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뼈 조직의 미세 구조가 손상되어 뼈가 약해지고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환자 수가 증가하며, 50세 이상 여성과 남성에게서 흔하게 발생한다. 골다공증 자체는 무증상이지만,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척추, 고관절, 손목 등에서 취약성 골절이 나타날 수 있다. 골다공증은 뼈 흡수와 뼈 형성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여성의 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가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위험 인자로는 고령, 여성, 유전적 요인, 낮은 체중, 흡연, 과도한 음주, 영양실조, 비타민 D 결핍 등이 있으며, 교정 가능한 요인들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은 골밀도 측정과 FRAX를 이용한 골절 위험 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생활 습관 개선, 영양 섭취,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골절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특히 고관절 골절은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은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조기 예방 및 치료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분비 질환 - 애디슨병
애디슨병은 부신 기능 저하로 코르티솔이 부족하여 피로, 체중 감소, 저혈압, 피부색소침착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평생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 내분비 질환 - 고알도스테론증
고알도스테론증은 혈액 내 알도스테론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원발성 고알도스테론증은 부신 문제, 속발성 고알도스테론증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의 과활성화, 가성 고알도스테론증은 감초 섭취 등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며, 고혈압, 저칼륨혈증, 근육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골다공증 | |
---|---|
질병 개요 | |
![]() | |
진료 분야 | 류마티스학 내분비학 정형외과 |
증상 | 골절 위험 증가 |
합병증 | 만성 통증 |
발병 시기 | 노년기 |
위험 요인 | 알코올 의존증 거식증 유럽 또는 아시아 민족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위장 질환 난소 외과적 제거 신장 질환 담배 흡연 특정 약물 |
진단 | 골밀도 검사 (DEXA 스캔) |
예방 | 균형 잡힌 식단 운동 낙상 예방 금연 |
치료 | 균형 잡힌 식단 운동 낙상 예방 금연 |
약물 | 비스포스포네이트 |
빈도 | 50세: 15% 80세 이상: 70% |
한국어 명칭 | |
질병 이름 | 골다공증 |
국제 질병 분류 기호 (ICD) | |
ICD-10 | M80-M82 |
ICD-9 | 733.0 |
온라인 자료 | |
메들린플러스 | 000360 |
의학주제표목 (MeSH) | D010024 |
2. 역학
생활 수준 향상과 의학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10%가 골다공증으로 골격 부피가 줄어든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환자 발생률과 의료비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동양 여성은 서양 여성에 비해 골밀도가 낮고, 폐경기 여성의 절반 정도가 척추 골절을 겪는 등 골다공증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골다공증 자체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는 경우가 흔하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골절이 일어나지 않을 상황(예: 서 있는 높이에서 넘어짐)에서 발생하며, 이를 취약성 골절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취약성 골절은 척추, 갈비뼈, 고관절, 손목 등에서 발생한다.[15]
골다공증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체중, 신장, 경제 수준, 학력, 가사 활동 등이 있으며, 여성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초경 연령, 폐경 및 폐경 연령, 임신 횟수, 수유 방법, 수유 기간, 피임약 복용 등이 있다. 생활 양식 및 내과적 질환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모계 가족력, 흡연, 과도한 음주와 카페인 섭취, 적은 칼슘 섭취, 운동 부족, 특정 약물의 장기적 복용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자각 증상이 없는 미수진자를 포함하여 1,100만 명 이상의 골다공증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60대 여성의 1/3, 70대 여성의 1/2가 골다공증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50세 이상 여성의 21.2%, 남성의 6.3%가 골다공증을 앓고 있으며, 이는 약 5억 명에 해당한다.[190]
골다공증은 나이가 들수록 더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50세 이후에 흔하게 나타난다(유병률이 50세에 약 2%에서 80세에 거의 50%로 증가).[189]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생산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영향을 미친다.[189]
2010년 유럽 연합에서 약 2200만 명의 여성과 550만 명의 남성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었다.[12] 같은 해 미국에서는 약 800만 명의 여성과 100만~200만 명의 남성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었다.[13][14] EU는 골다공증 관련 의료 비용으로 연간 370억유로를 지출하고 있으며, 미국은 연간 약 190억달러를 지출하고 있다.[199]
3. 징후 및 증상
척추 골절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요통, 종종 방사통(신경근 압박으로 인한 쏘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드물게 척수 압박 또는 마미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여러 척추 골절은 구부정한 자세, 신장 감소, 만성 통증 및 이동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19]
고관절 골절은 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등의 위험이 있어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하며, 골다공증과 관련된 고관절 골절로 인한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20]
4. 발생 요인
정상적인 뼈는 파골 세포에 의한 골 흡수와 골아 세포에 의한 새로운 골 형성, 그리고 무기질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기관이다. 뼈의 대사 과정은 3~4개월의 주기를 가진다. 성장기에는 골 형성이 골 흡수보다 많아 골량이 증가하며, 30대에 최대 골량을 형성한다. 이후 연령이 증가하면서 골 형성보다 골 흡수가 늘어나 해마다 0.4~2%의 골밀도가 감소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골 흡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해마다 1~5%의 빠른 뼈 손실을 겪게 된다.
뼈는 칼슘 염 등의 골염(bone mineral content)과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골 기질이 정연하게 배치됨으로써 강도를 유지한다. 골아세포에 의한 골 형성과 파골 세포에 의한 골 흡수에 의해 항상 오래된 골 기질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갱신 작업(turn-over)을 통해서도 그 강도를 유지한다.
성장기에는 정상적으로 골 형성이 우세하며, 20대에 뼈에 포함된 골 기질의 양, 즉 골밀도가 정점을 맞이한다.[204] 그러나 성장 과정에서 골 형성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적절한 힘을 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20대라도 골밀도가 그다지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205] 노화에 따라 점차 골 형성 속도가 쇠퇴하며, 여성은 폐경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이 급감하고, 남성도 매우 고령이 되면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기 때문에 골 흡수가 활발해진다. 골다공증은 골 형성에 대한 골 흡수의 상대적인 항진에 의해 뼈가 약해지는 병태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원래 뼈의 양이 적기 때문에 형성·흡수의 균형이 무너졌을 때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대퇴골이나 척추골의 골절은 고령자의 와병의 원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골절에 의해 생활의 질(QOL)은 현저하게 저하된다.
4. 1. 발병 기전
골다공증의 근본적인 기전은 뼈 흡수와 뼈 형성 사이의 불균형이다.[95][96] 정상적인 뼈에서는 뼈의 기질 리모델링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모든 뼈 질량의 최대 10%가 어느 시점에서든 리모델링을 겪을 수 있는데, 이 과정은 1963년 프로스트(Frost)와 토마스(Thomas)가 처음 기술한 뼈 다세포 단위(BMU)에서 일어난다.[97] 파골 세포는 전사 인자 PU.1의 도움을 받아 뼈 기질을 분해하는 반면, 골아 세포는 뼈 기질을 재건한다. 파골 세포가 골아 세포가 뼈를 재건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뼈 기질을 분해할 때 뼈 질량 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95][98]
골다공증이 발생하는 세 가지 주요 메커니즘은 부적절한 최대 골량(골격이 성장하는 동안 충분한 질량과 강도를 발달시키지 못함), 과도한 뼈 흡수, 리모델링 중 새로운 뼈 형성 부적절이며, 이는 중간엽 줄기 세포가 골아 세포에서 멀어져 골수 지방 세포 계열로 편향되기 때문일 수 있다.[99] 이 세 가지 메커니즘의 상호 작용이 약한 뼈 조직 발달의 근본 원인이다.[33] 호르몬 요인은 뼈 흡수 속도를 강력하게 결정한다. 에스트로겐 부족(예: 폐경의 결과)은 뼈 흡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체중 부하 뼈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뼈 침착을 감소시킨다. 이 과정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에스트로겐의 양은 일반적으로 자궁과 유방을 자극하는 데 필요한 양보다 적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α형은 뼈 회전을 조절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33] 에스트로겐 외에도 칼슘 대사는 뼈 회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칼슘과 비타민 D의 결핍은 뼈 침착을 손상시킨다. 또한 부갑상선은 혈액 내 충분한 칼슘을 보장하기 위해 뼈 흡수를 증가시키는 부갑상선 호르몬(파라토르몬, PTH)을 분비하여 낮은 칼슘 수치에 반응한다. 뼈 침착을 증가시키는 갑상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칼시토닌의 역할은 덜 명확하며 PTH만큼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33]
파골 세포의 활성화는 다양한 분자 신호에 의해 조절되며, 그중 RANKL (수용체 활성제 핵 인자 카파-B 리간드)이 가장 잘 연구된 것 중 하나이다.[96] 이 분자는 골아 세포 및 기타 세포(예: 림프구)에 의해 생성되며 RANK (핵 인자 κB의 수용체 활성제)를 자극한다.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은 RANK가 RANKL에 결합하여 뼈 흡수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억제하기 전에 RANKL에 결합한다. RANKL, RANK 및 OPG는 종양 괴사 인자 및 그 수용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Wnt 신호 전달 경로의 역할은 인식되지만 덜 이해된다. 에이코사노이드 및 인터류킨의 국소 생산은 뼈 회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매개체의 과도하거나 감소된 생산이 골다공증 발달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다.[33] 파골 세포 성숙 및 활성은 또한 집락 자극 인자 1 수용체 (CSF1R)의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100] 폐경 관련 TNF-α 생산 증가는 기질 세포가 집락 자극 인자 1 (CSF-1)을 생산하도록 자극하여 CSF1R을 활성화하고 파골 세포가 뼈를 재흡수하도록 자극한다.[101]
잔기둥 뼈 (또는 해면골)는 긴 뼈와 척추의 끝 부분에 있는 스펀지 같은 뼈이다. 피질 뼈는 뼈의 단단한 바깥쪽 껍질과 긴 뼈의 중앙 부분이다. 골아 세포와 파골 세포가 뼈 표면에 서식하기 때문에 잔기둥 뼈는 더 활동적이며 뼈 회전과 리모델링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뼈 밀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뼈의 미세 구조도 파괴된다. 잔기둥 뼈의 약한 스피큘이 부러지고("미세 균열") 더 약한 뼈로 대체된다. 일반적인 골다공증성 골절 부위인 손목, 엉덩이 및 척추는 피질 뼈에 대한 잔기둥 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 부위는 강도를 위해 잔기둥 뼈에 의존하므로 리모델링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강렬한 리모델링으로 인해 이 부위가 가장 많이 손상된다. 30~35세 전후에 해면골 또는 잔기둥 뼈 손실이 시작된다. 여성은 최대 50%까지 손실될 수 있고, 남성은 약 30%를 손실한다.[35]
5. 위험 인자
골다공증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체중, 신장, 경제 수준, 학력, 가사 활동 등이 있으며, 여성 관련 요인으로는 초경 연령, 폐경 및 폐경 연령, 임신 횟수, 수유 방법, 수유 기간, 피임약 복용 등이 있다. 생활 양식 및 내과적 질환 등의 요인으로는 모계 가족력, 흡연, 과도한 음주와 카페인 섭취, 적은 칼슘 섭취, 운동 부족, 특정 약물의 장기적 복용 등이 있다.
정상적인 뼈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와 조골세포에 의한 새로운 골기질 형성, 그리고 무기질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기관이다. 뼈 대사 과정은 3~4개월 주기로 일어나며, 성장기에는 뼈 생성이 뼈 흡수보다 많아 골량이 증가한다. 30대에 최대 골량을 형성한 후, 연령 증가에 따라 골 형성은 줄고 흡수가 늘면서 골밀도가 감소한다. 특히 여성은 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뼈 흡수가 증가하여 빠른 뼈 손실을 겪는다.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는 크게 교정 불가능 인자와 교정 가능 인자로 나눌 수 있으며, 특정 질환의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약물 치료는 이론적으로 교정 가능 인자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골다공증 위험을 증가시키는 약물 복용이 불가피하다. 카페인은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가 아니다. 골다공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취약하다.[245]
5. 1. 교정 불가능 인자
- 나이(고령)
- 성별(여성): 폐경 이후의 에스트로겐 부족 또는 수술에 의한 난소 제거는 뼈의 무기질 밀도의 급격한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다.[30][31] 남성의 경우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감소도 비슷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중요성이 덜 강조되고 있다.
- 엉덩관절 골절의 모계 가족력
- 출생 시 저체중
- 골다공증성 경향을 가진 질환 이환
- 인종: 골다공증은 모든 인종에서 일어나지만, 유럽계나 동양인이 더 많이 걸리는 경향이 있다.[32]
- 유전: 골절이나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더 높은 위험을 갖는다. 골절과 낮은 골밀도는 25%에서 80%의 높은 유전 가능성을 갖는다.[33] 적어도 30개 이상의 유전자가 골다공증 발달과 연관이 있다.
- 골절 경험: 골절 경험이 있는 사람은 성별, 나이가 같은 사람보다 또 다른 골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다.[34]
- 체격: 체격이 작은 사람이 골다공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35]
5. 2. 교정 가능 인자
- 자주 넘어짐
- 저체중(BMI < 21kg/m²)/활동 부족: 뼈재구성은 물리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활동을 많이 하지 않으면 골소실이 일어난다. 체중 부하 운동은 청소년기 최고 골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골강도와 근육의 강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저체중인 경우에 골다공증에 더 높은 위험이 있다.
- 약물 치료 (특히 비타민 D 불활성화를 일으키는 스테로이드 계통, 항경련제 계통의 약물)
- 원발성 혹은 이차성 무월경
- 조기 폐경
- 흡연: 흡연이 뼈의 건강 악화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많았지만, 그 기전은 불분명하다. 흡연이 조골세포(osteoblast)의 활성을 억제하며, 골다공증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라고 제시되어왔다. 흡연은 또한 외인성 에스트로겐의 분해, 체중 감소, 그리고 이른 폐경을 일으키는데, 이들은 모두 낮은 골밀도의 원인이 된다.[247]
- 과도한 음주: 술을 조금 섭취하는 것은 골밀도를 높여서 이로울 수 있지만, 만성적인 과음은 골절 위험을 높일 수 있다.
- 영양실조: 영양 섭취는 좋은 뼈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고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확인된 위험 인자로는 칼슘, 인, 마그네슘, 아연, 붕소, 철분, 불소, 구리, 비타민 A, 비타민 K, 비타민 E, 비타민 C의 섭취 부족이 있다. 나트륨의 과도한 섭취도 위험 인자이다. 혈액의 산도가 높은 것은 뼈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단백질 섭취가 적은 경우에는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모두 있었다. 오메가-6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의 불균형 또한 위험 인자로 분류된다.
- 비타민 D 결핍: 비타민 D의 결핍은 노인들 사이에서 흔하다. 비타민 D의 부족은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증가와 연관이 있다. PTH는 골흡수를 증가시켜서 골소실을 일으키므로 골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혈청 내 1,25-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수치와 골밀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247]
- 만성 신부전: 만성 신장 질환은 신성 골 이영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64]
6. 분류
골다공증은 크게 원발성 골다공증과 속발성 골다공증으로 나뉜다.[26] 원발성 골다공증은 폐경 후 골다공증과 노인성 골다공증으로 나뉜다. 속발성 골다공증은 류마티스 관절염, 신부전 등 특정 질환이나 스테로이드, 제산제, 갑상선 치료제 등의 약물 장기 복용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특정 약물은 골다공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항경련제가 있다.
-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과 유사하며 주로 축성 골격을 포함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처방약인 프레드니손은 장기간 복용 후 주요 원인이다.[71]
- 바르비투르산염, 페니토인 및 기타 일부 효소 유도 항간질제: 비타민 D의 대사를 가속화할 수 있다.[74]
- L-티록신 과도한 보충: 갑상선 중독증과 유사하게 골다공증에 기여할 수 있다.[58]
- 항응고제: 헤파린의 장기간 사용은 골밀도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75] 와파린 (및 관련 쿠마린)은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76]
- 프로톤 펌 억제제: 위산 생성을 억제하여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77]
- 티아졸리딘디온: 로시글리타존과 피오글리타존 등은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78]
- 만성적인 리튬 치료: 골다공증과 관련이 있다.[58]
6. 1. 원발성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분류되며, 원발성은 다시 폐경 후 골다공증과 노인성 골다공증으로 나뉜다.폐경 후 골다공증(제1형 골다공증)은 여성이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겪는 골다공증이다. 주로 소주골이 줄어들며, 골밀도는 폐경 후 매년 5% 정도 감소하여 70세까지 폐경 전 수준의 50%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파골세포에 의한 뼈 흡수가 폐경 전에 비해 매우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원래 뼈의 양이 적기 때문에, 골 형성과 흡수의 균형이 무너지면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노인성 골다공증(제2형 골다공증)은 노화와 관련된 변화로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며, 서서히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다. 노화에 따라 골 형성 속도가 쇠퇴하고, 남성의 경우 고령이 되면 테스토스테론 양이 감소하여 에스트로겐 양도 감소하므로 골밀도 저하로 이어진다.[208]
원발성 골다공증은 폐경이나 노화에 따라 발병하는 골다공증을 지칭하며, 골다공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에스트로겐 감소에 따른 파골세포 억제 기능 약화가 주요 원인이다. 여성의 경우, 성장기에 충분한 골염 축적과 20대 이후 골밀도 유지를 위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6. 2. 속발성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신부전, 내분비 질환(성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쿠싱 증후군,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과 같은 특정 질환이 있거나, 스테로이드, 제산제, 갑상선 치료제 등을 장기간 복용했을 때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골다공증을 속발성 골다공증이라고 한다.[26]속발성 골다공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 | 원인 |
---|---|
질환 | |
약물 |
7. 예방
골다공증은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발생 위험 요인(생활 양식)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스는 골 형성을 촉진하고 골다공증 진행 속도를 늦춘다. 금연과 절주가 권장되며,[175] 셀리악병 환자는 글루텐 프리 식단을 준수하면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118]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권장된다.[229]
- 적정 체중 유지 및 마름 방지
- 적절한 운동
- 영양 지도, 영양소 섭취
- 흡연 및 과도한 음주 피하기
- 낙상 예방
'미국 류마티스 학회의 스테로이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권고'에서는 전신성 스테로이드를 3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생활 지도와 평가가 필요하다고 권고하고 있다.[227]
- 적절한 체중 부하 운동
- 금연
- 과도한 음주 자제
- 칼슘 및 비타민 D 영양 지도
- 낙상 위험 평가
-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을 이용한 기초 평가
- 혈청 칼시디올(25(OH)D) 측정 (한국에서는 건강보험 미적용)
- 기초 신장 평가
- 취약 골절 평가
- 프레드니솔론 5mg/day 상당 이상의 용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척추 골절의 X선 평가를 고려
-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제의 전신 투여가 3개월 이상인 경우, 칼슘 1200 - 1500 mg/day 섭취
-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제의 전신 투여가 3개월 이상인 경우, 비타민 D 보충제 복용
세계 보건 기구(WHO)는 동물성 단백질과 나트륨 섭취 증가가 칼슘 필요량을 늘리고,[230] 채소와 과일 섭취가 뼈 건강에 좋다고 밝혔다.[231]
7. 1. 영양
골다공증 환자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D를 균형 있게 섭취해야 한다. 칼슘은 하루 1,000~1,500mg, 비타민 D는 하루 400 IU(결핍 위험이 높은 여성은 800 IU)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 D는 햇빛을 통해 체내 합성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며, 칼슘은 유제품, 견과류, 해조류, 등푸른 생선, 콩류 등에 풍부하다.세계 보건 기구(WHO)는 2002년에 동물성 단백질과 나트륨 섭취 증가가 칼슘 필요량을 늘린다고 언급했으며,[230] 2007년에는 단백질로 인한 산 부하가 있고, 칼륨을 포함한 채소와 과일 섭취가 뼈 건강에 좋다고 밝혔다.[231] 채소와 과일 섭취량이 많을수록 골밀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2][233][234][235]
셀리악병 환자는 글루텐 프리 식단을 통해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줄이고[118] 골밀도를 높일 수 있다.[60] 칼슘 섭취(하루 1g 이상)와 비타민 D 수치 측정 및 보충제 섭취도 권장된다.[118]
비타민 K 결핍 또한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 요소이다.[129] 감마-글루타밀 카르복실라제 (GGCX) 유전자는 비타민 K에 의존적이며, 이 유전자의 기능적 다형성은 뼈 대사 및 BMD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0] 비타민 K2는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131]
칼슘의 식이 공급원에는 유제품, 잎채소, 콩과 식물 및 콩이 있다.[132]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는 19~50세에게는 1,000mg, 50세 이상에게는 1,200mg의 칼슘 섭취를 권장한다.[133]
일본인의 평균 칼슘 및 비타민 D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적으므로, 골다공증 환자는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칼시디올(25(OH)D) 농도로 평가하며, 15ng/ml(37.5 nmol/l) 이상이면 충분하다. 칼슘은 유제품, 정어리, 마른 새우, 재첩 등에, 비타민 D는 정어리 등의 생선과 표고버섯, 목이버섯 등의 버섯류에 많다. 햇빛을 통해 비타민 D를 합성할 수도 있다.[236]
7. 2. 운동
체중 부하 운동(걷기, 조깅, 계단 오르기 등)과 근력 운동(저항 운동)은 골밀도 유지 및 증가에 도움을 준다.[147] 운동은 뼈 형성 세포(조골세포)를 활성화하고 골 흡수를 억제하여 골다공증 예방에 기여한다.[155]특히, 신체 운동은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140] 골절 위험을 약간 감소시킬 수 있다(절대 차이 4%).[136] 체중 부하 운동은 골격에서 적응 반응을 일으켜,[137] 골모세포 활동을 촉진하고 골밀도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8]
세계 보건 기구(WHO)는 균형 및 이동성 훈련과 체중 부하 운동, 점진적 저항 훈련, 자세 운동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다중 구성 요소 운동을 권장한다(일반적으로 최적의 영양 섭취와 함께).[143]
운동 종류별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 종류 | 효과 |
---|---|
걷기, 태극권과 같은 가벼운 동적 하중 운동 | 요추 골밀도 상승[229] |
조깅, 댄스, 점프 등 강한 동적 하중 운동 | 대퇴골 근위부 골밀도 상승[229] |
걷기, 조깅, 댄스, 점프의 조합 | 요추 및 대퇴골 근위부 양쪽 모두에 효과[229] |
사이클링과 수영은 체중 부하 운동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나이 관련 골 손실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전문 사이클 경주는 골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4]
낙상 예방을 위해 근력 강화 트레이닝, 균형 강화 트레이닝, 지구력 훈련 등을 조합한 운동 요법은 넘어짐률을 20% 정도 억제하고,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보고도 있다.[25]
8. 치료
골다공증 치료는 생활 양식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8. 1. 생활 양식 개선
골다공증 환자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D를 균형 있게 섭취해야 한다. 칼슘은 하루 1,000~1,500mg, 비타민 D는 하루 400IU(결핍 위험이 높은 여성은 800IU)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 D는 햇빛을 통해 체내 합성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유제품, 견과류, 해조류, 등푸른 생선, 콩류 등이 있다.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개선이 권장된다.[229]
항목 | 내용 |
---|---|
적정 체중 유지 | 마른 체형은 골다공증 위험을 높인다. |
규칙적인 운동 | 걷기, 태극권과 같은 가벼운 운동은 요추 골밀도 증가에 효과적이다.[229] |
조깅, 댄스, 점프 등 강한 운동은 대퇴골 근위부 골밀도 증가에 효과적이다.[229] | |
체중 부하 운동은 골격에서 적응 반응을 일으켜 골밀도를 보호한다.[137][138] | |
척추 골절을 겪은 사람들의 경우, 운동은 신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줄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146] | |
균형 잡힌 식단 | 칼슘: 하루 700~800mg 섭취 (식품으로 섭취).[229] 유제품, 정어리, 마른 새우, 재첩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
비타민 D: 하루 400~800IU (10~20μg) 섭취.[229] 정어리 등의 생선, 표고버섯, 목이버섯 등의 버섯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 |
비타민 K: 하루 250~300μg 섭취.[229] | |
세계 보건 기구(WHO)는 단백질로 인한 산 부하와 칼륨을 포함한 채소와 과일 섭취가 뼈 건강에 유익하다고 밝혔다.[230][231] | |
금연 및 절주 |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골다공증 위험을 높인다.[175] |
낙상 예방 | 주거 환경 개선: 장애물, 헐거운 카펫 제거.[25] |
정신과 약물(특히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강압제 등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약물 복용 시 주의.[25] | |
백내장, 녹내장 등 시력 문제, 평형 장애, 운동 장애 (예: 파킨슨병), 치매 등 낙상 위험 요인 관리.[25] | |
기타 | * 글루텐 프리 식단은 셀리악병 환자의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줄인다.[118][60] |
2010년 미국 류마티스 학회는 스테로이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전신 스테로이드를 3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생활 지도를 권고한다.[227]
- 적절한 체중 부하 운동
- 금연
- 과도한 음주 자제
- 칼슘 (1200~1500mg/day) 및 비타민 D 영양 지도
- 낙상 위험 평가
8. 2. 약물 치료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에는 여성호르몬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비스포스포네이트, 부갑상선호르몬 등을 사용한다.[71][72]- 골 흡수 억제제:
- 비스포스포네이트: 파골세포의 기능을 감소시켜 뼈 흡수를 억제한다. 척추 골절, 다발성 척추 골절, 고관절 골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입증되었다.[71]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뼈에는 여성호르몬 효현제로 작용하여 뼈 손실을 억제하고, 심장, 자궁, 유방, 뇌에는 여성호르몬 길항제로 작용하여 여성호르몬제의 위험을 줄인다. 하지만 혈관 운동성 증상, 심부 정맥 혈전증, 다리 경련, 우울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71]
- 여성호르몬제: 파골세포를 억제하여 뼈 손실을 감소시키고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절 발생률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관상동맥질환, 유방암, 혈전증, 뇌졸중 등의 위험이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71]
- 데노수맙: 항RANKL 항체로, 파골세포의 활동을 억제하여 골 흡수를 억제한다. 6개월에 한 번 근육 주사하며, 비타민 D·칼슘·마그네슘 합제와 병용이 필요하다. 투여 중단 후 다발성 척추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71]
- 골 형성 촉진제:
- 부갑상선호르몬(PTH): 간헐적으로 투여할 때 조골세포의 분화 증대와 세포사멸 억제 효과가 있어 뼈의 미세구조를 개선하고 강도를 증대시킨다. 특히 척추뼈의 골절 위험을 감소시킨다.[71]
- 테리파라티드: 유전자 재조합 인간 PTH(1-34) 제제로, 뼈 생성 촉진 효과가 뛰어나다. 피하 주사로 투여하며, 골절이나 뼈 괴사의 치유 촉진 효과가 있지만, 오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71]
- 로모소주맙: 스크레로스틴과 결합하여 골 형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저해하는 약제이다. 골 형성을 촉진하고 뼈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 달에 한 번, 12개월간 피하 투여한다.[71]
- 기타 약물:
- 활성형 비타민 D3 제제: 칼슘 섭취량이 적은 경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데칼시톨, 알파칼시돌 등이 사용된다. 칼슘 제제와 병용 시 고칼슘혈증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71]
- 칼시토닌 제제: 칼시토닌과 엘카토닌이 있으며, 골다공증에 수반되는 통증 완화에 사용된다.[71]

- 비타민 K2 제제: 메나테트레논이 있으며, 오스테오칼신 합성에 필수적이다.[71]
- 칼슘 제제: 탄산 칼슘, 젖산 칼슘 등 다양한 제제가 있으며, 골다공증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된다.[71]
- 플라보노이드계 제제: 이프리플라본이 있다.[71]
골다공증 치료제는 환자의 상태와 위험 요인에 따라 선택되며,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다.
약물 | 골밀도 증가 | 척추 골절 방지 | 비척추 골절 예방 | 종합 평가 |
---|---|---|---|---|
알렌드로네이트 | A | A | A | A |
리세드로네이트 | A | A | A | A |
랄록시펜 염산염 | A | A | B | A |
에티드로네이트 | A | B | B | B |
활성형 비타민 D3 제제 | B | B | B | B |
칼시토닌 제제 | B | B | C | B |
비타민 K2 제제 | B | B | B | B |
여성 호르몬 제제 | A | A | A | C |
칼슘 제제 | C | C | C | C |
- A: 강력히 권장됨, B: 권장됨, C: 권장할 근거가 없음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의 경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프레드니손이 주요 원인이다. 예방을 위해 칼슘 또는 비타민 D를 사용하기도 한다.[71]
그 외에도 바르비투르산염, 페니토인 등 일부 항간질제, L-티록신, 아로마타제 억제제, 항응고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 티아졸리딘디온, 리튬 등이 골다공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58][74][75][76][77][78]
9. 진단
골다공증은 일반 방사선 촬영과 골밀도 (BMD) 측정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102] 골밀도 측정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이다. 골밀도가 비정상적으로 낮게 나오면, 혈액 검사 등을 통해 골다공증의 원인을 파악한다.[103] 이를 통해 뼈로 전이된 암, 다발성 골수종, 쿠싱 증후군 등 다른 질병이 있는지 확인한다.[103]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은 골다공증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로 여겨진다. DXA 검사 결과 골밀도가 젊은 (30~40세[5]:58) 건강한 성인 여성의 평균보다 2.5 표준편차 이하일 때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이 수치는 T-점수로 표시된다. 그러나 골밀도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므로, 고령층에서 골다공증 환자가 더 많다.[5]:58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 포스(USPSTF)는 65세 이상 모든 여성에게 골밀도 검사를 권장하며,[112] 골절 위험 요인이 있는 더 젊은 여성에게도 검사를 권장한다.[112] 남성의 경우 골다공증 검사의 유해성과 이점에 대한 정보는 아직 부족하다.[112]
일본 후생노동성 등에 따르면, 일본 내 골다공증 환자 수는 고령화와 함께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는 사람까지 포함하면 1,1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령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환자의 80%는 여성이다. 60대 여성 3명 중 1명, 70대 여성 2명 중 1명이 골다공증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많은 경우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없어 골절을 겪고 나서야 골다공증을 알게 된다.
미국에서는 약 3,000만 명이 골다공증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가이드라인 2015년판』에는 골다공증 검진 대상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지만,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 포스(USPSTF)는 65세 이상 여성을 검진 대상으로 권고하고 있다.
9. 1. 골밀도 측정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 또는 DEXA)은 골밀도를 측정하는 표준 검사법으로, 골다공증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로 여겨진다.[5]:58 DXA는 2 종류의 서로 다른 X선을 뼈에 투과시켜 뼈와 다른 조직의 X선 흡수율 차이를 이용해 골밀도를 측정한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DXA를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기준을 다음과 같이 확립했다.[5][24]분류 | T-점수 범위 | 젊은 여성 기준 비율 |
---|---|---|
정상 | T-점수 ≥ −1.0 | 85% |
골감소증 | −2.5 < T-점수 < −1.0 | 14% |
골다공증 | T-점수 ≤ −2.5 | 0.6% |
중증 골다공증 | T-점수 ≤ −2.5 및 취약 골절[24] |
T-점수는 젊은(30~40세[5]:58) 건강한 성인 여성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한 표준편차 값이다. 그러나 골밀도는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므로, 고령층에서 골다공증 환자가 더 많아진다.[5]:58
일본 골대사 학회는 요추(L1 - L4 또는 L2 - L4)와 대퇴골 근위부 양쪽을 측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척추 골절 유무에 대한 요추 DXA의 민감도는 71.2%, 특이도는 97.2%이다. 대퇴골 근위부 DXA는 민감도 33.8%, 특이도 97.2%로, 척추 골절에는 척추 DXA가 더 유용하다. 단, 척추 압박 골절이 있으면 겉보기 골밀도가 높아지므로, 요추 X선 촬영으로 압박 골절 유무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정량적 전산화 단층 촬영(QCT)은 피질골과 해면골의 골밀도를 আলাদাভাবে 측정하여, 정확한 부피 골밀도(mg/cm3)를 제공한다. QCT는 축 방향 및 말초 부위에서 수행 가능하고, 기존 CT 스캔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에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DXA보다 방사선량이 높고, 장비가 크고 비싸며, 결과가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02]
정량적 초음파(QUS)는 휴대 가능하고 방사선 노출이 없으며, 측정과 장비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102] 주로 종골을 측정하며, 성인, 어린이, 신생아, 미숙아에게도 적용 가능하다.[102] 경골을 측정하는 초음파 장치도 있다.[111] 그러나 초음파 측정은 결과의 편차가 커서 골다공증 진단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9. 2. 골절 위험 평가 도구
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08년에 10년 이내의 대퇴골 근위부 골절과 주요 골다공증성 골절(대퇴골 근위부 골절, 상완골 근위부 골절, 요골 원위단 골절, 임상적 척추 골절)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한 도구이다.[116] FRAX에 의한 골절 위험 평가는 유럽, 미국, 아시아, 호주에서의 10개 코호트 연구에서 검토된 12가지 골절 위험 인자로 계산된다.[116] 대상 연령은 40~90세 성인이다.[116]위험 인자 |
---|
연령, 성별, 체중, 신장 |
골절력, 부모의 대퇴골 근위부 골절력 |
현재 흡연,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 사용 |
류마티스 관절염, 속발성 골다공증 |
하루 3단위 이상의 음주, 대퇴골 근위부 골밀도 |
위험 요소로는 대퇴골 근위부 골절의 가족력이 가장 높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 사용, 골다공증성 골절의 병력이 이어진다.[116]
JPOS(Japanese Population-Based Osteoporosis)에서는 일본어판 FRAX로 계산된 10년 이내의 골절 위험과 실제로 10년간 추적 관찰한 시점의 골절률을 비교하여, 양자 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FRAX는 일본의 의료 현장에서도 실용 가능하다고 여겨진다.[116] FRAX에는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 항목이 있지만, 이 항목을 사용하지 않아도 계산된 골절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골밀도를 측정할 수 없는 진료소에서도 이용 가능하다.[116]
FRAX의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7가지가 지적되고 있다.[116]
FRAX의 문제점 |
---|
제작 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음 |
입력 가능한 골밀도가 대퇴골 근위부에 한정되어 척추 골절 평가에 불충분할 수 있음 |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의 사용량과 사용 기간이 고려되지 않음 |
대퇴골 근위부 골절의 가장 큰 원인인 낙상이 위험 인자에 포함되지 않음 |
골절력에서 골절 수나 부위가 고려되지 않음 |
프로톤 펌프 억제제, 항우울제, 항응고제, 루프 이뇨제 등 기타 골절 위험을 높이는 약물 사용이 고려되지 않음 |
40~90세 성인을 대상으로 하므로 그 외의 연령에서는 이용할 수 없음 |
9. 3. 골대사 표지자
골대사 표지자는 골 흡수 및 골 형성 지표를 측정하여 골 대사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뼈의 분해는 화학적 생체 지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카텝신 K 효소는 뼈의 주요 구성 성분인 1형 콜라겐을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신생 에피토프를 항체로 인식하여 골다공증 진단에 활용한다.[109] 1형 콜라겐 분해 산물인 C-텔로펩티드의 요중 배설량 증가 또한 골다공증의 생체 지표로 사용된다.[110] 골 흡수 마커에는 DPD, NTX, TRACP-5b가 있으며, 골 형성 마커에는 BAP, P1NP가 있다.10. 합병증
골다공증은 자체로는 증상이 없지만, 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골절이 발생하지 않을 상황에서 발생하므로 취약성 골절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취약성 골절은 척추, 갈비뼈, 고관절, 손목 등에서 발생한다.[15]
골절은 골다공증의 흔한 합병증이며,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16] 특히 노인의 급성 및 만성 통증은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이는 추가적인 장애 및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17]
척추 골절은 갑작스러운 요통과 방사통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척수 압박이나 마미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여러 번의 척추 골절은 척추가 앞으로 굽는 척추후만증(꼽추)을 유발하여 키가 줄어들고 만성 통증 및 이동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19]
고관절 골절은 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등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골다공증 관련 고관절 골절은 사망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20]
WHO 분류 | 50–64세 | 64세 이상 | 전체 |
---|---|---|---|
정상 | 5.3 | 9.4 | 6.6 |
골감소증 | 11.4 | 19.6 | 15.7 |
골다공증 | 22.4 | 46.6 | 40.6 |
골다공증 환자는 골절로 인해 사망률이 증가하지만, 골절 자체가 치명적인 경우는 드물다. 고관절 골절은 이동성 감소와 폐렴 등의 합병증 위험을 높인다. 50세 이상 고관절 골절 후 6개월 사망률은 약 13.5%이며, 상당수가 이동에 완전한 도움이 필요하다.[184]
척추 골절은 사망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심한 만성 통증과 척추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드물게 여러 척추 골절로 인해 내부 장기가 압박되어 호흡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건강 관련 삶의 질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185] 골다공증은 매년 수백만 건의 골절을 유발하며, 주로 요추, 고관절, 손목에 발생한다. 남성의 경우 늑골 골절도 흔하다.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척추 압박 골절 시 골 시멘트를 주입하여 찌그러진 척추를 복원하는 시술이다.[240]
11.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파골 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고, NF-κB 활성 수용체 리간드(RANKL) 발현과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에스트로겐과 달리, 스테로이드성 골다공증은 골세포와 골아세포의 세포자멸사가 주요 병태이다.[241] 골세포와 골아세포의 세포자멸사는 골형성을 억제하여 골량뿐만 아니라 골질도 저하시킨다. 초기에는 뼈 내부의 해면골에서 골량·골질 저하가 발생하여 척추 압박 골절을 일으키고, 이후 바깥쪽 피질골에도 영향이 나타나 대퇴골 경부 골절이나 전자부 골절을 유발한다.
같은 골밀도에서도 스테로이드 사용자는 비사용자보다 골절 위험이 높다. 스테로이드성 골다공증의 골절 위험은 전신 투여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 용량에 의존적이며, 총 투여량보다 현재량이 골절 위험과 상관관계가 있다.[241]
일본 골대사학회는 『스테로이드성 골다공증 관리와 치료 가이드라인 2014년 개정판』을 발표했고,[241] 미국 류마티스 학회는 2010년에 『스테로이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권장사항』을 개정하여 발표했다.[227] 스테로이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신성 스테로이드 사용량과 기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국소 스테로이드 호르몬 제제나 다른 기전의 약물 사용 등 전신성 스테로이드 사용량을 줄일 방법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미국 류마티스 학회의 권장사항에서는 안전역이 없으므로, 전신성 스테로이드를 3개월 이상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사람에게 생활 지도를 권장한다. 생활 지도 후에는 "폐경 후 여성 또는 50세 이상 남성", "폐경 전 여성 또는 50세 이하 남성"으로 나누어 치료 권장이 제시된다.
스테로이드 골다공증은 프레드니솔론 7.5mg/day 이상 복용 환자군에서 조기에 골절 위험이 높으므로, 스테로이드 시작 직후부터 예방이 필요하다.[242] FRAX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는 프레드니솔론 5 - 7mg/day 상당량 이상, 사용 기간 3개월 이상, T-score -1.0~-1.5 이하인 환자군이 주로 치료 대상이었다.[243] 골절 위험이 높은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장기 투여가 불가피하며, 비교적 위험이 높은 경우 테리파라타이드는 알렌드로네이트보다 요추 골밀도를 높이고 새로운 압박 골절을 예방할 가능성이 있지만, 척추체 이외 골절에 대한 유용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골다공증의 경우 정기적인 골밀도 측정 등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골절 발생 시 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andout on Health: Osteoporosis
http://www.niams.nih[...]
2014-08-01
[2]
논문
Osteoporosis: scree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https://zenodo.org/r[...]
2015-05-01
[3]
웹사이트
Osteoporosis
https://www.niams.ni[...]
2017-04-07
[4]
웹사이트
Clinical Challenges: Managing Osteoporosis in Male Hypogonadism
https://www.medpaget[...]
Ziff Davis
2018-06-04
[5]
서적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01-01
[6]
논문
Alen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08-01-01
[7]
논문
Rise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22-05-01
[8]
논문
Eti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24-04-09
[9]
논문
Association Between Drug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Overall Mortality Rates: A Meta-analysis
2019-08-01
[10]
웹사이트
Chronic rheumatic conditions
https://www.who.int/[...]
[11]
논문
Osteoporosis in developing countries
2008-08-01
[12]
논문
Osteoporosis in the European Union: a compendium of country-specific reports
2013-01-01
[13]
논문
Estimating prevalence of osteoporosis: examples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2014-01-01
[14]
논문
The clinical epidemiology of male osteoporosis: a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2015-01-01
[15]
웹사이트
Osteoporosis
https://www.niams.ni[...]
National Institute of 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and Skin Disease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12-01
[1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Education
2018-02-06
[17]
논문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in the elderly
http://www.aafp.org/[...]
2004-01-01
[18]
논문
Identification of prevalent vertebral fractures using Vertebral Fracture Assessment (VFA) in asymptomatic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7-01
[19]
논문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of the spine; current op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reatment
[20]
논문
Changing trends in the mortality rate at 1-year post hip fracture - a systematic review
2019-03-01
[21]
웹사이트
Fracture Risk Calculator
http://courses.washi[...]
2009-10-01
[22]
논문
A New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EM) Based on Public Health Registries
2018-11-01
[23]
논문
Administrative healthcare data applied to fracture risk assessment
2019-03-01
[24]
서적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01-01
[25]
논문
Will my patient fall?
[26]
웹사이트
Osteoporosis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7]
논문
An overview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2017-03-01
[28]
논문
Risk factors for low bone mass in healthy 40–60 year old wome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9-01-01
[29]
서적
Anatomy & Physiology
Openstax CNX
[30]
논문
Novel insights in the regulation and mechanism of androgen action on bone
[31]
논문
Testosterone and the male skeleton: a dual mode of action
[32]
논문
Epidemiology worldwide
[33]
논문
Pathogenesis of osteoporosis: concepts, conflicts, and prospects
2005-12-01
[34]
논문
History of fractures as predictor of subsequent hip and nonhip fractures among older Mexican Americans
[35]
서적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6]
논문
Osteoporosis and its management
2006-12-00
[37]
논문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both osteoporotic fracture and bone density
[38]
논문
Osteoporosis: the role of micronutrients
[39]
논문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men
[40]
논문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use and fragility fractures among US adults
2021-01-00
[41]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and women
1993-09-00
[42]
논문
Smoking and fracture risk: a meta-analysis
2005-02-00
[43]
논문
The effects of smoking on bone health
2007-09-00
[44]
논문
Nutrition in Bone Health Revisited: A Story Beyond Calcium
2000-12-00
[45]
논문
Ratio of n−6 to n−3 fatty acid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adults: the Rancho Bernardo Study
[46]
논문
Protein intake and bone health: an umbrell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for the evidence-based guideline of the German Nutrition Society
2023-08-00
[47]
논문
Influence of muscle strength on bone strength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48]
논문
Bone, body weight, and weight reduction: what are the concerns?
2006-06-01
[49]
논문
Bone-Mineral Density and Other Features of the Female Athlete Triad in Elite Endurance Runners: A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http://journals.huma[...]
2010-10-00
[50]
논문
Nutritional and exercise-related determinants of bone density in elite female runners
[51]
논문
Low bone mass and high bone turnover in male long distance runners
[52]
논문
Bone metabolism in endurance trained athletes: A comparison to population-based controls based on DXA, SXA, quantitative ultrasound, and biochemical markers
[53]
논문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testosterone in chronically trained, high mileage 40–55 year old male runners
[54]
논문
Environmental exposure to cadmium, forearm bone density, and risk of fractures: prospective population study.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Exposure to Cadmium (PheeCad) Study Group
[55]
논문
Colas, but not other carbonated beverages, are associated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56]
논문
Soft drinks in schools
[57]
논문
Proton-pump inhibitors and risk of fractures: an update meta-analysis
2016-01-00
[58]
웹사이트
ICSI Health Care Guidel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5th edition
http://www.icsi.org/[...]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2006-07-00
[59]
논문
Clinical practice. Osteoporosis in men
[60]
Review
Management of endocrine disease: Secondary osteoporosi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2015-09-00
[61]
논문
Update on pediatric bone health
2009-01-00
[62]
Review
The role of calcium in human aging
2015-01-00
[63]
EMedicine
Osteoporosis
[64]
웹사이트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lecturio[...]
2021-08-24
[65]
논문
Three cases of multicentric carpotarsal osteolysis syndrome: a case series
2018-09-00
[66]
논문
Multicentric Osteolysis, Nodulosis, and Arthropathy in two unrelated children with matrix metalloproteinase 2 variants: Genetic-skeletal correlations
2021-12-00
[67]
서적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00-00
[68]
웹사이트
Hypophosphatasia Case Studies: Dangers of Misdiagnosis
http://www.hypophosp[...]
2014-08-05
[69]
논문
Osteoporosis in Parkinson's disease
[70]
논문
Mitochondria, calcium and cell death: A deadly triad in neurodegeneration
[71]
서적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http://bookshop.rcpl[...]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2011-10-03
[72]
논문
Calcium and vitamin D for corticosteroid-induced osteoporosis
1998-04-27
[73]
논문
Preven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tic fractures
2007-02-01
[74]
논문
Anti-epileptic medication and bone health
[75]
논문
Heparin and osteoporosis during pregnancy: 2002 update
[76]
논문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taking warfarin: results from the National Registry of Atrial Fibrillation 2
[77]
논문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and risk of hip fracture
[78]
논문
Effects of thiazolidinediones on bone loss and fracture
[79]
논문
Pregnancy and Lactation Associated Osteoporosis
2022-05-01
[80]
논문
Bone metabolism and osteoporosi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2022-12-01
[81]
논문
Pregnancy-Associated Osteoporosis: Does the Skeleton Recover?
2000-05-01
[82]
논문
Gestational osteoporosis: Myth or true?
2024-01-30
[83]
논문
Pregnancy-associated osteoporosis
1996-08-01
[84]
논문
The perils of being bipedal
[85]
논문
Human evolution and osteoporosis-related spinal fractures
[86]
논문
Calcium in evolutionary perspective
[87]
서적
The Aging Spine
2005
[88]
논문
Bone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al features of the common osteoporotic fracture sites
2014-09-01
[89]
논문
Bone mechanical properties and changes with osteoporosis
2016-06-01
[90]
논문
Whole bone mechanics and mechanical testing
2008-07-01
[91]
논문
The fracture mechanics of human bone: influence of disease and treatment
2015-09-02
[92]
논문
Bone quality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and disease: a review
2017-12-01
[93]
논문
Reduced tissue-level stiffness and mineralization in osteoporotic cancellous bone
2014-08-01
[94]
논문
Effects of bone matrix proteins on fracture and fragility in osteoporosis
2012-06-01
[95]
논문
Fun facts about bones: More than just scaffolding
2022-02-23
[96]
논문
The Osteocyte: New Insights
2020-02-01
[97]
서적
Bone Remodeling Dynamics
[98]
논문
Genome-wide approaches for identifying genetic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2013-01-01
[99]
논문
The Role of Bone Marrow Fat in Skeletal Health: Usefulness and Perspectives for Clinicians
2015-10-01
[100]
논문
Recent Advances of Colony-Stimulating Factor-1 Receptor (CSF-1R) Kinase and Its Inhibitors
2018-07-01
[101]
논문
Immune regulation of osteoclast function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 critical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2012-01-01
[102]
논문
Imaging tools transform diagnosis of osteoporosis
https://www.diagnost[...]
2010-05-06
[103]
논문
Secondary osteoporosis
2016-06-01
[104]
논문
Radiologic bone assessment in the evaluation of osteoporosis
https://www.aafp.org[...]
2002-04-01
[105]
논문
Radiological diagnosis of osteoporosis
1997-01-01
[106]
논문
Thoracic kyphosis: range in normal subjects
1980-05-01
[107]
논문
Sagittal profiles of the spine
1986-09-01
[108]
논문
Official position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109]
논문
The role of cathepsins in osteoporosis and arthritis: rationale for the design of new therapeutics
[110]
서적
Osteoporosis: Diagnosis and Management
Taylor and Francis
[111]
웹사이트
Bindex, a Radiation-Free Device for Osteoporosis Screening, FDA Cleared
https://www.medgadge[...]
Medgadget
2016-05-27
[112]
논문
Screening for Osteoporosis to Prevent Fracture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8-06-01
[113]
논문
Screening for osteoporosi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1-03-01
[114]
간행물
100 most recent Archives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Bone fragility: preventing fractures
http://english.presc[...]
2017-04-01
[115]
웹사이트
2013 ISCD Official Positions – Adult –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ISCD)
http://www.iscd.org/[...]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ISCD)
2013
[116]
논문
The Osteoporosis Self-Assessment Tool versus alternative tests for selecting postmenopausal women for bone mineral density assessment: a comparative systematic review of accuracy
2009-04-01
[117]
논문
Building healthy bones throughout life: an evidence-informed strategy to prevent osteoporosis in Australia
https://eprints.qut.[...]
2013-10-01
[118]
Review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coeliac disease: guidelines from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2014-08-01
[119]
논문
Menopausal hormone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https://pubmed.ncbi.[...]
2021-12-01
[120]
논문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21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https://pubmed.ncbi.[...]
2021-09-01
[121]
논문
How to manage osteoporosis after the menopause
https://www.scienced[...]
2005-12-01
[122]
논문
Drugs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https://secure.medic[...]
2014-09-29
[123]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Vitamin D, Calcium, or Combined Supplementation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Fractures in Community-Dwelling Adults: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8-04-01
[124]
웹사이트
Final Recommendation Statement Vitamin D, Calcium, or Combined Supplementation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Fractures in Community-Dwelling Adults: Preventive Medication
https://www.uspreven[...]
USPSTF Program Office
[125]
논문
Calcium intake and risk of fracture: systematic review
2015-09-01
[126]
논문
Patient level pooled analysis of 68 500 patients from seven major vitamin D fracture trials in US and Europe
2010-01-01
[127]
논문
Vitamin D and vitamin D analogues for preventing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lder men
2014-04-01
[128]
논문
Calcium and vitamin D for increas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2023-01-01
[129]
논문
Vitamin K and Bone Health: A Review on the Effects of Vitamin K Deficiency and Supplementation and the Effect of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on Different Bone Parameters
2019-12-31
[130]
논문
GGCX-Associated Phenotypes: An Overview in Search of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2017-01-01
[131]
논문
Genetic aspects of osteoporosis
2010-11-01
[132]
웹사이트
Preventing and Reversing Osteoporosis
https://www.pcrm.org[...]
[133]
웹사이트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Calcium and Vitamin D –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 NCBI Bookshelf
https://www.ncbi.nlm[...]
[134]
논문
Dietary protein and bone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m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17-06-01
[135]
논문
Evidence on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ention for people aged 65+ years: a systematic review to inform the WHO guidelines 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2020-11-01
[136]
논문
Exercis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2011-07-01
[137]
논문
Skeletal adaptations to alterations in weight-bearing activity: a comparison of models of disuse osteoporosis
2002-01-01
[138]
논문
Osteocyte Mechanobiology
2017-08-01
[139]
논문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s position statement on peak bone mass development and lifestyle factors: a systematic review and implementation recommendations
2016-04-01
[140]
논문
Exercise training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with emphasis on potential moderators
2023-07-01
[141]
논문
Strong, steady and straight: UK consensus statement on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or osteoporosis
2022-05-01
[142]
논문
Position statement: Exercise guidelines for osteoporosis management and fall prevention in osteoporosis patients
2023-05-01
[143]
논문
Exercise and peak bone mass
2020-06-01
[144]
논문
Swimming and cycling do not cause positiv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a systematic review
2016-01-01
[145]
웹사이트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steoporosis
https://www.nogg.org[...]
National Osteoporosis Guideline Group UK
2021-09-01
[146]
논문
Exercise for improving outcomes afte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2019-07-01
[147]
논문
Exercise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n evidence-based guide to the optimal prescription
2019-03-01
[148]
논문
Effects of Multicomponent Exercise Training on the Health of Older Women with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10-30
[149]
논문
A 12-week exercise program improves functional status i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randomized controlled study
https://www.minervam[...]
2021-02-01
[150]
논문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fall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7-01
[151]
논문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in preventing falls and fractur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2-01
[152]
논문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and bone health in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8-01
[153]
논문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Bone Angiogenesis
2019-04-18
[154]
논문
Physical exercise and osteoporosis: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on bone and physical function of postmenopausal women
https://www.scielo.b[...]
2014-07-01
[155]
서적
Histology, Osteoblast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15
[156]
논문
Osteoporosis management in post-menopausal women
https://pubmed.ncbi.[...]
2012-06-01
[157]
논문
Exercis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https://www.cochrane[...]
2011-01-01
[158]
논문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steoporosis: a consensus of the Belgian Bone Club
2011-11-01
[159]
논문
European guidan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2019-01-01
[160]
논문
Osteoporosis: nonpharmacologic management
2011-06-01
[161]
논문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 Clinical Review
2018-09-01
[162]
논문
New Frontiers in Osteoporosis Therapy
2020-01-01
[163]
논문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where do we go from here?
2012-05-01
[164]
논문
Bisphosphonate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condary osteoporosis
2007-10-01
[165]
논문
Safety issues with bisphosphonate therapy for osteoporosis
2014-01-01
[166]
논문
Managing Osteoporosis in Patients on Long-Term Bisphosphonate Treatment: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16-01-01
[167]
논문
Bisphosphonates for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A Bayesian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11-19
[168]
논문
The assessment and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steoporosis after admission for minimal-trauma fracture at a major metropolitan centre
2020-12-01
[169]
논문
Approved treatments for osteoporosis and what's in the pipeline
2010-05-01
[170]
논문
Osteoporosis Treatment Efficacy for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3-01
[171]
논문
Fluoride for treating postmenopausal osteoporosis
2000-01-01
[172]
논문
Effects of treatment with fluorid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risk--a meta-analysis
2008-03-01
[173]
논문
Effect of teriparatid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2-02-01
[174]
논문
Strontium ranelat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ostmenopausal osteoporosis
2006-10-01
[175]
논문
How to manag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76]
논문
Treatment of Low Bone Density or Osteoporosis to Prevent Fractures in Men and Wome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pdat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17-06-01
[177]
웹사이트
Background Document for Meeting of Advisory Committee for Reproductive Health Drugs and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
https://www.fda.gov/[...]
FDA
2013-03-01
[178]
웹사이트
Alendronic acid: medicine to treat and prevent osteoporosis
https://www.nhs.uk/m[...]
2018-08-24
[179]
논문
The role of osteoanabolic agent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osteoporosis
2022-08-01
[180]
웹사이트
FDA approves new treatment for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t high risk of fracture
https://www.fda.gov/[...]
2020-03-24
[181]
웹사이트
Osteoporosis – primary prevention (TA160) : Alendronate, etidronate, risedronate, raloxifene and strontium ranelate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gility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http://guidance.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11-01-01
[182]
논문
Chinese herbal medicines for treating osteoporosis
2014-03-01
[183]
논문
Low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burden in postmenopausal women
[184]
논문
Mortality and locomotion 6 months after hospitalization for hip fracture: risk factors and risk-adjusted hospital outcomes
[185]
논문
Impact of recent fractur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186]
논문
The worldwide problem of osteoporosis: insights afforded by epidemiology
[187]
논문
Long-term risk of incident vertebral fractures
[188]
웹사이트
MerckMedicus Modules: Osteoporosis – Epidemiology
http://www.merckmedi[...]
Merck & Co., Inc
[189]
웹사이트
Osteoporosis − prevention of fragility fractures: How common is it?
https://cks.nice.org[...]
2023-04-01
[190]
웹사이트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and fragility fractures
https://www.osteopor[...]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24-02-08
[191]
논문
The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2020-05-01
[192]
논문
Primary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2015-03-01
[19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bone fractures in 204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9: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2021-09-01
[194]
논문
Defining ethnic and racial differences in osteoporosis and fragility fractures
2011-07-01
[19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hip fracture incidence and probability of fracture worldwide
2012-09-01
[196]
논문
The role of hyperhomocysteinemia as well as folate, vitamin B(6) and B(12) deficiencies in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197]
논문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men and premenopausal women with celia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2019-02-01
[198]
웹사이트
What People With Celiac Disease Need To Know About Osteoporosis NIH Osteoporosis and Related Bone Diseases National Resource Center
https://www.bones.ni[...]
[199]
웹사이트
The Global Burden of Osteoporosis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http://www.iofbonehe[...]
[200]
서적
Aging Bones: A Short History of Osteoporosis
JHU Press
2014
[201]
논문
Postmenopausal osteoporosis
[202]
논문
Vertebral Osteoporosis in Late Edo Japanese
1994
[203]
웹사이트
【特集】尻もちだけで?意外な骨折の原因と治療法、予防につながるストレッチ
https://www.nhk.or.j[...]
[204]
문서
골 리모델링 및 턴오버 설명
[205]
문서
무중력 상태와 골밀도 감소
[206]
문서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보충과 골밀도, 유방암 위험
[207]
문서
여성과 골다공증, 체중 감량의 위험성
[208]
문서
남성의 에스트로겐
[209]
논문
Endogenous sex steroid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women and men: the Rancho Bernardo Study
[210]
논문
[211]
논문
Loop Diuretic Use and Increased Rates of Hip Bone Loss in Older Men
[212]
간행물
その他の治療薬関連骨粗鬆症
[213]
논문
Effects of nicotine on cellular function in UMR 106-01 osteoblast-like cells
[214]
논문
The effect of nicotine on incorporation of cancellous bone graft in an animal model
[215]
논문
Cadmium accelerate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mice and fetal rat limb bones in culture
[216]
논문
Smoking increases bone loss and decreases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217]
논문
The influence of smoking on vitamin D status and calcium metabolism
[218]
논문
Increased 2-hydroxylation of estradiol as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anti-estrogenic effect of cigarette smoking
[219]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levels of adrenal and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220]
논문
The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adrenal cortical hormones
[221]
논문
Hip fracture and the use of est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Framingham Study
[222]
논문
Risk factors for hip fracture in white women: the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Research Group
[223]
서적
Women and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2001
[224]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tic fracture risk in older women: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Research Group
[225]
논문
The influence of smoking on vitamin D status and calcium metabolism
[226]
논문
The influence of thinness and smoking on bone loss and response to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227]
논문
2010-11
[228]
간행물
2007
[229]
간행물
骨粗鬆症の予防と治療ガイドライン2015年版
http://www.josteo.co[...]
一般社団法人 日本骨粗鬆症学会
2015-10-30
[230]
웹사이트
Chapter 11 Calcium
http://www.fao.org/d[...]
2002
[231]
서적
タンパク質・アミノ酸の必要量
http://apps.who.int/[...]
医歯薬出版
2009-05
[232]
논문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re an independent predictor of bone size in early pubertal children
http://www.ajcn.org/[...]
2004
[233]
논문
Dietary influences on bone mass and bone metabolism: further evidence of a positive link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bone health?
2000-01
[234]
논문
Potassium, magnesium,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1999-04
[235]
논문
Bone mineral density and dietary patterns in older adults: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http://www.ajcn.org/[...]
2002
[236]
문서
비타민D는 간장과 신장의 양쪽 모두에서 처리되어서야 비로소 활성형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이러한 장기가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237]
간행물
2007
[238]
논문
2013-08
[239]
논문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2002
[240]
웹사이트
압박골절과 경피적추체형성술
http://www.kameda.co[...]
2018-09-06
[241]
서적
스테로이드성 골다공증의 관리와 치료 가이드라인 2014년 개정판
[242]
논문
2002-10
[243]
논문
2015-02
[244]
서적
이타이이타이병 ―더 나아간 과학적 검증을―
책의 샘사
2014-07-08
[245]
웹인용
Handout on Health
https://www.niams.ni[...]
2016-02-28
[246]
저널
Osteoporosis: scree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2015-05
[247]
서적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248]
저널
Rise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08-01-23
[249]
저널
Alen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08-01-23
[250]
저널
Etidronate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2008-01-23
[251]
저널
Estimating prevalence of osteoporosis: examples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2014
[252]
저널
Osteoporosis in developing countries.
2008-08
[253]
저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보건연구원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골다공증 위험 29%↓ 효과"
보람바이오,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닥터비알’ 첫 선
숙명여대 약학연구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노화 치료제' 개발 나선다
`성별-생애주기' 따라 간호·돌봄 달라야 한다 [건강한겨레]
기침 한 번에도 무너지는 척추…“노화 아닌 질병 신호다” [건강한겨레]
‘최강 동안’ 장나라도 챙겨 먹는다…슬기로운 갱년기 영양제 생활
콩에 풍부한 심혈관질환·골다공증 예방 성분…청국장이 흡수율 최고
신장 고장에 골다공증까지…단백질 쉐이크 괴담 사실일까?
당뇨·고지혈증에 좋은 ‘걷는 법’ 따로 있다
단백질 쉐이크 먹은 2030으로 병원 박 터진다? 진짜인지 알아봄 / 스브스뉴스
국민 1인당 외래진료 연간 18회…OECD 3배 수준
고령화 가속…판 커지는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시장
농촌으로 찾아가는 의료 서비스, 왕진버스의 따뜻한 동행
[책과 삶] 늙고 싶지 않은 욕망, 그 맹목적 믿음과 환상
완경기, 되돌릴 수 없다면 호르몬 치료로 미래 대비하라 [건강한겨레]
“욕실 청소는 남편이나 아들에게 맡기라”
셀트리온, 골 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미 FDA 허가
[일주일 투자동향] 3월 11일~3월 15일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차 연구, 여성은 물론 남성에게도 도움”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