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십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십진법은 20을 기수로 사용하는 기수법이다. 20진법은 십진법보다 많은 20개의 기호를 사용하며, 각 자릿수는 2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20진법은 마야 문명, 이누이트 숫자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언어와 수학적 체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20진법은 5진법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특정 언어에서는 20을 나타내는 단어가 다른 10의 배수와 다른 어휘 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수법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수법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이십진법
이십진법
정의밑수가 20인 기수법
기원마야 문명 및 기타 문화권
표현
숫자0부터 19까지의 숫자 사용
표기10: A 또는 a
11: B 또는 b
12: C 또는 c
13: D 또는 d
14: E 또는 e
15: F 또는 f
16: G 또는 g
17: H 또는 h
18: I 또는 i
19: J 또는 j
예시20 (십진법) = 10 (이십진법)
400 (십진법) = 100 (이십진법)
역사 및 문화
마야 숫자마야 문명에서 사용된 이십진법 체계
기타 문화일부 아프리카 언어 및 유럽 언어에서 흔적 발견
활용
프랑스어quatre-vingts (80) (직역: 네 번의 스물)
Vingt et un (21) (직역: 스물 하나)
영어score (20)
아일랜드어fiche (20)
웨일스어hugain (20)

2. 기호

20진법 자릿수 체계에서는 십진법보다 열 개 많은 스무 개의 개별 숫자(또는 자릿수 기호)가 사용된다. 0부터 9까지는 아라비아 숫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10부터 19까지는 A부터 J까지의 로마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는 컴퓨터 과학에서 9보다 큰 16진법 수를 "A–F" 문자로 표기하는 관행과 유사하다.

십진법과 20진법 비교
십진법20진법
00
11
22
33
44
55
66
77
88
99
10A
11B
12C
13D
14E
15F
16G
17H
18I
19J



1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I"를 건너뛰고, I20을 18로, J20을 19로 표기하는 방법도 있다.

2. 1. 숫자

20진법에서 각 자릿수는 2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진수 (10)20은 십진수 20을, (100)20은 십진수 400을 나타낸다.

20진법은 십진법과 마찬가지로 소인수가 25이므로, 4와 5로 나누어떨어진다. 육진법과 20진법은 서로 장단점이 반대이다. 6진법은 2와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만 4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고, 20진법은 4와 5로 나누어떨어지지만 3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20진법은 2의 거듭제곱이 2개이므로, 2의 거듭제곱과 5의 거듭제곱의 차이가 10진법보다 짧다.

20진법의 위치 표기에서는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G, H, I, J의 총 20개의 숫자를 사용하며, 10부터 19까지를 A부터 J까지에 대응시켜 20을 10, 21을 11로 표기한다. B와 8, I와 1이 혼동될 수 있다는 이유로 B나 I를 건너뛰고 11을 C로 표기하거나, 18을 J나 K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숫자가 나타내는 값은 왼쪽으로 한 자리 이동할 때마다 20배가 되고, 오른쪽으로 한 자리 이동할 때마다 1/20이 된다. 예를 들어, (14)₂₀이라는 표기에서 왼쪽의 "1"은 20을 나타내고, 오른쪽의 "4"는 4를 나타내어 합쳐서 "24"를 의미한다. 자릿수 표기는 정수 두 번째 자리는 "20의 자리", 정수 세 번째 자리는 "400의 자리"가 된다.

20진법은 "4 × 5 = 10"이므로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십진법(2 × 5 = 10)과의 친화성이 보인다.

또한, 7 이상의 소수는 일의 자리가 1, 3, 7, 9, B, D, H, J 여덟 개 중 하나, 즉 5와 F를 제외한 홀수가 된다.

수열의 진행 방식
십진법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20진법0123456789ABCDEFGHIJ10



십진법380381382383384385386387388389390391392
20진법J0J1J2J3J4J5J6J7J8J9JAJBJC



십진법393394395396397398399400401402403404405
20진법JDJEJFJGJHJIJJ100101102103104105



20진법 곱셈표
123456789ABCDEFGHIJ10
2468ACEGI10121416181A1C1E1G1I20
369CFI1114171A1D1G1J2225282B2E2H30
48CG1014181C1G2024282C2G3034383C3G40
5AF10151A1F20252A2F30353A3F40454A4F50
6CI141A1G22282E30363C3I444A4G52585E60
7E11181F22292G333A3H444B4I555C5J666D70
8G141C20282G343C40484G545C60686G747C80
9I171G252E333C414A4J585H666F747D828B90
A101A202A303A404A505A606A707A808A909AA0
B121D242F363H484J5A616C737E858G979IA9B0
C141G28303C444G58606C747G88909CA4AGB8C0
D161J2C353I4B545H6A737G89929FA8B1BEC7D0
E18222G3A444I5C66707E88929GAAB4BICCD6E0
F1A25303F4A55606F7A85909FAAB5C0CFDAE5F0
G1C2834404G5C6874808G9CA8B4C0CGDCE8F4G0
H1E2B3845525J6G7D8A97A4B1BICFDCE9F6G3H0
I1G2E3C4A58667482909IAGBECCDAE8F6G4H2I0
J1I2H3G4F5E6D7C8B9AA9B8C7D6E5F4G3H2I1J0
102030405060708090A0B0C0D0E0F0G0H0I0J0100


2. 2. 표기법의 예

20진법 자릿수 체계에서는 십진법보다 열 개 많은 스무 개의 개별 숫자(또는 자릿수 기호)가 사용된다. 추가로 필요한 기호를 찾는 한 가지 현대적인 방법은 10을 문자 A로 표기하고, 19는 J로 표기하며, 그 사이의 숫자들은 알파벳의 해당 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 이는 16진법에서 9보다 큰 수를 "A–F" 문자로 표기하는 컴퓨터 과학 관행과 유사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I20을 18로, J20을 19로 표기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1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I"를 건너뛴 것이다.

십진법20진법
00
11
22
33
44
55
66
77
88
99
10A
11B
12C
13D
14E
15F
16G
17H
18I
19J



이 표기법에 따르면 40은 2 × 201 + 0 × 200으로, 20진법으로는 20(20)으로 표기한다. 260은 13 × 201 + 0 × 200으로, D0(20)으로 표기한다. 400은 1 × 202 + 0 × 201 + 0 × 200으로, 100(20)으로 표기한다.

대수적 무리수십진법이십진법
√2 (단위 정사각형대각선 길이)1.41421356237309...1.85DE37JGF09H6...
√3 (단위 정육면체의 대각선 길이)1.73205080756887...1.ECG82BDDF5617...
√5 (1 × 2 직사각형대각선 길이)2.2360679774997...2.4E8AHAB3JHGIB...
φ ( 황금비 = )1.6180339887498...1.C7458F5BJII95...
초월수십진법이십진법
π (파이, 원주율)3.14159265358979...3.2GCEG9GBHJ9D2...
e (자연로그의 밑)2.7182818284590452...2.E7651H08B0C95...
γ (조화급수와 자연로그의 극한 차 )0.5772156649015328606...0.BAHEA2B19BDIBI...


2. 2. 1. 마야 숫자

마야 숫자는 0, 1, 5, 20을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하여 20진법을 표현한다.

  • 0 = ○
  • 1 = .
  • 5 = -
  • 20 = ./○

2. 2. 2. 괄호 표기법

20진법에서는 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 표기한다. 예를 들어 (1)은 1, (1, 0)은 20을 나타낸다.

20진법 정수 표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20진법 표기10진법 표기계산
(17)20271×201 + 7
(20)20402×201
(2H)20572×201 + 17
(3C)20723×201 + 12
(4F)20954×201 + 15
(74)201447×201 + 4
(88)201688×201 + 8
(DA)2027013×201 + 10
(100)204001×202
(22F)208552×202 + 2×201 + 15
(34F)2012953×202 + 4×201 + 15
(468)2017284×202 + 6×201 + 8
(4J9)2019894×202 + 19×201 + 9
(50G)2020165×202 + 0×201 + 16
(D2A)20525013×202 + 2×201 + 10
(1000)2080001×203
(2340)20172802×203 + 3×202 + 4×201
(2BGG)20207362×203 + 11×202 + 16×201 + 16
(4GHA)20387504×203 + 16×202 + 17×201 + 10
(EBD7)2011666714×203 + 11×202 + 13×201 + 7
(10000)201600001×204


2. 2. 3. 이누이트 숫자

Inuit numerals영어는 매듭 무늬, 세로 쐐기, 가로 쐐기를 사용하여 20진법을 표현한다.

3. 소수

20진법에서 소수는 20의 거듭제곱을 분모로 하는 분수로 표현된다. 20은 2와 5로 나누어지며, 21(3과 7의 곱)과 인접해 있으므로, 많은 20진법 분수는 유한 소수 또는 순환 소수로 간단하게 표현된다.

20진법은 십진법과 마찬가지로 소인수가 25이므로, 분모가 2와 5의 거듭제곱으로만 이루어진 분수는 유한 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2, 1/4, 1/5, 1/8, 1/10, 1/16, 1/20 등은 20진법에서 유한 소수로 표현된다.

반면, 3이나 7과 같이 2나 5 이외의 소인수를 갖는 분수는 순환 소수가 된다. 예를 들어, 1/3은 20진법에서 0.6D...와 같이 두 자리가 반복되는 순환 소수가 된다. 이는 십진법에서 1/3이 0.333...과 같이 한 자리가 반복되는 것보다 복잡하다.

자릿수가 하나씩 이동할 때마다 값이 20배씩 변하므로, 소수 첫째 자리는 1/20의 자리, 소수 둘째 자리는 1/400의 자리, 소수 셋째 자리는 1/8000의 자리가 된다.

20진법 소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0.1)20 = 1/20 (1×20-1)
  • (0.5)20 = 5/20 (5×20-1)
  • (0.G)20 = 16/20 (16×20-1)
  • (0.01)20 = 1/400 (1×20-2)
  • (0.0C)20 = 12/400 (12×20-2)
  • (0.7A)20 = 150/400 (7×20-1 + 10×20-2)
  • (0.CF)20 = 255/400 (12×20-1 + 15×20-2)
  • (0.001)20 = 1/8000 (1×20-3)


십진법과 20진법에서의 분수 표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십진법20진법
분수분모의 소인수위치 표기법위치 표기법분모의 소인수분수
0.50.A
0.3333...0.6D6D...
0.250.5
0.20.4
,0.1666...0.36D6D...,
0.142857...0.2H2H...
0.1250.2A
0.1111...0.248HFB...
,0.10.2,
0.090909...0.1G759...
,0.08333...0.1D6D6...,
0.076923...0.1AF7DGI94C63...
,0.0714285...0.18B...,
,0.0666...0.16D...,
0.06250.15
0.0588235294117647...0.13ABF5HCIG984E27...
,0.0555...0.1248HFB...,
0.052631578947368421...0.1...
,0.050.1,


4. 용도

20진법은 여러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스무 단위로 수를 세는 방식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0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총 개수(5개 × 4곳 = 20개)에서 유래한 것으로, 10진법이 손가락 수에 기인한 것과 유사하다.

20진법은 10진법과 마찬가지로 소인수가 2와 5이지만, 구조는 12진법과 유사하게 "홀수의 4배"이다. 12진법에서 "3의 4배는 10", "4의 3배는 10"인 것처럼, 20진법에서는 "5의 4배는 10", "4의 5배는 10"이 된다. 따라서 20진법은 4의 배수와 5의 배수로 수를 세고, 4등분 및 5등분을 하는 데 모두 적합하다.

20(10(20), 20(10))은 2, 4, 5, 10의 배수이므로, 수를 세는 데 편리하며, 특히 묶음 단위를 구성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20진법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단위 체계에서도 20진법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야드 파운드 법에서 1톤은 20헌드레드웨이트, 1트로이온스는 20페니웨이트, 1파인트는 20액량온스이다. 과거 영국에서는 1파운드가 20실링이었다.

4. 1. 5진-20진법

언어학자들은 그린란드어, 이누피아크어, 카크토빅, 마야 숫자, 누니박 컵익어, 유픽어 숫자 체계와 같이 5부터 20까지 세고, 그 후에는 20단위로 세는 방식을 사용하는 체계를 '5진-20진법'(quinary-vigesimal)이라고 부른다.[1][2]

4. 2. 아프리카

요루바어 등 아프리카의 일부 언어에서는 20진법 체계가 사용된다.[3] 요루바 숫자 체계는 20진법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소 복잡하다.

4. 3. 아메리카

마야 문명과 아즈텍 숫자 체계는 20을 기본으로 사용했다.[3] 마야인들은 20의 거듭제곱에 대해 kalmyn (20), bakmyn (20² = 400), picmyn (20³ = ), calabmyn (20⁴ = ), kinchilmyn (20⁵ = ) 그리고 alaumyn (20⁶ = )와 같은 명칭을 사용했다. 마야 숫자, 마야 달력, 나우아틀어를 참고하라.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누이트-유픽-우낭악 어족)에는 20진법 숫자 체계가 있다.[4] 1994년, 알래스카 카크토빅의 이누이트 학생들은 그들의 언어를 더 잘 나타내기 위해 20진법인 카크토빅 숫자를 고안해냈다. 이누이트 숫자는 이 발명으로 인해 부활하기 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카크토빅 숫자는 다음과 같다.

----------------------------------------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



메소아메리카에서는 20의 거듭제곱수에도 개별적인 수사나 그림 문자가 명명되어 있었다.

메소아메리카 20의 거듭제곱수를 의미하는 수사
십진 표기십진 지수 표기마야 수사나와틀어나와틀어 어근아스테카 그림 문자
1200HunSeCe
20201K'áalSempoualiPohualli
400202BakSentsontliTzontli
8000203PicSenxikipiliXiquipilli
160000204CalabSempoualxikipiliPohualxiquipilli-
320만205KinchilSentsonxikipiliTzonxiquipilli-
6400만206AlauSempoualtzonxikipiliPohualtzonxiquipilli-


4. 4. 아시아


  • 부탄종카어는 20, 400, 8,000, 160,000의 거듭제곱에 대한 숫자를 가진 완전한 20진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1]
  • 인도 메갈라야 주의 남가로 언덕과 방글라데시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통어는 오늘날 고어로 간주되는 완전한 20진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5]
  • 인도의 문다어족 언어인 산탈리어에서 "50"은 "두 20 열"을 뜻하는 ''bār isī gäl''이라는 구절로 표현된다.[6]
  • 인도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문다어인 디데이어에서는 복잡한 숫자가 19까지는 10진법이고 399까지는 10진-20진법이다.[7]
  • 부르샤스키어 숫자 체계는 20진법이다. 예를 들어, 20은 altar, 40은 alto-altar(20의 2배), 60은 iski-altar(20의 3배) 등이다.
  • 동아시아아이누어도 20을 기반으로 하는 계산 체계를 사용한다. hotnepain은 20이고, wanpe etu hotnepain(두 20까지 10 더하기)는 30이며, tu hotnepain(두 20)은 40이고, ashikne hotnepain(20의 다섯 배)는 100이다. 뺄셈도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shinepesanpeain(10까지 1 더하기)는 9이다.
  • 추크치어는 20진법 숫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8]

4. 5. 오세아니아

뉴질랜드마오리어에서도 20진법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투의 일곱 20"이라는 뜻의 전쟁 부대를 가리키는 ''테 호코휘투 아 투''(Te Hokowhitu a Tu)와 "20명과 맞먹는 한 사람"이라는 뜻의 위대한 전사를 가리키는 ''타마-호코타히''(Tama-hokotahi)가 있다.[3]

4. 6. 코카서스

조지아어에서는 20()을 기본 숫자로 사용하여 30부터 99까지의 숫자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31()은 "20과 11"을 의미하고, 67()은 "3(20)과 7"과 같이 표현한다.[3]

나흐어파(체첸어, 잉구시어, 바츠비어)에서도 20(tq’a, ткъа, ტყაce)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4. 7. 유럽

프랑스어에서는 70부터 99까지의 숫자 이름에 20(vingt|방프랑스어)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예를 들어, 80을 뜻하는 프랑스어 quatre-vingts|캬트르 방프랑스어은 문자 그대로 "네-스무"를 의미하며, 96을 뜻하는 quatre-vingt-seize|캬트르 방 세즈프랑스어는 문자 그대로 "네-스무-열여섯"을 의미한다. 그러나 벨기에, 스위스 등에서는 70과 90을 일반적으로 septante|셉탕트프랑스어와 nonante|노낭트프랑스어라고 한다.

덴마크어에서는 50에서 90까지의 십의 자리 수 이름에 20(tyve|튀베da)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예를 들어, tres|트레스da(tresindstyve|트레신스튀베da의 축약형)는 20의 3배, 즉 60을 의미한다.

브르타뉴어에서는 40에서 49까지와 60에서 99까지의 숫자 이름에 20(ugent|위장br)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예를 들어, daou-ugent|다우위장br는 20의 2배, 즉 40을 의미하며, triwec'h ha pevar-ugent|트리웨흐 하 페바르위장br(문자 그대로 "세-여섯 그리고 네-스무")는 3×6 + 4×20, 즉 98을 의미한다.

웨일스어에서는 50(deg a deugain|데그 아 더이가인cy)까지의 숫자와 60부터 100(cant|칸트cy)까지의 숫자에 20(ugain|위가인cy)을 기본 숫자로 사용하지만,[3] 1940년대 이후로는 10진법 계산 시스템이 선호되고 있다. Deugain|더이가인cy은 '스무의 두 배', 즉 40을 의미하고, trigain|트리가인cy은 '스무의 세 배', 즉 60을 의미한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는 전통적으로 20(fichead|피헤드gd)을 기본 숫자로 사용하며,[3] dà fhichead|다 피헤드gd는 40(스무의 두 배), trì fichead|트리 피헤드gd는 60(스무의 세 배) 등이다.

맨섬 게일어에서는 전통적으로 20(feed|페드gv)을 기본 숫자로 사용하며,[3] daeed|데이드gv는 40(스무의 두 배), tree feed|트리 페드gv는 60(스무의 세 배) 등이다.

알바니아어에서는 20(njëzet|녜제트sq)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40을 의미하는 단어(dyzet|뒤제트sq)는 "20의 두 배"를 의미한다.

바스크어에서는 100(ehun|에훈eu)까지의 숫자에 20(hogei|호게이eu)을 기본 숫자로 사용한다.[3] 40(berrogei|베로게이eu), 60(hirurogei|히루로게이eu), 80(laurogei|라우로게이eu)을 의미하는 단어는 각각 "두 스코어", "세 스코어", "네 스코어"를 의미한다.

레시아 방언에서는 20( 또는 )을 기본 숫자로 사용하며,[3] 60은 (3×20), 80은 (4×20)으로 표현한다.

파운드-실링-펜스 통화 제도(1971년 이전 영국에서 사용됨)에서는 1파운드에 20실링이 있었다.[3]

야드-파운드법 무게 단위에서는 1톤에 20헌드레드웨이트가 있다.[3]

영어에서 기수 20의 이름은 가장 일반적으로 'twenty'라는 단어로 표현된다. 'score'로 세는 것은 역사적으로 사용되어 왔다.[3] 예를 들어, 게티스버그 연설의 서두인 "87년 전..."은 87년 전인 1776년에 미국 독립 선언서에 서명한 것을 가리킨다.

5. 소프트웨어 응용

오픈 로케이션 코드는 지오코드에 대해 단어를 피하는 20진법을 사용한다.[1]

6. 관련 사항


  • 10의 배수 중 20은 일부 언어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 * 한국어에서는 30(서른)부터 90(아흔)까지는 접미사 "-흔"이 붙지만, 20은 "스물"이라고 한다. 20세, 30세는 각각 "스물 살", "서른 살"이다.
  • * 스페인어 단어 treinta|트레인타es(30)와 cuarenta|콰렌타es(40)는 "tre(3)+inta|트레(3)+인타es(10배)", "cuar(4)+enta|콰르(4)+엔타es(10배)"로 구성되지만, veinte|베인테es(20)는 현재 "2"를 의미하는 단어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역사적으로는 그렇지만).[16]
  • * 아랍어히브리어와 같은 셈어족 언어에서는 30, 40…90이 3, 4…9에 대한 단어의 형태상 복수형으로 표현되지만, 20은 10에 대한 단어의 형태상 복수형으로 표현된다.
  • * 일본어는 20세(나이)와 한 달의 20일(はつか, hatsuka)에 대해 특별한 단어(はたち, hatachi)를 가지고 있다.
  • 일부 언어(예: 영어, 슬라브어족 언어 및 독일어)에서는 11부터 19까지의 두 자릿수 숫자 이름이 한 단어로 구성되지만, 21부터의 두 자릿수 숫자 이름은 두 단어로 구성된다.
  • * 영어 단어 eleven(11), twelve(12), thirteen(13) 등은 twenty-one(21), twenty-two(22), twenty-three(23) 등과 대조적이다.
  • * 프랑스어에서는 16까지 이것이 사실이다.
  • * 여러 다른 언어(예: 히브리어)에서는 11부터 19까지의 숫자 이름에 두 단어가 포함되지만, 이 단어 중 하나는 특별한 "teen" 형태이며, 10에 대한 단어의 일반적인 형태와 다르며, 사실상 11~19의 숫자 이름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
  • 광둥어[17]우어는 십진법인 (광둥어 ''yìh sàhp'', 상하이어 ''el sah'', 표준 중국어 ''èr shí'', 곧 "이십") 외에도 20에 대해 (광둥어 ''yàh'', 상하이어 ''nyae'' 또는 ''ne'', 표준 중국어 ''niàn'')라는 단일 단위를 자주 사용한다. 30과 40에도 해당하는 단어가 있지만(와 : 표준 중국어 ''sà''와 ''x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크메르어 숫자는 적어도 7세기부터 십진법 위치 기수법 체계를 나타내지만, 고대 크메르어 또는 앙코르 크메르어는 10, 20, 100에 대한 별도의 기호를 가지고 있었다. 20 또는 100의 배수는 문자 위에 추가적인 획을 필요로 했으므로, 47이라는 숫자는 20 기호에 추가적인 위쪽 획을 사용하여 구성되었고, 그 뒤에 7에 대한 기호가 왔다. 이것은 구어체 앙코르 크메르어가 20진법 체계를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 태국어는 20에 대해 ยี่สิบ|이씹th(''yi sip'')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0의 다른 배수는 기본 숫자 뒤에 10에 대한 단어를 붙여 구성한다. 예를 들어, สามสิบ|쌈씹th(''sam sip'')은 30을 의미하며, 문자 그대로 "삼십"을 의미한다. ''yi sip''의 ''yi''는 다른 위치에 있는 숫자 2인 สอง|썽th(''song'')과 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yi sip''은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이다.
  • 라오어는 마찬가지로 10의 배수를 기본 숫자를 10이라는 단어 앞에 놓아서 형성하므로, ສາມສິບ|삼씹la(''sam sip'')은 30을 의미하며, 문자 그대로 "삼십"을 의미한다. 예외는 20이며, 이에 대해 ຊາວ|싸오la(''xao'')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ซาว|싸오la ''sao''는 태국어의 북동부 및 북부 방언에서도 사용되지만, 표준 태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카로슈티 숫자 체계는 부분적인 20진법 체계처럼 작동한다.

참조

[1] 논문 The Quinary-Vigesimal System of Counting in Europe, Asia, and America https://books.google[...] 1926-09-01
[2] 서적 Sherlock Holmes in Babylon: And Other Tales of Mathematical History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4-10-14
[3] 논문 Mathematics of the Yoruba People and of Their Neighbors in Southern Nigeria
[4] 논문 Making the Old Way Count http://www.ankn.uaf.[...] 2017-02-27
[5] 서적 A grammar of Atong Brill
[6] 서적 Numeral Types and Changes Worldwide
[7] 간행물 On Didei nouns, pronouns, numerals, and demonstratives. http://www.ling.hawa[...]
[8] 논문 Typology of numeral systems. Numeral types and changes worldwide. https://mpi-lingweb.[...]
[9] 서적 The origin of the Albanians: linguistically investigated https://books.googl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10] 간행물 Artículos publicados en la 1.ª época de "Euzkadi" : revista de Ciencias, Bellas Artes y Letras de Bilbao por Arana-Goiri'taŕ Sabin'': 1901 http://www.kultura.e[...]
[11] 간행물 Artículos ... http://www.kultura.e[...]
[12] 간행물 Efemérides Vascas y Reforma d ela Numeración Euzkérica Biblioteca de la Gran Enciclopedia Vasca
[13] 논문 Karakteristika slovenskega narečja v Reziji in http://abaoaqu.maldu[...]
[14] 웹사이트 dLib.si - LJUDJE OB TERU VI http://www.dlib.si/d[...] 2022-02-13
[15] 웹사이트 Open Location Code: An Open Source Standard for Addresses, Independent of Building Numbers And Street Names https://github.com/g[...] 2020-08-25
[16] 웹사이트 diachronic view of veinte http://starling.rine[...]
[17] 서적 A Practical Cantonese English Dictionary The Government Printer
[18] 웹사이트 Inadequate Nahuatl Reference Grammar http://weber.ucsd.ed[...] 2007-12-18
[19] 웹사이트 Basque Language Lesson 3 http://basque.unr.ed[...] University of Nevada, Reno 2007-12-18
[20]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8-05-03
[21]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8-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