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 (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제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흙의 덕을 상징하는 노란색과 관련되어 '황제'로 불리게 되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헌원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유웅, 황신, 중악대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황제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신화적 인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신화 속에서 황제는 다양한 업적을 이루고, 치우, 염제 등과의 전투를 벌인 것으로 묘사된다. 황제는 도교의 주요 인물이자, 중화 민족주의 담론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오늘날에도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제 (전설) - 삼황오제
삼황오제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적 존재로, 세 명의 황과 다섯 명의 제를 아울러 부르는 말이며 시대와 문헌에 따라 구성원에 차이가 있지만 인류 문명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27세기 통치자 - 길가메시
길가메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영웅이자 《길가메시 서사시》의 주인공으로, 반신반인의 존재로서 죽음과 불멸에 대한 고뇌, 친구와의 우정, 숲의 수호자와의 전투 등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며 후대에 신격화되어 명계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 기원전 27세기 통치자 - 스네프루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창시자 파라오로서, 다양한 피라미드 건설과 주변 지역과의 교류 및 군사 활동을 통해 왕국을 번영시키고 건축 기술 발전에 기여하여 그의 치세는 후대에 황금 시대로 여겨졌다. - 기원전 26세기 통치자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기원전 26세기 통치자 - 전욱
전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오제 중 한 명으로,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이며, 여러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고, 역법, 점성술, 종교 개혁을 통해 무속 신앙을 억제하고 가부장제를 지지했으며, 하늘과 인간의 소통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했다는 신화와 관련이 있다.
황제 (전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황제 |
본명 | 공손 헌원 |
씨 | 공손 |
휘 | 헌원 (Xuānyuán, 軒轅) |
신화적 정보 | |
숭배 | 도교 중국 민속 신앙 |
직위 | 오방상제 |
행성 | 토성 |
계승자 | 백제 (오행 주기, 정치적으로는 소호) |
선임자 | 적제 (오행 주기, 정치적으로는 염제 신농씨) |
가계 | |
아버지 | 소전 |
어머니 | 부보 |
배우자 | 누조 풍뢰 동여씨 모모 |
자녀 | 소호 한발 창의 |
기타 정보 | |
전임자 | 복희 |
후임자 | 전욱 또는 소호 |
재위 기간 (추정) | 기원전 2698년경 ~ 기원전 2598년경 |
2. 명칭
전국 시대 말기에 황제(黃帝)는 오행 사상과 결합하여 흙(土)의 덕을 상징하는 노란색(黃)과 연관되어 나타났다.[19] 사마천의 사기에는 헌원(軒轅)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황보밀은 헌원이 황제가 살았던 언덕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했다.[10] 유웅(有熊)은 지명 또는 씨족명으로 해석되며, 곰 토템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의 중국학자 허버트 앨런 자일스(1845–1935)에 따르면, 이 이름은 "황제의 세습 영지에서 따온 것"이다.
청나라 말기 강유위, 고힐강 등의 의고학파(疑古學派)는 황제 신화를 비롯한 삼황오제 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역사성을 부인하고, 전국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에 걸쳐 종교적 영향으로 꾸며진 신화로 판정하였다.[69] 시라토리 구라키치, 이치무라 산지로, 이지마 타다오 등 일본 학자들도 황제의 실존을 부정하는 논문을 저술하였다. 황제의 저작으로 알려진 《황제내경》 역시 황제를 저자로 내세워 권위를 얻으려 했을 뿐, 실제로는 한나라 시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황제 저작의 서적들 역시 황제를 저자로 내세운 위서로 여겨진다.
황제는 중국 문명의 시조로서 오제(五帝)와 하·상·주 3대 왕실의 공통 시조로 알려져 있다. 《사기》에 의하면, 소전(少典)의 아들로 이름을 헌원이라 하며, 치우를 물리치고 신농(神農)을 대신하여 제왕이 되었다. 의복, 수레를 비롯한 수많은 발명품과 문자, 60갑자, 한의학 등의 학문과 기예를 창시하였다고 하며, 100년 동안 재위하였다. 현존하는 중국의 가장 오랜 의학서인 《황제내경소문(黄帝内經素問)》, 《황제내경령추(黄帝内經靈樞)》를 비롯하여 방중술에 대한 저작인 《소녀경》 등 다양한 서적 역시 황제가 저술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외에도 황신(黃神),[2] 중악대제(中岳大帝), 사면 황제(黃帝四面)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3. 역사적 실존에 대한 비판과 논란
1990년대 이후 중국 학계는 국가의 개입 아래 한족 중심의 민족주의적인 영향으로 황제 신화를 한족의 국조 설화로 중요시하면서, 황제나 치우를 역사적 실존인물로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70]
사마천을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 역사학자들은 황제를 복희, 여와, 신농과 같은 초기 전설적인 인물들보다 더 역사적인 인물로 여겼으며, 사마천의 ''사기''는 다른 인물들을 건너뛰고 황제부터 시작한다.[2][16]
중국 역사 대부분에서 황제와 다른 고대 성인들은 역사적 인물로 여겨졌으나,[4] 1920년대에 구제강 등 중국 고대 의문 학파 역사학자들에 의해 그 역사성이 의문시되기 시작했다.[4] 구제강과 그의 추종자들은 중국 역사의 초기 인물들이 신화적이며, 원래 신이었던 이들이 전국 시대의 합리주의 지식인들에 의해 인간으로 묘사되었다고 주장했다.[17] 양관은 황제가 중국의 첫 번째 통치자로 묘사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 시대에 이르러서였다고 언급했다.[18]
20세기 중반, 중국 역사학자 그룹은 삼황오제가 원래 중국 신이었으며 주나라 후기에 인간으로 여겨지게 되었다는 이론을 제안했다.[22]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황제가 원래 신이었으며 나중에 역사적 인물로 묘사되었다는 데 동의한다.[23]
4. 신화 속의 황제
기원전 221년, 진 시황이 진나라의 "황제"(皇帝중국어)라는 칭호를 만들 때까지, 'di'(帝중국어)라는 글자는 상나라의 최고신 상디를 지칭했다.[19] 전국 시대(기원전 475–221년)에는 'di'라는 용어가 중국 오악과 관련된 신들을 지칭하기도 했다. 황제(黃帝중국어), 즉 "노란색 'di'"가 그중 하나였다.
전국 시대 말기에, 황제는 오행의 우주론적 체계에 통합되었으며, 여기에서 노란색은 토의 기운, 황룡, 그리고 중앙을 나타낸다.[19] '황'() ("노란색")은 종종 동음이의어인 '황'()을 대신하여 사용되었는데, 이는 "빛나는"을 의미하며, 황제에게 상나라 최고신인 상디와 유사한 속성을 부여했다.
네 개의 얼굴을 가진 황색 신(黃帝四面중국어 후앙디 시미앤)으로서 그는 우주의 중심을 나타내며, 네 방향을 제어하는 통일의 비전을 나타낸다. ''황제사경''(Huangdi Sijing, 黃帝四經)은 "마음 내부를 조절하면 외부가 정돈된다"고 설명한다.
중앙 봉우리의 대제(中岳大帝중국어 ''종웨다디'')는 황제를 창조의 중심, 즉 물리적 현실에서 신성한 질서의 구현인 ''축의 세계''(중국 신화에서는 곤륜산)으로서 나타내는 또 다른 칭호이며, 불멸성을 향해 열린다.
전한 시대의 역사서 《사기》 오제본기와 《국어》 진어에 따르면, 소전의 아들로, 희수에서 태어난 것에 연유하여 성은 '''희(姬)씨'''이며, 씨는 '''헌원'''(軒轅)씨[60], 또는 제홍씨(帝鴻氏)라고도 불린다. 치우를 토벌하고 제후들의 인망을 얻어, 신농을 대신하여 황제가 되었다. 《사기》는 그의 치세를, 따르지 않는 자들을 차례로 토벌하고, 길을 열어 후세의 춘추 전국 시대에 중국으로 일컬어지는 영역을 구석구석까지 통치한 개국의 제왕의 시대라고 묘사한다.
그 이후 4명의 오제와 하, 은, 주, 진의 시조를 비롯해 수많은 제후들이 황제의 자손으로 여겨진다. 중국에 도시 국가 군이 형성되고, 각 군주가 제후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의제적인 혈연관계를 맺어간 제후들의 시조로서 황제상이 가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한족은 황제를 선조로 받들고 있다.
신해혁명 이후, 혁명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황제의 존재를 부정하는 주장이 높아졌다. 일본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일어나, 시라토리 구라키치 등이 황제의 실재성을 부정하는 논문을 저술했다.
본래는 뇌신이며[61], "헌원"이 용사형의 별자리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으며, 《산해경》에 등장하는 (황제의 자손이 사는[62]) 헌원국의 주민이 인면사신이며, 전설에서 용과의 관계가 깊기 때문에 황제는 용사형의 신이었다고 생각된다.[63]
4. 1. 탄생과 성장
황보밀(215~282)의 기록에 따르면, 황제는 오늘날 산둥성 취푸시 외곽에 있는 수구("장수 언덕")에서 태어났다.[43] 초기에는 기수 근처에서 부족과 함께 살았는데, 에드윈 풀리블랭크는 "신화 외에는 기수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 같다"라고 언급했다. 이후 현대의 허베이성 탁록현으로 이주했다. 그는 농부가 되어 곰(), 불곰( ), '피'()와 '슈'()(나중에 신화 속의 피슈로 합쳐짐), 사나운 '추'(), 호랑이() 등 6마리의 특별한 짐승을 길들였다.
황제는 때때로 그의 어머니 부보가 시골을 걷다가 북두칠성에서 떨어진 번개에 감응하여 그를 잉태했기 때문에, 기적적인 출생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수(장수) 산 또는 현원 산에서 아들을 낳았고, 그 후 아들은 그의 이름을 따랐다.[44]
전한 시대의 역사서 《사기》 오제본기와 《국어》 진어에 따르면, 소전의 아들로, 희수에서 태어난 것에 연유하여 성은 '''희(姬)씨'''이며, 씨는 '''헌원'''(軒轅)씨[60] 또는 제홍씨(帝鴻氏)라고도 불린다.
4. 2. 업적
황제는 백성들에게 쉼터를 짓고, 야생 동물을 길들이며, 오곡을 재배하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5] 그는 수레, 배, 옷,[5] 활 끈,[5] 초기 중국 천문학, 중국 역법, 수학 계산, 음률,[45] 동전 및 화폐의 개념,[5] 촉구[46] 등을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역사가인 창힐에게 최초의 한자 문자 체계인 갑골문자를 만들도록 격려했으며,[5] 그의 정실 부인인 뢰조는 양잠을 발명하고 백성들에게 비단을 짜고 옷을 염색하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5]
4. 3. 치우와의 전투
황제는 치우가 이끄는 구려와의 탁록 전투에서 승리하여 지배권을 확립했다.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치우는 짙은 안개를 내뿜어 하늘을 어둡게 만들었지만, 황제는 지남차를 사용하여 자신의 군대를 안개 속에서 이끌었다.[53] 또한, 가뭄의 악마 여바를 불러 치우의 폭풍을 흩어 버렸다고 전해진다.[53]
4. 4. 염제와의 전투
치우를 토벌하고 제후들의 신망을 얻어 반천 전투에서 염제를 물리치고 신농을 대신하여 황제가 되었다.[60]
4. 5. 죽음
황제는 봉황과 기린을 만나 죽기 전까지 백 년 넘게 살았다고 전해진다. 황제의 능은 산시 성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존재한다.[54]
5. 황제의 저서
전국 시대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러, 저자 불명의 사상서나 의학서를 황제의 저작으로 권위를 부여하는 것이 유행했다. 기원전 1세기 한서 예문지에는 황제의 저작으로 분류된 다양한 서적들이 기록되어 있지만, 대부분 현존하지 않는다.
분야 | 서적 |
---|---|
도교 | 『황제사경』 4편, 『황제명』 6편, 『황제군신』 10편, 『잡황제』 58편 |
병가 | 『황제』 16편 |
신선사상 | 『황제잡자보인』 18권, 『황제기백안마』 10권, 『황제잡자지균』 18권, 『황제잡자십구가방』 21권 |
천문 | 『황제잡자기』 33편 |
오행 | 『황제음양』 25권, 『황제제자론음양』 25권 |
잡점 | 『황제장류점몽』 11권 |
의경 | 『황제내경』 18권, 『황제외경』 37권 |
경방 | 『신농황제식금』 7권 |
방중술 | 『황제삼왕양방』 20권 |
『장자』, 『여씨춘추』, 『관자』 등에는 황제서(黄帝書)나 황제의 말이 인용되어 있으며, 『열자』에는 "황제편"이 있다.
도교 경전인 황제사경, 황제음부경 등은 황제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다.[33] 황제내경(黃帝內經)은 전통 중국 의학의 교리적 기초를 제시하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3] 그는 또한 통서 점술 달력에 포함된 "황제의 사계절 시(軒轅黃帝四季詩)"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황제내경소문』, 『황제내경영추』는 황제의 저작으로 여겨지며, 동양 의학의 시작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황제내경''' 참조).
6. 도교와의 관련성
황제는 도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숭배되었다. 그는 장수 기술의 대가이자 신으로 여겨졌으며, 황제내경과 같은 문헌을 통해 자신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비록 2세기경 신격화된 노자의 부상으로 황제의 신으로서의 역할은 감소했지만,[33] 여전히 불멸의 존재이자 새로운 가르침을 계시할 수 있는 신으로 여겨졌다.[33]
대대례기(大戴禮記|대대례기중국어)에는 황제가 살아있을 때 백성들이 그의 통치로 백 년 동안 혜택을 받았고, 그가 죽은 후에는 백 년 동안 그의 영혼을 경외했으며, 그의 영혼이 사라진 후에는 백 년 동안 그의 가르침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31][32]
동양 의학의 시초로 여겨지는 『황제내경소문』, 『황제내경영추』는 황제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다.[64] (서적에 관해서는 '''황제내경''' 참조).
7. 현대적 의의
황제는 청나라(1644–1911) 말기부터 중화민국(1912–1949) 시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민족주의 담론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졌다.[36] 20세기 초는 황제가 모든 중국인의 조상으로 불린 시기이기도 하다.[36]
1903년부터 급진적인 출판물들은 황제의 출생을 예상되는 연도로 하여 중국 달력의 첫 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36] 류스페이 (1884–1919)와 같은 지식인들은 이러한 관행이 만주족의 지배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한족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36] 천톈화 (1875–1905), 저우룽 (1885–1905), 장빙린 (1868–1936)과 같은 혁명가들은 만주족을 한족을 다스릴 자격이 없는 인종적으로 열등한 야만인으로 묘사하며 민족 의식을 고취하려 했다.[36] 천톈화는 "한족"이 황제의 후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대가족이라고 주장했다.[36] 퉁멍후이의 혁명가들이 창립한 ''민바오'' (民報중국어, "인민 저널")의 첫 번째 호(1905년 11월)는 황제를 표지에 싣고 "세계 최초의 위대한 민족주의자"라고 불렀다.[36] 황제가 "노란색"을 의미한다는 사실은 그가 "황인종"의 시조라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역할도 했다.
많은 역사가들은 황제의 갑작스러운 인기를 프랑스 학자 알베르 테리앵 드 라쿠페리 (1845–94)의 이론에 대한 반작용으로 해석한다. 라쿠페리는 "기원전 2300년부터 서기 200년까지의 초기 중국 문명의 서양 기원" (1892)이라는 책에서 중국 문명이 기원전 2300년경 바빌로니아 이민자들에 의해 세워졌다고 주장했다.[36] 라쿠페리의 "중국-바빌로니아주의"는 황제가 기원전 2300년경에 자신의 백성을 이끌고 중국으로 대규모 이주하여 나중에 중국 문명이 된 것을 세운 메소포타미아 부족 지도자였다고 가정했다. 유럽 중국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을 빠르게 거부했지만, 1900년에 일본의 두 역사학자 시라카와 지로와 고쿠부 타네노리는 이러한 비판을 생략하고 라쿠페리의 견해를 중국에 대한 가장 진보된 서양 학문으로 제시하는 긴 요약을 발표했다. 중국 학자들은 두 일본 저자가 옹호한 "중국 신화의 역사화"에 빠르게 매료되었다.
반만주주의 지식인과 활동가들은 중국의 "국가 본질" (''guocui'' 國粹중국어)을 찾기 위해 중국-바빌로니아주의를 그들의 필요에 맞게 적용했다.[36] 장빙린은 황제의 반천 전투를 새로 도착한 문명화된 메소포타미아인과 뒤떨어진 지역 부족 간의 갈등으로 설명했는데, 이 전투는 중국을 세계에서 가장 문명화된 곳 중 하나로 변화시켰다.[36] 류스페이 또한 이 초기 시대를 중국 문명의 황금 시대로 제시했다.[36] 1905년부터 1908년까지 연재된 "황인종의 역사" (''Huangshi'' 黃史중국어)라는 에세이에서 황제 (黃節중국어; 1873–1935)는 "한족"이 황제의 후손이기 때문에 중국의 진정한 주인이라고 주장했다.[36] 효와 중국 부계 씨족의 가치에 의해 강화된 황제 등 다른 사람들에 의해 옹호된 인종적 비전은 만주족에 대한 복수를 조상에게 빚진 의무로 만들었다.
황제는 신해혁명 이후에도 숭배받았다. 1912년에는 새로운 공화국 정부가 황제의 초상이 담긴 지폐를 발행했다. 1911년 이후 황제는 민족의 시조에서 중국 전체 다민족 인구의 조상으로 바뀌었다. 오족공화 이념 하에서 황제는 한족, 만주족, 몽골족, 티베트족, 회족의 공동 조상이 되었으며, 이들은 광범위하게 이해되는 중국 국가인 중화 민족을 형성한다고 한다. 1911년에서 1949년 사이에 "중국 민족의 창시자"(中華民族始祖중국어)이자 "인류 문명의 창시자"(人文始祖중국어)로서 황제를 기리는 16개의 국가 행사가 열렸다.
중국 국공 내전이 끝난 1949년 말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후퇴한 후,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KMT)은 중화민국이 국립 청명절인 4월 4일에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을 계속하기로 결정했지만, 그와 그의 뒤를 이은 세 명의 대통령은 직접 참배하지 않았다.[37] 1955년, 국민당은 타이위(Taiwanese Hokkien)로 대부분 촬영되고 타이완 민속 오페라의 광범위한 구절을 보여주는 영화 ''황제 자손''(''황디 쯔쑨'', 黃帝子孫중국어)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타이위 화자들이 공통의 혈통으로 본토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설득하기 위한 선전 노력이었다. 2009년에 마잉주는 중화민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황제를 위한 청명절 의식을 직접 기념했으며, 이 자리에서 그는 중국 문화와 황제의 공통 조상이 타이완과 본토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말, 롄잔 – 중국 국민당 명예 주석인 전 중화민국 부통령 –과 그의 아내 롄팡위는 중국 본토의 옌안 황링 현(Huangling County)에 있는 황제 능(Mausoleum of the Yellow Emperor)에서 경의를 표했다.
오늘날, 타이완을 기반으로 하는 쉬안위안자오(Xuanyuanjiao)는 유교 정통성에 결합된 조직화된 형태의 황제 숭배를 나타낸다.
7. 1. 관련 문화
조선 초기에는 왕이 군사 훈련 시 황제 헌원에게 마제(馬祭)를 지냈다.[19] 동아시아의 별자리 중 성수(星宿)는 황제 헌원에서 유래하였다.[19]허난성정저우 시에는 황제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황제고리(黄帝故里)"가 조성되어 있다.[67] 황제고리에서는 중국의 거의 모든 성씨를 황제의 직계 자손으로 간주하여 건축물로 표현하는 등 대규모 시설을 갖추고 있다.[67] 매년 4월 18일에는 참배 제전이 열리며, 2018년에는 4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약 1만 명의 화교 및 화인, 동성 혈연 조직, 동향회 등의 대표가 참석하여 식전을 거행했다.[68]
참조
[1]
harvnb
[2]
Shiji
[3]
서적
Myths & Legends of India, Egypt, China & Japan
Lorenz Books
[4]
harvnb
[5]
웹사이트
Huangd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22
[6]
서적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https://www.worldcat[...]
Hackett Publishing Company
[7]
harvnb
[8]
harvnb
[9]
서적
A History of Leadership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2-06
[10]
서적
The Huainanzi: A Guid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Government in Early Ha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문서
Shanhaijing
https://ctext.org/sh[...]
[12]
문서
A Chinese Bestiary: Strange Creatures from the Guideways through Mountains and Seas
[13]
서적
Li, Qi and Shu: An Introduction to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Courier Corporation
[14]
서적
The Deified Human Face Petroglyphs of Prehistoric China
World Scientific
[15]
서적
Handbook of Chinese Mythology
ABC-CLIO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1-27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웹사이트
"The ugliest among the empresses and consorts of past ages"
http://www.chinarevi[...]
2010-08-08
[29]
웹사이트
"Momu and the Yellow Emperor invent the mirror"
http://big5.huaxia.c[...]
2010-09-04
[30]
harvnb
[31]
간행물
From Myth to History: Historicizing a Sage for the Sake of Persuasion in the Yellow Emperor Narratives
Brill
2017-02-08
[32]
서적
Da Dai Liji
[33]
서적
Tong Sing: The Book of Wisdom: Based on the Ancient Chinese Almanac
https://www.worldcat[...]
Barnes & Noble Books
[34]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35]
웹사이트
Hall of Supreme Harmony 太和殿
http://hua.umf.maine[...]
2010-08-29
[36]
서적
[37]
뉴스
President Ma pays homage in person to the Yellow Emperor
http://www.chinapost[...]
2010-09-04
[38]
뉴스
10,000 Chinese pay homage to Yellow Emperor
http://www.chinadail[...]
2010-09-04
[39]
간행물
Louis Crompton (1925–2009)
http://scarlet.unl.e[...]
UNL
[40]
간행물
LGBTQA Programs & Services
http://involved.unl.[...]
2012-04-04
[41]
간행물
Louis Crompton Scholarship Fund
http://nufoundation.[...]
NU foundation
2012-04-04
[42]
서적
Yuewei caotang biji
[43]
서적
[44]
서적
Asian Mytholog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5]
서적
[46]
서적
Bielu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The traitor Bai Ze"
http://big5.ifeng.co[...]
iFeng.com
2010-09-04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웹사이트
"Mausoleums of the Yellow Emperor."
http://china.org.cn/[...]
China.org.cn
2010-08-29
[55]
서적
[56]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of the Chinese Calendar,"
http://www.math.nus.[...]
2011-11-18
[57]
Youtube
軒轅大帝
https://movie.douban[...]
2016
[58]
서적
神の文化史事典
白水社
[59]
서적
道教事典
平河出版社
[60]
웹사이트
黄帝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10-16
[61]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大修館書店
[62]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63]
서적
古代中國の神々
創文社
[64]
문서
中国鍼灸各家学説
[65]
서적
老荘思想を学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66]
웹사이트
How Huangdi Invented the Bow and Arrow. Chinese folk tale.
http://www.atarn.org[...]
2003
[67]
웹사이트
朝鮮族など中国56民族は同じ祖先?東北アジア歴史財団が学術大会開催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10-25
[68]
웹사이트
中華文明と先端技術の組み合わせ 伝統の「黄帝」まつる式典に顔認証導入
https://www.afpbb.co[...]
AFP
2018-04-26
[69]
논문
황제신화전설에 대한 문헌적 고찰
[70]
논문
중국문헌(中國文獻)에 나타나는 "치우(蚩尤)"의 이중형상(1) -제국(帝國)의 희생양, 치우(蚩尤)의 악마형상-
[71]
서적
漢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