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캄차카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차카 반도는 남북으로 약 1,250km, 동서로 최대 450km에 달하는 방추형 모양의 반도로, 캄차카 지방의 일부를 형성한다. 스레딘니 산맥과 동부 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고,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클류체프스카야 산을 비롯한 많은 화산을 품고 있다. 아한대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17세기부터 러시아의 탐험과 지배를 받았으며, 20세기에는 소련의 군사 기지가 주둔하기도 했다.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온천, 화산, 다양한 동식물을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의 지형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캄차카 변경주의 지형 - 오호츠크해
    오호츠크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 태평양 북서부에 위치한 주변부 해역으로 러시아, 일본, 사할린, 쿠릴 열도에 걸쳐 있으며 풍부한 수산 자원과 석유, 천연가스 매장량, 겨울철 해빙, 오호츠크 환류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캄차카 변경주 - 캄차카 시간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의 시간대 중 하나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되며, 2014년 부활 이후 UTC+12를 사용한다.
  • 캄차카 변경주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반도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반도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캄차카반도 남동부 아바차 만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캄차카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서, 군사 및 어업 기지 역할과 캄차카 화산군 중심의 관광 산업이 발전한 곳이다.
캄차카반도
지도 정보
러시아 지도 - 캄차카 지방 (2008-03). 강조된 영역은 북쪽의 일부 본토를 포함하는 캄차카 지방임.
캄차카반도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함. 강조된 지역은 북쪽의 일부 본토를 포함하는 캄차카 지방임.
기본 정보
현지 이름(폴루오스트로프 캄차트카)
위치극동
면적270,000 km²
길이1,250 km
최고봉클류체프스카야 산
해발고도4,750 m
수역오호츠크해/태평양
국가러시아
행정 구역캄차카 지방
수도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인구 밀도0.62명/km²
인구289,033명 (2023년 추정)
행정
속한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캄차카 지방
중심 도시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지리
위치러시아 극동
면적27만 km²
길이약 1,200 km
너비최대 450 km
지형화산 지형이 특징적임
주요 산맥중앙 산맥과 동부 산맥
주요 하천캄차카 강
자연
기후냉대 습윤 기후와 아한대 기후
식생침엽수림, 툰드라
동물불곰, 스라소니, 검은담비, 여우, 순록 등
보호 구역캄차카 화산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주민
인구약 30만 명
주요 민족러시아인, 코랴크인, 이텔멘인, 에벤인
주요 도시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엘리조보
교통
주요 공항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공항
주요 항구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항구
관광
주요 관광지캄차카 화산군, 게이저 계곡, 크로노츠키 호수, 우존 칼데라
기타
시간대캄차카 시간대 (UTC+12)

2. 지리

캄차카 반도는 남북으로 약 1250km, 동서로 최대 450km에 달하는 방추형 모양이다. 남쪽 끝은 로파트카곶이며, 북쪽으로는 파라폴스키 지협을 통해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된다. 반도의 동쪽은 베링해와 북태평양, 서쪽은 오호츠크해에 면해 있으며, 아바차 만에 있는 주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비롯한 주요 항구는 동해안에 집중되어 있다.

정치적으로 캄차카 반도는 캄차카 지방의 일부를 형성한다.

2. 1. 지형

캄차카반도의 지형


캄차카반도는 중앙에 스레딘니 산맥이 뻗어 있고, 동쪽에는 동부 산맥이 있다. 이 두 산맥 사이에는 중앙 계곡이 있다. 캄차카강은 중앙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다가 클류치 근처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우스트-캄차츠크 남쪽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8]

동해안에는 아바차만, 캄차츠키 만 등 여러 만과 반도가 돌출해 있다. 반도 남쪽 끝은 로파트카곶이며, 로파트카 곶 북쪽의 둥근 만은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가 있는 아바차만이다. 태평양 쪽 북쪽으로 시푼스키곶, 크로노츠키곶, 캄차츠키곶, 오제르노이곶 등 4개의 반도가 있다. 오제르노이곶 북쪽에는 큰 카라긴스키만과 카라긴스키섬이 있다. 이 북동쪽에는 틸리치키 마을이 있는 코르파만이 있다.

서해안에는 셸리호프만이 있다. 19세기에 클류치 근처에서 서쪽으로 테길 강과 마을로 이어지는 길이 산을 넘어 있었는데, 이 마을은 서부 해안의 주요 교역소였다. 테길 북쪽에는 코랴크 오크루크가, 테길 남쪽에는 이차강이 있다. 캄차카강 발원지 바로 남쪽에는 비스트라야강이 남서쪽으로 굽어져 볼셰레츠크에서 오호츠크해로 흘러 들어간다. 이곳은 한때 반도와 오호츠크를 연결하는 항구 역할을 했다. 비스트라야강 남쪽으로는 골리기나강이 흐른다.

캄차카 강과 주변 중앙 계곡 양쪽에는 약 160개의 화산대가 있으며, 이 중 29개가 활화산이다. 반도에는 화산과 관련 화산 현상이 밀집되어 있으며, 캄차카 반도의 화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6개 구역으로 나뉘어 등재되어 있다. 캄차카 반도는 "불과 얼음의 땅"으로도 알려져 있다.[8]

클류체프스카야 소프카(4750m)는 북반구에서 가장 큰 활화산이다.[9] 크로노츠키는 화산학자 로버트와 바바라 데커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산으로 꼽힌다.[10]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보이는 코랴크스카야, 아바친스키, 코젤스키는 비교적 접근하기 쉽다. 캄차카 중앙에는 2007년 6월 대규모 산사태로 일부 파괴된 간헐천 계곡이 있다.[11]

쿠릴-캄차카 해구로 인해 깊은 진원 지진과 쓰나미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1737년 10월 16일과 1952년 11월 4일에는 해안에서 규모 ≈9.3과 8.2의 거대 지진이 두 번 발생했다.[12] 2006년 4월에는 일련의 얕은 지진이 기록되었다.[13] 2017년 7월 18일, 니콜스코예 동-남동쪽 해상에서 깊이 10km의 규모 7.7 지진이 발생했다.[14]

캄차카 남부에 있는 오팔라 화산

2. 2. 화산 활동

캄차카 강과 주변 중앙 계곡 양쪽에는 약 160개의 화산대가 있으며, 이 중 29개가 활화산이다. 캄차카 반도는 화산과 관련 화산 현상이 밀집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포함된 19개의 활화산이 있다. 캄차카 반도는 "불과 얼음의 땅"으로도 알려져 있다.[8]

가장 높은 화산은 클류체프스카야 소프카(4750m)로 북반구에서 가장 큰 활화산이다.[9] 많은 화산들이 대칭적인 원뿔형을 가지고 있으며, 크로노츠키는 화산학자 로버트와 바바라 데커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산으로 꼽힌다.[10]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세 개의 화산은 코랴크스카야, 아바친스키, 코젤스키이다. 캄차카의 중앙에는 2007년 6월 대규모 산사태로 일부 파괴된 간헐천 계곡이 있다.[11]

쿠릴-캄차카 해구로 인해 깊은 진원 지진과 쓰나미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1737년 10월 16일과 1952년 11월 4일에는 해안에서 두 번의 거대 지진이 발생했으며, 규모는 각각 ≈9.3과 8.2였다.[12] 2006년 4월에는 일련의 얕은 지진이 기록되었다.[13] 2017년 7월 18일, 니콜스코예에서 동-남동쪽으로 202km 떨어진 태평양에서 깊이 10km의 상당한 규모 7.7 지진이 발생했다.[14]

2. 3. 지진

쿠릴-캄차카 해구로 인해 깊은 진원 지진과 쓰나미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1737년 10월 16일과 1952년 11월 4일에는 해안에서 각각 규모 ≈9.3과 8.2의 거대 지진이 발생했다.[12] 2006년 4월에는 일련의 얕은 지진이 기록되었다.[13] 2017년 7월 18일, 니콜스코예 동-남동쪽 202km 떨어진 태평양에서 깊이 10km의 규모 7.7 지진이 발생했다.[14]

3. 기후

캄차카반도는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북극풍과 차가운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10월부터 5월 말까지 눈으로 덮인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캄차카반도는 일반적으로 아한대 기후(''Dfc'')를 보이지만, 고지대와 북부 지역은 극지 기후(''ET'')를 나타낸다. 캄차카반도는 시베리아 동부보다 훨씬 더 습하고 온화하며, 알류샨 열도의 비가 많이 내리는 아극해양성 기후로 전환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연간 강수량은 최대 2700mm에 달하는데, 이는 동부 러시아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다. 이는 일본해 상공을 지나는 편서풍이 수분을 흡수하여 반도의 높은 지형에 부딪히면서 상승하고 응결되어 비로 내리기 때문이다. 여름은 비교적 서늘하고, 겨울은 다소 폭풍이 심하지만, 번개가 치는 경우는 드물다.[5]

해안과 내륙 간 기후 차이가 크다. 해양성 기후의 영향이 가장 뚜렷한 크로노츠키 반도는 연간 강수량이 2500mm에 달할 수 있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남쪽의 동남부 해안은 연간 1166mm의 강수량을 보이며, 도시 북부보다 남부 지역이 최대 430mm 더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기도 한다. 기온은 매우 온화하여, 여름철 최고 기온은 약 16°C이고 겨울철 최저 기온은 약 -8°C이며, 일교차는 5°C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 57°N 이남 지역은 온화한 겨울과 많은 눈으로 인해 영구 동토가 없지만, 북쪽으로는 불연속 영구 동토가 나타난다. 서해안 평원은 남쪽에서 880mm, 북쪽에서 430mm까지 강수량이 줄어들며, 겨울철 기온은 약 -20°C까지 떨어진다.

캄차카강의 내륙 계곡 (클류치 대표)은 강수량이 450mm 에서 650mm로 적고, 기온이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어 여름에는 19°C, 겨울에는 -41°C까지 떨어진다. 이 계곡의 저지대에는 산발적 영구 동토가 우세하지만, 고지대와 빙하에서는 더욱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55˚N 이북에서는 연속 영구 동토가 우세하다.[6]

다음은 캄차카 반도의 주요 도시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mm)을 나타낸 표이다.

도시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9.8-9.4-7.0-2.61.25.79.310.27.12.6-3.3-7.9
클류치-19-17-14-6161094-2-11-17
도시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11880849064536291111174130109
클류치804341326140677863634375



화산과 빙하는 캄차카반도의 기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온천은 제4기 빙하기 동안 멸종 위기에 놓인 수십 종의 생물을 생존하게 해 주었다.[7]

4. 역사

캄차카반도는 러시아에 발견되기 전에는 추코트카-캄차달족(이텔멘족, 코랴크족, 알류토르족)과 아이누족이 거주했다.

4. 1. 러시아의 캄차카 탐험과 지배

1639년 이반 모스크비틴이 오호츠크해에 도달했으나, 항해 기술 부족과 코랴크족의 저항으로 더 이상의 탐험은 어려웠다.[15][16] 러시아인들은 북쪽에서 캄차카로 진입했는데, 1651년 미하일 스타두킨이 펜지나만에서 오호츠크까지 오호츠크해 해안을 탐험했다. 1667년경부터 남쪽에 캄차카강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 1700년 이전에 러시아인 그룹이 캄차카에서 좌초되어 사망했다.

1695년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가 아나디르스크 사령관이 되었다. 1696년 루카 모로즈코를 남쪽으로 보냈고, 모로즈코는 티길강까지 가서 보고서와 일본어일 것으로 추정되는 글을 가지고 돌아왔다. 1697년~1699년 아틀라소프는 반도 대부분을 탐험하고 베르흐니-캄차츠크에 요새를 건설했으며, 일본인 난파자를 구출해 모스크바로 가서 보고했다. 1699년 베르흐니-캄차츠크의 러시아인들이 코랴크족에게 살해당했고, 1700년 징벌 원정대가 코랴크 마을을 파괴하고 니즈네-캄차츠크를 건설했다. 1703년에는 볼셰레츠크가 건설되었다.

1705년경부터 반도 전체와 펜지나만, 올류토르만 북쪽 코랴크족 영토에서 반란과 토착민 전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아틀라소프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질서 회복을 위해 파견되었으나, 아틀라소프는 1711년 반란자들에게 살해당했다. 1733년에서 1739년 사이 바실리 메를린이 어느 정도 질서를 회복했다. 1756년 이후 큰 저항은 없었다. 1768년~1769년 천연두 유행으로 토착 인구가 급감했다. 1773년 이텔멘족은 약 2,500명이었으나, 1820년에는 1,900명으로 감소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러시아 관습을 받아들였고, 상호 결혼이 많아져 "캄차달"(이텔멘족에 대한 러시아 이름)은 반도에서 태어난 모든 러시아인 또는 혼혈 러시아인을 의미하게 되었다.

4. 2. 러시아 제국 시기 캄차카와 일본과의 관계

1697년, 캄차카 북쪽 축치 반도 근처 아나디리에서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가 이끄는 군대가 캄차카 서해안을 남진하여 캄차달과 전투를 벌였다. 이때 아틀라소프는 캄차달 취락에서 오사카 출신 덴베에를 만났다. 덴베에는 상선을 타고 에도로 가던 중 난파되어 캄차카반도에 표착했다고 한다. 아틀라소프는 덴베에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데려갔고, 덴베에는 일본어 학교 교장이 되었다.[30]

1700년 (겐로쿠 13년), 에도 막부의 명령으로 마쓰마에 번은 勘察加(캄차카반도)를 포함하는 에조 전도와 『마쓰마에섬향장』을 작성했다. 1715년 (쇼토쿠 5년), 마쓰마에 번주는 막부에 "십주도, 당태, 추프카 제1열도, 勘察加(캄차카반도)"는 마쓰마에 번령이라고 보고했다.

1729년 (교호 14년), 사쓰마국의 곤자와 소우자 등 17명이 탑승한 "와카시오마루"가 로파트카 곶 부근 동해안에 표착, 2명 외에는 러시아 측에 살해되었다고 한다. 이들도 일본어 교사가 되었다.

1731년부터 1739년까지 캄차달의 대반란이 일어났으나, 러시아는 으로 반란을 제압했다. 1728년 비투스 베링의 첫 번째 탐험에서 아바차 만이 발견되었고, 1740년 두 번째 탐험대는 아바차 만을 거점으로 삼았다. 1738년 베링의 별동대가 일본을 향한 항로를 조사했고, 일본에서는 겐분의 흑선으로 기록되었다.

1745년 (엔쿄 2년) 온네코탄 섬에 표착한 난부 번 표류민들이 캄차카반도로 보내져 일본어 학교 교사가 되었다.

1771년 캄차카에서 정치범들의 반란이 발생했고, 주모자 모리츠 베뇨프스키는 일본에 러시아의 침략 의도를 경고했다.

1787년 (덴메이 7년) 다이코쿠야 고다유 일행이 캄차카반도에 체류했고, 당시 모습이 『호쿠사 문략』에 기록되었다.[30] 같은 해 라 페루즈 탐험대가 페트로파블로프스크에 기항했다.

1804년 (분카 원년) 일본인 표류민들이 페트로파블롭스크에 도착했고, 일부는 레자노프와 함께 일본으로 귀국했다.

1811년 (분카 8년)부터 1813년 (분카 10년)까지 일본인 표류민들이 캄차카반도에 표착하거나 연행되었다.

1854년 크림 전쟁 중 영불 함대가 페트로파블롭스크를 공격했으나, 러시아군은 요새를 방어하는 데 성공했다. 1855년 일러 화친 조약으로 캄차카반도의 러시아 영유와 에조지의 일본 영유가 확정되었다. 1875년 사할린-쿠릴 열도 교환 조약으로 일러 국경이 슘슈 해협으로 정해졌다.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캄차카반도 앞바다에서의 조업권을 획득했다.

4. 3.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자, 캄차카반도는 극동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18] 1920년 12월, 캄차카반도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러시아 공화국으로 반환되었고, 1922년에는 극동 공화국 자체가 소멸되어 소비에트 연방(소련)에 흡수되었다.

1925년 일소 기본 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은 소련을 승인했고, 소련은 일본의 어업 이권을 인정했다. 그러나 1926년 8월 10일에는 캄차카반도 서안 해상 공해상에서 호라이마루 약탈 사건이 발생했다. 1930년대 이후 일본의 전쟁 확대로 북양 어업이 축소되어 일본의 어업 활동은 자연 소멸했다.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일어난 소련의 대일 참전에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출격 거점이 되었고, 슈무슈 전투에서는 반도 남단의 로파트카 곶에서 슈무슈섬의 일본군 수비 부대를 향해 해협을 넘는 포격이 붉은 군대에 의해 실시되었다.

냉전 시대에 캄차카반도는 미국에 가장 가까운 소련 영토로 군사 지역으로 지정되어 1990년까지 외국인의 입역이 금지되었다.[18] 부동항이자 북서 태평양으로 직접 나갈 수 있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소련 태평양 함대의 중요한 군항이 되었고, 주변에는 군사 기지가 배치되었다. 캄차카반도는 소련 서부에서 발사되는 장거리 미사일(ICBM 및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의 탄착 목표로도 사용되었다.

1983년 9월, 항로 설정 실수로 추정되는 대한민국의 대한항공 여객기가 캄차카반도 상공에서 소련 영공을 침범했고, 사할린 해상에서 소련 방공군에 격추되는 대한항공 격추 사건이 발생했다.

냉전 종결에 따른 미소 관계 개선으로 1990년에 외국인 입역이 해금되었고, 어업 개발 및 화산·자연 관광 등 경제 개방이 진행되었다. 군항 기능의 중심은 빌류친스크에 정비되었고,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시에 외국인 방문이 가능하게 되었다.

4. 4. 러시아 연방 시기

1991년 소련 붕괴와 신생 러시아 연방의 혼란으로 인구 유출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냉전 종결에 따른 미국과 소련의 관계 개선으로 1990년에 외국인의 입국이 허용되었고, 미국과 일본으로부터의 국제 전세기가 운항하게 되면서 어업 개발 및 화산·자연 관광 등 경제 개방이 진행되었다. 군항 기능의 중심은 다시 폐쇄 도시로 지정된 아바차 만 내의 빌류친스크에 정비되었고,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 시에 외국인 방문이 가능하게 되었다.[18]

2001년에 취임한 블라디미르 푸틴대통령에 의해 지역 진흥이 추진되었다. 그에 앞선 1996년에는 캄차카의 화산군이 세계 유산 (자연 유산)에 등록되었고, 2007년에는 인구가 특히 적은 반도 북부의 코리야크 자치관구캄차카주에 통합되는 행정 개편이 실시되어, 반도 전역이 캄차카 지방에 속하게 되었다.

캄차카 지방 정부는 이 화산군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 리조트 시설 "3개의 화산"을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 남서쪽에 정비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5. 동식물

캄차카는 다양한 기후와 지형, 풍부한 수자원, 낮은 인구 밀도 등으로 인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2013년 조류 번성으로 둘러싸인 캄차카반도
캄차카는 세계 최남단의 북극 툰드라 지역을 자랑하지만, 해양 자원의 상업적 착취와 모피 사냥으로 인해 여러 종이 피해를 입었다.

5. 1. 동물

캄차카는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다양한 기후, 지형, 많은 강, 생산성이 높은 북서 태평양, 베링해, 오호츠크해에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낮은 인구 밀도와 최소한의 개발도 야생 동물의 다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여름의 캄차카 불곰


캄차카는 특히 불곰의 풍부함과 크기로 유명하다. 크로노츠키 자연 보호 구역에는 100km2당 3~4마리의 곰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다른 육식동물로는 툰드라 늑대, 북극여우, 붉은여우, 스라소니, 울버린, 담비, 수달, 족제비 등이 있다. 대형 유제류로는 눈양, 순록, 말코손바닥사슴 등이 서식한다. 설치류 및 토끼류로는 산토끼, 마멋, 레밍, 다람쥐 등이 있다.

조류로는 스텔러 바다 독수리[23], 황금 독수리, 등이 서식한다.

캄차카는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연어류 어종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모든 6종의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태평양 연어(왕연어, 은연어, 개연어, 산천어, 연어, 홍연어)를 포함한다. 생물학자들은 모든 태평양 연어의 5분의 1이 캄차카에서 기원한다고 추정한다.[24] 쿠릴 호수는 유라시아에서 홍연어의 가장 큰 산란장으로 인정받고 있다.[25]

범고래, 돌고래, 혹등고래, 향유고래, 긴수염고래, 귀신고래, 북태평양 오른쪽 고래, 북극고래, 부리고래, 밍크고래 등 다양한 고래류가 서식한다.

기각류 중에는 스텔러바다사자, 북부물개, 점박이물범, 참물범이 풍부하게 서식한다. 더 북쪽에서는 바다코끼리수염고래가 태평양 쪽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리본바다표범은 카라긴스키만의 얼음 위에서 번식한다. 해달은 주로 반도 남단에 집중되어 있다.

바닷새에는 바다오리[26], 풀머갈매기, 바다갈매기, 바다꿩, 가마우지 등이 있다.

5. 2. 식물

캄차카는 다양한 식물이 풍부하게 분포한다. 변화무쌍한 기후는 툰드라와 머스크그가 주를 이루는 다양한 식생을 보이며, 풀, 꽃이 피는 관목, 소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버드나무 숲 등이 나타난다. 캄차카 반도 전역에 퍼져 있는 다양한 식물은 이를 섭취하는 동물 종의 다양성 또한 촉진한다. 캄차카는 대부분 툰드라 지역이지만, 활엽수와 침엽수가 풍부하며, 숲은 반도 전역에서 발견된다.

6. 민족

캄차카반도의 원주민으로는 축치-캄차카어족에 속하는 코랴크족(북부), 이텔멘족(캄차달이라고도 함. 중부~남부), 에벤족(중부 내륙), 아이누(남단부 쿠릴 아이누) 등이 있다.[34] 러시아 제국의 이주 활동, 소련의 군사 기지 강화 등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에서 이주가 진행되어 20세기에 원주민 인구 비율이 급속히 감소했다.[34]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캄차카 지방의 민족 구성비는 러시아인 85.9%, 슬라브계 전체 90% 이상이며, 원주민 중 최다인 코랴크인이 2.3%, 이텔멘인이 0.8%이다.[34]

7. 관광

캄차카반도는 온천, 광천, 화산, 빙하 및 다양한 동식물 등 때묻지 않은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다. 스포츠 낚시, 고산 관광, 헬리스키, 스노보드, 개썰매, 서핑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8]

8. 기타

과거 일본어 번역에서는 "캄차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많았다. Камчатка|캄차카ru를 현대 가타카나 표기의 일반적인 예에 따라 표기하면 "캄차토카" 또는 "캄차트카"가 되지만, 일본어에서는 관습적인 "캄차츠카"나 "캄차카"라는 표기가 더 많이 사용되어 현재에도 이러한 표기가 쓰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옛날에는 "캄사츠카"(''감찰가'')라고 표기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23 г.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3-02-21
[2] 간행물 Ошибка в географии http://www.bykasov.c[...] 1991
[3] 웹사이트 Kamchatka Peninsul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2-20
[4] 웹사이트 Kamchatka Peninsula http://www.kamchatka[...] Government of Kamchatskiy Kray 2014-10-17
[5]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http://www.pogodaikl[...] Pogodaiklimat.ru 2018-06-19
[6] 웹사이트 Sistema de Clasificación Bioclimática Mundial http://www.ucm.es/in[...] Ucm.es 2018-06-19
[7] 웹사이트 Climate of Kamchatka peninsula http://www.travelkam[...] 2011-03-13
[8] 웹사이트 Volcanoes of Kamchatka https://whc.unesco.o[...] UNESCO 2008-02-20
[9] 웹사이트 Press Releases – Public Affairs Office –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http://www.nottingha[...] Nottingham.ac.uk 2018-06-19
[10] 웹사이트 World Heritage Nomination - IUCN Summary Volcanoes of Kamchatka (Russia) https://whc.unesco.o[...] 2021-08-28
[11] 웹사이트 Natural Wonder of the World Transformed within Hours, says World Wildlife Fund http://www.earthtime[...] earthtimes.org 2008-02-20
[12] 웹사이트 The 4 November 1952 Kamchatka Earthquake and Tsunami http://www.bom.gov.a[...] Australian Government Bureau of Meteorology 2008-02-20
[13] 웹사이트 Magnitude 7.6 – Koryakia, Russia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2008-02-20
[14] 웹사이트 M 7.7 – 202km ESE of Nikol'skoye, Russi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8-01-30
[15] 서적 One whaling family Boston, Houghton Mifflin 1964
[16] 서적 History of the American Whale Fishery from Its Earliest Inception to the year 1876 Castle
[17] 학술 Cambridge Journals Online – Polar Record – Abstract – Carl von Ditmar, 1822–92:a geologist in Kamchatka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7-06
[18] 뉴스 Lenin confesses purpose to disturb America and Japan https://www.nytimes.[...] 2021-11-22
[19] 웹사이트 Environmental disaster in Kamchatka, Russia https://www.greenpea[...]
[20] 웹사이트 Russia’s Environmental Disasters in 2020, October https://www.themosco[...]
[21] 학술 Space Study of a Red Tide-Related Environmental Disaster near Kamchatka Peninsula in September–October 2020 2021
[22] 웹사이트 Кроно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биосферный заповедник, Долина Гейзеров. Туры по Камчатке с камчатской туристической компанией http://www.kamchatka[...] www.kamchatkatravel.net 2008-07-14
[23] 웹사이트 Haliaeetus pelagicus 2024-01-09
[24] 웹사이트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Pacific Salmon Fishing in Kamchatka http://data.iucn.org[...] WWF Russia, IUCN 2012-08-14
[25] 웹사이트 Discovering Kamchatka: Terrestrial and aquatic fauna http://www.rgs.org/W[...]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2-08-14
[26] 서적 The Life of Birds." BBC publication.
[27] 웹사이트 skiing Kamchatka https://www.freeride[...] 2021-11-08
[28] 웹사이트 Хели-ски https://visitkamchat[...] 2021-11-08
[29] 서적 オホーツクの古代史 平凡社新社
[30] 서적 北槎聞略・大黒屋光太夫ロシア漂流記 岩波書店
[31] 뉴스 中国・ロシアが開発する極超音速機──アメリカは衛星探知網を実現できるか?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20-01-21
[32] 뉴스 カムチャッカ半島に「自然リゾート」地元政府、コロナ後にらむ 2020-12-07
[33]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34]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全ロシア2010年国勢調査)(ロシア語) https://www.gks.ru/f[...] ロシア連邦政府統計局 2019-10-06
[35] 간행물 null National Geographic 20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