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풍시럽뇨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풍시럽뇨병은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의 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소변에서 단풍 시럽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질환은 고전적인 형태, 중간형, 간헐형, 티아민 반응형, E3 결핍 단풍시럽뇨병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원인은 BCKDHA, BCKDHB, DBT, DLD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분지쇄 알파-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단풍시럽뇨병은 뇌와 다른 장기에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신경독성을 유발하며, 증상으로는 식욕 부진, 구토, 경련, 뇌병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신생아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유기산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특수 분유 수유, 저단백 식이 요법, 혈액 투석, 간 이식 등을 포함한다. 조기 진단과 치료는 예후에 중요하며, 유전자 치료법과 약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판코니 증후군
    판코니 증후군은 근위 세뇨관 기능 장애로 여러 물질의 재흡수 장애를 보이는 질환으로, 유전적 및 후천적 요인이 원인이며 다뇨, 다음, 탈수, 저인산혈증으로 인한 구루병 및 골연화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소실된 물질을 보충하는 대증 요법으로 치료한다.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 결핍으로 페닐알라닌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지적 장애 등을 유발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며,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하여 식이요법과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여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상태로,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고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관리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상염색체 열성 질환 - 윌슨병
    윌슨병은 구리가 간과 뇌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ATP7B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간 기능 장애, 신경정신과적 증상, 카이저-플라이셔 고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상염색체 열성 질환 - 색소성 건피증
    색소성 건피증은 자외선에 손상된 DNA 복구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햇빛 과민반응, 피부암, 신경계 이상을 유발하며, 자외선 차단과 피부암 예방을 주요 치료 목표로 하는 '어둠의 아이들'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이다.
단풍시럽뇨병

2. 분류

단풍시럽뇨병(MSUD)은 증상 패턴, 유전적 원인, 발병 시기, 증상의 심각성, 그리고 잔존하는 가지사슬 α-케토산 탈수소효소(BCKAD) 복합체의 활성 수준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3][21] 이는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필수 아미노산류신, 아이소류신, 발린과 같은 가지사슬 아미노산의 대사 과정에 필요한 α-케토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가지사슬 아미노산과 그 부산물인 알파-케토산이 체내에 축적되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단풍시럽뇨병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6][21]

유형주요 특징잔존 효소 활성 (정상 대비)
전형적(고전적) 유형 (Classic MSUD)가장 흔하고 심각한 형태. 출생 직후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악화된다.0~2%
중간 유형 (Intermediate MSUD)전형적 유형보다 증상이 경미하며, 영아기나 소아기 이후에 명확해지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 선별검사(NBS)로 발견되기도 하며, 루신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좋다.[22] 그러나 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심각한 대사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22]3~30%
간헐형 (Intermittent MSUD)평소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단식, 스트레스, 감염 등 특정 상황에서 급성으로 증상이 발현된다.3~30%
티아민 반응성 유형 (Thiamine-responsive MSUD)고용량의 티아민(비타민 B1) 투여에 증상이 호전되는 반응을 보인다.다양
E3 결핍 유형 (E3-deficient MSUD)BCKAD 복합체뿐만 아니라 피루브산 탈수소 효소, 알파-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 효소 등 다른 미토콘드리아 효소 복합체에도 공통적으로 필요한 E3 소단위체(디하이드로리포아미드 탈수소효소)의 결핍으로 발생한다.다양



대부분의 환자는 위의 다섯 가지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되지만, 일부 환자는 명확한 분류 기준에 맞지 않아 '분류되지 않은 단풍시럽뇨병'으로 진단될 수도 있다.[9]

단풍시럽뇨병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만 명에서 50만 명 중 1명꼴로 추정된다.[36]

3. 원인

단풍시럽뇨병은 치료하지 않으면 정신지체, 신체적 불구,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다.[36] 이는 가지사슬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 BCAA)의 대사 과정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유기산혈증의 일종으로, 특정 효소 복합체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필수 아미노산가지사슬 아미노산이라고 불리는 류신(Leu), 이소류신(Ile), 발린(Val)의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분지쇄 알파-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Branched-chain alpha-keto acid dehydrogenase complex, BCKDC)의 활성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정상적인 경우, 이 세 가지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전이효소에 의해 각각 알파-케토산(α-케토아이소카프로산, α-케토-β-메틸발레르산, α-케토아이소발레르산)으로 전환된 후, BCKDC에 의해 분해된다. 하지만 단풍시럽뇨병 환자는 BCKDC의 기능 이상으로 이 알파-케토산들이 제대로 분해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된다. 이렇게 쌓인 가지사슬 아미노산과 그 부산물인 알파-케토산은 신생아나 소아에게 심각한 신경학적 이상 증상을 유발하며, 소변이나 땀에서 단풍나무 시럽과 같은 특유의 달콤한 냄새가 나게 한다.

단풍 시럽 뇨병은 유전의 상염색체 열성 유전 패턴을 보인다.


BCKDC는 네 종류의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되는데, 이 단백질들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효소 복합체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사라져 단풍시럽뇨병이 발생한다. 관련된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유전자생성 단백질 (BCKDC 소단위체)
BCKDHAE1α
BCKDHBE1β
DBTE2
DLDE3



이 효소 복합체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을 분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아미노산들은 거의 모든 종류의 음식에 어느 정도 존재하지만,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인 유제품, 육류, 생선, , 글루텐, 계란, 견과류, 통곡물, 씨앗, 아보카도, 해조류, 식용 해초, 콩류, 콩과 식물 등에 많이 들어있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이 아미노산들과 그 부산물이 체내에 축적되면, 이 물질들이 뇌와 다른 장기에 독성을 나타내어 단풍시럽뇨병과 관련된 심각한 의학적 문제로 이어진다.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패턴을 따른다. 이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상염색체에 위치하며, 질병이 나타나려면 부모 양쪽으로부터 각각 하나씩, 총 두 개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물려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상염색체 열성 질환을 가진 아이의 부모는 각각 돌연변이 유전자를 하나씩 가진 유전자 보인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풍시럽뇨병의 발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만 명에서 50만 명 중 1명꼴로 알려져 있으며[36], 일본 내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4. 병태 생리

단풍시럽뇨병(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필수 아미노산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의 대사 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이 세 가지 분지쇄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 BCAA)은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분지쇄 알파-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Branched-chain alpha-keto acid dehydrogenase complex, BCKAD)에 의해 분해된다.

단풍시럽뇨병은 바로 이 BCKAD 복합체의 기능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BCKAD 복합체는 E1α, E1β, E2, E3 네 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암호화하는 다음 유전자들 중 하나라도 돌연변이가 생기면 효소 복합체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사라진다.[3]

유전자OMIM 번호
BCKDHA608348
BCKDHB248611
DBT248610
DLD (E3 서브유닛)238331



참고로 E3 서브유닛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와 옥소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15]

BCKAD 복합체의 기능 저하는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과 같은 분지쇄 아미노산과 그 부산물인 알파-케토산(α-케토아이소카프로산, α-케토아이소발레르산, α-케토-β-메틸발레르산)의 정상적인 분해를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이 물질들이 혈액과 소변 등 체내에 축적된다.[13] 이렇게 축적된 물질, 특히 높은 농도의 류신과 관련 케토산은 뇌와 다른 장기에 독성을 나타내어 신생아나 소아에게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뇌병증, 발작, 운동 장애 등)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소변이나 땀, 귀지 등에서 단풍나무 시럽과 비슷한 특유의 달콤한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14]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패턴을 따른다. 즉, 질환 유전자가 상염색체에 위치하며, 질환이 발현되려면 부모 양쪽으로부터 각각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받아야 한다. 상염색체 열성 질환을 가진 아이의 부모는 일반적으로 결함 유전자를 하나만 가진 유전자 보인자이므로 질환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풍시럽뇨병의 발병률은 약 40만 명에서 50만 명 중 1명꼴로 알려져 있다.[36]

4. 1. 신경독성 및 뇌병증 메커니즘

단풍 시럽 뇨병(MSUD)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정신 질환, 운동 질환, 발작 및 뇌병증은 분지쇄 아미노산(BCAA) 및 분지쇄 알파-케토산(BCKA)의 축적에 의한 독성과 중추 신경계 내 단백질 및 신경전달물질 합성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2] MSUD 뇌병증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아미노산 수송 결핍 및 신경전달물질 합성 장애MSUD 환자에게는 아미노산 수송 결핍과 신경전달물질 합성 장애가 심각한 문제로 작용한다. 중추 신경계에서 글루탐산,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메티오닌, 알라닌과 같은 아미노산 농도가 감소하면 학습, 기억력, 정서적 행동(주요 우울증 및 불안 장애 포함), ADHD, 강박 장애 및 운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6]

정상 상태에서는 큰 중성 아미노산(LNAA)이 혈액-뇌 장벽(BBB)의 큰 아미노산 수송체(LAT1/SLC7A5)를 통해 혈액에서 뇌로 이동한다. 그러나 MSUD에서는 혈장 내 류신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LAT1 수송체를 포화시키고, 다른 아미노산의 뇌 내 유입을 경쟁적으로 억제한다.[2] 이로 인해 아이소류신, 발린, 트레오닌, 메티오닌, 글루타민,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과 같은 아미노산의 뇌 농도가 낮아진다. 특히,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전구체인 메티오닌의 감소는 뇌의 일탄소 대사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LNAA의 감소는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을 저해한다.[3][14]
분지쇄 알파-케토산(BCKA)의 영향증가된 BCKA는 단일 카르복실산 수송체(MCT/SLC16A1)를 통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한다. 특히, 알파-케토아이소카프로산(α-KIC)의 증가는 뇌 내 글루탐산, 글루타민, GABA의 감소를 유발한다. α-KIC는 BBB를 통과한 후, 중요한 신경교세포인 별아교세포에서 BCAT를 통한 전이반응을 통해 글루탐산과 글루타민을 고갈시킬 수 있다.[3] 뇌의 글루탐산 수준은 BCAA 대사 기능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것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으면 MSU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해질 불균형 및 뇌 부종BCAA 및 BCKA의 상승은 나트륨-칼륨 ATPase 활성에도 영향을 미쳐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는 뇌 부종 및 발작에 기여할 수 있다.[2] 특히 높은 류신 수치는 뇌의 피질하 회백질에서 수분 항상성을 방해하며, 심방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 및 바소프레신 증가와 관련된 저나트륨혈증을 통해 뇌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7][17]
신경독성 메커니즘실험 연구들은 MSUD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신경병증과 BCAA 및 BCKA 축적 사이의 신경독성 효과를 보여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MSUD와 관련된 신경독성은 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세포 생체 에너지 변화 (미토콘드리아의 시트르산 회로 교란), 산화 스트레스, 그리고 염증성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들은 다양한 생체 지표의 변화를 통해 확인된다.

신경독성 측면관련된 생체 지표 변화
세포 생체 에너지젖산 수치, 크레아틴 수치, NAD+/NADH 비율, ATP피루브산 농도,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활성, 크레아틴 키나아제(CK) 활성 등
산화 스트레스글루타티온(GSH), 말론디알데히드(MDA), 총 항산화 반응(TAR), 산화 질소, DNA 산화 손상 수치,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GPS),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 카탈라아제(CAT),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효소 활성 등
염증성 상태인터루킨-6(IL-6), 인터루킨-10(IL-10), 인터루킨-1 베타(IL-1β), 종양 괴사 인자 감마(TNF-γ),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1(sICAM-1), 가용성 혈관 세포 부착 분자-1(sVCAM-1), 카텝신 수치 등



이러한 신경독성 변화는 신경 세포의 세포 자멸사 경로를 활성화시켜 뇌 세포 사멸 및 형태학적 변화를 초래한다.

5. 증상

단풍시럽뇨병(MSUD)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르며, 잔존 효소 활성도와 크게 관련되어 있다.[11]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소변이나 귀지에서 나는 메이플 시럽과 같은 단 냄새, 신경학적 문제, 정신 질환, 수유 곤란, 대사성 산증 등이 있다.[12]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는 대사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4]

신생아의 경우, 출생 후 첫 며칠 동안은 정상으로 보이다가 점차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으로는 식욕 감퇴, 보챔, 소변에서의 특이한 냄새 등이 있으며, 며칠 내로 젖을 빠는 반사가 사라지고 발육 부진, 고음의 울음소리, 몸이 경직되거나 무기력해지는 증상을 보인다.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어 경련, 혼수 상태에 이르거나 사망할 수 있다. 때로는 발육 장애가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 되기도 한다.

단풍시럽뇨병은 증상의 발현 시기, 심각성, BCKAD 복합 효소 활성 수준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3][6]

'''단풍시럽뇨병 유형별 특징'''
유형발병 시기효소 활성도 (정상 대비)주요 증상
생후 3~10일[7][37] | 2% 이하[7] | 출생 후 12시간 내 귀지에서, 1주일 내 소변에서 메이플 시럽 냄새. 수유 곤란, 구토, 과민성, 무기력증, 무호흡, 발작, 산증, 뇌병증[8]. 신경 증상(아테토시스, 과다근육긴장증, 경직, 후궁반장), 혼수[9]. 치료 없을 시 중추신경계 기능 부전, 호흡 부전으로 사망[9]. 장기적으로 골다공증, 췌장염, 두개내 고혈압, 지적 능력 제한, 행동 문제 가능[9]
5개월 ~ 7세[9] | 3~8%[3] | 고전형과 유사하나 증상이 더 경미함[3]. 메이플 시럽 냄새, 산증, 발달 지연[8]. 스트레스나 질병 시 악화 가능
1~2세 또는 이후[8] | 8~15% | 평소 정상적인 성장과 지적 발달[8]. 스트레스, 단식, 감염, 고단백 섭취 시 증상 발현: 운동실조, 반혼수, 무기력증, 메이플 시럽 냄새[8][9]. 대사성 위기(발작, 혼수, 뇌 손상) 가능[9]
티아민 반응성 (Thiamine-responsive MSUD) | 다양 (신생아기 드묾)[9] | 다양 | 중간형과 유사한 증상(산증, 발달 지연)[8]. 다량의 티아민 투여 시 효소 활성 증가[9]
다양 | 다양[8] | E3 소단위체 결핍. 수유 곤란, 발달 지연, 산증, 뇌병증, 간부전. 조기 사망 가능[8]



일부 환자는 위의 분류 기준에 명확히 맞지 않아 분류되지 않은 단풍시럽뇨병으로 진단될 수 있다.[9]

질병의 심각성에 따라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도 있다.[10] 나이가 많은 환자가 치료를 받지 않거나 대사 위기를 겪을 경우, 부적절하고 극단적이며 변덕스러운 행동과 기분 변화, 환각, 식욕 부진, 체중 감소,[10] 빈혈, 설사, 구토, 탈수, 무기력증,[10] 진동하는 과다긴장증과 저긴장증,[10] 운동실조,[10] 발작,[10] 저혈당증, 케톤산증, 후궁반장, 췌장염,[3] 급격한 신경학적 상태 악화, 혼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10] 치료하지 않으면 뇌부종으로 인해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10] 또한, 단풍시럽뇨병 환자는 단순한 감염에도 비정상적인 경과를 보이며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임상 증상과 소변에서의 특징적인 단 냄새로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때로는 전형적인 유형의 신생아에게서 이관(귀)을 면봉으로 닦아 메이플 시럽 냄새를 확인하기도 한다. 드물게 증상이 없는 건강한 소아나 성인의 소변이나 땀에서 메이플 시럽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원인은 불명확하지만 이 경우에도 단풍시럽뇨병의 경미한 유형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6. 진단

단풍시럽뇨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하므로, 생후 24시간 내에 신생아의 발뒤꿈치에서 채혈하여 검사하고 2~3일 내에 결과를 얻는 것이 이상적이다.[6] 몇몇 변형된 유형은 선별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질환이 의심되는 모든 신생아에게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결과가 양성이거나 양성이 의심되면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초기 진단은 임상 증상과 소변에서의 특징적인 단 냄새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전형적인 유형의 신생아에게서 이관을 면봉으로 닦아 메이플 시럽 냄새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냄새는 sotolon|소토론eng이라는 화합물에서 비롯된다.[3] 간혹 증상이 없는 건강한 소아나 성인의 소변이나 땀에서 메이플 시럽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는데,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이들도 단풍시럽뇨병의 경미한 유형인지 확인해야 한다.
신생아 선별 검사는 단풍시럽뇨병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탄뎀 질량 분석법: 생후 1~2일 된 신생아의 혈액을 분석하여 류신아이소류신의 혈중 농도를 다른 아미노산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분지쇄 아미노산(BCAA) 수치가 높은지 확인한다.[3]
  • 소변 분석: 신생아가 생후 2~3일이 되면 분지쇄 아미노산의 혈중 농도가 1000 μmol/L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어, 소변 내 분지쇄 알파-하이드록시아산과 알파-케토산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도 사용된다.[3]
  •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Bacterial inhibition assay (BIA)법을 이용한 HPLC로 혈중 류신 농도가 4 mg/dl 이상인 경우 단풍시럽뇨병으로 진단한다.[38]

확진 검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포함한다.

  • 혈액 및 소변 분석: 혈장과 소변의 분지쇄 아미노산(류신, 아이소류신, 발린), 알파-케토산, 알파-하이드록시산 농도 증가를 확인한다. 혈액과 소변의 유기산 분석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6]
  • 디니트로페닐히드라진(DNPH) 검사: 소변에 DNPH 시약을 첨가하여 황색 침전이 생기는지 확인한다. 동일한 양의 시약과 소변을 혼합하여 10분 후 노란색-흰색 침전물이 나타나면 양성이다.[7]
  • 기타 실험실 연구: 기체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BCKAD(분지쇄 알파-케토산 탈수소 효소) 활성 측정, 분자 유전학적 검사 등이 포함된다.[7] 오늘날에는 특징적인 냄새가 없더라도 혈장 아미노산 수치의 특징적인 상승을 통해 진단하는 경우가 많다.[10]

산전 진단도 가능하다. 선호되는 방법은 분자 분석으로, 융모막 융모 세포나 양막 세포에서 BCKAD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돌연변이 분석을 시행한다. 양수 내 BCAA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18]

신생아 선별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거나 결과가 위음성인 경우, 또는 양성 결과 후 치료받지 않은 경우 임상 소견으로 진단될 수 있다. 출생 12시간 후 단풍 시럽 냄새가 나타나고, 4~5일 후에는 뇌병증 악화, 무기력증, 불규칙한 무호흡증, 후궁반장 및 "펜싱", "자전거 타기"와 같은 특징적인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7~10일 후에는 호흡 부전과 혼수가 발생할 수 있다.[20]

단풍시럽뇨병은 임상 증상의 패턴이나 유전적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장 흔하고 심각한 형태는 고전적인 유형이며, 그 외 중간형, 간헐형, 티아민 반응성, E3 결핍형 등이 있다.[6][21] 이러한 유형 분류는 발병 시기, 증상 심각도, BCKAD 복합 효소 활성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3] 중간형 MSUD 환자 대부분은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발견되지만, 나중에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고전형과 유사한 혈장 BCAA 농도를 보일 수 있으나, 류신 내성이 더 좋고 급성 대사성 대상부전 시 집중적인 영양 지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심각한 대사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22]

2014년 5월 9일, 영국 국가 선별 위원회(UK NSC)는 단풍시럽뇨병을 포함한 4가지 유전 질환에 대해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영국 국민 건강 서비스(NHS) 신생아 혈액 검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선별 검사를 실시할 것을 권고했다.[19] 이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 185,0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정 유전적 배경을 가진 집단에서는 발생 빈도가 더 높다.[5]

7. 치료

질환이 확진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단풍시럽뇨병 신생아의 초기 치료 목표는 혈중 가지사슬 아미노산(BCAA) 수치를 신속히 낮추는 것이다. 중증 상태이거나 급성 대사 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과도한 BCAA와 알파-케토산을 제거하기 위해 복막 투석, 혈액 투석, 혈액 여과, 또는 교환 수혈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고칼로리 수액 투여도 중요하다.[25][26]

단풍시럽뇨병의 가장 핵심적인 치료는 평생에 걸친 엄격한 식이 요법이다. 류신, 이소류신, 발린 세 가지 BCAA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이 아미노산들은 육류, 콩류, 달걀, 유제품 등 거의 모든 천연 단백질 식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섭취하는 모든 음식의 단백질 함량을 주의 깊게 계산하고 개인의 허용 수준을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부족한 다른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오메가-3 지방산 등을 보충하기 위해, 이 세 가지 BCAA가 제거된 특수하게 제조된 분유(대사 조제 분유 또는 치료용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27] 이 특수 분유는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며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섭취해야 한다. 필요한 칼로리를 일반 식품으로 충분히 얻기 어려울 경우, 특수 저단백질 쌀, 파스타, 제빵 믹스 등을 처방받을 수 있으며, 때로는 단백질이 없는 탄수화물 분말을 추가하여 칼로리를 보충한다. 충분한 칼로리 섭취는 근육 단백질의 이화 작용을 막아 대사 위기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식이 관리는 일반적으로 전문 영양사와 상담하여 진행한다.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대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혈액 검사를 통해 혈중 류신, 이소류신, 발린 농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목표 혈중 농도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5세 이하 소아의 류신(LEU) 농도는 75-200 mmol/L, 5세 이상은 75-300 mmol/L를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소류신(ILE)과 발린(VAL) 농도는 이상적으로 200-400 mmol/L 사이를 유지하여 대사 균형을 맞추고 BCAA 결핍을 피해야 한다.[24] 소변 검사(DNPH 시약 또는 특수 시험지 사용)를 통해 케톤 배출 여부를 확인하여 대사 이상 징후(대사 보상 저하)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정기적인 대사 상담과 영양 평가도 중요하다.

일부 환자는 비타민 B1(티아민) 치료에 반응을 보이는 '티아민 반응형' 단풍시럽뇨병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고용량의 비타민 B1(하루 최소 10mg, 때로는 100mg까지)을 투여하면 효소 활성이 증가하여, 엄격한 식이 제한을 다소 완화하고 상대적으로 더 많은 단백질 섭취가 가능해질 수 있다.

감염, 질병, 외상, 수술 등 신체적 스트레스나 부적절한 식이 관리로 인해 혈중 BCAA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급성 대사성 보상 부전(대사 위기)이 발생할 수 있다.[7] 식욕 부진, 구토, 설사, 기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치료가 필요하며, 정맥 주사를 통한 포도당 및 수액 공급, 비위관 영양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급성기 치료 목표는 체내 단백질 분해를 멈추고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것이다.[3] 음식 거부, 특수 분유 섭취 거부, 편식 등은 단풍시럽뇨병 환자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며, 일부 환자는 영양 튜브를 통해 필요한 영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급받아야 할 수도 있다.

간 이식은 단풍시럽뇨병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이식을 통해 간의 분지사슬 알파-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BCKAD) 기능이 정상화되어[28] 엄격한 식이 제한 없이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해지고, 잦은 혈액 검사나 칼로리 섭취 모니터링 등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이식은 어린 나이에 시행될수록 성공률이 높지만, 대수술 자체의 위험, 면역억제제 장기 복용에 따른 부작용, 이식 거부 반응의 가능성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간 이식으로 임상 증상은 정상화되지만, 유전 질환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므로 환자는 여전히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다. 간 이식을 받지 않는 경우, 평생 엄격한 식이 요법을 준수해야 한다.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두 경우 모두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 없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단풍시럽뇨병 여성이 임신한 경우, 태아의 정상적인 발달과 산모의 건강을 위해 임신 기간 동안 더욱 철저한 혈중 아미노산 농도 관리와 식이 조절이 필요하며, 태아의 성장 발달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3][29]

8. 예방

BCKD 유전자 결함 사본을 두 개 가진 아이에게서 단풍시럽뇨병(MSUD)의 발병 자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하지만 유전 상담을 통해 부부가 DNA 검사를 받아 질병 발생 가능성을 미리 확인할 수는 있다. 또한 임신 중 산전 DNA 검사를 통해 태아가 단풍시럽뇨병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23]

9. 예후

단풍시럽뇨병은 치료하지 않으면 정신지체, 신체적 불구,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장기적으로는 신경학적 문제의 위험이 있으며,[30] 여기에는 ADHD, 불안, 우울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11]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은 대사 조절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중추신경계 기능 부전 및 호흡 부전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조기에 진단하고, 가지사슬 아미노산 함량이 낮은 단백질 제한 식단을 유지하며, 혈액 검사를 통해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대사 위기 시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발달 지연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31] 다만, 인지 발달은 일반 인구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인지 지연의 정도는 질환이 진단되지 않은 기간이나 대사 위기 시를 포함하여 식이 조절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와 관련이 있다.[25]

10. 역학

단풍시럽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출생아 185,000명당 약 1명꼴로 발생하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32] 그러나 특정 창시자 집단에서는 발병률이 훨씬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올드 오더 메노나이트 공동체에서는 출생아 200명당 1명꼴로 단풍시럽뇨병 환아가 태어난다.[32]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방식으로 유전되므로, 근친혼이 많은 인구 집단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33] 단풍시럽뇨병은 모든 민족 집단에서 발생하며,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없다.[33] 일본에서는 약 40만 명에서 50만 명 중 1명꼴로 발생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자 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33], 여러 국가에서 신생아 선별 검사(NBS)를 통해 단풍시럽뇨병을 확인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의 5개 주, 유럽 22개국, 아시아-태평양 8개국, 라틴 아메리카 2개국 등이 선별 검사를 시행 중이다.[32]

11. 연구 동향

단풍 시럽 뇨병 (MSUD)을 유발하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극복하기 위한 유전자 치료법 연구가 진행 중이며, 동물 연구에서는 이미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이 치료법은 단풍 시럽 뇨병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정상적인 복제본을 만들어 바이러스 벡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벡터를 환자에게 정맥 내 주사로 한 번 투여하면, 간세포가 이 벡터를 흡수하여 영향을 받는 유전자의 기능적 복제본을 발현하게 된다. 이를 통해 BCAA가 제대로 분해되어 독성 물질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34]

약물 치료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페닐아세테이트/벤조산나트륨 또는 페닐부티르산나트륨은 2011년 2월 임상 시험에서 BCAA 수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페닐부티르산 치료는 특정 MSUD 환자 그룹에서 BCAA와 해당 BCKA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켜, 가능한 보조 치료법으로 제시되었다.[35]

또한, 단풍 시럽 뇨병으로 인한 신경독성을 완화하기 위한 표적 치료법 연구도 환자 치료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2]

참조

[1] 논문 Computational structural genomics and clinical evidence suggest BCKDK gain-of-function may cause a potentially asymptomatic maple syrup urine disease phenotype 2024-05
[2] 논문 Pathophysiology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Focus on the neurotoxic role of the accumulated branched-chain amino acids and branched-chain α-keto acids https://linkinghub.e[...] 2022-07
[3] 논문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s://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2020
[4] 논문 Newborn Screening: What Does the Emergency Physician Need to Know? 2015-09
[5] 웹사이트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ghr.nlm.nih.g[...]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7-07
[6] 논문 Maple syrup urine disease: mechanisms and management 2017-09-06
[7]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07-25
[8] 논문 Markers associated with inborn errors of metabolism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and their relevance to upper levels of intake in healthy people: an implication from clinical and molecular investigations on maple syrup urine disease 2005-06
[9] 웹사이트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s://rarediseases[...]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 2019-12-13
[10] 간행물 Maple Syrup Urine Disease OMIM
[11] 논문 Implications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in Newborns 2017-06
[12] 논문 Neonatal maple syrup urine disease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2022-12
[13] 논문 Brain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Maple Syrup Urine Disease: Implications for Neurological Disorders 2020-10-11
[14] 간행물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24-08-02
[15] 서적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12-13
[16]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9-05
[17]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ple syrup disease: a study of 36 patients 2002-06
[18] 웹사이트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Workup: Laboratory Studies https://emedicine.me[...] 2024-07-31
[19] 웹사이트 New screening will protect babies from death and disability https://www.gov.uk/g[...]
[20] 간행물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24-07-31
[21] 논문 Maple syrup urine disease: it has come a long way 1998-03
[22] 논문 Challenges in Diagnosing Intermediate Maple Syrup Urine Disease by Newborn Screening and Functional Validation of Genomic Results Imperative for Reproductive Family Planning 2021-05
[23] 웹사이트 Maple syrup urine disease https://www.nhs.uk/c[...] 2024-07-31
[24] 논문 Nutrition management guideline for maple syrup urine disease: an evidence- and consensus-based approach 2014-07
[25] 서적 Inborn Metabolic Diseases: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3-14
[26] 논문 Utility of hemodialysis in maple syrup urine disease 2002-04
[27] 논문 A new protein substitute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28] 논문 Treatment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Benefits, risks, and challenges of liver transplantation 2023-10
[29] 논문 Successful pregnancy in maple syrup urine diseas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8-05
[30] 논문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Genetic Basis of Key Metabolic Disorders: A Review 2022-09
[31] 논문 Neurological damage in MSUD: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2014-03
[32] 논문 Maple syrup urine disease: mechanisms and management 2017-09-06
[33] 웹사이트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Clinical Presentation: History, Physical, Causes https://emedicine.me[...] 2024-08-01
[34] 웹사이트 MSUD infographic - gene therapy https://www.msud-sup[...] Penn Medicine 2019-12-13
[35] 논문 Phenylbutyrate therapy for maple syrup urine disease 2011-02
[36] 보고서
[37] 보고서
[38] 내용
[39] PDF ロイシン・イソロイシン・バリン除去ミルク配合散 http://database.japi[...] 雪印乳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