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도학은 인류 문명과 함께 발전해 온, 지도를 제작하는 기술과 학문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필요와 기술 수준에 맞춰 발전해 왔으며, 최초의 지도는 기원전 7천년 후반 아나톨리아의 차탈회위크 벽화로 추정된다. 지도는 일반도, 주제도, 오리엔티어링 지도 등으로 분류되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권력과 지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현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GIS 등 관련 분야가 활발해졌으며, 인터넷과 웹 매핑 기술의 발전으로 지도 제작과 배포가 용이해졌다. 지도 제작에는 투영법, 일반화, 기호체계, 구성, 서체 디자인, 레이아웃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되며, 윤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편향성, 의도적인 오류, 해체주의적 시각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국제지도학회(ICA) 등 다양한 학회가 지도 제작 발전을 지원하며, 관련 학술지에서 연구가 발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도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도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지도학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분야 | 지리학, 디자인, 공학, 사회과학 |
정의 | 지도 제작의 연구와 실행 |
관련 학문 | 지리학, 반도체공학, 지도 제작, 지형학, 측량학 |
역사 | |
고대 | 기원전 6세기 아낙시만드로스의 세계 지도 |
15세기 | 지도 투영법의 발전 |
18세기 | 측량과 지도 제작의 과학화 |
현대 | 디지털 지도 제작 기술 발전 |
지도학의 분야 | |
일반 지도학 | 일반적인 목적의 지도 제작 |
주제 지도학 | 특정 주제나 현상을 나타내는 지도 제작 |
디지털 지도학 |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지도 제작 |
지도 디자인 | 시각적 요소, 색상, 기호 등을 활용한 지도 디자인 |
지도 분석 | 지도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 |
지도학의 주요 요소 | |
투영법 | 지도 투영법을 사용하여 3차원 지구 표면을 2차원 평면에 나타내는 방법 |
축척 | 지도상 거리와 실제 거리 간의 비율 |
기호 | 지도에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요소 (점, 선, 면) |
범례 | 지도에 사용된 기호의 의미를 설명하는 부분 |
방향 | 지도상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방법 (주로 북쪽 방향을 기준으로 함) |
지도학의 중요성 | |
공간 정보 | 지리적 위치 및 공간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공간 정보 파악 용이 |
분석 도구 | 공간적 패턴과 추세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 제공 |
의사 결정 | 자원 관리, 도시 계획, 재난 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 결정 지원 |
의사소통 | 공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 도움 |
지도학의 기술 | |
전통적인 방법 | 손으로 그리는 방식, 사진측량 등 |
현대적인 방법 | 지리 정보 시스템 (GIS), 원격 탐사, 위성 영상 등 |
디지털 지도 제작 |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지도 제작 |
데이터 수집 | 다양한 방법 (측량, 위성, 항공 사진)을 통해 지도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처리 | 수집된 데이터의 편집, 분석, 시각화 과정 |
관련 직업 | |
지도 제작자 | 다양한 종류의 지도 제작 |
GIS 전문가 |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 분석 |
측량사 | 지표면의 위치와 높이를 측정 |
지도 디자이너 | 시각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지도 디자인 |
참고 문헌 | |
관련 도서 | Introduction to Cartography and Mapping Cartography: Thematic Map Design Elements of Cartography |
관련 링크 | 영어 위키백과 지도학 영어 위키백과 지도학 역사 미국 지질 조사국 (USGS) 지도학 |
2. 역사적 배경
지도 제작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해왔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자의 필요와 기술 수준에 맞춰 지도를 발전시켜 왔다.
최초의 지도가 무엇인지는 "지도"라는 용어 자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차탈회위크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1][2], 베고 산(프랑스)과 발카모니카(이탈리아)의 선사시대 알프스 암각화 중 일부[3][4] 등이 초창기 지도의 예시로 거론된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은 기원전 6세기 아낙시만드로스 시대부터 지도를 만들기 시작했다.[10] 2세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지리학을 저술하여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11]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부터 지리학 문헌이 등장했으며, 가장 오래된 중국 지도는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나온 것이다. 1092년 중국 과학자 수송이 출판한 ''신의상법요''에는 등거리 원통 투영의 별자리 지도가 있다.[13][14] 초기 인도의 지도 제작에는 북극성과 주변 별자리의 묘사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항해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5]
중세 시대에는 무함마드 알-이드리시가 1154년에 중세 아틀라스인 『타불라 로제리아나(로제르의 책)』를 제작했다. 이 지도는 이후 3세기 동안 가장 정확한 세계 지도로 평가받았다.[17][18][19]
대항해 시대에 유럽의 지도 제작자들은 탐험가들의 관찰과 새로운 측량 기술을 바탕으로 지도를 만들었다. 나침반, 망원경, 육분의의 발명은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1492년 마르틴 베하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을 만들었다.[20] 1507년 마르틴 발트제뮐러는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한 ''우니베르살리스 코스모그라피아''를 제작했다. 1569년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는 메르카토르 투영을 기반으로 한 지도를 발표했는데, 이 투영법은 항해에 편리하지만,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지역이 실제보다 크게 표시된다는 단점이 있다.[23][24] 1570년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는 최초의 현대적인 아틀라스인 『오르텔리우스의 세계 지도』를 제작했다.[25][26]
르네상스 시대에 지도는 권력과 지식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27] 16세기 인쇄술의 도입으로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었다.
근세에는 유라시아 전역에서 지도 제작 기법이 융합되었고,[32] 계몽주의 시대에는 구리판 조각 기법이 보편화되었다. 지도 투영의 사용이 발전하여 게랄두스 메르카토르가 고안한 메르카토르 도법이 점차 더 많이 등장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람베르트 정각 원추 도법과 횡 메르카토르 도법 등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는 지도 투영법을 고안·발표하였다.[53]
현대 지도 제작 기술은 지도 제작자와 사용자의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나침반과 같은 자기 장치와 자기 기억 장치의 출현으로 훨씬 더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 및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인쇄기, 사분의, 버니어와 같은 기계 장치의 발전은 지도의 대량 생산과 정확한 복제본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 석판 인쇄 및 광화학 공정과 같은 광화학 기술의 발전은 모양이 왜곡되지 않고 습기와 마모에 강한 세부적인 지도를 가능하게 했다.
20세기에는 항공 사진, 위성 영상, 원격 탐사가 물리적 특징을 매핑하는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공했다. 전자 기술의 발전은 지도 제작에 또 다른 혁명을 가져왔다. 컴퓨터 및 주변 기기와 시각화, 이미지 처리, 공간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쉬운 접근성은 지도 제작을 민주화하고 크게 확장했다.
2000년대 초, 전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GPS)의 선택적 가용성 제거, 오픈스트리트맵의 발명, 구글 어스 출시는 지도 제작을 변화시킨 주요 기술 발전이다.[37] 오늘날 대부분의 상업용 지도는 CAD, GIS 및 특수 일러스트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현장용 견고한 컴퓨터, GPS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측정한 값으로 직접 지도를 만들 수 있다.
2. 1. 고대

최초의 지도가 무엇인지는 "지도"라는 용어 자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기원전 7천년 후반기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는 고대 아나톨리아 도시 차탈회위크를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1][2] 기원전 4천년 것으로 추정되는 베고 산(프랑스)과 발카모니카(이탈리아)의 선사시대 알프스 암각화 중 점으로 된 직사각형과 선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고고학 문헌에서 널리 경작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3][4]

고대 그리스와 로마는 기원전 6세기 아낙시만드로스 시대부터 지도를 만들었다.[10] 2세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지도 제작에 관한 논문인 지리학을 저술했다.[11] 여기에는 당시 서구 사회에 알려진 세계인 에쿠메네를 나타내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8세기 초, 아랍 학자들은 그리스 지리학자들의 저술을 아랍어로 번역하기 시작했다.[12]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에 지리학 문헌이 등장했다. 가장 오래된 중국 지도는 전국 시대 동안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진나라에서 나온 것이다. 1092년 중국 과학자 수송이 출판한 ''신의상법요''에는 등거리 원통 투영의 별자리 지도가 있다.[13][14]
초기 형태의 인도의 지도 제작에는 북극성과 주변 별자리의 묘사가 포함되어 있었다.[15] 이러한 차트는 항해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5]
고대 그리스인들은 지도 제작에 많은 예술과 과학을 더했다. 스트라본(기원전 63년경 - 기원 21년경)은 『지리학』(Geographia)을 저술하고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비판했기 때문에 "지리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밀레토스의 탈레스(기원전 600년경)는 지구가 물로 지탱되는 원반이라고 생각했다. 밀레토스의 아낙시만드로스는 같은 시기에 지구가 원통형이라는 이론을 제창했다. 기원전 288년,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라는 설(지동설 참조)을 역사상 최초로 주장했다. 기원전 250년경, 키레네의 에라토스테네스는 2지점 간의 위도 차와 자오선 호 길이 측정을 기반으로 현재 인정되는 값의 15퍼센트 오차 범위 내에서 지구의 둘레를 추정했다.
이오니아의 피타고라스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한 최초의 저명한 인물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나중에 이러한 생각을 지지하며 논의를 제공했다. 그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월식의 그림자는 항상 둥글다.
- 배가 멀어져 지평선에 사라질 때, 가라앉는 것처럼 보인다.
- 지구의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별이 있다.
그리스인들은 또한 지도의 투영 과학, 즉 평면에서 지구의 곡면을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에라토스테네스, 아낙시만드로스, 히파르코스는 위도와 경도 격자 체계를 개발한 것으로 이름이 남아 있다. 기원전 200년경에 에라토스테네스는 정적도 원통도법을 발명한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도 기원전 150년경에 정적도 원추도법을 포함한 지도 투영법을 발명했다.
2. 2. 중세와 르네상스
세계 지도(Mappae mundi)는 중세 유럽의 세계 지도이다. 약 1,100개의 세계 지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약 900개는 사본에 삽입된 것이고 나머지는 독립적인 문서로 존재한다.[16]
중세 이슬람의 무함마드 알-이드리시는 1154년에 중세 아틀라스인 『타불라 로제리아나(로제르의 책)』를 제작했다. 그는 아랍 상인과 탐험가들의 기록과 고전 지리학자들의 정보를 결합하여 아프리카, 인도양, 유럽, 극동에 대한 지식을 담은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는 이후 3세기 동안 가장 정확한 세계 지도로 평가받았으며, 7개의 기후대로 나뉘어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첨부되었다. 알-이드리시는 세계 둘레를 10% 이내의 오차로 정확하게 추정하기도 했다.[17][18][19]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대항해 시대에 유럽의 지도 제작자들은 탐험가들의 관찰과 새로운 측량 기술을 바탕으로 지도를 만들었다. 나침반, 망원경, 육분의의 발명은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1492년 마르틴 베하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을 만들었다.[20]
1507년 마르틴 발트제뮐러는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한 ''우니베르살리스 코스모그라피아''를 제작했다. 디오구 리베이루는 눈금이 매겨진 적도가 있는 최초의 평면 투영 지도(1527년)를 제작했고, 바티스타 아네세는 해도가 포함된 필사본 아틀라스를 최소 71개 제작했다. 요하네스 베르너는 베르너 투영법을 개선하고 보급했는데, 이는 16세기와 17세기에 사용된 등면적 심장 모양의 세계 지도 투영법이었다.[21][22]
1569년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는 메르카토르 투영을 기반으로 한 지도를 발표했다. 이 투영법은 항해에 편리하게 일정 방위의 항로를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지역이 실제보다 크게 표시된다는 단점이 있다. 메르카토르는 "아틀라스"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23][24]
1570년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는 최초의 현대적인 아틀라스인 『오르텔리우스의 세계 지도』를 제작했다. 그는 아틀라스에 기여한 지도 제작자들의 공을 돌렸는데, 그 목록은 1603년까지 183명으로 증가했다.[25][26]
르네상스 시대에 지도는 권력과 지식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회화, 조각 등과 동등한 중요성을 가졌다.[27] 16세기 인쇄술의 도입으로 지도는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었고, 1500년대 후반 베네치아 가정의 약 10%가 지도를 소유했다.
르네상스 시대 지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28]
- 세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 항해 및 길 찾기
- 토지 측량 및 부동산 관리
중세에는 서면 안내가 지도보다 일반적이었으나, 르네상스 시대에는 지도 제작이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28] 정치 지도자들은 지도를 통해 영토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으며, 이는 유럽의 종교적, 식민지적 확장에 영향을 받았다.
1400년대 후반부터 1500년대 후반까지 로마, 피렌체, 베네치아가 지도 제작과 무역을 주도했다. 베네치아의 지도 출판은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인문학과 서적 출판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29]
르네상스 시대에는 목판화와 구리판 에칭 두 가지 인쇄 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목판화는 나무에 돋을새김으로 이미지를 새기는 방식으로, 인쇄기가 필요 없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밀한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에칭은 금속판에 선을 새기는 방식으로, 목판화보다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지만, 금속판이 비싸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30][31]
인쇄된 지도는 건조 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프레스에 넣는 과정을 거쳤다. 당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종이가 사용되었지만, 두꺼운 종이가 더 내구성이 좋았다. 15세기 말에는 돋을새김과 에칭이 거의 동등하게 사용되었다.
지도 채색의 초기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미적 요소 또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1] 르네상스 시대에는 채색되지 않은 지도가 많았지만, 고객의 요청에 따라 채색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채색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간단한 윤곽선 채색부터 은이나 금박을 사용하는 정교한 채색까지 다양했다.
2. 3. 근대
근세에는 유라시아 전역에서 지도 제작 기법이 융합되었고, 인도양을 통해 상업적 지도 제작 기법이 교류되었다.[32]17세기 초, 중국 지도 제작자는 셀던 지도를 제작했다. 역사가들은 그 제작 시기를 1620년경으로 추정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이 지도는 무역로, 나침반 장식, 축척 표시를 보여주는 것으로 중국 상업적 지도 제작에 통합된 많은 지도 제작 기법의 정점을 보여준다.[33]
1689년, 러시아 차르와 청나라의 대표자들이 시베리아 동부의 분쟁 지역 근처에 있는 국경 도시 네르친스크 근처에서 만났다.[34] 청나라 협상단은 예수회를 중재자로 데려왔고, 양측은 아무르 강을 유라시아 강대국 간의 경계로 설정하고 양국 간의 무역 관계를 개방하는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했다.
계몽주의 시대의 지도는 거의 대부분 취약하고 조악한 목판 기술을 버리고 구리판 조각 기법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다. 지도 투영의 사용이 발전하여 이중 반구가 매우 일반적이었고, 게랄두스 메르카토르가 고안한 항해용 메르카토르 도법이 점차 더 많이 등장했다.
당시 정보 부족과 측량의 어려움으로 인해 지도 제작자들은 원 제작자에게 공을 돌리지 않고 자주 자료를 표절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지도 제작자들이 지도 제목이나 카르투슈(Cartouche (cartography))에 "[원 제작자]에 따름"과 같은 방식으로 원 출판자에게 공을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35]
18세기 후반에는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람베르트 정각 원추 도법과 횡 메르카토르 도법 등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는 7가지 지도 투영법을 고안·발표[53]하였다.
2. 4. 현대
현대 지도 제작 기술은 지도 제작자와 사용자의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최초의 지도는 붓과 양피지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품질이 다양하고 배포가 제한적이었다. 나침반과 같은 자기 장치와 훨씬 후에 등장한 자기 기억 장치의 출현으로 훨씬 더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 및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인쇄기, 사분의, 버니어와 같은 기계 장치의 발전은 지도의 대량 생산과 더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복제본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 하르트만 셰델은 인쇄기를 사용하여 지도를 더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최초의 지도 제작자 중 한 명이었다. 망원경, 육분의와 같은 광학 기술은 정확한 토지 측량을 가능하게 했고 지도 제작자와 항해사들이 밤에는 북극성을, 낮에는 태양을 관측하여 위도를 찾을 수 있게 했다.
석판 인쇄 및 광화학 공정과 같은 광화학 기술의 발전은 모양이 왜곡되지 않고 습기와 마모에 강한 세부적인 지도를 가능하게 했다. 이는 또한 조각의 필요성을 없애 지도 제작 속도를 더욱 높였다.
20세기에는 항공 사진, 위성 영상, 원격 탐사가 해안선, 도로, 건물, 유역 및 지형과 같은 물리적 특징을 매핑하는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공했다. 현재 위성과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연구원들은 우주에 있는 다른 행성과 위성을 매핑할 수 있다.[36] 전자 기술의 발전은 지도 제작에 또 다른 혁명을 가져왔다. 모니터, 플로터, 프린터, 스캐너(원격 및 문서), 분석 입체 플로터와 같은 컴퓨터 및 주변 기기와 시각화, 이미지 처리, 공간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쉬운 접근성은 지도 제작을 민주화하고 크게 확장했다. 공간적으로 위치한 변수를 기존 지도에 중첩할 수 있는 기능은 지도의 새로운 용도와 이러한 잠재력을 탐구하고 활용하는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냈다.
2000년대 초, 세 가지 주요 기술 발전이 지도 제작을 변화시켰다.[37] 2000년 5월 전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GPS)의 선택적 가용성 제거는 소비자급 GPS 수신기의 위치 정확도를 수 미터 이내로 향상시켰다. 2004년 복잡한 라이선스 계약 없이 누구든 새로운 공간 데이터에 기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 세계 디지털 반대 지도인 오픈스트리트맵의 발명. 그리고 2005년 가상 지구본 EarthViewer 3D(2004)의 개발로 출시된 구글 어스는 정확한 세계 지도뿐만 아니라 위성 및 항공 영상에 대한 접근성을 혁신했다. 이러한 발전은 지리적 및 위치 기반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를 들어 위성 내비게이션 장치 개발과 같은 지도 제작의 응용 범위를 넓혔다.
오늘날 대부분의 상업용 지도는 CAD, GIS 및 특수 일러스트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공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는 디지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점점 더 역동적이고 대화형적인 지도로 이어진다.
현장용 견고한 컴퓨터, GPS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측정한 값으로 직접 지도를 만들 수 있다.
3. 지도의 종류
지도는 크게 일반도와 주제도로 나눌 수 있으며, 특수한 목적을 위한 오리엔티어링 지도도 존재한다.[42]
- 일반도: 일반 대중을 위해 제작되며 다양한 지리 정보를 제공한다. 지형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주제도: 특정 주제나 대상을 위해 제작되며, 해도, 지질도, 도로 지도 등이 있다.
- 오리엔티어링 지도: 일반도와 주제도의 요소를 결합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제작된다.
지형도는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표현하며,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기본도가 대표적이다. 위상 지도는 요소 간의 연결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며, 런던 지하철 노선도가 그 예시이다.
3. 1. 일반도
일반 지도 제작법은 일반적인 이용자를 위해 만들어진 지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지도는 많은 참조와 위치 정보를 보여주며, 종종 일련의 것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도를 '''일반도'''라고 한다.지형도는 주로 장소의 지형에 초점을 맞추며, 높이 방향을 나타내는 등고선을 사용하는 점에서 다른 지도와 전형적으로 다르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지형도(국토기본도)는 일반도의 대표적인 예이다.[42]
위상적인 지도는 매우 일반적인 지도의 한 종류로, 냅킨 위에 그리는 것과 같은 종류의 추상적인 지도이다.
3. 2. 주제도
주제도는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특정 지리적 주제의 지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디애나 주 옥수수 생산량을 보여주는 점 지도나, 오하이오 주 군을 단계적으로 색칠한 콜로플레스맵 등이 있다. 해도, 지질도, 도로 지도, 주택 지도 등은 주제도의 예이다.[42]20세기에 지리적 데이터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제도 제작은 점점 더 유용해졌고, 공간적, 문화적, 사회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하게 되었다.[42]
3. 3. 오리엔티어링 지도
오리엔티어링 지도는 주제도와 일반 지도의 특징을 결합한 것이다. 일반 지도 요소와 주제 속성을 모두 사용하여 특정 대상을 위해 설계된다. 주로 특정 산업이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시정부 공공 시설 지도가 그 예이다.[42]3. 4. 지형도와 위상 지도
지형도는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 등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표현하는 지도이다.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하는 지형도(국토기본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43][44]위상 지도는 지형의 세부 정보보다는 요소 간의 연결 관계와 순서 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지도이다. 벡이 제작한 런던 지하철 노선도가 대표적인 예시인데, 실제 지형과는 다르게 역 간의 연결 관계와 순서 등을 나타내는 데 중점을 둔다.[45][46]
4. 지도 디자인
지도 디자인은 지도의 목적과 독자를 고려하여 시각적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이다. 인쇄술의 발전, 지리 정보 시스템과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등장, 그리고 인터넷을 포함한 현대 기술은 지도 제작 과정을 크게 간소화하고 지도 제작자가 사용 가능한 디자인 옵션의 범위를 넓혔다. 이로 인해 생산 기술에 대한 집중도는 줄어들고, 의도된 목적에 실질적으로 유용하면서 동시에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지도를 만들려는 노력인 양질의 디자인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졌다.
4. 1. 지도 제작 과정
지도 제작 과정은 지도의 필요성을 인지하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사용자가 지도를 활용하는 단계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기획은 실제 또는 상상의 환경으로부터 시작된다. 지도 제작자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그 정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조가 지도 디자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야 하는지 고려한다. 다음으로, 지도 제작자는 일반화, 기호화, 활자 디자인 및 기타 지도 요소를 사용하여 실험하여 지도 독자가 의도한 대로 지도를 해석할 수 있도록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을 찾는다.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지도 제작자는 디자인을 확정하고 물리적 또는 전자적 형태로 지도를 제작한다. 완성된 지도는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지도 독자는 지도의 기호와 패턴을 해석하여 결론을 내리고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지도는 제공하는 공간적 관점을 통해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47]
4. 2. 지도 디자인의 요소
지도 투영법: 지도의 기반은 평면이지만, 지구 표면을 평평하게 하려면 투영이 필요하다. 모든 투영은 표면을 왜곡하지만, 지도 제작자는 왜곡이 어떻게 그리고 어디서 발생하는지 전략적으로 제어한다.[48]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는 메르카토르 도법은 표면의 각도를 왜곡하지 않지만 극지방 근처의 지역은 실제보다 크게 나타낸다.[36]지도 일반화: 모든 지도는 현실보다 작은 축척으로 그려야 하므로 지도에 포함된 정보는 장소에 대한 풍부한 정보의 아주 작은 표본이어야 한다. 일반화는 선택, 단순화 및 분류와 같은 절차를 통해 지리 정보의 세부 수준을 지도의 축척 및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과정이다.
기호체계: 모든 지도는 크기, 모양, 색상 및 패턴과 같은 여러 시각 변수로 구성된 그래픽 표현인 지도 기호를 사용하여 지리 현상의 위치와 특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구성: 모든 기호가 통합됨에 따라, 그룹화 및 시각적 계층과 같이 지도 판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서체 또는 라벨링: 텍스트는 지도에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특징 인식에 도움이 되지만, 라벨은 효과적이려면 잘 디자인되고 배치되어야 한다.[49]
레이아웃: 지도 이미지는 제목, 범례, 추가 지도,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관련 요소와 함께 (종이, 웹 또는 기타 미디어) 페이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각 요소는 자체 디자인 고려 사항을 가지며, 그 통합은 주로 그래픽 디자인 원칙을 따른다.
5. 지도 제작의 윤리적, 사회적 측면
지도 제작에는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측면도 존재하며, 때로는 의도적인 오류나 왜곡이 포함될 수 있다. 지도는 권력을 가지며, 본질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38]
아프리카의 묘사는 해체주의의 일반적인 대상이다.[39] 지도 제작은 제국주의와 관련된 전략적 목적으로, 아프리카 정복 기간 동안 힘의 도구와 표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40] 지도는 도로, 지형, 천연자원, 정착지 등 기본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아프리카의 제국주의와 식민화를 실질적으로 증진시켰다. 즉, 지도를 통해 잠재적인 상업 루트를 보여주어 유럽 상업을 가능하게 했고, 자원 위치를 묘사하여 천연자원 채취를 가능하게 했다. 또한, 지도는 군사 정복을 가능하게 하고 효율성을 높였으며, 제국 국가들은 이를 이용하여 정복을 과시했다. 이러한 지도는 1884-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와 같이 영토 주장을 공고히 하는 데 사용되었다.[40]
1749년 이전 아프리카 대륙 지도에는 가정하거나 고안된 경계선으로 그려진 아프리카 왕국들이 있었고, 알려지지 않거나 탐험되지 않은 지역에는 동물 그림, 상상 속의 지리적 특징, 설명적인 텍스트가 있었다. 1748년 장 바티스트 부르기뉴옹 다빌(Jean B. B. d'Anville)은 미지의 영토를 나타내는 빈 공간이 있는 최초의 아프리카 대륙 지도를 제작했다.[40]
5. 1. 지도 해체
지도 해체는 지도가 가지는 권력, 편향, 의도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지도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제작자의 의도나 사회적 배경에 따라 특정 관점을 강조하거나 왜곡할 수 있다. 특히, 메르카토르 도법에서 아프리카와 저위도 지역을 묘사할 때 유럽 중심적 시각을 반영한다는 비판을 받는다.[38]17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은 지도를 "인식론적" 이해 방식으로 발전시켰다고 주장된다. "유럽식 지형 지도 재현은 수학적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체계적인 관찰과 측정만이 지도 제작의 진실로 가는 유일한 길이다…"라는 것이 이러한 이해의 한 예시이다.[38]
과학은 진보하며, 이에 따라 더 정확한 지도 표현이 나타난다는 일반적인 믿음이 있다. 이러한 믿음 속에서 유럽 지도는 다른 지도 제작 기술을 사용한 지도보다 우월해야 한다. "부정확하고, 이단적이며, 주관적이고, 가치 판단적이며,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된 이미지들이 숨어 있는 '지도 제작이 아닌' 땅이 있었다. 지도 제작자들은 비순응적인 지도와 관련하여 '타자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켰다."[38]
아프리카의 묘사는 해체주의의 일반적인 표적이다.[39] 해체주의 모델에 따르면, 지도 제작은 제국주의와 관련된 전략적 목적으로, 그리고 아프리카 정복 기간 동안 힘의 도구와 표상으로 사용되었다.[40] 메르카토르 도법에서 아프리카와 저위도 지역의 묘사는 유럽 열강이 집중된 고위도 지역에 비해 해당 지역의 비율이 축소되어 제국주의적이며 지배의 상징으로 해석되어 왔다.[41]
5. 2. 의도적인 지도 오류
일부 지도에는 선전 목적이나 저작권 소유자가 저작권 침해를 식별하기 위한 "워터마크"로 사용되는 의도적인 오류나 왜곡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오류는 주로 존재하지 않거나, 이름이 잘못되었거나, 철자가 틀린 "가짜 도로" 형태로 나타난다.[50] 가짜 도로 외에도 가짜 마을, 허위 항목, 저작권 이스터 에그 등이 의도적인 오류의 예시이다.[51]지도 제작자가 자신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의도적인 오류를 넣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70년대 초 볼더군 지도에 나타난 로키 산맥 대륙 분수령의 허구적인 봉우리인 리처드 산은 제도사 리처드 치아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허구는 2년 후에야 발견되었다.
6. 지도 제작과 현대 기술
현대 지도 제작은 컴퓨터 기술과 융합하여 발전하고 있다. 초기 지도는 붓과 양피지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품질이 일정하지 않았고 배포도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나침반, 자기 기억 장치와 같은 자기 장치의 등장으로 더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 및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인쇄기, 사분의, 버니어캘리퍼스와 같은 기계 장치의 발전은 더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도를 대량 복제할 수 있게 하였다. 망원경, 육분의 등 광학 기술은 지표면을 정확하게 측량하고, 북극성 고도 측정으로 위도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석판 인쇄와 같은 광화학적 발전은 세밀하고 변형이 없으며 습기와 마모에 강한 지도를 만들 수 있게 했다. 이는 지도 제작 및 복제 시간을 단축시켰다.
20세기 중반 이후 전자 기술의 발전은 지도학에 혁명을 가져왔다.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지도 제작을 민주화하고 확산시켰다. 특히 지리 정보 시스템(GIS)은 지리 정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7. 전문 학회 및 학술지
국제지도학회(ICA)는 지도 제작 및 GIS 전문가를 위한 세계적인 기구이다. 영국지도학회(BCS)는 지도 세계를 탐구하고 발전시키는 데 전념하는 영국의 등록 자선 단체이다.[1] 지도제작자협회는 영국에서 실무 지도 제작자를 지원하고 높은 수준의 지도 제작 일러스트레이션을 장려하고 유지하는 단체이다.[2] 지도 제작 및 지리 정보 학회(CaGIS)는 미국에서 지도 및 지리 정보의 이해, 생성, 분석 및 사용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교육 및 실무를 장려하는 학회이다.[3]
지도 제작 및 GIS, GISc 관련 학술지로는 ''International Journal of Cartography'',[4] ''The Cartographic Journal'',[5] ''Cartographica'',[6]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7] 등이 있다.
참조
[1]
논문
A Tale of two obsessed archeologists, one ancient city, and nagging doubts about whether science can ever hope to reveal the past
http://discovermagaz[...]
2011-07-08
[2]
논문
A bird's eye view – of a leopard's spots. The Çatalhöyük 'map' and the development of cartographic representation in prehistory
http://www.dspace.ca[...]
2008-12-02
[3]
서적
A Guide to the prehistoric Engravings in the Italian Maritime Alps, Bordighera
1913
[4]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Cartography in Prehistoric, Ancient and Mediaeval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12-02
[5]
서적
The figured landscapes of Rock-Art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02
[6]
웹사이트
The Nippur Expedition
https://oi.uchicago.[...]
2015-01-14
[7]
서적
Geography and Ethnography: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re-Modern Societies
John Wiley & Sons
[8]
논문
Imago Mundi's Logo the Babylonian Map of the World
[9]
논문
A join to the map of the world: A notable discovery
[10]
웹사이트
History of Cartography
http://au.encarta.ms[...]
[11]
서적
Ptolemy's Geography By Ptole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2]
웹사이트
Geography
http://encarta.msn.c[...]
[13]
서적
Highlights of Astronom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서적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Studies in the Geography of Ancient and Medieval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6]
문서
Woodward, p. 286
[17]
서적
History of the Moorish Empire
1904
[18]
웹사이트
Muhammad ibn Muhammad al-Idrisi.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18-07-27
[19]
논문
Mapping Arabia
http://archive.aramc[...]
2018-07-27
[20]
웹사이트
Globes and Terrain Models – Geography and Maps: An Illustrated Guide
https://www.loc.gov/[...]
2017-12-29
[21]
논문
Between the Sinusoidal projection and the Werner: an alternative to the Bonne
http://journals.open[...]
2018-07-27
[22]
웹사이트
Map Projections in the Renaissance
https://www.press.uc[...]
2007-09-01
[23]
웹사이트
Mercator Projection
https://www.britanni[...]
2018-07-27
[24]
웹사이트
Gerardus Mercator
https://www.britanni[...]
2018-07-27
[25]
웹사이트
Gillis Hooftman: Businessman and Patron
https://www.netpoint[...]
KU Leuven
2023-10-11
[26]
백과사전
The Map and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Cartogra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논문
Worldly Consumer: The Demand for Maps in Renaissance Italy
2011
[28]
논문
Cartography and the Renaissance: Continuity and Change
[29]
논문
The Italian Map Trade: 1480-1650
[30]
논문
Stamped Signs on Manuscripts Maps in the Renaissance
2005
[31]
논문
Techniques of Map Engraving, Printing, and Coloring in the European Renaissance
[32]
논문
Early Modern India and World History
1997
[33]
논문
The Selden Map Rediscovered: A Chinese Map of East Asian Shipping Routes, circa 1619
2013-01-01
[34]
논문
Boundaries and Trade in the Early Modern World: Negotiations at Nerchinsk and Beijing
2010
[35]
웹사이트
Map Imitation
http://www.collectio[...]
[36]
논문
Map projections: A Working Manual
https://pubs.er.usgs[...]
2018-07-27
[37]
논문
A Profession Less Ordinary? Reflections on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Cartography
https://www.research[...]
2015-09-24
[38]
논문
Harley, J. B. (1989). "Deconstructing the Map". Cartographica, Vol. 26, No. 2. pp 1-5
http://quod.lib.umic[...]
2015-03-24
[39]
논문
Imperialism, Colonialism and Cartography
[40]
논문
Cartography and Empire Building in the Nineteenth-Century West Africa
[41]
서적
Rhumb Lines and Map Wars: A Social History of the Mercator Proje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42]
웹사이트
Cartography and Visualization Part I: Types of Maps
https://www.e-educat[...]
[43]
논문
A Uniform Sky Illumination Model to Enhance Shading of Terrain and Urban Areas
2006
[44]
웹사이트
Eduard Imhof (1895–1986)
https://icaci.org/ed[...]
2018-07-27
[45]
서적
Transit Maps of the World
Penguin Books
[46]
서적
The Millennium Problem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47]
웹사이트
3.1 The Cartographic Process GEOG 160: Mapping our Changing World
https://www.e-educat[...]
2019-12-14
[48]
서적
Practical Handbook of Thematic Cartography: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23-10-17
[49]
웹사이트
Using Text on Maps: Typography in Cartography
https://www.drjill.n[...]
[50]
서적
How to Lie with Map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
웹사이트
Openstreetmap.org Copyright Easter Eggs
https://wiki.openstr[...]
2018-12-06
[52]
논문
The disguised pandemic: The importance of data normalization in COVID-19 web mapping
2020-05
[53]
논문
Anmerkungen und Zusätze zur Entwerfung der Land- und Himmelscharten
http://www.kuttaka.o[...]
Im Verlag der Buchhandlung der Realschule, Ber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