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성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열성 인격장애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무관심과 정서적 표현의 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1908년 오이겐 블로일러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이후 DSM-III에 정식 질환으로 등재되었다. 분열성 인격장애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신경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DSM-5와 ICD-10에서는 독자적인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사회적 고립, 정서적 냉담, 제한된 관심사 등이 나타나며, 다른 정신 질환과의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가 있으며, 인지 행동 치료, 정신역동 치료, 지지 심리 치료 등이 활용된다. 분열성 인격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진단의 타당성 및 문화적 편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치료는 어렵지만,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조현병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조현병 - 분열형 인격장애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이한 사고방식과 행동, 대인관계 기피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사회적 불안과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약물 및 심리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하지불안 증후군
하지불안 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과 함께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나타나는 신경 질환으로, 휴식 시 증상이 심해지고 움직이면 완화되며, 도파민 시스템 이상, 철분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수면 장애 및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신체화 장애
신체화 장애는 명확한 신체적 원인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를 동반하기도 하고, 증상 완화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정신 치료, 상담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사용된다.
분열성 인격장애 | |
---|---|
개요 | |
이름 | 분열성 인격장애 |
관련 분야 | 정신의학 임상심리학 |
동의어 | 스키조이드 퍼스낼리티 장애 |
증상 및 징후 | |
주요 증상 | 광범위한 정서적 무관심 정동 감소 친한 친구 부족 무감동 쾌감 상실증 사회적 규범에 대한 무의식적인 무감각 성적 금욕 환상에 몰두 자폐적 사고 (현실 인식 능력 상실 없는) |
발병 시기 | 늦은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 |
지속 기간 | 평생 |
원인 및 위험 요인 | |
원인 | 가족력 차갑고 무관심하거나 침해적인 양육 외상성 뇌손상 낮은 출생 체중 산전 영양 불량 |
위험 요인 | 가족력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증상 기반 |
감별 진단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다른 정신 질환 (조현병, 망상 장애, 양극성 장애 또는 정신병적 특징을 가진 주요 우울 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인격 변화 물질 사용 장애 자폐 스펙트럼 다른 인격 장애 및 인격 특성 (내향성과 같은) |
유형 | |
밀론의 하위 유형 | 나른한 분열성 원격 분열성 비인격화된 분열성 무감각한 분열성 |
치료 및 예후 | |
치료 | 정신역동 심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 |
약물 치료 |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저용량 벤조디아제핀, 베타 차단제, 네파조돈, 부프로피온이 포함될 수 있음. |
예후 | 일반적으로 좋지 않음 |
통계 | |
유병률 | 0.8% |
기타 | |
메들라인플러스 (MedlinePlus) | 000920 |
그림 | |
![]() |
2. 역사
1908년, 오이겐 블로일러는 내면의 삶에 집중하고 외부 세계로부터 주의를 돌리는 인간의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분열성(schizoid)'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6] 블로일러는 이러한 경향의 과장을 "분열성 인격"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이러한 인격을 "편안하게 둔하고 동시에 민감하며, 좁은 방식으로 모호한 목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29] 1910년, 아우구스트 호흐는 "은둔형" 인격이라는 매우 유사한 개념을 도입했다. 이것의 특징은 과묵함, 은둔성, 수줍음, 그리고 환상의 세계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는 것 등이었다. 1925년, 러시아 정신과 의사 그루냐 수하레바는 오늘날의 SzPD 및 ASD와 유사한 일련의 아이들에게서 "분열성 정신병"을 묘사했다. 약 10년 후 표트르 간누시킨은 성격 유형에 대한 상세한 유형학에서 '분열성 인격'과 '몽상가'를 포함시켰다.[30]
기술적 전통은 1925년, 에른스트 크레취머가 관찰 가능한 분열성 행동을 묘사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그것들을 세 가지 특성 그룹으로 정리했다.[31]
# 비사교성, 조용함, 내성적임, 진지함, 괴팍함.
# 소심함, 감정에 대한 수줍음, 민감함, 신경질, 흥분성, 자연과 책에 대한 애정.
# 유연성, 친절함, 정직함, 무관심, 침묵, 차가운 감정적 태도.[31]
이러한 특성은 DSM-III에서 분열성 성격을 분열형 성격 장애, 회피성 성격 장애, 분열성으로 세 가지 뚜렷한 성격 장애로 나눈 것에 대한 전조였다. 그러나 크레취머는 이러한 행동을 급진적인 고립의 지점까지 분리하는 것을 생각하지 않았고, 오히려 분열성 개인에게서 다양한 잠재력으로 동시에 나타난다고 여겼다. 크레취머에게 있어서, 대부분의 분열성 사람들은 과민하거나 차갑지 않고, 상당히 다른 상대적 비율로 "동시에" 과민하고 차가우며, 이러한 차원을 따라 한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었다.[31]
역동 정신 의학의 두 번째 경로는 1924년 오이겐 블로일러의 관찰을 통해 시작되었으며,[32] 그는 분열성 사람과 분열성 병리가 분리되어야 할 대상이 아니라고 관찰했다. 오늘날 분열성 현상에 대해 알려진 거의 모든 것이 파생된, 분열성 성격에 대한 로널드 페어베언의 획기적인 연구는 1940년에 발표되었다. 여기서 페어베언은 네 가지 중심적인 분열성 주제를 명확히 했다.
# 대인 관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로 작용하는 필요성.
# 자기 보존 방어와 자기 의존성을 동원하는 능력.
# 불안으로 가득 찬 애착의 필요성과 방어적인 거리의 필요성 사이의 만연한 긴장으로, 이는 '무관심'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나타난다.
# 외부 세계를 희생하면서 내면 세계를 과대평가하는 것.
페어베언이 비현실감, 이인증, 분열, 모든 대상을 구강기의 부분 대상으로 만드는 것, 그리고 지성화의 조합으로부터 SzPD를 도출한 후,[33] 역동 정신 의학 전통은 분열성 성격에 대한 풍부한 탐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냈으며, 특히 Nannarello (1953), 랭 (1965), 위니콧 (1965),[34] 건트립 (1969), 칸 (1974), 아크타르 (1987), Seinfeld (1991), Manfield (1992), Klein (1995)의 저술가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DSM-I에는 '분열성 인격'의 진단이 있었고, 이는 친밀한 관계 회피, 공격적인 감정 표현 불능, 그리고 자폐적 사고 (자신의 내적 경험에 몰두하는 사고)로 정의되었다.[35] DSM-II는 나중에 백일몽, 현실로부터의 분리, 민감성을 포함하도록 정의를 업데이트했다.[36] 이는 DSM-III에 '분열성 성격 장애'로 통합되어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지속적인 단절과 무관심 패턴을 보이는 것을 설명했다.[37][38] SzPD의 진단은 DSM-IV 및 DSM-V로 이어졌다.[39]
2002년까지는 분열병질 인격 장애라고 불렸다. 정신 분열병이 조현병으로 명칭이 변경된 것과 연동하여, 'DSM-IV-TR 정신 질환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의 신정판에서는 분열성 성격 장애로 변경되었다. 'ICD-10 정신 및 행동의 장애 - 임상 기술과 진단 가이드라인'에서는 2005년 11월판부터 조현성 성격 장애가 되었다.
2. 1. 한국 사회와 분열성 인격장애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집단주의 문화가 강하고, 대인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개인들은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고립감을 느낄 수 있다.[242] 특히, 급격한 사회 변화와 경쟁 심화로 인해 개인주의가 확산되면서,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개인들이 겪는 어려움은 더욱 커질 수 있다.경기도의 한 고시촌에서 10년째 사법고시 공부를 하고 있는 30대 중반의 K씨는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신경이 쓰이고 불편하여 주로 혼자 지내는 편이다. K씨는 어린 시절부터 친구 없이 혼자 지내는 것에 익숙했으며, 유학 공부를 하던 부모 대신 한국에 있는 친할머니가 K씨를 양육하였다. 할머니는 며느리에 대한 불만이 많았고, K씨는 만 3세 때부터 같이 살게 된 부모에게 거리감을 느꼈다. K씨는 말썽부리지 않는 착하고 순한 아이였으며 부모 역시 바쁜 생활로 자녀에게 깊은 관심을 갖지 못했다. 대학 생활을 하면서도 친한 친구 없이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았고, 졸업 후 취업한 중소기업에서도 동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겉돌았다.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아 회사 사람들에게 ‘이상한 사람’으로 여겨졌고, 결국 정리 해고된 이후 고시 공부를 시작했지만, 10년째 고시촌 생활을 하고 있다.[242]
3. 원인
분열성 인격장애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편집증적 특성에 대한 유전적 요인과 분열성 인격장애와 조현병 간의 유전적 연관이 존재한다.[67]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진행되었던 노르웨이의 쌍둥이 연구는 편집성 인격장애가 유전되며, 클러스터 A의 분열성 인격장애와 분열형 인격장애는 유전적, 환경적 위험요인에 있어서 일부 공통점을 보인다고 밝혔다.
심리사회학적 이론들은 부정적인 내적 감정의 투사와 부모 모델링(parental modeling)을 제시했다. 인지이론에서는 자기인식(self-awareness) 결여와 더불어 타인은 불친절하다는 믿음이 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본다. 『MSD 매뉴얼』에 따르면, 소아기에서의 양육자의 감정적 냉담함, 무시, 냉랭함이 대인 관계에 대한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아이에게서 키우고, 분열성 인격장애(SPD)를 발병시키기 쉽게 할 가능성이 있다.
3. 1. 유전적 요인
편집증적 특성에 대한 유전적 요인과 분열성 인격장애와 조현병 간의 유전적 연관이 존재한다.[67]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진행되었던 노르웨이의 쌍둥이 연구는 편집성 인격장애가 유전되며, 클러스터 A의 분열성 인격장애와 분열형 인격장애는 유전적, 환경적 위험요인에 있어서 일부 공통점을 보인다고 밝혔다. 슐라 울프(Sula Wolff)는 분열성 증상을 보이는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 임상 작업을 수행했으며 "분열성 성격은 체질적이며, 아마도 유전적인 기반을 가지고 있다."라고 언급했다.[67] 분열성 성격 장애(SzPD) 특성(예: 낮은 사교성 및 낮은 따뜻함)에 대한 쌍둥이 연구는 이러한 특성이 유전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간접적인 증거 외에도, SzPD의 직접적인 유전성 추정치는 50%에서 59% 사이이다.[7][68] 이전의 덜 방법론적인 연구에서는 유전율이 29%인 것으로 나타났다.[69] SzPD의 병태생리학은 여전히 불분명하다.[70] 유전적 거리와 정신 분열증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분열성 성격 장애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70][71][72][73]3. 2. 환경적 요인
어린 시절의 부정적인 양육 환경은 분열성 인격장애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완벽주의적이고 비판적인 양육 방식, 차갑고 무관심하며 거리를 두는 양육 방식은 분열성 인격장애의 발병에 기여한다.[40][42][53] 부모의 알코올 중독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66]분열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부모는 아마도 그들의 정서적 경험에 대해 관대하지 않았을 것이며,[54] 그들은 감정을 억누르고 격리하도록 강요받았을 수 있다.[55] 이는 감정적 경험을 표현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했을 수 있다.[55] 이러한 어려움은 아이가 거부감을 느끼고, 유일하게 안전한 환경은 혼자 있고 무표정한 환경이라는 믿음을 갖게 한다.[56][57][58][59] 분열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은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하다는 믿음을 내면화했을 수 있다.[60][61][62] 고립되고 감정적으로 무딘 상태에서 그들은 자립적이고 안전할 수 있다.[63][64]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는 성인기에 공허함을 느끼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65]
3. 3. 신경학적 요인
분열성 인격장애는 전두엽, 편도체, 그리고 선조체와 같은 영역에서 감소된 세로토닌과 도파민 경로와 관련이 있다.[89][90][91][92] 전두엽의 외상성 뇌 손상 또한 뇌의 해당 영역이 감정 및 사회화와 같은 영역을 제어하기 때문에 분열성 인격장애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93][65][94] 뇌의 우반구의 결함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95] 낮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여성의 분열성 성향의 존재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96] 좌반구의 과도한 지수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97]출생 전 영양 결핍,[84][85] 미숙아 출산, 그리고 낮은 출생 체중은 모두 분열성 인격장애의 발달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4][86][87][88]
4. 진단 기준
DSM-IV-TR에서는 다음 진단 기준 중 최소 4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 분열성 인격장애로 진단한다.
# 가족을 포함하여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 않거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 일관되게 고립된 행동을 선호한다.
# 이성과 성적 경험에 대한 흥미가, 만약 있다 하더라도 거의 없다.
# 기쁨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 만약 있다 하더라도, 거의 없다.
# 부모나 형제 등 친족 외에는 친한 친구나 믿을 만한 친구가 없다.
# 칭찬이나 비판에 무관심해 보인다.
# 정서적 냉담함, 초연한 태도 또는 평탄한 감정.
분열성 인격장애의 DSM-5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사회적 관계에서 고립되고 대인관계 상황에서 감정 표현이 제한되는 특성이 성인기 초기부터 생활 전반에 나타나며,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킨다.
-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포함하여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도 즐기지도 않는다.
- 거의 항상 혼자 하는 활동을 선택한다.
- 타인과 성 경험을 갖는 일에 거의 흥미가 없다.
- 흥미를 갖는 활동이 거의 없다.
- 직계 가족 외에는 가까운 친구나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
- 타인의 칭찬이나 비평에 무관심해 보인다.
- 정서적 냉담, 이탈 또는 단조로운 정동을 보인다.
B. 조현병, 정신증 양상이 있는 기분 장애 또는 기타 정신증 장애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ICD-10 정신 및 행동장애 분류법(The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of ICD-10)에서 (F60.1)로 분류되어 있다. 인격장애 (F60)의 일반 기준은 제일 먼저 충족되어야 한다. 또한 다음 중 최소 4개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 즐거움을 주는 활동이 거의 없다.
- 정서적 냉담함(emotional coldness), 무심(detachment), 단조로운 정동성(정서상태)(flattened affectivity)이 있다.
- 타인에게 분노는 물론 따뜻하고 부드러운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 타인으로부터 칭찬이나 비판에 모두 무관심하다.
- 연령을 고려했을 때 타인과의 성관계에 거의 관심이 없다.
- 거의 항상 혼자 행동하는 것을 선호한다.
- 환상과 자기 성찰에 지나치게 몰입해 있다.
- 신뢰할만한 관계나 친구를 사귀는 것을 원치 않거나 현재 없으며, 있더라도 한 명 정도만 있다.
- 사회규범과 관습에 대하여 무감각하다. 이러한 특징이 보이지 않으면 의도된 것이 아니다.
해리 건트립(Harry Guntrip)은 분열성 인격의 특징으로 내향성, 소극성, 자기애, 자족감, 우월감, 정동 결핍, 고독, 이인증, 퇴행 등을 제시했다.[118] 이러한 특징들은 DSM의 분열성 인격장애 진단과 대상관계론의 관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준다. 아홉 가지 특징은 모두 지속적이며, 분열성 인격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특징이 나타나야 한다.[118]
건트립이 제시한 분열성 인격의 아홉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1. DSM-5 진단 기준
분열성 인격장애의 DSM-5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A. 사회적 관계에서 고립되고 대인관계 상황에서 감정 표현이 제한되는 특성이 성인기 초기부터 생활 전반에 나타나며,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킨다.
-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포함하여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도 즐기지도 않는다.
- 거의 항상 혼자 하는 활동을 선택한다.
- 타인과 성 경험을 갖는 일에 거의 흥미가 없다.
- 흥미를 갖는 활동이 거의 없다.
- 직계 가족 외에는 가까운 친구나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
- 타인의 칭찬이나 비평에 무관심해 보인다.
- 정서적 냉담, 이탈 또는 단조로운 정동을 보인다.
B. 조현병, 정신증 양상이 있는 기분 장애 또는 기타 정신증 장애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4. 2. ICD-10 진단 기준
ICD-10 정신 및 행동장애 분류법(The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of ICD-10)에서 (F60.1)로 분류되어 있다. 인격장애 (F60)의 일반 기준은 제일 먼저 충족되어야 한다. 또한 다음 중 최소 4개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즐거움을 주는 활동이 거의 없다.
- 정서적 냉담함(emotional coldness), 무심(detachment), 단조로운 정동성(정서상태)(flattened affectivity)이 있다.
- 타인에게 분노는 물론 따뜻하고 부드러운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 타인으로부터 칭찬이나 비판에 모두 무관심하다.
- 연령을 고려했을 때 타인과의 성관계에 거의 관심이 없다.
- 거의 항상 혼자 행동하는 것을 선호한다.
- 환상과 자기 성찰에 지나치게 몰입해 있다.
- 신뢰할만한 관계나 친구를 사귀는 것을 원치 않거나 현재 없으며, 있더라도 한 명 정도만 있다.
- 사회규범과 관습에 대하여 무감각하다. 이러한 특징이 보이지 않으면 의도된 것이 아니다.
4. 3. 건트립(Guntrip) 기준
해리 건트립(Harry Guntrip)은 분열성 인격의 특징으로 내향성, 소극성, 자기애, 자족감, 우월감, 정동 결핍, 고독, 이인증, 퇴행 등을 제시했다.[118] 이러한 특징들은 DSM의 분열성 인격장애 진단과 대상관계론의 관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준다. 아홉 가지 특징은 모두 지속적이며, 분열성 인격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특징이 나타나야 한다.[118]건트립이 제시한 분열성 인격의 아홉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5. 감별 진단
분열성 인격장애는 정신증적 증상이 있는 다른 정신 질환,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인격 변화, 물질 사용 장애, 다른 인격 장애 및 인격 특성과 감별해야 한다.[230]
분열성 인격장애는 망상 장애와 같은 정신증적 특징이 있는 질환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환각이나 망상과 같은 정신증적 증상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230] 정신 분열증 및 관련 장애군에서 분열성 인격장애는 인지 장애나 지각 장애(피해망상이나 환각 등)가 없다.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임상적 우울증을 겪을 수도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이들은 스스로를 다른 사람들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대신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AS)과 분열성 인격장애(SzPD)를 구별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반면, 분열성 인격장애는 "조현병 유사" 인격 장애로 분류된다. 자폐증이 있는 일부 사람들이 조현형 또는 분열성 인격 장애 진단을 받기도 하므로 어느 정도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분열성 인격 장애의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제한된 정서와 정서적 경험 및 표현 능력의 손상이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저정신화자"인데, 즉 언어적 암시, 몸짓, 제스처와 같은 사회적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조현병 유사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이러한 신호를 과도하게 해석하는 "과정신화자"가 되는 경향이 있다.[231][232][233] 분열성 인격장애는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손상, 즉 눈 맞춤의 부족, 특이한 운율 또는 제한적인 관심사 또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요구하지 않는다.[234]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 분열성 인격장애는 사회적 장애나 상동적인 행동·관심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다.
분열성 인격장애의 특징은 중추 신경계의 손상[230]이나 약물 남용[230]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분열성 및 자기애성 인격 장애는 정체성 혼란, 따뜻함과 자발성 부족, 친밀한 관계 회피 등에서 유사해 보일 수 있다. 사람보다 아이디어를 선호하고 "지적 비대"를 나타내며, 육체적 존재에 대한 뿌리내림이 부족하다는 것도 공통점이다.[235] 그러나 분열성 성격은 의존에 대한 필요를 숨기고 숙명론적, 수동적, 냉소적이며 겉으로는 무미건조하거나 모호하게 신비로운 반면, 자기애성 성격은 야심적이고 경쟁적이며 의존적 욕구를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한다.[235]
분열성 인격장애와 강박성 인격 장애(OCPD) 사이에도 유사점이 있는데, 이는 애착, 제한된 정서 표현 및 경직성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강박성 인격장애에서는 친밀한 관계를 맺는 능력이 대개 손상되지 않지만, 감정에 대한 불안함과 일에 대한 헌신 때문에 깊은 관계를 피할 수 있다.[25][236]
회피성 인격 장애(AvPD)가 있는 사람들은 불안이나 무능력감을 느껴 사회적 상호 작용을 피하는 반면, 분열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관계에 실제로 무관심하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 그러나 1989년의 한 연구[237]에 따르면 "분열성 및 회피성 인격은 정신과적 대조군 환자에 비해 동등한 수준의 불안, 우울증 및 정신증적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와 회피성 인격장애 사이에는 일부 유전적 위험이 공유되는 것으로 보인다 (분열 회피 행동 참조). 여러 출처에서 분열성 인격장애와 회피적 애착 유형의 동의어를 확인했다.[238] 그러나 분열성 인격장애가 있는 개인은 단순히 관심이 없어서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하지 않는다는 점과, 회피적 애착 유형이 있는 개인은 사실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데 관심이 있을 수 있지만 친밀함에 대한 내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깊이 또는 길이가 긴 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점을 구분해야 한다. 분열형 성격 장애에서 분열성 인격장애는 지각 및 사고의 왜곡이 없다.
6. 증상 및 특징
분열성 성격 장애(SPD)는 다른 성격 장애보다 증상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드물게 이러한 환자가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는 경우, 환자는 (특히 사회적 교류에서) 고통을 느끼고 있음을 인정한다. SPD 환자는 타인(가까운 친족 포함)과의 친밀한 관계를 원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친한 친구나 상담 상대가 없다. 때로는 직계 가족만 있을 뿐이다.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타인과 교류하지 않는 활동이나 취미(컴퓨터 게임 등)를 선택한다. 데이트는 드물고, 결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타인과의 성적 행동에 관심이 있더라도 아주 적다. "감각적, 신체적 경험으로 인한 즐거움(예: 해변에서의 산책)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좋든 싫든 신경 쓰지 않는 듯한 모습이다. 사회적 교류에서의 일반적인 신호에 눈치채지 못하고, 서투르고, 무관심하고, 자기 몰두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사회적 상황에 대한 반응(미소나 끄덕임 등)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일이 드물다. 분노를 표현하기 어려워, 도발을 받아도 분노를 보이지 않는다. 생애 사건(인생의 중요한 사건)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고, 상황 변화에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다. 자신의 인생을 이끌어가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분열성 인격장애는 회피형 애착 유형과 관련이 있다.[59][108][109][110]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고, 종종 고독한 활동에만 참여하는 것을 선택한다.[111][112][113]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지 않은 취미와 활동을 선호한다.[114][115]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무쾌감증보다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 감각에서 즐거움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싫어할 수 있다.[116][117] 사회적 상황을 피하는 한 가지 잠재적인 동기는 그것이 자신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65][118] 이들에게 관계는 숨 막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119] 관계를 함정으로 여기기도 한다.[21][120]
이들은 파트너가 정서적 또는 친밀한 요구를 거의 하지 않고, 피틱이나 사회적 예의를 기대하지 않는 관계에서 가장 행복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피하고 싶어하는 것은 반드시 사람들이 아니라 부정적 또는 긍정적 감정적 기대, 정서적 친밀감, 그리고 자기 노출이다.[87][121] 가까운 정서적 유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하다고 느낄 수 있으며,[61][118][122] 부적절함이나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123] 어떤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다른 사람과 연결되려는 깊은 갈망을 경험하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위험에 대해 두려움을 느낄 것이다.[118][124] 사회적 상황 회피는 상처를 받거나 거절당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일 수 있다.[125][126]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정서적 친밀함이 필요하지 않다면 지적, 신체적, 가족적, 직업적 또는 오락적 활동을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널드 위니컷은 이것이 분열성 개인들이 "다른 사람의 충동에 따라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조건에 따라 관계를 맺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을 달성하지 못하면 고립을 선호한다.[127] 일반적으로 이들에게 우정은 다른 한 사람으로 제한되며, 그 사람 또한 종종 분열성으로, 두 명의 괴짜의 결합이라고 불린다. "그 안에서는 - 인격의 황홀한 숭배, 그 밖에서는 - 모든 것이 날카롭게 거부되고 경멸된다."[128]
이들의 독특한 생활 방식은 사회적 거부로 이어질 수 있으며,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괴롭힘이나 노숙에 직면할 위험이 더 높다.[25][129] 이러한 사회적 거부는 그들의 반사회적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감각적 또는 정서적 경험으로부터 거의 즐거움을 얻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134][135] 드물게 강한 감정을 드러내거나 어떤 것에 반응하며,[136]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목적 의식이 없거나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다.[40] 무쾌감증을 경험할 수도 있다.[137]
이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과 사회적 단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138][139][140]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41][142] 종종 비판이나 칭찬에 무관심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무관심하거나 냉담하게 보일 수 있다.[143] 다른 사람을 피하고 자신을 표현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거리를 유지하고 상처받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44][57][125] 혼자 남아 무표정하게 있는 것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다.[145]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수치심이나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40]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부적절하다고 느끼고 민감할 수 있지만,[146] 이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16][59]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알렉시티미아는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흔하다.[147][148][149] 이것은 그들이 정서적 경험이 제공하는 불편함과 자극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는다.[59]
건트립, 클라인 등에 따르면,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숨겨진 우월감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질투에 시달리고" 다른 사람을 파괴하거나 깎아내리려는 욕망을 가진 자기애성 인격 장애에서 보이는 과대성과는 매우 다르다.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와 달리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원치 않는 관심이나 자신의 아이디어와 생각이 대중에게 도용된다는 느낌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창작물을 종종 비공개로 유지한다.[59] 다른 사람에게 의존해야 할 때,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공황 상태나 공포를 느낄 수 있다.[59]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과도한 백일몽과 자기 성찰에 빠질 수 있다.[42][159][160] 현실은 그들의 환상에 부차적인 것이 될 수 있으며,[161] 완전히 내면의 환상 속에서 존재하는 복잡한 삶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러한 백일몽은 환자를 외부 세계와 그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어 기제가 될 수 있다.[61][118][162] 그들의 내적 환상에서 흔한 주제는 전지전능과 과대성이다.[59]
분열형 인격 장애와 정신 분열증은 창의성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며, 분열형 인격 장애의 내적 환상 측면 또한 이러한 사고방식을 반영할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63][164][165] 분열성 인격장애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수학, 물리학, 경제학 등을 포함한 과학 및 이론 분야에 특히 큰 기여를 해왔지만, 동시에 그들의 증상 때문에 많은 실질적인 활동에 무력하다.[166]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종종 비현실적이고 공허하며, 자신의 감정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을 받는다.[87][124][150] 이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인식하고, 스스로를 비호감이라고 믿을 수 있다.[118][151] 또한, 동기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야망이 부족하며, "그냥 형식적으로" 또는 "인생이 그들을 스쳐 지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묘사한다.[3][152][153][154][155][156] 많은 환자들이 멀리서 삶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157] 애런 벡과 그의 동료들은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냉담한 생활 방식을 편안하게 느끼고 자신을 주변 세계의 참여자가 아닌 관찰자로 여긴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의 다른 삶과 마주했을 때 스스로를 사회적으로 일탈된(또는 결함이 있는) 사람으로 인식한다고 언급한다.[118][154][59] 이러한 감정은 우울증, 탈인격화, 또는 비현실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118][154][59]
일부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매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성격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DSM-5 및 ICD-10 정의에서 강조하는 관찰 가능한 특징과 모순된다. 군트립은 이러한 개인들을 "비밀 분열성 인격장애자"로 분류하며, 이들은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관심 있고, 참여하고,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행동하지만, 여전히 정서적으로 철수하고 내면세계의 안전 속에 숨어 있다.[26][180] 클라인은 "전형적인" SzPD와 "비밀스러운" SzPD를 구분하며, 동일한 빈도로 발생한다고 한다.
1940년, 페어베언은 "분열성 과시증"에 대해 묘사했는데, 여기서 분열성 인격장애자는 많은 감정을 표현하고 인상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주지 않고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그들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성격은 관여되지 않는다. 페어베언에 따르면, 분열성 인격장애자는 자신의 성격을 훼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존하려고 한다.[182]
인간적 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수학 등에 열중하거나, 동물을 잘 따르게 하는 데 능숙한 경우도 있다.[240]
6. 1. 사회적 고립
분열성 인격장애는 회피형 애착 유형과 관련이 있다.[59][108][109][110]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고, 종종 고독한 활동에만 참여하는 것을 선택한다.[111][112][113]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지 않은 취미와 활동을 선호한다.[114][115]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무쾌감증보다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 감각에서 즐거움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싫어할 수 있다.[116][117] 사회적 상황을 피하는 한 가지 잠재적인 동기는 그것이 자신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65][118] 이들에게 관계는 숨 막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119] 관계를 함정으로 여기기도 한다.[21][120]
이들은 파트너가 정서적 또는 친밀한 요구를 거의 하지 않고, 피틱이나 사회적 예의를 기대하지 않는 관계에서 가장 행복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피하고 싶어하는 것은 반드시 사람들이 아니라 부정적 또는 긍정적 감정적 기대, 정서적 친밀감, 그리고 자기 노출이다.[87][121] 가까운 정서적 유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하다고 느낄 수 있으며,[61][118][122] 부적절함이나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123] 어떤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다른 사람과 연결되려는 깊은 갈망을 경험하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위험에 대해 두려움을 느낄 것이다.[118][124] 사회적 상황 회피는 상처를 받거나 거절당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일 수 있다.[125][126]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정서적 친밀함이 필요하지 않다면 지적, 신체적, 가족적, 직업적 또는 오락적 활동을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널드 위니컷은 이것이 분열성 개인들이 "다른 사람의 충동에 따라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조건에 따라 관계를 맺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을 달성하지 못하면 고립을 선호한다.[127] 일반적으로 이들에게 우정은 다른 한 사람으로 제한되며, 그 사람 또한 종종 분열성으로, 두 명의 괴짜의 결합이라고 불린다. "그 안에서는 - 인격의 황홀한 숭배, 그 밖에서는 - 모든 것이 날카롭게 거부되고 경멸된다."[128]
이들의 독특한 생활 방식은 사회적 거부로 이어질 수 있으며,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괴롭힘이나 노숙에 직면할 위험이 더 높다.[25][129] 이러한 사회적 거부는 그들의 반사회적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인간적 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수학 등에 열중하거나, 동물을 잘 따르게 하는 데 능숙한 경우가 있다.[240]
6. 2. 정서적 냉담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감각적 또는 정서적 경험으로부터 거의 즐거움을 얻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134][135] 드물게 강한 감정을 드러내거나 어떤 것에 반응하며,[136]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목적 의식이 없거나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다.[40] 무쾌감증을 경험할 수도 있다.[137]이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과 사회적 단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138][139][140]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41][142] 종종 비판이나 칭찬에 무관심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무관심하거나 냉담하게 보일 수 있다.[143] 다른 사람을 피하고 자신을 표현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거리를 유지하고 상처받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44][57][125] 혼자 남아 무표정하게 있는 것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다.[145]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수치심이나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40]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부적절하다고 느끼고 민감할 수 있지만,[146] 이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16][59]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알렉시티미아는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흔하다.[147][148][149] 이것은 그들이 정서적 경험이 제공하는 불편함과 자극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는다.[59]
건트립, 클라인 등에 따르면,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숨겨진 우월감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질투에 시달리고" 다른 사람을 파괴하거나 깎아내리려는 욕망을 가진 자기애성 인격 장애에서 보이는 과대성과는 매우 다르다. 또한,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와 달리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원치 않는 관심이나 자신의 아이디어와 생각이 대중에게 도용된다는 느낌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창작물을 종종 비공개로 유지한다.[59] 다른 사람에게 의존해야 할 때,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공황 상태나 공포를 느낄 수 있다.[59] 인간적 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수학 등에 열중하거나, 동물을 잘 따르게 하는 데 능숙한 경우가 있다.[240]
6. 3. 제한된 관심사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과도한 백일몽과 자기 성찰에 빠질 수 있다.[42][159][160] 현실은 그들의 환상에 부차적인 것이 될 수 있으며,[161] 완전히 내면의 환상 속에서 존재하는 복잡한 삶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러한 백일몽은 환자를 외부 세계와 그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어 기제가 될 수 있다.[61][118][162] 그들의 내적 환상에서 흔한 주제는 전지전능과 과대성이다.[59]분열형 인격 장애와 정신 분열증은 창의성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며, 분열형 인격 장애의 내적 환상 측면 또한 이러한 사고방식을 반영할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63][164][165] 분열성 인격장애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수학, 물리학, 경제학 등을 포함한 과학 및 이론 분야에 특히 큰 기여를 해왔지만, 동시에 그들의 증상 때문에 많은 실질적인 활동에 무력하다.[166] 인간적 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수학 등에 열중하거나, 동물을 잘 따르게 하는 데 능숙한 경우가 있다.[240]
6. 4. 기타 특징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는 종종 비현실적이고 공허하며, 자신의 감정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을 받는다.[87][124][150] 이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인식하고, 스스로를 비호감이라고 믿을 수 있다.[118][151] 또한, 동기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야망이 부족하며, "그냥 형식적으로" 또는 "인생이 그들을 스쳐 지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묘사한다.[3][152][153][154][155][156] 많은 환자들이 멀리서 삶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157] 애런 벡과 그의 동료들은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냉담한 생활 방식을 편안하게 느끼고 자신을 주변 세계의 참여자가 아닌 관찰자로 여긴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의 다른 삶과 마주했을 때 스스로를 사회적으로 일탈된(또는 결함이 있는) 사람으로 인식한다고 언급한다.[118][154][59] 이러한 감정은 우울증, 탈인격화, 또는 비현실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118][154][59]일부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매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성격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DSM-5 및 ICD-10 정의에서 강조하는 관찰 가능한 특징과 모순된다. 군트립은 이러한 개인들을 "비밀 분열성 인격장애자"로 분류하며, 이들은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관심 있고, 참여하고,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행동하지만, 여전히 정서적으로 철수하고 내면세계의 안전 속에 숨어 있다.[26][180] 클라인은 "전형적인" SzPD와 "비밀스러운" SzPD를 구분하며, 동일한 빈도로 발생한다고 한다.
1940년, 페어베언은 "분열성 과시증"에 대해 묘사했는데, 여기서 분열성 인격장애자는 많은 감정을 표현하고 인상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주지 않고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그들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성격은 관여되지 않는다. 페어베언에 따르면, 분열성 인격장애자는 자신의 성격을 훼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존하려고 한다.[182]
인간적 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수학 등에 열중하거나, 동물을 잘 따르게 하는 데 능숙한 경우도 있다.[240]
7. 치료
분열성 인격장애 환자들의 대부분은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지 못한다. 이는 다른 성격장애 증상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는 문제이며,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막는다. 이들은 자신의 증상이 자아상과 충돌하지 않으며 자신들의 비정상적인 인지와 행동이 합리적이고 적절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임상과정에서 잘 드러나지 않기에, 분열성 인격장애에 대한 치료법들의 효과에 관한 정보가 많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분열성 인격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은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가 있다.
『MSD 매뉴얼』에 따르면 "분열성 인격 장애의 일반적인 치료는 모든 인격 장애에 대한 것과 같다". 정신 요법이나 약물 치료에 대한 대조 시험은 발표되지 않았다. "사회 생활 기능 훈련" 및 이와 관련된 인지 행동 치료는 일정한 효과가 있다.
== 심리 치료 ==
분열성 인격장애의 심리 치료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활용된다. 인지 행동 치료(CBT)는 환자들이 자신의 사고 패턴과 행동을 인식하고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다른 인격장애 환자들과 구분되어 잠재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87][210][211] 정신역동치료(psychodynamic therapy)는 환자들의 무의식적인 갈등과 방어 기제를 탐색하고, 대인 관계 패턴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21][212][213] 그러나 정신분석치료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많은 어려움을 일으키며, 환자들은 치료사와의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치료 동기도 낮기에 심리치료에 잘 나서지 않는 경향이 있다.
지지심리치료(Supportive psychotherapy)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게 모두 사용되며, 대처 기술(coping skill), 사교 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의사소통과 자존감 관련 문제에 주목한다.[223] 사회화 그룹(Socialization group)은 환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상담전문가들은 환자들이 대인관계를 맺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심리치료를 제공한다.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증상을 포착하지 못하고 사회적 경험을 제한하면서 사회성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키우는 경향이 있다.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들을 식별하는 훈련은 분열성 인격장애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와 건강한 관계를 맺으려고 시도하여[214] 관계가 해롭고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내면화된 믿음에 맞서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환자가 이해받고 존중받는다고 느끼는 개인 중심 치료여야 하며,[125][217][218] 환자의 감정 표현을 점진적으로 늘리려고 노력해야 한다. 환자는 몇 년 동안 지속되는 장기 치료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222][16]
== 약물 치료 ==
분열성 인격장애를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은 없다. 그러나 특정 약물은 분열성 인격장애의 증상을 줄이고, 동시에 나타나는 정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18][161][199][200]
항우울제,[87]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205] 불안 완화제,[59] 부프로피온,[17] 모다피닐,[206] 벤조디아제핀,[207][208] 및 생체 자기 제어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209]
과거에는 사회적 결핍과 둔마된 정동을 완화하기 위해 리스페리돈이나 올란자핀과 같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저용량으로 사용하기도 했다.[201][202][203][204] 그러나 2012년의 한 리뷰에서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인격 장애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16] 한편, 모다피닐은 분열성 인격 장애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 분열증의 일부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7. 1. 심리 치료
분열성 인격장애의 심리 치료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활용된다. 인지 행동 치료(CBT)는 환자들이 자신의 사고 패턴과 행동을 인식하고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다른 인격장애 환자들과 구분되어 잠재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87][210][211] 정신역동치료(psychodynamic therapy)는 환자들의 무의식적인 갈등과 방어 기제를 탐색하고, 대인 관계 패턴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21][212][213] 그러나 정신분석치료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많은 어려움을 일으키며, 환자들은 치료사와의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치료 동기도 낮기에 심리치료에 잘 나서지 않는 경향이 있다.지지심리치료(Supportive psychotherapy)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게 모두 사용되며, 대처 기술(coping skill), 사교 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의사소통과 자존감 관련 문제에 주목한다.[223] 사회화 그룹(Socialization group)은 환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상담전문가들은 환자들이 대인관계를 맺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심리치료를 제공한다. 분열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증상을 포착하지 못하고 사회적 경험을 제한하면서 사회성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키우는 경향이 있다.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들을 식별하는 훈련은 분열성 인격장애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와 건강한 관계를 맺으려고 시도하여[214] 관계가 해롭고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내면화된 믿음에 맞서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환자가 이해받고 존중받는다고 느끼는 개인 중심 치료여야 하며,[125][217][218] 환자의 감정 표현을 점진적으로 늘리려고 노력해야 한다. 환자는 몇 년 동안 지속되는 장기 치료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222][16]
7. 2. 약물 치료
분열성 인격장애를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은 없다. 그러나 특정 약물은 분열성 인격장애의 증상을 줄이고, 동시에 나타나는 정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18][161][199][200]항우울제,[87]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205] 불안 완화제,[59] 부프로피온,[17] 모다피닐,[206] 벤조디아제핀,[207][208] 및 생체 자기 제어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209]
과거에는 사회적 결핍과 둔마된 정동을 완화하기 위해 리스페리돈이나 올란자핀과 같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저용량으로 사용하기도 했다.[201][202][203][204] 그러나 2012년의 한 리뷰에서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인격 장애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16] 한편, 모다피닐은 분열성 인격 장애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 분열증의 일부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8. 관련 쟁점
DSM-III부터 회피성 성격장애가 분열성 성격장애로부터 변별 진단으로 분류되었으며, DSM-5 섹션III에서는 범주적 접근과 함께 보다 유연한 해석을 위한 차원적 접근을 시도한 하이브리드 모델(hybrid model)이 언급되었다.[29] 1920년대 에른스트 크레치머에 의해 개발된 분열성 성격의 원래 개념은 회피성 성격 장애, 분열형 성격 장애, 분열성 특성의 혼합을 포함했다. 1980년 테오도르 밀론의 연구를 통해 이 개념이 3가지 성격 장애(현재의 분열성, 분열형, 회피성)로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이러한 특성이 정확한지 또는 단일 성격 장애의 다른 표현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29] 또한 중복되는 특성으로 인해 진단의 일관성과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분열성 인격장애(SzPD)를 DSM에서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91] 2012년의 한 기사에서는 SzPD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는 두 가지 다른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동 제약 장애(분열형 성격 장애에 속함)와 은둔 장애(회피성 성격 장애에 속함). 그들은 개별적으로 분열성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차원 모델로 DSM의 향후 판에서 SzPD 범주를 대체할 것을 요구했다.[47]
럿거스 대학교의 낸시 맥윌리엄스와 유럽 키프로스 대학교의 파나지오티스 파포타스와 같은 일부 비평가들은 SzPD의 정의가 문화적 편견으로 인해 결함이 있으며, 정신 질환이 아니라 단지 더 거리가 먼 정서적 친밀도를 필요로 하는 회피적 애착 스타일이라고 주장한다.[125][224]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러한 개인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보이는 더 많은 문제적 반응은 이러한 스타일을 가진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판단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존 올드햄은 성격 장애의 차원적 모델을 사용하여, 분열성 성격 특징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완전한 성격 장애가 없다고 생각한다.[225] 손상은 어떤 행동이 성격 장애로 진단받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가토 사토시의 학술 논문에 따르면, 스티븐스와 프라이스는 진화정신 의학을 통해 조현병, 분열성 인격장애(SPD), 편집성 성격장애를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 장애는 '조현병 스펙트럼(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또는 '스페이싱 장애'(spacing disorder) 안에 포함된다. 나카가와 등의 논문에 따르면,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의 횡단적 연구에서, SAS(사회적 쾌락 상실 척도, Social Anhedonia Scale)에서 고득점인 사람은, 분열성 인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 장애 등의 특징인 "정신병적 체험"이나 "인지 편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의 중복 또는 동반 이환을 보고한 여러 연구가 있다.[14][15][24][191][192][193] 아스퍼거 증후군은 전통적으로 "소아 분열성 장애"라고 불렸으며,[194][195][196] 오이겐 블로일러는 외부의 어떤 영향도 참을 수 없는 방해로 작용하는, 내적 환상으로의 철수를 설명하기 위해 "자폐증"과 "분열성"이라는 용어를 모두 만들었다.[197]
2012년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54명의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들 중 26%가 분열성 인격장애(SzPD) 진단 기준을 충족했으며, 이는 샘플 내 모든 성격 장애 중 가장 높은 동반 이환율을 보였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남성이 여성보다 SzPD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가 두 배 더 많았다. 전체 샘플의 41%가 직업 없이 실업 상태였지만, 아스퍼거와 SzPD 동반 이환 그룹에서는 62%로 증가했다.[14] 탠텀은 아스퍼거 증후군이 SzPD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24] 2019년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11세에서 25세 사이의 남성 그룹의 54%가 유의미한 SzPD 특징을 보였으며, 6%가 SzPD에 대한 완전한 진단 기준을 충족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0%였다.[15]
2012년 연구에서는 DSM이 SzPD 진단을 확정하기 전에 광범위성 발달 장애(PDD)의 배제를 요구함으로써 진단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연구는 SzPD 진단을 충족하는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손상, 상동 행동, 특정 관심사가 더 심각하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SzPD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기술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개념에 반하는 것이다.[14] 2019년 연구 저자들은 SzPD로 진단받은 성인의 과거 집단이 어린 시절 발병하는 자폐 증후군을 앓았거나 오진을 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가설을 세웠다. 그들은 특히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현재 인구의 약 1%에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두 증후군 간의 중복 및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강력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98]
무라사와(村澤)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에는 분열성 인격장애와 발달 장애와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DSM-5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증형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스기야마(杉山)(2007)는 "시조이드"라는 개념은 "전반적 발달 장애에 대한 일종의 오류가 아니었는가"라고 지적했다.
8. 1.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의 관련성
가토 사토시의 학술 논문에 따르면, 스티븐스와 프라이스는 진화정신 의학을 통해 조현병, 분열성 인격장애(SPD), 편집성 성격장애를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 장애는 '조현병 스펙트럼(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또는 '스페이싱 장애'(spacing disorder) 안에 포함된다. 나카가와 등의 논문에 따르면,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의 횡단적 연구에서, SAS(사회적 쾌락 상실 척도, Social Anhedonia Scale)에서 고득점인 사람은, 분열성 인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 장애 등의 특징인 "정신병적 체험"이나 "인지 편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8. 2.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의 관련성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의 중복 또는 동반 이환을 보고한 여러 연구가 있다.[14][15][24][191][192][193] 아스퍼거 증후군은 전통적으로 "소아 분열성 장애"라고 불렸으며,[194][195][196] 오이겐 블로일러는 외부의 어떤 영향도 참을 수 없는 방해로 작용하는, 내적 환상으로의 철수를 설명하기 위해 "자폐증"과 "분열성"이라는 용어를 모두 만들었다.[197]2012년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54명의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들 중 26%가 분열성 인격장애(SzPD) 진단 기준을 충족했으며, 이는 샘플 내 모든 성격 장애 중 가장 높은 동반 이환율을 보였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남성이 여성보다 SzPD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가 두 배 더 많았다. 전체 샘플의 41%가 직업 없이 실업 상태였지만, 아스퍼거와 SzPD 동반 이환 그룹에서는 62%로 증가했다.[14] 탠텀은 아스퍼거 증후군이 SzPD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24] 2019년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11세에서 25세 사이의 남성 그룹의 54%가 유의미한 SzPD 특징을 보였으며, 6%가 SzPD에 대한 완전한 진단 기준을 충족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0%였다.[15]
2012년 연구에서는 DSM이 SzPD 진단을 확정하기 전에 광범위성 발달 장애(PDD)의 배제를 요구함으로써 진단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연구는 SzPD 진단을 충족하는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손상, 상동 행동, 특정 관심사가 더 심각하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SzPD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기술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개념에 반하는 것이다.[14] 2019년 연구 저자들은 SzPD로 진단받은 성인의 과거 집단이 어린 시절 발병하는 자폐 증후군을 앓았거나 오진을 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가설을 세웠다. 그들은 특히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현재 인구의 약 1%에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두 증후군 간의 중복 및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강력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98]
무라사와(村澤)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에는 분열성 인격장애와 발달 장애와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DSM-5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증형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스기야마(杉山)(2007)는 "시조이드"라는 개념은 "전반적 발달 장애에 대한 일종의 오류가 아니었는가"라고 지적했다.
8. 3. 진단의 타당성 및 문화적 편견
DSM-III부터 회피성 성격장애가 분열성 성격장애의 변별 진단으로 분류되었으며, DSM-5 섹션III에서는 범주적 접근과 함께 보다 유연한 해석을 위한 차원적 접근을 시도한 하이브리드 모델(hybrid model)이 언급되었다.[29] 1920년대 에른스트 크레치머에 의해 개발된 분열성 성격의 원래 개념은 회피성 성격 장애, 분열형 성격 장애, 분열성 특성의 혼합을 포함했다. 1980년 테오도르 밀론의 연구를 통해 이 개념이 3가지 성격 장애(현재의 분열성, 분열형, 회피성)로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이러한 특성이 정확한지 또는 단일 성격 장애의 다른 표현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중복되는 특성으로 인해 진단의 일관성과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분열성 인격장애(SzPD)를 DSM에서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91] 2012년의 한 기사에서는 SzPD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는 두 가지 다른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동 제약 장애(분열형 성격 장애에 속함)와 은둔 장애(회피성 성격 장애에 속함)로, 개별적으로 분열성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차원 모델로 DSM의 향후 판에서 SzPD 범주를 대체할 것을 요구했다.[47]럿거스 대학교의 낸시 맥윌리엄스와 유럽 키프로스 대학교의 파나지오티스 파포타스와 같은 일부 비평가들은 SzPD의 정의가 문화적 편견으로 인해 결함이 있으며, 정신 질환이 아니라 단지 더 거리가 먼 정서적 친밀도를 필요로 하는 회피적 애착 스타일이라고 주장한다.[125][224] 이러한 개인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보이는 더 많은 문제적 반응은 이러한 스타일을 가진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판단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마찬가지로, 존 올드햄은 성격 장애의 차원적 모델을 사용하여, 분열성 성격 특징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완전한 성격 장애가 없다고 생각한다.[225] 손상은 어떤 행동이 성격 장애로 진단받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9. 예후
분열성 인격장애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나타나며, 이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대인 관계가 좋지 않고,[98][99] 사회 불안, 내적 환상, 이상한 행동, 과잉 행동을 보인다.[100][101] 이는 괴롭힘을 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린 시절에 주요 우울 장애를 겪는 경우가 흔하며,[47][102] 낮은 성취 수준, 저하된 삶의 질,[47][103] 나쁜 치료 결과와 관련이 있다.[104]
이 장애에 대한 치료는 연구가 부족하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신 요법이나 정신과 약물은 없다.[105][90] 전문가들은 이 장애와 환자를 오해하여 실패감을 강화하고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87] 임상의들은 환자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다고 걱정하는 경향이 있다.[106]
공존 질환이나 가족 또는 친구의 압력 없이 자발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107] 치료 과정에서 증상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치료를 통해 독립성을 잃는 것을 두려워할 수 있다. 치료사와 적절한 관계를 맺기 위한 노력을 피하고, 감정을 논의하는 것을 어려워할 수 있다.[59] 호전될 수는 있지만,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상당한 기쁨을 경험할 가능성은 낮다.[37]
10. 결론
참조
[1]
서적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World Health Organization
[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dsm.psychiat[...]
1968
[3]
논문
Measuring Behavioral Inhibition and Behavioral Activation in Older Adults: Construct Validity of the Dutch BIS/BAS Scales
https://lirias.kuleu[...]
2022-07
[4]
웹사이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
[5]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
서적
Broken Structures: Severe Personality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Incorporated
2000-01-01
[7]
논문
Dimensional representations of DSM-IV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Norwegian twins: a multivariate study
https://www.cambridg[...]
2006-11
[8]
논문
Psychosis
https://journals.lww[...]
2015
[9]
논문
The heritability of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assessed by both person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
https://www.cambridg[...]
2007-05
[10]
논문
Factors of schizoid personality
1989-02
[11]
논문
Behavioral signs of schizoidia and schizotypy in social anhedonics
2005-10
[12]
논문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Schizotypal, Schizoid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10-12
[13]
서적
Neurobiology of Mental Illnes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5-07-21
[14]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what are the connections?
https://www.scienced[...]
2012-05
[15]
논문
On the Continuity Between Autistic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Trait Burden: A Prospective Study in Adolescence
2020-02
[16]
논문
"I am not complaining"--ambivalence construct in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psychotherap[...]
2009-04-01
[17]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New Symptom-Focused Drug Therap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8]
웹사이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 Diagnosis and treatment – Mayo Clinic
https://www.mayoclin[...]
2022-09-30
[19]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guilfordjour[...]
2012-12
[20]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20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1]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2-19
[22]
논문
Personality disorder types proposed for DSM-5
https://www.research[...]
2011-04
[23]
논문
Dimensions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s and life-success
2007-12
[24]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electronic resource]
http://archive.org/d[...]
Hoboken : John Wiley & Sons
[25]
문서
Descriptions from DSM-III (1980) and DSM-5 (2013):"[Schizoid PD, Associated features (p. 310)]" and Schizoid PD (p. 652–655)].
https://books.google[...]
[26]
서적
Disorders of the Self – The Masterson Approach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6-17
[27]
논문
Beyond the mental pain: A case-control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to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2019-04
[28]
논문
Suicidality in Individuals with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or Traits: A Clinical Mini-Review of a Probably Underestimated Issue
https://www.psychiat[...]
2021
[29]
논문
The DSM-III Distinction between schizoid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s
1986-02
[30]
문서
Both types shared a detachment from the world but Schizoids also showed eccentricity and paradoxicality of emotional life and behavior, emotional coldness and dryness, unpredictability combined with lack of intuition and ambivalence (e.g., simultaneous presence of both stubbornness and submissiveness). Characteristic of Dreamers were tenderness and fragility, receptiveness to beauty, weak-willedness and listlessness, luxuriant imagination, dereism and usually an inflated self-concept. (From: Gannushkin, P.B (1933). Manifestations of psychopathies: statics, dynamics, systematic aspects.)
[31]
서적
Physique and Character
Routledge (International Library of Psychology, 1999)
[32]
문서
Eugen Bleuler – Textbook of Psychiatry
New York: Macmillan
[33]
서적
Psychoanalytic Studies of Personality
Routledge
1992
[34]
문서
Donald Winnicott (1965): The Matur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Studies in the Theory of Emotional Development. Karnac Books.
[3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www.turkpsiki[...]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6]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www.madinam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7]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9-24
[38]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III-R
http://archive.org/d[...]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39]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and States of Aloneness
Brill
2012-01-01
[40]
웹사이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cPD) – Psychiatric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22-09-24
[41]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and disability of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4-07
[42]
학위논문
A study of Hypnotherapy as a special treatment of dissociative, adjustment problems, Personality and Psychosomatic Disorders
https://core.ac.uk/d[...]
Saurashtra University
2009-04-09
[43]
논문
Cluster A maladaptive personality patterns in a non-clinical adolescent population
2013
[44]
논문
Gender bias in diagnostic criteria for personality disorders: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2007-02
[45]
논문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Schizotypal, Schizoid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10-12
[46]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2-19
[47]
논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ersonality disorder in Great Britain
2006-05
[48]
서적
Split self/split object: understanding and treating borderline, narcissistic, and schizoid disorders.
https://archive.org/[...]
Jason Aronson
[49]
논문
Maturity of ego defenses in relation to DSM-III axis II personality disorder
https://jamanetwork.[...]
1985-06
[50]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in homeless drop-in center clients
https://web.archive.[...]
2008-12
[51]
웹사이트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Jung's Personality Types and Psychological Disorder Features
http://www.uccs.edu/[...]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University of Colorado Colorado Springs
2013-08-10
[52]
논문
Common syndromes in child psychiatry: II. The schizoid child.
http://doi.apa.org/g[...]
1946
[53]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nd romantic adult attachment: a comparison of secure and insecure attached child molesters
2006-04
[54]
논문
A source, a cascade, a schizoid: a heuristic proposal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Personality Disorders
2010-11
[55]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the peculiarities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istential roles: Complex case
https://onlinelibrar[...]
2012
[56]
논문
The Black Hole: Exploring the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Dysfunction, and Deprivation with their Roots in the Prenatal and Perinatal Period
https://www.proquest[...]
2022-09-29
[57]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the peculiarities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istential roles: Complex case
https://onlinelibrar[...]
2012
[58]
논문
Commentary about social avoidance and its significanc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2021-03
[59]
학위논문
Treatment of schizoid personality: An analytic psychotherapy handbook
https://digitalcommo[...]
Pepperdine University
2013-12
[60]
논문
Psychotherapy of Schizoid Process
https://citeseerx.is[...]
2017-12-28
[61]
논문
Schizoid anxiety: a reappraisal of the manic defense and the depressive position
2001-01-01
[62]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 dimensional defense mechanism approach
2010
[63]
논문
Anatomy of regret: a developmental view of the depressive position and a critical turn toward love and creativity in the transforming schizoid personality
2004-03
[64]
서적
Trauma in Personality Disorder: A Clinician'S Handbook the Masterson Approach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03-31
[65]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linked to unbearable and inescapable loneliness
https://scielo.iscii[...]
2010
[66]
논문
Gender-related influences of parental alcoholism on the prevalence of psychiatric illnesses: analysis of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10-10
[67]
서적
Loners: The Life Path of Unusual Childre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5
[68]
서적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22
[69]
논문
The genetic epidemiology of personality disorders
2010
[70]
논문
Morbidity risk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the first 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a patients in Taiwan
2002-01-01
[71]
논문
Prediction of prodromal symptoms and schizophrenia-spectrum personality disorder traits by positive and negative schizotypy: A 3-year prospective study
2018-11-08
[72]
논문
Validity of the family history method for diagnosing schizophrenia, schizophrenia-related psychoses, and schizophrenia-spectrum personality disorders in 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a probands
2004-06
[73]
논문
Taxometric analyses of paranoid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s
2012-03
[74]
논문
A developmentally-stable pattern of premorbid schizoid-schizotypal features predicts psychotic transition from the clinical high-risk for psychosis state
2019-04
[75]
논문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is a separable schizophrenia-spectrum personality disorder even when controlling for the presence of paranoid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s The UCLA family study
2007-03
[76]
논문
Factor Analysis Demonstrates a Common Schizoidal Phenotype within Autistic and Schizotypal Tendency: Implications for Neuroscientific Studies
2014
[77]
논문
Structural alterations of the pyramidal pathway in schizoid and schizotypal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2016-12
[78]
웹사이트
Schizophrenia at adolesc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izophrenia self-reported symptoms and substance abuse,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nd migration history
https://dugi-doc.udg[...]
2013
[79]
논문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a Schizophrenia Diagnosis
2021
[80]
논문
Personality Traits and Disorders in Adolescents at Clinical High Risk for Psychosis: Toward a Clinically Meaningful Diagnosis
2020
[81]
논문
Pre-morbid characteristics and co-morbidity of methamphetamine users with and without psychosis
https://www.cambridg[...]
2003-11
[82]
논문
Social Disconnection in Schizophrenia and the General Community
2018-02
[83]
논문
Schizophrenia spectrum personality disorders in psychometrically identified schizotypes at two-year follow-up
2017-06
[84]
논문
Prenatal famine and adult health
2011
[85]
논문
Prenatal undernutri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 adulthood
2010-09
[86]
논문
Birth weight, schizophrenia, and adult mental disorder: is risk confined to the smallest babies?
http://archpsyc.ama-[...]
2010-09
[87]
간행물
An Overview of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atlantis[...]
Atlantis Press
2021-12-24
[88]
논문
Associations between body weight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2008-11
[89]
논문
Prediction of detached personality in healthy subjects by low dopamine transporter binding
2000-02
[90]
논문
Differential profile of three overlap psychiatric diagnoses using temperament and character mode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nd social anxiety disorder
https://www.anip.co.[...]
2022-01-01
[91]
논문
Relationship between 5-HT function and impulsivity and aggression in male offenders with personality disorders
2001-04
[92]
논문
Reward Processing, Neuroeconomics, and Psychopathology
2017-05
[93]
웹사이트
Head injuries can make children loners
https://news.byu.edu[...]
2022-10-02
[94]
논문
Developmental instability in social anhedonia: an examination of minor physical anomali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2010-05
[95]
논문
'Schizoid' personality in childhood and adult life. I: The vagaries of diagnostic labelling
1991-11
[96]
논문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s a Possible Blood Biomarker of Schizoid Personality Traits among Females
2022-01
[97]
논문
Neuropsychological findings in personality disorders: A.R. Luria's Approach.
http://psychologyinr[...]
2015-06-01
[98]
서적
Understanding Personality Disorders: An Introduct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01-30
[99]
논문
A unifying perspective on personality pathology across the life span: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for the fif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2009
[100]
학위논문
Positive reinforcement as a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rdw.rowan.ed[...]
Rowan University
2004-05-04
[101]
논문
Potential markers of aggressive behavior: the fear of other persons' laughter and its overlaps with mental disorders
2012-05-31
[102]
논문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disorders predicting adult personality disorder: a follow-up study
2003-01-01
[103]
논문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recent onset of psychosis patients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psychotic symptoms and clinical personality traits
2019-06
[104]
논문
Six months of treatment for depression: outcome and predictors of the course of illness
2006-01
[105]
논문
The prevalence of personality disorders, psychotic disorders and affective disorders amongst the patients seen by a community mental health team in London
https://doi.org/10.1[...]
2002-05
[106]
논문
Patient personality and therapist response: an empirical investigation
https://ajp.psychiat[...]
2014-01
[107]
논문
The role of personality disorder in 'difficult to reach' patients with depression: findings from the ODIN study
https://researchrepo[...]
2007-04
[108]
논문
An attachment perspective on psychopathology
2012-02
[109]
논문
Clinical assessment of attachment patterns and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and adults
2006-12
[110]
서적
Handbook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DSM-5 Personality Disorders: Assessment, Case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12
[111]
논문
Antisocial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cales: Conceptual bases and preliminary findings
http://www.rjap.psih[...]
West University of Timisoara Publishing Hous
2017-06-30
[112]
논문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Dimensional Clinical Personality Inventory –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cale
http://pepsic.bvsalu[...]
2020
[113]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factor personality measurements and ICD-10 personality disorder dimensions: results from a sample of 229 subjects
2000-09-01
[114]
서적
Mental Health Disorders in Adolescents
https://www.degruyt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12-22
[115]
논문
Social anhedonia as a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f schizophrenia-spectrum disorders
http://libres.uncg.e[...]
1998-11
[116]
논문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of schizotypy and the Five-factor model: a domain and facet level analysis
https://ecommons.uda[...]
Psychology Faculty Publications
2002-08
[117]
논문
Evidence for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Revised Social Anhedonia Scale From Social Anxiety
2016-10
[118]
서적
Disorders of the Self: New Therapeutic Horizons: The Masterson Approach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22-09-29
[119]
서적
The Wiley Encyclopedia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Wiley
2020-09-18
[120]
논문
Homicidal Ideation and Forensic Psychopathology: Evidence From the 2016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 Sample (NEDS)
2020-01
[121]
서적
Split self/split object: understanding and treating borderline, narcissistic, and schizoid disorders.
https://archive.org/[...]
Jason Aronson
[122]
논문
A study of Fairbairn's theory of schizoid reactions
1952-09
[123]
논문
Refining personality disorder diagnosis: integrating science and practice
https://ajp.psychiat[...]
2004-08
[124]
논문
Some thoughts about schizoid dynamics
2006-02
[125]
논문
A critique on the use of standard psychopathological classifications in understanding human distress: The example of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psycnet.apa.[...]
2022-09-26
[126]
논문
The distinction between needs and wishes: implications for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
1999
[127]
서적
The Family and Individual Development
Routledge
[128]
서적
Body structure and character. Studies on the constitution and theory of temperaments
https://books.google[...]
Ripol Classic
2013-03
[129]
논문
Schizoid Personality Traits Among the Homeless Mentally Ill: A 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port
2000-04
[130]
논문
Altruism and Reproductive Limitations
2009-04-01
[131]
논문
Sociodemographic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homicidal and nonhomicidal sexual offenders
2011-11
[132]
논문
Above and beyond Short-Term Mating, Long-Term Mating is Uniquely Tied to Human Personality
2013-12-01
[133]
논문
Schizoid
1953-09
[134]
논문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Brief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the DSM-5 level of Personality Functioning Scale: The LPFS Brief Form (LPFS-BF)
http://doi.apa.org/g[...]
2016-04
[135]
논문
Temperament, character and personality disorders as predictors of response to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for depression
2007-06
[136]
논문
Asexuality: a mixed-methods approach
https://doi.org/10.1[...]
2010-06
[137]
논문
Social anhedonia, but not positive schizotypy, is associated with poor affective control
2012-07
[138]
논문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https://doi.org/10.1[...]
2006-01-01
[139]
논문
Theory of Mind (ToM) Performance in High Functioning Autism (HFA) and Schizotypal-Schizoid Personality Disorders (SSPD) Patients
2019-08
[140]
논문
Assessing mentalization in psychotherapy: first validation of the Mentalization Imbalances Scale
2018-12
[141]
서적
The Divided Self: an Existential Study in Sanity and Madness
Penguin Books
[142]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7
[143]
논문
Preliminary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hypnotic susceptibility and personality disorder functioning styles in healthy volunteers and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2011-07
[144]
논문
Shut in or split up? A commentary on Dr. Nirestean and colleagues'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the peculiarities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istential roles': Shut in or split up?
https://onlinelibrar[...]
2012
[145]
논문
Engaging With the Schizoid Compromise: A Response to Erskine's "Relational Withdrawal, Attunement to Silence: Psychotherapy of the Schizoid Process"
http://integrative-j[...]
2021-03-12
[146]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 synthesis of developmental, dynamic, and descriptive features
1987-10
[147]
서적
Disorders of Affect Regulation: Alexithymia in Medical and Psychiatric Ill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8]
서적
Mixed Feelings
De Gruyter
2013-05-02
[149]
논문
Are alexithymia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ynonymous diagnoses?
2013-02
[150]
학위논문
An exploration of the trauma histories, dissociative experiences and psychopathic features of murderers
https://core.ac.uk/o[...]
Brunel University
[151]
논문
Reliability and cultural applicability of the Greek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Disorders Examination
2002-05
[152]
학위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s Maladaptive Variants of General Personality Traits: A Subclinical Approach
https://scholarworks[...]
Morehead State University
2004-06-04
[153]
논문
An Integrative Model and Dynamic Nosology of Personality Disorder: Part 2: Symptom-based pharmacotherapy
https://hrcak.srce.h[...]
2019-03
[154]
논문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considering the 'odd-eccentric' in psychiatric nursing
2007-02
[155]
서적
Criminal Trials and Mental Disorders
https://www.degruyt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9-02-05
[156]
논문
Fairbairn, Winnicott, and Guntrip on the social significance of schizoids
2021-04-29
[157]
서적
Restructuring Personality Disorders: A Short-Term Dynamic Approach
https://books.google[...]
The Guilford Press
[158]
서적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The Guilford Press
[159]
서적
Playing and Realit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60]
논문
Sensitivity, isolation, and loneliness in the treatment of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2021-12-01
[161]
논문
Peer-professional first person account: before psychosis--schizoid personality from the inside
https://academic.oup[...]
2014-05
[162]
논문
Compulsions and Personality Disorders: Homicides and Suicides: a Social Health Issue Based on Bioenergetic Analysis
https://bioenergetic[...]
2019-04-01
[163]
논문
Six subclinical spectrum traits in normal creativity
[164]
논문
Creativity and Ego Defense Mechanisms: Some Exploratory Empirical Evidence
[165]
논문
Creativity in Offspring of Schizophrenic and Control Parents: An Adoption Study
https://www.research[...]
[166]
서적
Очерки душевной патологии. И возможности ее коррекции соотносительно с духовным измерением бытия
https://books.google[...]
Litres
2017-09-05
[167]
논문
Suicidality in Individuals with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or Traits: A Clinical Mini-Review of a Probably Underestimated Issue
https://www.psychiat[...]
2021
[168]
논문
Personality and psychotic symptoms as predictors of self-harm and attempted suicide
2015-09
[169]
논문
Mental pain and its communication in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n "impossible situation"
2008-12
[170]
논문
Расстройства Личности у Пациентов, Совершивших Суицидальные Попытки
https://cyberleninka[...]
[171]
논문
Low body weight in mal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or Asperger's disorder
1997-07
[172]
논문
'Schizoid' personality and antisocial conduct: a retrospective case not study
1986-08
[173]
논문
Comorbidity in a clinical sample of substance abusers
2001-02
[174]
서적
Integrated Treatment for Co-Occurring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Addiction
Routledge
[175]
논문
Self-change and therapy change of smoking behavior: A comparison of processes of change in cessation and maintenance
https://dx.doi.org/1[...]
1982-01
[176]
논문
Disparities in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kclpure.kcl.[...]
2018-12
[177]
논문
Mood regulation, alexithymia,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female patients with opioid use disorders
2022-08-01
[178]
논문
Schizoid phenomena in substance abusers
2002-06-17
[179]
서적
Integrated Treatment for Co-Occurring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Addi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4-27
[180]
서적
Islamic Terror: Conscious and Unconscious Mo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181]
논문
Is Facebook creating "iDisorders"? The link between clinical symptoms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technology use, attitudes and anxiety
[182]
서적
Psychoana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83]
서적
The Privacy of the Self – Papers on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84]
서적
The Empty Core: An Object Relations Approach to Psychotherapy of the Schizoid Personality
https://books.google[...]
J. Aronson
[185]
논문
Review of pharmacologic treatment in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2016-03
[186]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ssociated with Full and Par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U.S. Population: Results from Wave 2 of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11-05
[187]
논문
The Co-Occurrence of Trauma Related Disorder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Q Study on a Clinical Sample of Patients Seeking Psychotherapy Treatment
https://www.scienced[...]
2021-01
[188]
논문
Comorbidity of personality disorders and unipolar major depression: A review
http://dx.doi.org/10[...]
1996-04
[189]
간행물
Panic Disorder and Personality Disorder Comorbidity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12-30
[190]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neurodevelopmental and psychosocial trajectories
2006-04-01
[191]
논문
Poor Validity of the DSM-IV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Construct as a Diagnostic Category
2015-06
[192]
논문
Association of schizophrenia spectrum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ymptoms in children with ASD and clinic controls
2013-04
[193]
논문
'Schizoid' personality in childhood and adult life. III: The childhood picture
https://www.cambridg[...]
1991-11
[194]
논문
Schizoid personality in childhood: a comparative study of schizoid, autistic and normal children
1979-01
[195]
서적
Asperger Syndrome
http://ndl.ethernet.[...]
The Guilford Press
2000-02-18
[196]
논문
The history of autism
https://link.springe[...]
Springer Publishing
2004-08
[197]
논문
Eugen Bleuler's concepts of psychopathology
2004-09
[198]
논문
Pronounced Overlap of Autistic and Schizoid Personality Trait Burden in Adolescence
https://insar.confex[...]
2019-05-03
[199]
논문
Effectiveness of clozapine and olanzapine: a comparison in severe, psychotically ill patients
2001-06
[200]
논문
Aripiprazole: effectiveness and safety under naturalistic conditions
2007-12
[201]
서적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
서적
Biological Psychiatry
John Wiley & Sons, Ltd
2002-07-30
[203]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New Symptom-Focused Drug Therap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4]
논문
Pharmaco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2003-10
[205]
서적
Psychiatric Drug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link.springe[...]
[206]
논문
Modafinil effects on cognition and emotion in schizophrenia and its neurochemical modulation in the brain
2013-01
[207]
서적
The Medical Basis of Psychiatry
Humana Press
2008
[208]
논문
A retrospective data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New York triplicate prescription program on benzodiazepine use in medicaid patients with chronic psychiatric and neurologic disorders
2004-02
[209]
논문
Effects of Aesthetic Chills on a Cardiac Signature of Emotionality
2015-06-17
[210]
논문
Integrat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gratitude therapy for treating somatic symptom disorder with schizoid-avoidant personality features: A case report
https://publication.[...]
2020-09-08
[211]
논문
Applying the unified protocol to a single case of major depression with schizoid and depressive personality traits
2018-11
[212]
논문
Increasing Psychosocial Health with Cognitive Therapy in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 Single Subject Design
https://www.athensjo[...]
2017-11-29
[213]
논문
Maybe It's Not "Kick Me" After All: Transactional Analysis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https://doi.org/10.1[...]
2000-01-01
[214]
논문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www.aafp.org[...]
2004-10
[215]
논문
Differential interventions in psychotherapy of borderline, narcissistic,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s: the Masterson approach
[216]
논문
How to play with patients who would rather remain remote
2005
[217]
논문
Schizoid Processes: Working with the Defenses of the Withdrawn Child Ego State
2001-01-01
[218]
논문
Relational Withdrawal, Attunement to Silence: Psychotherapy of the Schizoid Process
https://www.integrat[...]
2020-12-23
[219]
논문
Assimilation process in a psychotherapy with a client presenting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2010-05-26
[220]
논문
Commentary on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the peculiarities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istential roles' by Nirestean, et al.: Commentary
https://onlinelibrar[...]
2012
[221]
논문
Schizoid Fantasy: Refuge or Transitional Location?
2018
[222]
논문
Assessing progress in analysis interminable
[223]
논문
Patients with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in psychotherapy: an effectiveness study
https://www.karger.c[...]
2011
[224]
서적
Psychoanalytic Diagnosis: Understanding Personality Structure in the Clinical Process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11
[225]
뉴스
What Is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nd How Does It Affect Mental Health?
https://www.discover[...]
2023-11-26
[226]
서적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The Guilford Press
1990
[227]
서적
Understanding Anger Disord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7
[228]
웹사이트
Millon Theory – Retiring/Schizoid Personality
https://www.millonpe[...]
2022-09-29
[229]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 Synthesis of Developmental, Dynamic, and Descriptive Features
https://books.google[...]
2017-02-10
[230]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05-18
[231]
논문
Self-referential hypermentalization in schizotypy
2019-11
[232]
논문
Hypermentalizing as a marker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Italian adolescents: a cross-cultural replication of Sharp and colleagues' (2011) findings
2019-04
[233]
논문
Schizophrenia and autism as contrasting minds: neural evidence for the hypo-hyper-intentionality hypothesis
2015-01
[234]
논문
The investig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in adults
2013-11
[235]
서적
Changing Ideas in a Changing World
Karnac Books
2022-10-04
[236]
논문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A Synthesis of Developmental, Dynamic, and Descriptive Features
https://books.google[...]
2017-02-10
[237]
논문
Differentiation between schizoid and avoidant personalities: an empirical test
1989-11
[238]
서적
Patterns of Relating An Adult Attachment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39]
문서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統合失調質人格障害/分裂病質人格障害【旧】」『小児科用語集(第2版)』公益社団法人 日本小児科学会、2022年。
https://www.jpeds.or[...]
[240]
문서
ベンジャミン・J.サドック『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第2版』[[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2004年 p.867
[241]
서적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http://www.who.int/c[...]
"[[World Health Organization]]"
[242]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2
[243]
저널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Schizotypal, Schizoid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44]
저널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ersonality disorder in Great Britain
2006-05
[245]
문서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