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반위상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반위상수학은 실수 집합의 부분 집합 연구에서 시작되어, 1940년경 현재와 유사한 체계를 갖춘 수학의 한 분야이다. 위상 공간, 연속 함수, 콤팩트 공간, 연결 공간 등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며, 분리 공리, 가산 공리, 거리 공간과 같은 개념들을 통해 위상 공간의 성질을 연구한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연속체 이론, 위상 동역학, 무점 위상수학, 차원론, 위상적 대수, 거리화 가능성 이론, 집합론적 위상수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일반위상수학
학문 개요
학문명일반위상수학
다른 이름점집합 위상수학
영어general topology, point-set topology
학문 분야수학
세부 분야
주요 개념집합론
함수
거리 공간
위상 공간
연속 함수
콤팩트 공간
연결 공간
분리 공리
가산 공리
완비 거리 공간
균등 공간
그물
필터
관련 분야
파생 분야대수적 위상수학
미분위상수학
기하위상수학
인물
창시자모리스 프레셰
펠릭스 하우스도르프
기타
관련 직업수학자

2. 역사

일반위상수학은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 다양체, 거리 공간노름 공간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여러 분야의 발전과 함께 정립되었다.[1]

2. 1. 주요 발전 분야

일반위상수학의 주요 발전 분야는 다음과 같다.

2. 2. 현대적 체계 확립

1940년경, 연속 함수 등의 개념이 수학 전반에 응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되면서, 현재와 유사한 일반위상수학의 체계가 확립되었다.

3. 위상 공간의 정의와 기본 개념

일반위상수학에서 위상 공간집합과 그 위에 정의된 열린 집합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다. 위상 공간은 다음 대상들을 정의하고, 티호노프 정리나 우리손의 보조정리와 같은 정리들을 다룬다.



위상 공간론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개념들을 다룬다.

이 외에도 더 발전된 개념들이 있지만, 주로 위에 언급된 기본 개념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일반위상수학은 대수적 위상수학(호모토피호몰로지 등), 기하적 위상수학(다양체의 여러 기하학적/위상수학적 성질), 미분위상수학(매끄러운 다양체) 등 위상수학의 다른 주요 분야들의 공통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점 없는 위상수학은 일반위상수학의 중요한 변형 중 하나이다. 이는 위상 공간을 점의 집합으로 보지 않고, 격자의 연구와 장소범주론적 연구를 통해 위상적 개념을 다루는 접근법이다.

3. 1. 위상의 정의

집합 ''X''와 그 부분 집합들의 모임(족) ''τ''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τ''를 ''X'' 위의 '''위상'''이라고 한다.[1][2]

# 공집합과 ''X''는 모두 ''τ''의 원소이다.

# ''τ''의 원소들의 임의의 합집합은 ''τ''의 원소이다.

# 유한 개의 ''τ'' 원소들의 임의의 교집합은 ''τ''의 원소이다.

(''X'', ''τ'')를 '''위상 공간'''이라고 한다. ''τ''의 원소를 ''X''의 '''열린 집합'''이라고 한다. ''X''의 부분집합의 여집합이 열린 집합이면, 그 부분집합을 '''닫힌 집합'''이라고 한다. ''X''의 부분 집합은 열려 있거나, 닫혀 있거나, 둘 다( 열린 닫힌 집합) 또는 둘 다 아닐 수 있다. 공집합과 ''X'' 자체는 항상 열려 있고 닫혀 있다.

3. 2. 기저 (Basis)

'''기저''' 또는 '''바탕''' ''B''는 위상 공간 ''X''의 위상 ''T''에 대한 것으로, ''T''의 모든 열린 집합이 ''B''의 원소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T''의 열린 집합들의 모임이다.[3][4] 이 기저는 위상 ''T''를 '생성'한다고 말한다. 기저는 위상의 많은 성질이 기저에 대한 명제로 축소될 수 있고, 많은 위상이 기저를 통해 가장 쉽게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3. 3. 부분 공간과 몫 공간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은 더 큰 공간의 열린 집합과 부분 집합의 교집합이 열린 집합인 부분 공간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몫공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만약 ''X''가 위상 공간이고 ''Y''가 집합이며, ''f'' : ''X''→ ''Y''가 전사 함수라면, ''Y''의 몫 위상은 ''f'' 하에서 열린 역상을 갖는 ''Y''의 부분 집합의 모음이다. 다시 말해, 몫 위상은 ''f''가 연속이 되도록 하는 ''Y''에 대한 가장 미세한 위상이다. 몫 위상의 일반적인 예는 동치 관계가 위상 공간 ''X''에서 정의될 때이다. 그러면 맵 ''f''는 동치류 집합으로의 자연스러운 사영이다.

3. 4. 위상 공간의 예시

모든 집합은 모든 부분 집합이 열린 집합인 이산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위상에서 수렴하는 수열이나 망은 결국 상수인 수열뿐이다. 또한 모든 집합은 공집합과 전체 공간만이 열린 집합인 자명 위상(비이산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위상에서 모든 수열과 망은 공간의 모든 점으로 수렴한다.

어떤 집합에도 열린 집합이 공집합이거나 여집합이 유한 집합인 여유한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1]

어떤 집합에도 집합이 공집합이거나 여집합이 가산 집합일 경우 열린 집합으로 정의되는 여가산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2]

실수 집합 '''R'''에 위상을 정의하는 방법은 많다.[3] '''R'''의 표준 위상은 열린 구간에 의해 생성된다.[3] 더 일반적으로, 유클리드 공간 '''R'''''n''에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3] '''R'''''n''의 일반적인 위상에서 기본 열린 집합은 열린 구이다.[3] 마찬가지로, 복소수 집합 '''C'''와 '''C'''''n''은 기본 열린 집합이 열린 구인 표준 위상을 갖는다.[3]

실수선은 하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열린 집합은 반열린 구간 [''a'', ''b'')이다.[4]

모든 거리 공간에는 거리로 정의된 열린 공을 기본 열린 집합으로 하는 거리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5] 이것은 모든 노름 벡터 공간에서 표준 위상이다.[5]

임의의 유한 집합에는 수많은 위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을 유한 위상 공간이라고 한다.[6]

모든 다양체는 국소적으로 유클리드 공간이므로 자연 위상을 갖는다.[7] 마찬가지로 모든 단순체와 모든 단순 복합체는 '''R'''n에서 자연 위상을 상속받는다.[7]

자리스키 위상환의 스펙트럼 또는 대수적 다양체에서 대수적으로 정의된다.[8] '''R'''''n'' 또는 '''C'''''n''에서 자리스키 위상의 닫힌 집합은 다항식 방정식계의 해 집합이다.[8]

선형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의 많은 기하학적 측면을 일반화하는 자연 위상을 가지며, 여기에는 정점과 변이 포함된다.[9]

함수해석학에서 많은 선형 연산자 집합은 특정 함수 시퀀스가 영 함수로 수렴할 때를 지정하여 정의되는 위상을 부여받는다.

모든 국소체는 고유한 위상을 가지며, 이는 해당 체 위의 벡터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은 가장 간단한 비이산 위상 공간이다.

Γ가 서수이면 집합 Γ = [0, Γ)는 ''a''와 ''b''가 Γ의 원소인 구간 (''a'', ''b''), [0, ''b'') 및 (''a'', Γ)에 의해 생성된 순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4. 연속 함수

연속 함수위상 공간 사이의 함수로, 열린 집합의 역상이 열린 집합인 함수이다.

연속성은 근방의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다. 함수 f가 어떤 점 x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f(x)의 임의의 근방 V에 대해 f(U) ⊆ V를 만족하는 x의 근방 U가 존재한다는 것과 같다.

극단적인 예로, 집합 X에 이산 위상이 주어지면, 임의의 위상 공간 T로의 모든 함수

:f\colon X \rightarrow T

는 연속이다. 반면 X에 비이산 위상이 주어지고 공간 T가 적어도 T0이면, 유일한 연속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함수

:f\colon X \rightarrow S

에서 X가 위상 공간이고 S가 집합일 때, S 상의 final 위상은 f−1(A)가 X에서 열린 집합이 되는 S의 부분 집합 A로 정의된다.

쌍대적으로, 집합 S에서 위상 공간 X로의 함수 f에 대해, S 상의 initial 위상은 U가 X에서 열린 집합인 f-1(U) 형태의 집합으로 주어진 열린 집합의 기저를 갖는다.

4. 1. 연속 함수의 정의

근방을 이용한 정의: 함수 ''f''가 어떤 점 ''x'' ∈ ''X''에서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f''(''x'')의 임의의 근방 ''V''에 대해, ''f''(''U'') ⊆ ''V''를 만족하는 ''x''의 근방 ''U''가 존재하는 것이다.[5] 이는 ''Y''에서의 열린 집합(또는 닫힌 집합)의 역상이 ''X''에서 열린 집합(또는 닫힌 집합)이라는 조건과 동치이다. 거리 공간에서 이 정의는 해석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ε–δ-정의와 동치이다.

수열의 극한을 이용한 정의 (제1 가산 공간, 수열 공간에서 유용): 함수 ''f'': ''X'' → ''Y''에서 수열 (''x''''n'')이 ''X''에서 극한 ''x''로 수렴할 때 수열 (''f''(''x''''n''))이 ''f''(''x'')로 수렴하면 ''f''를 '''수열 연속'''이라고 한다.[6] 모든 연속 함수는 수열 연속이다. ''X''가 가산 제1 공리이고 가산 선택 공리가 성립하면, 그 역도 성립한다. 특히, ''X''가 거리 공간이면 수열 연속성과 연속성은 동치이다.

폐포 연산자 또는 내부 연산자를 이용한 정의: 위상 공간 사이의 함수

:f\colon (X,\mathrm{cl}) \to (X' ,\mathrm{cl}')\,

는 모든 ''X''의 부분 집합 ''A''에 대해

:f(\mathrm{cl}(A)) \subseteq \mathrm{cl}'(f(A)).

가 성립할 경우 위의 의미에서 연속이다.

위상 공간 사이의 함수

:f\colon (X,\mathrm{int}) \to (X' ,\mathrm{int}') \,

는 모든 ''X''의 부분 집합 ''A''에 대해

:f^{-1}(\mathrm{int}'(A)) \subseteq \mathrm{int}(f^{-1}(A))

가 성립할 경우 연속이다.

4. 2. 연속 함수의 성질

''f'': ''X'' → ''Y'' 와 ''g'': ''Y'' → ''Z''가 연속 함수이면, 합성 함수 ''g'' ∘ ''f'': ''X'' → ''Z''도 연속 함수이다. 만약 ''f'': ''X'' → ''Y''가 연속 함수이고

  • ''X''가 콤팩트이면, ''f''(''X'')는 콤팩트하다.
  • ''X''가 연결이면, ''f''(''X'')는 연결이다.
  • ''X''가 경로 연결이면, ''f''(''X'')는 경로 연결이다.
  • ''X''가 린델뢰프이면, ''f''(''X'')는 린델뢰프이다.
  • ''X''가 분리 가능이면, ''f''(''X'')는 분리 가능하다.

4. 3. 위상 동형 사상 (Homeomorphism)

위상 동형 사상은 전단사 함수이면서 연속 함수이고, 그 역함수도 연속인 함수이다.[1] 두 위상 공간 사이에 위상 동형 사상이 존재하면, 두 공간은 위상적으로 동형이라고 한다.[1]

어떤 연속 전단사 함수의 정의역이 콤팩트 공간이고 공역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면, 이 함수는 위상 동형 사상이다.[1]

5. 콤팩트 공간

위상 공간 ''X''의 모든 열린 덮개가 유한 부분 덮개를 가지면 ''콤팩트''라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콤팩트''라고 한다.

이는 ''X''의 열린 부분 집합들의 임의의 모임 \{U_\alpha\}_{\alpha\in A}에 대해

:X = \bigcup_{\alpha\in A} U_\alpha,이면,

''A''의 유한 부분 집합 ''J''가 존재하여

:X = \bigcup_{i\in J} U_i.를 만족함을 의미한다.

실수의 닫힌 구간은 콤팩트하다. 하이네-보렐 정리에 따르면, 유클리드 공간에서 어떤 집합이 콤팩트 집합이 될 필요충분 조건은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인 것이다.

콤팩트 공간의 모든 연속적인 상은 콤팩트하다.[1]

5. 1. 콤팩트 공간의 성질

하이네-보렐 정리에 따르면, 유클리드 공간에서 어떤 집합이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이면 그 집합은 콤팩트하다.[1]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콤팩트 부분 집합은 닫힌 집합이다.[1] 콤팩트 공간에서 하우스도르프 공간으로의 연속 전단사 함수는 위상 동형 사상이다.[1] 콤팩트 거리 공간의 모든 수열은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갖는다.[1]

5. 2. 준콤팩트 공간

위상 공간 ''X''의 모든 열린 덮개가 유한 부분 덮개를 가지면 ''콤팩트''라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콤팩트''라고 한다. 대수 기하학 등 일부 수학 분야에서는 부르바키 학파의 영향으로, 하우스도르프 조건을 제외한 콤팩트 공간의 정의를 만족하는 공간을 ''준콤팩트''라고 하고,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면서 준콤팩트인 위상 공간을 ''콤팩트''라고 한다.

6. 연결 공간

위상 공간 ''X''가 두 개의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닌 열린 집합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없으면 '''연결 공간'''이라고 한다. 달리 말하면, ''X''를 두 개의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닌 열린 집합으로 나눌 수 없을 때 연결되었다고 한다.

위상 공간 ''X''에 대해 다음 조건들은 모두 동등하다.


  • ''X''는 연결되어 있다.
  • ''X''는 두 개의 서로소인 공집합이 아닌 닫힌 집합으로 나눌 수 없다.
  • ''X''에서 열린 집합이면서 닫힌 집합(개폐 집합)인 유일한 부분 집합은 ''X''와 공집합이다.
  • ''X''에서 경계가 공집합인 유일한 부분 집합은 ''X''와 공집합이다.
  • ''X''는 두 개의 공집합이 아닌 분리 집합의 합집합으로 쓸 수 없다.
  • ''X''에서 이산 위상을 갖는 두 점 공간 {0,1}로의 유일한 연속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실수선 '''R'''의 모든 구간은 연결 공간이며, 연결 공간연속적 이미지는 연결 공간이다.

6. 1. 연결 공간의 성질

실수선 '''R'''의 모든 구간은 연결 공간이다. 연속적 이미지는 연결 공간이다.

6. 2. 연결 성분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에서 포함 관계에 의해 정렬된 극대 연결 부분 집합을 공간의 '''연결 성분'''이라고 한다.

모든 위상 공간 ''X''의 성분은 ''X''의 분할을 형성한다. 즉, 서로 소이고, 공집합이 아니며, 그들의 합집합은 전체 공간이다.

모든 성분은 원래 공간의 닫힌 부분 집합이다. 따라서 그 수가 유한한 경우, 각 성분은 또한 열린 집합이다. 그러나 그 수가 무한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수 집합의 연결 성분은 한 점 집합이며, 이는 열려 있지 않다.

\Gamma_x를 위상 공간 ''X''에서 ''x''의 연결 성분으로 하고, \Gamma_x'를 ''x''를 포함하는 모든 열린-닫힌 집합의 교집합(''x''의 준성분이라고 함)으로 정의하면, ''X''가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거나 국소 연결 공간인 경우 \Gamma_x \subset \Gamma'_x이고 등호가 성립한다.

6. 3. 경로 연결 공간

경로 연결 공간은 임의의 두 점 사이에 경로가 존재하는 위상 공간이다. 모든 경로 연결 공간은 연결 공간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 위상수학자의 사인 곡선)

7. 분리 공리

분리 공리는 위상 공간에서 점이나 부분집합들이 서로 분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조건들이다. 분리 공리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들 중 많은 것은 이름이 여러 개 있지만, 처음 나열된 이름이 가장 덜 혼동될 가능성이 높다.

분리 공리 중 일부는 다른 의미를 가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정규"와 "T4", "정규"와 "T3"의 의미는 때때로 서로 바뀌기도 한다. 이러한 공리들 대부분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다른 정의를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 제시된 정의는 다양한 분리 개념을 관련시키는 일관된 패턴을 따른다.

다음 정의에서 ''X''는 위상 공간을 나타낸다.

용어정의
T0 (콜모고로프 공간)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위상적으로 구별 가능하다.
T1 (프레셰 공간)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분리되어 있다.
하우스도르프 공간 (T2 공간)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주변으로 분리되어 있다.
T (우리스존 공간)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닫힌 주변으로 분리되어 있다.
정규 공간 (T3 공간)T0 공간이고, X에서 점 xxF에 속하지 않는 닫힌 집합 F가 주어지면, 주변으로 분리된다.
티호노프 공간 (T 공간, 완전 정규 T0 공간)T0 공간이고, 점 xxF에 속하지 않는 닫힌 집합 F가 주어지면, 연속 함수에 의해 분리된다.
정규 공간 (T4 공간)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X의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부분 집합이 주변으로 분리된다.
완전 정규 공간 (T5 공간, 완전 T4 공간)T1 공간이고, 두 개의 분리된 집합이 주변으로 분리된다.
완전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T6 공간, 완전 T4 공간)T1 공간이고,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이 정확히 연속 함수로 분리된다.



우리스존의 보조정리에 따르면, 어떤 공간이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을 연속 함수로 분리할 수 있을 때에만 정규 공간이다. 티체 확장 정리는 정규 공간의 닫힌 부분 공간에서 정의된 모든 연속 실수 값 함수가 전체 공간에서 정의된 연속 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7. 1. 주요 분리 공리


  • ''X''는 T0 (콜모고로프 공간)이다. ''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위상적으로 구별 가능한 경우이다.
  • ''X''는 T1 (프레셰 공간)이다. ''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분리된 경우이다. ''X''가 T1 공간인 것은 T0 공간이면서 R0 공간인 것과 동치이다.
  • ''X''는 하우스도르프 공간 (T2 공간)이다. ''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주변으로 분리된 경우이다. ''X''가 하우스도르프 공간인 것은 T0 공간이면서 R1 공간인 것과 동치이다.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T1 공간이어야 한다.
  • ''X''는 T (우리스존 공간)이다. ''X''의 서로 다른 두 점이 닫힌 주변으로 분리된 경우이다. T 공간은 하우스도르프 공간이어야 한다.
  • ''X''는 정규 공간 (T3 공간)이다. T0 공간이고, ''X''에서 점 ''x''와 ''x''가 ''F''에 속하지 않는 닫힌 집합 ''F''가 주어지면, 주변으로 분리된 경우이다.
  • ''X''는 티호노프 공간 (T 공간, 완전 정규 T0 공간)이다. T0 공간이고, 점 ''x''와 ''x''가 ''F''에 속하지 않는 닫힌 집합 ''F''가 주어지면, 연속 함수에 의해 분리된 경우이다.
  • ''X''는 정규 공간 (T4 공간)이다.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X''의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부분 집합이 주변으로 분리된 경우이다.
  • ''X''는 완전 정규 공간 (T5 공간, 완전 T4 공간)이다. T1 공간이고, 두 개의 분리된 집합이 주변으로 분리된 경우이다. 완전 정규 공간은 정규 공간이어야 한다.
  • ''X''는 완전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T6 공간, 완전 T4 공간)이다. T1 공간이고,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이 정확히 연속 함수로 분리된 경우이다. 완전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완전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이어야 한다.

7. 2. 추가 설명

분리 공리의 역사에 따르면, "정규"와 "T4"의 의미가 때때로 서로 바뀌는 등 용어의 정의와 사용에 혼동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공리 중 대부분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다른 정의를 가질 수 있다.

우리스존의 보조정리에 따르면, 공간은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을 연속 함수로 분리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정규하다. 티체 확장 정리는 정규 공간에서 닫힌 부분 공간에서 정의된 모든 연속 실수 값 함수는 전체 공간에서 정의된 연속 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8. 가산 공리

가산 공리는 위상 공간이 특정 가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조건이다. 일반위상수학에서는 가산 공리를 비롯한 열린 집합, 닫힌 집합, 내부, 폐포, 근방, 콤팩트 공간, 연결 공간, 연속 함수, 수열의 극한, 그물, 필터, 분리 공리 등 여러 기본 개념을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티호노프 정리, 우리손의 보조정리와 같은 정리들을 다룬다.[1] 이러한 기본 개념들은 대수적 위상수학, 기하적 위상수학, 미분위상수학 등 위상수학의 다른 분야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초를 제공한다.[1]

8. 1. 주요 가산 공리

'''가산 공리'''는 특정 수학적 대상 (일반적으로 범주)의 속성으로, 특정 속성을 가진 가산 집합의 존재를 요구하며, 이러한 공리가 없으면 그러한 집합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위상 공간에 대한 중요한 가산 공리는 다음과 같다.

위 가산 공리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모든 제1 가산 공간은 순서 공간이다.
  • 모든 제2 가산 공간은 제1 가산 공간, 분리 가능 공간, 린델뢰프 공간이다.
  • 모든 σ-콤팩트 공간은 린델뢰프 공간이다.
  • 거리 공간은 제1 가산 공간이다.
  • 거리 공간의 경우, 제2 가산성, 분리 가능성 및 린델뢰프 속성은 모두 동등하다.

8. 2. 가산 공리 간의 관계

제2 가산 공간제1 가산 공간, 분리 가능 공간, 린델뢰프 공간이다.[1] 거리 공간에서는 제2 가산성, 분리 가능성, 린델뢰프 속성이 모두 같다.[1]

9. 거리 공간

거리 공간은 집합과 그 위의 거리 함수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집합 MM 위의 거리 d로 구성된 순서쌍 (M, d)이다. 함수

:d \colon M \times M \rightarrow \mathbb{R}

는 모든 x, y, z \in M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d(x,y) \ge 0 (음이 아닌 값)

# d(x,y) = 0\, iff x = y\, (식별 불가능성의 동일성)

# d(x,y) = d(y,x)\, (대칭성)

# d(x,z) \le d(x,y) + d(y,z) (삼각 부등식)

이때 함수 d는 "거리 함수" 또는 간단히 "거리"라고도 한다. 문맥상 어떤 거리가 사용되는지 명확한 경우, 종종 d를 생략하고 단순히 M으로 거리 공간을 표기한다.[7]

9. 1. 거리 공간의 성질

모든 거리 공간파라콤팩트 공간이자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따라서 정규 공간이다.[7]

거리화 정리는 위상 공간이 거리에서 유래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한다.[7]

10. 베어 범주 정리

베어 범주 정리는 완비 거리 공간 또는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에서, 가산 개의 어디에도 조밀하지 않은 집합들의 합집합의 내부는 비어있다는 정리이다.[8]

베어 공간의 임의의 열린 부분 공간은 그 자체로 베어 공간이다.

11. 일반위상수학의 주요 연구 분야

일반위상수학에서는 열린 집합, 닫힌 집합, 내부, 폐포, 근방, 콤팩트 공간, 연결 공간, 연속 함수, 수열의 극한, 그물, 필터, 분리 공리, 가산 공리, 거리 공간과 같은 개념들을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티호노프 정리, 우리손의 보조정리 등의 정리를 연구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대수적 위상수학, 기하적 위상수학, 미분위상수학 등 다른 위상수학 분야의 기초가 된다. 일반위상수학의 중요한 변형 중 하나로 점 없는 위상수학이 있는데, 이는 위상 공간을 점의 집합이 아닌 격자장소를 통해 연구하는 접근법이다.

피아노 곡선 구성의 세 번의 반복, 그 극한은 공간 채움 곡선입니다. 피아노 곡선은 일반 위상수학의 한 분야인 연속체 이론에서 연구됩니다.

11. 1. 연속체 이론 (Continuum Theory)

'''연속체'''는 비어 있지 않은 콤팩트 연결 거리 공간이거나, 덜 자주 사용되지만, 콤팩트 연결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연속체 이론'''은 연속체의 연구에 전념하는 위상수학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대상은 위상수학과 해석학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자주 발생하며, 그들의 속성은 많은 '기하학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1]

11. 2. 위상 동역학 (Topological Dynamics)

위상 동역학은 연속적인 변화를 겪을 때 공간과 그 부분 공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행동을 다룬다. 유체 역학, 당구, 다양체 위의 흐름 등은 물리학 및 수학의 다른 분야에 적용되는 많은 예시이다. 프랙탈 기하학에서 프랙탈의 위상학적 특성, 복소 동역학에서 발생하는 줄리아 집합 및 만델브로 집합, 그리고 미분 방정식의 끌개는 이러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종종 중요하다.[1]

11. 3. 무점 위상수학 (Pointless Topology)

'''무점 위상수학'''(또는 '''무점 집합론''' 또는 '''점 없는 위상수학''')은 점 언급을 피하는 위상수학 접근 방식이다. '무점 위상수학'이라는 이름은 존 폰 노이만에서 유래되었다.[9] 무점 위상수학의 아이디어는 지역(집합)을 기본으로 취급하며, 기본 점 집합을 명시적으로 참조하지 않는 영역 위상수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반위상수학의 중요한 변형 중 하나로, 위상 공간을 다룸에 있어 점의 집합으로 생각하는 것을 피하고, 격자의 연구와 장소범주론적 연구를 통해 위상적 개념을 다루는 접근법을 취한다.

11. 4. 차원론 (Dimension Theory)

'''차원론'''은 위상 공간의 차원 불변량을 다루는 일반 위상수학의 한 분야이다.

11. 5. 위상적 대수 (Topological Algebras)

'''위상적 대수'''(Topological Algebra) ''A''는 위상체 '''K''' 위의 위상 벡터 공간으로, 연속적인 곱셈을 갖는다.

:\cdot :A\times A \longrightarrow A

:(a,b)\longmapsto a\cdot b

이 곱셈은 '''K''' 위의 대수를 형성한다. 단위 결합 위상적 대수는 위상환이다.

이 용어는 다비트 판 단치히가 만들었으며, 그의 학위 논문 (1931) 제목에 등장한다.

11. 6. 거리화 가능성 이론 (Metrizability Theory)

위상수학 및 관련 수학 분야에서, '''거리화 가능 공간'''은 동형 사상에 의해 거리 공간과 위상 동형인 위상 공간을 의미한다. 즉, 위상 공간 (X,\tau)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거리

:d\colon X \times X \to [0,\infty)

가 존재하여, ''d''에 의해 유도된 위상이 \tau이면 이 공간은 거리화 가능하다고 한다. '''거리화 정리'''는 위상 공간이 거리화 가능하기 위한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11. 7. 집합론적 위상수학 (Set-theoretic Topology)

일반위상수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일반적으로 정의하고 그에 관한 정리(예컨대, 티호노프 정리나 우리손의 보조정리)들을 다룬다.

보다 특수한 개념들에 집중하는 위상수학의 다른 분과로는 대수적 위상수학(호모토피호몰로지 등), 기하적 위상수학(다양체의 여러 기하학적/위상수학적 성질), 미분위상수학(매끄러운 다양체) 등이 있는데, 일반위상수학은 이들 분과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념적 기초를 제공한다.

일반위상수학의 중요한 변형 중 하나로 점 없는 위상수학이 있는데, 이는 위상 공간을 다룸에 있어 점의 집합으로 생각하는 것을 피하고, 격자의 연구와 장소범주론적 연구를 통해 위상적 개념을 다루는 접근법을 취한다.

집합론적 위상수학은 집합론과 일반 위상수학을 결합한 분야이다. 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C)과 독립적인 위상학적 질문에 초점을 맞춘다. 유명한 문제로는 정규 무어 공간 문제가 있으며, 이는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된 일반 위상수학의 문제이다. 정규 무어 공간 문제에 대한 답은 결국 ZFC와 독립적임이 증명되었다.

참조

[1] 서적 Topology Prentice Hall
[2] 서적 Introduction to topology: pure and applied Pearson Prentice Hall
[3] 서적 Topological Methods in Chemis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2-07-27
[4] 서적 Basic Topology https://www.springer[...] Springer 2013-06-13
[5] 간행물 A General Theory of Limits
[6] 간행물 Die Elemente der Functionenlehre.. http://eudml.org/doc[...]
[7] 문서 Maurice Fréchet introduced metric spaces in his work Sur quelques points du calcul fonctionnel
[8] 뉴스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https://books.google[...]
[9] 문서 VON NEUMANN AND LATTICE THEORY American Mathematical S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