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베스트 1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 베스트 11은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인 K리그에서 한 시즌 동안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들을 포지션별로 선정하는 상이다. 1983년부터 시작되어 K리그1과 K리그2에서 매년 발표되며, 단순한 인기 투표가 아닌 기량과 성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상자를 결정한다. 신태용은 최다 9회, 조현우는 8회 선정되었으며, 김현석, 신의손, 이흥실, 김주성, 홍명보, 아디우송, 이동국, 홍철, 홍정호, 세징야 등도 여러 차례 이름을 올렸다. K리그 30주년을 기념하여 역대 베스트 11을 선정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 상 - K리그 MVP
K리그 MVP는 K리그 시즌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K리그1, K리그2, R리그와 1986년 프로축구선수권대회의 최우수 선수들을 포함하며 리그 발전과 역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리그 상 - K리그 영플레이어상
K리그 영플레이어상은 한국 프로축구 리그에서 젊은 선수들의 활약을 장려하고 리그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여되는 상으로, 과거 신인선수상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K리그1과 K리그2에서 시상되고 있다.
K리그 베스트 11 | |
---|---|
기본 정보 | |
이름 | K리그 베스트 11 |
다른 이름 | K League Best XI |
종류 | 축구 수상 |
분야 | K리그 |
주최 | 한국프로축구연맹 |
국가 | 대한민국 |
첫 시상 | 1983년 |
최근 시상 | 2023년 |
설명 | |
선정 기준 | 해당 시즌 동안 각 포지션별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 |
선정 방식 | 기자단 투표 |
특징 |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 골키퍼 각 포지션별로 선정 11명의 선수 선정 |
중요성 | K리그에서 가장 권위있는 개인상 중 하나로 여겨짐 |
역사 | |
시작 | 1983년 (K리그 출범과 함께 시작) |
변화 | 초기에는 포지션 구분 없이 11명 선정 현재의 포지션별 선정 방식으로 변경 |
논란 | 선정 결과에 대한 논쟁 발생하기도 함 |
역대 수상자 | |
최다 수상 선수 | 신태용 (5회) |
외국인 최다 수상 선수 | 모따 (4회) |
최다 수상 팀 | 성남 FC |
연속 수상 | 특정 선수가 여러 해 연속으로 수상하는 경우도 있음 |
관련 정보 | |
시상식 | K리그 대상 시상식에서 발표 및 시상 |
미디어 | K리그 베스트 11 발표는 언론의 큰 관심사 |
팬 | 팬 투표는 선정에 반영되지 않음 |
2. K리그1 베스트 11
K리그는 1983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들을 선정하여 K리그 베스트 11을 발표하고 있다. K리그 베스트 11은 단순한 인기투표가 아닌, 한 시즌 동안 각 포지션에서 뛰어난 기량과 성적을 보여준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영예로운 상이다.
초창기에는 한국 선수들 위주로 선정되었으나, 리그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합류하여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브라질 선수들의 기여가 컸으며,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타지키스탄 등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K리그 무대를 빛냈다.
2024년까지 최다 선정 횟수를 기록한 선수는 신태용으로 총 9회 선정되었다. 그는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일화 천마, 천안 일화 천마, 성남 일화 천마에서 활약하며 K리그를 대표하는 미드필더로 이름을 날렸다. 그 뒤를 이어 조현우가 8회 선정되며 대한민국 최고의 골키퍼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조현우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대구 FC와 울산 HD에서 꾸준한 활약을 펼치며 K리그를 대표하는 골키퍼로 인정받고 있다.
김현석과 신의손(사리체프)은 각각 6회씩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김현석은 1990년대 현대 호랑이와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뛰어난 공격력을 선보였으며, 신의손은 일화 천마와 안양 LG 치타스에서 골문을 굳건히 지켰다. 이흥실과 김주성은 각각 5회 선정되었으며, 홍명보 역시 5회 선정의 영광을 안았다.
2000년대 이후에는 아디우송, 이동국 등이 꾸준히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아디우송은 FC 서울의 수비진을 이끌며 5회 선정되었고, 이동국은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5회 선정되며 K리그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활약했다.
최근에는 홍철, 홍정호, 세징야 등이 꾸준히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리며 K리그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세징야는 대구 FC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4회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K리그 베스트 11은 단순히 개인의 영예일 뿐만 아니라, K리그 전체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베스트 11에 선정된 선수들의 활약은 K리그의 인기 상승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다음은 K리그 베스트 11 수상자 목록이다.
```wikitable
2. 1. 역대 수상자
2. 2. 선수별 선정 횟수
김철수 (포항 제철)장외룡 (대우)
이건조 (유공)
|조광래 (대우)
박창선 (할렐루야)
|박윤기 (유공)
이태홍 (포항 제철)
이춘석 (대우)
김용세 (유공)
|-
|-
|style="background:#eeeeee"|1984
|오연교 (유공)
|정용환 (대우)
박경훈 (포항 제철)
박성화 (할렐루야)
정종수 (유공)
|박창선 (할렐루야)
허정무 (현대)
조영증 (럭키금성)
|최순호 (포항 제철)
이태호 (대우)
백종철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85
|김현태 (럭키금성)
|장외룡 (대우)
한문배 (럭키금성)
최강희 (현대)
김철수 (포항 제철)
|박상인 (할렐루야)
이흥실 (현대)
박원서 (럭키금성)
|김용세 (유공)
피아퐁 (럭키금성)
강득수 (럭키금성)
|-
|style="background:#eeeeee"|1986
|김현태 (럭키금성)
|조영증 (럭키금성)
김평석 (현대)
최강희 (현대)
박노봉 (대우)
|조민국 (럭키금성)
이흥실 (포항 제철)
윤성효 (한일은행)
|김용세 (유공)
정해원 (대우)
함현기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87
|김풍주 (대우)
|구상범 (럭키금성)
최기봉 (유공)
정용환 (대우)
박경훈 (포항 제철)
|김삼수 (현대)
노수진 (유공)
이흥실 (포항 제철)
|최상국 (포항 제철)
정해원 (대우)
김주성 (대우)
|-
|style="background:#eeeeee"|1988
|오연교 (현대)
|최강희 (현대)
최태진 (대우)
손형선 (대우)
강태식 (포항 제철)
|최진한 (럭키금성)
김상호 (포항 제철)
황보관 (유공)
|이기근 (포항 제철)
함현기 (현대)
신동철 (유공)
|-
|style="background:#eeeeee"|1989
|차상광 (럭키금성)
|임종헌 (일화)
조윤환 (유공)
최윤겸 (유공)
임영익 (럭키금성)
|이흥실 (포항 제철)
조덕제 (대우)
강재순 (현대)
|윤상철 (럭키금성)
조긍연 (포항 제철)
노수진 (유공)
|-
|style="background:#eeeeee"|1990
|유대순 (유공)
|임종헌 (일화)
최영준 (럭키금성)
최태진 (럭키금성)
이재희 (대우)
|최진한 (럭키금성)
이흥실 (포항 제철)
최대식 (럭키금성)
|윤상철 (럭키금성)
이태호 (대우)
송주석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91
|김풍주 (대우)
|정용환 (대우)
박현용 (대우)
테드 (유공)
|김현석 (현대)
이영진 (LG)
김주성 (대우)
최강희 (현대)
이상윤 (일화)
|이기근 (포항 제철)
고정운 (일화)
|-
|style="background:#eeeeee"|1992
|샤리체프 (일화)
|홍명보 (포항 제철)
이종화 (일화)
박정배 (LG)
|신홍기 (현대)
김현석 (현대)
신태용 (일화)
박태하 (포항 제철)
신동철 (유공)
|박창현 (포항 제철)
임근재 (LG)
|-
|style="background:#eeeeee"|1993
|샤리체프 (일화)
|최영일 (현대)
이종화 (일화)
유동관 (포항 제철)
|김판근 (대우)
신태용 (일화)
김동해 (LG)
이상윤 (일화)
김봉길 (유공)
|차상해 (포항 제철)
윤상철 (LG)
|-
|style="background:#eeeeee"|1994
|샤리체프 (일화)
|안익수 (일화)
유상철 (현대)
홍명보 (포항 제철)
허기태 (유공)
|신태용 (일화)
고정운 (일화)
황보관 (유공)
|윤상철 (LG)
라데 (포항 제철)
김경래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1995
|샤리체프 (일화)
|최영일 (현대)
홍명보 (포항)
허기태 (유공)
|신태용 (일화)
고정운 (일화)
김현석 (울산)
김판근 (LG)
아밀 (대우)
|황선홍 (포항)
노상래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1996
|김병지 (울산)
|윤성효 (수원)
김주성 (부산)
허기태 (부천)
|신태용 (천안)
바데아 (수원)
홍명보 (포항)
하석주 (부산)
김현석 (울산)
|라데 (포항)
세르게이 (부천)
|-
|style="background:#eeeeee"|1997
|신범철 (부산)
|김주성 (부산)
마시엘 (전남)
안익수 (포항)
|김현석 (울산)
신진원 (대전)
김인완 (전남)
이진행 (수원)
정재권 (부산)
|마니치 (부산)
스카첸코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1998
|김병지 (울산)
|안익수 (포항)
마시엘 (전남)
이임생 (부천)
|고종수 (수원)
유상철 (울산)
백신철 (포항)
안정환 (부산)
정정수 (울산)
|김현석 (울산)
사샤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1999
|이운재 (수원)
|강철 (부천)
김주성 (부산)
마시엘 (전남)
신홍기 (수원)
|서정원 (수원)
고종수 (수원)
데니스 (수원)
고정운 (포항)
|안정환 (부산)
사샤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2000
|신의손 (안양)
|강철 (부천)
이임생 (부천)
김현수 (성남)
마시엘 (전남)
|앙드레 (안양)
신태용 (성남)
전경준 (유공)
데니스 (수원)
|최용수 (안양)
김도훈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2001
|신의손 (안양)
|울모브 (부산)
김현수 (성남)
김용희 (성남)
이영표 (안양)
|신태용 (성남)
서정원 (수원)
송종국 (부산)
남기일 (부천)
|우성용 (부산)
산드로 C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2002
|이운재 (수원)
|김현수 (성남)
김태영 (전남)
최진철 (전북)
홍명보 (포항)
|신태용 (성남)
이천수 (울산)
앙드레 (안양)
서정원 (수원)
|김대의 (성남)
유상철 (울산)
|-
|style="background:#eeeeee"|2003
|서동명 (울산)
|최진철 (전북)
김태영 (전남)
김현수 (성남)
산토스 (포항)
|신태용 (성남)
이성남 (성남)
이관우 (대전)
김남일 (전남)
|김도훈 (성남)
마그노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2004
|이운재 (수원)
|산토스 (포항)
유경렬 (울산)
무사 (수원)
곽희주 (수원)
|김동진 (서울)
타바렐리 (포항)
김두현 (수원)
김대의 (수원)
|나드손 (수원)
모따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2005
|김병지 (포항)
|임중용 (인천)
유경렬 (울산)
조용형 (부천)
김영철 (성남)
|이천수 (울산)
이호 (울산)
김두현 (성남)
조원희 (수원)
|박주영 (서울)
마차도 (울산)
|-
|style="background:#eeeeee"|2006
|박호진 (수원)
|장학영 (성남)
마토 (수원)
최진철 (전북)
김영철 (성남)
|김두현 (성남)
이관우 (수원)
백지훈 (수원)
포포 (부산)
|우성용 (성남)
김은중 (서울)
|-
|style="background:#eeeeee"|2007
|김병지 (서울)
|아디 (서울)
마토 (수원)
황재원 (포항)
장학영 (성남)
|타바렐리 (포항)
이관우 (수원)
김기동 (포항)
김두현 (성남)
|카보레 (경남)
이근호 (대구)
|-
|style="background:#eeeeee"|2008
|이운재 (수원)
|아디 (FC 서울)
마토 (수원 삼성 블루윙즈)
박동혁 (울산 HD FC)
최효진 (포항 스틸러스)
|김형범 (전북 현대 모터스)
조원희 (수원 삼성 블루윙즈)
기성용 (FC 서울)
이청용 (FC 서울)
|이근호 (대구 FC)
에두 (수원 삼성 블루윙즈)
|-
|style="background:#eeeeee"|2009
|신화용 (포항 스틸러스)
|김상식 (전북 현대 모터스)
김형일 (포항 스틸러스)
황재원 (포항 스틸러스)
최효진 (포항 스틸러스)
|최태욱 (전북 현대 모터스)
기성용 (FC 서울)
김정우 (성남 FC)
에닝요 (
2. 3. 국적별 현황
K리그 베스트 11은 대한민국 프로축구에서 활약한 선수들 중 뛰어난 기량을 선보인 선수들을 선정하여 발표한다. 여기에는 한국 국적 선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다.초창기 K리그에서는 한국 선수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합류하여 K리그 발전에 기여했다.
아래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된 선수들의 국적별 현황이다.
주요 국적별 선수:
- 대한민국: K리그 베스트 11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한국 축구의 주축을 이룬다. 뛰어난 기량과 투지로 K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 브라질: K리그에 가장 많은 외국인 선수 기여를 했다. 브라질 선수들은 뛰어난 개인기와 기술, 득점력을 바탕으로 K리그 공격을 이끌었다. 특히 세징야는 대구 FC의 핵심 선수로 오랫동안 활약하며 K리그에 큰 족적을 남겼다.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라데 보그다노비치, 라디보예 마니치, 사샤 드라쿨리치와 같은 걸출한 공격수들이 K리그에서 활약하며 득점력을 과시했다.
- 크로아티아: 마토 네레틀랴크, 마테이 요니치는 수비진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K리그 팀들의 수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타지키스탄: 신의손은 K리그 초창기 일화 천마의 골문을 굳건히 지키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K리그에 참여하여 각자의 기량을 뽐내며 K리그의 국제화와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연도별 베스트 11:아래는 1983년부터 2024년까지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된 선수들의 국적별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font-size:100%;"
|-
!연도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
|style="background:#eeeeee"|1983
| 조병득 (할렐루야)
| 박성화 (할렐루야)
김철수 (포항 제철)
장외룡 (대우)
이건조 (유공)
| 조광래 (대우)
박창선 (할렐루야)
| 박윤기 (유공)
이태홍 (포항 제철)
이춘석 (대우)
김용세 (유공)
|-
|-
|style="background:#eeeeee"|1984
| 오연교 (유공)
| 정용환 (대우)
박경훈 (포항 제철)
박성화 (할렐루야)
정종수 (유공)
| 박창선 (할렐루야)
허정무 (현대)
조영증 (럭키금성)
| 최순호 (포항 제철)
이태호 (대우)
백종철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85
| 김현태 (럭키금성)
| 장외룡 (대우)
한문배 (럭키금성)
최강희 (현대)
김철수 (포항 제철)
| 박상인 (할렐루야)
이흥실 (현대)
박원서 (럭키금성)
| 김용세 (유공)
피아퐁 (럭키금성)
강득수 (럭키금성)
|-
|style="background:#eeeeee"|1986
| 김현태 (럭키금성)
| 조영증 (럭키금성)
김평석 (현대)
최강희 (현대)
박노봉 (대우)
| 조민국 (럭키금성)
이흥실 (포항 제철)
윤성효 (한일은행)
| 김용세 (유공)
정해원 (대우)
함현기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87
| 김풍주 (대우)
| 구상범 (럭키금성)
최기봉 (유공)
정용환 (대우)
박경훈 (포항 제철)
| 김삼수 (현대)
노수진 (유공)
이흥실 (포항 제철)
| 최상국 (포항 제철)
정해원 (대우)
김주성 (대우)
|-
|style="background:#eeeeee"|1988
| 오연교 (현대)
| 최강희 (현대)
최태진 (대우)
손형선 (대우)
강태식 (포항 제철)
| 최진한 (럭키금성)
김상호 (포항 제철)
황보관 (유공)
| 이기근 (포항 제철)
함현기 (현대)
신동철 (유공)
|-
|style="background:#eeeeee"|1989
| 차상광 (럭키금성)
| 임종헌 (일화)
조윤환 (유공)
최윤겸 (유공)
임영익 (럭키금성)
| 이흥실 (포항 제철)
조덕제 (대우)
강재순 (현대)
| 윤상철 (럭키금성)
조긍연 (포항 제철)
노수진 (유공)
|-
|style="background:#eeeeee"|1990
|| 유대순 (유공)
| 임종헌 (일화)
최영준 (럭키금성)
최태진 (럭키금성)
이재희 (대우)
| 최진한 (럭키금성)
이흥실 (포항 제철)
최대식 (럭키금성)
| 윤상철 (럭키금성)
이태호 (대우)
송주석 (현대)
|-
|style="background:#eeeeee"|1991
| 김풍주 (대우)
| 정용환 (대우)
박현용 (대우)
테드 (유공)
| 김현석 (현대)
이영진 (LG)
김주성 (대우)
최강희 (현대)
이상윤 (일화)
| 이기근 (포항 제철)
고정운 (일화)
|-
|style="background:#eeeeee"|1992
| 샤리체프 (일화)
| 홍명보 (포항 제철)
이종화 (일화)
박정배 (LG)
| 신홍기 (현대)
김현석 (현대)
신태용 (일화)
박태하 (포항 제철)
신동철 (유공)
| 박창현 (포항 제철)
임근재 (LG)
|-
|style="background:#eeeeee"|1993
| 샤리체프 (일화)
| 최영일 (현대)
이종화 (일화)
유동관 (포항 제철)
| 김판근 (대우)
신태용 (일화)
김동해 (LG)
이상윤 (일화)
김봉길 (유공)
| 차상해 (포항 제철)
윤상철 (LG)
|-
|style="background:#eeeeee"|1994
| 샤리체프 (일화)
| 안익수 (일화)
유상철 (현대)
홍명보 (포항 제철)
허기태 (유공)
| 신태용 (일화)
고정운 (일화)
황보관 (유공)
| 윤상철 (LG)
라데 (포항 제철)
김경래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1995
| 샤리체프 (일화)
| 최영일 (현대)
홍명보 (포항)
허기태 (유공)
| 신태용 (일화)
고정운 (일화)
김현석 (울산)
김판근 (LG)
아밀 (대우)
| 황선홍 (포항)
노상래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1996
| 김병지 (울산)
| 윤성효 (수원)
김주성 (부산)
허기태 (부천)
| 신태용 (천안)
바데아 (수원)
홍명보 (포항)
하석주 (부산)
김현석 (울산)
| 라데 (포항)
세르게이 (부천)
|-
|style="background:#eeeeee"|1997
| 신범철 (부산)
| 김주성 (부산)
마시엘 (전남)
안익수 (포항)
| 김현석 (울산)
신진원 (대전)
김인완 (전남)
이진행 (수원)
정재권 (부산)
| 마니치 (부산)
스카첸코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1998
|| 김병지 (울산)
| 안익수 (포항)
마시엘 (전남)
이임생 (부천)
| 고종수 (수원)
유상철 (울산)
백신철 (포항)
안정환 (부산)
정정수 (울산)
| 김현석 (울산)
사샤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1999
|| 이운재 (수원)
| 강철 (부천)
김주성 (부산)
마시엘 (전남)
신홍기 (수원)
| 서정원 (수원)
고종수 (수원)
데니스 (수원)
고정운 (포항)
| 안정환 (부산)
사샤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2000
|| 신의손 (안양)
| 강철 (부천)
이임생 (부천)
김현수 (성남)
마시엘 (전남)
| 앙드레 (안양)
신태용 (성남)
전경준 (유공)
데니스 (수원)
| 최용수 (안양)
김도훈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2001
| 신의손 (안양)
| 울모브 (부산)
김현수 (성남)
김용희 (성남)
이영표 (안양)
| 신태용 (성남)
서정원 (수원)
송종국 (부산)
남기일 (부천)
| 우성용 (부산)
산드로 C (수원)
|-
|style="background:#eeeeee"|2002
| 이운재 (수원)
| 김현수 (성남)
김태영 (전남)
최진철 (전북)
홍명보 (포항)
| 신태용 (성남)
이천수 (울산)
앙드레 (안양)
서정원 (수원)
| 김대의 (성남)
유상철 (울산)
|-
|style="background:#eeeeee"|2003
| 서동명 (울산)
| 최진철 (전북)
김태영 (전남)
김현수 (성남)
산토스 (포항)
| 신태용 (성남)
이성남 (성남)
이관우 (대전)
김남일 (전남)
| 김도훈 (성남)
마그노 (전북)
|-
|style="background:#eeeeee"|2004
| 이운재 (수원)
| 산토스 (포항)
유경렬 (울산)
무사 (수원)
곽희주 (수원)
| 김동진 (서울)
타바렐리 (포항)
김두현 (수원)
김대의 (수원)
| 나드손 (수원)
모따 (전남)
|-
|style="background:#eeeeee"|2005
| 김병지 (포항)
| 임중용 (인천)
유경렬 (울산)
조용형 (부천)
김영철 (성남)
| 이천수 (울산)
이호 (울산)
김두현 (성남)
조원희 (수원)
| 박주영 (서울)
3. K리그2 베스트 11
이호 (상주)
최진수 (안양)
김영후 (경찰)
알렉스 (고양)
허재원 (대구)
윤원일 (대전)
임창우 (대전)
이용래 (안산)
최진수 (안양)
최진호 (강원)
알렉스 (강원)
이용 (상주)
강민수 (상주)
신형민 (안산)
조원희 (서울E)
김재성 (서울E)
고경민 (안양)
주민규 (서울E)
황재원 (대구)
이한샘 (강원)
정우재 (대구)
이현승 (안산)
황인범 (대전)
바그닝요 (부천)
포프 (부산)
박지수 (경남)
이반 (경남)
우주성 (경남)
문기한 (부천)
황인범 (대전)
배기종 (경남)
이정협 (부산)
윤영선 (성남)
이한샘 (아산)
김문환 (부산)
이명주 (아산)
황인범 (대전)
안현범 (아산)
키쭈 (대전)
닐손 주니어 (부천)
아슐마토프 (광주)
김문환 (부산)
알렉스 (안양)
이동준 (부산)
호물로 (부산)
치솜 (수원FC)
정운 (제주)
조유민 (수원 FC)
안현범 (제주)
이창민 (제주)
김영욱 (제주)
백성동 (경남)
레안드로 (서울E)
주현우 (안양)
정승현 (김천)
최준 (부산)
박진섭 (대전)
김현욱 (전남)
마사 (대전)
조나탄 (안양)
안영규 (광주)
조유민 (대전)
두현석 (광주)
박한빈 (광주)
이순민 (광주)
엄지성 (광주)
티아고 (경남)
이한도 (부산)
이상민 (김천)
최준 (부산)
발디비아 (전남)
원두재 (김천)
모재현 (경남)
조르지 (충북 청주)
이창용 (안양)
오스마르 (서울)
이태희 (안양)
루이스 (김포)
김정현 (안양)
주닝요 (충남)
마테우스 (안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