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은 도쿄 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으로, 1968년 긴자선의 혼잡 완화를 위해 계획되었다. 1972년 공사를 시작하여 1978년 시부야-아오야마잇초메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2003년 오시아게역까지 개통되었다. 현재는 도큐 덴엔토시선, 도부 이세사키선, 도부 닛코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으며, 도쿄 메트로 8000계, 18000계, 08계, 도큐 2020계, 5000계, 8500계, 8590계, 도부 30000계, 50050계 차량이 운행된다. 2023년 기준 시부야-오모테산도 구간의 혼잡률은 109%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 운영 노선으로, 직결 운행과 첨단 기술 적용, 그리고 시나가와역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와코시역에서 신키바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의 노선으로, 세이부 유라쿠초선 및 도부 도조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도심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망을 구성하고 있고, 1974년 개통 이후 단계적인 연장을 거쳐 198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대 중반 개통을 목표로 지선 연장이 추진 중이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 오테마치역 (도쿄도)
    오테마치역은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도쿄 지하철의 환승역으로, 도쿄 메트로의 4개 노선과 도쿄 도 교통국 미타선이 지나며, 도쿄 지하철역 중 가장 많은 노선이 지나고 도쿄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금융기관과 기업 본사, 고쿄가 위치한다.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 긴시초역
    긴시초역은 도쿄도 스미다구에 있는 JR 동일본 소부 본선과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의 환승역으로, 관동 지방 광역권과 도쿄 도심부를 연결하며 역 주변은 상업 및 공공시설이 밀집된 부도심이다.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다른 이름Z
노선 번호11
노선 색상라벤더색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로고
한조몬선 18000계 전동차 (2024년 2월, 스미요시 역)
노선 종류중전철 도시 철도
노선 시스템도쿄 지하철
노선 상태운영 중
노선 위치도쿄도
기점시부야역
종점오시아게 역
역 수14개 역
일일 이용객 수1,006,682명 (2017년)
개업1978년 8월 1일
최종 연장2003년 3월 19일
소유자도쿄 지하철
운영자도쿄 메트로
차량 기지사기누마 차량기지
나가쓰타 차량기지 (도큐)
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도부)
사용 차량차량의 절 참조
노선 길이16.8 km
궤간1,067 mm (협궤)
선로 수복선
복선 구간전 구간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경사35 ‰
최소 곡선 반지름160.7 m (미쓰코시마에 - 스이텐구마에 간)
폐색 방식차내 신호 폐색식
보안 장치신CS-ATC
최고 속도80 km/h
노선 기호Z
노선 번호11호선
전보 약호(정보 없음)
노선도
운영 정보
수송 인킬로2,036,810 천인킬로 (2019년도)
한국어 표기
일본어東京地下鉄11号線半蔵門線 (Tōkyō chikatetsu jūichigōsen Hanzōmon-sen)
별칭地下鉄半蔵門線 (Chikatetsu Hanzōmon-sen, 지하철 한조몬선)

2. 역사

1979년 9월 21일, 아오야마잇초메 - 나가타초역 구간이 단선으로 개통되었다.[34] 복선화될 때까지 아침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아오야마잇초메행과 나가타초행이 교대로 운행되었다.[40]

1981년 4월 1일, 영단 8000계의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고,[41][42] 사기누마 검차구가 완성되었다.

1982년 12월 9일, 나가타초역 - 한조몬역 구간(1km)이 개통되었다.[34] 동시에 아오야마잇초메 - 나가타초 간의 단선 운행이 종료되었다.[43][44]

1983년 1월 22일, 도큐 차량에 의한 10량 편성 운전이 시작되었고,[44] 2월 26일에는 미쓰코시마에역 - 스이텐구마에역 구간이 착공되었다.[34]

1984년 4월 9일, 도큐 덴엔토시선 전선 개통으로 도큐선과의 상호 운행 구간이 주오린칸역까지 연장되었다.[38]

1986년 10월 4일, 도큐 차량의 10량 편성 운행이 완료되었다.[44]

1987년 9월 26일, 영단 차량에 의한 10량 편성 운전이 시작되었다.[45]

1988년 6월 1일, 냉방 차량 운전이 시작되었다.[45]

1989년 1월 26일, 한조몬역 - 미쓰코시마에역 구간(4.4km)이 개통되었다.[34][46] 노선 연선의 지주들이 후원자를 동원하여 반대 운동을 벌였기 때문에 개통이 당초 예정보다 대폭 늦어졌다. 헤이세이 시대에 처음으로 철도 노선이 연장된 것이다. 같은 해 6월 초순, 모든 차량이 냉방 차량이 되어[47] 영단 지하철 전 노선에서 처음으로 냉방화율 100%를 달성했다.[47]

1990년 11월 28일, 미쓰코시마에 - 스이텐구마에 구간(1.3km)이 개통되었다.[34][48]

1993년 5월 18일, 스이텐구마에 - 오시아게역 간의 제1종 철도 사업 면허를 신청했고,[49][50] 6월 23일에 면허를 취득했다.[51] 12월 6일에는 스이텐구마에역 - 오시아게역 구간이 착공되었다.[52]

1994년 10월 28일, 영단 차량의 10량 편성 운행이 완료되었다.[44]

1995년 3월 20일,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으로 인해 오전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오후부터 재개되었다.

2002년 5월 2일, 도큐 5000계 전동차의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다.[53]

2003년 1월 7일, 08계의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고,[54][84] 2월 2일에는 보전 장치가 기존 CS-ATC에서 신 CS-ATC로 전환되었다.[54][55] 3월 19일에는 스이텐구마에 - 오시아게역 구간(6km)이 개업하며, 도부 이세사키선 경유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되었다.[56][57][58] 도부 30000계가 상호 운행을 시작했으며, 시간표 개정에 따라 낮 시간대 운전 간격이 6분 간격에서 5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 4월 25일에는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PTC)이 도입되었다.[59]

2004년 4월 1일,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의 민영화에 따라 도쿄 메트로에 승계되었다.[60] 6월 23일에는 시부야역에서 발포 사건이 발생하여 역무원이 부상당했다(시부야역 역무원 총격 사건).

2005년 2월 14일,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오시아게 방면에서 좌석을 격납하는 6도어 차량을 연결한 편성 운전이 시작되었고(도큐 5000계 사용),[61] 5월 9일에는 도쿄 메트로 최초의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62]

2006년 3월 18일, 도부 이세사키선과의 상호 운행 구간이 구키역으로 연장되었고,[63] 도부는 이에 맞춰 50050형을 투입했다(30000계는 순차적으로 철수).

2007년 12월 2일, 시부야역을 도쿄 메트로에서 도큐 전철로 다시 이관했다.[64]

2011년 3월 14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한 발전소 정지로 전력 공급 부족이 발생하여 도쿄 전력이 순환 정전(계획 정전)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도부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이 20일간 중지되었다가 4월 2일에 재개되었다.

2012년 12월 20일, 미쓰코시마에역 - 오시아게역 구간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65] 12월 26일에는 나가타초역 - 진보초역 구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66]

2013년 1월 24일, 진보초역 - 미쓰코시마에역 구간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67] 3월 14일에는 시부야역 - 나가타초역 구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68]

2018년 3월 17일, 스이텐구마에역과 히비야선・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 닌교초역과의 환승 업무가 시작되었고,[30] 3월 28일에는 도큐 2020계의 영업 운전이 개시되었다.[86]

2021년 8월 7일, 18000계의 영업 운전이 개시되었다.[69]

한조몬선은 도쿄 메트로의 노선 중에서 전 역 간의 소요 시간이 가장 짧고(거리는 긴자선이 2.5km 짧다), 역 수도 가장 적다. 시부야역에서 오시아게역까지 총 14개 역 중 타 노선과의 환승이 없는 역은 한조몬역뿐이다. 스이텐구마에역도 오랫동안 타 노선과의 환승이 불가능했지만, 2018년 3월 17일부터 닌교초역과의 환승이 가능해지면서[30] 도쿄도 내의 모든 지하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한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31]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68년 ~ 1978년)

1968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 "도쿄 11호선"이 처음 제시되었고[20][21], 1972년 답신 제15호에서는 종점이 후카가와 오기바시[22]로 연장되었다[23]1985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는 킨시초, 오시아게 경유 마쓰도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23]

한조몬선은 긴자선의 혼잡 완화와 시부야 부도심 발전에 기여하고, 황거 서북 지구의 도시 재개발을 위해 계획되었다[24]。그러나 노선 건설은 연선 지권자들의 반대 운동[25], 버블 경제 붕괴, 영단의 수입 감소 등으로 인해 지연되었다[26][27]한조몬 - 구단시타 구간에서는 1평 공유 운동이 일어나 토지수용법에 따른 강제 수용이 신청되기도 했으며, 토지 매수에 10년 정도가 소요되었다[26]

2. 2. 노선 연장 (1979년 ~ 2003년)



한조몬선은 긴자선의 혼잡을 완화하고 시부야 부도심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24] 황거 서북 지구의 도시 재개발에도 기여할 목적으로 노선이 설정되었다.[24] 그러나 노선 연장 과정에서 연선 지권자들의 반대 운동,[25] 1평 공유 운동,[26][27] 버블 경제 붕괴와 그에 따른 영단의 수입 감소[24] 등으로 인해 오시아게 역까지의 개통이 당초 예정보다 크게 늦어졌다.

2. 3. 민영화 및 이후 (2004년 ~ 현재)

2004년 4월 1일, 제이토 고속도교통영단(TRTA)이 민영화되면서 이 노선, 역 시설, 차량 및 관련 자산은 도쿄 메트로로 이전되었다.[10]

2000년 국토교통성은 2015년까지 이 노선을 마쓰도에 있는 계획된 종착역까지 연장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도쿄 메트로는 기업 공개에서 후쿠토신선이 완공되면 건설 작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혀, 마쓰도 연장이 실제로 건설될지 의문을 제기했다.[32]

2. 4. 연장 계획

국토교통성은 2000년에 이 노선을 2015년까지 마쓰도에 있는 계획된 종착역까지 연장할 것을 권고했다.[9] 그러나 도쿄 메트로는 기업 공개에서 후쿠토신선이 완공되면 건설 작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혀, 마쓰도 연장이 실제로 건설될지 의문을 제기했다.

1968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 '''도쿄 11호선'''은 "후타코타마가와 방면에서 산겐자야, 시부야, 진구마에, 나가타초, 구단시타, 간다진보초 및 오테마치의 각 방면을 거쳐 카키가라초에 이르는 노선"으로 처음 제시되었다.[20][21] 1972년의 같은 답신 제15호에서는 종점이 후카가와 오기바시로 연장되었다.[22][23]

1985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도쿄 11호선의 계획이 마쓰도까지 더 연장되었다.

2000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 "2015년까지 정비 착수하는 것이 적당한 노선"으로 정해졌다. 1998년부터 가시와, 아비코, 마쓰도를 비롯한 여러 시와 이바라키현류가사키, 우시쿠, 쓰쿠바 등의 자치단체에서 "지하철 11호선 연장 시정 협의회"도 결성되어, 마쓰도에서 가시와시 남부・아비코시 후사 방면, 더 나아가 이바라키현까지의 연장도 국가 등에 요청하고 있지만, 현재 개업의 전망은 없다. 도쿄 메트로는 오시아게 연장을 "전선 개업"으로 하고 있다.[32]

3. 운행 형태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은 시부야역에서 도큐 덴엔토시선과, 오시아게역에서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직결 운행 열차는 도큐 덴엔토시선주오린칸역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도부 동물공원역 사이를 운행하며, 더 나아가 도부 이세사키선구키역도부 닛코선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운행한다.[2] 주오린칸역과 미나미쿠리하시역 사이를 운행하는 직결 열차는 단일 운행으로 총 98.5km를 운행한다.

한조몬선은 다른 모든 도쿄 메트로 및 도에이 지하철 노선과 직접 환승이 가능하다. 도쿄 메트로 긴자선과는 시부야역에서 나가타초역까지의 4개 역과 미쓰코시마에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도쿄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한조몬선은 도쿄에서 6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며, 시부야역오모테산도역 사이의 피크 시간대 혼잡률은 173%에 달한다.[3]

평일 아침 러시아워에는 2 - 3분 간격, 저녁 러시아워에는 3 - 4분 간격, 낮 시간대에는 5분 간격 (1시간에 12대)으로 운행되고 있다.

도큐 덴엔토시선 - 한조몬선 - 도부 이세사키선의 3사 직통 운전을 이용하여, 승객이 많은 시기에 임시 열차를 운행한 사례가 있다.



2017년 7월 11일부터 21일까지는, 도큐 덴엔토시선의 평일 아침 러시아워의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도큐 덴엔토시선으로부터의 직통 특급 열차 "시차 Biz 라이너" (주오린칸→오시아게)를 운행했다. 이 열차는 한조몬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했다.[75][76]

3. 1. 도큐 덴엔토시선 직통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은 도큐 전철(도큐) 및 도부 철도(도부)와 3사 상호 직통 운전을 시행하고 있다. 한조몬선을 사이에 두고 도큐 측은 시부야역에서 덴엔토시선주오린칸역까지, 도부 측은 오시아게역에서 이세사키선 구키역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각각 운행된다.[2]

운행 계통상으로는 도큐 덴엔토시선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오시아게 방면은 평일 첫차인 기요스미시라카와 발 도부 동물공원 행과 한조몬 발 오시아게 행, 시부야 방면은 평일 막차인 오시아게 발 스이텐구마에 행과 오시아게 발 시부야 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도큐 덴엔토시선과 직통 운전한다.

열차는 모두 각역 정차이지만, 노선 내에서는 환승 노선의 열차 종별 (급행・준급・각역 정차)로 안내하고 있다. 이 종별은 도큐・도부 간에 공통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노선 내에서 독립된 것이며, 시부야역・오시아게역 도착 시점에서 노선 내 또는 환승 노선의 종별로 변경하고 있다 (변경이 없는 열차도 있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는 2 - 3분 간격, 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3 - 4분 간격, 낮 시간대에는 5분 간격 (1시간에 12개)으로 운행되고 있다. 이 시간대의 시부야 방면은 기본적으로 주오린칸 행이다. 오시아게 방면은, 오시아게 행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직통 열차 (급행)가 교대로 운행되고 있다.

아침 오시아게 방면에는, 한조몬역 (1개만)・기요스미시라카와역 발착 열차도 있다. 낮 시간대의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발착 열차는 2009년 6월 6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차량 사업소는 자사 노선 내에 부지를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도큐 덴엔토시선의 사기누마역 옆에 사기누마 검차구로 설치되어 있다.

낮 시간대의 운행 패턴 (하행)
역명

종별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colspan="2"|colspan="2"|도큐 덴엔토시선
직통
본수각역 정차rowspan="2" colspan="1"|3개→주오린칸
3개→주오린칸
미나미쿠리하시←2개→주오린칸
구키←4개



도큐 5000계 6도어/좌석 격납 차량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급행 3개, 준급 3개, 각역정차 6개, 총 12개의 열차(모두 주오린칸행)가 운행된다. 평일에는 나가쓰타행이 주로 운행되며, 사기누마행도 소수 설정되어 있다. 도큐 덴엔토시선에는 이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지 않는 열차도 있으며, 그 일부는 이 노선의 시부야 - 한조몬 구간을 회송한 후, 한조몬역의 인상선에서 회차한다. 이 회송 비용은 도큐가 부담한다.

도큐 5000계 중 15개 편성의 4, 5, 8호차에는 6도어/좌석 격납 차량이 연결되어 있었다. 평일 아침의 오시아게 방면 열차에서는 도큐 덴엔토시선의 시발역에서 한조몬의 한조몬까지 6도어차의 좌석을 사용할 수 없었다.[70] 스크린도어 설치와 관련하여 6도어차는 순차적으로 4도어차로 교체되었으며,[71] 2017년 4월 20일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72]

{|style="float:right;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gray; margin:0em 0em 0em 2em; padding:1em;"

|-

|style="background:#eee; border-bottom:solid 4px #8f76d6;"|각 차량의 약냉방차, 휠체어 공간 위치 차이

|-

|

|-

|'''도부 철도 차량'''

|-

|

10
9
876●54●32--1



|-

|'''도쿄 메트로 차량・도큐 차량'''

|-

|

10◯◯9--8●7●6●5●4●3--2●◯1



|-

|


  • 도큐 5000계・2020계・도부 5000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 설치
  • 도큐 202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 설치

|}

오시아게 연장 후 한조몬선 각 역의 발차 표지에는, 시각과 행선지 외에 차량의 소속 회사가 "(회사명) 차량입니다"라는 형태로 표시된다.[77] 이는 휠체어 공간이 설치된 차량의 연결 위치가 도부와 도큐・도쿄 메트로에서 다르기 때문이다.[78][77] 「○량째에 휠체어 공간이 있습니다」라는 표시는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를 초과하기 때문에, "(회사명) 차량입니다"라고 표시하고 있다.[78]

또한, 도부 차량은 원칙적으로 2・9호차, 도쿄 메트로와 도큐는 원칙적으로 3・9호차에 설치되어 있지만(도큐 5000계는 중간차 전체, 도큐 2020계는 전차량에 설치), 전입・전출이나 차량 조립・리뉴얼 공사 등으로 인해, 원칙 이외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평일 아침 첫차부터 9:30까지(시부야 방면행〈B선〉은 오시아게 9:20발까지) 모든 열차는, 진행 방향 맨 뒷 차량이 여성 전용차가 된다(실시 구간은 시부야 방면행은 도부선→오시아게→시부야 간, 오시아게 방면행은 도큐 덴엔토시선→시부야→오시아게 간, 9:30에 여성 전용차 취급은 중단된다).[79]

3. 2.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이세사키선・닛코선 직통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은 도큐 전철도부 철도와 3사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한조몬선을 기준으로 도큐 측은 시부야역에서 도큐 덴엔토시선주오린칸역까지, 도부 측은 오시아게역에서 도부 이세사키선 구키역도부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각각 운행한다.[2]

운행 계통상으로는 도큐 덴엔토시선과 통합되어 있으며, 오시아게 방면은 평일 첫차인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발 도부 동물공원 행과 한조몬 발 오시아게 행을 제외하고, 시부야 방면은 평일 막차인 오시아게 발 스이텐구마에 행과 오시아게 발 시부야 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도큐 덴엔토시선과 직통 운전한다.

열차는 모두 각역 정차이지만, 노선 내에서는 환승 노선의 열차 종별 (급행・준급・각역 정차)로 안내한다. 이 종별은 도큐・도부 간에 공통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노선 내에서 독립된 것이며, 시부야역・오시아게역 도착 시점에서 노선 내 또는 환승 노선의 종별로 변경한다 (변경이 없는 열차도 있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는 2 - 3분 간격, 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3 - 4분 간격, 낮 시간대에는 5분 간격 (1시간에 12개)으로 운행한다. 이 시간대의 시부야 방면은 기본적으로 주오린칸 행이다. 오시아게 방면은 오시아게 행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직통 열차 (급행)가 교대로 운행되고 있다.

아침 오시아게 방면에는 한조몬역 (1개만)・기요스미시라카와역 발착 열차도 있다. 낮 시간대의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발착 열차는 2009년 6월 6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차량 사업소는 노선 내에 부지를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도큐 덴엔토시선의 사기누마역 옆에 사기누마 검차구로 설치되어 있다.

낮 시간대의 운행 패턴 (하행)
역명

종별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colspan="2"|colspan="2"|도큐 덴엔토시선
직통
본수각역 정차rowspan="2" colspan="1" style="text-align:right;"|3개→주오린칸
3개→주오린칸
미나미쿠리하시←2개→주오린칸
구키←4개



: :급행 :준급 :각역 정차

낮 시간에는 구키행과 미나미쿠리하시행이 1:1 비율로 운행된다.[73] 직통 운전을 시작한 2003년 3월 19일부터 2006년 3월 17일까지는 낮 시간대에 1시간당 3편(도부 동물공원행 2편, 미나미쿠리하시행 1편)이었다. 낮 시간대에는 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서 회차하는 열차도 1시간에 4편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요스미시라카와역, 오시아게역, 도부선 히키후네역에서 시간 조정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2006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이후, 새벽 심야 시간대와 9시대를 제외하고 1시간에 6편(10분 간격)이 되었다. 낮 시간대에는 미나미쿠리하시행과 구키행의 급행이 교대로 운행되게 되었다. 시간대와 시간표의 사정에 따라 기타코시가야역(준급)·도부 동물공원역 발착도 있다. 직통 열차는 급행 또는 준급(아침·야간에만 운행)에 한정된다. 201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부터 낮 시간대의 행선지가 구키행·쿠키행·미나미쿠리하시행의 30분 주기로 변경되었고, 평일 야간 시간대의 급행 운행 시간대도 확대되었다.

현재, 한조몬선에서 출발하는 도부선 내 보통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과역으로 가려면 도부선 내의 히키후네역이나 기타센주역·니시아라이역 등에서 환승이 필요하다. 한편, 도부선에서 출발하는 낮 시간대의 급행 이하의 쾌속 열차는 모든 열차가 한조몬선 직통이다.

도부선 오시아게역 - 히키후네역 구간은 도쿄 스카이트리역 - 히키후네역과 동일 노선으로 취급되지만, 히키후네역에서 개찰구를 나오지 않아도 중복 승차가 가능하며, 해당 역 및 아사쿠사역으로 그대로 갈 수 있다.

4. 차량

한조몬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히비야선과도 상호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케노츠카역 부근에 히비야선 차량기지 중 하나인 센주 검차구 다케노츠카 분실이 있기 때문에, 히비야선용 차량과 나란히 있는 광경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30000계도 운행되었으나, 2021년 9월부로 운용을 종료했다.[92]

4. 1. 도쿄 메트로 소속 차량

도쿄 메트로가 소유한 모든 한조몬선 차량은 도큐 덴엔토시선사기누마역 근처에 위치한 사기누마 차량기지((ja:鷺沼車両基地))에서 보관 및 유지보수된다.

  • 18000계: 8000계 교체용으로, 2021년 8월 7일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69][82] 당초에는 2020년에 도입될 예정이었다.[83][7][80][81]
  • 08계: 오시아게 연장에 맞춰, 2003년부터 6개 편성으로 투입되었다.[84][8]
  • 8000계: 1981년부터 19개 편성이 투입되어, 수선 공사를 받으면서 현재도 운행 중이다. 2015년에 전 편성의 수선 공사가 완료되었다.[85]

4. 2. 도큐 전철 소속 차량

도큐 전철 소속 차량은 다음과 같다.

  • 2020계: 영업 운전 개시 후 반년 동안은 도부 철도 직통이 불가능했지만[86], 현재는 모든 편성에서 도부 직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30개 편성이 있다.
  • 5000계: 일부 편성은 승하차 시간 단축 및 혼잡 완화를 위해 6도어 차량을 연결했지만, 2017년까지 모든 차량이 4도어 차량으로 통일되었다. 41량이 도요코선으로 전출되었다. 18개 편성이 있다.


차량 이미지
2020계
5000계



각 차량의 약냉방차, 휠체어 공간 위치는 다음과 같다.

구분10호차9호차8호차7호차6호차5호차4호차3호차2호차1호차
도쿄 메트로 차량・도큐 차량◯----


  • 도큐 5000계・202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 도큐 202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오시아게 연장 후 한조몬선 각 역의 발차 표지에는 시각과 행선지 외에 차량의 소속 회사가 "(회사명) 차량입니다"라는 형태로 표시된다[77]。이는 휠체어 공간이 설치된 차량의 연결 위치가 도부와 도큐・도쿄 메트로에서 다르기 때문이다[78][77]。「○량째에 휠체어 공간이 있습니다」라는 표시는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를 초과하기 때문에, "(회사명) 차량입니다"라고 표시하고 있다[78]

또한, 도쿄 메트로와 도큐 차량은 원칙적으로 3・9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지만(도큐 5000계는 중간차 전체, 도큐 2020계는 전차량에 설치), 전입・전출이나 차량 조립・리뉴얼 공사 등으로 인해 원칙 이외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평일 아침 첫차부터 9:30까지(시부야 방면행〈B선〉은 오시아게 9:20발까지) 모든 열차는 진행 방향 맨 뒷 차량이 여성 전용차가 된다(실시 구간은 시부야 방면행은 도부선→오시아게→시부야 간, 오시아게 방면행은 도큐 덴엔토시선→시부야→오시아게 간, 9:30에 여성 전용차 취급은 중단된다)[79]

4. 3. 도부 철도 소속 차량

도부 철도 소속 차량으로는 50050계가 운행되고 있다.

{| class="wikitable"

|+ 각 차량의 약냉방차, 휠체어 공간 위치 차이

|-

! 渋谷・中央林間|시부야・주오린칸일본어

! 押上・久喜・南栗橋|오시아게・구키・미나미쿠리하시일본어

|-

! 도부 철도 차량

|-

|

10--9876●54●32--1



|-

! 도쿄 메트로 차량・도큐 차량

|-

|

10◯◯9--8●7●6●5●4●3--2●◯1



|-

|


  • 도큐 5000계・2020계・도부 5000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 설치
  • 도큐 2020계는 ◯표시 차량에도 휠체어 공간 설치

|}

오시아게 연장 후 한조몬선 각 역의 발차 표지에는 시각과 행선지 외에 차량의 소속 회사가 "(회사명) 차량입니다"라는 형태로 표시된다[77]。이는 휠체어 공간이 설치된 차량의 연결 위치가 도부와 도큐・도쿄 메트로에서 다르기 때문이다[78][77]。「○량째에 휠체어 공간이 있습니다」라는 표시는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를 초과하기 때문에, "(회사명) 차량입니다"라고 표시하고 있다[78]

도부 차량은 원칙적으로 2・9호차, 도쿄 메트로와 도큐 차량은 원칙적으로 3・9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도큐 5000계는 중간차 전체, 도큐 2020계는 전 차량에 설치). 다만, 전입・전출이나 차량 조립・리뉴얼 공사 등으로 인해 원칙 이외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평일 아침 첫차부터 9:30까지(시부야 방면행〈B선〉은 오시아게 9:20 발까지) 모든 열차는 진행 방향 맨 뒷 차량이 여성 전용차가 된다(실시 구간은 시부야 방면행은 도부선→오시아게→시부야 간, 오시아게 방면행은 도큐 덴엔토시선→시부야→오시아게 간, 9:30에 여성 전용차 취급은 중단된다)[79]

과거에는 30000계가 오시아게 연장 개업 당시 도부 철도 직결 운행 차량의 주력이었으나, 2005년 10월부터 도부 도조 본선 계통으로 전속이 진행되어, 2021년 9월 말로 운용을 종료했다[92]

5.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Z-01시부야渋谷|시부야일본어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 선 (DT 01, 직결 운행)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TY 01)
긴자 선 (G-01)
후쿠토신 선 (F-16)
야마노테 선 (JY 20)
사이쿄 선 (JA 10)
쇼난 신주쿠 라인 (JS 19)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IN 01)0.0도쿄도시부야구Z-02오모테산도表参道|오모테산도일본어긴자 선 (G-02)
지요다 선 (C-04)1.31.3미나토구Z-03아오야마 1초메青山一丁目|아오야마 1초메일본어긴자 선 (G-04)
오에도 선 (E-24)1.42.7Z-04나가타초永田町|나가타초일본어난보쿠 선 (N-07)
유라쿠초 선 (Y-16)
긴자 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G-05)
마루노우치 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M-13)1.44.1지요다구Z-05한조몬半蔵門|한조몬일본어1.05.1Z-06구단시타九段下|구단시타일본어도자이 선 (T-07)
신주쿠 선 (S-05)1.66.7Z-07진보초神保町|진보초일본어미타 선 (I-10)
신주쿠 선 (S-06)0.47.1Z-08오테마치大手町|오테마치일본어마루노우치 선 (M-18)
도자이 선 (T-09)
지요다 선 (C-11)
미타 선 (I-09)1.78.8Z-09미쓰코시마에三越前|미쓰코시마에일본어긴자 선 (G-12)
소부 쾌속선 (신니혼바시역, JO 20)0.79.5주오구Z-10스이텐구마에
(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 앞)水天宮前|스이텐구마에일본어
(東京シティエアターミナル前|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 앞일본어)히비야 선 (닌교초 역, H-14)
아사쿠사 선 (닌교초 역, A-14)1.310.8Z-11기요스미시라카와清澄白河|기요스미시라카와일본어오에도 선 (E-14)1.712.5고토구Z-12스미요시住吉|스미요시일본어신주쿠 선 (S-13)1.914.4Z-13긴시초錦糸町|긴시초일본어소부 쾌속선 (JO 22)
주오·소부 완행선 (JB 22)1.015.4스미다구Z-14오시아게押上|오시아게일본어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TS-03, 직결 운행)
아사쿠사 선 (A-20)
게이세이 전철 오시아게 선 (KS 45)1.416.8

6. 이용 현황

2023년도 기준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A선, 시부야역 - 오모테산도역 구간)의 혼잡률은 109%이다.[94]

직결 운행하는 도큐 덴엔토시선에서 많은 승객이 유입되지만, 시부야역은 승차 인원보다 하차 인원이 많아 2019년까지 혼잡률은 도큐 덴엔토시선 내보다 약간 낮은 170% 정도였다. 그러나 시부야역이나 도큐 덴엔토시선 내에는 열차 편수를 증편할 여유가 없어 이 수치는 20년 이상 큰 변화가 없었다. 2013년 3월 16일에 도큐 도요코선 시부야역이 지하화되면서, 이전까지 긴자선으로 바로 환승하던 이용객 중 일부가 한조몬선으로 갈아타고, 동일 플랫폼에서 환승할 수 있는 오모테산도역에서 긴자선으로 환승하게 되면서[95] 2013년도의 가장 혼잡한 구간의 혼잡률은 175%로 높아졌다.

한편, 오시아게역에서는 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이 운행되지만, 4개 노선이 연결되는 기타센주역이 실질적인 터미널역이 되어, 기타센주역에서 도심 방면의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도 일정 수 존재하기 때문에, 오시아게역 방면에서 유입되는 승객은 적다. 오시아게역은 시부야 방면으로의 첫차 열차가 종일 설정되어 있어, 종일 혼잡률이 낮다.

2007년도의 하루 평균 통과 인원은 시부야 - 오모테산도 구간이 472,123명으로 가장 많았다. 오시아게 방향으로 갈수록 통과 인원이 감소하여, 진보초 - 오테마치 구간이 229,678명이었다. 오테마치역은 승차 인원과 하차 인원이 거의 동일하며, 오테마치 - 미쓰코시마에 구간이 229,456명으로 비슷하지만, 그 이후 다시 통과 인원이 감소하여, 기요스미시라카와 - 오시아게 구간이 105,799명으로 가장 적었다.[96]

최근의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운행 편수 (편)수송 능력 (명)수송량 (명)혼잡률 (%)
1980년1516,75227,622165
1981년1618,17630,809170
1982년1618,17630,526168
1983년1723,05632,599141
1984년1723,63237,900160
1985년1825,05638,812155
1986년1926,76842,209158
1987년2028,19246,701166
1988년2028,19246,278164
1989년2434,17654,177159
1990년2434,17657,253168
1991년2535,31258,710166
1992년2738,44866,190172
1993년2738,44866,308172
1994년2738,44866,540173
1995년2738,44866,820174
1996년2738,44866,590173
1997년2738,44867,050174
1998년2738,44867,453175
1999년2738,44866,992174
2000년2738,44865,856171
2001년2738,448173
2002년2738,44867,054174
2003년2738,44867,300175
2004년2839,872170
2005년2839,872172
2006년2839,87269,168173
2007년2839,87269,000173
2008년2839,87269,223174
2009년2839,87267,705170
2010년2839,87266,624167
2011년2839,87264,057161
2012년2839,87267,518169
2013년2839,87269,691175
2014년2839,87268,563172
2015년2839,87268,326171
2016년2738,44865,219170
2017년2738,44866,549173
2018년2738,44864,422168
2019년2738,44864,930169
2020년2738,44842,491111
2021년2738,44837,88799
2022년2738,44837,29597
2023년2738,44841,908109

[97]

7. 기타

한조몬선황거의 서쪽 문인 "한조몬"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 문은 막부 창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 16세기 사무라이 핫토리 한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노선도와 역 안내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보라색이며, 역 번호는 "Z"와 두 자리 숫자로 표시된다.

도쿄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기준으로 한조몬선은 도쿄에서 6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며, 시부야역오모테산도역 사이 구간의 피크 시간대 혼잡률은 173%에 달한다.[3]

한조몬선은 길이로 시부야, 미나토, 지요다, 주오, 고토, 스미다 구를 지난다. 도쿄 지하철의 다른 노선들에 비해 비교적 짧지만, 도큐, 도부와의 직결 운행을 통해 긴 운행 거리를 제공한다. 남쪽 시부야역에서는 도큐 덴엔토시선과 연결되며, 북쪽 오시아게역에서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연결된다. 직결 열차는 도큐 덴엔토시선 주오린칸역에서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도부 동물공원역 사이를 운행하며, 도부 이세사키선 구키역도부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연장 운행한다.[2] 주오린칸역과 미나미쿠리하시역 사이의 직결 운행 거리는 총 로, 한조몬선 자체 길이의 약 6배에 달한다.

한조몬선은 다른 모든 도쿄 메트로 및 도에이 지하철 노선과 직접 환승이 가능하다. 특히 도쿄 메트로 긴자선과는 시부야역에서 나가타초역까지 4개 역과 미쓰코시마에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7. 1. 발차 멜로디

2018년 8월까지 도쿄 메트로 노선 중 유일하게 발차 멜로디(발차 사인음)가 도입되지 않았으나, 같은 해 9월 8일 아오야마잇초메역에 처음 도입되었고, 같은 달 13일부터 도큐 전철이 관리하는 시부야역을 제외한 전 역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101] 모두 스위치에서 제작했으며, 시오즈카 히로시와 후쿠시마 나오야가 작곡 및 편곡을 담당했다.[102]

한조몬역미쓰코시마에역에는 지역 멜로디가 채용되었는데, 전자는 국립극장에서 가장 가까운 역인 점을 고려해 가부키의 구로미스 음악인 "텐테츠"와 인형 조르리 분라쿠의 "고토부키 시키 산바소"를 편곡한 것을 사용하고, 후자는 민요 "에도 닛폰바시"를 편곡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역명곡명도입 연월일제작 회사
A선 (오시아게・도부 철도 방면)B선 (시부야・도큐 전철 방면)
시부야역2: (벨)1: (벨)
오모테산도역6: 앙트런스【후쿠시마】3: 훈풍【후쿠시마】2018년 9월 13일[101]스위치[103][104]
아오야마잇초메역4: 아침 햇살의 샤워【시오즈카】3: 사바랑【후쿠시마】2018년 9월 8일[101]
나가타초역4: 여명【후쿠시마】3: 오늘도 어딘가에서【시오즈카】2018년 9월 13일[101]
한조몬역2: 고토부키 시키 산바소【후쿠시마】1: 텐테츠【후쿠시마】
구단시타역4: 손을 잡고【시오즈카】3: 센스 오브 원더【후쿠시마】
진보초역6: 저녁놀【후쿠시마】5: 북마크【후쿠시마】
오테마치역8: 메트로로 Go!【후쿠시마】7: 머큐리【후쿠시마】
미쓰코시마에역4: 에도 닛폰바시 verE【후쿠시마】3: 에도 닛폰바시 verF【시오즈카】
스이텐구마에역2: 사죽의 길【후쿠시마】1: 강가【후쿠시마】
기요스미시라카와역2: 만화경【후쿠시마】1: 컷 글라스【후쿠시마】
스미요시역2: 화사【후쿠시마】1: 심호흡【후쿠시마】
킨시초역2: 장마【후쿠시마】1: 광채 도시【후쿠시마】
오시아게역〈스카이 트리 앞〉4: 스타트업【후쿠시마】1: 자전【후쿠시마】
2: 라이브러리【후쿠시마】
3: 올려다보는 하늘에【후쿠시마】
(차재 멜로디)새로운 동료【시오즈카】맑게 갬【시오즈카】2019년 8월 24일

7. 2. PASMO 이용 시 운임 계산

도쿄 메트로와 도부 철도에서 PASMOSuica 등 교통계 IC 카드(이하 PASMO로 대표)를 이용할 수 있지만, 도부 이세사키선오시아게기타센주 경유로 한조몬선과 히비야선을 환승했을 경우 PASMO의 사양상 도부선의 운임은 계산되지 않고, 전 노선 도쿄 메트로선 경유로 계산된다(도쿄 메트로만으로 도중 개찰구를 나가지 않고 승차할 수 있는 경로가 있기 때문[105]).

또한, 기타센주역에서는 도쿄 메트로, 도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3사가 개찰구 및 구내를 공유하고 있으며, 중간 개찰구가 없는[106] 관계상, 도부 이세사키선 오시아게・기타센주 경유로 한조몬선과 지요다선(아야세역, 기타아야세역 방면, 마치야역 방면)을 환승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 노선 도쿄 메트로선 경유로 계산되어, 오모테산도역 또는 오테마치역 경유와 동일한 금액이 차감된다.

2018년 3월 17일자로 스이텐구마에역과 히비야선 닌교초역이 환승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스이텐구마에역 이서 등 양 역을 연결하여 운임이 계산되는 구간이 발생하고 있다(예: 기요스미시라카와역 - 기타센주역 간 등).

참조

[1] 웹사이트 Tokyo Metro station ridership in 2017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Tokyo Metro) 2018-07-23
[2] 간행물 Tobu Timetable 2013-03-16
[3] 간행물 Commute Metropolis 2009-06-12
[4] 문서 Shibuya is shared by both Tokyu Corporation and Tokyo Metro; Tokyu Corporation manages the station.
[5] 문서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inza and Hanzomon/Den-en-toshi lines at Shibuya, transfers between the two lines are announced at Omote-sando.
[6] 문서 Oshiage is shared by both Tobu Railway and Tokyo Metro; Tokyo Metro manages the station.
[7] 웹사이트 東京メトロ「兄弟車」有楽町線・副都心線17000系と半蔵門線18000系 https://news.mynavi.[...] Mynavi Corporation 2022-06-20
[8] 간행물 営団地下鉄08系 Koyusha Co., Ltd. 2003-03
[9] 서적 The 地下鉄 Sansuisha
[10] 웹사이트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2022-05-29
[11] 웹사이트 混雑率の推移 https://www.mlit.go.[...]
[12] 웹사이트 Tokyo plans new effort to ease commuter hell on rush-hour trains https://www.japantim[...] 2017-07-06
[13]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31年・令和元年)/運輸 https://www.toukei.m[...] 東京都 2021-07-31
[14]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15]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水天宮前〜押上)
[16] 웹사이트 令和3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 http://www.jametro.o[...] 一般社団法人日本地下鉄協会 2021-10-17
[17]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実業之日本社 2016-12-09
[18]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オープンデータ 開発者サイト https://developer.to[...] 東京地下鉄 2021-06-04
[19] 문서 hanZomon。Hが東京メトロ日比谷線 (Hibiya) で使われたため。東京の地下鉄において、路線記号がローマ字表記の頭文字になっていないのは東京メトロでは当路線が唯一の事例であり、都営地下鉄では都営地下鉄三田線 (mIta) および都営地下鉄大江戸線 (oEdo) がある。
[20]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21] 문서 二子玉川 - 渋谷間は、元は1962年(昭和37年)の答申第6号にて東京3号線(東京メトロ銀座線)の延伸とされていたが、答申第10号で架空線方式の別線に振り替えられ、東京3号線から東京11号線に編入された。
[22] 문서 東京都江東区、住吉駅南方一帯の地域名。半蔵門線が通過したが、駅は設置されなかった。
[23]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24] 간행물 営団地下鉄半蔵門線渋谷=青山一丁目間の開業とその概要 電気車研究会 1978-11-01
[25]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26]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27] 문서 公共用地取得制度に関する 問題と改善方策 https://web.archive.[...] 運輸総合研究所
[28] 문서 有料座席指定列車を含めた場合、副都心線で運行される元町・中華街駅 - 西武秩父駅間の「S-TRAIN」(営業キロ113.8 km)が2位に挟まるため、本系統の営業キロは第4位となる。また、都営地下鉄も含めると都営地下鉄浅草線直通列車の三崎口駅(京急久里浜線) - 成田空港駅(京成成田空港線)間 (136.6 km) が最も長い。
[29] 문서 東京メトロ副都心線唯一の地上駅である和光市駅は東京メトロ有楽町線との共用駅であり、副都心線も単独区間に限れば、地上区間が存在しないことになる。
[30] 보도자료 3月17日(土)から新たな乗換駅の設定を開始します 人形町駅(東京メトロ・都営交通)⇔水天宮前駅、築地駅⇔新富町駅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7
[31] 문서 押上延伸後は、直通運転先の東武伊勢崎線北千住駅以北において、日比谷線直通列車への乗り換えは可能だった。
[32] 보도자료 貴重な数量限定商品もご用意しました 半蔵門線全線開業10周年記念グッズを発売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11-20
[33]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34]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35]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渋谷〜水天宮前)
[36] 문서
[37] 문서
[38] 간행물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2005-03-10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간행물 私鉄車両めぐり〔152〕帝都高速度交通営団 電気車研究会 1995-07-10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뉴스 営団地下鉄にニューフェース 半蔵門線きょう延長開業 交通新聞社 1989-01-26
[47] 간행물 TOPIC PHOTOS 営団半蔵門線100%冷房化 電気車研究会 1989-09-01
[48] 뉴스 営団半蔵門線が全通 交通新聞社 1990-11-28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간행물 5月のメモ帳 電気車研究会 2002-08-01
[54] 문서
[55] 문서
[56] 간행물 首都圏の新たな動脈が、いよいよ完成! 平成15年3月19日(水)半蔵門線 水天宮前・押上間開業(東武伊勢崎線・日光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3-02-12
[57] 간행물 首都圏の地下鉄ネットワークがますます便利に! 半蔵門線 水天宮前・押上間 平成15年3月19日(水)開業(予定) 東武伊勢崎線・日光線南栗橋まで相互直通運転開始!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2-08-29
[58] 간행물 3月19日(水)、東武伊勢崎線曳舟~押上間が開業 東武伊勢崎線・日光線、営団半蔵門線、東急田園都市線で相互直通運転を開始(南栗橋~押上~渋谷~中央林間)渋谷方面から日光・鬼怒川、両毛地区などへのお出掛けが大変便利に。特急・急行券は、2月19日(水)前売り開始。料金を大幅値下げ!!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03-02-12
[59] 문서
[60] 간행물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営団地下鉄 2004-01-27
[61] 간행물 2月14日(月)から田園都市線に6ドア・座席格納車両を試験導入 朝ラッシュ時の遅延防止と混雑感の軽減を目指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5-01-31
[62] 간행물 平成17年5月9日(月) 半蔵門線で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相互直通運転を実施している東急田園都市線、東武伊勢崎線でも導入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05-03-31
[63] 간행물 “より便利に” “より快適に” 3月18日 伊勢崎線・日光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05-12-16
[64] 웹사이트 HOTほっとTOKYU No.330 2008年1月号 > 田園都市線 渋谷駅の業務を移管しました http://hot.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7-12-22
[65] 간행물 ますます拡大!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 平成24年12月20日(木)より半蔵門線・副都心線の一部の駅間でも初めて携帯電話の利用が可能に! 丸ノ内線 池袋駅〜茗荷谷駅、東京駅〜霞ケ関駅、中野新橋駅〜方南町駅間 半蔵門線 三越前駅〜押上駅間 副都心線 雑司が谷駅〜渋谷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12-13
[66] 간행물 平成24年12月26日(水)よりますます拡大!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 丸ノ内線 赤坂見附駅〜新宿御苑前駅間 千代田線 霞ケ関駅〜代々木上原駅間 半蔵門線 永田町駅〜神保町駅間 副都心線 千川駅〜要町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12-19
[67] 간행물 平成25年1月17日(木)・24日(木)より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拡大 銀座線 銀座駅〜青山一丁目駅間 丸ノ内線 淡路町駅〜東京駅間 半蔵門線 神保町駅〜三越前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3-01-16
[68] 간행물 ますます拡大!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 平成25年3月14日(木)より千代田線・半蔵門線の全線で携帯電話のご利用が可能に! 千代田線 湯島駅〜二重橋前駅間 半蔵門線 渋谷駅〜永田町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3-03-12
[69] 간행물 半蔵門線新型車両18000系いよいよデビュー! 2021年8月7日(土)より運行開始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8-07
[70] 문서
[71] 간행물 2017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田園都市線ホームドア整備本格着手など総額502億円 ホームドアの整備計画の前倒し、大井町線急行7両化などを実施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20-11-20
[72] 논문 Topic Photos 東急5000系6ドア社全車運用離脱 電気車研究会 2017-08-01
[73] 간행물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等にて 2022年3月12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ご利用状況を踏まえた運転本数の見直しや最終列車の繰り上げ等を実施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2-05-18
[74] 간행물 営団・東急・東武 3社合同企画 平成15年3月29日(土)営団地下鉄半蔵門線、東急田園都市線、東武伊勢崎線・日光線相互直通運転開始記念「3社直通運転記念号 東武日光・鬼怒川温泉」を運転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東京急行電鉄/東武鉄道 2021-07-01
[75] 간행물 快適通勤ムーブメント「時差Biz」に合わせ東西線・半蔵門線で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11-20
[76] 간행물 朝6時台の田園都市線臨時特急列車「時差Bizライナー」を運転し、複数企業と連携したクーポン配信で朝活を推進 -東京都の混雑緩和プロジェクト「時差Biz」に連動した、混雑緩和策「グッチョイモーニング」を実施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20-11-20
[77] 웹사이트 ホーム発車案内に「東京メトロの車両です/東急の車両です」なぜ表示? 謎の半蔵門線 https://trafficnews.[...] 2021-09-01
[78] 문서 東京地下鉄道半蔵門線建設史(水天宮前〜押上)
[79] 웹사이트 女性専用車 半蔵門線 http://www.tokyometr[...] 2016-07-08
[80] 웹사이트 東京メトロプラン2021 東京メトロ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0
[81] 뉴스 東京メトロが新型車両設計へ、何を変える? 有楽町線・副都心線、半蔵門線に投入 https://newswitch.jp[...] 2021-02-04
[82] 뉴스 東京メトロ半蔵門線の新型車両「18000系」公開 車内は紫に https://mainichi.jp/[...] 2021-06-04
[83] 간행물 半蔵門線に新型車両18000系を導入します 2021年度上半期 営業運転開始予定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11-09
[84] 간행물 人にやさしい地下鉄を目指して 半蔵門線に08系車両が登場します。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20-11-09
[85] 웹사이트 さよなら!電機子チョッパ制御車」ラッピング 東京メトロ8000系8010編成に http://railf.jp/news[...] 交友社 2020-11-27
[86] 웹사이트 【東急】2020系・6020系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hobidas.[...] 2021-04-11
[87] 웹사이트 東急8590系8695編成のその後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1-01-30
[88] 웹사이트 【東急】8590系8694F 恩田工場へ http://rail.hobidas.[...] 2019-03-01
[89] 웹사이트 東急2000系改め、9020系が登場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1-01-30
[90] 문서 鉄道ファン 2020-08-01
[91] 웹사이트 (お知らせ)8500系8637Fの運用離脱に伴う回送完了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1-25
[92] 웹사이트 東上線でも大活躍、「転勤族」東武30000系の半生 半蔵門線直通用のはずが"新天地"で主力車両に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19
[93] 문서
[94]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95] 웹사이트 東横線地下化が大きく変えた「渋谷駅の役割」 直通で乗り継ぎルートはこれだけ変わった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2-02
[96] 웹사이트 東京地下鉄 平成19年度1日平均乗降人員・通過人員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2017-09-23
[97] 문서 都市交通年報
[98] 문서
[99] 문서
[100] 문서
[101] 간행물 半蔵門線に初めて発車メロディを導入します 半蔵門駅、三越前駅にはその駅にゆかりのある曲を採用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20
[102] 웹사이트 東京メトロ半蔵門線発車サイン音を制作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2019-07-21
[103] 웹사이트 東京メトロ半蔵門線発車サイン音を制作 http://www.switching[...] 株式会社スイッチ 2018-09-10
[104] 웹사이트 メトロ半蔵門線の車載メロディ https://blog.goo.ne.[...] 2019-09-01
[105] 웹사이트 PASMO 鉄道でのご利用方法 http://www.pasmo.co.[...]
[106] 문서 常磐快速線 홈과 東武線(半蔵門線직통)・日比谷線홈 사이는、千代田線([[常磐緩行線]]직통)홈을 통하면 개찰구를 나가지 않고 환승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