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접 흡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접흡연은 타인이 피우는 담배 연기에 노출되는 것으로, 1930년대 독일어 출판물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간접흡연은 심혈관 질환, 폐암,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특히 어린이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간접흡연이 인체에 발암성이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간접흡연에 존재하는 약 70가지 화학물질이 발암성이 있다고 보고한다.

간접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합의가 이루어져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주요 의학 및 과학 기관에서 그 위험성을 인정하고 있다. 많은 국가 및 지방 정부는 실내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는 금연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금연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담배 회사들은 간접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를 지원하는 등 간접흡연 규제를 막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흡연 - 금연
    금연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흡연을 금지하는 조치로, 전 세계적인 실내 흡연 금지 법률 제정, 화재 예방, 시설물 청결 유지 등의 이유로 시행되며, 개인의 자유 침해 논쟁 속에서 지속적인 정책 검토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흡연 - 흡연실
    흡연실은 흡연을 위해 마련된 별도의 공간으로, 의자, 재떨이, 환기 시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공공장소 흡연 금지 정책으로 인해 설치가 제한되기도 한다.
  • 대기 오염 - 질소 산화물
    질소 산화물은 질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주로 일산화 질소와 이산화 질소를 지칭하며, 고온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여 대기 환경 오염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아산화 질소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알려져 질소 산화물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 대기 오염 - 먼지
    먼지는 0.001~1000μm 크기의 다양한 고체 입자로, 총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나뉘며 무기, 유기, 혼합분진으로 분류되고, 발생원에 따라 건강과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집먼지진드기, 우주 먼지 등도 포함된다.
  • 건강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건강 - 금연
    금연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흡연을 금지하는 조치로, 전 세계적인 실내 흡연 금지 법률 제정, 화재 예방, 시설물 청결 유지 등의 이유로 시행되며, 개인의 자유 침해 논쟁 속에서 지속적인 정책 검토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접 흡연
개요
정의간접 흡연은 흡연자가 내뿜는 연기와 담배 끝에서 나오는 연기를 비흡연자가 들이마시는 것을 의미함.
기타 명칭이차 흡연
환경 담배 연기 (ETS)
부류연
건강 영향
일반적 영향조기 사망
질병
어린이영아 급사 증후군 (SIDS) 위험 증가
급성 호흡기 감염
중이염
천식 악화
폐 성장 저하
성인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폐암 위험 증가
호흡기 증상
유해 물질
포함 물질발암 물질
독성 물질
법적 규제 및 정책
목적비흡연자의 건강 보호
시행공공장소 및 직장에서의 흡연 금지
효과흡연율 감소
심장마비 발생률 감소
호흡기 질환 감소
담배 산업의 전략
목표간접 흡연의 위험성을 축소하거나 부정
방법과학적 연구에 대한 의문 제기
대중의 인식 조작
흡연 규제 정책에 대한 로비 활동
추가 정보
세계 보건 기구 (WHO)간접 흡연에 노출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건강상의 위험이라고 경고함.
미국 환경 보호국 (EPA)간접 흡연을 인체 발암 물질로 분류함.

2. 용어

"간접흡연"("Passivrauchen")이라는 용어는 1930년대 프리츠 리킨트가 독일어 출판물에서 처음 사용했다.[8][9][10] 공기 중의 담배 연기를 가리키는 "환경 담배 연기"(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라는 용어도 사용되며,[11] "비자발적 흡연"(Involuntary smoking)과 "간접흡연"(Secondhand Smoke, SHS)은 타인이 흡연하는 담배 연기에 노출되는 것을 가리킨다.[12]

"측류연"(Sidestream smoke)은 담배 끝에서 직접 나오는 연기를 가리키며,[14] "주류연"(Mainstream smoke)은 흡연자가 내뿜는 연기를 가리킨다.

3.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간접흡연은 직접 흡연과 마찬가지로 심혈관 질환, 폐암, 호흡기 질환 등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1][2][15] 간접흡연의 주요 구성 요소인 흡입된 부류연은 주류연보다 약 4배 더 독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일부 과학자들은 특히 관상동맥 질환 발병 위험과 관련하여 간접흡연의 위험이 상당히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90]

간접흡연은 혈액과 혈관에 즉각적이고 상당한 영향을 미쳐 심장마비 위험을 증가시키며, 특히 이미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그렇다.[124] 30분 동안 담배 연기에 노출되면 건강한 비흡연자의 관상동맥 혈류 속도 예비량이 현저히 감소한다.[125] 세계보건기구(WHO)는 간접흡연이 매년 약 60만 명의 사망을 유발하고 전 세계 질병 부담의 약 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54] 2017년 기준으로 간접흡연은 연간 약 90만 명의 사망을 초래하는데, 이는 흡연으로 인한 모든 사망의 약 1/8에 해당한다.[55]

간접흡연으로 인해 위험성이 증가한다고 여겨지는 대표적인 질환[236]은 다음과 같다.

간접흡연으로 인해 위험성이 증가하는 질환
영유아성인소아



이 외에도 제2형 당뇨병(인과관계 불분명)[46][47][48][49], ''수막염균'' 또는 ''폐렴구균'' 보균 위험[77], 치주염[50], 아토피성 피부염[56]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3. 1. 암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2004년 전 세계적으로 축적된 증거를 검토하여 "간접흡연(간접 또는 '환경적' 담배연기에 대한 노출)은 인체에 발암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2]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간접흡연에 존재하는 약 70가지 화학물질이 발암성이 있다고 보고한다.[17]

  • '''폐암''': 간접흡연은 폐암의 위험 요소이다.[18][19] 미국에서는 간접흡연으로 인해 매년 비흡연자 7,000명 이상이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0] 모든 폐암 환자의 4분의 1은 평생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21]
  • '''유방암''': 캘리포니아 환경보호국(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2005년 간접흡연이 주로 폐경 전 여성의 유방암 위험을 70% 증가시킨다고 결론지었지만,[15] 미국 외과의장(Surgeon General of the United States)은 그 증거가 "시사적"이지만 인과관계를 주장하기에는 여전히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1] 반대로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2004년 비흡연자의 경우 담배연기에 대한 간접 노출과 유방암 사이의 인과관계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2] 2015년 메타분석에서는 간접흡연이 유방암 위험을 중등도로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몇 년 전보다 더욱 실질적"이 되었다고 밝혔다.[22]
  • '''자궁경부암''': 2015년 체계적 검토 개요는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이 자궁경부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77]
  • '''방광암''': 2016년 체계적 검토 및 메타분석에 따르면 간접흡연 노출은 방광암 위험의 상당한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3. 2. 순환기계 질환

간접흡연은 심장병 위험을 높이고, 심박수 변이도를 감소시킨다.[24][26] 역학 연구에 따르면 흡연과 간접흡연 모두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27] 간접흡연은 뇌졸중 위험 증가와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험 증가는 낮은 수준의 노출에서도 불균형적으로 높다.[28] 간접흡연을 받은 혈관내피세포가 혈관수축을 일으켜 죽상경화증혈전을 형성하는 것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276]

3. 3. 호흡기 질환

Secondhand smoke영어천식[29], 만성폐쇄성폐질환(COPD)[30], 결핵[31], 축농증[32] 등의 폐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 천식: 간접흡연은 천식 위험을 높인다.[29] 특히 어린이에게 가장 중요한 실내 오염 물질일 가능성이 높다.[102] 부모, 특히 어머니의 흡연은 어린이의 천식 위험을 증가시키며, 흡연 가정의 어린이는 초기 아동기 천식의 예후가 좋지 않고, 더 심각한 질병을 앓는다. 천식이 있는 성인 다수는 간접흡연을 증상 유발 요인으로 지적하며,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 성인에게서 의사의 천식 진단이 더 흔하다. 천식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간접흡연 노출이 높을수록 심각한 발작 위험이 더 높다.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접흡연은 COPD의 위험을 높인다.[30]
  • 결핵: 2015년 연구에 따르면, 간접흡연은 결핵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고 질병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지만, 증거는 여전히 미약하다.[31]
  • 축농증: 간접흡연 노출과 축농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둘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32]
  • 기타: 간접흡연은 기침, 재채기, 흉부 압박감 등의 호흡기 증상과 만성 호흡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기관지염, 폐렴, 폐기종, 성인 발병 천식 및 천식 증상 악화, 천식에 의한 호흡 상태의 급격한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

3. 4. 기타 질환

인지장애 및 치매: 간접흡연 노출은 50세 이상 성인의 인지 장애 및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33] 간접흡연에 노출된 어린이는 노출되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어휘력과 추리력이 감소하고 일반적인 인지 및 지적 결함이 더 많이 나타난다.[34]

정신 건강: 간접흡연 노출은 우울 증상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35]

임신 중 간접흡연의 영향:

  • 유산: 2014년 메타분석에 따르면 산모의 간접흡연 노출은 유산 위험을 11% 증가시킨다.[36]
  • 저체중아 출산[15], part B, ch. 3[37]
  • 조산[15], part B, ch. 3[38]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는 2006년 미국 외과의장 보고서에서 "시사적"으로만 설명되어 있다.[39]) 흡연을 제한하는 법률은 조산을 감소시킨다.[40]
  • 사산 및 아동의 선천적 기형[41]
  • 최근 간접흡연에 노출된 여성과 노출되지 않은 여성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 간접흡연에 노출된 여성은 선천적 기형이 있는 아기를 출산할 위험, 더 긴 신장, 더 작은 머리 둘레 및 신경관 결손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2][43]


기타 질환:

3. 5.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2010년 미국 내 연령, 인종 및 빈곤 수준에 따른 간접흡연 노출


어린이는 성인보다 환경 담배 연기에 더 많이 노출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49]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건강에 다음과 같은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간접흡연은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57] 2006년 미국 외과의총장 보고서는 간접흡연 노출과 영아 돌연사 증후군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결론지었다.[58] 미국에서는 매년 간접흡연이 430건의 영아 돌연사 증후군 사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9]
  • '''천식''':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천식 발생 및 악화와 관련이 있다.[60][61][62] 간접흡연에 노출된 천식 어린이는 입원 위험이 거의 두 배나 증가한다.[63]
  • '''폐 감염''':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폐 감염,[64][65][66] 세기관지염,[68] 기관지염[67] 등 하부 호흡기 감염 위험을 높인다. 미국에서는 18개월 미만 영유아의 하부 호흡기 감염 15만~30만 건이 간접흡연과 관련 있으며, 매년 7,500~1만 5,000건의 입원으로 이어진다.[59]
  • '''호흡 기능 저하''':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호흡 기능 저하 및 폐 성장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67]
  • '''알레르기''':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70]
  • '''구순구개열''': 산모의 간접흡연은 자녀의 비증후군성 구순구개열 위험을 50% 증가시킨다.[71]
  • '''학습 장애 및 행동 문제''':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학습 장애, 발달 지연, 집행 기능 문제,[72] 신경 행동 효과와 관련이 있다.[73][74] 동물 모델 연구에서는 니코틴과 일산화탄소가 신경인지 문제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6]
  • '''중이염''':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중이염 위험을 증가시킨다.[66][75][76]
  • '''수막염''':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침윤성 수막염 질환 위험을 높인다.[77][78]
  • '''수면 무호흡''':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수면 무호흡과 관련이 있다.[80]
  • '''심혈관계 질환''':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심혈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1]

4. 간접흡연의 증거

역학적 연구에 따르면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자는 직접 흡연과 관련된 많은 건강 문제의 위험에 처해 있다.

1992년 한 검토에서 간접흡연 노출이 1980년대 초 미국에서 매년 3만 5천~4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된 것으로 추산되었다.[82] 심장병의 절대 위험 증가는 2.2%였고, 귀인 위험률은 23%였다. 1997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간접흡연 노출은 심장병 위험을 4분의 1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83] 1999년 두 건의 메타 분석에서도 비슷한 결론을 얻었다.[84][85]

간접흡연의 주요 구성 요소인 흡입된 사이드스트림 연기는 메인스트림 연기보다 약 4배 더 독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86][87][88][89] 일부 과학자들은 특히 관상동맥 질환 발병 위험과 관련하여 간접흡연의 위험이 상당히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90]

2004년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암연구소(IARC)는 담배 흡연과 암 관련 모든 중요한 발표된 증거를 검토하여, 흡연 배우자의 폐암 위험과 흡연 배우자로부터의 간접 담배 연기 노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일관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과잉 위험은 여성의 경우 약 20%, 남성의 경우 약 30%이며, 일부 잠재적인 편향 및 교란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남아 있다고 결론지었다.[2]

호주 국립 천식 위원회는 간접흡연이 특히 어린이 주변에서 가장 중요한 실내 오염 물질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한다.[102]

5. 간접흡연 노출 및 위험 수준

역학 연구에 따르면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자는 직접 흡연과 관련된 많은 건강 문제의 위험에 처해 있다.

흡연이 규제되지 않는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더 높은 위험에 처해 있다.[107][101] 특히 설비 수리 및 유지보수, 건설 및 채굴, 운송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노출 위험이 높다.[214]

미국 외과의장은 2006년 보고서에서 흡연자와 함께 살거나 흡연이 허용되는 곳에서 일하는 비흡연자는 심장병 발병 위험이 25~30%, 폐암 발병 위험이 20~30%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했다.[108]

간접흡연에 노출된 어린이는 다양한 건강 문제[109][110][111]를 겪고, 훗날 흡연자가 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2]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한 아동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에서 간접흡연 노출 감소를 중요 요소로 제시했다.[113]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국가 건강 조사에서 혈청 코티닌(cotinine)을 측정하여 간접흡연 노출 정도와 추세를 관찰한다.[114] 미국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 유병률은 1988년 87.5%에서 2014년 25.2%로 감소했다. 그러나 2014년에는 흑인과 빈곤층의 거의 절반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다.

6. 간접흡연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에 따르면, 흡연 관리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기반, 질병 아동, 건강한 아동 환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어린이의 간접흡연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다. 가장 일반적인 개입 유형은 진료 방문 중 상담 또는 간략한 조언이다. 이 고찰에서는 어떤 개입에도 우월한 결과를 발견하지 못했으며, 성인 환경의 증거가 아동에게 잘 일반화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115]

7. 생체 지표

니코틴의 대사산물인 코티닌은 간접흡연 노출을 측정하는 생체 지표로 활용된다. 코티닌은 혈액, 타액, 소변에서 측정되며, 최근에는 모발 분석도 사용된다. 모발의 코티닌은 장기간의 누적된 담배 연기 노출을 반영한다.[120] 소변 내 코티닌 수치는 최근 48시간 동안의 노출만 반영하지만, 모발과 손톱의 코티닌 수치는 지난 3개월 동안의 노출을 반영하여 더 신뢰할 수 있는 생체 지표로 사용된다.[116]

호기로 측정한 일산화탄소도 간접흡연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호기 일산화탄소 측정은 호흡 시 일산화탄소 농도를 백만분율로 측정하며, 이는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카르복시헤모글로빈)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121]

호흡 일산화탄소 모니터는 호흡 시료에서 배출된 일산화탄소 농도(ppm)와 해당하는 카르복시헤모글로빈 백분율 농도를 표시한다.

8. 병태 생리

간접 흡연에는 69가지 이상의 알려진 발암물질을 포함하여 4,000가지가 넘는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2] 특히 우려되는 것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담배 특이적 N-니트로사민, 그리고 방향족아민(예: 4-아미노비페닐)과 같이 고도로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이다.[2] 주류연, 부류연, 간접흡연은 대부분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지만, 농도는 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122]

담배 간접흡연은 공회전하는 저배출 디젤 엔진보다 더 많은 미세먼지(PM) 오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리아 국립암연구소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60m³ 크기의 환기가 제한된 차고에서 세 개의 담배를 연달아 태웠다. 그 결과, 담배는 실외 기준치를 초과하는 미세먼지 오염을 발생시켰고, 공회전 엔진보다 최대 10배 높은 미세먼지 농도를 보였다.[123]

담배 간접흡연은 혈액과 혈관에 즉각적이고 상당한 영향을 미쳐 심장마비 위험을 증가시키며, 특히 이미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그렇다.[124] 30분 동안 담배 연기에 노출되면 건강한 비흡연자의 관상동맥 혈류 속도 예비량이 현저히 감소한다.[125] 간접흡연은 또한 성인 비흡연자의 혈관확장 장애와도 관련이 있다.[126] 간접흡연은 직장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수준에서도 혈소판 기능, 혈관 내피, 심근 운동 내구력에 영향을 미친다.[127]

폐기종은 45일 동안 하루 30개비의 부류연에 급성 노출된 쥐에서 유발될 수 있다.[128] 폐 손상에 기여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용출도 관찰되었다.[129]

"삼중흡연"이라는 용어는 최근 담배가 꺼진 후 남아 있는 잔류 담배 연기 오염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30][131][132] 초기 연구에 따르면 삼중흡연의 부산물이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133] 위험의 정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9. 공중 보건 당국의 견해

간접흡연이 유해하다는 데에는 폭넓은 과학적 합의가 있다.[136] 간접흡연과 건강 위험 간의 연관성은 다음을 포함한 모든 주요 의학 및 과학 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다.



2005년 2월 27일에 발효된 WHO의 담배규제에 관한 세계보건기구틀조약(담배규제틀조약)에서는 간접흡연 예방이 각국의 책무로 규정되어 있다.[280][281] 이 조약은 146개국이 합의하였고, 일본도 비준하였다.

2007년 7월 4일, 제2차 당사국회의에서 '''“담배규제틀조약 제8조 및 그 지침”의 이행을 2010년 2월까지 완료'''하는 것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을 포함한 당사국은 공공장소에서의 간접흡연 예방 대책을 신속히 시행·촉진할 것을 약속'''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이 모이는 장소의 전면 금연화, 그러한 시설 내에 어떠한 형태의 흡연실도 설치하지 않는 것(예를 들어 문으로 칸막이를 하더라도 열면 연기가 새어나오는 경우), 위반 관리자에 대한 제재를 규정하는 것이다.[282]

일본학술회의는 '''“수동흡연이 폐암이나 심근경색, 소아의 기관지염·폐렴 및 천식 악화, 영유아 돌연사 증후군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하며, '''직장·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10. 대중의 인식

미국 국립암연구소와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간접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1992년과 2000년 조사에서 응답자의 80% 이상이 간접흡연이 유해하다고 답했다. 2001년 연구에서는 성인의 95%가 간접흡연이 어린이에게 유해하며, 96%는 담배 회사의 주장이 거짓이라고 생각했다.[148]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2007년 응답자의 56%가 간접흡연이 "매우 유해하다"고 생각했으며, 이 수치는 1997년 이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29%는 "다소 유해하다", 10%는 "별로 유해하지 않다", 5%는 "전혀 유해하지 않다"고 응답했다.[149]

11. 간접흡연의 위해성에 대한 논란

담배 산업은 흡연 규제를 막거나 늦추기 위해 간접흡연의 위험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고, 그 결과를 널리 알리려 했다. 케이토 연구소와 같은 자유지상주의 및 보수 성향 싱크탱크에도 자금을 지원하여 간접흡연 연구와 흡연 제한 정책을 비판하게 했다.[150][151] ''뉴 사이언티스트'' 등은 이러한 담배 산업의 조직적인 활동을 기업의 부정주의의 초기 사례로 규정하고, HIV/AIDS 부정주의와 유사한 "담배 부정주의" 운동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한다.[152][153]

2003년 제임스 엔스트롬과 제프리 카뱃은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간접흡연의 위해성이 과장되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154] 이들은 간접흡연과 폐암, 관상동맥질환(CHD), 만성폐쇄성폐질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함께 실린 논평에서는 이 연구 결과가 부정적인 측면을 과장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155] 이 논문은 담배 회사들에 의해 간접흡연의 위해성이 증명되지 않았다는 증거로 널리 홍보되었다.[156][157] 그러나 미국암협회(ACS)는 이 논문을 "신뢰할 수 없고 독립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며, 연구 방법론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다.[158] 특히,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을 제대로 식별하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였다.[159]

엔스트롬의 담배 회사와의 관계도 논란이 되었다. 1997년 필립 모리스에 보낸 편지에서 엔스트롬은 연구 지원을 요청했다.[160] 미국 담배 회사에 대한 소송에서 엔스트롬과 카뱃의 논문은 담배 회사들이 담배 연기의 위험을 은폐하기 위해 저지른 사기 행위의 주요 사례로 인용되었다.[161] 법원은 이 연구가 담배 회사의 위장 단체인 실내 공기 연구 센터[162]와 필립 모리스에 의해 자금 지원 및 관리되었다고 밝혔다. 필립 모리스는 엔스트롬의 연구가 "명백히 소송 지향적"이라고 언급했다.[163] 2005년 ''담배 통제(Tobacco Control)''는 엔스트롬과 카뱃의 논문이 저널의 요구 사항을 충족했지만, "저자들이 담배 산업과 맺은 관계의 전모를 드러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64]

2006년 엔스트롬과 카뱃은 간접흡연과 관상동맥질환에 관한 메타 분석을 발표하여 매우 약한 연관성을 보고했다.[165] 이들은 간접흡연 노출이 CHD 사망 위험을 5% 증가시킨다고 결론지었지만, 이 분석은 광범위한 노출 오분류 문제가 있는 이전의 산업 자금 지원 연구 두 건을 포함했다는 비판을 받았다.[7]

담배 산업 대변인이자 컨설턴트였던 조 바타 고리(Gio Batta Gori)[166][167][168]는 케이토 연구소(Cato Institute) 잡지 ''Regulation''에 간접흡연과 폐암에 관한 75건의 연구 중 약 7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차이를 보고하지 않았다고 기술했다.[169]

1998년 국제암연구소(IARC)의 간접흡연(ETS) 연구는 "폐암 위험과 배우자 및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 간의 용량-반응 관계에 대한 약한 증거"를 발견했다.[179]

1998년 3월, 연구 결과 발표 전 IARC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보를 은폐했다는 주장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선데이 텔레그래프''[180]와 ''이코노미스트''[181] 등은 WHO가 수동흡연과 질병(특히 폐암) 사이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한 자체 보고서 발표를 보류했다고 주장했다.

WHO는 보도자료를 통해 연구 결과가 언론에서 "완전히 잘못 해석"되었으며, 수동흡연의 해악을 보여주는 유사 연구와 일치한다고 밝혔다.[185] 같은 해 10월 ''국립암연구소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어린 시절 ETS 노출과 폐암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배우자 및 직장 내 ETS 노출 간의 용량-반응 관계에 대한 약한 증거는 발견했다"고 밝혔다.[179] 논평은 ETS가 저농도 폐암 유발 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86]

담배 마스터 합의를 통해 공개된 담배 산업 문서에 따르면, WHO의 데이터 은폐 주장은 알트리아 그룹, 영국 아메리칸 토바코 등 담배 회사들이 사업 이익에 해를 끼칠 과학적 발견을 훼손하기 위해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다(엘리사 온과 스탠튼 글랜츠).[187] WHO 조사에 따르면, 이 논란은 WHO 예산 삭감, 수동흡연 연구 결과 왜곡, WHO 신뢰도 저하를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담배 산업이 숨겨진 재정적 연관성이 있는 위장 단체와 국제적, 과학적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했다.[188]

1993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간접흡연으로 매년 3,000명의 폐암 관련 사망자가 발생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89] 필립모리스, R.J. 레이놀즈 토바코 컴퍼니 등은 EPA가 연구를 조작하고 과학적 절차를 무시했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1998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중부 지방법원은 담배 업계의 손을 들어주며, EPA가 적절한 절차를 따르지 않고 증거를 '선택적'으로 사용했다고 판결했다.[190] 법원은 "EPA는 연구 시작 전에 결론을 내렸고…절차와 규범을 조정했으며…정보를 무시하고 선택적인 정보로 결과를 도출했다…"라고 언급했다.

2002년 EPA는 항소하여 이전 판결을 무효화했다.[191] EPA의 항소는 보고서가 규제적 효력이 없다는 근거로 인용되었다.

1998년 미국 보건복지부는 제9차 발암물질 보고서에서 환경 담배 연기를 알려진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EPA 평가에 대해 "개별 연구는 신중하게 요약되고 평가되었다"고 언급했다.[192]

12. 담배 산업의 대응

담배 산업은 간접흡연 대책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 왔다. 흡연자 권리 단체를 지원하고, 연구 자금 지원에 편향을 보이며, 정당한 연구를 폄하하고, 유리한 연구 결과를 홍보하는 등의 활동을 펼쳤다.[199][6][194][175][201]

담배 산업은 간접흡연 규제를 막거나 늦추기 위해 여러 과학 연구에 자금을 지원했고, 그 결과가 간접흡연의 위험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 널리 알리려 했다. 케이토 연구소와 같은 자유지상주의 및 보수 성향 싱크탱크에도 자금을 지원하여 간접흡연 연구와 흡연 제한 정책을 비판하도록 했다.[150][151] ''뉴 사이언티스트'' 등은 이러한 활동을 기업의 부정주의의 초기 사례로 규정하며, 담배 산업이 퍼뜨린 허위 정보가 부정주의의 다른 형태와 많은 특징을 공유하는 "담배 부정주의" 운동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한다.[152][153]

담배 산업은 간접흡연과 질병 간의 연관성을 부정하기 위해 여러 주장을 펼쳤다. 담배 산업 대변인이었던 조 바타 고리(Gio Batta Gori)는 간접흡연과 폐암에 관한 연구 중 대다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차이를 보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69] 필립 모리스의 컨설턴트였던 스티븐 밀로이(Steven Milloy)는 간접흡연 연구 중 일부만이 심장병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고했다고 주장했다.[172] 또한, 상대 위험도가 낮은 연구는 의미 없는 엉터리 과학이라고 비판했다.

담배 산업은 "건전한 과학"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연구를 "엉터리 과학"으로 몰아가는 전략을 사용했다.[173] 또한, "우수 역학 관행"을 제시하여 간접흡연과 폐암 사이의 연관성을 모호하게 만들려고 했다.[174] 그러나 이러한 기준에 동의하는 독립적인 역학 단체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지자 이 노력은 대부분 포기되었다.[175]

담배 산업이 자금을 지원한 연구는 간접흡연의 무해성을 옹호하는 결과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담배 산업과 관련된 연구자들은 독립적인 연구자들보다 간접흡연이 해롭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194] 필립 모리스 경영진은 저자가 간접흡연의 돌연변이 아기 증후군(SIDS)의 역할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산업 자금 지원 논문을 수정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195]

2006년 미국 외과의장 보고서는 담배 산업이 과학 논쟁에서 편향된 연구를 지원하고, 연구 결과를 훼손하며, 과학계 합의에도 불구하고 논란을 지속하려 했다고 비판했다.[196] 필립 모리스는 과학자 팀을 구성하여 "ETS(Environmental Tobacco Smoke, 환경 담배 연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논란을 지속시키는 것"을 제안했고,[197] 모든 과학 연구는 담배 산업 변호사들의 감독과 "검토"를 받았다.[197]

간접흡연 대책은 흡연을 개인적 습관을 넘어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정의함으로써 담배 산업에 심각한 경제적 위협을 가했다. 1978년 비밀 보고서에서 담배 산업은 간접흡연에 대한 대중의 우려 증가를 "담배 산업의 생존 가능성에 있어서 발생한 가장 위험한 사건"으로 묘사했다.[198] 미국 대 필립 모리스 외 사건에서 법원은 담배 산업이 간접흡연의 건강 영향이 산업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간접흡연이 질병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합의를 약화시키려는 노력으로 대응했다고 판결했다.[136]

담배 회사들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보였다.

회사입장
일본담배산업(JT)[319]간접흡연이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하지만, 비흡연자의 질병 원인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한다.
필립 모리스[320]간접흡연의 유해성에 관한 공중보건기관의 결론에 기반한 간접흡연 예방 조치는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영국담배(BAT)[321]간접흡연이 폐암이나 심장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알. 제이. 레이놀즈 담배 회사(R.J. Reynolds Tobacco Company)[322]개인은 흡연 여부를 판단할 때 공중보건 기관의 보고서를 참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요 담배회사들은 RICO법 위반 혐의로 미국 정부로부터 고소당한 재판에서 간접흡연과 비흡연자 질병의 관련성을 내부적으로는 인지하면서도 공개적으로는 부정하는 발표를 반복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323]

13. 주요 담배 회사들의 입장

일본담배산업(JT)[319]은 간접 흡연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간접흡연이 비흡연자의 질병 원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설득력 있는 형태로 제시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필립 모리스[320]는 간접흡연의 유해성에 관한 공중보건기관의 결론에 기반한 간접흡연 예방 조치는 적절하다고 본다.

영국담배(BAT)[321]는 간접흡연이 폐암이나 심장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알. 제이. 레이놀즈 담배 회사(R.J. Reynolds Tobacco Company)[322]는 흡연 여부를 판단할 때 미국 공중보건국, 미국 보건복지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공중보건 기관의 보고서를 참고해야 한다고 말한다.

필립 모리스를 비롯한 주요 담배회사들이 RICO법(Racketeer Influenced and Corrupt Organizations Act) 위반 혐의로 1999년 미국 정부로부터 고소당한 재판에서는, 피고인 담배회사들이 간접흡연과 비흡연자 질병의 관련성을 내부적으로는 인지하면서도 공개적으로는 부정하는 발표를 반복했다는 점이 연방법원 판결에서 지적되었다.[323]

14. 미국의 담배 회사 상대 소송

1999년 9월 22일, 미국 법무부는 필립 모리스를 비롯한 주요 담배 제조사들을 상대로 사기 행위 소송을 제기했다.[204] 2006년 8월 17일, 미국 지방 법원 글래디스 케슬러 판사는 담배 회사들이 악덕 조직 영향력 방지법(RICO)을 위반했다고 판결했다.[136]

케슬러 판사는 판결에서 담배 회사들이 다음과 같은 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 흡연의 건강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최소화, 왜곡 및 혼란시키기 위한 공모
  • 간접 흡연이 비흡연자에게 해롭다는 사실을 내부적으로 인정하면서 공개적으로 부인
  • 소송 관련 서류 파기


이 판결은 담배 회사들이 유료 컨설턴트를 통해 연구 결과를 통제하는 등 간접흡연이 질병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합의를 훼손하고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담배 회사들이 간접흡연 노출의 건강 영향을 사기적으로 계속 부인했다고 결론지었다.[136]

2009년 5월 22일, 미국 워싱턴 D.C. 순회 항소법원의 3인 재판부는 만장일치로 하급심의 2006년 판결을 유지했다.[205][206][207]

15. 금연법

많은 국가와 지방 정부는 간접흡연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은 실내 흡연을 전면 금지하는 법률 시행을 촉구하고 있다.[209]

아일랜드는 2004년 3월 29일 세계 최초로 모든 실내 직장에서의 흡연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법을 제정했다.[208] 이후 많은 국가들이 이와 유사한 법률을 도입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부터 실내 흡연이 금지되었으며, 서울특별시는 2017년부터 간접흡연 피해 방지 조례를 시행하고 있다.[326] 일본에서도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금연법 제정을 추진했다.[327]

일본학술회의는 2008년 3월 4일에 발표한 제언에서 "간접흡연이 폐암, 심근경색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며 직장 및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를 요구했다.[284]

일본에서는 2003년 시행된 건강증진법에 따라 공공시설 등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 관리자에게 간접흡연 방지 노력 의무가 부과되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는 직장 내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009년 가나가와현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공공시설 금연, 음식점 등의 금연 또는 분연을 규정한 조례를 제정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 없는 올림픽' 방침에 따라 간접흡연 대책을 강화했다. 일본은 음식점 등 실내에서 원칙적으로 금연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규칙을 마련했다.

15. 1. 금연법의 효과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을 비준한 국가들은 실내 공공장소 등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할 의무가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금연법을 시행하고 있다.[209] 이러한 금연법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금연법 시행으로 인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입원 환자가 감소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시의 경우, 금연법 시행 후 18개월 동안 심장마비로 인한 병원 입원 환자가 27% 감소했으며, 이는 간접흡연 노출 감소 때문으로 분석되었다.[213] 매사추세츠주의 직장 내 흡연 금지 조치는 근로자의 간접흡연 노출을 감소시켰다.[214]

금연 정책은 흡연율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2016년 연구에 따르면 병원, 대학교 등 특정 장소에서의 금연 정책은 흡연율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215] 작업장이나 지역 사회에서 시행되는 금연 정책은 근로자의 담배 사용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다.[216]

15. 2. 대중의 지지

여론 조사는 금연법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7년 6월 15개국 대상 설문 조사에서 이러한 법률에 대한 찬성률은 80%였다.[211] 흡연 국가로 알려진 프랑스의 설문 조사에서도 70%의 지지율을 보였다.[104]

최근 니코틴 및 담배 연구 협회가 실시한 설문 조사는 실외 지역의 금연 정책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보여준다. 대다수의 대중이 다양한 실외 환경에서의 흡연 제한을 지지하며, 응답자들은 쓰레기 관리, 청소년을 위한 긍정적인 금연 역할 모델 구축, 청소년의 흡연 기회 감소, 간접흡연 노출 방지 등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정책을 지지했다.[219]

15. 3. 대안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을 비준한 국가들은 실내 흡연을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209] 이러한 금연법에 대한 대안으로, 특히 술집과 음식점에서 피해 감소 수단으로 제안된 것들이 있다.

금연법 비판론자들은 환기가 담배 연기 오염 물질을 줄이고 공기 질을 개선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한다.[220] 담배 산업은 전면적인 금지의 대안으로 환기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왔다.[221] 그러나 모든 비판론자가 담배 산업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 냉난방 공조 기술자 협회(ASHRAE)는 2005년에 완전히 격리된 흡연실은 인근의 비흡연 구역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지만, 실내 노출과 관련된 건강 위험을 제거하는 유일한 수단은 흡연 금지라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어떤 희석이나 정화 시스템도 위험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222] 미국 외과의총장(U.S. Surgeon General)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도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223][224]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이행 지침은 환기와 같은 기술적 접근 방식은 효과가 없으며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10]

다른 사람들은 미국 환경보호청이 사용한 배출권 거래(emissions trading|cap-and-trade) 오염 배출권 시스템과 유사한, 거래 가능한 흡연 오염 배출권 시스템을 제안했다.[225]

16. 동물에 대한 영향

환경 담배 연기의 발암성을 동물을 대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모의 환경 담배 연기, 측류연기 응축물 투여 또는 애완동물의 암에 대한 관찰 연구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모의 환경 담배 연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동물을 측류연기(담배의 타는 부분과 종이를 통해 나오는 연기) 또는 메인스트림 연기와 측류연기의 조합에 노출시킨다.[2] IARC 간행물은 장기간(하루 6시간, 주 5일, 5개월) 모의 환경 담배 연기에 노출된 마우스의 경우, 해부 전 4개월 간격을 두고 관찰했을 때 대조군보다 폐 종양의 발생률과 다발성이 현저히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IARC 간행물은 측류연기 응축물이 메인스트림 연기 응축물보다 마우스에 대한 발암 효과가 훨씬 더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2] 간접흡연은 반려동물의 암 위험 요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226] 터프츠대학교 수의과대학과 매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의 구강암 발생은 과발현된 p53 유전자를 통해 환경적 담배 연기에 노출된 것과 관련이 있다.[227] 같은 대학교에서 실시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흡연자와 함께 사는 고양이가 고양이 림프종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그 위험은 간접흡연 노출 기간과 가정 내 흡연자 수에 따라 증가했다.[228]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연구원들이 개의 폐암 사례를 조사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결론적이지 않았지만, 연구진은 환경적 담배 연기에 노출된 개의 폐암과 약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가정 내 흡연자 수, 가정 내 하루 흡연량, 개가 가정 내에서 보낸 시간은 개의 폐암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29]

17. 관련 법규 및 정책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부터 실내 흡연이 금지되었으며, 서울특별시2017년부터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를 시행하여 간접흡연을 규제하고 있다.[326]

일본에서는 2003년 후생노동성 건강국장 통지[283]를 통해 건강증진법 제25조에 따른 간접흡연 예방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 및 유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1992년 7월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은 제71조의2를 통해 쾌적한 직장 환경 조성 규정을 마련하고, 간접흡연 대책을 추진해왔다. 2015년 6월 개정법에서는 제68조의2를 추가하여 사업주에게 직장 내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적절한 조치 의무를 부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간접흡연 예방 대책 보조금 지급 및 후생노동성의 지원 사업(측정 지원, 상담 지원)을 통해 필요한 사업장을 지원하고 있다.

1992년 7월에 개정된 대한민국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제 71조의 2를 추가하여, 사업장에서의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한 규정을 설치하고, 간접흡연에 대한 대책을 진행해왔다. 그 후, 2015년 6월 개정법이 시행되면서 제 68조의 2가 추가되어, 사업주가 직장내 간접흡연을 예방하기 위해 실정에 맞는 조치를 강구하는 것을 사업주의 의무로 하는 것이 정해졌다.

2009년 3월 24일에 가결·성립된 「'''가나가와현 공공시설에서의 간접흡연 방지 조례'''」는 지방자치단체 최초의 조례이다. 이 조례는 공공시설 금연, 매장 면적 100m2 이상의 음식점 및 연회장의 금연 또는 완전 분연을 규정하고 있다. 완전 분연 시 흡연 구역 및 흡연실에 미성년자의 출입을 금지(업무 종사 미성년자 제외)하여 미성년자 간접흡연 방지에 더욱 힘쓰고 있다. 금연 장소 흡연 시 2만 엔 이하, 시설 관리자가 의무를 지키지 않고 도지사 명령에 불응 시 5만 엔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여 건강증진법보다 엄격한 규제를 적용한다.

18. 일본의 간접흡연 현황 및 대응

일본에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금연법 제정이 예정되어 있었다.[327]

2003년 시행된 건강증진법에 따라, 학교, 체육관, 병원, 극장 등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의 관리자는 이용자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283] 1992년 7월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쾌적한 직장 환경 조성에 관한 규정의 일환으로 간접흡연 대책이 진행되었으며, 2015년 6월 개정법에서는 사업주에게 직장 내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노력 의무를 부과했다.

일본학술회의는 2008년 3월 4일에 발표한 제언 “탈담배 사회의 실현을 향하여”에서 '''“수동흡연이 폐암, 심근경색, 소아의 기관지염·폐렴천식 악화, 영유아 돌연사 증후군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밝히며, '''직장·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284]

2017년, 후생노동성은 원칙적으로 실내 금연으로 하는 처벌이 있는 간접흡연 방지 법안을 제시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담배 없는 올림픽" 방침에 따라 간접흡연 대책을 강화하여, 음식점 등의 실내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연이며 흡연실 설치 등을 요구할 예정이었다.

일본에서는 간접흡연 문제로 인해 여러 소송이 발생했다.

18. 1. 역사

간접흡연과 건강에 대한 역학 연구는 1960년대 후반에 처음 발표되었다.[241] 1972년 미국 공중보건국 국장 명의로 발표된 보고서[241]는 간접흡연을 건강에 대한 위험 요소로 처음으로 인정했다.

1993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환경담배연기(ETS)에 대한 위험도 평가 최종 보고서[242]에서 ETS를 그룹 A(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알려진)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2007년 WHO는 권고문에서 “간접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근거와 “사회적 비용 및 경제적 비용의 심각한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그 해결책으로 “간접흡연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243]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안 1 — 환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100% 금연 환경을 조성한다.
  • 제안 2 — 법률에 의해, 담배를 포괄적으로 규제한다.
  • 제안 3 — 법률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시책이 적절히 시행되도록 한다.
  • 제안 4 — 가정 내에서도 간접흡연을 줄이도록 사회교육을 한다.

18. 2. 간접흡연 노출 경향

일본에서는 1999년 조사에서 남성의 72%, 여성의 51%가 간접 흡연에 노출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236] 최근에는 음식점, 길거리, 직장에서의 간접흡연 노출 비율이 정체되어 있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간접흡연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가정과 직장이 주요 간접흡연 장소이다.[236] 흡연자가 사는 집의 부유 입자는 비흡연자만 사는 집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일본의 여러 학회들은 간접흡연의 해악을 알리고 금연을 추진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학회명선언 내용
일본공중위생학회“담배 없는 사회 실현을 향하여” 등 발표. 간접흡연의 해악을 알리고 학교 등 시설 금연화 목표.[236]
일본폐암학회“금연 선언” 발표. 간접흡연의 해악을 배제하기 위해 직장, 공공장소에 흡연장소 설치 주장.[236]
일본헬스케어치과연구회“금연 선언” 채택. 모든 환자에게 흡연·간접흡연의 유해 작용 지도.[236]
일본순환기학회“금연 선언” 발표. 간접흡연이 비흡연자에게도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유발.[300]
일본기관지학회(현・일본호흡기내시경학회)“금연 활동 선언” 발표. 대중교통기관 구내 담배 판매 중지, 역 구내·차량 전면 금연화 요구.[236]
일본구강위생학회“담배 없는 세상을 목표로” 금연 선언 발표. 간접흡연의 해악을 알리고 학교 등 시설 금연화 목표.[236]
일본암학회“금연 선언” 발표. 간접흡연에 의한 비흡연자의 건강 피해 방지 대책 추진.[236]
일본구강외과학회“금연 추진 선언” 발표. 간접흡연에 의한 여러 가지 장애 발생 연구 결과 보고.[301]
일본암치료학회“일본암치료학회 금연 선언” 발표. 간접흡연을 포함한 흡연의 건강 악영향 홍보.[302]
일본호흡기학회“간접흡연과 폐암의 관련에 관한 성명” 발표. 간접흡연과 폐암 관계에 대한 과학적 증거 기반 정보 전달.[303]


18. 3. 문제점

간접흡연에 따른 문제는 흡연자가 아닌 사람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환경담배 연기를 흡입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위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는 환기 시스템을 나누거나 환기 및 흡연 구역을 설치하는 ‘분연’을 통해서도 간접흡연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다.[251][252][253] 직장 환경에서는 노동 안전 위생상의 문제로도 다루어지고 있으며(→일본에서는 일본 산업안전보건법), 소송으로 이어진 사례도 있다.

다음은 간접 흡연 문제로 인해 발생한 소송 사례이다.

당사자내용결과비고
택시 운전사 vs 신나카 하이어(神奈中ハイヤー)간접흡연으로 인한 건강 피해 주장, 50만 엔 손해배상 및 차량 내 전면 금연 요구원고 청구 기각 (2006년 5월 9일). 법원은 "택시 전면 금연화 추진 바람직" 의견 첨부. 원고 항소, 도쿄고등법원 기각 (2006년 10월 11일)
도쿄도 에도가와구 공무원 vs 에도가와구청직장 내 간접흡연 관련 손해배상 청구에도가와구 안전 배려 의무 소홀, 5만 엔 지급 명령 (2004년 7월 13일, 도쿄지방법원). 간접흡연-건강 피해 인과관계 일본 최초 법적 인정.
도오켄테쓰(道央建鉄) 직원 vs 도오켄테쓰직장 내 간접흡연으로 급성 간접흡연증 발병, 분연 요구 후 해고. 해고 무효 확인 및 임금 지급 요구 소송도오켄테쓰, 남성에게 700만 엔 지급 합의 (2009년 4월 1일)
관객 vs 이스라엘 하이파 시립극장연극 무대 여배우 흡연으로 관객 건강 피해 주장, 1인당 1000신셰켈(약 23000JPY) 지급 요구 소송소송 진행 중 (2009년 기준)이스라엘 금연법: 공공장소 기본적 전면 금연
섹스이하우스 시가현 공장 직원 vs 섹스이하우스남성 직원 흡연으로 인한 화학물질과민증 발병, 위자료 등 청구 소송1심 기각, 2심에서 섹스이하우스 약 350만 엔 합의금 지급 (2016년 5월 31일, 오사카고등법원)
요코하마시 외곽 단지 거주 음악가 vs 이웃 주민이웃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증 및 화학물질과민증 발병, 4500만 엔 손해배상 청구 소송건강 악화-흡연 인과관계 불인정, 원고 패소 (2019년 11월, 요코하마지방법원). 도쿄고등법원 상고 기각.재판부, 일본금연학회 사쿠타가쿠 의사 진단서에 의사법 위반 지적, 진단 기준 의문 제기.[290][291]



여러 학회에서도 간접흡연의 문제를 지적하며 금연 추진 선언을 발표했다.


  • 일본공중위생학회: 2000년 7월 "담배 없는 사회 실현을 향하여" 발표, 간접흡연 해악 알림, 학교 등 시설 금연화 목표.
  • 일본폐암학회: 2000년 11월 2일 "금연 선언", 흡연은 가장 큰 폐암 원인, 간접흡연 해악 배제 위해 직장·공공장소 흡연장소 설치 주장.
  • 일본헬스케어치과연구회: 2001년 "금연 선언", 모든 환자에게 흡연·간접흡연 유해 작용 지도.
  • 일본순환기학회: 2002년 4월 25일 "금연 선언", 흡연은 비흡연자에게도 관상동맥질환·뇌졸중 유발, 간접흡연 방지 활동 추진.[300]
  • 일본기관지학회(현 일본호흡기내시경학회): 2002년 "금연 활동 선언", 대중교통기관 구내 담배 판매 중지, 역 구내·차량 전면 금연화 등 요구.
  • 일본구강위생학회: 2002년 9월 "담배 없는 세상 목표" 금연 선언, 간접흡연 해악 알림, 학교 등 시설 금연화 목표.
  • 일본암학회: 2003년 9월 27일 "금연 선언",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 건강 영향 방지 대책 추진.
  • 일본구강외과학회: 2003년 10월 23일 "금연 추진 선언", 간접흡연으로 인한 여러 장애 발생 연구 결과 고려, 비흡연자 보호 내용 선언.[301]
  • 일본암치료학회: 2005년 11월 14일 "일본암치료학회 금연 선언", 간접흡연 포함 흡연 건강 악영향 알림.[302]
  • 일본호흡기학회: 2006년 11월 17일 "간접흡연과 폐암 관련 성명", 간접흡연-폐암 관계 과학적 증거 기반 정보 전달.[303]

18. 4. 건강에 대한 영향 (일본)

일본에서는 1999년(헤이세이 11년) 조사(약 1만 3000명 대상)에서 남성의 72%, 여성의 51%가 각각 직장이나 학교, 가정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있다는 결과가 있다.[247] 이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흡연자를 제외하고 2017년 간접흡연에 노출될 기회가 있었던 사람의 비율을 장소별로 보면, 음식점 42.4%, 길거리 31.7%, 직장 30.1%이며 최근에는 정체되어 있다.[248]

간접흡연에 따른 문제는 흡연자가 아닌 사람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환경담배 연기를 흡입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위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는 환기 시스템을 나누거나 환기 및 흡연 구역을 설치하는 ‘분연’을 통해서도 간접흡연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다.[251][252][253] 직장 환경에서는 노동 안전 위생상의 문제로도 다루어지고 있으며(→일본에서는 일본 산업안전보건법) 소송으로 이어진 사례도 있다.

간접흡연의 안전 수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안전 수준이 없다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게다가 실내에서는 단순한 환기 설비만으로는 간접흡연을 완전히 예방할 수 없다. 흡연자와 동거하는 비흡연자의 사망률은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4] 간접흡연으로 인해 위험성이 증가한다고 여겨지는 대표적인 질환[236]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

:*영아 돌연사 증후군, 폐 발달 지연, 저체중아

:*학령기 기침, 가래, 천명, 숨가쁨 등의 호흡기 증상

:*급성 재발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및 치유 지연

:*소아 천식 및 기타 천식 질환, 지속적인 저폐 기능

:*페르테스병

:*수막염

;성인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

:*폐암

:*부비동암

:*유방암

:*천식, 기관지염, 폐렴

:*체취 악화, 의 이물감

;소아

:*조산

:*소아암, 백혈병, 뇌종양

:*폐결핵·호흡장애

:*지능 저하

:*난청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충치

:*충수염, 크론병

:*아토피성 피부염

:*용혈성 연쇄구균 감염증[255]

:*저신장

;성인

:*뇌종양, 뇌졸중

:*대장암, 악성림프종, 췌장암, 방광암

:*알레르기성 비염 악화

:*기침, 재채기, 흉부 압박감 등의 호흡기 증상, 만성 호흡기 증상

:*폐기종, 폐결핵

:*성인 발병 천식천식 증상 악화, 천식에 의한 호흡 상태의 급격한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황반변성[256]

:*치매[257][258]

:*약시 - 간접흡연을 포함한 담배 연기에 포함된 시안화수소(청산가스)[259]는 세포의 호흡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체내 활성형 비타민B12를 부족하게 하여 유수초신경에 영양장애를 일으킴으로써, 담배 연기에 노출된 사람은 약시가 되기 쉽다[260].

18. 5. 연구의 역사 (일본)

일본에서는 1981년 히라야마 유키오(平山雄)가 간접흡연과 폐암으로 인한 사망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논문(히라야마 논문)을 발표했다.[305]

2016년에는 일본 국립암센터가 복수의 논문을 바탕으로 간접흡연에 의한 일본인의 폐암 위험이 간접흡연이 없는 사람에 비해 약 1.3배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폐암 위험 평가를 "거의 확실"에서 "확실"로 변경했다.[269]

18. 6. 간접흡연 관련 법규 및 조례 (일본)

일본에서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금연법 제정이 예정되어 있다.[327]

; 건강증진법

2003년 4월 30일 자 후생노동성 건강국장 통지에 따라,[283] 건강증진법 제25조는 학교, 체육관, 병원, 극장, 관람장, 집회장, 전시장, 백화점, 사무소, 관공서 시설, 음식점 등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의 관리자에게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노력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 산업안전보건법

1992년 7월 개정법에서 제71조의2가 추가되어 쾌적한 직장 환경 조성에 관한 규정의 일환으로 간접흡연 대책이 진행되었다. 2015년 6월 개정법에서는 제68조의2가 추가되어, 사업주에게 직장 내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노력 의무를 부과했다. 정부는 간접흡연 예방 대책이 필요한 사업장에 대해 보조금 지급 및 후생노동성의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활용을 촉구하고 있다.

; 가나가와현 공공시설에서의 간접흡연 방지 조례

2009년 3월 24일에 가결·성립된 가나가와현 공공시설에서의 간접흡연 방지 조례는 지방자치단체 최초의 조례이다. 이 조례는 공공시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매장 면적 100m2 이상의 음식점이나 연회장은 금연 또는 완전 분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완전 분연을 선택한 경우, 흡연 구역 및 흡연실에 미성년자의 출입은 업무 종사자를 제외하고 보호자 동반 시에도 금지된다. 금연 장소에서의 흡연은 20000JPY 이하의 과태료, 시설 관리자가 의무를 지키지 않고 도지사의 명령에 따르지 않는 경우 50000JPY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어, 건강증진법보다 더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18. 7. 일본 학술 회의의 평가 및 제언

일본학술회의는 여러 보고서를 바탕으로 "수동흡연은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건강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 제시되어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평가했다.[284] 2008년 3월 4일에 발표한 제언 "탈담배 사회의 실현을 향하여"에서는 "수동흡연이 폐암, 심근경색, 소아의 기관지염, 폐렴천식 악화, 영유아 돌연사 증후군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타인의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흡연할 권리를 흡연자에게 인정할 수 없다"고 하며, 직장·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를 요구했다.[284]

구체적으로는 "직장, 레스토랑 및 바를 포함한 공공장소의 실내 및 택시를 포함한 대중교통에서의 전면 금연을 명시하고, 벌칙이 있는 강제력을 수반하는 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는 담배규제기본협약 당사국으로서 일본이 담배 대책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요구이다.[284]

18. 8. 대응 및 사례 (일본)

일본에서는 2003년에 시행된 건강증진법에 따라, 학교, 체육관, 병원, 극장 등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의 관리자는 이용자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283] 후생노동성 건강국장 통지에서는 건강증진법 제25조에 규정된 간접흡연 예방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및 유의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283]

일본학술회의는 2008년 3월 4일에 발표한 제언 “탈담배 사회의 실현을 향하여”에서 '''“수동흡연이 폐암이나 심근경색, 소아의 기관지염·폐렴 및 천식 악화, 영유아 돌연사 증후군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밝히며, '''직장·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284]

후생노동성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음식점이나 유흥장을 전면 금연으로 하도록 각 도도부현에 통지했다.[285] 각 지자체 차원에서는 택시 금연화가 진행되어, 2007년 5월 1일부터 아이치현 나고야시 및 그 주변 지역에서 전 택시 8050대가 전면 금연이 되었고, 2007년 7월 11일부터는 가나가와현에서 택시 전 차량 금연화가 이루어졌다.

2015년, 자민당 간접흡연 방지 의원 연맹은 2020년 도쿄 올림픽·패럴림픽까지 담배의 간접흡연 방지를 추진하고자 공공장소에서의 간접흡연 방지책을 의무화하는 「간접흡연 방지 법안」의 골자안을 발표했다.[286] JTBC보도에 따르면, 일본에서도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금연법을 제정할 예정이다.[327]

2017년, 후생노동성은 원칙적으로 실내 금연으로 하는 처벌이 있는 간접흡연 방지 법안을 제시하고 규제 방식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담배 없는 올림픽" 방침에 따라 간접흡연 대책을 강화하여, 음식점 등의 실내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연이며 흡연실 설치 등이 요구될 예정이다. 위반자에게는 300000JPY의 과료를 부과한다.

18. 9. 간접흡연 관련 소송 (일본)


  • 2004년 8월 5일, 한 택시 운전사가 신나카 하이어를 상대로 간접흡연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주장하며 50만의 손해배상과 차량 내 전면 금연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2006년 5월 9일,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지만, 판결문에는 "택시의 전면 금연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덧붙여졌다. 원고는 항소했으나 2006년 10월 11일 도쿄고등법원에서 항소가 기각되었다.[251][252][253]
  • 도쿄도 에도가와구 공무원이 구청을 상대로 제기한 직장 내 간접흡연 관련 손해배상 청구 소송. 2004년 7월 13일, 도쿄지방법원은 에도가와구가 안전 배려 의무를 소홀히 했다며 5만의 지급을 명령했다. 판결은 피용자(공무원)가 담배 연기로부터 보호받는 것을 안전 배려 의무의 내용으로 규정하고, 간접흡연과 건강 피해의 인과관계를 일본에서 최초로 법적으로 인정했다.
  • 홋카이도 타키카와시의 건축 자재 제조 회사인 도오켄테쓰에 근무하던 남성이 직장 내 간접흡연으로 인해 급성 간접흡연증에 걸렸다. 남성이 회사에 분연(分煙) 등 개선을 요구하자 해고되었고, 이에 불복하여 2008년 1월 24일 해고 무효 확인과 임금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삿포로지방법원 이와미자와지청에 제기했다. 도오켄테쓰 측은 "사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직원이 흡연자이며, 분연을 위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남성을 해고했다"고 주장했다. 2009년 4월 1일, 도오켄테쓰가 남성에게 700만을 지급하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 섹스이하우스 시가현 공장에 근무하던 여성 직원이 남성 직원들이 공장 내 흡연실을 이용하지 않고 여성 직원이 근무하는 미싱(ミシン)실에서 계속 흡연하여 간접흡연 상태가 되어 2009년 7월 담배 연기에 기인한 화학물질과민증(シックハウス症候群) 진단을 받았다. 여성 직원은 상사에게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2011년 12월 섹스이하우스를 상대로 위자료 등을 청구하는 소송을 오사카지방법원에 제기했다.[288] 1심 오사카지방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지만, 2심 오사카고등법원에서 2016년 5월 31일 섹스이하우스가 원고에게 약 350만의 합의금(解決金)을 지급하는 내용으로 합의가 성립되었다.[289]
  • 2017년 11월,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외곽 단지(団地)에 거주하는 음악가가 이웃집의 흡연으로 인해 간접흡연증과 화학물질과민증에 걸렸다며 4500만 엔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방음실인 이중창 방에서 하루에 수 갑 정도 흡연했다. 2019년 11월 요코하마지방법원 판결에서 건강 악화와 흡연의 인과관계는 인정되지 않았고, 단지 내 자택에서의 흡연은 자유이며 사회 상당성을 벗어나는 사정이 없다면 불법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재판 기록에는 일본금연학회 사쿠타가쿠(作田学) 의사의 진단서가 있었고, 원고의 건강 악화는 간접흡연증 때문이라고 기재되어 있었지만, 판결에서는 "직접 진찰하지 않고 행해진 것이며, 의사법 20조에 위반하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의사법 위반 지적이 있었다. 또한 "일본금연학회의 '간접흡연증의 분류와 진단 기준'에 따라 원고의 건강 악화에 대해 '간접흡연증'이라는 병명을 진단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기준이 간접흡연 자체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없어도 환자의 신고만으로 간접흡연증으로 진단해도 된다고 하는 것은 조기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서 또는 법적 수단을 취하기 위한 포석으로 하는 일종의 정책 목적에 의한 것이라고 인정된다"라고 진단 기준에도 의문이 제기되었다.[290][291] 원고는 도쿄고등법원에 상고했지만 기각되어 원고의 패소가 확정되었다.[292][293]

19. 간접흡연에 관한 과학적 지식 및 성명/견해

간접흡연은 담뱃불에서 직접 피어오르는 연기의 온도 차이 때문에, 주류 연기(메인스트림 연기)보다 몇 배 또는 그 이상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환경담배연기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294] 담배회사 자체 실험에서도 여러 발암물질의 농도가 주류 연기보다 간접흡연에서 더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1993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환경담배연기(ETS)에 대한 위험도 평가 최종 보고서[242]에서 ETS를 그룹 A(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알려진)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간접흡연과 건강에 대한 역학 연구는 1960년대 후반에 처음 발표되었다. 종합적으로는, 1972년 미국 공중보건국(US Public Health Service) 국장 명의로 발표된 보고서[241]가 처음으로 간접흡연을 건강 위험 요소로 인정했다.

여러 단체와 학회에서 간접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성명과 견해를 발표했다.

학회명성명/견해
일본공중위생학회2000년 7월 “담배 없는 사회 실현을 향하여”를 발표한 이후, 2002년 5월 “담배 없는 사회 실현을 향하여 더욱 전진을”, 2003년 10월 “담배 없는 사회 실현을 위한 행동 선언”을 연이어 발표하며 간접흡연의 해악을 알리고 학교 등 시설의 금연화를 목표로 함.
일본폐암학회2000년 11월 2일, 도쿄에서 개최된 제41회 일본폐암학회 총회에서 “금연 선언”을 발표. 학회는 “흡연은 가장 큰 폐암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반담배 캠페인 실시” 및 “간접흡연의 해악을 배제하기 위해 직장, 공공장소에 흡연장소 설치를 주장”.
일본헬스케어치과연구회2001년 제3회 평의원회에서 “금연 선언” 채택, 10월 21일 추계 학술 강연회에서 승인. 연구회는 “모든 환자에게 흡연·간접흡연의 유해 작용을 지도한다”고 밝힘.
일본순환기학회2002년 4월 25일 “금연 선언” 발표. 흡연은 흡연자 본인뿐만 아니라 간접흡연을 통해 비흡연자에게도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을 유발한다며, 모든 국민의 금연 및 간접흡연 방지를 추진하는 활동이 바람직하다고 성명.[300]
일본기관지학회(현・일본호흡기내시경학회)2002년 제25회 일본기관지학회 총회에서 “금연 활동 선언” 발표. 학회는 “흡연 및 그로 인한 각종 기도 및 폐의 손상은…폐암, 만성 기관지염, 폐섬유증, 폐기종, 기관지 천식 등의 발현 및 진행에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며 “대중교통기관에 관하여, 구내에서의 담배 판매 중지, 역 구내·차량의 전면 금연화” 등을 요구.
일본구강위생학회2002년 9월, 금연 선언 “담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발표. 간접흡연의 해악을 알리고 학교 등 시설의 금연화를 목표로 함.
일본암학회2003년 9월 27일, “금연 선언” 발표. 학회원뿐만 아니라 관련 기관·일반 국민에게도 호소하며, “모든 기회를 잡아 흡연의 해악을 설명하고 금연을 호소”하며, “간접흡연에 의한 비흡연자의 건강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는 대책을 추진”.
일본구강외과학회2003년 10월 23일 “금연 추진 선언” 발표. 간접흡연에 의해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간접흡연에 의한 건강 피해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하는 내용의 선언.[301]
일본암치료학회2005년 11월 14일, “일본암치료학회 금연 선언” 발표. “금연은 암 예방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과학적 근거가 확립되어 있다”며 “모든 국민에게 모든 기회에 간접흡연을 포함한 흡연의 건강에 대한 악영향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알린다”고 학회원에게 요구.[302]
일본호흡기학회2006년 11월 17일 “간접흡연과 폐암의 관련에 관한 성명”에서 간접흡연과 폐암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정보를 일반 사람들에게 전달.[303]


  • WHO 사무총장 그로 할렘 브룬트란트 박사: 2001년 5월 3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간접흡연이 암, 호흡기 질환, 심장 질환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간접흡연은 천식, 어린이의 호흡기 질환, 영아돌연사증후군, 중이염 등 다양한 소아과 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것도 명백합니다. 과학자들은 간접흡연에는 허용 범위(안전한 수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합니다"라고 성명하면서 담배 산업의 간접흡연 대책 방해에 대해 비판했다.[304]

  • 기타 연구:
  • 1981년 히라야마 유키오(平山雄)는 간접흡연과 폐암으로 인한 사망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논문(소위 히라야마 논문)을 발표했다.[305]
  • 1998년 국제암연구기관(IARC)의 역학 조사에서는 74세까지의 폐암 및 관련 질환 환자 650명을 대상으로 간접흡연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유년기 간접흡연(ETS)에서 폐암에 걸릴 위험성을 찾을 수 없었고, 15년 이상의 기간이 지난 환자들에게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었다.[306]
  • 2002년 IARC는 "간접흡연은 사람에게 폐암을 일으킨다고 결론지을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보고했다.[310]
  •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보호청은 간접흡연(ETS)은 독성을 가진 대기오염 물질이라고 보고했다.[311]
  • 2003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연구자 James E. Enstrom과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 Geoffrey C. Kabat 준교수의 논문이 영국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 게재되었다. 1959년 말 미국 암 학회의 암 예방 연구 대상자를 1998년까지 추적 조사한 결과, 경미한 영향은 있지만 간접흡연(ETS)과 담배 관련 사망률의 인과 관계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313] 그러나 이 연구는 미국암협회(ACS)를 비롯한 비판을 받았으며,[314] 2006년 연방 법원에서 "대중을 속이기 위한 목적으로 과학을 조작한 사기 행위"로 판결되었다.
  • 2006년 미국 공중보건국장 연차 보고에서 "간접흡연은 아동 및 성인에게 질병 및 조기 사망을 일으킨다"고 보고했다.[315][316]
  • 2007년 미국 신경학회(AAN) 연례 회의에서 간접흡연이 알츠하이머병 등의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었다.[317]
  • 2007년 유럽 심장 학회의에서 아일랜드에서 직장 내 금연 제도 도입 후 1년 동안 심장 발작 건수가 약 10%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318]

담배 산업의 방해 공작:

  • 2000년 4월 8일자 『란셋』(The Lancet)에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연구자들은 필립 모리스社 및 다른 담배 회사의 내부 자료를 검토한 결과, 담배 산업 측이 언론에 허위 정보를 흘리는 등 논문 해석에 혼란과 논쟁을 야기하도록 책략을 꾸미고 IARC의 간접흡연에 대한 조사 연구를 방해했다는 보고를 했다.[307]

  • 2000년 8월 2일 WHO 담배 산업 문서 관련 전문가 위원회는 미국에서의 담배 산업에 대한 소송에서 담배 회사의 비밀 문서가 공개된 결과, 담배 업계가 비밀리에 자금을 제공하는 학회 모양 단체, 여론 형성 단체, 사업 단체 등을 통해 WHO의 담배 규제에 대한 방해 공작을 했고, 그 활동이 담배 산업계와 은밀히 자금적으로 연결된 국제적인 과학자들에게 강하게 의존하고 있었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다.[308][309]

20. 담배 회사의 견해 (일본)

일본담배산업(JT)[319]는 간접 흡연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간접흡연이 비흡연자의 질병 원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설득력 있는 형태로 제시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간접흡연 노출과 비흡연자 질병 발생률 상승과의 통계적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간접흡연은 공기 중에서 확산 및 희석되기 때문에 흡연자가 흡입하는 연기 중 성분량과 비교하면 비흡연자가 흡입하는 양은 극히 적다는 것이다.

필립 모리스[320]는 간접흡연의 유해성에 관한 공중보건기관의 결론에 기반한 간접흡연 예방 조치는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공중보건 당국은 간접흡연이 성인 비흡연자에게 폐암이나 심장병 등의 질병을, 또한 어린이들에게 천식, 호흡기 감염, 기침, 쌕쌕거림, 중이염, 영아 돌연사 증후군 등을 일으킨다고 결론짓고 있으며, 간접흡연은 성인의 천식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으며, 눈, 목, 코의 염증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중보건 당국의 결론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규제하는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한다.

영국담배(BAT)[321]는 간접흡연이 폐암이나 심장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세계보건기구(WHO) 및 기타 많은 공중보건 단체는 간접흡연이 여러 질병의 원인 중 하나라는 보고를 하고 있지만, 간접흡연이 단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있지만, 폐암이나 심장 질환 등의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알. 제이. 레이놀즈 담배 회사(R.J. Reynolds Tobacco Company)[322]는 개인이 흡연 여부를 판단할 때 미국 공중보건국, 미국 보건복지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공중보건 기관의 보고서를 참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고로, 필립모리스를 비롯한 주요 담배회사들이 RICO법(Racketeer Influenced and Corrupt Organizations Act) 위반 혐의로 1999년 미국 정부로부터 고소당한 재판에서는 피고인 담배회사들이 간접흡연과 비흡연자 질병의 관련성을 내부적으로는 인지하면서도 공개적으로는 부정하는 발표를 반복했다는 점이 연방법원 판결에서 지적되었다.[323]

21. 일본 정부(후생노동성)의 견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2009년 3월 24일 「간접흡연 방지 대책의 방향에 관한 검토회 보고서」를 발표했다.[324] 이 보고서는 간접흡연이 사망, 질병 및 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명확히 밝히고 있다. 또한, 간접흡연 방지를 위해 공공장소 흡연을 규제한 국가 및 지역에서 규제 이후 급성 심근경색 등 심각한 심혈관 질환 발생이 감소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음을 언급하며, 간접흡연 방지 대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후생노동성은 "향후 간접흡연 방지 대책은 기본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는 원칙적으로 전면 금연이어야 한다"는 기본 방침을 명시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담배 없는 올림픽" 방침에 따라, 일본은 간접흡연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음식점 등 실내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연이며, 흡연실 설치 등이 요구된다. 위반 시에는 300000JPY의 과료가 부과된다 (자세한 내용은 건강증진법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www.surgeonge[...] Surgeon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2006-06-27
[2] 논문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hat involuntary smoking (exposure to secondhand or 'environmental' tobacco smoke) causes lung cancer in humans http://monographs.ia[...] 2004
[3] 웹사이트 Tobacco https://www.who.int/[...] 2024-02-24
[4] 논문 Secondhand smoke: facts and lies
[5] 웹사이트 CDC - Fact Sheet - Smoke-Free Policies Reduce Smoking - Smoking & Tobacco Use https://www.cdc.gov/[...] 2015-04-24
[6] 서적 Lifting the smokescreen: tobacco industry strategy to defeat smoke free policies and legislation https://www.oxysuiss[...] 2006
[7] 논문 Tobacco Industry Efforts Undermining Evidence Linking Secondhand Smok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2007-10-16
[8] 논문 Fritz Lickint https://www.thelance[...] The Lancet 2014
[9] 웹사이트 Chapter 32 History of Tobacco https://www.af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10] 논문 The first surgeon general's report on smoking and health: The 50th anniversary 2013-11-18
[11]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http://www.epa.gov/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2] 논문 Other people's smoke: what's in a name? 2003-06-01
[13] 논문 The New Danger of Thirdhand Smoke: Why Passive Smoking Does Not Stop at Secondhand Smoke 2011-10-01
[14] 논문 2004
[15] 보고서 Proposed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s a Toxic Air Contaminant https://escholarship[...] 2005-06-24
[16] 보고서 2006
[17]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SHS) Facts https://www.cdc.gov/[...] 2021-01-05
[18] 논문 Epidemiology of Lung Cancer 2013-05-01
[19] 논문 Electronic cigarettes: a policy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ttps://escholarship[...] 2014-10-14
[20]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Secondhand Smoke https://www.cdc.gov/[...] 2014-11-24
[21] 논문 Lung cancer in never smokers: Diseas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http://dx.doi.org/10[...] 2013-12
[22] 논문 Active and passive smoking and risk of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https://strathprints[...] 2015-11
[23] 논문 The Role of Tobacco Smoke in Bladder and Kidney Carcinogenesis: A Comparison of Exposures and Meta-analysis of Incidence and Mortality Risks http://eprints.white[...] 2016-09
[24] 보고서 2006
[25] 논문 Risk of all-caus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e expo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11-15
[26] 논문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tobacco cigarette smoking on heart rate variability 2013-02-20
[27] 논문 Passive cigarette smoking induces inflammatory injury in human arterial walls https://journals.lww[...] 2009-02-20
[28] 논문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stroke 2011-12
[29] 보고서 2006
[30] 논문 Indoor air pollution and respiratory health in the elderly 2013-12-06
[31] 논문 Second-hand smoke and the risk of tuberculosis: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2015-11
[32] 논문 The role of secondhand smoke in sinusitis: a systematic review: Sinusitis and secondhand smoke 2014-01
[33] 논문 Association of passive smoking with cognitive impairment in nonsmok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new study of Chinese cohort 2013-12
[34] 논문 The Cognitive Deficits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ing 2016-03-24
[35] 논문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mental health in adults: a meta-analysis of cross-sectional studies 2015-12-10
[36]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iscarriage and Maternal Exposure to Tobacco Smoke During Pregnancy 2014-02-10
[37] 서적 Surgeon General Report 2006
[38] 논문 Associations between Passive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Preterm Birth: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6-01-25
[39] 서적 Surgeon General Report 2006
[40] 논문 Effect of smoke-free legislation on perinatal and chil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3-28
[41] 논문 Secondhand smoke and adverse fetal outcomes in nonsmoking pregnant women: a meta-analysis 2011-04
[42]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perinatal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43] 논문 Maternal passive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neural tube defects in offspring: a meta-analysis 2013-08-13
[44] 논문 The effect of passive smoking on respiratory health in children and adults
[45] 논문 Active or Passive Exposure to Tobacco Smoking and Allergic Rhinitis, Allergic Dermatitis, and Food Allergy in Adults an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3-11
[46] 논문 A meta-analysis of passive smoking and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Mellitus 2015-01
[47] 논문 Passive smoking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13
[48] 논문 Passive smoke exposure and risk of diabete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2014-11
[49] 논문 Relation of active, passive, and quitting smoking with incident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12
[50]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itis Endpoints Among Nonsmokers 2016-11
[51] 논문 Passive smoking and heart disease. Epidemiology, physiology, and biochemistry
[52]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position paper from the Council on Cardiopulmonary and Critical Care, American Heart Association
[53] 서적 Surgeon General Report 2006
[54]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https://www.who.int/[...] 2015-04-24
[55] 뉴스 The last gasp https://www.economis[...] 2017-07-19
[56] 논문 Association of atopic dermatitis with smok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2
[57] 논문 Passive smoking and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1997-11
[58] 서적 Surgeon General Report 2006
[59] 간행물 Secondhand Smoke and Children Fact Sheet https://web.archive.[...] American Lung Association 2006-08
[60] 서적 Surgeon General Report 2006
[61] 논문 Developing Asthma in Childhood from Exposure to Secondhand Tobacco Smoke: Insights from a Meta-Regression
[62] 논문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Physician-Diagnosed Childhood Asthma 2013-03-28
[63] 논문 Effects of secondhand smoke exposure on asthma morbidi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11
[64] 논문 Cough • 2: Chronic cough in children
[65] 논문 Passive smoking,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and childhood infections
[66] 논문 Prenatal and postnatal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children's health http://pediatrics.aa[...]
[67] 간행물 Preventing Smoking and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Before, During, and After Pregnancy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07
[68] 논문 The role of breastfeeding and passive smoking on the development of severe bronchiolitis in infants https://www.minervam[...] 2007-06
[69] 논문 Childhood tuberculosis and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5
[70]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risk of allergic sensitisation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1
[71] 논문 Passive smoking in the etiology of non-syndromic orofacial clef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0-00
[72]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brain development: The cas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14-07-00
[73] 웹사이트 Scientific Consensus Statement on Environmental Agents Associated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http://www.iceh.org/[...] The Collaborative on Health and the Environment's Learning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itiative 2008-07-01
[74] 논문 Is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associated with cognitive paramet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013-10-00
[75] 문서 (정보 부족) 2006-00-00
[76] 논문 Parental Smoking and the Risk of Middle Ear Disease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1-01
[77] 논문 Association of Secondhand Smoke Exposure with Pediatric Invasive Bacterial Disease and Bacterial Carria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12-07
[78] 논문 Association of Secondhand Smoke Exposure with Pediatric Invasive Bacterial Disease and Bacterial Carria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12-07
[79] 논문 Impa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on anaesthetic and surgical outcomes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2-00
[80]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2015-01-00
[81] 논문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Childhood Secondhand Tobacco Smoke Exposure: Prevailing Evidence, Burden, and Rac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6-10-18
[82] 논문 Passive smoking and the risk of heart disease 1992-01-01
[83]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ischaemic heart disease: an evaluation of the evidence 1997-10-18
[84] 논문 Epidemiologic studies of fatal and nonfatal cardiovascular disease and ETS exposure from spousal smoking 1999-12-00
[85] 논문 Passive Smoking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 A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Studies 1999-03-25
[86] 논문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the truth? The research that Philip Morris did not want you to see 2005-00-00
[87] 논문 Philip Morris toxicological experiments with fresh sidestream smoke: more toxic than mainstream smoke 2005-00-00
[88] 논문 Sidestream cigarette smoke toxicity increases with aging and exposure duration 2006-00-00
[89] 논문 Concentrations of the Carcinogen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in Sidestream Cigarette Smoke Increase after Release into Indoor Air: Results from Unpublished Tobacco Industry Research 2007-08-01
[90] 논문 Passive smoking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prospective study with cotinine measurement 2004-07-24
[91] 논문 The accumulated evidence on lung cancer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1997-10-18
[92] 논문 Reanalysis of epidemiological evidence on lung cancer and passive smoking 2000-02-12
[93] 논문 Revisiting evidence on lung cancer and passive smoking: Adjustment for publication bias by means of "trim and fill" algorithm 2006-02-00
[94] 논문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the risk of lung cancer: a meta-analysis 2000-01-00
[95] 논문 Passive smoking and lung cancer: a cumulative meta-analysis 2001-06-00
[96] 논문 Exposure to secondhand tobacco smoke and lung cancer by histological type: A poole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Lung Cancer Consortium (ILCCO): Secondhand tobacco smoke and lung cancer 2014-10-15
[97] 논문 Passive smoking: out from the haze 2007-00-00
[98] 논문 Passive Smoking,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ta-Analysis 1999-03-25
[99] 논문 Secondhand smoke as an acute threat for the cardiovascular system: a change in paradigm 2006-02-01
[100] 논문 Meta-analysis of studies of passive smoking and lung cancer: effects of study type and continent 2007-10-01
[101] 논문 Lung Cancer Risk and Workplace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2007-03-00
[102]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indoor air pollution http://www.nationala[...] 2006-07-26
[103] 논문 Le tabagisme passif 2005-03-00
[104] 뉴스 France to ban smoking in public http://news.bbc.co.u[...] BBC 2006-10-08
[105] 논문 Cardiovascular Effect of Bans on Smoking in Public Places 2009-09-00
[106] 논문 The effects of smoke-free legislation 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12
[107] 논문 Lung cancer from passive smoking at work 1998-07
[108] 서적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s://www.ncbi.nlm[...]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2006
[109]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mong infants, children and young people: now is no time to relax 2017-02
[110] 논문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1. Parental smoking and lower respiratory illness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1997-10
[111] 논문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4. Parental smoking, middle ear disease and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1998-01-01
[112] 논문 Perceptions of Second-hand Smoke Risks Predict Future Adolescent Smoking Initiation 2009-12
[113] 웹사이트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WHO FCTC) https://www.who.int/[...] 2024-06-12
[114] 논문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Among Nonsmokers — United States, 1988–2014 2018-12-07
[115] 논문 Family and carer smoking control programmes for reducing children's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2018-01-31
[116] 논문 Marker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exposure 2005-02
[117] 논문 Are biomarkers useful treatment aids for promoting health behavior change? An empirical review 2002-04
[118] 논문 Are self-reports of smoking rate biased? Evidence from the Seco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5-10
[119] 논문 Secondhand smoke and nicotine exposure: a brief review 2007-10
[120] 논문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exposure to cigarette smoking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focus on developmental toxicology 2009-02
[121] 논문 Evaluation of a portable measure of expired-air carbon monoxide 1988-01
[122] 논문 Philip Morris toxicological experiments with fresh sidestream smoke: more toxic than mainstream smoke
[123] 논문 Particulate matter from tobacco versus diesel car exhaust: an educational perspective
[124] 논문 Cardiovascular effects of secondhand smoke: nearly as large as smoking
[125] 논문 Acute effects of passive smoking on the coronary circulation in healthy young adults
[126] 논문 Passive Smoking and Impaired Endothelium-Dependent Arterial Dilatation in Healthy Young Adults 1996-01-18
[127] 논문 Why is environmental tobacco smok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an expected? A review of potential biases and experimental data 1999-12
[128] 논문 Pulmonary emphysema induced by passive smoking: an experimental study in rats 1997-10
[129] 논문 Effects of long-term passive smoking on the mast cells in rat lungs http://revmedvet.com[...]
[130] 논문 Households contaminated by environmental tobacco smoke: sources of infant exposures 2004-03
[131] 논문 Beliefs about the health effects of "thirdhand" smoke and home smoking bans 2009-01
[132] 뉴스 A New Cigarette Hazard: 'Third-Hand Smoke' https://www.nytimes.[...] 2009-01-02
[133] 논문 Formation of carcinogens indoors by surface-mediated reactions of nicotine with nitrous acid, leading to potential thirdhand smoke hazards 2010-04-13
[134] 뉴스 Louisiana Hospital to Ban Odor of Smoke on Workers' Clothes https://www.foxnews.[...] Fox News 2011-10-03
[135] 논문 Lung Cancer in Never Smokers: Clinical Epidemiology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2009-09-15
[136] 문서 Kessler 2006
[137] 웹사이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s://ntp.niehs.ni[...]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08-27
[138]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Fact Sheet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02-21
[139]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cancercontrol[...] U.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8-22
[140]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http://www.epa.gov/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09-24
[141]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Secondhand Smoke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7-08-27
[142]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Fact Sheet http://www.lungusa.o[...] American Lung Association 2007-09-24
[143]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2007-08-27
[144] 보도자료 AMA: Surgeon General's secondhand smoke report a wake-up call to lawmakers http://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7-08-27
[145] 웹사이트 Tobacco's Toll: Implications for the Pediatrician http://aappolicy.aa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7-10-02
[146] 웹사이트 National Response to Passive Smoking in Enclosed Public Places and Workplaces http://www.nphp.gov.[...] Australian National Public Health Partnership 2000-11-01
[147] 보고서 1998 report of the SCOTH http://www.archive.o[...] 1998-01-01
[147] 보고서 2004 update by the SCOTH http://www.dh.gov.uk[...] 2004-01-01
[148] 서적 Ch. 10 2006-01-01
[149] 웹사이트 More Smokers Feeling Harassed by Smoking Bans http://www.gallup.co[...] 2007-07-25
[150] 웹사이트 Cato and the tobacco industry http://www.sourcewat[...] 2011-04-08
[151] 뉴스 The IPA sings its own song The Australian 2000-04-10
[152] 논문 I am a sceptic, but I'm not a denier 2010-05-01
[153] 논문 Denialism: what is it and how should scientists respond? 2008-10-16
[154]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tobacco related mortality in a prospective study of Californians, 1960-98
[155] 논문 Effect of passive smoking on health: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but the controversy still persists
[156] 서적 2006-01-01
[157] 논문 Tobacco industry efforts undermining evidence linking secondhand smok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158] 보도자료 American Cancer Society Condemns Tobacco Industry Study for Inaccurate Use of Data http://www.no-smoke.[...] American Cancer Society 2003-05-13
[159] 논문 More misleading science from the tobacco industry 2003-10-04
[160] 웹사이트 Propos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Low Levels of Active Smoking to Mortality: Letter from James Enstrom to Philip Morris Scientific Affairs office http://legacy.librar[...] 1997-01-01
[161] 논문 Passive-smoking study faces review 2007-03-01
[162] 서적 2006-01-01
[163] 서적 2006-01-01
[164] 논문 The limits of competing interest disclosures 2005-04-01
[165]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a meta-analysis and critique 2006-03-01
[166] 서적 2006-01-01
[167] 법률문서 United States of America v. Philip Morris et al. http://www.usdoj.gov[...]
[168] 웹사이트 ETS / IAQ SCIENTIFIC CONSULTANTS http://legacy.librar[...] 2007-07-19
[169] 논문 Stoking the Rigged Terror of Secondhand Smoke http://www.cato.org/[...] 2007-01-01
[170] 뉴스 Smoked Out: Pundit for Hire https://ssl.tnr.com/[...] The New Republic 2006-01-26
[171] 웹사이트 Philip Morris budget for "Strategy and Social Responsibility" http://legacy.librar[...] 2007-08-22
[172] 웹사이트 Secondhand Joking http://www.junkscien[...] 2013-05-31
[173] 논문 Turning Science Into Junk: The Tobacco Industry and Passive Smoking
[174] 웹사이트 Scientific Communications Through the Media http://www.pmdocs.co[...] 2018-03-01
[174] 논문 Constructing 'Sound Science' and 'Good Epidemiology': Tobacco, Lawyers, and Public Relations Firms 2001-11-01
[175] 논문 Constructing "Sound Science" and "Good Epidemiology": Tobacco, Lawyers, and Public Relations Firms
[176] 논문 Ischemic Heart Disease and Spousal Smoking in the National Mortality Followback Survey 1995-02
[177] 논문 Publication Bias in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Coronary Heart Disease Epidemiologic Literature 1995-02
[178]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ischemic heart disease 2003-07
[179] 논문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Lung Cancer in Europe 1998-10-07
[180] 웹사이트 Passive Smoking Doesn't Cause Cancer —Official http://tobaccodocume[...]
[181] 웹사이트 Smokescreens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s showing signs of allowing politics to get in the way of truth. The Economist March 14th, 1998 http://ltdlimages.li[...]
[182] 뉴스 Anti-smokers blown away by study Australian 1998-03-10
[183] 뉴스 WHO Rejects smoking link with lung cancer Zimbabwe Independent 1998-10-23
[184] 뉴스 No Link Between Passive Smoking and Lung Cancer The Times 1998-03-09
[185] 논문 Passive smoking does cause lung cancer, do not let them fool you 1998-06
[186] 논문 Passive Smoking and Lung Cancer Risk: What Is the Story Now? 1998-10-07
[187] 논문 Tobacco industry efforts subverting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s second-hand smoke study
[188] 웹사이트 Tobacco Companies Strategies to Undermine Tobacco Control Activities 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 2008-12-30
[189] 웹사이트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http://oaspub.epa.g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0] 웹사이트 The Osteen Decision http://www.tobacco.o[...]
[191] 웹사이트 Flue-Cured Tobacco Cooperative vs. EPA http://pacer.ca4.usc[...] 2008-12-30
[192] 서적 Meeting of the NTP Board of Scientific Counselors – Report on Carcinogens Subcommittee https://ntp.niehs.ni[...] 1998-12-03
[193] 논문 Passive smoking: Tobacco industry publishes disinformation
[194] 논문 Why review articles on the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reach different conclusions
[195] 논문 Changing conclusions on secondhand smoke in a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review funded by the tobacco industry
[196]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http://www.surgeonge[...] Surgeon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2009-01-28
[197] 웹사이트 Minutes of a meeting of Philip Morris with British tobacco companies to discuss tobacco-industry strategy on passive smoking http://tobaccodocume[...] 2007-08-27
[198] 문서 A Study of Public Attitudes toward Cigarette Smoking and the Tobacco Industry in 1978 http://legacy.librar[...]
[199] 논문 'We will speak as the smoker': the tobacco industry's smokers' rights groups 2007-01-05
[200] 논문 "Conclusions about exposure to ETS and health that will be unhelpful to us"*: How the tobacco industry attempted to delay and discredit the 1997 Australian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report on passive smoking
[201]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and associations with the tobacco industry
[202] 문서
[203] 웹사이트 Imperial Tobacco Group PLC - Media - Our view - Smoking and health -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www.imperial-[...] 2008-10-25
[204] 웹사이트 Litigation Against Tobacco Companies http://www.usdoj.gov[...] U.S. Department of Justice
[205] 웹사이트 Appeal Ruling http://pacer.cadc.us[...] U.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2009-05-22
[206] 뉴스 Altria, Cigarette Makers Lose 'Lights' Ruling Appeal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09-05-22
[207] 뉴스 U.S. appeals court agrees tobacco companies lied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5-22
[208] 웹사이트 Smokers Daring Bloomberg To Ticket Them Under Park Ban http://gothamist.com[...]
[209] 웹사이트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2-27
[210] 웹사이트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from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11] 웹사이트 Market Research World http://www.marketres[...]
[212] 논문 Legislative smoking bans for reducing harms from secondhand smoke exposure, smoking prevalence and tobacco consumption 2016-02-04
[213] 논문 Reduced hospitalizations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implementation of a smoke-free ordinance—City of Pueblo, Colorado, 2002–2006 https://www.cdc.gov/[...] 2009-01-01
[214] 웹사이트 Reducing Worker Exposure to ETS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2015-01-14
[215] 논문 Impact of institutional smoking bans on reducing harms and secondhand smoke exposure 2016-05-27
[216] 논문 Smokefree policies to reduce tobacco use. A systematic review 2010-01-01
[217] 논문 Review of the quality of studies on the economic effects of smoke-free policies on the hospitality industry 2003-03-01
[218] 논문 Secondhand smoke exposure in bars and restaurants in Guatemala City: before and after smoking ban evaluation 2010-11-01
[219] 논문 At the frontier of tobacco control: A brief review of public attitudes toward smoke-free outdoor places 2009-06-01
[220] 뉴스 No ifs or butts https://www.building[...] 2005-03-07
[221] 논문 Tobacco industry efforts to present ventilation as an alternative to smoke-free environments in North America 2004-03-01
[222] 웹사이트 ASHRAE Position Document o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s://www.ashrae.o[...]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2020-07-01
[223]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http://www.surgeonge[...] Surgeon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2009-01-28
[224] 웹사이트 Institute for Health and Consumer Protection Activity Report 2003 http://ihcp.jrc.ec.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2009-01-28
[225] 뉴스 Let Bars Buy, Sell Smoking Permits http://www.madison.c[...] 2009-01-28
[226]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Causes Cancer in Pets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07-08-31
[227] 논문 p53 expression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in felin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228]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Risk of Malignant Lymphoma in Pet Cats
[229] 논문 Passive smoking and canine lung cancer risk
[230] 논문 Beliefs about the health effects of "thirdhand" smoke and home smoking bans http://www.ncbi.nlm.[...] 2009-01-01
[231] 웹사이트 受動喫煙 https://www.e-health[...] 2022-05-22
[232] 웹사이트 加熱式たばこの健康影響 https://www.e-health[...] 2022-05-22
[233] 웹사이트 受動喫煙の測定方法 http://ganjoho.ncc.g[...]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がん情報サービス 2010-10-14
[234] 웹사이트 新たな職場における喫煙対策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の策定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03-05-09
[235] 뉴스 有害微小物質PM2.5の環境基準案固まる http://www.nikkeibp.[...] 日経BP 2009-07-02
[236] 간행물 2006 Surgeon General's Report—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237] 웹사이트 World No Tobacco Day 2007 http://www.who.int/t[...] WHO 2010-09-28
[238] 뉴스 受動喫煙原因による死亡 全世界で年間60万人に http://www.mixonline[...] ミクスonline 2022-05-22
[239] 웹사이트 タバコ製品の有害性に関する世界医師会声明 http://www.nosmoke55[...] 日本禁煙学会 2010-09-28
[240] 웹사이트 厚生労働省・受動喫煙防止対策について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241]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profiles.nlm.[...] アメリカ国立衛生研究所 2010-12-15
[242] 웹사이트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http://www.epa.gov/n[...] アメリカ合衆国環境保護庁 2010-12-15
[242] 웹사이트 受動喫煙の呼吸器系への健康影響:肺がんとその他の疾患の要約 http://www.health-ne[...] 厚生省のTOBACCO or HEALTH : 最新たばこ情報 2010-12-15
[243] 웹사이트 PROTECTION FROM EXPOSURE TO SECOND-HAND TOBACCO SMOKE Policy recommendations http://www.who.int/t[...] WHO 2007-06-01
[244] 문서 Tobacco Industry Interference with World Health Organization's research on passive smoke and cancer.
[245] 웹사이트 WHO Report of the Committee of Experts on Tobacco Industry Documents July 2000 http://repositories.[...] WHO
[246] 웹사이트 タバコ産業等から資金を受けている人を講師としない要請 http://www.nosmoke55[...] NPO法人 日本禁煙学会 2008-03-03
[247] 간행물 平成10年度喫煙と健康問題に関する実態調査報告書 厚生省保健医療局 1999-00-00
[248] 웹사이트 平成29年国民健康・栄養調査報告 https://www.mhlw.go.[...] 2024-02-05
[249] 보고서 U.S. Bureau of the Census 200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U.S. Bureau of the Cens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05-00-00
[250] 웹사이트 「中学生向け防煙教材マニュアル」 3 中学生向け防煙教材 <基礎知識編> 妊娠・出産・育児とたばこ http://www.fukushiho[...] 東京都福祉保健局 2010-10-14
[251] 보고서 わが国の今後の喫煙対策と受動喫煙対策の方向性とその推進に関する研究 http://www.tobacco-c[...] 厚生労働科学研究費補助金(循環器疾患等生活習慣病対策総合研究事業) 2008-00-00
[252] 뉴스 受動喫煙 西日本リビング新聞社 2008-05-31
[253] 뉴스 ベランダ喫煙効果なし—室内での受動喫煙防げず 東京新聞 2008-11-17
[254] 논문 Living with a smoker increases mortality among non-smokers. 2007-00-00
[255] 논문 Secondhand Smoke and Streptococcal Infection in Young Children Under Japan's Voluntary Tobacco-Free Policy https://www.liebertp[...] 2019-00-00
[256] 웹사이트 http://www.rda.co.jp[...] 2022-05-00
[25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kin-en.in[...] 禁煙広報センター 2008-02-14
[258] 웹사이트 http://www.yakuji.co[...] 薬事日報 2022-05-00
[259] 웹사이트 平成11-12年度たばこ煙の成分分析について(概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60] 웹사이트 たばこの害について http://www.hokenkai.[...]
[261] 보고서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Tobacco Smoking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86-00-00
[262] 보고서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2-00-00
[263] 논문 The accumulated evidence on lung cancer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1997-10-18
[264] 보고서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The Report of the California EPA National Cancer Institute 1999-00-00
[265] 보고서 Women and Smoking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1-00-00
[266] 보고서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00-00
[267] 웹사이트 国際肺癌学会「禁煙」東京宣言 http://www.anti-smok[...]
[268] 웹사이트 受動喫煙と肺ガンの関連についての声明 http://www.jrs.or.jp[...] 日本呼吸器学会
[269] 웹사이트 受動喫煙による日本人の肺がんリスク約1.3倍 肺がんリスク評価「ほぼ確実」から「確実」へ http://www.ncc.g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270] 논문 Lung cancer in Japan: Effects of nutrition and passive smoking. Passive smoking: A new target of epidemiology. 1984-00-00, 1985-00-00
[271] 논문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 two urban communities in the west of Scotland. 1934-00-00
[272] 보고서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6-00-00
[273] 논문 Passive smoking as a cause of heart disease 1994-00-00
[274] 보고서 Women and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1-00-00
[275] 보고서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00-00
[276] 논문 Acute effects of passive smoking on the coronary circulation in healthy young adults 2001-00-00
[277] 뉴스 受動喫煙の死者、年間6800人=職場が半数超、禁煙化を-厚労省研究班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78] 뉴스 受動喫煙 年間6800人死亡 http://www.nhk.or.jp[...] NHK 2010-09-28
[279] 뉴스 受動喫煙で死亡、年間6800人 過半数は職場で被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09-29
[280] 웹사이트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http://www.who.int/t[...] WHO
[281] 웹사이트 たばこの規制に関する世界保健機関枠組条約(略称 たばこ規制枠組条約) https://www.mofa.go.[...] 2022-05-22
[282] 문서 WHOたばこ規制枠組条約第8条の実施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たばこ煙にさらされることからの保護」 https://www.mhlw.go.[...]
[283] 웹사이트 厚生労働省健康局長通知 http://www.mhlw.go.j[...]
[284] 간행물 脱タバコ社会の実現に向けて https://www.scj.go.j[...] 日本学術会議 2008-03-04
[285] 뉴스 「飲食店全面禁煙」通知…厚労省 都道府県などに 中央省庁対策見直しも 読売新聞 2010-02-26
[286] 뉴스 自民議連:「受動喫煙防止法案」骨子案 罰則付きの法整備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9-03
[287] 뉴스 舞台上の喫煙に賠償請求「観客の健康害した」 イスラエル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09-12-15
[288] 뉴스 「受動喫煙で健康被害」 積水ハウス社員が提訴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1-12-12
[289] 뉴스 積水ハウス 「受動喫煙で被害」元社員と和解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6-04
[290] 뉴스 自宅での喫煙に“4500万円払え”裁判 「禁煙学会理事長」の医師法違反が明るみに https://www.dailyshi[...] 週刊新潮 2020-02-20
[291] 뉴스 「受動喫煙」4500万円損害賠償裁判 横浜地検の棄却理由 https://www.nikkan-g[...] 日刊ゲンダイ 2020-02-29
[292] 문서 令和2年(ネ)第65号 損害賠償請求控訴事件判決文 http://www.kokusyo.j[...]
[293] 문서 令和3年(モ)第25号訴訟費用額確定処分申立事件 http://www.kokusyo.j[...]
[294] 논문 Philip Morris toxicological experiments with fresh sidestream smoke: more toxic than mainstream smoke.
[295] 서적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Tobacco Smoking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96] 서적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97] 논문 Metabolites of a tobacco-specific lung carcinogen in nonsmoking women exposed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298] 논문 Metabolites of a tobacco-specific lung carcinogen in the urine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299]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genetic susceptibility, and risk of lung cancer in never-smoking women
[300] 웹사이트 日本循環器学会 禁煙宣言 http://www.j-circ.or[...]
[301] 웹사이트 日本口腔外科学会禁煙推進宣言 http://www.jsoms.or.[...]
[302] 웹사이트 日本癌治療学会 禁煙宣言 http://jsco.umin.ac.[...]
[303] 웹사이트 受動喫煙と肺ガンの関連についての声明 http://www.jrs.or.jp[...]
[304] 웹사이트 WHO事務局長声明和訳 http://www.niihama-m[...]
[305] 간행물 『Bulletin of theWorld Health Organization』2000年の「78(7):938-942(classic)」 http://whqlibdoc.who[...]
[306] 논문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lung cancer in Europe http://jnci.oxfordjo[...]
[307] 웹사이트 IARC Press Releases 7 April 2000 https://www.ne.jp/as[...]
[308] 웹사이트 WHO Report of the Committee of Experts on Tobacco Industry Documents July 2000 Tobacco Company Strategies to Undermine Tobacco Control Activities 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repositories.[...]
[309] 웹사이트 WHOたばこ産業文書に関する専門家委員会報告書 https://www.ne.jp/as[...]
[310] 웹사이트 タバコ煙と受動喫煙の発がん性に関する国際ガン研究機構モノグラフ(2004年) http://monographs.ia[...]
[311] 웹사이트 カリフォルニア州環境保護庁:Air Resources Board http://repositories.[...]
[312] 논문 Tobacco money, the BMJ, and guilt by association
[313] 논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tobacco-related mortality in a prospective study of Californians http://www.bmj.com/c[...]
[314] 뉴스 How dangerous is passive smoking? http://www.bupa.co.u[...] BUPA's Health Information Team 2003-05-27
[315] 간행물 2006年米国公衆衛生局長官年次報告 http://www.surgeonge[...]
[316] 웹사이트 2006年米国公衆衛生局長官年次報告 http://www.jrs.or.jp[...] 日本呼吸器学会
[317] 뉴스 「受動喫煙がアルツハイマー病のリスクを増大」 http://health.yahoo.[...] ヤフーヘルスケア
[318] 뉴스 「アイルランドの心臓発作件数、禁煙制度導入後に減少」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22-05-22
[319] 웹사이트 JTの環境中たばこ煙に関する見解 http://www.jti.co.jp[...] JT
[320] 웹사이트 フィリップ・モリス社の環境中たばこ煙に関する見解 http://www.philipmor[...] フィリップ・モリス社
[321] 웹사이트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 ホームページ http://www.batj.com/[...]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 2022-05
[322] 웹사이트 R.J. レイノルズ社ホームページ(英文) http://www.rjrt.com/[...] R.J. レイノルズ社 2022-05
[323]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Philip Morris http://www.library.u[...] UCSF Library 2010-12-15
[324] 웹사이트 厚生労働省「受動喫煙防止対策のあり方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25] 웹사이트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http://www.who.int/t[...] WHO
[326]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 http://www.law.go.kr[...]
[327] 뉴스 일본, 올림픽 앞두고 금연법 추진…과태료 최대 300만원 http://news.jtbc.joi[...] JTBC 2017-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