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납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납치는 타인의 의사에 반하여 사람을 체포, 감금하는 행위로, 다양한 동기와 유형을 가진다. 금전적 이득을 위한 몸값 요구, 정치적 목적, 성적 학대, 강제 노동 등이 납치의 주요 동기이며, 타이거 납치, 가상 납치, 부모에 의한 자녀 납치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납치는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다르게 처벌되며, 국제법적으로는 강제 실종의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2021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많은 납치 사건이 발생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납치 위험이 증가했다. 한국은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는 국제법상 반인도 범죄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괴 - 볼모
    볼모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외교, 전쟁, 범죄 등 다양한 맥락에서 조약 이행, 동맹 관계 보증 등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테러, 범죄 등 부정적인 목적으로 변질되어 국제법으로 금지된다.
  • 유괴 - 알라 카추
    알라 카추는 키르기스스탄에서 발생하는 신부 납치 관행으로, 여성을 납치하여 강제로 결혼시키는 불법 행위이며, 여성 인권 침해 및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근절 노력이 필요하다.
납치
정의
의미불법적으로 누군가를 납치하여 감금하는 행위
관련 용어아동 유괴
강제 실종
속성 납치
초법적 이송
가짜 납치
구닝
신랑 및 신부 납치
강제 징병
정치적 납치
몸값
상하이잉
호랑이 납치
납치 사건의 몸값 요구 쪽지
국가별 납치
국가캐나다
중국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미국
법적 정의
코넬 대학교 법학납치 정의
케임브리지 영어 사전납치 정의
옥스포드 영어 사전납치 정의
메리엄-웹스터 사전납치 정의
그림
야로슬라프 체르마크, 헤르체고비나 여인의 납치
화가야로슬라프 체르마크
그림 정보헤르체고비나 여인의 납치
일본에서의 정의
일본 참의원일본 참의원 답변서
산케이 뉴스북한 납치 문제 관련 전시회
아사히 신문강제 실종 조약 발효
로이터 통신국제연합, 북한에 실종자 확인 요구
국제앰네스티강제 실종 관련 정보
북한 관련
북한의 납치북한의 납치 행위는 강제 실종과 관련
문화어
문화어 표기랍치

2. 납치의 동기

납치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며, 가해자에 따라 그 동기가 다르다. 옴진리교에 의한 납치 사건이나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및 한국인 납치 문제[62] 등이 언론에 자주 보도되면서 '납치'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디나의 납치 (수채화, 1896년~1902년경, 제임스 티소 작)


과거에는 '拉'자가 표준 한자에 포함되지 않아 '라치'와 같이 섞어 쓰기도 했지만, 2010년 '拉'자가 표준 한자에 추가되어 현재는 '납치'로 표기한다.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탈북자,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한국전쟁 당시 한국인 포로 등의 문제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79][63][64][65][66] 한국에서는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낮았고, 역대 정부도 남북 대화의 장애물로 여겨 피해자 송환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았다. 2012년 설립된 '납치피해자대책위원회'는 2023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방치되었다.[67]

외국에서는 일본인 부모(특히 일본인 어머니)에 의한 자녀 납치(자녀유괴)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유엔유럽 연합으로부터 비난 권고를 받기도 했다.[69]

2. 1. 몸값

몸값을 목적으로 하는 납치는 흔한 납치 동기 중 하나이다. 주로 범죄 조직, 테러 조직, 반군 등이 금전적 이득을 위해 사용하며, 피해자나 납치 방법에 따라 요구하는 돈의 액수가 달라진다.[2][3] 예를 들어, 멕시코 갱단은 중앙아메리카 이민자들을 납치하여 최대 2.5억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된다.[4]

2022년 정치학자 다니엘 길버트의 연구에 따르면, 콜롬비아의 무장 단체들은 지역 과세 시스템 유지를 위해 몸값 납치를 이용한다. 이들은 탈세를 처벌하고 주민들이 세금을 회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몸값 납치에 의존한다.[3] 납치는 테러 조직의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5]

속성 납치는 주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납치 방법으로, 회사나 가족이 쉽게 지불할 수 있는 적은 몸값을 요구한다.[6] 피해자를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로 데려가 강제로 돈을 인출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타이거 납치는 납치범이 피해자에게 강도나 살인과 같은 범죄를 저지르도록 강요하는 경우를 말한다. 피해자는 납치범의 요구가 충족될 때까지 인질로 잡혀 있으며, 진짜 아일랜드 공화군과 계속 아일랜드 공화군이 이 방법을 사용해 왔다.

가상 납치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납치로, 실제 피해자 없이 진행된다. 이 사기는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가족을 납치했다고 속여 빠른 몸값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015년경까지 영어 사용자에게도 전화가 걸리기 시작했으며, 약 80명의 피해자가 확인되었고, 손실액은 10만달러에 달했다. 이 사기의 배후에는 멕시코와 연관된 범인이 많지만,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발생한 사례도 있다. 야네트 로드리게스 아코스타는 유죄 판결을 받고 7년의 징역형과 출소 후 3년의 추가 감독을 선고받았다.[7][8]

과거와 현재 세계 일부 지역(예: 남부 수단)에서는 납치가 노예를 얻고 몸값을 통해 돈을 얻는 일반적인 수단이었다. 19세기에는 상하이잉 형태로 납치가 상선에 선원을 공급했는데, 법은 이들을 비자유 노동으로 간주했다.[9]

최근 고해상도에서의 해적행위와 관련된 납치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2009년 9개월 동안 선원 661명이 인질로 잡히고 12명이 납치되었으며,[10] 2018년에는 선원 141명이 인질로 잡히고 83명이 납치되었다.[11]

2. 2. 성적 학대

성범죄를 목적으로 납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주로 아동, 청소년, 여성이 피해자가 되며,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는다. 성적 변태적 욕망의 대상으로 초중등학생인 아동·학생을 납치하여 성폭력 후 살해하거나 장기간 감금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13]

2. 3. 강제 노동 및 인신매매

강제 노동이나 인신매매를 목적으로 납치가 발생하기도 한다. 주로 사회적 약자들이 피해자가 되며, 노예와 같은 생활을 강요받는다. 과거에는 선원 공급, 광산 노동력 확보 등을 위해 납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9]

역사적으로 전쟁 시기에 “인간”을 전리품으로 여기고 약탈의 일환으로 인간 납치가 행해진 사례가 있다. 또한, 자세력의 경제·기술력 향상을 위해, 또는 반대로 상대 세력에 타격을 주기 위해 납치가 행해진 경우도 있다. (예: 도이침입 때의 규슈 농민 연행, 원구 때의 고려(한국)에 의한 일본 소년 소녀 연행, 임진왜란 때의 조선인 도공·유학자 연행) 전국 다이묘의 분국법에는 이러한 행위를 “'''난방취'''”(약칭 “난취”라고도 함)이라 부르며 금지한 경우도 있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이러한 사례가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세기에는 상하이잉(또는 "프레스 갱깅")의 형태로 납치가 상선에 선원을 공급했는데, 법은 이들을 비자유 노동으로 간주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에 남아 있던 일본인 중에는 중국 공산당에 의해 중화민국 정부와의 전쟁이나 기술 획득을 위해 강제로 끌려간 사람도 있었다.[72] 연행된 사람들 중에는 초등학생[73]이나 여고생과 같은 10대 청소년도 있었고, 수년간에 걸쳐 전쟁 지원을 강요당했다.[72]

티베트 망명 정부와 대기원은 티베트인 승려와 달라이 라마 14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강제 연행”되고 있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75][76] (티베트 문제)

16세기에 볼 수 있는 카스티야 왕국(에스파냐 왕국)에 의한 아즈텍·잉카 정복 시, 원주민(인디오)의 학대, 노예화가 성직자들로부터 고발되어 원주민 처우가 문제가 되었다. 몬테시노스 수도사의 식민자 규탄에 의해 부르고스 법령이 공포되었지만, 에스파냐가 인디아스를 지배하는 근거를 명백히 할 필요가 생겨, 페르디난드 왕은 인디오에 대한 전투를 정당화하는 방책을 검토하게 했다. 이것은 “레케리미엔토”(최고·권고장)라는 것으로, 교황의 대리인인 에스파냐 국왕의 권위, 그리고 그리스도의 신앙을 인정하지 않으면 벌을 가한다는 것이었다. 식민자들은 인디오 사냥 시에 이 문서를 낭독할 것을 의무화되었고, 공증인도 동행했다. 그리고 인디오 측에서 승낙의 답이 없다면 인디오를 강제로 연행하는 것을 허가한다는 것이었다.[74]

2. 4. 기타 동기

납치는 종교적 신념을 강요하거나, 특정 집단에서 탈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3] 사교집단 구성원의 가족이나 친구들이 구성원을 집단에서 빼내기 위해 탈이념화 과정을 시작하는 방법으로 납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13]

가정 폭력 상황에서 배우자나 자녀를 납치하는 경우도 있다. '2003년 콜로라도주 가정 폭력 보고서'에 따르면, 가정 폭력 사례의 대부분은 현 배우자나 전 배우자 등에 의해 발생하며, 피해자는 주로 백인 여성이다. 이들은 거주지에서 납치되며, 종종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강제로 납치된다. 다행히 피해자들은 신체적 상해 없이 풀려나는 경우가 많다.

약혼녀 납치는 부모의 의사에 반하여 신부를 "납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부가 "납치범"과 결혼에 동의하는 경우에도 이 용어가 사용된다. 이는 중앙아시아의 특정 유목 민족들 사이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져 왔으며, 소련 붕괴 이후 키르기스스탄에서 여성의 권리가 침식되면서 다시 부상하고 있다.[12]

경제적 분쟁 해결을 위해 납치가 이용되기도 한다. 상거래상 실패로 인해 상대방을 납치 및 감금하여 거래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거나 협박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뉴욕 이혼 강압단은 1990년대 이후 뉴욕과 뉴저지의 유대인 남편들을 집에서 납치하여 고문하고, 아내에게 종교적 이혼을 허락하도록 강요하는 등 일련의 납치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들은 이러한 범죄로 악명이 높았으며, 2013년 10월 9일 미수 납치 음모와 관련하여 체포되었다.[14][15]

3. 납치의 유형

납치는 범행 방식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성적 학대 목적: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 아동·학생을 납치하여 성폭력을 가하거나, 장기간 감금하는 경우가 있다.
  • 몸값 목적: 금전을 노리고 납치하는 행위이다.
  • 종교적 목적: 가족이나 특정 종교 단체가 개인에게 종교를 포기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납치하는 경우가 있다. 강제개종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쪽 부모에 의한 납치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 상거래 분쟁: 사업상 실패로 인해 상대방을 납치·감금하여 거래에 대한 동의를 강요하거나 협박하는 경우이다.
  • 정치적 목적: 외교관이나 언론인을 납치하는 경우로,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에서 자주 발생한다. 국제연합의 감시단 등이 진입해 있는 국가에서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 기타:
  • 국제적 아동 납치: 백인 아이를 납치하여 아동 포르노에 출연시키거나, 네덜란드 등의 매춘업자에게 인신매매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
  • 중남미의 “강제 실종”: 아르헨티나칠레의 군정 하에서 반체제 인사로 여겨진 사람들이 군에 의해 납치되어 살해된 사건을 말한다. (더러운 전쟁[71])
  • CIA의 비밀 수용소 운영: 테러리스트 관련 용의자로 지목된 사람들을 법적 근거 없이 블랙 사이트라 불리는 비밀 수용소에 감금하고 고문한 사건이다. 국제앰네스티 등 국제기구와 피해자들의 모국 정부가 조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납치 과정에서 피해자는 재갈로 입이 막히거나, 수갑, 테이프, 밧줄, 속박구 등으로 손발이 묶이는 경우가 많다.

3. 1. 타이거 납치

타이거 납치는 납치된 사람이 납치범에 의해 강도나 살인과 같은 범죄를 저지르도록 강요받는 경우를 말한다. 피해자는 납치범의 요구가 충족될 때까지 인질로 잡혀 있게 된다.[2] 이 용어는 먹잇감을 노릴 때처럼 오랜 시간 동안 사전 관찰을 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진짜 아일랜드 공화군과 계속 아일랜드 공화군이 이 방법을 사용했다.[2]

3. 2. 가상 납치

가상 납치는 실제로 피해자를 납치하지 않고, 가족에게 연락하여 납치된 것처럼 속여 몸값을 요구하는 유형이다.[7]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형태의 납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스페인어 사용 지역 사회에서 발생했으나, 영어 사용자에게도 확대되고 있다.[7] 2015년경부터 영어 사용자에게도 전화가 걸리기 시작했으며, 확인된 피해자는 약 80명, 손실액은 10만달러에 달했다.[7]

이 사기의 배후에는 대부분 멕시코와 연관된 범인이 많지만,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발생한 사례도 있다.[7] 야네트 로드리게스 아코스타는 큰돈을 요구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7년의 징역형과 출소 후 3년의 추가 감독을 선고받았다.[8]

3. 3. 부모에 의한 자녀 납치

법원에 의해 친권(양육권)을 인정받지 못한 한쪽 부모가 자녀를 데려가는 경우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유괴로 처벌된다. 한국에서는 과거에 범죄로 간주되지 않았던 적도 있었으나, 2006년 3월 후쿠오카 지방법원이 후쿠오카시에서 변호사 남성이 아내와 동거하는 친딸을 납치한 사례에 대해 집행유예부착의 유죄 판결을 내리면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70]

3. 4. 블랙버딩

19세기에는 남태평양 제도의 섬 주민들이 사기나 납치와 같은 수단으로 오스트레일리아페루 등의 농장으로 보내졌다.[77][78] 이것은 "블랙버드(검은지빠귀) 사냥"이라고 불렸는데, 여기서 블랙버드는 원주민을 가리키는 속어였다.[78] Burns Philp영어과 같은 상선 회사나 사업가들이 관련되었다는 설이 있지만,[78] 단일 국가 정부가 실행한 것은 아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1901년 백호주의에 근거하여 Pacific Island Labourers Act 1901영어에 따라 이러한 사람들을 포함한 카나카인을 추방함으로써 가족 해체와 같은 비극이 발생했다.[78]

4. 국제법 및 각국의 법률

납치에 대한 관할권은 국가마다 다르며, 각국은 범죄를 정의하고 기소하는 자체적인 방식을 가지고 있다.

몇몇 국가들의 납치 관련 법률은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호주주 범죄법 또는 연방 형법에 따라 중범죄로 간주되며, 최대 14년에서 2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16]
캐나다혼합 범죄이며, 최대 무기징역에 처할 수 있고, 납치로 인해 살인이 발생하면 1급 살인으로 분류되어 무기징역에 처한다.[17][18]
멕시코납치 범죄의 예방 및 처벌에 관한 일반법에 따라, 인질로 잡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개인에게 20년에서 40년의 징역형을 규정하고 있으며, 피해자에 대한 폭력이 수반된 경우에는 25년에서 45년, 치안 당국 구성원이 저지른 경우에는 25년에서 50년, 납치로 인해 살인이 발생한 경우에는 40년에서 70년의 징역형이 선고된다.[19]
파키스탄형법 제360조와 제363조에 따라 최대 7년의 징역 또는 그에 상응하는 형벌에 처해지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살인, 상해, 노예화 또는 성욕을 목적으로 한 납치는 최대 10년의 징역형과 함께 종신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벌금도 부과될 수 있다.[20]
네덜란드제282조에 따라 인질 감금을 금지하며, 납치범에게 최대 8년의 징역 또는 5등급 벌금을 선고할 수 있다. 피해자에게 중상을 입힌 경우 최대 9년,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최대 12년의 징역 또는 5등급 벌금을 선고할 수 있다.[21][22]
영국웨일스관습법상 범죄이며, 개인의 인신 자유에 대한 공격 및 침해로 간주된다. 힘 또는 사기에 의한 행위, 피해자의 동의 없이, 합법적인 변명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 납치로 인정되며, 법원의 재량에 따라 징역 또는 벌금형으로 처벌된다. 형이 과도하지 않은 한, 부과될 수 있는 벌금이나 징역 기간에 제한은 없다.[23][32][33][34] 16세 미만의 아동에 대한 납치 범죄는 검찰총장의 동의가 있어야 기소할 수 있다.[30]
미국1932년 린드버그 유괴 사건 이후 연방 유괴법이 통과되어 FBI가 유괴 사건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유괴 피해자가 주 경계를 넘으면 연방 형사법의 범위에 들어간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유괴의 여러 유형을 인정하고 범죄의 장소, 기간, 방법, 수단 및 목적과 같은 요소에 따라 처벌한다.[36]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10만 명당 연간 납치 신고 건수는 국가별로 다르며, 각국의 납치 정의와 신고되지 않은 납치 사건은 포함되지 않는다.[59] 다음은 최근 연도의 국가별 납치 건수를 나타낸 표이다.

국가10만 명당 연간 납치 신고 건수[59]연도
알바니아0.142022
알제리0.492022
안티구아 바부다1.072022
아르헨티나0.122022
오스트레일리아1.942022
오스트리아0.12022
바하마1.712022
바베이도스2.132022
벨리즈1.232022
볼리비아0.22202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372022
브라질2.062020
불가리아1.222022
카메룬1.312020
캐나다9.692022
칠레3.292022
콜롬비아0.952022
코스타리카0.422022
크로아티아0.02022
키프로스0.482022
체코0.022022
도미니카8.252022
도미니카 공화국0.932020
에콰도르6.922022
엘살바도르0.052022
영국과 웨일스11.592022
에스토니아0.02022
에스와티니4.532021
핀란드0.042022
프랑스5.972016
독일5.872022
가나0.362021
그리스0.942022
과테말라0.82021
그레나다0.02022
가이아나0.02022
온두라스0.272022
홍콩0.02022
헝가리0.072022
인도네시아0.532022
이라크 (중부)1.152021
아일랜드1.812022
이스라엘7.312022
이탈리아0.242022
자메이카0.672022
일본0.312022
요르단1.92022
케냐0.112022
코소보0.62021
라트비아0.592022
리히텐슈타인0.02022
리투아니아0.02022
룩셈부르크8.032022
마카오0.02022
모리셔스1.772021
멕시코0.52022
몰도바1.432020
몽골0.062021
몬테네그로0.162022
모로코1.72022
미얀마0.022022
나미비아2.732021
네덜란드2.62021
뉴질랜드7.952021
북마케도니아0.332022
북아일랜드8.272022
오만0.112022
파키스탄11.812022
팔레스타인2.482022
파나마0.252022
파라과이0.222022
페루3.612022
폴란드0.642015
포르투갈2.432022
카타르0.262021
루마니아2.072022
러시아0.252020
세인트키츠 네비스4.22022
세인트루시아8.342022
스코틀랜드4.922022
세르비아0.152022
슬로바키아0.822022
슬로베니아0.052022
남아프리카 공화국9.632017
대한민국0.092022
스페인0.22022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0.962022
스위스0.052022
태국0.02022
아랍에미리트2.632022
미국15.52022
우루과이0.382022
우즈베키스탄0.162021
바티칸 시국0.02022


4. 1. 국제법

북한으로 강제송환된 탈북자,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한국 전쟁 당시 한국인 포로 등의 문제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의 한 형태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62][79][63][64][65][66] 이러한 강제실종은 개인의 자유와 안전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로, 국제사회는 이를 중대한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4. 2. 대한민국

대한민국 형법 제226조는 국외이송을 목적으로 약취, 유인하는 범죄를 규정하며, 2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68]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및 한국인 납치 문제에 대응하여 특정실종자문제조사회가 인정한 실종자 가족들은 해당 혐의로 가해자들을 고발하고 있다.[68]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 납치(한국인 포로 및 탈북자 강제송환) 문제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자주 보도되면서 '납치'라는 단어가 급속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탈북자,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한국전쟁 당시 한국인 포로 등의 문제는[62] 국제법상 '강제실종'의 한 형태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79][63][64][65][66] 한국에서는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낮고, 역대 한국 정부도 남북 대화의 장애물로 보고 피해자 송환을 요구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2012년 설립 이후 '납치피해자대책위원회'는 2023년 인권 문제를 중시하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방치되었다.[67]

4. 3. 기타 국가

호주에서는 납치가 주 범죄법 또는 연방 형법에 따라 중범죄로 간주되며, 최대 14년에서 2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16] 캐나다에서는 납치가 혼합 범죄이며, 최대 무기징역에 처할 수 있고, 납치로 인해 살인이 발생하면 1급 살인으로 분류되어 무기징역에 처한다.[17][18] 멕시코에서는 납치 범죄의 예방 및 처벌에 관한 일반법에 따라, 인질로 잡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개인에게 20년에서 40년의 징역형을 규정하고 있으며, 피해자에 대한 폭력이 수반된 경우에는 25년에서 45년, 치안 당국 구성원이 저지른 경우에는 25년에서 50년, 납치로 인해 살인이 발생한 경우에는 40년에서 70년의 징역형이 선고된다.[19]

파키스탄에서는 파키스탄에서의 납치와 법적 보호자로부터의 납치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형법 제360조와 제363조에 따라 최대 7년의 징역 또는 그에 상응하는 형벌에 처해지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살인, 상해, 노예화 또는 성욕을 목적으로 한 납치는 최대 10년의 징역형과 함께 종신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벌금도 부과될 수 있다.[20] 네덜란드에서는 제282조에 따라 인질 감금을 금지하며, 납치범에게 최대 8년의 징역 또는 5등급 벌금을 선고할 수 있다. 피해자에게 중상을 입힌 경우 최대 9년,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최대 12년의 징역 또는 5등급 벌금을 선고할 수 있다.[21][22]

영국과 웨일스에서는 납치가 관습법상 범죄이며, 개인의 인신 자유에 대한 공격 및 침해로 간주된다. 힘 또는 사기에 의한 행위, 피해자의 동의 없이, 합법적인 변명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 납치로 인정되며, 법원의 재량에 따라 징역 또는 벌금형으로 처벌된다. 형이 과도하지 않은 한, 부과될 수 있는 벌금이나 징역 기간에 제한은 없다.[23][32][33][34] 16세 미만의 아동에 대한 납치 범죄는 검찰총장의 동의가 있어야 기소할 수 있다.[30]

미국에서는 1932년 린드버그 유괴 사건 이후 연방 유괴법이 통과되어 FBI가 유괴 사건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유괴 피해자가 주 경계를 넘으면 연방 형사법의 범위에 들어간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유괴의 여러 유형을 인정하고 범죄의 장소, 기간, 방법, 수단 및 목적과 같은 요소에 따라 처벌한다.[36]

2009년 애리조나주 피닉스는 300건이 넘는 유괴 사건을 보고하여 미국의 유괴 수도라는 명성을 얻었으나, 이후 조사 결과 통계가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37][39][40]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10만 명당 연간 납치 신고 건수는 국가별로 다르며, 각국의 납치 정의와 신고되지 않은 납치 사건은 포함되지 않는다.[59] 다음은 최근 연도의 국가별 납치 건수를 나타낸 표이다.

국가10만 명당 연간 납치 신고 건수[59]연도
알바니아0.142022
알제리0.492022
안티구아 바부다1.072022
아르헨티나0.122022
오스트레일리아1.942022
오스트리아0.12022
바하마1.712022
바베이도스2.132022
벨리즈1.232022
볼리비아0.22202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372022
브라질2.062020
불가리아1.222022
카메룬1.312020
캐나다9.692022
칠레3.292022
콜롬비아0.952022
코스타리카0.422022
크로아티아0.02022
키프로스0.482022
체코0.022022
도미니카8.252022
도미니카 공화국0.932020
에콰도르6.922022
엘살바도르0.052022
영국과 웨일스11.592022
에스토니아0.02022
에스와티니4.532021
핀란드0.042022
프랑스5.972016
독일5.872022
가나0.362021
그리스0.942022
과테말라0.82021
그레나다0.02022
가이아나0.02022
온두라스0.272022
홍콩0.02022
헝가리0.072022
인도네시아0.532022
이라크 (중부)1.152021
아일랜드1.812022
이스라엘7.312022
이탈리아0.242022
자메이카0.672022
일본0.312022
요르단1.92022
케냐0.112022
코소보0.62021
라트비아0.592022
리히텐슈타인0.02022
리투아니아0.02022
룩셈부르크8.032022
마카오0.02022
모리셔스1.772021
멕시코0.52022
몰도바1.432020
몽골0.062021
몬테네그로0.162022
모로코1.72022
미얀마0.022022
나미비아2.732021
네덜란드2.62021
뉴질랜드7.952021
북마케도니아0.332022
북아일랜드8.272022
오만0.112022
파키스탄11.812022
팔레스타인2.482022
파나마0.252022
파라과이0.222022
페루3.612022
폴란드0.642015
포르투갈2.432022
카타르0.262021
루마니아2.072022
러시아0.252020
세인트키츠 네비스4.22022
세인트루시아8.342022
스코틀랜드4.922022
세르비아0.152022
슬로바키아0.822022
슬로베니아0.052022
남아프리카 공화국9.632017
대한민국0.092022
스페인0.22022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0.962022
스위스0.052022
태국0.02022
아랍에미리트2.632022
미국15.52022
우루과이0.382022
우즈베키스탄0.162021
바티칸 시국0.02022


5. 납치 통계

납치 범죄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분쟁 지역이나 사회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2021년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미국이 납치 사건이 가장 많은 국가(총 56,652건)라고 보고했다.[82]


5. 1. 국가별 납치 현황

2021년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납치 사건이 가장 많은 국가였다.[46] 2018년에는 파키스탄과 영국이 납치 건수가 가장 많았고, 뉴질랜드가 납치율이 가장 높았다.[45]

'''세계 납치 다발 지역'''
 1999[42]2006[43]2014 [44]2018[45]
1파키스탄파키스탄파키스탄파키스탄
2멕시코이라크인도잉글랜드
3브라질인도멕시코독일
4필리핀남아프리카 공화국이라크멕시코
5베네수엘라브라질나이지리아모로코
6에콰도르멕시코리비아에콰도르
7러시아 및 CIS 국가들에콰도르아프가니스탄브라질
8나이지리아베네수엘라방글라데시뉴질랜드
9인도콜롬비아수단오스트레일리아
10남아프리카 공화국방글라데시레바논네덜란드





2000년대 초반에는 콜롬비아멕시코가 납치 다발 국가로 꼽혔다.[51] 특히 콜롬비아는 2000년경 연간 3,600건의 납치가 발생했으나, 2016년에는 205건으로 크게 감소했다.[52][53] 2007년에는 이라크에서 외국인 납치가 1,500건에 달해 납치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48]

멕시코의 경우, 경찰의 연루 우려 때문에 정확한 납치 건수를 확인하기 어렵다.[54]

2019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납치 위험이 증가했으며, 특히 몸값을 노린 납치가 늘어났다. 이는 사회경제적 불균형, 자원 부족, 취약한 사법 제도 등 여러 요인 때문으로 분석된다.[55]

6. 한국의 특수한 상황: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

한국전쟁 이후 북한은 한국인 납치를 자행했다.[62] 이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이자 반인도 범죄에 해당한다.[79][63][64][65][66]

역대 한국 정부는 남북 대화의 걸림돌로 여겨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2012년 '납치피해자대책위원회'가 설립되었으나 2023년 윤석열 정부 이전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67]

6. 1. 일본인 납치 문제

북한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일본인을 납치하여 간첩 교육 등에 활용했다.[62] 이 문제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의 한 형태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79][63][64][65][66] 일본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일본 형법 제226조에는 일본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사람을 빼앗거나 유괴한 자는 2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에 대응하는 특정실종자문제조사회가 인정한 실종자 가족들은 해당 혐의로 가해자들을 고발하고 있다.[68]

6. 2. 한국인 납치 문제

한국전쟁 이후 북한은 수많은 한국인을 납치했다.[62] 이러한 문제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의 한 형태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79][63][64][65][66]

한국에서는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낮았고, 역대 한국 정부도 남북 대화의 장애물로 여겨 피해자 송환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2012년 '납치피해자대책위원회'가 설립되었으나, 2023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는 사실상 방치되었다.[67] 납북 피해자 가족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피해자 송환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최근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변화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6. 3.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

옴진리교에 의한 납치 사건이나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및 한국인 납치(한국인 포로 및 탈북자 강제송환) 문제가 매스미디어를 통해 자주 보도되면서 '납치'라는 단어가 급속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62]

북한으로 강제송환된 탈북자 문제는 국제법상 '강제실종'의 한 형태이며, 반인도 범죄로 취급된다.[79][63][64][65][66] 한국에서는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낮았고, 역대 한국 정부도 남북 대화의 장애물로 보고 피해자 송환을 요구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2012년 설립된 '납치피해자대책위원회'는 2023년 인권 문제를 중시하는 윤석열 정권이 들어설 때까지 방치되었다.[67]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kidnapping https://www.law.corn[...] 2017
[2] 논문 Taking Civilians: Terrorist Kidnapping in Civil War http://dx.doi.org/10[...] 2024
[3] 논문 The Logic of Kidnapping in Civil War: Evidence from Colombia https://www.cambridg[...] 2022-11-01
[4] 웹사이트 Mexican Gangs Could Be Making Up To $250 Million A Year By Abusing And Extorting Migrants https://www.business[...] 2024-03-21
[5] 간행물 Evil Twins: The Crime-Terror Nexus https://www.all-abou[...] 2009
[6] 뉴스 Express kidnappings https://www.thepanam[...] Thepanamanews.com 2006-12-07
[7] 웹사이트 Virtual Kidnapping: A New Twist on a Frightening Scam https://www.fbi.gov/[...] 2024-10-13
[8] 웹사이트 Southern District of Texas Texas Woman Sentenced in Virtual Kidnapping Extortion Schem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https://www.justice.[...] 2024-10-13
[9] 웹사이트 Shanghaiing - FoundSF https://www.foundsf.[...] 2024-03-21
[10] 뉴스 Unprecedented increase in Somali pirate activity https://www.icc-ccs.[...] Commercial Crime Services 2011-01-09
[11] 웹사이트 IMB piracy report 2018: attacks multiply in the Gulf of Guinea https://www.icc-ccs.[...] Commercial Crime Services 2019-01-16
[12] 웹사이트 Bride Kidnapping - a Channel 4 documentary https://www.channel4[...] Channel4.com
[13] 논문 Tort Liability for Cult Deprogramming: Peterson v. Sorlien https://core.ac.uk/r[...]
[14] 뉴스 Bad Rabbi: Tales of Extortion and Torture Depict a Divorce Broker's Brutal Grip on the Orthodox Community https://www.villagev[...] Village Voice 2013-12-04
[15] 뉴스 Three Orthodox Jewish Rabbis Convicted of Conspiracy to Kidnap Jewish Husbands in Order to Force Them to Consent to Religious Divorces https://www.fbi.gov/[...] U.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5-04-21
[16] 웹사이트 CRIMES ACT 1900 - SECT 86 Kidnapping https://www5.austlii[...] 2022-02-16
[17] 웹사이트 Kidnapping and Unlawful Confinement (Offence) - Criminal Law Notebook https://criminalnote[...] 2024-03-21
[18] 웹사이트 Murder (Offence) - Criminal Law Notebook https://criminalnote[...] 2024-03-21
[19] 웹사이트 Mexico: New Anti-Kidnapping Law Promulgated https://www.loc.gov/[...] 2024-03-21
[20] 웹사이트 Pakistan Penal Code (Act XLV of 1860) https://www.pakistan[...] 2024-03-21
[21] 웹사이트 wetten.nl - Regeling - Wetboek van Strafrecht - BWBR0001854 https://wetten.overh[...] 2016-09-18
[22] 문서 € 78,000
[23] 판례 R v D 1984
[24] 판례 R v D 1984
[25] 판례 Hendy-Freegard v R https://www.bailii.o[...] Bailii.org 2012-05-14
[26] 뉴스 The Times https://business.tim[...] Business. timesonline.co.uk 2012-05-14
[27] 판례 R v D 1984
[28] 판례 R v D 1984
[29] 판례 R v C 1991
[30] 법률 Child Abduction Act 1984, section 5 https://www.legislat[...]
[31] 웹사이트 Kidnapping - False Imprisonment:Offences against the Person: Sentencing Manual: Legal Guidance: The Crown Prosecution Service https://www.cps.gov.[...] Cps.gov.uk 2012-01-20
[32] 웹사이트 Kidnapping - False Imprisonment: Offences against the Person: Sentencing Manual: Legal Guidance: The Crown Prosecution Service https://www.cps.gov.[...] Cps.gov.uk 2012-05-14
[33] 웹사이트 Legal Guidance:The Crown Prosection Service: Prosecuting Cases of Child Abuse https://www.cps.gov.[...] Cps.gov.uk 2012-05-14
[34] 웹사이트 Offences against the Person: Legal Guidance: The Crown Prosecution Service https://www.cps.gov.[...] Cps.gov.uk 2012-05-14
[35] 뉴스 The Law Explored: abduction and false imprisonment https://business.tim[...] The Times 2011-01-09
[36] 논문 Kidnapping in Florida: Don't Move or You've Done It 1983
[37] 뉴스 Phoenix, kidnap-for-ransom capital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2-01-20
[38] 웹사이트 Project America: Crime: Crime Rates: Kidnapping https://www.project.[...] Project.org 2012-05-14
[39] 웹사이트 Phoenix Kidnappings: Uncovering the Truth https://www.abc15.co[...]
[40] 서적 Report GR-60-12-006 Review of the Phoenix Police Department's 2008 Kidnapping Statistic reported in Department of Justice Grant Applications https://www.justice.[...] 2012
[41] 웹사이트 Kidnapping Capital of the U.S.A. https://abcnews.go.c[...] ABC News 2013-02-05
[42] 논문 The Kidnapping Business https://fpc.org.uk/a[...] 2011-01-10
[43] 웹사이트 Kidnapping is a booming business https://www.eisf.eu/[...] 2011-01-10
[44] 서적 RiskMap Report 2015 - Kidnap and extortion overview https://www.controlr[...] controlrisks.com 2015-01-30
[45] 웹사이트 Kidnapping https://dataunodc.un[...]
[46] 웹사이트 dp-crime-violent-offences https://dataunodc.un[...] 2024-03-21
[47] 뉴스 Business Horizons https://findarticles[...] FindArticles.com 2011-05-14
[48] 웹사이트 (NCCI) | NGO Coordination Committee for Iraq https://www.ncciraq.[...]
[49] 뉴스 Welcome to Mexico City the new kidnap capital of the World https://www.highbeam[...] The Independent on Sunday 2012-01-20
[50] 뉴스 Colombia: Kidnap capital of the world https://news.bbc.co.[...] BBC News 2012-01-20
[51] 웹사이트 Facts about Kidnapping https://www.freelega[...] Free Legal Advice 2011-01-09
[52] 웹사이트 Military Personnel – Logros de la Política Integral de Seguridad y Defensa para la Prosperidad https://www.mindefen[...] mindefensa.gov.co
[53] 웹사이트 Colombia kidnappings down 92% since 2000, police say https://www.bbc.com/[...] bbc.com 2016-12-28
[54] 뉴스 Mexican police linked to rising kidnappings https://www.latimes.[...] LA Times 2011-01-10
[55] 웹사이트 Kidnap and ransom risk on the rise https://www.commerci[...] 2024-03-19
[56] 웹사이트 Ranked: These Are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Kidnapping Rates, 2023 https://ceoworld.biz[...] 2024-03-21
[57] 웹사이트 Kidnap for ransom in 2022 https://www.controlr[...] 2024-03-21
[58] 웹사이트 Chowchilla kidnap, Crime Library website https://www.crimelib[...] Crimelibrary.com 2012-01-20
[5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crime-violent-offences https://dataunodc.un[...] 2024-08-17
[60] 웹사이트 Jaroslav Čermák, The Abduction of a Herzegovinian Woman https://www.daheshmu[...] 2023-12-28
[61] 웹사이트 「拉致」の定義等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答弁本文:参議院 https://www.sangiin.[...] 2023-12-28
[62] 웹사이트 北朝鮮の拉致、強制失踪問題「若者に伝えたい」 日韓の市民団体が渋谷で展示会 https://www.sankei.c[...] 2023-12-28
[63] 웹사이트 https://www.mofa.go.[...]
[64] 웹사이트 asahi.com(朝日新聞社):国家による拉致を犯罪に認定 強制失踪条約が発効 - 北朝鮮関連 http://www.asahi.com[...] 2023-12-28
[65] 뉴스 国連、北朝鮮に失踪者の所在確認要求 日韓国民の拉致巡り報告書 https://jp.reuters.c[...] Reuters 2023-12-28
[66] 웹사이트 強制失踪について知っておきたいこと http://www.amnesty.o[...] 2023-12-28
[67] 웹사이트 韓国で11年ぶり拉致対策委 一転積極対応も課題山積 https://www.sankei.c[...] 2023-12-28
[68] 웹사이트 国外移送目的略取|Web東奥 https://www.toonippo[...] 2023-12-28
[69] 웹사이트 世界から『日本は拉致国家』と非難を浴びている、国際的な子の連れ去り問題について(明智カイト)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3-12-28
[70] 웹사이트 http://news.rkb.ne.j[...]
[71] 웹사이트 Argentina Declassification Project - The "Dirty War" (1976-83) https://www.cia.gov/[...] CIA 2020-01-08
[72] 웹사이트 第008回国会 海外同胞引揚に関する特別委員会 第11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1950-10-31
[73] 서적 少年は見た 通化事件の真実 新評論 1998-01
[74] 논문 インディアス法の形成と発展 http://www.seijo-law[...] 成城大学法学会 1998-09
[75] 뉴스 チベット事件一周年前、2寺院の僧侶らを連行=青海省 http://www.epochtime[...] 大紀元日本 自由アジア放送(RFA) 2009-03-12
[76] 뉴스 中国四川省:ダライ・ラマ14世の帰国を呼びかけたチベット人、強制連行 http://www.epochtime[...] 大紀元日本 2007-08-06
[77] 뉴스 Story of lost Tongans in Peru broadens the history of Blackbirding https://web.archive.[...] ABC 2016-12-29
[78] 뉴스 'Blackbirding' shame yet to be acknowledged in Australia http://www.smh.com.a[...] シドニー・モーニング・ヘラルド 2015-06-03
[79] 웹사이트 北朝鮮による強制失踪、国連が報告書 青森で漁師拉致の工作員も証言: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3-29
[80] 웹사이트 北朝鮮「拉致組」の卑劣な悪巧み…中国公安当局も関与の疑い(高英起)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81] 웹사이트 北朝鮮に連れ戻される脱北者たち|国際|中央公論.jp https://chuokoron.jp[...] 2013-07-08
[82] 저널 The Kidnapping Business https://fpc.org.uk/a[...] 2001-11
[83] 웹인용 Kidnapping is a booming business https://www.eisf.eu/[...] 2008-07
[84] 서적 RiskMap Report 2015 - Kidnap and extortion overview https://www.controlr[...] controlrisks.com
[85] 웹인용 Kidnapping | dataUNODC https://dataunodc.u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