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91년은 명나라 홍치 4년, 일본 엔토쿠 3년, 조선 성종 22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포르투갈의 아폰수 데 알부케르크 출생, 잉글랜드의 헨리 8세 출생, 아즈텍의 테노치티틀란 신전 확장 등이 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브르타뉴 전쟁 재개, 그라나다 점령, 오스만-맘루크 전쟁 종식 등의 사건이 있었고, 헨리 8세, 이냐시오 데 로욜라, 자크 카르티에 등이 이 해에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91년 |
---|
2. 연호
- 간지 : 신해
- 일본
- * 엔토쿠 延徳|엔토쿠일본어 3년
- ** 후쿠토쿠 2년
- * 황기 2151년
- 중국
- * 명 : 홍치 4년
- 조선
- * 조선 : 성종 22년
- * 단기 3824년
- 베트남
- * 후 레 왕조 : 홍득 22년
- 불멸기원 : 2033년 ~ 2034년
- 이슬람력 : 896년 ~ 897년
- 유대력 : 5251년 ~ 5252년
3. 기년
4. 사건
- 8월 6일 (연덕 3년 7월 1일) - 일본에서는 아시카가 챠차마루가 계모 엔만인과 동생 쥰도지를 살해하고 호리코시 공방의 자리를 차지했다.
- 음력 8월 - 일본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즈미가 호소카와 마사모토를 오미국의 수호로 임명하고, 음력 8월 27일에는 오미국의 롯카쿠 씨를 공격하기 위해 출진했다.
- 아유타야 왕국(현 태국)에서 라마티보디 2세의 치세가 시작되었다.
- 중국의 인구가 5,623만 8천 명에 달했다.[4]
- 유럽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의 레콩키스타가 막바지에 이르러, 스페인 가톨릭 군주가 그라나다 토후국과 그라나다 조약(11월 25일)을 체결하며 그라나다 전쟁이 사실상 종결되었다. 스페인에서는 라 과르디아의 성스러운 아이 사건과 관련하여 아빌라 외곽에서 아우토다페(11월 16일)가 열려 다수의 유대인과 콘베르소가 처형되기도 했다.
-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브르타뉴의 앤과 결혼(12월 6일)하여 브르타뉴 공국의 프랑스 왕국 통합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1477–88)이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11월 7일) 체결로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 아프리카에서는 가나 지역에 아샨티 제국이 세워졌고,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콩고 왕국의 군주 은징가 아 은쿠우가 세례를 받고 주앙 1세가 되었다(5월 3일).
-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파치족이 북미 남서부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아즈텍의 통치자 아우이소틀은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위칠로포치틀리 신전을 확장했다. 멕시코 지역에는 도미니코 수도회가 처음으로 설립되었다.
- 훗날 지동설을 주장하게 될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폴란드의 크라쿠프 대학교에 입학했다.
4. 1. 동아시아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2. 서아시아
티무르 제국의 후세인 바이카라가 헤라트에서 사망했으며, 바부르가 페르가나 계곡의 통치자가 되었다.4. 3. 유럽
- 1월 2일 - 알랭 1세 드 알브레가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와 물랭 조약을 맺었다.
- 1월 27일 - 포르투갈의 탐험가이자 제독이 될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가 태어났다.
- 3월 - 프랑스와 브르타뉴 공국 간의 프랑스-브르타뉴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 3월 6일 - 훗날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첫 번째 왕비가 되는 아라곤의 캐서린이 아라곤 왕국의 후안과 카스티야 왕국의 이사벨 1세의 딸로 태어났다.
- 3월 19일~3월 20일 - 알랭 1세 드 알브레가 프랑스 편에 서서 낭트 성을 점령했다.
- 4월 23일
- 레콩키스타의 마지막 단계인 그라나다 전쟁에서 그라나다가 가톨릭 군주에 의해 포위되었다.
- 그라나다 포위를 위해 가톨릭 군주가 군사 기지인 산타페를 건설했다.
- 5월 -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사이에 벌어진 오스만-맘루크 전쟁 (1485–1491)이 끝났다.
- 5월 3일 - 콩고 왕국의 군주 은징가 은쿠우(Nzinga a Nkuwu)가 포르투갈 선교사들에게 세례를 받고 주앙 1세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이는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진출 및 영향력 확대 과정의 일부였다.
- 5월 8일 - 프랑스 메츠에서 일식이 관측되었다.
- 6월 27일 - 광녀 전쟁 이후 3년간 수감되었던 오를레앙 공작 루이(훗날 루이 12세)가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에 의해 석방되었다.
- 6월 28일 - 잉글랜드의 헨리 8세 국왕이 태어났다.
- 9월 - 크로아티아 남부에서 벌어진 브르필레 협곡 전투(Battle of Vrpile Gulch)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가 크로아티아 왕국(헝가리 왕국과 동군연합 상태) 군대에게 패배했다.
- 11월 - 잉글랜드 왕위를 주장하는 사칭자 퍼킨 워벡이 아일랜드에 상륙하여 반란을 시작했다.
- 11월 7일 -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와 헝가리 및 보헤미아의 국왕 블라디슬라프 2세가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에 서명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1477–88)을 공식적으로 종결했다.
- 11월 16일 - 스페인 아빌라 외곽에서 열린 아우토다페에서 라 과르디아의 성스러운 아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수의 유대인과 콘베르소가 처형되었다. 이는 당시 스페인 사회의 종교적 불관용과 탄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11월 25일 - 레콩키스타의 일환으로, 가톨릭 군주와 그라나다 토후국 사이에 그라나다 조약이 체결되어 그라나다 전쟁이 사실상 마무리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그라나다는 2개월 후 스페인에 항복하게 된다.
- 12월 6일 -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브르타뉴의 앤과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안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의 이전 약혼을 파기했으며, 브르타뉴 공국은 프랑스 왕국으로 통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12월 21일 - 콜드스트림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스코틀랜드 왕국과 잉글랜드 왕국 사이에 5년간의 평화가 보장되었다.
'''날짜 미상'''
- 이탈리아의 체사레 보르자가 바티칸에서 추기경이 되었다.
- 조지아 왕국에서 알렉산드르 2세가 왕위에 올랐다.
- 포르투갈의 주앙 2세 국왕이 콩고 왕국에 사절단을 파견했다.
- 핀란드에 카야니 시가 설립되었다.
-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군주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가 멜노 조약(1422년 체결)을 승인했다.
- 네덜란드 프리슬란트 지방에서 악천후로 인한 기근 때문에 농민들이 빵과 치즈 반란을 일으켰다.
- 독일 드레스덴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다.
-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된 코미 공화국에서 구리와 은 광맥이 발견되어, 이 지역이 광업 및 야금 중심지로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
- 훗날 지동설을 주장하며 과학 혁명의 문을 연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폴란드의 크라쿠프 대학교에 입학하여 학문 연구를 시작했다.
4. 4. 아프리카
4. 5. 아메리카
5. 탄생
- 1월 30일 -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이탈리아의 귀족 (~1512년)
- 3월 25일 - 마리 달브레: 프랑스의 귀족, 레텔 백작 부인 (~1549년)
- 5월 10일 - 수잔 드 부르봉: 부르봉 여공 (~1521년)
- 6월 28일 - 헨리 8세: 잉글랜드의 국왕 (~1547년)
- 8월 3일 - 율리히-베르크의 마리아: 클레베 공작 요한 3세의 배우자 (~1543년)
- 8월 10일 - 장경왕후: 조선 중종의 제1계비 (~1515년)
- 8월 25일 - 인노첸초 치보: 이탈리아의 추기경 (~1550년)
- 10월 6일 - 생 폴 백작 프랑수아 드 부르봉: 프랑스의 귀족 (~1545년)
- 10월 26일 - 정덕제: 명나라의 제11대 황제 (~1521년)
- 11월 8일 - 테오필로 폴렌고: 이탈리아의 시인 (~1544년)
- 11월 11일 - 마르틴 부처: 독일의 개신교 종교 개혁가 (~1551년)
- 11월 25일 - 이언적: 조선의 성리학자, 정치가 (~1553년)
- 12월 13일 -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 스페인의 신학자, 경제학자 (~1586년)
- 12월 24일 - 이냐시오 데 로욜라: 스페인의 사제, 성인, 예수회 창립자 및 초대 총장 (~1556년)
- 12월 31일 - 자크 카르티에: 프랑스의 탐험가 (~1557년)
'''날짜 미상'''
- 라푸라푸: 필리핀 막탄 섬의 영주 (~1542년)
- 아자이 스케마사: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오미 국의 다이묘 (~1546년)
- 이사벨라 로사: 스페인의 학자 (~1564년)
- 하타케야마 요시후사: 일본 노토 국의 센고쿠 다이묘 (~1545년)
'''추정'''
6. 사망
- 1월 19일 – 메클렌부르크 공작부인 브란덴부르크의 도로테아 (1420년 출생)
- 1월 21일 - 하타케야마 요시나리,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1437년? 출생)
- 2월 9일 (추정) – 안토니아 디 파올로 디 도노, 이탈리아 화가이자 파올로 디 도노의 딸
- 2월 15일 – 아시카가 요시미,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동생,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1439년 출생)
- 2월 19일 – 동프리지아 백작 엔노 1세 (1460년 출생)
- 3월 6일 – 리처드 우드빌, 리버스 백작
- 3월 6일 - 아사쿠라 쓰네카게,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1438년 출생)
- 3월 31일 – 보나벤투라 토르니엘리,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사제 (1411년 출생)
- 5월 11일 - 아시카가 마사토모,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초대 호리코시 쿠보 (1435년 출생)
- 5월 14일 – 필리포 스트로치 늙은이, 이탈리아 은행가 (1428년 출생)
- 7월 13일 – 아폰수, 포르투갈 왕자 (1475년 출생)
- 7월 16일 – 윌리엄 허버트, 펨브로크 백작 (1451년 출생)
- 8월 6일 - 아시카가 준도지,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출생년도 미상)
- 8월 7일 - 자크 바르비뢰, 남네덜란드 출신 르네상스 음악 작곡가 (1455년 출생)
- 9월 23일 - 시마즈 타다카도,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호슈 가문 제2대 당주 (1440년 출생)
- 10월 5일 – 장 발루, 프랑스 추기경이자 정치가 (1421년경 출생)
- 10월 12일 – 프리츠 헤를렌, 독일의 화가 (1449년 출생)
- 10월 27일 - 오다 히로치카, 무로마치 시대 및 센고쿠 시대의 무장 (출생년도 미상)
- 11월 16일 – 라 과르디아의 성스러운 아이, 스페인 민속 성인 (출생년도 미상)
- 12월 28일 – 베르톨도 디 조반니, 이탈리아 조각가 (1435년경 출생)
- 날짜 불명 – 퐁트브로 수도원장 오를레앙의 안 (1464년 출생)
- 날짜 불명 – 무사 이븐 아비 알-가산, 그라나다 기사
- 날짜 불명 - 인타라차 2세, 아유타야 왕조의 왕 (출생년도 미상)
- 날짜 불명 -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 이탈리아 피렌체파의 화가 (1417년 출생)
참조
[1]
서적
Journal de Jehan Aubrion, bourgeois de Metz
https://books.google[...]
F. Blanc
[2]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3]
서적
The Valois: Kings of France, 1328-1589
https://books.google[...]
Hambledon and London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Henry VIII Biography, Wives,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4-10
[6]
서적
The Hero and the Historians: Historiography and the Uses of Jacques Cartier
https://books.google[...]
UB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