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곰은 '땅'을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단어 *dʰéǵʰōm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널리 나타난다. 이 단어는 땅 자체, 지구 여신, 어머니 대지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비교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 여러 칭호와 표현이 재구성되었다. 데곰은 하늘의 신과 결합하여 비옥함을 가져오고, 인간의 거처이자 죽음과 삶을 연결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다양한 신화에서 데곰과 관련된 인물과 표현이 나타나며, 하늘의 신과의 결합, 만물의 어머니, 필멸자의 거처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또한, 아나톨리아, 인도-아리안, 그리스-로마, 노르드, 슬라브, 발트, 알바니아 신화 등 여러 문화권에서 데곰과 유사한 개념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 인도유럽 여신 - 하우소스
하우소스는 "빛나다"라는 어근에서 파생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 새벽 여신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우샤스, 에오스와 아우로라, 아우슈리네와 아우세클리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이름으로 나타난다. - 인도유럽 종교 - 원시 인도유럽 신화
원시 인도유럽 신화는 문헌 기록은 없으나, 여러 인도유럽 민족 신화의 공통 요소를 비교언어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우주론, 창조 신화, 신들의 계보 등을 다루며 이후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인도유럽 종교 - 디에우스
디에우스는 "빛나다"라는 뜻의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신성한 이름으로, 낮의 하늘 또는 밝음을 의미하며, 아버지 하늘로서 대지의 여신과 짝을 이루어 생명의 성장과 유지를 관장하는 중요한 신이었다. - 유럽의 신화 -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는 기원전 15세기부터 구전되어 온 고대 그리스의 신, 영웅, 괴물에 대한 이야기로,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다양한 문학 작품,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서구 예술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유럽의 신화 - 원시 인도유럽 신화
원시 인도유럽 신화는 문헌 기록은 없으나, 여러 인도유럽 민족 신화의 공통 요소를 비교언어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우주론, 창조 신화, 신들의 계보 등을 다루며 이후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데곰 | |
---|---|
신화 정보 | |
분류 | 지모신 |
이름 | 데곰 |
다른 이름 | 플레트위흐 |
그룹 | 여신 |
유형 | 지모신 |
신앙 중심지 | 얌나야 |
신격 | 지모신 |
지위 | 최고신 |
출전 | 원시 인도유럽 신화 |
배우자 | 디에우스 |
자녀 | 페르쿠노스, 신성한 쌍둥이 신, 하우소스 |
인도 동등신 | 프리티비 |
지역 | 얌나야 문화권 |
민족 | 원시 인도유럽인 |
어원 정보 | |
인도유럽조어 (Dʰéǵʰōm) | Dʰéǵʰōm |
인도유럽조어 (Pleth₂wih₁) | Pleth₂wih₁ |
2. 어원 및 명칭
'땅'을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PIE) 단어 *''dʰ(é)ǵʰōm'' (대격 ''dʰǵʰ-ém-m'', 속격 *''dʰǵʰ-mós'')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가장 널리 나타나는 단어 중 하나이다.(예: 알바니아어 ''dhé'' 와 ''toka''; 히타이트어 ''tēkan'', ''tagān''; 산스크리트어 ''kṣám''; 그리스어 ''khthṓn''; 라틴어 ''humus''; 아베스타어 ''zam''; 토하라어 ''tkaṃ''; 고대 아일랜드어 ''dú'', 리투아니아어 ''žẽmė''; 고대 슬라브어 ''zemlja'') 이는 이 단어가 가장 확실하게 재구성된 PIE 용어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이름 ''*dʰéǵʰōm''의 의례화에 대한 언어학적 증거는 상속된 전통 전반에 걸쳐 체계적으로 퍼져 있지 않다. 그녀는 또한 다른 이름과 별칭, 주로 ''*pl̥th₂éwih₂'' ('광대한 자')로 나타난다.
만약 PIE 지구 여신이 그녀의 별칭 중 하나인 ''*pl̥th₂éwih₂'' 와 함께 이름 ''*Dʰéǵʰōm''으로 확실하게 재구성된다면, 그녀는 여신 ''of the earth''라기보다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는 ''지구 그 자체''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원시 인도유럽 신화는 여전히 강력한 정령 숭배 기질에 의존하고 있다.
비교 언어학자와 고전문헌학자들은 원시 인도유럽 시대에 ''*Dʰéǵʰōm''과 연관된 몇 가지 칭호와 표현을 비교적 확실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Pl̥th₂éwih₂'' ('넓은 존재'), ''*Dʰéǵʰōm Méh₂tēr'' ('어머니 대지'), 그리고 이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의 ''*Dʰéǵʰōm Dʰengwo-'' ('어두운 대지')가 있다.
2. 1. 어원
'땅'을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PIE) 단어 *''dʰ(é)ǵʰōm''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가장 널리 나타나는 단어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알바니아어 ''dhé'' 와 ''toka'', 히타이트어 ''tēkan'', ''tagān'', 산스크리트어 ''kṣám'', 그리스어 ''khthṓn'', 라틴어 ''humus'', 아베스타어 ''zam'', 토하라어 ''tkaṃ'', 고대 아일랜드어 ''dú'', 리투아니아어 ''žẽmė'', 고대 슬라브어 ''zemlja'' 등이 있다. 이는 이 단어가 가장 확실하게 재구성된 PIE 용어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dʰéǵʰōm''에서 파생된 동족어는 다음과 같은 신화에서 확인된다.
- 인도유럽조어: *''dʰ(é)ǵʰ-ōm'' (목적격 ''dʰǵʰ-ém-m'', 속격 *''dʰǵʰ-mós''), '대지'
- 아나톨리아조어: *''déǵ-m''
- 히타이트: ''Tagān-zepa-'' ('대지의 정령; 이후 ''dagān-zipa''-), 조약의 증인 역할도 하는 지상 신(줄기 ''dagan-'', '대지', ''šipa,'' '정령'에 붙여 구성됨)
- 그리스조어: ''*kʰtʰōn'', '대지' (초성 자음군 ''*dʰǵʰ-''는 전위를 통해 ''*kʰtʰ-''로 진화; 최종 -''m''은 규칙적인 음운 변화를 통해 -''n''으로 변경됨)
- 그리스: 크토니
- 고대 아베스타어: ''Zām'' ('대지')
- 발트-슬라브조어: *źem-'' (from''*dʰǵʰ-em-'')
- 발트어: ''*žeme''
- 리투아니아: ''제미나''
- 라트비아: ''Zemes Māte'' ('어머니 대지')
- 슬라브조어: *zeml'àmis
- 동슬라브어:
- 고대 러시아어: ''마트 시라 젬랴'' ('어머니 축축한 대지')
- 우크라이나어: ''시라자 젬랴'' 및 ''마티 - 시라 젬랴''
- 벨라루스어: ''마치 시라 잠랴''
- 서슬라브어:
- 폴란드어: ''마테츠카 지에미아'' ("작은 어머니 대지")
- 남슬라브어:
- 불가리아어: ''수라 제미야'' ('축축한 대지')
- 세르비아어: ''어머니 대지'' ("마j카-젬라")
- 알바니아조어: ''*dzō''
- 알바니아: ''데'' ('대지')
'인간, 지구인'을 의미하는 두 개의 평행 용어가 *''dʰ(é)ǵʰ-'' 줄기에서 파생된 것으로도 확인된다.
- 인도유럽조어: *''dʰǵʰom-yo-'', '인간, 지구인'
- 산스크리트어: ''kṣámyaḥ'', '지상의'[62]
- 그리스조어: ''*kʰtʰōnyos''
- 그리스어: ''chtónios'' (χθόνιος), '대지에 속하는'[62]
- 켈트조어: *''gdonyo''-, '인간, 사람'
- 골어: ''-xtonio-'' (*gdoniosxtg), '인간'
- 고대 아일랜드어: ''duine'', '인간'
- 중세 웨일스어: ''dyn'', '인간'
- 인도유럽조어: ''dʰǵʰ(e)-mōn'' (목적격 *''dʰǵʰ-m-on-m''), '인간, 지구인'
- 이탈리아조어: *''χem-ō-'', *''χe/om-on-m''
- 라틴어: ''homō'', ''hominis'', '인간, 남자'
- 오스크어: ''humuns'', 움브리아어: ''homonus'', '남자'
- 게르만조어: *''guman''-, '남자'
- 고트어: ''guma'', '남자'
- 고대 노르드어: ''gumi'', '남자'
- 고대 영어: ''guma'', 고대 작센어: ''gumo'', 고대 고지 독일어: ''gomo'', '남자'
- 발트어:
- 고대 리투아니아어: ''žmuō'', '남자'; 리투.: ''žmónės'', '사람들', ''žmonà'', '아내, 여자'
- 고대 프러시아어: ''smoy'', '남자', ''smūni'', '사람'
명사 ''*dʰéǵʰōm''의 잔재는 공식적인 구절과 종교적 별칭에서 찾을 수 있다.
- 베다: 합성어 ''Dyāvākṣamā,'' ('하늘과 땅'), ''kṣamā''는 대지의 여신 프리티비('광대한 자')와 관련됨.
- 그리스: 데메테르를 지칭하는 별칭 χαμύνη (''khamyne'' (de), '땅의')
2. 2. 넓은 존재 (*Pl̥th₂éwih₂)
비교 언어학자와 고전문헌학자들은 텍스트 및 비문 분석을 바탕으로 원시 인도유럽 시대에 '*Dʰéǵʰōm'과 관련된 몇 가지 칭호와 표현을 재구성했다. 그 중 '*Pl̥th₂éwih₂'('넓은 존재')는 인도유럽어 시 전통에서 지구에 적용되는 가장 흔한 수식어였으며, '*pléth₂-us'('평평한, 광대한, 넓은'을 의미)의 여성형이다.어원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베다의 대지 여신 프르트(i)비, 그리스 님프 플라타이아, 골(Gaul)의 여신 리타비를 포함한 다양한 신들의 이름에서 나타난다. '*dʰéǵʰōm'과 '*pl̥th₂éwih₂'를 연관시키는 거의 동일한 시적 표현으로는 아베스타어의 ''ząm pərəθβīm'' ('넓은 땅'), 산스크리트어의 ''kṣā́m ... pṛthivī́m'' ('넓은 땅'), 고대 히타이트어의 ''palḫiš'' ''... dagan(-zipaš)'' ('넓은 ... 땅[-지니어스]')이 있다.
또 다른 유사한 수식어는 모든 것과 생물을 낳는 자를 의미하는 '만물을 낳는 자'이다. 그녀는 또한 베다, 그리스, 고대 노르드 의례적 표현에서 '많은'을 의미하는 어근 '*plh₁u-'를 공유하며 '풍요롭게 하는 자' 또는 '비옥한 목초지'라고 불렸다.
원시 인도유럽어 우주론에서, 땅 ''Dʰéǵʰōm''은 바다('대양')로 둘러싸인 광대하고 평평하며 둥근 대륙으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Pl̥th₂éwih₂'에서 파생된 동족어들이 확인된 전통들은 다음과 같다.
- 히타이트어: ''palḫiš dankuiš daganzipaš'', '넓고 어두운 땅의 정령',
- 원시 인도이란어: *''pṛtH-uiH-'',[217]
- 베다어: ''Pṛithvī'' ''Mātā'' (पृथ्वी) ('어머니 대지, 광대한 존재')[217], 시적 표현 ''kṣā́m ... pṛthivī́m'' ('넓은 땅'), ''Prithu''[218][219]
- 아베스타어: ''ząm pərəθβīm'', '넓은 땅',
- 고대 그리스어: ''Plátaia'' (Πλάταια), 보에오티아의 도시 플라타이아
- 켈트 신화: ''Litavī''
이 단어는 또한 '땅, 들'과 같은 일반적인 용어로도 살아남았다.
- 원시 게르만어: '*fuldō', '땅, 토지, 들, 세상',
- 고대 노르드어: ''fold''; 고대 영어: ''folde''
- 원시 슬라브어: *''pȍļe'', '들',
- 슬라브 신화: ''폴레비크''[220], *''pȍļe''와 관련된 여성 보가티르의 이름인 ''Polianitsa''[221][222], ''Byely Polianin'' ('하얀 들의 거주자')[223]
- 고대 교회 슬라브어: polje, '들'.
비 인도유럽어 전통에서 '*Pl̥th₂éwih₂'의 주목할 만한 후손은 이부 페르티위로 나타난다; 그의 이름은 베다어 ''Pṛithvī''에서 차용되었으며, 인도네시아의 국가 의인화이다.[224]
다른 동족어들은 덜 확실하다.
- 발트어:
- 라트비아어: ''plata māte'' ('넓은 어머니')[225][226]
- 이탈리아어:
- 베네토어: ''pletuvei''[227], ''Pultovia''.[228][229]
- 베스티노어: ''펠투이눔''.[230][229]
- 움브리아어: 쿠프라에게 부여된 별칭인 ''Pletinas''.[230][231]
- 켈트어:
- 켈트이베리아어: ''letontu''; ''Letondonis''[232], ''leitasama''.[233][234]
- 갈라시아어: Bletisam(a)mis (레데스마, 살라망카)[235]
- 히스파노-켈트어: *(p)litanyamis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지명 ''레다냐''[236]
- 골어: ''Litana''[237], 실바 리타나 전투
- 갈로-로마 문화: ''Litanobriga''[239][240]
2. 3. 어머니 대지 (*Dʰéǵʰōm Méh₂tēr)
비교 언어학자와 고전문헌학자들은 텍스트 및 비문 분석을 바탕으로 원시 인도유럽 시대에 '*Dʰéǵʰōm*'과 연관된 몇 가지 칭호와 표현을 재구성하였다. '*Pl̥th₂éwih₂*'(넓은 존재), '*Dʰéǵʰōm Méh₂tēr*'(어머니 대지), '*Dʰéǵʰōm Dʰengwo-'*(어두운 대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어머니'(méh₂tēr)라는 칭호로 널리 숭배받은 지구 여신은 종종 '하늘의 아버지'인 *Dyḗus ph₂tḗr*와 짝을 이루었다. 히타이트어 전례에서는 'annas Dagan-zipas'(어머니 대지의 정령)라고 불리며 하늘의 폭풍 신과 짝을 이루었고, 빌리나에서는 'Mat' Syra Zemlya'(젖은 어머니 대지)로 불렸다.[1] 베다 대지의 여신 프리티비는 하늘의 아버지인 Dyaus와 함께 언급될 때 'Mata'(어머니)라는 수식어가 자주 붙는다.
리그베다 10.18.10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úpa sarpa mātāram Bhū́mim etā́m uruvyácasam Pṛthivī́ṃ suśevām''
이 광대한 대지, 친절한 어머니 대지로 들어가라...
발트 대지의 여신 Zemyna 역시 '들판의 어머니'와 '숲의 어머니'라는 수식어와 관련이 있으며,[2] 인간의 어머니로서 존경받는다.[3] 고대 슬라브 종교와 전통에서 "어머니 대지" 숭배는 대지를 시조의 역할과 연결시켰다.[4][5][6] 스몰렌스크 전설에서는 인간에게 출생 어머니(''rodna'')와 두 명의 위대한(''velikih'') 어머니, 즉 어머니 젖은 대지와 하느님의 어머니가 있다고 전해진다.[7] 앵글로색슨 여신 Erce는 '대지의 어머니'(''eorþan modor'')라고 불리며, 결실이 없는 쟁기질하는 땅에서 수행되는 의식에서 어머니 대지 자신과 동일시될 가능성이 높다. 그녀는 또한 고대 영어 시에서 ''Fīra Mōdor''('인간의 어머니')라고 불린다.
그리스 대지의 여신 가이아는 '만물의 어머니'(Μητηρ Παντων)라는 수식어가 부여되었다.[8][9] 여러 오르페우스 찬가는 대지(γαῖα θεὰ μήτηρ)에 '어머니'라는 수식어를 붙인다.[10] 사마베다 찬가에서 베다 불의 신 아그니는 "급속히 ... 그의 어머니 대지를 따라 움직인다"라고 묘사된다.[11] 아타르바 베다 찬가 (12.1) (''Pṛthvī Sūkta'', 또는 ''Bhūmī Sūkta'')에서, 축하자는 프리티비를 자신의 어머니라고 부르는데, 그가 "대지의 아들"이기 때문이다.[12] 'bhūmi'는 '토양'을 의미하는 프리티비의 수식어로도 사용되며, 하늘, 하늘, 대지로의 세 가지 분할을 언급할 때 사용된다.[13][14][15] Bhūmi는 어머니 대지의 속성을 가진 또 다른 베다 신이다.[16][17][18]
그리스 수확 및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는 동족어일 수 있으며, '어머니'를 의미하는 ''māter''에 연결된 일리리아어 어근 ''dā-''(*dʰǵʰ(e)m-*xil)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대지를 어머니로 보는 아이디어에 대한 로마의 증거는 의심스러운데, 일반적으로 ''Tellus''(제국 이전의 대지 여신)보다는 ''Terra''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으며, 증명된 전통은 그리스 모티프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알바니아어에서 대지 어머니 여신 또는 위대한 어머니(Magna Mater)는 ''Dhé'' "대지"라고 불리며, 그녀에 대한 숭배의 흔적은 알바니아 민속 신앙에 보존되어 있다.[19]
2. 4. 어두운 대지 (*Dʰéǵʰōm Dʰengwo-)
텍스트 및 비문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 언어학자와 고전문헌학자들은 원시 인도유럽 시대에 '*Dʰéǵʰōm*'과 연관된 몇 가지 칭호와 표현을 비교적 확실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Pl̥th₂éwih₂*' ('넓은 존재'), '*Dʰéǵʰōm Méh₂tēr*' ('어머니 대지'), 그리고 이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의 '*Dʰéǵʰōm Dʰengwo-' ('어두운 대지')가 있다.고대 인도유럽어의 또 다른 수식어인 '*dʰéǵʰōm dʰengwo-' 또는 '*dʰéǵʰōm dʰṇgu-' ('어두운 대지')는 히타이트어 표현 'dankuiš dagan-zipaš' ('어두운 대지의 정령')와 'dankuš tēkan'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하 세계를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지만, 때로는 지표면을 지칭하기도 했다. 또한 알바니아어와 원시 슬라브어 표현 'dhe të zi' ('검은 대지')와 '*črnā(yā) zemyā' ('어두운 대지')에서도 부분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dʰéǵʰōm*'이라는 용어를 유지하고 있다. 다른 반사어로는 그리스어 'Gaia Melaina' (γαîα μέλαινα; '검은 대지') 또는 고대 아일랜드어 'domun donn' ('갈색 대지')에서 찾을 수 있다. 리투아니아어 표현은 "검은 대지가 나를 지지하지 않기를"의 형태를 띤다.
''ištamašta=an=ma palḫiš dankuiš daganzipaš''
...넓고 어두운 대지가 그를 들었다...
라트비아어 식물 비옥도에 관한 '다이나스'에서 검은색은 풍요로운 수확을 상징했으며, 검은 흙은 가장 비옥한 것으로 여겨졌다.[20] 러시아 동화에서 소녀는 "검은 대지의 담요 아래" 묻힌다.[21] '*čṛnā(jā) zemjā' ('어두운 대지')라는 표현은 슬라브어군 남부 지역에서 발견된 표현을 기반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22] 세르보-크로아티아어 'zagrlila (poljubila) ga je (crna) zemlja' ('그가 죽었다'는 의미)와 세르비아어 'crna zemlja'는 의례 및 매장 상황에서 사용된다.[23]
또 다른 학설에 따르면 어두운 대지의 표현은 소환이나 맹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솔론의 비가 '단편' 36에서 볼 수 있듯이 선포자가 대지를 관찰자 또는 증인으로 소환하는 경우이다.[24] 슬라브 신 '촉촉한 대지' ('Syra Zemlya')는 맹세 중에 마찬가지로 소환되었고 토지 분쟁에서 증인으로 불렸다.
3. 역할
3. 1. 하늘의 신과의 결합
대지 여신은 필멸자들의 어두운 거처로 여겨졌으며, 이는 밝은 낮의 하늘이자 신들의 자리인 디에우스와 대조된다.[25] 두 신은 종종 한 쌍으로 나타나며, 하늘의 아버지('*Dyḗws Ph₂tḗr*')는 어머니 대지('*Dʰéǵʰōm Méh₂tēr*')와 결합하여 비옥함과 성장을 가져온다. 따라서 대지는 종종 좋은 것을 주는 존재로 묘사된다. 제우스와 세멜레, 데메테르의 결합도 그리스 신화에서 비옥함과 성장과 유사하게 연관된다. 잭슨에 따르면, ''Dʰéǵʰōm''은 페르크''w''우노스의 더 적합한 파트너이다.대지와 하늘 부부는 아마도 다른 천상의 신들의 기원이 아니었을 것이다. 신성한 쌍둥이와 H2éwsōs는 디에우스 혼자서 잉태된 것으로 보인다.
3. 2. 만물의 어머니
3. 3. 필멸자의 거처
''Dʰéǵʰōm''은 죽음과 삶 모두와 연관이 있었다. 죽은 자는 그녀로부터 만들어져 결국 그녀에게로 돌아가지만, 작물 또한 Dyēus의 비로 비옥해진 그녀의 습한 토양에서 자란다. 이는 인도유럽어족 전통에서 '인간'을 '살아있는 종'이 아닌 '필멸자'의 동의어로 널리 사용한다는 점에서 하늘의 신들에 대한 인류의 지위가 계층적으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히타이트 군사 서약에서 땅은 쓰러진 자의 피를 마신다고 하며 ("이것은 와인이 아니라 너의 피이며, 땅이 이것을 삼켰듯이..."), 아이스킬로스의 ''테바이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 (736)과 인도 ''마하바라타'' ("... 오늘 땅은 그들의 왕의 피를 마시리라")에서도 마찬가지이다.'땅'을 의미하는 단어는 인간을 지칭하는 많은 단어의 기저를 이루는데, 이는 인간이 '땅의 존재'이거나 땅 자체로 만들어졌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파생어 형태인 ''*dʰǵʰ(e)-mōn''과 ''*dʰǵʰom-yos''에서 재구성되었으며, '땅의 존재'에서 '인간'으로 의미 변화를 겪었다. 산스크리트어 ''jmán'' ('땅에서 온')과 ''kṣámyaḥ'' ('땅의'), 라틴어 ''homō'' ('사람'), 고트어 ''guma'' ('사람'), 고 리투아니아어 ''žmuõ'' ('사람') 및 고 프러시아어 ''smoy'' ('사람'), 고대 아일랜드어 ''duine'' ('사람'), 그리고 골어 ''-xtonio'' (*gdoniosxtg '사람'?)이다. 신-프리지아어 용어 ''zemelōs'' (ζεμελως)는 '사람' 또는 '천상의'와 반대되는 '지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62][63]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에의 말에 따르면, 그러한 은유는 "신들과 구별되는 특징, 즉 필멸성, 지상에서의 삶으로 '인간'을 지칭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64]
4. 관련 신화 및 증거
다른 신화들에서는 어원적으로 '*Dheghom*'과 관련된 등장인물과 표현이 나타나지만, 이러한 연관성은 덜 확실하다.
- 아나톨리아어족:
- * 리디아어: ''멘 티아무''(Tiamos) 숭배에 대한 언급은 학자들이 ''티아무''가 '땅의' 또는 '저승의'를 의미하는 별칭이며, 루위아어의 ''tiyamm(i)'' '땅'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게 한다.[171] 이 표현은 멘의 일반적인 별칭인 καταχθονιος ('저승의', '지하의')에 해당한다.[172][173][174][175]
- 헬레네어족:
- * 도리아 방언: 언어학자 크르지슈토프 비트차크는 "δηγῆ και σιωπᾷ"("땅과 침묵을 지킨다")라는 표현에서 방언 도리아어 단어 "δηγῆ" ''dēgê''가 원-알바니아어에서 유래된 고대 차용어일 가능성을 제시한다.[176]
- * 그리스 신화: 다미아는 봄, 성장, 식물과 관련된 조신인 ''호라이'' 중 하나로, 보통 동료 호라이인 아욱세시아와 짝을 이룬다.[177][178] 고대 문헌에서는 다미아가 데메테르의 또 다른 이름이었을 수 있다고 시사한다.[179][180]
- 이란어족:
- * 사카어: 호탄 사카어가 '땅'을 의미하고 아베스타어의 ''zam-''과 동족어인 사카어 어근 ''''과 ''''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이란의 땅 숭배의 유물을 보존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181] 이 단어는 인명 ''Ysamotika''에서도 증명되었으며,[182] 라는 종교적 표현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는 '세계'를 의미한다.[183][184]
- 토하라어족: ''tkamñkät'' (토하라어 A) 및 ''keṃ-ñäkte'' (토하라어 B)라는 표현은 토하라어로 쓰여진 불교 종교 텍스트에 사용되었으며, 땅 또는 일종의 '땅의 신'을 나타낸다.[185][186][187]
- 이탈리아어족:
- * 움브리아어의 신 훈테는 아마도 *''ǵʰom-to-'' '아래에 있는 자'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 * 세모니아는 작물과 파종과 관련된 모호한 신으로,[188] 아마도 로마인 또는 사비니족 기원과 숭배를 받았으며, 보통 ''살루스 세모니아''라는 별칭으로 증명된다.[189] 가능한 남성 대응물은 세모 상쿠스인데,[190] 사비니족 출신의 신으로 그의 특징은 디우스 피디우스의 특징과 융합되었다. 세모니아와 상쿠스는 다른 농업/작물 신인 세이아 및 세게티아와 함께 나타난다.[191]
- 켈트어족:
- * 고대 아일랜드어: 여신 다누는 일부 인도유럽어학자들에 의해 아일랜드의 땅 여신으로 여겨진다.
- * 웨일스 신화: 언어학자 존 T. 코크는 '돈의 아이들'(''Plant Dôn'')로 알려진 가족을 "땅의 아이들"로 해석하는데, 그들의 여주인인 돈의 이름이 켈트어 ''*gʰdʰonos'' ('땅', 속격)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이다.[192]
- 발트어족:
- * 리투아니아 신화: ''Žemėpatis''[193][194] ('땅의 배우자')[195]와 ''Žemininkas'',[196] 가축, 농업 및 땅의 비옥함과 관련된 남성 신.[197] 그들의 이름은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된 리투아니아 비기독교 신앙의 역사적 기록에 나타난다.[198] ''Zemeluks'', ''Zamoluksei'',[199] ''Zameluks'' 또는 ''Ziameluks''라는 이름을 가진 남성 신도 증명된 것으로 여겨진다.[200][201] 한 설명에 따르면 그는 ''DEUS TERRAE''('땅의 신')[202]이고, 다른 설명에서는 그가 프러시아인에 의해 "땅에 묻힌 땅의 군주 또는 신"이라고 한다.[203]
- 분류되지 않은 인도유럽어:
- * 프리지아어: '땅의 어머니'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별칭 ΓΔΑΝ ΜΑ (''Gdan Ma'')[204] 또는 아나톨리아어족에서 유래된 차용어.[205] 그러나 이 이름은 소아시아의 그리스 문자로 쓰여진 이름에서 복합어로 나타난다.[206] 프리지아어는 또한 땅을 지칭하는 단어 ''KTON''을 증명한다.[204]
- * 트라키아 종교: Zemelā (아마도 ''*gʰem-elā''에서 유래)는 그리스 여신 세멜레와 동족어이다.[207] 그리고 모호한 디오니소스의 별칭 ''Semeleios''[209] (''Semeleius'' 또는 ''Semelēus''),[210]는 '땅의 자', '세멜레의 아들'을 의미한다.[211][212][213][214]
- * 일리리아 신화: 메사피아어의 Damatura는 ''dā-'' (아마도 *dʰǵʰ(e)m-xil에서 유래)에 ''matura'' ('어머니')가 붙은 것이다. 아마도 그리스 여신 데메테르의 기원일 것이다.[216]
''Dʰéǵʰōm'' 또는 ''Pl̥th₂éwih₂''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조로아스터교의 신 스펜타 아르마이티는 땅과[241][242], 비옥함[243] 및 농부들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244][245] 죽은 자와도 관련이 있다.[246]
기독교 이전의 아르메니아 신화에도 그녀와 대응되는 존재가 있는데, 스판다라메트 또는 산다라메트로 불리며, 땅과 지하 세계와 연결된 역할을 한다.[247] 즉, 그녀는 포도원의 "아르메니아 땅의 여신"이었지만,[248] "잠자는 자", 즉 죽은 자들을 다스리기도 했다.[249] 그녀는 조로아스터교의 대응 신인 스펜타 아르마이티에서 파생된 존재로 여겨지는데, 이 전통에서 그녀는 ''여성''이다. 스판다레메트는 후기 아르메니아 전통에서 지하 세계의 ''남성'' 신으로 변형되었으며,[250] 기독교의 영향으로 악령이 산다고 하는 지하 세계의 이름에 그녀의 이름을 빌려주었다.[248][251]
두 신 모두 각자의 종교에서 하늘의 신, 아후라 마즈다[252][253][254] 또는 아라마즈드의 아내 또는 동반자로 여겨진다. 그는 또한 일부 설명에서 비의 신이라고 한다.[256]
4. 1. 아나톨리아 신화
히타이트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인 천상의 폭풍 신은[26], 지역 아나톨리아 또는 하티 신들과 융합되어 지상적 특징을 가진 지역 폭풍 신과 합쳐졌다. 이후, 천상의 폭풍 신은 지하신적인 특징을 가진 지역 여신 우룰레무와 짝을 이루었다.[27]4. 2. 인도-아리안 신화
프리티비는 아버지인 디아우스와 함께 짝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사마베다 찬가에서 나타난다.[29][30] 그들은 우주의 부모로 칭송받는다.[31] 하지만, 아타르바베다 찬가(12.1)에서 프리티비는 파르자냐와 짝을 이루고,[32][33] 같은 찬가 6절(12.1.6)에서 인드라는 지구의 "배우자"이자 보호자로 묘사된다.[34]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스키타이인들은 지구를 제우스의 아내로 여겼다.
리그베다 제10권, 찬가 XVIII(장례 찬가) 10-13절에서, 땅은 죽은 자의 시신을 받아 부드럽게 덮어 달라고 간청하며, 마치 어머니가 아이를 대하듯 한다.[123][124][125] 베다 성전의 두 번째 찬가에서는 땅에게 열어 죽은 자를 받아들이라고 요청하며, "두 왕" 야마와 바루나를 언급한다.[126][31]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에는 베다 현자 야즈나발키야가 기록한 것으로, 화장 후 죽은 자의 뼈를 땅에 묻는 의식에 대한 언급이 있다.[127] 칸다 XIII,8,3,3에 따르면, "사비트리(Savitri)여, 어머니의 품[māturupastha]에 당신의 뼈를 두소서."라고 기록되어 있다. 사비트리는 뼈를 어머니[māturupastha]의 품, 즉 이 땅[pṛthivyai]에 묻는다.[128]
4. 3. 그리스-로마 신화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Dʰéǵʰōm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제우스는 *Dʰéǵʰōm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는 세멜레와 연관되며, 어머니 대지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 데메테르와도 연관된다. 아이스킬로스는 《다나이드》에서 우라노스와 크톤의 성교를 묘사하며, 이는 비와 땅의 임신으로 이어진다. "하늘과 땅"은 히타이트 조약의 증인으로 소환된 신들 사이에서 나타나며, 로마의 텔루스 마테르는 마크로비우스의 《농신제》에서 유피테르와 짝을 이룬다.제우스와 땅의 요소(데메테르) 또는 땅과 연관된 여성 등장인물(세멜레, 플라타이아, 테미스)의 결합은 하늘/땅 결합의 흔적일 수 있다. 그리스인의 제례 관행에서 다른 종교적 표현과 공식은 하늘 신과 땅의 어머니 사이의 결혼 또는 결합을 증명한다. 호메로스의 가이아 찬가에서는 그녀를 "별이 빛나는 우라노스의 아내"라고 부르고;[35] 아테네의 결혼식은 우라노스와 가이아에게 헌정되었으며;[36] 《오르페우스 찬가》는 신봉자가 "땅과 별이 빛나는 하늘의 아이"라고 말하며;[37] 아테네에는 가이아가 비를 위해 제우스에게 간청하는 모습을 묘사한 아크로폴리스의 조각상이 있었다.[38] 제우스 크토니오스와 게 크토니아는 미코노스에서 제례 쌍을 이루고;[40][41] 제우스는 도도나에서 여사제들에 의해 땅의 어머니와 함께 소환된다.[42][43]
시로스의 페레퀴데스의 우주 생성론에서 남성 신 *자스* (제우스 및 하늘/천상의 높이와 동일시됨)는 여성 등장인물 *크토니에* (땅 및 지하 깊이와 연관됨)와 신성한 결혼 의식에서 결합하며, 이 결합은 "다산-풍요 의례의 신학"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45] 고대 로마 학자 바론은 그의 저서 《농업론》에서 유피테르, "아버지"와 텔루스, "땅의 어머니"를 농업의 풍요로움에 책임이 있는 한 쌍으로 나열했다.[47]
필멸자들의 어머니이자 그들의 마지막 안식처로서의 *Dʰéǵʰōm의 또 다른 반향은 죽은 자들을 칭하는 아테네식 명칭인 *데메트리오이* ('데메테르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65] 아이스킬로스의 ''코에포로이'' 127절의 구절에서도 나타난다. "그래, 모든 것을 삶으로 이끌고, 기르고, 다시 그녀의 자궁으로 데려가는 땅을 불러라."[42][66] 또한, 데메테르는 곡물과 작물과의 전형적인 연관 외에도 일부 그리스 도시에서 저승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숭배되었다.[67][68] 플루타르코스의 ''달 속의 얼굴에 관하여''에 따르면, 땅과 모든 지상의 것을 다스리는 데메테르는 인간이 죽은 후 영혼을 육체로부터 분리한다.[71]
유사한 이미지가 시인 에우리피데스에 의해 그의 희곡 ''탄원자''에서 묘사되었는데, 530-536행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죽은 자들을 이제 땅에 묻게 하고, / 각 원소는 몸에서 온 곳으로 돌아가게 하라, / (...) 몸은 땅으로; / 우리는 그것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살기 위해 얻었으며, 그 후 어머니인 땅이 그것을 다시 가져가야 한다".[72][73]
4. 4. 노르드 신화
요르드는 게르만 조어 ''*erþō''에서 유래되었으며 '대지, 토양, 땅'을 의미한다.[48] 노르드 신화에서 요툰인 대지의 여신 요르드는 최고신 오딘과의 사이에서 천둥의 신 토르를 낳았다.[48]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대지가 전지 아버지(All-Father)의 딸이자 아내("Jörðin var dóttir hans ok kona hans")라고 언급되는데, 여기서 전지 아버지는 오딘으로 확인된다.[49]4. 5. 슬라브 신화
슬라브 신화에서 *Dʰéǵʰōm은 대지모신(大地母神)으로, 하늘과 짝을 이루는 존재로 나타난다. 러시아 학자 O. G. 라드첸코는 동슬라브족의 수수께끼, 주문, 약초 부적 등에서 *Dʰéǵʰōm의 흔적을 발견했다.[25] 크로아티아 역사가 나트코 노딜로는 세계 구성 요소에 대한 수수께끼에서 남성적인 하늘과 여성적인 땅의 결합을 언급했다.[50] 러시아 주문에서는 하늘과 땅이 아버지/어머니 쌍으로 나타난다.[51]폴란드 민속에서도 "낮은 어머니, 높은 아버지, 눈먼 딸과 미친 아들"과 같은 수수께끼를 통해 하늘과 땅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다.[54] 아르한겔스키에서 수집된 부적에서는 "어머니-땅"(Земля мать)과 "아버지 하늘"(небо отец)을 부른다.[56] 슬라브족 사이에는 땅이 하늘의 비에 의해 비옥해진다는 믿음이 있었으며, 땅을 더럽히는 것은 죄로 여겨졌다.[57]
슬라브의 고대 신앙에서 대지는 인간의 요람이자 양육자였으며, 죽음 이후에는 뼈를 받아들이는 존재였다.[93] 폴란드 저주에서는 저주받은 사람의 유해를 받아들이지 않는 "거룩한 대지"(''święta ziemia'')를 대상으로 저주를 내린다.[100]
''terre humide'' ("젖은 땅")의 이미지는 리투아니아와 우크라이나의 탄식에 나타나며, ''Mère-Terre humide'' ("젖은 어머니 대지")로 불리기도 한다.[103][104][105] "젖은 어머니 대지"는 21세기까지 지속된 표현으로, 현대 러시아 시골 지역의 장례 탄식에서도 발견된다.[114] 우크라이나 탄식에서 조문객은 흙을 "젖은 어머니"("Земле ж моя земле, мать сирая")로 부른다.[115] 벨라루스 민요에서 흙은 "syroj ziamli-matušcy" ('젖은 땅-어머니')로 불린다.[116] 세르비아어 관용 표현에서는 "어두운 흙"("crna zemlja")이 죽은 자의 안식처를 지칭한다.[120][121] Mat' Syra Zemlya는 결혼 노래에서 신부의 부모를 부르는 존재로도 나타난다.[122]
4. 6. 발트 신화
발트 학문에서는 고대 발트 신앙에서 세상을 남성적이고 역동적인 천상의 반쪽과, 여성적이고 정적인 땅의 반쪽으로 나누어 인식한다.[58] 땅은 식물, 물과 관련이 있으며, 늦가을/초겨울 즈음에 닫히고 봄에 첫 비와 함께 "열린다"고 여겨졌다.[59]니욜레 라우린키에네(Nijolė Laurinkienė)에 따르면, 발트의 천둥 신 페르쿠나스가 비로 땅을 "열어" 새로운 생명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후기 전통에서는 이 신이 성 게오르기우스 (Jurgis, Yurja, Sveti Juraj)로 대체된 것으로 보이며, 그는 민요에서 봄에 열쇠로 땅을 여는 존재로 묘사되었다.[59]
발트 신화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여신 제미나(Zemyna)와 제메스 마테(Zemes Mate)의 이중 역할을 설명하는데, 이들은 땅의 비옥함과 관련이 있는 동시에 죽은 자를 맞이하고 그들의 통치자이자 수호자 역할을 한다.[75] 라트비아 ''다이나스''(dainas)에서 제메스 마테는 ''마테(Mahte)'' ("어머니")인 ''벨루 마테''(Velu Mate, '죽은 영혼의 어머니') 및 ''카리 마테''(Kari Mate, '무덤의 어머니')와 관련이 있다.[77] 제메스 마테와 카리 마테는 죽은 자의 안식처 역할을 하며, 그들의 몸을 지키고 무덤의 열쇠를 쥐고 있다.[77] 제메스 마테는 개인의 마지막 안식처로 간주된다.[78][79][80] 리투아니아 민속의 일부는 또한 인간의 어머니이자 죽음 이후의 마지막 거처로서의 지구에 대한 언급을 한다.[83][85][86]
19세기와 20세기에 벨리오우나(Veliouna)에서 수집된 장례 슬픔과 같은 슬픔은 슬픔이 헌정된 고인의 목적지로서 "sierą žemelę" 표현을 증명한다.[87][88][89][90] 나중의 군사적 죽음 슬픔에서 "sierą žemelę"는 총에 맞은 후 쓰러진 병사의 피를 마신다고 한다.[91] 리투아니아 신문 ''드라우가스(Draugas)''의 한 호는 "zeme, žeme, siera žemele"로 지구를 부르고 이미 아버지와 어머니를 데려간 처녀인 그녀를 데려가 달라고 요청하는 ''다이나스''를 게재했지만, 지구는 그녀를 꾸짖는다.[92]
4. 7. 알바니아 신화
알바니아 전통에서 땅 – 데우]]/조니아 에 데우트sq 또는 토카sq – 은 죽은 자를 가슴에 조심스럽게 맞이하도록 깊이 존경받는다. 예를 들어 알바니아 전통 장례 의식인5. 한국 신화와의 비교
6. 현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참조
[1]
서적
"The Black Madonna in Latin America and Europ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07
[2]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1998
[3]
서적
Search for Gods
Springer, Dordrecht
1972
[4]
간행물
"Jaroslavna, Voice of the Russian Earth. A Contribu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Igor Tale"
2009-11-15
[5]
서적
Mother Russia: The Feminine Myth in Russian Cul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6]
간행물
"In the Beginning, God Was a Woman"
http://www.jstor.org[...]
2021-04-11
[7]
간행물
"«Bez carja zemlja vdova»: Syncrétisme dans le Vremennik d'Ivan Timofeev"
www.persee.fr/doc/cm[...]
1993
[8]
기타
Prometheus Bound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926
[9]
기타
The Libation Bearer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926
[10]
서적
"Πολυώνυμοι. A Lexicon of the Divine Epithets in the Orphic Hymns"
Würzburg University Press
2021
[11]
웹사이트
Hymns of the Samaveda
https://sacred-texts[...]
[12]
웹사이트
"Atharva Veda: Book 12: Hymn 1: A hymn of prayer and praise to Prithivī or deified Earth"
https://sacred-texts[...]
[13]
서적
The Myths of Narasimha and Vamana: Two Avatars in Cosm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11
[14]
간행물
The Hindu Trinity
[15]
서적
A Dictionary of Hinduism
https://archive.org/[...]
Routledge
1977
[16]
간행물
The Cults of the Mother Goddesses in India
https://zenodo.org/r[...]
1919
[17]
간행물
Earth Mother
1974
[18]
간행물
The Indian Great Goddess
1975
[19]
기타
1987, 1993, 2004
[20]
간행물
"[Žemės epitetas: tradicijos kaita]"
https://www.lituanis[...]
2000
[21]
서적
Old Peter's Russian Tales
"T. C. & E. C. Jack, Ltd."
1916
[22]
기타
"ЕПИТЕТИ въ БЪЛГЯРСКЯТЯ НДРОДНЯ ПЪСЕНЬ"
"Печатница ""Култура"""
1939
[23]
간행물
"Der leuchtende Himmel und die dunkle Erde. Ergänzungen zur Etymologie eines indoeuropäischen Mythologems"
https://www.ceeol.co[...]
1994
[24]
웹사이트
"GAEA Page 3 -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25]
기타
"Сопоставление мифологем „мать\" и „отец\" в русской и карельской фольклорной традиции"
2013
[26]
서적
Hittite Prayers
Brill
2002
[27]
서적
The Storm-god in the Ancient Near East
"Eisenbraus"
2003
[28]
기타
"O Heaven (our) father, Earth (our) guileless mother"
[29]
기타
[30]
기타
[31]
서적
Goddess in Vedic Literature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5-10
[32]
서적
Vedic Mythology - Arthur Anthony Macdonell - Google Książki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33]
서적
Aspects of Early Viṣṇuism - Jan Gonda - Google Książki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34]
서적
Goddess in Vedic Literature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5-10
[35]
서적
Anthology of Classical Myth: Primary Sources in Translatio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2004
[36]
서적
The Virgin Goddess: Studies in the Pagan and Christian Roots of Mariology
Brill
[37]
문서
[38]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39]
서적
Πολυώνυμοι. A Lexicon of the Divine Epithets in the Orphic Hymns
Würzburg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Dalje od reči: Rekonstrukcija prajezičkih leksemskih spojeva kao perspektiva slovenske i indoevropske etimologije. I. O slovenskom i dačkom nazivu biljke ‘Verbascum’; II. Neki refleksi ie. korena *dereu‑ u slovenskim jezicima"
Beograd
[41]
서적
Greek Heroine Cult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2]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43]
간행물
The sanctuary of Zeus in Dodona: Evolution of the religious concept
https://www.academia[...]
[44]
간행물
Physiology and Mysticism at Pherai. The Funerary Epigram for Lykophron
http://journals.open[...]
2019-04-20
[45]
간행물
La Cosmogonie de Phérécyde de Syros
[46]
간행물
La Cosmogonie de Phérécyde de Syros
[47]
간행물
Religião Romana Nos Livros Iniciais Do De Re Rustica Varroniano
[48]
서적
Gods, Heroes, & Kings: The Battle for Mythic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Viking Age: A Reader.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0]
간행물
The Dyadic Goddess and Duotheism in Nodilo's ''The Ancient Faith of the Serbs and the Croats''
Ljubljana, Slovenija
[51]
간행물
Eine Slawische Une Baltische Erdgottheit
Ljubljana, Slovenija
[52]
간행물
The Ultimate Reality and Meaning in the Pre-Christian Religion of the Eastern Slavs
[53]
간행물
Порівняльна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фразеологізмів із значенням "п’яний, п’янство, напитися" в українській і сербській мовах
«Темпора», Київ
[54]
서적
Mediating the Otherworld in Polish Folklore: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Peter Lang
[55]
간행물
Symbolism of fertility in Polish folklore
Lublin
[56]
간행물
"'Wondrous Dressing' with Celestial Bodies in Russian Charms and Lyrical Poetry"
https://www.folklore[...]
[57]
간행물
Вербализация концепта «Земля» в селькупском и русском языках
https://cyberleninka[...]
[58]
간행물
Kai kurie mitinės pasaulėkūros aspektai lietuvių tradicinėje kultūroje
https://www.lituanis[...]
[59]
간행물
"Koncepcija Sezonnogo Otmykanija I Zamykanija Zemli V Baltijskoj tradicii"
Ljubljana, Slovenija
[60]
간행물
"Magija u seoskoj tradicijskoj kulturi Bukovice"
https://hrcak.srce.h[...]
[61]
웹사이트
Some Possible Origins of St. George's Day Customs and Beliefs
https://www.folklore[...]
Institute of Estonian Languages, Tartu
[62]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Klincksieck
[63]
문서
New Phrygian Metrics and the δεως ζεμελως Formula
Institut für Sprachwissenschaft
[64]
문서
Le nom de l'homme
Champion
[65]
웹사이트
Myths of Greece and Rome
https://www.sacred-t[...]
[66]
웹사이트
Myths of Greece and Rome
https://www.sacred-t[...]
[67]
간행물
The Chthonic Gods of Greek Religion
[68]
간행물
Demeter in Hermione: Sacrifice and Ritual Polyvalence
http://www.jstor.org[...]
[69]
서적
Virgin Mother Goddesses of Antiquity
Palgrave Macmillan
[70]
서적
The Living Godde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1]
서적
Plutarch on the face which appears on the orb of the Moon
Winchester: Warren and Son; London: Simpkin
1911
[72]
웹사이트
PerseusCatalog
http://data.perseus.[...]
[73]
서적
Myth, Cosmos, and Society: Indo-European Themes of Creation and Destruction
https://doi.org/10.4[...]
Cambridge, MA and London, England: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74]
간행물
Physiology and Mysticism at Pherai. The Funerary Epigram for Lykophron
http://journals.open[...]
2002
[75]
간행물
Požemio ir mirusiųjų karalystės deivė
2010
[76]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995
[77]
웹사이트
A survey of the basic structures in Latvian mythology
http://www.folklore.[...]
Tallinn
1996
[78]
서적
The Faces of the Goddess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79]
서적
The Faces of the Goddess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80]
간행물
A Tendency of Nominalization in the Language of Latvian Folksong
https://doi.org/10.1[...]
2000
[81]
웹사이트
Dzejiskā iztēle latvju dainās
https://jaunagaita.n[...]
Hamilton, Ont
1980
[82]
간행물
The Poetic Imagination of the Latvian "dainas"
http://www.jstor.org[...]
1973
[83]
간행물
Motina Žemė: Moteriškumo reprezentacija
https://www.lituanis[...]
2002
[84]
서적
Search for Gods
Springer, Dordrecht
1972
[85]
서적
Žemyna ir jos mitinis pasaulis
Vilnius: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13
[86]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Vilnius: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01
[87]
웹사이트
Veliuonos raudos XIX ir XX amžiuje
https://www.lituanis[...]
2003
[88]
간행물
Metaforinis mirties temos kodavimas lietuvių laidotuvių raudose
https://www.lituanis[...]
2006
[89]
간행물
Vestimentarinis kodas lietuvių mitologijoje: linai ir lėmimai
1993
[90]
간행물
Žemė motina
Vilnius: Lietuvos liaudies kultūros centras
2007
[91]
웹사이트
Mirtis ir laidotuvės vėlyvosiose karinėse-istorinėse dainose: folkloriniai naujos istorinės patirties atspindžiai
https://www.lituanis[...]
2006
[92]
웹사이트
Santykiavimas su mirusiais mūsų tautosakoje
http://www.draugas.o[...]
1979-10-27
[93]
간행물
СЛАВЯНСКІЯ НАРОДНЫЯ УЯЎЛЕННІ ПРА ЗЯМЛЮ
Minsk: БДУ
2011
[94]
서적
Mother Russia: The Feminine Myth in Russian Culture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95]
서적
The Slave Soul of Russia: Moral Masochism and the Cult of Suffering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5
[96]
서적
Fierce Feminine Divinities of Eurasia and Latin America: Baba Yaga, Kālī, Pombagira, and Santa Muerte
Palgrave MacMillan
2015
[97]
간행물
The Ultimate Reality and Meaning in the Pre-Christian Religion of the Eastern Slavs
1988
[98]
간행물
Prichitaniia and Rituals as Symbolic Representations of Russian Peasants’ Collective Memory: A Comparative Study of Wedding and Funeral Ceremonies
2006
[99]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Russi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0]
서적
The Curse - On Folk Magic of the Word
Warsaw: Institute of Slavic Studies,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17
[101]
서적
The Curse - On Folk Magic of the Word
Warsaw: Institute of Slavic Studies,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17
[102]
서적
Mediating the Otherworld in Polish Folklore: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Bern: Peter Lang
2020
[103]
간행물
Les lamentations balto-slaves: sémantique et structure
www.persee.fr/doc/ca[...]
2001
[104]
간행물
Lamentation dans le Nord de la Russie: texte et rituel
www.persee.fr/doc/ca[...]
2002
[105]
간행물
Lise Gruel-Apert, La tradition orale russe (compte-rendu)
www.persee.fr/doc/sl[...]
1996
[106]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07]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08]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09]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10]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11]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12]
간행물
Death by Lightning: For Sinner or Saint? Beliefs from Novosokol'niki Region, Pskov Province, Russia
http://www.jstor.org[...]
2021-04-11
[113]
서적
We Remember, We Love, We Grieve: Mortuary and Memorial Practice in Contemporary Russ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1-04-27
[114]
서적
We Remember, We Love, We Grieve: Mortuary and Memorial Practice in Contemporary Russ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1-04-27
[115]
문서
Українська мала енциклопедія [A little encyclopedia of Ukraine]
1959
[116]
간행물
Worldview of Belarusian Folk Song Lyrics
https://www.folklore[...]
2018
[117]
간행물
Канцэпт "зямля" ў фразеалагічнай карціне свету беларусаў
http://elib.gsu.by/j[...]
2015
[118]
간행물
Семантычныя мадэлі і асноўныя матывы беларускіх фразеалагізмаў пра смерць
http://elib.gsu.by/h[...]
2013
[119]
간행물
Канцэптуалізацыя заканчэння жыцця чалавека ў беларускай фразеалогіі
http://nbuv.gov.ua/U[...]
2013
[120]
학위논문
Zemlja u ritualima i verovanjima Srba
https://dais.sanu.ac[...]
Универзитет у Београду, Филозофски факулте
1994
[121]
서적
Towers and Cities
https://dais.sanu.ac[...]
Serbian Folklore Association,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SASA
2021
[122]
간행물
Magical Practices in Russia Today: An Observer's Report
http://www.jstor.org[...]
2021-04-27
[123]
문서
The Rig Veda
https://www.sacred-t[...]
1896
[124]
서적
Oriental and linguistic studies
https://archive.org/[...]
Scribner, Armstrong, and Company
1873
[125]
서적
The Rigveda: A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26]
서적
Sanskrit and Its Kindred Literatures: Studies in Comparative Mythology
https://archive.org/[...]
Kegan Paul
1881
[127]
서적
Vedic Cosmology and Ethics
Brill
2019
[128]
서적
Satapatha Brahmana Part V
https://www.sacred-t[...]
the Clarendon Press
1900
[129]
서적
City and Sanctuary in Ancient Greece: The Theorodokia in the Peloponnese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00
[130]
서적
Ritual Texts for the Afterlife: Orpheus and the Bacchic Gold Table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31]
서적
Dictionnaire grec–français
Hachette
1969
[132]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2004
[133]
서적
Traditions of the Magi: Zoroastrianism in Greek and Latin Literature
Brill
1997
[134]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McFarland/Routledge
2012
[135]
서적
Journal of the K.R. Cama Oriental Institute
https://books.google[...]
K. R. Cama Oriental Institute
1999
[136]
서적
Spiritual Body and Celestial Earth: From Mazdean Iran to Shi'ite Ira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7
[137]
백과사전
Zamyād Yašt
http://www.iranicaon[...]
2006
[138]
문서
Gyvatė, Žemė, Žemyna: vaizdinių koreliacija nominavimo ir semantikos lygmenyje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04
[139]
간행물
Lietuvių žemės deivės vardai
2008
[140]
간행물
Eine Slawische Une Baltische Erdgottheit
1999-05
[141]
간행물
"Žemės epitetas: tradicijos kaita"
https://www.lituanis[...]
Tautosakos darbai
2000
[142]
논문
Different Ways of Borrowing from Slavic into Old Lithuanian
https://doi.org/10.1[...]
Zeitschrift für Slawistik
2001
[143]
서적
Latviešu galvenie mitolog̦iskie tēli folkloras atveidē
https://books.google[...]
Mācību apg. NT
1999
[144]
논문
"Grec γῆ εὐρώεσσα, russe syra zemlja, vieil islandais saurr, «la terre humide»"
Bulletin de la Société de Linguistique de Paris
2007
[145]
간행물
The Earth Fertility of old Europe
www.persee.fr/doc/dh[...]
Dialogues d'histoire ancienne
1987
[146]
간행물
"БЕЗ ЧЕТЫРЕХ УГЛОВ ДОМ НЕ СТРОИТСЯ – ROSYJSKIE LUDOWE PRAKTYKI MAGICZNE ZWIĄZANE Z GOSPODARSTWEM DOMOWYM"
Przegląd: Wschodnioeuropejski
2017
[147]
간행물
Žemė motina
Žmogus ir jo gyvenamoji aplinka: konferencijos medžiaga
2007
[148]
논문
Eine Slawische Une Baltische Erdgottheit
1999
[149]
문서
Українська мала енциклопедія
1959
[150]
간행물
"ДА ПРАБЛЕМЫ МІФАСЕМАНТЫКІ ВОБРАЗА ЗЯМЛІ Ў СЛАВЯНСКАЙ ТРАДЫЦЫЙНАЙ КУЛЬТУРЫ"
Фальклор, гісторыя і літаратура беларусаў у кантэксце культурнай спадчыны славян
2012
[151]
서적
The Black Madonna in Latin America and Europ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07
[152]
서적
Книга сущая в устах: Фольклорная Библия бессарабских и таврических болгар
Университет Дмитрия Пожарского
2017
[153]
서적
ЕПИТЕТИ въ БЪЛГЯРСКЯТЯ НДРОДНЯ ПЪСЕНЬ
Печатница "Култура"
1939
[154]
서적
СБОРНИКЪ 8А НАРОДН И УМОТВОРЕНИЯ, НАУКА И КНИЖНИНА
ДЪРЖАВНА ПЕЧАТНИЦА
1892
[155]
논문
Der leuchtende Himmel und die dunkle Erde. Ergänzungen zur Etymologie eines indoeuropäischen Mythologems
https://www.ceeol.co[...]
1994
[156]
간행물
"ЛЕКСЕМA ЗЕМЉА КАО ОДРАЗ ЈЕЗИЧКЕ СЛИКЕ ПРИРОДЕ"
Godisnjak Filozofskog Fakulteta
2020
[157]
간행물
"РЕПРЕЗЕНТАЦИЯ КОНЦЕПТА ""ЖЕНА"" (ЖЕНЩИНА) В СЕРБСКИХ И ХОРВАТСКИХ ФРАЗЕОЛОГИЗМАХ И УСТОЙЧИВЫХ НЕМЕТАФОРИЧЕСКИХ СОЧЕТАНИЯХ"
Филологические науки. Вопросы теории и практики (входит в перечень ВАК)
2014
[158]
간행물
"ОСОБИНЕ СТЕРЕОТИПА МАЈКА НА МАТЕРИЈАЛУ ТЕЗАУРУСНОГ РЕЧНИКА САВРЕМЕНОГ СРПСКОГ ЈЕЗИКА"
УКРАЇНСЬКА І СЛОВ’ЯНСЬКА ТЛУМАЧНА І ПЕРЕКЛАДНА ЛЕКСИКОГРАФІЯ: ЛЕОНІДОВІ СИДОРОВИЧУ ПАЛАМАРЧУКОВІ
2013
[159]
간행물
Порівняльна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фразеологізмів із значенням "п’яний, п’янство, напитися" в українській і сербській мовах
Українсько-сербський збірник "Украс"
2012
[160]
문서
[161]
간행물
"Dalje od reči: Rekonstrukcija prajezičkih leksemskih spojeva kao perspektiva slovenske i indoevropske etimologije. I. O slovenskom i dačkom nazivu biljke ‘Verbascum’; II. Neki refleksi ie. korena *dereu‑ u slovenskim jezicima"
1995
[162]
간행물
"Αποκαθιστώντας την ενότητα του αρχαιολογικού τοπίου: Το ιερό της Δήμητρας Χαμύνης στην αρχαία Ολυμπία"
https://www.academia[...]
Εταιρεία Έρευνας και Προώθησης της Επιστημονικής Αναστήλωσης των Μνημείων-5ο Πανελλήνιο Συνέδριο Αναστηλώσεων, Πρακτικά, Ιανουάριος 2019
2020
[163]
서적
Onward to the Olympic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Olympic Games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09
[164]
문서
The name of Demeter Thesmophoros
2008
[165]
간행물
Les origines des jeux olympiques, mythes et réalités
www.persee.fr/doc/re[...]
1929
[166]
간행물
"Χαμύνη: an Elean surname of Demeter"
http://hdl.handle.ne[...]
1991
[167]
문서
Τα Χρηστήρια Ελάσματα της Δωδώνης των Ανασκαφών του Δ. Ευαγγελίδη
2013
[168]
문서
Epigraphic Bulletin for Greek Religion 2013 (EBGR 2013)
[169]
서적
The Murder of Regilla: a case of domestic violence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170]
간행물
The sanctuary of Zeus in Dodona: Evolution of the religious concept
2019
[171]
서적
Hittite Texts and Greek Religion: Contact, Interaction, and Compari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72]
서적
Greek Gods Abroad: Names, Natures, and Transforma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
[173]
문서
Two Notes on Lydian
2010-2011
[174]
간행물
OBSERVATIONS ON A NEW CORPUS OF INSCRIPTIONS FROM LYDIA
2011
[175]
논문
The epithet Τιαμου of the Moon-god in Lydia
2021
[176]
논문
The earliest Albanian loanwords in Greek
https://www.academia[...]
Institute of Modern Greek Studies
2016
[177]
서적
Myth, Religion, and Mother Right: Selected Writings of J.J. Bachofe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7
[178]
서적
A Local History of Greek Polytheism: Gods, People and the Land of Aigina, 800-400 BCE.
https://books.google[...]
Brill
2013
[179]
서적
Excursions in Epichoric History: Aiginetan Essay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3
[180]
서적
Choruses of Young Women in Ancient Greece: Their Morphology, Religious Role, and Social Functio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1
[181]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9
[182]
서적
Mémorial Sylvain Lévi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6
[183]
서적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https://books.google[...]
Beech Stave Press
[184]
서적
Indo-Scythian Studies - Khotanese Tex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185]
서적
TIES, Suppl. 4 - Tocharisch: Akten der Fachtagung der Indogermanischen Gesellschaft, Berlin, September 1990
https://books.google[...]
Málvísindastofnun Háskóla Íslands
1994
[186]
서적
Fragments of the Tocharian A Maitreyasamiti-Nataka of the Xinjiang Museum, Chin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8
[187]
서적
The Tocharian Subjunctive: A Study in Syntax and Verbal Stem Form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3
[188]
간행물
Origins from Mythology of Biological Names and Terms: Part III, O-Z
https://www.jstor.or[...]
1945-12
[189]
서적
The deification of abstract ideas in Roman literature and inscrip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7
[190]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
[191]
서적
Myth, Ritual, and the Warrior in Roman and Indo-European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92]
간행물
Some Suggestions and Etymologies Reflecting upon the Mythology of the Four Branches
http://www.jstor.org[...]
1989
[193]
간행물
Lietuvių žemės deivės vardai
2008
[194]
간행물
Eine Slawische Une Baltische Erdgottheit
1999
[195]
간행물
Non-Iranian Origin of the Eastern-Slavonic God Xŭrsŭ/Xors
2014
[196]
간행물
Gyvatė, Žemė, Žemyna: vaizdinių koreliacija nominavimo ir semantikos lygmenyje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04
[197]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Incorporated
1999
[198]
간행물
Nuliejimas žemei: gėrimo apeigos adresato klausimu
https://www.lituanis[...]
2004
[199]
간행물
Aisčių mater deum klausimu
https://www.lituanis[...]
2006
[200]
간행물
La divinité suprême des Thraco-Daces
www.persee.fr/doc/dh[...]
1994
[201]
간행물
Problemy religii Getów w korespondencji Godfryda Ernesta Groddecka i Joachima Lelewela
1980
[202]
간행물
Problemy religii Getów w korespondencji Godfryda Ernesta Groddecka i Joachima Lelewela
1980
[203]
간행물
104. Links of North and South
1917
[204]
간행물
Phrygian and Greek (Supplementum Epigraphicum Mediterraneum 33)
2008-2009
[205]
서적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Francke
1959
[206]
논문
Bulletin épigraphique
https://www.persee.f[...]
1980
[207]
간행물
Motina Žemyna baltų deivių kontekste
https://www.lituanis[...]
2007
[208]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209]
간행물
La démiurgie des jeunes dieux selon Proclus
2003
[210]
서적
Ausführliches lateinisch-deutsches Handwörterbuch
August
1918
[211]
서적
Them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2]
서적
Horace Odes and Epodes: A study in word-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3]
논문
Structure and Design in Horace "Odes" 1. 17
[214]
논문
Embracing Vergil's ‘Arcadia’: Constructions and representations of a literary topos in the poetry of the Augustans
[215]
서적
The Strangeness of God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erpretation of Atheni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6]
서적
[217]
웹사이트
Indo-Aryan Inherited Lexicon
[218]
서적
On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219]
서적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220]
서적
Russian Folk Belief
M. E. Sharpe
[221]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222]
서적
Mother Russia: The Feminine Myth in Russian Cul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223]
서적
Baba Yaga: The Ambiguous Mother and Witch of the Russian Folktale
Peter Lang
[224]
웹사이트
Yayasan Kemanusiaan Ibu Pertiwi (YKIP)
http://www.ykip.org/[...]
2009-09-16
[225]
간행물
К реконструкции индоевропейской формулы «Широкая земля»: др.-инд. pṛthivī, kṣаm- (и др.) ‘земля’ – лит. plati, лтш. plata ‘широкая’ & лит. žemė, лтш. zeme ‘земля’
[226]
간행물
Maironio Dievas, pomirtinis likimas, sapnai ir veršio malda. Maironis – praamžės tradicijos dainius: §12–14, 20, 29–31, 37
[227]
간행물
Aspetti della romanizzazione linguistica nella Cisalpina Orientale
Fondazione Canussio
[228]
간행물
Καλαμαντία (PTOL. II, 11, 15)
[229]
간행물
Celtic and Venetic in contact: the dialectal attribution of the personal names in the Venetic record
[230]
간행물
Lat. Plestia und Umbr. Pletinas
Reichert
[231]
서적
Studi sulle origini e sulla protostoria dell'odierna San Benedetto del Tronto
[232]
서적
Vascos, celtas e indoeuropeos: genes y lenguas
Ediciones Universidad de Salamanca
[233]
서적
Palaeohispanic Languages and Epigraphies
[234]
논문
Celtiberian
https://web.archive.[...]
2007-03-16
[235]
간행물
El topónimo hispano–celta Bletisama: Una aproximación desde la lingüística
[236]
간행물
El topónimo hispano-celta Bletisama: una aproximación desde la lingüística'
Junta de Castilla y León
[237]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23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39]
간행물
Téseras y monedas, iconografía zoomorfa y formas jurídicas de la Celtiberia
[240]
간행물
Sur quelques toponymes gaulois
www.persee.fr/doc/ri[...]
[241]
논문
Ahura Mazdā and Ārmaiti, Heaven and Earth, in the Old Avesta
[242]
간행물
Scythian and Zoroastrian Earth Goddesses: A Comparative Study on Api and Ārmaiti
https://doi.org/10.1[...]
Springer, Cham
[243]
서적
Whence the goddesses: a source book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44]
서적
The Religion of the Peacock Angel: The Yezidis and Their Spirit World
Routledge
[245]
서적
The Zoroastrian Faith: Tradition and Modern Research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46]
서적
A History of Zoroastrianism
E. J. Brill
1996
[247]
서적
Haoma and Harma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248]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McFarland/Routledge
2012
[249]
서적
A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2004
[250]
서적
Traditions of the Magi
Brill
1997
[251]
서적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Facts On File
2004
[252]
간행물
Scythian and Zoroastrian Earth Goddesses: A Comparative Study on Api and Ārmaiti
Springer, Cham
2020
[253]
서적
Religions of the Ancient World: A Guid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254]
논문
The Great Goddesses of Zoroastrianism – Armaiti, Aši and Anahita
1996
[255]
간행물
The Avestan Yasna: Ritual and Myth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2007
[25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McFarland/Routledge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