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나흐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나흐 공간은 완비 노름 공간으로, 벡터 공간에 노름이 정의되고 코시 수열이 공간 내에서 수렴하는 성질을 갖는다. 바나흐 공간은 닫힌 부분 공간, 몫공간, 완비화, 텐서곱 등 다양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바나흐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선형 변환, 특히 유계 작용소에 대한 여러 중요한 정리가 성립한다. 힐베르트 공간, 르베그 공간, 연속 함수 공간 등 다양한 공간이 바나흐 공간의 예시이며, 이들은 함수 해석학, 미적분학, 위상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흐 공간 - 르베그 공간
    르베그 공간은 측도 공간과 실수 또는 복소수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벡터 공간족으로, 함수의 절댓값의 p제곱을 적분한 값이 유한한 가측 함수들의 공간이며, 특히 L^2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바나흐 공간 - 하디의 부등식
    하디 부등식은 수열과 함수의 적분 형태에 대한 부등식으로, 횔더 부등식과 변수 치환, 민코프스키 부등식을 사용하여 증명되며, 다차원 공간 및 소볼레프 공간으로 확장된다.
  • 폴란드의 과학과 기술 - 론스키 행렬식
    론스키 행렬식은 주어진 함수와 도함수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함수의 선형 독립성을 판단하고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사용되는 행렬식이다.
  • 폴란드의 과학과 기술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의 이름을 딴 프랙탈 도형으로, 정삼각형을 반복적으로 세분화하고 특정 부분을 제거하여 생성되며, 다양한 구성 방법과 수학적, 전산학적 관련성을 지니고,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약 1.585이고 면적이 0인 특징을 갖는다.
바나흐 공간
기본 정보
분야함수해석학
정의완비된 노름 공간
어원스테판 바나흐
성질
범주위상 벡터 공간
관련 개념힐베르트 공간, 프레셰 공간, 국소 볼록 공간

2. 정의

\mathbb K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일 때, \mathbb K-노름 공간 (X,\|\cdot\|)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면 '''\mathbb K-바나흐 공간'''이라고 한다. 이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87]


  • (노름으로 정의한 거리 함수를 부여하면) 완비 거리 공간이다. 즉, 모든 코시 열이 수렴한다.
  • 모든 절대 수렴 급수가 수렴한다. 즉, 임의의 점렬 (v_i)_{i\in\mathbb N}\subseteq X에 대하여, 만약 \textstyle\sum_{i\in\mathbb N}\|v_i\|<\infty라면, 급수 \textstyle\sum_{i\in\mathbb N}v_i 역시 (노름으로 정의한 거리 위상에 대하여) 수렴한다.


\mathbb K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로 국한하는 이유는 노름 공간에 완비성을 가정하려면 그 체가 완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리수체는 완비되지 못한다.

바나흐 공간은 완비 노름 공간 \ (X, \|\cdot\|) ~.이다. 노름 공간은 스칼라 체 \mathbb{K} (여기서 \ \mathbb{K}\ 는 일반적으로 \ \Reals\ 또는 \ \Complex\ 이다) 위의 벡터 공간 \ X\ 와 노름 \ \|\cdot\| : X \to \Reals ~.로 구성된 쌍이다.

모든 노름은 평행 이동 불변 거리 함수를 유도하며, 이를 모든 벡터 \ x, y \in X\ 에 대해 정의된 '''표준''' 또는 ('''노름''') '''유도 거리'''라고 한다.

:\ d(x, y) := \|y - x\| = \|x - y\| ~.

이는 X거리 공간 \ (X, d) ~.으로 만든다.

코시 수열 \ x_1, x_2, \ldots\ in \ (X, d)\ ,에 대해 \ x \in X\ 가 존재하면, 노름 공간 \ (X, \|\cdot\|)\ 을 '''바나흐 공간'''이라 하고, 표준 거리\ d\ 를 '''완비 거리'''라고 한다.

:\lim_{n \to \infty} x_n = x \; \text{ in } (X, d)

여기서 \left\|x_n - x\right\| = d\left(x_n, x\right)이므로, 이 수열의 x로의 수렴은 다음과 같이 동등하게 표현할 수 있다.

:\lim_{n \to \infty} \left\|x_n - x\right\| = 0 \; \text{ in } \Reals ~.

노름 공간 \ (X, \|\cdot\|)\ 의 노름 \ \|\cdot\|\ \ (X, \|\cdot\|)\ 이 바나흐 공간일 경우 '''완비 노름'''이라고 한다.

벡터 공간 구조를 통해 코시 수열의 동작을 수렴하는 벡터의 급수의 동작과 연관시킬 수 있다. 노름 공간 \ X\ \ X\ 에서 각 절대 수렴 급수가 \ X\ 내부에 있는 값으로 수렴할 경우 바나흐 공간이다.[6]

:\ \sum_{n=1}^{\infty} \|v_n\| < \infty \quad \text{ implies that } \quad \sum_{n=1}^{\infty} v_n\ \ \text{ converges in } \ \ X ~.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두 종류의 바나흐 공간은 그 기저가 되는 선형 공간의 계수체(기초체) ''K''가 실수체 '''R''' 또는 복소수체 '''C'''인 것으로, 각각 '''실 바나흐 공간''' 및 '''복소 바나흐 공간'''이라고 불린다.

2. 1. 부분 공간

닫힌집합인 \mathbb K-바나흐 공간 V의 부분 벡터 공간 \iota\colon W\hookrightarrow V는 바나흐 공간이다.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선형 변환 P\colon V\to W가 존재하면, W를 '''여공간을 가지는 부분 공간'''(complemented subspace영어)라고 한다.

  • P전사 함수이다.
  • \iota\circ P\colon V\to V는 (W로의) 사영이다. 즉, \iota\circ P\circ\iota\circ P=\iota\circ P이다.
  • P유계 작용소이다.


여분 부분 공간은 (연속 함수의 이므로) 항상 닫힌집합이다. 즉, 바나흐 공간의 부분 벡터 공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여공간을 가지는 부분 공간 ⇒ 닫힌 부분 벡터 공간 ⇒ 부분 벡터 공간

여분 부분 공간 W\subseteq V가 주어졌을 때, 바나흐 공간 V를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V=W\oplus\ker P

그러나 이러한 P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3. 연산

노름 공간의 집합 (V_i)_{i\in I}이 주어졌을 때, 직합 \tilde V=\bigoplus_{i\in I}V_i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정의할 수 있다.

:\left\|\bigoplus_{i\in I}v_i\right\|=\begin{cases}

\sqrt[p]{\sum_{i\in I}\|v_i\|_{V_i}^p}&p<\infty\\

\max_{i\in I}\|v_i\|_{V_i}&p=\infty

\end{cases}



만약 I유한 집합이라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모든 i에 대하여 V_i가 바나흐 공간이다.
  • \tilde V는 바나흐 공간이다.


이 경우, \tilde V의 (p-노름으로 정의되는) 위상은 p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I무한 집합이라면, V_i가 모두 바나흐 공간이라도 \tilde V가 바나흐 공간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tilde V의 완비화 V를 취해야 하며, 그 결과는 일반적으로 p\in[1,\infty]에 따라 달라진다.

두 바나흐 공간 ''X'', ''Y''에 대해, 이들의 가군으로서의 직합 ''X'' ⊕ ''Y''에는 자연스럽게 위상선형 공간의 구조가 들어가지만, 표준적인 노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바나흐 공간으로 만드는 몇 가지 동치인 노름이 존재하며, 그 중 하나로

: \|x \oplus y\| = \bigl( \|x\|^p + \|y\|^p \bigr)^{1/ p}, \quad (1 \le p \le \infty)

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일반화하여 임의 개수의 바나흐 공간에 대한 ℓ''p''-직합을 정의할 수 있는데, 비영 직합 인자가 무한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공간은 ''p''에 의존하여 달라진다.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간단하고 유일한 텐서곱이 존재하지만, 바나흐 공간의 텐서곱 이론은 유일하지 않으며 복잡하다.[88][89] 특히, "최대" 텐서곱인 '''사영 위상 텐서곱'''(pro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사영 위상 텐서곱영어)과 "최소" 텐서곱인 '''단사 위상 텐서곱'''(in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단사 위상 텐서곱영어)이 존재한다. 이 둘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르며,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힐베르트 텐서곱과도 다르다.

3. 1. 완비화

\mathbb{K}-노름 공간 V가 주어졌을 때,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mathbb{K}-바나흐 공간 \bar V 및 등거리 선형 변환 \iota\colon V\to\bar V가 존재한다.
또한, 이는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을 만족시킨다.

  • 임의의 \mathbb{K}-바나흐 공간 W 및 등거리 선형 변환 j\colon V\to W에 대하여, 만약 j(V)조밀 집합이라면, j=i\circ\iota인 바나흐 공간 동형 사상(=등거리 선형 위상 동형 사상) i\colon\bar V\to W가 존재한다.


\bar V거리 공간으로서 V거리 공간 완비화와 같다. 만약 V가 이미 바나흐 공간이라면 \iota는 바나흐 공간 동형 사상이다.

3. 2. 부분 공간과 몫공간

\mathbb K-바나흐 공간 X\mathbb K-부분 벡터 공간 Y\subseteq X에 노름 \|\|_X\restriction Y를 부여하면, 이는 노름 공간을 이룬다. 이 경우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Y\mathbb K-바나흐 공간이다.
  • Y는 닫힌집합이다.


또한, 닫힌 부분 벡터 공간 Y\subseteq X에 대한 몫공간 X/Y 위에

:\lVert x+Y\rVert=\inf_{y\in Y}\lVert x+y\rVert

로 노름을 정의하면, X/Y 역시 \mathbb K-바나흐 공간이 된다.

3. 3. 상

\mathbb K-바나흐 공간 X연속 열린 선형 변환 T\colon X\to Y에 대해, T(X)\mathbb K-바나흐 공간이다.[19]

3. 4. 직합

\mathbb K-노름 공간의 집합 (V_i)_{i\in I}이 주어졌을 때, 직합 \tilde V=\bigoplus_{i\in I}V_i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정의할 수 있다.

:\left\|\bigoplus_{i\in I}v_i\right\|=\begin{cases}

\sqrt[p]{\sum_{i\in I}\|v_i\|_{V_i}^p}&p<\infty\\

\max_{i\in I}\|v_i\|_{V_i}&p=\infty

\end{cases}



만약 I유한 집합이라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모든 i에 대하여 V_i가 바나흐 공간이다.
  • \tilde V는 바나흐 공간이다.


이 경우, \tilde V의 (p-노름으로 정의되는) 위상은 p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I무한 집합이라면, V_i가 모두 바나흐 공간이라도 \tilde V가 바나흐 공간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tilde V의 완비화 V를 취해야 하며, 그 결과는 일반적으로 p\in[1,\infty]에 따라 다르다.

두 바나흐 공간 ''X'', ''Y''에 대해, 이들의 가군으로서의 직합 ''X'' ⊕ ''Y''에는 자연스럽게 위상선형 공간의 구조가 들어가지만, 표준적인 노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바나흐 공간으로 만드는 몇 가지 동치인 노름이 존재하며, 그 중 하나로

: \|x \oplus y\| = \bigl( \|x\|^p + \|y\|^p \bigr)^{1/ p}, \quad (1 \le p \le \infty)

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일반화하여 임의 개수의 바나흐 공간에 대한 ℓ''p''-직합을 정의할 수 있는데, 비영 직합 인자가 무한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공간은 ''p''에 의존하여 달라진다.

3. 5. 텐서곱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간단하고 유일한 텐서곱이 존재하지만, 바나흐 공간의 텐서곱 이론은 유일하지 않으며 복잡하다.[88][89] 특히, "최대" 텐서곱인 '''사영 위상 텐서곱'''(pro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영어)과 "최소" 텐서곱인 '''단사 위상 텐서곱'''(in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영어)이 존재한다. 이 둘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르며,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힐베르트 텐서곱과도 다르다.

4. 성질

바나흐-샤우데르 정리(열린 사상 정리)에 따르면,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사 유계 작용소는 열린 함수이다.[90] 특히,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선형 변환은 항상 위상 벡터 공간동형 사상이다.

닫힌 그래프 정리에 따르면,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선형 변환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유계 작용소의 열에 대하여 균등 유계성 원리가 성립한다.

동일한 기초체 '''K''' 위의 바나흐 공간 ''V'', ''W''에 대해, 연속'''K'''-선형 사상 ''A'': ''V'' → ''W'' 전체가 이루는 공간을 ''L''(''V'', ''W'')로 나타낸다. 무한 차원 공간의 경우 임의의 선형 사상이 자동으로 연속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 위의 선형 사상이 연속이 되는 것과, 그것이 단위 폐구 위의 유계가 되는 것은 동치이다. 따라서 선형 공간 ''L''(''V'', ''W'')에 작용소 노름

:\|A\| = \sup\{\|Ax\|_W \mid x\in V,\ \|x\|_V\le 1\}

을 넣을 수 있으며, 이 노름에 관해 ''L''(''V'',''W'')는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V''가 바나흐 공간이고 '''K'''를 그 기초체(실수체 '''R''' 또는 복소수체 '''C''' 중 하나)라고 하면, '''K'''는 (그 절댓값을 노름으로 하여) 그 자체로 바나흐 공간이며, ''V''에서 '''K'''로의 연속 선형 함수의 공간 ''L''(''V'', '''K''')로서 ''V''의 쌍대 공간(연속적 쌍대, 위상적 쌍대) ''V''′을 정의할 수 있다. ''V''′ 또한 (작용소 노름에 관해) 바나흐 공간이 된다. 쌍대 공간을 통해 ''V''에 새로운 위상(약한 위상)을 정의할 수 있다.

''V''에서 ''V''′′ (쌍대의 쌍대; 이중 쌍대 공간)로의 자연스러운 사상 ''F''는

: F(x)(f) := f(x) \in \mathbb{K},\quad (x\in V,\,f\in V')

로 정의된다. 한-바나흐 정리의 귀결로서, 이 사상은 단사이며 등거리 변환이다. 더 나아가 이것이 전사일 때 바나흐 공간 ''V''는 반사적 공간(재귀적, 반사적)이라고 한다.

Banach space영어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mathbb K-힐베르트 공간\mathbb K-반사 바나흐 공간\mathbb K-바나흐 공간
colspan=3 |
\mathbb K-내적 공간\mathbb K-노름 공간



프레셰 도함수를 통해 바나흐 공간 위에 정의된 함수의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나흐 공간 위에서 (비선형) 미적분학을 전개할 수 있다.[35] 바나흐 공간에서 미분의 여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프레셰 미분과 가토 미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프레셰 미분은 전미분 개념을 바나흐 공간으로 확장한 것이고, 가토 미분은 방향 미분을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으로 확장한 것이다. 프레셰 미분 가능성은 가토 미분 가능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며, 준미분은 방향 미분의 또 다른 일반화로, 가토 미분 가능성보다는 강하지만 프레셰 미분 가능성보다는 약한 조건이다.

4. 1. 바나흐 공간 사이의 선형 변환

바나흐-샤우데르 정리(열린 사상 정리)에 따르면,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사 유계 작용소는 열린 함수이다.[90] 특히,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선형 변환은 항상 위상 벡터 공간동형 사상이다.

닫힌 그래프 정리에 따르면,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선형 변환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즉,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유계 작용소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닫힌 그래프 선형 변환
연속 선형 변환
유계 작용소전사 유계 작용소열린 유계 작용소
단사 유계 작용소전단사 유계 작용소닫힌 유계 작용소
colspan=2 rowspan=2 |
위상 동형 유계 작용소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유계 작용소의 열에 대하여 균등 유계성 원리가 성립한다.

동일한 기초체 '''K''' 위의 바나흐 공간 ''V'', ''W''에 대해, 연속'''K'''-선형 사상 ''A'': ''V'' → ''W'' 전체가 이루는 공간을 ''L''(''V'', ''W'')로 나타낸다. 무한 차원 공간의 경우 임의의 선형 사상이 자동으로 연속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 위의 선형 사상이 연속이 되는 것과, 그것이 단위 폐구 위의 유계가 되는 것은 동치이다. 따라서 선형 공간 ''L''(''V'', ''W'')에 작용소 노름

:\|A\| = \sup\{\|Ax\|_W \mid x\in V,\ \|x\|_V\le 1\}

을 넣을 수 있으며, 이 노름에 관해 ''L''(''V'',''W'')는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V''가 바나흐 공간이고 '''K'''를 그 기초체(즉, 실수체 '''R''' 또는 복소수체 '''C''' 중 하나)라고 하면, '''K'''는 (그 절댓값을 노름으로 하여) 그 자체로 바나흐 공간이며, ''V''에서 '''K'''로의 연속 선형 함수의 공간 ''L''(''V'', '''K''')로서 ''V''의 쌍대 공간(연속적 쌍대, 위상적 쌍대) ''V''′을 정의할 수 있다. ''V''′ 또한 (작용소 노름에 관해) 바나흐 공간이 된다. 쌍대 공간을 통해 ''V''에 새로운 위상(약한 위상)을 정의할 수 있다.

''V''에서 ''V''′′ (쌍대의 쌍대; 이중 쌍대 공간)로의 자연스러운 사상 ''F''는

: F(x)(f) := f(x) \in \mathbb{K},\quad (x\in V,\,f\in V')

로 정의된다. 한-바나흐 정리의 귀결로서, 이 사상은 단사이며 등거리 변환이다. 더 나아가 이것이 전사일 때 바나흐 공간 ''V''는 반사적 공간(재귀적, 반사적)이라고 한다.

4. 2. 함의 관계

Banach space영어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mathbb K-힐베르트 공간\mathbb K-반사 바나흐 공간\mathbb K-바나흐 공간
colspan=3 |
\mathbb K-내적 공간\mathbb K-노름 공간


4. 3. 샤우데르 기저

벡터 공간의 (하멜) 기저힐베르트 공간정규 직교 기저와 달리,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기저의 개념은 복잡하다. 바나흐 공간의 경우 '''샤우데르 기저'''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지만, 샤우데르 기저를 갖지 않는 바나흐 공간이 존재하며, 또한 샤우데르 기저의 원소들의 순서가 중요하다.[34]

바나흐 공간 X에서의 '''샤우데르 기저'''는 모든 벡터 x \in X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고유하게 정의된 스칼라 \left\{ x_n \right\}_{n \geq 0}가 존재하는 벡터들의 수열 \left\{ e_n \right\}_{n \geq 0}이다.

:x = \sum_{n=0}^{\infty} x_n e_n, \quad \textit{즉,} \quad x = \lim_n P_n(x), \ P_n(x) := \sum_{k=0}^n x_k e_k.

샤우데르 기저를 갖는 바나흐 공간은 반드시 분리 가능한데, 이는 유리수 계수를 갖는 유한 선형 결합의 가산 집합이 조밀하기 때문이다.

바나흐-슈타인하우스 정리에 의해 선형 사상 \left\{P_n\right\}는 어떤 상수 C에 의해 균등하게 유계이다.

\left\{ e_n^* \right\}를 위의 전개에서 x의 좌표 x_nX의 모든 x에 할당하는 좌표 함수라고 하자.

이들은 '''쌍직교 함수'''라고 불린다. 기저 벡터의 노름이 1일 때, 좌표 함수 \left\{e_n^*\right\}X의 쌍대 공간에서 노름이 \,\leq 2 C이다.

대부분의 고전적인 분리 가능 공간은 명시적인 기저를 갖는다.

Haar 시스템 \left\{ h_n \right\}L^p([0, 1]), 1 \leq p < \infty에 대한 기저이다.

삼각 시스템은 1 < p < \infty일 때 L^p(\mathbf{T})에서 기저이다.

Schauder 시스템은 공간 C([0, 1])에서 기저이다.

원반 대수 A(\mathbf{D})가 기저를 갖는지에 대한 질문은 Bočkarev가 1974년에 A(\mathbf{D})가 Franklin 시스템에서 구성된 기저를 허용한다는 것을 보일 때까지 40년 넘게 열린 문제로 남아 있었다.

기저가 있는 바나흐 공간 X의 모든 벡터 x는 유한 차수이고 균등하게 유계인 P_n(x)의 극한이므로, 공간 X는 유계 근사 성질을 만족한다.

Enflo에 의해 근사 성질을 만족하지 않는 첫 번째 예는 동시에 샤우데르 기저가 없는 분리 가능한 바나흐 공간의 첫 번째 예였다.[59]

Robert C. James는 기저가 있는 바나흐 공간에서 반사성을 다음과 같이 특징지었다. 샤우데르 기저가 있는 공간 X는 기저가 축소적이고 유계 완비인 경우에만 반사적이다.

이 경우, 쌍직교 함수는 X의 쌍대 공간의 기저를 형성한다.

4. 4. 바나흐 공간 위의 미적분학

프레셰 도함수를 통해 바나흐 공간 위에 정의된 함수의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나흐 공간 위에서 (비선형) 미적분학을 전개할 수 있다.[35] 바나흐 공간에서 미분의 여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프레셰 미분과 가토 미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프레셰 미분은 전미분 개념을 바나흐 공간으로 확장한 것이고, 가토 미분은 방향 미분을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으로 확장한 것이다. 프레셰 미분 가능성은 가토 미분 가능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며, 준미분은 방향 미분의 또 다른 일반화로, 가토 미분 가능성보다는 강하지만 프레셰 미분 가능성보다는 약한 조건이다.

5. 분류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분류 정리가 존재한다.

5. 1. L1의 몫공간으로의 표현

모든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은 르베그 공간 \ell^1(\mathbb K)몫공간이다. 즉, \ell^1(\mathbb K)에 닫힌 \mathbb K-부분 벡터 공간 M이 존재하여, X\cong\ell^1(\mathbb K)/M이다.[91]

5. 2. \mathcal C^0의 부분 공간으로의 표현

바나흐-마주르 정리(Banach-Mazur定理)에 따르면, 임의의 바나흐 공간은 어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의 연속 함수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등거리 매장될 수 있다. 분해 가능 공간의 경우, 닫힌 단위 구간 위의 연속 함수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등거리 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해 가능 실수 바나흐 공간 V가 주어졌을 때, 그 연속 쌍대 공간 V'의 단위 닫힌 공 K=\operatorname{ball}_{V'}(0,1)에 약한-* 위상을 부여하면, 이는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에 의해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된다. 약한-* 위상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v\in V에 대하여 f\mapsto f(v)는 연속 함수가 된다. 즉, V의 원소 vK위의 연속 함수 (f\mapsto f(x))로 대응시키는 것은 등거리 선형 변환 V\to\mathcal C^0(K)를 정의한다.

만약 V가 추가로 분해 가능 공간이라면, \mathcal C^0(K,\mathbb R)\mathcal C^0([0,1],\mathbb R)의 부분 공간으로 등거리 매장할 수 있다.

5. 3. 바나흐-마주르 거리

'''바나흐-마주르 콤팩트 공간'''(Banach–Mazur compactum영어)은 유한 차원 바나흐 공간의 일종의 모듈라이 공간이다.

자연수 n\mathbb K\in\{\mathbb R,\mathbb C\}n차원 실수 바나흐 공간 V, W가 주어졌을 때, 그 사이의 전단사 \mathbb K-선형 변환들의 공간 \operatorname{GL}(V,W)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VW 사이의 '''바나흐-마주르 거리'''(Banach–Mazur distance영어)는 다음과 같다.

:d(V,W)=\ln_{T\in\operatorname{GL}(V,W)}\|T\|\|T^{-1}\|

여기서 \|T\|작용소 노름이다.

이는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n차원 \mathbb K-바나흐 공간들의 (등거리) 동형류들의 공간은 이 거리 함수를 통해 콤팩트 거리 공간을 이룬다. 이를 '''바나흐-마주르 콤팩트 공간'''이라고 한다.

6. 예

벡터 공간 위에 노름을 부여하여 바나흐 공간을 만들 수 있다.


  • 자연수 n\in\mathbb N에 대하여, 유한 차원 \mathbb K-벡터 공간 \mathbb K^n 위에 노름

:\|(x_1,\dots,x_n)\|=\sqrt

6. 1. 유클리드 공간

자연수 n\in\mathbb N에 대하여, 유한 차원 \mathbb K- 벡터 공간 \mathbb K^n 위에 노름

:\|(x_1,\dots,x_n)\|=\sqrt{|x_1|^2+\cdots+|x_n|^2}

를 부여하면, 이는 \mathbb K-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n'' 차원 유클리드 공간 '''R'''''n''은 ''x'' = (''x''1, ..., ''x''''n'') ∈ '''R'''''n''에 대해 다음으로 정의되는 모든 노름에 대해 바나흐 공간이다.

{| class="wikitable"

|-

! 노름

|-

| \lVert x\rVert=\sqrt{|x_1|^2+\cdots+|x_n|^2}

|-

| \lVert x\rVert_p=(|x_1|^p+\cdots+|x_n|^p)^{1/p} (''p''는 1 이상의 실수. 위의 노름은 ''p'' = 2인 경우이다.)

|-

| \lVert x\rVert_{\infty}=\max\


6. 2. 르베그 공간

측도 공간 (X,\Sigma,\mu)확장된 실수 1\le p\le\infty에 대하여, 르베그 공간 \operatorname L^p(X;\mathbb K)\mathbb K-바나흐 공간을 이룬다.[7]

6. 3. 수렴 수열 공간

수렴 수열 공간 \(\operatorname c(\mathbb K)\)과 영 수렴 수열 공간 \(\operatorname c_0(\mathbb K)\)은 둘 다 \(\mathbb K\)-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6. 4. 힐베르트 공간

임의의 \mathbb K-힐베르트 공간 \mathcal H에 대하여,

:\|v\|=\sqrt{\langle v,v\rangle}\qquad(v\in \mathcal H)

로 노름을 정의하면 이는 \mathbb K-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실수 힐베르트 공간은 내적에서 유도되는 노름에 관해 바나흐 공간이 된다. 임의의 내적에는 대응하는 노름이 수반되며(노름과 내적의 대응은 ǁ'''v'''ǁ² = ('''v''','''v''')로 주어진다), 내적에 수반하는 노름에 관해 완비인 내적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이라고 불리므로, 임의의 힐베르트 공간은 정의에 의해 바나흐 공간이지만, 역은 반드시 참이 아니다.

바나흐 공간 ''V''의 노름 ǁ•ǁ가 내적에 수반되는 (따라서 ''V''가 힐베르트 공간이 되는) 필요충분 조건은, 중선 정리(평행사변형 법칙):

:\|u+v\|^2 + \|u-v\|^2 = 2(\|u\|^2 + \|v\|^2)

를 임의의 ''u'', ''v'' ∈ ''V''에 대해 만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R'''''n''이 그 위에 정의되는 "임의의" 노름에 관해 바나흐인 것과 대조적으로, 힐베르트 공간이 되는 것은 유클리드 노름에 관해서만이다. 마찬가지로 무한 차원의 경우, 예를 들어 르베그 공간 ''L''''p''는 항상 바나흐 공간이지만 힐베르트 공간이 되는 것은 ''p'' = 2인 경우에 한정된다.

바나흐 공간의 노름이 중선 정리의 등식을 만족할 때, 바나흐 공간을 힐베르트 공간으로 하는 내적은 편극 항등식(극화 형식)에 의해 주어진다. ''V''가 실수 바나흐 공간일 때, 편극 항등식은

:\langle u,v\rangle = \frac{1}{4}\,(\|u+v\|^2 - \|u-v\|^2)

로 주어진다. 한편 ''V''가 복소 바나흐 공간일 때, 편극 항등식은 (에르미트 내적은 제 1 변수에 관해 선형으로 하는 경우)

:\langle u,v\rangle = \frac{1}{4}\,(\|u+v\|^2 - \|u-v\|^2 + i(\|u+iv\|^2 - \|u-iv\|^2))

가 된다.

6. 5. 연속 함수 공간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가 주어지면, X 위의 \mathbb K값의 연속 함수들의 \mathbb K-벡터 공간\mathcal C^0(X,\mathbb K)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부여할 수 있다.

:\|f\|=\max_{x\in X}|f(x)|

이는 \mathbb K-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점별 곱셈을 통해 이는 추가로 \mathbb K-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유계 폐구간 ''I'' 위의 실숫값 연속 함수 전체 ''C''(''I'')는 다음의 노름으로 바나흐 공간이 된다.

:\lVert f\rVert=\max_{x\in I}|f(x)|

7. 역사

스테판 바나흐가 1922년부터 연구하였다.[92] 이 밖에도, 한스 한에두아르트 헬리가 바나흐 공간 이론의 초기 연구에 기여하였다.

바나흐-마주르 정리는 스테판 바나흐스타니스와프 마주르가 증명하였다. 바나흐-샤우데르 정리와 그 따름정리인 닫힌 그래프 정리는 스테판 바나흐가 1929년에 발표하였고,[93] 이듬해 율리우시 샤우데르[94]가 개량하였다.[95][96]

참조

[1] 서적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서적
[7] 서적
[8] 문서
[9] 웹사이트 Equivalence of norms https://kconrad.math[...] 2020-09-07
[10] 문서
[11] 서적
[12] 서적
[13] 논문 Invariant metrics in groups (solution of a problem of Banach) https://www.ams.org/[...]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간행물 On topological spaces and topological groups with certain local countable networks https://arxiv.org/pd[...]
[19] 웹사이트 Banach spaces (and Lawvere metrics, and closed categories) https://qchu.wordpre[...] 2012-06-23
[20] 문서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Integration I Springer Verlag
[37] 논문 On isomorphisms of continuous function spaces
[38] 논문 A generalized Banach–Stone theorem
[39] 논문 A bound-two isomorphism between C(X) Banach spaces
[40] 논문 Banach Space Methods in Topology 1942
[41] 서적 An Invitation to C*-Algebra Springer-Verlag
[42] 논문 A non-reflexive Banach space isometric with its second conjugate space
[44] 논문 A proof that every Banach space is subreflexive
[48] 논문 A characterization of Banach spaces containing ℓ1
[50] 간행물 A double-dual characterization of separable Banach spaces containing ℓ1 http://dml.cz/bitstr[...]
[52] 간행물 Pointwise Compact Sets of Baire-Measurable Functions
[59] 논문 A counterexample to the approximation property in Banach spaces
[69] 논문 On the complemented subspaces problem
[71] 논문 A new dichotomy for Banach spaces 1996
[72] 저널 A solution to Banach's hyperplane problem
[73] 저널 Banach spaces without local unconditional structure
[74] 서적 Selected Topics in Infinite-Dimensional Topology https://books.google[...] Panstwowe wyd. naukowe
[75] 서적 Characterizing Hilbert Space Topology Fundamenta Mathematicae
[76] 논문 Isomorphism of the spaces of continuous functions over compact sets of the cardinality of the continuum 1966
[77] 문서 Milutin
[78] 논문 Contribution à la topologie des ensembles dénombrables 1920
[79] 논문 Spaces of continuous functions. IV. On isomorphical classification of spaces of continuous functions 1960
[80] 간행물 1987
[81] 서적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Wiley-interscience
[82] 문서 測度空間では、その測度に関する零集合上での挙動は測れないものとして、二つの函数が「[[殆ど至る所]]一致する」場合には函数自体を区別しないで同一視する。この殆ど至る所一致するという関係は同値関係であり、函数空間はこの同値関係で割ったものを考える。
[83] 서적 바나하공간론 http://www.acanet.co[...] 아카넷 2000
[84] 서적 Introduction to Banach spaces and their geometry North-Holland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https://archive.org/[...] McGraw-Hill
[91] 저널 Zur Theorie der linearen Dimension
[92] 저널 http://matwbn.icm.ed[...]
[93] 저널 http://pldml.icm.edu[...]
[94] 저널 http://pldml.icm.edu[...]
[95] 서적
[96] 서적 https://www.crc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