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큐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큐어파는 류큐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괄하며, 크게 북류큐어군과 남류큐어군으로 나뉜다. 북류큐어군에는 아마미어, 북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가 포함되며, 남류큐어군에는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 등이 속한다. 유네스코와 에스놀로그는 류큐어파를 나누는 기준에 차이를 보이며, 유네스코는 6개의 언어로, 에스놀로그는 11개의 언어로 분류한다. 류큐어는 일본어와 어족을 공유하지만 상호 이해는 불가능하며, 언어학적으로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 류큐어는 일본의 강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억압받았으며, 현재 화자 수가 감소하여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류큐어의 언어 지위는 학문적, 정치적 관점에 따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족 - 반도 일본어
반도 일본어는 《삼국사기》 지명에 나타난 일본어족 유사 어휘를 지칭하며, 한반도 내 일본어족 근연 언어 사용 가설의 증거로 제시되지만, 어휘 차용 여부와 음운 재구 정확성 등 비판적 시각과 함께 다양한 학설 및 논쟁이 존재한다. - 일본어족 - 가야어
가야어는 고대 가야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로, 삼국지 동이전에 변한의 언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본어족과의 연관성이 추정되지만,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계통과 특징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 오키나와현의 문화 - 오모로소시
오모로소시는 류큐 왕국 시대의 가요집으로, 류큐 문화의 전신인 '오모로'를 담아 왕, 영웅 등을 찬양하고 풍경, 신화 등을 노래하며 류큐 왕국의 민속 연구에 필수적인 1급 사료로 평가받는다. - 오키나와현의 문화 - 류카
류카는 오키나와의 정형시로, 팔음을 중심으로 오음, 육음, 칠음을 표준으로 하며, 8-8-8-6조의 형식을 가지고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가진다.
| 류큐어파 | |
|---|---|
| 지도 정보 | |
| 언어 정보 | |
| 이름 | 류큐어파 |
| 다른 이름 | 류큐 제어 류큐어/류큐 방언 |
| 지역 | 일본 오키나와현, 가고시마현 아마미 제도 |
| 민족 | 류큐 민족 |
| 계통색 | 알타이 |
| 어족 |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음 |
| 계통1 | 일류어족 |
| 하위1 | 북류큐어군 |
| 하위2 | 남류큐어군 |
| 글롯토코드 | ryuk1243 |
| 글롯토 참조 이름 | 류큐어 |
| 로마자 표기 | Ryūkyū-goha, Ryūkyū-shogo, Shima kutuba |
| 언어 사용 | |
| 사용 지역 | 류큐 제도 (오키나와현 전체, 가고시마현의 아마미 제도) |
| 사용자 | 류큐 민족 |
| 위험도 | 유네스코는 류큐어파 언어를 위험한 언어로 분류함 http://www.unesco.org/culture/languages-atlas/en/atlasmap/language-id-1975.html |
| 언어 특징 | |
| 원시 언어 | 원시 류큐어 |
| 방언 | 북류큐어군 남류큐어군 |
2. 구분

류큐어파는 일반적으로 북류큐어군(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과 남류큐어군(사키시마 방언군)의 두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24][25][26][27][28] 이 분류는 주로 지리적 분포와 언어학적 특징에 기반하지만, 각 그룹 내에서도 섬이나 지역 공동체마다 현저한 방언 차이가 존재하여 상호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24][25][26][28][27][29] 이는 류큐 제도의 넓은 지리적 범위와 역사적으로 강력한 중앙어가 부재했던 점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류큐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일본어와 같은 일본어족에 속하지만,[103] 상호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언어적 거리가 멀다. 예를 들어, 오키나와어는 표준 일본어와 어휘적으로 약 71%의 유사성만을 보이며, 가장 남쪽에 위치한 일본어 방언인 가고시마 방언조차 가장 북쪽에 있는 류큐어인 아마미어와 약 72%의 어휘 유사성을 가질 뿐이다. 반면, 가고시마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3] 이러한 언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에서는 사회정치적 및 이념적인 이유로 류큐어를 일본어의 방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103] 언어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류큐어를 최소 6개의 독립된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하며,[4] 국제적으로도 별개의 언어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유네스코와 에스놀로그 등 기관별로 세부적인 분류 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한다.[103]
메이지 시대 이후 강력하게 추진된 표준어 보급 운동과 전후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류큐어는 심각한 쇠퇴를 겪고 있으며, 현재는 주로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유네스코는 2009년 아마미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를 각각 소멸위기언어로 지정했다.
참고로, 다이토 제도는 메이지 시대에 하치조섬 출신 개척민들에 의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류큐어가 아닌 하치조 방언에서 유래한 방언(다이토 제도 방언)이 사용된다.
2. 1. 북류큐어군
류큐어파는 크게 북류큐어군과 남류큐어군으로 나뉜다. 북류큐어군은 아마미 제도와 오키나와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북류큐어군은 다시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 아마미어: 아마미 제도에서 사용되며, 약 130,000명의 사용자가 있다. 하위 방언으로는 기카이어, 아마미오시마어, 도쿠노시마어 등이 있다.
- 북오키나와 제어: 오키나와 제도 북부 지역(오키나와섬 북부 및 인근 섬)에서 사용되며, 약 10,000명의 사용자가 있다.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섬 중·남부 및 인근 섬에서 사용된다. 슈리어라고도 불리며, 류큐어파 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된다. 원어민은 약 228,000명, 총 사용자는 약 1,143,000명으로 추산된다.[6]
유네스코의 소멸위기언어 목록과 에스놀로그·ISO 639-3의 분류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다음 표는 북류큐어군에 해당하는 언어들의 대응 관계를 보여준다.[103]
|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명칭 | 에스놀로그 명칭 | ISO 639-3 |
|---|---|---|
| 오키나와어 | Okinawan, Central 중앙 오키나와어 | ryu |
| 아마미어 | Amami-Oshima, Northern 북아마미오시마어 | ryn |
| Amami-Oshima, Southern 남아마미오시마어 | ams | |
| Toku-No-Shima 도쿠노시마어 | tkn | |
| Kikai 기카이어 | kzg | |
| 구니가미어 | Kunigami 구니가미어 | xug |
| Yoron 요론어 | yox | |
| Oki-No-Erabu 오키노에라부어 | okn |
다음은 북류큐어군에 속하는 주요 언어들의 상세 정보이다.
| 언어 | 현지 명칭 | 지리적 분포 | 사용자 수 | 표준 방언 | ISO 639-3 |
|---|---|---|---|---|---|
| 기카이어 | しまゆみた | 기카이지마 | 13,000 | 해당 없음 | kzg |
| 아마미오시마어 | 島口 / シマユムタ | 아마미오시마 및 주변 소규모 섬 | 12,000 | 세토우치 (남부), 나제 (북부) | ams, ryn |
| 토쿠노시마어 | シマユミィタ | 토쿠노시마 | 5,100 | 카메쓰, 토쿠노시마 | tkn |
| 오키노에라부 방언군 | 島ムニ | 오키노에라부지마 | 3,200 | 해당 없음 | okn |
| 요론어 | ユンヌフトゥバ | 요론지마 | 950 | 차바나, 요론 | yox |
| 쿠니가미어 | 山原言葉 / ヤンバルクトゥーバ[5] | 북부 오키나와섬(얀바루 지역) 및 주변 소규모 섬 | 5,000 | 나키진, 그러나 가장 큰 공동체는 나고 | xug |
| 오키나와어 | 沖縄口 / ウチナーグチ | 중부 및 남부 오키나와섬 및 주변 소규모 섬 | 원어민 약 228,000명, 총 사용자 약 1,143,000명[6] | 전통적으로 슈리, 현대 나하 | ryu |
북류큐어군 내에서도 언어 및 방언 간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감사합니다"와 "어서 오세요"의 표현은 다음과 같이 다르다.
| 언어 | 감사합니다 | 어서 오세요 |
|---|---|---|
| 아마미어 | 아리가테사마 료타 (Arigatesama ryōta) 아리가사마 료타 (Arigassama ryōta) | 이모레 (Imōre) |
| 쿠니가미어 (오키노에라부) | 미헤디로 (Mihediro) | 우가미야부라 (Ugamiyabura) 멘쇼리 (Menshōri) |
| 오키나와어 | 니페데비루 (Nifēdēbiru) | 멘소레 (Mensōrē) |
북류큐어군의 상세한 방언 분류는 다음과 같다.[24][25][26][28][27][29]
- '''북류큐어군''' (아마미-오키나와 방언군)
- 아마미어
- 아마미오시마 방언
- 북아마미오시마 방언 (아마미오시마 북부)
- 남아마미오시마 방언 (아마미오시마 남부, 가케로마섬, 우케시마, 요로시마)
- 기카이섬 방언
- 도쿠노시마 방언
- 오키노에라부섬 방언
- 요론섬 방언
- 오키나와어
- 오키나와 북부 방언 / 국두 방언(国頭方言)
- 이헤야섬 방언
- 국두촌 방언
- 이마기리촌 방언
- 혼부정 방언
- 이에섬 방언
- 세소코섬 방언
- 나고시 방언
- 오키나와 중남부 방언
- 고자 방언
- 슈리 방언 (류큐 왕국 시대 사족 표준어)
- 나하시 방언 (상업 공통어적 방언)
- 토미구스쿠시 방언
- 이토만시 방언
- 쿠메지마 방언
- 쓰켄지마 방언
- 쿠다카지마 방언
일반적으로 북류큐어군은 아마미어와 오키나와어로 나뉘는 것으로 보지만,[24][25][26][28][27] 아마미-도쿠노시마 방언군, 오키노에라부-요론-오키나와 북부 방언군, 오키나와 중남부 방언의 세 그룹으로 나누는 학설도 존재한다.[30]
2. 2. 남류큐어군
남류큐어군은 선섬 제도(先島諸島)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가리키며, 북류큐어군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24][25][26][28][27][29] 남류큐어군은 크게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로 나뉜다.- 미야코어 (宮古語): 미야코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화자 수는 약 50,000명이다.[6] 히라라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된다. 하위 방언으로는 미야코지마(宮古島) 방언, 이케마섬(池間島) 방언, 오오가미섬(大神島) 방언, 이라부섬(伊良部島) 방언, 타라마섬(多良間島) 방언 등이 있다. 타라마섬 방언은 미야코어와 야에야마어의 중간적인 특징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24][25][26][28][27][29] 현지에서는 宮古口|미야코후쓰mvi[7] 또는 島口|스마후쓰mvi라고 불린다. 유네스코와 에스놀로그 모두 'Miyako'라는 명칭으로 분류하며, ISO 639-3 코드는 mvi이다.[103]
- 야에야마어 (八重山語): 야에야마 제도의 대부분 지역(요나구니섬 제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화자 수는 약 47,600명이다.[6] 이시가키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된다. 하위 방언으로는 이시가키섬(石垣島) 방언, 타케토미섬(竹富島) 방언, 코하마섬(小浜島) 방언, 신조섬(新城島) 방언, 하테루마섬(波照間島) 방언, 이리오모테섬(西表島) 방언, 하토마섬(鳩間島) 방언, 쿠로시마(黒島) 방언 등이 있다.[24][25][26][28][27][29] 현지에서는 八重山物言|야이마무니rys라고 불린다. 유네스코와 에스놀로그 모두 'Yaeyama'라는 명칭으로 분류하며, ISO 639-3 코드는 rys이다.[103]
- 요나구니어 (与那国語): 야에야마 제도의 요나구니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화자 수가 약 400명으로 매우 적다.[6] 요나구니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된다. 현지에서는 与那国物言|두난무누이yoi라고 불린다. 요나구니어는 모음이 3개뿐이라는 음운론적 특징이 있다. 유네스코와 에스놀로그 모두 'Yonaguni'라는 명칭으로 분류하며, ISO 639-3 코드는 yoi이다.[103]
남류큐어군 언어들은 서로 간에도 상호 이해가 어렵다. 예를 들어, 각 언어에서 "감사합니다"와 "어서 오세요"는 다음과 같이 다르게 표현된다.
| 언어 | 감사합니다 | 어서 오세요 |
|---|---|---|
| 미야코어 | 탄디가탄디 (Tandigātandi) 마이후카 (Maifuka) | 넘야치 (Nmyāchi) |
| 야에야마어 | 미파이유 (Mīfaiyū) 후코라산 (Fukōrasān) | 오리토리 (Ōritōri) |
| 요나구니어 | 후가라사 (Fugarasa) | 와리 (Wāri) |
2. 3. 류큐어 분류 체계 비교
다음은 류큐어파를 6개의 언어로 나누는 유네스코 소멸위기언어 목록과 11개의 언어로 나누는 에스놀로그·ISO 639-3의 방식 간의 대응을 나타낸 표이다.[103] 일본 내에서는 사회정치적 및 이념적 이유로 류큐어를 일본어의 방언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지만,[103][95] 국제적으로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명칭 | 에스놀로그 명칭 | ISO 639-3 |
|---|---|---|
| 오키나와어 | Okinawan, Central 중앙 오키나와어 | ryu |
| 아마미어 | Amami-Oshima, Northern 북아마미오시마어 | ryn |
| Amami-Oshima, Southern 남아마미오시마어 | ams | |
| Toku-No-Shima 도쿠노시마어 | tkn | |
| Kikai 기카이어 | kzg | |
| 미야코어 | Miyako 미야코어 | mvi |
| 야에야마어 | Yaeyama 야에야마어 | rys |
| 구니가미어 | Kunigami 구니가미어 | xug |
| Yoron 요론어 | yox | |
| Oki-No-Erabu 오키노에라부어 | okn | |
| 요나구니어 | Yonaguni 요나구니어 | yoi |
류큐어는 일반적으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SOV 어순, 종속 표지, 수식어-중심어, 주격-대격 언어이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결합 형태소이며, 명사 합성 또는 동사화를 통해 나타난다. 많은 류큐어는 주격과 소유격을 모두 같은 조사로 표시하는데, 이 조사는 생동성 위계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문장의 맥락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는 화제와 강조 표지가 있으며, 강조 표지가 있는 절에 대한 특별한 동사 활용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고대 일본어에도 있었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사라진 특징이다.
국제SIL이 발행하는 에스놀로그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일본어, 아이누어와 함께 류큐어파에 속하는 11개 언어(중앙 오키나와어, 기카이어, 북아마미어, 남아마미어, 도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를 제시하고 있다.[94] 국제SIL 자체도 이들이 방언이라는 의견을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2007년 국제표준화기구의 언어 약칭 국제 규격인 ISO 639-3에도 국제SIL과의 일관성을 위해 각 언어에 3글자 코드가 부여되었다.[96]
2009년 2월 유네스코는 소멸 위기 언어 목록을 발표하면서, 에스놀로그의 11개 분류 중 일부를 묶어 6개의 언어(오키나와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아마미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를 독립된 언어로 언급했다. 유네스코 담당자는 이 언어들이 일본에서 방언으로 취급되는 것을 알지만, 국제 기준으로는 독립된 언어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97] 이에 대해 이토 케이코 상원의원이 정부에 질의했으나,[98] 일본 정부는 '언어'와 '방언'의 의미가 다양하여 일괄적으로 답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99]
3. 특징
음운론적으로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류큐 열도의 지리적 범위가 넓고, 류큐 왕국 시대에도 강력한 중앙 공용어가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 간 방언 차이는 일본 본토보다 훨씬 크다. 크게 오키나와 본섬 이북의 북류큐어(아마미어, 오키나와어)와 미야코 열도 이남의 남류큐어(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로 나뉜다.[24][25][26][27][28]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중기까지 이어진 강력한 표준어 보급 운동과 전후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현재 류큐어는 심각한 쇠퇴를 겪고 있다. 주로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오키나와 전통 예능 외 일상에서는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2009년 유네스코는 아마미어, 쿠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를 각각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로 지정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어(표준어 및 큐슈 방언)와의 접촉으로 일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신방언, 특히 오키나와현 내의 '''우치나야마토구치'''(ウチナーヤマトグチ)가 발생하여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3. 1. 일본어와 류큐어의 대응
류큐어(류큐 방언)와 일본어 사이에는 모음과 자음에 일정한 대응 관계가 있다.
모음 대응일반적으로 일본어의 단모음 /o/는 류큐어 전역에서 /u/로 대응하고, /e/는 /i/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키카이지마 남부, 오키나에라부지마, 요론지마, 오키나와 제도, 야에야마 열도 일부, 요나구니지마 등에서 나타나 3개의 단모음(/a/, /i/, /u/) 체계를 가진다.
| 일본어 | 류큐어 (일반적 경향) |
|---|---|
| /e/ | /i/ |
| /o/ | /u/ |
하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아마미오시마, 토쿠노시마, 키카이지마 북부에서는 일본어 /e/가 중설모음 /ï/로 대응하여 4개의 단모음(/a/, /i/, /ï/, /u/)을 가진다. 미야코 열도와 야에야마 열도(요나구니지마 제외)에서는 일본어 /e/가 /i/로, 일본어 /i/는 중설모음 /ï/로 대응하여 역시 4개의 단모음을 가진다.
다음은 일본어와 류큐어 각 방언 간의 모음 대응 관계를 상세히 보여준다.[35][36]
| 일본어 | 아마미오시마 토쿠노시마 방언 | 오키나에라부・요론・ 오키나와어 |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 요나구니어 |
|---|---|---|---|---|
| あ a | あ a | あ a | あ a | あ a |
| え e | いぅ ï | い i | い i | い i |
| お o | う u | う u | う u | う u |
| い i | い i | い i | いぅ ï | い i |
| う u | う u | う u | う u | う u |
이중모음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일본어 | 아마미 방언 | 오키나와 방언 | 미야코 방언 | 야에야마 방언 | 요나구니 방언 |
|---|---|---|---|---|---|
| あい ai | ëː, eː | eː | aï, ai | ai | ai |
| あえ ae | ëː, eː | eː | ai | ai | ai |
| あお ao | oː | oː | oː, au | oː, au | au |
| あう au | oː | oː | oː | au | u |
| おえ oe | ïː, ëː | iː, eː | ui | ui | ui |
예를 들어, 슈리 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37]
- 雨(아메) → アミ(ʔami)
- 舟(후네) → フニ
- 雲(쿠모) → クム
- 灰(하이) → フェー
- 前(마에) → メー
- 青い(아오이・종지형) → オーサン(ʔoːsan)
- 買う(카우・종지형) → コーユン
자음 대응
- ハ행(/h/): 일본어의 어두 ハ행 자음은 많은 지역에서 パ행(/p/) 또는 ファ행(/f/, ɸ)으로 나타난다. 이는 헤이안 시대 이전 일본어의 고대 발음(p)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p 발음은 아마미오시마 일부, 키카이지마 북부, 요론지마, 오키나와 본섬 북부, 이에지마, 츠켄지마, 쿠타카지마, 미야코어(일부 제외), 야에야마어 등에서 나타나며, 오키나와 중남부나 요나구니지마 등에서는 h로 발음된다.[41] 어중의 ハ행 자음은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p→w 변화(하행 전호)가 류큐어 전체에서 일어났다.[83]
- 미야코 제도와 야에야마 제도 지역 예시:
| 계열 | 류 | 단어 | 어형 |
|---|---|---|---|
| A계열 | 제1류 | 바람 | kaʒi |
| 제2류 | 소리 | ʔutu | |
| B계열 | 제3류 | 산 | jaːma[ː |
| 제4류 | 널빤지 | ʔiːta[ː | |
| 제5류 | 비 | ʔaːmi[ː | |
| C계열 | 제3류 | 해변 | haː[ma |
| 제4류 | 중앙 | naː[ka | |
| 제5류 | 원숭이 | saː[ru |
- A계열: 제1류, 제2류
- B계열: 제3류 대부분, 제4류 약 절반, 제5류 약 절반
- C계열: 제3류 소수, 제4류 약 절반, 제5류 약 절반
이는 일류 조어 단계에서는 일본 본토 방언에서 확인되는 5개보다 더 많은 악센트 구별이 있었고, 그 구별이 류큐어에 보존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59] 3음절 명사에서도 유사한 A, B, C 3계열 구분이 나타나며[57][58][60], 1음절 명사에는 C계열이 없고 A계열(제1, 2류)과 B계열(제3류)만 존재한다.
이러한 3계열의 구별은 오키나와섬 중부(예: 킨무 방언), 토쿠노시마, 오키나에라부지마, 타라마섬, 요나구니섬 등에서 비교적 명료하게 유지되고 있다.[57][58][61] 다른 지역에서는 계열 간 통합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마미오시마 남부, 카케로마섬, 키카이섬 북부, 타케토미섬, 이시가키섬 등에서는 B와 C계열이 통합되어 A / BC의 2계열 구별을 보이며[62], 키카이섬 중남부 등에서는 AB / C[62], 이에섬에서는 AC / B[62]의 구별을 보인다.
악센트 체계상으로는, 많은 류큐 방언이 단어의 음절 수에 관계없이 악센트 유형이 2가지(이형) 또는 3가지(삼형)로 한정되는 N형 악센트 체계를 가진다.[63] 반면, 아마미 제도의 일부 방언에서는 음절 수가 늘어남에 따라 악센트 유형의 종류도 늘어나는 다형 악센트 체계를 가진다.[60]
4. 음운
류큐어는 음운론적으로 언어 간에 드물게 나타나는 특징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남부 류큐어에는 무성 유음 마찰음(예: 오가미 미야코어 /kss/ [ksː] '가슴')을 포함한 여러 개의 음절 자음이 있다. 성문 폐쇄 자음이 흔하며(예: 유완 아마미어 /ʔma/ [ˀma] "말"), 일부 류큐어는 더 흔한 전설 고모음 [i]와 후설 고모음 [u] 대신 중설 고모음(예: 유완 아마미어 /kɨɨ/ "나무")을 가지고 있다. 이케마 미야코어에는 무성 비음 음소 /n̥/가 있다. 표준 일본어와 대부분의 일본어 방언처럼 많은 류큐어는 대조적인 높낮이 악센트를 가지고 있다.
류큐어는 일반적으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SOV 어순, 종속 표지, 수식어-중심어, 주격-대격 언어이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결합 형태소이며, 명사 합성 또는 동사화를 통해 나타난다. 많은 류큐어는 주격과 소유격을 모두 같은 조사로 표시하는데, 이 조사는 생동성 위계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 류큐어는 문장의 맥락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화제와 강조 표지가 있다. 또한 강조 표지가 있는 절에 대한 특별한 동사 활용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고대 일본어에도 있었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사라진 특징이다.
류큐어는 마찰음의 유성/무성 대립, CV(C) 음절 구조, 모라성 리듬, 고저억양 등 많은 음운론적 특징을 일본어와 공유한다. 그러나 많은 개별 류큐어는 이러한 범일본어적 기반에서 상당히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가미어는 마찰음에서 음운론적 유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CCVC 음절을 허용하며, /kff/ [kf̩ː] "만들다"와 같은 특이한 음절 자음을 가지고 있다.
류큐어의 기본적인 단모음은 /a/, /i/, /ï/, /u/의 4개 또는 /a/, /i/, /u/의 3개이다. 한편, 많은 지역에서는 이들 3~4개의 모음 외에도 다수의 장모음을 가진다. 각 지역의 모음 체계(장모음 포함)는 다음과 같다.[31]
| 구분 | 지역 | 모음 체계 |
|---|---|---|
| 북부 류큐어 | 아마미오시마, 토쿠노시마, 키카이지마 북부 | i, ï, u, e, ë, o, a (7모음) 또는 ë가 없는 6모음 |
| 키카이지마 남부, 오키나에라부지마, 요론지마, 오키나와 제도 | i, u, e, o, a (5모음) | |
| 남부 류큐어 | 미야코 열도, 야에야마 열도 대부분 | i, ï, u, e, o, a (6모음, ï는 [s] 또는 [z] 근처 마찰음 동반) |
| 하테루마섬 | i, ï, u, e, ë, o, a (7모음) | |
| 하토마섬, 쿠로시마, 이리오모테섬 소나 등 | i, u, e, o, a (5모음) | |
| 요나구니섬 | i, u, a (3모음) |
북류큐어의 대부분에서는 모음이나 반모음 앞에서 성문파열음(ʔ)의 유무가 구별된다.[32] 예를 들어, ʔami(비), ʔwaː(돼지) 등이 있다.[32]
북류큐어에는 p, t, k, ʧ의 유기음과 무기음(후두화음)을 구별하는 지역이 있다.[33] 이 구별에는 농담의 차이가 있으며, 아마미오시마나 오키나와 본섬 북부 등에서는 명확한 음운적 대립이 존재한다.[33] 요나구니어에도 기원이 다른 무기 후두화음이 있다.[33] 또한, 미야코어와 야에야마어에서는 funi(배)와 puni(뼈)처럼 무성순치마찰음(f)이 다른 자음과 구별된다.[33]
미야코어와 아마미오시마 남부에는 폐음절이 있으며, 자음만으로도 모라(음절 길이 단위)를 이룰 수 있다.[34]
5. 문법
류큐어는 일반적으로 일본어와 같이 SOV 어순을 따르며, 종속 표지 언어이고 수식어가 중심어 앞에 오는 특징을 보인다. 격 체계는 주격-대격 언어에 해당한다.
류큐어는 명사와 동사를 명확하게 구분하며, 동사는 굴절을 통해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반면, 성질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어휘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결합 형태소이다. 류큐어에서 형용사적 의미를 표현하는 주된 방식은 명사와의 합성어를 만들거나 동사화하는 것이다.
- 명사 합성:
- 이케마어: '작은'을 의미하는 `imi-`와 '아이'를 의미하는 `ffa`가 결합하여 `imi-ffa` ('작은 아이')가 된다.
- 유완어: '아름다운'을 의미하는 `kjura-`와 '기모노'를 의미하는 `ʔkin`이 결합하여 `kjura-gin` ('아름다운 기모노')가 된다.
이러한 합성어 구성은 북부와 남부 류큐어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야에야마어의 하테루마 방언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 동사화: 속성을 나타내는 어근에 동사화 접미사를 붙여 동사처럼 활용한다.
- 유완 아마미어: `an kɨɨja taa-sar-oo` ("저 나무는 키가 클 것이다.") 여기서 '키가 크다'는 속성 어간 `taa-`에 동사화 접미사 `-sar-`와 추측형 어미 `-oo`가 결합되었다.
미야코어는 독립적인 형용사를 가진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러한 형용사는 어근을 중복시키거나(예: 이라부 미야코어 'imi-' "작은" → 'imii-imi' "작은(형용사)") 문법화된 명사 'munu' "것"과 합성하여(예: 이라부어 'imi-munu' "작은 것") 만들어진다.
많은 류큐어 방언에서 주격 조사와 소유격 조사가 동일한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 조사의 형태는 대상의 생동성 위계(예: 사람, 동물, 사물 등)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목적격(한국어의 '을/를'에 해당) 조사로는 미야코 방언과 야에야마 방언에서 '유(yu)'와 '바(ba)', 아마미 방언에서 '바(ba)'가 사용되지만, 오키나와어에서는 이러한 목적격 조사가 소실되었다.[70] 다만, 오키나와 방언에서도 류카(琉歌)와 같은 고풍스러운 표현에서는 '유(yu)'가 나타난다. 향격(한국어의 '에' 또는 '에게'에 해당) 조사로는 'ンカイ(nkai)' 등이 사용된다.
류큐어에는 문장의 화제와 강조를 나타내는 표지가 있으며, 이 표지들은 문맥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강조 표지가 있는 절에서는 특별한 동사 활용 형태가 사용되는데, 이는 고대 일본어에도 존재했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사라진 고어적인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류큐어 동사 활용은 현대 일본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류큐어 내부 방언 간에도 다양성이 크다. 일본어에서 사라진 동사의 종지형과 연체형 구별이 류큐어에는 남아있다.
- 북류큐어 (아마미, 오키나와 제도):
- 종지형: 주로 "연용형 + 을무(womu)" 또는 "연용형 + 을리무(worimu)"에서 유래한 형태 (예: '쓰다' → kakyum, kakyun, katʃun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연용형 + 을리(wori)"에서 유래한 형태(kakyuri, kakyui 등)도 사용된다.[64][65][66]
- 연체형: "연용형 + 을루(woru)"에서 변화한 형태 (예: '쓰다' → kakyuru, kakyun, kaʧuru, kaʧunu, kakun 등).[64][65][66]
- 오키나와 방언에서는 '을리(wori)'가 붙은 활용형이 미연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등 다른 활용형으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67]
- 남류큐어 (사키시마 제도):
- 종지형: '쓰다'의 경우 kakïm, katsïm, kakun 등과 kakï, katsï, kaku 등의 두 계통이 있으나 유래는 불명확하다.[64]
- 연체형: '쓰다'의 경우 kakï, katsï, kaku 등이다.[64]
동사 활용의 종류는 전반적으로 사단 활용과 유사한 형태로 통합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북류큐어에서는 일단·이단 활용 동사가 거의 라행 사단 활용으로 변화했다.
- 기타 활용형:
- 부정형: '쓰지 않다'는 kakaN/hakaN 계열(아마미, 오키나와, 미야코 등)과 kakanu/hakanu 계열(야에야마, 요론지마 등)이 있다.[64] '일어나지 않다'는 ʔukiraN(오키나와 본섬), ʔukiN(미야코지마), ʔukunu/ɸukunu(야에야마어), ʔugiranu(요나구니지마) 등 지역별 차이가 크다.[64]
- 명령형: '써라'가 변화한 kaki, kakï 등이다.[64]
- 지향형(의지형): '쓰려고 하다'는 kaka(ː), kako(ː)/hakoː, kakaN, kakuː/kaguː, kakam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64][66]
- 과거형: 일본어처럼 "테 아리(てあり)"에서 유래한 어미(탄, 타리, 타이, tar 등)를 사용한다. 북류큐어에서는 동사 어간과 융합하며 음변이 일어나지만, 남류큐어에는 음변이 없다.[68]
- 수동·가능: 일본어 '레루(れる)'에서 유래한 조동사를 사용한다.
- 사역: 일본어 '스(す)', '시무(しむ)'에서 유래한 조동사를 사용한다.
경어 체계도 발달해 있으며, 일본어의 '하베리(侍り, 정중)'나 '메스(召す, 존경)' 등에서 유래한 어법을 사용한다. 방언별 차이가 크며, 오키나와 방언의 '차비라'(실례합니다), '멘소레'(어서 오세요) 등이 대표적이다.
류큐어의 형용사 활용은 크게 "어간 + 사 아리(さあり)" 계통과 "어간 + 쿠 아리(くあり)" 계통으로 나뉜다. '사 아리' 계통은 아마미, 오키나와, 다라마섬, 야에야마 제도에 분포하며, '쿠 아리' 계통은 미야코 열도에 분포한다. 예를 들어 '높다'의 종지형은 '사 아리' 계통인 슈리 방언에서 takasan, '쿠 아리' 계통인 미야코지마 히라라 방언에서 takakaï가 된다. 연용형은 일본어와 같이 "어간 + 쿠(く)"에서 유래한 형태(예: 높다 → takaku, taːku 등)를 사용하고 있다. '사 아리' 계통 지역에서는 연용형 이외의 형용사 활용은 모두 "어간 + 사 아리"가 활용된 것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높다'의 미연형은 "高さあら(ば)", 조건형(가정형)은 "高さあれ(ば)", 연체형은 "高さある・高さあり"가 변화한 형태를 사용한다.[69] 이 외에도 형용사의 어간 용법도 발달되어 있다.
관계절 형성 방식으로는 초점을 나타내는 조사 '두(du)' 뒤에 연체형 동사가 오거나,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가(ga)' 뒤에 미연형 동사가 오는 방식 등이 있다.
류큐어는 음절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대부분의 방언에서 단어는 최소 두 개의 음절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하테루마어에서 '손'을 의미하는 기본 어근 'si'는 독립적으로 쓰일 때 장음화되어 'sī'가 되지만, 다른 요소(클리틱)에 붙을 때는 'si=nu'처럼 원래 형태 'si'를 유지한다. (단, 이라부 미야코어에서는 클리틱 앞에서도 장음화가 발생하여 '손'을 의미하는 'ti'는 독립형 'tī'뿐 아니라 클리틱이 붙은 형태 'tī=nu'에서도 장음화된다.) 오가미 미야코어처럼 음절 구조가 조사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가미어의 특정 조사는 짧은 모음으로 끝나는 열린 음절 뒤에서 다른 형태를 취한다.
- "지팡이" (pau) + 조사 → pau=ia
- "채소" (suu) + 조사 → suu=ia
- "사람" (pstu) + 조사 → pstɑ=ɑ
대부분의 류큐어는 단어의 특정 음절에 높낮이를 부여하는 높낮이 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세 가지 유형의 악센트가 구별된다. 운율단위 범주는 일부 류큐어의 악센트 체계와도 관련이 있으며, 일부 미야코 방언은 언어학적으로 드문 음조 운율단위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라부 미야코어는 어휘적 악센트가 없다.
6. 역사
류큐 제도는 1천년대에 프로토-일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개척되었다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후 상대적인 고립 상태가 이어지면서 류큐어는 일본 본토에서 사용되던 프로토-일본어 방언들(후에 고대 일본어로 발전)과 상당히 다른 언어로 갈라졌다. 다만, 핀자-아부 동굴인, 미나토가와인, 야마시타 동굴인[14]과 시라호 사오네타바루 동굴 유적[15]의 발견은 현생 인류가 더 이른 시기에 류큐 제도에 도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류큐어가 한반도의 "프로토-일본어 이전 언어"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류큐어는 이러한 이동 이전에, 화자들이 아직 일본 본토에 거주할 때 이미 프로토-일본어에서 갈라지기 시작했을 수도 있다. 이 초기 정착 이후 수 세기 동안 본토와 류큐 제도 사이에는 교류가 거의 없었고, 류큐어와 일본어는 서로 다른 언어로 발전해 나갔다. 이러한 상황은 17세기에 규슈의 사쓰마번이 류큐 제도를 정복할 때까지 이어졌다.
류큐어와 일본어가 갈라진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언어학자 하토리 시로는 두 언어 간 공통 어휘를 비교하는 언어 연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교토 방언과 슈리 방언의 분기 시기를 약 1,450년에서 1,700년 전으로 추정했다.[82] 한편, 고고학과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구스크 시대가 시작된 10~12세기경 일본 본토에서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류큐 열도에 농경이 시작되고 인구가 급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토마 페라르는 류큐어와 일본어가 야요이 시대 말기 또는 고분 시대에 분기했으며, 10세기경 본토(아마도 규슈)에서 이동한 집단에 의해 류큐 조어가 류큐 열도로 전래되었다고 주장한다.[83] 류큐어에는 일본어에서 중고(헤이안 시대) 이후 나타난 어중·어미의 ハ행이 ワ행으로 변하는 음운 변화(하행 전호)가 반영되어 있고, "정월(正月)", "능숙(上手)" 등 중고·중세 일본어와 일치하는 한자어 어형이 존재하는데, 페라르는 이것이 분기 이후 일본 본토와의 접촉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설명한다.[83] 구스크 시대 이전의 원주민 인구는 적었으며, 농경 기술을 가진 이주민들에 의해 대체되거나 동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4]
문자의 전래는 1265년 젠칸(禅鑑)이라는 승려가 일본에서 불교를 전파하면서 함께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15세기 말부터는 류큐어가 히라가나로 활발하게 표기되기 시작했다. 『오모로소시』 등에서 보이는 가나 사용법이나 동시대 외국 자료에 기록된 오키나와 방언은 이미 모음 o가 u로, e가 i로 변화한 특징을 보여준다. 『오모로소시』의 가나 표기에는 오키나와 발음에 맞춘 표음적 표기와 일본의 규범적인 역사적 가나 사용법이 혼재되어 있다.[85]
류큐 왕국이 성립된 후, 15세기경에는 지배 계층인 사족(士族)을 중심으로 슈리 방언이 형성되었다. 슈리 방언은 류큐 왕국의 표준어이자 공식 문서 작성에 사용되는 언어로서 류큐 제도 전역에 통용되었으나, 각 지역의 다양한 방언이 억압받지는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
1846년부터 1849년까지 류큐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였던 베르나르 장 베텔하임은 현지 언어를 연구하여 성경을 부분적으로 번역하고, 슈리 류큐어의 첫 문법서를 출판했다.[16]
류큐 왕국은 1879년 일본 제국에 강제 병합될 때까지 자치권을 유지했다. 일본 정부는 본토 출신 일본인을 주요 관직에 임명하고, 류큐 고유의 문화와 언어를 억압하는 강제 동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학교에서는 류큐어를 사용하는 학생에게 '방언 카드'(方言札, 호겐후다)를 목에 걸게 하여 공개적으로 수치심을 주는 방식으로 언어 사용을 통제했다. 방언 카드를 자주 받은 학생은 체벌을 받기도 했다. 1940년에는 일본 지도부 내에서 류큐어 탄압 지속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결국 동화 정책을 강화하는 쪽으로 결정되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류큐어 사용이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여전히 사용되었다. 특히 오키나와 전투 중에는 단순히 류큐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수많은 오키나와 주민들이 일본군에 의해 스파이로 몰려 처형당하는 비극적인 '언어 학살'이 일어났다.[18] 이러한 억압 정책은 미국의 류큐 제도 점령 이후에야 중단됐다. 미군 점령 당국은 일반적으로 류큐 고유 문화의 부흥을 장려했지만, 일부 오키나와 현지 관리들은 오히려 이에 반발하여 일본 동화 정책을 지속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강력한 표준어 보급 운동과 전후 매스미디어의 발달은 류큐어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현재 류큐어는 오키나와 시바이(沖縄芝居, 오키나와 연극), 구미오도리(組踊), 류카(琉歌), 류큐 민요·시마우타(島唄) 등 전통 예능 분야에서 주로 사용될 뿐, 일상생활에서는 고령층과 그 가족 주변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9년 유네스코는 아마미어, 쿠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 등 류큐어파의 주요 언어들을 소멸위기언어로 지정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류큐어와 일본어(주로 표준어 및 규슈 방언)의 접촉 과정에서 일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새로운 형태의 방언, 즉 신방언이 발생했는데, 오키나와현 내의 신방언은 특히 '우치나야마토구치'(ウチナーヤマトグチ)라고 불린다. 베이비붐 세대 이후 출생한 세대는 대부분 류큐어 대신 이 신방언을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오늘날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류큐어 보존은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 오시마 지청 정부의 공식적인 정책 목표가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오키나와 어린이들이 일본어만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류큐어의 미래는 여전히 매우 불투명하다.
7. 표기

오래된 류큐어 기록은 주로 돌에 새겨진 비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494년의 소로쿠 무덤 비문[75], 1501년의 타마우둔(玉陵) 묘지 비문[76][77], 1597년의 '우르소 성 앞의 비' 등이 대표적이다. 쇼 엔(尚円) 왕(가네마루)이 직접 쓴 서장도 남아있다.
류큐 왕국 시대(15세기 이후)에는 공식 문서를 한자와 히라가나를 섞어 작성했다. 이는 당시 일본에서 공식 문서는 주로 고전 중국어(한문)로 쓰고 히라가나는 비공식 문서에만 사용했던 것과 대조된다. 류큐에서도 한문을 사용하기는 했으나, 류큐어식 훈독(訓読)으로 읽거나 중국어로 읽었다. 시나 노래는 주로 오키나와어 슈리 방언으로 작성되었으며, 가타카나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서민들은 한자를 배우기 어려웠기 때문에, 유명한 류큐 노래 모음집인 《오모로소시》(おもろそうし, 1531~1623)는 주로 히라가나로 쓰였다. 히라가나 외에도 중국에서 유래한 수주 자(苏州字, 오키나와어로는 ''스우츄우마''(すうちゅうま))라는 독특한 숫자를 사용했는데, 주로 상업적인 장부 기록 등에 쓰였다. 특히 요나구니(与那国)에서는 카이다 문자(カイダー字 또는 カイダーディー)라는 별도의 문자 체계가 존재했다.[19][20] 이러한 고유 문자들은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한편, 1501년 조선에서 편찬된 《해동제국기》(海東諸国紀)의 부록 「어음번역」(語音翻訳)에는 류큐어 단어와 문장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류큐어의 음운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78]
오늘날 류큐어는 '방언'으로 취급되어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글을 쓸 때는 일본어 문자를 빌려 임의적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통일된 표준 표기법은 아직 없다. 이 때문에 일본어 표기 체계로는 구별되지 않는 류큐어의 음소, 예를 들어 성문 폐쇄음 등은 제대로 표기하기 어렵다. 때로는 특정 단어의 의미에 해당하는 한자를 빌려와 현지 발음대로 읽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동쪽'을 의미하는 "아가리"(あがり)에 '東' 자를, '서쪽'을 의미하는 "이리"(いり)에 '西' 자를 사용하는 식이다. (예: 西表 = 이리오모테)
그러나 이러한 표기 방식은 문제를 낳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城)과는 다른 개념인 구스쿠(グスク)에 '城' 자를 붙여 나카구스쿠촌(中城, 나카구스쿠)나 구스쿠베(城辺, 구스쿠베)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본래 의미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붙여진 한자에 맞춰 류큐어 발음이 일본식 발음으로 바뀌거나(与那城 '요나구스쿠' → '요나시로'), 의미가 아닌 소리만 빌려 한자를 붙여 원래 의미를 알기 어렵게 되는 경우(西原 '니시바루' → '니시하라')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류큐어(시마쿠투바, しまくとぅば)를 보존하기 위해, 오키나와현 정부는 2018년 '시마쿠투바 정서법 검토 위원회'(しまくとぅば正書法検討委員会)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표음성, 간결성, 체계성, 친숙성을 기본 원칙으로 삼아, 2022년 5월 30일 쿠니가미, 오키나와, 미야코, 야에야마, 요나구니의 5개 지역 언어에 대해 가타카나를 기반으로 한 통일 표기법을 제안했다.[21][79][80] 오키나와현은 앞으로 시마쿠투바 보급 및 계승 사업에서 이 표기법을 따를 예정이지만, 기존에 각지에서 사용되어 온 다양한 표기 방식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80]
8. 현황
류큐어에 대한 공식적인 인구조사 자료는 없어 정확한 화자 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2005년 기준 류큐 지역의 총 인구는 1,452,288명이었지만, 류큐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화자는 대부분 50대 이상의 고령층에 한정되어 있어 실제 화자 수는 이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섯 개의 주요 류큐어(아마미어, 쿠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는 모두 2009년 유네스코 세계 위기 언어 아틀라스에 소멸 위기 언어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모든 류큐어가 2050년까지 소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8]
류큐어의 쇠퇴는 1890년대 일본 정부가 류큐 제도에서 강제적인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류큐어 사용을 억압하기 시작하면서 가속화되었다.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중기까지 학교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강력한 표준어 보급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류큐어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언표"와 같은 수단이 동원되기도 했다.[86]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통치하에서도 표준어 보급 운동은 지속되었고, 오히려 미군 지배에 대한 반발과 본토로의 집단 취업 증가 등으로 오키나와 현민들 사이에서 본토 지향성이 높아지면서 자발적인 표준어 사용 움직임이 일기도 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류큐어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부모 세대가 자녀 세대에게 언어를 전승하는 것에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세대 간 언어 단절이 심화되었다.
오늘날 류큐어는 주로 민속 음악, 민속 무용, 시, 민속극과 같은 전통 문화 활동 영역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960년부터는 나하 방언으로 진행되는 라디오 뉴스 프로그램도 방송되고 있다.[9] 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은 크게 위축되어, 류큐어를 모어로 습득하는 아동은 매우 드물며, 주로 조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에나 찾아볼 수 있다.
2007년경 오키나와에서는 40세 미만의 젊은 세대가 오키나와어를 거의 구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신 일본어와 오키나와어가 혼합된 새로운 형태의 언어인 "ウチナーヤマトゥグチ|우치나야마토구치일본어"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아마미오시마에서도 전통적인 아마미어 대신, 아마미 사투리의 영향을 받은 일본어의 지역 변종인 아마미 일본어가 일상적인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언어는 현지에서 トン普通語|톤 후츠고일본어(직역하면 '감자 표준어', 즉 '시골 표준어')라고 불리기도 한다.[10][11]
이러한 류큐어의 소멸 위기에 대응하여 보존 및 진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표준어 보급 운동의 선두 주자였던 오키나와현청도 현재는 현내 교육위원회에 류큐어 보호를 촉구하는 통달을 내리는 등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했다. 2006년 3월 31일에는 오키나와현 의회에서 매년 9월 18일을 "しまくとぅばの日|시마쿠투바노히일본어"(시마쿠토바의 날, 섬 언어의 날)로 지정하여 류큐어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보급을 촉진하는 조례를 제정했다.[12][87][88] 9월 18일은 숫자의 일본어 발음을 이용한 말놀이인 ''고로아와세''로 ''쿠''(9), ''투''(10), ''바''(8)를 조합하여 '말' 또는 '언어'를 뜻하는 류큐어 단어 言葉|코토바일본어(일본어 言葉|코토바일본어와 동계어)를 나타낸다.
아마미 지역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있어, 2007년부터 오시마 지청 주도로 매년 2월 18일을 "方言の日|호겐노히일본어"(방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각 섬에서는 고유한 명칭으로 이 날을 기념한다.[13]
| 섬 | 기념일 명칭 (일본어 표기) | 발음 |
|---|---|---|
| 아마미오시마 | シマユムタの日일본어 또는 シマクトゥバの日일본어 (島口の日일본어) | 시마유무타노히 또는 시마쿠투바노히 |
| 기카이지마 | シマユミタの日일본어 | 시마유미타노히 |
| 토쿠노시마 | シマグチ(島口)の日일본어 또는 シマユミィタの日일본어 | 시마구치노히 또는 시마유미타노히 |
| 오키노에라부지마 | 島ムニの日일본어 | 시마무니노히 |
| 요론지마 | ユンヌフトゥバの日일본어 | 윤누후투바노히 |
요론지마의 기념일 명칭은 2월 18일의 ''고로아와세''인 ''후''(2), ''투''(10), ''바''(8)에서 유래했다.
한편, 남미 등지로 이주한 오키나와 출신 이민자 커뮤니티에서는 여전히 류큐어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어, 일부에서는 "순수한 류큐어는 남미에만 남아 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89]
9. 언어 자격 논란
류큐어는 류큐 제도를 제외한 일본 본토의 일본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또한 류큐어 자체도 하위에 있는 여러 언어(흔히 '방언'으로 불림)들 간에 의사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단일한 언어가 아니라 여러 개별 언어의 집합체인 '류큐 제어'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24][25][26][27][28]
언어학적으로 류큐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일본어와 관련이 있지만,[105][106] 상호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105][106] 예를 들어, 오키나와어는 표준 일본어와 어휘적으로 71%만 유사하다. 이는 일본 본토 방언 간의 차이보다 큰 것으로, 가장 남쪽에 있는 일본 방언인 가고시마 방언이 북부 류큐어(아마미어)와 72%의 동족어 관계를 보이는 반면, 같은 가고시마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80%의 어휘적 유사성을 갖는다.[3] 언어학 전문가들은 류큐어를 최소 6개의 개별 언어(아마미어, 쿠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로 나눌 수 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4]
그러나 일본 내에서는 사회정치적 및 이념적 이유로 류큐어를 일본어의 방언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105][106]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의 일본 본토 사람들은 류큐어를 일본어의 방언 또는 방언 집단으로 여겨왔다.
국제 사회의 시각은 이와 다르다. 비영리단체 국제SIL이 발행하는 에스놀로그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일본어, 아이누어와 함께 류큐어파의 여러 언어들(중앙오키나와어, 키카이어, 북아마미어, 남아마미어, 토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쿠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을 개별 언어로 등재하고 있다.[94] 2009년 유네스코 역시 아마미어, 쿠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를 각각 독립된 언어로 보고 소멸위기언어로 지정했다.[105][106] 유네스코는 이들이 일본 내에서 방언으로 취급되는 것을 인지하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독립된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97]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언어 코드 표준인 ISO 639-3에서도 이들 언어에 각각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고 있다.[96]
류큐어를 '언어'로 볼 것인가, '방언'으로 볼 것인가 하는 논쟁은 언어학에서 언어와 방언을 구분하는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구분은 종종 민족이나 국가 정체성과 같은 정치적이고 민감한 문제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일본이라는 국가의 존재를 근거로 류큐어를 '방언'으로 규정하려는 시각도 있지만,[93] 국가의 범위와 민족·언어의 범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류큐어' 또는 '류큐 방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정치적·민족적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오키나와현 주민들 사이에서는 류큐어를 관습적으로 '방언'(호겐, 方言)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한편,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지정과 관련하여 이토 케이코 상원의원이 일본 정부에 이들 언어의 지위에 대해 질의했으나, 정부는 '언어'와 '방언'이라는 용어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일괄적으로 답변하기 어렵다는 모호한 입장을 보였다.[98][99]
참조
[1]
pdf
An Introduction to Ryukyuan Languages
https://lingdy.aa-ke[...]
[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org
2014-03-16
[3]
서적
沖縄語辞典 (Okinawan dictionary)
国立国語研究所
1998
[4]
서적
言語学大辞典セレクション:日本列島の言語 (Selection from the Encyclopædia of Linguistics: The Languag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三省堂
1997
[5]
웹사이트
今帰仁方言音声データベース ヤンバルクトゥーバ
http://ryukyu-lang.l[...]
2014-02-16
[6]
뉴스
沖縄の言葉「しまくとぅば」、生活に必要だと思う県民は90% 2023年度 県調査 「あいさつ程度」以上に使う人の割合は?
https://www.okinawat[...]
2024-04-26
[7]
웹사이트
宮古方言音声データベース ミャークフツ
http://133.13.160.25[...]
2014-02-16
[8]
뉴스
Use them or lose them: There's more at stake than language in reviving Ryukyuan tongue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4-08-25
[9]
웹사이트
おきなわBBtv★沖縄の方言ニュース★沖縄の「今」を沖縄の「言葉」で!ラジオ沖縄で好評放送中の「方言ニュース」をブロードバンドでお届けします。
http://www.okinawabb[...]
Okinawabbtv.com
2014-01-01
[10]
웹사이트
島口(奄美の方言)入門その1-あなたもシマンチュに
http://www.synapse.n[...]
Synapse.ne.jp
2014-01-01
[11]
논문
Studies of Ryukyu-substrate Japanese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19-01
[12]
웹사이트
○しまくとぅばの日に関する条例
http://www.pref.okin[...]
Pref.okinawa.jp
[13]
웹사이트
鹿児島県/大島地区「方言の日」
http://www.pref.kago[...]
Pref.kagoshima.jp
2014-02-17
[14]
논문
Early modern human remains from eastern Asia: the Yamashita-cho 1 immature postcrania
1996-04-30
[15]
논문
Pleistocene human remains from Shiraho-Saonetabaru Cave on Ishigaki Island, Okinawa, Japan, and their radiocarbon dating
Jstage.jst.go.jp
[16]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De Gruyter Mouton
2024-01-27
[17]
논문
Hōgen ronsō: the great Ryukyuan languages debate of 1940
[18]
뉴스
The Battle of Okinawa: America's good war gone bad
https://www.japantim[...]
2015-03-30
[19]
웹사이트
カイダー字: 与那国島にある象形文字。 (KaidaJi – MemoWiki)
http://www.nilab.inf[...]
Nilab.info
2014-01-01
[20]
웹사이트
ダウンロード
http://ecco.m78.com/[...]
2007-01-14
[21]
뉴스
しまくとぅば「カナ」でどう書く? 沖縄県が表記法まとめホームページで公開 普及・継承の一助に
https://ryukyushimpo[...]
Ryūkyū Shimpō
2022-05-31
[22]
서적
An Introduction to Ryukyuan Languages
https://lingdy.aa-k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2010
[23]
웹사이트
Ryukyuan
https://www.ethnolog[...]
2023-06-11
[24]
서적
飯豊・日野・佐藤編
1984
[25]
서적
大野・柴田編
1977
[26]
서적
中本
1976
[27]
서적
林・衣畑・木部編
2021
[28]
서적
Pellard
2015
[29]
서적
豊見城市しまくとぅば読本 高学年・一般用
豊見城市教育委員会
2015
[30]
논문
奄美沖縄方言群における沖永良部方言の位置づけ
2000
[31]
서적
飯豊・日野・佐藤編
1984
[32]
서적
大野・柴田編
1977
[33]
서적
大野・柴田編
1977
[34]
서적
飯豊・日野・佐藤編
1984
[35]
서적
大野・柴田編
1977
[36]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飯豊・日野・佐藤編
1984
[37]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3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中本
1976
[39]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飯豊・日野・佐藤編
1984
[4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中本
1976
[41]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4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国立国語研究所
2001
[4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Thorpe
1983
[44]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45]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46]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飯豊・日野・佐藤編
1984
[4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中本
1976
[4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Thorpe
1983
[49]
논문
徳之島浅間方言のアクセント資料(4)
上野善道
2017
[5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中本
1976
[5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Thorpe
1983
[5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Thorpe
1983
[53]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飯豊毅一・日野資純・佐藤亮一編
1984
[54]
논문
アクセントの分布と変遷
大野晋・柴田武編
1977
[55]
논문
沖縄本島金武方言の体言のアクセント型とその系列:「琉球調査用系列別語彙」の開発に向けて
松森晶子
2009
[56]
논문
日本祖語について
服部四郎
1979
[57]
논문
琉球の多型アクセントについての一考察:琉球祖語における類別語彙3拍語の合流の仕方
松森晶子
2000
[58]
논문
琉球語調査用「系列別語彙」の素案
松森晶子
2012
[5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田窪・ホイットマン・平子編
2016
[60]
논문
奄美方言アクセントの諸相
上野善道
2000
[61]
논문
多良間島の3型アクセントと「系列別語彙」
明治書院
2010
[62]
논문
琉球アクセント調査のための類別語彙の開発:沖永良部島の調査から
松森晶子
2000
[63]
논문
琉球宮古語池間方言のアクセント体系は三型であって二型ではない
五十嵐陽介・田窪行則・林由華・ペラール トマ・久保智之
2012
[64]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飯豊・日野・佐藤編
1984
[65]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66]
논문
動詞活用の通時的考察
内間
1984
[67]
서적
岩波講座日本語11 方言
大野・柴田編
1977
[68]
발표자료
琉球語の動詞活用形の歴史的変化
https://www.ninjal.a[...]
狩俣繁久
2018-12-23
[69]
논문
形容詞活用の通時的考察
内間
1984
[70]
논문
琉球方言助詞瞥見
https://cir.nii.ac.j[...]
野原三義
1985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フィールドと文献からみる日琉諸語の系統と歴史
開拓社
[75]
웹사이트
沖縄観光ナビ 小禄墓
http://www.okinawast[...]
[76]
웹사이트
尚寧王時代の道路竣工記念碑
http://www.urasoenav[...]
浦添市観光協会
2013-01-09
[77]
서적
琉球王国の構造
2022-09-29
[78]
서적
海東諸国紀 朝鮮人の見た中世の日本と琉球
岩波書店
[79]
뉴스
しまくとぅば「カナ」でどう書く? 沖縄県が表記法まとめホームページで公開 普及・継承の一助に
https://ryukyushimpo[...]
琉球新報
2022-05-31
[80]
웹사이트
沖縄県における「しまくとぅば」の表記について
https://www.pref.oki[...]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
2022-06-02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논문
沖縄の標準語教育史研究 : 明治期の綴方教育を中心に
https://hdl.handle.n[...]
琉球大学教育学部
2006-03
[87]
뉴스
しまくとぅばの日可決 「9月18日」
http://ryukyushimpo.[...]
2006-03-29
[88]
웹사이트
しまくとぅばの日に関する条例
https://www.pref.oki[...]
沖縄県庁
2024-08-16
[89]
서적
東アジアにおける言語復興:中国・台湾・沖縄を焦点に
三元社
[90]
서적
[91]
문서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의 공통점과 언어 연속체
[92]
논문
日本列島の言語の多様性:琉球諸語を中心に
https://hal.archives[...]
くろしお出版
[93]
서적
日本語の世界9沖縄の言葉
中央公論社
[9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Japan
http://www.ethnologu[...]
2005
[95]
서적
言語学大辞典セレクション 日本列島の言語
三省堂
[96]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ryu
http://www.sil.org/i[...]
2007
[97]
뉴스
世界2500言語消滅危機、ユネスコ「日本は8語対象」
https://www.asahi.co[...]
2009-02-20
[98]
웹사이트
沖縄の言語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www.sangiin.g[...]
[99]
웹사이트
参議院議員糸数慶子君提出沖縄の言語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angiin.[...]
[100]
서적
言語学大辞典セレクション:日本列島の言語
三省堂
[101]
문서
유네스코의 류큐어 분류
[102]
문서
에스놀로그와 ISO 639-3의 류큐어 분류
[103]
웹사이트
유네스코 소멸위기언어와 ISO 639-3 코드 대조
http://www.unesco.or[...]
[104]
문서
종지형
[105]
문서
소멸위기언어 목록 추가 언어들
[106]
블로그
http://d.hatena.ne.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