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시의 시내버스는 파주시까지 연장 운행되는 노선이 많으며, 신성교통 면허의 노선이 다수를 차지한다. 고양시 관내에는 가온누리엠, 고양교통, 명성, 서울여객, 선진버스 등이 있으며, 김포, 광주, 양주, 파주, 서울 등 타 지역 운수업체도 고양시 시내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요금은 경기도를 기준으로 하며,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가 적용된다. 고양시 시내버스 노선은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고양누리버스 등이 있으며, 서울, 김포, 성남, 안양, 수원, 양주, 의정부, 파주 등 타 지역 면허의 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고양시의 교통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고양시의 시내버스
교통 정보
고양시내버스 799번
고양시내버스 799번
기본 정보
지역고양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고양시청 대중교통과
서비스 지역경기도 고양시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파주시, 부천시, 양주시
노선 수36
인가 대수568
지불 정보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하나로, 한페이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웹사이트
사이트"고양시 버스정보시스템"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2. 특징

고양시의 시내버스 노선은 대부분 파주시까지 연장 운행하며, 신성교통 면허의 노선이 다수를 차지한다. 일부 노선은 김포시, 서울특별시 버스 노선과 중복되기도 한다. 경기고속이나 대원고속의 버스는 주로 공항버스나 시외버스 노선이며, 시내버스 노선은 광역급행버스 M7412번, 9600번, 9700번(명성과 공동 배차), 8109번(경기순환버스) 등으로 제한적이다.

3. 운수 업체

3. 1. 고양시 관내 운수업체

가온누리엠은 광역급행버스 1개 노선을 운영하며 26대를 보유하고 있다.[1] 고양교통은 직행좌석버스 1개 노선, 일반시내버스 5개 노선을 운영하며 총 136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명성은 광역급행버스 1개, 직행좌석버스 8개, 일반좌석버스 5개, 일반시내버스 6개 노선을 운영하며 총 196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서울여객은 일반좌석버스 1개, 일반시내버스 9개 노선을 운영하며 총 104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선진버스는 일반시내버스 1개 노선을 운영하며 2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운행업체노선 수차량 대수
가온누리엠126
고양교통6136
명성20196
서울여객10104
선진버스 (선진)12


3. 2. 타 지역 운수업체

김포선진버스, 광주경기고속, 대원고속, 양주진명여객, 파주신성교통, 신일여객, 서울동해운수, 선진운수, 신수교통, 신촌교통, 제일교통등이 고양시 면허가 아닌 타 지역 운수업체이다. 서울매일버스, 보광교통도 타 지역 운수업체이다.

4. 운임

고양시에 다니는 시내버스의 요금은 서울특별시경기도로 구분되나, 운임은 경기도를 기준으로 적용된다. 서울특별시 버스노선의 운임에 대한 상세 내용은 서울특별시의 버스를 참조.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적용되어 30분 이내(21시부터 익일 07시까지는 1시간 이내) 환승 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시계외 운임도 적용된다. 국가유공자 및 6세 미만 어린이 1인을 동반할 경우 무료 승차가 가능하며, 6세 미만 어린이가 2인 이상인 경우 초등학생 운임이 적용된다.

2008년 6월 2일부터 2018년 7월 1일까지 고양시 소속 전체 마을버스와 일부 도시형버스(11번, 88A번, 88B번, 95번)에서 1~3급 장애인 무료 승차가 가능했으나, 현재는 유료로 전환되었다. 2011년 11월 1일부터 일부 도시형버스(66번, 72번, 96번, 97번)는 장애인 무료 승차가 불가능하다.

4. 1. 버스 요금

wikitext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4. 2. 환승 할인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적용되어 30분 이내(21시부터 익일 07시까지는 1시간 이내) 환승 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시계외 운임도 적용된다. 국가유공자 및 6세 미만 어린이 1인을 동반할 경우 무료 승차가 가능하며, 6세 미만 어린이가 2인 이상인 경우 초등학생 운임이 적용된다.

2008년 6월 2일부터 2018년 7월 1일까지 고양시 소속 전체 마을버스와 일부 도시형버스(11번, 88A번, 88B번, 95번)에서 1~3급 장애인 무료 승차가 가능했으나, 현재는 유료로 전환되었다. 2011년 11월 1일부터 일부 도시형버스(66번, 72번, 96번, 97번)는 장애인 무료 승차가 불가능하다.

5. 노선 목록

5. 1. 고양시 차적의 운행 노선

5. 1. 1. 도시형버스

명성에서 운행하는 11번 버스는 성석동에서 행신역까지 운행하며, 해태쇼핑, 중산중, 일산서구보건소, 일산역, 주엽역, 마두역, 백마역, 식사오거리, 고양시청, 신원당마을, 화정역, 샘터마을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9~12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50번 버스는 필리핀참전비에서 정발산역까지 운행하며, 관산주공A, 고양외고.제일중, 벽제교삼거리, 벽제초, 고봉동행정복지센터, 식사공단, 동국대병원사거리, 강촌마을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60~9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55번 버스는 킨텍스에서 고봉동까지 운행하며, 일산서부경찰서, 일산서구청, 고양종합운동장, 킨텍스역, 원마운트, 문촌초, 일산역, 중산10단지, 안곡중고, 안골, 9사단신병교육대, 마골, 성석초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30~6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60번 버스는 식사동에서 일산역까지 운행하며, 동국로삼거리, 약산마을, 잣골, 안골, 이전마을회관, 두배로마트, 상골, 윤촌말, 청아공원, 고흥주유소, 성석삼거리, 고봉초.중산고, 중산공원, 중산마을, 일산서구보건소, 산들5단지, 신촌초 → 후곡학원가 → 신일초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60~100분이다.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69번 버스는 고봉동에서 화정역까지 운행하며, 성석초, 문봉빌라단지, 고봉동행정복지센터, 상촌마을.문봉고개, 벽제초.사리현동문A, 쥬쥬테마동물원, 성사고.원당시장, 원당역, 달빛마을, 덕양구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8~2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75번 버스는 대화마을에서 신촌역까지 운행하며, 대화고.송포파출소, 고양종합운동장.대화역, 문촌마을.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백석역, 대곡역.고양경찰서, 행신동, 한국항공대역, 수색DMC역, 가좌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75~95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81번 버스는 식사지구에서 풍산역까지 운행하며, 식사구제거리, 위시티, 동국대병원, 숲속마을, 백마역, 백석고, 마두역, 라페스타, 저동초중고, 산들마을, 하늘마을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1~12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82번 버스는 내유동에서 신촌역까지 운행하며, 서울시립고양병원, 두포동.고양외고, 서울시립승화원, 낙타고개, 고양시청, 화정역, 능곡역.행신동, 덕은동, 수색DMC역, 가좌역, 연세대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50~6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83번 버스는 풍동지구에서 킨텍스역까지 운행하며, 풍동고.다솜초, 숲속마을.풍동중, 단풍1단지, 백마역, 백송마을, 일산병원,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대화역, 킨텍스, 현대백화점 → 킨텍스역 → 소노캄호텔 → 킨텍스원시티 → 포레나킨텍스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9~1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84번 버스는 풍동지구에서 하이마트사거리까지 운행하며, 풍동고.다솜초, 숲속마을, 풍산동행정복지센터, 백마학원가, 백송마을, 일산병원.백석역, 대곡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2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87번 버스는 설문동에서 밤가시마을까지 운행하며, 대원초,그린시티동문A, 대원3리경로당, 고봉4통마을회관, 삼성화재연수원, 오목촌, 고봉동행정복지센터, 식사구제거리, 위시티.동국대병원, 풍산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60~12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88A번 버스와 88B번 버스는 모두 대화역을 기점으로 순환 운행하며, 일산서구청.대화역 ⇒ 문촌마을.주엽역 ⇒ 일산호수공원 ⇒ 정발산역마두역.백석중 ⇒ 백석역.일산병원 ⇒ 국립암센터 ⇒ 후곡.성저마을을 경유한다. 88A번은 시계방향, 88B번은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두 노선 모두 5~1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89번 버스는 이마트킨텍스점에서 행신역까지 운행하며, 킨텍스역, 킨텍스,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문촌마을,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 (⇐ 하이마트사거리), 능곡초, 능곡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7~18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95번 버스는 식사지구에서 원흥지구까지 운행하며, 대성산업, 식사동빌라단지, 고양국제고, 위시티, 동국대병원사거리, 안곡초중고, 신일중.발산중, 정발산역.백석역, 고양경찰서.화정역, 고양어울림누리.원당역, 원흥역, 이케아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0~15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96번 버스는 식사동에서 통진까지 운행하며, 식사빌라단지, 고양가구단지, 해들마을.풍산역, 저동초중고, 정발산역.마두역, 백석역, 고촌역, 사우역, 장기사거리, 누산리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5~25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98번 버스는 식사지구에서 킨텍스역까지 운행하며, 양일초, 위시티, 동국대병원사거리, 숲속1.2단지, 백마역, 백마학원가, 정발산역, 주엽역, 대화역, 킨텍스, 현대백화점 → 원마운트 → 킨텍스역 → 포레나킨텍스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0~15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99번 버스는 약산마을에서 빛마루까지 운행하며, 안곡중고, 하늘마을, 일산센트럴아이파크, 풍산역.저동고, 라페스타, 정발산역, 백석역.일산병원, 국립암센터, 후곡학원가, 한수초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2~15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100번 버스는 식사지구에서 빛마루까지 운행하며, 양일초, 일산자이센트리지.더헤리티지, 은행마을, 백마역, 백석고.백신중, 마두역, 주엽역, 현대백화점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1~12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730번 버스는 지축지구에서 상암동까지 운행하며, 지축차량기지, 지축초중, 은평뉴타운, 구파발역, 스타필드고양.삼송역, 삼송마을.원흥역, 도래울마을, 향동지구, DMC첨단산업센터, 상암DMC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7~11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790번 버스는 고양동에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추모공원하늘문, 고양동삼거리, 목암초중, 고양동시장, 신원마을.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불광역, 독립문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서울시청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22~28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850번 버스는 고양동에서 행신역까지 운행하며, 추모공원하늘문.상곡마을, 고양동삼거리, 푸른마을, 고양동시장.현대A, 서울시립승화원, 원당대림.래미안A, 고양어울림누리, 화정역, 샘터.무원마을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1~17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999번 버스는 대화역에서 신원마을까지 운행하며, 일산서구청.대화역, 일산백병원, 문촌마을.원마운트, 주엽역, 밤가시마을.풍산역, 위시티.동국대병원, 원당중.고양시청, 원당역.원흥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5~25분이다.

5. 1. 2. 일반좌석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85
일반좌석서울여객고양동↔송정역추모공원하늘문, 고양동삼거리, 고양동사거리, 고양동시장, 현대A.중부대, 필리핀참전비.관산동, 원릉역.고양시청, 화정역.행신동, 개화역, 김포국제공항10~15830
일반좌석명성덕이지구↔영등포덕이초, 하이파크시티, 탄현지구, 일산시장, 신일.문화.강선초, 정발산역, 마두역.백석역, 당산역, 영등포시장역, 영등포소방서70~90921
일반좌석명성중산마을↔공덕역산들마을, 신일중.일산국제컨벤션고, 발산중, 정발산역, 마두역.백석역.대곡역, 고양경찰서, 행신동, 합정역.홍대입구역, 신촌역70~90


5. 1. 3. 직행좌석버스

명성에서 운행하는 1000번 직행좌석버스는 대화마을과 서울역을 오가며, 대화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수색DMC역, 광화문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10분이다. 고양경찰서 및 행신초 출발 차량이 각각 3회씩 운행되며, 2층버스가 운행된다. 이 노선은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1001번 직행좌석버스는 대화역부천대학교 사이를 운행하며, 일산백병원, 상동역, 송내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1082번 직행좌석버스는 내유동과 영등포를 잇는 노선으로, 삼릉역, 원릉역, 화정역, 당산역, 영등포시장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20분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1100번 직행좌석버스는 가좌마을과 서울역 사이를 운행하며, 주엽역, 마두역, 백석역, 수색DMC역, 광화문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0~110분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1200번 직행좌석버스는 탄현마을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으로, 백석역, 수색DMC역, 광화문역, 서대문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3분이며, 고양경찰서 출발 차량이 2회 운행된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1900번 직행좌석버스는 일산과 서울역 사이를 운행하며, 화정역, 수색DMC역, 광화문역, 서대문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0~120분이다.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3200번 공항좌석 버스는 원당과 인천국제공항을 오가며, 화정역, 능곡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3300번 공항좌석 버스는 대화마을과 인천국제공항 사이를 운행하며, 대화역, 일산백병원,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며,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3800번 직행좌석버스는 대화역과 경기도청북부청사를 잇는 노선으로,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 화정역, 원흥역, 삼송역, 장암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다.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9600번 직행좌석버스는 식사지구와 강남역 사이를 운행하며, 원릉역, 화정역, 신사역, 논현역, 언주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5~45분이다.

명성대원고속에서 공동 배차 운행하는 9700번 직행좌석버스는 대화역양재역을 잇는 노선으로, 대화역, 일산백병원,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 신사역, 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대원고속 차량은 킨텍스까지만 운행한다.

5. 1. 4. 광역급행버스 (M버스)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M7119번(식사지구↔서울역)은 위시티, 동국대병원입구, 숲속마을, 백마.강촌마을, 마두역, 백석역, 연세대.이대후문, 광화문역, 서울시청역을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10~20분이다. 입석금지 노선이다. 더불어민주당은 M7119번 노선을 통해 식사지구 주민들의 서울 도심 접근성을 개선하고,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했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M7129번(능곡↔서울역)은 능곡역, 능곡초, 고양경찰서, 행신동, 서정마을, 연세대, 경복궁역, 광화문역, 서울시청역, 서울역, 서대문역을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30~45분이다. 입석금지 노선이다.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M7412번(중산마을↔강남역)은 해태쇼핑, 산들마을, 일산국제컨벤션고,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뱅뱅사거리를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10~17분이다. 입석금지 노선이다. 더불어민주당은 M7412번 노선을 통해 중산마을 주민들의 강남 접근성을 개선하고, 광역 교통 편의를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M7646번(가좌마을↔영등포)은 송포초, 대송중, 킨텍스, 킨텍스역, 주엽역, 일산동부경찰서.정발산역, 당산역, 영등포소방서를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25~160분이다. 입석금지 노선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M7731번(덕이지구↔공덕역)은 하이파크시티, 탄현마을, 탄현역, 서울도시가스, 성저14단지, 대화역, 킨텍스, 킨텍스역, 합정역.홍대입구역, 신촌역을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7~11분이다. 입석금지 노선이다.

5. 1. 5. 고양누리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N001고양도시관리공사장항동↔백석역월드고양로주택단지, 자유로주유소, 일산장례식장, 장항1동행정복지센터, 백석중, 흰돌마을40~50N002고양도시관리공사덕이동↔대화역덕이동문3차, 고양예고후문, 일산중심병원, 백송초.덕이중, 하이파크시티, 덕이초, 농수산물센터15~30저상버스 운행N005고양도시관리공사필리핀참전비↔내유동벽제시장, 고양외고.제일중, 가장동, 고골입구, 더모아빌, 윗내유동, 내유협동화단지, 내유동, 내유동커뮤니티센터60~70N007고양도시관리공사킨텍스역↔구산동킨텍스, 대송중.대화고, 가좌7단지, 가좌초.송산중.가좌고, 온정마을, 노루뫼, 예슬마을, 장월.거그뫼25~35


5. 2.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5. 2. 1.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700번 버스는 후곡마을에서 출발하여 서울역까지 운행한다. 성저초, 장성중, 대진고, 후곡마을, 밤가시마을, 국립암센터, 백석고, 백신중, 백석역, 행신동, 수색DMC역, 가좌역, 연세대를 거쳐 경복궁역, 광화문역, 서울역, 충정로역, 신촌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702A번 버스는 서오릉에서 출발하여 을지로입구역까지 운행한다. 용두사거리, 서오릉, 선정중고, 구산중, 시립서북병원, 신사동고개, 응암역, 은평구청, 녹번역, 독립문역, 서울역사박물관, 광화문역, 명동, 서울역, 서대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702B번 버스는 용두동에서 출발하여 을지로입구역까지 운행한다. 용두사거리, 용두5~7통, 용두초, 선정중고, 구산중, 시립서북병원, 신사동고개, 응암역, 은평구청, 녹번역, 독립문역, 서울역사박물관, 광화문역, 명동, 서울역, 서대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서울매일버스에서 운행하는 703번 버스는 탄현마을에서 출발하여 서울역까지 운행한다. 탄현역, 황룡초, 중산마을, 일산복음병원, 안곡중고, 동국대병원입구, 원당역, 스타필드고양, 연신내역, 불광역, 홍제역, 독립문역, 경복궁역, 광화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신수교통에서 운행하는 705번 버스는 삼송역에서 출발하여 명동까지 운행한다. 고양중, 스타필드고양, 은평뉴타운10단지,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명동, 회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707번 버스는 가좌동에서 출발하여 명동까지 운행한다. 덕이동문2차, 백송고, 고양예고, 덕이초, 덕이동행정복지센터, 대화역, 문촌마을, 정발산역, 화정역, 원당역, 서오릉, 구산동, 은평구청, 녹번역, 독립문역, 광화문역, 명동, 서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760번 버스는 대화역에서 출발하여 영등포까지 운행한다. 일산백병원, 주엽역, 강선마을, 정발산역, 마두역, 금계초, 백석동우체금, 일산병원, 능곡역, 행신동, 서정마을, 덕은동, 상암DMC홍보관, 서울월드컵경기장, 당산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7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771번 버스는 일산에서 출발하여 상암동까지 운행한다. 일산시장, 일산복음병원, 동국대병원입구, 식사오거리, 원당중, 고양시청, 원릉역, 성사고, 고양어울림누리, 화정역, 고양경찰서, 행신동, DMC상암센트럴파크, 상암DMC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4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신수교통에서 운행하는 774번 버스는 구파발역에서 출발하여 파주읍까지 운행한다. 불광역, 연신내역, 신도고, 구파발역, 삼송역, 신원마을, 서울시립승화원, 벽제역, 고양동, 국군고양병원, 용미리, 분수리, 광탄, 검전리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이다. 구파발-불광역 구간은 행선지 표시(구파발, 파주읍)를 확인 후 승차해야 한다.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7726번 버스는 덕은동에서 출발하여 모래내삼거리까지 운행한다. 월드컵파크10~12단지, 쌍굴입구, 양지말, 한국항공대, 현천동, 덕은양묘장, 덕은지구,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월드컵파크9~12단지, 수색DMC역, 가좌역, 남가좌현대A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1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이다.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7727번 버스는 설문동에서 출발하여 신촌역까지 운행한다. 상감천마을, 송암고, 탄현마을, 일산시장, 정발산역, 백석역, 고양경찰서, 행신동, 덕은동, 수색DMC역, 가좌역, 연세대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7728번 버스는 탄현마을에서 출발하여 신촌역까지 운행한다. 탄현역, 탄현큰마을, 일산중고, 일산시장, 일산복음병원, 안곡중고, 동국대병원, 원당중, 원당역, 도래울마을, 덕산중, 새절역, 증산역, 가좌역, 연세대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9707번(서울광역) 버스는 가좌동에서 출발하여 영등포까지 운행한다. 덕이동문2차, 백송고, 고양예고, 농수산물센터, 대화역, 문촌마을, 주엽역, 정발산역, 백석역, 능곡역, 난지한강공원, 당산역, 영등포시장역, CM충무병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노선을 통해 가좌동 주민들의 서울 접근성을 개선하고, 광역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

서울매일버스에서 운행하는 9711번(서울광역) 버스는 일산동부경찰서에서 출발하여 양재시민의숲역까지 운행한다.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요진와이시티, 고양경찰서, 행신초, 소만마을, 서정마을, DMC첨단산업센터, YTN, 상암초, 서울월드컵경기장, 신사역, 강남역, 양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분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이다.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서울04번 버스는 원흥지구에서 출발하여 가양역까지 운행한다. 도래울1단지, 도래울2,3단지, 도래울5,6단지, 한국항공대역, 현천동, 덕은지구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분(1일 4회)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자 서울동행버스이다.

보광교통에서 운행하는 서울08번 버스는 화정역에서 출발하여 수색DMC역까지 운행한다. 민방위교육장, 백양고, 햇빛마을, 행신동, 소만마을, 서정마을, 화전파출소, 덕은동, 은평공영차고지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1일 3회)이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저상버스이자 서울동행버스이다.

5. 2. 2. 김포시의 시내버스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는 33번 버스는 통진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며, 김포외고, 옹정리.청룡사, 마송휴먼시아.현대A.마송초, 도사리.흥신리, 양곡중고, 호수마을, 뉴고려병원, 장기역, 운양역, 킨텍스, 킨텍스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25~40분이며, 김포시 면허의 저상버스로 운행된다. 2025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33-1번 버스는 풍무동에서 정발산역까지 운행하며, 유현마을, 양도사거리, 서해1.2차아파트, 풍무푸르지오, 풍무역, 김포시청, 사우역, 걸포북변역, 걸포공원, 대화마을입구.킨텍스, 대화역, 현대백화점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30~45분이며, 김포시 면허의 저상버스로 운행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33-2번 버스는 김포차량등록사업소에서 킨텍스역까지 운행하며, 걸포중앙공원, 북변환승센터, 사우역.김포고, 한일.한국A, 홈플러스, 한강메트로자이, 킨텍스역, 현대백화점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25~40분이며, 김포시 면허의 저상버스로 운행된다. 2025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97번 버스는 김포대학교에서 행신역까지 운행하며, 고막리.군하리, 갈산리, 오리정.새터마을, 통진도서관.마송, 장기동, 킨텍스,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백마학원가, 백석역, 대곡역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55~6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는 2000번 버스는 김포한강신도시에서 행신역까지 운행하며, 한가람마을, 솔터마을, 마산역, 뉴고려병원, 반도유보라.장기고, 캐널시티, 수정마을, 킨텍스, 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고양경찰서, 행신초.무원고를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5~20분이며, 김포시 면허의 저상버스로 운행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김포운수에서 운행하는 6701번 직행좌석버스는 감정동에서 상암동까지 운행하며, 홈플러스, 한국.삼환.효성A, 북변산호.대우A, 걸포북변역, 걸포오스타파라곤, 킨텍스역, 상암DMC홍보관.YTN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30~120분이며, 김포시 면허의 2층버스로 운행되고,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5. 2. 3. 성남시의 시내버스

경기순환경기고속오리역↔킨텍스농수산물센터, 오리역,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야탑역, 가천대EX-HUB, 구리남양주, 불암산, 양주TG, 백석역, 마두역, 정발산역, 주엽역, 대화역40~60성남시 면허
경기순환버스


5. 2. 4. 안양시의 시내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8407
경기순환경원여객범계역대화역동안경찰서.범계역, 비산사거리, 안양시외버스정류장, 시흥TG, 김포TG,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대화역20~40안양시 면허
경기순환버스


5. 2. 5. 수원시의 시내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8450
직행좌석용남고속버스라인수원터미널↔백석역수원역.AK플라자, 웃거리.힐스테이트수원테라스, 서수원터미널, 산본역, 시흥하늘휴게소, 시흥TG, 김포TG, 요진와이시티40~60수원시 면허


5. 2. 6. 양주시의 시내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19진명여객장흥↔구파발역장흥자연휴양림, 석현리, 돌고개유원지입구, 장흥관광지관리사무소, 장흥역, 샘말, 일영역, 삼하리, 지축지구, 은평뉴타운60~90양주시 면허22진명여객송추↔고양동부곡리, 송추반석전원교회, 석현리, 봄날의정원, 꿈의궁전.대승사, 여울목, 돌고개유원지, 장욱진미술관, 장흥아트파크, 장흥역, 1군단, 목암초중.푸른마을, 고양동시장(현대A)85~145양주시 면허37진명여객송추↔구파발역장흥자연휴양림, 부곡리, 청담에비뉴.우남A, 송추초.이안동, 교현/지축/북한산예비군훈련장, 효자동, 북한산성입구, 은평뉴타운12~25양주시 면허


5. 2. 7. 의정부시의 시내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360명진여객금오동↔불광역금오중, 신도.아남A, 동오역, 가능역, 흥선브라운스톤A, 송추역, 장흥, 일영역, 삼하리.비석거리, 지축지구, 구파발역, 연신내역20~30의정부시 면허


5. 2. 8. 파주시의 시내버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3번 버스는 맥금동에서 출발하여 일산까지 운행하며, 대방A, 금촌체육공원, 금촌역, 파주시청, 대창리, 한라A, 은곡마을회관, 신창철강, 운정역, 성석동, 송암고, 중산마을, 신원아파트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0~16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갈곡리에서 현대백화점까지 운행하며, 법원읍도서관, 천현초, 법원사거리.대능리, 연풍리.전진사, 광탄, 금촌역, 새꽃마을, 가람.해솔마을, 운정고, 한빛마을, 하이파크시티, 대화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4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17번 버스는 서영대학교에서 불광역까지 운행하며, 덕은리, 파주LCD산업단지, 월롱역, 영태리, 금촌역, 금촌로터리, 금화초, 봉일천, 내유동, 관산동, 신원마을, 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0~240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신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번 버스는 문발동에서 하늘마을까지 운행하며, 오도리, 다율동, 문발동, 파주파비뇽, 신촌산단, 활자마을.출판단지, 롯데프리미엄아울렛, 산남동.거그뫼, 두신마을, 백송고.고양예고, 덕이동로데오거리, 일산시장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신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1번 버스는 문발동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며, 오도리, 다율동, 문발동, 파주파비뇽, 문발동, 심학초.동패동, 삽다리, 덕이동문A.만자고개 → 덕이초 → 덕이동로데오거리 → 일산시장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30번 버스는 적성에서 불광역까지 운행하며, 마지리.웅담리, 법원읍.대능리, 연풍리, 주내, 파주역, 봉일천, 내유동, 관산동, 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40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31번 버스는 신산리에서 불광역까지 운행하며, 광탄, 오산리, 덕암초.뇌조리, 등원리.봉일천, 장곡리, 내유동, 가장동, 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신원마을.삼송역, 구파발역.연신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5~40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52번 버스는 운정신도시에서 관산동까지 운행하며, 산내마을, 가람마을, 운정역, 성석동, 고흥주유소, 성석초, 고봉동행정복지센터, 사리현동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0~12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66번 버스는 교하지구에서 가좌역까지 운행하며, 청석.숲속길마을, 산내마을, 두레공원, 한길육교, 가람마을, 해솔마을, 새암공원, 만자고개.고양예고, 대화역.주엽역마두역.백석역, 행신동, 수색DMC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6~18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67번 버스는 운정신도시에서 화정역까지 운행하며, 해오름마을, 산내마을, 두레공원, 지산중, 해솔마을, 새암공원, 하이파크시티,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대곡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70번 버스는 교하지구에서 중산마을까지 운행하며, 다율동, 난방공사, 청석.숲속길마을, 초롱꽃.물향기마을, 만자고개.고양예고입구, 농수산물센터, 대화역.주엽역, 일산컨벤션고, 중산공원.해태쇼핑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70-1번 버스는 운정신도시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며, 해오름마을, 산내마을, 산들초중, 책향기마을, 교하도서관.우체국, 초롱꽃마을, 삽다리, 고양예고.덕이초, 농수산물센터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80번 버스는 운정신도시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며, 오도리, 다율동, 문발동, 초롱꽃마을, 운정중앙역, 산내마을, 한길육교.야당역, 일산가구공단.탄현역, 성저초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8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90번 버스는 맥금동에서 백석역까지 운행하며, 문산제일고, 팜스프링A, 금촌역, 새꽃마을, 봉일천, 한라A 그린시티동문A, 대원리, 설문동, 송암고, 중산마을, 일산국제컨벤션고, 일산동부경찰서, 정발산역, 마두역 → 백석동우체국 → 일산병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92번 버스는 적성에서 강선마을까지 운행하며, 마지리.식현리, 샘내.늘로리.금파리, 장파리.두포리, 선유리.문산역, 봉암리.월롱역, 금촌역.파주시청, 가람마을, 새암공원.덕이초, 대화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3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1일 1회 자장리를 운행한다 (92-1).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150번 버스는 맥금동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운행하며, 검산초, 문산제일고, 팜스프링A.금촌역, 당하동.가람마을, 해솔.한울마을, 새암공원.동패중, 덕이동,대화역, 정발산역.백석역, 삼성당.대곡역두산위브, 능곡역.개화역, 방화중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1~31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313번 버스는 신산리에서 원흥역까지 운행하며, 신산아트빌라, 광탄, 신산초.창만리, 영장리, 마장호수출렁다리, 보광사, 고양동시장, 벽제역, 서울시립승화원, 신원마을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0~17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1일 5회 우렁골을 운행한다 (313-1).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567번 버스는 맥금동에서 불광역까지 운행하며, 검산초, 문산제일고, 팜스프링A.금촌역, 금촌초.당하동, 가람마을, 운정행복센터, 야당역.탄현역, 일산시장, 동국대병원, 원당역, 삼송역, 연신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3~33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600번 버스는 갈곡리에서 강선마을까지 운행하며, 법원읍도서관, 천현초.법원사거리, 대능리, 애룡저수지.연풍리, 세경고.파주읍, 파주역.월롱역.금촌역, 새꽃마을, 가람.해솔.한빛마을, 야당역.탄현역, 대화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799번 버스는 금촌지구에서 광화문역까지 운행하며, 금화초, 파주병원.경찰서, 봉일천, 내유동, 관산동, 삼송역, 연신내역.불광역, 녹번역.홍제역, 독립문역, 서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9~27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900번 버스는 통일동산에서 킨텍스역까지 운행하며, 헤이리예술마을, 유승앙브와즈, 신세계파주아울렛, 시그네틱스.맥금동, 검산초.금촌동문A, 금촌역.새꽃마을, 가람.해솔마을, 한빛마을.탄현역, 대화역.일산백병원, 문촌마을.한수초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6~36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저상버스이다.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명성에서 운행하는 1500번 직행좌석버스는 교하지구에서 영등포까지 운행하며, 난방공사, 청석.숲속길마을, 가람마을.한길육교, 산내마을 한빛마을, 탄현역, 대화역.주엽역, 마두역.백석역, 당산역, 영등포시장역, CM충무병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1분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1500번 노선을 통해 교하지구 주민들의 서울 접근성을 개선하고, 광역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5000번 직행좌석버스는 문산에서 부천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월롱역.금촌역, 새꽃마을.금릉역, 가람.한빛마을, 일산역, 마두역.백석역, 안산초.계산역, 경인교대입구역, 부평구청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125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9709번 직행좌석버스는 맥금동에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검산초, 문산제일고, 팜스프링A.금촌역, 파주시청.흰돌A, 봉일천, 내유동.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삼송역, 구파발역.불광역, 홍제역.무악재역, 광화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며, 파주시 면허이다.

신일여객에서 운행하는 9710번 직행좌석버스는 문산에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북파주농협, 문산역, 봉서리.봉암리, 월롱역.영태리, 봉일천, 내유동, 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삼송역, 불광역, 독립문역, 광화문역, 서울역, 서대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며, 파주시 면허의 2층버스이다. 1일 4회 당동지구를 운행한다 (97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