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6호선은 인천광역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지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개량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인천, 서울, 경기 동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 평창 등을 지난다. 이 도로는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며, 수도권 및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동대문구의 교통 - 고산자로
고산자로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의 호를 따서 명명된 서울특별시의 도로이며, 1966년 지정된 왕십리 로터리부터 시작하여 성수대교에서 종암로까지 이어진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서대문구의 교통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서울 서대문구의 교통 - 세검정로
세검정로는 서울 서대문구와 종로구를 잇는 도로로, 과거 세검로의 일부였으나 분리 및 도로명 주소 사업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서울 서북부와 동북부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국도 제6호선 | |
---|---|
지도 정보 |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6 |
총 길이 | 274.3 km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 동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천광역시 서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중랑구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양평군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시작점 | 인천광역시 중구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제정일 | 1971년 8월 31일 |
방향 | 동서 |
주요 교차 도로 | |
고속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기타 정보 | |
![]() |
2. 연혁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따라 '''국도 제6호선''' 인천 ~ 강릉선으로 처음 지정되었다.[8] 이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개량이 이루어졌다. 1981년 3월 14일에는 종점이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으로 변경되어 노선명이 '인천 ~ 주문진선'이 되었고,[12] 1986년 5월 13일에는 기점이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되었다.[16] 1996년 7월 1일 행정구역 명칭 변경에 따라 기점은 인천광역시 중구로, 종점은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되었으며, 노선명은 다시 '인천 ~ 강릉선'으로 환원되었다.[19] 자세한 개량 및 확장 역사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970년대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6호선''' 인천 ~ 강릉선이 됨.[8]
- 1972년 12월 20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450m 구간을 500m로 도로구역 변경.[9]
- 1975년 10월 1일 : 양평군 단월면 모용리 ~ 청운면 가현리 총 28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80m 구간 폐지,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 공근면 초원리 총 36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620m 구간 폐지.[10]
- 1976년 4월 7일 :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10.087km 구간 개량.[11]
2. 2. 1980년대 ~ 1990년대
-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견소진'에서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노선명이 '인천 ~ 강릉선'에서 '인천 ~ 주문진선'으로 변경되었다.[12]
- 1981년 4월 13일 : 국도로 승격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명주군 주문진읍 성내리 43km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지정 구간인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강릉시 성내동 3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3]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8km 구간으로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4]
- 1982년 1월 25일 :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580m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교량 380m 구간은 폐지되었다.[15]
- 1986년 5월 13일 : 기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하였다.[16]
- 1994년 7월 15일 : 횡성군 우천면 하금리 ~ 횡성읍 추동리 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17]
- 1995년 12월 29일 :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팔당리 2.8km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도곡리 3km 구간은 폐지되었다.[18]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종점을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노선명이 '인천 ~ 강릉선'으로 환원되었다.[19]
- 1998년 12월 31일 :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기존 4.2km 구간은 폐지되었다.[20] 또한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18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기존 5.49km 구간은 폐지되었다.[21] 양수 ~ 덕평간 도로(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양평읍 오빈리) 15.27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기존 16.73km 구간은 폐지되었다.[22]
- 1999년 11월 15일 :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3]
2. 3. 2000년대 이후
- 2000년 7월 1일 : 양평군 청운면 비룡리 ~ 용두리 2.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5km 구간 폐지[24]
- 2000년 12월 31일 : 용문 ~ 용두간 도로(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 청운면 비룡리) 13.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km 구간 폐지[25]
-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공근면 신촌리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5km 구간 폐지[26]
- 2003년 11월 17일 :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 ~ 평촌리 5.426km 구간 확장 개통[27]
- 2003년 12월 3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우천면 용둔리 구간 5.737km 확장 개통[28]
- 2010년 12월 24일 : 오빈 교차로(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1km 구간 입체화 개통[29]
- 2014년 12월 26일 : 양화교 ~ 양화대교 남단 2.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30][31]
- 2017년 6월 23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32]
- 2017년 9월 22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화도리) 10.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6km 구간 폐지[33]
- 2017년 12월 4일 : 서원 ~ 공근간 도로(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총 8.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총 1.35km 구간 폐지[34]
- 2017년 12월 27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3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23.48km 구간 폐지[35],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190m 구간 폐지[36]
- 2017년 12월 30일 : 두능 ~ 연곡간 도로(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 영진리) 총 13.4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 송림리 총 4.09km 구간 폐지[37]
3. 주요 경유지
국도 제6호선은 인천광역시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서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부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서 끝난다. 통과하는 주요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 인천광역시
- * 중구 - 동구 - 미추홀구 - 서구 - 계양구
- 경기도 (서부)
- * 부천시
- 서울특별시
- * 강서구 - 영등포구 - 마포구 - 서대문구 - 종로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경기도 (동부)
- * 구리시 - 남양주시 - 양평군
- 강원특별자치도
- * 횡성군 - 평창군 - 강릉시
인천광역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경인고속도로의 보조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7] 서울특별시에서는 한강을 양화대교로 건넌다.
3. 1.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경인고속도로를 보조하는 도로이다. 또한, 시내 구간은 인천대로[7]라는 명칭이 지정되어 있다. 통과하는 행정 구역은 중구, 동구, 미추홀구, 서구, 계양구이다.이름[2] | 한글 이름 | 연결 도로 | 위치 | 비고 | |
---|---|---|---|---|---|
인천역 | 인천역 |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84호선 지방도 98호선 (제물량로) 월미로 차이나타운로 51번길 | 인천광역시 | 중구 | 시점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84호선, 98호선 중복 |
송월시장 | 송월시장 | 참외전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84호선, 98호선 중복 | ||
만석고가교 | 만석고가교 | ||||
동구 | |||||
동일방직 인천공장 인천만석초등학교 | 동일방직 인천공장 인천만석초등학교 | ||||
화수사거리 | 화수사거리 | 인중로 제물량로 | |||
송현사거리 | 송현사거리 | 지방도 84호선 (중봉대로) 송현로 | |||
황금고개사거리 | 황금고개사거리 | 새골로 인중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98호선 중복 | ||
서흥초등학교 | 서흥초등학교 | ||||
송림오거리 | 송림오거리 | 동산로 새골로 송림로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사천년로 | |||
송림삼거리 | 송림삼거리 | 봉수대로 인중로 | |||
송림고개 | 송림고개 | ||||
미추홀구 | |||||
인천대삼거리 | 인천대삼거리 | 석골로 | |||
인천서화초등학교 | 인천서화초등학교 | ||||
궁현사거리 | 궁현사거리 | 염전로 | |||
인천교삼거리 | 인천교삼거리 | 장고개로 | |||
동구구민운동장 | 동구구민운동장 | ||||
가좌 나들목 (가좌IC 앞 교차로) | 가좌 나들목 (가좌IC 앞 교차로) | 경인고속도로 백범로 장고개로 | 서구 | ||
석남제2고가교 | 석남제2고가교 |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98호선 중복 통과 | |||
석남제1고가교 | 석남제1고가교 | 길주로 | |||
율도입구삼거리 | 율도입구삼거리 | 율도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98호선 중복 | ||
루원 교차로 | 루원 교차로 | 지방도 98호선 (서곶로) 봉오대로 | |||
(효성고가교 북단) | (효성고가교 북단) | 봉오대로 청안로 효서로 | 계양구 | 국도 제77호선 중복 경기도 부천시로 이어짐 | |
새말사거리 | 새말사거리 | 마장로 | |||
효성사거리 | 효성사거리 | 안남로 | |||
나들목사거리 (부평 나들목) | 나들목사거리 (부평 나들목) | 경인고속도로 계양대로 | |||
작전고가앞 교차로 | 작전고가앞 교차로 | 주부토로 | |||
메뜰사거리 | 메뜰사거리 | 장제로 | |||
서운중학교 서운고등학교 | 서운중학교 서운고등학교 | ||||
천상교 | 천상교 | ||||
3. 2. 경기도 (서부)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으로 진입하며 경기도 서부 구간이 시작된다. 이 구간은 주로 부천시 오정구의 삼정동, 내동, 오정동을 통과한다. 오쇠삼거리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쇠동으로 잠시 넘어갔다가 다시 부천시 고강동을 짧게 거친 후,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으로 진입한다.부천시 구간의 주요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이름[3]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천상교 | 부천시 | 오정동 | 국도 제77호선 중복 인천광역시 - 부천시 경계 | |
자동차검사소삼거리 | 오정로 39번길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이름 없음) | 국도 제39호선 (석천로)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산업길사거리 (부천 나들목) | 국도 제39호선 (신흥로)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내촌고가입구 | 부천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우편집중국삼거리 | 오정로 211번길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OBS 경인TV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덕산고등학교 | 오정로 251번길 오정로 252번길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봉오대로사거리 | 봉오대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대장동입구 교차로 | 대장로 | 괴정동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아시아나항공입구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 970번길 | 국도 제77호선 중복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연결 |
3. 3.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쇠동에서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을 잠시 거쳐 다시 강서구 공항동으로 진입한다. 이후 강서구(외발산동, 내발산동, 등촌동, 염창동) - 영등포구 (양화동, 당산동) - 양화대교 - 마포구 (합정동, 서교동, 동교동) - 서대문구 (창천동, 대현동, 북아현동, 충현동) - 종로구 (평동, 신문로2가, 신문로1가, 세종로,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창신동, 숭인동) - 동대문구 (신설동, 용두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동) - 중랑구 (중화동, 상봉동, 망우동)를 거쳐 망우리고개를 넘어 경기도 구리시로 이어진다.
이름[4]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970번길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국도 제77호선 중복 경기도 - 서울특별시 경계 |
외발산사거리 | 남부순환로 방화대로 | |||
마곡역 교차로 |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발산역 교차로 | 강서로 | |||
한국가스공사 KBS스포츠월드 | ||||
강서구청사거리 | 화곡로 | |||
등촌중학교 서울백석초등학교 한국정보화진흥원 | ||||
등촌역 교차로 | 등촌로 공항대로59길 | 양천구 | ||
염창역 | ||||
양화교 | 안양천로 양천로 | |||
영등포구 | ||||
성산대교남단 교차로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8호선 (서부간선도로) | |||
양화대교남단 교차로 | 노들로 선유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양화대교 | ||||
마포구 | ||||
양화대교북단 교차로 |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강변북로) | |||
합정역교차로 | 독막로 월드컵로 | |||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 연희로 | |||
창천동삼거리 | 와우산로 | |||
신촌로터리 지하 신촌역 | 백범로 서강로 연세로 | |||
신촌기차역입구 | 신촌역로 | |||
이대역교차로 | 대흥로 이화여대길 | |||
아현역교차로 | 굴레방로 북아현로 | 서대문구 | ||
아현교차로 | 마포대로 | |||
충정로사거리 (충정로역) (아현고가차도) | 서소문로 경기대로 | |||
서대문역교차로 (서대문역고가차도) | 통일로 | |||
정동사거리 | 송월길 정동길 | |||
경희궁 | 종로구 | |||
세종대로사거리 | 국도 제48호선 (세종대로) | |||
종로1가교차로 (종각역) | 우정국로 | |||
종로2가교차로 | 삼일대로 | |||
종로3가역 | 돈화문로 | |||
종로4가교차로 | 창경궁로 | |||
종로5가교차로 (종로5가역) | 대학로 동호로 | |||
흥인지문교차로 (동대문역) | 율곡로 | |||
동묘앞역 | 지봉로 | |||
신설동역교차로 | 난계로 보문로 천호대로 | 동대문구 | ||
용두동사거리 | 무학로 | |||
제기동역 | ||||
경동시장사거리 | 고산자로 | |||
성바오로병원교차로 | 답십리로 | |||
청량리역교차로(청량리역 환승센터) | 홍릉로 | |||
떡전교사거리 | 제기로 전농로 | |||
시조사삼거리 | 이문로 | |||
회기역 | ||||
삼육서울병원 | ||||
중랑교 | 동부간선도로 | |||
동부시장교차로 (중랑역) | 중랑역로 | 중랑구 | ||
동1로지하차도교차로 | 국도 제3호선 (동일로) | 국도 제47호선 중복 | ||
상봉삼거리 (상봉역) | 면목로 | |||
상봉지하차도교차로 | 상봉중앙로 | |||
망우역교차로 | 상봉로 | |||
신내지하차도교차로 | 신내로 | |||
망우사거리 | 국도 제47호선 (용마산로) | |||
망우리고개 | 경기도 구리시와 연결 | |||
3. 4. 경기도 (동부)
경기도 동부 구간은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을 지난다. 서울특별시 중랑구와의 경계인 망우리고개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으로 이어진다. 구간별 거리는 구리시 3.2km, 남양주시 17.9km, 양평군 51.3km이다.[38]이름[5][38]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망우리고개 | 구리시 | 교문동 | 서울특별시-경기도 경계 | |
교문사거리 |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아차산로) | |||
중앙예식장앞교차로 | 옹달말로 체육관로 | 인창동 | ||
돌다리사거리 | 건원대로 검배로 | |||
구리역 구리시외버스정류장 | ||||
왕숙교 | ||||
남양주 나들목 (도농사거리)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미금로 | 남양주시 | 다산동 | |
(이름 없음) | 도농로 | |||
도농역 | ||||
양정초교입구교차로 | 미금로 | |||
도농삼거리 | 다산지금로 진관로 | 구 경춘로 접속 | ||
(이름 없음) | 경춘로 | 양정동 | ||
(이름 없음) | 북부간선도로 | 하행 진입 불가 상행 진출 불가 | ||
이패방앗간앞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양정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중복 | ||
이패 나들목 |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 | |||
양정역 | ||||
삼패사거리 | 고산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중복 덕소삼패 나들목 (서울양양고속도로)와 간접 연결 | ||
덕소 나들목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덕소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중복 | ||
덕소강변대교 | 와부읍 | |||
도곡 나들목 | 덕소로 | |||
하팔당삼거리 | 팔당로 | |||
팔당대교 나들목 | 팔당대교 국도 제45호선 (창우로)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 ||
팔당1터널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연장 상행 220m, 하행 260m | |||
팔당2터널 | 조안면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연장 310m | ||
팔당3터널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연장 상행 175m, 하행 235m | |||
팔당4터널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연장 상행 420m, 하행 450m | |||
봉안터널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연장 750m | |||
봉안대교 |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 |||
조안 나들목 | 국도 제45호선 (북한강로) | |||
신양수대교 | 양평군 | 양서면 | ||
양수 교차로 | 양수로 | |||
용담대교 | 상행 전용 교량 | |||
신원역 | ||||
국수교차로 (국수역) | ||||
양평 나들목 | 중부내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옥천면 | ||
아신역교차로 | ||||
고읍교차로 | 고읍로 | |||
옥천교차로 | ||||
오빈교차로 | 양근로 | 양평읍 | ||
상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 ||
양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여주 ~ 양평간 도로) | |||
양평소방서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 |||
공흥육교 | 백운길 | |||
백동육교 | 초롱길 | |||
백안육교 | 중앙로 | |||
신흥육교 | 대흥로 | |||
용문터널 | 용문면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345m 하행 연장 173m | ||
용문 교차로 | 갈월길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 ||
용문교 | ||||
마룡 교차로 | 지방도 제341호선 (용문산로) | |||
금곡 교차로 | 용문로 | |||
봉상삼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용문로) | 단월면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삼가 교차로 | 지방도 제345호선 (양동로) 봉상길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 ||
단월 교차로 | 보룡길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보룡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단월로)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 ||
교동 교차로 | 백동길 | 청운면 | 국도 제44호선과 중복 | |
비룡 교차로 | 비룡1길 | |||
용두 교차로 | 국도 제44호선 (설악로)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349호선 (몰운고갯길) | |||
(도덕고개입구) | 경강로 | 구 도로 | ||
도덕터널 | 연장 440m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방면 | |||
3. 5.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횡성군, 평창군, 강릉시를 지난다. 주요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주요 교차로 및 시설물은 아래 표와 같다.
이름[38]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도덕터널 | 횡성군 | 서원면 | 연장 440m | |
(도덕고개옛길 입구) | 경강로 | |||
풍수원 교차로 | 지방도 제409호선 (서원서로) | |||
연내교 유현초등학교 | ||||
유현 교차로 | 서원로 | |||
왕래교 | ||||
횡성공근농공단지 | 아이티밸리길 | 공근면 | ||
신촌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영서로) | 국도 제5호선과 중복 | ||
학곡 나들목 (횡성 나들목) | 한우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횡성읍 | ||
횡성터널 | 국도 제5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540m 하행 연장 544m | |||
입석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횡성로) | 국도 제5, 19호선과 중복 | ||
읍상 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마산 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추동 교차로 | 지방도 제442호선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과 중복 | ||
영영포 교차로 | 국도 제19호선 (성동로) | |||
(이름 없음) | 추용로 | 우천면 | ||
(이름 없음) | 상하가로 | |||
(이름 없음) | 정포로 | |||
(이름 없음) | 덕송로 | 둔내면 | ||
현천삼거리 | 지방도 제411호선 (강변로) | |||
둔내IC 교차로 (둔내 나들목) | 50호선 영동고속도로 | |||
둔방 교차로 | 지방도 제420호선 (고원로) | 지방도 제420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둔내로 | |||
둔내삼거리 | 둔방로 경강로둔방6길 | |||
둔내종합체육공원 | ||||
(둔내호텔) | 용현로 | |||
주막 교차로 | 지방도 제420호선 (갑천로) 경강로 | |||
(생태터널) | 연장 약 50m | |||
마암교 | ||||
버덩말 교차로 | 경강로 | |||
마암 교차로 | 봉덕로 | |||
덕성 교차로 | 경강로화동1길 | |||
둔내초등학교 덕성분교 화동보건진료소 | ||||
삽교 교차로 | 화동삽교로 | |||
화동 교차로 | 경강로 | |||
구두미 교차로 | 경강로 경강로구두미1길 | |||
(생태통로) | 연장 약 45m | |||
태기산터널 | 연장 2800m | |||
평창군 | 봉평면 | |||
무이교 | ||||
무이 교차로 | 경강로 | |||
태기사거리 | 지방도 제408호선 (태기로) | 지방도 제408호선과 중복 | ||
무이1 교차로 | 지방도 제408호선 (팔송로) | |||
무이2 교차로 | ||||
(무이2리) | 봉평북로 | |||
남안교 | 이효석길 | |||
흥정천교 | ||||
(평촌) | 지방도 제424호선 (애강나무길) | 지방도 제424호선과 중복 | ||
진전 교차로 | 진전길 | 용평면 | ||
백옥포2 교차로 | 지방도 제424호선 (경강로) | 지방도 제424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장평1터널 | 연장 710m | |||
장평2교 | ||||
장평2터널 | 연장 538m | |||
장평3교 | ||||
장평2 교차로 | 국도 제31호선 (경강로) | 국도 제31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방덕 교차로 | 하용전길 | 국도 제31호선과 중복 | ||
용전1교 | ||||
용전1 교차로 | 방덕골길 | |||
용전2 교차로 | ||||
(용전3 교차로) | 도사길 | |||
용평면사무소 | ||||
용전5 교차로 | 신선골길 | |||
둔전 교차로 | ||||
이목정1교 | ||||
둔지 교차로 | ||||
성낭 교차로 | ||||
이목정1 교차로 | 골안이길 | |||
이목정2 교차로 | 탑거리길 | |||
배나무정1 교차로 | ||||
배나무정2 교차로 | 배나무정길 | |||
안산 교차로 | ||||
속사IC 교차로 (속사 나들목) | 50호선 영동고속도로 | |||
속사삼거리 | 국도 제31호선 (운두령로) | |||
속사1 교차로 | 경강로 속사재길 | |||
속사터널 | 연장 2101m | |||
진부면 | ||||
쉴터골천교 | 경강로 | |||
하진부1 교차로 | 경강로 | 하진부2 교차로와 연결 | ||
면의동천교 | ||||
면의동 교차로 | 면의동길 | |||
오대 교차로 | 진부중앙로 | |||
오대4 교차로 | 국도 제59호선 (경강로) |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 ||
가우교 | ||||
가우1 교차로 | 방아다리로 | |||
월정교 | ||||
(월정 회전교차로) | 간평길 | |||
월정삼거리 | 지방도 제456호선 (경강로) | |||
병안삼거리 | 오대산로 | 대관령면 | ||
진고개 |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해발 960m | |||
강릉시 | 연곡면 | |||
부연동삼거리 | 국도 제59호선 (부연동길) |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 ||
소금강입구 | 소금강길 | |||
퇴곡1 교차로 | 퇴곡1길 | |||
버들 교차로 | 유등버들길 | |||
행정 교차로 | 장덕고개길 | |||
행신 교차로 | 지방도 제415호선 (신왕길) | |||
송림 교차로 | 진고개로 | |||
연곡 교차로 | 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 |||
4. 노선
인천광역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경인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내 구간은 인천대로[7]라는 명칭이 지정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에서는 한강을 양화대교를 통해 건넌다.
국도 제6호선은 다음 지역을 통과한다.
4. 1. 인천광역시 구간
이름[38]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인천역 |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제물량로) 월미로 차이나타운로51번길 | 인천광역시 | 중구 | 기점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송월시장 | 참외전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
만석고가교 | ||||
동구 | ||||
동일방직 인천공장 인천만석초등학교 | ||||
화수사거리 | 인중로 제물량로 | |||
송현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중봉대로) 송현로 | |||
황금고개사거리 | 샛골로 인중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
인천서흥초등학교 | ||||
송림오거리 | 동산로 샛골로 송림로 | |||
(이름 없음) | 새천년로 | |||
송림삼거리 | 봉수대로 인중로 | |||
송림고개 | ||||
미추홀구 | ||||
인천대삼거리 | 숙골로 | |||
인천서화초등학교 | ||||
궁현사거리 | 염전로 | |||
인천교삼거리 | 장고개로 | |||
동구구민운동장 | ||||
가좌 나들목 (가좌IC앞 교차로) | 인천대로 백범로 장고개로 | 서구 | ||
석남제2고가교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하부 통과 | |||
석남진출입로 | 인천대로 | |||
석남제1고가교 (석남역) | 길주로 | |||
율도입구삼거리 | 율도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
루원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서곶로) 봉오대로 | |||
(효성고가교 북단) | 봉오대로 청안로 효서로 | 계양구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 |
새말사거리 | 마장로 | |||
효성사거리 | 안남로 | |||
나들목사거리 (부평 나들목) | 경인고속도로 계양대로 | |||
작전고가앞 교차로 | 주부토로 | |||
메뜰사거리 | 장제로 | |||
서운중학교 서운고등학교 | ||||
천상교 |
인천광역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경인고속도로를 보조하는 도로이다. 또한, 시내 구간은 인천대로[7]라는 명칭이 지정되어 있다.
4. 2. 서울특별시 구간
이름[4] | 한글 이름 | 연결 | 위치 | 참고 | |
---|---|---|---|---|---|
오쇠삼거리 (Osoe IS)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970번길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국도 77호선 중복 경기도 - 서울특별시 경계선 |
외발산사거리 (Oebalsan IS) | 외발산사거리 | 남부순환로 방화대로 | |||
마곡역 교차로 (Magok station IS) | 마곡역 교차로 | 국도 48호선 (공항대로) | 국도 48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 ||
발산역 교차로 (Balsan station IS) | 발산역 교차로 | 강서로 | |||
한국가스공사 KBS스포츠월드 (Korea Gas Corporation KBS SPORTS WORLD) | 한국가스공사 KBS스포츠월드 | ||||
강서구청사거리 (Gayang-daero|Gangseo District Office IS) | 강서구청사거리 | 화곡로 | |||
등촌중학교 서울백석초등학교 한국정보화진흥원 (Deungchon Middle School Seoul Baekseok Elementary Schoo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 등촌중학교 서울백석초등학교 한국정보화진흥원 | ||||
등촌역 교차로 (Deungchon station IS) | 등촌역 교차로 | 등촌로 공항대로59길 | 양천구 | ||
염창역 (Yeomchang station) | 염창역 | ||||
양화대교 (Yanghwa Bridge) | 양화대교 | 안양천로 양천로 | |||
영등포구 | |||||
성산대교남단 교차로 (South of Seongsan Bridge IS) | 성산대교남단 교차로 | 국도 1호선 국도 48호선 ([서부간선도로]) | |||
양화대교남단 교차로 (South of Yanghwa Bridge IS) | 양화대교남단 교차로 | 노들로 선유로 | 국도 77호선 중복 | ||
양화대교 (Yanghwa Bridge) | 양화대교 | ||||
마포구 | |||||
양화대교북단 교차로 (North of Yanghwa Bridge IS) | 양화대교북단 교차로 | 국도 77호선 지방도 23호선 (강변북로) | |||
합정역 교차로 (Hapjeong station IS) | 합정역교차로 | 동교로 월드컵대로 | |||
홍익대학교역 동교동삼거리 (Hongik University station] Donggyo-dong IS) |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 연희로 | |||
창천동삼거리 (Changcheon-dong IS) | 창천동삼거리 | 와우산로 | |||
신촌로터리 신촌역 (Sinchon Rotary Sinchon station) | 신촌로터리 지하 신촌역 | 백범로 서강로 연세로 | |||
신촌역 입구 (Sinchon Station (Gyeongui Line)|Sinchon station]] Entrance) | 신촌기차역입구 | 신촌역로 | |||
이화여자대학교역 교차로 (Ewha Womans University station IS) | 이대역교차로 | 대흥로 이화여대길 | |||
아현역 교차로 (Ahyeon station IS) | 아현역교차로 | 굴레방로 부가현로 | 서대문구 | ||
아현교차로 (Ahyeon IS) | 아현교차로 | 마포대로 | |||
충정로사거리 (충정로역) (아현고가차도) (Chungjeongno IS (Chungjeongno station) (Ahyeon Overpass)) | 충정로사거리 (충정로역) (아현고가차도) | 서소문로 경교대로 | |||
서대문역 교차로 (서대문역고가차도) (Seodaemun station IS (Seodaemun Station Overpass)) | 서대문역교차로 (서대문역고가차도) | 통일로 | |||
정동사거리 (Jeongdong IS) | 정동사거리 | 송월길 정동길 | |||
경희궁 (Gyeonghuigung) | 경희궁 | 종로구 | |||
세종대로사거리 (Sejong-daero IS) | 세종대로사거리 | 국도 48호선 (세종대로) | |||
종로1가교차로 (종각역) (Jongno 1-ga IS (Jonggak station)) | 종로1가교차로 (종각역) | 우정국로 | |||
종로2가교차로 (Jongno 2-ga IS) | 종로2가교차로 | 삼일대로 | |||
종로3가역 (Jongno 3-ga station) | 종로3가역 | 종로 | |||
종로4가교차로 (Jongno 4-ga IS) | 종로4가교차로 | 창경궁로 | |||
종로5가교차로 (종로5가역) (Jongno 5-ga IS (Jongno 5-ga station)) | 종로5가교차로 (종로5가역) | 대학로 동호로 | |||
흥인지문 교차로 (동대문역) (Heunginjimun IS (Dongdaemun station)) | 흥인지문교차로 (동대문역) | 율곡로 | |||
동묘앞역 (Dongmyo station) | 동묘앞역 | 지봉로 | |||
신설동역 교차로 (Sinseol-dong station IS) | 신설동역교차로 | 난계로 보문로 천호대로 | 동대문구 | ||
용두동사거리 (Yongdu-dong IS) | 용두동사거리 | 무학로 | |||
제기동역 (Jegi-dong station) | 제기동역 | ||||
경동시장사거리 (Kyungdong Market IS) | 경동시장사거리 | 고산자로 | |||
성바오로병원교차로 (Catholic Univ. of Korea St. Paul's Hospital IS) | 성바오로병원교차로 | 답십리로 | |||
청량리역 교차로 (Cheongnyangni station IS) | 청량리역교차로 | 홍릉로 | |||
떡전교사거리 (Ddeokjeon Bridge IS) | 떡전교사거리 | 제기로 전농로 | |||
시조사삼거리 (Sijosa IS) | 시조사삼거리 | 이문로 | |||
회기역 (Hoegi station) | 회기역 | ||||
삼육서울병원 (Sahmyook Medical Center) | 삼육서울병원 | ||||
중랑교 (Jungnang Bridge) | 중랑교 | 동부간선도로 | |||
동부시장교차로 (중랑역) (Dongbu Market IS (Jungnang station)) | 동부시장교차로 (중랑역) | 중랑역로 | 중랑구 | ||
동1로지하차도교차로 (Dong1ro Underpass IS) | 동1로지하차도교차로 | 국도 3호선 (동일로) | 국도 47호선 중복 | ||
상봉삼거리 (상봉역) (Sangbong IS (Sangbong station)) | 상봉삼거리 (상봉역) | 면목로 | |||
상봉지하차도교차로 (Sangbong Underpass IS) | 상봉지하차도교차로 | 상봉중앙로 | |||
망우역 교차로 (Mangu station IS) | 망우역교차로 | 상봉로 | |||
신내지하차도교차로 (Sinnae Underpass IS) | 신내지하차도교차로 | 신내로 | |||
망우사거리 (Mangu IS) | 망우사거리 | 국도 47호선 (용마산로) | |||
망우리고개 (Mangurigogae) | 망우리고개 | 경기도 진입 | |||
4. 3. 경기도 구간
국도 제6호선은 경기도를 서쪽의 부천시와 동쪽의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을 거쳐 지나간다.=== 부천시 ===
이름[38][3]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천상교 | 부천시 | 오정구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인천광역시 계양구 - 부천시 경계 | |
삼정고가교삼거리 | 송내대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 ||
자동차검사소삼거리 | 오정로39번길 | |||
삼정교사거리 | 국도 제39호선 (석천로)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 ||
산업길사거리 | 국도 제39호선 (신흥로) | 부천 나들목 간접 연결 | ||
내촌고가삼거리 | 부천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 ||
우편집중국삼거리 | 오정로211번길 | |||
OBS 경인TV | ||||
덕산고등학교 교차로 | 오정로251번길 오정로252번길 | |||
봉오대로사거리 | 봉오대로 | |||
하오정교 | ||||
대장동입구 교차로 | 대장로 | |||
아시아나항공입구 |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970번길 | 서울특별시 강서구 진입 |
=== 구리시 ===
이름[5]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망우리고개 | 구리시 | 교문동 | 서울특별시 중랑구 - 경기도 구리시 경계 | |
교문사거리 |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아차산로) | |||
중앙예식장앞교차로 | 응달말로 체육관로 | 인창동 | ||
돌다리사거리 | 건원대로 검배로 | |||
구리역 구리시외버스정류장 | ||||
왕숙교 | 남양주시 경계 |
=== 남양주시 ===
이름[5]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왕숙교 | 남양주시 | 다산동 | 구리시 경계 | |
남양주 나들목 (도농사거리)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미금로 | |||
(이름 없음) | 도농로 | |||
도농역 | ||||
도농삼거리 | 경춘로 | |||
(이름 없음) | 북부간선도로 | 양정동 | ||
이패방앗간앞 | 지방도 제86호선 (양정로) | 지방도 제86호선 중복 | ||
이패 나들목 | 수석-호평 도시고속도로 | |||
양정역 | ||||
삼패사거리 | 고산로 | 지방도 제86호선 중복 덕소-삼패 나들목 (서울양양고속도로) 간접 연결 | ||
덕소 나들목 | 지방도 제86호선 (덕소로) | 지방도 제86호선 중복 | ||
덕소강변대교 | 와부읍 | |||
도곡 나들목 | 덕소로 | |||
하팔당삼거리 | 팔당로 | |||
팔당대교 나들목 | 팔당대교 국도 제45호선 (창구로) | 국도 제45호선 중복 | ||
팔당1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220m 좌측 터널: 약 260m | |||
팔당2터널 | 조안면 | 국도 제45호선 중복 약 310m | ||
팔당3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175m 좌측 터널: 약 235m | |||
팔당4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420m 좌측 터널: 약 450m | |||
봉안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약 750m | |||
봉안대교 | 국도 제45호선 중복 | |||
조안 나들목 | 국도 제45호선 (북한강로) | 양평군 경계 |
=== 양평군 ===
이름[5]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조안 나들목 | 국도 제45호선 (북한강로) | 양평군 | 양서면 | 남양주시 경계 |
신양수대교 | ||||
양수 교차로 | 양수로 | |||
용담대교 | ||||
신원역 | ||||
(국수교차로) (국수역) | ||||
양평 나들목 | 중부내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옥천면 | ||
아신역교차로 | 아신역 인근 | |||
고읍교차로 | 고읍로 | |||
옥천교차로 | ||||
오빈교차로 | 양근로 | 양평읍 | 오빈역 인근 | |
상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 중복 | ||
양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여주-양평 고속도로) | |||
양평소방서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공흥육교 | 배군길 | |||
백동육교 | 초롱길 | |||
백안육교 | 중앙로 | |||
신흥육교 | 대흥로 | |||
용문터널 | 용문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345m 좌측 터널: 약 173m | ||
용문 교차로 | 가월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용문교 | ||||
마룡 교차로 | 지방도 제341호선 (용문산로) | |||
금곡 교차로 | 용문로 | |||
봉상삼거리 | 지방도 제70호선 (용문로) | 단월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중복 | |
삼가 교차로 | 지방도 제345호선 (양동로) 봉상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단월 교차로 | 보룡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보룡 교차로 |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단월로)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교동 교차로 | 백동길 | 청운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비룡 교차로 | 비룡1길 | |||
용두 교차로 | 국도 제44호선 (서락로)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349호선 (모루고갯길) | |||
도덕고개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경계 |
4. 4.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이름[6]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도덕고개 | 횡성군 | 서원면 | 경기도-강원특별자치도 경계 | |
석화삼거리 | 지방도 제409호선 (서원서로) | |||
유현초등학교 | ||||
횡성공근농공단지 | 공근면 | |||
신촌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영서로) | 국도 제5호선 중복 구간 | ||
횡성 나들목(학곡 나들목) | 중앙고속도로 (한우로) | 횡성읍 | ||
횡성터널 | 국도 제5호선 중복 구간 연장 (우측): 540m 연장 (좌측): 544m | |||
입석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횡성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읍상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구간 | ||
마산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구간 | ||
추동교차로 | 지방도 제442호선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구간 | ||
영영포교차로 | 국도 제19호선 (성동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구간 끝 | ||
(이름 없음) | 추용로 | 우천면 | ||
(이름 없음) | 상하가로 | |||
(이름 없음) | 정포로 | |||
(이름 없음) | 덕송로 | 둔내면 | ||
현천삼거리 | 지방도 제411호선 (강변로) | |||
둔내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420호선 (고원로) | 지방도 제420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둔내삼거리 | 둔방로 경강로 둔방 6길 | |||
(이름 없음) | 용현로 | |||
마암1리 | 지방도 제420호선 (갑천로) | 지방도 제420호선 중복 구간 끝 | ||
(이름 없음) | 봉덕로 | |||
양구두미재 | 평창군 | 봉평면 | ||
태기삼거리 | 지방도 제408호선 (태기로) | 지방도 제408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408호선 (팔송로) | 지방도 제408호선 중복 구간 끝 | ||
(이름 없음) | 봉평북로 | |||
(이름 없음) | 이효석길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424호선 (애강나무길) | 지방도 제424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백옥삼거리 | 지방도 제408호선 지방도 제424호선 (태기로) | 용평면 | 지방도 제424호선 중복 구간 끝 | |
평창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
(이름 없음) | 국도 제31호선 (평창대로) | 국도 제31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장평시외버스터미널 | ||||
용평면사무소 | ||||
속사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
속사삼거리 | 국도 제31호선 (운두령로) | 국도 제31호선 중복 구간 끝 | ||
속사재 | 진부면 | |||
(이름 없음) | 청송로 | |||
하진부교차로 | 국도 제59호선 (오대천로) 진부중앙로 | 국도 제59호선 중복 구간 시작 | ||
진부체육공원교차로 | 석두로 | |||
오대교사거리(진부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
(이름 없음) | 진부중앙로 | |||
(이름 없음) | 방아다리로 | |||
월정삼거리 | 지방도 제456호선 (경강로) | |||
병안삼거리 | 오대산로 | 대관령면 | ||
진고개 | 강릉시 | 연곡면 | ||
부연동삼거리 | 국도 제59호선 (부연동길) | 국도 제59호선 중복 구간 끝 | ||
소금강입구교차로 | 소금강길 | |||
신왕초등학교 | 장덕고개길 | |||
(행신교 북단) | 지방도 제415호선 (신왕길) | |||
연곡삼거리 | 연주로 | |||
연곡교차로 | 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 종점 | ||
5. 교차하는 도로
인천광역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경인고속도로를 보조하는 도로이다. 또한, 시내 구간은 인천대로[7]라는 명칭이 지정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에서는 한강을 양화대교를 통해 건너고 있다.
이름[38]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인천역 |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제물량로) 월미로 차이나타운로51번길 | 인천광역시 | 중구 | 기점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 98호선과 중복 |
송월시장 | 참외전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 98호선과 중복 | ||
만석고가교 | ||||
동구 | ||||
동일방직 인천공장 인천만석초등학교 | ||||
화수사거리 | 인중로 제물량로 | |||
송현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중봉대로) 송현로 | |||
황금고개사거리 | 샛골로 인중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
인천서흥초등학교 | ||||
송림오거리 | 동산로 샛골로 송림로 | |||
(이름 없음) | 새천년로 | |||
송림삼거리 | 봉수대로 인중로 | |||
송림고개 | ||||
미추홀구 | ||||
인천대삼거리 | 숙골로 | |||
인천서화초등학교 | ||||
궁현사거리 | 염전로 | |||
인천교삼거리 | 장고개로 | |||
동구구민운동장 | ||||
가좌 나들목 (가좌IC앞 교차로) | 인천대로 백범로 장고개로 | 서구 | ||
석남제2고가교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하부 통과 | |||
석남진출입로 | 인천대로 | |||
석남제1고가교 (석남역) | 길주로 | |||
율도입구삼거리 | 율도로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 ||
루원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서곶로) 봉오대로 | |||
(효성고가교 북단) | 봉오대로 청안로 효서로 | 계양구 |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 |
새말사거리 | 마장로 | |||
효성사거리 | 안남로 | |||
나들목사거리 (부평 나들목) | 120호선 경인고속도로 계양대로 | |||
작전고가앞 교차로 | 주부토로 | |||
메뜰사거리 | 장제로 | |||
서운중학교 서운고등학교 | ||||
천상교 |
이름[3]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천상교 | 경기도 부천시 | 오정동 | 국도 제77호선 중복 인천광역시 - 부천시 경계 | |
자동차검사소삼거리 | 오정로39번길 | |||
(이름 없음) | 국도 제39호선 (석천로)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산업길사거리 (부천 나들목) | 국도 제39호선 (신흥로) | |||
내촌고가입구 | 부천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서울특별시 방면 | ||
우편집중국삼거리 | 오정로211번길 | |||
OBS 경인TV | ||||
덕산고등학교 | 오정로251번길 오정로252번길 | |||
봉오대로사거리 | 봉오대로 | |||
대장동입구 교차로 | 대장로 | 괴안동 | ||
아시아나항공입구 |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970번길 |
이름[4]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오쇠삼거리 | 소사로 소사로970번길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국도 제77호선 중복 경기도 - 서울특별시 경계 |
외발산사거리 | 남부순환로 방화대로 | |||
마곡역 교차로 |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발산역 교차로 | 강서로 | |||
한국가스공사 KBS스포츠월드 | ||||
강서구청사거리 | 화곡로 | |||
등촌중학교 서울백석초등학교 한국정보화진흥원 | ||||
등촌역 교차로 | 등촌로 공항대로59길 | 양천구 | ||
염창역 | ||||
양화대교 | 안양천로 양천로 | |||
영등포구 | ||||
성산대교남단 교차로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8호선 (서부간선도로) | |||
양화대교남단 교차로 | 노들로 선유로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양화대교 | ||||
마포구 | ||||
양화대교북단 교차로 |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강변북로) | |||
합정역 교차로 | 동교로 월드컵로 | |||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 양화로 연희로 | |||
창천동삼거리 | 와우산로 | |||
신촌오거리 (신촌역) | 백범로 서강로 연세로 | |||
신촌역 (경의선)입구 | 신촌역로 | |||
이대역 교차로 | 대흥로 이화여대길 | |||
아현역 교차로 | 굴레방로 북아현로 | 서대문구 | ||
아현교차로 | 마포대로 | |||
충정로사거리 (충정로역) (아현고가차도) | 서소문로 경기대로 | |||
서대문역 교차로 (서대문고가차도) | 통일로 | |||
정동사거리 | 송월길 정동길 | |||
경희궁 | 종로구 | |||
세종대로사거리 | 국도 제48호선 (세종대로) | |||
종로1가교차로 (종각역) | 우정국로 | |||
종로2가교차로 | 삼일대로 | |||
종로3가역 | 돈화문로 수표로 | |||
종로4가교차로 | 창경궁로 | |||
종로5가교차로 (종로5가역) | 대학로 동호로 | |||
흥인지문 교차로 (동대문역) | 율곡로 | |||
동묘앞역 | 지봉로 | |||
신설동역 교차로 | 난계로 보문로 천호대로 | 동대문구 | ||
용두동사거리 | 무학로 | |||
제기동역 | 약령시로 | |||
경동시장사거리 | 고산자로 | |||
성바오로병원교차로 | 답십리로 | |||
청량리역 교차로 | 홍릉로 | |||
떡전교사거리 | 제기로 전농로 | |||
시조사삼거리 | 이문로 | |||
회기역 | 회기로 | |||
삼육서울병원 | 망우로 | |||
중랑교 | 동부간선도로 | |||
동부시장교차로 (중랑역) | 중랑역로 | 중랑구 | ||
중랑교교차로 (동1로지하차도) | 국도 제3호선 (동일로) | 국도 제47호선 중복 | ||
상봉삼거리 (상봉역) | 면목로 | |||
상봉지하차도교차로 | 상봉중앙로 | |||
망우역 교차로 | 상봉로 | |||
신내지하차도교차로 | 신내로 | |||
망우사거리 | 국도 제47호선 (용마산로) | |||
망우리고개 | 경기도 구리시 방면 |
이름[5]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망우리고개 | 경기도 | 구리시 | 교문동 | 서울특별시 - 경기도 경계 | |
교문사거리 |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아차산로) | ||||
중앙예식장앞교차로 | 응달말로 체육관로 | 인창동 | |||
돌다리사거리 | 건원대로 검배로 | ||||
구리역 구리시외버스정류장 | |||||
왕숙교 | |||||
남양주 나들목 (도농사거리) |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미금로 | 남양주시 | 다산동 | ||
(이름 없음) | 도농로 | ||||
도농역 | |||||
도농삼거리 | 경춘로 | ||||
(이름 없음) | 북부간선도로 | 양정동 | |||
이패방앗간앞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양정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중복 | |||
이패 나들목 | 수석-호평 도시고속도로 | ||||
양정역 | |||||
삼패사거리 | 고산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중복 덕소-삼패 나들목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간접 연결 | |||
덕소 나들목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덕소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중복 | |||
덕소강변대교 | 와부읍 | ||||
도곡 나들목 | 덕소로 | ||||
하팔당삼거리 | 팔당로 | ||||
팔당대교 나들목 | 팔당대교 국도 제45호선 (창우로) | 국도 제45호선 중복 | |||
팔당1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연장: 우측 약 220m, 좌측 약 260m | ||||
팔당2터널 | 조안면 | 국도 제45호선 중복 연장: 약 310m | |||
팔당3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연장: 우측 약 175m, 좌측 약 235m | ||||
팔당4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연장: 우측 약 420m, 좌측 약 450m | ||||
봉안터널 | 국도 제45호선 중복 연장: 약 750m | ||||
봉안대교 | 국도 제45호선 중복 | ||||
조안 나들목 | 국도 제45호선 (북한강로) | ||||
신양수대교 | 양평군 | 양서면 | |||
양수 교차로 | 양수로 | ||||
용담대교 | |||||
신원역 | |||||
(국수교차로) (국수역) | 지방도 제307호선 (양수로) | ||||
양평 나들목 |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옥천면 | |||
아신역교차로 (아신역) | 경강로 | ||||
고읍교차로 | 고읍로 | ||||
옥천교차로 | 지방도 제307호선 (옥천로) | ||||
오빈교차로 | 양근로 | 양평읍 | |||
상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 중복 | |||
양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여주-양평 고속도로) | ||||
양평소방서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공흥육교 | 배군길 | ||||
백동육교 | 초롱길 | ||||
백안육교 | 중앙로 | ||||
신흥육교 | 대흥로 | ||||
용문터널 | 용문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연장: 우측 약 345m, 좌측 약 173m | |||
용문 교차로 | 가월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용문교 | |||||
마룡 교차로 | 지방도 제341호선 (용문산로) | ||||
금곡 교차로 | 용문로 | ||||
봉상삼거리 | 지방도 제70호선 (용문로) | 단월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중복 | ||
삼가 교차로 | 지방도 제345호선 (양동로) 봉상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단월 교차로 | 보룡길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보룡 교차로 |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단월로) |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중복 | |||
교동 교차로 | 백동길 | 청운면 | 국도 제44호선 중복 | ||
비룡 교차로 | 비룡1길 | ||||
용두 교차로 | 국도 제44호선 (용두로)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349호선 (모루고갯길) | ||||
도덕고개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방면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 이름[6]
! 접속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비고
|-
! 도덕고개
|
|rowspan=52| 강원특별자치도
|rowspan=23| 횡성군
|rowspan=3| 서원면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경계
|-
! 석화삼거리
| 지방도 제409호선
(서원서로)
|
|-
! 유현초등학교
|
|
|-
! 횡성공근농공단지
|
|rowspan=2|공근면
|
|-
! 신촌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영서로)
|rowspan=2|국도 제5호선 중복
|-
! 횡성 나들목
(학곡 나들목)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한우로)
|rowspan=7|횡성읍
|-
! 횡성터널
|
| 국도 제5호선 중복
연장: 우측 약 540m, 좌측 약 544m
|-
! 입석 나들목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횡성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중복
|-
! 읍상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
! 마산교차로
| 한우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
! 추동교차로
| 지방도 제442호선
(한우로)
|rowspan=2| 국도 제19호선 중복
|-
! 영영포교차로
| 국도 제19호선
(성동로)
|-
! (이름 없음)
| 추용로
|rowspan=3|우천면
|
|-
! (이름 없음)
| 상하가로
|
|-
! (이름 없음)
| 정포로
|
|-
! (이름 없음)
| 덕송로
|rowspan=8|둔내면
|
5. 1. 고속도로
- 평택-파주 고속도로 (평택-화성 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경인고속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5. 2. 국도
- 국도 제1호선
- 국도 제3호선
- 국도 제5호선
- 국도 제7호선
- 국도 제19호선
- 국도 제31호선
- 국도 제37호선
- 국도 제39호선 (대한민국)
- 국도 제42호선
- 국도 제43호선
- 국도 제44호선
- 국도 제45호선
- 국도 제46호선
- 국도 제47호선
- 국도 제48호선
- 국도 제59호선
- 국도 제77호선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本道路は仁川広域市道65号線に指定された状態である。
[8]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506호
http://theme.archive[...]
1972-11-30
[10]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1]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31호
http://theme.archive[...]
1976-04-07
[12]
간행물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1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3호
http://theme.archive[...]
1981-04-13
[1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1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6호, 제7호
http://theme.archive[...]
1982-01-25
[16]
간행물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6-05-13
[1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30호
http://theme.archive[...]
1994-07-15
[1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148호
http://theme.archive[...]
1996-01-15
[19]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3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2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4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2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5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2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05호
http://theme.archive[...]
1999-12-04
[2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66호
http://theme.archive[...]
2000-07-05
[2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5호
http://gwanbo.mois.g[...]
2001-01-16
[2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호
http://gwanbo.mois.g[...]
2001-01-10
[2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21호
http://www.provin.ga[...]
2003-12-26
[2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6호
http://wcmo.molit.go[...]
2004-01-14
[2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28호
http://gwanbo.mois.g[...]
2010-12-24
[30]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50호
http://event.seoul.g[...]
2014-12-26
[31]
보도자료
노들길 양화교~양화대교 남단 2.1km 자동차전용도로 해제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청
2014-12-21
[3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42호
http://gwanbo.mois.g[...]
2017-06-23
[3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7호
http://gwanbo.mois.g[...]
2017-09-21
[3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96호
http://gwanbo.mois.g[...]
2017-12-04
[3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8호
http://gwanbo.mois.g[...]
2017-12-27
[3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17호
http://gwanbo.mois.g[...]
2018-01-05
[3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16호
http://gwanbo.mois.g[...]
2018-01-03
[38]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