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4대 문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4대 문명은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큰 강 유역에서 발생한 최초의 문명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이집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 문명, 황허 문명을 포함한다. 이 개념은 량치차오가 처음 제시했다는 설과 일본 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제안했다는 설이 있으며, 20세기 초 중국 지식인들의 문명관과 일본 학자들의 문명관에 영향을 미쳤다. 4대 문명은 농업과 상업 발달에 유리한 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청동기, 문자, 도시 국가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4대 문명은 사회 시스템, 신화, 달력, 문자,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현대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1세기에는 중국이 4대 문명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외교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 - 생명의 기원
    생명의 기원은 화학 진화 모델을 기반으로 원시 바다에서 유기물이 생성되어 최초의 생명이 탄생한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심해 열수구, 온천 등 다양한 환경에서 생명의 기원을 찾는 연구가 진행된다.
  • 기원 - 언어의 기원
    언어의 기원은 인류의 근본적인 질문으로, 연속성 및 불연속성 이론, 사회적 변화, 신뢰성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가설을 통해 언어의 발생, 시기, 진화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 지중해의 역사 - 코르도바 칼리파국
    코르도바 칼리파국은 756년 우마이야 왕조의 후예가 건국하여 929년 칼리파국으로 발전, 10세기 서유럽 최대 도시 코르도바를 중심으로 번영을 누리다 1031년 멸망한 이슬람 왕국이다.
  • 지중해의 역사 -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소아시아에서 번성한 고대 국가 및 문명으로, 아나톨리아 고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고 하투사스를 수도로 삼았으며,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로 나뉘어 설형 문자와 히타이트어를 사용하며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근동의 고대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근동의 고대사 - 고대 근동
    고대 근동은 19세기 대영제국이 사용한 용어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 다양한 문명이 발달하고 셈족, 인도유럽어족 등 여러 민족이 존재했던 구리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를 포괄하는 지역을 지칭한다.
세계 4대 문명
개요
명칭세계 4대 문명
정의문명의 요람에 대한 이론
광범위하고 영향력 있는 고대 문명
문명 목록
문명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
위치메소포타미아 (현재의 이라크, 쿠웨이트, 시리아 일부)
이집트
인더스 강 유역 (현재의 파키스탄, 인도 북서부)
황하 유역 (현재의 중국)
발달 요인 (공통)큰 강을 끼고 관개 농업 발달
청동기 사용
문자 사용
계급 사회
논쟁 및 비판
"4대 문명" 개념의 한계유럽 중심주의적 관점
특정 시기, 특정 지역에만 초점
다른 중요한 고대 문명 간과 가능성
대안적 관점문명의 발상지는 여러 곳 존재
문명의 정의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역사를 이해해야 함
기타 비판수메르 문명 (메소포타미아)과 고대 이집트 문명만이 진정한 문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주장 존재
인더스 문명은 도시 계획과 위생 시설 면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문자 해독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소평가되었다는 주장 존재
황하 문명은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다른 문명과의 교류가 적어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걸었다는 특징

2. 유래

4대 문명 개념을 처음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량치차오


"4대 문명"이라는 개념의 유래는 불분명하다.[2]

일본의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가설이 있다.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에가미 본인이 '4대 문명'은 자신이 제안한 개념이라 말하고 다녔다고 회고한다. 무라이 아츠시 역시 개인적으로 조사한 결과 '4대 문명'이라는 어구가 1952년 에가미가 몸담았던 야마카와 출판사에서 발행한 교과서 〈재정 세계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한다.[3][19][12]

다른 가설로는, 중국 청나라 말기의 지식인 량치차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것이다.[2] 량치차오는 1900년에 지은 시 〈20세기 태평양가〉에서 "지구상 고대 문명의 조국에는 네 가지가 있으며 중국·인도·이집트·소아시아이다"라는 구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20][2] 량치차오를 포함하여 20세기 초 중국인 지식인들의 문명관은 이후 후쿠자와 유키치, 우키타 가즈타미 등 일본인 학자의 문명관에 영향을 주었다.[4]

량치차오는 세계사를 강의 시대, 바다의 시대, 대양의 시대의 세 시대로 나누었다. 4대 고대 문명은 강의 시대에 기원했으며 모두 을 따라 발전했다. 학자들은 이들이 모두 강 근처에 세워진 이유는 농업상업 발달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된 수원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인류는 물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중국 문명이 처음에는 산에서 시작되어 강 지역으로 확장되었다고 믿는다.[5]

이 4대 문명 모델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중국 문명의 시작 연대가 최초 4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6]

그 외에, 문명과 대하의 관계성에 주목하는 문명론으로, 20세기 중기의 칼 비트포겔이 제창한 수리 사회론이 있다.

2. 1. 에가미 나미오 기원설

4대 문명에 대한 개념의 제창자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몇 가지 가설이 있는 상태다.

첫 번째 가설은 일본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에가미 본인이 '4대 문명'은 자신이 제안한 개념이라 말하고 다녔다고 회고한다. 또 무라이 아츠시(村井淳志) 역시 개인적으로 조사한 결과 '4대 문명'이라는 어구가 1952년 에가미가 몸담았던 야마카와 출판사에서 발행한 교과서 〈재정 세계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한다.[19] 에가미의 개념은 주로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국가들의 학계나 교육계에 전파되었다.

두 번째 가설은 중국 청나라 말기의 지식인 량치차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량치차오는 1900년에 지은 시 〈20세기 태평양가〉에서 "지구상 고대 문명의 조국에는 네 가지가 있으며 중국·인도·이집트·소아시아이다"라는 구절을 썼다.[20] 량치차오를 포함하여 20세기 초 중국인 지식인들의 문명관은 이후 후쿠자와 유키치, 우키타 가즈타미 등 일본인 학자의 문명관에 영향을 주었다.[4]

량치차오는 세계사를 강의 시대, 바다의 시대, 대양의 시대의 세 시대로 나누었다. 4대 고대 문명은 강의 시대에 기원했으며 모두 을 따라 발전했다. 학자들은 이들이 모두 강 근처에 세워진 이유는 농업상업 발달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된 수원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2. 2. 량치차오 기원설



4대 문명에 대한 개념의 제창자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몇 가지 가설이 있는 상태다.[2]

일본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가설이 있다.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에가미 본인이 '4대 문명'은 자신이 제안한 개념이라 말하고 다녔다고 회고한다.[3] 무라이 아츠시 역시 개인적으로 조사한 결과 '4대 문명'이라는 어구가 1952년 에가미가 몸담았던 야마카와 출판사에서 발행한 교과서 〈재정 세계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한다.[19][12]

다른 가설로는, 중국 청나라 말기의 지식인 량치차오가 이 개념을 제안했다는 것이다.[2] 량치차오는 1900년에 지은 시 〈20세기 태평양가〉에서 "지구상 고대 문명의 조국에는 네 가지가 있으며 중국·인도·이집트·소아시아이다"라는 구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20][2] 량치차오를 포함하여 20세기 초 중국인 지식인들의 문명관은 이후 후쿠자와 유키치, 우키타 가즈타미 등 일본인 학자의 문명관에 영향을 주었다.[4]

량치차오는 세계사를 강의 시대, 바다의 시대, 대양의 시대의 세 시대로 나누었다. 4대 고대 문명은 강의 시대에 기원했으며 모두 을 따라 발전했다. 학자들은 이들이 모두 강 근처에 세워진 이유는 농업상업 발달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된 수원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인류는 물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중국 문명이 처음에는 산에서 시작되어 강 지역으로 확장되었다고 믿는다.[5]

이 4대 문명 모델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중국 문명의 시작 연대가 최초 4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6]

2. 3. 칼 비트포겔의 수리 사회론

"4대 문명"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불분명하다.[2] 일설에 따르면, 이 용어는 일본의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Namio Egami)에 의해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의 동료 스기야마 마사아키(Masaaki Sugiyama)는 에가미가 이 용어를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4대 문명"이라는 문구는 에가미가 근무했던 야마카와 출판사에서 1952년에 출판한 교과서 에서 처음 등장했다.[3]

다른 설에 의하면, 이 용어는 청나라 말기의 중국 지식인 량치차오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2] 1900년 그의 시 에서 그는 "지구상 고대 문명의 4대 모국은 중국, 인도, 이집트, 소아시아이다"라고 썼다.[2] 이러한 문명관은 요시다 쇼인, 후쿠자와 유키치, 우키타 카즈타미, 카야하라 카잔과 같은 일본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은 다시 서양의 문명의 요람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4]

량치차오는 세계사를 강의 시대, 바다의 시대, 대양의 시대로 구분했다. 4대 고대 문명은 강의 시대에 기원했으며 모두 을 따라 발전했다. 학자들은 이들이 모두 강 근처에 세워진 이유는 농업상업 발달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된 수원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인류는 물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중국 문명이 처음에는 산에서 시작되어 강 지역으로 확장되었다고 믿는다.[5]

4대 문명 모델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중국 문명의 시작 연대가 최초 4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6]

3. 각 문명의 특징



세계 4대 문명은 B.C. 4000~B.C. 3000년경 큰 강 유역에서 발달한 최초의 인류 문명 발생지들이다.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나열하면, 나일강변의 이집트 문명,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유역의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강 유역의 인더스 문명, 황허 유역의 황허 문명이 있다. 이들 지역은 큰 강의 유역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관개 농업에 유리한 물이 풍부하며, 공통적으로 청동기, 문자, 도시 국가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정치와 종교를 결합한 신권 정치(파라오 = 신의 아들일 정도로 왕권 강력),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내세적 세계관)(미라, 사자의 서), 태양력, 측량술, 기하학, 의학 등 실용학문 발달, 파피루스기록, 피라미드, 스핑크스 등.
:수메르인, 지구라트(거대신전), 태음력, 60진법, 함무라비 법전, 쐐기문자 등 국가기반 마련. 바빌로니아 왕국 등.
:아리아인, 하라파, 모헨조다로, 도시 문명, 도로망, 도시 위생 시설, 공중목욕탕, 기호 문자 등 사용. 농경 및 목축을 하면서 "바닷길(해로)"로 메소포타미아와 무역 등.

  • 중국 문명 발상지: 황허, 양자강 일대

:조, 수수 재배, 가축, 토기, 갑골 문자, 은나라 은허 유적, 신정 정치, 농경 사회 등.

3. 1. 이집트 문명

나일강 유역에서 발생한 이집트 문명은 정치와 종교가 결합된 신권 정치를 펼쳤으며, 파라오는 신의 아들로 여겨질 정도로 강력한 왕권을 가졌다. 사후 세계를 믿는 내세적 세계관을 가졌으며, 미라, 사자의 서 등이 이를 보여준다. 태양력, 측량술, 기하학, 의학 등 실용 학문이 발달하였고, 파피루스에 기록을 남겼으며, 피라미드, 스핑크스 등을 건설하였다.

3. 2. 메소포타미아 문명

B.C. 4000~B.C. 3000년경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 발생한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수메르인이 우르라가시 등 도시 국가를 건설하며 시작되었다. 지구라트(거대신전)를 건설하고, 태음력과 60진법을 사용하였으며, 쐐기문자를 발명하였다. 또한 함무라비 법전을 통해 국가 기반을 마련하였다.

3. 3. 인더스 문명

기원전 4000년에서 기원전 3000년경 큰 강 유역에서 최초의 인류 문명들이 발생하였다.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나일강변의 이집트 문명,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유역의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강 유역의 인더스 문명, 황허 유역의 황허 문명이 그것이다. 이 지역들은 큰 강 유역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관개 농업에 유리하며, 청동기, 문자, 도시 국가라는 공통 특징을 지닌다.

인더스 문명은 인더스강 유역에서 발생하였으며, 하라파, 모헨조다로 등의 도시 문명이 발달하였다. 이들은 도로망, 도시 위생 시설, 공중목욕탕을 갖추고 기호 문자를 사용했다. 농경과 목축을 하면서 바닷길로 메소포타미아와 무역을 하였다.

3. 4. 황허 문명

황허와 양자강 일대에서 발생한 중국 문명은 조, 수수 재배, 가축 사육, 토기 제작, 갑골 문자 사용, 은나라 은허 유적, 신정 정치, 농경 사회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은 큰 강 유역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관개 농업에 유리한 물이 풍부하여 문명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4. 4대 문명론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관점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북반구메소포타미아, 나일강, 인더스강, 갠지스강 유역, 그리고 황허와 창장 유역에서 세계 4대 고대 문명이 차례로 발생했다.[7] 이 네 문명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로, 그리고 금속 시대로 차례로 진입했다.[7] 오늘날 인류가 가지고 있는 철학, 과학, 문학, 예술 및 지식의 다른 많은 측면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대 문명들의 기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7]

4대 고대 문명의 사회 시스템 중 이집트와 바빌론은 노예 제도를 채택했고, 인도는 카스트 제도를 시행했으며, 중국은 봉건 제도와 정전제춘추 시대전국 시대 이전에 채택했다.[7] 각 문명은 고유한 신화전설을 가지고 있었다.[7] 국가 형태는 나중에 등장했다.[7] 고대에는 종교적 신화가 군주제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7] 바빌론의 통치자 함무라비는 "달의 신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태양신의 아들"이라고 주장했으며, 중국의 군주는 "천자"라고 주장했다.[7]

4대 고대 문명은 모두 자체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해는 12개월로 나누어져 있었고 윤달을 두었다.[7] 각 문명은 자체적인 문자를 만들었다.[7] 인더스강, 황허강, 메소포타미아강 유역의 문명들은 모두 도자기 바퀴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제작했다.[7]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모두 더 일찍 원주율을 계산했으며, 중국은 더 일찍 피타고라스 정리 (또는 그 실용적 응용)를 발견했고, 인도는 인도 숫자 (아라비아 숫자)를 발명했다.[7]

5. 현대적 의의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북반구메소포타미아, 나일강, 인더스강, 갠지스강 유역, 그리고 황허와 창장 유역에서 세계 4대 고대 문명이 차례로 발생했다.[7] 이 네 문명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로, 그리고 금속 시대로 차례로 진입했다. 오늘날 인류가 가지고 있는 철학, 과학, 문학, 예술 및 지식의 다른 많은 측면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대 문명들의 기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4대 고대 문명의 사회 시스템 중 이집트와 바빌론은 노예 제도를 채택했고, 인도는 카스트 제도를 시행했으며, 중국은 봉건 제도와 정전제춘추 시대전국 시대 이전에 채택했다. 각 문명은 고유한 신화전설을 가지고 있었다. 국가 형태는 나중에 등장했다. 고대에는 종교적 신화가 군주제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빌론의 통치자 함무라비는 "달의 신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태양신의 아들"이라고 주장했으며, 중국의 군주는 "천자"라고 주장했다.

4대 고대 문명은 모두 자체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해는 12개월로 나누어져 있었고 윤달을 두었다. 각 문명은 자체적인 문자를 만들었다. 인더스강, 황허강, 메소포타미아강 유역의 문명들은 모두 도자기 바퀴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제작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모두 더 일찍 원주율을 계산했으며, 중국은 더 일찍 피타고라스 정리 (또는 그 실용적 응용)를 발견했고, 인도는 인도 숫자 (아라비아 숫자)를 발명했다.[7]

21세기 초, 중국시진핑 당 총서기 겸 국가 주석은 "4대 문명 중에서 중화 문명만이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고 주장했으며[14],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자금성에 직접 안내했을 때도 비슷한 주장을 하여 주목을 받았다.[15]

중국 정부는 실크로드 부활이나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내걸고 역사적인 외교의 일환으로, "고대 문명국 포럼" (Ancient Civilizations Forum영어)을 그리스와 함께 주최하고 있다. 여기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있었던 이라크, 이집트 문명이 있었던 이집트, 인더스 문명이 있었던 인도, 메소아메리카 문명이 있었던 멕시코, 안데스 문명이 있었던 페루볼리비아 등도 참여하고 있다.[14][16][17]

한편, 북한은 "대동강 문화"를 더하여 독자적으로 "세계 5대 문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8]

5. 1. 정치, 사회적 영향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북반구메소포타미아, 나일강, 인더스강, 갠지스강 유역, 그리고 황허와 창장 유역에서 세계 4대 고대 문명이 발생했다.[7] 이들 문명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를 거쳐 금속 시대로 진입했으며, 오늘날 인류의 철학, 과학, 문학, 예술 등 다양한 지식 분야에 기여했다.

4대 고대 문명의 사회 시스템 중 이집트바빌론은 노예 제도를 채택했고, 인도는 카스트 제도를 시행했으며, 중국춘추 시대전국 시대 이전에 봉건 제도와 정전제를 채택했다. 각 문명은 고유한 신화전설을 가지고 있었으며, 초기에는 종교적 신화가 군주제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함무라비는 "달의 신의 후손",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태양신의 아들", 중국의 군주는 "천자"라고 주장했다.[7]

각 문명은 자체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었고, 1년을 12개월로 나누고 윤달을 두었다. 또한, 고유 문자를 만들었으며, 인더스강, 황허강, 메소포타미아강 유역의 문명들은 도자기 바퀴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제작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원주율을 계산했고, 중국은 피타고라스 정리를 발견했으며, 인도는 아라비아 숫자를 발명했다.[7]

21세기 초, 중국시진핑 당 총서기 겸 국가 주석은 "4대 문명 중에서 중화 문명만이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고 주장했다.[14]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자금성에 안내했을 때도 비슷한 주장을 했다.[15]

중국 정부는 실크로드 부활이나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내걸고 역사적인 외교의 일환으로, "고대 문명국 포럼"을 그리스와 함께 주최하고 있다. 여기에는 이라크, 이집트, 인도, 멕시코, 페루, 볼리비아 등도 참여하고 있다.[14][16][17]

한편, 북한은 "대동강 문화"를 더하여 독자적으로 "세계 5대 문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8]

5. 2. 문화, 과학적 영향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북반구메소포타미아, 나일강, 인더스강, 갠지스강 유역, 그리고 황허와 창장 유역에서 세계 4대 고대 문명이 차례로 발생했다.[7] 이 네 문명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로, 그리고 금속 시대로 차례로 진입했다.[7] 오늘날 인류가 가지고 있는 철학, 과학, 문학, 예술 및 지식의 다른 많은 측면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대 문명들의 기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7]

4대 고대 문명의 사회 시스템 중 이집트와 바빌론은 노예 제도를 채택했고, 인도는 카스트 제도를 시행했으며, 중국은 봉건 제도와 정전제춘추 시대전국 시대 이전에 채택했다.[7] 각 문명은 고유한 신화전설을 가지고 있었다.[7] 고대에는 종교적 신화가 군주제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7] 바빌론의 통치자 함무라비는 "달의 신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태양신의 아들"이라고 주장했으며, 중국의 군주는 "천자"라고 주장했다.[7]

4대 고대 문명은 모두 자체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해는 12개월로 나누어져 있었고 윤달을 두었다.[7] 각 문명은 자체적인 문자를 만들었다.[7] 인더스강, 황허강, 메소포타미아강 유역의 문명들은 모두 도자기 바퀴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제작했다.[7]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모두 더 일찍 원주율을 계산했으며, 중국은 더 일찍 피타고라스 정리 (또는 그 실용적 응용)를 발견했고, 인도는 인도 숫자 (아라비아 숫자)를 발명했다.[7]

5. 3. 외교적 활용

21세기 초, 중국시진핑 당 총서기 겸 국가 주석은 "4대 문명 중에서 중화 문명만이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고 주장했으며[14],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자금성에 직접 안내했을 때도 비슷한 주장을 하여 주목을 받았다.[15]

중국 정부는 실크로드 부활이나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내걸고 역사적인 외교의 일환으로, "고대 문명국 포럼" (Ancient Civilizations Forum영어)을 그리스와 함께 주최하고 있다. 여기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있었던 이라크, 이집트 문명이 있었던 이집트, 인더스 문명이 있었던 인도, 메소아메리카 문명이 있었던 멕시코, 안데스 문명이 있었던 페루볼리비아 등도 참여하고 있다.[14][16][17]

그 외에, 북한은 "대동강 문화"를 더하여 독자적으로 "세계 5대 문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8]

참조

[1] 간행물 近代中国における「文明」――明治日本の学術と梁啓超 https://nichibun.rep[...] 2010-03-25
[2] 간행물 近代中国における「文明」――明治日本の学術と梁啓超 https://nichibun.rep[...] 2010-03-25
[3] 간행물 この歴史用語--誕生秘話と生育史の謎を解く--「四大文明」は江上波夫氏が発案した造語だった! https://cir.nii.ac.j[...] 2009-04
[4] 간행물 中国近現代における文明史観の受容と展開 : 兼ねて「四大文明」説の由来を論ず (特集 : 文明) https://repository.k[...] 2019-01-31
[5] 문서 「世多謂文明起源於河流,吾謂吾國文明,實先發生于山嶽。蓋吾國地居大陸,人種之生,本不限於一地,其擁部眾而施號令者,必具居高臨下之勢,始可以控制多方....其後漸次混合,謀便交通,始有開闢河流,製作舟楫之事。此事實之次序,固可以理測度者也。」見:《中國文化史》(柳詒徵)第一章 中國人種之起源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Is China Really One of the So-called Four Great Ancient Civilizations?" http://book.sohu.com[...] 2006-01-05
[7] 웹사이트 天文学家的发明 阿拉伯数字起源于印度 http://www.stnn.cc/a[...] 2009-11-26
[8] 웹사이트 The World of Civilizations http://s02.middlebur[...] 2007-03-12
[9] 웹사이트 四大文明 2013-11-12
[10] 뉴스 書評『マヤ文明』 青山和夫著 2012-06-25
[11] 간행물 内陸アジア史研究の新潮流と世界史教育現場への提言(基調講演1,<特集>内陸アジア史学会50周年記念公開シンポジウム「内陸アジア史研究の課題と展望」) https://doi.org/10.2[...] 内陸アジア史学会 2011
[12] 간행물 この歴史用語--誕生秘話と生育史の謎を解く--「四大文明」は江上波夫氏が発案した造語だった! https://iss.ndl.go.j[...] 明治図書出版 2009
[13] 서적 壬寅新民叢報彙編 "https://dl.ndl.go.j[...] 1904
[14] 뉴스 木語:歴史利用の中国外交=坂東賢治 https://mainichi.jp/[...] 2017-05-18
[15] 뉴스 習氏、トランプ氏に中国史を教える一幕 「中国人は竜の子孫」 https://www.afpbb.co[...] 2017-11-09
[16] 뉴스 王毅外相、世界古代文明フォーラムに出席 http://japanese.cri.[...] 2017-04-25
[17] 뉴스 Athens to Host 1st Ministerial Conference of 'Ancient Civilizations Forum' http://news.gtp.gr/2[...] 2017-04-18
[18] 뉴스 평양이 세계 5대 문명 발상지 중 한곳? https://www.donga.co[...] 2011-06-24
[19] 저널 この歴史用語--誕生秘話と生育史の謎を解く--「四大文明」は江上波夫氏が発案した造語だった! https://iss.ndl.go.j[...] 明治図書出版 2009-04
[20] 인용 壬寅新民叢報彙編 "https://dl.ndl.go.j[...] 1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