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재생산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재생산율은 한 세대 동안의 출생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당 문서에서는 일본과 세계 각국의 순재생산율 추이를 다루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40년 이전부터 1970년대까지 1.0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0.61을 기록했다. 또한, 2021년 국제 연합 경제 사회국의 조사에 따르면 니제르가 2.937로 가장 높은 순재생산율을 보였으며, 한국은 0.425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경제학 - 고령화
고령화는 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유엔은 그 비율에 따라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며, 출산율 저하와 평균 수명 증가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인구경제학 -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는 국내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유입된 노동자로, 송출국의 경제적 어려움과 수용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숙련·비숙련 노동자 유형에 따라 경제적 영향과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 인문지리학 - 나라
국가는 주권, 영토, 정부, 외교적 능력을 갖춘 정치 실체이며, 몬테비데오 협약에 따라 국가의 요건을 갖추고 국기, 국가, 애국심 등의 상징을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인문지리학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 생식력 - 성교
성교는 생물학적 생식 과정의 한 형태로서, 암수의 생식기 접촉을 통해 정자가 난자를 수정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쾌락이나 애정 표현의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생식력 - 출생률
출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사회, 경제, 문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고,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순재생산율 |
---|
2. 일본의 순재생산율 추이
일본의 순재생산율은 1940년대 이전까지 1.3~1.6 수준을 유지했다. 제1차 베이비 붐 시기 (1947~1949년)에는 1.7 수준이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전반까지 1.0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0년에는 0.74, 2005년에는 0.61까지 감소했다. 최근에는 소폭 반등했으나, 2022년에는 0.61을 기록하며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7]
2. 1. 연도별 순재생산율 (일본)
연도 | 순재생산율 | 1930년을 |
---|---|---|
순재생산율 | ||
1925 | 1.65 | 108.2 |
1930 | 1.52 | 100.0 |
1940 | 1.43 | 94.2 |
1947 | 1.68 | 110.4 |
1948 | 1.75 | 114.9 |
1949 | 1.74 | 114.2 |
1950 | 1.50 | 98.6 |
1951 | 1.38 | 90.4 |
1952 | 1.29 | 84.5 |
1953 | 1.17 | 77.1 |
1954 | 1.09 | 71.4 |
1955 | 1.06 | 69.4 |
1956 | 0.99 | 65.3 |
1957 | 0.92 | 60.5 |
1958 | 0.96 | 62.9 |
1959 | 0.93 | 61.0 |
1960 | 0.92 | 60.4 |
1961 | 0.90 | 59.4 |
1962 | 0.91 | 60.0 |
1963 | 0.93 | 61.4 |
1964 | 0.96 | 63.0 |
1965 | 1.01 | 66.2 |
1966 | 0.73 | 48.3 |
1967 | 1.05 | 69.1 |
1968 | 1.00 | 65.8 |
1969 | 1.00 | 65.7 |
1970 | 1.00 | 66.0 |
1971 | 1.02 | 66.9 |
1972 | 1.01 | 66.6 |
1973 | 1.01 | 66.7 |
1974 | 0.97 | 63.8 |
1975 | 0.91 | 59.6 |
1976 | 0.88 | 57.9 |
1977 | 0.86 | 56.4 |
1978 | 0.86 | 56.2 |
1979 | 0.84 | 55.5 |
1980 | 0.83 | 54.8 |
1981 | 0.83 | 54.8 |
1982 | 0.85 | 55.8 |
1983 | 0.86 | 56.8 |
1984 | 0.87 | 57.2 |
1985 | 0.85 | 55.7 |
1986 | 0.83 | 54.3 |
1987 | 0.81 | 53.4 |
1988 | 0.80 | 52.3 |
1989 | 0.76 | 49.7 |
1990 | 0.74 | 48.8 |
1991 | 0.74 | 48.5 |
1992 | 0.72 | 47.4 |
1993 | 0.70 | 46.1 |
1994 | 0.72 | 47.4 |
1995 | 0.69 | 45.0 |
1996 | 0.69 | 45.1 |
1997 | 0.67 | 44.0 |
1998 | 0.67 | 43.8 |
1999 | 0.65 | 42.5 |
2000 | 0.65 | 43.0 |
2001 | 0.64 | 42.3 |
2002 | 0.64 | 41.8 |
2003 | 0.62 | 40.9 |
2004 | 0.62 | 40.9 |
2005 | 0.61 | 40.0 |
2006 | 0.64 | 41.8 |
2007 | 0.64 | 42.4 |
2008 | 0.66 | 43.4 |
2009 | 0.66 | 43.4 |
2010 | 0.67 | 44.0 |
2011 | 0.67 | 44.2 |
2012 | 0.68 | 44.7 |
2013 | 0.69 | 45.4 |
2014 | 0.69 | 45.1 |
2015 | 0.70 | 46.1 |
2016 | 0.70 | 45.7 |
2017 | 0.69 | 45.5 |
2018 | 0.69 | 45.0 |
2019 | 0.66 | 43.3 |
2020 | 0.64 | 42.3 |
국제 연합 경제 사회국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니제르의 순재생산율이 2.937로 가장 높았고, 홍콩이 0.358로 가장 낮았다.[9] 한국은 0.425로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상위권은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평균은 1.062였다.
3. 세계 순재생산율 순위
3. 1. 국가별 순재생산율 (2021년)
국가 및 영토 | 비율 |
---|---|
니제르 | 2.937 |
콩고민주공화국 | 2.619 |
소말리아 | 2.536 |
말리 | 2.508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2.453 |
차드 | 2.413 |
앙골라 | 2.349 |
부룬디 | 2.208 |
탄자니아 | 2.163 |
-- 마요트 | 2.161 |
우간다 | 2.093 |
베냉 | 2.087 |
모잠비크 | 2.063 |
아프가니스탄 | 2.062 |
감비아 | 2.044 |
세네갈 | 2.025 |
부르키나파소 | 2.014 |
수단 | 1.992 |
나이지리아 | 1.982 |
모리타니 | 1.977 |
카메룬 | 1.958 |
잠비아 | 1.947 |
코트디부아르 | 1.910 |
콩고 공화국 | 1.898 |
적도 기니 | 1.871 |
에티오피아 | 1.864 |
솔로몬 제도 | 1.851 |
사모아 | 1.839 |
토고 | 1.830 |
기니 | 1.817 |
말라위 | 1.810 |
상투메 프린시페 | 1.803 |
라이베리아 | 1.784 |
코모로 | 1.781 |
르완다 | 1.766 |
남수단 | 1.766 |
에리트레아 | 1.763 |
바누아투 | 1.734 |
기니비사우 | 1.733 |
마다가스카르 | 1.728 |
1.697 | |
예멘 | 1.690 |
시에라리온 | 1.689 |
팔레스타인 | 1.667 |
이라크 | 1.638 |
가봉 | 1.622 |
나우루 | 1.592 |
가나 | 1.581 |
짐바브웨 | 1.561 |
파키스탄 | 1.561 |
케냐 | 1.511 |
나미비아 | 1.506 |
통가 | 1.497 |
타지키스탄 | 1.490 |
키리바시 | 1.484 |
카자흐스탄 | 1.467 |
파푸아뉴기니 | 1.443 |
이스라엘 | 1.441 |
투발루 | 1.437 |
동티모르 | 1.429 |
키르기스스탄 | 1.422 |
이집트 | 1.387 |
알제리 | 1.368 |
몽골 | 1.356 |
요르단 | 1.351 |
우즈베키스탄 | 1.346 |
페로 제도 | 1.328 |
토켈라우 | 1.299 |
시리아 | 1.296 |
레소토 | 1.277 |
필리핀 | 1.273 |
에스와티니 | 1.267 |
보츠와나 | 1.265 |
미크로네시아 연방 | 1.265 |
오만 | 1.261 |
아이티 | 1.260 |
투르크메니스탄 | 1.232 |
마셜 제도 | 1.227 |
지부티 | 1.226 |
괌 | 1.215 |
볼리비아 | 1.210 |
파라과이 | 1.170 |
생마르탱 | 1.168 |
사우디아라비아 | 1.165 |
리비아 | 1.164 |
라오스 | 1.148 |
피지 | 1.145 |
과테말라 | 1.133 |
니우에 | 1.131 |
가이아나 | 1.126 |
세이셸 | 1.125 |
온두라스 | 1.120 |
수리남 | 1.119 |
니카라과 | 1.115 |
모로코 | 1.108 |
파나마 | 1.102 |
팔라우 | 1.101 |
레위니옹 | 1.099 |
캄보디아 | 1.09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088 |
아메리카 사모아 | 1.086 |
서사하라 | 1.078 |
쿡 제도 | 1.072 |
도미니카 공화국 | 1.069 |
세계 | 1.062 |
페루 | 1.047 |
베네수엘라 | 1.043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1.031 |
모나코 | 1.024 |
쿠웨이트 | 1.020 |
인도네시아 | 1.012 |
레바논 | 1.004 |
1.000 | |
북마리아나 제도 | 0.996 |
조지아 | 0.993 |
튀니지 | 0.990 |
미얀마 | 0.976 |
에콰도르 | 0.968 |
0.967 | |
그레나다 | 0.961 |
스리랑카 | 0.960 |
벨리즈 | 0.955 |
네팔 | 0.948 |
그린란드 | 0.940 |
0.935 | |
마르티니크 | 0.931 |
방글라데시 | 0.928 |
인도 | 0.927 |
카보베르데 | 0.914 |
튀르키예 | 0.910 |
아르헨티나 | 0.901 |
베트남 | 0.893 |
바레인 | 0.879 |
지브롤터 | 0.877 |
카타르 | 0.876 |
멕시코 | 0.874 |
프랑스 | 0.867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0.864 |
말레이시아 | 0.861 |
몰도바 | 0.860 |
엘살바도르 | 0.860 |
뉴질랜드 | 0.855 |
아일랜드 | 0.854 |
북한 | 0.849 |
루마니아 | 0.843 |
아이슬란드 | 0.838 |
브루나이 | 0.837 |
덴마크 | 0.830 |
체코 | 0.822 |
콜롬비아 | 0.820 |
몰디브 | 0.818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0.817 |
몬테네그로 | 0.812 |
에스토니아 | 0.808 |
스웨덴 | 0.806 |
이란 | 0.804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0.800 |
미국 | 0.798 |
네덜란드 | 0.794 |
퀴라소 | 0.794 |
네덜란드령 카리브 | 0.791 |
세인트헬레나 | 0.788 |
바베이도스 | 0.787 |
슬로베니아 | 0.783 |
브라질 | 0.783 |
리투아니아 | 0.782 |
트리니다드 토바고 | 0.777 |
오스트레일리아 | 0.772 |
앤티가 바부다 | 0.769 |
포클랜드 제도 | 0.769 |
도미니카 연방 | 0.768 |
벨기에 | 0.767 |
아제르바이잔 | 0.764 |
불가리아 | 0.760 |
헝가리 | 0.759 |
라트비아 | 0.758 |
신트마르턴 | 0.758 |
슬로바키아 | 0.755 |
영국 | 0.753 |
몬트세랫 | 0.753 |
-- 생피에르 미클롱 | 0.753 |
맨 섬 | 0.746 |
칠레 | 0.743 |
아르메니아 | 0.742 |
코스타리카 | 0.740 |
독일 | 0.739 |
세르비아 | 0.732 |
세인트키츠 네비스 | 0.732 |
#전환 | 0.728 |
노르웨이 | 0.725 |
스위스 | 0.724 |
벨라루스 | 0.716 |
우루과이 | 0.716 |
러시아 | 0.714 |
저지 섬 | 0.711 |
오스트리아 | 0.711 |
아랍에미리트 | 0.707 |
캐나다 | 0.706 |
폴란드 | 0.702 |
건지 섬 | 0.700 |
크로아티아 | 0.700 |
쿠바 | 0.687 |
리히텐슈타인 | 0.684 |
모리셔스 | 0.676 |
핀란드 | 0.673 |
세인트루시아 | 0.673 |
룩셈부르크 | 0.672 |
바하마 | 0.669 |
부탄 | 0.664 |
버뮤다 | 0.662 |
알바니아 | 0.659 |
그리스 | 0.659 |
포르투갈 | 0.659 |
북마케도니아 | 0.65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0.648 |
자메이카 | 0.648 |
키프로스 | 0.636 |
태국 | 0.635 |
일본 | 0.629 |
푸에르토리코 | 0.622 |
이탈리아 | 0.619 |
앵귈라 | 0.618 |
스페인 | 0.616 |
우크라이나 | 0.598 |
케이맨 제도 | 0.587 |
아루바 | 0.566 |
몰타 | 0.565 |
산마리노 | 0.544 |
중국 | 0.542 |
안도라 | 0.540 |
대만 | 0.533 |
마카오 | 0.521 |
싱가포르 | 0.495 |
-- 생바르텔레미 | 0.486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0.481 |
한국 | 0.425 |
홍콩 | 0.358 |
국제 연합 경제 사회국(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의 순재생산율 추정치 랭킹 (2021년 조사)[9]
4. 한국의 순재생산율과 사회적 과제 (별도 추가)
(이전 답변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결과물도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고, 수정 및 검토까지 완료하여 출력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Net Reproduction Rate (NRR)
http://www.planetwir[...]
2007-08-28
[2]
서적
The Methods and Materials of Demography
Emerald Group Publishing
2004
[3]
웹사이트
UNdata {{!}} record view {{!}} Net reproduction rate (surviving daughters per woman)
http://data.un.org/D[...]
2019-12-14
[4]
웹사이트
総再生産率/純再生産率 {{!}} 時事用語事典 {{!}}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ge[...]
2024-04-26
[5]
웹사이트
Glossary: Net Reproduction Rate (NRR)
http://www.planetwir[...]
2007-08-28
[6]
서적
The Methods and Materials of Demography
Emerald Group Publishing
2004
[7]
웹사이트
全国人口の再生産に関する主要指標:2022年
https://www.ipss.go.[...]
2024-04-27
[8]
웹사이트
女性の人口再生産に関する主要指標:1925~2020年
https://www.ipss.go.[...]
2024-04-26
[9]
간행물
UN WPP
2022
[10]
웹인용
순-재생산율
https://stdict.korea[...]
2021-08-31
[11]
웹인용
순재생산율
https://www.mk.co.kr[...]
2021-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