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미야마 다에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야마 다에코는 일본의 화가, 저술가, 사회 운동가로, 1921년 효고현 고베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했다. 만주에서 보낸 유년 시절 제국주의의 폐해를 경험하고 평화주의, 반전주의를 지향했으며, 1950년대부터 탄광 노동자, 한국의 민주화 운동, 일본의 전쟁 범죄 등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작품 활동을 펼쳤다. 특히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며 김지하 시인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 1978년부터 1993년까지 한국 입국이 금지되기도 했다. 그는 일본의 전쟁 책임과 아시아를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했으며, 2021년 대한민국 국민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백세인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일본의 백세인 - 노사카 산조
    노사카 산조는 일본의 공산주의 운동가로, 영국 유학 중 공산주의 활동을 시작하여 일본 공산당 창립에 참여했으며, 제2차 중일 전쟁 기간에는 중국에서 활동했고, 전후 일본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과거 동료 살해 연루 의혹으로 제명되었다.
  • 일본의 화가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화가 - 가쓰시카 호쿠사이
    가쓰시카 호쿠사이는 1760년 에도에서 태어나 70년 이상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1만 2천 점 이상의 작품을 제작했고, 대표작으로 《후지산 삼십육경》과 《가나가와 해변의 큰 파도》 등이 있으며 서양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고베시 출신 - 가네모토 고지
    가네모토 고지는 1990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여 3대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했고,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등을 지냈으며 '주니어 싸움짱'이라는 별명을 얻은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프리랜서 및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고베시 출신 - 가가와 도요히코
    가가와 도요히코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이자 사회운동가, 소설가로서, 빈민 구제, 노동 운동, 농민 운동, 협동조합 운동 등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전시에는 제국주의에 협력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고, 전후에는 정치 활동과 세계 평화 운동에 힘썼다.
도미야마 다에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미야마 다에코
도미야마 다에코
본명도미야마 다에코
출생일1921년 11월 6일
출생지고베 시, 효고 현, 일본
사망일2021년 8월 18일
사망지도쿄, 일본
국적일본
직업시각 예술가, 작가, 언론인, 삽화가
활동 기간1953년–2021년
알려진 작품슬라이드쇼, 일본 제국주의와 페미니즘 문제를 다룬 책과 예술 작품
대표 작품Prayer in Memory ~ Gwangju, May 1980 (기억 속의 기도 ~ 광주, 1980년 5월)
Memories of the Sea (바다의 기억)
Harbin: Requiem for the Twentieth Century (하얼빈: 20세기 레퀴엠)
학력
교육여자 미술 전문학교, 미술공예학원
출신 학교여자 미술 전문학교 중퇴
예술 활동
예술 분야서양화, 아동화, 리토그래프, 슬라이드 작품
사조민중 미술, 포비즘, 초현실주의, 탈식민주의, 나라티브 아트
운동정치적 예술가, 전후, 탄광, 제3세계, 한국 민주화 운동, 전쟁 책임, 페미니즘, 젠더
소속자유미술가협회 (1950년~1971년)
JAALA미술가회의 (1977년~)
후원자하정웅
개인사
배우자없음 (2번의 이혼)
자녀2명
부모영국 던롭 전 직원
수상
수상 내역대한민국 국민포장 (2021년, 대한민국 정부)
영향
영향을 준 예술가김지하, 다카하시 유지, 도야마 우사부로, 후쿠자와 이치로, 하세가와 사부로
기타
웹사이트tomiyamataeko.org

2. 생애

일본 효고현 고베시에서 태어났다.[95] 11세 때 아버지를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 다롄하얼빈에서 소녀 시절을 보냈다.[87] 이 시기 일본 제국의 만주 침략을 목격하며 제국주의, 전체주의, 군국주의의 폐해를 직접 경험했고, 이는 평생 평화주의와 반전주의 신념을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38년 하얼빈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돌아와 여자미술전문학교(현 여자미술대학)에 입학했으나 중퇴하였다.[9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화가로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지쿠호 탄광의 노동자들을 그리는 등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라틴 아메리카, 인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를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화가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하였다. 1970년대에는 한국의 시인 김지하[102]의 시에 깊은 공감을 느껴, 그의 시를 주제로 그림, 시, 음악을 결합한 슬라이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火種工房|히다네코보일본어'(불씨공방)[101]을 설립했다.

1971년 한국을 방문하여 재일교포 정치범 서승과 시인 김지하를 만나면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1974년 김지하 시인의 석방을 염원하며 《묶인 손의 기도》를 제작했고,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소식을 접한 뒤에는 큰 충격 속에서 《쓰러진 사람들을 위한 기도 1980년 5월 광주》를 완성하는 등 한국의 군사 독재를 비판하고 민주화를 지지하는 작품들을 꾸준히 발표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간 입국 금지 조치를 당하기도 했다.[104]

한국 문제뿐만 아니라, 《바다의 기억》 시리즈 등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전쟁 범죄, 특히 위안부 문제를 다루며 일본의 전쟁 책임을 묻는 작품 활동과 문필 활동을 병행했다. 1977년에는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민중과 연대하는 JAALA 미술가 회의 결성에 참여했으며, 1984년에는 그의 저서 『터져라! 봉선화』를 원작으로 도모토 노리아키 감독이 동명의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

2021년 6월,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을 수여받았다.[98] 같은 해 8월 18일, 도쿄 자택에서 노환으로 향년 99세에 별세하였다.[87][105][106]

2. 1. 초기 생애 (1921-1950)

1921년 11월 6일, 일본 제국 효고현 고베시에서 태어났다.[95] 11세 때 아버지를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87] 관동주 다롄만주국 하얼빈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이 시기 일본 제국의 만주 침략을 목격하며 제국주의, 전체주의, 군국주의의 폐해를 직접 경험하고 깨달았으며, 이는 훗날 그녀가 평화주의자이자 반전주의자가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38년 하얼빈 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돌아와 여자미술전문학교(현 여자미술대학)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93] 이후 1939년 도쿄의 조시비 여자 미술 대학(현 조시비 예술 디자인 대학)에 다시 입학했지만,[3][4][5][6][7] 프롤레타리아 예술에 대한 관심과 태평양 전쟁 격화 속 학교 방침과의 불일치로 인해 퇴학당했다.[3][4][5][6][7] 그 후 미술 평론가 도야마 우사부로가 운영하는 미술공예학원(美術工芸学院|비주쓰코게이가쿠인일본어)에 다니며 화가 후쿠자와 이치로 등에게 다다, 바우하우스, 초현실주의 등을 배웠다.[94][95][6][7]

2. 2. 작품 활동 초기 (1950-1970)

1950년대 초, 도미야마는 전쟁 중 다른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두 아이를 키우는 싱글맘이었다. 생계를 위해 프리랜서 삽화가이자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그림책 삽화 등을 그렸다.[6] 이 시기부터 저널리스트로서 일본 전역과 해외를 여행했고, 방문한 지역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예술로 표현하며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고자 했다. 여자미술전문학교를 중퇴한 후, 그녀의 공식적인 첫 작품 활동은 1950년대 초 규슈의 지쿠호 탄전 취재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탄광 노동자들의 삶과 노동 운동을 접하며 광산 풍경을 유화로 그렸고, 이 작품들은 1954년 긴자 시세이도 갤러리에서 열린 첫 개인전에 전시되었다.[7] 1950년대 중반부터는 풍경화 대신 광부의 모습을 직접 그리는 석판화 작업에 집중했다.[8]

1960년대에는 브라질, 칠레, 멕시코, 쿠바, 인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를 여행하며 취재 활동을 이어갔고, 이 경험들을 통해 화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했다. 1970년대에는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시를 주제로 그림, 시, 음악을 결합한 슬라이드 작품 제작을 위해 '불씨(火種|카슈일본어)공방'을 설립하며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시작했다.

2. 3. 한국과의 연대 (1970-1993)

1970년대 오사카 만국 박람회로 일본이 국제적 주목을 받던 시기, 도미야마는 1970년 서울로 향했다.[14] 그곳에서 한국 전쟁의 상처가 여전히 남아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마주했다. 1971년에는 한국을 방문하여 정치범 서승[14][15]시인 김지하를 만나면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14][15]

이후 김지하의 시를 읽으며 영감을 얻었고, 1974년 김지하서울대학교 학생 운동가들이 유신 체제 하에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자[15], 그의 석방을 호소하는 석판화 《묶인 손의 기도》를 제작했다. 이 작품은 일본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배경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검열되었다.[15] 이에 도미야마는 1976년 '불씨 공방'(火種工房, 히다네 코보)을 설립하여[16], 그림, 시, 음악을 결합한 멀티미디어 슬라이드 작품을 독자적으로 제작하고 보급하기 시작했다.[16] 이 슬라이드 작품들을 통해 김지하태국의 시인 짓 푸미삭의 시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소개했으며, 음악가 다카하시 유지, 사진작가 모토하시 세이이치, 배우 이토 소이치 등과 협력했다.[17]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소식을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아, 한 달 만에 슬라이드 작품 《쓰러진 사람들을 위한 기도 — 1980년 5월 광주》를 완성했다. 이 작품은 다카하시 유지의 음악과 함께 전두환 군부의 민주화 시위 진압을 고발하며 국제적인 반향을 일으켰다.[18]

1973년에는 성 관광 산업에 반대하는 '반(反) 기생 관광 운동'에 참여했다. 이는 일본 경제 기적 이후 부유해진 일본 남성들이 대한민국, 필리핀, 태국 등지로 성 관광을 떠나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였다.[20] 도미야마는 언론인 마츠이 야요리, 야마구치 아키코 등과 함께 이 운동에 참여했으며, 1977년 아시아 여성 협회(アジアの女たちの会|아지아노 온나타치노 카이일본어, AWA)를 공동 설립했다.[21][22] AWA는 잡지 『아시아와 여성 해방』(アジアと女性解放|아지아토 조세이 카이호일본어) 발간 등의 활동을 통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연대하며 인권, 노동권, 식민주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22]

김지하 시인의 시를 주제로 한 시화집 출판과 슬라이드 작품 제작 등으로 인해, 1978년부터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입국 금지 조치를 당했다. 이 조치는 1993년 대전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일본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허용될 때까지 15년간 지속되었다.[104][97] 이 시기 사회학자 이효재와 교류하며 한국인의 정서인 '(恨)'을 예술로 표현하려는 시도에 대해 이효재로부터 감사의 뜻이 담긴 편지를 받기도 했다.[97]

2. 4. 일본의 전쟁 책임과 아시아 (1980-2021)

역사가 로라 헤인(Laura Hein)에 따르면, 도미야마는 페미니즘을 접하면서 1980년대 자신의 작품에 다롄과 하얼빈에서 보낸 소녀 시절 경험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 국민 국가, 인종 및 성별 위계, 식민 권력 구조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하게 되었다.[25] 이러한 개인적인 탐구는 아시아여성회(AWA)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던 시기와 맞물렸다.[26] 위안부 문제는 도미야마의 페미니즘적 관심과 아시아에서 일본의 식민 유산을 직시하려는 열망이 결합된 주제였다. 문화 인류학자 마나베 유코(Yuko Manabe)는 미술사학자 야마모토 히로키(Hiroki Yamamoto)의 용어를 빌려 이러한 탐구를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의 교차점"이라고 설명한다.[27]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도미야마는 작품에 다시 색채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부터는 무당, 여우,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섬의 가면과 인형, 용, 천상의 상징 등 아시아 민속 종교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와 미학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했다.[28]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발표된 도미야마의 대표작인 ''바다의 기억'', ''하얼빈: 20세기를 위한 레퀴엠'', ''여우 이야기'' 등은 일본 제국주의의 희생자들, 특히 위안부로 알려진 일본군 성노예 피해 한국 여성들을 기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29][30][31] 이러한 주제 의식 때문에 그의 작품은 대부분의 일본 주류 미술 기관에서 외면받았고, 일본 언론의 관심도 거의 받지 못했다.[3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도미야마는 순수 미술계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1995년에는 다마 미술대학 미술관과 서울의 동아갤러리에서 순회 개인전 ''역사에 침묵당하다: 도미야마 다에코, 전쟁 50년 후''를 열었으며, 제1회 광주 비엔날레의 ''증언으로서의 예술'' 프로젝트에 초청받기도 했다.[33][3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애 마지막 40년 동안의 전시회는 주로 대학 미술관, 시립 갤러리, 로비, 인권 단체 등 비주류 공간에서 열렸다.

도미야마는 일본의 전쟁 책임과 아시아 문제를 주제로 그림뿐만 아니라 문필 활동도 병행했다. 1984년에는 그의 저서 『터져라! 봉선화』를 원작으로 도모토 노리아키 감독이 「터져라 봉선화, 나의 지쿠호, 나의 조선」이라는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

동시대 사회학자인 이효재와 교류하며, 이효재는 도미야마가 한국인의 이라는 정서를 예술로 표현한 것에 대해 크리스마스 카드를 통해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97]

2010년 11월 26일부터 12월 11일까지 도쿄 YWCA 회관에서는 한일 병합 100주년을 맞아 회화전 『아시아를 바라보며 식민지와 도미야마 다에코의 화가 인생』이 개최되었으며, 11월 30일에는 기획의 일환으로 신숙옥과 대담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103]

2021년 6월, 도미야마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을 수여받았다.[98] 같은 해 8월 18일, 도쿄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87][105][106]

2. 5. 사망

2021년 8월 18일 도쿄 자택에서 노환으로 향년 99세에 별세하였다.[105][106][47][87]

생애 마지막까지 도미야마는 서구 식민주의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주도의 질서에 대한 일본의 공모를 비판하는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35][36] 말년에는 새로운 작품 활동과 함께, 그녀의 예술적 유산을 조명하는 회고전 성격의 전시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2005년 도치기 현립 미술관의 "전위 운동의 일본 여성 예술가" 전시 참여, 2015년 베를린 신미술협회에서의 전시, 2005년 루르 대학교 등에서 시작된 순회 회고전 "기억과 화해", 2009년 에치고-쓰마리 트리엔날레 특별 전시 등이 있다.[37][38][39][40][41]

그녀의 작품 세계를 체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었다. 2010년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로라 하인과 교토 세이카 대학교의 레베카 제니슨은 도미야마의 작품 세계를 소개하는 웹사이트와 책을 발간했으며,[42] 2018년부터는 도쿄 대학교 마나베 유코 연구팀이 그녀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했다.[43] 이러한 학술적 관심은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연세대학교 박물관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으로 이어졌고, 이 전시와 연계하여 연세대학교와 도쿄 대학교가 공동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도 했다.[44][45]

사망하기 직전인 2021년 6월, 도미야마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을 수여받았다.[45][46][98] 이는 그녀가 평생에 걸쳐 보여준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대의 상징적인 결과였다.

3. 주요 작품

도미야마 다에코는 오랜 활동 기간 동안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동아시아의 역사적 상처와 사회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을 꾸준히 발표했다. 초기에는 홋카이도규슈탄광을 주제로 유화와 석판화 작업을 했으며, 소외된 이들의 삶을 담아내고자 했다.[48][49]

1970년대 대한민국 방문과 시인 김지하와의 만남은 그의 예술 세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특히 박정희 군사정권 하의 민주화 운동 탄압과 광주 민주화 운동 등 한국의 현대사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통해 일본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아시아 민중과의 연대를 모색했다.[14][15] 이 시기부터 그는 이미지, 음악, 텍스트를 결합한 슬라이드 쇼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검열에 맞서고 더 많은 대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16][50]

이후에도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일본 제국주의의 과거사와 현대 사회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을 이어갔다. 그의 작품은 회화, 판화, 콜라주, 슬라이드 쇼 등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나며, 작곡가 다카하시 유지를 비롯한 여러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풍부한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다. 주요 작품들은 여러 시리즈와 슬라이드 작품 형태로 발표되었다.

3. 1. 시리즈

도미야마 다에코는 활동 초기인 1950년대에 홋카이도규슈의 석탄 및 구리 광산을 주제로 삼았다. 이 지역들은 당시 주요 사회 불평등 문제와 전후 부흥을 위한 에너지 생산, 노동조합 운동의 중심지였다. 처음에는 입체주의 스타일의 유화로 광산 풍경을 그렸으나, 당시 일본 화단의 주류였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나 유럽의 아방가르드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양식에 만족하지 못했다.[48] 이후 광부들의 얼굴을 담기 위해 흑백 석판화로 매체를 바꾸었다. 이는 풍경보다 사람들의 삶을 직접 다루는 방식이었지만, 자신의 표현주의 스타일이 존경하던 케테 콜비츠와 지나치게 유사해지는 것을 경계했다.[49] 그녀는 유럽 모더니즘과 차별화되면서도 소외된 이들의 삶을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예술 언어를 끊임없이 모색했다.[48]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제작된 《히루코와 꼭두각시: 바다 방랑자 이야기》 시리즈는 회화와 콜라주 형식을 사용한다. 이 작품들은 폴리네시아 가면, 일본 민속 인형,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꼭두각시들이 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해 중국, 아와지 섬을 거쳐 동남아시아로 이동하는 여정을 그린다. 콜라주 작품은 인형 사진과 신들의 판화를 물과 흙을 연상시키는 추상적 배경과 대비시키며, 회화는 깊고 푸른 바닷속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리즈는 현대 사회가 영화, 애니메이션 등 기술적 오락에 빠져 물질주의에 매몰되면서 잊혀진 신화적 존재들을 상징적으로 다룬다. 동시에 냉전의 잔재, 9.11 테러, 서구 열강의 석유 자원 확보를 위한 폭력, 그리고 이러한 국제 질서 속에서 대한민국과 일본이 미국의 군사 정책에 동조하는 현실 등 지정학적 문제들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이를 통해 도미야마는 "초국가적 역사, 전쟁, 그리고 일본과 아시아의 관계에 대한 오랜 관심"을 이어간다.

도호쿠 대지진, 쓰나미, 그리고 3.11의 핵융해라는 3중 비극의 여파로 시작된 《바다로부터의 계시》는 이 사건들로 인한 보이지 않는 위협과, 뒤이은 일본 기업과 정부의 무능한 대응을 4점의 회화와 14점의 콜라주로 다루고 있다. 4호 원자로의 폭발 잔해, 세슘-137으로 오염된 벚꽃, 평온해 보이는 바다 위로 드리운 위협적인 붉은 노을, 죽은 나비, 해체된 회로 기판, 그리고 쓰나미로 물에 잠긴 도시 폐허 속의 화재와 같은 주제를 통해, 이 연작은 현대 에너지 네트워크와 전자 기술과 뒤얽힌 현대의 오만을 종말론적 비판으로 읽힌다. 죽음에 초점을 맞춘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또한 도미야마의 작품 중 불교풍신, 뇌신, 그리고 사천왕과 같은 불교 신들을 두드러지게 다룬 첫 번째 연작이라는 점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 이전의 다문화적 인물들을 특징으로 하는 그녀의 전략을 따라, 이 신들은 힌두교 도상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그녀는 이 연작을 멀티미디어 쇼로 만들기 위해 다카하시 유지와 다시 협력했지만, 이번에는 슬라이드 쇼가 아닌 DVD 형태로 제작되었다.[65]

주요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연도시리즈명주요 작품매체비고
1950년 - 1960년탄광, 광산 시리즈유화, 데생
1970년 -「김지하의 시에 부쳐」시리즈십자가의 죄수, 광야, 황토의 길 철선과 까마귀, 황토의 길 해바라기리토그래프, 유화슬라이드 작품
1974년칠레 목소리여 지워진 목소리여 칠레에리토그래프
1980년광주 시리즈 「쓰러진 자에게 드리는 기도」메카 군대, 헬멧·아미, 민중의 힘 I, 광주의 피에타, 광주의 레퀴엠 I판화슬라이드 작품
1984년조선인 강제 연행 시리즈찢겨진 자들유화, 리토그래프영화 『터져라 봉선화, 나의 筑豊 나의 조선』[100] 원화
1986년조선인 군 위안부에 바치는 시리즈바다의 기억, 갈릉간의 축제의 밤, 남태평양의 해저에서유화, 리토그래프슬라이드 작품
1989년태국 Let's go to Japan유화, 믹스 미디어슬라이드 작품
1992년 - 1995년20세기의 레퀴엠·하얼빈만주리아의 하늘과 땅 Ⅱ, 하늘과 땅 Ⅲ(황), 검은 강 Ⅲ(용 금/흑), 검은 강 Ⅰ(물고기 금/흑)유화, 믹스 미디어, 판화슬라이드 작품
1996년 - 1998년여우 이야기·벚꽃과 국화의 환영에국화 환영유화, 설치 미술슬라이드 작품
2000년탄광 이야기 그림과 사진의 콜라보레이션믹스 미디어
2009년蛭子와 꼭두각시 旅芸人의 이야기전화에 탄 핏빛 대지, 표류 I
2011년 - 2015년바다로부터의 묵시바다로부터의 묵시―쓰나미, 후쿠시마―봄, 세슘 137, 크라이시스―바다와 하늘에의 기도유화, 믹스 미디어
2016년끝의 시작, 시작의 끝시작의 풍경유화


3. 2. 슬라이드 작품

1970년대 대한민국 방문은 도미야마 예술 활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70년 서울에서 아직 한국 전쟁의 상처가 남아있는 현실을 목격하고, 1971년 정치범 서승을 만난 경험은 그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 이후 시인 김지하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고, 1974년 김지하와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민주화 운동으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자 큰 충격을 받았다.[14][15] 도미야마는 김지하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그의 시를 바탕으로 석판화 연작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들은 일본 공영방송 NHK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김지하: 어둠 속의 기독교인"의 배경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15][50]

그러나 NHK가 정치적 이유로 다큐멘터리 방송을 취소하자, 도미야마는 검열에 맞서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 1976년, 그는 독립적인 제작과 배포를 위해 '히다네 공방'(火種工房|히다네 고보일본어, 불씨 공방)을 설립하고, 이미지와 음악, 시를 결합한 멀티미디어 슬라이드 쇼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16][50] 상업 화랑이나 주류 미술계 밖에서 활동해야 했던 도미야마에게 이 슬라이드 쇼 형식은 중요한 표현 수단이 되었다. 휴대가 간편하고 복제가 용이하여 더 많은 관객에게 직접 다가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50] 그는 이 슬라이드 작품들을 통해 김지하나 태국의 짓 푸미삭 같은 저항 시인들의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소개했으며, 작곡가 다카하시 유지, 사진가 겸 감독 모토하시 세이이치(元橋聖一), 배우 이토 소이치(伊藤惣一) 등 다양한 예술가들과 협력했다.[17]

첫 슬라이드 작품인 《묶인 손의 기도: 한국 1974》(鎖された手の祈り|구사리사레타 테노 이노리일본어: Korea 1974)는 김지하의 시와 도미야마의 석판화 140점, 다카하시 유지의 음악을 결합한 것으로, 미국, 멕시코, 대한민국 등 전 세계 교회와 공공장소에서 순회 상영되며 반향을 일으켰다.[50] 특히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전두환 군부의 민주화 시위 진압을 다룬 슬라이드 쇼 《쓰러진 자를 위한 기도: 1980년 5월 광주》(倒れた者への祈り|다오레타 모노에노 이노리일본어: 1980年5月・光州)는 다카하시 유지의 음악과 함께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며 도미야마의 대표작 중 하나가 되었다.[18] 이후로도 도미야마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동아시아의 역사적,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는 슬라이드 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최근에는 일부 슬라이드 작품이 DVD로도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다음은 도미야마 다에코의 주요 슬라이드 작품 목록이다.

제목 (원제)연도주요 협업자비고
『묶인 손의 기도』
(鎖された手の祈り|구사리사레타 테노 이노리일본어)
1976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하야시 히카루(林光일본어), 쿠로누마 유리코(黒沼ユリ子일본어), 다카하시 유지
낭독: 하야시 요코(林洋子일본어), 이토 소이치(伊藤惣一일본어)
구성: 마에다 카츠히로(前田勝弘일본어), 코이케 마사토(小池征人일본어), 츠치모토 노리아키(土本典昭일본어)
김지하 시 기반, 80컷, 36분,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스페인어)
『비어』
(蜚語|히고일본어)
1979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시: 김지하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모토하시 세이이치(元橋聖一일본어)
낭독: 이토 소이치(伊藤惣一일본어)
50컷, 14분, 다국어판(일본어, 독일어)
『쓰러진 자를 위한 기도』 1980년 5월・광주
(倒れた者への祈り|다오레타 모노에노 이노리일본어)
1980 (2001 DVD)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코바야시 히로미치(小林ひろみち일본어)
영어 번역: 레베카 제니슨(Rebecca Jennison)
광주 민주화 운동 주제, 71컷, 12분, DVD,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한국어)
『바다의 기억』
(海の記憶|우미노 기오쿠일본어)
1988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모토하시 세이이치(元橋聖一일본어)
조명: 카토 스미히로(加藤澄博일본어)
낭독: 아라이 준(新井純일본어)
영어 번역: 더글러스 루미스(Douglas Lummis)
일본군 위안부 주제, 80컷, 26분 20초, DVD,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돌아오지 않는 소녀: 태국에서 온 소녀의 이야기』
(帰らぬ少女:タイから来た少女の物語|가에라누 쇼조: 타이카라 기타 쇼조노 모노가타리일본어)
1991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자라시 루프캄디(Jarassri Roopkamdee)
시: 짓 푸미삭, 칼라완 가집(태국어: คาราวาน)
음악: 다카하시 유지, 칼라완 악단
촬영: 하라 카즈오(原一男일본어, 질주 프로덕션)
낭독: 나카야마 치나츠(中山千夏일본어), 김 구미코(金久美子일본어), 스나가 케이코(須永慶子일본어)
번역: 쇼지 카즈코(庄司和子일본어, 일본어), 레베카 제니슨(영어)
감수: 스리차이 웡케오(Srichai Wongkeo)
태국 성매매 문제, 80컷, 28분,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하얼빈: 20세기를 위한 레퀴엠』
(ハルビン:<0xE4><0xB8><0x80>〇世紀へのレクイエム|하루빈: 니주세이키에노 레퀴엠일본어)
1995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하라 카즈오(原一男일본어, 질주 프로덕션)
조명: 츠카야마 마코토(塚本誠일본어)
영어 번역: 레베카 제니슨
하얼빈 역사, 80컷, 25분,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여우 이야기: 벚꽃과 국화의 환영』
(狐物語:桜と菊の幻影に|기쓰네 모노가타리: 사쿠라토 기쿠노 겐에이니일본어)
2002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코바야시 히로미치(小林ひろみち일본어)
조명: 츠카야마 마코토(塚本誠일본어)
영어 번역: 레베카 제니슨
일본의 역사적 환영 비판, 80컷, 25분,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에비스와 꼭두각시: 떠돌이 연예인의 이야기』
(蛭子と傀儡子:旅芸人の物語|에비스토 구구쓰: 다비게이닌노 모노가타리일본어)
2009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AYUO(アユオ일본어)
촬영: 코바야시 히로미치(小林ひろみち일본어)
영어 번역: 레베카 제니슨
떠돌이 연예인, 80컷, 23분, DVD,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바다로부터의 묵시록』
(海からの黙示|우미카라노 모쿠시일본어)
2014그림: 도미야마 다에코
음악: 다카하시 유지
촬영: 코바야시 히로미치(小林ひろみち일본어)
영어 번역: 레베카 제니슨
동일본 대지진 및 후쿠시마 원전 사고 주제, 80컷, 24분 04초, DVD, 다국어판(일본어, 영어)


4. 사회적 활동 및 평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에 화가로서 사회 참여를 위해 지쿠호 탄광과 광산을 주제로 노동자를 그렸다. 1970년대에는 한국 시인 김지하[102]의 시를 주제로 그림, 시, 음악을 융합한 슬라이드 작품을 자율 제작하기 위해 '불씨공방'(히다네코보)[101]을 설립했다.

1978년, 민주화 운동으로 수감 중이던 김지하의 시를 모티브로 한 시화집 출판과 슬라이드 작품 제작으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입국이 금지되었다. 이 조치는 1993년 대전 엑스포를 계기로 일본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실시될 때까지 유지되었다.[97] 또한 일본 내에서도 서양화 중심의 화단으로부터 "정치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1976년까지 미술 단체를 잇따라 탈퇴해야 했고, 언론의 자율 규제로 인해 출연 예정이던 프로그램의 방송이 보류되는 등, 한일 양국에서 활동의 제약을 받았다.

발표할 곳을 찾기 어려워진 도미야마는 음악가 다카하시 유우지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인 및 지식인들과 협력하여, 복제가 가능한 미디어인 슬라이드나 영화를 통해 작품을 알리는 순회 상영 방식으로 활동 방향을 전환했다.[83] 1977년에는 JAALA 미술가 회의 결성에 참여하여 활동을 함께 했다.

1980년 5월 광주 항쟁 직후에는 판화와 음악 시리즈 제작에 영감을 받았다. 이 작품들은 원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방송이 취소되면서 다른 슬라이드 쇼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1977년의 슬라이드 쇼처럼, ''기억을 위한 기도 ~ 광주, 1980년 5월''(Prayer in Memory ~ Gwangju, May 1980)은 미국, 유럽, 그리고 대한민국 등지에서 인권 단체 주최로 교회, 대학교, 기타 공공 장소에서 상영되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그녀의 예술적 대응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대한 그녀의 꾸준한 헌신과 한국 외부에 거주하는 예술가로서의 위치 덕분에 국제적으로 처음 알려진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51] 도미야마는 이 시리즈가 예술가로서 자신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그녀는 일본의 전쟁 책임과 아시아 문제를 주제로 그림과 문필 활동을 이어갔다. 1984년에는 그녀의 저서 『터져라! 봉선화』를 원작으로 도모토 노리아키 감독이 영화 「터져라 봉선화, 나의 지쿠호, 나의 조선」을 제작했다.

동시대 사회학자 이효재[96]와 교류했으며, 이효재는 도미야마가 한국인의 (恨)이라는 정서를 예술로 표현한 것에 대해 크리스마스 카드를 통해 "도미야마 선생님, 당신의 인본주의와 예술에 깊이 감사합니다. 한국 민중의 한을 표현해주신 예술 작품에 정말 감사합니다."라고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97]

2010년 11월 26일부터 12월 11일까지 도쿄 YWCA 회관에서 '아시아를 바라보며 식민지와 도미야마 다에코의 화가 인생 ~한일 병합 100주년 기획~'이라는 제목의 회화전이 개최되었다. 11월 30일에는 기획의 일환으로 신숙옥과 대담을 가졌다.[103]

2021년 6월,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이 수여되었다.[98] 같은 해 8월 18일, 노환으로 도쿄도 내 자택에서 99세의 나이로 별세했다.[87]

5. 저서


  • ''탄광부와 나'' (마이니치 신문사), 1960
  • ''중남미 혼자 여행'' (아사히 신문사), 1964
  • ''반권력의 증언: 시민이 추구한다'' (합동출판), 1971
  • ''나의 해방: 변방과 밑바닥 여행'' (지쿠마 서방), 1972
  • ''여성에 대한 찬가: 우리들의 해방'' (편저, 삼성당 북스), 1973
  • [https://ci.nii.ac.jp/ncid/BA81769993 ''소리여 잠잠해진 소리여 칠레여'' (''Silenced Voices: Chile'')] (리론샤), 1974 (파블로 네루다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의 시, 도미야마 다에코의 석판화)
  • ''나의 그리스 신화: 에로스에의 회귀'' (도신샤), 1975
  • ''심야: 김지하 + 도미야마 다에코 시화집'' (정경모 역, 토요미술사), 1976 (김지하의 시, 도미야마 다에코의 판화)
  • [https://www.worldcat.org/oclc/47434430 ''해방의 미학: 20세기의 화가는 무엇을 목표로 했는가''] (미래사), 1979
  • ''터져라 봉선화: 미와 생에 대한 질문'' (지쿠마 서방), 1983
  • ''서울—파리—도쿄: 그림과 민족을 둘러싼 대담'' (키로쿠샤), 1985 (공저: 이응노, 박인경, 도미야마 다에코)
  • ''전쟁 책임을 호소하는 혼자 여행: 런던, 베를린, 뉴욕'' (이와나미 쇼텐), 1989
  • [https://www.worldcat.org/oclc/25550829 ''민중이 시대를 열다: 민중 신학을 둘러싼 일한의 대화''] (신쿄 출판사), 1990
  • ''시대를 알린 여성들: 20세기 페미니즘으로의 길'' (츠게 쇼보), 1990
  • ''돌아오지 않는 여성들: 종군 위안부와 일본 문화'' (이와나미 쇼텐), 1992
  • ''미술사를 해방하다'' (시사통신사), 1994 (공저: 도미야마 다에코, 하마다 가즈코, 하기와라 히로코)
  • ''Silenced by History: 토미야마 다에코, 시대를 새기다'' (겐다이 기획실), 1995 ("아시아에의 시좌와 표현" 실행 위원회 편)
  • [https://www.worldcat.org/oclc/674685833 ''히루코와 꼭두각시: 떠돌이 예능인의 이야기'' (''Hiruko and the puppeteers: A tale of sea wanderers'')] (겐다이 기획실), 2009 (도미야마 다에코 그림, 타카하시 유지 음악)
  • ''아시아를 껴안다: 화가 인생 기억과 꿈'' (이와나미 쇼텐), 2009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로라 헤인과 레베카 제미슨, 미시간 대학교 출판부), 2010
  • ''〈남성 문화〉여, 안녕: 식민지, 전쟁, 원자력 발전을 말하다'' (이와나미 쇼텐), 2013 (신숙옥 인터뷰)
  • ''Forbidden Images: Control and Censorship in East Asian Democracies'' (노이에 게젤샤프트 퓌어 빌덴데 쿤스트), 2015 (전시 도록)

6. 공공 소장처


  • 영국 박물관(런던)
  • 아시아 미술관(샌프란시스코)
  • 교토 세이카 대학(교토)
  • 하정웅 컬렉션(광주 시립 미술관)

참조

[1] 논문 "Postcolonial" Feminist Locations: The Art of Tomiyama Taeko and Shimada Yoshiko
[2]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https://www.fulcrum.[...] U OF M CENTER FOR JAPANESE STUDIES 2010
[3] 뉴스 画家の富山妙子さん死去 光州事件テーマ、海外にも影響 https://www.asahi.co[...] 2021-08-19
[4] 논문 Tomiyama Taeko: An Artist's Life and Work 2010-11-09
[5] 웹사이트 Brushing with Authority: The Life and Art of Tomiyama Taeko https://apjjf.org/-L[...] 2018-03-08
[6] 서적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학술행사경계를 넘는 화가: 도미야마 다에코의 삶과 예술 https://www.518archi[...]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7] 논문 Tomiyama Taeko: Nihon no sensō sekinin kara genpatsu made, seiji mondai o shōsha suru ekkyō no gakka 2021-08
[8] 웹사이트 Miners' Worlds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7
[9] 웹사이트 Underground Connections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7
[10] 웹사이트 About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7
[11] 논문 Tomiyama Taeko: Nihon no sensō sekinin kara genpatsu made, seiji mondai o shōsha suru ekkyō no gakka 2021-08
[12]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13]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Japanese Studies 2010
[14] 논문 The Pilgrimage of a Painter An Encounter with the Soul of Minjung https://nirc.nanzan-[...] 1995
[15] 웹사이트 Taeko TOMIYAMA http://www.verbotene[...] 2021-12-26
[16] 서적 Legac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M.E. Sharpe 2001
[17] 웹사이트 スライド作品 {{!}} 富山妙子 Taeko Tomiyama https://tomiyamataek[...] 2021-12-27
[18]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Center for Japa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 서적 Onna e no sanka: warera no kaihō Sanseidō
[20] 서적 Feminism in modern Japan: citizenship, embodiment, and sexu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Comfort Women Activism: Critical Voices from the Perpetrator Stat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20
[22] 논문 The Japan-Korea Solidarity Movement in the 1970s and 1980s: From Solidarity to Reflexive Democracy https://apjjf.org/20[...] 2014-09-21
[23] 서적 History of JAALA: nihon, ajia, afurika, raten amerika bijutsuka kaigi nenpyō, 1977–1993 https://jaala2015.ji[...] JAALA
[24]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25]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Center for Japa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10
[26] 서적 Traffic in Asian women Duke University Press 2020
[27] 서적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학술행사경계를 넘는 화가: 도미야마 다에코의 삶과 예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28]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29]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Sea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30] 웹사이트 Harbin: Requiem for the 20th Century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31] 웹사이트 The Fox Story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32] 웹사이트 Brushing with Authority: The Life and Art of Tomiyama Taeko https://apjjf.org/-L[...] 2021-12-28
[33] 웹사이트 Kwangju Biennale 1995 {{!}} Art as Witness: The Spirit of Kwangju Resistance in May https://aaa.org.hk/e[...] 2021-12-28
[34] 웹사이트 附属美術館の企画記録 http://www.tamabi.ac[...] 2021-12-27
[35] 웹사이트 Revelation from the Sea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36] 웹사이트 Hiruko and the Puppeteers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37] 서적 Zen'ei no josei, 1950–1975 Tochigi Prefectural Museum of Art 2005
[38] 웹사이트 Verbotene Bilder ! Banned Images http://www.verbotene[...] 2021-12-28
[39] 웹사이트 Embracing Asia: The Complete Works of Tomiyama Taeko 1950–2009 – Artworks|Echigo-Tsumari Art Field https://www.echigo-t[...] 2021-12-27
[40] 웹사이트 Tomiyama Taeko: Gedächtnis des Meeres https://www.ub.ruhr-[...] 2004
[41] 웹사이트 Latest Works By Tomiyama Taeko Exhibited at Dittmar Gallery: Northwestern University News https://www.northwes[...] 2005-12-27
[42] 웹사이트 About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43] 웹사이트 Research Project on Tomiyama Taeko's life and 'Narrative Ar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Study of Historical Context, Aesthetics/Ethics and Artistic Practices https://kaken.nii.ac[...] 2021-12-28
[44] 웹사이트 커뮤니티 – 박물관소식 – 유물 / 전시 게시판읽기 ( [ 전시 ] ' 기억의 바다로 – 도미야마 다에코의 세계 ' 전시 연장 안내 ) ! 박물관 https://museum.yonse[...] 2021-12-28
[45] 웹사이트 東文研シンポジウム(共催:延世大学校博物館)「記憶の海へ―富山妙子の世界」のお知らせ http://www.ioc.u-tok[...] 2021-03-08
[46] 웹사이트 재단활동 민주주의 바람되어, 역사에서 일상으로' 제34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민주인권기념관 착공식 https://518.org/nsub[...] 2021-08-19
[47] 웹사이트 画家の富山妙子さん死去 光州事件テーマ、海外にも影響: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12-28
[48]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49]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50]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Japanese Studies
[51] 간행물 Prayer, Memory and Revelation~Tomiyama Taeko's Socially Engaged Art
[52]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53] 웹사이트 Heaven and Earth in Central Asia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8
[54]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55]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56] 서적 Legac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M.E. Sharpe 2001
[57]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Japanese Studies 2010
[58]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59]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60] 서적 Imagination without borders: feminist artist Tomiyama Taeko and social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61] 간행물 Silenced by 'history': Taeko Tomiyama's 'Harbin station' series 1995-12-01
[62] 간행물 Remembering as Resistance: The" Shaman" and the" Fox" in the Art of Tomiyama Taeko https://www.academia[...] 2003
[63] 간행물 "Postcolonial" Feminist Locations: The Art of Tomiyama Taeko and Shimada Yoshiko 1997
[64] 웹사이트 Hiruko and the Puppeteers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9
[65] 웹사이트 Revelation from the Sea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9
[66] 웹사이트 Tomiyama Taeko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7
[67] 웹사이트 Tomiyama Taeko !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2021-12-27
[68] 간행물 The Pilgrimage of a Painter: An Encounter with the Soul of Minjung https://nirc.nanzan-[...] 1995
[69] 웹사이트 年譜 ! 富山妙子 Taeko Tomiyama https://tomiyamataek[...] 2021-12-27
[70] 웹사이트 現代美術特論レポート http://yukimichi.fc2[...] 2021-12-27
[71] 웹사이트 富山妙子 https://blog.naver.c[...] 2021-12-27
[72] 논문 Brushing with Authority: The Life and Art of Tomiyama Taeko https://apjjf.org/-L[...] 2010-03-29
[73] 웹사이트 From the Asians: Tomiyama, Taeko Hong, Sung-Dam – Webcat Plus http://webcatplus.ni[...] 2021-12-27
[74] 웹사이트 On the Artists, Curators & Authors http://www.verbotene[...] 2021-12-27
[75] 논문 Remembering as Resistance: The "Shaman" and the "Fox" in the Art of Tomiyama Taeko https://www.kyoto-se[...] 2003
[76] 서적 Zen'ei no josei, 1950–1975 Tochigi Prefectural Museum of Art 2005
[77] 웹사이트 Embracing Asia: The Complete Works of Tomiyama Taeko 1950–2009 – Artworks|Echigo-Tsumari Art Field https://www.echigo-t[...] 2021-12-27
[78] 웹사이트 特別展示・富山妙子 終わりの始まり 始まりの終わり {{!}} 原爆の図 丸木美術館 https://marukigaller[...] 2016-11-15
[79] 웹사이트 国立新美術館『第74回日本アンデパンタン展と女性作家たち』にて出展(2021年3月18日~3月29日) {{!}} 富山妙子 Taeko Tomiyama https://tomiyamataek[...] 2021-03-18
[80] 웹사이트 Underneath the 'Turbulent Seas of Memory' http://annals.yonsei[...] 2021-06-06
[81] 웹사이트 Imagination Without Borders https://imaginationw[...] ノースウェスタン大学
[82] 연구 越境する画家、越境する作品世界:富山妙子の軌跡と芸術をめぐる歴史社会学的研究 https://kaken.nii.ac[...] 真鍋 祐子研究課題2017-2021
[83] 문서 富山妙子の画家人生と作品世界―〈炭鉱〉を軸として、ポストコロニアリズムの視点から―真鍋祐子・金子毅.2018
[84] 문서 富山妙子 2010
[85] 웹사이트 「歴史的証言として美術」を収集 https://art.busan.go[...]
[86] 서적 女たちの20世紀・100人: 姉妹たちよ 集英社 1999-08-31
[87] 웹사이트 日本軍「慰安婦」や光州抗争を描いた日本の画家、富山妙子さん死去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21-08-19
[88] 웹사이트 富山妙子さん死去 https://kumanichi.co[...] 熊本日日新聞社 2021-08-19
[89] 웹사이트 画家の富山妙子さんが死去 99歳 社会派、政治的主題を表現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8-19
[90] 웹사이트 韓国の民主化伝えた日本の画家 富山妙子氏が死去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8-19
[91] 웹사이트 画家の富山妙子さん死去 光州事件テーマ、海外にも影響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8-19
[92] 웹사이트 韓国の民主化伝えた日本の画家 富山妙子氏が死去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1-08-19
[93] 간행물 女性たちの美術史 2021-08
[94] 웹사이트 年譜 {{!}} 富山妙子 Taeko Tomiyama https://tomiyamataek[...] 2020-10-19
[95] 간행물 アートにみる植民地主義と女性の身体 : 富山妙子の中国・「満州国」・韓国との出会い 2021-03-01
[96] 문서 李効再『分断社会と女性・家族』(日本語版、1988)は「恨」の概念を取り上げている
[97] 웹사이트 「富山妙子とはだれか -その人生と作品の世界」 https://www.518archi[...] 2020
[98] 웹사이트 5・18記念財団 https://518.org/nsub[...]
[99] 웹사이트 所蔵品検索富山妙子 http://jmapps.ne.jp/[...] 京都精華大学
[100] 웹사이트 はじけ鳳仙花 わが筑豊わが朝鮮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11-09-03
[101] 웹사이트 富山妙子 火種工房 http://www.ne.jp/asa[...] 2011-09-03
[102] 웹사이트 富山妙子と火種工房のあゆみ http://www.ne.jp/asa[...] 富山妙子 火種工房 2011-09-03
[103] 웹사이트 絵画展「アジアを見つめて 植民地と富山妙子の画家人生 ~日韓併合100周年企画~」 http://www.tokyo.ywc[...] 東京YWCA 2011-09-03
[104] 웹인용 "사명이었다"…위안부·광주 알린 '1백 살' 日 화가 https://imnews.imbc.[...] 2021-09-13
[105] 웹인용 5·18 알린 日작가 도미야마 별세…김지하·위안부 소재 작품도 https://www.mk.co.kr[...] 2021-09-13
[106] 웹인용 5·18단체 “광주 슬픔 공감한 도미야마 다에코 추모” https://www.hani.co.[...] 2021-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