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소스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새벽의 여신을 의미한다. 하우소스는 '빛나다', '붉게 타오르다', '불꽃'을 뜻하는 어근에서 파생되었으며, 다양한 인도유럽 신화에서 새벽 여신으로 등장한다. 각 신화에서 하우소스는 우샤스(베다), 에오스(그리스), 아우로라(로마), 아우슈리네(리투아니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새벽 여신은 하늘의 문을 열고 빛을 가져오는 역할을 하며,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불멸과 영원한 부활의 속성을 가지며, 금색, 붉은색 등과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 인도유럽 여신 - 데곰
    데곰은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땅'을 의미하는 단어로,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대지를 인격화한 여신을 지칭하며 생명의 근원이자 안식처로서 숭배받았다.
  • 하우소스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하우소스 - 아우슈리네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으로, 태양의 길을 준비하며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 새벽의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새벽의 여신 - 아우슈리네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으로, 태양의 길을 준비하며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우소스
일반 정보
알렉세이 콘드라티예비치 사브라소프의 우크라이나 초원의 새벽 (1852년)
의미새벽
가족 관계
아버지디에우스 파테르
형제자매신성한 쌍둥이 신, 페르쿠노스
다른 문화권에서의 이름
힌두교우샤스
슬라브 신화조랴
서게르만에오스트레
로마 신화아우로라
그리스 신화에오스
리투아니아아우슈리네
알바니아프렌데

2. 어원 및 명칭

구에르치노의 ''오로라''(1621)


인도유럽어족의 여러 신화에서 새벽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나타난다.

어족어파언어표기비고
인도유럽어족-인도이란어파*Hušas[117]
베다 신화우샤스(उषस्)리그베다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여신
아베스타어우샤자정부터 별이 보이기 시작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구분하는 특별한 천사인 우샤히나와 구분됨
헬레닉*Auhṓs
그리스 신화에오스(Ἠώςgrc)스파르타 시인 알크만아오티스라는 수식어를 사용
미케네 그리스어a-wo-i-jo(Āw(ʰ)oʰios; Ἀϝohιος)[89]"새벽"과 관련된 목동의 개인 이름
이탈리아어파*Ausōs > *Ausōs-ā
로마 신화아우로라마테르 마투타에 원래 모티프가 보존되었을 가능성
트라키아어Auza-Αυζα-κενθος(Auzakenthos 새벽의 아이)에서 확인, 트라키아 새벽 여신의 이름으로 추정
원시 아르메니아어*aw(h)i-,
게르만어파*Auzi/a-wandalaz일반적으로 빛줄기 또는 광선을 의미하는 개인 이름
고대 노르드어아우르반딜토르에 의해 그의 얼어붙은 발가락이 별이 됨
고대 영어Ēarendel"새벽, 빛줄기"
고대 고지 독일어아우렌딜, 오렌틸롬바르드어: 아우리완달로
고트어auzandil (𐌰𐌿𐌶𐌰𐌽𐌳𐌹𐌻)샛별, 루시퍼 ("빛을 가져오는 자")
-발트-슬라브어파*Auṣ(t)ro"매튜티널, 새벽에 속하는"
발트 신화*Auš(t)ra"새벽"
리투아니아 신화아우슈리네샛별(금성)의 의인화, 매일 태양을 위해 불을 지피며 하루를 시작
라트비아 신화아우세클리스샛별의 의인화이자, 새벽의 여신이 되기를 꺼려함, 여성 개인 이름에는 아우스마아우스트라가, "새벽, 여명"을 나타내는 단어 아우스마와 '아우스미냐'
원시 슬라브어*(j)ȕtro"아침, 새벽"
폴란드어유트렌카 또는 유스트르젠카체코어: 지트렌카, 샛별과 저녁별의 이름과 의인화
폴라비아 슬라브족유트로보그문자 그대로 "아침의 신"
게르만 신 목록*Austrōn연례 축제 기간에 기념되는 봄의 여신, 일부 서게르만어에서 부활절이라는 단어의 기원
로마-게르만 문화matronae Austriahenae1958년 독일에서 발견된 헌납 비문에 있는 이름
고대 영어에아스트레부활절의 의인화
고대 고지 독일어*Ōstara (pl. Ôstarûn)부활절의 의인화 (현대 독일어: Ostern)
고대 작센어*Āsteronasteronhus(부활절 집)라는 이름으로 추정


2. 1. 어원

재구성된 원시 인도유럽어의 새벽 이름 ''*h₂éwsōs''는 '빛나다', '붉게 타오르다', '불꽃'을 의미하는 동사 어근 ''*h₂(e)wes-''에서 파생되었다.[3] 이 어근은 '금'을 뜻하는 ''*h₂ews-om'' (aurum|아우룸la, , áuksas|아욱사스lt)의 어원이기도 하다.[3]

발트 슬라브어 ''*auṣ(t)ro'' (aušrà|아우슈라lt '새벽', '아침 빛', 원시 슬라브어 ''*ȕtro'' '아침', '새벽', '아침에')에서도 새벽을 뜻하는 단어가 보존되어 있다.[5]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는 ('새벽'),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αὔριον|아우리온grc ('내일')로 나타난다.[5]

파생 부사 ''*h₂ews-teros''는 "동쪽" (새벽을 향하여)을 의미하며, 라트비아어 àustrums|아우스트룸스lv ('동쪽'), 아베스타어 ''ušatara'' ('동쪽') 등에 반영되어 있다.[6]

2. 2. 명칭

인도 신화에서는 우샤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에오스(그리스)와 아우로라(로마), 발트 신화에서는 아우슈리네(리투아니아)와 아우세클리스(라트비아) 등으로 불린다.

새벽 여신과 관련된 어근 ''''에서 파생된 동족어는 다음과 같은 신화에서 확인된다.

어족어파언어표기비고
인도유럽어족-인도이란어파*Hušas[117]
베다 신화우샤스(उषस्)
아베스타어우샤
헬레닉*Auhṓs
그리스 신화에오스(Ἠώςgrc)
미케네 그리스어a-wo-i-jo(Āw(ʰ)oʰios; Ἀϝohιος)[89]
이탈리아어파*Ausōs > *Ausōs-ā
로마 신화아우로라
트라키아어Auza-Αυζα-κενθος(Auzakenthos 새벽의 아이)에서 확인
원시 아르메니아어*aw(h)i-,
게르만어파*Auzi/a-wandalaz
고대 노르드어아우르반딜
고대 영어Ēarendel
고대 고지 독일어아우렌딜, 오렌틸롬바르드어: 아우리완달로
고트어auzandil (𐌰𐌿𐌶𐌰𐌽𐌳𐌹𐌻)
-발트-슬라브어파*Auṣ(t)ro'' (또는 '')
발트 신화*Auš(t)ra
리투아니아 신화아우슈리네
라트비아 신화아우세클리스
원시 슬라브어*(j)ȕtro
폴란드어유트렌카 또는 유스트르젠카
폴라비아 슬라브족유트로보그
게르만 신 목록*Austrōn
로마-게르만 문화matronae Austriahenae
고대 영어에아스트레
고대 고지 독일어*Ōstara (pl. Ôstarûn)
고대 작센어*Āsteron


2. 3. 별칭

여명과 관련된 흔한 별칭은 ''''''', 즉 하늘 신Dyeus영어의 딸이다.[11] 이 표현에서 파생된 동족어는 다음과 같은 전통에서 나타난다. '디아우스의 딸'은 ''리그베다''에서 (우샤스의 별칭), '제우스의 딸'은 (아마도 호메로스 이전 시대의 그리스에서 에오스와 연관), '디에바스의 딸'은 (리투아니아 민속에서 태양 여신에게 이전된 별칭)이다.[12] 북부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새벽 여신 프렌데는 하늘 신 조이즈의 딸로 여겨진다.

"Dyēus영어의 딸"이라는 표현은 여러 시적 전통에서 새벽 여신에게 붙는 칭호로 나타난다.

언어표현의미비고
인도유럽어Dyēus의 딸
베다duhitā́r-diváh하늘의 딸우샤스의 칭호
그리스어thugátēr Diós제우스의 딸아마도 에오스에 대한 호메로스 이전 그리스 칭호
리투아니아어dievo dukraDievas의 딸h₂éwsōs영어의 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태양 여신의 칭호


3. 특징

새벽 여신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 영원한 재생: 불멸하며 영원히 되살아나는 존재로 묘사된다. 그리스 신화의 에오스는 '일찍 태어난'이라는 뜻의 별칭을 가지며, 인도의 우샤스아슈빈과 함께 묘사된다.
  • 색깔: 주로 금색, 사프란, 붉은색, 진홍색과 관련된다. 리그베다의 우샤스는 '금색', 호메로스의 에오스는 '황금 왕좌'를 가졌다. 에오스는 '사프란 옷', 우샤스는 진홍색 의상과 "빛나는 금색" 베일을 착용한다.[17][18] 발트해 사울레는 붉은색, 러시아 조랴는 '붉은 처녀'로 불린다.[43]
  • 움직임: 춤추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 베다의 우샤스는 '무용수처럼' 움직이며, 에오스는 동쪽에 춤추는 장소가 있다.[49] 새벽의 펼쳐진 손은 태양 광선을 형상화하여 '장밋빛 팔', '황금 손' 등으로 표현된다.[49]
  • 거처: 그리스 신화에오스오케아노스 너머,[51] 슬라브 민속의 조랴는 부얀이라는 섬 낙원에 산다.[48] 발트 신화사울레는 동쪽 성,[55][7] 또는 바다 한가운데 섬에 산다.[56]
  • 운송 수단: 마차나 배와 같은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하위 섹션인 '운송 수단'과 '말'의 내용은 운송 수단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간다.

3. 1. 영원한 재생

새벽 여신은 때때로 불멸하며 영원히 되살아나는 존재로 묘사된다. 고대 그리스의 ''일리아스''에서 새벽의 여신 에오스의 별칭은 ἠριγένειαgrc인데, 이는 '일찍 태어난', '아침에 태어난'이라는 뜻이다. 고대 인도 ''리그베다''에서는 디야우스의 딸인 우샤스아슈빈의 고삐를 잡고 태어난 것으로 묘사하는데, 아슈빈은 태양의 전차를 모는 신성한 쌍둥이이다.

3. 2. 색깔


  • H₂éwsōsmul는 새벽의 자연스러운 색상인 금색, 사프란, 붉은색, 진홍색과 관련이 있다. ''리그베다''에서는 '금색'()으로, 오비디우스의 ''사랑''에서는 '황금빛 노란색'(flāuala)으로, 호메로스에서는 '황금 왕좌'(χρυσόθρονοςgrc)로 묘사된다. 라트비아 민요에서 사울레와 그 딸(들)은 금실로 짠 숄을 입고, 사울레는 금 신발을 신는데, 이는 사포에오스를 '금빛 샌들'(χρυσοπέδιλλοςgrc)로 묘사하는 것과 유사하다.


에오스는 호메로스 시에서 '사프란 옷'(κροκόπεπλοςgrc)을 입고 있으며, 우샤스는 진홍색(장미색) 의상과 "빛나는 금색" 베일을 착용한다.[17][18] 힌두교 여신은 멀리서 빛나는 붉은 새벽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암말처럼 붉으며", "붉은 빛줄기"를 쏘고, "붉은 말을 수레에 연결"하거나 ''사마베다''에서 "붉은 암소를 묶는다".[19] 사프란, 붉은색, 자색은 오비디우스가 새벽과 연관시킨 색이다.[80]

발트해 태양 여신 사울레는 아침에 '붉은'(sārtamul)색 또는 '붉은 나무 안에' 깨어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붉은색, 금색, 은색, 흰색 실"로 짠 옷을 입는 것으로도 묘사된다.[32] 리투아니아 전통에서 태양은 해질녘 산 아래로 굴러가는 "황금 바퀴" 또는 "황금 원"으로 묘사된다.[36] 라트비아 수수께끼와 노래에서 사울레는 태양의 "불 같은 측면"을 나타내듯이 붉은색과 연관된다. 해가 지고 뜨는 모습은 원형 모양 때문에 장미 화환과 만개한 장미에 비유된다.[37][38][39]

러시아 민속학자 알렉산더 아파나시에프에 따르면 슬라브 전통에서 새벽의 모습은 다양하다. 세르비아 민요에서 물속 은색 왕좌에 앉아 있는 처녀로 묘사되며, 다리는 노란색, 팔은 금색이다.[42] 러시아 속담에서 여신 조랴는 (красная девицаru '붉은 처녀')로 불린다.[43] 또 다른 이야기에서 "붉은 처녀" 조랴는 금 의자에 앉아 은색 원반 또는 거울(태양)을 들고 있다.[44]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한 처녀가 알라티르에 앉아 붉은 실을 엮고 있거나, "장미빛 손가락" 조랴는 황금 바늘로 장미빛과 "피처럼 붉은" 색으로 하늘 위에 베일을 짜고 "노란 광석" 실을 사용한다.[45]

3. 3. 움직임

는 춤추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 베다의 우샤스(Uṣas)는 자수된 옷을 '무용수처럼'(nṛtūr ivasa) 걸치고, 에오스는 동쪽에 그녀의 집 주변에 '춤추는 장소'(χοροίgrc)를 가지고 있으며, 사울레는 은빛 언덕에서 금 신발을 신고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발트 여신 아우슈리네는 여름 첫날에 사람들을 위해 돌 위에서 춤을 춘다고 한다.[49]

아침에 태양 광선을 형상화한 펼쳐진 손은 원시 인도유럽어 기원일 수도 있다.[49] 호메로스의 '장밋빛 팔'(ῥοδόπηχυςgrc), '장밋빛 손가락의 새벽'(ῥοδοδάκτυλος Ἠώςgrc), 바킬리데스의 '황금 팔'(χρυσοπαχύςgrc)은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황금 손'(híraṇyapāṇisa)과 '넓은 손'(pṛthúpāṇi-sa)과 의미론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태양신의 손가락이 '금반지로 덮여있다'고 하는 라트비아의 시적 노래와 유사하다.[49]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에 따르면, " '장미' 부분은 아마도 그리스의 세련된 표현일 것이다."[49]

새벽에게 부여된 또 다른 특징은 "넓게 빛나는" 또는 "멀리 빛나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어 지명 ''유리파에사''(Euryphaessa, "넓게 빛나는")와 산스크리트어 시적 표현 urviyắ ví bhātisa ('[우샤스]가 널리 빛난다/빛을 발한다')에서 증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0]

3. 4. 거처

그리스 신화에서 에오스는 '세상의 끝에 있는 오케아노스의 흐름 너머'에 산다고 묘사된다.[51]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아이아이에 섬은 "초기의 새벽과 그녀의 춤추는 잔디밭, 그리고 태양이 뜨는 곳"으로 묘사된다.[52]

슬라브 민속에서 조랴의 고향은 때때로 부얀(또는 ''부얀'')이라고 불리는 대양의 섬 낙원으로, 북, 서, 동풍의 시종들과 함께 태양이 거처하는 곳이다.[48]

''아베스타''는 Ušidam-|우쉬담-ae('새벽의 집')이라고 불리는 신화적인 동쪽 산을 언급한다.[53] ''야스나''는 또한 Ušidarɘna|우시다레나ae ("새벽의 갈라진 틈"(명사)[53] 또는 "붉은 갈라진 틈을 가진"(형용사)[54])라는 산도 언급한다.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조셉이라는 남자는 하늘에 나타나는 아우슈리네에 매료되어 바다의 섬에 살고 태양과 같은 머리카락을 가진 처녀인 '두 번째 태양'을 찾기 위한 탐험을 시작한다.[49] 발트 민속에서 사울레는 동쪽 어딘가에 위치한, 은빛 문이 달린 성에 산다고 한다.[55][7] 또는 밤의 휴식을 위해 바다 한가운데 있는 섬으로 간다고 한다.[56] 민요에서 사울레는 "하얀 거품 속" 은빛 요람에서 밤에 잠을 자기 위해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는다.[57]

3. 5. 운송 수단

새벽의 여신은 종종 마차나 배와 같은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인도-이란인과 관련된 전차가 아닌, 마차와 같은 운반 수단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60]

리그베다에서 새벽 여신 우샤스는 '금색'(híraṇya-varṇāsa)으로 묘사되며, 오비디우스의 ''사랑''에서는 '황금빛 노란색'(flāuala)으로, 호메로스의 공식에서는 '황금 왕좌'(χρυσόθρονοςgrc)를 가진 것으로 표현된다.[60] 오디세이에서 에오스는 전차 운전사로 등장하며, 베다우샤스는 붉은 황소나 암소를 연결하는데, 이는 아침 빛의 붉은 구름이나 광선을 비유한 것이다.[60]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그리스 서사시, 도자기 그림에서는 ''비가'' 또는 장밋빛 붉은 ''콰드리가는'', 금빛 붉은 말들이 끄는 빛나는 전차로 묘사된다.[61]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새벽 여신 프렌데는 제비들이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른다. 이 제비들은 Pulat e Zojëssq('여인의 새')라고 불린다. 사람들은 무지개(Ylberisq)를 Brezisq 또는 Shoka e Zojëssq('여인의 허리띠')라고 부르며, 전차와 연결하기도 한다.[61]

발트해의 태양 여신 사울레는 구리 바퀴가 달린 마차,[62] 빛나는 구리 전차,[63] 지칠 줄 모르는 말들이 끄는 금색 전차,[64] 또는 물고기 뼈로 만든 '예쁜 작은 썰매'(kamaņiņa)를 운전한다.[65] 사울레는 남편인 달에게 가는 길에 빛나는 차를 운전하며,[49] 은색[66] 또는 금색 배[63]를 타고 바다를 항해하기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 배는 밤에 여행하기 위해 전차로 변환된다.[7][67] 라트비아 민요에서 사울레는 저녁에 반짝이는 왕관을 나무에 걸고 금색 배를 타고 항해를 시작한다.[35]

슬라브 동화에서 새벽 처녀(Zora-djevojkacu)는 금으로 된 배에 은색 노를 젓거나, 은색 배에 금색 노를 저으며 이른 아침 바다를 항해하고,[48] 신비로운 섬 부얀으로 돌아간다.[68]

3. 5. 1. 운송 수단

새벽은 종종 일종의 운송 수단으로 묘사되는데, 아마도 원래는 마차나 이와 유사한 운반 수단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년)에서 나타난 전차는 아니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도-이란인과 관련이 있다.[60] ''오디세이''에서 에오스는 한 번 전차 운전사로 등장하며, 베다 우샤스는 붉은 황소나 암소를 연결하는데, 이는 아마도 아침 빛에서 보이는 붉은 구름이나 광선을 비유한 것이다.[60] 이 운송 수단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그리스 서사시와 도자기 그림의 고전적 언급에서 ''비가'' 또는 장밋빛 붉은 ''콰드리가는''로, 또는 금빛 붉은 말들이 끄는 빛나는 전차로 묘사된다.[61]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 따르면 새벽 여신 프렌데는 제비들이 자신의 전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는데, 이 제비들은 Pulat e Zojëssq('여인의 새')라고 불리며, 사람들은 또한 Brezisq 또는 Shoka e Zojëssq('여인의 허리띠')라고 부르는 무지개(Ylberisq)로 전차와 연결되어 있다.[61]

사울레는 새벽과 동조된 태양 여신으로, 구리 바퀴가 달린 마차,[62] "빛나는 구리 전차"[63] 또는 지칠 줄 모르는 말들이 끄는 금색 전차[64], 혹은 물고기 뼈로 만든 '예쁜 작은 썰매'(kamaņiņa)를 운전한다.[65] 사울레는 또한 남편인 달로 가는 길에 빛나는 차를 운전한다고 묘사된다.[49] 다른 설명에서는 그녀가 은색[66] 또는 금색 배[63]를 타고 바다를 항해한다고 하는데, 전설에 따르면 이것이 그녀가 밤에 여행하기 위해 전차로 변환하는 것이다.[7][67] 라트비아 민요에서 사울레는 저녁에 반짝이는 왕관을 나무에 걸고 금색 배를 타고 항해를 시작한다.[35]

옛 슬라브 동화에서 새벽 처녀()는 "금으로 된 배에 은색 노를 젓고 이른 아침 바다를 항해한다"(또는 은색 배에 금색 노) [48] 그리고 그녀가 사는 신비로운 섬 부얀으로 돌아간다.[68]

3. 5. 2. 말

새벽의 말들은 여러 인도유럽 시가 전통에서 언급된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는 에오스의 말들을 람포스와 파에톤이라는 쌍으로 된 빠른 말로 묘사하며, 바킬리데스는 그녀를 '흰 말을 탄 새벽'(λεύκιππος Ἀώςgrc)이라고 부른다.[69] 이 수레는 때때로 금빛 붉은 말들이 끄는 것으로 묘사된다. 베다 전통에서 새벽의 말들은 "창백한 붉은색, 붉은색, 황색, 적황색"이라고 한다.[69]

발트 태양 여신 사울레의 말들은 흰색이라고 하며,[7] 다른 설명에서는 금색, 은색, 다이아몬드색의 세 마리의 말로 묘사된다.[49] 라트비아의 ''다이나''(민요)에서 그녀의 말들은 황색, 금색 또는 불타는 색으로 묘사된다.[67] 태양의 말들은 또한 ''다이나''에서 금으로 된 발굽과 고삐를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가 금빛 존재이거나 갈색으로, "밝거나 황혼의 하늘의 색조를 반영"한다.[70] 그녀가 세계의 바다를 가로지르는 야간 여행을 시작할 때, 그녀의 수레는 배로 바뀌고 "태양이 그녀의 말들을 수영시킨다",[71] 이것은 "그녀가 바다에서 그녀의 말들을 씻기 위해 멈춘다"는 것을 의미한다.[72] 학문적으로는 라트비아 ''다이나''에 등장하는 ''geltoni žirgeliai'' 또는 ''dzelteni kumeliņi'' ('황금색' 또는 '노란색 말')라는 표현이 반복되는 시적 모티프인 것으로 보인다.[38]

슬라브 신화조랴는 말들이 끄는 전차나 마차와 관련된 이야기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녀는 이야기에서 하루의 시작과 끝에 그녀의 형제인 태양의 "불타는 말들"을 준비하는 것으로 묘사된다.[73]

4. 역할

하우소스는 새벽 여신이자 빛의 수호자로, 아버지인 하늘(Dyēus)의 문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발트어 구절 'pie Dieviņa namdurēm'은 '신의 집 문 옆에서'라는 뜻으로, Saulė가 신의 아들(들)의 말에게 문을 열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베다 표현 dvā́rau ... Diváḥsa ('천국의 문')과도 관련이 있는데, 우샤스가 자신의 빛으로 이 문을 연다.[51] 에오스의 집에는 '빛나는 문'(θύρας ... φαεινάςgrc)이 있으며, ''Aphrodite에 대한 찬가''에서 그녀는 늙어가는 연인 티토노스를 그 문 뒤에 가두었다.[51]

오비디우스의 ''Metamorphoses''에서 Aurora는 붉은 문(''purpureas fores'')을 열어 장밋빛 궁전을 채웠고,[74] 논노스의 ''Dionysiaca''에서 새벽 여신은 케팔로스의 휴식을 떠나 '해돋이의 문을 열었다'(ἀντολίης ὤιξε θύρας πολεμητόκος Ἠώςgrc).[75]

슬라브 민속에서 새벽 여신 ''Zorya Utrennyaya''는 Dažbog의 여정을 위해 궁궐 문을 열고, ''Zorya Vechernyaya''는 하루가 끝날 때 문을 닫는다.[76] 노르드 신화의 Dellingr에 대한 ''에다'' 구절에서 난쟁이는 'Delling의 문'(fyr Dellings durumnon) 앞에서 주문을 외우는데, 이는 "새벽에"를 의미한다.[77][78] 리투아니아 민속의 Vakarine과 Ausrine는 Saulė를 위해 각각 침대를 만들고 불을 지폈다.[7][79][80]

하우소스는 빛을 가져오는 역할도 맡았는데, 종종 이를 꺼려 벌을 받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3] 새벽 여신은 어둠을 몰아내고 빛을 가져온다. 일리아스에서 에오스는 ἠριγένειαgrc('일찍 태어난')라는 별칭으로 불렸고, 리그베다에서 우샤스아슈빈의 고삐를 잡고 태어난 것으로 묘사된다.[5]

4. 1. 천국의 문을 여는 자

새벽 여신이자 빛의 수호자인 하우소스는 종종 아버지인 하늘(Dyēus)의 문을 여는 자로 묘사된다. 발트어 구절 ''pie Dieviņa namdurēm'' ('신의 집 문 옆에서')는 Saulė가 신의 아들(들)의 말에게 문을 열어주도록 촉구받으며, 이는 베다 표현 dvā́rau ... Diváḥsa ('천국의 문')과 어휘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데, 우샤스가 자신의 빛으로 이 문을 연다.[51] 또 다른 유사점은 에오스의 집의 '빛나는 문'(θύρας ... φαεινάςgrc)으로, 호메로스의 ''Aphrodite에 대한 찬가''에서 그녀는 늙고 시들어가는 연인 티토노스를 그 뒤에 가둔다.[51]

오비디우스의 ''Metamorphoses''에서 Aurora는 붉은 문(''purpureas fores'')을 열어 자신의 장밋빛 궁전을 채우고,[74] 논노스의 ''Dionysiaca''에서 새벽 여신은 잠에서 깨어나 케팔로스의 휴식을 떠나 '해돋이의 문을 연다'(ἀντολίης ὤιξε θύρας πολεμητόκος Ἠώς).[75]

다른 인도유럽어족 전통에서도 다른 반사 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슬라브 민속에서 새벽 여신 ''Zorya Utrennyaya''는 낮 동안 아버지인 슬라브 태양신 Dažbog의 여정을 위해 궁궐의 문을 열고, 그녀의 자매 ''Zorya Vechernyaya''는 황혼의 여신으로 하루가 끝날 때 문을 닫는다.[76] 빛의 노르드 신화 신인 Dellingr에 대한 ''에다''의 한 구절에서, 난쟁이는 'Delling의 문'(fyr Dellings durumnon) 앞에서 주문이나 주문을 외우는데, 이는 분명히 "새벽에"를 의미한다.[77][78]

리투아니아 민속은 슬라브 조르야와 유사한 발광하는 신인 Vakarine과 Ausrine의 이중 역할을 보여준다(문 이미지는 없지만):[79][80] 저녁 별인 Vakarine은 태양 여신 Saulė를 위해 침대를 만들었고, 아침 별인 Aušrinė는 그녀가 다음 날의 여정을 준비하면서 불을 지폈다.[7] 또 다른 설명에서는, 그들은 Saulé의 딸이며 어머니의 궁전과 말을 돌본다.[81]

4. 2. 빛을 가져오는 자


  • H₂éwsōsPIE는 인도유럽 신화에서 빛을 가져오는 역할을 맡았지만, 이를 꺼려 벌을 받는 존재로 자주 묘사된다.[3] 이러한 모습은 여러 신화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리스 신화의 에오스(Eos)와 로마 신화의 아우로라(Aurora)는 종종 침대에서 일어나기를 싫어하고, 인도 신화의 우샤스(Uṣas)는 낮을 지연시키려다 인드라에게 벌을 받는다. 라트비아 신화의 아우세클리스는 금으로 된 방에서 옷을 꿰매느라 아침에 뜨지 못했다고 한다.[114]


새벽 여신은 어둠을 몰아내고 빛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고대 그리스의 ''일리아스''에서 새벽의 여신 에오스는 ἠριγένειαgrc('일찍 태어난', '아침에 태어난')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고대 인도 ''리그베다''에서는 디야우스의 딸인 우샤스아슈빈의 고삐를 잡고 태어난 것으로 묘사되는데, 아슈빈은 태양의 전차를 모는 신성한 쌍둥이이다.[5]

5. 다른 신들과의 관계

인도유럽 신화에서 새벽 여신은 하늘 신 Dyēus의 딸로 여겨진다.[11] '디아우스의 딸'이라는 표현은 리그베다에서 우샤스의 별칭으로, '제우스의 딸'은 에오스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디에바스의 딸'은 리투아니아 민속에서 태양 여신에게 이전된 별칭이다.[12] 북부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새벽 여신인 프렌데는 하늘 신인 조이즈의 딸로 여겨진다.

새벽 여신과 관련된 신들은 다음과 같다.

어족신화여신 이름 및 관련 정보
인도-이란어[117]베다우샤스(उषस्): 리그베다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새벽 여신
인도-이란어[117]아베스타어우샤, 우샤히나: 아베스타의 새벽 여신, 특별한 천사
헬레닉그리스에오스(Ἠώς): 새벽의 여신, 아오티스라는 수식어로도 나타남
헬레닉고대 그리스 문학파니아시스 작품 속 에오이에스, 아오스(새벽의 사람): 아도니스 관련 수식어, 아오스는 에오스의 아들로도 등장
헬레닉미케네a-wo-i-jo(Āw(ʰ)oʰios; Ἀϝohιος): 필로스 석판에서 확인
이탈리아어로마아우로라: 그리스 신의 속성을 가짐, 마테르 마투타에 원래 모티프 보존 가능성, Eous 또는 Eoös: 루카누스파르살리아,[95] 히기누스의 파불라에, 티타노마키아,[96]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나오는 태양의 말 이름[97][98]
트라키아어Αυζα-κενθος(Auzakenthos 새벽의 아이)에서 확인되는 Auza-
아르메니아어아르메니아아익(այգ): 새벽 여신
게르만어고대 노르드어아우르반딜: 토르에 의해 별이 된 얼어붙은 발가락
게르만어고대 영어Ēarendel: "새벽, 빛줄기"
게르만어고대 고지 독일어아우렌딜, 오렌틸; 롬바르드어: 아우리완달로
게르만어고트어auzandil (𐌰𐌿𐌶𐌰𐌽𐌳𐌹𐌻): 샛별, 루시퍼 ("빛을 가져오는 자")
발트-슬라브어발트/리투아니아아우슈리네: 샛별(금성)의 의인화, 아우슈라(혹은 아우스카): 일출의 여신, 아우슈트라: 동화 속 등장인물
발트-슬라브어라트비아아우세클리스: 샛별의 의인화, 새벽의 여신이 되기를 꺼림, 아우스마아우스트라: 여성 개인 이름, 아우스마아우스미냐: '새벽, 여명'
발트-슬라브어슬라브어폴란드어: 유트렌카 또는 유스트르젠카; 체코어: 지트렌카: 샛별과 저녁별의 이름과 의인화
발트-슬라브어폴라비아인유트로보그(라틴어: 유트리 보그 또는 유트르니 보): "아침의 신", 유터보그: 슬라브 신의 이름을 딴 독일 동부 마을
발트-슬라브어카슈브족야스트르제보그와 여신 야스트라 숭배
게르만어로마-게르만matronae Austriahenae
게르만어고대 영어에아스트레: 부활절의 의인화
게르만어고대 고지 독일어*Ōstara (pl. Ôstarûn): 부활절의 의인화 (현대 독일어: Ostern)
게르만어고대 작센어*Āsteron, asteronhus(부활절 집)


5. 1. 쌍둥이 신

새벽의 여신이자 빛의 수호자인 하우소스는 바다의 위협을 많이 받으며, 이 때문에 오빠(남동생)들인 신성한 쌍둥이 신에게 보호받고 있다.

6. 현대적 의의

학자들은 로마 이름 아우렐리우스와 에트루리아의 태양신 우실이 새벽을 뜻하는 인도유럽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25] 벨라루스 전통에서 봄과 관련된 아우스니(Аўсень, Ausenis)는 ''와 동족 관계일 것으로 추정된다.[126]

'' 어근과 파생어는 중세 인명에 남아있다. 12세기 프랑스 부고는 옥시타니아의 모아사크에서 'Aur-' (예: Auraldus)와 'Austr-' (예: Austremonius, Austrinus, Austris) 어근을 포함하는 게르만 기원의 복합 이름을 기록한다.[127] 프랑크 기원의 이름은 생제르맹데프레 수도원의 "다본집"에 증명되었으며, 'aust-'와 'austr-'를 포함하고 있다.[128] 'aus-', 'astr-' 및 'aust-' (> 'ost-')를 가진 갈리시아의 게르만 개인 이름 및 이베리아 지명 또한 중세 시대까지 어근이 살아남았음을 보여준다.[129][130][131][132]

마비노기온의 ''퀼후흐와 올루엔'' 이야기에는 'Gawrdur'라는 인물이 언급되어 있다. 스테판 짐머는 새벽 여신의 잔재이거나 '강철의 색'을 의미하는 이름이라고 제안한다.[133] 이 이름은 ''카누 아네이린''에서 'Gwardur', 'Guaurud', 'Guaurdur', '(G)waredur' 또는 '(G)waledur'로 나타난다.[134] 이는 중세 웨일스어 gwawrwlm ('새벽', '영웅, 왕자'도 됨)에서 유래한다. 랑코 마타소비치에 따르면, 후자는 원시 켈트어 '*warī-' ('일출, 동쪽', 중세 아일랜드어 fáirmg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PIE 어근 '' ('봄')에서 유래한다.[135]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프렌데''는 새벽 여신으로, 그녀의 이름은 PIE '' '빛을 가져오는 자'에서 유래하며, 고대 그리스어 Περσεφάτταgrc, Περσεφόνηgrc (페르세포네)의 변형도 여기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36][137] 알바니아 민속에서 Prendesq는 Afër-ditasq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낮이 가까이', '날이 가까이', 또는 '새벽'을 의미하는 알바니아어 구절이다.[138][139] 이는 행성 금성에 대한 고유한 용어로 사용된다.[140][141] (h)ylli i dritës, Afërditasq '빛의 별 아페르디타' (금성, 샛별)와 (h)ylli i mbrëmjes, Afërditasq (금성, 저녁별). 알바니아 명령형 afro ditasq '새벽이 오다'는 원시 알바니아어 '' '낮/새벽의 밝음이 오다'에서 유래하며, 이는 PIE ''에서 유래한다. 바츨라프 블라제크에 따르면, 알바니아어 단어 (h)yllsq ('별')은 어근 '' ('새벽')에서 유래한다.

미하엘 비첼에 따르면, 신토에서 숭배되는 새벽의 일본 여신인 아메노우즈메는 고대 베다교의 영향을 받았다. 인류학자 케빈 투이트는 조지아 신화의 여신 달리 역시 인도유럽 조상신들과 여러 유사점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리스의 사랑과 욕정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는 인도유럽 조상신의 신화적 후손일 수 있다. 학자들은 그녀의 아버지인 하늘 신 (제우스 또는 우라노스)과의 연관성과 붉은색, 금색과의 관련성을 근거로 유사성을 제시한다. 일리아스에서 아프로디테는 필멸자에게 상처를 입고 어머니 (디오네)의 품에서 위안을 찾는다. 디오네는 제우스의 여성적인 상대자로 여겨지며, 어원적으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A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a Proto-Language and Proto-Cultu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 서적 A Study in Hindu Social Polity Mittal Publications
[3] 논문
[4] 서적 Old Church Slavonic Grammar Mouton de Gruyter
[5] 서적 Farnah: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Beech Stave Press
[6] 논문
[7] 학술지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SAGE Publications
[8] 학술지 Indoiranėnų mitinio vėjo atitikmenys lietuvių tautosakoje (užuominos gilesniam tyrimui) Vilnius University Press 2002-12-01
[9] 서적 The Origins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A ideia de leste nas fontes escandinavas: um estudo de conceituação histórico-geográfica https://www.academia[...]
[11] 논문
[12] 논문
[13] 서적 The bundahišn: The Zoroastrian Book of Cre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Πολυώνυμοι. A Lexicon of the Divine Epithets in the Orphic Hymns Würzburg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Vestígios de performance nos hinos órficos: tradução dos hinos 1, 2, 3, 4, 78, 85, 86, e 87 Instituto de Letras, Universidade Federal do Rio Grande do Sul 2015-06-09
[16] 서적 Πολυώνυμοι. A Lexicon of the Divine Epithets in the Orphic Hymns Würzburg University Press
[17]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19] 서적 Samaveda
[20] 서적 Virgil's Aeneid: Interpretation and Influ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1] 서적 Virgil's Aeneid: Semantic Relations and Proper Nam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2] 서적 Amores https://books.opened[...]
[23] 서적 Amores
[24] 서적 The Value of Colour: mater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ancient world Universität Berlin und der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25] 서적 The Oxford Anthology of Rom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Metamorphoses
[27] 서적 Fasti
[28] 서적 Fifty Key Classical Autho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 서적 Dionysiaca
[30] 서적 De Rerum Natura
[31] 서적 De Rerum Natura
[32]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Faces of the Goddes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간행물 Saulės ir metalų kultas bei mitologizuotoji kalvystė: Metalų laikotarpio idėjų atšvaitai baltų religijoje ir mitologijoje
[35] 학술지 The Latvians in Their Folk Songs http://www.jstor.org[...] Folklore Enterprises, Ltd., Taylor & Francis, Ltd.
[36] 간행물 Iš Baltų Mitinio Vaizdyno Juodraščių: SAULĖ.(Lithuanian)
[37]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38] 간행물 Saulės ir metalų kultas bei mitologizuotoji kalvystė: Metalų laikotarpio idėjų atšvaitai baltų religijoje ir mitologijoje (CULT OF THE SUN AND METALS AND MYTHOLOGIZED BLACKSMITHING: REFLECTIONS OF THE IDEAS OF THE METAL AGES IN BALTIC RELIGION AND MYTHOLOGY)
[39] 간행물 The Rose and Blood: Images of Fire in Baltic Mythology
[40]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41] 간행물 A structural analysis of lexical and contextual semantics-Latvian Balts ‘white’ in sun-songs
[42]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Том 1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43]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Том 1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44]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Том 1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45]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Том 1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46]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47] 간행물 Worldview of Belarusian Folk Song Lyrics https://www.folklore[...]
[48] 간행물 Utjecaj ruskih mitoloških i usmenoknjiževnih elemenata na diskurs Priča iz davnine Ivane Brlić-Mažuranić (Influence of Russian mythological and oral literary elements on the discourse of Priče iz davnine by Ivana Brlić-Mažuranić) https://www.academia[...]
[49]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50] 간행물 Once Upon a Time a Sleeping Beauty... Indo-European Parallels to Sole, Luna e Talia (Giambattista Basile Pentamerone 5.5)
[51] 서적 Aphrodite's Entry into Greek Epic https://books.google[...] Brill
[52] 웹사이트 Odyssey Book 12, lines 1-4 http://data.perseus.[...] 2021-04-29
[53] 서적 The Avestan Yasna: Ritual and Myth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54] 서적 Zamyad Yasht: Yasht 19 of the Younger Avesta. Text, Translation, Commentary Harrassowitz Verlag
[55] 서적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56] 서적 Studying Religions with the Iron Curtain Closed and Opened https://books.google[...] Brill
[57]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58]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59]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Incorporated
[60] 간행물 On the Origin of the Indo-Iranians
[61] 서적 Polygnotos and Vase Painting in Classical Athe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62]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3]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64]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Nature https://books.google[...] A & C Black
[66] 간행물 The Latvian Mythological space in scholarly Time http://briai.ku.lt/d[...] Klaipėda University Press
[67] 간행물 Saulės ratų ir laivo mitiniai vaizdiniai: šviesulys paros cikle (Mythical Images of the Solar Carriage and Ship: the Heavenly Body in the Course of an Astronomical Day) http://www.llti.lt/f[...]
[68] 서적 Croatian Tales of Long Ago Frederick A. Stokes Co.
[69] 간행물 Vedic piSd- and Atharvaveda-Saunakiya 19.49.4 {{=}} Atharvaveda-Paippalada 14.8.4: A note on the Indo-Iranian bestiary
[70] 간행물 Sun Myths in Lithuanian Folksongs
[71] 논문 The Latvian Mythological space in scholarly Time http://www.ku.lt/lei[...] Klaipėda University Press 2021-01-06
[72]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73] 논문 More u pričama Ivane Brlić-Mažuranić
[74] 서적 Ovid Recall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Book XXVII https://www.loebclas[...]
[76] 서적 Mother Russia: The Feminine Myth in Russian 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77] 서적 Essays on Eddic Poet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78] 서적 Influences of Pre-Christian Mythology and Christianity on Old Norse Poetry: A Narrative Study of Vafþrúðnismál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79] 논문 Iš baltų mitinio vaizdyno juodraščių: Aušrinė (ir Vakarinė) https://www.lituanis[...]
[80] 논문 Organized Pagan Cult in Kievan Rus'. The Invention of Foreign Elite or Evolution of Local Tradition? The Research Center of the Sloven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 Znanstvenoraziskovalni center Slovenske akademije znanosti in umetnosti (ZRC SAZU) 2015-05-05
[81]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2] 논문 Alkman and the Athenian Arkteia https://repository.b[...]
[83] 서적 Greek Heroine Cul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84] 웹사이트 Panyassis, Heraclea https://www.loebclas[...]
[85] 서적 Greek Epic Fragments: From the Seventh to the Fif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86] 서적 Panyassis of Halikarnassos: Text and Commentary E. J. Brill
[87] 서적 Aphrodite's Entry into Greek Epic Brill
[88] 서적 Introducción al Griego Micénico: Gramática, selección de textos y glosario Prensas de la Universidad de Zaragoza
[89] 논문 Los temas en -s en micénico Peeters
[90] 논문 Une présentation du Mycénien http://www.persee.fr[...] PERSEE Program
[91] 논문 Labor and Individuals in Late Bronze Age Pylos ISLET-Verlag
[92] 논문 Greek and Indo-European semiconsonants: Mycenaean u and w Universidad de Salamanca
[93] 논문 Reflexiones sobre el léxico micénico
[94] 논문 The Mycenaean Greek Vocabulary http://www.jstor.org[...] Vandenhoeck & Ruprecht (GmbH & Co. KG)
[95] 웹사이트 Lucan the Civil War: Book III https://www.loebclas[...]
[96] 서적 Le cycle épique dans l'école d'aristarque https://books.google[...] Bibliothèque de la Faculté de Philosophie et Lettres de l'Université de Liége
[97] 논문 Phaéthon, ses chevaux et un voyage par les airs. À propos d'un épisode de l'Ovide Moralisé et de ses sources https://www.zora.uzh[...] 2023-11-29
[98] 서적 A Handbook of Greek Mythology Routledge
[99] 논문 The Phases of Venus in Germanicus: A Note on German. fr. 4.73–76 Walter de Gruyter GmbH 2017-09-21
[100] 서적 Thrakisch und Dakisch De Gruyter
[101] 서적 Thrakisch und Dakisch De Gruyter
[102] 논문 Thrakische und dakische Namen De Gruyter Mouton
[103] 논문 The Germanic reflexes of PIE *-sr- in the context of Verner's Law Museum Tusculanum Press
[104] 논문 Baltic and East Slavic Charms CEU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05] 논문 A note on Gaul. duti, Chartres A7, B9 http://www.persee.fr[...] PERSEE Program
[106] 서적 Romeo Moses and Psyche Brünhild? Or Cupid the Serpent and the Morning Star? PEETERS
[107] 서적 Vaciski latviska vardnica https://runeberg.org[...] Technisko un Praktisko Rakstu Apgads
[108] 학술지 II. Slave communjutro https://www.persee.f[...] Persée - Portail des revues scientifiques en SHS 2011-07-19
[109] 웹사이트 Jutrzenka - definicja, synonimy, przykłady użycia https://sjp.pwn.pl/s[...] 2020-08-25
[110] 웹사이트 Jitřenka in English, translation, Czech-English Dictionary https://glosbe.com/ 2020-08-25
[111] 서적 Mity, podania i wierzania dawnych Słowian Dom Wydawniczy Rebis 1998
[112] 웹사이트 Kaszubi.pl http://www.kaszubi.p[...] 2020-08-25
[113] 학술지 From Easter to Ostara: the Reinvention of a Pagan Goddess? 2008
[11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Baltic Inherited Lexicon Brill
[115] 학술지 Grammaire comparée https://www.persee.f[...] Persée - Portail des revues scientifiques en SHS 2011-06-17
[116] 학술지 Fonctions et étymologie pronominales (suite) http://www.persee.fr[...] PERSEE Program
[117]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Indo-Aryan Inherited Lexicon https://www.scribd.c[...] Leiden University
[118] 학술지 Héraklés et les points cardinaux
[119] 서적 Living Zoroastrianism: Urban Parsis Speak about their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0] 서적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1] 서적 The bundahišn: The Zoroastrian Book of Cre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2] 서적 Zamyad Yasht: Yasht 19 of the Younger Avesta. Text, Translation, Commentary Harrassowitz Verlag
[123] 학술지 History of Religions and "Popular" Cultures
[124] 서적 On the uniqueness of Culhwch ac Olwen https://www.academia[...] Peeters
[125] 학술지 Le culte de " Sol " et les " Aurelii ": à propos de Paul. Fest. p. 22 L https://www.persee.f[...]
[126] 학술지 Legendinis Litvas indoeuropietiškojo dvynių mito baltarusiškajame kontekste https://www.lituanis[...]
[127] 학술지 Études d'anthroponymie occitane : les noms de personne de l'obituaire de Moissac http://www.persee.fr[...] PERSEE Program
[128] 서적 Polyptyque de l'abbaye de Saint-Germain des Prés https://archive.org/[...] H. Champion
[129] 서적 Extramundi Fundación Pedro Barrié de la Maza
[130] 서적 Aztarna germanikoa Euskal Herriko toponimia historikoan Institución Príncipe de Viana - Gobierno de Navarra
[131] 학술지 Sobre grafía y pronunciación de los topónimos gallegos
[132] 학술지 Toponymes portugais, galiciens, asturiens et pyrénéens : affinités et problèmes historico-linguistiques http://www.persee.fr[...] PERSEE Program
[133] 학술지 Some Names and Epithets in "Culhwch ac Olwen" https://www.academia[...]
[134] 학술지 Sobre la evolución de -nn-, -nw- y -r- interiores intervocálicos en la onomástica personal del Amadís de Gaula
[13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136] 서적 Vala and Iwato: The Myth of the Hidden Sun in India, Japan, and beyond https://www.onmarkpr[...]
[137] 서적 Language, Culture and the Individual University of Montreal
[138] 학술지 Aphrodite of the Dawn: Indo-European Heritage in Greek Divine Epithets and Theonyms
[139] 서적 Aphrodite Routledge
[140] 서적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A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a Proto-Language and Proto-Cultu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0
[141] 서적 A Study in Hindu Social Polity Mittal Publication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