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렁허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렁허리(Monopterus albus)는 갯벌장어과에 속하는 민물 장어 모양의 물고기이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최대 1m까지 자란다. 뱀장어목에 속하는 "진짜" 뱀장어와는 달리 갯벌장어목에 속하며, 3개의 유전적으로 다른 집단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번식 행동을 보인다. 드렁허리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특히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그러나, 드렁허리는 악구충의 숙주이기 때문에 덜 익혀 먹으면 선충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3년 기재된 물고기 - 자바리
자바리는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어류를 먹고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며 최대 136cm까지 성장하고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1793년 기재된 물고기 - 새가라지
새가라지는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얕은 바다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동물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어업 및 낚시 대상, 식용으로 이용된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쉬리
쉬리는 한강, 낙동강 등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노란색 또는 주황색 줄무늬와 영화 제목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학명은 아름다운 외형을 뜻한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가시납지리
가시납지리는 특정 시기에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기 수컷은 등지느러미가 커지고 검은 점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암컷은 산란관을 갖는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드렁허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목 | 타우나기목 |
과 | 타우나기과 |
속 | 타우나기속 |
종 | 타우나기 M. albus |
학명 | Monopterus albus (Zuiew, 1793) |
영어 이름 | Swamp eel Ricefield eel |
일본어 이름 | 타우나기(田鰻) |
한국어 이름 | 드렁허리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LC (최소 관심) |
학명 정보 | |
명명자 | (Zuiew, 1793) |
이명 | Muraena alba Zuiew, 1793 Fluta alba (Zuiew, 1793) Synbranchus grammicus Cantor, 1842 Gymnotus albus Zuiew, 1789 Monopterus javanensis Lacepède, 1800 Unibranchapertura laevis Lacepède, 1803 Monopterus laevis (Lacepède, 1803) Ophicardia phayriana McClelland, 1844 Pneumabranchus cinereus McClelland, 1844 Monopterus cinereus (McClelland, 1844) Synbranchus xanthognathus Richardson, 1845 Monopterus xanthognathus (Richardson, 1845) Ophicardia xanthognatha (Richardson, 1845) Monopterus helvolus Richardson, 1846 Monopterus marmoratus Richardson, 1846 Apterigia saccogularis Basilewsky, 1855 Apterigia nigromaculata Basilewsky, 1855 Apterigia immaculata Basilewsky, 1855 |
2. 분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서열 분석 등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드렁허리는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최소 3개의 주요 집단으로 나뉘는 것으로 보인다.[32] 이들 집단은 유전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각각 독립된 종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며,[32] 일부 집단은 특정 지역의 고유 재래 집단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보호 필요성이 언급되기도 한다.[32][36] 또한, 특정 지역의 드렁허리 집단은 다른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32][33]
2. 1. 분류학적 위치
드렁허리는 갯벌장어목 갯벌장어과에 속하는 민물 어류이다.[2] 뱀장어목에 속하는 일반적인 뱀장어와는 다른 목으로 분류된다.[4]연구에 따르면, 드렁허리는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최소 3개의 클레이드 또는 숨은 종으로 나눌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3][32] 하지만 분류학적 동의어 문제가 복잡하여 아직 공식적으로 명명되지는 않았다.[3]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 크게 세 집단으로 나뉜다.[32]
- '''중국 및 일본 (오키나와 제외) 집단:''' 수컷이 거품 둥지를 만들고, 부화한 치어를 입 안에 넣어 보호한다.[3]
- '''류큐 열도 (남서 제도) 집단:''' 거품 둥지를 만들지만, 입으로 치어를 보호하지는 않는다.[3] 이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 약 570만 년 이상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으로 뚜렷이 구분된다.[32] 따라서 인위적 유입보다는 류큐 고유의 재래종일 가능성이 높아[32] 보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36]
- '''동남아시아 집단:''' 원래의 ''M. albus''를 포함하는 집단이다. 거품 둥지를 만들지 않고 부유 식물 뿌리 등에 알을 낳으며, 특별한 부모 보살핌을 보이지 않는다. 유충은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물의 흐름을 만들고 피부 호흡을 통해 산소 섭취를 늘린다. 이 집단은 유전적 다양성이 가장 높으며, 미국 등지에 도입된 종이기도 하다.[3]
이 세 집단은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어 각각 독립된 종으로 볼 수도 있다.[32] 형태적으로는 매우 유사하여 구별하기 어렵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육아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3]
일본 본토의 드렁허리는 중국 집단과 같은 계통으로, 중국 대륙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2] 실제로 1900년경 한반도를 거쳐 나라현으로 반입되었다는 기록도 있다.[33] 타이완에는 동남아시아 계통과 중국/일본 계통이 모두 서식하는데, 어느 쪽이든 인위적 유입인지는 불확실하다.[32]
2. 2. 계통 및 종 분화
드렁허리(''Monopterus albus'')는 갯벌장어과(Synbranchidae)에 속하는 민물고기로,[2] 뱀장어목의 '진짜' 뱀장어와는 구별되는 갯벌장어목 어류이다.[4] 드렁허리는 암컷 선숙의 성전환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 서열 분석 등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드렁허리는 외형적으로는 매우 유사하여 구별하기 어렵지만, 유전적으로는 서로 다른 최소 3개의 그룹(클레이드 또는 숨은 종)으로 나뉜다.[3][32] 이 그룹들은 번식 및 육아 행동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3]
계통 | 주요 분포 지역 | 번식 및 육아 특징 | 비고 |
---|---|---|---|
중국·일본 계통 | 중국, 일본 (본토), 타이완[32] | 수컷이 굴 안에 거품 둥지를 만들고 알을 보호한다.[35] 부화 후 자어를 구강 보육한다.[35] | 일본 개체군은 1900년 전후 한반도를 거쳐 나라현으로 인위적으로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2][33] 타이완 개체군의 이입 여부는 불확실하다.[32] |
류큐 계통 | 류큐 열도 (남서 제도)[32] | 거품 둥지를 만들지만, 구강 보육은 하지 않는다.[3][32] | 중국·일본 계통과 약 570만 년 이상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32] 류큐 고유의 재래 집단일 가능성이 높아 보호 필요성이 제기된다.[32][36] |
동남아시아 계통 | 동남아시아, 타이완[32] | 거품 둥지를 만들지 않고, 부레옥잠 등 부유 식물 뿌리 사이에 알을 낳으며, 부모의 보살핌이 없다.[3][32] 유충은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물의 흐름을 증가시키고 피부 호흡을 한다.[3] | 유전적 다양성이 가장 높으며, 여러 숨은 종을 포함할 수 있다.[3] 미국에 도입된 종은 이 계통에 속한다.[3] 타이완 개체군의 이입 여부는 불확실하다.[32] |
드렁허리는 뱀장어나 뱀처럼 몸이 길쭉한 원통형이며 비늘이 없다.[2][30] 겉모습은 뱀장어와 유사하지만,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없고 다른 지느러미들도 크게 퇴화하거나 없는 점이 다르다.[2][30] 몸 색깔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5]
이처럼 각 계통은 뚜렷한 유전적, 행동적 차이를 보이지만, 외형적으로는 구별이 어려워 분류학적으로는 아직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다.[3]
3. 형태
3. 1. 외형
몸은 뱀장어처럼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비늘이 없다.[30] 일반적으로 성체의 몸길이는 25cm에서 40cm 정도이며, 최대 1m까지 자랄 수 있다.[2][30]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없다.[2][30]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퇴화하여 하나로 합쳐져 있거나[30] 없는 경우도 많으며, 주름 모양을 하고 있다.[2][30] 이 지느러미는 몸이 구르는 것을 방지하고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과 정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2]
좌우의 아가미 구멍은 배 쪽 아래에서 하나로 합쳐져 V자 형태를 이룬다(불대칭 1공).[30] 아가미 막도 융합되어 있다.[2]
입은 크고 튀어나오며, 위턱과 아래턱 모두 작은 이빨이 있다.[5][30] 이 이빨은 물고기, 벌레, 갑각류 및 기타 작은 수생 동물을 먹는 데 사용된다.[5]
몸 색깔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올리브색 또는 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어두운 반점이 있다.[5] 등 쪽은 갈색 또는 녹갈색이며, 배 쪽은 옅은 황색 또는 엷은 갈색을 띤다.[30] 플로리다에 서식하는 개체는 등 쪽이 어두운 올리브색 또는 갈색이고 배 쪽은 밝은 주황색을 띠기도 하며, 애완동물 거래를 위해 사육된 개체는 더 다채로운 색상을 보일 수 있다.[5][6]
3. 2. 색상
색상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등 쪽은 올리브색, 갈색 또는 녹갈색을 띠며, 배 쪽은 옅은 황색 또는 엷은 갈색이다.[5][30] 불규칙한 어두운 반점이 있는 경우도 있다.[5] 미국 플로리다에 서식하는 개체는 일반적으로 몸과 머리가 어둡고, 등쪽은 어두운 올리브색 또는 갈색, 배쪽은 밝은 주황색을 띤다. 플로리다에서 발견되는 개체 중 일부는 애완동물 거래를 위해 사육된 것으로, 더 다채로운 색상을 보이기도 한다.[5][6]
4. 분포
드렁허리는 광범위하게 분포한다.[7] 원산지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이며, 서쪽으로는 인도까지 이른다.[8][5] 인도 북부와 미얀마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부터 중국, 일본, 인도-말레이 군도까지가 주요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5] 다만, 극동 러시아와 호주 북동부의 개체군은 유전적으로 다른 숨은 종일 가능성이 제기된다.[5][9]
원산지 외에도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일본의 일부 개체군은 중국이나 한반도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3] 하와이 제도의 오아후 섬에는 1900년경 도입되어 현재까지 서식하고 있다.[5][10] 필리핀에서도 1918년 이후 기록이 확인되며 침입종으로 자리 잡았다.[11][12][13] 미국 남동부 지역에는 20세기 말에 유입되어 조지아주와 플로리다주 등지에 정착하였다.[5][14][6][15] 이러한 확산은 수족관 방류나 식용 목적의 도입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4. 1. 원산지
드렁허리(''Monopterus albus'')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이 원산지이며, 서쪽으로는 인도 북부까지 분포한다.[8][5] 원산지는 인도 북부와 미얀마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부터 중국, 일본, 인도-말레이 군도까지 포함한다.[5] 극동 러시아와 호주 북동부의 개체군은 다른 숨은 종일 가능성이 있다.[5][9] 인도, 중국 남부(사천성 포함[31])에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아마 방글라데시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30][32]일본의 경우, 혼슈와 큐슈 등 서일본[32] 대부분 지역의 개체군은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나라 분지의 개체군은 20세기 초에 한반도에서 건너온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 분포가 불연속적인 점으로 미루어 지난 1000년 이내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3] 대만에서는 두 가지 다른 계통의 드렁허리가 발견되는데, 일본형은 1940년에 유입되었고, 동남아시아형은 흔하게 발견되며 유입되었거나 원래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다.[3]
드렁허리는 인위적인 이입을 통해 분포 지역을 넓혀왔다. 1900년경 하와이 제도의 오아후 섬에 처음 유입되어 현재까지 서식하고 있다.[5][10] 필리핀에서는 1918년 필라델피아 상업 박물관의 수집 기록이 최초이며, 이후 침입종으로 자리 잡았다.[11][12][13]
미국 남동부에는 20세기 말에 정착했다.[5] 1990년경 조지아주 애틀랜타 인근 자연 센터의 연못에 유입되었고, 1994년까지 챗터후치 강 인근 습지로 퍼져나갔다.[14] 1997년에는 플로리다주 남동부와 중서부 두 곳에서 발견되었다.[6] 현재 플로리다 남부의 마이애미 북부 지역과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동쪽의 두 운하 시스템 약 약 88.51km 구간에 수만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993년 이후 플로리다주 탬파 외곽과 조지아주 남부의 챗터후치 강 인근에서도 다른 개체군들이 확인되었다.[15] 이러한 미국의 개체군들은 가정용 수족관이나 양식장에서 의도적 또는 우발적으로 방류되었거나, 일부 지역 주민들이 식용으로 도입하려 한 결과로 여겨진다.[5]
주요 서식지는 늪이나 수로, 논 등 따뜻한 담수 환경이다.[7]
4. 2. 도입 및 확산
일본 혼슈와 큐슈 등 대부분 지역의 개체군은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3]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일본 본토(오키나와 제외)의 드렁허리는 중국 계통에 속하며, 이는 중국 대륙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2] 특히 나라 분지의 개체군은 20세기 초 한국에서 유입되었으며,[3] 1900년 전후 한국에서 나라현으로 반입되었다는 구체적인 기록도 존재한다.[33] 일본 내 분포가 불연속적인 점 또한 비교적 최근(지난 1000년 이내)에 유입이 이루어졌음을 뒷받침한다.[3]대만에서는 동남아시아 계통과 중국·일본 계통의 드렁허리가 모두 발견된다.[3][32] 일본형(중국·일본 계통)은 1940년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흔하게 발견되는 동남아시아 계통의 경우 대만 고유종인지 혹은 외부에서 유입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3][32]
하와이 제도의 오아후 섬에는 1900년경 처음 유입되어 현재까지 서식하고 있다.[5][10] 필리핀에서는 1918년 필라델피아 상업 박물관의 수집 기록이 최초이며, 이후 정착하여 침입종으로 간주된다.[11][12][13]
미국 남동부에는 20세기 말에 유입되어 정착하였다.[5] 1990년경 조지아주 애틀랜타 인근 챗터후치 강 유역의 한 자연 센터 연못에 처음 유입되었고, 1994년까지 인근 습지로 퍼져나갔다.[14] 이후 1997년에는 플로리다주 남동부와 중서부 두 곳에서도 발견되었다.[6] 플로리다 남부의 두 운하 시스템(노스 마이애미 지역과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동쪽)에는 약 약 88.51km에 걸쳐 수만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 1993년 이후 플로리다 탬파 외곽과 조지아 남부(챗터후치 강 인근)에서도 별도의 개체군이 확인되었다.[15] 이러한 미국 내 개체군 형성은 가정용 수족관이나 양식장에서 의도적 혹은 우발적으로 방류되었거나, 일부 지역 주민들이 식용으로 정착시키려 한 결과로 추정된다.[5]
5. 생태
1958년의 한 오래된 문헌에서는 드렁허리가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5] 수년간의 연구 결과 이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6]
5. 1. 서식 환경

드렁허리는 논, 도랑, 연못, 늪, 개울, 강, 운하, 호수, 저수지 등 얕은 진흙 바닥이 있는 다양한 담수 습지를 선호한다.[5] 주로 따뜻한 담수 환경에 서식하며, 최적의 수심은 3m 미만이다.[5]
드렁허리는 다양한 산소 농도에 적응할 수 있으며, 저산소 환경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 물속에서 아가미 호흡이 어려울 경우, 피부를 통해 공기 중 산소의 최대 25%까지 흡수할 수 있다.[5] 또한, 저산소 상태의 물에서는 수면 위로 코를 내밀어 직접 공기 호흡을 하기도 한다.[33]
분포 지역은 동남아시아부터 동아시아 남부까지 광범위하다. 인도, 말레이 반도, 필리핀, 중국 (동부, 남부, 사천성[31]), 한반도, 일본 (서일본[32]) 등지에서 발견되며, 방글라데시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0] 인위적인 이입으로 인해 분포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겨울에는 흙 속에 깊이 파고 들어가 동면하며, 흙이 축축하다면 물이 없어도 생존할 수 있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철 물을 뺀 논을 파서 드렁허리를 포획하기도 한다.[34] 둑이나 용수로에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관개 시설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33]
5. 2. 먹이
드렁허리(''M. albus'')는 야행성 동물이다.[5][33] 먹이로는 다른 물고기, 새우, 가재, 개구리, 거북이 알, 벌레와 곤충과 같은 수생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다.[5][33] 드물게 유기물 부스러기를 섭취하기도 한다.[5]5. 3. 번식
드렁허리는 자웅동체이며, 암컷 선숙의 성전환을 한다.[35] 모든 어린 개체는 암컷으로 태어나며, 성장 과정에서 일부 개체가 수컷으로 성전환한다. 이러한 성전환은 암컷 개체 수가 부족할 때 일어나며, 완료되기까지 최대 1년이 걸릴 수 있다.[16]산란은 연중 가능하다.[17] 암컷은 한 번에 최대 1,000개의 알을 낳는다.[3][17]
번식 방식은 지역 개체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32] 일본과 중국의 일부 개체군에서는 수컷이 강한 부성애를 나타낸다. 이들 수컷은 굴 입구나 내부에 거품으로 둥지를 만들고 알과 자어(새끼 물고기)를 보호한다.[5][3][35] 일부는 얕은 물 표면에 떠 있는 거품 둥지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 둥지는 수생 식물에 붙어있지 않다.[3][17]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며 보호하고,[35] 부화 후의 자어를 수컷이 구강 보육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35]
그러나 류큐 열도의 개체군에서는 부화 후 구강 보육 행동이 관찰되지 않는다.[32] 타이완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추정되는 개체군에서는 알을 부레옥잠의 뿌리에 낳으며, 부모의 보호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다.[32] 이러한 번식 행동의 지역적 차이는 유전적 분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32]
6. 인간과의 관계
드렁허리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널리 식용되며,[18][20] 다양한 요리법이 발달했다. 반면 일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잘 먹지 않는다.[22][23][24]
식용 외에도 문화적인 의미를 지닌다. 태국에서는 드렁허리를 방생하는 풍습이 있으며,[25] 발리에서는 힌두교 제물로 사용되기도 한다.[21] 또한, 중국에서는 드렁허리의 색과 관련된 벼루 이름이 있을 정도로 문화 속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드렁허리는 ''Gnathostoma spinigerum''과 같은 기생충의 숙주가 될 수 있어, 덜 익혀 먹을 경우 선충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18][19][20]
한편, 미국 플로리다 등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기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26] 이에 따라 개체수 관리 및 확산 방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5][27] 유전적 다양성 연구를 통해 지역별 개체군의 특성과 보전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32][36]
6. 1. 식용
드렁허리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널리 식용된다. 특히 태국 사람들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며,[18] 베트남 전역에서는 양식되기도 한다.[20]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중국,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혼합 양식 논에서 재배되어 쌀과 함께 식료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중국과 타이완에서는 맛있는 식재료로 여겨져 볶음, 조림, 튀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피가 많아 살이 독특한 검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청나라의 시인이자 미식가였던 위안메이는 그의 저서 『수원식단』의 "수족무린단(비늘 없는 물고기 요리)" 항목에서 드렁허리 요리로 걸쭉한 수프인 '선사경'(鱔絲羹), 잘게 썬 볶음 요리인 '초선'(炒鱔), 토막 내어 조림한 '단선'(段鱔) 세 가지를 소개했다.[37]
드렁허리를 이용한 현대 중국 및 타이완 요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요리명 | 지역/특징 | 비고 |
---|---|---|
초선사 (炒鱔絲) | 잘게 썬 볶음 | - |
초선호 (炒鱔糊) | 장쑤 요리 | 참기름 풍미의 달콤한 볶음 조림 |
생폭선편 (生爆鱔片)[38] | 저장 요리 | 튀김에 단맛 나는 소스를 곁들임 |
하폭선면 (蝦爆鱔麵)[39] | 닝보 요리 | 새우와 함께 볶은 드렁허리를 고명으로 얹은 국수 |
황선보자이판 (黃鱔煲仔飯) | 광둥 요리 (타이산) | 드렁허리를 넣은 토냄비밥 |
선어의면 (鱔魚意麵) | 타이완 요리 (타이난) | 튀긴 면을 사용한 드렁허리 면 요리 |
시장에서는 손질된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아 가정에서도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다.
베트남 요리에서는 lươn|르엉vie이라고 불리며, 당면과 함께 끓인 수프인 '미엔 르엉'(miến lươn|미엔 르엉vie), 시큼한 맛의 수프인 '까잉 쯔어 르엉'(canh chua lươn|까잉 쯔어 르엉vie) 등 국물 요리가 많다. 또한 바나나와 함께 쪄낸 '쯔오이 옴 르엉'(chuối om lươn|쯔오이 옴 르엉vie) 같은 요리도 있다.
발리에서는 lindung|린둥ban으로 알려져 있으며, 힌두교 제물에 사용하기 위해 건조된 형태로 마을 시장에서 판매된다.[21]
반면 일본에서는 논(田)과 뱀장어(鰻)를 뜻하는 한자를 합쳐 '타우나기'(田鰻|타우나기jpn, 보통 가타카나로 タウナギ 표기)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는 잘 먹지 않는다.[22][23][24] 다만, 도쿄도 등 중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태국에서는 식용 외에도 공덕을 쌓는 행위의 일환으로 드렁허리를 자연 수역에 방류하기도 한다. 태국인들은 이것이 고통과 슬픔을 끝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으며, 이는 콩벌레 (''Anabas testudineus''), 가물치 (''Channa striata''), 황소개구리 (''Hoplobatrachus rugulosus''), 논우렁이 (''Filopaludina martensi'') 등 다른 수생 동물을 방류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25]
중국어로는 "鱔魚(shànyú)", "鱔", "黄鱔(huángshàn)", "長魚(chángyú)"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후한 시대의 『설문해자』에는 "鱓(shàn)"이 기재되어 있으며, "鱔"은 "鱓"의 이체자이다. 광둥어에서는 속자(𩶤)[28]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광둥성에서는 색과 무늬에 따라 드렁허리를 "황선"(黄鱔), 일본 뱀장어를 "백선"(白鱔), 무태장어를 "화금선"(花錦鱔) 또는 "선왕"(鱔王)으로 구분하여 부른다.[29]
6. 2. 문화
드렁허리는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중요한 식재료로 사용된다. 특히 태국에서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여겨지며,[18] 베트남 전역에서는 양식되기도 한다.[20]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중국,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는 혼합 양식 논에서 드렁허리를 길러 쌀과 함께 식료품으로 판매한다.
발리어로는 '린둥'(lindung|린둥ban)이라고 불리며, 발리의 거의 모든 마을 시장에서 힌두교 제물에 사용하기 위해 건조된 형태로 판매된다.[21]
일본어에서는 논을 의미하는 '타'(田)와 뱀장어를 의미하는 '우나기'(鰻)를 합쳐 '타우나기'(タウナギ)라고 부른다. 보통 가타카나로 표기하며, 일본에서는 흔히 먹지 않는다.[22][23][24]
태국에서는 식용 외에 다른 의미도 가진다. 태국인들은 드렁허리를 자연 수역에 방류하는 행위를 통해 고통과 슬픔을 끝내고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콩벌레 (''Anabas testudineus''), 가물치 (''Channa striata''), 황소개구리 (''Hoplobatrachus rugulosus''), 논우렁이 (''Filopaludina martensi'') 등 다른 수생 동물을 방류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여겨진다.[25]
중국어로는 '鱔魚'(shànyú), '鱔'(shàn), '黄鱔'(huángshàn), '長魚'(chángyú)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후한 시대의 문자학 서적인 『설문해자』에는 '鱓'(shàn)이라는 글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흔히 쓰이는 '鱔'은 발음이 같고 쓰기 쉬운 '善'으로 옆 부분을 바꾼 이체자이다. 광둥어에서는 발음이 같고 획수가 적은 '先'으로 옆 부분을 바꾼 속자 '𩶤'[28]도 사용된다. 참고로 일본어에서는 본자인 '鱓'이 곰치를 의미하는 글자로 쓰인다. 중국 광둥성에서는 드렁허리의 '鱔' 자를 다른 장어과 어류에도 사용하여, 색깔과 무늬 차이에 따라 드렁허리를 '黄鱔', 일본 뱀장어를 '白鱔', 무태장어를 '花錦鱔' 또는 '鱔王'으로 구분해 부른다. 후난성 상지현의 바이족어에서도 일본 뱀장어를 '白鱔'에 해당하는 '바이샹'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드렁허리를 기준으로 삼은 명칭이다.[29] 베트남어로는 lươn|르엉vie이라고 한다.
중국의 벼루 중에는 '선어황징니'(鱔魚黄凝泥)라고 불리는 것이 있는데, 이는 드렁허리 배의 노란색과 비슷한 색상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6. 3. 질병
드렁허리는 선충의 일종인 ''Gnathostoma spinigerum''의 숙주이다. 태국과 베트남에서는 덜 익거나 익지 않은 드렁허리를 섭취하는 것이 드문 기생충 질환인 선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18][19][20]6. 4. 보전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아시아 갯벌장어(드렁허리)가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의 환경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초기 예비 연구에서는 유해한 생태적 영향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더 최근의 연구[26]에 따르면 갯벌장어 유입 이후 여러 종의 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종류의 가재는 갯벌장어가 있는 지역에서 거의 사라졌으며, 다른 어종 역시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미국 지질조사국은 플로리다의 ''M. albus'' 개체수를 통제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들은 갯벌장어의 포획과 운송을 자제하도록 권고하며,[5] 확립된 개체군 주변의 수자원 관리 구조를 개방하지 않아 공원 내 수계로의 확산을 막거나 늦추려 하고 있다.[27] 성체와 어린 갯벌장어는 공기 호흡을 하고, 어린 개체는 피부를 통해서도 산소를 흡수할 수 있어, 아가미를 통해 작용하는 일반적인 어살충제(예: 로테논, 안티마이신 A)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실제로 안티마이신-A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유의미한 이환율이나 사망률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14] 미국의 갯벌장어는 아시아의 특정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시아 내 다른 개체군과는 약간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다.[9]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 서열 분석 연구에 따르면, 드렁허리는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최소 세 개의 집단으로 나뉜다. 이는 각각 중국 및 (오키나와 제외) 일본 분포 집단, 남서 제도 분포 집단, 동남아시아 분포 집단으로, 이들은 서로 다른 독립된 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32] 이 분석에 따르면 일본 본토에 분포하는 드렁허리는 중국 집단과 같은 계통에 속하며, 이는 중국 대륙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2] 실제로 1900년 전후에 한반도에서 나라현으로 드렁허리가 반입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33] 타이완에는 동남아시아 계통과 중국·일본 계통의 드렁허리가 모두 서식하는데, 어느 쪽이든 인위적 유입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32]
반면, 남서 제도(류큐 열도)에 분포하는 개체군은 다른 두 집단과 유전적으로 뚜렷이 구별되며, 약 570만 년 이상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32] 이는 인위적 유입보다는 류큐 지역에 고유의 재래 드렁허리류가 서식하고 있음을 시사하며,[32] 이에 따라 해당 개체군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36]
참조
[1]
간행물
"''Monopterus albus''"
2023-08-06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3]
논문
Cryptic diversification of the swamp eel ''Monopterus albus'' in East and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yukyuan populations
https://www.research[...]
2020-11-08
[4]
논문
NCBI Taxonomy: a comprehensive update on curation, resources and tools
https://www.ncbi.nlm[...]
2020-01-01
[5]
웹사이트
Asian swamp eel
https://nas.er.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11-30
[6]
논문
"An Assessment of the Asian Swamp Eel (''Monopterus albus'') in Florida."
[7]
웹사이트
M.albus distribution
http://el.erdc.usace[...]
[8]
FishBase
[9]
논문
"Genetic Diversity in a Morphologically Conservative Invasive Taxon: Multiple Introductions of Swamp Eels to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10]
논문
Parasites Lost
[11]
논문
A List of Philippine Fishes
https://www.jstor.or[...]
1918
[12]
논문
A review of the eels of the Philippine archipelago
https://www.biodiver[...]
1923-08
[13]
논문
Impacts of Introduced Freshwater Fishes in the Philippines (1905-2013):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https://philjournals[...]
2014-06
[14]
간행물
Effectiveness of atimycin-A as a toxicant for control of invasive Asian swamp eels.
[15]
뉴스
"Asian swamp eel invades Florida."
https://www.thefreel[...]
[16]
웹사이트
Asian Swamp Eel
http://www.fishbase.[...]
[17]
간행물
Swamp aka Rice Eels.
[18]
논문
Gnathostomiasis in Thailand: a survey on intermediate hosts of ''Gnathostoma'' spp. with special reference to a new type of larvae found in ''Fluta alba''.
[19]
논문
A new type of advanced third-stage larvae of the genus ''Gnathostoma'' in freshwater eels, ''Fluta alba'', from Nakhon Nayok, central Thailand
[20]
논문
Prevalence of ''Gnathostoma spinigerum'' infection in wild and cultured swamp eels in Vietnam
[21]
웹사이트
Lindung
https://dictionary.b[...]
2020-03-29
[22]
서적
国語大辞典(新装版) (Kokugo Dai Jiten, Revised Edition)
Tōkyō: Shogakukan
[23]
서적
大辞林 (Daijirin)
Tōkyō: Sanseidō
[24]
서적
大辞泉 (Daijisen)
Tōkyō: Shogakukan
[25]
웹사이트
'แก้เคราะห์-เสริมดวงชะตา แบบไหนถึงได้บุญ'
https://d.dailynews.[...]
2023-06-10
[26]
간행물
Hydrology-mediated ecological function of a large wetland threatened by an invasive predator
https://doi.org/10.1[...]
2023-01-20
[27]
간행물
Water Quality in Southern Florida
http://pubs.water.us[...]
[28]
웹사이트
http://gattin.world.[...]
[29]
서적
桑植[[ペー族]]民家腔口語詞
北京、民族出版社
[30]
FishBase
[31]
서적
中国淡水魚的分布区画
科学出版社、北京
[32]
논문
Cryptic diversification of the swamp eel Monopterus albus in East and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yukyuan populations
http://www.springerl[...]
[33]
서적
日本の淡水生物 侵略と撹乱の生物学
東海大学出版会
[34]
서적
Resource ecology of the Himalayan waters.
[35]
논문
タウナギの雄による卵保護と仔稚魚の口内保育
http://www.fish-isj.[...]
[36]
웹사이트
琉球タウナギ 固有種だった 570万年前から独自進化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09-09-25
[37]
웹사이트
隨園食單·水族無鱗單
http://www.zwbk.org/[...]
中文百科在线
[38]
서적
浙江風味
青島出版社
1995
[39]
서적
中国小吃搜索 引擎
山西経済出版社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