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이스라엘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이스라엘 분쟁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팔레스타인 문제, 강대국의 개입, 종교적 갈등 등으로 인해 복잡하게 전개된 일련의 분쟁을 의미한다.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의 대립이 근본 원인으로,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전쟁과 분쟁이 발생했다. 주요 전쟁으로는 수에즈 전쟁, 6일 전쟁,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전쟁 등이 있으며, 인티파다와 같은 팔레스타인 민중 봉기도 있었다. 이러한 분쟁은 팔레스타인 문제 심화, 아랍 국가들의 분열, 국제 정세 불안정,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다. 평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분쟁은 더욱 악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팔레스타인 - 베들레헴
    베들레헴은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에 위치한 도시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로 알려진 중요한 순례지이자 관광 도시이며, 고대 유다 왕국의 도시이자 다윗 왕의 고향으로 구약성서에 언급되고,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거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통치 아래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장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랍-이스라엘 분쟁 - 2003년 이라크 침공
    2003년 이라크 침공은 2003년 미국, 영국 등의 연합군이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 등을 명분으로 침공하여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지만, 이후 이라크는 혼란과 종파 분쟁에 휩싸인 사건이다.
  • 아랍-이스라엘 분쟁 - 밸푸어 선언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비유대인의 권리 침해 금지 단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 중동의 역사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 중동의 역사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아랍-이스라엘 분쟁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아랍-이스라엘 분쟁
로마자 표기Al-Sira'a Al'Arabi A'Israili (아랍어)
로마자 표기Ha'Sikhsukh Ha'Yisraeli-Aravi (히브리어)
주요 단계1948년 5월 15일 – 현재 (약 76년 5개월)
위치중동
상태진행 중, 부분적 관계 정상화
영토 변화1948년 이스라엘 및 전팔레스타인 보호령 수립
요르단강 서안 지구요르단 합병
전팔레스타인 정부 해산 (1953년) 및 가자 지구이집트 점령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 점령 (1967–1982)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및 이스라엘 민정청 형성 (1982)
오슬로 협정 및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구성 (1994)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 – 알 감르 지역 이양 (2019)
주요 당사국
교전국 1이스라엘
마할 자원 봉사자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영국 (수에즈 위기, 1956)
프랑스 (수에즈 위기, 1956)
자유 레바논 주 (1978–1984)
남레바논군 (1984–2000)
교전국 1 지원국미국 (니켈 글라스 작전, 1973–현재)
소련 (1948–1949)
체코슬로바키아 (1948–1949)
네덜란드 (욤 키푸르 전쟁, 1973)
포르투갈 (욤 키푸르 전쟁, 1973)
교전국 2아랍 연맹 (1948–1979)
이집트 (1948–1978)
요르단 (1948–1994)
레바논 (1948–1982)
이라크 (1948–1991)
시리아 (1948–현재)
사우디아라비아 (1948–1967)
예멘 왕국 (1948–1949)
전팔레스타인 (1948–1959)
성전군 (1947–1949)
팔레스타인 페다인 (1949–1964)
팔레스타인 해방기구(1964-현재)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1994-현재)
교전국 2 지원소련 (1955–1991)
쿠바 (1973)
교전국 2 추가 지원사우디아라비아 (욤 키푸르 전쟁)
알제리 (욤 키푸르 전쟁)
리비아 (욤 키푸르 전쟁)
쿠웨이트 (욤 키푸르 전쟁)
튀니지 (욤 키푸르 전쟁)
모로코 (욤 키푸르 전쟁)
무장 조직하마스 (1988–현재)
추가 지원국이란
시리아
에리트레아
북한
주요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다비드 벤구리온 (1948–1963)
이가엘 야딘 (1948–1952)
야코프 도리 (1948–1949)
이츠하크 라빈 (1948–1995)
아리엘 샤론 (1948–2005)
에후드 바락 (1948–2013)
모셰 다얀 (1948–1979)
사드 하다드 (1978–1984)
앙투안 라하드 (1984–2000)
교전국 2 지휘관파루크 1세 (1948–1965)
무함마드 나기브 (1948–1984)
가말 압델 나세르 (1948–1970)
안와르 사다트 (1948–1978)
아흐마드 알리 알-무아위 (1948–1979)
사드 엘 샤즐리 (1948–2011)
압둘라 1세 (1948–1951)
존 바고트 글럽 (1948–1956)
후세인 1세 (1953–1994)
하비스 알-마잘리 (1948–2001)
하페즈 알 아사드 (1948–2000)
하지 아민 알 후세이니 (1948–1974)
압드 알 카디르 알 후세이니
하산 살라마
파우지 알-카우크지 (1948–1977)
주요 전쟁 및 폭력 사태
20세기 주요 전쟁제1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
제3차 중동 전쟁
소모전
제4차 중동 전쟁
레바논 내전
21세기 주요 전쟁2006년 레바논 전쟁
2006년 가자 지구 침공
2008년-2009년 가자 지구 분쟁
2014년 가자 지구 침공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2023년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
홍해 위기
2024년 레바논 침공
2024년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사망자 및 부상자 수세부 사항은 § 사상자 참조
기타 정보
관련 평화 협정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1979)
이스라엘-레바논 평화 조약 시도(1983)
오슬로 협정(1993)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1994)
유엔 안보리 1701호 (이스라엘-레바논 휴전 조약) (2006)
이스라엘과 걸프 국가 간의 관계 개선 (2010년대)

2. 역사적 배경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팔레스타인 문제, 석유 자원을 둘러싼 강대국의 개입, 쿠르드족 문제, 이슬람교시아파수니파의 갈등 등으로 인해 중동 지역 분쟁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스라엘 건국에 반대하여 발생한 제1차 중동 전쟁 이후 총 4차례의 큰 전쟁이 있었지만, 모두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다. 이스라엘은 건국 당시보다 더 넓은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전쟁의 여파로 1970년대부터 세계는 이슬람계 테러 집단의 계속되는 테러를 겪게 되었으며, 전쟁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중동 지역은 여전히 불안정한 정세 속에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가 이스라엘을, 소련이 아랍 측을 지원하고 무기를 공급했기 때문에 중동 전쟁은 대리전의 측면도 포함한다. 하지만 이데올로기보다는 중동 지역의 이권과 무기 매매 등 경제적 동기가 더 중요했다. 초기 이스라엘에 지원과 무기를 공급했던 영국과 프랑스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석유 정책 등을 이유로 아랍 측으로 돌아섰고, 중국이란 혁명 이후의 이란이 무기 공급과 군사 지원에서 아랍 측에 개입하는 등 강대국과 주변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전쟁이기도 하다.

또한 양측 종교의 성지인 예루살렘, 헤브론 등의 귀속 문제와 관련된 종교 전쟁의 측면도 있다.

현재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은 사이가 매우 나쁘고 테러가 끊이지 않아, 이스라엘인은 친미적인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조차도 입국할 수 없으며, 수교한 이집트,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수단만 입국할 수 있다. 비이스라엘인도 여권에 이스라엘 입국 스탬프가 있기만 해도 아랍 국가에서 입국이 거부될 정도이며, 여행객은 이스라엘 입국 스탬프를 별도 서류에 찍어 입국 거부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스라엘 올림픽 위원회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와 아시아축구연맹에서 유럽 올림픽 위원회와 유럽축구연맹으로 이적했다.

2. 1. 민족주의의 대두

19세기 말부터 시온주의(유대 민족주의)와 아랍 민족주의가 대두하면서 팔레스타인 지역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특히,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프랑스의 위임 통치는 이러한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다.

오스만 제국 말기, 오스만 제국은 터키 민족 정체성을 강조하고 제국 내 터키인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아랍인들을 차별했다.[21] 이러한 상황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해방을 약속했고, 이는 아랍 민족주의가 광범위하게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랍 민족주의와 시온주의는 모두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시온주의 회의는 1897년 바젤에서, "아랍 클럽"은 1906년 파리에서 각각 설립되었다.

팔레스타인은 오랫동안 이슬람 국가의 지배를 받았지만,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이슬람교도, 유대교도, 그리스도교도는 비교적 공존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드레퓌스 사건 등의 영향으로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는 유대인의 수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면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 통치령이 되어 식민지화되었다(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2. 1. 1.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현대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뿌리는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사이의 긴장에 있다. 시온주의는 19세기 말 유럽에서 시작된 유대인 민족주의 운동으로,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반면 팔레스타인 민족주의는 시온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으며, 팔레스타인 지역에 아랍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대인들이 자신의 역사적 고향으로 여기는 영토는 범아랍 운동에서도 역사적으로 아랍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속한 것으로 간주된다.[21]

19세기 후반, 유럽과 중동의 유대인 공동체는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여 현지 오스만 지주들로부터 토지를 구입하기 시작했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인구는 대부분 무슬림 아랍인이었지만 유대인, 기독교인, 드루즈인, 사마리아인, 바하이교도 등도 상당한 소수 민족이었다. 당시 예루살렘은 성벽 안으로만 국한되어 인구는 수만 명에 불과했다. 키부츠로 알려진 집단 농장이 설립되었고, 현대 최초의 완전한 유대인 도시인 텔아비브가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아랍인들에게 독립 국가 수립을 약속하고, 발푸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에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했다. 이러한 영국의 이중적인 약속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씨앗이 되었다.[22]

1920년 팔레스타인 폭동을 시작으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유대인 이민의 증가와 영국의 정책에 반발하여 폭력적인 저항을 시작했다. 윈스턴 처칠의 1922년 백서는 아랍인들을 안심시키려 했지만, 갈등은 계속되었다.[23]

1937년 영국 왕립 조사단은 팔레스타인을 아랍과 유대인으로 분할하는 계획을 제안했지만, 아랍 측의 거부로 무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 독일의 반유대 정책으로 시온주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졌고, 유대인 이민이 급증하면서 아랍인과의 마찰은 더욱 심해졌다.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를 채택하여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와 유대인 국가로 분할하고, 예루살렘을 국제 관리 지역으로 설정했다. 유대인 측은 이 결의를 수용했지만, 아랍 측은 거부했고, 이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제1차 중동 전쟁으로 이어졌다.

2. 1. 2. 영국의 위임 통치와 이중 약속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위임 통치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아랍인과 유대인 모두에게 독립 국가 건설을 약속하는 이중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176]

1915년 10월, 영국은 후세인 빈 알리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맺어 중동 지역 아랍인의 독립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1917년 11월에는 영국 외무장관 아서 밸푸어밸푸어 선언을 발표하여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 건설에 찬성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러한 영국의 이중 약속은 사이क्स-피코 협정과 함께 전후 양측의 불만을 증폭시켜 중동 전쟁의 큰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76]

2. 2. 종교적 갈등

예루살렘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 모두에게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다. 이러한 종교적 중요성은 예루살렘의 지배권을 둘러싼 갈등을 더욱 격화시켰다. 특히 제1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은 예루살렘 서쪽 신시가지만 확보했고, 통곡의 벽을 포함한 구시가지는 이슬람교 국가인 트란스요르단에 넘어가 유대교도들은 성지 출입이 불가능해졌다.[35] 이는 이스라엘에게 불만으로 남았으며, 아랍 측 역시 이스라엘 건국 자체를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종교적 갈등은 계속되었다.

2. 3. 강대국의 개입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은 각각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을 지원하면서 중동 전쟁을 대리전 양상으로 만들었다.[37] 이는 전쟁의 규모와 지속 기간을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러나 이데올로기보다는 중동 지역의 이권과 무기 매매 등 경제적 동기가 더 중요했다.

초기 이스라엘에 지원과 무기를 공급했던 영국과 프랑스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석유 정책 등을 이유로 아랍 측으로 돌아섰고, 중국이란 혁명 이후의 이란이 무기 공급과 군사 지원에서 아랍 측에 개입하는 등 강대국과 주변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전쟁이기도 하다.

2. 4.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 (194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반유대 정책으로 시오니즘 운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전쟁 중과 전쟁 후 발생한 유대인 난민 상당수가 ‘약속의 땅’ 팔레스타인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유대인 이주가 급증하여 아랍인과의 마찰이 점점 심해졌다. 1947년 2월 7일, 양측의 무력 충돌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사태 수습이 어렵다고 판단한 영국은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를 종료할 의향을 표명했다.

영국은 1947년 4월 2일 유엔에 팔레스타인 문제를 제소했다. 유엔은 1947년 11월에 팔레스타인을 분할하여 아랍과 유대인의 두 국가를 건설하는 결의(팔레스타인 분할 결의)를 채택했고, 영국의 위임 통치가 종료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 분할안은 1937년 영국 왕립 조사단 안보다 훨씬 유대인에게 유리했으며, 유대인 국가는 팔레스타인의 56%, 아랍 국가는 팔레스타인의 43%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대인 국가는 하이파텔아비브 등의 대도시와 그 사이의 비옥한 평야를 얻었지만, 그 외의 토지는 대부분 네게브 사막이었다. 유대인 측 영토가 더 큰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계속 유입되는 유대인 난민을 수용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었다. 또한 유대 국가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유대인이 55%, 아랍인이 45%로 유대인이 약간 우세한 상태였지만, 아랍 국가로 지정된 지역에는 유대인이 거의 없었고, 유대인 1% 대 아랍인 인구 99%를 차지했다. 또한 예루살렘베들레헴을 중심으로 한 국토 중앙부의 작은 지역(팔레스타인 총면적의 1%)은 유엔 관리 지역으로 중립 지역이 될 예정이었다.

1947년 분할 계획과 1949년 휴전 협정의 경계를 비교한 지도


유대인 측 대부분은 이 결의를 환영하고 수용을 표명했지만, 아랍인 측은 이 유엔 결의를 불합리한 것으로 반발하여 대부분의 조직이 수용 반대를 표명했다. 이 결의안은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양 민족의 대립을 더욱 결정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이후 유대인과 아랍인 양측 사이에서 무력 충돌(폭동·테러·민병 간의 전투)이 빈번해졌다. 영국의 위임 통치 정부는 더 이상 무력해졌고, 팔레스타인은 사실상 내전 상태가 되었다.

1948년 5월 14일, 영국의 팔레스타인 통치 종료일에 유대인은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했다(이스라엘 독립 선언). 그러나 다음 날 분할에 반대하는 주변 아랍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에 침공하여 제1차 중동 전쟁이 발발하고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다.

3. 주요 전쟁 및 분쟁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중동 지역은 복잡한 분쟁에 휩싸였다. 팔레스타인 문제, 석유 자원을 둘러싼 강대국 개입, 쿠르드족 문제, 이슬람교 내 종파 갈등 등이 얽혀 있었다. 특히 중동 전쟁은 이스라엘 건국을 계기로 발발하여 네 차례의 큰 전쟁으로 이어졌지만, 모두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다. 이스라엘은 건국 당시보다 더 넓은 영토를 확보했지만, 이슬람계 테러 집단의 지속적인 테러와 불안정한 정세는 여전히 중동 지역을 위협하고 있다.

주요 전쟁 및 분쟁은 다음과 같다:

시기명칭이스라엘 사망자아랍 사망자비고
1948년–1949년제1차 아랍-이스라엘 전쟁6,37310,000[158]이스라엘 승리, 독립 확정
1951년–1955년팔레스타인 페다예인 봉기9673,000–5,000[159]이스라엘 승리
1956년수에즈 전쟁2312,000[160]이스라엘 군사적 승리, 이집트 정치적 승리
이스라엘의 시나이 반도 점령 (1957년 3월까지)
1967년6일 전쟁77612,000[161]–13,000[162]이스라엘 승리
이스라엘은 이집트로부터 가자 지구와 시나이 반도를, 요르단으로부터 요르단 강 서안 지구를, 시리아로부터 골란 고원을 점령 및 점유
1967년–1970년마모 전쟁1,4242,500[163]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 시나이 반도에 대한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통제
1968년–1982년레바논 남부 팔레스타인 봉기이스라엘 승리
1973년욤 키푸르 전쟁2,68811,000[164]–13,000[165]이스라엘 승리, 아랍 공세 격퇴
캠프 데이비드 협정 이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이스라엘은 상호 인정과 맞바꿔 시나이 반도 반환
1978년레바논 제1차 이스라엘 침공181,100이스라엘 승리, PLO 레바논 남부에서 추방
1982년레바논 제2차 이스라엘 침공1,21619,085[166]이스라엘 전술적 승리이나 전략적 실패
시리아의 정치적 이점
PLO 레바논에서 추방
1982년–2000년레바논 남부 분쟁5591,897헤즈볼라 승리
이스라엘의 레바논 남부 철수
헤즈볼라 병사 1,276명과 친이스라엘 레바논 남부군 병사 621명 사망
1987년–1993년제1차 팔레스타인 인티파다2001,491[167]이스라엘 승리, 봉기 진압
1991년이라크의 이스라엘 로켓 공격130이라크 전략적 실패, 이스라엘의 보복 실패
2000년–2008년제2차 인티파다1,1004,973[168]이스라엘 승리, 봉기 진압
2006년2006년 레바논 전쟁165[169]1,191[169]결론 없음,
이스라엘 민간인 44명, 이스라엘 군인 121명, 헤즈볼라 및 기타 여러 민병대 281명, 레바논 군인 43명, 레바논 민간인 867명 사망
2014년2014년 가자 전쟁73[170]2,251[170]결론 없음
2023년–현재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10월 기준)
1,770
36,000[171]–43,000[172]진행 중
2023년–2024년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1004,000[173]휴전


  • 제1차 중동 전쟁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전쟁): 이스라엘 건국과 팔레스타인 문제로 인해 발발했다. 이스라엘이 승리하고 독립을 확정지었다.
  • 제2차 중동 전쟁 (1956년, 수에즈 위기): 이집트수에즈 운하 국유화 선언으로 발발했다.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미국소련의 압력으로 철수했다.
  • 제3차 중동 전쟁 (1967년, 6일 전쟁): 이스라엘이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을 선제 공격하여 승리했다.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시나이 반도, 골란 고원을 점령했다.
  • 제4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발발했다. 초기에는 아랍 연합군이 우세했으나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이 반격하여 승리했다.
  • 레바논 전쟁 (1982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축출하기 위해 레바논을 침공했다.
  • 인티파다 (1987년, 2000년):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 지배에 대한 팔레스타인 민중 봉기이다.
  • 걸프 전쟁 (1991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으로 발발했다. 이스라엘은 직접 참전하지 않았으나 이라크로부터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현재):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이다.

3. 1. 제1차 중동 전쟁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전쟁)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이로 인한 팔레스타인 문제로 인해 아랍 연합군과 이스라엘 간에 1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1948년 5월 16일 이집트 전투기들이 이스라엘을 폭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고,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 5개국 아랍 군이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이스라엘 민간인들은 부족한 무기로 맞서 싸웠고, 20일 넘게 이어진 전투 끝에 예루살렘텔아비브를 지켜냈다. 1948년 6월 11일 스웨덴의 중재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다.[49]

휴전 기간 동안 미국의 지원으로 현대적인 전투 군대로 성장한 이스라엘군은 모셰 다얀 장군의 지휘 아래 이집트 카이로, 요르단 암만, 시리아 다마스쿠스를 폭격하여 승리했다. 1949년 2월 평화 조약 조인으로 제1차 중동 전쟁은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으며, 이 전쟁은 '''이스라엘 독립 전쟁'''이라고도 불린다.[49]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하면서, 휴전선 반대편에 있던 아랍인들은 이스라엘 지역의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있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추방되었다. 오늘날 팔레스타인 난민들은 그 당시 떠난 사람들의 후손이며, 이들의 탈출에 대한 책임 문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거리이다.[49][50] 역사학자 베니 모리스(Benny Morris)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정착지를 버린 주된 이유가 유대인 군대의 행동(추방, 군사 공격, 전투 공포, 인근 정착지 함락, 도피 선동 등)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랍 지도부의 명령으로 인한 버림은 분석 대상 392개 정착지 중 6곳에 불과했다고 한다.[50]

3. 2. 제2차 중동 전쟁 (1956년, 수에즈 위기)

1952년 7월 이집트에서 가말 압델 나세르가 쿠데타를 일으켜 국왕을 쫓아내고 대통령이 되었다. 나세르는 소련과 친선 관계를 유지했고, 미국영국아스완 댐 건설 지원 요청을 거절하자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선언하며 수에즈 운하를 점령했다. 이에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반발하여 이집트를 공격하면서 전쟁이 일어났다.[177]

이 전쟁은 자칫 세계 대전으로 번질 위험이 있었고, 미국소련의 압력과 유엔 총회의 철수 요구로 삼국 군대는 결국 철수했다. 이 사건은 아랍권에서 "삼국 침략"이라고도 불린다.[186][187][188]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56년 7월 19일: 미국, 이집트의 아스완 하이댐 건설 지원 중단 통보.
  • 1956년 7월 26일: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 수에즈 운하 국유화 발표.[177]
  •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 시나이 반도 침공.
  • 1956년 10월 31일: 영국과 프랑스군, 이집트 공습.
  • 1956년 11월 2일: 유엔 긴급 총회, 즉각적인 휴전과 철수 요구 결의 997 채택.
  • 1956년 11월 5일: 이스라엘군, 시나이 반도 점령. 영국군과 프랑스군 공수부대, 포트사이드 강하.
  • 1956년 11월 6일: 영국과 프랑스 정부, 휴전 결정.
  • 1956년 11월 7일: 휴전 발효.[188]


이집트는 군사적으로 열세였지만, 시리아군이 석유 파이프라인을 폭파하고, 이집트는 폐선을 수에즈 운하에 침몰시키는 등 전장 외에서도 저항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영국, 프랑스와 단교하고 석유 적재를 금지했다.[185]

3. 3. 제3차 중동 전쟁 (1967년, 6일 전쟁)

'''6일 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제3차 중동 전쟁은 1967년 6월 5일 이스라엘이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을 선제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은 이 전쟁에서 압승을 거두어 요르단요르단강 서안 지구, 이집트 (아랍 연합 공화국)의 가자 지구와 시나이 반도(Israeli occupation of the Sinai Peninsula|시나이 반도 점령영어), 시리아의 골란 고원을 점령했다.[192]

이스라엘 공군은 개전 170분 만에 이집트 전투기 300대를 파괴했고, 6월 6일에는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전투기 416대를 파괴하여 아랍 측 공군력을 괴멸시켰다.[192] 제공권을 장악한 이스라엘군은 4일 만에 시나이 반도를 점령하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골란 고원을 공략했다.

국제 연합 안전보장 이사회는 6월 6일 즉시 정전을 결의했고, 6월 9일 양측의 수락으로 정전이 이루어졌다. 같은 해 11월, 안전보장이사회는 중동 분쟁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결의 242호를 채택했다.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영토를 크게 확장했지만, 유엔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국제적으로 인정된 이스라엘 영토는 건국 당시의 영역으로 제한되었다. 일본 지도에서 골란 고원이 시리아 영토로 표시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예루살렘 전체를 영토로 확보했지만, 이 역시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분쟁의 씨앗이 되었다.

아랍 측은 완패했고, 제1차 중동 전쟁에서 확보했던 팔레스타인의 잔존 지역마저 잃었다. 나세르의 위신은 크게 실추되었고, 아랍 측의 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 수에즈 운하는 최전선이 되어 통행이 불가능해졌고,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에즈 운하는 제4차 중동 전쟁 이후 1975년까지 8년간 폐쇄되었다.

아랍 연맹은 이스라엘에 대해 "평화를 맺지 않고, 협상하지 않고, 승인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내세웠다.[192] 이스라엘의 점령으로 인해 제1차 중동 전쟁을 웃도는 수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다.

3. 4. 제4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

1973년 10월 6일, 이스라엘의 종교 축일인 욤키푸르(사죄의 날)에 이집트가 기습적으로 선제공격을 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177] 많은 이스라엘 병사들이 휴가를 떠난 상황에서, 이집트는 75만 명의 병력과 3,200대의 탱크, 소련제 미사일(SA-6) 등 막강한 화력을 동원하여 공격했다.[177] 반면 이스라엘의 병력과 무기는 이집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개전 48시간 만에 17개 여단이 전멸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77] 시리아 역시 소련제 무기를 앞세워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초기에는 이집트와 시리아가 승리하는 듯했으나, 미국이 이스라엘에 대대적인 군사 지원을 제공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177] 이 전쟁에 소련은 35억달러를 아랍 국가들에, 미국은 22억달러를 이스라엘에 지원했다.[177] 미국은 30일간 포위된 이스라엘에 군수물자를 보급하기 위해 5,566번의 비행 수송 작전을 펼쳤다.[177]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은 반격에 나서 시리아의 골란고원을 집중 공격하여 시리아군 탱크 867대와 차량 3,000대 이상을 파괴했다.[177] 이 전쟁은 욤키푸르에 발발했기 때문에 욤키푸르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3. 5. 레바논 전쟁 (1982년)

1970년, 내전 이후 후세인 국왕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요르단에서 추방했다.[74] PLO는 레바논에 재정착하여 이스라엘을 겨냥한 공격을 감행했고, 이는 레바논 내전 발발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78년 이스라엘은 리타니 작전을 개시하여 PLO를 리타니 강 북쪽으로 후퇴시켰다. 1981년 이스라엘과 PLO 간의 또 다른 충돌은 휴전 협정으로 끝났지만, 분쟁의 핵심 문제는 해결되지 못했다. 1982년 6월, 이스라엘은 레바논을 침공하여 레바논 정부의 기독교 세력과 동맹을 맺었고, 두 달 만에 PLO는 철수에 동의했다.[75]

1983년 3월 이스라엘과 레바논은 정상화 협정을 체결했지만, 시리아의 압력으로 1984년 3월 무효화되었다. 1985년까지 이스라엘군은 레바논 남부 15km 너비의 지역으로 철수했고, 이후 분쟁은 규모가 축소되었다. 1993년과 1996년 이스라엘은 헤즈볼라에 대해 대규모 작전을 개시했다. 2000년 5월, 에후드 바락 정부는 레바논 남부에서 철수하도록 승인했고, 레바논 남부군의 붕괴로 이어졌다.

3. 6. 인티파다 (1987년, 2000년)

1987년 12월, 제1차 인티파다가 시작되었다. 제1차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 지배에 대한 대규모 팔레스타인 민중 봉기였다.[76] 반란은 자발리아 난민촌에서 시작되어 곧 가자 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행동은 시민 불복종에서 폭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총파업, 이스라엘 제품 불매 운동, 낙서, 바리케이드 외에도, 젊은이들이 이스라엘 방위군을 향해 돌을 던지는 팔레스타인 시위는 인티파다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실탄 사용, 구타, 대량 체포 등 이스라엘군의 강경 진압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그때까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인민의 지도자로 인정한 적이 없었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는 이듬해 이스라엘을 인정하고 테러를 포기한 후 평화 협상에 초청받았다.

3. 7. 걸프 전쟁 (1991년)

الحرب على الخليجar

1990년 8월 2일 이라크쿠웨이트 침공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했다. 이스라엘은 이 전쟁에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으나, 이라크로부터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177]

3. 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3-현재)

الثانيةar 인티파다(알-아크사 인티파다)로 인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관계와 정책을 재고해야 했다. 일련의 자살 폭탄 테러와 공격이 이어지자,[78] 이스라엘군은 2002년 3월에 방어막 작전을 개시했는데, 이는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수행한 최대 규모의 군사 작전이었다.[78]

이스라엘군과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 간의 유혈 사태가 심화됨에 따라, 이스라엘은 A 지역의 많은 토지를 재점령하여 서안 지구 주변의 안보 체제를 확대했다. 이스라엘은 폭력을 억제하고 이스라엘 정착촌을 보호하기 위해 주요 팔레스타인 지역 주변에 복잡한 검문소 체계를 구축했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팔레스타인 보안군에 권한을 점차 이양해 왔다.[79][80][81]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아리엘 샤론은 2003년 가자 지구 철수 정책을 시작했다. 이 정책은 2005년 8월에 완전히 시행되었다.[82] 샤론의 가자 지구 철수 발표는 좌파와 우파 모두 그의 비판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1년 전만 해도 그는 가자 지구에서 가장 외딴 정착지인 네차라림과 크파르 다롬의 운명이 텔아비브와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83] 2004년 2월 가자 지구 정착지 17곳과 서안 지구 정착지 4곳을 철수한다는 공식 발표는 1968년 이후 정착민 운동의 첫 번째 역전을 의미하며, 샤론의 당을 분열시켰다. 이는 에후드 올메르트 통상산업장관과 치피 리브니 이민흡수부 장관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지만, 실반 샬롬 외무장관과 베냐민 네타냐후 재무장관은 강력하게 비난했다. 또한 당시 이것이 단순히 추가 철수의 시작일 뿐인지 여부는 불확실했다.[84]

4. 중동 평화 협상

제4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본격적인 무력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평화 협정을 맺으면서 아랍 연대가 약화되었고,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아랍 국가들의 관심이 이란으로 쏠렸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적대 세력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등 비정부 운동 조직으로 이동했고, 전쟁의 형태는 정규군 간의 전투에서 게릴라 및 테러 전쟁으로 변화했다.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은 아랍 측에서 "제5차 중동 전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205] 이스라엘은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까지 침공했지만, 친이스라엘 정권 수립에는 실패하고 소모전 끝에 철군했다. 다만 레바논 남부 주둔은 2000년까지 이어졌다.

1987년 제1차 인티파다가 발생하여 이스라엘 점령 지역과 난민 캠프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군과 무력 충돌을 벌였다.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1991년 걸프 전쟁으로 아랍 국가들은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에 참여하여 아랍끼리 대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PLO는 이라크를 지지하여 아랍 국가들로부터 지원이 중단되기도 했다.

4. 1. 캠프 데이비드 협정 (1978년)

1978년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이집트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으로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했고,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했다. 이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최초의 평화 협정이었다. 이 조약에 따라 시나이 반도는 이집트로 반환되었고, 가자 지구는 이스라엘의 통제하에 남아 향후 팔레스타인 국가에 포함될 예정이었다. 이 협정은 또한 이스라엘 선박의 수에즈 운하 자유 통항과 티란 해협과 아카바 만을 국제 수로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96]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반이스라엘 노선을 전환하여 이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한때 아랍의 맹주를 자처하며 중동 전쟁을 주도했던 이집트의 이탈은 아랍의 연대를 무너뜨렸다. 이집트는 아랍 연맹에서 추방되었고, 1990년까지 복귀하지 못했다. 사다트는 이스라엘 총리 메나헴 베긴과 함께 1978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1981년 이슬람 부흥주의자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4. 2. 오슬로 협정 (1993년, 1995년)

제공된 출력물에는 "오슬로 협정 (1993년, 1995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어진 `source` 텍스트는 2006년 이후의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며, 오슬로 협정은 1993년과 1995년에 체결되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source` 텍스트에는 오슬로 협정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또한, 출력물에 포함된 다음 요소들은 제거되어야 합니다:

  • ``: 이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 ``: 이 템플릿은 문서 내용과 관련이 없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 ``, ``, ``: 이러한 태그들은 위키백과 내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태그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 ``: 이 템플릿은 제거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주어진 `source`로는 "오슬로 협정" 섹션을 작성할 수 없으며, 출력물에 포함된 불필요한 요소들은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빈 출력 결과를 반환합니다.

5. 중동 전쟁의 영향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팔레스타인 문제, 석유 자원을 둘러싼 강대국의 개입, 쿠르드족 문제, 이슬람교 내 시아파수니파의 갈등 등으로 인해 중동 지역 분쟁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그 중 중동 전쟁은 이스라엘 건국이 원인이 되어, 이스라엘 건국을 막으려던 1차 중동 전쟁 이후 모두 4차례의 큰 전쟁을 치렀으나, 번번이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다. 이스라엘은 건국 당시보다 더 확장된 영토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전쟁의 여파로 1970년대부터 세계는 이슬람계 테러 집단의 계속되는 테러를 겪게 되었으며, 전쟁이 끝났어도 평화는 정착되지 않아 아직도 중동은 불안한 정세 속에 있다.

이스라엘의 시리아 내전 개입은 2017년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던 미사일 공격에 국한되었다.[143][144] 이스라엘은 시리아 내 이란의 존재에 반대하며, 시리아 전쟁 희생자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 2016년 6월 이스라엘군이 ''굿 네이버 작전''을 시작하면서 인도적 지원은 급격히 증가했다. 헤즈볼라와 같은 이란의 대리 세력은 시리아와 레바논 국경의 이스라엘군 진지에 대한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의심되며, 이스라엘은 이러한 조직에 무기를 수송하는 차량에 대한 공습을 수행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2017년 12월 9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한다고 발표하여 다른 세계 지도자들의 비난과 2018년 가자 지구 국경 시위를 촉발했다. 새로운 미국 대사관은 2018년 5월 14일 예루살렘에 문을 열었다.

중동 전쟁은 미국, 영국, 프랑스가 이스라엘에, 소련이 아랍 측에 지원과 무기를 공급했기 때문에 냉전 시기 강대국들의 대리전 양상으로 번지면서 국제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174] 하지만 이데올로기보다 중동 지역의 이권과 무기 매매 등 경제적 동기가 더 중요했다. 초기 이스라엘에 지원과 무기 공급을 했던 영국과 프랑스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석유 정책 등을 이유로 아랍 측으로 돌아섰고, 중국이란 혁명 이후의 이란이 무기 공급과 군사 지원에서 아랍 측에 개입하는 등 강대국과 주변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혔다.

또한 양측 종교의 성지인 예루살렘, 헤브론 등의 귀속 문제와 관련된 종교 전쟁의 측면도 있다. 지금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은 사이가 매우 나빠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전략적 예측 그룹(Strategic Foresight Group)의 보고서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중동 지역 갈등으로 인한 기회비용은 12조달러로 추산된다. 이스라엘의 기회비용은 거의 1조달러이며,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약 2.2조달러와 4.5조달러이다. 만약 1991년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연맹 국가들 사이에 평화와 협력이 있었다면, 2010년 평균 이스라엘 시민의 소득은 2만 3천 달러가 아닌 4만 4천 달러가 넘었을 것이다.[174]

5. 1. 팔레스타인 문제의 심화

1967년 6월 5일, 이스라엘이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의 공군 기지를 선제 공격하면서 제3차 중동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6일 만에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기에 '''6일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이스라엘은 요르단요르단강 서안 지구, 이집트 (아랍 연합 공화국)의 가자 지구와 시나이 반도, 시리아의 골란 고원을 점령했다.

이 전쟁으로 아랍 측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영토를 모두 잃었고, 제1차 중동 전쟁을 웃도는 수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다.

5. 2. 아랍 국가들의 분열

4차례의 전쟁을 거치면서 중동 각국은 우선 아랍 연맹을 결성하고 이스라엘에 대한 대항 자세를 보이는 데는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이스라엘과 서방에 대항하기 위해 소련과의 관계를 강화하거나,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이 제창한 범아랍주의에 기초하여 각국이 합병이나 연합을 시도했지만, 산유국과 비산유국의 이해관계는 항상 충돌했고, 모두 실패했다.

'''연합한 국가와 기간'''

국가명칭기간비고
이집트·시리아아랍 연합 공화국1958년~1961년시리아 탈퇴
이라크·요르단아랍 연방1958년 5월~8월7월에 이라크 혁명이 일어나 이라크 왕국이 붕괴
이라크·시리아이라크·시리아 연방1962년두 국가 모두 쿠데타 정권이기 때문에 정세가 불안정
이집트·시리아·리비아아랍 공화국 연방1971년~1973년느슨한 연방 체제. 이집트는 1973년에 더욱 심화된 통합을 추진했으나, 리비아의 카다피가 반대
이라크·시리아통합 헌장에 서명1979년사담 후세인 부통령 등이 바크르 대통령(이라크)의 건강 악화로 인해 아사드 대통령(시리아)에게 주도권이 넘어가는 것을 반대
시리아·리비아단일 국가 수립 선언1980년


5. 3. 국제 정세의 불안정

1948년 이스라엘 건국으로 시작된 중동 전쟁은 냉전 시기 강대국들의 대리전 양상으로 번지면서 국제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미국, 영국, 프랑스는 이스라엘을, 소련은 아랍 국가들을 지원하며 각자의 이권과 무기 판매 등 경제적 동기를 추구했다.[174]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석유 정책 등의 이유로 아랍 측으로 돌아섰고, 중국이란 혁명 이후의 이란이 아랍 측에 군사적 지원을 하는 등 강대국과 주변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혔다.

전략적 예측 그룹(Strategic Foresight Group)의 보고서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중동 지역 갈등으로 인한 기회비용은 12조달러로 추산된다. 이스라엘의 기회비용은 거의 1조달러이며,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약 2.2조달러와 4.5조달러이다. 만약 1991년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연맹 국가들 사이에 평화와 협력이 있었다면, 2010년 평균 이스라엘 시민의 소득은 2만 3천 달러가 아닌 4만 4천 달러가 넘었을 것이다.[174]

1945년부터 1995년까지 갈등으로 인해 9만 2천 명(군인 7만 4천 명, 민간인 1만 8천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175]

5. 4. 경제적 피해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지속된 중동 전쟁은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석유 가격 급등을 초래했다.[174] 전략적 예측 그룹(Strategic Foresight Group)의 보고서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중동 지역 갈등으로 인한 기회비용은 12조달러로 추산된다. 이스라엘의 기회비용은 거의 1조달러이며,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약 2.2조달러와 4.5조달러이다. 보고서는 만약 1991년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연맹 국가들 사이에 평화와 협력이 있었다면, 2010년 평균 이스라엘 시민의 소득은 2만 3천 달러가 아닌 4만 4천 달러가 넘었을 것으로 예측했다.[174]

참조

[1] 백과사전 Arab–Israeli wars https://www.britanni[...] 2023-07-07
[2] 서적 Revisiting the Yom Kippur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 학술지 Moscow's Surprise: The Soviet-Israeli Alliance of 1947-1949 https://www.wilsonce[...]
[4] 학술지 Who saved Israel in 1947? https://scholar.harv[...] 2017-11-06
[5] 웹사이트 The Czech arms that saved Israel https://www.jpost.co[...] 2020-11-30
[6] 웹사이트 Manfred Gerstenfeld on Joop den Uyl 1919–1987 http://jcpa.org/arti[...] 2015-04-07
[7] 학술지 'Which Chile, Allende?' Henry Kissinger and the Portuguese revolution https://www.tandfonl[...] 2011-08-23
[8] 웹사이트 Not neutral but not fighting: Lebanon's army walks tightrope on Israeli invasion https://www.middleea[...]
[9] 뉴스 Lebanon army says returns fire at Israel for first time after soldier killed https://gulfnews.com[...] 2024-10-03
[10] 서적 No Victor, No Vanquished: The Yom Kippur War Barrie & Jenkins
[11] 서적 The Crossing of the Suez https://books.google[...] American Mideast Research 2003-01-01
[12] 뉴스 An unknown story from the Yom Kippur war: Israeli F-4s vs North Korean MiG-21s http://theaviationis[...] 2013-06-24
[13] 서적 The Yom Kippur War: The Epic Encounter that Transforme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chocken Books 2004
[14] 웹사이트 The Fourth Round - A Critical Review of 1973 Arab-Israeli War https://defencejourn[...] 2002-11
[15] 서적 Les officiers de Sa Majesté: Les dérives des généraux marocains 1956–2006 Fayard
[16] 학술지 Post-Soviet Russian Foreign Policy Towards the Middle East 1996
[17] 서적 The Evolution of the Soviet Use of Surrogates in Military Relations with the Third Worl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Cuban Participation in Africa Rand Corporation
[18] 웹사이트 The Palestinian National Charter – Article 6 http://www.mfa.gov.i[...] Mfa.gov.il
[19] 잡지 Time to Test the Arab Peace Offer http://mideast.blogs[...] 2009-01-08
[20] 뉴스 The Arab-Israeli conflict is fading https://www.economis[...] 2020-09-19
[21] 서적 The Middle East: 1914–1979 St. Martin's Press
[22] 서적 One Palestine, Complete Abacus
[23] 서적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Arab-Israeli Conflict Greenwood Press
[24] 뉴스 A Time of Change; Israelis, Palestinians and the Disengagement 2005-08-09
[25] 기타 NA 59/8/353/84/867n, 404 Wailing Wall/279 and 280, Archdale Diary and Palestinian Police records.
[26] 서적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Arab-Israeli Conflict Greenwood Press
[27]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 Israeli Conflict: A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28] 서적 One Palestine, Complete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Books
[29] 서적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Arab-Israeli Conflict Greenwood Press
[30] 뉴스 The Struggle against Jewish Immigration to Palestine http://www.accessmyl[...] 1998-07-01
[31] 웹사이트 A/RES/106 (S-1) of 15 May 1947 General Assembly Resolution 106 Constituting the UNSCOP https://unispal.un.o[...]
[32]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 Israeli Conflict: A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33]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A/364: 3 September 1947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34]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35] 서적 The Middle East: 1914–1979 St. Martin's Press
[36] 백과사전 Palestine, British Mandate for ABC-CLIO
[37] 웹사이트 United States Proposal for Temporary United Nations Trusteeship for Palestine Source: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http://www.mideastwe[...] Mideastweb.org 2011-02-13
[38] 웹사이트 Declaration of Establishment of State of Israel: 14 May 1948 http://www.mfa.gov.i[...] Mfa.gov.il 2013-01-19
[39]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 Israeli Conflict: A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40] 간행물 General Progress Report and Supplementary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Covering the period from 11 December 1949 to 23 October 1950 GA A/1367/Rev.1 1950-10-23
[41] 웹사이트 The Palestinian Diaspora http://www.globalexc[...] Global Exchange 2012-12-12
[42] 뉴스 Israel Poisoned Palestinian Land to Build West Bank Settlement in 1970s, Documents Reveal https://www.haaretz.[...] 2023-08-06
[43] 뉴스 Israeli forces 'poisoned wells in Palestinian villages' during 1948 Nakba, unearthed documents show https://www.newarab.[...] 2023-08-06
[44] 뉴스 Documents Reveal Israeli Army Poisoned Water Wells in Palestinian Towns During 1948 War https://english.aaws[...] 2023-08-06
[45] 저널 The Forced Migration of Jews from Arab Countries http://taylorandfran[...] Routledge, part of the Taylor & Francis Group 2008-05-27
[46] 서적 Historians, State and Politics in Twentieth Century Egypt: Contesting the N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7] 법률 Algerian Nationality Code 1963-03-27
[48] 뉴스 Group seeks justice for 'forgotten' Jews https://www.nytimes.[...] 2015-06-07
[49] 간행물 The Other Exodus 1961-05-12
[50]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1942–1951 http://www.jewishage[...] Jewish Agency for Israel
[52] 논문 Aliyeh to Israel: Immigration under Conditions of Adversity http://repec.iza.org[...] Bar-Ilan University 2016-06
[53] 서적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Alfred A. Knopf
[54]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Israel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07-03-04
[55] 뉴스 1956: Egypt Seizes Suez Canal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Service 1956-07-26
[56] 웹사이트 UN GA Resolution 997 http://www.mideastwe[...] Mideast Web 2007-03-04
[57] 백과사전 Israel http://encarta.msn.c[...]
[58] 웹사이트 UN: Middle East – UNEF I, Background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07-03-04
[59] 웹사이트 The Arab-Israeli Wars http://www.mfa.gov.i[...]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3-09-02
[60] 뉴스 Egypt Closes Gulf Of Aqaba To Israel Ships: Defiant move by Nasser raises Middle East tension 1967-05-23
[61] 웹사이트 The Disaster of 1967 http://www.kinghusse[...] The Jordanian Government 2007-03-04
[62] 서적 Righteous victims :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63] 웹사이트 President Mubarak Interview with Israeli TV http://www.sis.gov.e[...] Egyptian State Information Service 2006-02-15
[64] 저널 The Khartoum Conference and Egyptian Policy after the 1967 War: A Reexamination http://www.jstor.org[...] 2021-06-15
[65] 뉴스 Sirhan https://www.washingt[...] 2023-10-08
[66] 뉴스 Who is Sirhan Sirhan? https://news.google.[...] 2023-10-08
[67] 웹사이트 Part II: Why Sirhan Sirhan Assassinated Robert Kennedy by Mel Ayton http://www.crimemaga[...] Crimemagazine.com 2009-01-16
[68] 뉴스 RFK's death now viewed as first case of Mideast violence exported to U.S. http://www.signonsan[...] 2023-10-08
[69] 백과사전 Israel: The War of Attrition https://www.britanni[...] 2007-03-03
[70] 웹사이트 1973 MILESTONES: 1969–1976 https://history.stat[...] US Department of State 2014-07-02
[71] 백과사전 Israel: The Yom Kippur War https://www.britanni[...] 2007-03-03
[72] 백과사전 Arab-Israeli War of 1973 https://web.archive.[...] 2007-03-04
[73]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Bedford
[74] 서적 Lion of Jordan; The life of King Hussein in War in Peace
[75] 서적 Colonial Effects: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in Jordan
[76] 백과사전 Uprising by Palestinians against Israeli rule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territories
[77] 웹사이트 The Oslo II agreement https://remix.aljaze[...] 2024-03-05
[78] 서적 The Seventh War Yedioth Aharonoth Books and Chemed Books
[79] 웹사이트 PA security forces seize 17 bombs, transfer them to IDF http://www.jpost.com[...] 2010-04-11
[80] 웹사이트 UN: Israel has dismantled 20 percent of West Bank checkpoint http://www.jpost.com[...] 2010-06-16
[81] 웹사이트 Israel sets up trial program to expedite PA export process http://www.jpost.com[...] 2010-04-26
[82] 웹사이트 Special Update: Disengagement – August 2005 http://www.mfa.gov.i[...]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83] 뉴스 Ma'ariv 2002-12
[84] 서적 A history of modern Israel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웹사이트 Gilad Shalit to be returned to Israel within a week http://www.haaretz.c[...] 2011-10-12
[86] 웹사이트 Who Are the Deadly Terrorists Israel Refuses to Release for Shalit? https://www.haaretz.[...] 2021-09-04
[87] 웹사이트 Israel to publish Hamas prisoner list http://web.archive.b[...] 2009-03-18
[88] 백과사전 Israel (country) http://encarta.msn.c[...]
[89] 웹사이트 Lebanon truce holds despite clashes http://www.cnn.com/2[...] CNN
[90] 서적 Lessons of the 2006 Israeli-Hezbollah War CSIS
[91] 뉴스 Lebanon Sees More Than 1,000 War Deaths https://web.archive.[...] AP via Usti.net 2006-12-28
[92] 뉴스 Amnesty report accuses Hizbullah of war crime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6-09-14
[93] 뉴스 Rice postpones trip to Beirut https://archive.toda[...] Associated Press via CHINAdaily 2006-07-30
[94] 웹사이트 Lebanon: Refugees International's Statement for Donors' Conference http://www.refugeesi[...] Refugees International 2006-08-28
[95] 웹사이트 Fatal Strikes: Israel's Indiscriminate Attacks Against Civilians in Lebanon http://hrw.org/repor[...] Human Rights Watch 2006-08
[96] 웹사이트 Lebanon Under Siege http://www.lebanonun[...] Lebanon Higher Relief Council
[97] 웹사이트 Hizbullah attacks northern Israel and Israel's response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6-07-12
[98] 뉴스 Middle East crisis: Facts and Figures http://news.bbc.co.u[...] 2006-08-31
[99] 뉴스 Israel says it will relinquish positions to Lebanese army https://www.usatoday[...] 2006-08-15
[100] 뉴스 'Million bomblets' in S Lebanon http://news.bbc.co.u[...] 2006-09-26
[101] 뉴스 Profile: Rachel Corrie https://www.bbc.co.u[...] 2012-08-28
[102] 뉴스 Statement by the Press Secretary https://web.archive.[...] The White House 2008-04-24
[103] 뉴스 Olmert confirms peace talks with Syria https://www.theguard[...] 2008-05-21
[104] 뉴스 Rice calls for Israel to stop building in West Bank https://www.independ[...] 2008-08-27
[105] 뉴스 TIMELINE – Israeli-Hamas violence since truce ended https://web.archive.[...] 2009-01-05
[106] 뉴스 Hamas 'might renew' truce in Gaza http://news.bbc.co.u[...] BBC 2008-12-23
[107] 뉴스 Israel Rejected Hamas Ceasefire Offer In December http://www.huffingto[...] 2009-01-09
[108] 간행물 THE "GAZA WAR": A Strategic Analysis http://www.csis.org/[...]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2009-02-00
[109] 뉴스 Israeli Airstrike on Gaza Threatens Truce with Hamas http://www.foxnews.c[...] Fox News Channel 2008-11-04
[110] 웹사이트 Larry Derfner (US News): Why the Gaza War Between Israel and Hamas Broke Out Now https://www.usnews.c[...] 2008-12-30
[111] 뉴스 Demands grow for Gaza war crimes investigation UK Guardian 2009-01-13
[112] 웹사이트 Clinton praises Netanyahu West Bank settlement moratorium (UPDATED) http://www.politico.[...] Politico 2009-11-25
[113] 뉴스 Palestinians blast Clinton for Israel praise http://edition.cnn.c[...] CNN 2009-11-01
[114] 뉴스 Q&A: The Gaza Freedom flotilla https://www.theguard[...] 2010-05-31
[115] 뉴스 Flotilla activists 'shot 30 times'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0-06-05
[116] 뉴스 Israel criticized over raid on Gaza flotilla http://www.latimes.c[...] 2010-06-01
[117] 뉴스 Autopsies reveal 9 men on Gaza aid boat shot, 5 in head http://www.cnn.com/2[...] CNN World 2010-06-04
[118] 뉴스 Israeli assault on Gaza-bound flotilla leaves at least 9 dead http://edition.cnn.c[...] CNN 2010-05-31
[119] 뉴스 We had no choice http://www.jpost.com[...] 2010-06-04
[120] 뉴스 Vicious conflict aboard 'Mavi Marmara' http://www.jpost.com[...] 2010-06-01
[121] 학술지 Hamas targets Israeli–Palestinian talks by killing four Israelis http://www.csmonitor[...] 2010-08-31
[122] 뉴스 Jordanian national killed in multiple militant rocket strike https://www.telegrap[...] 2010-08-02
[123] 웹사이트 IDF Spokesperson http://www.idf.il/12[...] Idf.il
[124] 뉴스 Hamas military chief killed in Gaza air strike https://www.telegrap[...] 2012-11-14
[125] 뉴스 Full text: Terms of Israel–Palestinian cease-fire https://www.washingt[...] 2012-11-21
[126] 웹사이트 Gaza and Israel begin to resume normal life after truce https://www.bbc.co.u[...] 2012-11-22
[127] 웹사이트 Israeli strikes kill 23 in bloodiest day for Gaza http://www.thenews.c[...] 2012-11-19
[128] 웹사이트 After eight days of fighting, ceasefire is put to the test http://www.timesofis[...] 2012-11-21
[129] 뉴스 Gaza-Israel war rages amid international protests – video https://www.theguard[...] 2012-11-21
[130] 뉴스 Ashton, Merkel say Israel has right to defend itself http://www.jpost.com[...] 2012-11-16
[131] 보도자료 Gaza Rocket Attacks https://2009-2017.st[...] Department of State 2012-11-14
[132] 웹사이트 Foreign Secretary statement on Gaza and southern Israel http://www.fco.gov.u[...] Foreign & Commonwealth Office 2012-11-15
[133] 뉴스 UPDATE 8-Rockets hits near Tel Aviv as Gaza death toll rises https://www.reuters.[...] 2012-11-14
[134] 보도자료 Gillard condemns attacks on Israel http://www.theage.co[...] (publisher 정보 없음) 2012-11-16
[135] 웹사이트 Les ministres européens mettent en garde Israël quant à l'escalade de la violence à Gaza http://m.euractiv.co[...] 2012-11-16
[136] 웹사이트 Commenting on the situation in southern Israel and the Gaza Strip, Foreign Minister Nickolay Mladenov said http://www.mfa.gove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lgaria) 2012-11-15
[137] 보도자료 Canada Condemns Hamas and Stands with Israel http://www.internati[...]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Trade 2012-11-14
[138] 웹사이트 Statement of MFA on Israel and the Gaza Strip http://www.mzv.cz/jn[...] 2012-11-15
[139] 웹사이트 Timmermans condemns rocket attacks on Israel from Gaza http://www.governmen[...] 2012-11-13
[140] 뉴스 Russia condemns 'disproportionate' strikes on Gaza http://www.dailystar[...] 2012-11-15
[141] 뉴스 Israel and Hamas Trade Attacks as Tension Rises https://www.nytimes.[...] 2014-07-08
[142] 뉴스 Israel and Hamas agree Gaza truce, Biden pledges assistance https://www.reuters.[...] 2021-05-21
[143] 웹사이트 IDF official said to confirm attack in Syria: 'First strike on Iranian targets' https://www.timesofi[...] 2018-04-16
[144] 웹사이트 U.S. officials confirm Israel launched pre-dawn airstrike on Syria https://www.nbcnews.[...] 2018-04-09
[145] 뉴스 Israel and Saudi Arabia: What's shaping the covert 'alliance' https://www.bbc.com/[...] 2017-11-24
[146] 웹사이트 Saudi Arabia and Israel anti-Iran alliance https://www.business[...] 2017-02-19
[147] 웹사이트 The solidifying Arab-Israeli Alliance https://globalriskin[...] 2019-01-23
[148] 웹사이트 Netanyahu makes historic visit to Oman https://www.jpost.co[...] 2018-10-26
[149] 뉴스 Netanyahu, Sudanese Leader Meet in Uganda, Agree to Start Normalizing Ties https://www.haaretz.[...] 2020-02-03
[150] 뉴스 Netanyahu says Israeli planes have started overflying Sudan https://www.reuters.[...] 2020-02-16
[151] 뉴스 With Trump's help, Israel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reach historic deal to normalize relations https://www.reuters.[...] 2020-08-13
[152] 뉴스 Israel and United Arab Emirates strike historic peace accord https://www.ft.com/c[...] FT 2020-08-13
[153] 간행물 Hamas Has Fractured the Arab World https://www.foreigna[...] 2023-10-13
[154] 뉴스 Hamas has failed to rally the Middle East to its cause https://www.economis[...]
[155] 뉴스 Cairo Peace Summit ends without Gaza breakthrough https://www.reuters.[...] 2023-10-21
[156] 뉴스 Peace Summit in Egypt Shows a Shift in Rhetoric but no Consensus https://www.nytimes.[...] 2023-10-21
[157] 웹사이트 Saudi Arabia wants peace with Israel after Gaza war, envoy tells BBC https://www.jpost.co[...] 2024-01-09
[158] 서적 Contemporary Cases in U.S. Foreign Policy: From National Security to Human Secur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59] 서적 Israel's Armor: The Israel Lobby and the First Generation of the Palestine Conflic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0] 서적 Warfare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61] 서적 The Political Impact of African Military Lea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162] 서적 The Arab-Israeli Six-Day War: Perspectives on Modern World History Greenhaven Publishing LLC
[163] 서적 1001 Facts Everyone Should Know about Israe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64] 서적 Chronicle of Jewish History: From the Patriarchs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Inc.
[165] 서적 A History of the Seventies: The political,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s that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Vernon Press
[166] 웹사이트 Ten years after Israeli invasion, war looms over Lebanon https://www.upi.com/[...] 1992-06-05
[167] 웹사이트 Fatalities in the first Intifada https://www.btselem.[...]
[168] 뉴스 Palestinian Intifada: How Israel orchestrated a bloody takeover https://www.aljazeer[...] 2020-09-28
[169] 뉴스 Ten years on, is Hezbollah prepared for another war with Israel? https://www.bbc.com/[...] 2016-07-12
[170] 뉴스 Gaza conflict 2014: 'War crimes by both sides' – UN https://www.bbc.com/[...] 2015-06-22
[171] 웹사이트 Hostilities in the Gaza Strip and Israel – reported impact – Day 236 https://www.ochaopt.[...] 2024-10
[172] 웹사이트 Blinken Says 'Now Is The Time' To End War In Gaza https://www.rferl.or[...] 2024-10-23
[173] 뉴스 Hezbollah tries to claim victory as Lebanon mourns its dead https://www.theguard[...] 2024-11-28
[174] 웹사이트 'Cost of Conflict in the Middle East', Strategic Foresight Group http://www.strategic[...]
[175] 서적 Regions and pow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76] 웹사이트 「イスラームと戦争―その関係性の変容と中東―」(『平和文化』平成14年3月号掲載) https://home.hiroshi[...] 広島大学総合科学部助教授吉村慎太郎 2023-10-10
[177] 서적 中東戦争と米国 ~米国・エジプト関係史の文脈~ 御茶ノ水書房 2003-03-25
[178]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179] 간행물 イギリスとスエズ戦争
[180] 서적 Israel and The Bomb. Columbia University Press
[181] 서적 The Arab-Israel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from the 1948 Independence to the Present Vintage Books
[182] 간행물 The Protocol of Sevres, 1956: Anatomy of a War Plot
[183]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184] 서적 The Arab-Israel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from the 1948 Independence to the Present Vintage Books
[185] 서적 幻の同盟【下】:冷戦初期アメリカの中東政策 名古屋大学出版会 2016-02-27
[186] 기타 C.M.56(80), 6th November, 1956, CAB128/30, Cabinet Conclusions 1955-1957, ''The Cabinet Papers'' United Kingdom National Archives
[187] 서적 Khrushchv's Cold War, The Inside Story of America's Adversary Norton
[188] 기타 Telegram From the Department of State to the Embassy in Egypt, Washington , November 6, 1956—6:29 p.m.,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SUEZ CRISIS, JULY 26–DECEMBER 31, 1956, VOLUME XVI
[189]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190] 기타 Editorial No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SUEZ CRISIS, JULY 26–DECEMBER 31, 1956, VOLUME XVI
[191] 기타 C.M.(56)96, CAB128/30, 3rd December, 1956, Cabinet Conclusions 1955-1957, ''The Cabinet Papers'' United Kingdom National Archives
[192] 기타 Israeli Government Statement, 8 November 1956, IX. THE SINAI CAMPAIGN, Israel's Foreign Relations Volumes 1-2: 1947-1974
[193] 서적 American Orientalism: The United States and the Middle East since 1945 I.B.Tauris
[194] 기타 Statement to the Knesset by Prime Minister Ben-Gurion, 5 March 1957, IX. THE SINAI CAMPAIGN, ''Israel's Foreign Relations'', Volumes 1-2: 1947-1974
[195] 기타 Message From Prime Minister Ben Gurion to President Eisenhower, Jerusalem, March 7, 1957,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ARAB-ISRAELI DISPUTE, 1957, VOLUME XVII
[196] 서적 Israel and The American National Interest, A Critical Examination University of Illinoi Press
[197] 서적 Arab Nationalism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Triumph to Despai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 서적 The Global War, Third World Interventions and the making of Our T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 기타 Telegram From the Consulate General at Algiers to the Department of State, Algiers, June 4, 1957—11 a.m.,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AFRICA, VOLUME XVIII
[200]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201] 서적 The United Staes and Israel: The Limits of The Special Relationship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 서적 Khrushchev's Cold War, The Inside Story of an America's Adversary Norton
[203] 서적 We Now Know, Rethinking Cold War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4] 서적 中東戦争と米国 ~米国・エジプト関係史の文脈~ 御茶ノ水書房 2003-03-25
[205] 웹사이트 レバノン:揺れるモザイク社会 第30回「戦争の風景8:脆い停戦」 http://ryumurakami.j[...] 2006-08-22
[206] 웹사이트 パレスチナ概況 https://www.mofa.go.[...] 2009-03-01
[207] 웹사이트 http://theelders.org[...]
[208] 뉴스 al-Quds al-Arabi紙 2008-10-30
[209] 뉴스 Arab states unanimously approve Saudi peace initiative Haaretz 2007-03-29
[210] 뉴스 Arab peace plan ads in Israeli papers The Brunei Times 2008-11-21
[211] 간행물 Breathing New Life Into the Arab Peace Initiative The Council for Peace and Security 2008-11-24
[212] 뉴스 Haneya Reiterates Hamas Rejection to Arab Peace Initiative Xinhua News Agency 2006-10-09
[213] 뉴스 Abbas, Hamas agree on national coalition govt Xinhua News Agency 2006-09-12
[214] 뉴스 Gaza massacres (27 December 2008 - 18 January 2009) http://electronicint[...] THE ELECTORONIC INTIFADA
[215] 뉴스 国連、パレスチナ「国家」格上げ決議 米など反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