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프랑스가 지배했던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현재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를 포함한다. 프랑스는 1850년대부터 군사적 개입을 시작하여 베트남을 식민화했고, 이후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보호령으로 삼아 식민 제국을 건설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코친차이나, 안남, 통킹, 라오스, 캄보디아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랑스 총독의 지배를 받았다.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점령을 거쳐, 2차 대전 이후 베트남 독립을 위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고,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식민제국 - 멕시코 제2제국
    멕시코 제2제국은 1864년부터 1867년까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1세가 황제로 즉위하여 세워졌으나, 3년 만에 붕괴된 제국이다.
  • 프랑스 식민제국 -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는 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프랑스가 북아프리카 지역에 설치했던 식민지 및 보호령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를 포함하고, 튀니지와 모로코는 1956년에, 알제리는 1962년에 독립했다.
  • 프랑스 제4공화국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프랑스 제4공화국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프랑스 제2제국 - 솔페리노 전투
    1859년 솔페리노에서 벌어진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의 대규모 전투는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앙리 뒤낭에게 영향을 주어 국제 적십자 위원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 프랑스 제2제국 - 병인양요
    병인양요는 1866년 프랑스가 조선의 천주교 박해를 명분으로 개항과 이권 획득을 시도하며 강화도를 침략했으나, 조선군의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고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한 채 철수하여 쇄국정책을 강화하고 외세와의 갈등을 심화시킨 사건이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인도차이나 연방
다른 이름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동양 속 프랑스
원어 명칭프랑스어: Union indochinoise
베트남어: Liên bang Đông Dương
크메르어: សហភាពឥណ្ឌូចិន
라오어: ສະຫະພາບອິນດູຈີນ
중국어 간체: 印度支那联邦
중국어 번체: 印度支那聯邦
약칭불인 (仏印)
공통 명칭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위치동남아시아
정치 체제프랑스 식민 제국 연방 (1887–1949)
종속 관계프랑스 식민 제국
지위프랑스 연합의 연합 국가 (1949–1954)
영역737,000 제곱킬로미터
존속 기간1887년–1954년
수도사이공 (1887–1902, 1945–1954)
하노이 (1902–1945)
국가 모토자유, 평등, 박애
국가라 마르세예즈
구성원통킹
안남
코친차이나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광저우완
사용 언어프랑스어 (공식)
베트남어
타이보이 (피진 프랑스어)
아카어
아렘어
참어
까오란어
브라오어
바나르어
브루어
라데어
자라이어
스티엥어
므농어
코호어
다이담어
차오저우어
크메르어
라오어
광둥어
태국어
캄므앙어
종교불교
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베트남 민간 신앙
까오다이교
호아하오교
타이 민간 신앙
힌두교
이슬람교
바하이 신앙
기독교
통화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르
남베트남 동 (1953년부터)
현재 국가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중국
 잔장
역사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설립1862년 10월 17일
라오스 추가1899년 4월 19일
광저우완 추가1900년 1월 5일
일본 점령1940년 9월 22일
태국-프랑스 전쟁1940년 10월 – 1941년 5월
최초 해체1945년 3월 9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선포1945년 9월 2일
재수립1945년 9월 13일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 12월 19일
최종 해체1954년 7월 21일
이전 국가안남 보호령
통킹 보호령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캄보디아 보호령
십송쩌우타이
청나라
라오스 보호령
광저우완 조차지
참파삭 왕국
라따나꼬신 왕국
캄푸치아 왕국 (1945년)
라오잇사라
태국
다음 국가태국
베트남 제국
캄보디아 왕국 (1945년)
루앙프라방 왕국 (일본 괴뢰국)
광저우완 조차지
일본 제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국
캄보디아 왕국 (1953–1970)
라오스 왕국
프랑스 연합
인구
1900년15,164,500명
1937년23,300,000명
민족 (1936년)베트남인 72%
크메르인 13%
태국인 (태국인, 라오인, 따이인, 타이인, 눙인 등) 6%
중국인 및 기타 아시아인 (바나르인, 참인, 몽인, 야오인, 크무인 등) 1.4%
유럽인 (프랑스인, 독일인, 유대인) 0.2%
기타 (네그리토 (라데인, 자라이인, 므농인, 스티엥인, 흐레인 등), 아랍인, 서아프리카인 등) 7.3%
역대 총독
초대 총독장 앙투안 에르네스트 콘스탕 (1887–1888)
마지막 총독앙리 오프노 (1955–1956, 총독 위원으로서)

2. 역사

나폴레옹 3세쿠데타(1851년)로 황제에 즉위한 뒤, 동아시아 진출을 통해 프랑스를 강대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프랑스의 문명을 전파해야 한다는 사상도 작용했으며, 결국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으려는 목적이었다.

1858년 프랑스 해군리고 드 주누이 제독의 지휘 아래 다낭과 사이공을 점령하며 베트남 침공을 시작했다.[236] 1862년 뜨득 황제가 항복하고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면서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프랑스 통치 하에서 응우옌 왕조는 명목상의 권한만 가졌고, 베트남의 독립 운동은 무력 투쟁 대신 유럽의 선진 문물을 배우는 동유 운동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점차 급진적인 민족 운동으로 변화하여 프랑스 당국의 압력을 받았다. 함응이 황제 등의 저항은 19세기 말 대부분 진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군의 방위력이 약해지자, 주이떤 황제는 베트남 광복회의 반란 계획에 호응했으나(1916년) 실패하고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 육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주했고, 비시 프랑스는 일본과 협력했다.[240] 바오다이 황제는 일본군에 협력했고, 1945년 3월 일본군이 프랑스군을 제압하면서 베트남 제국이 수립되었지만, 일본 제국의 패전과 '베트남 8월 혁명'으로 응우옌 왕조는 멸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베트민과의 갈등으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일으켰다. 1949년 베트남국을 수립했지만, 전쟁은 계속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230][231] 결국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인도차이나 3국의 독립이 승인되면서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연방은 해체되었다.[231][232]

제네바 회담에서 베트남 민주공화국과 프랑스 간의 제네바 협정이 체결되면서 베트남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미국과 남베트남은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고, 응오딘지엠은 전국적 선거를 거부했다. 프랑스는 철수하고, 바오다이 정권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남부를 통치했다. 응오딘지엠은 1955년 바오다이를 축출하고 공화국을 수립했다.

1954년 인도차이나

2. 1.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개입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가 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하지 않으면 2류 국가로 전락할지도 모른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또한 프랑스가 문명화된 서구 문화를 전파해야 할 임무를 띠고 있다는 사상이 퍼져 있었다. 결국 프랑스의 베트남 진출은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으려는 목적이었다.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는 영국과 연합하여 제2차 아편 전쟁을 치르는 한편, 인도차이나에 프랑스 식민지를 구축하기 위한 단계들을 밟아 나갔다. 1857년 스페인의 호세 마리아 디아스(San Jose María Díaz Sanjurjoes) 신부가 살해되자(→Thomasian Martyrs)[235], 그는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에 대한 베트남의 박해에 응징하고 베트남 조정에 프랑스군의 베트남 주둔을 강요하고자 전쟁의 개시를 승인(1858년)하였다. 이로써 베트남과 프랑스는 전쟁에 돌입하였다(1858년).

프랑스 해군리고 드 주누이 제독 지휘하에 다낭과 사이공을 점령(각각 1858년 9월 1일과 1859년 2월 17일)하였다. 사이공의 점령은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지화의 시작이었다.[236] 그리고, 프랑스 해군은 남부 베트남의 요충지에서 베트남군을 패퇴시켰다. 프랑스는 1861년에는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하였다. 1862년 뜨득 황제는 항복하고 만다.

프랑스와 베트남 간에는 불평등 내용을 담은 사이공 조약을 체결하고 전쟁은 종결되었다.(→베트남-프랑스 전쟁) 사이공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약 내용
남부 베트남의 비엔호아성·자딘성[237]·딘뜨엉성(Định Tườngvi) 3개 성[238]을 할양한다.
베트남은 프랑스에게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지불한다.
프랑스의 전함이 메콩강을 자유 항해하는 것을 허용한다.[239]
프랑스의 베트남 내에서의 자유로운 가톨릭 포교 특권을 인정한다.
3개의 항구를 프랑스와의 무역을 위해 개항한다.
베트남이 다른 나라와 교섭할 때 프랑스 황제의 동의를 받도록 한다.(↔베트남-프랑스 관계·응우옌 왕조)


2. 2. 베트남의 독립 운동

함응이 황제는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나 1888년 11월에 체포되어 알제리로 유배되었고, 존실설은 청나라로 망명하였다.[196][206] 판딘풍과 까오반탕은 베트남 북중부의 게안성, 하틴성, 타인호아성, 꽝빈성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며 근황독립운동의 선구자가 되었고,[206] 호안호아탐은 북부 박장성을 거점으로 예테 봉기를 일으켜 하노이를 여러 차례 위협했다.[207] 그러나 이들의 저항은 19세기 말에 대부분 진압되었다.

이후 베트남의 독립 운동은 무력 투쟁에서 벗어나, 유럽의 선진 문물과 사상을 배워 근대화를 이루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 유학을 통해 베트남 근대화를 꾀하는 동유 운동으로 이어졌다. 동유 운동은 점차 급진적인 민족 운동으로 발전하여 프랑스 당국의 탄압을 받았다.

1904년에는 판보이쩌우와 꾸웬데가 중심이 되어 베트남 유신회를 결성했다.[208] 판보이쩌우는 다음 해 일본을 방문하여 독립 지원을 요청했지만,( 동유 운동 )[208] 일본은 프랑스와의 충돌을 우려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 판보이쩌우1909년 일본에서 추방된 후, 1912년 광둥성에서 베트남 광복회를 결성했다.[209] 한편, 판쭈찐은 폭력 혁명과 외세 의존에 반대하고, 국민 교육과 프랑스의 민주주의 사상에 호소하여 국토를 해방하려 했다.[210]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이 발발하자 프랑스군의 방위력이 약화되었고, 1916년 5월 2일 판보이쩌우가 조직한 베트남 광복회의 반란 계획에 주이떤 황제가 호응하여 후에 왕궁을 탈출했다.[196] 그러나 이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했고, 주이떤 황제는 아버지 타인타이 황제와 함께 아프리카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었다.[196]

1919년, 호찌민은 안남 애국자 협회를 조직했다. 1930년 2월, 영국령 홍콩에서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설립했다.[211][212] 같은 해 2월, 옌바이성에서 응우옌타이혹 등 베트남 국민당이 옌바이 봉기를 일으켰고,[211] 게안성과 하틴성에서 게틴 소비에트 봉기가 일어났다. 1939년, 인도차이나 식민지 정부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탄압했다.[213]

2. 3. 일본군의 진주와 응우옌 왕조의 멸망

제2차 세계 대전이 격화되면서, 일본 제국 육군은 중일전쟁에서 중국국민당의 중화민국으로 물자를 수송하는 길을 차단하기 위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북부에 진주할 필요성을 느꼈다.[240] 1940년 프랑스독일에 항복하자, 비시 프랑스가 임명한 장 드꾸(Jean Decoux) 제독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는 일본과 협력하여 일본군의 베트남 주둔을 허용하는 조약에 서명했다.[240] 이에 따라 1940년 일본군은 베트남 북부에, 1941년에는 남부에 진주했다. 바오다이 황제는 프랑스와 적대하는 일본군에 협력했다.

일본군은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5년 3월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와 공존했다. 그러나 1945년 3월 프랑스 비시 정권이 몰락하자, 일본군은 명호 작전(明号作戰)을 실행하여 프랑스군을 제압하고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로써 일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베트남 제국이 수립되고, 바오다이는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의 패전과 그 직후의 '베트남 8월 혁명'으로 바오다이는 퇴위하고, 143년간 베트남을 통치했던 응우옌 왕조는 멸망했다. 이후 호찌민( Hồ Chí Minh|호지명vi )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베트남-일본 관계, 베트남 제국)

2. 4.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베트민과의 갈등 속에서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재확립하려 했다. 베트민은 호찌민이 이끄는 공산주의와 베트남 민족주의 세력의 연합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은 일본에 대한 저항에서 베트민을 지원했으며, 베트민은 1945년 3월 프랑스가 물러난 이후 시골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101][102][103][104]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제1 외국군 공수 중박격포 중대 대원들


호찌민은 8월 혁명을 통해 바오다이 황제를 퇴위시키고, 1945년 9월 2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9월 말, 영국군, 프랑스 자유군 병사, 그리고 포로로 잡힌 일본군이 프랑스의 통치를 회복시켰다. 호찌민은 자치권을 얻기 위해 프랑스와 협상에 동의했지만, 1946년 퐁텐블로 협정은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내놓지 못했다.

호찌민과 그의 정부가 산림과 산악 지대로 들어가면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시작되었다. 1949년 프랑스는 하롱베이 협정을 통해 베트남의 명목상 독립을 인정했다.[2] 같은 해, 프랑스는 호찌민에 대한 정치적 대안으로 베트남국 수립을 지지했고, 전 황제 바오다이가 다시 권력을 잡았다. 베트남국, 라오스 왕국, 캄보디아 왕국은 프랑스 연방의 준회원국이 되어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았다.[153][154]

전쟁 초기 몇 년 동안은 프랑스에 대한 저강도 농촌 게릴라전이 벌어졌다. 1949년 이 갈등은 미국, 중국, 소련이 공급한 현대식 무기로 무장한 두 군대 간의 정규전으로 바뀌었다.[149] 프랑스 연방군에는 식민 제국 출신의 식민군(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아랍/베르베르인, 라오스인, 캄보디아인, 베트남 소수 민족, 흑인 아프리카인)과 프랑스 정규군, 유럽 자원병, 외인부대 부대가 포함되었다. 전쟁이 국내에서 더욱 인기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프랑스 정부는 본토 출신 신병의 사용을 금지했다. 프랑스 좌파들은 이 전쟁을 "더러운 전쟁"(''la sale guerre'')이라고 불렀다.[150]

1950년은 전쟁의 전환점이었다. 호찌민 정부는 중국과 소련으로부터 인정을 받았고, 마오쩌둥 정부는 호찌민 군대에 후퇴 지점과 풍부한 무기를 제공했다. 1950년 10월 프랑스군은 4번 국도 전투에서 첫 번째 대패를 당했다. 프랑스군의 후속 노력은 단기적으로 상황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을 뿐이었다. 바오다이의 베트남국은 약하고 불안정한 정부임이 판명되었고, 노로돔 시하누크의 캄보디아는 1953년 11월 독립을 선포했다. 라오스는 1953년 10월 독립했고, 베트남국은 1954년 6월 4일 독립했다.[153][154] 전투는 1954년 5월까지 계속되었고,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대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946년 프랑스군[227]은 코친차이나 식민지를 코친차이나 공화국으로 분리한[221] 후, 안남과 통킹에 있는 베트민을 제압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221] 초기 하노이 등 도시 지역을 점령했던 베트민군은 농촌과 산악 지대[228]로 후퇴하여 게릴라전을 벌였다.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1949년 프랑스가 지원하는 베트남국이 수립되었다.[228][229]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은 베트민군에 대한 군사 원조를 활발하게 하였고, 강화된 베트민군은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230][231]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는 제네바 협정에서 인도차이나 3국의 독립을 승인했고,[231][232]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연방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2. 5. 제네바 협정과 베트남 분단



1954년 7월 21일, 제네바 회담에서 베트남 민주공화국과 프랑스 간의 제네바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에는 인도차이나의 영토 보전과 주권 존중,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재확인, 적대 행위 및 인도차이나 내정에 대한 외세 개입 중단 선언, 그리고 상대 진영 군대가 철수할 남북 지역 구분 등이 포함되었다. 협정은 1956년 7월 국제 감독 하에 자유 선거를 실시하여 통일을 달성하도록 규정했다.[5]

이 회담에서 프랑스는 공산주의 베트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함으로써 베트남이 사실상 두 개의 국가로 분할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미국과 남베트남은 제네바 협정을 거부하고 서명하지 않았다. 남베트남 총리 응오딘지엠은 협정에서 제안된 전국적 선거를 거부하고, 공산주의 북부에서는 자유 선거가 불가능하며 자신의 정부는 제네바 협정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프랑스는 철수하여 북부를 공산주의자들에게 넘겨주었고, 바오다이 정권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남부를 통치했다. 응오딘지엠은 1955년 바오다이를 축출하고 자신이 이끄는 공화국을 수립했다.

1954년의 사건들은 미국의 베트남 개입과 그에 따른 베트남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라오스캄보디아도 1954년에 독립을 쟁취했지만, 모두 베트남 전쟁에 휘말렸다.

제네바 협정은 프랑스 연합이 남베트남에서 군대를 철수해야 한다고 명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응오딘지엠 정부는 프랑스 연합에 군대 철수를 요청했고, 1955년 12월 9일 남베트남은 프랑스 연합에서 탈퇴했다.

3. 통치 지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통치 지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다음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프랑스는 남중국해 제도(스프래틀리 제도(남사군도)·파라셀 제도(서사군도))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1887년 10월 17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이 수립되면서 베트남코친차이나, 안남, 통킹이 연방에 포함되었고, 1893년 프랑스-시암 위기 이후 라오스가 추가되었다.[195] 1863년부터 프랑스의 보호국이 된 캄보디아1887년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

3. 1. 베트남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가 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고,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1858년 프랑스는 스페인 신부 살해와 로마 가톨릭 선교사 박해를 명분으로 베트남을 침공했다.[235] 프랑스 해군리고 드 주누이 제독의 지휘 아래 다낭과 사이공을 점령했다.[236]

1862년 뜨득 황제가 항복하고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면서 전쟁은 끝났다.(→베트남-프랑스 전쟁)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약 내용
남부 베트남의 비엔호아성, 자딘성,[237] 딘뜨엉성[238] 3개 성을 프랑스에 할양
프랑스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 지불
프랑스 전함의 메콩강 자유 항해 허용[239]
프랑스의 베트남 내 자유로운 가톨릭 포교 특권 인정
3개 항구 개항
베트남의 대외 교섭 시 프랑스 황제 동의 필요 (↔베트남-프랑스 관계·응우옌 왕조)



이후 프랑스는 베트남 지역을 코친차이나, 안남, 통킹으로 나누어 통치했다. 1886년 안남과 통킹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고, 형식적으로는 응우옌 왕조의 수도인 후에의 대남 궁정이 중부 안남을 통치하고 대남이 임명한 경략안무사가 북부 통킹의 행정을 총괄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총독이 실질적으로 지배했다.

청불 전쟁(1884~85년)에서 프랑스가 승리하면서 베트남 북부 통킹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했다. 1887년 10월 17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이 수립되면서 안남, 통킹, 코친차이나가 연방에 포함되었다.

3. 1. 1. 코친차이나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가 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고,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1858년 프랑스는 스페인 신부 살해와 로마 가톨릭 선교사 박해를 명분으로 베트남을 침공했다.[235] 프랑스 해군리고 드 주누이 제독의 지휘 아래 다낭과 사이공을 점령했다.[236]

1862년 뜨득 황제가 항복하고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면서 전쟁은 끝났다.(→베트남-프랑스 전쟁)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약 내용
남부 베트남의 비엔호아성, 자딘성,[237] 딘뜨엉성[238] 3개 성을 프랑스에 할양
프랑스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 지불
프랑스 전함의 메콩강 자유 항해 허용[239]
프랑스의 베트남 내 자유로운 가톨릭 포교 특권 인정
3개 항구 개항
베트남의 대외 교섭 시 프랑스 황제 동의 필요 (↔베트남-프랑스 관계·응우옌 왕조)



메콩강 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한 지역으로, 프랑스군이 최초로 점령, 통치했다.

19세기 프랑스 식민 제국은 베트남에 깊숙이 개입했다. 프랑스의 개입은 종종 베트남 내 파리 외방 전교회의 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응우옌 왕조는 가톨릭 선교사들을 정치적 위협으로 인식했다.[6]

1858년 프랑스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으로 다낭을 공격했다.[7] 스페인이 제공한 병력을 포함하여 3,300명의 병력과 14척의 프랑스 군함이 항구를 공격하여 도시를 점령했다.[8]

1859년 사이공을 점령했으나, 도시 방어선 밖의 영토는 점령할 수 없었다.[7][9] 1861년 프랑스는 추가 병력을 투입하여 메콩 삼각주의 도시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1862년 베트남은 항복하고 사이공 조약을 체결했다.[10][11][12]

1864년 프랑스에 할양된 3개 성은 공식적으로 코친차이나 프랑스 식민지로 구성되었다. 1867년 프랑스는 주덕, 하티엔, 빈롱 3개 성을 추가로 할양받아 베트남 남부 전체와 메콩 삼각주를 통제하게 되었다.[11]

1858년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 선교사단 보호를 목적으로[182] 원정군을 파병했다. 원정군은 먼저 다낭에 상륙한 뒤 사이공으로 이동했다.[183]

1861년 프랑스 함대가 다시 사이공에 상륙하여 코친차이나 일대를 점령했다.[184][185] 1862년 프랑스와 응우옌 왕조는 제1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했다.[183] 대남은 코친차이나 동부 3성(빈호아 주변)・자딘성(현재 호찌민 주변)・(미토 주변)[183], 꼰선섬(그랑-콩도르섬)을 할양하고, 다낭(투란) 개항, 전교의 자유, 캄보디아에 대한 자유 통행권 등을 인정했으며, 이것이 코친차이나 식민지의 시작이 되었다.

1867년 프랑스는 동부 3성의 안보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서부 3성을 공략[186]하고, 이를 식민지로 선포했다.[187] 이 코친차이나 6성과 그랑-콩도르섬이 코친차이나 식민지[186]이다.

3. 1. 2. 안남

응우옌 왕조의 수도인 후에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다. 현재의 중부 베트남보다는 더 넓은 지역이며, 프랑스에 종속되어 있었다. 1886년, 안남은 프랑스 외무부의 관할 아래 프랑스의 보호령[193]이 되었다. 형식적으로는 중부 안남은 순화의 대남 궁정이 통치하는 형태였지만,[197] 실제로는 안남에 배치된 프랑스 총독이 실질적으로 지배했다. 이는 명목상의 보호국 형태를 남긴 교묘한 지배 방식이었다.

3. 1. 3. 통킹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하는 베트남 북부 지역이다. 마 강을 경계로 안남과 맞닿아 있었고, 프랑스 점령기 초기 때 청군이나 군벌 시대와 프랑스군의 군사적 충돌이 주로 일어났던 지역이기도 하다. 하노이에 정청이 설치되었다.

1882년 프랑스군이 통킹 지역을 점령하면서 1883년의 제1차 훼 조약(알망 조약, 계미조약)[193]과 1884년의 제2차 훼 조약(파트노트르 조약, 갑신조약)[193]에 따라 베트남이 보호령화[194][195](프랑스 보호령 통킹, 프랑스 보호령 안남)되었다. 이로 인해 대남(大南)의 종주국인 의 개입을 불러 청불전쟁이 발발했다.[193][194] 프랑스군은 통킹 각지에서 청군과 싸우는 한편, 해군이 복건과 타이완 등 청의 연안부를 공격했기[196] 때문에, 청은 1885년 톈진 조약에 따라 대남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다.[196]

1886년, 순화에 대남 궁정을 둔 채 안남과 통킹은 프랑스의 보호령[193]이 되었고, 프랑스 외무부의 관할 아래 폴 베르가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97] 남부 코친차이나(코친친)는 프랑스의 직할지였고, 순화의 대남 궁정이 중부 안남을 통치하며, 대남이 임명한 경략안무사가 북부 통킹의 행정을 총괄하는 형태였지만,[197] 모두 형식에 불과했고, 실제로는 안남과 통킹에 배치된 프랑스 총독이 실질적으로 지배했다.

3. 2. 라오스

1893년 프랑스-시암 위기 이후 라오스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추가되었다.[195]

25px
루앙프라방 왕국(현재 라오스 북부)

25px
참파삭 왕국(현재 라오스 남부)

1872년경부터 라오스는 여러 칭호족(홍기군, 黃旗軍|황기군중국어, 조기군, 흑기군)의 침략을 받았다(호 전쟁). 1887년 6월, 刁文持(チョウ文持)가 이끄는 칭호족의 공격으로부터 루앙프라방 왕국의 국왕 운캄(Oun Kham)이 프랑스 루앙프라방 부영사 오귀스트 파비(Auguste Pavie)에게 구출되었다.[199] 1888년, 프랑스는 태국 보호령 시프송추타이(디엔비엔푸·라이쩌우·손라)를 자국의 보호령으로 삼았다.[200]

1893년 분쟁 지역인 라오스의 시암군 병력


이에 태국은 1893년 프랑스-시암 전쟁을 일으켰으나 패배했고, 프랑스의 라오스(루앙프라방 왕국·비엔티안 왕국) 합병이 확정되었다.[201] 그 결과, 영국령 버마의 샨 주에 진출해 있던 영국과 국경을 맞대게 되어 운남 문제가 발생했지만, 1896년 [https://en.wikisource.org/wiki/Declaration_between_Great_Britain_and_France_with_regard_to_the_Kingdom_of_Siam_and_other_matters 샴 왕국에 관한 영불 간의 선언과 기타 사항]을 발표하여 전쟁을 회피했다.[202]

1899년, 시엥쿠앙 왕국(시엥쿠앙·껀저)이 프랑스 보호령 라오스의 루앙프라방 왕국과 프랑스 보호령 통킹에 분할 합병되었다. 같은 해 4월 15일 프랑스 대통령령으로 라오스를 편입[181][203]시키고 인도차이나 연방이 성립되었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므엉싱(Muang Sing)의 프라 옹 캄(Phra Ong Kham, 차오 파) 왕자가 이끄는 타이 루(Tai Lue) 사람들은 장기적인 반프랑스 운동을 조직했으며, 라오스의 흐몽(Hmong) 독립 운동도 프랑스 통치에 도전했다.[28] 1914년에는 운남 혁명가들이 프랑스 인도차이나를 침략하여 국경을 넘어 프랑스 군사 기지를 공격하면서 중화민국 국기를 내걸었고, 다양한 라오스 소수 민족(라오, 카, 블랙 타이)이 이 반군에 합류했다.[63] 이들은 "파리가 독일군에 의해 함락되었다"는 허위 정보를 퍼뜨려 프랑스를 약하게 보이도록 했다.[63]

당시 프랑스 보호령 라오스는 1904년 즉위한 시사방 봉(Sisavang Vong) 왕이 통치했다.[28] 시사방 봉 왕은 사이공의 리세 샤슬루프-라우바(Lycée Chasseloup-Laubat)와 파리의 식민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8] 1914년 프랑스는 그를 위해 루앙프라방에 새로운 궁전을 건설했고, 1917년 프랑스 행정부와 체결한 새로운 협정은 그에게 형식적인 왕권만 허용했으며, 라오스에 대한 실질적인 권력은 프랑스의 손에 있었다.[28]

3. 3. 캄보디아: 1887-1949

19세기 중순부터 프랑스에 의한 인도차이나반도의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 노로돔 국왕은 프랑스와 교섭해 1863년부터 캄보디아는 프랑스의 보호국, 즉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189] 1867년, 시암(현재 태국)은 캄보디아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하고, 바탐방시엠레아프 주가 공식적으로 태국 영토가 되는 대가로 1863년 프랑스의 캄보디아 보호령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884년 신조약을 통해 노로돔 왕은 실권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1887년에는 캄보디아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 1907년에는 시암으로부터 앙코르 부근의 영토를 탈환하였다.

1940년에는 일본군이 인도차이나에 침공하였고, 이 기회를 틈타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은 1945년 3월 12일에 캄보디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1946년에는 다시 프랑스의 보호 하로 돌아와 독립은 소멸하게 된다.

시아누크 국왕은 끈질기게 독립운동을 계속해 1947년에는 헌법을 공포하였고, 1949년에 프랑스 연합 내에서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1953년에는 경찰권, 군사권을 회복해 완전 독립을 이룰 수 있었다.

4. 사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주요 종교는 불교였으며, 베트남에서는 유교의 영향을 받은 대승불교가 지배적이었고,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는 상좌부 불교가 널리 퍼져 있었다.[162] 가톨릭 선교사들이 인도차이나 전역에서 활동했으며, 프랑스 통치 말기에는 탕킨 인구의 약 10%가 가톨릭 신자로 확인되었다. 이 시기에 까오다이교와 화호교가 생겨났다.[162][16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을 본떠 만든 하노이 성 요셉 대성당.


1906년 5월 16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 장 바티스트 폴 보는 토착민 교육 개선 평의회 설립을 공포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46][48] 이 기구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토착민 교육에 관한 프랑스 정책을 감독하고 "각 지역의 교육 문제를 개별적으로 연구"하는 역할을 맡았다.[46] 명목상 응우옌 왕조의 행정 기구 일부였던 응우옌 왕조 교육부는 실제로는 정책 결정권을 가진 프랑스의 '안남 토착민 교육 개선 평의회'의 통제를 받았다.[46]

베트남인, 라오인, 크메르인이 각 식민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무엉족, 타이족, 참족, 자라이족 등 소수 민족들은 몬타냐르(Degar)로 통칭되었으며, 주로 인도차이나 산악 지역에 거주했다. 화교는 주요 도시, 특히 코친차이나의 화교와 캄보디아의 중국계 캄보디아인(Chen)에게 집중되어 무역과 상업에 크게 관여했다. 1913년경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인구의 약 95%가 농촌에 거주했지만,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도시화가 서서히 진행되었다.

프랑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어는 교육, 정부, 무역, 언론의 주요 언어였으며,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었다. 프랑스어는 도시와 준도시 지역 주민들 사이에 널리 퍼져 엘리트와 교육받은 계층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프랑스어는 통킹과 코친차이나(각각 베트남 북부와 남부) 식민지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으며, 안남, 라오스, 캄보디아는 프랑스 교육의 영향을 덜 받았다.[165]

4. 1. 공산당의 신장

베트남 사회는 가족 제도를 기초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진 촌락들이 강하게 단결되어 있었다. 역대 왕조와 프랑스 식민 당국도 촌락 자치에 쉽게 간섭하지 못했다. 경제적으로는 인구의 약 85%가 농업, 목축, 어업에 의존했으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의 자본 투자에도 불구하고 촌락 자치 형태와 일본군 점령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지 못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토지 문제였다. 19세기 말부터 프랑스는 촌락 공동 경영 형태인 공전제에 개입하여 농지 개혁을 시작했다. 1930년에는 경작지의 80%가 사유지가 되었지만, 농민의 약 70%가 소작농으로 전락했고, 약 6%의 대지주가 경작지의 60% 이상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북부 베트남에서 두드러졌고, 많은 농민들이 궁핍한 삶을 살았다.

공산주의 세력은 농지 문제에 주목하여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고, 이후 민중 저항의 대의명분으로 삼았다.

토지 소유자의 비율
지역소지주중지주대지주
북부 베트남98.1%1.8%0.1%
중부 베트남98.5%1.4%0.1%
남부 베트남71.7%25.8%2.5%


5. 행정

사로(Sarraut)는 프랑스의 지배를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역에서 기능하는 강력한 정치 감시 기구를 만들었다.[28] 그는 모든 지역 경찰력을 중앙 집권화하고 정보 기관을 개발했으며, 이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내외의 반프랑스 활동을 감시하고 단속하기 위한 ''Sûreté générale indochinoise'' (인도차이나 총보안부)의 창설로 이어졌다.[66][28]

10월 혁명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안보 기구는 식민지의 "볼셰비키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강화되었다.[28] 1922년에는 ''Sûreté générale''이 확장되어 본토 프랑스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잠재적인 볼셰비키 요소를 감시하고 억압했다.[28] ''Sûreté générale indochinoise''의 활동은 새로 설립된 정치국에서 관리했으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회 내의 파괴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식민지 경찰이 용의자와 유죄 판결자에 대한 대규모 등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다.[28]

감시와 탄압은 토착민에게 프랑스 식민주의의 "계몽"을 설득하기 위한 선전 운동과 함께 이루어졌다.[30] 정치국은 프랑스 극동학교를 통해 토착 지식인에 속한 베트남 엘리트들을 모아 프랑스 친선 선전 노력을 지원했다.[30]

프랑스 인도차이나의 정부는 총독과 여러 프랑스 거주민들에 의해 이끌어졌다.[157] 총독은 여러 정부 기관의 도움을 받았으나, 이 기관들은 자문 역할만 수행했다.[157] 캄보디아, 안남, 통킹, 라오스의 보호령들은 모두 상급 거주민을 두었고, 코친차이나 식민지는 총독을 두었다. 보호령에서는 토착 행정부가 명목상 프랑스 행정부와 결합되었지만, 코친차이나 식민지와 안남의 다낭과 같은 "식민 도시"에서는 프랑스가 직접 통치했다.[157]

프랑스 인도차이나 총독부와 그 권한은 대통령령에 의해 설립되고 개정되었다.[158] 총독은 프랑스 인도차이나의 입법, 행정, 사법부에 최고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 아래의 거주민을 임명할 권한이 있었다.[157] 총독은 또한 국가의 모든 군사 문제를 담당했고, 군단 설치, 프랑스 인도차이나 군대 배치, 징집 명령 발부 권한이 포함되었다.[157] 총독은 일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최고 정부 기관인 ''인도차이나 최고 의회''(후에 ''인도차이나 정부 의회''로 개명됨)의 의장이었다.[157]

프랑스 인도차이나 총독부의 다른 정부 기관으로는 인도차이나 방위위원회, 광산 자문위원회, 인도차이나 교육 자문위원회, 식민지 개발 최고위원회, 인도차이나 경제 및 재정 이익 회의 등이 있다.[157]

안남과 통킹의 보호령에서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 행정부와 ''법률상'' 권력을 공유했지만, ''사실상'' 프랑스 식민 기구에 의해 직접 통치되었다.[157] 코친차이나의 상급 거주민과 총독은 입법권이 아닌 행정권만 가지고 있었다.[158] 응우옌 왕조의 황제들은 입법권을 유지했지만, 모든 황제의 칙령은 안남의 상급 거주민 또는 프랑스 인도차이나 총독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158]

프랑스 공화국에서 시행되는 ''나폴레옹 법전'', ''상법'', ''형사 소송법'', 프랑스 형법 등 여러 법률 문서도 프랑스 인도차이나에 적용되었다.[158]

총독의 입법 칙령은 검토를 위해 식민지 장관에게 보내져야 했고, 장관은 그 칙령을 승인하거나 거부했다.[158] 식민지 장관은 칙령을 수정할 권리가 없었고, 수정을 원할 경우 초안을 작성하여 프랑스 대통령에게 보내야 했다.[158] 프랑스 대통령령만이 총독의 칙령을 뒤집을 수 있었다.[158] 행정 칙령은 프랑스 본토로 검토를 위해 보낼 필요가 없었고 즉시 효력을 발생했다.[158]

베트남 전역의 수천 개의 마을에는 마을 공동체 내의 사회적 관계를 규율하는 자체 독립적인 법전이 있었고, 수천 개의 서면 규정이 존재했으며 중앙 행정부는 종종 이를 인정했다.[158] 이 법전들은 ''향약''(鄕約)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골 계약"으로 번역될 수 있다.[159][160] 프랑스 인도차이나 총독부와 응우옌 왕조 정부는 모두 이러한 규칙과 규정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개혁하려고 시도했다.[158]

참조

[1] 서적 Monnaies et jetons de l'Indochine Française Principality of Monaco 2013
[2] 웹사이트 https://mjp.univ-per[...]
[3] 논문 French Indo-China: Demographic Imbalance and Colonial Policy https://www.jstor.or[...]
[4] 웹사이트 The Pentagon Papers Gravel Edition Volume 1, Chapter 5, "Origins of the Insurgency in South Vietnam, 1954–1960" https://www.mtholyok[...] Beacon Press 1971
[5] 저자
[6] 저자
[7] 저자
[8] 저자 1995
[9] 저자 2000
[10] 저자
[11] 저자
[12] 저자
[13] 논문 Mousmés and French Colonial Culture: Making Japanese Women's Bodies Available in Indochina https://www.jstor.or[...] 2012
[14] 웹사이트 A Brief Primer on Vice and Sex in Colonial Vietnam https://simipress.co[...] 2020-04-27
[15] 논문 Postcards from the Edge of Empire: Images and Messages from French Indochina https://www.research[...] IIAS Newsletter 2007-06-01
[16] 논문 Postcards from the Edge of Empire: Images and Messages from French Indochina https://www.academia[...] 2007-01-01
[17] 논문 Recycling the 'Colonial Harem'? Women in Postcards from French Indochina https://www.academia[...] 2004
[18] 웹사이트 [Photos] The Japanese Prostitutes Of Colonial Vietnam https://saigoneer.co[...] 2015-07-15
[19] 간행물 山打根の八番娼館 http://www.rchss.sin[...] 2005-06
[20] 웹사이트 Facts About Karayuki-San, The Japanese Sex Workers Trafficked To The Rest Of The World https://www.ranker.c[...] 2019-06-07
[21] 서적 Japan: The Childless Society?: The Crisis of Motherhoo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22] 웹사이트 Religious Missionaries and the Colonial State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ie Universität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15-02-20
[23] 웹사이트 Nhà Nguyễn và những tháng 7 biến động. – Phải chăng tháng 7 với triều Nguyễn là một sự trùng hợp, khi Pháp mở đầu cuộc tấn công 1/9/1885 (nhằm vào 24/7/1858 âm lịch) và trận chiến đấu cuối cùng dưới sự lãnh đạo của triều đình nhà Nguyễn cũng diễn ra vào 5/7/1885. http://baotanglichsu[...] Bảo tàng Lịch sử Quốc gia 2016-07-28
[24] 서적 Education in Vietnam 2011
[25] 저자 Annam–Tonkin
[26] 서적 Vietnamese Anticolonialism 1971
[27] 저자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28] 웹사이트 Indochina (Version 1.0).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ie Universität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22-01-11
[29] 논문 Peasant politics in Cambodia. The 1916 Affair 1978
[30] 웹사이트 Social Conflict and Control, Protest and Repression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ie Universität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17-12-06
[31] 서적 Sính Vĩnh Phan Châu Trinh and his political writings 2009
[32] 서적 Education in Vietnam 2011
[33] 서적 Asian Universitie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Contemporary ... 2004
[34] 서적 In Search of Southeast Asia: A Modern History 1987
[35] 서적 Les compagnons de route de Hô Chi Minh: Histoire d'un engagement 2004
[36] 서적 The Birth of Vietnamese Political Journalism: Saigon, 1916–1930
[37] 서적 From the City Inside the Red River: A Cultural Memoir
[38] 서적 The last emperors of Vietnam: from Tu Duc to Bao Dai Greenwood Publishing Group
[39] 서적 Vietnam: Current Issues and Historical Background Nova Publishers
[40] 서적 A Time for War: The United States and Vietnam, 1941-1975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41] 서적 The birth of Vietnamese political journalism. Saigon, 1916–1930 Columbia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Rebellion In Northern Laos. The Revolts of the Lu and the Chinese Republicans (1914–1916)
[43] 웹사이트 The French in Laos, 1887–1945 https://www.cambridg[...] 1995-12-01 # 추정 날짜
[4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aos The Scarecrow Press
[45] 간행물 The 1901–1902 Holy Man's Rebellion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4-02
[46] 웹사이트 Giới thiệu một số văn bản có liên quan đến Bộ Học và Bộ Quốc dân giáo dục. - Để điều hành đất nước, từ năm 1802–1906, nhà Nguyễn đã thiết lập 6 bộ là: Bộ Lại, Bộ Hộ, Bộ Lễ, Bộ Binh, Bộ Hình, Bộ Công. http://baotanglichsu[...] BẢO TÀNG LỊCH SỬ QUỐC GIA (VIETNAM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12-04-06
[47] 웹사이트 Triều đại phong kiến duy nhất có Bộ Học. https://vnexpress.ne[...] VnExpress 2016-12-06
[48] 웹사이트 Vài nét về Bộ Học qua châu bản triều Nguyễn. – 04:00 PM 26/11/2015 – Lượt xem: 482 – Có thể nói có không ít tư liệu viết về Bộ Học và những cách tân trong chương trình giáo dục Việt Nam thời thuộc Pháp, tuy nhiên Châu bản triều Nguyễn thực sự là nguồn sử liệu quan trọng cung cấp những thông tin xác thực, giá trị để chúng ta có cơ sở nghiên cứu về nền giáo dục Việt Nam thời thuộc địa. https://luutru.gov.v[...] State Records and Archives Department of Vietnam (Cục Văn thư và Lưu trữ nhà nước) 2015-11-26
[49] 웹사이트 Between Acceptance and Refusal - Soldiers' Attitudes Towards War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e University of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18-04-20
[50] 서적 La Mise en valeur des colonies françaises
[51] 서적 French Army 1918 1915 to Victory Amber Books Limited
[52] 서적 Indochine,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53] 웹사이트 Indochinese Workers in France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e University of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14-10-08
[54] 서적 Vietnam and the French: South Asia 1800–1950
[55] 웹사이트 French Forces in the Salonika Campaign 1915–1918 http://www.iwm.org.u[...]
[56] 웹사이트 How the U.S. Got Involved In Vietnam http://www.vietvet.o[...]
[57] 서적 Coolies into rebels. Impact of World War I on French Indochina Les Indes savantes
[58] 서적 The birth of Vietnamese political journalism. Saigon, 1916–1930 Columbia University Press
[59] 서적 Mireille: Des Vietnamiens dans la Grande Guerre. 50000 recrues dans les usines françaises Vendémiaire
[60]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61] 간행물 Nguyễn Xuân Mai (1890-1929). Itinéraire d'un médecin indochinois engagé pendant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62] 서적 Une histoire économique du Viet Nam. 1850–2007. La palanche et le camion Les Indes savantes
[63] 간행물 Rebellion In Northern Laos. The revolts of the Lu and the Chinese Republicans (1914–1916)
[64] 간행물 Colonial Prisons and Anti-colonial Resistance in French Indochina: The Thai Nguyen Rebellion, 1917
[65] 서적 Indochine années vingt. Le balcon de la France sur le Pacifique. Une age de l'histoire de France en Extrême Orient, volume 1 Indes savantes
[66] 서적 Indochine années vingt. La politique indigène des grands commis au service de la mise en valeur, volume 2 Les Indes savantes
[67] 서적 Les affaires politiques de l'Indochine (1895–1923) L'Harmattan
[68] 웹사이트 Colonial Society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Free University of Berlin, Bavarian State Library, and Deutsch-Französische Gymnasium, among others) 2015-04-14
[69] 웹사이트 Vietnam after Ho Chi Minh An Interview with P. J. Honey http://archive.theta[...]
[70] 웹사이트 United States – Vietnam Relations, 1945–1967: A Study Prepared by the Department of Defense/I. C. Ho Chi Minh: Asian Tito? s:United States – Vi[...]
[71] 서적 The Tragedy of the Vietnam War McFarland
[72] 뉴스 Ho Chi Minh Certainly No Viet 'Washington' https://news.google.[...] 1969-10-05
[73] 서적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The colonial Bastille. A history of imprisonment in Vietnam, 1862–1940 University of Calgary Press
[74] 서적 Indochine,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Découverte
[75] 서적 Coolies into Rebels. Impact of World War I on French Indochina
[76] 간행물 La voie étroite des réformes coloniales et la « collaboration franco-annamite » (1917–1928)
[77] 서적 Décolonisation du Viêt Nam: un avocat témoigne Editions L'Harmattan
[78]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Routledge
[79] 웹사이트 Commemoration, Cult of the Fallen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e of the First World War 2015-06-15
[80] 간행물 Inauguration à Pnom-Penh du Monument aux Morts du Cambodge
[81] 웹사이트 Bảo Đại - Vị Hoàng đế cuối cùng trong lịch sử phong kiến Việt Nam https://baotanglichs[...] BẢO TÀNG LỊCH SỬ QUỐC GIA (VIETNAM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16-09-09
[82] 서적 Vietnamese anticolonialism, 1885–192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3] 서적 Les Linh Tap
[84] 서적 Postcolonial Vietnam: New Histories of the National Past
[85] 서적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86] 서적 Revolutionnaires Vietnamiens et pouvoir colonial en Indochine François Maspero
[87] 서적 Marxism in Southeast Asia; A Study of Four Countries Stan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Revolutionnaires Vietnamiens et pouvoir colonial en Indochine François Maspero
[89] 간행물 Sky without Light: a Vietnamese Tragedy https://newpol.org/r[...]
[90] 서적 In the Crossfire: Adventures of a Vietnamese Revolutionary AK Press
[91] 간행물 Labor Unions in South Vietnam 1974
[92] 간행물 The Indo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Nam Ky Uprising in Cochin China, November–December 1940 1997
[93] 웹사이트 Inequality and Insurgency in Vietnam: A re-analysis https://www.vietnam.[...] 1970
[94] 서적 War, Guilt, and World Politics after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95] 서적 Translations on North Vietnam, Volume 17 U.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71-05-19
[96] 서적 I. DOCUMENTS FROM THE AUGUST REVOLUTION RESOLUTION OF THE TONKIN REVOLUTIONARY MILITARY CONFERENCE
[97] 서적 Translations on North Vietnam, Volume 17 U.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71-05-19
[98] 서적 Policy of the Japanese Pirates Towards Our people
[99] 서적 Translations on North Vietnam, Volume 17 U.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71
[100] 서적 Revolution or Coup d'Etat
[101] 서적 Translations on North Vietnam, Volume 17 1971
[102] 서적 To the Nam Bo Compatriots
[103] 서적 Selected Writings (1920–1969) https://archive.org/[...]
[104] 웹사이트 Z-Library single sign on https://ur.eu1lib.or[...]
[105] 서적 Korean "Comfort Women": Military Brothels, Brutality, and the Redress Movemen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1
[106] 서적 Japan's Comfort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107] 웹사이트 Comfort women were Chinese, Korean, Filipino, Burmese, Thai, Dutch, Australian, and Vietnamese women and girls forced into sexual slavery https://twitter.com/[...] 2015-04-29
[108] 서적 Legac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2-12
[109] 서적 Imperial Japan's Allied Prisoners of War in the South Pacific: Surviving Paradi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1
[110] 서적 Korean "Comfort Women": Military Brothels, Brutality, and the Redress Movemen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1
[111] 서적 Double Agency: Acts of Impersonation in Asian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112] 서적 Asian American Women: The Frontiers Reader U of Nebraska Press 2004
[113] 서적 Race and Racism in Modern East Asia: Interactions, Nationalism, Gender and Lineage Brill 2015
[114] 서적 Chinese Comfort Women: Testimonies from Imperial Japan's Sex Slav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15] 서적 The Comfort Women: Sexual Violence and Postcolonial Memory in Korea and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16] 서적 World War II and Southeast Asia: Economy and Society under Japanese Occup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17] 뉴스 60 years after Japan army husband fled, Vietnam war bride clings to love https://sg.news.yaho[...] 2017-02-24
[118] 웹사이트 Ben Valentine : Photographing the Forgotten Vietnamese Widows of Japanese WWII Soldiers https://indomemoires[...] 2016-07-20
[119] 웹사이트 Photographing the Forgotten Vietnamese Widows of Japanese WWII Soldiers https://hyperallergi[...] 2016-07-19
[120] 웹사이트 The great Vietnam famine https://www.endofemp[...] 2015-08-17
[121] 학술지 The Great Vietnamese Famine of 1944–45 Revisited 1944–45 年ヴィエトナム大飢饉再訪 https://apjjf.org/20[...] 2011-01-24
[122] 학술지 Japan's Role in the Vietnamese Starvation of 1944–45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23] 학술지 The Good, the Bad, and the Not Beautiful: In the Street and on the Ground in Vietnam https://quod.lib.umi[...] 2013
[124] 시청각자료 Vietnam: Corpses in a mass grave following the 1944–45 famin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Up to 2 million Vietnamese died of starvation. https://www.akg-imag[...]
[125] 웹사이트 Vietnamese Famine of 1945 https://japaneseviet[...]
[126] 서적 In the Jaw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27] 웹사이트 Dân chủ: Vấn đề của dân tộc và thời đại https://hung-viet.or[...] Đối Thoại Năm 2000 2000-03-25
[128] 서적 Tuchman
[129] 서적 Addington
[130] 서적 Neville
[131] 서적 Duong
[132] 서적 Tønnesson
[133] 서적 Errington
[134] 서적 The Vietnam War Seeds of Conflict 1945–1960
[135] 서적 Rice Wars in Colonial Vietnam: The Great Famine and the Viet Minh Road to Pow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
[136] 서적 Armed Forces and Insurgents in Moder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37] 서적 The Vietnam War: A Documentary Reade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
[138] 서적 America at War Since 1945: Politics and Diplomacy in Korea, Vietnam, and the Gulf Wa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139] 서적 Britain in Vietnam: Prelude to Disaster, 1945–46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140] 서적 Ho Chi Minh: A Life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12
[141] 서적 Ho Chi Minh: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42] 서적 Why Viet Nam?: Prelude to America's Albatro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43] 서적 Vietnam and America: A Documented Histor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95
[144] 서적 Vietnam: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145] 서적 Tragedy of Vietn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46] 서적 Vietnam: State, War, and Revolution (1945–194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
[147] 서적 The Communist Road To Power In Vietnam: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148] 서적 China and the First Vietnam War, 1947-5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49] 서적 Street Without Joy
[150] 서적 Accommodation and Resistance: The French Left, Indochina, and the Cold War, 1944–1954 Greenwood 1986
[151] 서적 Vietnam and China, 1938–1954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52] 웹사이트 Battlefield Vietnam – Dien Bien Phu, the legacy https://www.youtube.[...] Public Broadcasting System PBS 2011-09-07
[153] 웹사이트 A picture taken on ngày 4 tháng 6 năm 1954 shows Vietnamese Prime Minister Buu Loc and French council president Joseph Laniel (R) preparing to sign two Franco-Vietnamese treaties by which France recognised Vietnam as an independent state at the Hotel Matignon in Paris, on ngày 4 tháng 6 năm 1954. These signatures took place one month after the defeat of Dien Bien Phu and a few days before the fall of Laniel's government http://www.montrealg[...] 2014-07-19
[154] 서적 The Indochinese Experience of the French and the Americans: Nationalism and Communism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2
[155] 뉴스 When Ike Was Asked to Nuke Vietnam https://www.washingt[...] 1984-08-22
[156] 학술지 Vietnam: Mr. Johnson's War. Or Mr. Eisenhower's? 2003
[157] 웹사이트 The state structure in French-ruled Vietnam (1858–1945). https://vietnamlawma[...] Vietnam Law and Legal Forum magazine, Vietnam News Agency – Your gateway to the law of Vietnam. 2011-02-24
[158] 웹사이트 Legislation in French-ruled Vietnam. https://vietnamlawma[...] Vietnam Law and Legal Forum magazine, Vietnam News Agency – Your gateway to the law of Vietnam. 2011-02-24
[159] 웹사이트 Hương ước – xưa và nay. Hương ước – hay còn gọi là lệ làng, là một giá trị văn hóa, truyền thống, gắn liền với lịch sử dân tộc Việt Nam. Trải qua bao biến cố, Hương ước đến nay vẫn còn được lưu giữ và đóng vai trò trong nền văn hóa và phong tục, tập quán của người Việt.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18-03-23
[160] 학술지 An Outlin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Part II: The Schools of Yi Confucianism https://www.jstor.or[...] 1959-02
[161] 서적 Vichy in the Tropics: Pétain's National Revolution in Madagascar, Guadeloupe, and Indochina, 1940–1944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162] 웹사이트 What Are Vietnam's Indigenous Religions? http://www.cseas.kyo[...]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Kyoto University 2012
[16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lobal Religions 2006-10
[164] 서적 Indochine :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La Découverte 2001
[165] 웹사이트 Vietnam – La politique linguistique http://axl.cefan.ula[...] 1924
[166] 서적 Encyclopedia of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Multilingual Matters 1998
[167] 뉴스 French Declines in Indochina, as English Booms https://www.nytimes.[...] 1993-10-16
[168] 기타
[169] 웹사이트 Food and Nutrition (Indochina) https://encyclopedia[...] 1914–1918-online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2014-10-08
[170] 기타 Archives of the Governor General of Indochina Centre des Archives d'Outre-Mer 1914-11-20
[171] 기타 Bulletin de la Chambre de Commerce de Saigon 1915-02-26
[172] 웹사이트 Educating indigenous commercial executives. A business school in colonial context: The case of the Indochina Higher School of Commerce (1920–1932) 2022
[173] 서적 The French Empire Between the Wars: Imperialism, Politic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7
[174] 웹사이트 Les chemins de fer de l'Indochine française http://www.persee.fr[...] 1924
[175] 웹사이트 Ga Hải Phòng http://www.vr.com.vn[...] 2010-06-30
[176] 논문 An Imperial Railway Failure: The Indochina-Yunnan Railway, 1898–1941 2014-06-01
[177] 웹사이트 Vietnamese railway workers during the revolutionary high tide http://www.ingentaco[...] 2011-12-01
[178] 기타 The Country's Cultural and Tourist Center
[179] 기타 Bailey
[180]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11-11
[181]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8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7
[183]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8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7
[185]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86]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8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7
[188]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89]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9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7
[191]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92]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193]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94]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195] 서적
[196]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97]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9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7
[199]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0]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1]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2]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3]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4]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05]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6] 서적
[207]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8]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09]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0]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1]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2] 서적
[213]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4]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15]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6]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7]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8]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19]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20]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21] 서적
[222]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23]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24]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25]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26]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27]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228] 서적
[229]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30]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31] 서적
[232]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233] 서적 Monnaies et jetons de l'Indochine Française Principality of Monaco 2013
[234] 서적 20세기 통일 베트남 만들기: 지역주의의 충돌과 극복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04-28
[235] 웹인용 OP Calendar/Martyrs of Vietnam http://www.saintwiki[...] 2018-11-11
[236]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2006
[237] 웹사이트 Gia Định
[238] 웹사이트 코친차이나
[239] 웹사이트 1867
[240] 서적 론리플래닛:베트남 인그라픽스 2003-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