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타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람의 타락은 기독교, 이슬람교, 영지주의, 불교 등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인간이 본래의 순수한 상태에서 벗어나 죄, 무지, 번뇌 등에 휩싸이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아담과 하와의 타락을 원죄로, 이슬람교에서는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으로,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잊고 번뇌에 휩싸이는 것으로 설명한다. 타락은 문학과 예술 작품의 주요 주제로도 다루어지며,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덴 동산 -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사탄의 반란과 인류의 타락, 구원의 가능성을 다룬 5음보격 암시경 서사시로, 자유 의지, 선악, 죄와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논쟁적인 해석과 비평의 역사를 지닌다. - 에덴 동산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 사람의 타락 | |
|---|---|
| 성경적 의미 | |
| 관련 성경 구절 | 창세기 2-3장 |
| 주요 인물 | 아담 하와 뱀 하느님 |
| 원인 | 선악과를 먹음 |
| 결과 | 죄의 시작 죽음의 시작 에덴 동산에서의 추방 하느님과의 분리 고통과 노동의 증가 인간의 필멸성 |
| 신학적 관점 | |
| 기독교 | 원죄의 교리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필요성 인간 본성의 타락 하느님의 은총의 중요성 |
| 유대교 | 원죄 개념 부재 개인의 책임 강조 (에제키엘 18:20) 자유 의지의 중요성 회개와 속죄의 가능성 |
| 이슬람교 | 아담과 하와의 실수 인정 죄의 유전 개념 부재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 강조 개인의 책임과 선택의 중요성 |
| 상징적 의미 | |
| 지식 | 선과 악을 구별하는 능력 획득 |
| 순수함의 상실 | 죄책감과 수치심 경험 |
| 자유 의지 | 선택의 결과에 대한 책임 |
| 인간 조건 | 고통, 죽음, 노동의 불가피성 |
| 해석 | |
| 문학적 해석 | 인간 본성의 탐구, 도덕적 교훈 |
| 철학적 해석 | 자유, 책임, 인간 존재의 의미 |
| 심리학적 해석 | 개인의 성장과 발전 과정 |
| 기타 | |
| 관련 개념 | 낙원 원죄 구원 심판 메시아 |
| 문화적 영향 | 예술,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 |
2. 성경에서의 타락
창세기 3장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 성경 해석은 인간의 타락 교리의 근간을 이룬다.[11][1] 기독교에서는 최초의 인간이 삼위일체인 창조주 하느님에게 거역하여 원죄를 짓고 죽음을 맞이한 것을 인간의 타락이라 부른다. 신학에서는 타락 이전과 이후의 세계를 구분한다.[67][68] 개혁교회와 칼뱅주의에는 전적 타락 교리가 있다.[69][70] 타락한 천사는 악마라고 불린다.[71][72][73][74]
2. 1. 창세기 3장의 내용
하나님은 성경 연대기에서 첫 번째 남자와 여자인 아담과 이브를 창조했다.[1] 하나님은 그들을 에덴 동산에 두고 선악과의 열매를 먹는 것을 금했다.[1] 뱀은 이브를 유혹하여 금지된 나무의 열매를 먹게 했고, 이브는 아담과 열매를 나누어 먹었다. 그들은 즉시 자신들의 수치를 느끼고 벌거벗음을 부끄러워했다.[1] 그 후, 하나님은 아담과 이브를 에덴 동산에서 쫓아냈고, 아담에게는 살기 위해 노동을 하도록, 이브에게는 고통 속에 아이를 낳도록 형벌을 내렸으며, 아담과 이브가 "생명 나무"의 열매를 먹지 못하도록 그룹을 두어 입구를 지키게 했다.유대교 외경인 유빌리서는 뱀이 이브를 설득하여 아담이 창조된 지 8년째 되는 해의 2월 17일에 열매를 먹게 했다고 언급함으로써 인간의 타락으로 이어진 사건들에 대한 시간적 틀을 제공한다(3:17). 또한 유빌리서는 그들이 그 해 4월 초하루에 동산에서 쫓겨났다고 언급한다(3:33).
3. 기독교의 전통적 해석
기독교에서는 최초의 인간이 하느님(천주, 절대자)에게 거역하여 타락하고, 원죄를 가지게 되어 죽음을 겪게 된 것을 인간의 타락이라고 부른다. 신학적으로는 타락 이전의 세계와 타락 이후의 세계를 나누어 생각한다.[67][68] 개혁교회, 칼뱅주의에서는 전적 타락 교리가 있다.[69][70] 타락한 천사는 악마라고 불린다.[71][72][73][74]
3. 1. 불멸성
성경 해석자들은 하루-1년 원리를 적용하여 아담이 어떻게 하루 안에 죽었는지 설명한다. 시편 90:4,[13] 베드로후서 3:8,[14] 희년서 4:29-31[15]은 하느님에게 하루는 천 년과 같아서, 아담은 그 "하루" 안에 죽었다고 설명한다.[16] 반면에, 그리스어 70인역은 "하루"를 24시간으로 번역했다.메레디스 클라인은 창세기 2:17에서 언급된 죽음은 "육체적인 죽음이 아니라 영원한 멸망(나중에 '두 번째 죽음'이라고 불림)"이라고 주장한다.[17] 언약 신학에서는 생명에 대한 계명의 "저주" 측면이 생명 나무와 안식일로 상징되는 "영광스러운 영원한 생명"이라는 축복과 균형을 이룬다고 본다.[17]
창세기 기록에 따르면, 대홍수 이전 시대 인간의 수명은 거의 천 년에 달했으며, 아담은 930세를 살았다. 따라서 "죽는다"는 것은 필멸의 존재가 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3. 2. 원죄
기독교에서는 최초의 인간이 삼위일체, 창조주인 하느님에게 거역하여 타락하고, 원죄를 가지게 되어 죽음을 겪게 된 것을 인간의 타락이라고 부른다. 신학적으로는 타락 이전의 세계와 타락 이후의 세계를 나누어 생각한다.[67][68] 개혁교회, 칼뱅주의에는 전적 타락 교리가 있다.[69][70] 타락한 천사는 악마라고 불린다.[71][72][73][74]일부 기독교인, 특히 동방 정교회 신자들은 성경에 나오는 인간의 타락을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우주 전체 역사에 영향을 미치는 현실로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을 메타역사적 타락(형이상학적, 초세계적, 비시간적 타락)이라고 부르며,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존 베어, 세르게이 불가코프 등의 정교회 신학자들이 자세히 설명했다. 이는 오리겐과 고백자 막시무스 같은 초기 교부들의 저술에 뿌리를 두고 있다.[32][33][34] 불가코프는 저서 『어린 양의 신부』(1939)에서 "경험적 역사는 타락과 함께 시작되며, 타락은 역사의 시작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 역사의 시작은 경험적 존재를 넘어서며 그 연대기에 포함될 수 없다"고 썼다.[35]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는 저서 『바다의 문』(2005)과 『신학적 영토』(2020)에서 이러한 비시간적 타락 개념을 설명했다.[36]

3. 2. 1. 가톨릭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창세기 3장의 타락 이야기가 비유적인 언어를 사용하지만, 인류 역사가 우리 조상들의 자유로운 원죄로 특징지어진다는 점을 확언한다고 가르친다.[20] 성 베다, 토마스 아퀴나스 등은 아담과 하와의 타락이 인간 본성에 원죄, 정욕, 육체적 허약함과 죽음, 어두워진 지성과 무지라는 "네 가지 상처"를 가져왔다고 말했다.[21]미래의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창세기 이야기에서 죄가 추상적인 가능성이 아니라 특정 인물 아담의 행위로 언급되며, 죄가 죄를 낳고 모든 죄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말했다.[23] 원죄는 인류의 개인적 책임이라기보다는 아담 안에서 모든 인간의 연대성에 의해 획득된 죄로 이해된다. 세례는 원죄를 없애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인간 본성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본다.[25]
3. 2. 2. 개신교
전적 타락 교리는 개신교, 특히 칼뱅주의의 핵심 교리 중 하나이다. 언약 신학에서 아담은 생명의 계명과 행위 언약을 지키는 데 실패했다고 본다.[17] 벨기에 신앙 고백 제14조는 아담의 타락으로 인해 인간 본성 전체가 부패하고, 모든 면에서 악하고 변태적이 되었다고 설명한다.[27] 전가된 의 개념에 따라, 인류의 대표자인 아담은 모든 사람에게 정죄와 죽음을 가져왔다.[17]창세기 3장 15절(“내가 너와 여자 사이에, 네 후손과 여자의 후손 사이에 적대감을 두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고,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다.”)은 원복음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인류와 화해하고 마귀를 멸하시는 은혜로운 선언으로 해석된다.[17]
동방 정교회는 원죄의 죄책이 대대로 전해진다는 생각을 거부하며, 에스겔 18장 20절[29]을 근거로 아들이 아버지의 죄에 대해 죄가 없다고 믿는다.
3. 3. 순종
사람의 타락에 대한 순종 해석은 창세기 3장 16절에서 하느님이 이브에게 "남편이 너를 다스릴 것이다"라고 예언한 것을 근거로 한다.[37] 이러한 해석은 디모데전서 2장 11-14절에서 강화되는데, 여기서는 여성이 조용히 배우고 순종해야 하며, 여자가 남자를 가르치거나 지배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는 아담이 먼저 창조되고 이브가 나중에 창조되었으며, 속은 것은 아담이 아니라 여자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7]이러한 성경 구절에 대한 일부 해석은 여성들이 이브의 죄를 짊어진 자로 여겨지고, 타락에서 여성의 행위가 남성에 대한 보편적이고 시대를 초월한 종속 관계의 주요 원인이라는 견해를 발전시켰다.[38]
반면, 리처드 크로거와 캐서린 클라크 크로거는 "여성에게 그리스도를 믿게 될 때 개인적인 죄는 용서받지만, 이브의 죄 때문에 계속 벌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심각한 신학적 모순이다"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브와 관련하여 여성에 대한 비판적인 언급은 "성경 신학과 기독교적 헌신에 대한 부름의 측면에서 모두 위험한 해석"이라고 주장한다.[38]
4. 이슬람에서의 타락
이슬람에서는 아담(Ādamar)과 하와(Ḥawwāar)가 이블리스(al-Shayṭānar)의 유혹에 빠졌다고 믿는다.[5][55] 이블리스는 불멸과 쇠퇴하지 않는 왕국을 약속하며 이들을 유혹했다.[5][56] 아담과 하와는 이전에 사탄의 계략에 대해 경고를 받았고,[5][58] 알라로부터 사탄이 언급한 불멸의 나무를 피하라는 명령을 받았다.[5][55] 알라는 그들에게 "여기서는 굶주리거나 옷을 입지 않으며, 목마르거나 햇볕에 시달리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59]라고 상기시켰지만, 그들은 결국 사탄의 유혹에 굴복하여 나무의 열매를 먹었다.[5] 이 죄를 범한 후, "그들의 나체가 드러나자 그들은 파라다이스의 잎으로 몸을 가렸다."[60] 그리고 "서로 적대하며" 파라다이스(Jannahar)에서 지구로 쫓겨났다.[5]
무슬림 학자들은 아담의 타락 이유에 대해 두 가지 견해를 제시한다. 많은 무슬림 주석가들은 아담과 하와의 파라다이스 추방을 불순종에 대한 처벌이나 자유 의지 남용의 결과가 아닌, 알라의 지혜(`hikmah`)의 일부이자 인류가 그의 속성, 사랑, 용서, 권능의 모든 범위를 경험하도록 하는 계획으로 본다.[63]
시아파 분파인 알라위파 무슬림들은, 그들의 영혼이 한때 빛의 세계에서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를 숭배하는 빛나는 별이었지만, 자만심의 죄를 범한 후 이전 상태에서 추방되어 물질세계에서 윤회해야 했다고 믿는다.[64]
5. 기타 관점
영지주의와 농업 혁명과 관련하여 사람의 타락에 대한 여러 관점들이 존재한다.
하위 섹션에서 영지주의와 농업 혁명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한다.
5. 1. 영지주의
영지주의는 서기 1세기 말 비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 종파에서 시작되었다.[45] 영지주의는 가장 높고 알 수 없는 신과 물질적 우주의 "창조주"인 데미우르고스 사이의 구별을 제시한다.[1][49][48][46]
영지주의에서, 에덴 동산의 성경 속 뱀은 아담과 이브에게 지식 (''영지'')을 가져다주고 그들을 악의적인 데미우르고스의 통제로부터 해방시킨 것에 대해 칭찬과 감사를 받았다.[1] 영지주의 기독교 교리는 선과 악 사이의 영원한 갈등을 암시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에 의존하며, 뱀을 데미우르고스 또는 창조신과 반대되는 구원자이자 인류에게 지식을 부여하는 자로 여긴다.[1][48] 이 데미우르고스는 히브리 신이자 구약성서의 신과 동일시된다.[1][48] 영지주의 기독교인들은 구약 성서의 히브리 신을 악하고 거짓 신이며 물질적 우주의 창조주로 여겼고, 복음서의 알 수 없는 신, 즉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자 영적 세계의 창조주를 참되고 선한 신으로 여겼다.[1][48][49][50]
5. 2. 농업 혁명
아이작 아시모프, 대니얼 힐렐, 대니얼 퀸과 같은 저자들은 창세기 3장의 일부 상징이 농업 혁명의 경험과 연관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40][41] 이들에 따르면 에덴 동산에서의 추방은 농업의 시작에 대한 민간의 기억을 의미한다. 즉, 인간이 더 이상 야생 과일이나 동물을 먹으며 목가적으로 살지 않고 곡물을 힘들게 재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42]6. 문학과 예술에서의 타락
알브레히트 뒤러의 ''아담과 이브''(1504), 티치아노의 ''인간의 타락''(1550년경) 등 여러 예술 작품에서 인간의 타락이 묘사되었다.[66]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5세''(1599)에서 왕은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던 스크루프 경의 배신을 "또 다른 인간의 타락과 같다"라고 묘사하며, 이는 자신의 믿음과 순수성을 잃게 했다고 말한다.
C. S. 루이스의 소설 ''페렐란드라''(1943)는 새로운 에덴 동산과 새로운 아담과 이브가 있는 행성 비너스를 배경으로 타락의 주제를 탐구한다. 케임브리지 학자 닥터 랜섬은 사탄을 좌절시키고 새로운 타락을 막는 임무를 받는다.
알베르 카뮈의 소설 ''타락''(1956)은 종전 후 암스테르담의 "멕시코 시티"라는 술집에서 1인칭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주인공 장바티스트 클라망스는 지인에게 고백하면서, 다리에서 뛰어내려 자살한 여성을 구하지 않은 자신의 괴로운 결과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 현대 서구 양심의 딜레마와 세례, 은총의 성사적 주제를 탐구한다.
J. R. R. 톨킨은 ''핀로드와 안드레스의 대화''에 대한 주석(1993년 사후 출판)에서 인간의 타락을 재해석한 아다넬의 이야기를 포함시켰다. 이 이야기는 모르고스의 반지의 일부로, 멜코르가 최초의 인간들을 에루 일루바타르 대신 그를 숭배하도록 유혹하여 인류가 "에덴"의 상태를 잃게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다니엘 퀸의 소설 ''이스마엘''(1992)과 ''B의 이야기''(1996)에서는 인간의 타락 이야기가 현재 지배적인 전체주의적 농업주의자 문화의 발전을 지켜보던 다른 문화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다고 제안한다.
필립 풀먼의 ''암흑 물질 3부작''(1995, 1997, 2000)에서 타락은 인간이 자각, 지식, 자유를 얻는 순간으로 긍정적으로 제시된다. 풀먼은 무지가 대가라면 순수함은 가치가 없다고 믿는다.
소설 ''파리 대왕''은 무인도에 갇힌 어린아이들이 야만인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타락을 탐구한다. ''파리 대왕''은 원래 ''내부의 낯선 자들''로 명명되었으며, 인간 본성에 대한 작가의 견해를 보여준다.
이 주제는 역사적인 유럽 미술에서도 자주 묘사된다. 르네상스 시대 네덜란드 조각가이자 화가인 루카스 판 레이덴은 아담과 이브를 그린 여러 목판화를 제작했다(그중 두 개는 그의 ''여인의 힘'' 시리즈의 일부였다).
7. 한국 불교의 관점
한국 불교에서는 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는 불성(부처의 성품)을 잊고 번뇌와 망상에 휩싸여 윤회하는 것을 타락으로 본다. 선불교에서는 깨달음을 통해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타락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1]
7. 1. 한국 불교에서의 타락 개념
불교에서는 인간이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잊어가는 것을 타락으로 간주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는 불성(佛性)을 잊고 번뇌와 망상에 휩싸여 윤회하는 것을 타락으로 볼 수 있다. 선불교에서는 깨달음을 통해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타락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1]7. 2. 한국 불교와 기독교 타락 개념의 비교
불교와 기독교는 타락에 대한 개념에서 차이를 보인다. 기독교에서는 인간의 타락을 원죄와 연결하여,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으로 인해 모든 인류가 죄와 죽음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다고 본다. 반면, 불교에서는 인간의 타락을 무명(無明)과 번뇌(煩惱)로 인해 본래의 청정한 본성을 잃어버린 상태로 이해하며, 개인의 수행과 깨달음을 통해 타락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본다. 불교에서는 인간이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잊어가는 것을 타락으로 간주한다.참조
[1]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1]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1]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1]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Thinking about God: Jewish View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Jewish Publication Society
[3]
Bibleverse
Ezekiel 18:20
[4]
간행물
Religion and Sexuality: The Perversion of a Natural Marriage
Springer Verlag
2003-06
[5]
서적
Satan's Tragedy and Redemption: Iblīs in Sufi Psychology
Brill Publishers
[6]
간행물
The Creation Story in 'Sūrat Al-Baqara", with Special Reference to Al-Ṭabarī's Material: An Analysis
http://www.jstor.org[...]
[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dam
http://www.newadvent[...]
[8]
백과사전
Issues in Jewish Ethics: Judaism's Rejection of Original Sin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AICE)
2021-04-10
[9]
서적
Roads to Paradise: Eschatology and Concepts of the Hereafter in Islam
Brill Publishers
[10]
백과사전
Fall of Man
Brill Publishers
[11]
Bibleverse
Genesis 3 HE
[12]
Bibleverse
Genesis 2:17 NRSV
[13]
Bibleverse
Psalms 90:4
[14]
Bibleverse
2 Peter 3:8
[15]
Bibleverse
Jubilees 4:29–31
[16]
웹사이트
The Book of Jubilees
http://wesley.nnu.ed[...]
2009-03-04
[17]
서적
Genesis: A New Commentary
Hendrickson Publishers Marketing
[18]
Bibleverse
Genesis 3:22
[19]
문서
Harry Orlinsky's Notes to the NJPS Torah
[20]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90
[21]
웹사이트
STh I-II q. 85, a. 3
https://en.wikisourc[...]
[22]
문서
Cite CCC 2.1 405
[23]
서적
In the Beginning
Eerdmans
[24]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para. 404, 405.
[25]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para. 405.
[26]
웹사이트
Westminster Confession, VII.2
https://www.bluelett[...]
[27]
Wikisource
The Belgic Confession
1559
[28]
서적
American Painting of the Nineteenth Century: Realism, Idealism, and the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Bibleverse
Ezekiel 18:20 NRSV
[30]
웹사이트
Original Sin - Questions & Answers
https://www.oca.org/[...]
2023-05-11
[31]
웹사이트
An Online Orthodox Catechism » Catechism » OrthodoxEurope.org
http://orthodoxeurop[...]
2023-05-11
[32]
웹사이트
Sensus Plenior I: On gods and mortals
https://davidbentley[...]
2023-02-05
[33]
웹사이트
Origen and the Eschatological Creation of the Cosmos
https://afkimel.word[...]
2023-02-05
[34]
웹사이트
The Redemption of Evolution: Maximus the Confessor, The Incarnation, and Modern Science
https://issuu.com/ja[...]
2023-02-05
[35]
서적
The Bride of the Lamb
Wm. B. Eerdmans
[36]
서적
Theological Territories: A David Bentley Hart Digest
Notre Dame Press
[37]
성경
1 Timothy 2:11–14
[38]
서적
I suffer not a woman: rethinking 1 Timothy 2:11–15 in light of ancient evidence
Baker Book House
[39]
성경
Genesis 3:15
[40]
서적
Asimov's Guide to the Bible
Avon
[41]
서적
Ishmael
Bantam
[42]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the Bible: An Environmental Exploration of the Hebrew Scriptures
Columbia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The Serpent as Divinity
http://www.native-sc[...]
2017-09-22
[44]
웹사이트
Quetzalcoatl
http://austinbriggs.[...]
2017-09-22
[45]
간행물
Gnosticism: Gnosticism from its origins to the Middle Ages (further considerations)
Macmillan Inc.
[46]
서적
The Gnostics: Myth, Ritual, and Diversity in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Doctrinal Diversity: Varieties of Early Christianity
Garland Publishing, Inc
[48]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1: Origins to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간행물
[51]
서적
Desiring Divinity: Self-deification in Early Jewish and Christian Mythmaking
Oxford University Press
[52]
논문
Yaldabaoth: The Gnostic Female Principle in Its Fallenness
Brill Publishers
1990-01
[53]
간행물
[54]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Routledge
[55]
간행물
Iblīs
Brill Publishers
[56]
qref
20|120|b=y
[57]
qref
7|20|b=y
[58]
qref
20|117|b=y
[59]
qref
20|118-119|b=y
[60]
qref
20|121|b=y
[61]
qref
20|123|b=y
[62]
서적
Stieglecker, H. (1962). Die Glaubenslehren des Islam. Deutschland: F. Schöningh. p. 194 (German)
[63]
서적
Paradise and Hell in Islamic Tradi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64]
서적
Alevi Identity: Cultural,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65]
웹사이트
God Judging Adam, object 1 (Butlin 294) "God Judging Adam"
http://www.blakearch[...]
William Blake Archive
2013-10-27
[66]
간행물
Fall of Man
https://www.britanni[...]
2024-12-02
[67]
서적
ヘスラム『近代主義とキリスト教-アブラハム・カイパーの思想』教文館
[68]
서적
尾山令仁『開かれた聖書』ニューライフ出版
[69]
서적
ローレン・ベットナー『カルヴィン主義予定論』
[70]
서적
H.パーマー『カルヴィニズムの5特質』
[71]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72]
서적
カトリックの信仰
[73]
서적
組織神学
聖書図書刊行会
[74]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7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dam
http://www.newadvent[...]
2016-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