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라바르 해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바르 해안은 인도 남서부의 아라비아 해안을 따라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고대부터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여러 문명이 교류하며 다문화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도착으로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었고, 영국 통치를 거쳐 1956년 케랄라 주가 형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해안 - 칼리메어곶
    칼리메어곶은 코디악섬 남서쪽의 좁고 긴 반도로, 아한대 해양성 기후와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가지며, 1941년부터 코디악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보호받고 있고 촐라 왕조 시대 등대 유적과 현대식 등대가 있는 곳이다.
  • 인도의 해안 - 코로만델 해안
    코로만델 해안은 데칸 고원 동부 벵골 만 연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촐라 왕조의 땅을 지칭하는 타밀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동 데칸 건조 상록수림 생태 지역이자 다양한 철새와 조류의 서식지이며, 유럽 열강의 인도 무역 통제 경쟁 무대였고 2004년 인도양 지진 피해 지역이기도 하다.
  • 케랄라주의 지형 - 남인도
    남인도는 인도 반도 남쪽의 데칸 고원과 카르나틱 지역을 포함하며, 드라비다어를 사용하고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농업, IT 산업, 제조업, 관광 등이 발달한 지역이다.
  • 케랄라주의 지형 - 서고츠산맥
    서고츠산맥은 인도 아라비아해안과 평행하게 인도 반도 남쪽 끝까지 뻗어있는 약 1,600km 길이의 산맥으로, 다양한 지형과 기후,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카르나타카주의 지형 - 남인도
    남인도는 인도 반도 남쪽의 데칸 고원과 카르나틱 지역을 포함하며, 드라비다어를 사용하고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농업, IT 산업, 제조업, 관광 등이 발달한 지역이다.
  • 카르나타카주의 지형 - 서고츠산맥
    서고츠산맥은 인도 아라비아해안과 평행하게 인도 반도 남쪽 끝까지 뻗어있는 약 1,600km 길이의 산맥으로, 다양한 지형과 기후,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말라바르 해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다른 이름해상 관문 인도
인도의 향신료 정원
지역 유형지역
별명인도의 해상 관문
인도의 향신료 정원
위치인도 남서쪽 해안
좌표12.0167°N 75.2833°E
소속 국가인도
소속 주케랄라 주
카르나타카 주
타밀나두 주
관할 도시권해당 정보 없음
설립해당 정보 없음
중심지해당 정보 없음
면적해당 정보 없음
고도해당 정보 없음
인구해당 정보 없음
인구 밀도816명/km²
언어콘칸어
말라얄람어
툴루어
칸나다어
영어
타밀어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우편 번호해당 정보 없음
ISO 코드IN-KL
IN-TN
IN-KA
지역 내 행정 구역 수18개 ( 케랄라 주 14개, 카르나타카 주 3개, 타밀나두 주 1개)
기후열대 기후 쾨펜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최대 도시해당 정보 없음
IUCN 보호 구역 등급해당 정보 없음
공식 명칭해당 정보 없음
역사
역사적 중요 지점무지리스
교통
교통 서비스 제공 사례케랄라 주 정부 보트가 시험을 치르기 위해 산드라 바부라는 승객을 수송한 사례
문화
특징해수면 아래의 담수

2. 어원

인도 남서부 말라바르 해안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한 서고츠 산맥


아나무디는 히말라야를 제외한 인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서고츠 산맥에 위치하여 말라바르 해안과 평행하게 자리잡고 있다.


윌리엄 로건에 따르면, "말라바르(Malabar)"라는 단어는 드라비다어 "말라(Mala)"(산)와 페르시아어 또는 아랍어 "바르(Barr)"(국가/대륙)가 합쳐져 만들어졌다.[13][9] 이 이름의 첫 부분은 6세기 코스마스 인디코플루스테스가 쓴 「지리서(Topography)」에서 처음 확인된다. 이 책에는 당시 아랍 선원들이 이미 케랄라를 "말레(Male)"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지리서」는 "말레(Male)"라는 후추 무역 중심지를 언급하는데, 이것이 "말라바르"(말레의 땅)라는 이름의 기원이 된 것으로 보인다.[10][11] 이름의 뒷부분인 '바르'는 학자들이 아랍어 "바르(barr)"('대륙') 또는 페르시아어 "바르(bar)"('국가')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알비루니(서기 973-1048)는 "말라바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작가이다.[13] 이븐 호르다드베나 알발라두리 같은 작가들도 자신들의 책에서 말라바르 항구들을 언급했다.[12] 아랍 작가들은 이곳을 "말리바르(Malibar)", "마니바르(Manibar)", "물리바르(Mulibar)", "무니바르(Munibar)" 등 다양하게 불렀다. "말라바르"는 "산의 땅"을 의미하는 "말라나드(Malanad)"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한다.

영국인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말라바르"는 외국 무역계에서 케랄라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되었다.[13] 과거에는 "말라바르"라는 용어가 현대 케랄라 주뿐만 아니라 인도 남서부 해안에 인접한 툴루 나두와 카냐쿠마리 지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쓰이기도 했다.[14][15] 이 지역 사람들은 "말라바르인"으로 불렸다. "말라바르"라는 용어는 종종 인도 남서부 해안 전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또한, 유럽 상인들과 학자들은 스리랑카의 타밀인을 "말라바르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18세기에 J. P. Fabricius는 자신이 만든 타밀어-영어 사전을 "말라바르-영어 사전"이라고 설명했다.[16]

3. 지리

케랄라주 베칼 요새 해변


역사적으로 "말라바르 해안"이라는 용어는 인도 남서부 해안, 즉 서고츠 산맥과 아라비아해 사이에 위치한 카르나타카주와 케랄라주의 좁은 해안 평야를 가리켰다.[17] 이 해안은 고아 남쪽에서 인도 아대륙 최남단인 카냐쿠마리까지 이어진다. 반면 인도 남동부 해안은 코로만델 해안이라고 불린다.[18]

고대에는 "말라바르"라는 용어가 인도 반도의 전체 남서부 해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이 지역은 12세기 초까지 고대 체라 왕국의 일부였으며, 왕국 붕괴 후 여러 지역 수장들이 독립을 선포했다.

현대에 와서 "말라바르 해안"이라는 이름은 때때로 콘칸에서 카냐쿠마리에 이르는 인도 서해안 전체를 포괄하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17] 이 확장된 의미의 해안선은 길이가 845km가 넘으며, 남서부 마하라슈트라주 해안에서 시작하여 고아 지역을 거쳐 카르나타카주와 케랄라주의 서쪽 해안 전체를 지나 카냐쿠마리까지 뻗어 있다. 서쪽으로는 아라비아해, 동쪽으로는 서고츠 산맥과 접한다. 이 해안의 폭은 최대 60km 정도이다.[53] 행정 구역상 주로 카르나타카 주와 케랄라 주에 속하며, 일부는 고아 주와 타밀나두 주에도 걸쳐 있다.[53]

지리적으로 말라바르 해안은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의 고지대는 험준하고 시원한 산악 지형이며, 중앙의 중간 지대는 구릉지대, 그리고 서쪽의 저지대는 해안 평야를 이룬다.[32] 동쪽 고지대를 형성하는 서고츠 산맥은 해안선과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해안 평야와 내륙의 데칸 고원을 구분 짓는다. 서쪽 해안 저지대는 비교적 평탄하며,[32] 서로 연결된 기수 운하, 호수, 하구[21] 및 강들이 얽혀 있는 케랄라 배후수역으로 유명하다.[22] 내륙에는 라테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 단구가 있으며, 해안가에는 사구, 석호(케랄라 배후수역 등)가 발달해 있다.[53]

3. 1. 기후

말라바르 해안은 지형에 따라 기후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동쪽의 고지대는 험준하고 시원한 산악 기후를 보이는 반면,[32] 서쪽 해안 저지대는 상대적으로 평탄하다.[32]

전반적으로 고온 다습한 기후를 보이며, 겨울에는 짧은 건기가 있다. 특히 서고츠 산맥 서쪽 사면은 남서 계절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남인도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서고츠 산맥이 습기를 머금은 남서 계절풍을 막아 많은 비를 내리게 하기 때문이다. 연간 강수량은 2000mm에서 4000mm에 달한다.[53]

이러한 기후 조건은 지역 농업에도 영향을 미쳐, 코코넛 야자수 외에도 후추, 카르다몬 등이 주요 농산물로 재배된다.[53]

3. 2. 생태

지리적으로 말라바르 해안은 기후에 따라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 고지대는 험준하고 시원한 산악 지형이고, 중앙 중간 지대는 구릉지대이며, 서쪽 저지대는 해안 평야이다.[32]

서고츠 산맥은 해안과 평행하게 동쪽 고지대에 뻗어 있으며, 평야와 데칸 고원을 나눈다. 이 산맥은 세계 8대 생물 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19] 케랄라에 있는 아나무디 산 봉우리는 해발 2695m로, 히말라야 산맥 바깥 인도에서 가장 높다.[20] 이 산맥의 숲은 히말라야 산맥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9]

서쪽 해안 지대는 동쪽 지역보다 비교적 평탄하며,[32] 서로 연결된 기수 운하, 호수, 하구,[21] 그리고 강들이 얽혀 만들어진 케랄라 배후수역으로 덮여 있다.[22] '케랄라의 쌀그릇'으로 불리는 쿠타나드 지역은 인도에서 가장 고도가 낮은 곳이다.[3][23] 인도에서 가장 긴 호수인 베반나드 호는 배후수역의 중심이며, 알라푸자코치 사이에 위치하고 면적은 약 200km2이다.[24] 인도 전체 수로의 약 8%가 케랄라 주에 있다.[25]

말라바르 열대우림은 생물지리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생물지리 지역으로 나뉜다.

  • 말라바르 해안 습윤림: 해안 지역, 해발 250m까지 분포했으나, 현재는 95%가 사라졌다.
  • 서부 가트 습윤 낙엽수림: 중간 고도에 분포한다.
  • 서부 가트 고산 열대우림: 해발 1000m 이상 지역에 분포한다.


몬순 말라바르 커피콩이 이 지역에서 생산된다.

말라바르 해안은 데칸 고원 서쪽의 서고츠 산맥 서쪽에 위치한 아라비아 해 연안의 좁고 긴 해안으로, 폭은 최대 60km 정도이다. 행정 구역상 주로 카르나타카 주와 케랄라 주에 속하며, 일부는 고아 주와 타밀나두 주에도 걸쳐 있다.[53]

내륙에는 라테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 단구가 있고, 해안에는 사구, 석호(케랄라 배후수역 등), 코코넛 야자수 숲과 석호 주변의 논이 발달해 있다. 기후는 대체로 고온 다습하며, 겨울에는 짧은 건기가 있지만, 남동무역풍의 영향으로 연간 강수량은 2000mm에서 4000mm에 달한다. 농산물로는 코코넛 야자 외에도 후추, 카르다몬 등이 있다.[53]

이 지역에는 ''Indotristicha ramosissima'', ''Cyrtococcum longipes'', ''Eriochrysis rangacharii'' 등의 식물이 자생한다. 또한 검은머리흰따오기, 물총새, 바늘꼬리칼새, 물꿩, 붉은어깨매, 중대백로, 아시아황조롱이, 흰뺨오리, 제비갈매기, 큰뒷부리도요, 가창오리, 회색사다새, 작은대머리황새, ''Glaucostegus halavi'' (가래상어류), 이매패류 등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고아 부근의 난다 호수[54], 아가나시니 강 어귀[55], 코치 부근 내륙의 벵가나드-콜 습지[56], 콜람 부근의 사스탐코타 호수[57]와 아슈탐디 습지[58], 칸니야쿠마리 부근의 수친드람-테룰 습지 복합체[59][60]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이다.

3. 3. 주요 도시

말라바르 해안에는 역사적으로 여러 중요한 항구 도시들이 자리 잡았으며, 이들 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 도시들은 수천 년 동안 인도양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말라바르 해안의 주요 도시
시대주요 도시
고대노우라, 비진잠, 무지리스, 넬신다, 베이포어, 툰디 (폰나니 또는 카달룬디 근처)
중세칼리컷, 콜람, 폰나니, 카난노어, 코친
현대파나지, 고아, 만갈로르, 코지코드, 코치, 콜람, 티루바난타푸람[53]



바다와 인접하고 해상 무역에 유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말라바르 해안의 도시들은 일찍부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국제적인 분위기를 형성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인도 최초의 유대인(현재 코친 유대인으로 알려짐), 시리아 기독교인(성 토마스 기독교인으로 알려짐), 무슬림(현재 마필라로 알려짐), 그리고 앵글로 인디언 공동체가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26][27]

4. 역사

말라바르 해안은 고대부터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며 수메르, 이집트, 그리스, 로마 제국 등 여러 문명과 교류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31][32] 기원전 3000년경부터 시작된 해상 무역은 아랍페니키아 상인들을 거쳐 이후 유럽 세력에게까지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33] 이 지역은 체라 왕조를 비롯한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양 무역의 주요 경로에 위치하여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배경이 되었다.[61][53][62] 대항해시대 이후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등 유럽 열강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결국 영국령 인도의 일부로 편입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현재의 케랄라 주를 이루는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49]

4. 1. 고대 및 중세

말라바르 해안의 서부 해안 저지대와 중부 평원 일부는 고대에 바다 아래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창가나세리 근처에서 해양 화석이 발견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28]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서부 가트 산맥의 이두키 지구 마라유르 지역에 있는 신석기 시대의 돌멘이 있으며, 와이나드의 에다칼 동굴 암각화는 기원전 6000년경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29][30]

실크로드와 향신료 무역. 고대 인도를 구세계와 연결했던 무역로는 상품과 사상을 전파했다. 육로는 빨간색, 해로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에리트레아해의 항해기》(1세기)에 언급된 이름, 경로, 위치


말라바르 해안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주요 향신료 수출 지역이었으며, 이는 수메르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오늘날에도 "향신료의 정원" 또는 "인도의 향신료 정원"으로 불린다.[31][32] 케랄라의 향신료는 기원전 3천년기와 2천년기에 고대 아랍,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이집트인들을 말라바르 해안으로 이끌었다. 페니키아인들 역시 이 시기에 말라바르와 교역을 시작했다.[33] 아랍인과 페니키아인은 향신료 무역을 위해 말라바르 해안에 가장 먼저 진출한 세력으로 여겨진다.[33] 예멘, 오만, 페르시아 만 연안의 아랍인들은 말라바르 및 다른 동방 국가들과의 초기 장거리 해상 무역을 개척했을 가능성이 높다.[33] 이들은 말라바르의 계피중동 지역으로 전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3]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는 당시 계피 향신료 산업을 이집트인과 페니키아인이 독점했다고 기록했다.[33]

《에리트레아해의 항해기》에 따르면, "리미리케"로 알려진 지역은 "나우라"와 "틴디스"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리미리케"의 시작점으로 "틴디스"만을 언급했다. 이 지역은 대략 카냐쿠마리에서 끝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말라바르 해안과 거의 일치한다. 로마 제국은 이 지역과의 무역을 통해 연간 5천만 세스테르티우스에 달하는 가치를 얻었다고 추산된다.[34] 플리니우스는 "리미리케" 지역에 해적이 많았다고 언급했으며,[35] 코스마스 인디코플루스테스는 "리미리케"가 말라바르 후추의 주요 산지였다고 기록했다.[36][37] 기원전 후반기, 이 해안은 특히 말라바르 후추를 비롯한 향신료 때문에 그리스로마에게 매우 중요해졌다. 체라 왕조는 중국, 서아시아, 이집트, 그리스, 로마 제국과 활발한 무역 관계를 맺었다.[38] 국제 무역계에서 이 지역은 "말레" 또는 "말라바르"로 알려졌다.[39] 무지리스, 틴디스, 나우라(칸누르 근처), 넬킨다 등이 당시 주요 항구였다.[40] 당시 상감 문학에는 금을 싣고 케랄라의 무지리스에 도착하여 말라바르 후추와 교환하는 로마 배에 대한 묘사가 나타난다. 계절풍을 이용하여 케랄라에 도착한 최초의 서양 상인 중 한 명은 기원전 118년 또는 166년경,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8세의 후원을 받은 키지쿠스의 에우독소스였다. 로마의 항구 도시들, 예를 들어 아우구스투스 신전과 로마 병사 주둔 막사 등은 로마의 도로망 지도인 페우팅거 표에도 표시되어 있다.[41][42]

"케랄라"라는 명칭은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아 황제 아쇼카의 칙령에 "케탈라푸토"(체라)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다.[43] 아쇼카 시대에 케랄라는 남인도의 4개 독립 왕국(촐라, 판디야, 사티아푸트라 포함)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44] 체라 왕조는 아라비아해를 건너 지중해홍해의 주요 항구, 그리고 극동 지역 항구들과 무역 관계를 맺으며 케랄라를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체라 왕조의 영토는 고대 인도양 무역의 주요 경로 상에 위치했다.[61] 그러나 초기 체라 왕조는 이웃한 촐라와 라슈트라쿠타의 반복적인 침공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초기 중세 시대에는 남부디리 브라만들이 케랄라 지역으로 이주하여 카스트 제도에 기반한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8세기에는 아디 샹카라가 케랄라 중부의 칼라디에서 태어나 인도 아대륙 전역을 여행하며 아드바이타 베단타 철학을 전파하고 관련 기관들을 설립하여 큰 영향을 끼쳤다. 체라 왕조는 9세기에 케랄라에 대한 통제력을 잠시 회복했으나, 12세기에 왕국이 해체되면서 여러 작은 자치 족장국들이 등장했다. 특히 코지코드 왕국이 대표적이다. 13세기에는 베네치아의 탐험가 마르코 폴로가 이 지역을 방문하고 기록을 남겼다.[45] 코지코드 항구는 중세 남인도 해안에서 중국인, 아랍인, 이후 포르투갈인, 네덜란드인, 영국인 등 다양한 외부 세력에게 중요한 관문 역할을 수행했다.[13][53] 활발한 무역 활동의 영향으로 말라바르 해안에는 유대인시리아 기독교인 공동체가 형성되었으며, 무역상들을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현지 주민들도 늘어났다.[62]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코지코드에 도착한 경로(검은색 선)는 유럽에서 인도로 가는 해상 루트의 발견이었고, 이는 이후 유럽의 인도 아대륙 식민지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498년 바스쿠 다 가마대항해시대 동안 코지코드로 가는 해상 루트를 개척했는데, 이는 유럽에서 남아시아로 가는 최초의 현대적 해상 루트였으며 포르투갈인들의 정착과 교역 확대로 이어졌다. 이는 말라바르 해안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4. 2. 근세 및 식민지 시대

앵글로-마이소르 전쟁 이후, 말라바르 해안에서 영국 식민지가 된 지역들은 영국령 인도의 한 지구인 '말라바르 지구'로 편성되었다. 영국령 말라바르 지구는 현재의 칸누르 지구, 코지코데 지구, 와이나드 지구, 말라푸람 지구, 팔라카드 지구 대부분(치투르 탈루크 제외), 트리슈르 지구 일부(차바카드 탈루크), 그리고 에르나쿨람 지구의 코치 요새 지역과 멀리 떨어진 락샤드위프 제도를 포함했다. 행정 중심지는 코지코데였다.

1951년 당시 말라바르 지구 지도


고대 말라바르 해안의 일부였던 말라바르 지구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통제하던 지역으로, 케랄라 주의 북쪽 절반과 락샤드위프 제도를 포함했다.[50] 코지코데는 말라바르의 수도로 여겨졌다. 이 지역은 북부와 남부로 나뉘었다. 북부 말라바르는 현재의 카사라고드 지구와 칸누르 지구, 와이나드 지구의 마난타바디 탈루크, 그리고 코지코데 지구의 바타카라와 코일란디 탈루크를 포함했다. 나머지 지역은 남부 말라바르로, 현재의 코지코데 지구(코지코데 및 타마라세리 탈루크), 남부 와이나드(현재 칼펫타와 술탄 배터리 지역), 말라푸람 지구(에라나드 탈루크), 팔라카드 지구, 그리고 트리슈르 지구의 차바카드 탈루크를 포함했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말라바르는 주로 후추, 기와, 코코넛 생산으로 중요성을 가졌다.[51]마드라스 관구(Madras Presidency)의 행정 기록에 따르면, 정부 소유의 가장 주목할 만한 농장은 1844년에 조성된 닐람부르의 티크 농장이었다.[52] 말라바르 지구는 베이포어 및 코치 요새 항구를 통해 아라비아해 해상 경로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서부 말라바르 해안에 위치한 마드라스 관구의 두 지구 중 하나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케랄라 최초의 철도 노선인 티루르- 베이포어 구간(1861년)도 이 지역을 위해 건설되었다.

인도의 독립 이후 마드라스 관구는 마드라스 주(Madras State)가 되었다. 1956년 11월 1일, 언어 경계에 따라 주가 재편되면서 카사라고드 지역(당시 사우스 카나라 지역 소속)이 북쪽의 말라바르 및 남쪽의 트라방쿠르코친 주와 합쳐져 케랄라 주가 형성되었다. 락샤드위프 제도는 분리되어 새로운 연방 직할지가 되었다.

4. 3. 영국 식민지 시대: 말라바르 지구

앵글로-마이소르 전쟁 이후, 말라바르 해안에서 영국의 식민지가 된 지역들은 영국령 인도의 한 행정 구역인 말라바르 지구로 편성되었다. 이 지구는 현재의 케랄라 주 북부 지역 대부분을 포함했는데, 구체적으로는 칸누르 지구, 코지코데 지구, 와이나드 지구, 말라푸람 지구, 팔라카드 지구의 대부분(치투르 탈루크 제외), 트리슈르 지구의 일부(차바카드 탈루크)와 에르나쿨람 지구의 코치 요새 지역, 그리고 본토와 떨어진 락샤드weep 제도까지 관할했다. 행정 중심지는 코지코데였다.

과거 말라바르 해안의 일부였던 말라바르 지구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통제하던 지역으로, 케랄라 주의 북쪽 절반과 락샤드weep 제도를 아우르는 넓은 영역이었다.[50] 코지코데는 말라바르의 중심 도시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은 행정적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었다. 북부 말라바르는 현재의 카사라고드 지구와 칸누르 지구, 와이나드 지구의 마난타바디 탈루크, 그리고 코지코데 지구의 바타카라와 코일란디 탈루크를 포함했다. 남부 말라바르는 현재의 코지코데 지구(코지코데 탈루크, 타마라세리 탈루크), 와이나드 지구 남부(현재 칼펫타와 술탄 배터리 지역), 말라푸람 지구(에라나드 탈루크), 팔라카드 지구, 그리고 트리슈르 지구의 차바카드 탈루크를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말라바르의 주요 중요성은 후추, 기와, 그리고 코코넛 생산에 있었다.[51] 마드라스 주의 오래된 행정 기록에는 마드라스 주에서 정부가 소유한 가장 주목할 만한 농장은 1844년에 조성된 닐람부르의 티크 농장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52] 말라바르 지구와 베이포어 및 코치 요새의 항구는 서부 말라바르 해안에 위치한 마드라스 주의 두 지구 중 하나였기 때문에 아라비아해를 통한 해상 루트에 접근할 수 있어 마드라스 주에서 어느 정도 중요성을 지녔다. 케랄라 최초의 철도 노선인 1861년 티루르에서 베이포어까지의 노선이 이 지역을 위해 건설되었다.

4. 4. 인도 독립 이후

인도의 독립과 함께 영국령 인도의 마드라스 관구(Madras Presidency)는 마드라스 주(Madras State)가 되었다. 이후 1956년 11월 1일, 주 개편법에 따라 언어를 기준으로 주가 분할되면서 카사라고드 지역은 북쪽의 말라바르 지역 및 남쪽의 트라방쿠르-코친 주와 통합되어 케랄라 주를 형성하게 되었다. 카사라고드는 이 분할 이전까지 마드라스 관구의 사우스 카나라 지역에 속해 있었다. 한편, 락샤드위프 제도는 케랄라 주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연방 직할지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Zamorins of Calicut: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1806 https://archive.org/[...] Norman Printing Bureau, Kozhikode
[2]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3] 뉴스 Kerala Boat Ferries Lone Passenger To Help Her Take Exam https://www.ndtv.com[...] 2020-06-01
[4] 웹사이트 Thirst below sea level http://www.hindu.com[...] 2003-08-13
[5] 서적 Geography 10 https://books.google[...] Ratna Sagar
[6] 서적 Together with Social Science Term II https://books.google[...] Rachna Sagar
[7] 서적 The Pearson CSAT Manual 2011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8] 서적 A Text Book of Social Sciences https://books.google[...] Pitambar Publishing
[9] 서적 Malabar Manual, Vol. 1 https://archive.org/[...] Superintendent, Government Press (Madras) 1887
[10] 서적 Malabar and Anjengo, volume 1 Government Press
[11] 서적 Agrarian Relations in Late Medieval Malabar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12] 간행물 Arab relations with Malabar Coast from 9th to 16th centuries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13] 서적 Kerala Charitram https://books.google[...] DC Books 2007-01-01
[14] 서적 Madras District Manuals - South Canara (Volume-I) https://archive.org/[...] Madras Government Press
[15] 서적 The Travancore State Manual https://archive.org/[...] Travancore Government Press
[16] 서적 A Malabar and English dictionary http://archive.org/d[...] Vepery 1809
[17] 웹사이트 Malabar Coast https://www.britanni[...] 2023-03-07
[18] 웹사이트 Map of Coromandel Coast http://xenophongroup[...]
[19] 뉴스 UN designates Western Ghats as world heritage site https://timesofindia[...] 2012-07-02
[20] 서적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https://dsal.uchicag[...] Clarendon Press
[21] 서적 Public Relations Cas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2] 서적 The Pearson CSAT Manual 2012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3] 웹사이트 Thirst below sea level http://www.hindu.com[...] 2003-08-13
[24] 서적 Understanding: Geographical: Map Entries: for Civil Services Examination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25] 간행물 Introduction to Inland Water Transport http://iwai.nic.in/I[...]
[26] 서적 The Jews of India: A Story of Three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The Israel Museum, Jerusalem
[27] 간행물 The Clash of Cultures in Malabar : Encounters, Conflict and Interaction with European Culture, 1498-1947 http://www.zum.de/wh[...] 2012-07-01
[28] 서적 A Survey Of Kerala History https://books.google[...] DC Books
[29] 서적 The Indian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30] 웹사이트 Wayanad https://www.kerala.g[...] Government of Kerala
[31] 뉴스 Of Kerala, Egypt, and the Spice link http://www.thehindu.[...] 2014-01-28
[32] 서적 Striving for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Stress and Democratic Initiatives in Kerala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33] 서적 A Survey Of Kerala History https://books.google[...] DC Books 2007-01-01
[34]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on India https://web.archive.[...]
[35] 서적 The Natural History Taylor and Francis
[36] 서적 Christian Topography The Tertullian Project
[37] 서적 The Economic History of Ancient India Genesis Publishing Pvt Ltd
[38] 웹사이트 Muziris https://books.google[...] 2016-12-27
[39] 웹사이트 Malaya: What's in the name http://www.siamese-h[...] 2012-08-07
[40] 서적 A History of Trade & Commerce in Travancore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15-05-30
[41] 서적 The First Spring: The Golden Age of Indi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12-08-07
[42] 서적 History Of The Tamils: From the Earliest Times to 600 A.D.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8-12-29
[43] 백과사전 Kerala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12-26
[44] 서적 History of India, in Nine Volumes: Vol. II – From the Sixth Century BCE to the Mohammedan Conquest, Including the Invasion of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2-08-01
[45] 웹사이트 The Travels of Marco Polo/Book 3/Chapter 17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wikisourc[...] 2022-01-12
[46] 서적 A History of Travancore from the Earliest Times https://archive.org/[...] Higgin Botham & Co. 2016-05-05
[47] 학술지 Malabar and the Dutch: Being the History of the Fall of the Nayar Power in Malabar http://dx.doi.org/10[...] 1932-07-01
[48] 서적 History of Travancore from the Earliest Times http://archive.org/d[...] Higginbotham and Co. (Madras)
[49] 뉴스 The land that arose from the sea http://www.hindu.com[...] The Hindu 2003-11-01
[50] 웹사이트 Kerala.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08-06-08
[51] 백과사전 Jonathan Duncan (bap. 1756, d. 1811)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01
[52] 서적 The Madras Presidency (1881–1931) https://www.tamildig[...] Government of Madras
[53] 웹사이트 マラバル海岸(まらばるかいが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4-23
[54] 웹사이트 Nanda Lak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2-08-03
[55] 웹사이트 Aghanashini Estuary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4-01-31
[56] 웹사이트 Vembanad-Kol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2-08-19
[57] 웹사이트 Sasthamkotta Lak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2-08-19
[58] 웹사이트 Ashtamudi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2-08-19
[59] 웹사이트 Vembannur Wetland Complex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2-08-03
[60] 웹사이트 Suchindram Theroor Wetland Complex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2-10-31
[61] 블로그 The spicy history of Malabar http://varnam.org/bl[...]
[62] 논문 The Clash of Cultures in Malabar : Encounters, Conflict and Interaction with European Culture, 1498-1947 http://www.zum.de/wh[...] 2012-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