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1세기 마르코 복음사가가 알렉산드리아에 세운 교회를 기원으로 하는 기독교 종파이다. 콥트 정교회는 사도적 기원을 자부하며,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를 통해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집트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하는 등 기독교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 기독교 공의회에 참여하여 교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동방 정교회와 분리되었고, 이슬람교의 이집트 정복 이후 쇠퇴했지만, 19세기 이후 사회적 지위가 개선되었다. 20세기에는 에티오피아 및 에리트레아 정교회의 독립을 지원했으며, 다른 기독교 교파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콥트 정교회는 전 세계에 약 2천만 명의 신자를 두고 있으며, 이집트 내에서는 종교적 박해를 받기도 한다. 콥트어와 아랍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고백하고 마리아를 숭배하며, 미아피시스주의를 따른다. 한국에는 2016년 콥트 정교회가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

2. 역사



전승에 따르면 1세기 (42년경)에 복음사가 마르코가 당시 이집트의 수도였던 알렉산드리아에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세운 것이 콥트 정교회의 기원이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제4차 전세계 공의회) 이후, 칼케돈파(현재의 기독교 다수파)와 분리되었다. 칼케돈파와 비칼케돈파의 대립은 6세기 후반 시리아와 이집트에서 비칼케돈파 교회가 잇따라 설립될 정도로 심각해졌다.[93]

619년 사산 왕조페르시아 제국에, 639년 이슬람 제국에 지배를 받았다. 1321년 맘루크 왕조 술탄 나스르 무함마드의 지배하에서는 대부분의 교회와 수도원이 방화되고 이슬람교로 개종을 강요받아 신도 수가 감소했다.

1882년 이집트가 실질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종교적 자유가 주어졌다.[94]

1899년 콥트 가톨릭 교회가, 1959년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했다. 1998년에는 Eritrean Orthodox Tewahedo Church영어가 에티오피아 정교회로부터 분리 독립했다.

2. 1. 사도적 기원

성경에서 이집트는 성가정이 유다이아를 떠나 피신한 장소로 언급된다.[112]

요셉은 일어나 그 밤으로 아기와 아기 어머니를 데리고 이집트로 가서 헤로데가 죽을 때까지 거기에서 살았다. 이리하여 주께서 예언자를 시켜 “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었다.”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마태오 복음서 2:14-15)


이집트 교회는 전통적으로 서기 42년경 복음사가 마르코에 의해 설립된 교회로 전해지고 있으며, 스스로 구약 성서시대 때 수많은 예언자들에 의해 이미 예언되었다고 자부하고 있다. 한 예로 이사야서 19장 19절에는 “그 날이 오면, 이집트 땅 한복판에 주님을 섬기는 제단이 서겠고 그 국경선 가까이에는 주님의 주권을 표시하는 돌기둥이 서리라.”는 구절이 있다.[112]

최초의 이집트 그리스도인들은 공통적으로 콥트어 화자들이었다.[113] 또한 루카 복음서 서두에서 언급된 테오필로 등 알렉산드리아계 유대인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네로 황제 재위기간에 성 마르코에 의해 교회가 세워졌을 때, 그리스인이나 유대인과는 대조적으로 많은 이집트 원주민들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113][114] 이집트 중부 옥시링쿠스에서 연대가 서기 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신약성경 사본이 발견된 사례와 상이집트에서 2세기 초반에 콥트어로 씌어진 요한 복음서 파편이 발견된 사례를 볼 수 있듯이 성 마르코가 알렉산드리아에 온 지 반세기 만에 기독교는 이집트 전역에 널리 퍼졌다. 2세기에 기독교는 농촌에 전파되기 시작했으며, 성경은 콥트어라는 해당 지역 언어로 번역됐다.

2. 2. 기독교 세계에 대한 공헌

콥트 정교회는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성경에서 이집트는 성가정이 유다이아를 떠나 피신한 장소로 나타난다. (마태오 복음서 2:14-15)[112] 이집트 교회는 전통적으로 서기 42년경 성 마르코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사야서 19장 19절과 같이 구약시대 때 이미 예언되었다고 자부한다.[112]

초기 이집트 그리스도인들은 콥트어 화자들과 알렉산드리아계 유대인들이었다.[113] 네로 황제 재위기간에 성 마르코에 의해 교회가 세워졌을 때, 많은 이집트 원주민들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113][114] 2세기에는 기독교가 농촌에 전파되기 시작했으며, 성경은 콥트어로 번역됐다.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는 초기에 이단에 맞서 정통 기독교를 가르치려 노력했다.[17] 3세기경에는 많은 이집트 그리스도인들이 사막으로 가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대 안토니오와 파코미오가 대표적인 인물이며, 이들은 '수도자의 아버지'로 불린다.[116] 이러한 기독교 수도원 운동은 콥트 정교회의 특징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 바실리오, 예로니모,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등 많은 이들이 이집트의 수도원 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2. 2. 1.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교리 교육기관이었다. 예로니모는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 학교가 성 마르코에 의해 세워졌다고 기록했다.[115] 190년경, 학자 판타이누스의 지도 아래, 알렉산드리아 학교는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맹인 디디모, 오리게네스 등 신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학자들이 교육하는 중요한 종교 교육 기관이 되었다. 이들은 주석과 성경 비교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예로니모 등 많은 학자들은 의견을 교환하고 이들 학자들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 알렉산드리아 학교를 찾았다. 이 학교의 교육은 신학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과학, 수학, 인문학 등도 가르쳤다. 성경 해설에 대한 질의응답이 시작된 곳도 이곳이었으며, 점자가 나오기 15세기 전에 맹인 학자들이 읽고 쓸 수 있도록 목각으로 글자를 새기는 기법이 나왔다.

교리 학교는 1893년에 다시 설립됐다.[16] 지금의 학교는 아일랜드와 이집트의 카이로, 미국의 뉴저지 및 로스앤젤레스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콥트 정교회 사제 성소자들과 남녀 예비 신자들에게 신학과 교회 역사, 콥트어, 교회 미술, 교회 음악, 태피스트리 등을 가르치고 있다.

2. 2. 2. 수도원 운동의 발상지

수도 생활의 창시자로 불리는 대 안토니오


3세기경 많은 이집트 그리스도인들은 사막으로 가서 일하고 기도하며 자신들의 삶을 온전히 하느님을 섬기는 데 바쳤다. 이들은 세상이 너무 소란스러워 하느님 뜻을 찾는 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홀로 오두막, 무너진 성채, 동굴 등지에서 기거하며 기도와 명상에 잠겼다. 이러한 은둔생활은 시리아팔레스타인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은수자들 가운데 대 안토니오(251∼356)와 파코미오(290∼346)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성 안토니오는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고 기도와 노동으로 살아가는 이상적인 수도 생활의 토대를 만들어 '수도자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성 파코미오는 홀로 떨어져 살던 은수자들을 한 울타리로 불러 모아 공주(公住) 생활의 첫 장을 열었다.[116]

이집트에서 생긴 기독교의 수도원 운동은 사막 교부들의 가르침과 저술 활동 덕분에 소박함, 순명, 겸손이라는 콥트 정교회의 특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세기 말까지 이집트 사막 곳곳에 수백 곳의 수도원과 은수처가 세워졌다. 오늘날까지도 많은 수도원이 여전히 번성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수도 서원을 하고 있다.

모든 기독교 수도원 운동은 직간접적으로 이집트에 기원을 두고 있다. 소아시아 지역 수도원 운동의 조직자인 카파도키아 카이사레아의 대주교 대 바실리오는 서기 357년경 이집트를 방문했으며, 그의 수도 규칙은 동방 정교회에 속한 모든 교회가 따르고 있다.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예로니모 역시 서기 400년경 예루살렘으로 가던 길에 이집트를 방문해 서신에서 그곳에서의 경험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6세기 베네딕도회를 창설한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성 파코미오스의 모범을 따르되, 좀 더 엄격한 형태로 했다. 셀 수 없이 많은 순례자들이 사막 교부들을 찾아가 영적으로 훈련된 그들의 삶을 본받았다.

2. 3. 세계 공의회 참가와 역할

콥트 교회는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세계 공의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독교 교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3. 1. 니케아 공의회

4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사제 아리우스아리우스주의를 주장하여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기독교 세계 전역에 벌어졌다.[112] 이에 서기 325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개최하고 코르도바의 호시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1세가 의장으로 주재하여 니케아 신경을 채택함으로서 이 논쟁을 해결했다.[112] 오늘날 기독교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고백되는 이 신경은 주로 아리우스의 최대 반대자였던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의 가르침에 바탕을 두고 있다.[112]

2. 3. 2.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알렉산드리아의 티모테오 1세는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의장을 맡아 성령의 신성을 부인한 마케도니우스를 단죄했다. 공의회는 니케아 신경에 성령의 신성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완성했다.[20]

> 우리는 성령을 믿으니,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분으로서, 아버지로부터 나오시며, 아버지와 아들과 더불어 경배와 영광을 받으시며,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으며,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우리는 죄의 사함을 위한 하나의 세례를 고백하며, 죽은 자의 부활과 다가올 세상의 생명을 기다립니다. 아멘

2. 3. 3. 에페소스 공의회

5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라고 부르기보다는 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의 어머니)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신학적 논쟁이 일어났다.[21]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치릴로는 네스토리우스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등 이를 바로잡기 위해 신속히 행동에 나섰으나, 네스토리우스가 이에 응하지 않자 알렉산드리아 교회는 긴급 회의를 소집해 만장일치로 뜻을 모았다. 치릴로는 모든 주교의 지지를 받아 ‘성 치릴로가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셋째 서간’을 써서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냈고,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을 따르는 이들을 전부 파문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감히 거룩하신 동정녀께서 하느님의 어머니이심을 부인하는 사람은 파문한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네스토리우스는 이에 굴복하지 않았으며, 결국 치릴로의 주재 아래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가 소집됐다.

에페소스 공의회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의 가르침을 확인하고 마리아의 칭호를 하느님의 어머니로 공식화했다. 또한 치릴로가 가르친 대로 그리스도에게는 신성과 인성이 하나의 위격으로 존재한다(Mia Physis tou Theou Logou Sesarkōmenē)고 선언하면서, 그리스도의 위격이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파문될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21]

2. 3. 4. 칼케돈 공의회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그리스도에게 신성과 인성, 두 가지 본성이 있으며 이 두 본성은 혼합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위격(휘포스타시스) 안에 일치한다고 선포했다. 그러나 콥트 정교회를 포함한 비칼케돈파(오리엔트 정교회)는 칼케돈파 교회의 주장이 네스토리우스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117] 이들은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그리스도는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녀 마리아께 나셨다”는 구절을 근거로, 그리스도에게는 하나의 위격 안에 신성과 인성이 혼합된 하나의 본성이 있다고 이해했다. 이러한 교리적 차이는 오리엔트 정교회와 동방 정교회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콥트 정교회의 예수 이콘


마르키아누스 황제가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고자 칼케돈 공의회를 소집했으나, 훗날 추방되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디오스코로스는 황제가 교회 문제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반대했다. 황제는 대리인단을 통해 디오스코로스 총대주교에게 혹독한 징계 조치를 내리도록 강권했다. 디오스코로스는 세 차례 소환되었으나, 공의회는 그를 총대주교직에서 면직시켰다. 콥트 교회는 디오스코로스가 면직된 후 칼케돈 공의회가 부당하고 편파적으로 진행되었다고 생각하여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정치적 억압을 받는다는 느낌을 받았다. 동로마 정부가 신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칼케돈파 교회를 대변하는 프로테리오스를 임명하자, 콥트 교회는 자체적으로 티모테오스 아일루로스를 총대주교로 선출하면서 칼케돈파 교회와 갈라섰다.[118]

이집트, 시리아, 아르메니아 등 동로마 제국 변두리에 거주하는 많은 기독교인은 칼케돈 공의회를 수용하지 않았다. 이때부터 알렉산드리아에는 두 명의 총대주교, 즉 비칼케돈파인 콥트 정교회 총대주교와 칼케돈파인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가 있게 되었다.[119]

2. 4. 이슬람교의 이집트 정복

639년 이슬람교도들이 이집트를 침공해 점령했다. 정치적 격변이 일어났지만 이집트인들은 대부분 그리스도인으로 남았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사람이 증가해 12세기 말엽에 가서 그리스도교가 다수였던 이집트는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나라로 변했다.[120] 우마이야 왕조 통치자들은 무슬림들에게 부과되는 것보다 많은 세금을 그리스도인들에게 물려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믿도록 유도함으로써 콥트 교회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켰다.[121] 콥트 교회는 사라지지 않았지만, 우마이야 왕조의 세금 정책 때문에 이집트의 엘리트층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제2천년기에 들어서면서 총대주교를 포함한 콥트 교회의 지도부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카이로로 거처를 옮겼다.

2. 5. 19세기부터 1952년 혁명까지

19세기 초, 무함마드 알리 왕조의 안정과 관용 정책 아래 콥트교인들의 지위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콥트 공동체는 더 이상 국가에 의해 행정 단위로 간주되지 않았다. 1855년, 지즈야세가 사이드 파샤에 의해 폐지되었다.[41] 그 직후, 콥트교인들은 이집트 군대에서 복무하기 시작했다.[42]

19세기 말, 콥트 교회는 새로운 발전 단계를 겪었다. 1853년, 교황 키릴 4세는 최초의 현대식 콥트 학교를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최초의 이집트 여자 학교도 포함되었다. 그는 또한 인쇄소를 설립했는데, 이는 이집트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국립 인쇄소였다. 교황은 다른 교파들과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이집트의 그리스 총대주교가 오랫동안 부재해야 했을 때, 그의 교회를 콥트 총대주교의 지도 아래 두기도 했다.[42]

알렉산드리아 신학교는 1893년에 재건되었다.[16] 다섯 명의 학생으로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는데, 그 중 한 명은 나중에 학장이 되었다.

1898년에서 1914년 사이의 콥트교 수도사들

2. 6. 현대

1959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가 콥트 교회 총대주교 키릴로스 6세에 의해 자체적인 총대주교(總大主敎)를 갖게 되었다.[91] 1994년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도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독립했으며, 알렉산드리아 콥트 교회 총대주교는 에리트레아 교회 시노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주교 네 명을 서임했다. 1998년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콥트 교회로부터 독립권을 부여받았으며, 초대 총대주교가 콥트 교회 총대주교 셰누다 3세에 의해 착좌되었다.[92]

콥트 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이 세 교회는 서로 간에 뿐만 아니라 다른 오리엔트 정교회들과도 상호 성사 교류를 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와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의 콥트 교회 총대주교를 으뜸 주교로 인정하고 있는데, 이는 알렉산드리아 교회가 그들의 어머니 교회이기 때문이다.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에리트레아 정교회에서 총대주교로 선출된 주교들은 착좌식을 갖기 전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시노드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980년대 이후 비칼케돈파인 오리엔트 정교회와 칼케돈파인 동방 정교회는 서로의 신학적 차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남을 가졌으며, 같은 것을 놓고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양측 간에 많은 차이점이 생겼다는 결론을 내렸다.[43]

2001년 여름, 콥트 정교회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은 상호 세례성사를 온전히 인정하여 상대방의 교파로 옮겼을 때 재세례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합의를 하였다.[44] 또한 양측은 서로의 혼인성사 역시 인정하였다. 이전까지 콥트 정교회 신자와 동방 정교회 신자 남녀가 만나 혼인하려면 혼인성사를 양측 교회에서 각각 한 번씩 받아 총 두 번을 받아야 했는데, 이제는 두 교회 중 한쪽에서만 혼인성사를 받아도 되었다.

3. 교세

전 세계적으로 콥트 정교회 신자는 약 2천만 명이며, 그 중 이집트에는 1천 5백만 명에서 1천 8백만 명 정도의 신자가 있다.[123][124][125][126] 이집트는 종교에 대한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없기 때문에 이집트의 기독교 인구 추정치는 다양하다. 2008년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은 1천 2백만 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이집트 인구 9천만 명 가운데 1천 1백만 명에서 1천 3백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127][128][129][130][131][132] 2017년 정부 뉴스 알 아흐람은 콥트 정교회 신자 비율을 10~15%로 추산했다.[133]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 등 아프리카 외 지역에도 콥트 정교회 신자들이 상당수 있다. 이들 콥트 정교회 신자 수는 약 2백만 명이다.[134]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 원주민 신자가 350,000명에서 400,000명 있으며, 특히 수단에는 20만 명 남짓한 신자가 있다.[135][136] 이들은 콥트 정교회 신자이지만, 이집트 국적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콥트인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4. 박해

콥트 정교회는 역사적으로 많은 박해를 받아왔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최근 수년 간 이집트에서 콥트 정교회에 대한 종교적 편협성이 증가하면서 신자들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해자 및 책임자에 대한 정부의 기소와 처벌이 미진하다고 언급했다.[137][138]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종교 갈등으로 인해 100명 이상의 이집트 콥트 정교회 신자가 살해당했으며, 많은 가옥과 사업체가 공격을 받았다. 미니아 주에서는 2011년에서 2016년 사이에 콥트 정교회 신자들에 대한 폭력 사례가 77건이 보고되었다.[139] 콥트 정교회를 믿는 여성 및 소녀들에 대한 납치와 실종 사건도 여전히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이다.[140][141]

2015년에는 21명의 콥트 정교회 신자가 리비아 이슬람 국가에 의해 납치 및 참수되기도 했다.[51]

2011년 1월 1일, 알렉산드리아의 교회 앞에서 차량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21명이 사망하고 79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으로 콥트 정교도들은 알렉산드리아카이로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으며, 일부는 폭도로 변해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110][111] 이집트 언론은 무슬림과 기독교도 간의 충돌이 종교적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며, 콥트 정교회 신자들이 소수파로서 차별받는 현실에 대해 정부가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111]

5. 교의 및 특징

콥트 정교회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고백하며, 성모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로 숭배한다. 마태오 복음서에 성가족의 이집트 피신에 대한 기사가 있기 때문에 마리아 숭배는 매우 활발하다.

단성론이 아닌 합성론을 따르며,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지 않아 비칼케돈파 정교회로 분류된다.

"콥트교"라는 명칭은 콥트 정교회가 기독교에서 분파되어 독특하게 변용된 이집트 토착 종교인 것처럼 오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교회"(Orthodox Church)를 자처하는 콥트 정교회에는 "콥트교"라는 호칭은 부적절하다.

5. 1. 신학

콥트 정교회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고백하며, 성모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로 숭배한다. 마태오 복음서에 성가족의 이집트 피신에 대한 기사가 있기 때문에 콥트 정교회에서 마리아 숭배는 매우 활발하다.

콥트 정교회는 단성론이 아닌 합성론을 따르며, 그리스도는 완전한 인성과 완전한 신성을 가진 하나의 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는다.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지 않아 분립된 교회이므로, 비칼케돈파 정교회로 분류된다.

전례 언어로는 고대 이집트어의 후예인 콥트어아랍어를 사용한다. 교회력에는 디에클레티아누스 기원과 콥트력을 사용한다. 세례는 원칙적으로 전신 침례만을 인정한다.[95] 그 외의 교리나 형식에는 그리스 정교회 계통의 정교회와 공통점이 많다.

"콥트교"라는 명칭은 콥트 정교회가 기독교에서 분파되어 독특하게 변용된 이집트 토착 종교인 것처럼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콥트 정교회는 고대 교회로부터의 역사와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며, "정교회"(Orthodox Church)를 자처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이므로, "콥트교"라는 호칭은 부적절하다.

5. 2. 전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전통적으로 콥트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해 왔으며, 성경도 콥트 문자로 기록했다. 그러나 이집트의 아랍화로 인해 교회에서 아랍어 사용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강론은 완전히 아랍어로 진행된다. 이집트 외 지역에서는 콥트어와 함께 모국어를 사용한다.[63]

콥트 정교회의 전례력은 콥트력 (알렉산드리아력)을 따르며, 이는 고대 이집트이집트력을 기반으로 한다.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그레고리오력 1월 7일(율리우스력 12월 25일)에 해당하는 키야크 29일에 크리스마스를 지낸다. 크리스마스는 2002년 이집트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아그페야는 콥트 정교회에서 하루 7정시에 동쪽 방향을 향해 기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도서이다.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재림을 기다리며 7정시에 동쪽을 향해 아그페야 기도서로 기도한다. 이 관습은 다윗이 하루 일곱 번 하나님께 기도한 시편 119:164에서 유래했다.[62][64] 교회 종소리는 신자들에게 기도 시간을 알린다.[65] 기도 전, 신자들은 손과 얼굴을 씻고 신발을 벗는다.[62][66] 7번의 정시 기도 동안,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세 번 절하고, 각 시편 끝에 '알렐루야'를 외치며", 각 키리에 엘레이손에 대해 41번 기도한다.[66]

5. 3. 성인

성모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로 숭배한다. 마태오 복음서에 성가족의 이집트 피신에 대한 기사가 있기 때문에 콥트 정교회에서 마리아 숭배는 매우 활발하다.[91] 이 외에도 성 마르코, 성 안토니오, 성 파코미오스 등 다양한 성인들을 공경한다.

5. 4. 금식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1년에 210일에서 240일 동안 금식한다. 이는 콥트인들이 1년의 최대 3분의 2 동안 모든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6. 조직

콥트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성 시노드(Holy Synod)를 통해 운영된다. 성 시노드는 대주교, 교구 주교, 주교, 엑사르크, 선교 주교, 보좌 주교, 교구장 주교, 촌주교, 그리고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총대주교 대리가 참여하여 교회의 주요 의사 결정을 담당한다.[1]

6. 1. 교황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콥트 정교회의 대표는 "알렉산드리아의 파파(교황) 대주교 및 성 마르코 관구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 (통칭 "콥트 교황")이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대주교는 콥트 정교회뿐만 아니라 동방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와 콥트 전례 가톨릭교회에도 각각 존재한다 (콥트 전례 가톨릭교회의 알렉산드리아 대주교는 "파파(교황)" 칭호를 갖지 않는다).

명목상으로는 고대 5총대주교좌의 칭호를 계승하여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이지만, 11세기 이후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 성좌가 있다. 주교좌 성당은 카이로의 Saint Mark's Coptic Orthodox Cathedral|세인트 마크 콥트 정교회 대성당영어이다.

2012년 3월 17일, 교황이었던 셰누다 3세가 사망했다. 2012년 11월 4일, 제118대 교황으로 타와드로스 주교가 타와드로스 2세로 선출되었다.

6. 2. 성 시노드

성 시노드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며, 대주교, 교구 주교, 주교, 엑사르크, 선교 주교, 보좌 주교, 교구장 주교, 촌주교,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총대주교 대리가 성 시노드의 권한 아래에 있다.

7. 다른 기독교 교파와의 관계

콥트 정교회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등 다른 비칼케돈파 교회들과 풀 커뮤니온(완전한 상호 영성체) 관계에 있다. 즉, 이들 교파 간에는 성찬의 빵과 포도주를 서로 나누는 것을 인정한다.[96]

그리스계 정교회 등 다른 칼케돈파 정교회와는 현재 상호 영성체가 인정되지 않지만, 최근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1년, 콥트 정교회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칼케돈파)은 서로의 교회에서 행해진 세례가 유효함을 확인하고, 서로의 교회에서 거행된 혼배성사가 유효함을 인정하는 데 합의했다.[96] 이는 칼케돈파 정교도와 콥트 정교도 신자가 혼인성사를 받을 때 겪었던 어려움을 해소한 것이다.[96]

8. 한국과의 관계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한국에 직접 진출하지는 않았으나, 일본 콥트 정교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일본 콥트 정교회는 일본 기독교 연합회에 가맹되어 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일본 정교회의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106][107][108] 한국의 진보적 기독교계는 콥트 정교회의 역사와 신학에 관심을 갖고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8. 1. 한국 내 활동

2004년부터 돗토리현 구라요시시에서 "성 조지 일본 콥트 정교회"가 예배를 시작했다. 교회 관구는 호주의 시드니 교구에 속한다.[98]

2016년 6월 2일, 호주에서 온 다니엘 주교와 조슈아 사제가 도쿄도 네리마구의 그리스도 형제단 나리마스 교회를 빌려 성찬 예식을 집전했다.[98] 같은 해 7월 18일, 교토부 키즈가와시에 개신교 단립 교회였던 구 카리스 채플 게이한나 건물을 양도받아 "성모 마리아·성 마르코 일본 콥트 정교회"를 개설했다.[99] 이후, 성당 내부에 이집트 장인이 만든 이코노스타시스 등을 설치했다.

성 마리아·성 마르코 일본 콥트 정교회 (2017년 콥트 교황 방일 당시)


같은 해 12월 16일, 일본 기독교 연합회에 가입했다.[100] 2017년에는 첫 번째 입교자가 세례를 받았다.

2017년 8월 말, 타와드로스 2세 콥트 정교회 교황이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했다.[101][102] 8월 27일에는 성모 마리아·성 마르코 일본 콥트 정교회에서 성당 성별식과 성찬 예식을 집전했고,[103] 8월 29일에는 고노 다로 외무대신과 회담했다.[104]

2019년 6월 1일에는 일본 성공회 도쿄 교구 주교좌 성당인 성 안드레 교회에서 성찬 예식이 거행되었다.[105]

일본 내 신자는 소수이다. 주로 일, 결혼, 유학 등으로 일본에 온 이집트인, 수단인, 에티오피아인 등 콥트 정교도들이며, 이집트에서 신앙을 갖게 된 일본인 신자와 부제도 있다.

이 교회는 일본어 기독교 용어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용어(성사[106], 승천[107] 등)와 일본 정교회의 용어(성찬 예식[108] 등)를 사용하고 있다.

8. 2. 한국 기독교와의 관계

일본 콥트 정교회는 일본 기독교 연합회에 가맹되어 있다.[100] 일본 콥트 정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일본 정교회의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106][107][108] 한국의 진보적 기독교계는 콥트 정교회의 역사와 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9. 이슬람교와의 관계

이집트는 헌법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소수 종교 집단으로서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집트의 대무프티 (고위 이슬람 법학자, 지도자)였던 알리 고마아는 2007년에 "이슬람교도는 자유롭게 개종할 수 있다"는 파트와 (종교령)를 발표했지만, 현실에서는 이슬람에서 콥트교로의 개종은 매우 어렵고, 콥트교에서 이슬람교로의 개종만이 용인되는 경향이 있어 짐미 제도의 잔재에 기반한 차별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109]

2011년 1월 1일, 알렉산드리아의 교회 앞에서 차량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21명이 사망하고 79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콥트 정교도들은 알렉산드리아와 카이로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으며, 일부는 폭력 시위로 번지기도 했다.[111]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이 사건에 외국인이 연루되어 있다고 언급했으며, 내무장관은 알 카에다 등 외국 이슬람 무장 세력의 연루 가능성을 시사했다.[111] 이집트 언론은 이 사건을 계기로 종교 간 갈등이 심화될 것을 우려하며, 콥트 정교회 신도들이 소수파로서 차별받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111]

참조

[1]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The Arab Republic of Egypt http://www.fco.gov.u[...]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20-04-19
[2] 간행물 Excluded and Unequal https://tcf.org/cont[...] The Century Foundation 2020-04-19
[3] 웹사이트 How many Christians are there in Egypt? https://www.pewresea[...] 2020-04-19
[4] 간행물 Characterizing the Copts in Egypt: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 indicators Bloomsbury Qatar Foundation Journals 2013-06-01
[5] 웹사이트 Coptic Christianity in Egypt https://rpl.hds.harv[...] Harvard Divinity School 2023-03-11
[6] 뉴스 Egyptian Coptic protesters freed http://news.bbc.co.u[...] 2004-12-22
[7] 웹사이트 ? http://www.unitedcop[...] United Copts of Great Britain 2010-08-27
[8] 웹사이트 ? http://www.alarabiya[...] العربية.نت 2010-08-27
[9] 웹사이트 The Copt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in Egypt http://www.washingto[...] 2010-08-27
[10] 서적 Two Thousand Years of Coptic Christianity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1] 서적 Two Thousand Years of Coptic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23-03-19
[12] 웹사이트 Coptic Orthodox Church of Alexandria-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2-12
[13] 웹사이트 Who are Egypt's Coptic Christians? https://www.cnn.com/[...] CNN 2019-08-08
[14] 웹사이트 الأقباط متحدون – اللغة القبطية http://www.copts-uni[...] 2018-10-28
[15] 웹사이트 The School of Alexandria – Part I – An Introduction to the School of Alexandria http://www.copticchu[...] Copticchurch.net 2011-01-02
[16] 웹사이트 The Catechetical School of Alexandria http://becomeorthodo[...] 2020-09-16
[17] 웹사이트 Didymus The Blind {{!}} Alexandrian Scholar, Biblical Exegete & Church Fath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9
[18] 웹사이트 مجمع نيقية المقدس 325 م. | St-Takla.org https://st-takla.org[...] 2018-05-30
[19] 문서 Carroll
[20] 서적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Greenhaven Publishing LLC 2023-03-19
[21] 서적 Christianity: the One, the Many: What Christianity Might Have Been and Could Still Become Volume 1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23-03-19
[22] 웹사이트 Coptic Christians-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2-12
[23] 서적 Apollinaris von Laodicea und seine Schule: Texte und Untersuchungen Mohr Siebeck Verlag
[24]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Egypt http://berkleycenter[...]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2011-12-14
[26] 서적 African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odosius Of Alexandr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24
[28] 웹사이트 Leo of Rome's Support of Theodoret http://www.romanity.[...]
[29] 서적 Early Christian Authors on Samaritans and Samaritanism: Texts, Translations and Commentary (Texts and Studies in Ancient Judaism) 2002
[30] 서적 The Chronicle of John, Bishop of Nikiu: Translated from Zotenberg's Ethiopic Text, Chapter CXV: paragraph 7 1913
[31] 서적 The Chronicle of John, Bishop of Nikiu: Translated from Zotenberg's Ethiopic Text, Chapter CXVIII: paragraph 12 1913
[32] 서적 The Chronicle of John, Bishop of Nikiu: Translated from Zotenberg's Ethiopic Text, Chapter CXX: paragraph 36 1913
[33] 서적 The Chronicle of John, Bishop of Nikiu: Translated from Zotenberg's Ethiopic Text, Chapter CXXI: paragraph 3 1913
[34] 서적 Coptic Egypt: History and Guid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1997
[35] 간행물 Coptic Conversion and the Islamization of Egypt http://mamluk.uchica[...]
[36]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7]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Encounter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2-20
[39] 서적 "They Can Live in the Desert but Nowhere Else": A History of the Armenian Genoc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40] 서적 Traditional Egyptian Christianity: History of the Coptic Orthodox Church Fisher Park Press
[41]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Coptic Personal Status Law https://web.archive.[...] 2019-11-26
[42] 웹사이트 Saint George Coptic Church http://suscopts.org/[...] Suscopts.org 2014-04-03
[43] 서적 Growth in Agreement II. Reports and Agreed Statements of Ecumenical Conversations at World Level 1982–1998, ed. Jeffrey Gros, FSC, Harding Meyer, William G. Rusch, WCC and Michigan http://archive.org/d[...] 2000
[44] 웹사이트 Pastoral Agreement between the Coptic Orthodox and Greek Orthodox Patriarchates of Alexandria https://orthodoxjoin[...] 2019-03-14
[45] 뉴스 Christians protect Muslims during prayer in Cairo's dangerous Tahrir square https://web.archive.[...] 2011-02-03
[46] 웹사이트 Egypt and Libya: A Year of Serious Abuse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0-01-24
[47] 뉴스 Egypt's Persecuted Christians https://www.wsj.com/[...] 2010-06-04
[48] 뉴스 Egypt's Cruelty to Christians https://www.nytimes.[...] 2016-12-22
[49] 서적 Escalating Violence Against Coptic Women and Girls: Will the New Egypt be More Dangerous than the Old? : Hearing before the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ne Hundred Twelfth Congress, Second Session, July 18, 2012 https://purl.fdlp.go[...]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5-03-08
[50] 웹사이트 Masress : Sectarian tensions rise in wake of crime boss death http://www.masress.c[...] 2016-01-02
[51] 웹사이트 The 21 Martyrs of Libya: Videotaped Instanteous Sainthood – Literature – Resources http://www.suscopts.[...] 2024-04-29
[52] 웹사이트 The Coptic Church in peril: The Islamization of Egypt and the end of Egyptian Christianity https://www.abc.net.[...] 2020-08-05
[53] 웹사이트 joint christological declaration https://www.vatican.[...]
[54] 웹사이트 How a bishop's murder could change Egypt's Coptic church http://www.middleeas[...] 2020-08-05
[55] 웹사이트 Fr Matta El Meskeen http://www.independe[...] 2020-08-05
[56] 뉴스 Coptic Pope Shenouda III's Death Adds to Fears in Egypt https://www.nytimes.[...] 2012-03-20
[57] 뉴스 Muslim Brotherhood Sweeps Up Over One-Third of Votes in Egyptian Elections http://www.huffingto[...] 2012-03-28
[58] 웹사이트 Politics Stymie Religious Reform in Egypt's Coptic Church https://www.chathamh[...]
[59] 웹사이트 Coptic Church strips alleged paedophile priest of clerical status https://www.thenatio[...] 2020-07-28
[60] 웹사이트 For Coptic Church, changes, questions after priest ouster https://apnews.com/a[...] 2020-10-07
[61]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Coptic-Catholic Friendship day https://www.vaticann[...] 2023-05-11
[62]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63] 웹사이트 Stand, Bow, Prostrate: The Prayerful Body of Coptic Christianity https://www.clarionr[...] The Clarion Review 2013-12-08
[64] 웹사이트 Prayers of the Church https://www.ethiopia[...]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20-07-25
[65] 웹사이트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lls and the church? When and where did the tradition begin? Should bells ring in every church? https://www.sus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2020-08-08
[66] 웹사이트 Did you know Muslims pray in a similar way to some Christians? https://aleteia.org/[...] Aleteia 2017-10-16
[67] 서적 Comparative Christianity: A Student's Guide to a Religion and Its Diverse Traditions Universal-Publishers 2010
[68]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012-11-02
[69] 서적 Judged by the Law of Freedom: A History of the Faith-works Controversy, and a Resolution in the Thought of St. Thomas Aquina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70] 웹사이트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 Q&A https://suscopts.org[...] 2022-10-09
[71] 웹사이트 Why We Face the East https://www.suscopts[...] St Mary and Archangel Michael Church 2020-08-06
[72] 웹사이트 The Meaning of the Great Lent https://www.la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Los Angeles, Southern California, and Hawaii 2009-04-09
[73] 서적 The Coptic Christian Heritage: History, Faith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3
[74] 서적 Christians in Egypt : Orthodox, Catholic and Protestant Communities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75] 서적 Food, Feasts, and Faith: An Encyclopedia of Food Culture in World Religions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4-17
[76] 서적 Introduction to Eastern Christian Liturgie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22-02-05
[77] 웹사이트 Who are Egypt's Coptic Christians? https://edition.cnn.[...] CNN 2017-04-10
[78] 웹사이트 Egypt https://www.state.go[...]
[79] 웹사이트 Copts in Egypt https://minorityrigh[...] 2024-04-29
[80] 웹사이트 Egypt's Sisi meets world Evangelical churches delegation in Cairo – Politics – Egypt – Ahram Online http://english.ahram[...] 2017-12-26
[81] 웹사이트 Egypt's Coptic Bishop Morcos: We need to build 4,000 churches in next 10 years https://english.alar[...] 2017-03-02
[82] 웹사이트 Twenty-Three Million Coptic Christians in Egypt, Says Authority https://www.raymondi[...] 2013-12-11
[83] 뉴스 Egyptian Copts: It's All in the Number http://english.al-ak[...] 2012-09-30
[84] 간행물 How many Christians are there in Egypt? https://www.pewresea[...] 2011-02-16
[85] 간행물 The U.S. Coptic Diaspora and the Limit of Polarization https://core.ac.uk/d[...]
[86] 간행물 General Findings: Coptic Diaspora Survey https://www.research[...]
[87] 서적 Sudan: Conflict and minorities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1995
[88] 간행물 The Copts: Passive Survivors under Threat https://www.hrw.org/[...] 1993-02-10
[89] 웹사이트 Britannica Academic https://academic.eb.[...]
[90] 서적 The Sign and the Seal
[9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11
[92]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9-21
[93] 간행물 6-7世紀中部エジプトにおける宗教対立 https://doi.org/10.5[...] 日本オリエント学会 2011
[94] 문서 岩波キリスト教辞典2002年P404 コプト教会の項目 伊藤恵子
[95] 웹사이트 The Sacrament of Baptism - Coptic Orthodox Church https://www.suscopts[...] 2021-08-05
[96] 웹사이트 Pastoral Agreement between the Coptic Orthodox and Greek Orthodox Patriarchates of Alexandria https://orthodoxjoin[...]
[97] 서적 Religion and the Cold War: A Global Perspectiv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98] 웹사이트 コプト正教会が東京で礼拝、司教が日本の教会指導者にメッセージ 京都で日本初の会堂使用へ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21-08-05
[99] 웹사이트 日本初のコプト正教会開堂式 京都府木津川市で教派超え100人が参列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21-08-05
[100] 웹사이트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会報」2017年7月号 https://www.cbcj.cat[...] 2021-08-05
[101] 웹사이트 コプト正教会最高位・教皇が初めて来日 http://www.chugainip[...] 中外日報 2017年8月29日 2017-09-04
[102] 웹사이트 【速報】 アレキサンドリア教皇タワドロス2世が来日 京都で礼拝と記者会見 http://www.kirishin.[...] キリスト新聞 2019-04-16
[103] 웹사이트 第118代コプト正教会教皇タワドロス2世が初来日  われわれはキリストにあって決して少数派ではない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21-08-05
[104] 웹사이트 【報道発表】河野外務大臣とタワドロス2世・コプト教皇との会談 https://www.mofa.go.[...] 2019-04-16
[105] 웹사이트 St Mary &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Japan(Facebook) https://www.facebook[...] 2021-08-05
[106] 웹사이트 コプト正教会の七つの聖なる秘跡 http://www.japancopt[...] 聖母マリア・聖マルコ日本コプト正教会 2021-08-05
[107] 웹사이트 St Mary &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Japan(Facebook) https://www.facebook[...] 2021-08-05
[108] 웹사이트 聖体礼儀のご案内 http://www.japancopt[...] 聖母マリア・聖マルコ日本コプト正教会 2021-08-05
[109] 뉴스 改宗は長くつらい道のり、エジプトのあるキリスト教徒の苦闘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09-13
[110] 뉴스 教会で自動車爆弾が爆発、21人死亡 エジプト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1-01-01
[111] 뉴스 コプト教会爆破事件、抗議デモが一部暴徒化 エジプト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1-01-03
[112] 문서 4세기 《교회사》 저자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는 서기 41년 또는 43년경인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 재위 제1년 또는 제3년에 성 마르코가 이집트에 왔다고 증언했다. "Two Thousand years of Coptic Christianity" Otto F. A. Meinardus p28.
[113] 웹인용 Early church missionary http://home.att.net/[...] 2018-02-16
[114] 웹인용 The Church of Alexandria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2-03-17
[115] 웹인용 The School of Alexandria – Part I – An Introduction to the School of Alexandria http://www.copticchu[...] Copticchurch.net 2011-01-02
[116] 뉴스 가톨릭 영성과 전통의 재발견(1) 교회에 새 생명 불어넣은 '영성의 샘' http://www.cpbc.co.k[...] 2011-12-04
[117] 웹인용 Split of the Byzantine and Oriental Churches http://www.geocities[...] Webcitation.org 2011-01-02
[118]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http://www.greekorth[...]
[119] 웹인용 Egypt http://berkleycenter[...] 종교·평화·세계 활동을 위한 버클리 센터 2011-12-14
[120] 서적 Coptic Egypt: History and Guid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1997
[12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22] 웹인용 Saint George Coptic Church http://suscopts.org/[...] Suscopts.org 2014-04-03
[123] 웹인용 Egypt https://www.cia.gov/[...] 미국 중앙정보국 (CIA) 2016-03-30
[124] 웹인용 The Copt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in Egypt http://www.washingto[...] 워싱턴 근동정책연구소 2005-10-25
[125] 웹인용 Egypt: Attacks Raise Fear of Religious Discord http://www.ipsnews.n[...] 2006-04-24
[126] 웹사이트 Egypt’s Coptic Bishop Morcos: We need to build 4,000 churches in next 10 years http://english.alara[...] 2018-02-02
[127] 뉴스 Egyptian Copts: It’s All in the Number http://english.al-ak[...] 2012-09-30
[128] 웹인용 Egyptian Copts reject population estimate http://english.ahram[...] 2016-04-05
[129] 웹사이트 The Coptic Orthodox Church in action – Al-Ahram Weekly http://weekly.ahram.[...] 2016-05-06
[130] 웹사이트 'We want our sons back': fears grow for Egyptians missing in Libya https://www.theguard[...] 2015-02-20
[131] 웹사이트 Egypt must help its poor in response to Libya beheadings, economists say http://america.aljaz[...] 2016-05-06
[132] 뉴스 Egyptian Copts: It’s All in the Number http://english.al-ak[...] 2012-09-30
[133] 웹사이트 Egypt's Sisi meets world Evangelical churches delegation in Cairo - Politics - Egypt - Ahram Online http://english.ahram[...] 2017-12-26
[134] 뉴스 EGYPT: Coptic diaspora spreads the word http://latimesblogs.[...] 2008-06-24
[135] 서적 Sudan: Conflict and minorities http://minorityright[...]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1995
[136] 간행물 The Copts: Passive Survivors under Threat https://www.hrw.org/[...] 1993-02-10
[137] 뉴스 Egypt and Libya: A Year of Serious Abuses https://www.hrw.org/[...] hrw.org 2010-01-24
[138] 뉴스 Egypt's Persecuted Christians https://www.wsj.com/[...] 월스트리트 저널 2010-05-18
[139] 뉴스 Egypt’s Cruelty to Christians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스 2016-12-22
[140] 서적 Escalating Violence Against Coptic Women and Girls: Will the New Egypt be More Dangerous than the Old? : Hearing before the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ne Hundred Twelfth Congress, Second Session, July 18, 2012 https://purl.fdlp.go[...]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2-07-18
[141] 웹인용 Masress : Sectarian tensions rise in wake of crime boss death http://www.masress.c[...] 2016-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