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론정보학은 언론과 정보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한국에서는 1997년 서울대학교에서 신문학과가 언론정보학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미국, 독일 등 국가별로 커뮤니케이션학, 저널리즘학, 공시학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 수사학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언론인 직업 교육 중심의 저널리즘에서 시작되었고,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과학 분야로 발전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건강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으며, 다양한 하위 분야와 관련 학문 분야를 포괄한다.
각 대학에서 신문방송학과로 가르쳐 왔으나, 1997년 3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학과가 언론정보학과로 이름을 바꾸면서 언론정보학과가 탄생했다.[53] 이후 대학의 학과 및 관련 학회에서 언론정보학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신문방송학과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학부제의 영향으로 일부 대학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학부, 언론학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 저널리즘학 등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고, 독일에서는 공시학(公示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스러운 인간의 행동으로, 20세기에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12]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에 대한 진지한 연구도 함께 발전했다. 이 시기에는 설득 및 대중 연설과 같은 수사학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고, 이는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여러 형태의 토대를 마련했다.[13] 20세기에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초점은 대중 커뮤니케이션, 대인 커뮤니케이션, 구두 해석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포함하도록 발전했다.[13]
2. 언론정보학의 명칭
이 분야는 대학 또는 국가에 따라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s)", "커뮤니케이션 학(communication studies)", "스피치 커뮤니케이션(speech communication)", "수사학(rhetorical studies)", "커뮤니케이션 과학(communications science)", "미디어 연구 (media studies)", "커뮤니케이션 아트(communication arts)", "매스 커뮤니케이션 (mass communication)", "미디어 생태학(media ecology)" 등 다양한 명칭으로 제도화되었으며, "메디올로지"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보통 또 다른 학문 영역을 의미한다. 커뮤니케이션 학은 저널리즘, 영화, 라디오·TV, 광고·홍보, 퍼포먼스 등의 학술 프로그램과도 종종 중첩된다. 최근에는 많은 교육 연구 조직이 이 깊고 넓은 분야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학"이라는 공통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53]
3. 언론정보학의 역사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 전쟁 중 사용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이전까지의 한계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믿음에 도전했다. 이 기간 동안 항공기 전화 및 목 마이크와 같은 혁신이 발명되었다.[14] 휴대용 모스 부호 기계를 통한 모스 부호 사용과 같이 새롭게 발견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군대가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4] 이는 이후 더 발전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발견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촉발시켰다.[1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과학 연구는 정당한 학문으로 완전히 인정받았다.[15]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이라는 세 가지 주요 연구에서 형성되었다.[8][12][16] 이는 사람들이 메시지를 생성, 교환 및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며, 인간의 경험에 중심이 되는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춘다.[17] 오늘날, 이 학문은 젠더와 커뮤니케이션, 상호 문화 커뮤니케이션, 정치 커뮤니케이션, 건강 커뮤니케이션,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보다 현대적인 형태의 연구도 포함한다.[13]
미국 고등 교육 및 연구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제도화는 컬럼비아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곳에서 이 분야의 초기 개척자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활동했다.[16][18][19]
윌버 슈람은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창시자로 여겨진다.[19] 그는 커뮤니케이션을 연구 분야로 확립하고 미국 전역의 대학에 관련 학과를 설립하는 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20] 그는 스스로를 커뮤니케이션 학자로 처음 규정했으며,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학위 수여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첫 번째 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을 양성했다.[21][22] 슈람은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언어 커뮤니케이션, 수사학 및 저널리즘의 기존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발전시켰다. 그는 ''대중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효과''(1954)를 편집하여 폴 라자스펠드, 해럴드 라스웰, 칼 호브랜드, 커트 레빈을 창시자로 지목했다.[19]
슈람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동서 커뮤니케이션 연구소(호놀룰루)의 세 곳의 중요한 연구소를 설립했다.[23] 이러한 연구소에서 시작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학술적 패턴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24] 에버렛 로저스와 데이비드 벌로와 같은 슈람의 많은 제자들이 자신만의 중요한 공헌을 했다.[22][25]
최초의 커뮤니케이션 대학은 1958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 설립되었으며, 슈람의 원래 ICR 출신 학자들이 주도하여 양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전념했다.[22][26] 이후 퍼듀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스탠퍼드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에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학과가 설립되었다.[27][28]
1950년대에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관련된 협회가 설립되거나 확장되었다. 1950년에 전국 커뮤니케이션 연구 학회(NSSC)가 설립되었고,[18] 같은 해에 Journal of Communication을 창간했다. 1968년에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학회(ICA)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8][29]
전미 커뮤니케이션 협회(NCA)는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분야 내에서 기술, 비판적-문화적, 건강, 상호문화, 대인]-소그룹, 대중 커뮤니케이션,
3. 1. 서양 언론정보학의 역사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이후 근대에 들어서면서 커뮤니케이션은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부수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17세기 말, 독일의 대학과 귀족학교들(Ritter-Akademiende)에서 신문과 잡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카스퍼(Kasper von Stielerde)는 신문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공시성, 현실성, 보편성을 제시했다.[64] 1690년에는 신학 분야에서 신문 연구로 첫 번째 박사학위 논문이 나오기도 했다.[64] 그러나 오늘날 언론정보학의 주요 연구 분야들이 분과 학문으로서 대학에 등장한 것은 20세기부터이다.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에서는 직업교육 중심의 언론학(저널리즘)이 제도화되기 시작했다.[65] 미국의 경우, 19세기 말에 일부 대학들이 인쇄와 신문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1903년에 캔자스대학에서 개설된 과목은 현재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저널리즘 과목으로 알려져 있다.[65] 이후 1908년에 월터 윌리엄스(Walter Williams영어)가 미주리대학에 세계 최초의 저널리즘 스쿨을 개설하고, 1905년에는 윌라드 블레이어(Willard G.Bleyer영어)가 위스콘신대학에 1년 과정의 언론학 전공 과정을 개설하여 이것이 1912년에는 학과로 발전하고 1927년에는 저널리즘 스쿨로 확대되었다.[65]
독일의 경우, 신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있었으나 신문학(Zeitungswissenschaftde)이 대학에서 제도화되기 시작한 것은 1916년에 칼 뷔허(Karl Bucherde)가 라이프찌히대학에 신문연구소를 창설한 것이 최초이다.[65] 이어 1919년에는 뮌스터대학, 1924년에는 뮌헨대학에 신문연구소가 창설되었다.[65]
20세기 초반에 미국과 유럽에서 제도화된 언론학은 주로 언론윤리나 철학을 다루면서 언론인 직업교육에 치중하는 저널리즘 학문이었다.[65] 오늘날과 같이 언론학이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제도화된 것은 20세기 중반이다.[65] 독일에서 신문학이 공시학(Publizistikde)으로 발전한 것은 1930년대 이후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야 비로소 본격적인 성장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이다.[65] 즉 미국의 언론학, 특히 매스 커뮤니케이션 학문이 대학에서 학과나 연구소로 제도화되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다.[65]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윌버 슈람(Wilbur Schramm영어)으로, 1943년에 아이오와대학의 저널리즘 스쿨 학장이 되어 사상 최초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을 신설했다.[65] 윌버 슈람은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소를 이끌며 미국의 커뮤니케이션 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65] 슈람의 활동을 기점으로 서구 사회에서 언론학의 주류는 언론인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저널리즘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발전했다.[65] 오늘날 언론정보학은 인간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문화 현상 등을 대상으로 계량분석, 기호학, 구조주의적 분석, 인문학적 방법을 망라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로는 대인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광고, 미디어 효과, 정치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미디어, 문화연구 등이 있다.
3. 2. 한국 언론정보학의 역사
1924년 김동성(金東成, 1890년 4월 25일 ~ 1969년 8월 22일)이 한국 최초의 언론학 교재 《신문학》을 저술했다. 김동성은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으며 귀국 후 최초로 동아일보 주중 특파원, 주미 특파원을 역임했다. 1928년에는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김현준이 한국인 최초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65] 해방 이후 1947년에는 곽복산(郭福山, 1911년 ~ 1971년)이 서울에 ‘조선신문학원’을 설립하여 근대적 언론학 교육을 시작했다.[65] 한국의 언론정보학은 미국의 커뮤니케이션학과 독일의 공시학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제도화되었다.시기 학과 및 대학원 과정 설립 학회, 학술지, 연구소 등 예비기(~1953) 서울대 문리대 신문학 강좌(1949), 연세대 신문학 강좌(1952) 조선신문학원(1947) 초창기(1954~1974) 홍익대(1954), 중대(1958), 이화여대(1960), 한양대(1963), 고려대, 경희대(1965), 성균관대(1967), 서강대(1968), 연세대(1972) 한국신문학회(1959), 《신문 연구》(현 관훈저널)(1959), 《신문학보》(1960), 서울대 신문연구소(1963), 《신문연구소학보》(1964), 한국신문연구소(1964), 중앙대신문방송연구소(1969), 한양대 신문연구소(1971), 경희대 커뮤니케이션 조사연구소(1974) 도약기(1975~1990) 서울대(1975), 한국외대(1978), 청주대(1978), 전남대, 계명대, 원광대, 우석대(1981), 광주대, 건국대(충주), 경북대, 수원대, 경남대(1984), 동아대(1987), 전북대(1988), 강원대, 경성대, 부산대, 충남대(1989), 광운대(1990) 《방송연구》(1982), 한국신문학회 한국언론학회로 명칭 변경(1985), 한국방송학회(1988), 한국사회언론연구회(1988), 한국광고학회(1989) 전성기(1991~현재) 한세대(1992), 경주대, 대전대, 순천향대, 조선대, 호남대(1994), 동국대, 동신대, 동의대, 목원대, 세명대, 선문대, 숙명여대, 협성대(1995), 동명정보대, 성공회대, 인제대(1996), 광주여대, 동서대, 한림대(1997), 인하대, 국민대, 단국대, 서울여대 등 12개 대학(1998). 2004년 현재 102개 대학 126개 학과(학부, 계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1996), 한국홍보학회(1997), 한국언론정보학회(1998), 한국광고홍보학회(1998), 부경언론학회(1991) 등 지방 언론학회 창설
4. 주요 학자
5. 주요 패러다임
- 녹색 챙(Green-shade): 'Green-shade'는 언론인을 비유하는 말로, 언론인 양성을 위한 저널리즘 교육을 뜻한다. 언론 활동에 대한 직업 윤리적 성격을 가지며, 언론인 집단의 문화와 취재 방법 등의 교육을 중시한다. 1950년대까지 미국언론학회(AEJ)를 지배해 온 패러다임이다.
- 카이-스퀘어: 사회과학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학을 지향한 입장으로서, 객관적인 자료의 검증과 분석을 통한 경험주의적 연구를 지향한다. 슈람 이후 현대 언론정보학의 주류 패러다임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사회과학자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 정치경제학 연구: 물질적 하부구조가 제도적 상부구조를 형성한다는 사회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미디어 연구를 진행했다.
- 구조주의와 기호학: 인류학, 언어학에 토대를 두고 메시지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었다.
-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연구: 대표적인 비판이론으로서 문화산업, 이념적 지배장치에 주목한다.
- 문화주의 연구: 정치경제학 연구에 비판적이며, 사소한 일상적 요소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1980년대 이후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수용자 연구에 적극적이다.
6. 주요 연구 분야
언론정보학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기술
- 비판적-문화적
- 건강
- 상호문화
- 대중 커뮤니케이션
- 조직
- 정치
- 수사학
- 환경[30]
이러한 분야들은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분야 내에서 뚜렷하지만 종종 중복되기도 한다. 또한, 저널리즘, 수사학, 영화 비평, 연극, 홍보, 정치학, 라디오, 텔레비전,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영화 제작, 뉴미디어 등도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통합되기도 한다.[30]
미국에서는 전미 커뮤니케이션 학회(NCA,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가 커뮤니케이션 학 아래 9개의 하위 구분을 인정하고 있다.[30]
NCA 인정 하위 분야 |
---|
커뮤니케이션과 기술 |
비판-문화 |
건강 |
이문화-국제 |
개인 간-소집단 |
매스 커뮤니케이션 |
조직 |
정치 |
수사학 |
국제 커뮤니케이션 학회(IC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는 더 많은 구분을 목록에 올리고 있으며,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ICA 인정 하위 분야 (일부) |
---|
커뮤니케이션 역사 |
커뮤니케이션 법·정책 |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민족과 인종 |
페미니즘 연구 |
LGBT 연구 |
글로벌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변혁 |
정보 시스템 |
지도/개발 커뮤니케이션 |
저널리즘 연구 |
언어와 사회적 상호 작용 |
조직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의 철학 |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
대중 커뮤니케이션 |
퍼블릭 릴레이션스 |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 |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사회 과학과 인문학의 측면을 모두 포함하며,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정치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1]
7. 커뮤니케이션 모델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사회 과학과 인문학의 측면을 통합하며,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생물학, 정치학, 경제학, 공공 정책 등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1] 인문학적 관점에서는 수사학과 설득에 중점을 두며, 이는 고대 그리스 수사학자들의 역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7]
커뮤니케이션은 "시공간의 격리를 넘어 심볼을 공유하는 행위"로 정의되며, 커뮤니케이션학은 정보 수신자의 해석 방식, 그리고 발화나 언어가 갖는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대인관계, 회화, 연설,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매스 미디어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룬다.
; "전달 모델"과 "의례 모델"
현대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주로 두 가지 모델을 중심으로 논의되거나, 이 둘을 통합하여 발전된 형태로 논의된다.
'''전달 모델'''은 커뮤니케이션을 "메시지가 전송, 전달, 필터링되어 수신되는 과정"으로 본다. 이 모델은 1948년 클로드 섀넌의 논문 "통신의 수학적 이론"[53]에서 영감을 받은 정보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의례 모델'''은 커뮤니케이션을 "의미 있는 인간관계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중심적인 일상적인 의례"로 간주한다. 제임스 W. 캐리가 제창한 이 모델은, 미디어 이벤트가 반복되면서 의미가 구성되는 방식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신문은 매일 아침 배달되고 익숙한 지면 구성을 통해 독자에게 반복적으로 의미 있는 이벤트를 제시하고, 주지시키며, 확인시킨다.
; 역사·발생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 관련 대학원 프로그램은 대부분 스피치와 고대 수사학에서 기원했다.
고대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는 웅변과 설득 기술인 수사학이 학생들에게 중요한 과제였다. 오랜 논쟁 중 하나는, 기본 원리를 배우면 누구나 효과적인 화자가 될 수 있는지(소피스트), 아니면 연설자의 개성이 중요한지(소크라테스, 플라톤, 키케로)에 대한 것이었다. 유럽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문법학, 수사학, 논리학으로 구성된 삼학(트리비움)이 고전적 학습 체계의 기초였다.
8. 관련 학회
참조
[1]
서적
Communicating @ the Center
Hampton Press
2012
[2]
서적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
[3]
서적
Organizational Behavior
FlatWorld
[4]
논문
Communication Theory as a Field
1999-05
[5]
서적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https://archive.org/[...]
[6]
서적
Statistical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7]
논문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2001-01-01
[8]
논문
To the humanities: what does communication studies give?
2019-04-03
[9]
서적
Communication theories : origins, methods, and uses in the mass media
Addison Wesley Longman
2001
[10]
서적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1]
간행물
Media-Based Learning Methodology: Stories, Games, and Emotions
Routledge
2015
[12]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2018-03-05
[13]
웹사이트
Study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https://communicatio[...]
2022-11-07
[14]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 Fighting talk: First World War telecommunications
https://www.national[...]
2022-11-07
[15]
서적
Getting the message : a history of commun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6]
논문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munication Studie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munication Studies
2014-10-27
[17]
문서
The New History of Mass Communication Research
Peter Lang
2008
[18]
문서
Communication as an Academic Field: USA and Canada
Wiley-Blackwell
2008
[19]
뉴스
Wilbur Schramm; Wrote Many Works On Communicat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8-01-01
[20]
서적
The Handbook of Communication History
Routledge
[21]
논문
Wilbur Schramm, 1907-1987: Roots of the past, Seeds of the Present
1988-12-01
[22]
논문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as a seed institution for communication study
2001-09-01
[23]
논문
The Beginnings of Communication Study in America: A Personal Memoir
1997
[24]
서적
A History of Communication Study: A Biological Approach
The Free Press
1994
[25]
서적
Diffusion of innovations
https://archive.org/[...]
Free Press
2003
[26]
웹사이트
David Kenneth Berlo
https://www.chicagot[...]
1996-03-16
[27]
논문
The Communications School: Neophyte in Higher Education
1960
[28]
문서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History to 1968
2008-06-05
[29]
서적
The history of speech communication : the emergence of a discipline, 1914-1945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5
[30]
논문
Why Communication is Important: A Rationale for the Centrality of the Study of Communication
https://www.natcom.o[...]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6-09-07
[31]
웹사이트
What is Communication?
https://www.natcom.o[...]
2022-06-23
[32]
웹사이트
BA in Communication Studies
https://cla.umn.edu/[...]
2022-11-07
[33]
웹사이트
Massey Commission
https://www.thecanad[...]
2018-10-25
[34]
웹사이트
British Cultural Studies
https://people.ucalg[...]
2021-12-01
[35]
웹사이트
Canadian Radio-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https://crtc.gc.ca/e[...]
2021-12-01
[36]
웹사이트
Communication Studies
https://www.thecanad[...]
2015-03-04
[37]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Strategic Communication.
Routledge
2019
[38]
서적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pproaches and Processes
Cengage Learning
2014-01
[39]
간행물
"#CommunicationSoWhite"
2018
[40]
간행물
Studying the History of Business Communication
https://doi.org/10.1[...]
1996-06-01
[41]
간행물
Faculty Perceptions of Students' Business Communication Needs
https://doi.org/10.1[...]
1996-12-01
[42]
간행물
Using Case Studies for International Business Communication Training
https://doi.org/10.1[...]
1996-12-01
[43]
웹사이트
About Health Communication
https://www.societyf[...]
2023-05-01
[44]
웹사이트
Health Communication
https://www.ruralhea[...]
2018-04-30
[45]
서적
Health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46]
간행물
Social Media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Benefits, Risks, and Best Practices
2014-07
[47]
문서
ATTW
http://www.attw.org/
[48]
웹사이트
BCCA
http://www.bccanews.[...]
2018-03-26
[49]
문서
EATAW
http://www.eataw.eu/
[50]
문서
PCS
https://ewh.ieee.org[...]
[51]
문서
IAMCR
http://iamcr.org/
[52]
문서
NAMLE
https://namle.net/
[53]
논문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http://cm.bell-labs.[...]
1948
[54]
서적
The Literary Criticism of Oratory
The Century Co.
1925
[55]
서적
The Academic Study of Public Address: A Tradition in Transition
Hermagoras Press
1993
[56]
서적
The Academic Study of Public Address: A Tradition in Transition
Hermagoras Press
1993
[57]
문서
[58]
논문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http://cm.bell-lab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48
[59]
간행물
The life and work of Jay R. Gould
1990
[60]
문서
The PhD in Rhetoric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http://engl.iastate.[...]
[61]
문서
"培養理論(배양 이론)"
[62]
간행물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1972
[63]
웹인용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and Channels
https://new.edu/reso[...]
[64]
문서
신문방송학과 40년의 회고
http://www.jcrhie.pe[...]
[65]
문서
주류 언론학의 제도화와 패러다임 변화
1999
[66]
문서
제한효과이론
[67]
웹인용
관련 학회
http://www.comm.or.k[...]
한국언론학회
2012-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