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웅은 1944년 중화민국 충칭에서 독립운동가 김근수와 전월선의 아들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한일기본조약 반대 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당, 한나라당, 개혁국민정당, 열린우리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다. 광복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22년 10월 30일 암 투병 중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혁국민정당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개혁국민정당 - 김태년 (1965년)
김태년은 전라남도 순천 출신으로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학생운동과 시민운동을 하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 더불어민주당 소속 5선 국회의원이며 2020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는 등 당내 주요 직책을 수행하며 정치개혁, 경제정책, 남북관계 개선 등에 관여했다. - 대전중학교 동문 - 박병석
박병석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6선 국회의원과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전중학교 동문 - 심대평
심대평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국민중심당 대표,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사퇴하고 정계 은퇴 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대전광역시의 국회의원 - 박병석
박병석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6선 국회의원과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전광역시의 국회의원 - 심대평
심대평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국민중심당 대표,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사퇴하고 정계 은퇴 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김원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원웅 |
출생 이름 | 김원웅 |
출생일 | 1944년 3월 8일 |
출생지 | 중경, 중국 |
사망일 | 2022년 10월 30일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국립정치대학 |
정치 경력 | |
정당 | 민주당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
직위 | 대한민국 국회의원 |
임기 시작 | 2000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08년 5월 29일 |
임기 시작 | 1992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1996년 5월 29일 |
이전 | 이인구 |
이후 | 이인구 |
선거구 | 대덕구 |
2. 생애
김원웅은 일제강점기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선의열단원 김근수와 전월선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부모는 김구의 중매로 연을 맺었다.[17] 해방 후 대전에 정착하여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중화민국 정부 장학금으로 타이베이시 국립 정치 대학 대학원에서 유학했다.[3]
박정희 정부의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학생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1972년 민주공화당 사무처 공채에 합격, 민주정의당을 거쳐 1990년 3당 합당 전까지 18년여간 보수 정당에서 활동했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하며 박찬종, 노무현, 이철 등과 꼬마민주당을 창당했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제정구, 이부영, 유인태, 원혜영 등과 함께 정치/공직자 재산 및 정치자금 공개를 주도했다. 1995년에는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꾸는 교육기본법 개정에도 앞장섰다.
1996년 15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 노무현 등과 함께 ‘하로동선’이라는 식당을 개업했다.
1997년 (꼬마)민주당과 신한국당의 합당으로 한나라당에 합류, 2000년 16대 총선에서 대전 대덕에서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회창 총재의 노선에 반발,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탈당했다.
유시민과 개혁국민정당을 창당하고, 2003년 열린우리당에 합류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 후 평양을 방문, 민족평화축전 개최에 합의하고 제주도에서 개최했다. 일제 약탈 문화재 환수위원회를 결성, 북관대첩비, 조선왕조실록 및 조선왕조의궤를 되찾아왔다. 2004~2006년 국회 윤리특별위원장, 2006~2008년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한미 자유 무역 협정에서 스크린쿼터제를 지키고 개성공업지구 제품을 포함시켰다. 반기문 UN사무총장 선거대책위원장도 역임했다.
2007년 17대 대선 출마를 선언했으나 실제 출마하지는 못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대전광역시장 야권 단일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1년부터 안중근, 윤봉길 등 독립운동가 기념사업회 연합체인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 초대 대표를 맡았다. 강원도 인제군에서 '허준약초학교'를 운영하며 귀촌·귀농 지원활동을 했다.
2019년 광복회 회장에 취임, 친일 청산을 주장했다. 2022년 비자금 조성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법원은 횡령 제보자가 주도했다고 판결했다.
金元雄|김원웅중국어은 2022년 10월 30일 암 투병 중 별세했다.[16]
2. 1. 독립운동가 집안 출신과 성장 과정
김원웅은 일제강점기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선의열단원 김근수와 전월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김원웅의 부모는 김구의 중매로 연을 맺었다고 한다. 해방이 되자 귀국하여 대전에 정착했다. 대전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하였다. 중화민국 정부 장학금으로 타이베이시에 있는 국립 정치 대학 대학원으로 유학했다.[3]2. 2. 학생운동과 정계 입문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교 재학 시절 박정희 정부의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도하다 투옥되기도 했다.[17] 대학교를 졸업한 후 1972년에 민주공화당 사무처 공채에 합격하여, 민주정의당 당직 생활을 포함해 1990년 3당 합당에 합류를 거부할 때까지 18년여 동안 보수 정당에서 활동했다.1990년 3당 합당으로 탄생한 민주자유당 합류를 거부하고, 박찬종, 노무현, 이철 등과 함께 꼬마민주당(1990년)을 창당했다.[17] 1992년 14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17] 제정구, 이부영, 유인태, 원혜영 등 초선 의원 12명과 함께 깨끗한 정치 실천 선언을 하고, 모든 정치인과 공직자의 재산 공개, 정치자금 공개를 주도했다.[17] 1995년에는 일제 잔재인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하는 교육기본법 개정안을 주도했다.[17]
2. 3. 3당 합당 반대와 민주당 창당
1990년 3당 합당으로 생긴 민주자유당 합류를 거부하고, 박찬종, 노무현, 이철 등과 함께 꼬마민주당을 창당했다.[17] 1995년 일제 잔재인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꾸는 교육기본법 개정을 주도했다.[17]2. 4. 14대 국회의원 활동
1990년 3당 합당으로 생긴 민주자유당 합류를 거부하고, 박찬종, 노무현, 이철 등과 꼬마민주당(1990년)을 창당했다.[17] 1992년 14대 총선에 출마하여 국회에 입성했다.[17] 제정구, 이부영, 유인태, 원혜영 등 초선의원 12명과 함께 깨끗한 정치 실천선언을 하여 모든 정치인, 공직자의 재산공개, 정치자금공개를 주도했다.[17] 1995년 일제 잔재인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꾸는 교육기본법 개정을 주도했다.[17]2. 5. 15대 총선 낙선과 '하로동선'
1996년 15대 총선에서 지역주의 청산을 내세우고 꼬마민주당 후보로 대전 대덕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7] 낙선 후 노무현, 제정구, 유인태, 이철, 원혜영, 박석무, 김홍신 등과 ‘하로동선’이란 상호로 식당을 개업하고 김원웅이 대표를, 노무현이 감사를 맡았다.[17]2. 6. 한나라당 시절과 탈당
1997년 (꼬마)민주당과 신한국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되었고, 2000년 16대 총선에서 대전광역시 대덕에서 출마, 충청권에서 유일하게 한나라당 당선자가 되었다.[17]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의 민족화해협력 반대와 기득권층 비호 노선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17]2002년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하였다.[17]
2. 7. 개혁국민정당 창당과 열린우리당 합류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하였다. 유시민과 함께 개혁국민정당을 창당하여 당 대표를 역임했고,[15] 2003년 11월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였다.[15]2. 8. 17대 국회의원과 노무현 정부 시절 활동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했다.[15] 유시민과 함께 개혁국민정당을 창당하여 당대표를 하였다. 2003년 11월 우리당에 합류하였다.[15]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시절 비공개 특사로 평양을 방문, 민족평화축전 개최에 합의하고, 2003년 10월 제주도에서 민족평화축전을 마쳤다. 일제가 약탈해 간 문화재 환수위원회를 결성하고 평양직할시를 방문, 남북공조로 북관대첩비, 조선왕조실록 및 조선왕조의궤를 되돌려 받기도 했다. 2004 ~ 2006년 국회 윤리특별위원장을 맡았다. 2006~2008년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으로 한미 자유 무역 협정에 임하면서 미국을 10여 차례 방문, 미국 의회와 국무부의 고위인사와 담판하여 스크린쿼터제를 지켜냈고, 개성공업지구 제품을 한미FTA에 포함시켰다. 반기문 UN사무총장의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다.
2. 9. 정계 은퇴 이후 활동
안중근, 윤봉길, 여운형, 신채호, 김성숙, 이회영 등 독립운동가 20여 명의 기념사업회들이 연합하여 2011년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를 결성했고, 김원웅은 2011년 12월 15일부터 2017년 4월 3일까지 초대 대표를 맡았다.[17] 강원도 인제군에서 '허준약초학교'(사회적 협동조합)를 운영하며 귀촌·귀농 희망자를 위한 지원활동을 했다.2019년 광복회 회장에 취임하여 친일 기득권 세력 청산을 강하게 주장했다. 2022년 TV조선과 조선일보에서 비자금 조성 의혹을 제기하며 김원웅의 사퇴를 보도했으나, 법원은 비자금 조성을 주도한 것은 김원웅이 아닌 횡령 제보자라고 판결했다.
2022년 10월 30일 암 투병 중 별세했다.[16]
2. 10. 광복회 회장과 횡령 의혹
2019년 광복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김원웅은 친일 기득권 세력의 청산을 강경하게 주장하였다.[17] 2022년 TV조선과 조선일보에 의해 비자금 조성 의혹이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사퇴하였으나, 법원에서 비자금 조성은 김원웅이 아닌 횡령 제보자가 주도하였다는 판결을 받았다.2022년 2월, 국회의사당 내 광복회가 운영하는 카페의 수익을 횡령한 혐의로 인해 "관리 감독 부실"로 광복회장직에서 사임했다.[12]
2. 11. 별세
金元雄|김원웅중국어은 2022년 10월 30일에 암 투병 중 별세했다.[16]3. 학력
4. 경력
연도 | 직책 |
---|---|
1992년 ~ 1996년 | 제14대 국회의원 (대전 대덕, 민주당) 독립기념관 이사 |
1995년 ~ 1996년 | 유네스코 한국위원 |
1996년 ~ 1999년 | 통일맞이 민주주의 민족회의(통추) 대변인 |
1997년 ~ 1999년 | 식당 ‘하로동선’ 대표 |
2000년 ~ 2004년 | 제16대 국회의원 (대전 대덕, 한나라당→개혁국민정당→열린우리당) 해외입양인연대(GOA'L) 이사장 |
2001년 | 백야김좌진장군추모대제위원회 위원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자문위원 |
2002년 | 대전여민회 평등가족만들기 홍보대사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자문위원 |
2003년 | 민화협 공동의장 전태일열사청계천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 민족평화축전 조직위원회 회장 |
2003년 ~ 2004년 | 개혁당 대표 |
2004년 ~ 2008년 | 제17대 국회의원 (대전 대덕, 열린우리당) |
2004년 | 환경운동연합 국가환경정책자문위원 |
2004년 ~ 2006년 | 국회 윤리특별위원장 |
2004년 ~ 2005년 | 북관대첩비 환수위원장 |
2005년 ~ 2007년 | 조선왕조실록 환수위 공동대표 |
2006년 ~ 2008년 |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 |
2006년 ~ 현재 | 조선왕실의궤 환수위 공동대표 |
2011년 ~ 2017년 |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 대표 |
2014년 ~ 현재 | 허준약초학교(사회적 협동조합 )이사장 |
2019년 ~ 2022년 | 광복회장 |
현재 | 단재 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회장 |
5. 주장
김원웅은 대한민국 좌파이며, 기본 정치적 자세와 사상은 친북, 반일, 반 대한민국 우파, 반미이다.[4][5][6][7]
- 장징궈 총통과의 관계 주장: 공화당 소속 시절 당의 지원을 받아 타이완에 유학했으나, 귀국 후 주변에 "장징궈 총통과 양자 관계를 맺었다"고 말했다.[10]
- 김구와의 관계 주장: 저서에서 김구를 부모의 중매인으로 묘사하고, 주변에 김구가 부모의 결혼식 사회자였다고 주장했다.[10]
- 개성공업지구 문제 관련 발언: 2006년에 개성공업지구 문제와 관련하여 "만약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한국은 분단되지 않았을 것이고, 한국이 분단되지 않았다면, 굳이 개성공업지구를 창설할 필요도 없었다"며 미국에도 한반도 분단의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발언했다.
- 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매장 제한 법안 발의: 2007년 3월, 친일반민족행위자의 국립묘지 매장을 제한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안에서는, 일제강점 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자는 국립묘지에 매장될 수 없다. 또한, 이미 국립묘지에 매장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해서도 유족에게 이장을 요구하고,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행정대집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 국립서울현충원 친일파 개장(파묘) 논의 제기: 2020년 8월 15일, 광복회 회장 자격으로 다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 친일파의 개장(파묘) 논의를 제기하여, 국내에 논란을 일으켰다.[13]
- 과거 공로자 비판: 2020년, "이승만은 친일파와 결탁했다, 안익태는 민족반역자, 백선엽 전 장군은 사형에 해당한다" 등 과거 공로자에 대한 비판을 가했다.[14]
6. 논란
김원웅은 친북, 반일, 반 대한민국 우파, 반미 성향의 대한민국 좌파 정치인이다.[4][5][6][7] 그는 군사 정권 시절 공화당 (박정희 여당)과 민주정의당 (전두환 여당)에 속해 있었다.[5]
2022년 2월, 국회의사당 내 광복회가 운영하는 카페의 수익을 횡령한 혐의와 관련하여 "관리 감독 부실" 책임을 지고 광복회장직에서 사임했다.[12]
6. 1. 부모의 독립운동 경력 위조 의혹
2021년 6월, 김원웅은 어머니의 친언니인 전월순의 이름을 자신의 어머니 전월선|전월선 (1923년)한국어의 가짜 이름으로 사용하고, 전월순의 독립운동 경력을 전월선의 경력으로 위조한 자료를 1990년에 제출하여 국가로부터 보상금을 부당하게 수령한 사실이 밝혀졌다.[8] 또한, 어머니가 1940년 창씨개명 때 "강본도차"라는 이름으로 개명했고, 아버지 김근수|김근수 (1912년)한국어의 독립운동 경력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0] 다만, 2021년 7월, 국가보훈처 측은 조사를 거쳐 두 사람의 독립유공자 자격을 유지했다.[11]7. 수상
연도 | 내용 |
---|---|
1995 | 정치부 기자들이 뽑은 ‘깨끗한 정치인’ 선정 |
1996 | PC통신영어 천리안 선정 국회의원 성적표 1위 |
2000 | 환경운동연합 녹색정치인상 수상 |
2001 | 경실련 국회의원 성적표 273명 중 1위 |
2001 | 시민단체연합 교육디딤돌의원 선정 |
2001 | 달라이 라마 방한준비위원회 평화상 |
2001~2002 | POLCOM 의정활동 BEST 의원상 |
2006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사 정립 공로상 수상 |
2007 | 의정대상 수상 |
8.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
1988 | 지방자치,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
1991 | 현대를 연 사상가들 |
1993 | 교육백서Ⅰ |
1994 | 교육백서Ⅱ |
1995 | 교육백서Ⅲ |
1997 | 의원님들 요즘 장사 잘돼요?(夏瀘冬煽 창업기) |
2000 | SOFA백서 |
2002 | DTV전송방식 백서 |
2004 | 간도백서 |
2007 | 국제에너지자원환경과 자원외교 |
9.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3대 총선 | 13대 | 국회의원 | 전국구 | 민주정의당 | 6,670,494 표 (33.96%) | 전국구 58번 | 낙선 | 승계 불능 |
14대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대전 대덕구 | 민주당 | 33,393 표 (42.41%) | 1위 | 당선 | 초선 |
15대 총선 | 15대 | 국회의원 | 대전 대덕구 | 민주당 | 26,090 표 (32.25%) | 2위 | 낙선 | |
16대 총선 | 16대 | 국회의원 | 대전 대덕구 | 한나라당 | 29,034 표 (34.19%) | 1위 | 당선 | 재선 |
17대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대전 대덕구 | 열린우리당 | 47,062 표 (50.75%) | 1위 | 당선 | 3선 |
18대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대전 대덕구 | 통합민주당 | 21,331 표 (30.05%) | 2위 | 낙선 | |
제5회 지방 선거 | 10대 | 시장 | 대전광역시 | 민주당 | 137,751 표 (23.28%) | 3위 | 낙선 | 민선 5기 |
참조
[1]
웹사이트
김원웅(金元雄)
https://www.rokps.or[...]
[2]
뉴스
김원웅 전 광복회장 별세…"암 투병 악화"
https://www.hani.co.[...]
2022-10-30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4]
웹사이트
光復会長、高校生に「ソ連は朝鮮解放を祝い、米国は南韓を占領」-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md/1[...]
2021-07-02
[5]
웹사이트
光復会館内に金元雄会長の家族会社設立、会長印の文書で営業活動も(下)(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光復会の歴史と伝統に泥を塗った金元雄氏
https://www.donga.co[...]
2020-08-17
[7]
웹사이트
「親日派の墓を掘り返せ」韓国”光復会”会長、会員から胸ぐら掴まれる…臨時政府樹立記念式
https://www.wowkorea[...]
2021-04-12
[8]
웹사이트
김원웅 母 '가짜 유공자' 의혹 제기…보훈처 "자료 확인중"
https://n.news.naver[...]
[9]
웹사이트
[10]
웹사이트
‘김구 선생이 부모 중매했다’는 김원웅, 이젠 횡령까지?
http://m.monthly.cho[...]
2022-01-27
[11]
웹사이트
보훈처 "김원웅 부모 독립유공자 맞다…서훈 변경이유 없어"
https://m.news1.kr/a[...]
2021-07-21
[12]
웹사이트
‘횡령 의혹’ 김원웅 광복회장 자진 사퇴
https://www.hani.co.[...]
2022-02-16
[13]
웹사이트
光復会長「親日派破墓」主張に…李洛淵氏「同意」・金富謙氏「時期尚早」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8-17
[14]
웹사이트
金元雄光復会長「李承晩は逆賊、白善ヨプは死刑相当」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08-18
[15]
뉴스
김원웅·유시민 열린우리당 입당(金元雄・柳時敏ヨルリンウリ党入党)
http://news.chosun.c[...]
朝鮮日報本国版
2003-11-03
[16]
웹사이트
김원웅 전 광복회장(대덕구 국회의원) 30일 별세
http://www.goodmorni[...]
2022-10-30
[17]
문서
2019년 1월 26일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으로 단체명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