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인도 무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인도 무역은 로마 제국과 인도 아대륙 간의 해상 무역을 의미하며, 기원전 130년경부터 시작되어 7세기까지 이어졌다. 셀레우코스 제국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인도 아대륙과의 교역망을 지배했으나, 로마 제국이 이집트를 합병하면서 무역이 급증했다. 로마는 미오스 호르모스, 베레니케, 아르시노에 등의 항구를 사용했으며, 인도의 바르바리쿰, 바리가자, 무지리스, 아리카메두 등이 주요 교역 중심지였다. 이 무역은 로마와 인도 모두에 문화적 영향을 미쳤으며, 3세기의 혼란, 훈족의 침입,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등으로 인해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 무역 관계 - 탈달러화
    탈달러화는 미국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무역, 외환보유액 등에서 자국 통화나 다른 통화를 사용하고, 미국의 제재를 피하려는 움직임이다.
  • 양자 무역 관계 - 로마-인도 관계
    로마-인도 관계는 고대 로마 제국과 인도 아대륙 간의 무역, 외교, 문화 교류를 포괄하는 역사적 관계로, 특히 해상 무역로 개척과 몬순풍 이용 항로 발견으로 교역이 활발해져 상품 교환은 물론 문화적 영향까지 주고받았다.
  • 로마-인도 관계 - 폼페이 락슈미
    폼페이 락슈미는 1세기 로마-인도 간 무역의 증거로 1938년 폼페이에서 발굴된 힌두교 여신 락슈미를 묘사한 상아 조각상으로, 종교 혼합주의와 문화적 교류를 반영하며 제작지는 마투라 또는 보카르단 등으로 추정된다.
  • 로마-인도 관계 - 아힌 포슈
  • 인도의 해양사 - 디우 전투
    1509년 디우에서 벌어진 디우 해전은 포르투갈이 구자라트 술탄국, 맘루크 왕조, 캘리컷 연합군에 승리하여 인도양 해상권을 장악하고 인도 진출과 향신료 무역 독점의 발판을 마련한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해전이다.
  • 인도의 해양사 - 로마-인도 관계
    로마-인도 관계는 고대 로마 제국과 인도 아대륙 간의 무역, 외교, 문화 교류를 포괄하는 역사적 관계로, 특히 해상 무역로 개척과 몬순풍 이용 항로 발견으로 교역이 활발해져 상품 교환은 물론 문화적 영향까지 주고받았다.
로마-인도 무역 관계
개요
주제로마와 인도 아대륙 간의 무역 관계
시기기원전 1세기 ~ 서기 7세기
지역인도 아대륙, 로마 제국, 이집트, 아라비아
배경
요인로마의 사치품 수요 증가, 인도의 향신료, 직물, 보석 등 풍부한 자원, 계절풍 항해 기술 발전
주요 교역품
로마에서 인도로금, 은, 구리, 주석, 납, 산호, 유리, 포도주, 아마, 도자기
인도에서 로마로향신료 (후추, 계피, 생강, 육두구), 직물 (면, 견직물), 보석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상아, 흑단, 향수, 약재
주요 항구
인도바리가자, 무지리스, 아리카메두, 코르카이
로마알렉산드리아, 베레니케, 미오스 호르모스
교역 경로
육상 경로실크로드 (일부 구간 이용)
해상 경로홍해를 거쳐 아라비아 해를 횡단하는 경로 (계절풍 이용)
영향
경제적 영향로마의 막대한 금 유출, 인도의 경제 성장, 해상 무역의 중요성 증대
문화적 영향로마 문화의 인도 전파 (건축, 조각 등), 인도 문화의 로마 전파 (종교, 철학 등), 문화 교류 및 융합
정치적 영향인도 왕국의 번성, 로마 제국의 동방에 대한 관심 증가
쇠퇴
요인로마 제국의 쇠퇴, 사산 왕조의 등장 및 무역 방해, 해적 활동 증가, 동로마 제국의 등장
시기서기 7세기 이후 점차 쇠퇴
기타
참고 문헌"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고대 그리스의 항해 지침서)
고대 로마 작가들의 기록 (예: 플리니우스의 "박물지")

2. 배경

셀레우코스 제국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으로 인도 아대륙과 발달된 교역망을 지배했다. 남아라비아반도와 인도 아대륙으로 향하는 육상 교역로의 서쪽과 북쪽 끝을 통제하던 그리스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52]는 이 지역의 교역 기회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역사가 스트라본에 따르면, 인도와 그리스 간의 상업 규모는 후대의 인도-로마 교역 규모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53]

'에리트라해 안내기'는 이집트와 인도 아대륙 간의 해상 교역이 원양 항해가 아니었음을 언급한다.[53] 당시 교역품들은 아덴을 통해 이송되었다.[53]

아덴 – 아라비아 에우다이몬은 한때 부의 도시라 불렸는데, 당시 선박들이 인도에서 이집트로 가지 않고 이집트에서 더 멀리 가지 않고 이곳으로만 오게 되어, 알렉산드리아가 이집트 외부와 이집트 내에서 사온 상품들을 받는 것처럼 양쪽으로 화물들을 받았기 때문이었다.영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홍해 항구를 이용하여 인도 왕국들과 교역을 발전시켰다.[54] 로마 제국아이깁투스 속주를 설치하면서 이 항구들을 이용하여 기존 무역을 더욱 발전시켰다.[54]

스트라본과 대 플리니우스 같은 고전 지리학자들은 새로운 정보를 자신들의 저작에 포함하는 데 느렸다. 그러나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상인들의 기록에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고, 벵골만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역업자들의 정보 제공 덕분이었다.[55]

3. 로마-인도 교역의 성립

로마 제국이 동지중해 지역에서 그리스 왕국들을 대체하면서 동방과의 직접적인 해상 무역이 강화되었고, 이전 육상 무역로의 중개인들이 징수하던 세금이 사라졌다.[59] 스트라본은 로마의 이집트 합병에 따른 무역 증가를 언급하며, 당시 계절풍이 알려졌음을 시사한다.[60]

키지코스의 에우독소스가 기원전 130년에 시작한 인도 교역은 스트라본에 따르면 계속해서 커져갔다고 한다.[61] 스트라본은 코르넬리우스 갈루스가 이집트 총독이었을 때, 그를 따라 나일 강을 거슬러 아스완악숨 왕국(에티오피아)의 국경까지 올라갔으며, 그곳에서 미오스 호르모스에서 인도 아대륙으로 120척이나 되는 배가 출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전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시대에는 아주 소수의 배만이 항해를 감행하여 인도 상품을 거래했다고 한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매년 120척의 배가 미오스 호르모스에서 인도로 출항했으며,[61] 이 교역에 많은 금화가 사용되었다. 쿠샨 제국은 이 금을 재사용하여 자체 주화를 만들었으며, 대 플리니우스는 인도에 대한 금속 화폐 유출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62] 그는 인도, 중국, 아라비아 반도가 보수적인 추정으로 연간 1억 세스테르티우스를 로마 제국에서 가져가며, 그것이 로마의 사치와 여성에게 드는 비용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수입의 얼마만큼이 신이나 죽은 자의 영혼에게 바치는 희생에 쓰이는가에 대해 질문했다.

4. 초기 인도-로마 교역 (서력 초기)

로마의 팽창 이전에, 인도 아대륙의 여러 민족들은 다른 지역들과 활발한 해상 무역을 이루었다. 그렇지만 인도 항구들의 중요성이 극적으로 증가한 것은 그리스 로마인들이 이 지역들에 대한 시기별 계절풍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홍해의 바닷길이 열리면서 부터였다. 서력 기원 첫 두 세기에는 서인도와 로마의 동부 간 해상 무역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무역 확장은 새로운 탐험과 온전한 은화 및 금화를 만들 수 있게 한 아우구스투스 시대 (재위: 기원전 27년–서기 14년) 이래로 로마 제국이 이 지역에 가져온 안정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다.[2]

인도에서 발견된 티베리우스 시대 (서기 14년-37년)의 은제 데나리우스. 서기 1세기에 제작된 티베리우스 주화 복제본. 아우구스투스의 주화를 모방한 쿠샨 황제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주화.


오늘날 서인도 해안은 '에리트라해 안내기' 같은 문헌에서 자주 언급되었다. 이 지역은 강한 조류, 사납게 날뛰는 파도로 유명하였고, 바위로 된 해저는 해운 업무에 있어 위험하였다. 선박의 닻은 이 지역의 강한 파도를 만나 배를 침몰시키거나 난파시키기 위해 빠르게 떨어져 나갔을 것이다. 해상에서 사라진 석제 닻들이 쿠치만에 위치한 베트 드와르카라는 섬에 남아 있다. 1983년 이래로 베트 드와르카 섬 주변으로 육지와 연안에 대한 발굴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견된 것들에는 퇴적물에 묻혀 있었고 축을 통해 나 있는 구멍들 때문에 닻으로 여겨지는 납과 석제 유물들이 있었다. 난파선의 선체 흔적이 남아있기는 매우 드물기는 하나, 2000년과 2001년에 이뤄진 연안 발굴에서 각기 다른 크기의 암포라 7개, 납으로 된 닻 2개, 각기 다른 유형의 석제 닻 42개, 질그릇 조각들, 원형으로 된 납 잉곳 등이 출토되었다. 암포라 7개 유물은 고르지 않은 표면을 지닌 두껍고 거친 직물이 있었으며, 로마 제국에서 온 포도주와 올리브유를 수출하는 데 쓰였을 것이다. 고고학자들은 이 암포라들 대부분이 포도주 용도의 암포라로 결론지었는데, 올리브유는 인도 아대륙에서는 그 수요가 덜했기 때문이었다.[3]

서기 1-2세기의 바시티푸트라 팔루마니의 인도 선박을 묘사한 납으로 만든 주화


베트 드와르카 유물의 중요성 때문에, 고고학자들은 인도 내 자원들을 연구하였다. 섬이 위치한 이곳의 불리한 조건들 때문에, 다음의 물품들은 베트 드와르카와 나머지 서인도 지역들을 교역에 있어 중요한 위치로 만들었다. 라틴어 문헌에 따르면, 로마는 서커스에 사용하기 위해 인도의 호랑이, 코뿔소, 코끼리, 뱀 등을 수입했다. 페리플루스에서는 로마 여성들이 인도양의 진주를 착용하고 음식에 허브, 향신료, 후추, 구기자, 생강, 참기름, 설탕 등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인디고는 염료로, 면직물은 의류로 사용되었다. 인도는 로마 가구를 위한 흑단을 수출했고, 로마 제국은 의료 목적으로 인도의 라임, 복숭아, 여러 과일들을 수입했다. 이에 따라 서인도는 이 시기 많은 양의 로마 금화를 수용하였다.[4]

아프가니스탄의 불교 사원인 아힌 포슈에서 쿠샨의 통치자 카니슈카의 주화와 같이 발견된 트라야누스의 주화.


서인도의 좁은 만을 항해하기 위해 특수한 거대 배들이 사용되었고 선박 개발이 필요했다. 서인도 만 입구에서, 트라파가(trappaga)와 코팀바(cotymba)라 불리던 커다란 배들이 외국 선박들을 항구로 안전히 이끌도록 도와주었다. 이 선박들은 상대적으로 장기간 해안 순항이 가능했고, 일부 인장들에는 이러한 유형의 선박이 묘사되어 있다. 인장들에서 수평으로 나타난 선은 이 선박들의 기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선박 가운데에는 삼각형 모양을 한 단일 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5]

최근 발굴 외에도, 선박 건조의 발전과 긴밀한 무역 관계는 일부 로마 주화들의 발견으로 뒷받침되었다. 이 주화들에는 튼튼한 돛대 두 개가 달린 선박들이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와 문헌(플리니우스 및 페리플루스)에서 비롯된 인도 선박들에 대한 묘사는 항해 면에서의 인도 발전이 인도-로마 간 무역 증가 때문이었음을 시사한다. 서인도에서 발견된 로마 은화들은 주로 1, 2, 5세기의 것들이다. 이 주화들은 인도반도가 서기 1, 2세기 동안 로마와 안정적인 해상 무역을 이루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아우구스투스 시대 동안 육상 교역로 역시도 인도의 사절단들이 로마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6]

5. 주요 항구

인도와 로마 간의 교역에는 여러 주요 항구가 이용되었다.

아리카메두에서 발견된 라티움 아레초 제작 로마 도자기 조각 (서기 1세기, 기메 박물관 소장).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사프트 엘힌나 출토 인도 카넬리안 구슬 (페트리 박물관 소장).


포이팅거 지도 속 '템플룸 아우구스티'(Templum Augusti)와 함께 등장하는 무지리스.


오늘날 인도의 바르바리콘(카라치), 수나구라(방글라데시 중부), 바리가자(구자라트어로 바루치), 무지리스(오늘날 코둔갈루르), 코르카이, 카베리파티남, 아리카메두(타밀나두) 등 항구들은 내륙 도시 코두마날과 함께 인도-로마 간 교역의 주요 중심지였다.

'페리플루스'에 따르면, 그리스-로마 상인들은 바르바리쿰에서 코스투스, 베델리엄, 구기자, 나르드, 터키옥, 라피스 라줄리, 비단, 면직물, 견사, 인디고 등을 대가로 얇은 옷감, 무늬가 들어간 리넨, 토파즈, 산호, 소합향, 유향, 유리병, 은박이나 금박 제품, 포도주를 판매했다.[69] 바리가자에서는 밀, 쌀, 참기름, 목화, 옷감 등을 구매했다.[69]

무지리스는 인도 남서해안에 있던 사라진 항구 도시로, 체라 왕국로마 제국 사이에 이뤄진 고대 타밀 지역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다.[70] 이곳의 위치는 보통 오늘날의 코둥갈루르(케랄라주 중부)와 동일시된다.[71][72] 파타남(코둥갈루르 인근)에서 발견된 대량의 주화 및 암포라 등은 이 항구 도시로 추정되는 위치를 찾는 데 최근의 고고학적 관심을 이끌었다.[70]

'에리트라해 안내기'는 G.W.B. 헌팅퍼드가 퐁디셰리에서 약 3km 떨어진 초기 촐라 무역 중심지 타밀나두 아리카메두(오늘날 아리얀쿠팜 일부)로 추정한 포두케(Poduke)라는 시장을 언급했다(ch. 60).[73] 1937년 아리카메두에서 로마 도자기가 발견되었고, 1944년과 1949년 사이의 고고학 발굴 결과, 이곳이 서기 1세기 전반 동안 로마 상품이 수입된 무역 거점이었음이 밝혀졌다.[73]

5. 1. 로마의 항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알렉산드리아의 전략적 위치를 이용하여 인도 아대륙과의 무역을 안정시켰다.[65] 당시 동방과의 무역은 처음에는 현재 수에즈 위치에 해당하는 아르시노에 항구를 통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65] 동아프리카 무역에서 비롯한 상품들은 로마의 주요 3대 항구인 아르시노에, 베레니케, 미오스 호르모스 중 한 곳에 놓였다.[66] 로마인들은 나일강에서 홍해의 아르시노에 항구 중심부까지 진흙으로 뒤덮인 수로를 보수하고 청소했는데,[67] 이는 로마 행정부가 가능한 한 해상 교역로를 통해 많은 무역을 하기 위하여 해야만 했던 여러 노력들 중 하나였다.[67]

아르시노에는 마침내 미오스 호르모스의 커져가던 중요성에 압도되고 말았다.[67] 아르시노에-클리스마 같은 북쪽의 항구들에서 시작되는 항해는 수에즈만의 북풍으로 인해 미오스 호르모스와 비교하였을 때 어려웠다.[68] 이 북쪽 항구에서 항해는 사주, 암초, 위험한 해류 등 별도의 어려움 역시도 겪었다.[68]

미오스 호르모스와 베레니케는 고대 시대의 주요 교역항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로마의 지배권 하에 떨어지기 전 고대 이집트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기 때부터 무역상들이 사용했을 수 있다.[54]

5. 2. 인도의 항구



오늘날 인도의 남쪽 끝에 있던 바르바리쿰(카라치), 수나구라(방글라데시 중부), 바리가자(구자라트어로 바루치), 무지리스(오늘날 코둔갈루르), 코르카이, 카베리파티남, 아리카메두(타밀나두) 등 항구들은 내륙 도시 코두마날과 함께 인도-로마 간 교역의 주요 중심지였다.

'페리플루스 마리스 에리트레이'에 따르면, 그리스-로마 상인들은 바르바리쿰에서 코스투스, 베델리엄, 구기자, 나르드, 터키옥, 라피스 라줄리, 비단, 면직물, 견사, 인디고 등을 대가로 얇은 옷감, 무늬가 들어간 리넨, 토파즈, 산호, 소합향, 유향, 유리병, 은박이나 금박 제품, 포도주를 판매했다.[69] 바리가자에서는 밀, 쌀, 참기름, 목화, 옷감 등을 구매했다.[69]

무지리스는 인도 남서해안에 있던 사라진 항구 도시로, 체라 왕국로마 제국 사이에 이뤄진 고대 타밀 지역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다.[70] 이곳의 위치는 보통 오늘날의 코둥갈루르(케랄라주 중부)와 동일시된다.[71][72] 파타남(코둥갈루르 인근)에서 발견된 대량의 주화 및 암포라 등은 이 항구 도시로 추정되는 위치를 찾는 데 최근의 고고학적 관심을 이끌었다.[70]

페리플루스에 따르면, 여러 그리스 선원들이 무지리스와 활발한 교역을 맺으려 했다.[69]

'에리트라해 안내기'는 포두케(Poduke)라는 시장을 언급했는데(ch. 60), G.W.B. 헌팅퍼드는 이를 퐁디셰리에서 약 3km 떨어진 초기 촐라 무역 중심지 타밀나두 아리카메두(오늘날 아리얀쿠팜 일부)로 추정했다.[73] 1937년 아리카메두에서 로마 도자기가 발견되었고, 1944년과 1949년 사이의 고고학 발굴 결과, 이곳이 서기 1세기 전반 동안 로마 상품이 수입된 무역 거점이었음이 밝혀졌다.[73]

6. 문화 교류

아우구스투스의 주화를 모방한 서기 1세기 인도의 모조품 (대영박물관 소장).


스리랑카에서 제작된 서기 4-8세기 로마 주화의 청동 모조품


로마와 인도 아대륙 간 교역은 양 문명과 그 주변 지역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여러 문화 교류를 낳았다. 에티오피아악숨 왕국은 인도양 무역망에 관여하여 로마 문화와 인도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51] 인도 문화의 영향은 로마의 은제품, 상아 제품, 유럽 내 판매를 위해 사용된 이집트 면과 견직물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74] 알렉산드리아 내 인도인들의 존재는 현지 문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 방식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74]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붓다를 언급했고, 다른 인도 종교들도 이 시대 문헌에 언급되었다.[74]

한나라는 로마와의 무역에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166년, 226년, 284년에 기록된 로마의 사절단중국 사서들에 의하면 베트남 북부의 일남군 (교지군)에 상륙했다고 전해진다.[56][75][76][77] 로마의 주화, 유리 제품, 은제품 등이 중국에서 발견되었으며,[78][79] 뿐만 아니라 로마의 주화, 팔찌, 유리 구슬, 청동 램프, 안토니누스 왕조 시기의 메달 등이 베트남, 특히 옥에오 (푸난)에서 발견되었다.[56][75][80]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스테스는 그의 저서 '기독교 지리지' (550년경)에서 중국에 대해서, 그리고 그곳으로 어떻게 항해를 하는지, 실론섬까지 뻗어있는 정향 무역에 중국이 어떻게 관여되어 있는지 등을 분명하게 전하였다.[83][84]

로마에서 온 기독교인유대인 정착민들은 양자 간의 무역이 쇠퇴한 뒤에도 오랜 기간 인도에서 계속 거주하였다.[51] 대량의 로마 주화들이 인도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남인도의 활발한 해상 무역 중심지들은 더욱 그러하였다.[51] 타밀라캄의 왕들은 자신들의 통치권을 나타내기 위해 로마 주화를 깎아낸 뒤에 거기에 자신들의 이름으로 다시 발행하였다.[86] 무역업자들에 대한 언급은 인도의 타밀어로 된 상감 문학에 기록되어 있다.[86]

7. 쇠퇴와 여파

로마 제국 내 위기로 3세기 중반에 교역이 쇠퇴했으나, 4세기에 회복되어 7세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사산 제국호스로 2세가 로마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 영토와 이집트 등을 점령하면서 교역이 종료되었고, 627년 말 동로마 황제 이라클리오스에게 패배하였다.[87]

알촌 훈족의 인도 침입(496년-534년)은 유럽중앙아시아 간의 인도 교역에 심각한 피해를 주었다.[88] 아므르 이븐 알 아스가 이끈 아랍 병력은 639년 말 혹은 640년 초에 이집트로 진격하여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이 시작되었다.[92] 알렉산드리아 등 이집트 점령[93]으로 670년간 이어진 로마와 인도 아대륙 간 교역은 끝났다.[65]

1453년 오스만 튀르크가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면서, 유럽과 아시아 간 대부분의 직접 교역로에 대한 튀르크의 지배가 시작되었다.[96]

7. 1. 로마의 쇠퇴

인도 아잔타 석굴의 한 수도원 발굴 중에 발견된 비잔티움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주화.


로마 제국 내 위기 격변의 기간이던 3세기 중반에 교역이 쇠퇴했으나, 4세기에 회복되어 7세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사산 제국의 샤 호스로 2세가 로마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 영토와 이집트 등을 점령하면서 교역이 종료되었고, 627년 말에 동로마 황제 이라클리오스에게 패배하였다.[87]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스테스 ('인도로 항해한 코스마스')는 그리스계 이집트인 무역업자이자 시간이 흘러 수도사가 된 자로, 6세기에 인도와 스리랑카로 향하던 그의 무역 여정에 대한 글을 썼다.

7. 2. 굽타 제국의 쇠퇴

알촌 훈족의 인도 침입(496년-534년)은 유럽중앙아시아 간의 인도 교역에 심각한 피해를 주었다.[88] 굽타 제국은 인도-로마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었으며, 비단, 피혁 제품, 모피, 금속 제품, 상아, 진주, 나시크, 프라티스타나, 파탈리푸트라, 바라나시 등 주요 생산지에서 생산된 후추와 같은 다양한 사치품들을 수출했다. 그러나 훈족의 침입으로 인해 이러한 무역 관계와 관련 조세 수입은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89]

이 침입과 더불어 토착 지배자들의 반란까지 겹치면서, 이미 약화되었던 굽타 제국은 결국 멸망했다.[90] 굽타 제국의 멸망 이후 북인도는 여러 소규모 권력자들이 등장하면서 혼란에 빠졌다.[91]

7. 3. 아랍의 팽창

아므르 이븐 알 아스가 이끈 아랍 병력은 639년 말 혹은 640년 초에 이집트로 건너왔다.[92] 이 진격은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의 시작을 알렸다.[92] 알렉산드리아 및 이집트 나머지 지역들의 점령[93]은 670년간 이어진 로마와 인도 아대륙 간의 교역의 끝을 불러왔다.[65]

타밀어 지역권의 남인도는 국제 교역 상대로 동남아시아에 의존하게 되었는데, 힌두교와 그 뒤 불교가 도입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토착 문화에 더욱 큰 정도의 영향을 미쳤다.[94] 하지만, 인도 아대륙 및 이들과의 교역에 관한 지식은 비잔티움의 서적들에서 보존되었고 '의식의 서'라 불린 의전 서적에 나타나 있듯이, 중동과 페르시아 내 커져가던 이슬람 국가들의 영향력에 맞설 동맹을 구하던 비잔티움 황제의 궁정에서는 최소한 콘스탄티노스 7세 시기까지는 여전히 인도 지역과의 어느 정도 형태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을 것이다.[95]

7. 4. 오스만 제국의 팽창

오스만 튀르크가 1453년에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면서, 유럽과 아시아 간 대부분의 직접 교역로에 대한 튀르크의 지배가 시작되었다.[96] 오스만 제국은 유럽의 동방 무역을 차단하여, 유럽인들이 아프리카 주변 해상 무역로를 찾게 만들었고, 이는 유럽의 대항해시대, 더 나아가 중상주의식민주의 발생을 자극했다.

참조

[1] 서적 Curtin 1984
[2] 서적 Potter 2004
[3] 서적 Young 2001
[4] 서적 Shaw 2003
[5] 서적 Parker 2008
[6] 서적 Young 2001
[7] 서적 Mawer 2013
[8] 웹사이트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Travel and Trade in the Indian Ocean by a Merchant of the First Century" in The Voyage around the Erythraean Sea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2004
[9] 서적 Lach 1994
[10] 서적 Young 2001
[11]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Strabo published in Vol. I of the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1917 http://penelope.uchi[...]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villadelc[...] 2011-02-19
[13] 웹사이트 Il Blog sulla Villa Romana del Casale Piazza Armerina http://www.villadelc[...] 2017-02-12
[14] 서적 Lindsay 2006
[15] 서적 O'Leary 2001
[16] 서적 Fayle 2006
[17] 서적 Freeman 2003
[18] 간행물 Garum Masala;Dramatic archaeological discoveries have led scholars to radically reassess the size and importance of the trade between ancient Rome and India. https://www.nybooks.[...] 2023-04-20
[19] 웹사이트 Archaeologists Unearth Buddha Statue in Ancient Egyptian Port City https://www.smithson[...]
[20]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Sourcebook: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Travel and Trade in the Indian Ocean by a Merchant of the First Century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1] 뉴스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BBC 2006-06-11
[22] 서적 George Menachery (1987) ''Kodungallur City of St. Thomas''; (2000) ''Azhikode alias Kodungallur Cradle of Christianity in India''
[23] 웹사이트 Signs of ancient port in Kerala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7-02-12
[24] 서적 Huntingford 1980
[25] 서적 Lach 1994
[26] 서적 Ball 2016
[27] 서적 Hill 2009
[28] 서적 Yule 1915
[29] 서적 An 2002
[30] 서적 Harper 2002
[31] 서적 O'Reilly 2007
[32] 서적 Schoff 2004 [1912] http://depts.washing[...]
[33] 서적 Suárez (1999)
[34] 서적 Yule 1915
[35] 서적 Lieu 2009
[36] 문서 Ball 2016: 153–54.
[37] 문서 Kulke 2004: 108
[38] 문서 Farrokh 2007: 252
[39] 서적 Monuments of Hope, Gloom, and Glory in the Age of the Hunnic Wars. 50 years that changed India https://zenodo.org/r[...] J. Gonda Fund Foundation of the KNAW 2017
[40]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4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42] 서적 Longman History & Civics ICSE 9 by Singh https://books.google[...]
[43] 서적 The First Spring: The Golden Age of India by Abraham Eraly https://books.google[...]
[44]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by Sailendra Nath Sen https://books.google[...]
[45]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46] 문서 Meri 2006: 224
[47] 문서 Holl 2003: 9
[48] 문서 Kulke 2004: 106
[49] 문서 Luttwak 2009: https://books.google[...]
[50] 문서 The Encyclopedia Americana 1989: 176
[51] 문서 Curtin 1984: 100
[52] 문서 Potter 2004: 20
[53] 문서 Young 2001: 19
[54] 문서 Shaw 2003: 426
[55] 문서 Parker 2008: 118.
[56] 문서 Young 2001: 29.
[57] 문서 Mawer 2013: 38.
[58] 웹인용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Travel and Trade in the Indian Ocean by a Merchant of the First Century" in The Voyage around the Erythraean Sea http://depts.washing[...] 워싱턴 대학교 2004
[59] 문서 Lach 1994: 13
[60] 문서 Young 2001: 20
[61] 웹인용 The Geography of Strabo published in Vol. I of the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1917 http://penelope.uchi[...]
[62] 문서 "minimaque computatione miliens centena milia sestertium annis omnibus India et Seres et paeninsula illa imperio nostro adimunt: tanti nobis deliciae et feminae constant. quota enim portio ex illis ad deos, quaeso, iam vel ad inferos pertinet?" Pliny, Historia Naturae 12.41.84.
[63] 문서 Original Latin: "minimaque computatione miliens centena milia sestertium annis omnibus India et Seres et paeninsula illa imperio nostro adimunt: tanti nobis deliciae et feminae constant. quota enim portio ex illis ad deos, quaeso, iam vel ad inferos pertinet?"
[64] 웹인용 Il Blog sulla Villa Romana del Casale Piazza Armerina http://www.villadelc[...] 2017-02-12
[65] 문서 Lindsay 2006: 101
[66] 문서 O'Leary 2001: 72
[67] 문서 Fayle 2006: 52
[68] 문서 Freeman 2003: 72
[69] 웹인용 Ancient History Sourcebook: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Travel and Trade in the Indian Ocean by a Merchant of the First Century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23-05-12
[70] 뉴스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BBC 2006-06-11
[71] 서적 Kodungallur City of St. Thomas 1987
[72] 웹인용 Signs of ancient port in Kerala https://web.archive.[...] The Telegraph 2017-02-12
[73] 논문 1980
[74] 논문 1994
[75] 논문 2016
[76] 논문 2009
[77] 논문 1915
[78] 논문 2002
[79] 논문 2002
[80] 논문 2007
[81] 웹사이트 http://depts.washing[...] 2004
[82] 논문 1999
[83] 논문 1915
[84] 논문 2009
[85] 논문 2016
[86] 논문 2004
[87] 논문 2007
[88] 서적 The First Spring: The Golden Age of India https://books.google[...]
[89] 서적 Longman History & Civics ICSE 9 https://books.google[...]
[90]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91]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92] 논문 2006
[93] 논문 2003
[94] 논문 2004
[95] 서적 https://books.google[...] 2009
[96] 간행물 The Encyclopedia Americana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