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오사카 최초의 지하철 노선으로, 에사카역과 나카모즈역을 잇는 총 24.5km의 노선이다. 전 구간 복선으로,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며, 자동 폐색 방식과 WS-ATC 보안 장치를 갖추고 있다. 10량 편성의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4년 3월 23일 개정된 운행 계획에 따라 다양한 운행 계통을 운영한다. 1933년 우메다-신사이바시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 및 개량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2002년부터 여성 전용칸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안전성 확보와 함께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카이시 (오사카부)의 교통 - 한카이 전기 궤도
한카이 전기 궤도는 오사카부의 노면전차를 운영하는 회사로, 1895년 마차 철도 부설 출원을 시작하여 191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한카이선과 우에마치선을 운행하고 2020년 10월 1일 개정된 230엔 균일 운임을 적용한다. - 사카이시 (오사카부)의 교통 - 센보쿠 고속철도선
오사카부의 나카모즈역과 이즈미추오역을 연결하는 14.3km의 센보쿠 고속철도선은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선과 직결 운행하며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2025년 4월 1일에 난카이 전기 철도로 흡수 합병될 예정이다. - 스이타시의 교통 - 쇼자쿠역
쇼자쿠역은 1928년 개업한 오사카부 셋쓰시 소재의 한큐 전철 교토 본선 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시설이 위치하고, 2023년 기준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14,513명이다. - 스이타시의 교통 - 히가시스이타 신호장
죄송합니다. 히가시스이타 신호장에 대한 "개요"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한 문장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은 게이오 전철의 노선으로 도쿄도 시부야역과 무사시노시 기치조지역을 연결하며 17개 역으로 구성, 급행 및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번호 | 1 |
노선 색상 | 연지색 (빨강, 크림슨 레드)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오사카 메트로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주요 지역 | 오사카 |
기점 | 에사카역 |
종점 | 나카모즈역 |
역 수 | 20 |
일일 승객 수 | 1,295,420명 (2015년 일일) |
개통일 | 1933년 5월 20일 |
전체 개통일 | 1987년 4월 18일 |
소유주 | 오사카 메트로 (2018년 - 현재) 오사카시 교통국 (1933년 - 2018년) |
운영자 | 오사카 메트로 |
차량 기지 | 나가이, 나카모즈 |
사용 차량 | 21계 30000계 |
노선 길이 | 24.5 km |
궤도 길이 | 24.5 km |
선로 수 | 복선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기 방식 | 직류 750 V (제3궤조 방식) |
최고 속도 | 70 km/h |
신호 방식 | 자동 폐색 방식 |
열차 보호 장치 | WS-ATC, TASC |
노선도 | |
![]() | |
지리 정보 | |
지상 구간 | 에사카역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역 (- 요도가와 남쪽) 구간 |
강 | 요도강 |
역사 정보 | |
이전 명칭 | 고속 전기 궤도 제1호선, 오사카시 고속 철도 제1호선, 1호선 (미도스지선) |
2. 노선 정보
미도스지선은 궤간 1435mm, 역 수 20개(시종점역 포함)인 복선 철도 노선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한다. 폐색은 자동 폐색 방식이며, 보안 장치로는 WS-ATC가 사용된다. 최고 속도는 70km/h이다. 1996년부터 10량 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며, 2016년 7월 현재 일본에서 제3궤조 방식 전철 중 가장 편성이 길다.[82] 간사이 지방에서 10량 고정 편성이 운용되는 노선은 미도스지선 및 직통 운전 노선인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선뿐이다.[82] 승강장은 최대 10량 편성에 대응할 수 있다.
신사이바시역과 덴노지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2021년까지 모든 역에 설치가 완료되었다.[22] 차내 안내 장치는 100% 설치되어 있다.
혼잡률은 2016년도 기준 에사카·센리추오 방면 135%(난바역→신사이바시역 구간)[83][84], 나카모즈역 방면 147%(우메다역→요도야바시역 구간)이다.[83] 지상 구간은 나카쓰역 북쪽 ~ 에사카역, 에사카역 ~ 센리추오역 남쪽(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이다.
2. 1. 노선 개요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노선 길이 24.5km, 궤간 1435mm, 역 수 20개(시종점역 포함)인 복선 철도 노선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한다. 폐색 방식은 자동 폐색 방식이며, WS-ATC를 보안 장치로 사용한다. 최고 속도는 70km/h이다. 1995년부터 10량 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며, 2023년 5월 현재 일본에서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는 전철 중 가장 편성 길이가 길다.[31] 승강장은 최대 10량 편성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32] 차내 안내 장치는 100% 설치되어 있다.
2020년도 혼잡률은 에사카·센리추오 방면 99%(난바역→신사이바시역 구간), 나카모즈 방면 116%(우메다역→요도야바시역 구간)이다.[40] 지상 구간은 에사카역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역( - 요도가와 남쪽) 구간이다.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실제 거리) | 24.5 km (영업 거리와 동일) |
궤간 | 1435 mm |
역 수 | 20개 (시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직류 750 V·제3궤조 방식)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 방식 |
지상 구간 | 에사카역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역( - 요도가와 남쪽) 구간 |
보안 장치 | WS-ATC |
최고 속도 | 70 km/h |
편성 량수 | 10량 (1995년 - )[31] |
승강장 최대 편성 대응 량수 | 10량 |
스크린도어 설치역 | 전 역[32] |
차내 안내 장치 설치율 | 100% |
혼잡률 (2020년도) | * 에사카·센리추오 방면: 99% (난바역 → 신사이바시역 간)[40] |
2. 2. 운행 형태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기타오사카 급행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일체적인 운행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33] 전 노선을 직통하는 미노오카야노역 - 나카모즈역 간 운행(통칭: 대운전)과 중간역에서 회차하는 신오사카역·나카쓰역 - 덴노지역 간 운행(통칭: 소운전)의 두 가지 운행 계통이 있다. 이 두 계통은 원칙적으로 교대로 운행된다.[33]대운전과 소운전은 각각 아침에는 4분 30초, 낮에는 8분, 저녁에는 5분, 밤에는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대운전과 소운전이 중복되는 신오사카역·나카쓰역 - 덴노지역 간은 그 절반의 운전 간격이 되어, 아침 피크 시간에는 2분 15초, 낮에는 4분, 저녁에는 2분 30초 간격으로 운행된다.[33]
소운전의 운전 구간은 평일 낮과 토요일/휴일의 거의 종일은 신오사카역 발착만 있으며, 나카쓰역 발착은 평일에는 아침/저녁 러시 및 심야에 신오사카역 발착과 교대로, 토요일/휴일은 심야의 몇 편만 설정되어 있다. 아침·저녁·밤에는 신오사카역·나카쓰역 - 신카나오카역·나카모즈역 간의 운전이나, 평일 아침에는 나카쓰역 - 아비코역 간의 운행이 있다. 나카모즈 검차장으로의 입출고는 원칙적으로 나카모즈역에서 회송되지만, 러시 등 나카모즈역에서 회차 시간을 확보할 수 없는 시간대에는 신카나오카역 발착이 설정되어 있다. 그 외, 이른 아침 첫차로 아비코 발 에사카역행, 센리추오역 발 나카모즈행, 첫차와 평일 야간에 덴노지역 발 미노오카야노행이 각 1편, 신카나오카 발 미노오카야노행이 각 1편, 미노오카야노 발 덴노지역행이 아침에 1편과 평일 야간에 2편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점인 에사카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이른 아침에 3편(그 중 첫차인 에사카 발 나카모즈행은 다이코쿠초역에서 회송)과 심야에 1편(덴노지역행) 설정되어 있는 외에, 휴일 다이어 시에만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의 차량에 의해 모모야마다이역에서 회송되어 온 에사카 시발 나카모즈행 열차가 아침에 2편, 저녁에 1편 설정되어 있다. 심야에 나카모즈 발 덴노지역행이 1편 설정되어 있다. 신오사카역 - 덴노지역 간의 왕복 운행 계통은 국내에서는 통칭 "중운전"으로 취급하고 있다.[33]
1970년에 개최된 일본 만국 박람회의 회장 액세스를 위해, 같은 해에 에사카역에서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도자이선(회장선)의 반파쿠추오구치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만박 종료 후 도자이선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직통 운전 구간은 센리추오역까지였지만, 2024년 3월 23일에 난보쿠선이 미노오카야노역까지 연장 개통함에 따라, 상호 직통 운전 구간도 같은 역까지 연장되었다. 운전사와 차장은 에사카역에서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의 사원과 교대한다.[33]
운전 간격은 2024년 3월 23일 개정 시점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기타오사카 급행선 포함)
시간대 | 미노오카야노역 | ⇔ | 신오사카역 | ⇔ | 나카쓰역 | ⇔ | 덴노지역 | ⇔ | 신카나오카역 | ⇔ | 나카모즈역 | |||||
---|---|---|---|---|---|---|---|---|---|---|---|---|---|---|---|---|
평일 | 이른 아침 | 10분 - 20분 | 10분 | |||||||||||||
아침 러시 | 4분 30초 | 2분 15초 - 4분 30초 | 2분 15초 | 2분 15초 - 4분 30초 | 4분 30초 | |||||||||||
낮 | 8분 | 4분 | 8분 | |||||||||||||
저녁 러시 | 5분 | 2분 30초 - 5분 | 2분 30초 | 5분 | ||||||||||||
야간 | 6분 - 8분 | 3분 - 4분 | 6분 - 8분 | |||||||||||||
심야 | 10분 | 5분 | 5분 - 10분 | |||||||||||||
토/휴일 | 이른 아침 | 10분 - 20분 | 10분 | |||||||||||||
아침 러시 | 6분 | 3분 | 6분 | |||||||||||||
낮 | 8분 | 4분 | 8분 | |||||||||||||
저녁 러시 | 6분 | 3분 | 6분 | |||||||||||||
야간 | 7분 - 10분 | 4분 - 5분 | 7분 - 10분 | |||||||||||||
심야 | 10분 | 5분 | 5분 - 10분 |
매년 8월에 개최되는 나니와 요도가와 불꽃 축제에서는 우메다역・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역이 행사 개최 장소와 가장 가까운 역이 되므로, 밤에 나카쓰역 - 아비코역 사이에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나가이 육상 경기장(얀마 스타디움 나가이)에서 이벤트가 개최될 때, 나가이역이 가장 가까운 역이 되며, 덴노지역 발착의 중·소 운전이 아비코역·신카나오카역 발착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있다.
2. 3. 차량
현재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1987년부터 오사카 메트로가 운행하는 모든 미도스지선 차량은 나카모즈 차량기지에 보관 및 유지보수된다. 또한, 해당 차량은 다이코쿠초역 이후에 위치한 분기기를 통해 요츠바시선의 미도리기 차량기지로, 그리고 2014년에 건설된 다이코쿠초역 분기기를 거쳐 혼마치역 인근의 지선으로 연결되어 주오선의 모리노미야 차량기지로도 접근할 수 있다.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의 차량은 주로 직통 열차에만 사용되었고, 지하철 선내만의 운행은 없었지만, 2024년 3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에사카역을 발착하는 지하철 선내 완결 운행이 설정되었으며, 평일 시간표에는 신오사카역 - 덴노지역 간의 셔틀 운행에도 투입되게 되었다.
과거에 미도스지선에서 운행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 오사카 시 교통국
형식 | 운행 기간 |
---|---|
100형(초대) | 1933년 - 1969년 |
200형(초대) | 1935년 - 1969년 |
300형 | 1938년 - 1969년 |
400형 | 1943년 - 1969년 |
500형 | 1949년 - 1969년 |
600형 | 1951년 - 1969년 |
1000형 | 1953년 - 1969년 |
1100형 | 1957년 - 1969년 |
1200형 | 1958년 - 1969년 |
5000형 | 1960년 - 1969년 |
30계 | 1968년 - 1993년 |
10계・10A계 | 1976년 - 2022년 |
형식 | 운행 기간 |
---|---|
7000형・8000형(초대) | 1969년 - 1970년 |
2000형 | 1969년 - 1993년 |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세키 하지메 제7대 오사카 시장에 의해 계획된 오사카 최초의 지하철이자, 일본 최초의 공영 지하철이다.[78] 1933년 우메다역(가)-신사이바시 역 구간이 개통한 이래, 오사카시의 주요 도시 교통 기관이 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우메다 역-요도야바시 역 구간은 일본 지하철에서 가장 이용자가 많은 구간이다.
3. 역사
미도스지선 개업 이전, 오사카에서는 사철과 오사카 시영 전차 노선망이 발달해 있었다. 미도스지선은 남북의 터미널인 우메다역·난바역·덴노지역 외에 오사카시청이 있는 요도야바시나 번화가인 신사이바시 등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오사카 도심부의 대동맥으로 건설되었다. 개업 당시부터 높은 천장, 긴 승강장, 엘리베이터 등을 갖춘 선진적인 노선이었다. 그러나 당시 오사카 시영전차에 비해 요금이 비싸고, 지하로 내려가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친숙하지 않았다. 전쟁 중에는 지하 대피소 역할을 하며 점차 존재감이 커져 시민에게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전후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오사카 시영전차가 폐지되고, 1964년에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의 환승역인 신오사카역이 추가되면서 미도스지선의 중요도는 더욱 커졌다.
시영 몬로주의 완화로, 미도스지선과 접속하지 않았던 사철 노선도 게이한 본선이 1963년 4월에 요도야바시 역까지, 긴테쓰긴테쓰 나라선(난바 선)이 1970년 3월 미도스지선의 역까지 연장되었다.
2018년 기준, 미도스지선은 간사이 5대 사철의 본선·간선 시종착역(한큐·한신의 우메다역, 게이한의 요도야바시 역, 난카이의 난바 역, 긴테쓰 오사카난바 역·오사카아베노바시 역) 모두를 통과한다.
미도스지선의 접근 멜로디는 상하행의 거의 모든 역에서 멜로디가 5번 울리나, 일부 역에서는 잘려 나오기도 한다.
2016년 이후 스크린도어 도입이 검토되어, 2009년부터 조사가 시작되었다.[80] 덴노지 역과 신사이바시 역에는 2015년 3월 1일까지 설치가 완료되었다.[81]
2002년 11월 11일부터는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34][35]
'''주요 연혁'''날짜 내용 1933년 5월 20일 우메다(임시) ~ 신사이바시 구간 개통[8] (단선, 단일 차량 운행) 1935년 10월 6일 우메다(임시) ~ 우메다 구간 연장 개통 (복선 운행 시작) 1935년 10월 30일 신사이바시 ~ 난바 구간 연장 개통[9] (2량 편성 운행 시작) 1938년 4월 21일 난바 ~ 덴노지 구간 연장 개통 (3량 편성 운행 시작) 1945년 3월 13일, 14일 오사카 대공습. 역을 개방하고 피난 열차를 운행하여 시민의 피난을 도움.[52][53] 1951년 12월 20일 덴노지 ~ 쇼와초역 구간 연장 개통 1952년 10월 5일 쇼와초 ~ 니시타나베역 구간 연장 개통 1953년 8월 1일 4량 편성 운행 시작 1957년 4월 1일 5량 편성 운행 시작 1958년 5월 1일 6량 편성 운행 시작 1960년 7월 1일 니시타나베 ~ 아비코역 구간 연장 개통[10] 1963년 6월 1일 8량 편성 운행 시작 1964년 9월 24일 신오사카 ~ 우메다 구간 연장 개통 1968년 8월 29일 30계 전기 동차 운행 시작.[11] 1969년 12월 6일 노선 애칭을 미도스지선으로 결정 1970년 2월 24일 * 에사카 ~ 신오사카 구간 연장 개통 1971년 4월 1일 열차 집중 제어 장치 도입 1975년 5월 8일 노선색 도입 1976년 2월 16일 10계 전기 동차 운행 시작 1987년 4월 18일 아비코 ~ 나카모즈역 구간 개통[12] 1987년 8월 24일 역 개량 완료, 모든 열차를 9량 편성으로 재편성 1991년 5월 14일 21계 전기 동차 운행 시작 1993년 30계 및 기타큐 2000계가 퇴역하면서 모든 열차가 완전 냉방화됨 1995년 12월 9일 10량 편성 열차를 수용하기 위한 역 개량 시작 1996년 9월 1일 역 개량 완료, 모든 열차를 10량 편성으로 재편성 2002년 11월 11일 평일 아침 시간대에 여성 전용 차량 운영[34][35] 2004년 9월 6일 여성 전용 차량을 평일 내내 운영하기로 결정[36][35] 2011년 12월 30000계 전기 동차 운행 시작.[37] 2015년 2월 14일 덴노지역에 최초의 반 높이 스크린도어 설치[14] 2020년 3월 27일 와이파이가 탑재된 30000계 전기 동차 3개 편성 운행 시작[15] 2021년 미도스지선에 열차 자동 정지 제어 장치(TASC) 구현 2022년 3월 5일 미도스지선 스크린도어 개량 공사 완료[16] 2022년 7월 4일 마지막 10계 전기 동차 운행 중단[66]
3.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미도스지선은 오사카시 최초의 지하철이자 일본 최초의 공영 지하철로, 도시계획학자 세키 하지메 제7대 오사카 시장에 의해 계획되었다.[78] 1933년 우메다역(가)-신사이바시역 구간이 개통된 이래 오사카시의 주요 교통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미도스지선 개통 이전 오사카는 주요 사철과 오사카 시영 전차 노선망이 발달해 있었다. 미도스지선은 이러한 상황에서 우메다, 난바, 덴노지역 등 주요 터미널과 오사카 시청이 있는 요도야바시, 번화가인 신사이바시 등을 직선으로 연결하며 오사카 도심의 대동맥으로 부상했다.
개통 당시 미도스지선은 높은 천장, 긴 승강장, 엘리베이터 등 선진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높은 요금과 지하 이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초기에는 오사카 시영 전차에 비해 이용률이 낮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방공호 역할을 하며 시민들에게 점차 친숙해졌다.
전후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오사카 시영 전차가 폐지되고, 1964년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의 환승역인 신오사카역이 추가되면서 미도스지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초기 건설 과정에서는 우메다역 북부의 열악한 토질과 부족한 기술로 인해 토사 붕괴와 누수가 발생하기도 했다.[7] 또한, 최초의 차량은 철도성의 우메다 인근 선로에서 인력과 짐승에 의해 선로로 운반되었다.
미도스지선은 처음에는 단일 차량으로 운행되었지만, 최대 8량의 열차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87년에는 현재의 노선 길이를 완성하여 다니마치선 다음으로 오사카에서 두 번째로 긴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
'''주요 연혁'''
날짜 | 내용 |
---|---|
1933년 5월 20일 | 우메다(임시) ~ 신사이바시 구간 개통[8] (단선, 단일 차량 운행) |
1935년 10월 6일 | 우메다(임시) ~ 우메다 구간 연장 개통 (복선 운행 시작) |
1935년 10월 30일 | 신사이바시 ~ 난바 구간 연장 개통[9] (2량 편성 운행 시작) |
1938년 4월 21일 | 난바 ~ 덴노지 구간 연장 개통 (3량 편성 운행 시작) |
1945년 3월 13일, 14일 | 오사카 대공습. 역을 개방하고 피난 열차를 운행하여 시민의 피난을 도움.[52][53] |
1951년 12월 20일 | 덴노지 ~ 쇼와초역 구간 연장 개통 |
1952년 10월 5일 | 쇼와초 ~ 니시타나베역 구간 연장 개통 |
1960년 7월 1일 | 니시타나베 ~ 아비코역 구간 연장 개통[10] |
1964년 9월 24일 | 신오사카 ~ 우메다 구간 연장 개통 |
1970년 2월 24일 | * 에사카 ~ 신오사카 구간 연장 개통 |
1987년 4월 18일 | 아비코 ~ 나카모즈역 구간 개통 |
3. 2. 전후 확장 및 현대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터리제이션의 발달로 오사카 시영 전차는 점차 폐지되었다. 1964년 9월에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의 환승역인 신오사카역이 개통되면서 미도스지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19]1970년 2월 24일, 에사카역 - 신오사카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고, 신호 방식이 ATC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 선과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7] 1971년 4월 1일에는 열차 집중 제어 장치가 도입되었다.
1987년 4월 18일, 아비코역 - 나카모즈역 구간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12]
1963년에는 난바 - 신사이바시 구간에서 미도스지선 최고 혼잡률 264%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열차 증량과 신형 차량 도입, 스크린도어 설치 등 지속적인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1968년 8월 29일에는 30계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했고,[11] 1976년 2월 16일에는 10계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91년 5월 14일에는 21계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1년 12월에는 30000계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37]
2002년 11월 11일에는 평일 아침 시간대에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고,[34][35] 2004년 9월 6일부터는 평일 내내 운영으로 확대되었다.[36][35]
2015년 2월 14일, 덴노지역에 최초로 반 높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14] 2022년 3월 5일에는 미도스지선 전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16]
2021년에는 미도스지선에 열차 자동 정지 제어 장치(TASC)가 구현되었다.
2022년 7월 4일에는 마지막 10계 전기 동차가 운행을 중단했다.[66]
시영 몬로주의 완화에 따라, 미도스지선과 연결되지 않았던 사철 노선들도 연장되어 연결되었다. 1963년 4월에는 게이한 본선이 덴마바시역에서 요도야바시역까지, 1970년 3월에는 긴테쓰 나라선(난바선)이 우에혼마치역에서 긴테쓰 난바역까지 연장되어 미도스지선과 연결되었다.
3. 3. 여성 전용칸
2002년 11월 11일부터 편성 중간의 6호차가 여성 전용 차량으로 운영되고 있다[34][35] (기타큐슈 전철의 차량도 이에 맞춰 운영된다). 도입 초기에는 평일 운행 시간표의 첫차부터 오전 9시까지였으나, 2004년 9월 6일부터 평일 운행 시간표 전 시간대로 확대되었다[36]. 여성 전용 차량에는 초등학생 이하의 소아, 유아와 그 보호자, 장애인과 그 보호자도 탑승할 수 있다. 또한,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운행 시간표에는 여성 전용 차량이 운영되지 않는다.한편, 21계 일부 편성의 6호차에는 차량 광고가 게시되어 있어, 멀리서도 이 차량이 여성 전용 차량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30000계는 6호차만 다른 호차와 다른 색상의 조명과 내장재가 적용되었다. 기타큐슈 전철의 차량은 스티커만 부착되어 있다.
여성 전용 차량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4. 역 목록
역 번호 | 역 이름 | 일본어 이름 | 역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M11 | 에사카 | 江坂일본어 | - | 0.0 |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 선(직결 운행) | 오사카부 스이타시 | |
M12 | 히가시미쿠니 | 東三国일본어 | 2.0 | 2.0 | 오사카부 오사카시 | 요도가와구 | |
M13 | 신오사카 | 新大阪일본어 | 0.9 | 2.9 |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 | 요도가와구 | |
M14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 | 西中島南方일본어 | 0.7 | 3.6 | 한큐 전철 교토 본선(미나미카타 역) | 요도가와구 | |
M15 | 나카쓰 | 中津일본어 | 1.8 | 5.4 | 기타구 | ||
M16 | 우메다 | 梅田일본어 | 1.0 | 6.4 | 한큐 전철 교토 본선·다카라즈카 본선·고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JR 고베 선)·JR 다카라즈카 선·오사카 순환선(오사카역), JR 도자이 선(기타신치역),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히가시우메다 역),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니시우메다 역) | 기타구 | |
M17 | 요도야바시 | 淀屋橋일본어 | 1.3 | 7.7 |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 | 주오구 | |
M18 | 혼마치 | 本町일본어 | 0.9 | 8.6 | 요쓰바시 선, 주오 선 | ||
M19 | 신사이바시 | 心斎橋일본어 | 1.0 | 9.6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요쓰바시 선(요쓰바시 역) | ||
M20 | 난바 | 難波, なんば일본어 | 0.9 | 10.5 |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요쓰바시 선,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긴키 닛폰 철도 난바 선(오사카난바 역),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JR 난바 역) | ||
M21 | 다이코쿠초 | 大国町일본어 | 1.2 | 11.7 | 요쓰바시 선 | 나니와구 | |
M22 | 동물원 앞 | 動物園前일본어 | 1.2 | 12.9 | 사카이스지 선 | 니시나리구 | |
M23 | 덴노지 | 天王寺일본어 | 1.0 | 13.9 | 오사카 순환선,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한와 선,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 선,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오사카아베노바시 역) | 아베노구 | |
M24 | 쇼와초 | 昭和町일본어 | 1.8 | 15.7 | |||
M25 | 니시타나베 | 西田辺일본어 | 1.3 | 17.0 | |||
M26 | 나가이 | 長居일본어 | 1.3 | 18.3 | 한와 선 | 스미요시구 | |
M27 | 아비코 | 我孫子, あびこ일본어 | 1.2 | 19.5 | |||
M28 | 기타하나다 | 北花田일본어 | 1.9 | 21.4 | 사카이시 기타구 | ||
M29 | 신카나오카 | 新金岡일본어 | 1.6 | 23.0 | |||
M30 | 나카모즈 | 中百舌鳥, なかもず일본어 | 1.5 | 24.5 |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 센보쿠 고속 철도선 |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에서 미도스지선을 거쳐 센보쿠 고속 철도선까지 직결 운행한다. 난바, 아비코, 나카모즈 역은 정식 역명은 한자이지만,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안내된다.[74][75][76]
4. 1. 환승 정보
미도스지선은 다른 노선과 환승이 편리하다. 다음은 주요 환승역과 노선 정보이다.역 번호 | 역 이름 | 접속 노선 |
---|---|---|
M11 | 에사카 |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 선(직결 운행) |
M13 | 신오사카 |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 |
M14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 | 한큐 전철 교토 본선(미나미카타 역) |
M16 | 우메다 | 한큐 전철 교토 본선·다카라즈카 본선·고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JR 고베 선)·JR 다카라즈카 선·오사카 순환선(오사카역), JR 도자이 선(기타신치역),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히가시우메다 역),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니시우메다 역) |
M17 | 요도야바시 |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 |
M18 | 혼마치 | 요쓰바시 선, 주오 선 |
M19 | 신사이바시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요쓰바시 선(요쓰바시 역) |
M20 | 난바 |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요쓰바시 선,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긴키 닛폰 철도 난바 선(오사카난바 역),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JR 난바 역) |
M21 | 다이코쿠초 | 요쓰바시 선 |
M22 | 동물원 앞 | 사카이스지 선 |
M23 | 덴노지 | 오사카 순환선,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한와 선,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 선,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오사카아베노바시 역) |
M26 | 나가이 | 한와 선 |
M30 | 나카모즈 |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 센보쿠 고속 철도선 |
주의 사항:
5. 연선 개황
신오사카역에서 나카모즈역까지 이어지는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오사카시의 주요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이다.
에사카역에서 나카쓰역 전까지는 지상 구간으로, 기타오사카 급행선에서 이어져 신미도스지 (국도 423호선) 중앙부를 달린다. 칸자키강을 건너 오사카시로 들어가 히가시미쿠니역, 신오사카역을 지난다. 신오사카역에서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바로 아래에 승강장이 있으며, 낮 시간대 열차의 절반이 덴노지 방면에서 회차한다.
니시나카지마미나미카타역 바로 앞에서 요도가와를 건너 우측으로 굽어지며 신미도스지와 분기되어 지하로 내려간다. 터널 입구 바로 앞에서 JR 서일본 우메다 화물선과 교차하여 나카쓰역에 이른다.
나카쓰역부터 나카모즈역까지는 지하 구간이다. 우메다역까지는 국도 176호선 (이나로쿠), 우메다역 - 난바역 구간은 미도스지 (국도 176호선, 국도 25호선), 난바역 - 다이코쿠초역 구간은 국도 25호선 (국도 26호선・국도 165호선 중복), 다이코쿠초역 - 덴노지역 구간은 시도 아마가사키히라노선 (국도 43호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도), 덴노지역 - 아비코역 구간은 부도 28호 아비코스지, 아비코역 이남의 사카이시내 구간은 부도 28호 토키하마선의 지하를 달린다.
오사카 제일의 터미널인 우메다역을 출발하면 급커브가 이어지고, 나카노시마와 오사카 시청에서 가장 가까운 요도야바시역, 센바 중심에 센바 센터 빌딩이 있는 혼마치역, 시마노우치의 신사이바시스지 상점가에서 가장 가까운 신사이바시역, 난카이·킨테츠 (나라선)·한신 난바선의 터미널역인 난바역을 지난다. 그 후 요츠바시선과 만나는 다이코쿠초역을 지나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신이마미야역과 신세카이, 오사카 시립 덴노지 동물원에서 가장 가까운 도부츠엔마에역, 미도스지선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역 중 하나인 덴노지역에 이른다. 덴노지역에서는 절반 가까운 열차가 회차한다.
덴노지역에서 다시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쇼와초역, 니시타나베역, J리그 경기와 FIFA (국제 축구 연맹) 주최·주관 국제 경기가 열리는 나가이 육상 경기장 (얀마 스타디움 나가이)과 나가이 구기장 (요도코우 사쿠라 스타디움)이 있는 나가이 공원에서 가장 가까운 나가이역, 아비코역으로 이어진다.
1987년까지는 아비코역이 종점이었으나, 이후 지하선으로 야마토강을 지나 사카이시로 연장되었다. 이온 몰 사카이 기타하나다에서 가장 가까운 기타하나다역, 신카나오카역을 거쳐, 난카이 고야선・센보쿠 고속 철도선과 연결되는 종점 나카모즈역에 도착한다.
6. 이용 현황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신오사카역 - 우메다역 - 난바역 - 덴노지역 등 오사카 시내 주요 역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오사카 시내 교통의 대동맥이자 가장 중요한 노선이다. 우메다역 - 요도야바시역 구간은 일본 지하철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고, 우메다역은 지하철 1개 노선 역으로서는 일본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역이다.[18] Osaka Metro에서 가장 큰 알짜배기 노선이며, 일본 지하철에서 가장 매출액과 흑자액이 큰 노선이기도 하다.
2019년도 1일 평균 수송 인원은 118만 5천 명으로, 도쿄 메트로의 도자이선, 마루노우치선, 지요다선, 히비야선에 이은 제5위였다. 2020년도 1일 평균 수송 인원은 84만 9천 명으로,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마루노우치선, 지요다선에 이은 제4위였다.[18]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선 (기타오사카 급행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어, 미도스지선의 연장 노선으로 기능하고 있다. 신오사카역 이북 및 덴노지역 이남은 주로 주택가가 펼쳐져 있어, 교외와 오사카시 중심부를 잇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
미도스지선은 오사카에서는 처음, 일본에서는 현재 도쿄 메트로 긴자선에 해당하는 도쿄 지하철도에 이어 2번째, 공영으로는 일본 최초의 지하철이었다. 1933년에 오사카 시영 지하철로서 우메다역(가칭) - 신사이바시역 구간이 개업했다.[19]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일본에 존재했던 본격적인 지하철은 미도스지선과 당시 민간(도쿄 지하철도·도쿄 고속 철도)에 의해 건설·운영된 현재의 도쿄 메트로 긴자선뿐이었다. 2018년에 오사카 시영 지하철은 민영화되어,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Osaka Metro)로 인계되었다.
개업 당시부터 선진적인 노선으로, 천장이 높은 아치형의 궁전형 천장과 10량 편성에서도 충분히 정차할 수 있는 긴 홈, 엘리베이터 등이 장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오사카 시전과 비교하면 요금이 비쌌던 점과, 지하로 한 번 내려가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시전과 비교하면 친숙하지는 않았던 듯하다. 전쟁 중, 지하에 피난할 수 있으면 소이탄을 면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점차 존재감이 커져가며, 시민에게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전후, 모터리제이션의 격화로 오사카 시전이 순차적으로 폐지되었고, 1964년 9월에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의 환승역인 신오사카역이 더해지면서, 미도스지선의 중요도는 더욱 증가했다.
1995년에 도쿄 이외의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10량 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다.
2016년도 이후의 도입을 목표로, 스크린도어 (가동식 스크린)의 도입이 검토되었고, 2009년부터 조사가 시작되었다[20]。덴노지역과 신사이바시역에는 2015년 3월 1일까지 설치되었으며[21], 그 외의 역에 대해서는 2021년도까지 전 역에 설치되었다[22]。
2020년 1월 24일에는, 국토교통성과 연계하여 막차를 통상보다 2시간 늦추는 사회 실험을 실시했다[25][26][27]。
6. 1. 연도별 이용객 수
연도 | 수지 상황[39] | 1일 평균 수송 인원: 명 | 특기사항 | ||||||
---|---|---|---|---|---|---|---|---|---|
경상수지: 백만 엔 | 영업수지: 백만 엔 | ||||||||
수익 | 비용 | 수지 차액 | 수익 | 비용 | 수지 차액 | 영업계수 | |||
2000년 | 1,257,000 | ||||||||
2001년 | 757억엔 | 495억엔 | 262억엔 | 1,235,000 | |||||
2002년 | 1,206,000 | ||||||||
2003년 | 1,194,000 | ||||||||
2004년 | 1,189,000 | ||||||||
2005년 | 1,202,752 | ||||||||
2006년 | 751.5억엔 | 381.56억엔 | 369.94억엔 | 1,205,000 | |||||
2007년 | 720.77억엔 | 369.56억엔 | 351.21억엔 | 699.24억엔 | 299.59억엔 | 399.65억엔 | 42.8 | 1,192,075 | |
2008년 | 709.12억엔 | 353.4억엔 | 355.72억엔 | 687.35억엔 | 298.03억엔 | 389.32억엔 | 43.4 | 1,167,917 | 한신 난바선 개통 |
2009년 | 679.21억엔 | 339.12억엔 | 340.09억엔 | 658.55억엔 | 288.56억엔 | 369.99억엔 | 43.8 | 1,122,103 | |
2010년 | 670.32억엔 | 349.92억엔 | 320.4억엔 | 650.06억엔 | 289.78억엔 | 360.28억엔 | 44.6 | 1,104,832 | |
2011년 | 657.78억엔 | 356.74억엔 | 301.04억엔 | 644.64억엔 | 302.77억엔 | 341.87억엔 | 47.0 | 1,094,270 | |
2012년 | 657.46억엔 | 313.51억엔 | 343.95억엔 | 650.85억엔 | 280.38억엔 | 370.47억엔 | 43.1 | 1,108,515 | |
2013년 | 673.47억엔 | 323.07억엔 | 350.4억엔 | 668.38억엔 | 294.21억엔 | 374.17억엔 | 44.0 | 1,129,679 | |
2014년 | 675.29억엔 | 327.95억엔 | 347.34억엔 | 663.91억엔 | 302.39억엔 | 361.52억엔 | 45.5 | 1,135,322 | |
2015년 | 683.48억엔 | 322.67억엔 | 360.81억엔 | 668.43억엔 | 299.33억엔 | 369.1억엔 | 44.8 | 1,157,000 | |
2016년 | 688.24억엔 | 326.64억엔 | 361.6억엔 | 673.2억엔 | 302.4억엔 | 370.8억엔 | 44.9 | 1,157,000 | |
2017년 | 696.74억엔 | 324.99억엔 | 371.75억엔 | 678.54억엔 | 304.66억엔 | 373.88억엔 | 44.9 | 1,178,000 | |
2018년 | 1,205,000 | ||||||||
2019년 | 1,185,000 | ||||||||
2020년 | 849,000 | ||||||||
2021년 | 900,000 | ||||||||
2022년 | 1,062,000 |
2023년도 아침 러시아워 최혼잡 구간은 우메다 → 요도야바시 간이며, 피크 시간대(7시 50분 - 8시 50분)의 혼잡률은 '''132%'''이다[40]。
1960년대는 혼잡률이 260%를 넘는 등, 긴키 지방에서 손꼽히는 혼잡 노선이었지만, 차량 증결이 진행되어 1996년부터는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병행 노선(요쓰바시선, 사카이스지선, 다니마치선)으로 승객이 분산되면서 혼잡도가 완화되었다.
연도 | 최혼잡 구간 수송 실적[40][41] | 특기사항 | |||||||||
---|---|---|---|---|---|---|---|---|---|---|---|
우메다 → 요도야바시 간 | 난바 → 신사이바시 간 | ||||||||||
운전 횟수: 회 | 수송력: 명 | 수송량: 명 | 혼잡률: % | 운전 횟수: 회 | 수송력: 명 | 수송량: 명 | 혼잡률: % | ||||
1957년 | 190 | 210 | 전 열차 5량 편성 운행 | ||||||||
1958년 | 174 | 220 | 전 열차 6량 편성 운행 | ||||||||
1960년 | 184 | 225 | 아비코 연장 개통, 전 열차 7량 편성 운행 | ||||||||
1963년 | 219 | 24 | 23040 | 60720 | 264 | 전 열차가 8량 편성 운행 | |||||
1964년 | 206 | 27 | 25920 | 59913 | 231 | 신오사카 연장 개통 | |||||
1965년 | 요쓰바시선 니시우메다 연장 개통 | ||||||||||
1969년 | 27 | 27972 | 51552 | 184 | 26 | 26936 | 54654 | 203 | 전 열차를 30계로 교체 | ||
1970년 | 221 | 205 | 에사카 연장 개통 | ||||||||
1974년 | 27 | 27972 | 63077 | 226 | 27 | 27972 | 60018 | 215 | |||
1980년 | 222 | 219 | |||||||||
1985년 | 240 | ||||||||||
1987년 | 194 | 208 | 나카모즈 연장 개통, 전 열차가 9량 편성 운행 | ||||||||
1989년 | 27 | 31104 | 63360 | 204 | 29 | 33408 | 71925 | 215 | |||
1990년 | 27 | 31104 | 61446 | 198 | 29 | 33408 | 68742 | 206 | |||
1991년 | 27 | 31104 | 62249 | 200 | 29 | 33408 | 69610 | 208 | |||
1992년 | 27 | 31104 | 62360 | 200 | 29 | 33408 | 69700 | 209 | 사카이스지선 덴가차야 연장 개통 | ||
1993년 | 29 | 33408 | 61450 | 184 | 30 | 34560 | 67510 | 195 | 2분 간격 운행 시간대 확대 | ||
1996년 | 159 | 171 | 전 열차가 10량 편성 운행 | ||||||||
1997년 | 29 | 38700 | 64956 | 168 | |||||||
1998년 | 29 | 39440 | 57019 | 145 | 30 | 40800 | 61365 | 150 | |||
1999년 | 28 | 37410 | 55163 | 147 | 29 | 38700 | 59369 | 153 | |||
2000년 | 28 | 37410 | 55890 | 149 | 29 | 38700 | 60491 | 156 | |||
2001년 | 154 | ||||||||||
2002년 | 153 | ||||||||||
2003년 | 28 | 37410 | 55959 | 150 | 29 | 38700 | 58864 | 152 | |||
2004년 | 152 | ||||||||||
2005년 | 151 | ||||||||||
2006년 | 28 | 37410 | 56601 | 151 | 29 | 38700 | 57160 | 148 | |||
2007년 | 29 | 39440 | 58702 | 149 | 29 | 39440 | 52782 | 134 | |||
2008년 | 29 | 39440 | 58625 | 149 | 29 | 39440 | 51154 | 130 | 한신 난바선 개통 | ||
2009년 | 29 | 39440 | 56899 | 144 | 29 | 39440 | 46997 | 119 | |||
2010년 | 28 | 38080 | 54590 | 143 | 29 | 39440 | 45921 | 116 | |||
2011년 | 28 | 38080 | 55166 | 145 | 29 | 39440 | 46210 | 117 | |||
2012년 | 28 | 38080 | 53203 | 140 | 29 | 39440 | 45019 | 114 | |||
2013년 | 29 | 39440 | 53374 | 135 | 29 | 39440 | 46265 | 117 | |||
2014년 | 28 | 38080 | 53964 | 142 | 29 | 39440 | 46674 | 118 | |||
2015년 | 27 | 36720 | 54945 | 150 | 25 | 34000 | 45987 | 135 | |||
2016년 | 27 | 36720 | 54065 | 147 | 25 | 34000 | 45855 | 135 | |||
2017년 | 27 | 36990 | 53866 | 146 | 25 | 34250 | 45923 | 134 | |||
2018년 | 27 | 36990 | 55850 | 151 | 26 | 35620 | 46814 | 131 | |||
2019년 | 27 | 36990 | 54595 | 148 | 26 | 35620 | 46335 | 130 | |||
2020년 | 27 | 36990 | 43044 | 116 | 26 | 35620 | 35156 | 99 | |||
2021년 | 27 | 36990 | 43473 | 118 | 26 | 35620 | 35716 | 100 | |||
2022년 | 27 | 36990 | 45410 | 123 | 26 | 35620 | 37284 | 105 | |||
2023년 | 27 | 36990 | 48764 | 132 | 26 | 35620 | 40362 | 113 |
6. 2. 혼잡도 변화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오사카 시내 주요 역들을 연결하며 오사카 교통의 핵심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1960년대에는 혼잡률이 260%를 넘을 정도로 매우 혼잡했지만, 차량 증결 및 병행 노선 (요쓰바시선, 사카이스지선, 다니마치선)으로의 승객 분산으로 혼잡도가 완화되었다.1996년부터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아침 러시아워 최혼잡 구간(우메다 → 요도야바시 간)의 혼잡률은 132%이다.[40]
다음은 연도별 1일 평균 수송 인원과 최혼잡 구간(우메다→요도야바시) 혼잡률을 나타낸 표이다.
연도 | 1일 평균 수송 인원 (명) | 최혼잡 구간 혼잡률 (%) | 비고 |
---|---|---|---|
1957년 | 190 | 전 열차 5량 편성 운행 | |
1958년 | 174 | 전 열차 6량 편성 운행 | |
1960년 | 184 | 아비코 연장 개통, 전 열차 7량 편성 운행 | |
1963년 | 219 | 전 열차 8량 편성 운행 | |
1964년 | 206 | 신오사카 연장 개통 | |
1969년 | 184 | 전 열차를 30계로 교체 | |
1970년 | 221 | 에사카 연장 개통 | |
1974년 | 226 | ||
1980년 | 222 | ||
1987년 | 194 | 나카모즈 연장 개통, 전 열차가 9량 편성 운행 | |
1989년 | 204 | ||
1990년 | 198 | ||
1991년 | 200 | ||
1992년 | 200 | 사카이스지선 덴가차야역 연장 개통 | |
1993년 | 184 | 2분 간격 운행 시간대 확대 | |
1996년 | 159 | 전 열차가 10량 편성 운행 | |
1998년 | 145 | ||
1999년 | 147 | ||
2000년 | 1,257,000 | 149 | |
2001년 | 1,235,000 | ||
2002년 | 1,206,000 | ||
2003년 | 1,194,000 | 150 | |
2004년 | 1,189,000 | ||
2005년 | 1,202,752 | ||
2006년 | 1,205,000 | 151 | |
2007년 | 1,192,075 | 149 | |
2008년 | 1,167,917 | 149 | 한신 난바선 개통 |
2009년 | 1,122,103 | 144 | |
2010년 | 1,104,832 | 143 | |
2011년 | 1,094,270 | 145 | |
2012년 | 1,108,515 | 140 | |
2013년 | 1,129,679 | 135 | |
2014년 | 1,135,322 | 142 | |
2015년 | 1,157,000 | 150 | |
2016년 | 1,157,000 | 147 | |
2017년 | 1,178,000 | 146 | |
2018년 | 1,205,000 | 151 | |
2019년 | 1,185,000 | 148 | |
2020년 | 849,000 | 116 | |
2021년 | 900,000 | 118 | |
2022년 | 1,062,000 | 123 | |
2023년 | 132 |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크게 감소하여 혼잡률이 116%까지 낮아졌으나, 2023년에는 다시 132%로 증가하였다.[40]
6. 3. 수익성 분석
미도스지선은 민영화 이전 일본의 공영 지하철 중 흑자액이 가장 큰 알짜배기 노선이었다. 2015년도 결산에서 경상수지는 약 361억엔의 흑자, 영업수지는 약 369억엔의 흑자, 영업계수는 44.8로, 오사카시영 지하철(당시) 수입의 4할 이상을 차지했다.[39]2014년도 1일 평균 수송 인원은 1,135,322명으로, 2위인 타니마치선(501,598명)의 2배 이상이었다. 이는 오사카시영 지하철뿐만 아니라 일본의 공영 지하철 중에서도 가장 많았으며, 민영 지하철인 도쿄 메트로를 포함해도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다음이었다.
영업계수는 일본의 공영 지하철에서는 1위인 나고야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을 크게 웃돌며 도쿄 메트로 노선을 포함해도 미도스지선이 다른 노선을 크게 따돌리고 있으며, 나고야시영 지하철의 히가시야마선이나 도쿄 지하철에서 영업계수가 가장 좋은 도자이선이 2위를 다투는 상황이다. 미도스지선의 영업계수는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도카이도 신칸센이나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야마노테선 등과 함께 일본 철도 업계에서도 최상위권이다.[39]
연도 | 경상수지 (백만 엔) | 영업수지 (백만 엔) | 영업계수 | 1일 평균 수송 인원 (명) |
---|---|---|---|---|
2001년 | 495억엔 | 1,235,000 | ||
2006년 | 381.56억엔 | 369.94억엔 | 1,205,000 | |
2007년 | 369.56억엔 | 399.65억엔 | 42.8 | 1,192,075 |
2008년 | 353.4억엔 | 389.32억엔 | 43.4 | 1,167,917 |
2009년 | 339.12억엔 | 369.99억엔 | 43.8 | 1,122,103 |
2010년 | 349.92억엔 | 360.28억엔 | 44.6 | 1,104,832 |
2011년 | 356.74억엔 | 341.87억엔 | 47.0 | 1,094,270 |
2012년 | 313.51억엔 | 370.47억엔 | 43.1 | 1,108,515 |
2013년 | 323.07억엔 | 374.17억엔 | 44.0 | 1,129,679 |
2014년 | 327.95억엔 | 361.52억엔 | 45.5 | 1,135,322 |
2015년 | 322.67억엔 | 369.1억엔 | 44.8 | 1,157,000 |
2016년 | 326.64억엔 | 370.8억엔 | 44.9 | 1,157,000 |
2017년 | 324.99억엔 | 373.88억엔 | 44.9 | 1,178,000 |
2023년도 아침 러시아워 최혼잡 구간은 우메다 → 요도야바시 간이며, 피크 시간대(7시 50분 - 8시 50분)의 혼잡률은 '''132%'''이다.[40]
1960년대는 혼잡률이 260%를 넘는 등, 긴키 지방 굴지의 악명 높은 혼잡 노선이었지만, 차량 증결이 진행되어 1996년부터는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병행 노선(요쓰바시선, 사카이스지선, 타니마치선)으로의 전환이 진행되면서 혼잡 완화가 이루어졌다. 그래도 혼잡 노선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으며, 특히 센리추오 발 나카모즈 행은 매우 혼잡하다. 열차 운행이 지연될 경우에는 역무원에 의한 밀어넣기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연도 | 최혼잡 구간 | 운행 횟수 (회) | 수송력 (명) | 수송량 (명) | 혼잡률 (%) |
---|---|---|---|---|---|
1963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19 | |||
난바 → 신사이바시 | 24 | 23,040 | 60,720 | 264 | |
1969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7 | 27,972 | 51,552 | 184 |
난바 → 신사이바시 | 26 | 26,936 | 54,654 | 203 | |
1974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7 | 27,972 | 63,077 | 226 |
난바 → 신사이바시 | 27 | 27,972 | 60,018 | 215 | |
1989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7 | 31,104 | 63,360 | 204 |
난바 → 신사이바시 | 29 | 33,408 | 71,925 | 215 | |
1993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9 | 33,408 | 61,450 | 184 |
난바 → 신사이바시 | 30 | 34,560 | 67,510 | 195 | |
2003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8 | 37,410 | 55,959 | 150 |
난바 → 신사이바시 | 29 | 38,700 | 58,864 | 152 | |
2009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9 | 39,440 | 56,899 | 144 |
난바 → 신사이바시 | 29 | 39,440 | 46,997 | 119 | |
2015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7 | 36,720 | 54,945 | 150 |
난바 → 신사이바시 | 25 | 34,000 | 45,987 | 135 | |
2023년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27 | 36,990 | 48,764 | 132 |
난바 → 신사이바시 | 26 | 35,620 | 40,362 | 113 |
7. 건설 당시의 일화
미도스지선은 오사카에서 처음이자 일본에서는 현재 도쿄 메트로 긴자선에 해당하는 도쿄 지하철도에 이어 2번째, 공영으로는 일본 최초의 지하철이었다. 사카이스지를 대신하는 명물 거리로서 미도스지를 확장·정비하는 계획과 함께 도시 계획학자 관 일 제7대 오사카 시장에 의해 계획되어[19], 1933년에 오사카 시영 지하철로서 우메다역(가칭) - 신사이바시역 구간이 개업했다.
개업 당시부터 선진적인 노선으로, 천장이 높은 아치형의 궁전형 천장과 10량 편성에서도 충분히 정차할 수 있는 긴 홈, 엘리베이터 등이 갖춰져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오사카 시전에 비해 요금이 비쌌고, 지하로 한 번 내려가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시전에 비해 익숙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전쟁 중, 지하에 피난하면 소이탄을 피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점차 존재감이 커져 시민들에게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미도스지선은 쇼와 초기 불황 속에 착공하여 실업 대책 및 경기 대책으로 작업원에 가능한 한 많은 실업자를 고용하고, 터널 굴착 등도 최대한 인력으로 작업하는 방침을 채택했다. 그러나 혹독한 육체노동 때문에 채용된 노동자가 정착하지 못해[42] 공정 관리상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우메다역 부근의 지질이 매우 나빴고, 당시의 토목 기술이 미숙했기 때문에 우메다역 건설 시 붕괴 사고나 요도야바시역 북쪽 누수로 인한 붕괴 사고 등 대규모 사고가 발생했다. 게다가 연선 빌딩이 몇 채 기울거나 침하되어 소유주로부터 막대한 보상금을 요구받았다. 토사보리강, 나가호리강, 도톤보리강 등 운하가 기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막지 않고 건설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등 상당히 어려운 공사였다고 한다.[44][43] 그러나 이러한 난공사가 결과적으로 일본 토목 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44]
1933년 개업 구간 건설 당시에는 트레일러 크레인이 없었기 때문에 제조된 차량은 우메다역 (화물)에서 인력 또는 소에 의해 견인되어, 미도스지의 히라노마치 3교차점 부근(요도야바시 - 혼마치 간)에 뚫린 반입구에서 천천히 내려져 반입되었다.
개업 초기 미도스지선은 1량 편성으로 운행했지만, 당시부터 모든 역 홈이 미래를 예상하여 17m급 차량 8량 편성에 대응하도록 건설되었다. 당초에는 17m급 차량 12량 편성 대응으로 건설이 진행되었지만, 지나친 과잉 투자라는 비판에 따라 전후 개업한 나카쓰 이북 및 다이코쿠초역 이남은 8량 편성 대응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터널 단면적은 천지 방향으로 여유를 두고 결정되었다. 이는 후의 냉방화 시 넓은 터널 단면이 큰 공헌을 했다.
최초로 개업한 우메다역 - 신사이바시역 각 역 홈은 돔 모양의 높은 천장과 샹들리에풍 형광등 조명을 갖추고 있다.[46]
8.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
2018년부터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으로, 오사카 메트로는 미도스지선의 노후화된 역 시설을 개선하고 디자인을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했다.[67] 이는 역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85]
리모델링 대상은 미도스지선의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 신사이바시역, 다이코쿠초역 - 덴노지역 구간의 총 9개 역이었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우메다역, 신사이바시역, 동물원 앞역의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67][68]
2018년 12월 20일에 첫 번째 디자인 안이 발표되었지만,[69] 디자인의 기발함 때문에 비판이 잇따랐다.[70][71] 이에 2019년 8월 29일, 신사이바시역, 우메다역 등 5개 역의 최종 디자인 안을 발표했다.[70][72]
8. 1. 리뉴얼 배경
역이 노후화되어 벽과 천장의 안전을 위한 공사를 하면서,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대규모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85]2018년부터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낡은 역의 벽과 천장이 벗겨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막는 공사와 함께 역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다.[67] 리모델링 대상은 미도스지선의 신오사카역, 나카쓰역부터 신사이바시역 사이, 다이코쿠초역부터 덴노지역까지 총 9개 역이며, 2024년 3월 현재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우메다역, 신사이바시역, 동물원 앞역의 리모델링이 끝났다.[67][68]





2018년 12월 20일에 처음으로 디자인 안이 발표되었지만,[69] 디자인이 너무 튀어서 비판이 많았다.[70][71] 그래서 2019년 8월 29일에 신사이바시역, 우메다역 등 5개 역의 최종 디자인 안을 다시 발표했다.[70][72]
8. 2. 리뉴얼 대상 역
역 노후화된 벽과 천장을 안전하게 보수하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대규모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85]리뉴얼 대상은 미도스지선의 신오사카역, 나카쓰역~신사이바시역, 다이코쿠초역~덴노지역이며, 현재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우메다역, 신사이바시역, 도부쓰엔마에역이 완료되었다.[85][86]




2018년부터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의 일환으로, 노후화된 역의 벽과 천장 박리 및 낙하 방지 대책 등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67] 2024년 3월 현재, 미도스지선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 신사이바시역, 다이코쿠초역 - 덴노지역 구간의 총 9개 역 중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우메다역, 신사이바시역, 도부쓰엔마에역의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67][68]
2018년 12월 20일 첫 디자인 안이 발표되었으나,[69] 지나치게 기발하다는 이유로 비판이 잇따랐다.[70][71] 이에 2019년 8월 29일, 신사이바시역, 우메다역 등 5개 역의 최종 디자인 안이 발표되었다.[70][72]


8. 3. 디자인 변경 논란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역 노후화에 따른 안전 확보를 위한 공사 과정에서, 역 자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대규모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85]리뉴얼 대상은 미도스지선의 신오사카역, 나카쓰역~신사이바시역, 오구니마치역~텐노지역이며, 2024년 3월 기준으로 신오사카역, 나카쓰역, 우메다역, 신사이바시역, 동물원 앞역의 리뉴얼 공사가 완료되었다.[85][86][67][68]
2018년부터 "지하 공간의 대규모 개혁"의 일환으로, 노후화된 역의 벽과 천장 박리 및 낙하 방지 대책 등 안전성 확보와 함께 역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7]
그러나 2018년 12월 20일에 발표된 첫 번째 디자인 안은[69] 지나치게 기발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고,[70][71] 2019년 8월 29일에 신사이바시역, 우메다역 등 5개 역의 최종 디자인 안이 다시 발표되었다.[70][72]
9. 관련 상품
온가쿠칸에서 미도스지선의 나카모즈역에서 호쿠오사카 급행 전철 센리추오역까지의 전 구간을 게임화한 PlayStation 2용 DVD-ROM 소프트웨어를 발매하였다. 이 소프트웨어에서는 10계, 21계, 호쿠오사카 급행 8000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시리즈 중 유일하게 야간 운전이 가능하다.[77] 차내 방송은 역 번호 제도 도입 이전의 것이지만, 주행 중에는 실제처럼 방송이 나온다. 다이어에 따라 나카모즈역 및 센리추오역의 발착 번선과 덴노지역, 난바역, 우메다역 등 주요 역의 구내 안내 방송이 바뀌는 점도 특징이다. 지하 구간 (신오사카역 - 나카쓰역 간) 영상은 어떤 다이어를 선택하든 동일한 영상이 사용된다. 2008년 현재, 이 소프트웨어는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일반 판매되지 않으며, 오사카시 교통국 및 호쿠오사카 급행 전철에서 직접 구매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7年 大都市交通センサス 近畿圏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8-09-28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1-01-12
[3]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実業之日本社
[4]
웹사이트
可動式ホーム柵の設置状況
https://subway.osaka[...]
2021-12-01
[5]
웹사이트
大阪市交御堂筋線用30000系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7-25
[6]
웹사이트
北大阪急行9000形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7-25
[7]
서적
大阪市交通局七十五年史
大阪市交通局
[8]
간행물
公営地下鉄在籍車数ビッグ3 大阪市交通局 (One of the big three public subway operators: Osaka Municipal Subway)
2009-04
[9]
웹사이트
官報. 1935年10月28日
https://dl.ndl.go.jp[...]
2021-12-01
[10]
뉴스
れとろ探訪:地下鉄長居駅
2014-07-24
[11]
서적
大阪市交通局百年史
大阪市交通局
[12]
학술지
鉄道ジャーナル
1987-07
[13]
뉴스
12日からダイヤ改正
1987-04-08
[14]
웹사이트
大阪市交通局|可動式ホーム柵
https://warp.da.ndl.[...]
[15]
웹사이트
Osaka Metroの車内で無料Wi-Fiをご利用いただけます~御堂筋線の3列車から順次導入~|Osaka Metro
https://subway.osaka[...]
[16]
웹사이트
御堂筋線なんば駅の可動式ホーム柵の運用開始について|Osaka Metro
https://subway.osaka[...]
[17]
문서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 小佐野カゲトシ
[18]
PDF
『令和3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地下鉄事業者一日当たり路線別平均輸送人員の推移・大手民鉄事業者一日当たり平均輸送人員の推移(令和3年4月1日現在)
http://jametro.or.jp[...]
日本地下鉄協会
[19]
뉴스
思い出そう大阪 関一市長と企業家精神 論説委員長 芹川洋一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05-18
[20]
뉴스
大阪・御堂筋線、駅に転落防止柵 事故多数、市が調査費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09-01-15
[21]
웹사이트
大阪市交通局|可動式ホーム柵
www.kotsu.city.osaka[...]
2018-02-10
[22]
웹사이트
Osaka Metro Group 2018ー2025年度 中期経営計画
https://subway.osaka[...]
Osaka Metro
2020-02-22
[23]
문서
차량의 도어를 닫고 나서 홈 도어를 닫습니다.
[24]
문서
홈 도어가 전역에서 설치되어 있는 노선에서는, 전역 설치 후에 원맨 운전도 도입되는 노선이 많지만, 미도스지선은 이용자가 많은 것이나, 열차 자체가 10량 편성이라고 지하철로서는 길기 때문에, 원맨 운전의 본격적인 도입은 보류되고 있다.
[25]
웹사이트
Osaka Metro御堂筋線における終電延長の実証実験を実施します!~ナイトタイムエコノミーに対応した交通サービスの推進~
https://subway.osaka[...]
大阪市高速電気軌道
2019-12-26
[26]
웹사이트
Osaka Metro御堂筋線における終電延長の実証実験を実施します!~ナイトタイムエコノミーに対応した交通サービスの推進~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2-26
[27]
웹사이트
国交省、Osaka Metro 御堂筋線で終電を約2時間延長する実証実験。夜間の消費や人口流動など動向調査
https://travel.watch[...]
トラベル Watch
2019-12-26
[28]
웹사이트
2月21日実施のOsaka Metro御堂筋線における終電延長の実証実験を中止します
https://subway.osaka[...]
大阪市高速電気軌道
2020-02-20
[29]
웹사이트
大阪メトロ御堂筋線の終電延長実験、2月21日は中止に…2月の深夜帯利用者数が「顕著に減少」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20-02-20
[30]
뉴스
終電延長実験2回目を中止 大阪メトロ、新型肺炎で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2-20
[31]
문서
신칸센을 제외한다. JR 서일본의 재래선・한큐・한신・긴테쓰라고 하는, 간사이권에서 10량 편성 이상의 열차를 운행하고 있는 다른 노선에서는, 복수의 편성을 조합해 10량 이상으로 조제하고 있다.
[32]
웹사이트
可動式ホーム柵の設置状況
https://subway.osaka[...]
2022-03-14
[33]
문서
1990년 3월말까지 낮의 소운전은 통상 나카쓰역 - 덴노지역간의 왕복 운전이었던 것과, 현재도 러쉬시나 토휴일의 일부 시간대에 대운전과의 사이에 나카쓰 되돌아오기 계통과 교대로(대 - 중 - 대 - 소 - 대…의 패턴)에 운전되는 시간대가 남아 있기 때문에.
[34]
보도자료
地下鉄御堂筋線に 「女性専用車両」 を導入します。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23-11-23
[35]
웹사이트
女性専用車両の車両位置はどのように決めたのですか?
http://faq.kotsu.cit[...]
2013-04-23
[36]
보도자료
地下鉄御堂筋線における女性専用車両の導入時間帯を終日に拡大します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23-11-23
[37]
WAP
大阪市 交通局 【報道発表資料】12月10日、地下鉄御堂筋線に新型車両「30000系」がデビューします
www.city.osaka.lg.jp[...]
2012-02-15
[38]
Wayback
新型車両 9000形を平成26年春より導入します。〜「やすらぎ」と「省エネルギー」を追求〜(北大阪急行電鉄)
http://www.hankyu-ha[...]
2014-07-22
[39]
WAP
大阪市交通局|地下鉄 路線別収支
www.kotsu.city.osaka[...]
2018-02-10
[40]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41]
문서
「都市交通年報」各年度版
[42]
문서
[43]
문서
[44]
서적
大阪市交通局七十五年史
大阪市交通局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逓信省告示第2805号"
NDLDC|2959126/4
官報
1935-10-28
[51]
문서
"逓信省告示第1210号"
NDLDC|2959876/5
官報
1938-04-18
[52]
문서
[53]
Wayback
スペシャル|NHK連続テレビ小説「ごちそうさん」
http://www1.nhk.or.j[...]
2014-03-09
[54]
뉴스
れとろ探訪:地下鉄長居駅
毎日新聞社
2014-07-24
[55]
문서
大阪市交通局百年史
大阪市交通局
2005
[56]
간행물
6月のメモ帳
電気車研究会
1979-09-01
[57]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87-07
[58]
뉴스
12日からダイヤ改正
交通協力会
1987-04-08
[59]
문서
[60]
Wayback
新型車両9000形「POLESTARⅡ」営業運転開始および記念式典について
http://www.kita-kyu.[...]
2014-03-27
[61]
WAP
大阪市交通局|地下鉄御堂筋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
www.kotsu.city.osaka[...]
2015-02-14
[62]
Wayback
大阪市交通局|御堂筋線・中央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
http://www.kotsu.cit[...]
2018-02-16
[63]
Youtube
「Metro News」vol.27 Osaka Metroの車内で無料Wi-Fiが利用可能に!
https://www.youtube.[...]
2020-05-09
[64]
웹사이트
Osaka Metroの車内で無料Wi-Fiをご利用いただけます~御堂筋線の3列車から順次導入~|Osaka Metro
https://subway.osaka[...]
2020-05-09
[65]
보도자료
御堂筋線なんば駅の可動式ホーム柵の運用開始について
https://subway.osaka[...]
大阪市高速電気軌道
2022-03-14
[66]
보도자료
ありがとう10系! 御堂筋線で活躍した10系車両が引退しました
https://subway.osaka[...]
Osaka Metro
2022-07-05
[67]
웹사이트
ワクワクする魅力的な駅へ ~ Osaka Metro 地下空間の大規模改革 ~|Osaka Metro
https://subway.osaka[...]
2024-03-17
[68]
문서
[69]
웹사이트
「大阪メトロ」中央線夢洲延伸に参画、新型車両・駅リニューアルも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8-12-20
[70]
웹사이트
大阪メトロ、心斎橋駅の新デザインを発表
https://www.lmaga.jp[...]
京阪神エルマガジン社
2019-08-29
[71]
뉴스
「悪趣味だ」の反対署名に大阪メトロが釈明 15地下鉄駅の大規模改装案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8-12-28
[72]
웹사이트
大阪メトロ、御堂筋線心斎橋駅、梅田駅など5駅のリニューアルデザイン決定
https://travel.watch[...]
インプレス
2024-03-18
[73]
문서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뉴스
思い出そう大阪 関一市長と企業家精神 論説委員長 芹川洋一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5-05-18
[79]
문서
[80]
뉴스
大阪・御堂筋線、駅に転落防止柵 事故多数、市が調査費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09-01-15
[81]
웹사이트
御堂筋線 心斎橋駅・天王寺駅に可動式ホーム柵の設置が完了しました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17-08-13
[82]
문서
[83]
웹인용
混雑率データ(平成29年度)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8-07-17
[84]
문서
[85]
웹인용
ワクワクする魅力的な駅へ ~ Osaka Metro 地下空間の大規模改革 ~|Osaka Metro
https://subway.osaka[...]
2024-03-17
[8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