 (수소 폭탄, H-폭탄)이다. 열핵무기는 핵분열 폭탄을 기폭제로 사용하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므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원자 폭탄보다 수천 배 더 강력한 위력을 낼 수 있다.[5] 현대의 메가톤급 핵무기는 대부분 이 열핵무기 형태이다.[6][7]

이 두 가지 유형 사이에 "부스티드(boosted)" 설계와 같은 다양한 혼합형 핵무기가 존재한다. 부스티드 설계는 핵분열 장치 내부에 소량의 핵융합 물질(예: 중수소, 삼중수소)을 넣어 핵분열 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고압으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고, 이때 방출되는 중성자가 다시 핵분열을 촉진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즉, 핵융합 반응 자체보다는 핵융합에서 나온 중성자를 이용해 핵분열 효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순수 핵분열 무기보다 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핵분열-융합-핵분열" 방식의 무기도 있다. 이는 핵분열 폭탄으로 핵융합 물질을 압축·점화시키고, 여기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중성자를 이용해 다시 주변의 핵분열 물질(예: 우라늄-238)을 핵분열시키는 다단계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폭발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열핵무기, 특히 다단계 열핵무기는 설계가 매우 복잡하여 공식 핵보유 5개국(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만이 70년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개발에 성공했다. 핵융합 연료를 만드는 것 또한 매우 어렵다.[5] 인도파키스탄과 같이 오랜 핵 개발 역사를 가진 국가들도 상대적으로 개발이 용이한 부스티드 설계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핵융합 무기와 부스티드 설계 모두 때때로 "수소 폭탄"으로 불리기도 하므로,[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실험에서 언급한 무기가 정확히 어떤 유형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분석가들은 2016년 북한의 핵실험이 다단계 열핵무기 설계일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으나,[9][10] 2017년 핵실험은 이전보다 훨씬 강력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5]

4. 국제사회의 대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 시도는 국제 사회의 심각한 우려를 낳았으며, 이에 대한 대응은 주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제재와 6자 회담 등으로 대표되는 외교적 해결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를 선언(2003년)[109]하고 연이어 핵실험(2006년 1차[44], 2009년 2차[68], 2013년 3차[76], 2016년 4차 및 5차, 2017년 6차[183])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이어가자, 국제사회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해 금융 제재, 무기 금수, 사치품 거래 금지 등 점차 강화되는 제재 조치를 취했다.[47] 특히 미국은 독자적인 제재를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러한 제재와 병행하여,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하는 외교적 노력도 지속되었다. 대한민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한 6자 회담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적인 다자 협상 틀이었으나, 합의와 파기를 반복하며 장기간 교착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66] 이 외에도 북미 간 양자 대화나 남북 정상회담 등 다양한 외교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주요 관련국들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미국은 '최대 압박'과 대화를 병행하는 전략을 구사했고,[206][216] 중국과 러시아는 한반도 안정 유지를 강조하며 제재보다는 대화를 통한 해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47][290][292] 일본은 자국 안보와 납치 문제 해결을 중시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고,[243][244] 대한민국 정부는 시기에 따라 대북 포용 정책과 강경책 사이에서 변화를 보이며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모색했다.

국제사회는 이처럼 제재와 대화라는 상반된 접근 방식을 통해 북한의 핵 개발을 억제하고 비핵화를 유도하려 노력했지만, 북한의 지속적인 핵 능력 고도화와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4.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006년 10월 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실험 계획 발표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핵실험을 실시하지 말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도 자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43] 그러나 북한은 10월 9일 1차 핵실험을 강행했다.[44]

이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0월 14일 결의안 1718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 이 결의안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물자·기술의 이전을 금지하고, 관련 금융 자산을 동결하며, 사치품 수출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았다.[47] 그러나 중국러시아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47] 또한, 당시 미국조지 W. 부시 행정부가 국내 정치적 상황(중간 선거)을 고려하여 결의안 채택을 주도했다는 분석도 있다.[47]

2009년 4월, 북한이 장거리 로켓(광명성 2호)을 발사하자[64][65]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를 규탄하는 의장 성명을 채택했다. 북한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4월 14일, 6자 회담 불참 및 기존 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핵 시설 복구와 핵 프로그램 재개를 통보하며 국제 사회의 제재에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66][151]

4. 2. 6자 회담

2006년 북한 핵실험 이후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 외교의 틀인 6자 회담은 여러 차례의 회담과 합의, 그리고 파기를 반복하며 부침을 겪었다.

  • '''2006년 4월 12일''': 북한의 핵 프로그램 관련 회담 복귀를 설득하기 위한 이틀간의 회의가 열렸으나, 교착 상태를 해결하지 못했다.
  • '''2006년 10월 9일''': 북한은 최초의 핵무기 실험을 강행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비난을 초래했다.
  • '''2006년 10월 1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결의안 1718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대북 제재를 부과했다. 이 결의안은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물자 거래 금지, 금융 제재, 사치품 금수 조치 등을 포함했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소극적인 태도로 실효성에 한계를 보였다.[47] 당시 부시 행정부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이 결의안 채택을 주도했다.
  • '''2006년 12월 18일''': 약 13개월 만에 6자 회담이 5차 2단계 회담으로 재개되었다. 일주일간의 협상 끝에 참여국들은 9.19 공동성명을 재확인했으나, 구체적인 진전을 이루지는 못하고 각자의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다.
  • '''2007년 1월 16일''': 북한과 미국은 독일 베를린에서 양자 회담을 가졌다. 양측은 특정 분야에서 의견 접근이 있었음을 확인했지만, 북한은 이를 양자 협상으로, 미국은 다음 6자 회담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다르게 평가했다.[49]
  • '''2007년 2월 13일''': 6자 회담 5차 3단계 회담에서 2.13 합의가 도출되었다. 북한은 영변 핵시설 가동 중단 및 봉인,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를 약속하고, 그 대가로 중유 5만ton에 해당하는 에너지 지원을 받기로 했다. 또한 핵 프로그램 불능화 완료 시 중유 95만ton 상당의 추가 지원과 함께, 미국은 북한을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고 적성국교역법에 따른 제재 해제를 약속하는 등 북미 관계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54]
  • '''2007년 3월 19일''': 6자 회담 6차 회담이 베이징에서 시작되어 2.13 합의 이행을 위한 실무그룹 구성 및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 '''2007년 6월 25일''': 2.13 합의 이행의 걸림돌이었던 마카오의 방코 델타 아시아(BDA) 내 북한 자금 동결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북한이 발표했다.[55]
  • '''2007년 7월 14일''': 북한은 대한민국으로부터 1차분 중유 6200ton을 지원받은 후 영변 원자로 가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56]
  • '''2007년 7월 17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10명이 북한의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을 확인했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은 이를 "올바른 방향으로의 좋은 단계"라고 평가했다.[57]
  • '''2007년 9월 11–13일''': 미국, 중국, 러시아 전문가들이 영변 핵시설을 방문하여 시설 불능화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대표단장인 성 김은 "보고 싶었던 모든 것을 보았다"고 밝혔다.[58]
  • '''2008년 5월 10일''': 미국 국무부의 성 김 한국과장은 평양 방문 기간 동안 영변 핵시설 활동 관련 문서 약 18,000건을 확보하여 대한민국으로 귀환했다.[60]
  • '''2008년 6월 26일''': 북한은 핵 프로그램 신고서를 6자 회담 의장국인 중국에 제출했다. 60페이지 분량의 이 신고서에는 플루토늄 보유량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61]
  • '''2008년 6월 27일''': 북한은 핵 신고서 제출 다음 날, 영변의 5메가와트(MW) 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했다. 이 장면은 CNN 등 해외 언론에 공개되었으며, 6자 회담의 성과를 보여주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되었다.[146] 그러나 이는 이미 가동이 중단된 시설의 일부였고,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HEU) 프로그램을 통한 핵 개발로 전환했기 때문에 상징적인 조치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47]
  • '''2008년 10월 11일''': 미국 정부는 북한의 핵 신고서 제출과 냉각탑 폭파 등 비핵화 조치를 근거로 북한을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했다.[63][150]
  • '''2008년 12월''': 핵 시설 검증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6자 회담 수석대표 회담이 열렸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사실상 중단 상태에 들어갔다.[131]
  • '''2009년 4월 5일''': 북한은 광명성 2호 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국제사회는 이를 장거리 탄도 미사일 기술 시험으로 간주하고 규탄했다.[64][65]
  • '''2009년 4월 14일''': 북한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위성 발사 규탄 성명에 반발하며 외무성 성명을 통해 "다시는 6자 회담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합의에도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한 IAEA 사찰단을 추방하고 핵 시설 재가동을 통보하며 6자 회담의 틀을 완전히 벗어났다.[66]
  • '''2009년 4월 25일''': 북한은 핵 시설을 재가동했다고 공식 발표했다.[67]
  • '''2009년 5월 25일''': 북한은 두 번째 핵실험을 강행했다.[68]
  • '''2010년 11월''': 북한은 영변을 방문한 미국 핵 전문가 지그프리드 헤커 박사에게 우라늄 농축 시설과 1,000대 이상의 원심분리기를 공개하며 고농축 우라늄(HEU)을 이용한 핵무기 개발 능력을 과시했다. 이는 과거 북한이 부인해왔던 HEU 프로그램의 존재를 인정한 것이며, 제네바 합의 파기를 선언하는 계기가 되었다.[159][108][160]


이후 북한은 3차 핵실험(2013년 2월 12일)을 포함하여 핵 및 미사일 개발을 지속했으며, 6자 회담은 재개되지 못하고 사실상 효력을 상실했다.[76]

4. 3. 미국의 대북 정책

2008년 5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은 미국에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자국을 제외해 줄 것을 요구했다.[150] 이에 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6월 27일 북한은 미국의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변 원자로의 냉각탑을 폭파했다. 이는 핵 개발 포기 의사를 보여주려는 상징적인 조치였으나,[146] 이미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 개발로 전환하여 불필요해진 시설을 이용한 '정치적 쇼'라는 비판도 있었다.[147] 실제로 북한은 이듬해 5월 2차 핵실험을 감행했다.[148] 미국은 2008년 10월, 북한을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공식적으로 삭제했다.[63][150] 그해 12월에는 핵 시설 동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6자 회담 수석대표 회담이 열렸다.[131]

그러나 북미 관계는 다시 경색되었다. 2009년 4월 5일 북한이 광명성 2호 위성 발사를 시도하자[64][65], 유엔은 이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북한은 4월 14일, 6자 회담 불참을 선언하고 핵 사찰단을 추방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핵무기 프로그램 재개를 통보했다.[66] 4월 25일에는 핵 시설 재가동을 공식 발표했다.[67]

시간이 흘러 2016년 10월 25일,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장(DNI)은 북한의 비핵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핵 개발 계획 동결조차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291] 2017년 7월 27일에는 스콧 스위프트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이 핵보유국 북한과 공존해야 할 수도 있다는 현실론적인 언급을 하기도 했다.[29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최대 압박' 전략을 구사했다. 2017년 9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 통화에서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했으나 중국은 이를 거절했다. 9월 8일, 미국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강력한 대북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을 막지 못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2018년 들어 한반도 정세는 급변했다. 2월 25일, CNN의 크리스티안 아만푸어 특파원이 북한 핵 시설을 방문하는 등 제한적이지만 언론 접촉이 이루어졌다.[59] 3월 6일 2018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가 발표되자,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항구적인 비핵화 외에는 어떤 결과도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200] 3월 8일, 방미한 한국 특사단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조기 회담 희망 메시지를 구두로 전달했다 (한국 정부는 친서 전달설 부인).[205] 3월 9일, 미국 정부는 미북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공식 발표하면서도, 북한의 비핵화가 확인될 때까지 모든 제재와 최대 압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06] 마이크 펜스 부통령 역시 북한의 대화 참여는 국제사회의 압박이 효과를 본 결과라며, 구체적이고 항구적이며 검증 가능한 비핵화(CVID)가 필요하다고 말했다.[207] 트럼프 대통령은 3월 10일,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에 대해 "조기에 퇴장할 수도 있지만, 전 세계에 최고의 합의에 도달할 수도 있다"며 양면적인 가능성을 언급했다.[209]

이러한 대화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은 강경 기조를 유지했다. 3월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화파로 분류되던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을 전격 해임했다.[212][213] 3월 16일, 존 설리번 미국 국무장관 대행은 강경화 한국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 후 "미북 정상회담은 역사적 기회이자 국제적 '최대 압력'이 효력을 보고 있다는 증거이며, 이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발표했다.[216] 3월 20일에는 스웨덴을 방문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에게 스웨덴 유엔 대사가 안보리 제재 지속 필요성을 전달하기도 했다.[218] 3월 25일,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일본 방문 중 북한의 위협을 강조했다.[219]

미국은 동맹국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독자적인 압박도 지속했다. 3월 29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에서 벗어나거나 제재 완화 조치를 취할 경우 미한 FTA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229] 3월 30일,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제재 회피(환적 등)에 연루된 기업 및 개인을 추가 제재 명단에 올렸다. 니키 헤일리 당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를 국제사회의 단결된 최대 압박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라고 평가했다.[230][231] 4월 5일, 헤일리 대사는 북한이 대화에 나선 것은 국제사회의 압박 때문이며, 미북 정상회담에서는 완전한 비핵화가 논의되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233] 4월 16일에는 미국 상무부가 북한 및 이란과의 불법 거래를 이유로 중국 통신기업 ZTE에 강력한 제재를 부과했다.[239]

4월 18일 미일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에게 미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북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북한 핵·미사일의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폐기"(CVID) 목표와 최대 압력 유지 방침을 재확인했다.[243][244][245][246]

4월 21일, 북한은 핵실험 및 ICBM 발사 중단과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선언했다. 그러나 미국 언론인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 등은 북한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과거의 기만 전술을 반복할 수 있다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252] 4월 27일 제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 목표가 합의되었으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미국의 최대 압박 전략이 성과를 거둔 것이라 평가하며, 북한의 비핵화 목표는 불변이며 항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261] 같은 날, 북한에 억류되었다가 혼수 상태로 귀국 후 사망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부모는 북한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260]

미국 내에서는 남북 정상회담 합의에 대한 신중론이 이어졌다. 4월 29일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는 북한이 언급하는 "한반도 비핵화"가 실제로는 주한미군 철수 등 미한 동맹 해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재 해제를 노린 전략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62] 5월 1일, 과거 6자 회담 미국 대표였던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차관보는 남북 합의가 과거의 반복에 불과하며 북한 정권의 잔혹성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103]

5월 3일 공식 취임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취임 연설에서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북한의 모든 대량 살상 무기(WMD) 폐기를 지체 없이 수행하는 데 전념한다"고 선언하며 비핵화의 범위를 명확히 했다.[265] 5월 4일, 트럼프 대통령은 오토 웜비어의 부모와 통화하며 북한과의 협상에서 인권 문제를 다룰 의지를 재확인했다.[267]

4. 4. 대한민국 정부의 대응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핵 개발 및 군사적 도발에 대해 시기별로 다양한 정책 기조를 보이며 대응했다.

노태우 정부 시기인 1991년 12월, 남북은 한반도의 비핵화, 남북 체제 인정 및 상호 불가침을 골자로 하는 남북 기본 합의서에 합의했다. 당시 김일성 주석은 핵 개발 능력과 의도가 없다고 밝혔지만[109][110][101][111], 북한은 합의 이후에도 주한 미군 철수 등을 요구하며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았다.[109][110][101][111]

김영삼 정부는 1993년 출범 초기 "어떤 동맹국도 민족보다 나을 수는 없다"고 선언하며 북한에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미전향 장기수를 북한에 송환하기도 했다.[112][113] 그러나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고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위협하자 대북 강경 노선으로 전환했다.[109][111][112] 1994년 10월에는 미국과 북한 사이에 제네바 합의가 체결되어 북한의 핵 개발 동결을 약속받았지만, 북한은 이후에도 비밀리에 핵 개발을 계속했다.[109][110][162][150]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2년 6월에는 서해에서 제2연평해전이 발발했으며[101], 같은 해 10월에는 북한이 제네바 합의를 위반하고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이 드러났다.[130]

노무현 정부 말기인 2008년 7월에는 금강산 관광 중이던 대한민국 국민이 북한군에 의해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은 정당방위를 주장하며 공동 조사를 거부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금강산 관광 사업을 중단했다.[149]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10년에는 천안함 폭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며 남북 관계는 크게 경색되었다. 북한은 이러한 도발을 주도한 김영철을 김정일 생일에 맞춰 승진시켰다.[154] 2012년 2월, 미국과 북한은 북한의 핵 활동 중단과 미국의 식량 지원을 골자로 하는 합의(2.29 합의)를 맺었으나[162][163][131][111], 북한은 두 달도 지나지 않아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여 합의를 파기했다.[164]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3년 2월, 북한은 세 번째 핵 장치를 실험했으며[76], 이는 2013년 북한 위기로 이어졌다. 2017년 4월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THAAD 발사대 2기가 배치되었다.[174]

문재인 정부는 2017년 5월 출범 직후, THAAD 발사대 추가 반입 보고 누락 문제를 지적하며 배치 절차를 일시 중단했다.[177] 그러나 북한이 7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 14형을 발사하자[180], 다음 날 잔여 발사대 4기의 임시 배치를 결정하며 방침을 전환했다.[181]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183][109][111], 나머지 발사대 4기가 추가 반입되었으나, 배치 반대 측과의 갈등으로 기지 공사에 어려움을 겪었다.[184][224] 같은 달, 문재인 정부는 유니세프세계 식량 계획(WFP)을 통해 북한에 800만달러 상당의 인도적 지원을 결정했다.[185]

2018년 들어 남북 관계는 빠르게 진전되었다. 2월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방남했고, 이 과정에서 천안함 폭침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김영철의 방남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192]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95][196] 3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은 위원장과 면담하고 4월 말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109] 특사단은 방미하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이는 북미정상회담 개최 합의로 이어졌다.[206]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판문점에서 만나 판문점 선언에 합의했다. 선언에는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 목표와 함께 남북 교류 협력 확대, 군사적 긴장 완화 및 적대 행위 중지 등이 포함됐다.[258] 특히 "확성기 방송이나 전단 살포 등 서로를 향한 일체의 적대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합의는 북한 인권 단체들의 반발을 불렀다.[260] 판문점 선언의 '완전한 비핵화' 표현이 기존의 6자 회담 합의보다 후퇴했으며, 북한이 주장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주한 미군 철수와 미국의 핵우산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258][259][202][203] 또한, 선언 내용 중 경제 협력 관련 비중이 높다는 지적도 나왔다.[258][259]

정상회담 이후에도 THAAD 기지 공사를 둘러싼 갈등은 계속됐다. 4월 12일, 국방부가 건설 자재 반입을 시도했으나 반대 측의 저지로 무산됐고, 오히려 기존에 반입했던 중장비를 반출해야 했다.[236][237][238] 5월 1일에는 문정인 특보가 평화협정 체결 시 주한미군 주둔 정당화가 어렵다는 발언을 다시 하여 논란이 됐다.[264] 같은 달,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한국 선적 유조선이 북한 선박에 유류를 옮겨 싣는 불법 환적(瀬取り) 행위를 하다가 일본 해상자위대에 의해 적발되기도 했다.[266]

4. 5. 일본, 중국, 러시아의 입장

1990년대부터 러시아중국미국이 주도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며 북한 핵 문제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2000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02년 9월에는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납북 일본인 일부를 귀환시켰다. NHK가 입수한 정상회담 기록에 따르면, 김정일은 이 자리에서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핵보유에 동의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 실험 직후 세르게이 이바노프 당시 러시아 국방장관은 북한이 사실상 9번째 핵보유국이 되었다고 언급했으나, 러시아 정부는 이후 이를 개인적인 견해라고 해명했다.

2016년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의 유럽 미사일 방어(MD) 시스템 배치에 대해 대응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으며, 국제 전략 균형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견제 입장을 드러냈다.[290]

2017년 6월, 푸틴 대통령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서 작은 나라가 독립과 주권을 지키기 위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을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292]

2017년 9월, 북한의 6차 핵 실험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에서 미국은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했으나 중국은 이를 거절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이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이 이를 막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알려졌다. 독립적인 지진 감시 기관인 NORSAR는 이 6차 핵실험의 폭발 규모를 처음에는 약 120킬로톤으로 추정했으나, 이후 진동 6.1M을 기준으로 250킬로톤(TNT)으로 수정했다.[85]

2018년 3월, 북한이 발사한 탄도 미사일 중 3발이 일본 배타적 경제 수역(EEZ) 근처 해상에 낙하하면서 일본 내 안보 불안감이 고조되었다. 같은 달,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을 전격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과 회담했다. 이 방문에서 김정은은 중국과의 전통적 우호 관계를 강조하며 북중 관계 개선 의지를 보였으나, 중국 내에서는 관련 보도가 통제되는 등 민감한 사안으로 다뤄졌다[220][221][222][223]. 또한, 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북한에 대한 최대 압력을 유지하기로 합의했으며, 유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선박 간 환적(瀬取り) 등 불법적인 방식으로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216][217].

2018년 4월, 미일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총리에게 미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약속했다[243][244]. 양 정상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목표와 최대 압력 유지 원칙을 재확인했다[245][246]. 한편, 미국은 북한 및 이란과의 불법 거래를 이유로 중국 통신 기업 ZTE에 거액의 벌금(11.9억달러)과 제재를 부과했다[239]. 또한, 미국 상원은 중국 정부에 탈북자 강제 북송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된 북한 인권법 연장안을 가결했다[256]. 북한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을 태운 버스가 대형 사고를 당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나, 북중 관계를 의식한 중국 당국은 관련 보도를 통제했다[255].

2018년 5월,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북한 선적 유조선과 한국 선적 유조선 간의 불법 선박 간 환적으로 의심되는 행위가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에 의해 포착되었다[266].

5. 북한의 핵 개발 관련 주요 사건 및 사고


  • 1968년 1월 21일: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목적으로 한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103]
  • 1968년 10월 30일-11월 3일: 북한 무장공작원이 한국에 침투하여 민간인을 살해한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이 일어났다.[103]
  •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유엔군 장교 2명이 북한군에게 도끼로 살해당하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이 발생했다.
  • 1983년 10월 9일: 미얀마를 방문 중이던 전두환 대통령과 대한민국 정부 주요 인사들을 노린 랑군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한국의 각료를 포함한 21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필수적인 고성능 폭약 실험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101]
  • 1986년 9월 14일: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개막을 일주일 앞두고, 북한의 사주를 받은 테러 조직이 김포국제공항에 폭발물을 설치하여 5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하는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104][103]
  • 1987년 11월 29일: 김정일의 지시를 받은 북한 공작원이 대한항공 858편 여객기를 폭파시킨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 이후 미국 레이건 행정부는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하고, 대북 관계 개선을 모색하던 시걸 구상을 철회했다.[106]
  • 1989년 9월 15일: 프랑스의 상업 위성 SPOT 2호가 북한의 비밀 핵시설을 촬영하여 공개하면서 북핵 문제가 국제적인 현안으로 부상했다.
  • 1993년 3월 13일: 북한은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고 대한민국을 향해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위협했다. 이는 김영삼 정부 출범 초기의 유화적인 대북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조치였다.[109][111][112]
  • 1994년 6월: 북한이 국제 원자력 기구(IAEA) 탈퇴를 선언했다.
  • 2002년 6월 29일: 북한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여 대한민국 해군 고속정에 선제공격을 가함으로써 제2연평해전이 발발했다.[101]
  • 2002년 10월: 미국 특사의 방북 과정에서 북한이 제네바 합의 이후에도 플루토늄 방식과 별개로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 개발을 비밀리에 추진해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30]
  • 2017년 9월 3일: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했다.[183][109][111]
  • 2017년 10월 31일: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대규모 갱도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6. 북한 핵 문제의 전망과 과제

2018년 들어 남북 관계 개선과 북미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북한 핵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4월 27일 개최된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김정은 위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만나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는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109][258] 이에 앞서 북한은 4월 2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경제 건설과 핵무력 건설의 병진 노선의 위대한 승리"를 선언하며 핵 개발 완성을 주장하는 한편, 추가적인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중단하고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겠다고 밝혔다.[248]

이러한 북한의 태도 변화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이 효과를 거둔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206][230][233][245][257][261]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도 불구하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또는 FFVD)가 실현될 때까지 '최대의 압박'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206][245][246][261][265] 3월에는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 개최 합의가 이루어졌으나[206],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여전히 존재했다. 과거 북한이 영변 냉각탑 폭파[146][147]와 같이 상징적인 조치를 통해 협상 국면을 유리하게 이끌려 했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226][254] 또한, 북한이 언급하는 '한반도 비핵화'가 미국의 핵우산 제거와 주한 미군 철수까지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202][203][215][258][262]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의 "평화협정 체결 시 주한미군 주둔 정당화가 어렵다"는 발언은 이러한 논란을 증폭시키기도 했다.[195][196][264]

향후 비핵화 협상이 성공적으로 진전되기 위해서는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북한의 핵무기 및 핵물질, 관련 시설에 대한 정확한 신고와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철저하고 투명한 검증이 필수적이다.[252][253][261]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북한 정권의 본질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과거 합의의 반복에 그칠 수 있음을 경고하기도 했다.[103] 또한, 북한의 인권 문제 개선과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역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241][242][243][244][256][260][267]

국제사회의 공조 역시 중요하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는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188][216][217][230][231], 향후 비핵화 과정에서도 제재의 틀을 유지하며 북한의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218][257] 특히, 북한의 제재 회피 시도(예: 해상 환적[216], 해외 노동자 파견[188][241])를 차단하기 위한 국제적인 감시와 협력이 요구된다. 2018년 5월에는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북한 선박과 한국 선박 간의 환적 의심 사례가 일본 해상자위대에 의해 포착되기도 했다.[266] 중국과의 관계 개선[220][221][222][223] 역시 북한의 비핵화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남북 간 신뢰 구축, 군사적 긴장 완화, 경제 협력 등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258]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된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 체결 논의를 진전시키는 동시에,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225][247] 가능성에 대한 경계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s://earthquake.u[...] USGS
[2] 웹사이트 North Korea’s Punggye-ri Nuclear Test Site: Analysis Reveals Its Potential for Additional Testing with Significantly Higher Yields https://www.38north.[...] 38North 2017-03-10
[3] 뉴스 North Korea Says It Has a Program on Nuclear Arm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2-10-17
[4] 웹사이트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me http://www.iiss.org/[...] IISS.org 2013-03-12
[5] 웹사이트 Why it's so difficult to build a hydrogen bomb https://qz.com/58851[...] 2016-01-07
[6] 학위논문 The Development of Britain's Megaton Warheads http://www.mcintyre.[...] University of Chester 2017-05-29
[7] 서적 Britain and the H-bomb Palgrave
[8] 웹사이트 Yes, North Korea Probably Tested an H-Bomb — Just Not the Kind You're Thinking of https://news.vice.co[...] 2016-01-06
[9] 뉴스 North Korea nuclear H-bomb claims met by scepticism https://www.bbc.co.u[...] 2018-06-20
[10] 웹사이트 U.S. Analysis 'Not Consistent' with North Korea's Claim of a Hydrogen-Bomb Test https://www.theatlan[...] 2017-09-03
[11] 보고서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http://americansecur[...] American Security Project 2012-08
[12] 서적 War and state terroris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Asia-Pacific in the long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04-06
[13] 뉴스 N. Korean Nuclear Conflict Has Deep Roots https://www.washingt[...] 2006-10-16
[14] 웹사이트 North Korea Nuclear Milestones – 1962–2006 http://www.wisconsin[...] Wisconsin Project on Nuclear Arms Control 2016-10-28
[15] 웹사이트 The Withdrawal of U.S. Nuclear Weapons From South Korea http://www.nukestrat[...]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7-01-19
[16] 웹사이트 A history of U.S. Nuclear Weapons in South Korea http://www.nukestrat[...]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7-01-19
[17] 웹사이트 Fact Sheet on DPRK Nuclear Safeguards http://www.iaea.org/[...] 2013-08-30
[18] 웹사이트 North Korea: No bygones at Yongbyon http://www.thebullet[...] 2006-10-05
[19] 웹사이트 DefenseLINK News: DoD News Briefing Tuesday, September 8, 1998 http://www.fas.org/s[...] 2006-10-05
[20] 웹사이트 North Korea Space Programs http://www.fas.org/s[...] 2006-10-05
[21] 웹사이트 CNS – The 31 August 1998 North Korean Satellite Launch: Factsheet http://cns.miis.edu/[...] 2006-10-05
[22] 웹사이트 Exclusive: Revealing Kangson, North Korea's First Covert Uranium Enrichment Site https://thediplomat.[...] 2018-07-13
[23] 뉴스 New Evidence Suggests Kangson Is Not a Uranium Enrichment Plant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1-01-06
[24] 웹사이트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s Visit to North Korea http://www.mofa.go.j[...] 2007-03-30
[25] 뉴스 NORTH KOREA SAYS IT HAS A PROGRAM ON NUCLEAR ARMS https://www.nytimes.[...] 2017-02-20
[26] 웹사이트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2005 http://thebulletin.m[...] 2009-05-26
[27]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Northeast Asia – China 'Looming Large' in South Korea As Biggest Player, Replacing the U.S https://www.nytimes.[...] 2010-02-18
[28]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Russia – Moscow Is Negotiating With North Korean Officials in Quiet Effort to Defuse Tensions https://www.nytimes.[...] 2010-02-18
[29]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Inspectors – Atomic Agency Is Giving North Korea a Last Chance https://www.nytimes.[...] 2010-02-18
[30]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Asian Arena – U.S., in a Shift, Is Willing to Talk With North Korea About A-Arms https://www.nytimes.[...] 2010-02-18
[31]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Diplomacy – North Korea Opens Unofficial Channel for U.S. Talks https://www.nytimes.[...] 2010-02-18
[32] 웹사이트 Statement of DPRK Government on its withdrawal from NPT http://www.nautilus.[...] 2007-01-19
[33]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United Nations – Diplomacy Should Resolve Korean Crisis, Powell Say https://www.nytimes.[...] 2010-02-18
[34]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Asian Arena – The Two Koreas Open Cabinet-Level Talks https://www.nytimes.[...] 2010-02-18
[35]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Asian Arena – The Two Koreas Open Cabinet-Level Talks https://www.nytimes.[...] 2010-02-18
[36]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Korea – Be Patient With North, Seoul's Kim Urges the U.S. https://www.nytimes.[...] 2010-02-18
[37] 웹사이트 State of the Union Address of the President to the Joint Session of Congress http://www.c-span.or[...] 2010-02-18
[38] 웹사이트 N Korea launches 7th missile: Japan. 05/07/2006. ABC News Online http://www.abc.net.a[...] 2006-10-05
[39] 웹사이트 N Korea warns of new missile launches. 06/07/2006. ABC News Online http://www.abc.net.a[...] 2006-10-05
[40] 뉴스 N Korea 'to conduct nuclear test http://news.bbc.co.u[...] 2006-10-03
[41] 뉴스 N Korea statement on nuclear test http://news.bbc.co.u[...] 2006-10-03
[42] 뉴스 US issues direct warning over N Korea nukes http://www.news.com.[...] 2006-10-05
[43] 웹사이트 DPR Korea: Security Council says nuclear test is threat to peace, warns of action https://www.un.org/a[...] 2006-10-06
[44] 웹사이트 USGS Recent Earth Quakes – Earthquake detected in North Korea https://earthquake.u[...] USGS
[45] 웹사이트 Comedy Central Official Site - TV Show Full Episodes & Funny Video Clips http://www.cc.com/sh[...]
[46] 뉴스 Bolton: U.S. won't bend to North Korean bullying http://edition.cnn.c[...] 2006-10-10
[47] 뉴스 Raw Data: Full Text of U.N. Resolution on North Korea http://www.foxnews.c[...] 2006-10-13
[48] 웹사이트 North Korean Nuclear Problems Said Quickly Fixable http://www.nti.org/d[...] 2006-10-27
[49] 웹사이트 U.S., North Korean Nuclear Negotiators Meet http://www.nti.org/d[...] Nuclear Threat Initiative 2007-03-01
[50] 웹사이트 Itar-Tass http://www.itar-tass[...]
[51] 뉴스 N.Korean uranium enrichment program fades as issue http://www.alertnet.[...] Reuters 2007-02-11
[52] 뉴스 U.S. Had Doubts on North Korean Uranium Drive https://www.nytimes.[...] 2007-03-01
[53] 뉴스 New Doubts On Nuclear Efforts by North Korea https://www.washingt[...] 2007-03-01
[54] 뉴스 N Korea agrees disarmament steps http://news.bbc.co.u[...] 2007-02-13
[55] 뉴스 N. Korea Says Funds Issue Is Resolved https://www.washingt[...] 2007-07-16
[56] 뉴스 N. Korea Shutters Nuclear Facility https://www.washingt[...] 2007-07-16
[57] 뉴스 UN confirms N Korea nuclear halt http://news.bbc.co.u[...] 2007-07-16
[58] 뉴스 U.S. Officials Tour NKorean Nuclear Site https://www.washingt[...] 2007-09-13
[59] 뉴스 North Korea lifts nuclear veil http://edition.cnn.c[...] CNN 2008-02-25
[60] 뉴스 U.S. Diplomat Returns From North Korea With Boxes of Nuclear Records http://www.foxnews.c[...] Fox News 2008-05-10
[61] 웹사이트 U.S. to remove North Korea from terror list http://iht.com/artic[...] 2008-06-27
[62] 뉴스 Blast gets North Korea off US blacklist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8-07-10
[63] 뉴스 U.S. drops North Korea from terrorism list after new deal https://www.latimes.[...] 2010-05-25
[64] 뉴스 North Korea 'broke the rules again,' President Obama charges while calling for end to nuclear arms https://www.nydailyn[...] 2010-02-18
[65] 뉴스 North Korean Missile Launch Was a Failure, Experts Say https://www.nytimes.[...] 2010-02-18
[66] 뉴스 North Korea Says It Will Halt Talks and Restart Its Nuclear Program https://www.nytimes.[...] 2009-04-15
[67] 뉴스 N. Korea Says It Has Restarted Nuclear Facilities list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04-25
[68] 웹사이트 North Korea Conducts Nuclear Weapons Test http://news.antiwar.[...] 2009-05-25
[69] 웹사이트 Exclusive: North Korea's nuclear test ready so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4-24
[70] 웹사이트 Russian Military Concedes Iran, N. Korea Nuclear Threat | Russia | RIA Novosti http://en.ria.ru/rus[...] En.ria.ru 2012-04-24
[71] 웹사이트 Third Son Inherits North Korea's Dynasty After His Father's Death – Asia-Pacific Business and Technology Report http://biztechreport[...] 2012-05-04
[72] 웹사이트 Archived http://customwire.ap[...] 2023-05-19
[73] 웹사이트 Opposition leader warns N. Korea against nuclear test http://english.yonha[...] 2012-05-07
[74] 웹사이트 "N. Korea Reveals Details of Kwangmyongsong-3 Satellite", NK News, 29 March 2012 http://nknews.org/20[...] NK News 2012-03-29
[75] 뉴스 S Korea leader warns of 'multiple' N Korea nuclear tests https://www.bbc.co.u[...] BBC 2013-02-05
[76] 뉴스 North Korea appears to conduct 3rd nuclear test, officials and experts say http://www.cnn.com/2[...] CNN 2013-02-12
[77]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it can miniaturize nuclear weapons http://www.cnn.com/2[...] CNN 2017-03-22
[78] 웹사이트 Does North Korea really have an H-bomb? http://www.cnn.com/2[...] CNN 2015-12-15
[79] 웹사이트 North Korea's H-bomb claim dismissed by US https://www.bbc.com/[...] BBC 2015-12-10
[80]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it successfully conducts hydrogen bomb test http://www.cnn.com/2[...] CNN 2016-01-06
[81] 뉴스 North Korea Said it is Willing to Talk about Denuclearization ... But No One Noticed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6-07-12
[82] 웹사이트 North Korea Tests a Mightier Nuclear Bomb, Raising Tension https://www.nytimes.[...] 2016-09-09
[83] 웹사이트 US intelligence chief says disarmament unlikely https://www.bbc.com/[...] BBC 2016-10-28
[84] 웹사이트 The Latest: US, South Korea speak after North's nuclear test :: WRAL.com http://www.wral.com/[...] 2017-09-04
[85] 웹사이트 The nuclear explosion in North Korea on 3 September 2017: A revised magnitude assessment https://www.norsar.n[...] NORSAR 2017-09-12
[86] 뉴스 North Korea says it will suspend nuclear and missile tests, shut down test site https://www.washingt[...]
[87] 뉴스 North Korea halts nuclear and missile tests ahead of planned Trump summit https://www.theguard[...] 2018-04-21
[88] 웹사이트 North Korea is reportedly preparing nuclear and missile sites for international inspectors https://www.cnbc.com[...] 2018-10-31
[89] 뉴스 North Korea Turns Up Pressure on the United States for Concessions https://www.nytimes.[...] 2019-12-07
[90] 뉴스 N Korea conducts 'crucial test' - state media https://www.bbc.com/[...] 2019-12-14
[91] 뉴스 U.S. Braces for Major North Korean Weapons Test as Trump's Diplomacy Fizzles https://www.nytimes.[...] 2019-12-21
[92] 웹사이트 US watching North Korea for 'Christmas gift' missile launch https://apnews.com/d[...] 2019-12-20
[93] 웹사이트 Satellite photos show work on North Korean site linked to long-range missiles https://www.nbcnews.[...] 2019-12-21
[94] 뉴스 North Korea Is No Longer Bound by Nuclear Test Moratorium, Kim Says https://www.nytimes.[...] 2019-12-31
[95] 웹사이트 Kim Jong Un: North Korea ending test moratoriums https://news.yahoo.c[...]
[96] Tweet North Korea is "building new missiles, new capabilities, new weapons… https://twitter.com/[...]
[97] 웹사이트 North Korea unveils massive new ballistic missile in military parade https://edition.cnn.[...] 2020-10-10
[98] 뉴스 北, 전술핵탄두 8종 사진 공개…일련번호·설명까지 보여줬다 https://www.chosun.c[...] Chosun 2023-04-02
[99] 웹사이트 North Korea claims it tested new command-and-control system in simulated nuclear counterstrike https://edition.cnn.[...] 2024-04-23
[100] 뉴스 北朝鮮がミサイル攻撃を「予告」していた島、グアム。大統領を選べない島民が抱える葛藤 https://www.buzzfeed[...] 2017-09-05
[101] 웹사이트 【コラム】北朝鮮の詐欺劇にだまされるな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02-25
[102] 웹사이트 ジョイ提督「私たちが戦争を覚悟してこそ、彼らは交渉に応じる」 http://www.newdaily.[...] newdaily 2020-02-25
[103] 웹사이트 【社説】米国の元国務次官補も懸念する韓国社会の北朝鮮幻想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02-25
[104] 웹사이트 「金浦空港爆弾テロ」は北韓から請負ったアブー・ニダール組織の仕業 http://news.onekorea[...] 統一日報 2020-02-25
[105] 웹사이트 北朝鮮収容所経験者「金王朝は死ぬなら国民も道連れにする」 https://headlines.ya[...] yahoo.co.jp 2020-02-25
[106] 웹사이트 米、30年前に北朝鮮と関係改善模索 4カ月で6回接触 https://headlines.ya[...] yahoo.co.jp
[107] 웹사이트 韓国と「連邦制中立国」創設 北朝鮮が米に意向=87年外交文書 https://headlines.ya[...] yahoo.co.jp
[108] 웹사이트 北、核開発に30年間7兆ウォン…食糧配給8年分の金額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09] 웹사이트 北朝鮮を巡る主な合意と軍事挑発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8-03-08
[110] 웹사이트 困ったときの韓国頼み 北朝鮮、合意破りの歴史 対話中に支援獲得で制裁解除狙い確実 来月には南北首脳会談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8-03-08
[111] 웹사이트 合意破棄を繰り返した北核危機25年、米朝首脳会談に慎重論 https://archive.is/u[...] 朝鮮日報
[112] 웹사이트 歴代政権の南北関係…「太陽政策は北をのみ込むもの」不信感も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3]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青瓦台「終戦宣言の主体は南北…必要なら3者、4者 ...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4] 웹사이트 韓米FTA改定交渉は「第2のニンニク騒動」になるのか http://www.chosunonl[...] chosunonline
[115] 웹사이트 【コラム】脱北テ・ヨンホ公使を「悲運の亡命者」にしてはいけない=韓国(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6] 웹사이트 「黄長燁を暗殺して投身自殺するつもりだっ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7] 웹사이트 【取材日記】「黄長燁問題」に堂々たる対処を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8] 웹사이트 【社説】我々は厳存する北朝鮮の脅威を忘れてい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19] 웹사이트 <コラム>岐路に立った大韓民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20] 웹사이트 【コラム】脱北テ・ヨンホ公使を「悲運の亡命者」にしてはいけない=韓国(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21] 웹사이트 「金で買った」南北首脳会談 金大中政権、金正日秘密口座に4億5千万ドル、軍事費転用の疑惑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122] 웹사이트 金大中政権が北へ送った秘密資金は核開発などに使われた! 金正日の「611資金」を管理した銀行員出身脱北者の陳述 http://news.onekorea[...] news.onekoreanews.net
[123] 웹사이트 北朝鮮への一方的支援、歴代進歩政権の純粋性にキズ http://japanese.dong[...] japanese.donga.com
[124]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と嘘…後遺症は国民の負担として残る(1)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25] 웹사이트 韓国は北朝鮮に平昌五輪へ参加してもらうため“巨額の秘密資金”を提供した!? https://www.dailyshi[...] www.dailyshincho.jp
[126] 웹사이트 【社説】南北首脳会談、韓国大統領府は北核に集中せよ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127] 간행물 月刊朝鮮2007年1月号p128 月刊朝鮮社
[128] 웹사이트 左派政権スキャンダル、秘密資金3千億ウォンはどこへ 金大中政権幹部告発を韓国メディアは黙殺 https://web.archive.[...] www.sankei.com
[129] 웹사이트 <金正恩を語る>問題は民生、改革・開放は可能なのか(2)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30] 웹사이트 【社説】北が廃棄すべきはウラン濃縮施設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131] 웹사이트 6カ国協議とは 北朝鮮、核放棄05年には約束 https://www.nikkei.c[...] www.nikkei.com
[132] 웹사이트 北、事実上の「核兵器放棄」用意明らかに http://news.naver.co[...] news.naver.com
[133]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板門店宣言、韓国の専門家はどう見たか https://archive.is/w[...] archive.is
[134] 웹사이트 【社説】北が廃棄すべきはウラン濃縮施設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135] 웹사이트 金泳三元大統領「金正日政権を延命させたのは罪悪」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36] 웹사이트 黄長燁氏「太陽政策の主張、歴史上最大の欺まん」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37] 웹사이트 【社説】南北首脳会談、韓国大統領府は北核に集中せよ https://headlines.ya[...] 朝鮮日報日本語版
[138]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と嘘…後遺症は国民の負担として残る(2)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39] 뉴스 북핵 불능화 합의문 서명 ハンギョレ 2007-10-04
[140] 웹사이트 韓国元外交部長官、07年国連人権決議前の「北の意見」公開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141] 웹사이트 【コラム】氷河に閉じ込められた韓国政治(1)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0
[142] 웹사이트 【コラム】氷河に閉じ込められた韓国政治(2)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0
[143] 웹사이트 大統領選、「宋旻淳文書」で大揺れ http://japanese.dong[...] japanese.joins.com 2019-12-10
[144] 웹사이트 宋旻淳元外交長官、盧元大統領宛に書いた手紙を公開 http://japanese.dong[...] japanese.donga.com 2019-12-10
[145] 웹사이트 「対北朝鮮人権決議」棄権…盧大統領は表決直前に決定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0
[146] 웹사이트 北朝鮮、原子炉冷却塔を爆破 テロ指定の解除着手受け、朝日新聞、2008年6月27日 http://www.asahi.com[...] www.asahi.com 2019-12-10
[147] 웹사이트 【社説】北が廃棄すべきはウラン濃縮施設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0
[148] 웹사이트 北朝鮮「核実験中止」宣言、実験場は既に崩壊・汚染で使用不可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0
[149] 웹사이트 朝鮮日報 https://archive.is/1[...] archive.is 2019-12-10
[150] 웹사이트 北朝鮮との「非核化対話」は、失敗の歴史だ これまでの対話の経緯をみてわかること https://toyokeizai.n[...] ロイター 2020-02-25
[151] 웹사이트 History of broken promises http://www.bbc.com/n[...] BBC 2020-02-25
[152] 웹사이트 北朝鮮「核実験中止」宣言、実験場は既に崩壊・汚染で使用不可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0
[153] 웹사이트 「天安」を踏みつけて韓国入りした万景峰号 https://archive.is/p[...] archive.is 2019-12-10
[154] 웹사이트 【社説】哨戒艦「天安」爆沈事件の主犯に韓国と遺族を侮辱させるな https://archive.is/K[...] 朝鮮日報 2019-12-10
[155] 웹사이트 韓国閣僚が「天安事件主犯の腹心」と握手、遺族の思いは https://archive.is/U[...] 朝鮮日報 2019-12-10
[156] 웹사이트 【萬物相】「天安」生存兵58人を殺す韓国社会の忖度 https://headlines.ya[...] 朝鮮日報日本語版 2019-12-10
[157] 웹사이트 【萬物相】「天安」生存兵58人を殺す韓国社会の忖度 https://headlines.ya[...] 朝鮮日報日本語版 2019-12-10
[158] 웹사이트 北朝鮮の米国人拘束、韓国系狙いか 朝鮮語の理解を重視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0
[159] 웹사이트 米国で北朝鮮との交渉経験者から助言が相次ぐ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0
[160] 웹사이트 【社説】北が廃棄すべきはウラン濃縮施設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0
[161] 웹사이트 「国家保安法廃止を公言した文在寅」 http://blog.onekorea[...] 統一日報 2019-12-10
[162] 웹사이트 北朝鮮の非核化、裏切りの歴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2-25
[163] 웹사이트 米朝協議での合意、中国政府「両国の関係改善を歓迎する」 https://web.archive.[...] エキサイトニュース 2019-12-10
[164] 웹사이트 「核実験・ICBM発射中断」…金正恩式非核化の最初のボタン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0
[165] 웹사이트 【コラム】北のプロパガンダを垂れ流す韓国国家安保室長 https://archive.is/c[...] 朝鮮日報s 2019-12-10
[166] 웹사이트 北「核保有」明記された憲法序文を修正するだろうか「非核化意志のリトマス紙に」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9-12-10
[167] 웹사이트 「国家保安法廃止を公言した文在寅」 http://blog.onekorea[...] 統一日報 2019-12-10
[168] 웹사이트 【秘録金正日(73)】 後見人、張成沢処刑の真相 正恩「地球上から痕跡なくせ」 最期に「わずかな時間でいい。妻に会わせて…」 https://www.sankei.c[...] www.sankei.com 2019-12-10
[169] 웹사이트 対北朝鮮政策への批判を阻止か…文政権版「ブラックリスト」?(2)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0
[170] 웹사이트 地雷爆発事件から1年 非武装地帯の作戦現場公開=韓国軍 http://japanese.yonh[...] japanese.yonhapnews.co.kr 2019-12-10
[171] 웹사이트 北朝鮮の地雷で韓国兵士が足切断 https://dailynk.jp/a[...] dailynk.jp 2019-12-10
[172] 웹사이트 北が埋めた地雷」爆発瞬間 韓国軍兵士が両足切断 http://news.tv-asahi[...] news.tv-asahi.co.jp 2019-12-10
[173]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2-10
[174]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0
[175] 웹사이트 THAAD:何事につけても反対派市民にお伺いを立てる韓国軍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0
[176] 웹사이트 THAAD:デモ隊最前列に高齢者や女性、大半は地域外から参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177]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null
[178] 웹사이트 北朝鮮の米国人拘束、韓国系狙いか 朝鮮語の理解を重視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179] 웹사이트 日本海に北?武装漁船…自動小銃構え威嚇50分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180] 웹사이트 官房長官記者会見 https://www.kantei.g[...] www.kantei.go.jp 2017-07-29
[181]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182] 웹사이트 【社説】金正恩委員長の態度とサッカー北朝鮮代表監督の辞任 https://archive.is/k[...] archive.is null
[183] 웹사이트 北朝鮮核実験と断定=政府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7-09-03
[184]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8-03-27
[185] 웹사이트 韓国、北朝鮮への8億9000万円の人道支援を決定 文在寅政権で初 https://web.archive.[...] www.sankei.com 2019-09-21
[186] 웹사이트 事前通告なしの北ミサイル実験「今後行わない」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187] 웹사이트 対北朝鮮政策への批判を阻止か…文政権版「ブラックリスト」?(2)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188] 웹사이트 「海外で犬扱いされる北の出稼ぎ労働者」 BBCが調査報道 http://news.livedoor[...] news.livedoor.com null
[189] 웹사이트 金正恩が核放棄?ヒトラーにだまされたチェンバレンのように偽装平和に惑わされるな」(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3-22
[190] 웹사이트 正恩氏最側近「核抑止力さらに堅固に」金総書記の誕生日行事で演説 http://www.chosunonl[...] 聯合ニュース 2018-02-15
[191] 웹사이트 北機関紙が金正日氏の核戦力増強業績を強調 黄炳瑞氏も参拝か http://www.chosunonl[...] 聯合ニュース 2018-02-16
[192] 웹사이트 哨戒艦「天安」爆沈事件遺族ら、金英哲氏来韓に反対する声明 https://archive.is/5[...] 朝鮮日報 2018-02-24
[193] 웹사이트 金正恩氏、脱北した自身の「親戚」の殺害を命令 https://dailynk.jp/a[...] dailynk.jp null
[194] 웹사이트 防諜指揮していた北高位幹部が英国へ逃走…正恩氏、暗殺組を急派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null
[195] 웹사이트 大統領補佐官「韓国の大統領が在韓米軍に出て行けと言えば従うべき」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null
[196] 웹사이트 自由韓国党「文正仁特別補佐官の『間抜けな行動』…即刻解任を」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null
[197] 웹사이트 北朝鮮バス事故で中国政府がネットの書き込みを一斉削除した理由。中国の国策への悪影響を懸念か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198] 웹사이트 【コラム】北のプロパガンダを垂れ流す韓国国家安保室長 https://archive.is/f[...] 朝鮮日報 2018-03-09
[199] 웹사이트 眉をひそめさせた韓国特使5人衆の金正恩面前“必死メモ”(1)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8-03-07
[200] 웹사이트 恒久的な非核化以外受け入れないと米高官 https://archive.is/Q[...] 共同通信社 2018-03-09
[201] 웹사이트 豊かな南北合意とわずかな非核化…米国なしでは遠くに行けない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8-03-07
[202] 웹사이트 南北合意、サソリの毒針に刺されるカエルになるな 1 https://archive.is/F[...] 中央日報 2018-03-09
[203] 웹사이트 【コラム】8回約束破った後の9回目の約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null
[204] 웹사이트 North Korean talks: “A sucker is born every minute…” http://allmarineradi[...] allmarineradio.com null
[205] 웹사이트 「親書はなかった」 http://www.chosunonl[...] 聯合ニュース 2018-03-09
[206] 웹사이트 米ホワイトハウス「トランプ大統領、正恩氏の会談要請を受諾」 http://www.chosunonl[...] 聯合ニュース 2018-03-09
[207] 웹사이트 “米朝首脳会談”米政府幹部「譲歩しない」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8-03-10
[208] 웹사이트 米朝首脳会談に北朝鮮の反応なし 韓国「慎重に取り組んでいるよう」 https://web.archive.[...] 聯合ニュース 2018-03-12
[209] 웹사이트 トランプ氏、下院補選候補に応援演説 「楽勝のはず」 https://headlines.ya[...] CNN, 2018-03-11
[210] 웹사이트 韓国特使が日本到着、金正恩氏との会談内容説明へ https://headlines.ya[...] TBS 2018-03-12
[211] 웹사이트 米朝首脳会談に北朝鮮の反応なし 韓国「慎重に取り組んでいるよう」 http://www.chosunonl[...] 聯合ニュース 2019-12-11
[212] 웹사이트 対話派ティラーソン更迭翌日。北朝鮮「駐韓米軍撤収」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2019-12-11
[213] 웹사이트 「ツイッターで解雇された米国務長官... 抗議していた次官も切られた」 http://news.naver.co[...] news.naver.com 2019-12-11
[214] 웹사이트 「 15日から訪米の康外相、ティラーソン氏解任で肩透かし」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2-11
[215] 웹사이트 対話派ティラーソン更迭翌日。北朝鮮「駐韓米軍撤収」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2019-12-11
[216] 웹사이트 韓米外交トップ「朝米首脳会談は歴史的機会…最大圧力に効果の証拠」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12-11
[217] 웹사이트 北朝鮮、ICBM発射地域に記念碑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2-11
[218] 웹사이트 スウェーデン側が北朝鮮外相らに制裁継続必要と伝達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19] 웹사이트 来日中のオバマ氏、「北朝鮮は現実の脅威」 都内イベントで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20] 웹사이트 北朝鮮要人が訪中か 北京は厳戒、正恩氏か実妹との見方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21] 웹사이트 金正恩氏の訪中説 「注視するも未確認」=韓国大統領府高官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2-11
[222] 웹사이트 中国、北朝鮮外交を転換=友好演出も「血盟」熱気なく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23] 웹사이트 北朝鮮、核開発を中止へ…中国に奴隷外交開始、米国からの軍事攻撃時の支援を嘆願 https://biz-journal.[...]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9-12-11
[224] 웹사이트 THAAD:配備反対派が道路封鎖、停滞する基地工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12-11
[225] 웹사이트 北朝鮮、寧辺の核実験施設を再稼働か https://web.archive.[...]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26] 웹사이트 【社説】北が廃棄すべきはウラン濃縮施設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27] 웹사이트 北朝鮮の機関紙だけが伝える中朝首脳会談「知られざる成果」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28] 웹사이트 北メディア 正恩氏の電撃訪中を40分放送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29] 웹사이트 【社説】平和イベントもいいが、北朝鮮非核化が核心だ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1
[230] 웹사이트 断固としたアメリカ...安保理、「過去最大」対北ブラックリスト49追加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2019-12-11
[231] 웹사이트 国連安保理 北朝鮮への制裁 新たに対象を追加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32] 웹사이트 【社説】金正恩委員長の態度とサッカー北朝鮮代表監督の辞任 https://archive.is/k[...] archive.is 2019-12-11
[233] 웹사이트 ヘイリー米国連大使「米朝首脳会談の議題は北朝鮮の完全非核化」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34] 웹사이트 「金正恩のリーダーシップ」見直し論。進歩性向の学者たちも驚き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2019-12-11
[235] 웹사이트 THAAD:何事につけても反対派市民にお伺いを立てる韓国軍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36] 웹사이트 THAAD:何事につけても反対派市民にお伺いを立てる韓国軍 https://web.archive.[...]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37] 웹사이트 THAAD:デモ隊最前列に高齢者や女性、大半は地域外から参加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38] 웹사이트 【社説】韓国軍基地建設や国際的な行事に左翼団体の許可がいるのか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39] 웹사이트 米及び英、中国狙った「安保戦争」... 大型通信企業ZTEの制裁及び警告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2019-12-11
[240] 웹사이트 中国・王毅外相、朝鮮半島問題で日本を評価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41] 웹사이트 北朝鮮の隠された奴隷達 中国やロシアに見る現代の奴隷労働 https://archive.is/T[...] archive.is 2019-12-11
[242] 웹사이트 「海外で犬扱いされる北の出稼ぎ労働者」BBCが調査報道 http://news.livedoor[...] news.livedoor.com 2019-12-11
[243] 웹사이트 日米首脳会談 https://www.mofa.go.[...] 外務省 2020-02-25
[244] 웹사이트 トランプ、安倍政に「北米サミットで拉致問題提起するだろう」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2019-12-11
[245] 웹사이트 米朝会談で拉致問題提起 日米首脳、圧力維持で一致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2-25
[246] 웹사이트 日米首脳、非核化へ「最大限圧力」維持 対北朝鮮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18
[247] 웹사이트 北朝鮮、黒鉛工場新設=高純度の原子炉用? ―米専門家が警告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48] 뉴스 北朝鮮、弾道ミサイル実験中止と北部の核実験場廃棄決定 朝鮮中央通信報道 https://www.sankei.c[...] 2018-04-21
[249] 웹사이트 【非核化分析】核実験場廃棄宣言した北...非核化 - 平和協定」ビッグディール」切迫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null
[250] 웹사이트 北「核の兵器化実現」強調、核放棄には触れず http://premium.yomiu[...] premium.yomiuri.co.jp null
[251] 웹사이트 北朝鮮「核実験中止」宣言、実験場は既に崩壊・汚染で使用不可 https://headlines.ya[...] 朝鮮日報 2018-04-22
[252] 웹사이트 headlines.yahoo.co.jp https://headlines.ya[...] 米紙「古い戦術の焼き直し」 北朝鮮の核実験中止 null
[253] 웹사이트 金寛容の軍界一学]豊渓里核実験場、すでに寿命 試みた... 交渉力の高さは北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null
[254] 웹사이트 北朝鮮「核実験中止」宣言、実験場は既に崩壊・汚染で使用不可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255] 웹사이트 北朝鮮バス事故で中国政府がネットの書き込みを一斉削除した理由。中国の国策への悪影響を懸念か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56] 웹사이트 米議会も対北圧力強化、「北朝鮮人権法」5年延長 http://japanese.dong[...] japanese.donga.com null
[257] 웹사이트 NATOの事務総長「北具体変化するまで圧迫・制裁継続しなければならない http://www.yonhapnew[...] www.yonhapnews.co.kr null
[258] 웹사이트 【社説】非核化より経済協力の話が目立った南北首脳会談 https://archive.is/O[...] archive.is null
[259]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板門店宣言、韓国の専門家はどう見たか https://archive.is/w[...] archive.is null
[260]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金正恩が出ているテレビはとても見られない」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261] 웹사이트 板門店宣言 ポンペオ「北朝鮮の新しい約束かどうかを綿密に検討」 http://news.naver.co[...] news.naver.com null
[262] 웹사이트 北が変わった?WP-NYT、北朝鮮の核懐疑、なぜ?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null
[263] 웹사이트 開城工業団地の背後に汝矣島1.5倍。北の食糧自給助ける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null
[264] 웹사이트 v.media.daum.net http://v.media.daum.[...] 文大統領「平和協定の締結時、在韓米軍駐留を正当化困難」 null
[265] 웹사이트 完全→永久核廃棄... 米、非核化の目標変更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null
[266] 웹사이트 韓国船籍のタンカーが“瀬取り”関与の疑い https://web.archive.[...] www3.nhk.or.jp null
[267] 웹사이트 キム・ジョンウン - トランプ、現在の形勢は.. "水面下でデッドロック信号"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null
[268] 웹사이트 韓国の脱北者団体 あす北朝鮮向けビラ散布=警察が制止へ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269] 웹사이트 北朝鮮非難の“ビラ散布”警察が阻止 韓国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70] 웹사이트 韓国警察、北朝鮮批判ビラの散布を制止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71] 웹사이트 北朝鮮非難ビラ散布を警察が阻止、「南南対立」浮き彫りに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null
[272] 웹사이트 現在の形勢は.. "水面下でデッドロック信号" http://v.media.daum.[...] v.media.daum.net null
[273] 웹사이트 トランプ大統領:北朝鮮の態度急変、中国が誘発か-米朝会談控え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74] 웹사이트 ZTE、中国でのスマホ販売が事実上停止、米政府制裁で https://nikkei.com/a[...] nikkei.com null
[275] 웹사이트 質疑削除が波紋 https://web.archive.[...] www.mediawatch.kr null
[276] 웹사이트 The highly anticipated meeting https://twitter.com/[...] Donald Trump Twitter null
[277] 뉴스 米朝首脳会談、シンガポールで開催 6月12日 トランプ氏が発表 https://www.nikkei.c[...] 2018-05-10
[278] 웹사이트 事前通告なしの北ミサイル実験「今後行わない」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79] 웹사이트 米朝首脳会談の開催日程 北朝鮮国営メディアは一切伝えず https://web.archive.[...] www3.nhk.or.jp null
[280] 웹사이트 「北朝鮮、美人女子大生動員して中国食堂で外貨稼ぎ」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null
[281] 웹사이트 元駐英北朝鮮公使の太永浩氏「北の完全な核放棄の可能性はない」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12-11
[282] 웹사이트 ボルトン米補佐官「北朝鮮の核、全て米国に運搬して廃棄」 http://www.chosunonl[...] www.chosunonline.com 2019-12-11
[283] 웹사이트 「人間ゴミ」…北朝鮮がテ・ヨンホ元公使を猛非難した理由は?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84] 웹사이트 マックスサンダー https://www.jiji.com[...] www.jiji.com 2019-12-11
[285] 웹사이트 北「会談開こう」の提案。15時間後に「停止」一方的通告... 韓国政府「困った」 http://news.naver.co[...] news.naver.com 2019-12-11
[286] 웹사이트 北朝鮮「無知無能な集団」韓国をののしる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87] 웹사이트 米側「会談したくないならそれで構わない」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88] 웹사이트 米報道官「会談望まないなら我々は最大限の圧力かけ続ける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89] 웹사이트 トランプ大統領:北朝鮮の態度急変、中国が誘発か-米朝会談控え https://headlines.ya[...] headlines.yahoo.co.jp 2019-12-11
[290] 뉴스 푸틴 "미국 유럽 MD에 대응조치 불가피" 거듭 경고 연합뉴스 2016-06-18
[291] 뉴스 클래퍼 DNI "북한의 핵포기 가망없어…동결도 불가능" 뉴시스 2016-10-26
[292] 뉴스 푸틴의 北 핵보유 옹호 "작은 나라 주권 지키려면…" 뉴스1 2017-06-05
[293] 뉴스 美태평양함대 사령관 "세계, 핵보유국 북한과 살아야 할 수도" 연합뉴스 2017-07-28
[294] 뉴스 "[황규인의 잡학사전] 北核, 히로시마 원폭 ○배 위력…어떻게 계산?" 동아일보 2017-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