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는 '왕'을 의미하는 시리아어 '멜키트'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친교를 이루는 동방 가톨릭 교회이다. 레반트 지역에서 기원하여 칼케돈 공의회를 지지하는 기독교인들을 지칭했으며, 비잔틴 전례를 따르고 아랍 문화와 융합되었다. 1724년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친교를 시작했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 라틴화에 대한 갈등을 겪었다. 현재는 전 세계에 교구와 수도회를 두고 있으며, 시리아, 이스라엘 등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가톨릭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 동방 가톨릭교회 - 와디 엘 나트룬
    와디 엘 나트룬은 나일 삼각주 서쪽의 사막 계곡으로, 알칼리 호수와 고대 이집트 시대 나트론 채취지, 그리고 4세기부터 기독교 수도원 운동의 중심지로서 현재까지 콥트 수도원 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 곳의 수도원이 남아있는 유적지이다.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기본 정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문장
요세프 압시 총대주교 문장
이름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
고유 명칭كنيسة الروم الملكيين الكاثوليك (아랍어)
유형안티오키아 교회
주요 분류동방 가톨릭 교회
방향멜키트
전례비잔틴 전례
수장교황 프란치스코
수석 주교총대주교 유세프 압시
첫 번째 자치키릴로스 6세 타나스
설립자사도 베드로와 바울로 (멜키트 전통에 따름)
설립일1724년, 기원은 1세기 안티오키아 교회로 거슬러 올라감
분리안티오키아 교회
관할 지역이집트,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수단, 시리아, 튀르키예, 이라크,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프랑스, 멕시코, 뉴질랜드, 미국, 영국, 베네수엘라, 스웨덴
언어아랍어
디아스포라: 프랑스어, 영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전례: 그리스어
본부다마스쿠스 성모 마리아 대성당
신자 수1,568,239명
다른 이름멜키트 교회
멜키트 그리스 교회
멜키트 가톨릭 교회
가톨릭 룸
웹사이트melkitepat.org
신학
신학가톨릭 신학
조직
정치 체제주교제

2. 명칭

'멜키트'(Melkite)라는 용어는 '왕'을 뜻하는 시리아어 단어 'malkā'와 '왕족', 더 나아가 '제국'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malakī'(ملكيar)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칼케돈 공의회 (451년)와 비잔틴 황제의 권위를 인정한 중동 기독교인들을 비칼케돈파가 부르던 경멸적인 용어였다.[5] 칼케돈파 교회들 중에서는 그리스 가톨릭교회가 이 용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동방 정교회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스'(Greek) 요소는 모든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전례인 비잔틴 전례 유산을 의미한다.

'가톨릭(Catholic)'이라는 용어는 로마 교회와의 친교를 인정하며, 보편적 기독교 교회에 참여함을 의미한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안티오키아의 멜키트 교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속적인 기독교 공동체"이다.

아랍어로는 교회의 공식 언어이며, 'ar-Rūm al-Kāṯūlīk'(الروم الكاثوليك|[동] 로마 가톨릭ar)이라고 불린다. 아랍어 단어 'Rūm'은 '로마인'을 의미하며, 그리스어 단어 'Romaioi'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로마인(현대 용어로는 "비잔틴인")이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스스로를 지칭하는 데 사용한 단어이다. 이 명칭은 문자 그대로 '로마 가톨릭'을 의미하며, 현대 영어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지만, 이는 라틴 교회가 아니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방 정교회 "비잔틴" 로마 유산을 가리키며, 그 중심지는 "새로운 로마"(Nova Romala, Νέα Ρώμηel), 콘스탄티노폴리스였다.

3. 역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는 근동 지역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6][7] 사도행전 11장 26절에 따르면, 안티오크는 처음으로 "기독교인"이라는 칭호를 받은 곳이며, 역사적으로 관구이자 멜키트 가톨릭 총대주교청의 본부였다.[6] 학자들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된 복음서가 안티오크의 헬레니즘화된 기독교인들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성 루카가 루가 복음과 사도행전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 있다.[6][7]

2세기까지 기독교는 안티오크와 시리아 전역에 널리 퍼졌고, 박해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지속하여 4세기 말에는 공식 국교가 되었다.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레반트이집트의 기독교 공동체에서 기원했으며, 멜키트라는 용어는 본래 칼케돈 공의회를 지지하는 이집트 기독교인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이후 레반트 지역 기독교인들에게도 사용되었다.[8] 교회의 지도력은 고대 관구인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의 세 사도적 총대주교에게 주어졌다.[9]

3. 1. [[칼케돈 공의회]]의 여파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중동 기독교 사회는 공의회 수용 여부에 따라 분열되었다. 칼케돈파는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도시 거주민들이었고, 반 칼케돈파는 아르메니아어 또는 콥트어를 사용하는 지방 사람들이었다.

3. 2. [[아랍어]]와 문화와의 융합

야르무크 전투(636) 이후 멜키트의 고향은 비잔틴의 통치를 벗어나 아랍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 예루살렘의 멜키트에게는 그리스어와 문화가 특히 중요하게 남아 있었지만, 안티오키아 멜키트 전통은 아랍어와 문화와 융합되었다. 실제로 이슬람교가 도래하기 전에도 아랍 기독교 시가 있었지만, 아랍 문화와 융합된 안티오키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게 되었다.

아랍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멜키트는 보편 교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 멜키트는 9세기 초에 성상 파괴주의 논쟁이 다시 나타났을 때 이를 비난하는 데 앞장섰으며, 서방에서 ''필리오케'' 조항이 도입된 것에 가장 먼저 대응한 동방 교회 중 하나였다.[1]

3. 3. [[가톨릭 교회]]와의 친교

1724년, 키릴 6세 타나스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예레미아스 3세는 키릴 6세가 친서방적인 인물이라 여겨 그의 선출을 무효로 하고 파문했다. 대신 그리스인 안티오키아의 실베스터를 임명하여 총대주교 자리를 대신하게 했다.[10]

실베스터는 가혹한 통치로 교회를 분열시켰고, 많은 멜키트 신자들은 키릴 6세의 총대주교 지위를 인정하였다. 실베스터는 5년간 키릴 6세와 그 지지자들을 박해했고, 키릴 6세는 레바논으로 피신해야 했다.[10]

1729년,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키릴 6세를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로 인정하고, 그의 추종자들을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는 것으로 인정했다. 이때부터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와 분리되어 병존하게 되었다.[10]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아랍 기독교의 지도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정교회와 달리 항상 아랍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이 이끌었으며, 정교회는 1899년까지 그리스인 총대주교를 두었다. 1835년, 막시모스 3세 마즐룸 총대주교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밀레트''의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막시모스 3세에게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의 3개 총대주교 직위를 부여했다.

3. 4.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참여와 확장

클레멘트 바후스 총대주교(1856년)는 로마 교황청의 압력으로 라틴 교회의 관습을 채택하여 1857년에 그레고리력을 도입했다. 이는 멜키트 공동체 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단기간의 분열을 초래했다.[12] 베이루트의 대교구장 아가피오스 리아시는 이를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며, 시돈, 잘레, 바알베크 대교구의 세 주교도 이에 동참했다. 교황 비오 9세는 바후스의 사임을 거부하고 리아시를 소환했지만, 리아시는 거부했다. 결국 다른 세 주교는 총대주교에게 복종했지만, 리아시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제외되었다.[12]

그레고리오 2세 유세프 총대주교(1864년)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동방 교회론의 저명한 지지자였다. 그는 1856년 오스만 개혁 칙령 이후 압둘메지드 1세 술탄의 칙령으로 개선된 기독교인의 상황을 활용하여 멜키트 평신도의 교회 행정 및 공공 문제 참여를 장려했다.[13] 1870년 5월 19일과 6월 14일 공의회에서 두 번의 연설을 통해 피렌체 공의회의 결정 준수와 교황 무류성과 같은 혁신 창출 금지를 주장했다.[16] 그는 교황 무류성 교리가 동방 정교회와의 관계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여 공의회에서 이 교리에 반대했다.

그레고리오 총대주교는 교황 무류성에 대한 공의회의 교리적 선언에 서명하는 것을 거부했다. 다른 일곱 명의 멜키트 주교들과 함께 ''non placet''을 투표하고, 교리적 헌법 ''영원한 목자''가 채택되기 전에 로마를 떠났다.[17] 그러나 제1차 바티칸 공의회가 끝난 후, 그레고리오 총대주교와 멜키트 주교들은 "동방 총대주교의 권리와 특권을 제외하고"라는 자격 조항을 첨부하여 서명했다.[17][18]

교황 레오 13세회칙 ''Orientalium dignitas''를 통해 동방 가톨릭 교회의 권리를 옹호하고, 전례 라틴화와 로마의 중앙 집중 경향에 대한 우려를 해소했다. 또한 레오 13세는 그레고리오 2세의 관할권을 오스만 제국 전역의 모든 멜키트인으로 확대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4]

3. 5.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전례 라틴화]] 갈등

마키모스 4세 사예흐 총대주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하여 전례 라틴화에 반대하고 동방 기독교의 전통을 옹호했다. 그는 라틴 전례 가톨릭 신자들이 동방 기독교의 진정한 전통을 더 잘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19] 공의회에서 정교회 참관인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의 승인을 받았다.[19]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멜키트 교회는 전통적인 예배 복원을 추진했다. 여기에는 유아에게 세례 후 성유 도포에 따른 성찬례를 집행하는 것과 같은 멜키트 관행의 복원뿐만 아니라 성찬대와 고해소 제거 등 전례 라틴화 요소 제거가 포함되었다.[19] 이러한 경향은 카이로의 총대주교 대학을 중심으로 한 젊은 사제 그룹인 "카이로 학파"가 주도했다. 이 그룹에는 마키모스 5세 하킴 신부, 조셉 타윌, 엘리아스 조그비, 그리고 전 예수회원 오레스테 케라메가 포함되었다.[19]

이러한 개혁은 일부 멜키트 교회에서 라틴화가 너무 심하게 진행되었다는 항의를 낳았다. 마키모스 4세 사예흐 총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미국 내 일부 멜키트 신자들은 전례의 모국어 사용에 반대했는데, 이 운동은 앨라배마주 버밍햄 출신의 조셉 라야 신부가 주도했다.[20]

3. 6. 현대 멜키트 교회

요한 23세는 막시모스 4세 총대주교의 요청에 따라 전례 거행에 자국어 사용을 허용했다.[22] 마키모스 5세 하킴 총대주교 재임 기간(1967–2000) 동안, 기혼 남성의 사제 서품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22] 오늘날 멜키트 교회는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이루는 정교회로 여겨지며, 동서 교회 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22]

1860년 레바논 분쟁 이후, 멜키트 디아스포라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었다.[22] 상파울루,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베네수엘라, 미국 등지에 대규모 멜키트 공동체가 존재한다.[24][25]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주요 공동체 현황
국가신자 수
레바논425,000명[26]
시리아234,000명[26]
이스라엘팔레스타인80,000명 이상[25]
요르단27,600명[25]
브라질 상파울루약 433,000명 (추산)[24]
아르헨티나302,800명[24]
호주52,000명[25]
캐나다35,000명[25]
베네수엘라25,400명[25]
미국24,000명[25]


4. 조직

멜키트 교회는 로마 교황청과 완전한 친교를 이루고 있으며, 동방 기독교의 전통과 관습을 따른다.[5] 주교 시노드는 교회의 모든 주교로 구성되며, 행정, 신학 및 교회 전체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27] 전통적인 예배 언어는 아랍어그리스어이지만, 오늘날에는 교회가 위치한 국가에 따라 다양한 언어로 예배가 진행된다. 중동 지역의 멜키트 교구 사제 대다수는 성직자 결혼을 한다.[28]

4. 1. 총대주교좌

현재 총대주교는 2017년 6월 21일에 선출된 요셉 압시이다.[29] 총대주교좌는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안티오키아의 고대 주교좌에 대한 사도 계승을 주장하는 동방 가톨릭 총대주교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알렉산드리아예루살렘의 명목 대주교라는 칭호를 영구적으로 부여받았다.

총대주교좌는 총대주교와 4명의 주교, 법률 문제에 대한 총대주교의 일반 재판소, 재정 관리자 역할을 하는 총대주교 경제관, 그리고 사무처를 포함하는 상설 시노드에 의해 관리된다.[27]

4. 2. 교구

멜키트 교회는 중동,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 교구와 대리구를 두고 있다.[22][23][24][25][26]

지역교구/대리구비고
아랍 세계아프리카이집트, 수단, 남수단멜키트 가톨릭 이집트, 수단, 남수단 총대주교 관할 지역총대주교 대리 또는 "원형 사제"가 관리, 알렉산드리아 명예 대교구.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명예 총대주교로 불림.
성지멜키트 가톨릭 예루살렘 총대주교 관할 지역총대주교 대리 또는 "원형 사제"가 관리, 예루살렘 명예 대교구.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예루살렘 명예 총대주교로 불림.
이스라엘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카 대교구하이파, 나사렛, 갈릴리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트란스요르단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암만 및 페트라와 필라델피아 대교구 및 모든 트란스요르단
이라크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이라크 총대주교 대리구
아라비아 반도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쿠웨이트 총대주교 대리구
레바논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바알베크 대교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바니야스 대교구 및 마르제욘티레의 관할 대교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베이루트 및 비블로스 대교구명목상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시돈 및 데이르 엘 카마르 대교구티레의 관할 대교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트리폴리 대교구티레의 관할 대교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티레 대교구세 개의 레바논 대교구 관할 대교구를 가진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자흘레 및 포르졸 대교구 및 모든 베카다마스쿠스의 관할 대교구
시리아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다마스쿠스 대교구안티오키아 총대주교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알레포 대교구명목상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보스라 및 하우란 대교구카밥 대교구, 명목상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홈스 대교구하마 및 야브루드의 명예 관구와 통합, 명목상 관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라타키아 대교구기독교인의 계곡 포함
터키 (유라시아)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이스탄불 총대주교 대리구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오세아니아)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시드니의 성 미카엘 대천사 교구
북아메리카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몬트리올 성 구세주 교구캐나다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멕시코시티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파라아이소 교구멕시코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뉴턴 교구미국
남아메리카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르헨티나 사도 대리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상파울루의 노사 세뇨라 두 파라아이소 교구브라질, 상파울루 라틴 관구의 관할 교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베네수엘라 사도 대리구카라카스
서유럽파리, 프랑스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성 율리아노 본당프랑스 동방 가톨릭교도 관구 소속
마르세유, 프랑스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성 니콜라스 본당프랑스 동방 가톨릭교도 관구 소속
브뤼셀, 벨기에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본당로마 가톨릭 메헬렌-브뤼셀 대교구 소속
런던, 영국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본당로마 가톨릭 웨스트민스터 교구 소속
스톡홀름 및 솔렌투나, 스웨덴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선교로마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 소속
발레타, 몰타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다마스쿠스의 성모 교회 공동체로마 가톨릭 몰타 대교구 소속
비엔나, 오스트리아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성 야고보 교회 공동체오스트리아 비잔틴 전례 가톨릭 신자 관구 소속
코스메딘의 성 마리아 대성당 (로마, 이탈리아)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


4. 3. 수도회

멜키트 교회는 교황청 직속 및 총대주교 직속 수도회를 두고 있다.

'''남성 수도회'''

  • 알레포 바실 수도회 (바실 알레포 수도회, B.A.)
  • 수르 바실 수도회 (멜키트 성 요한 세례자 수르 바실 수도회, B.C.)
  • 구세주 바실 수도회 (멜키트 구세주 바실 수도회, B.S.)


'''여성 수도회'''

  • 알레포 바실 수녀회 (R.B.A.)
  • 수르 바실 수녀회 (R.B.C.)
  • 수태고지 구세주 바실 수녀회 (C.S.B.A.) (it)


'''남성'''

  • 성 바오로 멜키트 선교 수도회 [성 바오로 선교 수도회, S.M.S.P.] (it)


'''여성'''

  • 영원한 도움의 성모 멜키트 선교 수도회 [영원한 도움의 성모 선교 수녀회, C.M.P.S.]

4. 4. 기타 기구

글로벌 멜키트 협회는 교구, 수도원, 학교 및 멜키트 협회를 연결하는 단체이다. 성지(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 이집트, 시리아의 교회와 지역 사회에 의류, 의약품 및 전례 용품을 제공하는 해외 활동을 하는 평신도 자선 단체인 성지의 친구들이 있다.

예루살렘 성 십자가 총대주교 기사단의 십자가


예루살렘 성 십자가 총대주교 기사단은 1979년에 설립된 명예 평신도 수도회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가 그랜드 마스터를 맡고 있으며, 교회와 관련된 종교, 문화, 자선 및 사회 사업을 장려한다.[30] 성 니콜라스 기사단은 1991년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뉴턴 교구의 주교 이그나티우스 가타스에 의해 설립된 지역 평신도 기사단이다.[30]

예루살렘 성 라자루스 기사단(OSLJ)은 1910년부터(일부 자료는 1841년부터라고 주장)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보호를 받는 기독교 에큐메니컬 평신도 기사단이다.[31] Ordo Militiae Christi Templi Hierosolymitani|Ordo Militiae Christi Templi Hierosolymitanipl (OMCTH)는 독일 쾰른에 ''사령관''(총사령부)이 있고 예루살렘에 지부를 둔 기독교 에큐메니컬 단체로, 1990년 9월 22일부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보호를 받고 있다. OMCTH의 폴란드 대수도원은 2018년 12월 12일 유세프 압시 총대주교로부터 자율 일반 규약을 받았다. 폴란드 대수도원은 폴란드 대수도원장이 기사단의 총대리인 유일한 가톨릭 기사단으로 설립되었다.[32]

참조

[1] 간행물
[2] 웹사이트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7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9-05-19
[3] 웹사이트 The Melkites https://melkite.org/[...] 2019-03-23
[4] 웹사이트 Church History http://pgc-lb.org/en[...] Melkite Greek Catholic Patriarchate
[5] 웹사이트 Unofficial History of the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http://www.mliles.co[...] 2006-12-02
[6] 저널 Acts of the Apostles: Translation http://dx.doi.org/10[...] 1998
[7] 문서 Microsoft Word - ANTIOCHhistoryencyclopedia.doc (najim.net)
[8]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Who are the Melkite Greek Catholics? https://catholicexch[...] 2024-03-17
[9] 웹사이트 Melchite {{!}} Eastern Orthodoxy, Byzantine Rite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7
[10] 웹사이트 Les Origines et le Rayonnement culturel de la première imprimerie à caractères Arabes au Liban (1733) http://www.onefinear[...] 2009-04-08
[11] 서적 History of the Melkite Patriarchates: Volume 1: Pre-Modern Period (869–1833) Eastern Christian Publications 1998
[12] 문서 multiref
[1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http://www.mliles.co[...] 2008-12-24
[14] 저널 Patriarcat Grec-Melkite Catholique d'Antioche. Naissance, évolution et orientations actuelles 1970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elkite Community of New York http://www.churchoft[...] 2008-12-24
[16] 문서 Harvnb
[17] 서적 Revered and Reviled: A Re-Examination of Vatican Council I Herder & Herder 2017
[18] 서적 The Papacy and the Orthodox: Sources and History of a Deb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9] 저널 A Brief History of the Patriarchal See of Alexandria https://melkite.org/[...] 2024-06-09
[20] 뉴스 All one church—Bishop Sheen describes Melkite rite at mass here https://montgomeryad[...] 2024-06-03
[21] 뉴스 Obituaries: Maximos V: Spiritual leader of a million Christians https://www.theguard[...] 2023-07-03
[22] 서적 A liminal church : refugees, conversions and the Latin diocese of Jerusalem, 1946–1956 Brill
[23] 웹사이트 The Christian communities in Israel http://mfa.gov.il/MF[...]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4-12-03
[24] 웹사이트 Paradise in Brazil https://cnewa.org/ma[...]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0-03-22
[25] 웹사이트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https://www.catholic[...] Catholic and Culture 2010-03-22
[26] 웹사이트 Syria – SYR36307 – Catholic Christians – Freedom of religion – Islamist groups https://www.ecoi.net[...] Australian Government: Refugee Review Tribunal 2022-04-30
[27] 서적 The Melkite Handbook: Introducing the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Melkite Greek Catholic Eparchy of Newton: Office of Educational Services 2008
[28]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22-04-17
[29] 뉴스 Joseph Absi elected patriarch of the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http://www.dailystar[...] 2017-06-21
[30] 웹사이트 The Order of St. Nicholas https://melkite.org/[...] 2016-05-05
[31]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the Order of St Lazarus http://www.kwtelecom[...] Key West Telecommunications Limited 2018-08-25
[32] 웹사이트 Statut Generalny Zakonu http://polscy.templa[...] Ordo Militiae Christi Templi Hierosolymitani 2020-07-03
[33] 문서 Faulk (2007), pp. 9-10
[34] 웹인용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0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0-12-01
[35] 뉴스 중동의 동방 가톨릭 교회들 ④ 그리스 멜키트 교회 http://www.pbc.co.kr[...] 평화신문 2010-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