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8년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48년 혁명은 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일련의 혁명적 사건들을 통칭하며,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등의 사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프랑스 2월 혁명을 시작으로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나,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혁명은 봉건제 폐지, 농노 해방 등 일부 사회 개혁을 이끌었으며,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사상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혁명의 실패는 반동 세력의 강화와 망명, 탄압으로 이어졌지만, 이후 유럽 사회의 정치, 경제적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근대사 - 사국 동맹
- 유럽의 근대사 - 소협상
소협상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가 헝가리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 결성한 동맹으로, 합스부르크 왕가의 복귀를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나 독일의 부상으로 약화되어 해체되었다. - 혁명의 물결 - 아랍의 봄
2010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된 아랍의 봄은 사회경제적 불만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여러 국가에서 정권 붕괴를 야기했으나 진압되거나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혁명의 물결 - 1989년 혁명
1989년 혁명은 1980년대 말 동유럽에서 일어난 일련의 민주화 운동으로, 공산 정권 붕괴와 민주주의 전환을 가져왔으며, 소련 해체와 냉전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혁명 -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은 1812년 평안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사회 모순, 지역 차별, 과거 제도의 부패, 경제적 어려움 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났으며, 홍경래가 청천강 이북 지역을 장악했으나 진압되어 조선 정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혁명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1848년 혁명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사건 개요 | |
주요 참가자 | 아일랜드 프랑스 독일 연방 헝가리 이탈리아 국가들 덴마크 몰다비아 왈라키아 폴란드 기타 국가 및 지역 |
위치 | 서유럽, 북유럽, 중앙유럽 |
날짜 | 1848년 1월 12일 – 1849년 10월 4일 |
결과 | 일부 국가에서 정치적 변화 발생 사회 및 문화적 변화 발생 |
![]() | |
주요 원인 | |
정치적 원인 | 기존 정치 체제에 대한 불만 민족주의 열망 자유주의 사상 확산 |
사회경제적 원인 | 산업화로 인한 사회 문제 발생 빈부 격차 심화 실업 문제 증가 농업 위기로 인한 기근 발생 |
주요 사건 | |
프랑스 2월 혁명 | 프랑스 2월 혁명 발발 (1848년) |
독일 3월 혁명 | 독일 지역의 자유주의 운동 (1848년) |
오스트리아 혁명 | 오스트리아 제국 내 다양한 민족의 봉기 (1848년) |
헝가리 혁명 | 헝가리의 독립 운동 (1848년) |
이탈리아 혁명 | 이탈리아 통일 운동 (1848년) |
영향 | |
정치적 영향 | 절대주의 쇠퇴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확산 헌법 제정 요구 증가 |
사회적 영향 | 농노제 폐지 노동 운동 성장 사회 개혁 요구 증가 |
문화적 영향 | 낭만주의 문화 발전 정치적 의식 성장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루이 필리프 1세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러요시 코슈트 주세페 마치니 카를 마르크스 |
기타 | |
관련 사건 | 1830년 혁명, 1820년 혁명 |
관련 주제 | 민족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
2. 역사적 배경
1848년 혁명은 19세기 전반기 유럽 사회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급진적인 정치인들은 국가 정부를 재편하고 있었고, 기술 변화는 노동 계급의 삶을 바꾸고 있었다. 대중 언론의 발달은 정치적 인식을 확대했고,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와 같은 새로운 사상들이 등장했다.[9]
특히 1846년의 심각한 흉작은 농민과 도시 빈민층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귀족들은 절대 군주제에 불만을 품었고, 1846년 오스트리아 갈리치아 왕국에서는 폴란드 귀족들의 봉기가 일어났으나 농민들의 반란(갈리치아 학살)으로 진압되었다.[9]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민주 세력의 봉기도 계획되었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중산층과 노동 계급은 모두 개혁을 원했지만, 혁명 참여 양상은 달랐다. 중산층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하층 계급이 혁명의 물리적 기반을 제공했다. 혁명은 도시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독일에서는 "3월 혁명"이 일어나 독일 통일,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그러나 혁명 세력은 분열되었고, 결국 보수 귀족들에 의해 진압되어 많은 자유주의자들이 망명했다.
덴마크에서는 국민자유당이 주도하여 헌법 제정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고, 프레데릭 7세는 이를 수용하여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다. 덴마크는 리그스다그라 불리는 양원 의회와 권력을 공유하는 새로운 헌법을 수락했다.
슐레스비히 공국에서는 범독일주의 정서에 영향을 받은 독일인들이 덴마크의 통합 정책에 반발하여 봉기했다. 베를린 조약(1850년)과 1852년 런던 의정서를 통해 덴마크 국왕의 주권은 재확인되었지만, 슐레스비히와 덴마크의 통합은 금지되었다.
2. 1. 프랑스 2월 혁명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은 유럽 전역에 혁명의 불길을 댕긴 사건이었다. 7월 왕정 하에서 정부는 대은행가나 대상인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신흥 중소 부르주아, 노동자, 농민은 억압받았다. 산업혁명이 진전되면서 이러한 불합리한 지배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7월 혁명으로 선거권이 확대되었지만, 납세액에 따른 제한 선거는 여전하여 노동자와 농민의 불만이 높았다. 이들은 개혁 만찬(campagne des banquets|banquets réformistes영어)이라는 집회를 통해 선거권 확대와 권리 요구를 외쳤지만, 1848년 2월 22일 정부가 이를 해산시키자 분노한 노동자, 농민, 학생들의 시위와 파업이 발생했다.[27] 2월 23일, 총리 프랑수아 기조가 사임했으나, 24일에는 무장 봉기로 번져 결국 국왕 루이-필리프가 런던으로 망명하고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혁명은 프랑스 혁명, 7월 혁명과 달리 부르주아지 중심에서 프롤레타리아 중심으로 전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등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했고, 프랑스 삼색기와 함께 적기도 휘날렸다. 그러나 루이 블랑 등 사회주의자들은 농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다음 해 선거에서 패배했다.
2. 2. 빈 체제 붕괴
프랑스 2월 혁명의 성공은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체제를 무너뜨리고, 독일, 이탈리아 등지에서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을 촉발시켰다.[1]독일에서는 3월 혁명이 일어나 시민 혁명과 함께 국민적 통일 운동이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서남 독일에서 일어났다.[1] 그러나 3월 혁명은 봉건적 체제를 무너뜨리고 근대 민주 정치의 기초를 세우는 데에는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 이는 산업 시민 계급이 노동자 등 혁명 세력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봉건 세력과 타협했기 때문이다.[1]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에서 볼 수 있듯이 통일된 독일 국가를 건설하려는 구상도 보수화된 프로이센 및 오스트리아의 구세력에 의해 거부되었다.[1]
이탈리아에서는 자유주의가 통일 운동으로 활발해졌고, 마치니 등의 청년 이탈리아당이 1848년 11월 로마 공화국을 세웠다.[1] 북이탈리아에서는 사르디니아의 통일 운동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1] 폴란드, 헝가리, 뵈멘, 덴마크에서도 독립 운동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1]
3. 주요 국가별 혁명 전개
1848년 봄, 혁명의 물결이 유럽 전역을 휩쓸면서 전 세계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프랑스에서는 7월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다시 들어섰으며,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 주요 국가들에서는 자유주의 헌법이 도입되었다. 이탈리아와 독일은 통일 국가를 향해 나아가는 듯 보였고,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체코에 자치권을 부여했다.[27]
그러나 이러한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에서는 중산층과 노동 계급 간의 유혈 충돌이 발생했고, 독일에서는 개혁 논의가 결론 없이 이어졌다.[28]
1849년 여름, 혁명 세력은 잇따른 패배를 겪으며 반동 세력에게 권력을 내주었고, 많은 혁명 지도자들이 망명길에 올랐다. 하지만 일부 사회 개혁은 영구적으로 정착되었으며, 이후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의 민족주의자들은 통일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29]
각 국가별 주요 혁명 전개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주요 사건 및 내용 |
---|---|
이탈리아 | |
기타 지역 |
3. 1. 프랑스
7월 왕정하에서 정부를 좌우한 것은 대은행가나 대상인을 중심으로 한 대부르주아였으며, 신흥 중소 부르주아·노동자·농민의 입장은 부당하게 억압받고 있었다. 산업혁명의 진전은 이러한 불합리한 대부르주아의 지배에 대한 신흥 부르주아의 정치적인 불만과 노동자 계급의 사회주의적인 요구가 반(反)정부 운동이라는 귀결점을 만들어냈다. 이렇게 해서 부르주아 공화파와 사회주의의 혼합정권이 실현되었다.[17]농촌 인구 증가는 식량 부족, 토지 압박, 그리고 유럽 내부 및 유럽으로부터, 특히 아메리카로의 이주를 야기했다. 1840년대에는 농민들의 불만이 심해졌다. 1845년과 1846년에 발생한 감자 역병은 북유럽에서 생계 위기를 초래했고, 1847년에는 실레시아에서 영지의 감자 저장량을 약탈하는 사건을 부추겼다. 감자 역병의 영향은 아일랜드 대기근[18]에서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지만, 스코틀랜드 고지대와 유럽 대륙 전체에서 기근과 같은 상황을 초래했다. 라인란트의 호밀 수확량은 이전 수준의 20%에 불과했고, 체코의 감자 수확량은 절반으로 줄었다.[19] 이러한 수확량 감소는 급격한 가격 상승을 동반했다(프랑스와 합스부르크 이탈리아에서는 밀 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했다). 1846년부터 1847년까지 프랑스에서는 400건의 식량 폭동이 발생했다.[20]
1830년 7월 혁명의 결과로 탄생한 7월 왕정에서는 선거권 확대가 이루어졌지만, 납세액에 따른 제한 선거 자체는 유지되어 선거권이 없는 노동자·농민 계층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불만의 돌파구는 개혁 만찬(선거권 확대와 노동자·농민의 여러 권리를 요구하는 정치 집회였지만, 만찬이라는 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공화파의 알렉상드르 르드뤼롤랭이 릴에서 추진한 것이 유명함)을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되었지만, 1848년 2월 22일 정부가 개혁 만찬에 대해 해산 명령을 내리자, 이에 분개한 노동자·농민·학생들의 시위와 파업이 발생했다. 다음 날인 23일에는 총리 프랑수아 기조가 사임하여 사태 진정을 시도했지만, 24일에는 무장 봉기로 발전하여 결국 국왕 루이-필리프가 퇴위하고 런던으로 망명하였고, 같은 날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혁명 성공의 영향은 컸고, 혁명은 프랑스에 국한되지 않고 유럽 각지로 파급되어 빈 체제의 붕괴로 이어졌다. 이후 프랑스에서는 7월 왕정이 폐지되고, 1848년 헌법 제정과 함께 제2공화국으로 이행했다. 11월에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1852년에 제2제정을 시작한다.
이 혁명은 그 이전의 프랑스 혁명이나 7월 혁명과 달리, 부르주아지 중심의 시민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혁명으로 전환되었다. 이 혁명에는 초창기부터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했으며(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루이-오귀스트 블랑키 등이 유명함), 프랑스 삼색기에 섞여 적기도 휘둘러졌다. 이 시대의 사회주의에 대한 기대감의 고조를 엿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루이 블랑 등 이 혁명에 참여했던 사회주의자들이 임시 정부에서 유효한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것이 명확해지자, 그들은 농민들의 지지를 잃고 이듬해 4월 선거에서 낙선했다. 이는 농민들이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거쳐 간신히 얻은 토지를 사회주의파에게 "평등"이라는 명목으로 빼앗길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3. 2. 독일
독일에서는 3월 혁명이 일어나 시민혁명과 병행하여 국민적 통일 운동이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서남 독일에서 전개되었다.[23] 그러나 3월 혁명은 봉건적 체제를 타파하고 근대 민주 정치의 기초를 구축하는 데는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는 산업 시민 계급이 노동자 등 혁명 세력에 대한 두려움으로 봉건 세력과 타협했기 때문이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에서 볼 수 있듯이, 통일 독일 국가 건설 구상은 보수화된 프로이센 및 오스트리아의 구세력에 의해 거부되었다.[24]오스트리아와 함께 독일의 강국이었던 프로이센 왕국에서는 빈 3월 혁명의 영향으로 1848년 3월 18일 베를린에서 군대와 시민 간의 대규모 충돌이 발생했다.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연합주의회 소집, 출판의 자유, 헌법 제정을 인정하고, 캄프하우젠의 자유주의 내각을 구성했다(베를린 3월 혁명). 그러나 국왕은 처음부터 자유주의에 부정적이었고, 6월 14일 베를린 병기고 습격의 책임을 지고 캄프하우젠이 사임한 후, 11월 2일에 브란덴부르크 반동 내각을 구성하고, 11월 14일에 브랑겔 군에 프로이센 국민의회를 해산시켰다. 12월 5일에는 국왕 대권을 유지하는 프로이센 왕국 헌법(흠정헌법)을 공포하고, 1849년 5월 30일에는 보수파에 유리한 3계급 선거법을 제정했다.
이러한 가운데, 1848년 5월 18일 독일 통일과 독일 헌법 제정을 목표로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가 소집되었다. 국민의회는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의 대립이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등의 난제에 직면하면서도, 1849년 3월 28일 소독일주의와 세습 입헌 군주제를 기조로 하는 파울루스 교회 헌법을 제정하고,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를 "독일 제국" 황제로 추대했다. 하지만 국왕은 하층으로부터의 통일을 싫어하여 황제의 자리를 거부했고, 국민의회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이후 국민의회는 반혁명 세력의 탄압으로 해산되었다.
이에 대해 독일 헌법 전쟁이라고 불리는 투쟁이 독일 전역에서 일어났지만(드레스덴에서는 미하일 바쿠닌과 리하르트 바그너가 활약했다), 결국 진압되었고, 독일에서의 혁명은 종지부를 찍었다. 다만,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에서 제시된 소독일주의는 1871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한 독일 통일에 일정한 틀을 마련했다.
3. 3. 오스트리아 제국
신성 로마 제국 붕괴 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재상 메테르니히가 1815년 이래의 빈 체제 유지를 위해 노력하며 유럽 각국의 민족주의, 자유주의 운동을 탄압했다. 오스트리아는 1840년 이래의 불황과 무역 적자, 1847년부터의 기근으로 인한 농촌의 위기, 과도한 군사 지출로 국가 재정이 압박을 받았지만, 프랑스 2월 혁명의 배경 중 하나인 금융 공황이 빈에도 미쳐 메테르니히 체제는 동요했다.프랑스 2월 혁명의 성공 소식이 전해진 영향도 있어 궁정에는 잇따라 탄원이 제출되었지만, 그 내용은 통상의 자유, 출판의 자유, 언론의 자유 등 비교적 완화된 자유주의적 개혁 요구가 중심이었다. 학생 등 급진파는 신분제 의회에 탄원을 제출하여 1848년 3월 13일 심의에 부쳐지게 되었다. 그러나 같은 날 학생 일부가 의사당에 몰려들어 메테르니히의 사퇴와 헌법 제정을 요구하며 빈 시내에 폭동이 확대되었다. 궁정 내에서도 예전부터 메테르니히를 비판해 온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숙부 요한 대공 등이 메테르니히의 사임을 요구하게 되고, 메테르니히는 사임하여 런던으로 망명했다 (빈 3월 혁명).[41] 메테르니히를 축출한 궁정이었지만, 오랫동안 의지해 온 통치자를 갑자기 잃은 탓에 유능한 지도자를 잃고 권력 공백이 생겼다.
1848년 4월 25일에는 벨기에 헌법을 본보기로 한 필러스도르프 헌법이 발표되었다. 이 헌법은 이원제와 납세액에 따른 제한 선거이자 간접 선거를 규정한 것이었고, 민중은 이 헌법에 불복하여 5월 15일에 폭동을 일으켰다.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5월 16일에 일원제와 보통 선거에 기반한 헌법 제정 의회 개최를 약속했지만, 황실은 위험을 느껴 5월 17일에 티롤의 인스브루크로 피신했다. 빈에서 황제가 부재한 상태는 8월까지 계속되었다.
이 사이, 빈디슈그레츠군이 6월 12일의 프라하 성령강림절 봉기를 진압하고,[23] 라데츠키군이 7월 25일의 쿠스토차 전투에서 사르데냐-피에몬테 군을 격파하자 반혁명이 되살아나 헝가리와 빈의 혁명 진압이 시도되었다. 9월, 궁정의 의뢰를 받은 옐라치치군이 헝가리에 군대를 진격시켰지만, 9월 말의 파코즈드 전투에서 패배했다. 10월 6일, 빈에서 헝가리로 출동 명령을 받은 부대가 반란을 일으켜 빈 10월 봉기가 시작되고, 한때 돌아왔던 황실은 다시 도피해야 했다. 10월 말, 헝가리에 패퇴한 옐라치치군을 수용한 빈디슈그레츠군은 빈까지 진군해 온 헝가리를 격파하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 끝에 빈을 제압했다.
11월 21일 빈디슈그레츠의 처남 슈바르첸베르크가 총리에 취임하고, 12월 2일에 황제 페르디난트 1세가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퇴위한 후, 1849년 3월 4일에 중앙 집권적인 칙령 3월 헌법이 제정되어 3월 7일에 헌법 제정 의회가 해산되었지만, 1850년 11월 29일의 올뮈츠 협정에 의한 독일 연방의 부활, 1851년 12월 31일의 헌법 폐지에 따라 오스트리아는 완전히 구체제로 복귀했다 (신절대주의).
3. 4. 이탈리아
빈 체제하의 이탈리아는 남부에 두 시칠리아 왕국(스페인 부르봉 왕가), 중부에 교황 국가, 북부에 토스카나 대공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루카 공국(스페인 부르봉 왕가), 파르마 공국(스페인 부르봉 왕가), 모데나 공국(오스트리아 에스테 가문),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롬바르디아-베네토 왕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으로 분할 통치되고 있었다. 복고 체제에 대한 불만은 1821년 카르보나리의 봉기, 1831년 주세페 마치니의 청년 이탈리아 결성 등으로 나타났다.1848년 1월,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서 폭동이 일어나 두 시칠리아 왕국으로부터의 분리 독립과 헌법 제정이 요구되었다(시칠리아 혁명). 이 혁명은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3월에는 오스트리아의 지배하에 있던 롬바르디아와 베네토의 민중이 반란을 일으켜 현지 요제프 라데츠키 지휘하의 오스트리아군을 축출하고(밀라노의 5일간, 다니엘레 마닌의 베네토 공화국 건국), 사르데냐-피에몬테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에게 개입을 요청했다.
카를로 알베르토는 요청을 받아들여 3월 23일에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사르데냐-피에몬테에 원군을 보냈던 교황 국가와 두 시칠리아 왕국이 전선에서 이탈하여 철수했고, 이후 본국으로부터의 원군을 받아 전력을 재정비한 오스트리아군이 7월 25일 쿠스토차 전투에서 사르데냐-피에몬테군을 격파하자, 두 나라는 8월 9일에 휴전했다. 휴전 후 혁명은 급진화되어, 1849년 2월에는 교황 국가에서 마치니의 로마 공화국 건국, 토스카나 혁명이 격화됨에 따라 사르데냐-피에몬테는 오스트리아에 대한 전쟁을 재개했지만, 3월 23일 노바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카를로 알베르토가 퇴위하는 결과가 되었다. 남은 로마 공화국은 프랑스의 군사 개입으로 6월 말에 붕괴되었고, 베네토 공화국도 8월 말에 오스트리아에 항복하여 이탈리아의 혁명은 진압되었다.
이탈리아 전역에 복고 체제가 부활하는 가운데, 사르데냐-피에몬테는 새로운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입헌 군주제를 유지하면서 이후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탈리아에서의 혁명은 미수복 이탈리아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달마티아의 이탈리아인 문학자 니콜로 톰마세오가 베네토 공화국 정부에 참가했고, 이스트리아의 이탈리아인 역사가 카를로 데 프란체스키가 달마티아 이탈리아인의 민족적 각성을 호소했다.
3. 5. 헝가리
1848년 헝가리 혁명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혁명이었으나, 1849년 8월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혁명은 헝가리에서 농노 해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40]1848년 3월 15일, 헝가리 애국자들은 페슈트와 부다(현재 부다페스트)에서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여 황제 총독으로 하여금 12개항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이게 했다. 요구 사항에는 언론의 자유, 부다페스트에 상주하며 인민이 선출한 의회에 책임을 지는 독립적인 헝가리 내각, 국가 친위대, 완전한 시민적 및 종교적 평등, 배심 재판, 국립 은행, 헝가리 군대, 헝가리 내 외국(오스트리아) 군대 철수, 정치범 석방, 트란실바니아와의 통합이 포함되었다. 그날 아침, 산도르 페퇴피의 시 "우리는 헝가리 신을 맹세한다. 우리는 맹세한다. 우리는 다시는 노예가 되지 않겠다"라는 구절이 낭독되었다.[41] 코슈트 러요시와 헝가리 의회를 구성했던 다른 자유주의 귀족들은 대의 정부와 시민의 자유를 요구하며 합스부르크 황실에 호소했다.[42]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의 총리이자 외무장관인 클레멘스 메테르니히가 사임했다.


3월 18일, 페르디난트 1세 황제는 의회의 요구를 승인했다. 헝가리는 황제와의 인적 동군 연합을 통해 군주국에 남아 있었지만, 헌법 정부가 수립되었다. 의회는 법 앞의 평등, 입법부, 세습 헌법 군주제, 토지 사용의 이전 및 제한 종식을 확립하는 4월 법을 통과시켰다.[42]
요시프 옐라치치 크로아티아 총독이 국경을 넘어 합스부르크의 통제권을 회복하려 진군하면서 혁명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으로부터의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다.[43] 코슈트 러요시가 이끄는 새 정부는 처음에는 합스부르크 군대에 대해 성공적이었다. 헝가리는 자유를 위해 전국적으로 단결했지만,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인, 상헝가리의 일부 슬로바키아인 등 헝가리 왕국의 일부 소수 민족은 합스부르크 황제를 지지하고 헝가리 혁명군에 맞서 싸웠다. 결국 1년 반의 전투 끝에,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1세가 30만 명이 넘는 군대로 헝가리에 진군하면서 혁명은 진압되었다.[44] 헝가리는 잔혹한 계엄령 아래 놓였고, 코슈트와 같은 주요 반란군 지도자들은 망명하거나 처형되었다.
장기적으로 볼 때, 혁명 이후의 소극적 저항과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패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1867)으로 이어졌고,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탄생을 의미했다.
3. 6. 기타 지역
- 덴마크에서는 3월 혁명을 통해 헌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독일과의 분쟁 지역이었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에서 독일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켜 제1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이 발발했다. 이는 범게르만주의와 범스칸디나비아주의 간의 충돌이었다.
- 갈리치아에서는 루테니아인들이 농노제 폐지와 같은 자유주의적 개혁을 요구했다.
- 슬로베니아에서는 프란츠 미클로시치 등이 슬로베니아인의 통일 국가를 목표로 하는 "통일 슬로베니아" 정강을 제창했다.
- 스위스에서는 분리 동맹 전쟁 이후 자유주의적인 스위스 연방 헌법이 제정되었다.
- 폴란드에서는 프로이센령 포즈난 대공국에서 비엘코폴스카 봉기가 일어났다.
-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에서는 루마니아인들이 보야르의 봉건적 특권 폐지와 같은 자유주의적 개혁을 요구하며, 두 공국의 통일을 목표로 했다.
- 룩셈부르크에서는 룩셈부르크 제헌 의회에서 자유주의적인 새 헌법이 제정되었다.
- 영국에서는 차티스트 운동과 반곡물법 동맹의 곡물법 폐지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브라질에서는 프라이에이라 혁명이 일어났다.
4. 혁명의 원인
1848년 혁명은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19세기 전반, 유럽 사회는 자유주의 개혁과 급진적인 정치인들에 의해 국가 정부가 재편되고 있었다. 기술 변화는 노동 계급의 삶을 바꾸었고, 대중 언론은 정치적 인식을 확대했으며,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와 같은 새로운 가치와 사상이 등장했다. 특히 1846년의 심각한 흉작은 농민과 도시 빈민층에게 큰 고통을 주었다.[9]
귀족들은 왕권 절대주의에 불만을 품었다. 1846년 오스트리아 갈리치아에서는 폴란드 귀족들의 봉기가 있었으나, 농민들이 맞서 일어섬으로써 진압되었다.[9]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민주 세력의 봉기도 계획되었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중산층과 노동 계급은 개혁에 대한 열망을 공유했지만, 혁명 참여는 달랐다. 추진력은 주로 중산층에서 나왔지만, 실제 행동은 하층 계급이 주도했다. 봉기는 도시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독일에서는 "3월 혁명"이 일어나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벌어졌다. 교육받은 학생과 지식인들이 주도한 이 혁명은 독일 통일,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를 요구했다.[36] 비록 조직은 부족했지만, 독일 연방의 독재 정치 구조를 거부한다는 공통점을 가졌다. 결국 보수 귀족들이 혁명을 진압하면서 많은 자유주의자들이 망명했다.[37]
덴마크에서는 국민자유당이 이끄는 헌정 군주제 요구 시위가 일어났다. 프레데릭 7세는 이를 수용, 국민자유당 지도자들을 포함한 새 내각을 구성했다.[38] 국민자유주의 운동은 절대주의를 폐지하고자 했지만,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는 유지하려 했다. 새 헌법은 리그스다그라는 양원 의회와 권력을 공유하도록 했다. 그러나 슐레스비히에는 적용되지 않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는 미해결 상태로 남았다.
슐레스비히 공국에서는 범독일주의 정서에 영향을 받은 독일인들이 덴마크의 통합 정책에 반발하여 봉기했다. 여러 독일 국가들이 군대를 파병했지만, 1849년 덴마크가 승리하여 베를린 조약과 1852년 런던 의정서가 체결되었다. 이 조약들은 덴마크 국왕의 주권을 재확인했지만, 덴마크와의 통합은 금지했다.
4. 1. 사회경제적 요인
1848년 혁명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하나의 통일된 흐름으로 보기 어렵다. 19세기 전반 유럽 사회는 자유주의 개혁, 급진적인 정치인들에 의한 국가 정부 재편, 기술 변화로 인한 노동 계급의 삶의 변화, 대중 언론에 의한 정치적 인식 확대,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와 같은 새로운 가치와 사상의 등장 등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산업혁명의 진전은 노동자 계급의 성장과 빈곤, 불평등 심화를 야기했다. 프랑스에서는 7월 왕정 하에서 대부르주아가 정권을 장악했고, 신흥 중소 부르주아, 노동자, 농민은 억압받았다. 이러한 불합리한 지배에 대한 불만은 반정부 운동으로 이어졌다.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의 성과로 1832년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져 산업자본가층의 정치적 입장이 확립되었고, 경제적으로도 자유주의 경제 개혁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1838년부터 1848년까지 차티스트 운동이 전개되며 노동자들의 참정권 요구가 이어졌지만, 1848년에도 실현되지 못했다.
1840년대 중반의 경제 위기와 흉작은 농민과 도시 빈민층의 불만을 더욱 고조시켰다. 특히 1846년의 심각한 흉작은 농민과 도시 빈민층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9] 1846년 오스트리아 갈리치아에서는 폴란드 귀족들의 봉기가 있었으나, 농민들이 귀족들에게 맞서 일어섬으로써 진압되었다.[9]
프랑스 농촌 지역은 인구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이주하게 되었고, 많은 부르주아들은 빈곤한 노동자 계층을 두려워하며 거리를 두었다. 비숙련 노동자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으며, 전통적인 장인들은 산업화로 인해 길드를 잃고 어려움을 겪었다.[10]
무역 자유화와 공장 성장은 장인과 견습공, 도제들 사이의 격차를 심화시켰다.[11] 조나단 스퍼버(Jonathan Sperber)에 따르면 1825년 이후 도시 빈민의 구매력은 급격히 감소했으며, 육류 소비는 정체되거나 감소했다.[11] 1847년 공황으로 도시 실업이 증가했고, 비엔나에서는 1만 명의 공장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었으며, 함부르크의 128개 기업이 파산했다.[12]
독일에서도 상황은 비슷했다. 프로이센의 일부 지역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섬유 산업의 기계화 생산으로 저렴한 의류가 생산되었고, 이는 독일 재봉사들의 수제품을 위협했다.[14]
도시 노동자들은 소득의 절반을 식량에 소비해야 했고, 수확 실패로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실업이 증가했다. 혁명 기간 동안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장이 조직되기도 했다.[15][16]
농촌 인구 증가로 식량 부족, 토지 압박이 심해졌고, 유럽 내부 및 아메리카로의 이주가 증가했다. 1840년대 농민들의 불만은 더욱 커져갔다.[17] 1845년과 1846년의 감자 역병은 북유럽에서 생계 위기를 초래했고,[18] 아일랜드 대기근에서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지만, 스코틀랜드 고지대와 유럽 대륙 전체에서도 기근과 같은 상황을 초래했다. 라인란트의 호밀 수확량은 이전 수준의 20%에 불과했고, 체코의 감자 수확량은 절반으로 줄었다.[19]
이러한 수확량 감소는 급격한 가격 상승을 동반했다. 1846년부터 1847년까지 프랑스에서는 400건의 식량 폭동이 발생했고, 독일의 사회경제적 시위는 1830년부터 1839년까지 28건에서 1840년부터 1847년까지 103건으로 증가했다.[20] 농민들의 불만은 공동 토지 상실, 삼림 규제, 그리고 남아 있는 봉건적 구조 등에 집중되었다.[21]
귀족의 부와 권력은 농토 소유와 농민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와 동일시되었다. 1848년 혁명의 해에 농민들의 불만이 폭발했지만, 도시의 혁명 운동과는 종종 관련이 없었다.[22]
4. 2. 정치적 요인
1848년 혁명은 여러 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빈 체제 이후 유럽에는 보수적인 정치 질서가 유지되었는데, 이는 자유주의 및 민족주의 세력에게 큰 불만을 안겨주었다. 특히, 제한적인 선거 제도는 많은 사람들의 정치 참여를 막았다.[9]프랑스 7월 왕정 하에서는 대부르주아 중심의 정치 체제가 유지되면서 신흥 중소 부르주아, 노동자, 농민의 입장은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9] 이러한 불만은 결국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이어졌다.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 집회의 자유와 같은 기본적인 자유가 억압되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졌다.[23] 각국 정부는 이러한 요구를 억압했지만, 오히려 혁명의 불길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독일 연방의 여러 국가에서는 독일 통일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학생과 지식인들이 주도한 시위에서는 언론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역시 중요한 요구 사항이었다.[36],[37]
덴마크에서는 국민자유당이 중심이 되어 입헌 군주제 수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프레데릭 7세는 결국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여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다.[38]
이처럼 1848년 혁명은 자유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 유럽 전역에서 분출된 사건이었다.
4. 3. 사상적 요인
1848년 혁명은 19세기 전반 유럽 사회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발생했다.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급진적인 정치인들은 국가 정부를 재편하고 있었고, 기술 변화는 노동 계급의 삶을 혁신하고 있었다. 대중 언론의 발달은 정치적 인식을 확대했고,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와 같은 새로운 가치와 사상이 등장했다.[23]이러한 사상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민주주의''': 1840년대의 용어로 '민주주의'는 자산 소유자 선거권을 가진 선거인단을 보편적 남성 선거권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했다.
- '''자유주의''': '자유주의'는 근본적으로 통치자의 동의, 교회와 주권 국가 권력의 제한, 공화주의, 언론의 자유, 그리고 개인의 자유를 의미했다.
-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공통의 언어, 문화, 종교, 공유된 역사, 그리고 물론 즉각적인 지리로 묶인 사람들을 통합하는 것을 믿었다. 1848년 이전 시기에는 독일과 이탈리아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했다.
- '''사회주의''': 1840년대의 '사회주의'는 합의된 정의가 없는 용어였으며, 사람에 따라 의미가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노동자 소유의 생산 수단에 기반한 시스템에서 노동자의 권한 강화라는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개념들은 정치 용어인 급진주의에 통합되었다.[26]
1840년대에는 독일의 ''라인 신문''(1842), 프랑스의 ''Le National''과 ''라 레폼''(1843), 오스트리아의 이그나츠 쿠란다(Ignaz Kuranda)의 ''그렌츠보텐''(1841), 헝가리의 라요시 코슈트(Lajos Kossuth)의 ''Pesti Hírlap''(1841), 그리고 노르웨이의 ''모르겐블라데트''와 스웨덴의 ''아프톤블라데트'' 등의 언론이 이러한 사상들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4]
이러한 사상적 배경 하에, 중산층과 노동 계급은 개혁에 대한 열망을 공유했고, 많은 구체적인 목표에 동의했다. 그러나 혁명에 대한 그들의 참여는 달랐다. 대부분의 추진력은 중산층에서 비롯되었지만, 운동의 물리적 중추는 하층 계급에서 나왔다.
5. 혁명의 영향과 유산
1848년 헝가리 혁명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혁명으로, 1849년 8월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농노 해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40] 헝가리 애국자들은 페슈트와 부다에서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여 12개항의 요구 사항을 관철시켰다. 여기에는 언론의 자유, 독립적인 헝가리 내각, 시민적 및 종교적 평등, 국립 은행, 헝가리 군대, 외국 군대 철수, 정치범 석방, 트란실바니아와의 통합 등이 포함되었다.[41] 라요시 코슈트와 자유주의 귀족들은 대의 정부와 시민의 자유를 요구하며 합스부르크 황실에 호소했고,[42] 이는 오스트리아 총리 클레멘스 메테르니히의 사임으로 이어졌다. 헝가리는 인적 동군 연합을 통해 군주국에 남아 있었지만, 4월 법을 통해 법 앞의 평등, 입법부, 세습 헌법 군주제, 토지 사용 제한 종식 등을 확립했다.[42]
크로아티아 총독 요시프 옐라치치가 합스부르크의 통제권을 회복하기 위해 진군하면서 혁명은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다.[43] 라요시 코슈트가 이끄는 정부는 처음에는 성공적이었으나, 헝가리 왕국의 일부 소수 민족은 합스부르크 황제를 지지하며 헝가리 혁명군에 맞서 싸웠다. 결국 러시아 차르 니콜라스 1세가 30만 명이 넘는 군대로 헝가리에 진군하면서 혁명은 진압되었다.[44] 헝가리는 계엄령 아래 놓였고, 주요 반란군 지도자들은 망명하거나 처형되었다. 장기적으로 혁명 이후의 소극적 저항과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패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1867)으로 이어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탄생했다.
갈리치아에서는 우크라이나 민족 운동이 일어났다. 1848년 4월, 그리스 가톨릭 성직자들이 이끄는 대표단은 오스트리아 황제에게 학교에서 우크라이나어를 가르치고, 지역 관리들이 우크라이나어를 이해해야 하며, 루테니아 성직자들이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청원서를 제출했다.[45] 1848년 5월에는 최고 루테니아 의회가 설립되어 갈리치아를 서부(폴란드)와 동부(루테니아/우크라이나)로 행정적으로 분할하고, 정치적 자치권을 가진 별도의 지역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6]
역사가 프리실라 로버트슨은 1848년 혁명가들이 싸운 것들의 대부분이 25년 안에 이루어졌지만, 그 공은 혁명가들의 적들에게 돌아갔다고 주장한다.[65] 자유민주주의자들은 1848년을 자유, 평등, 박애를 보장한 민주혁명으로, 민족주의자들은 민족들이 낡은 제국을 거부했던 희망의 봄으로 여겼다. 공산주의자들은 노동계급 이상의 배신으로 규탄했다.[66] 부르주아 혁명으로 보는 관점은 비마르크스주의 학계에서도 일반적이다.[67][68][69] 중산층의 불안[70]과 혁명가들 사이의 다른 접근 방식은 혁명의 실패로 이어졌다.[71]
1848년 혁명 이후 10년 동안 눈에 띄게 변한 것은 거의 없었지만, 크리스토퍼 클라크는 이 시대를 정부의 혁명이 지배하는 시대로 묘사했다. 칼 마르크스는 혁명의 부르주아적 성격에 실망감을 표하고, 영구 혁명 이론을 상세히 설명했다.[78][79] 프로이센 총리 오토 폰 만테우펠은 국가가 더 이상 귀족의 토지 소유지처럼 운영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 1848년 혁명 이후 중도주의 연합이 등장했는데, 카밀로 벤소, 카부르 백작 하의 피에몬테 ''Connubio''에서 볼 수 있듯이 자유주의자들이 노동 계급 사회주의의 위협에 신경을 썼다.[80][81][82]
1848년 이후 정부는 대중권과 민중권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했고,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랑스에서 중앙언론기관의 중요성이 높아졌다.[83] 합스부르크 지역에서는 봉건제가 제거되어 농민들의 삶이 개선되었고, 유럽 중산층은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얻었다. 프랑스는 보통 남성 선거권을 유지했고, 러시아는 1861년 2월 19일에 농노들을 해방시켰다. 합스부르크 왕가는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에서 헝가리에 더 많은 자결권을 부여했다. 혁명은 덴마크와 네덜란드에서도 지속적인 개혁에 영감을 주었다.
약 4,000명의 망명자들이 반동적인 숙청을 피해 미국으로 갔고, 그중 100명은 텍사스 힐 컨트리로 가서 독일계 텍사스인이 되었다.[85] 많은 혁명가들이 신세계나 더 자유로운 유럽 국가들로 망명 생활을 했는데, 이들은 48년 혁명가로 알려졌다.
5. 1. 단기적 영향
1848년 혁명은 유럽 전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지만, 대부분 단기적으로 실패했다. 많은 곳에서 보수 세력이 다시 권력을 잡았고, 혁명 주도 세력들은 망명하거나 탄압받았다. 프랑스에서는 중산층 개혁가와 노동계급 급진주의자들 사이에 피비린내 나는 거리 싸움이 벌어졌고, 독일에서는 개혁가들 간의 끝없는 논쟁으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28]그러나 혁명의 결과로 일부 사회 개혁은 영구적으로 자리 잡았다.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서는 1850년까지 봉건제가 폐지되어 농민들의 삶이 개선되었고,[84] 프랑스는 보통 남성 선거권을 유지했다. 러시아는 1861년에 농노제를 폐지했다.[65] 헝가리는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을 통해 더 많은 자결권을 얻었다.[84]
혁명은 덴마크와 네덜란드에서도 지속적인 개혁에 영감을 주었다. 또한 1848년 혁명은 유대인에 대한 음모론이 발전하면서 현대 반유대주의의 전환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84]
혁명의 실패로 많은 혁명가들이 고국을 떠나 망명 생활을 했다. 특히 독일과 오스트리아 제국 출신의 많은 혁명가들이 미국 등지로 이주했는데, 이들은 '48년 혁명가'로 알려졌다.[85]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은 "우리는 패배하고 굴욕을 당했으며…흩어지고, 투옥되고, 무장해제되고, 입이 막혔습니다. 유럽 민주주의의 운명은 우리 손에서 놓쳐버렸습니다."라고 혁명의 실패를 한탄했다.[64]
5. 2. 장기적 영향
1848년 혁명은 유럽 각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2월 혁명을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자유주의, 민주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었다.[27]프랑스에서는 7월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되었으나, 중산층과 노동자 계급 간의 갈등으로 인해 피비린내 나는 거리 싸움이 벌어졌다.[28] 영국에서는 차티스트 운동이 실패했지만, 의회 정치의 점진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독일에서는 3월 혁명을 통해 시민 혁명과 통일 운동이 전개되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인해 실패했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통일 국가 건설 구상도 좌절되었다.[29] 이탈리아에서는 청년 이탈리아당이 로마 공화국을 건설하고, 사르데니아 왕국이 통일 운동을 주도했으나, 오스트리아의 개입으로 실패했다.[30][31][32]
헝가리에서는 라요시 코슈트를 중심으로 독립 혁명이 일어났으나, 러시아 군대의 개입으로 진압되었다. 그러나 농노 해방 등 일부 사회 개혁은 이루어졌다.[40] 오스트리아 제국 내 여러 민족들도 자치와 독립을 요구하며 봉기했지만, 결국 실패했다.[45][46]
1848년 혁명은 단기적으로는 실패했지만, 장기적으로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이념이 확산되었고, 이는 이후 독일과 이탈리아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의 성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64][65][66]
일부 역사가들은 1848년 혁명이 실패했다고 평가하지만, 다른 역사가들은 혁명 이후 정부 운영 방식의 변화와 장기적인 사회 개혁에 주목한다. 칼 마르크스는 혁명의 부르주아적 성격에 실망했지만, 영구 혁명 이론을 제시했다.[78][79]
혁명 이후, 각국 정부는 대중 통제를 강화하고 탄압과 검열을 강화했다.[72][73][74] 그러나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서는 봉건제가 폐지되었고, 프랑스에서는 보통 남성 선거권이 유지되었다. 러시아는 1861년에 농노 해방을 단행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67년 타협을 통해 헝가리에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했다.[84]
많은 혁명가들이 탄압을 피해 미국 등지로 망명했으며, 이들은 48년 혁명가로 알려졌다.[85]
5. 3.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1848년 혁명은 조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이 시기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진출을 가속화시켰다는 점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1848년 혁명은 유럽 전역에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확산시켰고, 이는 이후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주어 개화 사상과 독립 운동의 발전에 기여했다.참조
[1]
서적
1848: Year of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From the French Revolution to the Present
[3]
웹사이트
The Revolutions of 1848: A Wave of Anti-Monarchism Sweeps Europe
https://www.thecolle[...]
2024-03-01
[4]
웹사이트
Revolutions of 1848 Causes, Summary, & Significanc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10
[5]
서적
The Revolutions of 1848–1849 in Italy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23-11-19
[6]
서적
The Revolutions in Europe 1848–1849
[7]
간행물
The European subsistence crisis of 1845–1850: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06-08-00
[8]
논문
Middle-class anxiety in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
[9]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New York: W.W. Norton
[11]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1849
[12]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1849
[13]
논문
Economic Crises and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14]
서적
[15]
서적
The Machinery Question and the Making of Political Economy 1815–1848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2-02-04
[16]
서적
Revolutions an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New York: Routledge
[17]
서적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18]
서적
The Irish Famine: An Illustrated History
Wolfhound Press
[19]
서적
Rhineland Radicals: Th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evolution of 1848
[20]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1849
[21]
서적
The Viennese Revolution of 1848
[22]
서적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23]
서적
The Age of Revolution and Reaction, 1789–1850
[24]
서적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25]
서적
The Czech Revolution of 1848
[26]
서적
Radicalism: A Philosophical Study
Palgrave Macmillan
2012
[27]
서적
1848: A Turning Point?
[28]
서적
1848: A Turning Point?
[29]
서적
1848: A Turning Point?
[30]
서적
La primavera dei popoli. La rivoluzione siciliana del 1848
https://www.academia[...]
2023-09-16
[31]
웹사이트
Autonomismo e Unità
https://pti.regione.[...]
2023-09-16
[32]
서적
Italian unification, 1820–71
Heinemann
[33]
서적
Modern Italy: A Politic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34]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Dictators
[35]
서적
Recollections
[36]
서적
1848: The Revolution of the Intellectuals
[37]
서적
Restoration, Revolution, Reaction: Economics and Politics in Germany, 1825–1870
[38]
백과사전
Scandinavia, History of
Encyclopædia Britannica
[39]
서적
den danske revolution 1830–1866
[40]
학술지
1848–1849 in Hungary
http://epa.niif.hu/0[...]
[41]
서적
The Lawful Revolu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The US and the 1848 Hungarian Revolution
http://www.hungaryfo[...]
The Hungarian Initiatives Foundation
2015-03-26
[43]
서적
The Making of the West: Volume C
[44]
학술지
Russia and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45]
서적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Galician Ukrainians, 1848–1914
[46]
서적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Galician Ukrainians, 1848–1914
[47]
서적
Very Civil War: The Swiss Sonderbund War of 1847
[48]
학술지
Poles, Germans and Jews in the Grand Duchy of Poznan in 1848: From coexistence to conflict
[49]
학술지
Le caractère unitaire de la révolution de 1848 dans les pays roumains
[50]
학술지
Unshakeable Foundations
[51]
웹사이트
Belgium in 1848
https://web.archive.[...]
Ohio University
[52]
서적
The King Incorporated: Leopold the Second and the Congo
Granta
[53]
서적
The Great Hunger: Ireland, 1845–1849
Harper and Row
[54]
웹사이트
Serbia's Role in the Conflict in Vojvodina, 1848–49
https://web.archive.[...]
Ohiou.edu
2004-10-25
[55]
학술지
Chartism in 1848: Reflections on a Non-Revolution
[56]
서적
The Struggle for Manx Democracy
Culture Vannin
[57]
서적
Distant Revolutions: 1848 and the Challenge to American Exceptionalism
[58]
서적
Louis-Hippolyte LaFontaine & Robert Baldwin
Penguin Group (Canada)
[59]
서적
Latin America: A Modern History
[60]
서적
El "1849" chileno: Igualitarios, reformistas, radicales, masones y bomberos
http://www.memoriach[...]
Editorial Universitaria
[61]
백과사전
Plan of Ayutla
Encyclopedia of Lat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62]
백과사전
Revolution of Ayutla
Encyclopedia of Mexico
[63]
서적
[64]
서적
The Age of Revolution and Reaction, 1789–1850
[65]
서적
Shock Waves: Eastern Europe After the Revolutions
https://archive.org/[...]
Black Rose Books Ltd.
[66]
서적
The Revolutions in Europe, 1848–1849: From Reform to Re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7]
학술지
[68]
서적
The Absolute Bourgeois: Artists and Politics in France 1848–51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학술지
Hungarian Customary Law Before the Bourgeois Rebellion of 1848
[70]
학술지
[71]
서적
The discrepancy of aims between bourgeois revolutionaries such as Alphonse de Lamartine and A. T. Marie and the radicals, led by Louis Blanc, contributed to the eventual failure of the revolution.
Columbia Encyclopedia
2020
[72]
서적
Fatherlands: State-Building and Nationhood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73]
서적
Friedrich Wilhelm IV and the Prussian Monarchy 1840–1861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74]
서적
Forging a Multinational State: State Making in Imperial Austria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First World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
[75]
서적
Endurance and Endeavour: Russian History, 1812–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6]
서적
The Origins of the Crimean War
Longman
1994
[77]
서적
The French Second Empire: An Anatomy of Political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78]
웹사이트
The Revolutions in Europe, 1848–1849: From Reform to Reaction
https://www.marxis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79]
서적
Intellectuals and Revolution: Socialism and the Experience of 1848
St. Martin's Press
1980
[80]
서적
Capitalism, Politics and Railroads in Prussia 1830–1870
Columbus
1998
[81]
서적
The Short Oxford History of Europe: The Nine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82]
서적
Cavour
Knopf
1985
[83]
서적
[84]
서적
Progress and Its Limits: The Revolution of 1848 and European Jew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85]
웹사이트
Forty-Eighters
[86]
웹사이트
Freedom and Necessity
https://books.google[...]
Tor Books
1997
[87]
간행물
「§〈学習ページ〉 諸国民の春」(第3章 2つの革命・七月革命・国民の王・二月革命)
2018
[88]
간행물
「第2章 ウィーン体制と諸国民の春」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