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공신은 하늘을 신격화한 존재로, 최고신 또는 창조신으로 묘사되며 우주 만물을 창조하고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인간 생활과 관련이 적어 숭배를 받는 경우는 드물고, "한가한 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한국의 환인, 아프리카, 고대 이집트,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 세계의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천공신이 존재한다. 천공신 신앙은 쇠퇴하는 경향이 있지만, 군주를 천공신의 지상 대리인으로 여기거나 일신교에서처럼 종교적 현실성을 강화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공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천공신 - 하느님
하느님은 한국어로 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하늘에 존칭 접미사 '-님'이 붙은 어원을 가지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기독교의 신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 신화 원형 - 어머니
어머니는 출산이나 입양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모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예술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 신화 원형 - 전설의 생물
전설의 생물은 여러 문화권의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는 실존하지 않는 동물이나 괴물로, 각 문화권의 신화적 배경과 세계관을 반영하며 상징성과 풍유적 의미를 지닌다.
| 천공신 | |
|---|---|
| 하늘 신 | |
| 설명 | 하늘 또는 하늘과 관련된 신 |
| 종류 | 신 정령 천사 다른 존재 |
| 성별 | 남성 또는 여성 |
| 관련 | 날씨 비 번개 천둥 구름 별 달 태양 매 황소 |
2. 개념 및 특징
천공신은 하늘을 신격화한 존재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난다. 주로 최고신, 창조신으로 묘사되며, 우주 만물을 창조하고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10] 대부분의 경우 천공신은 우주의 창조 외에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10] 인간의 생활과 관련되는 일도 적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숭배를 받는 경우가 적다.[10] 이러한 천공신의 성질은 "한가한 신"으로 알려져 있다.[10]
3. 각 문화권의 천공신
3. 1. 한국
환인은 천신이다. 환웅은 환인의 아들이다.
3. 2. 아프리카
콘붐은 음부티의 최고 창조신이자 하늘의 아버지이다. 음잠비 아 음푸응구는 바콩고의 창조신이자, 하늘과 태양의 신이다. 음잠비치는 바콩고의 하늘, 달, 땅의 여신이다. 물룽구는 냠웨지의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와아크는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움벨린가니는 줄루의 하늘 신이다. 우티코는 코이코이의 하늘 신이다. 사마바는 헤이쿰 창조신이자 하늘 신이다. 뎅카는 딩카의 하늘, 비, 풍요의 신이다. 냐메는 아칸의 최고 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올로룬은 요루바의 최고 신이자, 하늘과 천국의 신이다. 상고는 요루바의 하늘 아버지이자 천둥의 신이다. 아마디오하는 이보의 천둥과 번개 신이다. 오살로부아는 베냉의 최고 창조신이자 하늘 아버지이다. 울바리는 광의 하늘 신이다.
3. 3. 고대 이집트
아문은 고대 이집트의 창조와 바람의 신이었다. 안후르는 고대 이집트의 외래 전쟁신이었다.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의 하늘 여신이었다. 호루스는 고대 이집트의 태양, 하늘, 왕, 전쟁의 신이었다. 콘수는 고대 이집트의 달의 신이었다. 메헤트-웨레트는 고대 이집트의 하늘 여신이었다. 누트는 고대 이집트의 하늘 여신이었다. 라는 하늘, 땅,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고대 이집트의 태양신이었다. 슈는 고대 이집트의 공기의 신이었다. 토트는 고대 이집트의 원래 달의 신이었다.
3. 4. 유럽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최고신은 디에우스(Dyēus)였다. 새벽 여신이자 디에우스의 딸인 하우스오스(Hausos)가 있었으며, 달의 신인 메노트(Menot)와 태양의 신인 세울(Seul)이 있었다.
알바니아 신화에서 하늘의 신은 조이즈(Zojz)이며, 태양은 디엘리(Dielli), 달은 헤나(Hëna)이다. 새벽, 금성은 프렌데, 아페르-디타(Prende, Afër-dita)이다. 라트비아 신화의 최고신은 낮 하늘의 신인 디에브스이며, 베요파티스는 다우소스의 신성한 영역을 지키는 바람의 신이다.
켈트족에게 하늘과 산의 신은 라토비우스였으며, 그리스 신 제우스와 아레스에 해당한다. 하늘, 바람, 전쟁의 신은 누아다였다. 바스의 온천 여신인 술리스는 아마도 원래 범켈트 태양 여신이였을 것이다. 치살피네의 비, 하늘 및 우박의 신은 암비사그루스였으며 로마 신 유피테르에 해당한다. 아일랜드의 천둥과 하늘의 신은 투이레안이며, 골 이름 타라니스이다.
게르만 신화에서 봄과 다산의 여신인 에오스트레는 원래 게르만 새벽 여신이였다. 달은 메노, 태양은 소윌로였다. 초기 게르만 하늘 신은 테이와즈였으며, 법, 정의, 그리고 팅 (의회)의 신이기도 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상층 공기의 원시신은 아이테르였다. 아폴론은 태양, 궁술, 예언, 의학, 역병의 신이였으며, 아르테미스는 달, 사냥, 처녀성, 출산의 여신이다. 새벽의 여신은 에오스였으며, 태양의 의인화/티탄은 헬리오스였다. 낮의 원시 여신은 헤메라였다. 공기, 결혼, 여성, 여성의 다산, 출산, 상속자, 왕, 제국의 여신은 헤라였다. 무지개의 여신이자 헤라의 사자는 이리스였다. 밤의 원시 여신은 닉스였다. 달의 의인화/티탄은 셀레네였다. 하늘의 원시신은 우라노스였다. 신들의 왕, 올림포스 산의 지배자, 하늘, 날씨, 법, 질서, 문명의 신은 제우스였다.
로마 신화에서 새벽의 여신은 아우로라(Aurora)였다. 하늘의 의인화는 카엘루스(Caelus)였으며, 그리스 신화의 우라노스(Uranus)에 해당한다. 하늘의 여신, 신들의 여왕, 유피테르의 아내는 유노(Juno)였으며, 그리스 신화의 헤라에 해당한다. 천국의 왕이자 하늘과 날씨의 신은 유피테르(Jupiter)였으며,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에 해당한다. 달의 여신은 루나(Luna)였다. 태양신은 솔(Sol)이였다.
슬라브 신화에서 태양의 신은 다즈보그(또는 스바로크)였다. 바람, 하늘, 공기의 신은 스트리보그였다. 천둥, 번개, 하늘의 신은 페룬이였다. 세 개의 머리가 하늘, 땅, 지하 세계를 나타내는 삼위일체 신은 트리글라프였다. 새벽의 여신은 조랴였다.
에트루리아 신화에서 하늘의 시조신은 아니(Ani)였으며, 그리스 신화의 우라노스와 로마 신화의 카일루스(Caelus)에 해당한다. 하늘의 신은 티니아(Tinia)였다.
3. 5. 아시아
옥황상제(중앙)
자미원 황제(북쪽)
장생대제 - 장수 황제(남쪽)
청화대제 - 푸른 빛을 띤 찬란한 황제(동쪽)
태극천황대제 - 궁극의 하늘 황제(서쪽)
항아 - 달토끼와 함께 사는 달의 여신
상제 - 천상의 황제
천 또는 하늘
희화 - 태양 여신
직녀 - 구름의 베 짜는 여인
''선'' - 하늘과 '천'과 관련된 도교 영혼
'''24천제(天帝)'''
'''28천제(天帝)'''
'''32천제(天帝)'''
'''64천제(天帝)'''3. 5. 1. 중국의 천제
'''24천제(天帝)'''
'''28천제(天帝)'''
'''32천제(天帝)'''
'''64천제(天帝)'''3. 6. 아메리카
3. 7. 오스트레일리아
알트지라(Altjira)는 아렌테의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바이암(Baiame)은 호주 남동부의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빌라(태양)(Bila (sun))는 식인 태양 여신이다. 빈비알(Binbeal)은 무지개의 신이다. 분질(Bunjil)은 쿨린의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다. 다라물럼(Daramulum)은 외다리 에뮤 하늘의 신이다. 누마쿨라(Numakulla)는 창조신 부부이다. 무지개 뱀(Rainbow Serpent)은 많은 원주민 문화에서 물, 비, 무지개와 관련된 창조신이며, 지하 세계와의 연결도 가지고 있다.
3. 8. 기타 지역
4. 천공신 신앙의 쇠퇴와 부활
천상의 지고 존재라는 개념은 보편적이기에, 천공신 신앙은 매우 오래된 기원을 가진다고 추정된다. 애니미즘이나 토테미즘이 지배적인 사회에서도 천공신 신앙은 존재한다. 호주 원주민 종교는 토테미즘이 특징이지만, 다양한 천공신 신앙이 존재한다. 다만, 이 신앙이 종교 생활을 지배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천공신 신앙은 중요성이 쇠퇴하고, 더 구체적이고 역동적인 종교적 힘이나 신들에게 자리를 내준다. 수메르의 천공신 안은 중요한 신이었으나, 역사 초기에는 이미 "한가한 신"이 되었고, 대기의 신 엔릴이 주신이 되었다. 아프리카 곳곳에서 천공신은 지고 존재로 발견되지만, 숭배받는 경우는 드물고, 조상 숭배나 정령 신앙이 종교 생활을 지배한다.
그러나 천공신 신앙이 강화되는 경우도 있는데, 중국이나 몽골 제국처럼 대규모 정치 체제에서 군주를 천공신의 지상 대리인으로 여기거나, 일신교 혁명이 일어난 아후라 마즈다, 야훼, 알라 등이 그 예이다.
5. 현대 사회와 천공신
천공신에 대한 신앙은 매우 오래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애니미즘이나 토테미즘이 지배적인 사회에서도 천공신 신앙은 존재한다. 호주 원주민의 종교는 토테미즘이 특징이지만, 다양한 천공신에 대한 신앙이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천공신 신앙이 종교 생활을 지배하는 경우는 드물며, 호주 동남부와 같이 민족지학적으로 오래된 지역에서 의례와 결부된 천공신 신앙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 천공신 신앙은 중요성이 약화되고, 더 구체적이고 역동적인 종교적 힘이나 신들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수메르의 천공신 안은 가장 중요한 신이었지만, 역사 초기에는 이미 "한가한 신"이 되었고, 대기의 신 엔릴이 주신이 되었다. 아프리카에서도 천공신은 지고 존재로 여겨지지만, 숭배받는 경우는 드물고, 조상 숭배나 정령 신앙이 종교 생활에서 더 지배적이다.
그러나 중국이나 몽골 제국과 같이 대규모 정치 체제에서 군주를 천공신의 지상 대리인으로 여기거나, 일신교 혁명이 일어난 곳의 신들(아후라 마즈다, 야훼, 알라)처럼 천공신이 종교적 현실성을 강화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간행물
Chthonic Deities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12-15
[2]
간행물
Helic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22
[3]
문서
El was identified with the obscure deity [[Yahweh]] in early Hebrew religion, ultimately giving rise to [[God in Judaism|Hebrew monotheism]] by the 7th century BCE; according to the [[Hebrew Bible]] it was 7th-century Judean king [[Josiah]] who removed the statue of Asherah from the temple of Yahweh in Jerusalem. See also ''[[The Hebrew Goddess]]''.
[4]
간행물
The Isneg Farmer
Catholic Anthropologist Conference
1941
[5]
서적
The Kalevala: Epic of the Finnish People. Compiled by Elias Lönnrot. Translated by Eino Friberg.
Otava Publishing Company
[6]
서적
Agricola's Ukko in the light of archeology. A chronological and interpretative study of ancient Finnish religion: Old Norse and Finnish religions and cultic place-names.
[7]
웹사이트
Miten suomalaiset kiroilivat ennen kristinuskoa?
http://www.kielikell[...]
2015-12-27
[8]
서적
Itämerensuomalaisten mytologia
SKS
[9]
서적
Lappische Beiträge zur germanischen Mythologie
Finnisch-Ugrische Forschungen 6
[10]
문서
ミルチャ・エリアーデ
太陽と天空神
[11]
인용
Blackwell Publishing Ltd
[12]
인용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El was identified with the obscure deity [[Yahweh]] in early Hebrew religion, ultimately giving rise to [[God in Judaism|Hebrew monotheism]] by the 7th century BCE; according to the [[Hebrew Bible]] it was 7th-century Judean king [[Josiah]] who removed the statue of Asherah from the temple of Yahweh in Jerusalem. See also ''[[The Hebrew Godd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