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레니즘 유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레니즘 유대교는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레반트를 포함한 지역에 그리스 문화가 확산되면서 유대교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현상을 말한다. 헬레니즘 시대 유대인들은 그리스 문화와 언어를 수용했으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헬레니즘 유대교는 유대교의 전통과 그리스 문화를 융합하려는 시도로, 칠십인역 번역, 헬레니즘 철학의 수용, 헬레니즘 유대 문학의 발달 등을 특징으로 한다. 헬레니즘 유대교는 유대 사회 내에서 보수파와 친헬레니즘 파벌 간의 갈등을 야기했으며, 안티오코스 4세의 박해와 마카베오 혁명으로 이어졌다. 헬레니즘 유대교는 초기 기독교와 랍비 유대교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 유산으로 남아있다.

2. 역사적 배경

헬레니즘의 확산은 지역 토착 문화와 정복자들의 문화가 혼합되는 결과를 낳았다.[5] 유대와 디아스포라 모두에서 유대인의 삶은 헬레니즘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지역 토착 엘리트들은 헬레니즘을 수용하고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유대 문화를 포함한 모든 지역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외국인 거주자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이 점차 자리를 잡았다.[6]

에게나의 유대교 회당 모자이크 바닥(서기 300년).


레반트 서쪽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헬레니즘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집트 디아스포라였다.[7] 이 디아스포라는 유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실제로 유대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통치하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굳건한 경제적 통합을 이루었고, 왕실과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들 사이에는 우호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이것은 강요가 아닌 선택에 의한 디아스포라였다. 다른 지역의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보는 덜 확실하지만, 전반적으로 이집트와 비슷한 상황이었음을 시사한다.[8]

그리스인들은 유대 문화를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헬레니즘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추종자를 얻었다. 헬레니즘은 (특히 코이네 그리스어로 된 작품인 마카베오기 2서의 영향으로) 유대 전통과 정반대되는 동화의 위협으로 제시되기도 했지만, 후대의 역사가들은 헬레니즘과 유대교를 특별히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했는데, 이는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박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그리스 통치자들을 페르시아나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들보다 더 나쁘거나 다르게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와 같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의 저술은 유대 문화와 그리스 문화가 양립할 수 없다는 특별한 믿음을 보여주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는 그리스 문화의 기준으로 유대인과 유대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조차도 타협하지 않은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다신교 금지였다. 이는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관련이 없는 신사, 사원, 신 등을 숭배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더 넓은 그리스 문화와 구분하는 요인이었다.[10]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의 통치 아래 유대 지역은 대체로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유대인들의 제도 역시 보호받았다.[11] 그러나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시기에 유대교 종교 의식과 전통이 금지되면서 마카베오 혁명이 발발했고, 이후 하스몬 왕조가 성립되었다. 하스몬 왕조는 내전으로 붕괴되기 전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2. 1.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과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지도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은 그리스 문화와 식민지화를 확산시켰으며, 이는 헬레니즘화라고 불리는 문화적 변화의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레반트를 포함한 비(非)그리스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는데, 이 시대는 5세기 아테네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또는 보편적 문화근동 문화의 융합을 통해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이를 구축하려 했다.[3] 이 시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그리스 도시와 왕국을 건설한 새로운 그리스 식민지화의 물결로 특징지어진다.[4] 가장 유명한 곳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였다. 새로 건설된 도시들은 이전처럼 특정 "메트로폴리스"(모 도시)가 아닌, 그리스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온 식민지인들로 구성되었다.[4]

2. 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

셀레우코스 제국종주권 아래, 유대 지역은 평화와 그 제도의 보호를 보장받았다.[11]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대항하는 유대인들의 지원에 대한 대가로 세금 감면과 예루살렘제2성전 재건 기금을 약속했다.

안티오코스 3세의 후계자인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치하에서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 뒤를 이은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이전의 존중과 보호 정책을 완전히 뒤집고 유대 지역에서 (디아스포라에서는 제외) 주요 유대교 종교 의식과 전통을 금지하여 그리스 통치에 반대하는 전통주의 반란을 촉발했다. 이 반란으로 기원전 141년부터 기원전 63년까지 존속한 독립 유대 왕국인 하스몬 왕조가 형성되었으나, 결국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2. 3. 마카베오 혁명과 하스몬 왕조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대항하는 유대인들의 지원에 대한 대가로 세금 감면과 예루살렘제2성전 재건 기금을 약속했다.[11]

안티오코스 3세의 후계자인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치하에서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 다음 그의 후계자인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이전의 존중과 보호 정책을 완전히 뒤집고 유대 지역에서 주요 유대교 종교 의식과 전통을 금지하여 그리스 통치에 반대하는 전통주의 반란을 촉발했다. 이 반란으로 기원전 141년부터 기원전 63년까지 지속된 독립 유대 왕국인 하스몬 왕조가 형성되었으며, 결국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2. 4. 로마 제국의 지배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대항하는 유대인들의 지원에 대한 대가로 세금 감면과 예루살렘제2성전 재건 기금을 약속했다.[11]

안티오코스 3세의 후계자인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치하에서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 다음 그의 후계자인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이전의 존중과 보호 정책을 완전히 뒤집고 유대 지역에서 주요 유대교 종교 의식과 전통을 금지하여 그리스 통치에 반대하는 전통주의 반란을 촉발했다. 이 반란으로 기원전 141년부터 기원전 63년까지 지속된 독립 유대 왕국인 하스몬 왕조가 형성되었으며, 결국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3. 헬레니즘 유대 사회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와 식민지화가 확산되면서 헬레니즘화라는 문화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레반트를 포함한 비(非)그리스 지역에 영향을 미쳐 헬레니즘 시대를 열었다. 헬레니즘 시대는 5세기 아테네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문화근동 문화의 융합을 통해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문화를 구축하려 했다.[3] 이 시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그리스 도시와 왕국을 건설한 새로운 그리스 식민지화의 물결로 특징지어진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새로 건설된 도시들은 그리스 세계 각지에서 온 식민지인들로 구성되었다.[4]

헬레니즘의 확산은 지역 토착 문화와 정복자들의 문화가 혼합되는 결과를 낳았다.[5] 유대디아스포라 모두에서 유대인의 삶은 헬레니즘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지역 토착 엘리트들은 헬레니즘을 수용하고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유대 문화를 포함한 모든 지역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외국인 거주자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이 점차 자리를 잡았다.[6]

레반트 서쪽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헬레니즘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집트 디아스포라였다.[7] 유대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통치하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굳건한 경제적 통합을 이루었고, 왕실과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들 사이에는 우호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이것은 강요가 아닌 선택에 의한 디아스포라였다. 다른 지역의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보는 덜 확실하지만, 전반적으로 이집트와 비슷한 상황이었음을 시사한다.[8]

그리스인들은 유대 문화를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헬레니즘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추종자를 얻었다. 헬레니즘은 (특히 코이네 그리스어로 된 작품인 마카베오기 2서의 영향으로) 유대 전통과 정반대되는 동화의 위협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후대의 역사가들은 헬레니즘과 유대교를 특별히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했는데, 이는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박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그리스 통치자들을 페르시아나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들보다 더 나쁘거나 다르게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와 같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의 저술은 유대 문화와 그리스 문화가 양립할 수 없다는 특별한 믿음을 보여주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는 그리스 문화의 기준으로 유대인과 유대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조차도 타협하지 않은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다신교 금지였다. 이는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관련이 없는 신사, 사원, 신 등을 숭배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더 넓은 그리스 문화와 구분하는 요인이었다.[10]

3. 1. 헬레니즘화의 영향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은 그리스 문화와 식민지화를 확산시켰고, 이는 헬레니즘화라고 불리는 문화적 변화의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레반트를 포함한 비(非)그리스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는데, 이 시대는 5세기 아테네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또는 보편적 문화근동 문화의 융합을 통해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이를 구축하려 했다.[3] 이 시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그리스 도시와 왕국을 건설한 새로운 그리스 식민지화의 물결로 특징지어진다.[4]

헬레니즘의 확산은 지역 토착 문화와 정복자들의 문화가 혼합되는 결과를 낳았다.[5] 유대디아스포라 모두에서 유대인의 삶은 헬레니즘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지역 토착 엘리트들은 헬레니즘을 수용하고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자주 수행했으며, 이는 유대 문화를 포함한 모든 지역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외국인 거주자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이 점차 자리를 잡았다.[6]

레반트 서쪽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헬레니즘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집트 디아스포라였다.[7] 이 디아스포라는 긴밀한 관계를 보였다. 실제로 유대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통치하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굳건한 경제적 통합을 이루었고, 왕실과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들 사이에는 우호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이것은 강요가 아닌 선택에 의한 디아스포라였다.[8]

그리스인들은 유대 문화를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헬레니즘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추종자를 얻었다. 헬레니즘은 (특히 코이네 그리스어로 된 작품인 마카베오기 2서의 영향으로) 유대 전통과 정반대되는 동화의 위협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후대의 역사가들은 헬레니즘과 유대교를 특별히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했는데, 이는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박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그리스 통치자들을 페르시아나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들보다 더 나쁘거나 다르게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조차도 타협하지 않은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다신교 금지였다. 이는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관련이 없는 신사, 사원, 신 등을 숭배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더 넓은 그리스 문화와 구분하는 요인이었다.[10]

유대 사회는 보수파와 친헬레니즘 파벌로 나뉘었다.[12] 친헬레니즘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상류층이거나 이방인 다수 거주 지역에 살고 있는 소수였다. 그들은 예루살렘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리스 무역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된 마을에 살았다.[13]

헬레니즘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문학적 성과는 칠십인역의 발전이었다.

헬레니즘화는 종교적 유대교 기관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3. 2. 헬레니즘 유대교의 문학

헬레니즘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문학적 성과는 칠십인역 성경의 발전이었다. 그 외에도 지혜서, 집회서와 같은 지혜 문학 작품들과, 모세 승천기, 열두 족장의 유언, 바룩서 및 바룩의 그리스 묵시록과 같은 위경 묵시 문학 작품들이 있다.[14]

사도 바울은 바리새인이라고 주장했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를 헬레니스트 유대인으로 여기기도 한다.[14]

필론은 유대교를 일신론적 철학으로 옹호하면서 헬레니즘 철학의 원리를 예견했다. 그는 또한 "마음의 할례"와 같은 은유를 그리스 청중에게 대중화했다.[15]

3. 3. 종교적 변화

유대 사회는 보수파와 친헬레니즘 파벌로 나뉘었다.[12] 친헬레니즘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상류층이거나 이방인 다수 거주 지역에 살고 있는 소수였다. 그들은 예루살렘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리스 무역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된 마을에 살았다.[13]

헬레니즘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문학적 성과는 칠십인역 성경의 발전이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지혜서, 집회서위경 묵시 문학인 모세 승천기, 열두 족장의 유언, 바룩서 및 바룩의 그리스 묵시록 등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사도 바울을 헬레니스트 유대인으로 여기는데, 그는 바리새인이라고 주장했다.[14]

필로는 유대교를 일신론적 철학으로 옹호했는데, 이는 헬레니즘 철학의 원리를 예견한 것이었다. 그는 또한 "마음의 할례"와 같은 은유를 그리스 청중에게 대중화했다.[15]

헬레니즘화는 종교적 유대교 기관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호니'는 '메넬라우스'로, '여호수아'는 '야손' 또는 '예수스'(Ἰησοῦς)로 바뀌었다. 헬레니즘의 영향은 모든 것에 스며들었고, 유대교의 요새에서조차 국가의 조직, 법률, 공공 문제, 예술, 과학 및 산업을 수정하여 심지어 일상 생활과 사람들의 일반적인 연관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방인이 성전의 특정 지점 이상으로 진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비문은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는 축제 기간에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온 많은 유대인들의 존재로 인해 필요했을 것이다. (사도행전 6장 참조). 세겔 헌금을 담은 성전의 금고는 그리스 문자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해방 노예, 키레네인, 알렉산드리아인, 길리기아인 및 아시아인들의 회당이 거룩한 도시 자체에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사도행전 6:9).[16]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으로 인한 혼란은 또한 유대교 메시아주의를 대중화했다.[13]

3. 4. 디아스포라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은 그리스 문화와 식민지화를 확산시켰고, 이는 헬레니즘화라고 불리는 문화적 변화의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레반트를 포함한 비(非)그리스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는데, 이 시대는 5세기 아테네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또는 보편적 문화근동 문화의 융합을 통해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이를 구축하려 했다.[3] 이 시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그리스 도시와 왕국을 건설한 새로운 그리스 식민지화의 물결로 특징지어진다.[4] 가장 유명한 곳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였다. 새로 건설된 도시들은 이전처럼 특정 "메트로폴리스"(모 도시)가 아닌, 그리스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온 식민지인들로 구성되었다.[4]

헬레니즘의 확산은 지역 토착 문화와 정복자들의 문화가 혼합되는 결과를 낳았다.[5] 유대디아스포라 모두에서 유대인의 삶은 헬레니즘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지역 토착 엘리트들은 헬레니즘을 수용하고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자주 수행했으며, 이는 유대 문화를 포함한 모든 지역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외국인 거주자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이 점차 자리를 잡았다.[6]

레반트 서쪽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헬레니즘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집트 디아스포라였다.[7] 이 디아스포라는 긴밀한 관계를 보였다. 실제로 유대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통치하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굳건한 경제적 통합을 이루었고, 왕실과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들 사이에는 우호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이것은 강요가 아닌 선택에 의한 디아스포라였다. 다른 지역의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보는 덜 확실하지만, 전반적으로 이집트와 비슷한 상황이었음을 시사한다.[8]

그리스인들은 유대 문화를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헬레니즘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추종자를 얻었다. 헬레니즘은 (특히 코이네 그리스어로 된 작품인 마카베오기 2서의 영향으로) 유대 전통과 정반대되는 동화의 위협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후대의 역사가들은 헬레니즘과 유대교를 특별히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했는데, 이는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박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그리스 통치자들을 페르시아나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들보다 더 나쁘거나 다르게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와 같은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의 저술은 유대 문화와 그리스 문화가 양립할 수 없다는 특별한 믿음을 보여주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는 그리스 문화의 기준으로 유대인과 유대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조차도 타협하지 않은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다신교 금지였다. 이는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관련이 없는 신사, 사원, 신 등을 숭배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더 넓은 그리스 문화와 구분하는 요인이었다.[10]

4. 초기 기독교와의 관계

두라 유로포스 회당의 프레스코화 여호수아.


헬레니즘 유대교는 초기 기독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초기 기독교는 헬레니즘 유대교에서 파생된 분파로 시작되었다. 사도 바울은 아나톨리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북부 시리아 등지의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노력했다.[22][23]

예루살렘 공의회에서는 이방인 개종자들에게 할례를 강요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헬레니즘 유대교의 율법 해석과 다른 점이었다. 이러한 결정은 기독교가 유대교보다 이방인들에게 더 매력적인 종교가 되는 데 기여했다.

사도행전 6장에서는 예루살렘의 헬레니즘 유대인과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사이에 문화적 갈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갈등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도 존재했다.[26]

4. 1. 헬레니즘 유대교의 쇠퇴

헬레니즘 유대교의 쇠퇴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헬레니즘 유대교는 주변부로 밀려났거나, 초기 기독교에 흡수되었거나, 혹은 초기 기독교 자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은 처음에는 아나톨리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북부 시리아 지역의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율법과 전통을 비판하지 않으면서 전도 활동을 펼쳤다.[22][23] 그러나 결국 바울은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의 개종자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유대교에 우호적인 그리스인 집단)에게 전도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 사도적 법령을 통해 개종자들에게 할례를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랍비 유대교보다 기독교가 이교도들에게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다. 랍비 유대교는 개종자들에게 의식적인 할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24][25] 초기 기독교의 할례 논쟁과 구약 율법의 폐지도 참고할 만하다.

하지만 기독교의 매력은 기원후 80년대 도미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유대교적 미신"으로 명시적으로 불법화되면서 타격을 입었을 수 있다. 반면 유대교는 구성원들이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를 납부하는 한 특권을 유지했다.

사도행전 6장의 첫 구절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 유대인과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사이의 문화적 분열 문제를 지적한다. 이러한 분열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도 나타났다. Ἑλληνισταί|헬레니스타이grc는 디아스포라 출신으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그리스어 사용 유대인 기독교인을 가리키는 반면, Ἑλληνες|헬레네스grc는 그리스어를 사용하고 그리스식 생활 방식을 가진 비유대인, 즉 이방인을 의미했다.[26]

일부 역사학자들은 남부 터키(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시리아/레바논의 헬레니즘 유대인 공동체 상당수가 점차 그리스-로마 기독교로 개종하여, 결국 MENA 지역의 "멜키트"(또는 "제국")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했다고 주장한다. 이방인 기독교는 헬레니즘 동부의 주요 중심지였던 안티오크에서 시작되었으며, 베드로와 바울이 사도로 활동했다. 안티오크에서 시리아의 여러 도시와 지역으로 퍼져나갔으며, 헬레니즘 유대인뿐만 아니라 헬레니즘 시리아인 사이에서도 퍼져나갔다. 이들은 기원후 70년과 130년 로마에 대한 대반란의 결과로 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에서 시리아로 쫓겨난 사람들이었다.[27]

4. 2. 문화적 분열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은 처음에는 아나톨리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북부 시리아 전역의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개종시키는 데 집중했다.[22][23] 그러나 결국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의 개종자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또는 유대교에 우호적인 그리스인 집단을 전도하는 것을 선호했다. 사도적 법령은 개종자들이 할례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허용했는데, 이는 랍비 유대교보다 기독교를 이교도들에게 더 매력적인 선택지로 만들었다. 랍비 유대교는 개종자에게 의식적인 할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24][25]

그러나 기독교의 매력은 기원후 80년대에 도미티아누스에 의해 "유대교적 미신"으로 명시적으로 불법화되면서 타격을 입었을 수 있다. 반면 유대교는 구성원들이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를 지불하는 한 특권을 유지했다.

사도행전 6장의 첫 구절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 유대인과 아람어를 사용하는 이스라엘인 사이의 문화적 분열 문제를 지적한다. 이 분열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도 나타났다. "헬레니스트"는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유대인 기독교인들이었고, "히브리인"은 거의 아람어만 사용하는 유대인 기독교인이었다. 헬레니스트들은 디아스포라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로, 예루살렘에 정착하기 위해 돌아온 이들이었다.[26]

일부 역사가들은 남부 터키(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시리아/레바논의 헬레니즘 유대인 공동체의 상당수가 점진적으로 그리스-로마 기독교 지부로 개종하여, MENA 지역의 "멜키트"(또는 "제국")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했다고 믿는다.[27]

5. 유산

헬레니즘 유대교는 초기 기독교와 랍비 유대교 모두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유대교와 기독교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초기 기독교와 초기 랍비 유대교는 헬레니즘 종교의 영향을 받았고, 헬레니즘 철학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작가들의 작품에서 여러 개념을 빌려왔다.[28]

'시나고그'라는 단어는 유대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기원전 3세기 이후 헬레니즘 유대인들이 사용했다. 기원전 1세기 초에는 그리스 제도, 킬리키아, 시리아, 북 이스라엘 등지에 헬레니즘 유대교 신봉자들에 의해 많은 시나고그가 건설되었다. 이 시나고그들 중 일부는 모자이크프레스코로 장식되었는데, 후대 유대 학자들과 랍비들은 이를 우상 숭배로 간주하기도 했다.

힐렐 하자켄과 같은 초기 랍비들은 그리스어와 그리스 철학을 배워야 했다. 힐렐이 도입한 신학적 혁신 중 많은 것들이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프로즈불 개념이다.

그리스-마케도니아 문화, 헬레니즘 유대교, 로마 문명의 융합은 킬리키아와 시리아/레바논 지역의 독특한 안티오키아 기독교 전통을 낳았다.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와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는 현재까지도 일부 그리스 "고대 시나고갈" 사제의 의식과 찬송가를 보존하고 있다. 이들은 터키 남부, 시리아, 레바논, 북부 이스라엘브라질, 멕시코, 미국, 캐나다 등지의 그리스-레반트 기독교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헬레니즘 유대교에 뿌리를 둔 이러한 전례 전통 중 일부는 후대에 유럽 신학자들에 의해 제거되거나 축소되기도 했다. 이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여전히 자신들을 "Rûm"(로마)이라고 부르며, 이는 터키어, 페르시아어, 레반트 아랍어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말이다.

5. 1. 초기 기독교와 랍비 유대교에 미친 영향

헬레니즘 유대교는 초기 기독교와 랍비 유대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즘 유대교의 쇠퇴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초기 기독교에 흡수되었거나 주변부로 밀려났을 가능성이 있다.

사도 바울은 처음에 아나톨리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북부 시리아 전역의 헬레니즘 유대인들을 개종시키는 데 집중했다.[22][23] 그러나 결국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의 개종자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또는 유대교에 우호적인 그리스인 집단을 전도하는 것을 선호했다. 사도적 법령은 개종자들이 할례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허용했는데, 이는 랍비 유대교보다 기독교를 관심 있는 이교도들에게 더 매력적인 선택지로 만들었다.[24][25] 랍비 유대교는 개종자에게 의식적인 할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사도행전 6장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 유대인과 아람어를 사용하는 이스라엘인 사이의 문화적 분열 문제를 지적한다. "헬레니스트"는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유대인 기독교인들이었고, "히브리인"은 거의 아람어만 사용하는 유대인 기독교인이었다.[26]

일부 역사가들은 남부 터키(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시리아/레바논의 헬레니즘 유대인 공동체의 상당수가 점진적으로 그리스-로마 기독교 지부로 개종하여 MENA 지역의 "멜키트"(또는 "제국")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했다고 믿는다.[27] 이방인 기독교는 헬레니즘 동부의 주요 중심지였던 안티오크에서 시작되었으며, 바울과 베드로가 사도였다.[27]

5. 2. 현대 유대교와 기독교의 유산

초기 기독교와 초기 랍비 유대교는 오늘날보다 교리가 덜 정립되었고 신학적으로 덜 동질적이었으며, 두 종교 모두 헬레니즘 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고전 헬레니즘 철학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작가들의 작품에서 알레고리와 개념을 빌려왔다.[28] 제2성전 시대 말, 두 학파가 각각의 규범과 교리를 확정하기 전, 이들은 특히 정결법의 지위, 기독교 메시아 신념의 타당성, 그리고 전례 언어로서 성경 히브리어를 대체하는 코이네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사용과 같은 주요 문제에 대해 점점 더 의견 차이를 보였다.[28]

"시나고그"라는 단어는 기원전 3세기 이후 동남 유럽(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북부 그리스), 북아프리카, 중동 전역의 헬레니즘 유대인들이 사용했던 언어인 유대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1세기 초, 델로스, 안티오크, 알렉산드레타, 갈릴리, 두라-유로포스를 포함하여 그리스 제도, 킬리키아, 북서부 및 동부 시리아, 북 이스라엘에 헬레니즘 유대교 신봉자인 ''헬레니스타이''에 의해 많은 시나고그가 건설되었다. 영웅적인 인물과 성경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모자이크프레스코는 (후대 유대 학자들과 랍비들이 "우상 숭배"를 조장할 수 있다고 간주) 이러한 초기 시나고그 중 많은 수가 처음에는 그리스 신전 또는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교회로 오인되었다.

힐렐 하자켄과 같은 초기 바빌로니아 유대인 출신의 랍비들은 부모가 바빌로니아에서 온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이민자였기 때문에 (따라서 "하-바블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정교한 랍비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그리스어와 그리스 철학을 배워야 했다. 힐렐이 도입한 신학적 혁신 중 많은 것이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코이네 그리스어 προσβολή, "전달하다"에서 유래된 탈무드의 프로즈불 개념이었다.

그리스-마케도니아 문화 기반, 헬레니즘 유대교, 그리고 로마 문명의 융합에서 비롯된 독특한 민족 문화적 특성의 조합은 킬리키아(터키 남동부)와 시리아/레바논의 독특한 안티오키아 "중동-로마" 기독교 전통을 낳았다.

현재 사용되는 일부 그리스 "고대 시나고갈" 사제의 의식과 찬송가는 현재까지 부분적으로 살아남았는데, 특히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와 자매 교회인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의 추종자들이 터키 남부의 하타이 주, 시리아, 레바논, 북부 이스라엘브라질, 멕시코, 미국, 캐나다의 그리스-레반트 기독교 디아스포라의 독특한 교회 예배에서 발견된다. 헬레니즘 유대교, 더 일반적으로는 제2성전 유대교에 뿌리를 둔 이러한 공동체의 많은 생존 전례 전통은 후기 중세와 현대 시대에 파나리오트 유럽-그리스인(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과 바티칸(로마 가톨릭)의 이방인 신학자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제거되었는데, 그들은 레반트 그리스 정교회 및 그리스-가톨릭 공동체를 유럽 기독교로 "되돌리려고" 했다. 따라서 일부 고대 유대-그리스 전통은 그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폐지되거나 축소되었다. 이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여전히 자신들을 "Rûm"(문자적으로 "로마";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비잔틴"이라고 함)이라고 부르며 터키어, 페르시아어, 레반트 아랍어로 그리스인을 지칭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Rûm"이라는 용어는 고대 히브리어, 산스크리트어 및 고전 아랍어에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이오니아인"을 의미하는 "Yāvāni" 또는 "Ionani"보다 선호된다.

6. 주요 인물

헬레니즘 유대교와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헬레니즘 및 하스몬 시대 ===

이름설명
메술람의 아들 안드로니쿠스기원전 2세기의 이집트 유대인 학자. 초기 바리새파 (원시 랍비파) 정통주의를 사마리아인에 맞서 옹호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
소코의 안티고누스바리새파 전통이 이름뿐만 아니라 중요한 신학적 교리까지 보존한 최초의 학자. 기원전 3세기 전반에 활동. 미쉬나에 따르면 그는 의로운 시몬의 제자이자 후계자. 그리스어 이름을 가진 최초의 유대인.
안티고누스 2세 마티아스유대의 마지막 하스몬 왕. 기원전 37년, 로마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유대인의 국가적 투쟁을 이끌었던 3년간의 통치 이후 처형.
유대의 알렉산더유대 왕 아리스토불루스 2세의 장남.[30]
알렉산드리아의 아리스토불루스Ἀριστόβουλος ὁ Ἀλεξανδρεύς|아리스토불로스 호 알렉산드레우스grc, 철학자. 히브리 성경의 사상과 그리스 사상을 융합하려 시도.
알렉산드리아의 아르타파누스기원전 3세기, 폴리히스토르와 유세비우스가 인용한 유대인에 관하여라는 역사를 쓴 알렉산드리아 유대인 작가.[31]
클레오데무스 말쿠스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와 요세푸스가 언급한 유대인 역사가.[32]
유폴레무스그의 저술이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와 유세비우스 팜필리를 통해 알려진 초기 헬레니즘 유대인 역사가.[33]
극작가 에제키엘알렉산드리아 유대인 시인. iambic trimeter로 출애굽기를 패러프레이즈한 연극 엑사고게를 씀.[34]
오니아드 가문의 제이슨기원전 175년에서 172년까지 예루살렘 성전대제사장
메넬라우스기원전 171년부터 기원전 161년까지 예루살렘 대제사장
마리암네 1세하스몬 왕조의 유대 공주. 헤롯 대왕의 두 번째 부인.
오니아스 1세느헤미야에 언급된 히브리어: 호니야의 아들.[35] 요세푸스에 따르면, 이 야두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시대인이라고 함.[36] 마카베오 1서는 오니아스를 스파르타 왕 아레우스 1세 (기원전 309-265년)의 동시대인으로 간주.[37] 의로운 시몬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로 여겨짐.
벤 시라예수아 벤 시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세기의 주요 유대인 학자이자 신학자. 예루살렘과 알렉산드리아에서 살았으며, 집회서 또는 "교회서"의 저자.
시몬 타시기원전 135년 사망. 마티아스 왕의 둘째 아들이자 유대 하스몬 왕조의 첫 번째 왕자. 그리스-시리아 셀레우코스 군대의 장군(도리아 그리스어: στραταγός, stratagos; 문자 그대로 "군대 지도자"를 의미).



=== 헤로데 및 로마 시대 ===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Φίλων|필론grc, 기원전 20년경 ~ 서기 50년경)은 필로 유다이우스(Philo Judaeus)라고도 불리며, 로마 속주의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다.
  • 티투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최초의 유대인 역사가였다. 그는 처음에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유대 군사 지도자였으나, 이후 로마로 전향하여 로마 시민이 되었고, 명망 있는 로마-유대인 학자가 되었다. 그는 유대교가 여러 면에서 그리스 철학과 유사하다는 생각을 널리 알렸다.
  • 티베리아스 출신의 유대인 역사가인 유스투스 오브 티베리아스는 "매우 헬레니즘적인 갈릴리 도시"인 티베리아스에서 태어났으며, 총독 헤롯 아그리파 2세의 비서였고 티투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경쟁자였다.
  • 율리아누스(라틴 이름 율리아누스의 헬레니즘화된 형태)와 파푸스(pappa|파파grc 또는 papas|파파스grc, '족장' 또는 '장로'에서 유래)는 서기 80년경 이스라엘 중부의 주요 헬레니즘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인 로드 (, 그리스-라틴: Lydda, Diospolis, Λύδδα|리다grc / Διόσπολις|디오스폴리스grc - 제우스의 도시)에서 태어났다. 율리아누스와 파푸스는 키토스 전쟁 (115-117 CE) 동안 이스라엘에서 로마 군대에 대항하는 유대인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그들의 히브리 이름은 각각 셰마이야와 아히야였다).
  • 루쿠아스는 안드레아스라고도 불리며, 서기 70년경 태어난 리비아 유대인으로, 키토스 전쟁 (115-117 CE) 동안 북아프리카이집트에서 로마 군대에 대항하는 유대인 저항 운동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 트뤼포라는 유대인은 서기 2세기경의 랍비로, 기독교 변증가인 순교자 유스티누스에게 반대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트뤼포와의 대화는 역설적으로 "그리스 사상과 랍비 사상에 똑같이 영향을 받았다."[38] 그는 아마도 랍비 타르폰과 동일 인물일 것이다.


=== 후기 고대 및 초기 중세 시대 ===

라드하니트족은 초기 중세 시대에 프랑스, 독일, 중앙 유럽, 중앙 아시아, 중국 등지에서 활동한 유대인 상인 및 금융업자 집단이다. 이들은 이탈리아 및 비잔틴 상인보다 훨씬 이전에 세계 경제를 혁신하고 '중세 실크로드'를 창조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실 로스와 클로드 카헨을 비롯한 학자들은 이들의 이름이 프랑스의 론 강 계곡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론 강은 라틴어로 Rhodanusla, 고대 그리스어로 Ῥοδανός|로다노스grc이며, 라드하니트족의 활동 중심지가 아마도 무역로가 시작된 프랑스였기 때문이다.[1]

6. 1. 헬레니즘 및 하스몬 시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셀레우코스 제국종주권 아래, 유대 지역은 평화와 그 제도의 보호를 받았다.[11]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에 대항하는 유대인들의 지원에 대해 세금 감면과 예루살렘제2성전 재건 기금을 약속했다.

안티오코스 3세의 후계자인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치하에서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 다음 그의 후계자인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이전의 존중과 보호 정책을 완전히 뒤집고 유대 지역에서 주요 유대교 종교 의식과 전통을 금지하여 그리스 통치에 반대하는 전통주의 반란을 촉발했다. 이 반란으로 141년에서 기원전 63년까지 지속된 독립 유대 왕국인 하스몬 왕조가 형성되었으며, 결국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헬레니즘 및 하스몬 시대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설명
메술람의 아들 안드로니쿠스기원전 2세기의 이집트 유대인 학자. 초기 바리새파 (원시 랍비파) 정통주의를 사마리아인에 맞서 옹호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
소코의 안티고누스바리새파 전통이 이름뿐만 아니라 중요한 신학적 교리까지 보존한 최초의 학자. 기원전 3세기 전반에 활동. 미쉬나에 따르면 그는 의로운 시몬의 제자이자 후계자. 그리스어 이름을 가진 최초의 유대인.
안티고누스 2세 마티아스유대의 마지막 하스몬 왕. 기원전 37년, 로마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유대인의 국가적 투쟁을 이끌었던 3년간의 통치 이후 처형.
유대의 알렉산더유대 왕 아리스토불루스 2세의 장남.[30]
알렉산드리아의 아리스토불루스Ἀριστόβουλος ὁ Ἀλεξανδρεύς|아리스토불로스 호 알렉산드레우스grc, 철학자. 히브리 성경의 사상과 그리스 사상을 융합하려 시도.
알렉산드리아의 아르타파누스기원전 3세기, 폴리히스토르와 유세비우스가 인용한 유대인에 관하여라는 역사를 쓴 알렉산드리아 유대인 작가.[31]
클레오데무스 말쿠스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와 요세푸스가 언급한 유대인 역사가.[32]
유폴레무스그의 저술이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와 유세비우스 팜필리를 통해 알려진 초기 헬레니즘 유대인 역사가.[33]
극작가 에제키엘알렉산드리아 유대인 시인. iambic trimeter로 출애굽기를 패러프레이즈한 연극 엑사고게를 씀.[34]
오니아드 가문의 제이슨기원전 175년에서 172년까지 예루살렘 성전대제사장
메넬라우스기원전 171년부터 기원전 161년까지 예루살렘 대제사장
마리암네 1세하스몬 왕조의 유대 공주. 헤롯 대왕의 두 번째 부인.
오니아스 1세느헤미야에 언급된 히브리어: 호니야의 아들.[35] 요세푸스에 따르면, 이 야두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시대인이라고 함.[36] 마카베오 1서는 오니아스를 스파르타 왕 아레우스 1세 (기원전 309-265년)의 동시대인으로 간주.[37] 의로운 시몬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로 여겨짐.
벤 시라예수아 벤 시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세기의 주요 유대인 학자이자 신학자. 예루살렘과 알렉산드리아에서 살았으며, 집회서 또는 "교회서"의 저자.
시몬 타시기원전 135년 사망. 마티아스 왕의 둘째 아들이자 유대 하스몬 왕조의 첫 번째 왕자. 그리스-시리아 셀레우코스 군대의 장군(도리아 그리스어: στραταγός, stratagos; 문자 그대로 "군대 지도자"를 의미).


6. 2. 헤로데 및 로마 시대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Φίλων|필론grc, 기원전 20년경 ~ 서기 50년경)은 필로 유다이우스(Philo Judaeus)라고도 불리며, 로마 속주의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다.
  • 티투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최초의 유대인 역사가였다. 그는 처음에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유대 군사 지도자였으나, 이후 로마로 전향하여 로마 시민이 되었고, 명망 있는 로마-유대인 학자가 되었다. 그는 유대교가 여러 면에서 그리스 철학과 유사하다는 생각을 널리 알렸다.
  • 티베리아스 출신의 유대인 역사가인 유스투스 오브 티베리아스는 "매우 헬레니즘적인 갈릴리 도시"인 티베리아스에서 태어났으며, 총독 헤롯 아그리파 2세의 비서였고 티투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경쟁자였다.
  • 율리아누스(라틴 이름 율리아누스의 헬레니즘화된 형태)와 파푸스(pappa|파파grc 또는 papas|파파스grc, '족장' 또는 '장로'에서 유래)는 서기 80년경 이스라엘 중부의 주요 헬레니즘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인 로드 (, 그리스-라틴: Lydda, Diospolis, Λύδδα|리다grc / Διόσπολις|디오스폴리스grc - 제우스의 도시)에서 태어났다. 율리아누스와 파푸스는 키토스 전쟁 (115-117 CE) 동안 이스라엘에서 로마 군대에 대항하는 유대인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그들의 히브리 이름은 각각 셰마이야와 아히야였다).
  • 루쿠아스는 안드레아스라고도 불리며, 서기 70년경 태어난 리비아 유대인으로, 키토스 전쟁 (115-117 CE) 동안 북아프리카이집트에서 로마 군대에 대항하는 유대인 저항 운동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 트뤼포라는 유대인은 서기 2세기경의 랍비로, 기독교 변증가인 순교자 유스티누스에게 반대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트뤼포와의 대화는 역설적으로 "그리스 사상과 랍비 사상에 똑같이 영향을 받았다."[38] 그는 아마도 랍비 타르폰과 동일 인물일 것이다.

6. 3. 후기 고대 및 초기 중세 시대

라드하니트족은 초기 중세 시대에 프랑스, 독일, 중앙 유럽, 중앙 아시아, 중국 등지에서 활동한 유대인 상인 및 금융업자 집단이다. 이들은 이탈리아 및 비잔틴 상인보다 훨씬 이전에 세계 경제를 혁신하고 '중세 실크로드'를 창조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실 로스와 클로드 카헨을 비롯한 학자들은 이들의 이름이 프랑스의 론 강 계곡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론 강은 라틴어로 Rhodanusla, 고대 그리스어로 Ῥοδανός|로다노스grc이며, 라드하니트족의 활동 중심지가 아마도 무역로가 시작된 프랑스였기 때문이다.[1]

참조

[1] 논문 Jüdisch-hellenistische Literatur vor Philon von Alexandrien (unter Ausschluss der Historiker) ANRW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2: The Hellenistic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3] 문서 The Library Of Alexandria: Centre Of Learning In The Ancient World
[4] 문서 Griechische Geschichte im Rahmen der Alterumsgeschichte
[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Jewish Daily Life in Roman Palestin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19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Jewish Daily Life in Roman Palestin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19
[7] 웹사이트 Syracuse University. "The Jewish Diaspora in the Hellenistic Period" https://web.archive.[...] 2013-09-11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9] 간행물 Fact and Fiction: Jewish Legends in a Hellenistic Contex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The Coming of the Greeks: The Early Hellenistic Period (335–175 BCE) T&T Clark 2008
[11] 간행물 Hellenism and Persecution: Antiochus IV and the Jew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https://archive.org/[...] Knopf
[13] 문서 Grabbe 2010, p. 10–16
[14] 웹사이트 Saul of Tarsus: Not a Hebrew Scholar; a Hellenist http://jewishencyclo[...] 2009-03-29
[15] 문서 Leviticus 26:41, Ezekiel 44:7
[16] 웹사이트 Hellenism http://jewishencyclo[...] 2009-03-29
[17]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Greece: Ioannina. URL accessed April 15, 2006. http://www.ushmm.org[...] 2004-10-20
[18] 웹사이트 Language https://jewishrhodes[...] 2024-01-20
[19] 서적 Jews in Byzantium: Dialectics of Minority and Majority Cultures https://archive.org/[...] Brill
[20] 서적 Selected Papers in Greek and Near Ea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문서 Contra Apionem http://www.perseus.t[...]
[22] 성경 Acts 16:1–3
[23] 웹사이트 McGarvey on Acts 16 http://www.ccel.org/[...] 2012-10-16
[24] 성경 1 Corinthians 7:18
[25] 웹사이트 making themselves foreskins http://www.cirp.org/[...] 2020-05-08
[26] 웹사이트 " Conflict and Diversity in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http://goarch.org/ou[...] 2013-05-10
[27] 웹사이트 History of Christianity in Syria http://newadvent.org[...] 2013-01-17
[28] 서적 Dying for God: Martyrdom and the Making of Christianity and Juda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Antioch https://archive.org/[...]
[30] 웹사이트 Alexander II of Judea http://www.jewishenc[...] 2011-10-16
[31] 웹사이트 Artapanu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2-19
[32] 웹사이트 Cleodemus {{!}} Jewish histori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19
[33] 간행물 EUPOLEMU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2-19
[34] 간행물 The Exagōgē of Ezekiel the Tragedian https://www.cambridg[...] 2024-02-19
[35] 문서 Nehemiah xii. 11
[36] 서적 Jewish Antiquities
[37] 서적 I Macc.
[38] 서적 Justin Martyr, Dialogue avec Tryphon Editions Universitaires de Fribourg Suis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